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0년대 이후 한국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국민대, 서울대, 카이스트, 한기대, 홍익대를 중심으로

        원지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2000년대부터 한국의 디자인 관련 학과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 중 대학이 보유한 디자인 관련 학과 수가 가장 많다. 급격한 증가한 디자인 관련 학과 수와 함 께 대학교의 디자인 관련 재적학생 수 또한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 교육 의 중요성이 크게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에 도 불구하고 디자인 교육의 내용 미흡에 관한 평가는 계속 나오고 있다. 이러한 평가 와 함께 디자인 교육계에서는 각 학문 영역의 전문성을 유지하면서 세분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시도를 하고자 다학제 교육, 융복합 교육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 다. 그러나 다학제 교육은 원칙적으로 각 학문의 전문성을 살리면서 인접학문을 접목 시키는 것으로, 학문의 전문성이 우선적으로 기반이 되어야 하며, 산업디자인학은 과 학, 공학, 조형에술의 특성을 아우르고 있는 학문으로 이미 유기적으로 복합적인 학 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관련 전공 중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이 어떻게 구성되고 실시되고 있는지에 관한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의 수립과 진행을 체계적이 고 실증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산업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산업디자인의 정의와 산업디자인 전문성 요건을 살펴봄으로써 산업디자인학 교육 내용이 무엇을 고 려해야 하는지 파악한다. 둘째, 사례연구를 통해 각각의 국내외 대학이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에 어떠한 강조점을 두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각 대학이 추구하는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의 측면을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산업디 자인학 전공 교육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2000년대 이전의 산업디자인학 교육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0년대 이전 산업디자인학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 석한다. 넷째, 국내 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시초를 파악한 후, 한국의 산업디자인학 교육을 이끌어 온 4년제 대학 중 국민대학교,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한국기술교육대 학교, 홍익대학교를 조사한다. 다섯째, 조사대상 대학의 교과과정 분석을 진행한다. 시기별 교과과정 분석 기준은 시간 단위를 10년 주기로 하였다. 교과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교과목들을 특성별로 분류하고, 분류한 교과목들이 전체 교과과정 내에서 차지 하고 있는 비율을 바탕으로 한국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 를 살펴본다. 이후 교육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각 대학의 교과과정 변화와 그 이유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확인 절차를 모두 마친 교과과정 변화를 통해 한국 산업디자 인학 전공 교육 변화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 특성에 따른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조사대상 대학의 200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전체적인 교과목 분포를 보면, 일반 4 년제 대학은 제품, 공간, 운송기기를 디자인 주 대상물로, 카이스트, 한국기술교육대 학과같은 특수 목적 대학은 제품을 디자인 주 대상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사대상 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전공)가 어떠한 단과대학에 소속되어 있느냐에 따라서도 그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5개 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전공) 소속 단과대학은 각각 미술대학, 조형대학, 공과대학으로 분류되었다. 미술대학에 속 해 있는 산업디자인학과(전공)는 조형 언어 개발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여 창의적인 작가주의 성향의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었고, 조형대학에 속해 있 는 산업디자인학과(전공)의 산업적 응용에 초점을 맞춰 교육을 실시하여 기업의 산업 디자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재 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었고, 공과대학에 속해 있는 산업디자인학과(전공)는 공학 중심의 교육에 초점을 맞춰 교육을 실시하여 기술 에 대한 이해가 깊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었다. 이상 연구를 통해 국내 대학의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 변화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학의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 웨어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국내 대학의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 교과과정 에서 기초 디자인 관련 교과목이 감소하고 있다. 셋째, 국내 대학의 산업디자인학 전 공 교육은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교과과정 개편을 진행하고 있다. 넷 째, 국내 대학의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에는 인문학적인 관점의 교과목이 부족하다. 한국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에는 사회적 여건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과목 안에 서 디자인 주 대상물의 비중이나 새로운 교과목 개설 등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하지 만 많은 대학이 기존의 산업디자인학(전공) 교과과정과 균형을 이루며 전공교육의 중 심을 잡아가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점점 더 복잡해지는 사회 현상 속에서 현 대는 정보화 시대를 넘어서고 있고, 미래의 디자이너를 교육하고 양성하는 교육의 장 에서 변화하는 사회에 맞는 교육은 필요하지만 산업디자인학의 전문성은 계속 유지되 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앞으로도 산업디자인교육의 변화 과정과 변화 특성, 그리고 교 육기관별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분석, 평가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가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육의 전문화와 고도화 그리고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design-related departments in Korea has increased rapidly, with the largest number of departments being owned by universities.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design-related departments has resulted in a proportionate increase in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This indicate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ceptance of the importance of design education. Despite this, an apparent lack of content in design education continues to emerge as an issue. Along with this, the design education community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multidisciplinary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egmentation while maintaining expertise in each academic field. In principle, multidisciplinary education combines studies from adjacent disciplines while utilizing the expertise of each discipline. Industrial design is a discipline that encompasses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engineering, and art; it is an organically complex discipl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empirically study the establishment and progression of industrial design education programs with respect to their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design-related departments. In this study, first,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so as to define industrial design and examine the requirements for expertis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what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program. Second, through case studies, I examined what emphasis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have on education for those industrial design major. Through this, I analyzed the aspects of education considered by each university for students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Third, since this study targeted education in major courses in industrial design since the 2000s, studies o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efore the 2000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education before the 2000s. Fourth, after learning the origins of the departments of industrial design at domestic universities, I investigated Hongik University, KAIST, KMU, KOREATECH and SNU, the as four-year universities that have led Korea'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Fifth, I conducted a curriculum analysis of the universities surveyed. The curriculum analysis was done in periods of decades. The subjects in the curriculum were classified b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roportion of each subject within the curriculum, I examined what changes have been made in the education of the Korean students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Thereafter, I interviewed the education managers from each university to confirm any changes made in the curriculum and the reasons for these. Finally, through the alterations in the curriculum, I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education for those industrial design major in Korea and the direction which those changes were taking. Considering the overall distribution of subjects from the 2000s to the 2020s, it can be seen that non-specialized four-year universities teach products, spaces, and transportation as design targets, while special-purpose universities such as KAIST and KOREATECH teach products as design targ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of the university surveyed depended on the college it belonged to. The colleges to which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under the five above mentioned universities belonged to were classified into college of fine arts, design and engineering.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belonging to the college of fine arts aimed to cultivate creative artist-oriented designers by conducting formative language development-oriented education. The department belonging to the college of design set a goal to cultivate talent to meet the industrial design needs of companies by focusing on industrial application.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belonging to the college of engineering focused on engineering-oriented education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h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echnology and can utilize it. Through the abov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education in the major courses of industrial design at domestic universit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is changing from hardware-oriented to software-oriented. Second, basic design-related courses are decreasing in the curricula of industrial design majors at domestic universities. Third, major education is undergoing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Fourth, education lacks the humanities perspective.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education in industrial design in Korea, such as the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design subjects, and the opening of new courses according to social conditions and changes over time. However, it seems that many universities are trying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major education and the existing industrial design curriculum. Amid the increasingly complex social phenomenon,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nging society is needed; this should educate and nurture future designers while maintaining the expertise of industrial design. To this end, research should continue to identify, analyze, and evaluate the process of chang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the position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is contex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pecialization, advancement,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those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 대학 디자인학과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유승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51

        본 연구는 창업교육이 대학 디자인학과에 어떻게 추가될 수 있는지, 그리고 스타트업으로 성공하기 위한 지식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디자인 마인드로 자체제품을 디자인, 개발, 마케팅, 판매하는 스타트업의 육성을 포함하는 교육적 창업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업계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어려움이 줄었고 디지털시대에는 서로 다른 산업이 융합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아이디어와 행동을 할 수 있는 젊은 창업가가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대학생은 안정적인 직장과 많은 급여를 원하거나 창업에 대한 두려움과 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창업 후 취업을 선호한다. 그러나 디지털시대에서는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면서 만족스러운 일을 찾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특히 재택근무, 오프라인 활동 축소 등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 관련 산업 등 성장 잠재력을 경험하고 있는 산업에서는 더욱 그렇다. 결과적으로 성장을 경험할 수 있는 회사에서 자신의 가치관과 생활 방식에 맞는 일자리를 찾고 있는 경우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디자인 중심의 스타트업이 많이 생기고 있지만, 창업이나 창업교육의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는 대학교의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창업을 위한 준비사항과 창업 후, 경영에 필요한 지식을 학습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대학의 창업교육은 청년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대학교 내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창업, 경영을 위한 지식과 디자인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파악과 그 교육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창업의 정의, 창업교육의 과정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디자인 전공자들에게 적합한 창업교육을 설계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창업과 창업가 정신, 디자인 프로세스, 창업 프로세스, 대학의 창업교육과 디자인학과의 교육을 조사, 분석하였다. 기존에 경영 프로세스로 해결이 어려운 스타트업을 위해 등장한 프로세스가 린 스타트업으로 빠르게 최소의 기능을 가진 시제품을 만들고 그에 따른 시장반응을 확인하여 이를 수정, 개선하여 제품의 완성도와 시장의 만족도를 계속 높이는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린 스타트업은 디자인학과의 정규 수업에서 접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슷한 부분과 차이점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디자인학과의 정규 수업에서 습득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와 내용을 조사하였고 스타트업의 대표적인 프로세스인 린 스타트업과 애자일 개발, 신제품개발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5단계 창업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현재 창업교육은 교양과목 수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디자이너를 위한 창업교육은 많지 않고 이러한 교육 부족은 변화가 필요하다. 디자인학과의 수업내용과 창업에 필요한 요소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 현재 시장에서 제조업 기반의 창업환경이 디자인 전공자에게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린 스타트업 방식은 디자인학과의 학기 수업시간에 진행되는 아이디어를 내고 결과물을 만드는 방식과 유사하며 조사 대상 대학의 정규 수업을 보면 아이디어 창출을 돕는 수업, 3D 프린터와 스티로폼을 활용한 목업을 만드는 디자인 수업 등 스타트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 그에 반해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경영하기 위한 교육은 부족하여 아이디어나 최종 결과물만 가지고 창업하여 실패의 위험을 크게 가지고 사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디자인학과의 학생의 스타트업을 위한 창업 프로세스의 순서로 이야기하면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단계 중 첫 번째인 이해와 도출 때는 CEO의 역량은 무엇인지, 현재 업계에서 경쟁하고 있는 분야와 트렌드는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며 성공적인 창업이 될 수 있도록 기업가 정신에 대해 교육이 필요하다. 두 번째 단계인 검토에서는 트렌드와 사용자 분석, 기회 영역의 정의, 아이디어 개발이 필요하다. 세 번째 단계인 계획에서는 아이디어와 개념 개발에 중점을 두며 이를 이론과 실기 기술을 가르치는 디자인학과 수업을 통해 배울 수 있지만, 인증에 관한 내용은 추가 교육이 필요하다. 네 번째 단계는 상업화가 필요한 때로 디자인, 연구 개발 및 마케팅에 대한 학습이 포함되며 디자인 경영, 디자인마케팅, 디자인세미나 수업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식재산권인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학습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지식재산권을 검색하여 다른 사람이 이미 유사한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개발 여부와 이를 중심축으로 만들거나 개선 가능한지를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단계에서는 디자인 수업에서 사용되는 입체모형과 3D 렌더링을 사용하여 타 학과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작업이 가능하고 목업 제작을 통해 자신의 디자인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피벗이 유리하다. 마지막 창업 단계에서는 인적 자원, 무역, 투자 및 대출에 대해 배워야 하며 계약법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디자인전공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디자인 수업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능숙하지만, 자신이 만든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알리고 판매 채널을 확보하고 늘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은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교육이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디자인학과의 창업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로 창업을 위한 과목개발 및 프로세스를 위한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현재 디자인전공 학생들을 위한 창업교육이 부족한데, 디자인전공 학생들이 성공적인 기업가가 되도록 돕기 위한 변화를 위해 대학과 디자인학과에 맞는 체계적인 과목과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디자인학과 수업에서 필요한 창업 지식 및 기술을 도출하기 위하여 디자인학과의 수업과 청년창업사관학교의 수업을 비교, 분석하여 디자인 창업교육에 필요한 과목을 구성하고 이를 활용함으로 디자인 분야에 특화된 디자인학과의 창업교육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또, 디자인 프로세스와 경영 프로세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여 디자인학과 수업이 창업에 가장 적합한 부분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고, 이를 통해 창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교과목의 교육내용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디자인학과의 창업교육이 디자인 전공자의 스타트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으로 발전할 것을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how Startup education can be included in the university's Design Department and the types of knowledge required to succeed as a start-up. It aims to provide an educational Startup model that promotes start-ups that design, develop, market, and sell their products with a design mindset. Recently,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digital transformation has advanced rapidly across the sector, reducing the challenge of starting a business. In a digital age, different industries converge, and young entrepreneurs who may have other ideas and actions are desperately needed. However, many college students prefer a job after starting a business because they want a stable job and a large salary or fear of starting a business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it. However, in the digital age, there is clearly an increasing desire to find a satisfying job while using one's abilities. This is especially true in industries that are experiencing growth potential,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related industries, such as working from home and reducing offline activities. Consequently, more people are looking for jobs that reflect their values and their way of life in businesses where they can grow. As a result of this influence, many design-oriented start-ups are emerging, but in many cases there is no experience in Startup.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opportunities to learn the knowledge required for Startup preparation and post-Startup management in university design class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design for students, and to identify what education is needed for students, and that edu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looks at the definition of Startup design, the process, and the need for Startup education and offers a theoretical basis for designing Startup education suitable for design majors. For this purpose, the Startup and Startup mind, the design process, the Startup process, the teaching of university Startup, and the education of the Design Department are studied and analyzed. The process that has emerged for start-up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with the existing management process is Lean Start-up, which quickly creates a prototype with minimal functions to check the market response and corrects and improves in order to continue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product and satisfaction in the market. These Lean start-up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design process that can be met in regular classrooms in the Design Department. Therefore, the design process and contents that can be learned in regular classes of the Design Department were investigated, and lean start-up and agile development, which are representative processes of start-ups, were compared to confirm. Startup education is currently conducted similarly to cultural studies, but there needs to be more Startup education for designers, and this lack of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ourse content of the Design Department and the elements necessary for Startup, the manufacturing-based Startup environment in the current market is advantageous to design majors. For example, the Lean Start-up method is similar to the way of generating ideas and making results during classes in the Design Department. Also, the regular classes of the universities that have researched, some classes help create ideas, and design classes that make mock-ups using 3D printers and Styrofoam, which can be used in start-up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proceed with a high risk of failure by starting a business with only ideas or final results due to a lack of education for starting and managing a start-up. In terms of the start-up process for a student in the Design Department, the first step is to know what the CEO's capabilities are and the fields and trends currently competing in the industry, as well as the entrepreneurial mind education for successful start-ups. The second step, validity verification, requires analyzing trends and users, defining areas of opportunity, and developing ideas. The third stage, the business development plan, focuses on developing ideas and concepts. They can be learned through classes at the Design Department that teach theory and practical skills, but additional training is required for certification. In the fourth stage, commercialization is required, including studying design, research development, and marketing which can be learned through design management, design marketing, and design seminar classes. However, as there are various kind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 rights, utility model rights, design rights and trademark right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learning more about them. This will assist in researching intellectual property to see if others have already developed similar technologies or ideas and if they can be made essential or improved. At this stage, it is advantageous to pivot using three-dimensional models and 3D renderings used in design classes because they can work relatively quickly than students in other departments and check their design results through mock-up production. In the final stage of Startup, human resources, trade, investment, and lending are required to learn and should also be familiar with contract law. The students in Design major are generally skillful at creating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design classes but often have difficulties in promoting their products or services to consumers and securing and increasing sales channels. This education is essential for successful Startup.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follow-up research for course development and process for Startup as a study on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in the Design Department. As there is a lack of Startup education for design major students, systematic courses and curriculums suitable for the universities and Design Departments are required to change to have successful Startup for the students in design major. In order to derive the Startup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in the Design Department classes, the Design Department classes and the Youth Startup Academy classes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organize and utilize the contents necessary for design Startup education, thereby providing Startup education in the Design Department specialized in the field of desig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starting a business is checked by looking in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esign process and the management process and finding the most suitable part for starting a business for graduates of the Design Department. However, for a successful start-up, it is also essential to develop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various subjects for start-up are necessar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Startup education of the Design Department to develop effectively, and the Startup education of the Design Department will develop into an education that can help start-ups for design majors.

      • 중국과 한국의 대학교 산업디자인 교육과정 비교 연구

        황찬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35

        The investigator who is a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 in Korea studied industry design in a Chinese university and is keeping it on during the process as a graduate student in Korea.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China's  educational process of industry design with Korean, and bring forward new methods for China's design education process. In the national and overseas market of Korea, the competitive power of a product does not only depend on production technological capacity. As the product design more and more controlling the competitive power of product, for enterprises, the product design has become the most dominant method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of product. Under the economic system of contemporary capitalism, much results have been made from the ideas of dominance in design, which are affected by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much attentions have been put into the design related revival policy. The design education of Korea University is trying to make an effort to be adapted to the changing market through the renovations in educational process. China is comparatively  slower in this aspect than other countries.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policies was put in practice in 1979, the organizing of design subject has started to be booming.In interim period of 1980s, only 20 universities possessed design education system. Later on, as many universities owning single major carried out recombine and made up university scale, most of universities has offered design subject, the number of which has been up to 400 by 2002. However, because of the remains of old customs and habits, some aspects of the design education were pointed out to be improper and needed innovating.  In China, industry design still belongs to new-style scale; many aspects need to refer to overseas advanced education concept and system.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industry design between China and Korea is a method to solve such problems. The comparison and understanding of training process indicate its importance in side face in the two countie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the exchange of industry desig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who intend to study abroad for the education process. Certainly, the purpose to improve Chinese industry design education demands a settlement for the existing problems of Chinese industry design. Some of the problems were raised by Chinese conditional habits, but current internationalized age needs many cases related to design education, they can obtain answers from the existing circumstances of Korean design education. The direction of Chinese design education that the investigator obtained from her research is art educational process approach in design education, and become five issues such as the digitalization of modernization-era concept, the importance of industrial-academia collaboration,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specialization and creativeness act. 한국은 국내외 시장에서 상품의 경쟁력이 생산기술력 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의해 좌우되는 현상이 짙어지면서, 기업에 있어서 산업디자인은 이제 가장 강력한 상품경쟁력 증진수단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현대자본주의 경제체제 하에서 국가경제에까지 깊이 연관되어있는 디자인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해 통상산업부 주관 하에 디자인 진흥책을 내놓는 등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한국 대학교의 디자인교육도 여러 번의 교육과정의 혁신을 통해서 사회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중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늦은 1979년 개혁개방 정책 이후, 디자인학과의 설립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 중반까지는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가진 대학교는 20개 대학교에 지나지 않았지만, 수많은 단일 전공의 기술대학교가 대학교로 재구성되면서 대부분이 디자인학과를 개설하여 2002년에는 약 400여개 대학교로 늘어났다. 그러나 한편으로 과거의 유산들과 관습들이 유지되면서 현대적 디자인 교육에 불합리한 요소들에 대한 혁신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부분도 있다. 중국에서 산업디자인은 아직 신흥분야로 많은 부문에서 국외의 선진적인 교육의 이념과 교육의 체계를 참고로 해야 된다고 생각하며, 중국과 한국의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의 비교분석은 중국의 디자인 교육문제의 해결책을 구하는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양국의 교육과정의 비교와 이해를 통해서 두 나라의 산업디자인 교육의 이해의 증진, 산업디자인 교육의 교환, 유학중인 학생들과 유학을 준비 중인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명료한 이해 등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이 목적으로 하는 중국 산업디자인 교육의 개선은 물론 현재 중국 산업디자인이 안고 있는 문제의 해결 조건 위에서 전제되어진다. 연구자가 한국과 중국의 디자인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구한 중국 디자인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은 교육과정의 개편, 교육과정의 구체성, 미술기초과목의 개선, 디자인기초과목의 개선, 기술과정의 개선, 디자인 표준과정의 정립, 과정간의 긴밀한 연계강화를 통한 개선, 디자인 전공과정의 개선 등을 학습자 입장에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내용의 조정과 배치의 최적화, 기업과 관련되는 과정의 강화, 디지털 교육과정의 강화, 교육과정의 국제화, 특성화와 창조성 배양의 교육과정 등을 보다 발전적인 중국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하여 제시하였다.

      • 도심형 해양레저스포츠의 특징적요소와 기능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이해구 한양대학교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19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총 연장길이 2,413㎞의 해안선을 갖고 있어 해양산업 개발에 지리적으로 좋은 조건을 갖고 있다. 주변국의 지리적 여건으로 해양레저산업에 일찌감치 발을 들여놓은 일본과 거대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과 접하고 있어 해양 관련 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2013년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해양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해양수산부를 부활시키고, 인천시, 부산시, 여수시를 중심으로 해양관련 산업을 일으키기 위한 기반을 만들고 있다. 부산은 2009년 부산디자인센터를 중심으로 “동남권 디자인거점센터운영 기본계획연구”, “동남권 디자인기반 해양산업 수요조사”등의 연구를 기반으로 도시와 해양을 기초로 산·학·연 네트워킹을 통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부활로 마리나·해양레저스포츠산업이 5대 국정 과정 중에 포함이 되었다. 그리고 지역별 특성을 살린 국제적인 마리나 시설을 확충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크루즈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안도 마련하였다. 거창한 확충과 육성방안에도 불구하고 해양레저스포츠 이용의 활성화는 실제적으로 기대와 부흥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레저와 스포츠 이용 인구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부족함에서 오는 영향이다. 해양레저스포츠 산업은 자동차와 같은 복합 산업 구조의 특성을 갖고 있다. 해양레저스포츠 활성화와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문화적, 지역적인 특성을 면밀히 연구하고, 연구 초기부터 디자인이 공동으로 참여되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해양레저스포츠산업이 보는 레저에서 즐기는 레저로 변화가 됨에 따라 해양 산업의 특징적 요소를 연구하고, 다양한 이용자가 즐길 수 있는 해양레저스포츠 환경의 기능성 향상에 있어 디자인적인 개선방향을 구축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도심형 해양레저스포츠의 정의와 특징적 요소, 해양레저스포츠의 편의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 대한 면밀히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양레저스포츠를 대중에게 교육하고 실시하고 있는 동남권 지역의 해양레저스포츠센터와 마리나 시설을 중심으로 이용자 분석이 실시되었다. 전문가에게 면접조사를 통하여 이용자의 구분과 동선을 파악하고 특성을 구분하였다. 해양레저스포츠의 이용활성화를 위해 일반인이 전문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고령자,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가 일반인 수준으로 이용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이용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AHP법을 이용하여 이용자 측면의 단계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양레저스포츠 이용자가 체험하기위한 동선은 대중교통에서 시설까지, 시설내부, 시설내부에서 체험 장비까지로 구분되었다. 이 구분으로 접근편의성, 시설편의성, 체험편의성의 이용자 중요도 분석을 하고, 정확한 연구의 결과를 위해 동남권을 중심으로 해양레저스포츠센터와 마리나 시설의 현장검증을 실시하였다. 위의 이론적 고찰, 이용자의 중요도분석, 현장의 검증 평가를 통하여 얻어진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를 종합하여 디자인 관점에서의 문제점 도출과 이를 해결하기위한 필요 요소를 찾아보고 선진사례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점(点)적인 연구에서 선(線)과 면(面)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용자의 해양레저스포츠 편의 환경을 이해하고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산업디자인 서비스 품질 수준 분류에 관한 연구 : 유‧무형 융합 상품 디자인개발 단계별 산업디자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송경곤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Recently, the keyword of 'design' was always at the center of the cases of global companies of various countries to come to secure worldwide competitiveness through innovation. The case of Sony and Samsung of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nd the leap of Apple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back up this. The companies of various countries rushed to unsparingly invest in order to joint the rank of innovation with design management as the motto as if they reflect this trend, but, the results were not extraordinary. HP is reviewing the sale of their PC business, and Motorola that made the myth of STARTEC and LAZOR was finally merged to Google equipped with 'servic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trend of industry has moved from design to service, but, the true natures of the two concepts, 'design' and 'service', are basically the same. The meaning has evolved from the 'design' of the past that is devoted to the aesthetic functions and thereby sympathizes with the sensitivity of customers to the well-planned and formless 'design' that more centers on users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user experience. In addition, today this meaning is called 'service'. The meaning of design has changed following the flow of the times and has reached the present, and thus John Heskett defines the concept of design like this. "Design is to Design a Design to Produce a Design." Like this, today the concept of the meaning of design is extended and is being used on all sides of industry, and this is also contrary evidence that the importance of the meaning of design is still effective in every field of industry. Still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role of design is functioning as a core element in the survival strategy of companies and is also a reason why many companies cannot exclude design from their main management strategi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 Korea, which is a traditional manufacture strong power, a number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but lack the recognition about what design is needed currently and in which direction the development of design should be set. Due to this, designers or design companies have difficulties to provide accurate solutions when developing design, and even if they have developed an innovative service, frequently they fail to grasp the pertinent service value or consistently show reflective rejection symptoms to change.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a road map for product development to move forward in the right direction by defining the range and contents of design service provided by industrial design in each stage of process to develop material and immaterial product or service. In order to define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at can be the basis of study,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techniques of modern industry were studied centering on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Six Sigma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of the Internet D/B at home and abroad, related books, papers and so on, and the detailed execution matters of each technique were reshaped so that they will fit the product development 3-stage process(planning-development-distribution/sales). At the same time, the changes and contents of design following the industrial flow were considered and the value of design needed by the modern society was drawn and thereby the role of design in the detailed execution matters of each product development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at, the concept of 'creativity' was established as a core element classifying the levels of design following the pertinent stage, and the element in which the classified design levels should be provided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industrial design service for each level developed like this can realize the service quality which is always consistent and enable an accurate design diagnosis for various situations. In addition, a standardized design service helps quantitative pricing, and this will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design service due to the measured project price always for the design developer and become a basis for design clients to experience more diverse service provision. Moreover, it is expected it will ultimately form a healthy and developed design market and thereby function as a change for the design competitiveness of Korea where sufficient manpower security for design-related industries is arranged to be further strengthened. 최근 국내외 각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 사례의 중심엔 항상 ‘디자인’이라는 키워드가 있었다. 20세기말 소니와 삼성의 사례, 그리고 21세기초 애플의 도약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이라도 하듯 각국의 기업들이 앞 다투어 디자인 경영을 모토로 혁신의 반열에 동참하기위해 아낌없는 투자를 실행하였으나 그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HP는 PC사업 매각을 검토중에 있고, STARTEC과 RAZR신화를 이룬 모토로라는 결국 ‘서비스’로 무장한 구글에 합병되었다. 산업의 트렌드가 디자인에서 서비스로 이동했다고 평가할 수 있겠으나 ‘디자인’과 ‘서비스’ 이 두 개념의 본질은 기본적으로 같다고 볼 수 있다. 과거 심미적 기능에 충실하여 고객의 감성과 공감하는 ‘디자인’에서 보다 사용자 중심적이고, 사용자 경험을 중시하는 잘 계획된 무형의 ‘디자인’으로 뜻이 진화한 것이다. 그리고 이 의미를 오늘날엔 ‘서비스’라고 부른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디자인의 의미도 변화되어 현재에 이르러서 John Heskett은 디자인의 개념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Design is to Design a Design to Produce a Design. (디자인이란 디자인을 만드는 디자인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렇듯 오늘날 디자인이라는 의미는 그 개념이 확장되어 산업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역시 산업 각계에서 디자인의 의미가 갖는 중요성이 아직 유효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아직까지도 현대 산업사회에서 디자인의 역할은 기업의 생존전략에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수많은 기업들이 주요 경영전략에서 디자인을 배재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전통적 제조 강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수의 중소 제조업체들이 디자인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어떤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디자인 개발을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디자이너 혹은 디자인 제공업체에서 디자인 개발 시 정확한 솔루션을 제공하기가 어렵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하더라도, 해당 서비스 가치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변화에 대한 반사적인 거부반응으로 일관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 ․ 무형의 상품 혹은 서비스를 개발하는 프로세스 각 단계에 산업디자인이 제공하는 디자인 서비스에 대한 범위와 내용을 정의하여 상품개발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Road Map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통적인 상품개발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해 국내외 정보 D/B와 논문, 관련서적을 통한 문헌조사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온 신제품개발(NPD : New Product Development) 프로세스와 신 서비스개발(NSD : New Service Development)의 주요 실행사항과 유형별 상품개발 프로세스등을 바탕으로 유․무형 융합 상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의 3단계를 정의하였다. 정의된 상품개발 프로세스 단계별 실행사항에서 산업디자인이 제공할 수 있는 범위와 내용을 설정하고, 디자인 수준(LEVEL)을 구분하는 핵심요소를 정의한다. 구분된 디자인 수준에 해당되는 산업디자인의 영역과 개발내용을 정량화 하여 차후 제공될 디자인 서비스 상품의 역할과 의미를 연구하였다. 연구된 수준별 산업디자인 서비스는 항상 일관된 서비스 품질을 실현해주고, 상품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정확한 디자인 진단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표준화된 디자인 서비스는 정량적인 가격책정에 도움이 되며 이는 디자인 개발자에겐 항상 저 측정된 프로젝트 가격으로 인한 디자인 서비스 품질저하를 예방하고, 디자인 의뢰자에겐 보다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경험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건강하고 발전된 디자인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디자인관련 산업에 충분한 인력확보가 마련된 우리나라의 디자인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는 계기로 작용되리라 기대해 본다.

      • 중국 노후 산업건축물의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 방법 도출에 관한 연구

        임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건축물의 생산, 사용, 철거는 많은 에너지를 소모되어 도시 환경에 큰 오염을 초래한다. 최근 몇 년간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지속적인 도시 지역 확장으로 인하여 철거와 재생 방법은 막대한 자원 낭비를 심해졌고, 도시 환경의 악화로 직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노후 산업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미래도시 노후 산업건축물의 주요 발전목표가 될 것이다. 노후 산업건축물의 지속가능한 이용은 생태계의 위기를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역사문화유산과 환경생태에도 기여할 것이고 보호가 개선의 역할도 한다. 노후 산업건축물의 재생은 건축물의 수명주기를 연장하고 효과적인 사용연한 중에 이를 기능적으로 대체해 다시 활기를 되찾고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것이다. 이는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자원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건축물이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나아가는 좋은 출발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5장으로 구성되어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한 기술 하였다.도시 경제 발전의 변혁과 함께 산업지역이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그에 유휴 노후 산업건축물이 많이 생겨났다. 이 건축물들은 도시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축물들이 많이 있다. 만약 건축물이 대량으로 철거된다면, 그것은 환경오염을 야기 시킬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역사적, 문화적 발전도 파괴할 것이다. 노후 건축물들을 어떻게 활용하여 다시 사람들에게 나은 서비스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다. 대형 노후 산업건축물에 적합한 공간재생 설계방법을 도출하여 실용화 사업에 합리적으로 활용, 노후 산업건축물이 되살아나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역사문화적 가치를 포함한 유휴 노후 산업 건축물과 일반 노후 산업건축물로 본 연구의 범위에 속한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이다. 노후 산업건축물과 산업유산, 건축공간, 재생설계,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을 포함한 연구내용의 개념을 기술하였다. 이론 고찰과 학술 저작의 연구, 분석 및 요약 등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설계 이론과 노후 산업건축물의 재생 설계 개념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다음 장의 사례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3장은 우수 노후 산업건축물의 공간재생 설계사례에 대한 구체적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실무 프로젝트의 소중한 경험을 학습하고 사례 분석에 통하여 공간디자인의 원칙과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하여 역사적 감정의 가치, 공간적 가치, 사회 경제적 가치, 예술적 미학, 환경 생태적 가치 등 지속가능한 노후 산업건축물의 가치를 도출하였다. 노후 산업 건축물의 공간 특성과 재생 장점을 정리한 후 노후 산업건축물 공간의 재생 디자인 원칙과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추론한다. 재생 디자인은 디자인 원칙 준수를 전제로, 건축물의 구조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공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다. 공간 형태, 기능, 효율화, 분위기 등 여러 측면에서 재생 디자인 방법을 종합적으로 요약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원칙 4가지와 공간디자인 요소 4가지를 도출하였다. 제4장은 디자인 방법을 실천적으로 검증하고 선양시 철시구의 노후 산업건축물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활용하여 공간 재생 디자인, 완료된 재생 프로젝트에 대한 현장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SPSS를 이용하여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현재 실무 프로젝트에서 어떤 문제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문제를 찾고 문제를 해결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 전략을 제안하였고, 제3장에서 도출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원식 4가지와 공간디자인 요소 4가지의 리스트를 검증하였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연구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제시되고 있으며,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노후 산업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공간디자인의 향후 발전 방향이 기대될 것이다. The production, use and dismantling of buildings will consume a lot of energy and cause great pollution to the urban environment. In recent year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and the continuous expansion of urban areas, demolition and regeneration methods have exacerbated a huge waste of resources, directly lea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urban environmen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old industrial buildings proposed in this research will become the main development goal of old industrial buildings in cities in the future. The sustainable use of old industrial buildings can not only alleviate the ecological crisis, but also contribute to the city's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environmental ecology, and play a role in improving the protection price. The regeneration of old industrial buildings is to extend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replace it functionally in the effective service life, regain vitality, and serve people. This is an effective way to effectively alleviat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duce resource consumption, and it is also a good start for the building's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5 chapters, the specific content is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necessity,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With the transformation of urban economic development, the industrial area began to decline, resulting in a large number of idle and old industrial buildings. These buildings occupy the center of the city, and there are many important buildings in history. If a large number of buildings are demolished, it will not onl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but also destroy the history and cultural development of the city. How to use old buildings to serve people again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urgentl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find a space regeneration design method suitable for large-scale old industrial buildings, and to apply them reasonably to practical business, so that the old industrial buildings can be revived and regenerated. The research objects are idle old industrial buildings and general old industrial buildings including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which belong to the scope of research. The second chapter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describes the concepts of research content including old industrial buildings and industrial heritage, architectural space, regeneration desig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s.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research, analysis and abstracts of academic works, in-depth study of sustainable design theory and old industrial building regeneration design concepts have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ase analysis of the next chapter. The third chapter analyzes specific examples of space regeneration design of excellent old industrial buildings, learns the valuable experience of practical projects, and draws the principles and design methods of space design through case analysis. Through case analysis, the value of sustainable old industrial buildings such as historical sentiment value, space value, socio-economic value, artistic aesthetic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value, etc. are obtained. After sorting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egeneration advantages of the old industrial buildings, then infer the regeneration design principles and specific design methods of the old industrial building spaces. The regeneration design is based on abiding by the design principles, starting from the building structure and based on a variety of spatial characteristics. Comprehensively summarized the regeneration design method from the spatial form, function, efficiency, atmosphere and other aspects. Through these methods, 4 principles of sustainable design and 4 elements of space design are put forward. Chapter 4 uses SPSS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that is, to verify the design method in practice, select the old industrial buildings in the iron city of Shenyang City, and use specific design methods to conduct on-site surveys on the space regeneration design and completed regeneration projects. Questionnaire. Investigate the problems in the current work project, put forward the problem-finding, problem-solv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and verify the four original sustainable design formulas and the four spatial design elements list proposed in Chapter 3. A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Chapter 5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as a whole, and puts forward the enlightenment and hints of the research, and draws a verification list from this,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ustainable space design of old industrial buildings.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전지역 디자인 전문인력 수요 전망과 재교육 연구

        김정아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Daejeon Metropolitan city made a public announcement of the city vision, 'Daejeon, the special cit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ity is focusing on its development.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a city concentrated with scientific infrastructure and technical capability which is an optimal plac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mportance of 'soft-power' has been in a spotligh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omestic design industry is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core importance for soft-power. For though domestic design competitiveness is in at an internationally high level, cities are not properly respon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situation, training and empowerment for professions with expertise and skills for active response to this revolution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current empowerment of design specialists and outlook of the demand in Daejeon as well as problems in the actual condition of reeducation provided by design companies and improvement plans. Also, the study includes a theoretical review as well as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a current situation of design companies in Daejeon and Chungchung areas for suggesting improvement plans for design specialist reeducation in Daejeon areas. Furthermore,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on design specialist labor demand and actual condition of reeducation in Daejeon was conducted and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used to discuss improvement plans for training professional design manpower and re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development plans for strengthening capability of design specialists in Daejeon as follows. First, the demand by each field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field of design industr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ment of field in digital/multimedia design, service/experience design, and design-infra (design-based technology) is required. Thus, improvement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existing fields and development of design convergence fields are suggested for the plan. Second, the demand by manpower structure and development plan. Daejeon needs staffing of manpower at a beginning level and specialization and advancement of middle- and high-quality manpower as well as the educational plans separated from each field, position, and level of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a plan for training professional designers who is capable of convergent thinking and strengthening capabilities of existing fields and another plan for creating design-led new business with education focusing on understanding of different fields. Third, the demand of new design business and development plans for it. Daejeon is focusing on new industrial busines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requires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fields. For this reason, it is significant to train design convergence experts and develop design-led business. Fourthly, the study presents the demand of design re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it. Current professional design companies' reeducation gives unbalanced attention to strengthening fundamental empowerment and they hardly provide reeducation for middle and high-quality manpow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mportant to provide reeducation for each position and the study suggests a plan to properly arrange basic and convergence capacity according to position for designing capacity training, creativity/business capacity education, convergence and other trainings. Fifth one is regulatory support. Regulatory support is required for better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reeducation. Colleges ne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stablishing convergence design department and professional school, diversification in majors through integrated departments and interdisciplinary program, expansion of master's and doctor's degree, and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 and contract-based department. Industries need to develop in-house training program, train and utilize specialists in reeducation, and expand support for training designers. Research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conduct studies on convergence design technology, 3D printing technology, CMF (Color, Material, Finishing), and many others and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developing design industry and issuing support ordinance, systematic support through hiring professional manpower, financial and labor support for reeduca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by utilizing RDC (Regional Design Center).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ose plans in the future so that the plans are actually applied by consistent improvement in reeducation and training people for professional designers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capability of professions in Daejeon and utilization of the labor and the city's succes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enhancing design power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대전광역시는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을 비전으로 선포하여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과학 인프라와 기술 역량이 집적된 도시로 4차 산업혁명의 최적지이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소프트파워’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국내 디자인산업은 소프트파워의 핵심으로써 그 중요성과 역할이 강조된다. 그러나 국내 디자인경쟁력이 세계적 수준인 데에 비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자인산업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인력의 양성 및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현황과 수요 전망, 디자인 전문회사의 재교육 실태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재교육 개선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와 대전ㆍ충청지역의 디자인 전문회사 현황을 조사ㆍ분석하였다. 또한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수요 전망과 재교육 실태에 대하여 설문을 중심으로 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결과를 종합하여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 개선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분야별 수요 및 개선안이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디자인산업의 분야로써 디지털/멀티미디어 디자인, 서비스/경험디자인, 디자인인프라(디자인기반기술) 분야의 발전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기존 분야의 산업경쟁력 강화와 디자인 융합 관련분야 발전의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력구조별 수요 및 개선안이다. 대전지역은 초급인력의 확보와 중ㆍ고급인력의 전문화 및 고급화가 필요하며, 영역별, 직급별, 학력별로 분리된 교육방안이 필요하다. 크게 기존 분야의 역량 강화 및 융합적 사고가 가능한 전문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방안과 타분야의 기술이해 중심 교육으로 디자인 주도형 신비즈니스를 창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디자인 신산업 관련 수요 및 개선안이다. 대전지역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신산업 비즈니스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분야와의 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디자인 융합전문가의 양성과 디자인 주도형 비즈니스 개발이 중요하다. 넷째, 디자인 재교육 수요 및 개선안이다. 현재 디자인 전문회사의 재교육은 기본 역량 강화에 치우쳐있는 실정이며 중ㆍ고급인력에 대한 재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직급별 재교육이 중요하며, 디자이닝 역량 교육, 창의ㆍ비즈니스 역량 교육, 융합 및 기타 교육에 기본역량과 융합 역량을 직급에 따라 적절하게 배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제도적인 지원이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문인력의 원활한 양성 및 재교육을 위해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융합디자인학과와 전문대학원 설립, 융합학과 및 연계전공을 통한 전공 다변화, 석ㆍ박사과정의 확대,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계약학과의 설치 등, 산업체에서는 사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재교육 전문가 양성 및 활용, 디자이너 교육 지원의 확대 등, 연구소에서는 융합디자인 기술 연구, 3D프린팅 기술 연구, CMF(Color, Material, Finishing) 연구 등, 지자체에서는 디자인산업 육성 및 조례 제정, 전문인력 채용을 통한 체계적 지원, 재교육을 위한 예산 및 인력 지원, RDC(Regional Design Center)를 활용한 전문교육의 실시 등과 같은 산학연관의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향후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실제 적용 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할 것이며, 본 연구가 대전지역의 디자인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와 활용도에 기여함과, 대전광역시의 디자인파워 증진으로 4차 산업혁명 특별시의 성공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국의 자동차디자인 Identity 확보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자동차디자인 중심으로

        정방여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It has been a century since the automobiles came into the world. Meanwhile the automobile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the types of automobile have increased and the class of quality is getting higher than before in the modern society. The special differentiated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among world brand products. The sales volume of Chinese automobile in 2006 was more than 7 millions, which makes China the third biggest car-producing country and exceeded Germany. It shows that China’s economy has been developing constantly and that China is getting globalized gradually. However, China must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in the big international stage. There must be some Chinese style factors in the design of automobiles too. In the design of automobile, the pursuit of good form design can meet consumers’ demand for the price of the products and the cultural spirits. In addition, we can make sure that special Chin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applied in the automobile design. The Chinese characteristics have crucial meanings in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industry.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history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the marketing research of brand of the main automobile design. Based on all these, the study on the direction of Chinese automobile designed will be carried on. First of all,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hinese automobile industry,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automobile market will be studied. Secondly,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ill be figured out. Thirdly, the automobile companies in Europe, USA, Japan, Korea and China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Fourthly,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automobile design and the problems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will be investigated. With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Chinese automobile design in the form and color will be integrated. The Chinese factors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automobile industry.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should have Chinese factors in the design and technique aspects so that it can has its own vitality and brand and can receive much recognition in the global automobile market. 자동차가 탄생한지 100년이 되었다. 그 동안 자동차 산업은 많은 발전을 가해왔다. 경제가 끊임없이 발전함에 따라 현대사회에는 자동차 종류가 더욱 더 많아지고 자동차 디자인 품격도 높아졌다. 세계 명품 자동차브랜드 간에 명확히 차별화된 특별한 전략으로 발전해 왔다. 2006년 중국자동차 생산 판매량이 700만대를 넘었다. 이는 독일을 추월하여 세계 3대 자동차 생산국가로 되었다. 이것은 중국 경제가 끊임없이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으며 중국은 천천히 국제화에 들어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필히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특색으로 국제무대에 서야 한다. 자동차 디자인 발전 중에서 이러한 중국적 특색은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자동차 디자인 중 좋은 형태 설계를 추구하는 것은 소비자의 제품가격과 문화정신 수요성에 만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품의 예술성에서 중국 자동차의 디자인이 특수한 중국적 특색을 응용하였다는 것을 확실히 보증하여야 한다. 중국적 특색은 중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결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3가지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현황 발전사, 중국 문화의 이해, 주요 자동차 디자인의 브랜드 시장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 자동차 디자인의 방향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첫째, 중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를 이해하고 중국 자동차 시장의 현황에 대 하여 연구되었고, 둘째, 중국 전통 문화와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으며, 셋째, 유럽, 미국, 일본, 한국, 중국 의 자동차 회사들을 비교, 분석 하였다. 넷째, 중국 자동차 디자인의 현 상태와 현재 중국 자동차 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중국 자동차의 디자인에서 형태, 색상 방면의 발전 방향을 종합하였다. 중국의 요소는 중국 자동차가 산업의 발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디자인과 기술적은 방면에서 반드시 중국만의 요소를 부가하여야만 생명력을 갖게 될 것이고 중국만의 브랜드를 갖고 있어야 세계자동차 시장에서 인정을 받을 수 있다.

      • 팬시산업을 위한 캐릭터의 조형디자인 연구 : 형태,색채 중심으로

        장수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오늘날 우리는 이전의 어느 때보다 많은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으며 의식주의 기본문제를 해결한 사람들은 그 동안 갖지 못한 문화적 생활에 접근하며 삶에 질을 향상해 가고 있다. 캐릭터 산업은 문화산업이자 감성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문화상품인 캐릭터와 알게 모르게 인연을 맺으며 살아가고, 부가가치가 높은 문화상품의 시장은 캐릭터 디자인이 좌우하게 되어있다. 캐릭터 산업은 소비자의 시각적 변화와 욕구를 만족시키기에 적절하며, 권위적인 시각적 요소가 아닌, 변화되고 소프트한 시각적 자극을 필요로 캐릭터 특유의 소프트한 이미지를 선명히 부각시킨다는 특징이 있어 현대사회에서 대중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매체로 인식된다. 팬시산업에 있어서의 캐릭터는 제품에 확실한 개성과 이미지를 만들어 주며 그것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구매가 이루어지므로,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소비자의 다양한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탄생된 팬시 제품들은 스스로 생명력을 지니며 그것을 사용함으로써 단순한 욕구 충족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 자신의 취향이나 특정 사회계층의 문화패턴의 변화로까지 이어지게 하여,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캐릭터 "미키마우스"는 우리와 정서가 참으로 다른 미국적인 캐릭터로 고유한 칼라인 빨강, 검정, 흰색은 성조기를 생각하게 하고 미키마우스의 꿈과 철학과 유머는 미국인들의 생각과 삶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아시아는 물론 미국에서도 명성을 갖게 된 일본의 "헬로 키티"는 그 형태나 칼라가 지극히 일본을 대표하고 있다. 이 두 가지 캐릭터가 범세계적으로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자국의 문화를 갖고 있으면서 예쁘고, 귀엽고, 재미있고, 사랑스러운 세계 공통의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언어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80년대 초 국내 팬시산업은 일본이나 미국의 만화영화 주인공을 이용한 제품의 판매쯤으로 위기에 처해있었으나 현재에는 우리나라 캐릭터들이 과거와는 달리 조금씩 자국의 문화와 이미지를 갖게 되었으며, 색채와 형태 면에서 차별화 되면서 발전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정형화된 형태와 이미지는 계속 연구해야 하며 배워야 한다. 이제 우리나라 팬시산업에 있어 캐릭터들은 더 이상 모방이 아닌 자국의 형태와 색채를 갖으며 그 맥을 이어나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