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변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대상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통계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첫 게재된 199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390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 분석 준거에 따라 시계열 빈도분석과 연구결과 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대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성격 및 적응 연구 177편(45%)이며 성과연구가 108편(28%), 진로 및 적성연구 45편(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구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담 연구 영역 이 성격 및 적응 연구 등 특정 주제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대상이 없는 논문 4편을 제외한 386편 중 100편(2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어 중등 60편(15%), 고등 55편(14%), 성인 46편 (11%), 대학생 37편(9%) 순이다. 연구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단일 연구대상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전체 390편 중 370편(95%)이 양적연구로 확연히 집중된 반면 질적연구는 18편(4%), 혼합연구는 2편(1%)에 그쳤다. 양적연구는 매해 90%를 넘는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질적연구가 소폭 늘었지만 2018년 최대 5편이 게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예 선택되지 않거나 한 해 1~2편 정도만 게재됐다. 넷째, 통계방법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이 증설된 초반에는 프로그램 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t검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후 변인 간 상관 및 인과 관계를 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방법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4년 이후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다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성과 통계방법의 변화는 상담현장에서 실제 과제를 풀어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상담학은 실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므로 보다 더 확대된 시선의 창의적 연구 노력이 앞으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explore academic identity. To this end, we have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research topic trend of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trend of the thesis on the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4. How is the statistical method trend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0 paper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995 to August 2020, when a master's thesis on counseling psychology was first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177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45%) were studied, followed by 108 performance studies (28%), and 45 career and aptitude studies (12%). All other studies appear to be less than 10%, confirming that counseling research area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pics such as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Second, 100 (25%) out of 386 papers, excluding 4 papers without subject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llowed by 60 middle and high schools (15 percent), 55 high schools (14 percent), 46 adults (11 percent) and 37 college students (9 percent). Except for cases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ubject, the lea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unselors in a single subject. Third, 370 (95%) of the total 390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tudies, while only 18 (4%) were conducted on qualitative studies and 2 (1%) on mixed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has maintained a ratio of more than 90% every year,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2015, but only one or two were selected or published a year except for up to five in 2018.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an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re-post-t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e program effects. Since 2014, we have shown the flow of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usa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change.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changes in statistical methods are interpreted as researchers' efforts to solve real challenges at the counseling site. Since counseling is a practical study, we hope that creative research efforts with a wider perspectiv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를 위한 영성 상담 : 그리스도요법을 중심으로

        신은자 서울신학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91

        ABSTRACT Spirituality Counseling for Children Experiencing the Loss of Paternity - Focusing on the Christotherapy- Shin Eun Ja Directed by Professor Lee, Jung Kee, Ph.D. Department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children who experience the relational loss of paternity because of their parent's divorce and conflict undergo the mental experiences, and to reveal how the children experience through the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and how they reconstruct and perceive the relational image about themselves and Go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help the children who live in single parent family ge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hrough christian spirituality they perceive by themselves from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s, it can help the children develop their life of faith.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sychological state experienced from the loss of paternity, and to know the relational image about themselves and God after spirituality counsel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the qualitative research focusing on the subjective 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it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from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With that perspective, researcher applied Max van Manen's method to this study. The subject for inquiry was construc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they undergo the divorce process of their parent? Second, what is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God's image that the children perceive through spirituality counseling? The participants were 5 children who were living in the mother and child protection facilities and 5 children who were living in local community after finishing the life of facilities for three years.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picture test and 'existential relation spirituality' test through an individual interview to assess their psychological state and try to understand the relational psychology with their family, environment, themselves, and God. The individual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made of 5-7 sessions, and 10 sessions for spirituality group counseling. The result of this study looking at the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al dimension is as follows. The participants showed the helplessness, awful remember that they want to forget, longing for their father though their hatred. They expressed thanks for their mother who sacrificed for them currently and also suppressive image of their mother, and the psychological pressure about their younger brother and younger sister. In the relation with others and environment, they didn't belong to the peer community augustly because of their low self esteem, and in the relation with themselves, though they often suffered from nightmares, they were concerned with exploring their talent by perceiving their feelings and living their life positively. The result from the spirituality counseling showed that they had mythological and fantastical image of God so that they projected the object relational image stuck in the development stage onto God. They felt God as horrible and punishing. However after spirituality counseling they expressed the image of God as the good shepherd looking for a stray lamb, and reconstructed the image of God newly as compassionate for their sufferings and as granting their wishes. They also expressed their feelings through role play about the bible story, and having a contemplative time looking into their inner mind they listened to God's voice and they expressed that freely. As the result of spirituality counseling they showed the attitudinal change forming healthy self esteem for themselves, and the spiritual growth in which they could talk with God for prayer in actual lif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in the pastoral counseling. First, in the reality of high divorce rate in our country today, this study was conducted phenomenologically about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undergoing their parent's divorce. This study can help the pastoral counselors deeply understand the children in the church from the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Second, there are few clinical resources for the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in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but this study applied the frame of the christotherapy to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in keeping with the children's development stage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dealt with the children's spiritual aspects at the same time with the psychological aspects, their spirituality as well as their psychology, so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clinical resources for the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key words: experience of the loss of paternity,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phenomenology, christotherapy.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를 위한 영성 상담 -그리스도요법을 중심으로- 신은자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상담심리학전공 (지도교수 이정기 박사) 국문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갈등과 이혼으로 인하여 아버지와의 관계상실을 경험한 어린이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어떠한 심리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어린이 영성 상담을 통하여 그들이 어떠한 체험을 하며, 그 체험을 통하여 어린이가 하나님과 자신에 대한 관계적인 이미지를 어떻게 재구성하고 지각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한부모 가정에서 생활하는 어린이의 심리적인 안정을 도울 수 있으며, 어린이의 감정과 경험에서 스스로 인식하게 된 기독교 영성의 이해를 통하여 어린이의 신앙생활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반 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어린이가 부성상실경험으로 인하여 경험되는 심리적 상태와, 영성 상담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하나님과 자신에 대한 관계적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관점을 따르고자 하였다. 현상학 연구는 양적연구와 다르게 주관적인 체험과 해석에 중점을 두는 질적 연구이며 체험한 대상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해석학적 현상학을 주창한 밴 매넌(Max van Manen)의 연구방법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부모의 이혼으로 인하여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의 심리적 현상은 무엇인가? 둘째, 영성 상담에 참여한 어린이가 지각하는 하나님 관계와 하나님 이미지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이에 본 연구는 00시 모자보호시설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어린이 5명과, 이미 모자보호시설에서 3년간의 생활을 마치고 퇴소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어린이 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개별면담을 하면서 참여자 어린이들의 심리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그림검사와 ‘실존적 관계 영성’ 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실존적 관계인 가족, 타인과 환경, 자신, 그리고 하나님과 관계적인 심리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개인면담은 5-7회 실시하였으며, ‘영성 상담’은 10회기를 진행하였다.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의 심리적 특성을 관계적 차원에서 정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어린 유아기에 아버지와의 관계 상실을 경험하면서 무기력한 자신, 잊고 싶은 무서운 기억, 그리고 너무 밉지만 아빠를 그리워하는 심리를 나타내었다. 현재 가족관계에서는 아낌없이 자신을 위해 희생하는 엄마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면서도 자신을 억압하여 힘들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보살펴야하는 동생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표현하였다. 타인과 환경관계에서는 낮은 자존감으로 인하여 또래 공동체에 당당하게 소속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과의 관계에서는 가끔 악몽에 시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생활하며 자신의 재능을 탐색하는데 관심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 상담에서 나타난 결과는 신화적이고 환상적인 하나님의 이미지를 갖고 있기도 하고 발달단계에서 고착된 대상관계의 이미지를 하나님에게 투사하는, ‘무서운 하나님’, ‘벌주시는 하나님’ 등으로 드러나기도 하였지만 잃은 양을 찾아가는 선한목자를 하나님의 이미지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아픈 마음을 헤아려주시고, 소원을 들어주시는 하나님으로 새롭게 이미지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성서의 이야기를 적용한 역할극을 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내면을 들여다보는 묵상의 시간을 가지면서 직관적으로 체험되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영성상담의 결과는 어린이 자신의 건강한 자아감을 형성하는 태도적 변화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과 대화식으로 기도하는 영적 성장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목회상담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높은 이혼율의 사회적 현실 속에서 전인적으로 가장 심리적 손상이 큰 이혼가정 자녀들의 발달 심리적 특성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였다는 것으로써, 이는 교회 안에 소속된 어린 영혼들을 돌봄의 대상으로 접근하는 목회상담관점에서 그들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어린이 영성 상담에 대한 임상적 자료가 부족한 한국의 목회상담학적 현실에서 영성과 심리치료의 한 접근방법인 ‘그리스도요법’의 틀을 어린이의 발달수준에 맞추어 영성상담에 적절하게 적용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어린이의 영적인 측면과 심리적인 측면을 동시에 접근하여 그들의 영과 혼을 함께 다루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향후 어린이의 영성상담을 필요로 하는 임상적 현장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현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 연구는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로 적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생활지도 역량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유의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이다. 연구 대상은 정연홍과 유형근(2016)의 TBI 검사 결과 심리적 소진이 T점수 55점 이상이면서 하위 영역 중 무능감 또는 좌절감이 T점수 55점 이상인 중등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10명은 실험집단으로, 1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참여 없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인간 대상 연구를 윤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한국교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KNUE-202207-SB-0257-01). 이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과정을 따랐다. 최종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소개 1회기, 학생 이해 역량 2회기, 학생 상담 역량 3회기, 학생 공감 역량 2회기, 학생 지도 역량 3회기, 프로그램 마무리 1회기의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최종 프로그램은 2022년 9월 13일부터 2022년 10월 18일까지 1주일에 2회기씩 줌(Zoom)을 통해 화상으로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사전·사후검사에 사용된 연구 도구는 강호관(2010)의 학생 생활지도 질문지를 토대로 지도교수 1인과 상담심리 박사 1인의 지도를 받아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생활지도 역량 척도이다.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는 SPSS/Windows 22.0의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양적 자료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질적 자료인 회기별로 집단원이 작성한 경험보고서와 집단 지도자의 관찰 내용을 함께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생활지도의 구성요소별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생활지도 역량의 변화는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생활지도 역량의 구성요소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 이해 역량을 제외한 학생 상담 역량, 학생 공감 역량, 학생 지도 역량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집단 지도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은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생활지도 역량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심리적으로 소진된 교사의 소진 정도를 완화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생활지도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호소하는 중등교사를 위한 개인 상담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보다 적절한 척도를 사용하여 생활지도 역량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참여 대상 교사를 중등교사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시 중등교사의 교직 발달단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이 프로그램은 화상 방식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대면 방식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대면 방식으로 운영할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메타버스 등 보다 더 효과적인 플랫폼이나 매체를 활용한 비대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소진,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지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소셜커뮤니티 및 역량강화연수에 참석한 전문상담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척도, 상담자 소진 척도,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 Scheffé검정, 독립표본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경력 단계 및 근무기관에 따라 직무환경 위험요소, 소진,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ANOVA)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한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경력 단계에 따라 직무환경 위험요소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소진과 하위요인 중 무능감,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하위요인 중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라 직무환경 위험요소, 소진,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직무환경 위험요소의 하위요인 중 부적절한 도전기회,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자기걸졍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절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경력 단계 중 저경력 단계를 제외한 중경력, 고경력 단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절효과가 있었고, 전문상담교사의 근무기관인 Wee 클래스, Wee 센터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 고등학생의 학교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만족도의 관계에서 내담자 기본심리욕구충족의 매개효과

        정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가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담자 기본심리욕구충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만족도, 내담자 기본심리욕구충족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만족도의 관계에서 내담자 기본심리욕구충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이 연구는 전북지역과 경기지역 16개교 고등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상담기대, 상담만족도,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Sobel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만족도, 내담자 기본심리욕구충족의 상관분석 결과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만족도, 내담자 기본심리욕구충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상담에 대한 기대가 상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내담자 기본심리욕구충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내담자 기본심리욕구충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상담에 대한 기대가 높지 않았더라도 상담과정에서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면 상담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상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상담과정에서 기본심리욕구충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상담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가스라이팅(gaslighting)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심리 상담 사례 연구

        최준민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가스라이팅(Gaslighting) 피해자의 심리적 요인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방안으로 심리 상담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사회적으로 가스라이팅의 심각성이 대두된 반면 국내에서 가스라이팅에 대한 선행 연구는 미흡했기 때문에, 가스라이팅 개념을 창시한 Stern(2008)의 개념을 통해 가스라이팅의 이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서적 학대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가스라이팅에 취약한 심리적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스라이팅에 취약한 심리적 원인으로 정서적 학대의 영향과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방안 중 심리 상담에 관한 연구로, 심리 상담 중 파악한 가스라이팅에 취약한 심리적 원인과 심리 상담 기법, 과정, 결과 등을 들여다볼 수 있는 질적 연구를 선택했다. 질적 연구 중에서도 복잡한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현상을 설명하기 적절한 사례연구방법을 통해(Yin, 2016), 피해자가 가스라이팅에 취약한 심리적 원인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심리 상담의 영향 및 과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설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Yin(2016)에 따르면 연구한 사례들이 연구 가설로 예측한 바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을 때, 초기에 설정한 연구 가설을 지지할 수 있는 반복연구의 논리를 따를 수 있다. 이처럼 반복연구의 논리를 따르기 위해 다중사례연구를 선택하였고, 가스라이팅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심리 상담 사례에서 심리적 원인, 과정 및 기법과 같은 구체적 내용을 도출할 수 있는 전문가의 시선이 필요함에 따라 상담심리사 7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 방식으로 인터뷰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가스라이팅 피해자를 내담자로 상담한 3년 이상 상담 경력 및 상담 관련 전공 학력이 박사 재학 이상인 7명의 상담심리사를 선정하였고, 인터뷰 내용은 Yin(2016)의 ‘설명하기’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 환경에서 정서적 학대의 경험은 가스라이팅에 취약한 심리적 요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스라이팅 피해자가 가스라이팅에 취약한 심리적 요인을 개선하는 데 심리 상담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해자를 수용하고 심리적 요인을 탐색한 후 심리적 요인을 개선하는 심리 상담 과정이 피해자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스라이팅으로 인해 고통 받은 내담자의 심리를 수용, 공감, 지지, 격려 등을 통해 해소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가스라이팅에 취약한 심리적 원인인 정서적 학대 경험에 대해 탐색하고 해소 및 파악함으로써, 내담자가 가스라이팅으로부터 취약한 심리적 인과성에 대해 자각한다. 마지막으로 자각을 기반으로 하여 가스라이팅으로부터 취약한 심리적 구조를 수정하고 건강한 심리 기반을 형성하여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곽주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는 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2개 반 중 1반은 실험집단(남 10명, 여 10명)으로, 자기결정성 사전검사 결과 동질성을 보이는 다른 1개 반을 통제집단(남 10명, 여 10명)으로 선정하였다.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2011)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총 11회기를 구안하여 주 2회씩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검사 도구는 이현주(2014)의 자기결정성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추후의 검사를 통해 자기결정성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Window 18.0에서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사용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검사 및 추후 검사에 있어 자기결정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자기결정성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각 영역별로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 연구되었던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주로 행복과 관련된 복합적인 개인의 정서적인 영역의 효과 연구에 반해, 본 연구는 학생의 자기결정성 측면만을 변인으로 삼고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자기결정성의 하위 영역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효과 검증을 통해 새롭게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보다 효과적인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한편,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타당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한 결과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모든 초등학생으로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장기적인 계획과 더불어 많은 연구 대상을 상대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단순한 플라시보 효과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 중 하나인 기본심리욕구이론만을 전제로 이루어졌으므로 그 밖의 자기결정성이론과 긍정심리학 요소를 접목시킨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상담 전공 특수대학원생의 학업 과정에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 내러티브 탐구

        계진 인하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전공 특수 대학원생이 학업 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변화를 전환학습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그 양상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으로 선택하고 상담사로의 수련과정을 병행하고 있는 두 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특수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으로 선택한 배경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오랜 시간 꾸준히 인간 마음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족으로 인한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찾고자 상담을 전공으로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업 과정에서 전환학습은 일직선상에서 순차적으로만 진행되지 않고, 비순차적이면서 순환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상담 전공 학업 과정을 통해 인지와 정서를 포함한 복합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세 단계의 양상을 거치면서 전환학습을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상담 전공 수업에 참여하기 전에는 몰랐던 내면의 상처나 자아상이 상담 전공 학업 과정을 통해 인식되면서 표면화 되어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 후 자신의 내면에 잠재되었던 자아를 알게 되면서 오는 혼란스러움, 갈등, 두려움 등을 겪으면서 점진적으로 수용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관점 변화와 확장을 통해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유대감이 깊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초기에 상담 전공 수업을 통해 자신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자아를 인식하게 되었고, 이러한 경험이 처음에는 혼란스러움과 갈등으로 나타났지만, 지속적인 성찰의 과정을 통해서 수용하는 것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이는 각자가 가진 관점의 변화를 가져왔고, 타인에 대한 이해와 유대감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전환학습을 통해 변화된 삶의 공통적인 모습은 ‘자신의 삶에 만족하면서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 이었다. 특히 긍정 정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관점 전환 전과 비교했을 때 확연히 달라진 정서적인 특징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관점 전환 전 삶의 과정에서 주로 부정 정서를 경험했던 것과는 달리 관점 전환 후 변화된 삶의 모습에서는 편안함과 만족감과 같은 긍정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면서 ‘즐거운 삶’ , ‘적극적인 삶’ , ‘의미 있는 삶’ 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논의는 크게 세가지가 있다. 첫째, 상담 전공 학업 과정에서 전환학습을 통한 변화는 궁극적으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험이 학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과정에서 자기 인식은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 성찰을 촉진하고 삶의 변화를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시사한다. 둘쨰, 상담 전공 학업 과정에서 경험한 전환학습의 핵심은 무의식에 있는 자아를 표면화하고 점진적으로 이를 수용하며 발달시켜가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동기 학생들과 상호작용 함으로써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고 각자의 다양한 관점을 나누어 보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관점 변화를 촉진 시켰다. 이러한 관계적 요소들은 전환학습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상담 전공 학업 과정은 전환학습의 모습으로 개인의 기존 관점을 보다 적응적인 방식으로 전환키면서 삶의 변화를 이끌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삶에서 긍정심리의 핵심 구성요소로 작용하여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환학습이론을 적용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은 개인의 긍정적인 심리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상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수대학원의 상담 전공 학업 과정을 전환학습의 렌즈를 이용하여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특수대학원에서의 상담 전공 학업과정을 탐색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그들의 학업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성인의 계속 교육을 위한 특수대학원의 상담전문가 양성과정에 긍정적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셋째, 개인적 삶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이후 자신의 삶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그 의미까지도 통합적이면서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내용은 특수대학원의 상담 교육자들에게 학업 과정에서 개인적, 전문가적 발달과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특수대학원에서의 전문상담자 양성 교육 현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안운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재적 동기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 내재적 동기는 서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는 매개효과를 갖는가? 이 연구는 전국단위 지역교육청 및 학교에 근무를 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Counselor Self-Efficacy Scale; CSES), 내재적 동기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18.0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 내재적 동기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은 더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교상담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심리적소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과, 이를 완충해줄 수 있는 내재적 동기의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논의되길 바라며,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연수를 활용하여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