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顧客滿足經營을 통한 가스産業의 持續可能한 成長方案에 관한 硏究

        박기동 韓國産業技術大學校 産業技術·經營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가스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고객만족경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도시가스 산업은 그간 독점적 시장환경 하에서 공급자 중심의 경영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서비스 산업의 발달과 경쟁의 가속화로 고객의 요구수준이 다양해지고 높아졌으며, 정부의 가스산업구조개편 추진 등 경쟁체제 방향과 타 에너지간 경쟁체제 돌입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고객만족경영은 기업의 단ㆍ중장기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하는 최고의 경영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내외 환경변화와 고객요구품질로부터 제도적 개선측면, 기술적 개선측면, 서비스 개선측면 등 3개 분야의 고객만족경영 개선방향을 도출하였으며,고객만족경영 현황파악 및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가스 소비자의 권익보호와 도시가스사업자간, 그리고 다원화되는 에너지 사업자간 경쟁환경에서 도시가스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방안을 다음과 같이 5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품질의 천연가스가 수입ㆍ생산에 따른 사고예방 및 소비자의 경제적 손실초래 방지를 위한 도시가스 품질관리 시스템 확립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근원적으로 고객만족 서비스를 제고시키고 궁극적으로 에너지 사업자간 경쟁환경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소매부문에 대한 설비공동이용제도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가스요금 미납에 따른 불합리한 가산금 제도의 개선 등 공급규정내 공급자 중심 조항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IT를 접목한 선진화된 안전관리 및 다기능가스안전계량기 보급 등 소비자 편익 및 사고예방을 위한 기술ㆍ안전기기 보급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도시가스 소비자 민원발생의 다수를 점유하고 있는 가스요금 고지 및 납부방법, 이사시 철거ㆍ연결서비스, 안전점검 및 검침서비스, 기타 홈페이지 기능강화 및 통합 콜센터 구축 등 서비스 품질향상 프로그램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corresponding to the phenomenal development of the gas industries, supplier-centered management still prevails in the city gas industry due to the monopolistic market environment. However, customer's demands for diverse and higher services are ever growing in the midst of the development and the accelerated competition of the service industries. In this context,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may be the best style of management for establishing a short, mid and long-term foundation of growth especially when it is expected that the competitive system is to be introduced inside and outside of the city gas industry due to the government's intention to reorganize the structure of gas industry.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rives directions for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in such 3 areas as systematic, technological and service improvement from the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from the customer needs. Based on the survey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this paper also suggests 5 strategies to maintain sustainable growth of the gas industry in the midst of competitive environment between city gas companies and among diversified energy businesses and to protect rights of the city gas consumers. First, this paper suggests to establish a city gas quality control system which can prevent the incident and customers' economic loss from the import and production of natural gases with different quality. Second, this paper suggests to introduce an equipment sharing system in the retail market area for the fundamental elev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sification of corporation's competitiveness. Third, this paper suggests to amend the supplier-centered clauses in the City Gas Supply Regulation such as the unreasonable levy of additional charges against unpaid city gas fees. Fourth, this paper suggests to distribute IT-grafted advanced gas technology and safety equipment such as multi-functional gas meters for customer-benefits and incident prevention. Lastly, this paper suggests to establish a service quality improvement program to sweep out the major customer complaints in city gas area regarding the method of notice and payment of gas fees, gas lin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ervice when moving, safety check-up and metering service, strengthening of internet homepage and establishment of call-center.

      •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성과지표 개발

        조경석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59

        국 문 초 록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성과지표 개발 조 경 석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시스템경영학과 2008 지도교수 : 강 경 식 세계자동차 산업의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신흥경제권으로 생산, 소비의 성장축이 이동하는 시장구조의 변화, 고유가 시대, 기술 및 환경의 변화, 경쟁구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세계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동차기업들은 3가지 이슈(Issue)에 주목하고 있다. 바로 품질경영, 린(Lean)을 통한 생산혁신 그리고 이익경영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 산업의 성공요인은 업무 프로세스에 있어서 개발(R&D), 조달물류, 생산, 유통 및 판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동차 생산업체들은 경쟁력 강화 및 확보를 위해 크게 개발프로세스, 조달물류프로세스, 생산프로세스, 유통 및 판매프로세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자동차 산업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성과지표를 찾고, 실제적으로 기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세계 자동차 시장 파악 및 자동차 산업의 업무프로세스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의 통계자료와 문헌 및 기사 기존의 연구자료에 대한 문헌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업무프로세스별로 체크리스트 및 중요KPI 값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자료 및 실제 적용되고 있는 체크리스트들을 분석․정리하였다. 이 체크리스트 및 중요KPI 값을 BSC 및 TPS 관점으로 적용해보고,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리해야 할 핵심 KPI값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부분들을 세부적으로 도출해 보아야 하나, 이번 연구에서는 조달물류프로세스 범위에 포함되는 협력업체에 대한 부분을 선정하여 협력업체의 관리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하청으로 치부되던 협력업체가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온 만큼 협력업체의 관리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및 비효율적인 요인을 개선 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 development of BSC evaluation on the automobile industry for the competitiveness Cho, Kyeong-Seok Department of Industrial System Management Myongji University, 2008 Advisor : Professor Kang, Kyung-Sik The environment of automobile industry in the world is rapidly changing. It is changing of high oil price, technology,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of competition by newly rising an economic district. Automobile company is focusing on three issue because they want to reinforce competition of automobile industry in the world. That is innovation of production profit management through quality management and Lean. Chance of success is seperated in R&D, providing distribution, manufacture, distribution, selling in automobile industry. Emphasis on development process, distribution process, manufacture process, circulation and selling proces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and guarantee. Accordingly, purpose of this study model, for competition reinforcement in automobile industry of sudden change. For that, In this dissertation, applying literature analysis about existing statistic material, article and research material in order to grasp automobile area and business process of automobile industry. Also, I analysis established research material and actual application check list for drawing check list and important KPI value in each work process. Finally, we derive competition reinforce of automobile industrial , but we choose the cooperating enterprise and find a control and development direction including extent of supplying distribution process in this research. Also, we can deduce an index of result to manage inefficient factor and to know the management level of cooperation business because level of management in part of cooperation is important.

      •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조사

        송민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59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의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진로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의 태권도학과 개설대학 중 6개 대학의 2, 3,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회수된 사용된 설문지는 482부였다. 설문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항목 8개 문항,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관한항목 5개 문항, 졸업 후 진로에 관한항목 6개 문항으로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 조사된 자료는 통계기법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도출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자가 79.7%로 나타났고, 여자 20.3%로 나타났다. 학년은 2학년이 41.9%, 3학년 40.5%, 4학년 17.6%로 나타났다. 태권도수련을 시작한 때는 초등1∼3학년이 37.8%로 가장 많았으며, 태권도 경력은 12∼15년이 41.3%로 가장 많았고, 보유한 단은 4단이 66.4%로 가장 많았고, 태권도 특기를 보면 겨루기가 34.4%, 시범 23.2%, 품새 23.0%, 기타 10.6%, 격파 8.7%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중 아르바이트 분야는 태권도장이 35.1%로 가장 많았고, 기타분야 30.5%, 아르바이트 경험이 없는 경우 20.3%, 스포츠시설 8.7%, 관련(경호 등)분야 5.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의식으로 태권도학과를 선택한 동기는 개인적성에 적합하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선택 만족도는 조금 만족한다가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남자보다 여자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학과선택 만족도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 갈수록 조금 불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중 태권도와 연계하여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도장경영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이 진로에 도움 정도는 조금 도움이 된다가 가장 높았는데, 조금 안된다의 경우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의식으로 진로방향 선택은 태권도장경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스포츠관련업, 체육교사, 일반직, 팀 감독 순으로 나타났다, 안정된 직업의 인식은 체육교사 가장 높고, 태권도장경영, 스포츠관련업, 일반직, 팀 감독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에 영향을 준 사람은 스스로가 비율이 가장 높고 스승, 부모, 선배, 친구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의 중요요인은 안정된 장래가 가장 높았고, 적성, 경제력, 보람 및 사회봉사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 시 장애요인은 외국어실력 부족, 진로정보 부족, 전공실력 부족, 학점 저조, 기타, 외모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 지역 선택은 전체적으로 해외, 서울, 상관없음, 경기, 지방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조사결과 태권도학과 학생들은 졸업 후 진로의 방향선택을 태권도장경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학문분야의 교과목을 확대하는 교육과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학과 만족도를 높이려는 시도와 함께 학생들이 경쟁력 있는 태권도장 경영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needed for establishing curriculum which can help the students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o design their careers through surveying and analysing their career awareness after graduation.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juniors, sophomores, and seniors of 6 universities among the universities which have the Taekwondo department at the present time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482 sheets. The questions of the survey consisted of 19 questions in total; 8 question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5 questions about curriculum of the Taekwondo department, and 6 questions about careers after graduation, and on the survey results,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using a statistical technique and then a cross-tabulation was processed.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it showed that the male subjects were 79.7% and the female subjects were 20.3%. As their academic years, it was found that the juniors were 41.9%, and the sophomores were 40.5%, and the seniors were 17.6%. As the time when they started to learn Taekwondo, elementary 1st∼3rd grade was most as 37.8%, and as the Taekwondo career, 12∼15 years were most as 41.3%, and as acquired Dan(grade), 4th Dan was most as 66.4%. About the featured Taekwondo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Kyorugi was 34.4%, Sibeom was 23.2%, Poomsae was 23.0%, others 10.6%, and Kyukpa was 8.7%. As fields of their part-time jobs during being in university(college), Taekwondo halls were most as 35.1%, and other fields(30.5%), no experience of part-time job(20.3%), sport facilities(8.7%), the Taekwondo related field(bodyguard etc.)(5.4%) were followed. Second, for the perception about the curriculum of Taekwondo department, as the motive for selecting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answer that it was proper for the aptitude of each of them showed high rate. As satisfaction about selection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rate of the answer with little satisfaction showed high, the female showed less satisfaction than the male, and the satisfaction about the curriculum of the Taekwondo department showed lower than the satisfaction about its selection, and the upper their academic years were, the more their little unsatisfaction rate showed. As their most interested field related to Taekwondo among the curriculum, Taekwondo hall management showed high. As the degree of helpfulness of the Taekwondo curriculum for their careers, the answer that it was a little helpful was most, while the answer that it was a little unhelpful was highest in the seniors. Third, the awareness about careers after graduation, as the career direction, Taekwondo hall management was highest, and sports related business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aekwondo team managers were followed. As persons influenced on their career decisions, themselves were highest, the teachers, parents, senior persons, and friends were followed. As main factors for selecting a job, stable future was highest, and the aptitude, economic power, rewarded feeling through the job, and welfare services were followed. As obstacles in preparing the career, lack of foreign language skill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lack of ability in the major, the low grade, others, and appearance were followed. As preferred regions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on, overall, foreign countries, Seoul, to do not care, Gyeonggi-do area, and local areas were selected in ordered of high preference. In general, as the result of surveying,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Taekwondo preferred Taekwondo hall management as their after graduation careers, so subjects related to the scientific fields needed for Taekwondo hall management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the existing curriculum, in addition, with the efforts for enhanc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about the department, one should provide the students substantial support unsparingly in order that they may grow into competent Taekwondo hall managers.

      • 외식산업 창업에 따른 입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동수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외식산업을 창업하기 위해서는 입지결정은 창업자가 결정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입지는 외식경영을 성공시키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점포 입지는 일단 결정되고 나면 그 이후부터는 수정이 거의 불가능 하는 환경변수가 되어버리므로 입지의 효율적인 결정은 무엇보다도 합리적인 방법과 기준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 공간 활동에 대한 이해와 도시 공간 구조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입지는 경제지리학 측면, 마케팅 측면 등 다양한 분야의 접근 방법이 상호 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산업이 과연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고 외식장소 선태 시 어떤 요인을 중요시하는지 파악하여 기존 고객 유지와 새롭게 소비자를 창출하여 경영 성과에 기여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 수도권과 광주직할시 지역에 한정하였으며 조사 시기는 2002년 9월 15일부터 10월 5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의 범위는 전체 5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For Window(Ver. 10.0)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분석 방법은 인구 통계적 교차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입지를 결정하는 여건간에는 시계성, 접근 용이성, 위치성, 군집성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용하는 입지와 도로형태에서는 도심 내에 있는 외식업소와 사거리 입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용하는 외식장소는 일반식당, 장소는 개방형, 정보획득은 광고보다는 주의 권유와 입 소문으로 외식 장소를 선택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연령별에서는 맛, 분위기, 가격, 메뉴는 연령별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학력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가격이 저렴한 곳을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분위기를 중요하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입지결정에서 외식사업체를 경영하는 경영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것은 아니다. 둘째 입지결정에서 조사범위는 수도권과 광주광역시 지역에 한정하고 있어 인구 통계적 여건에 제한을 받고 있다. 이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리라 본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전국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비교·검토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한계점올 극복하기를 바라며, 외식창업을 바라는 창업자나 또는 연구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외식산업 경영을 위한 길잡이로써 외식산업 입지 결정하는 데 조금이라도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5, 2000. This study consisted of 5 chapters totally regarding scope of contents. In this study, both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performed together and SPSS Windows (VER.10.0)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to gain statistic data. For analysis of the statistic data, demographic cross analysis was applie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preferred location conditions of restaurant were visibility, accessibility, and crowded with restaurants in order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t was shown that food service restaurants located in downtown and intersection were preferred regarding location and road conditions for use. Third, it was found that selective factors of restaurant type, location, and gaining of restaurant information were general restaurants, open-type restaurants, and others' recommendation and hearsay instead of advertisement respectively. Fourth,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in age among taste, mood, price, and menu of restaurants. Fifth, it was revealed that respondents with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income level preferred cheaper restaurant whereas respondents with higher education attainment and income level regarded mood as importance. This study have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was not performed for managers that actually managed their own food service restaurant; Second, survey was performed with limitation of the targeted region lik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wangju Megalopolis area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onditions. Therefore, it seems that findings of this study is somewhat impossible to be generalized nationwide. Future studies should compare and examine findings of study that is performed with sampling nationwide. In other words, limitations of this study should be solved in the future studies, an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expects the founder or researcher to contribute to determine location of the food service business as a guide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food service business.

      • 반월·시화산업단지 클러스터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이봉섭 韓國産業技術大學校 産業技術·經營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세계 각국은 지식기반경제의 도래에 따라 지역혁신과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와 국부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클러스터'를 이미 오래전에 구축하였거나 형성 중에 있다. 우리나라도 대덕단지, 울산 자동차단지 등이 클러스터 구축사례로 볼 수 있다. 참여정부에 들어와 국가균형 발전 정책의 일환으로 전국 7개 산업단지(창원, 구미, 울산, 반월·시화, 광주, 원주, 군산)를 혁신클러스터로 지정하였다. 이는 클러스터가 지식기반경제시대에 지역혁신과 기술혁신을 촉진하는데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주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반월·시화산업단지의 클러스터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클러스터'의 이론적 정의를 규명하고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반월·시화산업단지 클러스터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외국의 성공적으로 평가 받는 산업클러스터는 성공요인이 구성주체 간 유기적이며 긴밀한 네트워크 형성으로 상호 보완 및 대등 관계 실현을 통한 유기적 협력관계 구축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선도하는 주체를 제외하고는 발달이 취약하여 대등적 관계가 아닌 종속적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선도주체로 중심축이 편향되어 있다는 것과 선도주체 역시 경쟁 및 협력관계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성장에 일정부분 한계를 보이는 등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반월·시화산업단지의 활성화 전략을 알아보았는데 그 내용은 첫째,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지역산업정책은 중앙정부 위주의 정책 추진 및 운영으로 국가의 총량적인 발전은 이루었으나 과도한 수도권 집중, 지역 불균형 등 문제점이 적지 않았다. 따라서 효율적인 지역산업정책의 추진을 위해 중앙정부차원에서는 큰 틀의 밑그림을 설계하고, 지방정부는 그 지역의 경제환경에 맞는 산업을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선도기업의 육성이다. 스웨덴의 에릭슨 처럼 대기업 중심의 선도기업이 산업클러스터 내에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여 첨단기술, 경영노하우, 마케팅 등에 대한 지식 습득 및 발전시켜 산업클러스터의 경쟁력 강화에 크게 이바지 하고 세계적인 신업클러스터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이다. 클러스터의 성공원리는 클러스터를 구성 하는 주체들 간의 관계설정에 따라 성공과 실패로 이어진다고 보여진다. 그러므로 산(産)·학(學)·연(硏)에서 관(官)까지 확대하여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산업클러스터 활성화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넷째, 기업에 대한 효율적 지원체계 확립이다. 중앙 및 지방정부의 안정적인 재원확보 및 예산지원 방식 개선을 위한 법과 제도의 정비, 부처간 유사사업의 통폐합, 벤처캐피털이나 회계, 그리고 경영컨설팅 등의 지원체계를 완비하여 기업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클러스터의 한계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클러스터는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것이지 클러스터 형성 자체가 만병통치약은 아닌 것이다. 클러스터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도 엇갈린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클러스터를 형성한다고 해서 지역의 모든 문제가 저절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클러스터에서는 또한 과도한 특화가 발생 할 수 있고 경쟁의 강도가 약해질 우려가 있으며 클러스터 외부의 경쟁환경과 기술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무시할 경우 지역전체가 위험해지는 약점 등이 있다. 작으면서 쾌적한 도시였던 샌디에고나 RTP(Research Triangle Park)가 점점 확대, 발전하면서 삶의 질이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의 문제점에 유의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As a method for promo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more wealth in the time of knowledge-based economy, "Cluster", a new paradigm of this century has been adopted as the core concept for each nation's industry policies. As following the trends of the world's industry policies, Korea has also have several examples of forming clusters such as in Daeduck Techno-Valley in Daejeon and Automotive Complex in Ulsan. Leaded by Roh Administration, 7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located in Changwon, Gumi, Ulsan, Banwol-Shiwha, Gwangju, Wonju and Gunsan) have been designated as "Innovative Clusters" by Korean government as a practice of Balanced Land Development Project. It is because forming clusters could make much better environments for promoting regional innovation in the time of knowledge-based economy. This thesis discusses theoretical approaches toward the meaning of the term "cluster" which has come up as the new paradigm" to explain our industrial societies. Also the thesis offers strategies for developing more successful industry clusters of Korea through the cross analysis of case studies on both domestic & international examples of industrial clusters. The study shows that successful industry clusters in foreign case studies have co-operative and supportive networkings which make compensative-equal relationships possible. In case of Korean cases, however, clusters are still showing some limits to flourish. One reason is due to its dependent and/or controlling characteristics of relations instead of equal and/or spontaneous ones. In this case, only one leading actor is more likely to take most initiatives and others are simply participating. The other reason is weakness in competitiveness and cooperative relations among the actors within networks.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some successful strategies of industry cluster development can be suggested. The first strategy that the study suggests is supports from the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in terms of their establishment of good policies. Korea's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for decades and the gross sum of national wealth has been remarkably heaped up due to the powerful execution of the industrial policies driven by the central government. As its result, centraliz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s and unbalanced developments of the nation have occurred. To resolve the problems and execute more effective regional industry policies, the central government needs to map a bigger development scheme, and each regional government has to find its own way which fits to its regional needs and its own economic environments. The second strategy is bringing up leading companies. As shown in the Ulsan Automotive Industrial Complex, leading companies need to take initiatives within the cluster and share high tech, know-hows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rketing, which eventually leads the industry cluster more competitive, and grows the cluster into world-famous one. The third strategy is formation of organic network system. A major factor of its success is in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ctors in the cluster. Therefore, to produce synergy effect, a strategy through a wider range of participation from industry, academia, research sector and public sector should be practiced. The fourth strategy is establishing effective support systems toward industry. When provided by support system such as in finance, laws and acts, coordinating arrangements among similar projects among different departments, venture capitals, accounting and business consulting, enterprises could do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business administration. At the same time, one should understand that there has to be some limits in cluster. Cluster is only a means to resolve some regional issues, not a cure-all. Different studies have also made different conclusions on the effect of cluster formation. The studies tell us that forming cluster cannot resolve all regional problems. Clusters could produce some excessive narrowing specialties of industrial fields and make the region less competitive. Also a cluster as a whole single body could fall into a dangerous position when the cluster could not recognize any outer changes of competitive environments and the trends of technological changes. Once a small, clean city, San Diego, CA and the Research Triangle Park, NC have been threatened in terms of the citizens' living qualities after the clusters have been expanded. It is time to have more careful and wiser approaches toward forming effective clusters, keeping an eye on the existing problems shown in the case studies.

      • 외식업체 종사원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비 브랜드 개인 외식업체 종사원을 중심으로

        한양옥 경기대학교 관광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27

        급속한 경제의 성장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윤택해지면서 식생활의 패턴도 급격히 변해 가고 있다. 그리고 산업화가 진전되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가사노동에 할애하는 시간이 감소하게 되어 식음사업은 급속한 양적 팽창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선진외국의 발달된 프렌차이즈 형태의 외국체인 음식점이 대거 등장하고, 대기업의 외식 사업 투자에 참여함으로써 외식 산업 시장에서의 경쟁은 점차 심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외식산업은 경영구조 특성상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큰 전형적인 인적 서비스산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식산업의 경우 인적자원에 대한 관리면에서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양질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려면 우선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충분한 파악이 경영과제로 되어야 할 것이다. 종사원의 인적 서비스는 외식산업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기업의 이윤추구의 직접적인 활용도구이다. 왜냐하면 훌륭한 서비스의 제공은 바로 직무만족을 통한 종사원의 마음가짐 여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소규모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직무만족에 대한 이론과 외식업체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헌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소규모 외식산업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으로는 서울의 소규모 외식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계프로그램인 SPSS/PC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직무만족영향요인인 조직특성요인, 직무환경요인, 심리적 요인, 인간관계요인들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특성 요인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 개인 외식산업체의 임금은 안정세에 접어들어 직무 만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나, 복지 제도나 공정한 승진제도가 직무 만족도의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직무 환경요인에서는 개발기회와 작업 환경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산업 종사자가 단순한 생계 유지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본인의 능력개발을 염두에 두는 프로의식이 생기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셋째, 외식산업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에 동료와의 관계보다는 상사와의 관계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향후 외식업의 관리방식에서 상사 역할의 중요성을 입증한다. 넷째, 노동가치관별 분석결과 내면적 노동가치관에 비해 외면적 노동가치관이 직무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산업 종사자들이 사회적 지위 상승을 통한 신분상승 이나 명예를 얻고자 하는 사람이라기보다는 실익과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는 것을 중요시하며, 사회에서 대외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임을 보여 준다. 연국결과를 토대로 외식산업에서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의식변화가 필요하다. 외식산업 경영자 자신이 종사원과 항상 수평의 상태에서 대화를 가져야 하며 투명하고 합리적이며 타당성 있는 운영으로 종사원들에게 믿음을 주고 인센티브나 시간의 근무 수당, 퇴직금과 공정한 상여금 등 소득의 재분배를 보장한다면 종사원들에게 직무만족에 대한 큰 동기를 부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종사원의 의식구조 변화가 요구된다. 외식업체의 종사원들이 직업을 통해 만족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점포 내 자신이 맡고 있는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통하여 충분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업무에 적용시켜 갈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 이와 같은 인재개발 시스템은 종사원의 창의력 개발 및 기업의 업무성과에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근무형태의 개선이 필요하다. Y세대 혹은 N세대 등으로 불리어지는 종사원들은 적합한 시간 내에서 최선을 다하고 나머지 시간은 재충전과 노동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가족이나 주위와 함께 지내고자 하는 인간본연의 친교의 욕구가 강하다. 여성근로자의 비중이 유난히 높은 외식산업의 특정상 장시간 근무는 종사원의 직무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큰 요인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넷째, 종사원 복리후생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종사원들이 많은 갈등문제(현 직장에서의 안정성, 복리후생)가 있는 것으로 볼 때 이제까지는 많은 기업들이 수입에만 의존하여 직원에 대한 복리후생적인 면이 다소 소홀하지 않았는가 생각된다. 다섯째, 작업환경의 개선이 요구된다. 외식산업 종사원은 음식을 취급하는 사람으로서 위생개념에 철저를 기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고 각종 위험시설의 산재로 인해 작업상의 안전장치가 중요하다. 따라서 외식업체 업장내에서 종사원들의 미팅룸, 휴식공간, 샤워장, 같은 시설뿐만 아니라 안전 및 구급시설, 조명, 배기·환기시설, 난방·냉방장치 등이 필요하다. A standard of living of a consumer was elevated through rapid growth of economy, and after all, a pattern of one's eating habits is changing rapidly. And, the eating and drinking industry is extending rapidly because time spared housework decreases through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Besides, a competition in eating out industry is interesting because of entrance of a foreign chain restaurant with developed management, investment equipment, and participation of many enterprises according to expansion of a market. Eating out industry is typical human service industry to depend on human resources largely. Nevertheless,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eating out industry is beneath notice. Degree of satisfaction at a duty of an employee must be grasped to offer good service to a customer. Human service of an employee is structural element of eating out industry and a direct instrument to make a profit. Therefore, an offer of good service depends on a mental attitude of an employee though satisfaction at a dut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elements affecting satisfaction at a duty of an employee and presents actual remedies to a chive purposes of study with importance. To accomplish this duties, this study does theoretical studies on satisfaction at a duty and literature studies on general features of eating out industry. And, on the basis of it, this study does actual studies on satisfaction at a duty of an employee in small-scale eating out industry. In actual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employees engaged in small-scale eating out industry in Seoul, and takes the statistics to the results with statistical program, SPSS/PC. This facts that we can know in analysis of effects of elements to affect satisfaction at a duty such as elements in systematic feature, elements in systematic feature, elements in official environment, and elements in human relation are as follows. Firstly, about elements in systematic feature, presently, wages in our private eating out industry is stable and does not affect satisfaction at a duty. But, welfare system or system on fair promotion is a variable of satisfaction at a duty. Secondly, about elements in official environment, an opportunity of development and official environment are variables to affect satisfaction at a duty. It proves the facts that an employee in eating out industry do not take interest in simple maintenance of living and take interest in development of ability. Thirdly, relation between employee and this superior affects more greatly satisfaction at a duty than relation between employee and his companion does. It proves importance of a role of superior in management of eating out business. Fourthly, sense of value to external labor affects more greatly satisfaction at a duty than sense of value to internal labor does in analysis of sense of value to labor. It proves the fact that an employee in eating out industry pursues an actual profit and financial stability than a rise of a social position and standing. Methods for development in eating out industry on the basis of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 Manager must talk with his employee in the parallel state, be trusted by employees with limpid, rational, and appropriate management, guarantee redistribution of income through incentive, an overtime allowance, a retirement allowance, and a fair bonus. Well then, he can motive his employees in satisfaction at a duty. The system that employee get knowledge in his field and the knowledge is applied to affairs is necessary so that employees might feel satisfaction at a duty. And this system to develop human agency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power of creation and efficiency of business in enterprise. But, employees named Y generation or N generation work eagerly for decided time and spend their rest time with family or around one for replenishment and elevation of labor efficiency. Duty for many hours is prime element to weight employee's stress in duty in eating out industry that specific gravity of female employee is greatly high. Therefore, to disperse burdensome amount of business due to human structure that do not differentiate between operation and cooking to operate organization that employee works by turns and rest, and to use well trained part-time worker will contribute to reduction of labor cost and promotion of morale of current employee.

      • 공연예술로서 태권도의 활용방안

        김용재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21세기는 첨단 과학 산업, 환경 산업과 더불어 관광 산업이 세계 3대 산업으로서의 최고의 서비스업으로 각광받게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전 세계는 특히 굴뚝 없는 공장으로 불리 우는 관광 산업 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관광산업은 운송, 숙박, 음식, 기념품, 위락시설등 기타 산업과의 연관성이 깊고 다른 산업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부가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각종 경제에 파급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도 관광 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관광 산업의 육성 방안으로 국가의 전통 문화의 상품화와 스포츠와 레저산업의 발전이 제시되었다. 이 전통 문화의 상품화와 스포츠 레저산업의 촉진 이 두 가지는 관광 산업 발전에 있어 서로 분리된 전략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한국의 태권도는 전통 문화적 요소와 스포츠 산업적 요소 모두를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어 관광 산업 발전에 새롭게 종합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관광에 대한 새롭고 변화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리나라의 전통무예인 태권도가 공연예술과 접목되어 문화의 한 코드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관점에서 이 논문은 태권도를 공연예술로서 활용한 사례들을 검토한다. 전통적으로 태권도는 ‘시범'이란 형식을 통해 대중들과 소통해왔다. 태권도 시범은 뮤지컬이나 연극과 같은 기존의 무대공연 장르들과 교류하면서 스토리를 가진 공연형식의 시범으로 진화해왔다. 태권도가 이미 전 세계 192개국 7천만 이상의 문화 소비 인구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태권도를 소재로 한 스토리 형식의 시범 공연은 문화 상품적 가치를 충분히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의 태권도 산업의 현황과 태권도 시범이 공연산업에 접목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이와 함께 공연예술로서 태권도가 접목된 사례 및 실패 사례들을 비교, 분석,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실패요인과 제시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과 태권도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방향 또한 제시한다. In the twentieth century, many countries of the World give themselves up to foster tourism industry with a vision that tourism industry is regarded as best service area with advanced science and environmental industry. Since tourism industry is closely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transportation, food, souvenir industrie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and has the power of influence in matters economy and other industries, as well as the high added value, we need to encourage investment about tourism industry. So far, a method to foster tourism industry was often focused on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of sports and leisure industry. And,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of sports industry have been regarded distinct strategies each other. However, Taekwondo of the Korea has potentially both elements of traditional culture and sports industrial elements, it is seem to be able to present the synthesis strategies. This paper argues that Taekwondo is able to play a role as a code of the culture by connecting with performance arts.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will examine cases which made use of Taekwondo as performance art. Traditionally, through ‘Demonstration’, Taekwondo has been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Taekwondo demonstration has been evolved into performance-style’s demonstrations that have a storyline by communicating with the genre of performance arts such as musicals or play. If we consider that Taekwondo already has more than seventy million people as cultural consume population in 192 countries of the World, we can say that performance demonstration using Taekwondo has sufficient cultural commercial values. This paper will not only seek to the present condition of Taekwondo industry, but also a direction of development Taekwondo industry through analyzing cases made use of Taekwondo as performance art. At the same time, this paper will also offer the method of pathfinding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as well as of solution about the problems that was present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above cases and failure cases.

      • 한국 제조업의 산업별 기술혁신패턴에 대한 고찰

        이혜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11

        산업별로 기술혁신의 양태(樣態)와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각 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시키기 위한 정부의 기술정책이 이러한 산업별 혁신 특성을 감안하여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 이러한 산업별 기술혁신 분석은 기업이 보유한 기술의 특성과 기업이 속한 국가의 특성과 더불어 기업에 적합한 기술전략의 수립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 부문의 기술혁신 패턴의 분석을 통해 정부의 기술 정책과 기업의 기술전략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Pavitt(1984)의 산업 분류법이 한국 제조업의 혁신패턴에 적용하여 설명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술혁신의 개념과 유형, 기술혁신 과정, 산업별 기술혁신체제에 대한 이론 및 실증 연구를 분석하여 산업혁신체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제시하였다. 한국제조업 부문에 대한 연구 가설 검증을 통해 산업 분야별기업규모(종업원, 매출액), 혁신목적(원가절감 및 환경개선, 혁신적 시장개척, 소극적 시장개척), 혁신투입요소(R&D 집중도, 기술흡수능력, 자본금, 기업 연령), 혁신과정(정보원천 이용도, 기술획득전략), 혁신성과(혁신 횟수, 특허 및 기타 지적재산권 출원 수) 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 1월 ∼ 2001년 12월에 일어난 기업 혁신활동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2002년도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 제조업」(이하 ‘KIS 2002’)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통계 분석 기법으로는 SPSS 10.0을 이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장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구성체계를 제시하였다. 제 2장은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 1절에서는 기술혁신의 개념과 유형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제 2절에서는 기술혁신과정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제 3절에서는 기술혁신체제에 대한 슘페터 가설과 기술체제이론과 산업별 기술혁신 패턴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제 3장은 한국 제조업을 대상으로 산업별 기술혁신패턴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제 1절에서는 연구 개념의 정리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제 2절에서는 실증분석에 사용된 데이터와 변수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 3절과 4절은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요약, 평가하였다. 제 4장에서는 결론 및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제 1절에서는 연구결과의 요약, 제 2절에서는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 3절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Until now the research regarding the innovation system of most became intensively in NIS and RIS. As a result, it is a limit that explains for competitiveness difference among sectors. So,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regarding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The discussion regarding sectoral technological innovation pattern keeps meaning which is important from the side of technical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echnical strategy of the firm.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ppear different with the sector. In order to promote a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government shall be established to technological policy in consideration of sectoral innovation characteristics. Also, This sectoral technological innovation analysis with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is essential in establishment of the technological strategy which is suitable at the firm. This study classified Korea manufacturing firms based on Pavitt's Taxonomy and analyzed sectoral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by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from 「Korean Innovation Survey 2002: Manufacturing sector」 by Science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To mention the method of this research, this study takes 3,775 manufacturing firm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among sectors in the sources, nature and outputs of innovation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was partially difference between Pavitt's sectoral pattern(Taxonomy) and Korean sectoral pattern.

      • 한국 화장품 중소수출기업의 아웃소싱전략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김한숙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화장품산업은 소비재 산업으로 특정 국가나 고객의 소비 및 소득 수준의 변화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최근 화장품이 필수 소비재화로 인식되면서 글로벌산업으로 변화하여 화장품산업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요와 시장확대가 기대되는 유망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화장품산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기호성과 유행성이 강하다. 따라서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로 진행되는 경향이 강하고 신제품 및 신상품의 개발이 빈번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국내 화장품기업들은 영업망과 생산설비의 중첩으로 인한 지나친 설비투자로 효율적인 경영이 어려운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화장품의 연구개발과 같은 주요 핵심업무 이외에 생산, 물류, 용기 디자인, 전산 분야를 중심으로 아웃소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화장품 중소수출기업의 아웃소싱전략 성공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성공요인이 재무적 성과와 시장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화장품 산업의 효율적 운영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웃소싱 파트너 선정요인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시장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둘째, 아웃소싱 전략유형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시장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셋째, 수출지원정책이 수출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시장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연구의 설계는 선행연구 및 관련연구를 통하여 아웃소싱업체의 선정요인, 아웃소싱 전략유형 및 수출지원정책이 결과적으로 화장품 중소수출기업의 재무적 성과 및 시장관리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가설을 통하여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 및 검정하는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아웃소싱업체의 선정요인은 기업역량, 재무적 요인, 제도적 요인, 운영적 요인 등으로 분류하고 기업의 아웃소싱 전략요인은 자원기반, 핵심경쟁력, 수출정책활용도로 유형화하여 기업의 여러 변수를 세분화 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설문지 문항 수는 총 47개로 구성하였다. 화장품 및 화장품 관련제품의 중소수출기업 65개 기업의 설문조사 자료를 가지고 기술통계 빈도분석, 신뢰도, 타당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가설검정 순으로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변수 간 상관성 분석을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무적 요인과 기업역량이 0.774로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운영적 요인과 제도적 요인으로 0.751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가설검정결과 유의수준이 0.05보다 작게 나타난 기업역량은 재무적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운영적 요인은 시장관리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의수준이 0.05보다 작게 나타난 핵심경쟁력은 재무적 성과와 시장관리 성과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등 아웃소싱전략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화장품 중소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아웃소싱전략 성공 요인을 파악하여 해외수출시장 개척과 시장확대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향후 설문조사방식이 아닌 심층 면접방식을 통한다면 좀 더 심도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layout) 평가에 관한 연구

        서영애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외식경영(foodservice operation)에 있어서 주방은 외식산업의 심장부로서 그 역할이 강조되어 왔다. 조리사들이 일하는 주방환경은 쾌적하고, 조리가 순조롭고 신속하게 진행되어 한 번에 많은 주문을 처리할 수 있고, 적은 수의 조리사로도 운영될 수 있는 생산적인 주방이 되도록 디자인되고 관리 되어야 한다. 특히 외식산업시스템에 있어서 외식산업주방의 레이아웃은 내부고객만족(employee satisfaction)과 외부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 그리고 음식의 질적 양적 품질유지 궁극적으로는 수익창출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주방은 부적절한 레이아웃으로 인하여 수음이 많고 고온다습하며 스트레스가 많이 쌓이고 또한 인체공학(ergonomics)적으로도 부적합하게 디자인되어 직업병을 유발할 수 있는 노동현장이다. 지금까지 외식산업 설계자들은 조직의 목표, 내부고객 및 외부고객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주방 레이아웃의 계획과 디자인에 대하여 소홀히 다루어 왔음을 간과할 수 없다. 결국 우리나라 외식산업이 더욱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의 4M(man, machine, material, method)에 대하여 더욱 더 많은 배려가 선결되었을 때에만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의 현상과 실태를 분석 평가하여 문제점을 규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연구에서 제외되었던 요인들을 망라한 총체적인 요인들을 반영함으로써 종합평가를 시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는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의 평가에 대한 이론연구에서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의 개념과 평가요인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실증분석에 이용될 항목을 선정하여 설문을 개발하였다. 또한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이 어느 정도 합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그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특등급 관광호텔의 주방 조리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아울러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 평가요인들이 주방의 생산성과 레이아웃 만족도 그리고 조리사들이 조리작업 중 느끼는 신체적 이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 평가변수들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행한 결과, ① 작업동선, ② 조리사, ③ 주방기기, ④ 주방환경, ⑤식자재, ⑥ 주방시설 등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외식산업주방 레이아웃을 효율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가장 우선 시 되어야 할 요인으로 작업동선이 제기되었다. 셋째, 작업대의 높이 조절을 비롯한 작업센터의 인체공학적 디자인에 대한 문제이다. 넷째, 한식주방이 식자재의 조달상태(식자재의 크기와 형태, 준비과정)가 타 주방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섯째, 주방기기의 적시교체 및 고성능 기기의 도입 그리고 주방기기의 사용법 숙지를 통한 보유 주방기기의 활용도 제고의 문제이다. 여섯째, 주방공간에서 이동통로의 확보 문제이다. 일곱째, 주방의 물리적 환경(열, 공기, 빛)의 개선으로 조리 작업 시 느끼는 신체적 이상 발생 즉, 직업병(occupational disease)의 예방이다. 마지막으로 비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된 작업대에서 일상적으로 작업하거나 손을 비롯한 특정 신체부위의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기인하여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누적외상병(CTDs; cumulative trauma disorders)의 예방이다. 결국,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특등급 관광호텔주방 레이아웃은 조리사-기계시스템(요리, 주방기기, 작업장, 그리고 작업방법)을 고려한 인간중심의 레이아웃 계획(planning)과 설계(design)가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조리사들이 작업을 쉽고 편하게 수행하게 함으로써 직무 만족도와 생산성 제고에 기여하게됨을 제시하고 있다. It has been emphasized the kitchen as the "heart" of the hous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kitchen environment in which the foodservice workers operate should be designed and controlled to allow them to be most productive, comfortable and happy with their job. Especially, the layout of kitchen in the foodservice system may affect meals in proper quantity and quality, customer and employee satisfaction, and financial accountability. Today, most of the layout in our foodservice kitchen is not ergonomically designed and not properly controlled so that workplace for cooks is much noisy, hot and dampish, and even leads to be occupational disease. So far it can not be overlooked that foodservice designers have handled indifferently to plan and design the kitchen layout that may be satisfied organizational objectives, employee, and customer at the same time. If foodservice industry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develops still more, such successful development can be attained only when all aspects of the layout resources (4M; man, machine, material, method) in foodservice operation have been evaluated and planned for accordingly. In these re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evaluate the recent status of kitchen layout in more detail and then to suggest strategic improvement way for rational foodservice kitchen layout. Questionaries for the empirical evaluation of foodservice kitchen layout are developed and also it surveyed to 377 cooks at deluxe tourist hotels in Seoul. Together, analyzed about whether evaluating variables and factors for foodservice kitchen layout influence to not only productivity of the kitchen and layout satisfaction, but also physical wrong symptoms which cooks feel during working. Statistical data analysis is completed using the SAS Programs for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problems derived as the results of evaluation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extracted in this study have six factors such as work flow, worker, material, kitchen equipment, physical environment in kitchen and layout facility, which are more detailed than those of other kitchen layout studies. Second, it was shown that work flow was brought by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first time to improve the foodservice kitchen layout efficiently. Third, it was found that work surface was designed without consider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worker(i. e. without considering human factors, or human engineering) and is arranged not to arrive maximum productivities or efficiency. Fourth, it was observed that the size, shape, and packaging of food materials in Korean kitchen were less suitable to the processes to be performed than those in the other kitchen. Fifth, it was shown that many new pieces of foodservice equipment were improperly or insufficiently used because the workers had been seldom trained to use the equipment fully. Sixth, in evaluating the space, it was revealed that aisle widths was less efficient so that space and workers could not been readily available. Seventh, in evaluating physical problems(i.e. occupational disease), it was found that some physical problems workers feels during cooking resulted from the kitchen environment(temperature, humidity, air movement, lighting, and oder). Finally, it was considered that foodservice kitchen was a possible work place where CTDs(cumulative trauma disorders) was happened, because of frequent or sustained exertion, particularly when performed in awkward body positions. Therefore, this present results suggest not only that foodservice kitchen layout should be planed and designed by considering worker-machine system(menu, equipment, work place, and method) in view of human, but also that key to productivity improvement is to assist the worker to "work smart and not h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