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사회환경교육 활성화에 관한 연구

        나성숙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경북지역의 사회환경교육을 주도해 가고 있는 경상북도환경연수원의 지난 31년의 환경교육과정 분석과 교육운영에 따른 교육 만족도, 전국환경연수원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해 교육 수요자 중심의 사회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상북도환경연수원 교육과정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내용면 분석 결과 성인 및 청소년 교육과정은 전체교육시간 중 자연학습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교육운영면 분석 결과 교육수료실적 중 성인과정이 연 평균 9,803명(44.4%), 청소년과정이 연 평균 12,181명(55.6%)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도 이후 소외계층 교육과정이 확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교육과정 중 초등학생과정은 점차 확대되었으며, 중학생 및 고등학생은 점차 축소 운영되었다.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은 2011년 이후 계속 확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 소재한 8개 환경연수원의 2012~2014년도까지 3년간 운영한 교육수료실적을 분석한 결과 교육대상별 분포는 청소년과 성인의 비율은 58:42 정도로 나타났다. 환경교육만족도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성인교육과정 전체 교육생 중 여성이 241명(85%)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프로그램 선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강의 교수진의 전문성이 전체 응답자의 90명(31.9%), 교육프로그램 신청 목적은 자기계발과 사회봉사가 전체 응답자의 161명(57.1%),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교육 후 연계강의 안내 및 지원서비스 강화가 86명(30.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교육과정 중 환경오염 중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관해 초·중·고등학생 모두 대기환경이라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의 1,251명(66.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에 대한 인식에 가장 도움이 되었던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은 레크레이션이 전체 응답자의 236명(24.2%), 중학생은 환경신문 만들기가 전체 응답자의 210명(34.0%), 고등학생은 자연 및 환경체험 활동프로그램이 전체 응답자의 91명(31.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환경교육운영을 위한 사회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첫째, 교육대상별 내실 있는 특성화 전략 개발과 운영. 둘째, 생애주기별 환경교육 콘텐츠 개발과 환경교육 거버넌스 확대를 위해 단순 지식 전달형 환경교육에서 벗어나 환경복지 등 시대 상황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 운영. 셋째, 교육과정 변화 등에 대응한 ‘선택형 환경교육과정’ 개발로 환경교육의 콘텐츠 다양화 및 수요자 만족도 극대화. 넷째, 지역환경교육센터 운영체제 구축을 위한 최적의 환경교육시스템을 운영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이 시민과 지역사회 중심으로 상호 연계한 환경교육시스템의 구축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educational directions for the vitalization of demand-oriented social environment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st 31 years of environment education curriculum at Gyeongsangbuk-do Environmental Training Institute, which is leading the social environment education in Gyeongsangbuk-do region, satisfaction in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 oper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urricula in environmental training institutes throughout the country. The results of analysis on Gyeongsangbuk-do Environmental Training Institute’s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nature learn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adult and youth curriculum in the overall education hours. Second, in terms of educational operation, an average of 9,803 (44.4%) adults completed the adult curriculum, while an average of 12,181 (55.6%) youths completed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for the underprivileged group was expanded since 2013. Among the youth curricula, elementary curriculum gradually expanded, and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urricula were gradually reduced. In particular, curriculum for children has been continuing to expand since 2011. In terms of the analysis of education completion record for 3 years (2012∼2014) at 8 environmental training institutes located throughout the country, the distribution of subject was 58:42 for youth to adults. Results of analysis in satisfaction of environment education are as follows. In the adult curriculum, women account for 85% (241) of education subject,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education program was professionalism of faculty, which accounted for 31.9% of overall respondents (90);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for the program, 161 adults (57.1%) responded as self-improvement and community service, and in terms of vitalization plan for education programs, 86 adults (30.3%) responded as information on associated lectures after education and reinforcement of support services. In terms of the most sever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youth curriculum, 125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66.6%) responded as atmospheric environment. With respect to the most helpful program in environmental awareness, 236 elementary students (24.2%) responded as recreation, while 210 middle school students (34.0%) responded as making environmental newspaper and 91 high school students (31.8%) responded as nature and environmental experience activity programs. Based on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o vitalize social environm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ope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First is to develop and operate substantial specialty strategies according to educational subject. Second is to operate curriculum that can satisfy the state of period, away from simple knowledge delivery education, to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or different life stages and expand environment education governance. Third is to diversity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maximize satisfaction in learn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in response to changes in curriculum. Last is to operate an optimum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to establish operation system for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s. Therefor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that mutually connects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round citizens and local communities for sustainable society.

      • 골프장 규모에 따른 산지전용과 복구에 관한 연구

        김영길 대구한의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50703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 개발이 활발했던 최근 7년간 골프장 207개 중 95개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입지 관련항목 및 생태계 관련항목을 골프장 규모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골프장개발에 따른 산지전용과 복구에 관한 주요지표를 선정하고 지표별 평가기준을 제시하며, 골프장개발에 따른 산지전용과 골프장 조성으로 훼손된 산림지역을 복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골프장 개발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관리계획 절차에 딸 인․허가와 환경영향평가 및 산지전용허가 등을 받아야 하며, 환경영향평가는 환경부에서, 산지전용허가 및 복구에 관한 기준은 산림청에서 고시하여 정하고 있다. 골프장 입지관련 중점 항목 분석 결과, 첫째, 골프장 개발으로 산지 전용되는 토지의 면적은 산지가 82%, 농지가 13%로 기타 및 잡종지가 5%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1개의 골프장 개발시 적용되는 산지는 평균 823,999m2이고, 지난 7년간 골프장 개발로 인한 산지 훼손면적은 591,176m2로 추정된다. 둘째, 2007년부터 2013년 사이 골프장으로 개발된 평균면적은 995,283m2인데, 9홀 411,664 m2, 18홀 1,053,366 m2, 27홀 1,590,102 m2 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산지 전용되는 골프장의 평균경사도는 16.40%인데, 9홀 14.74%, 18홀 17.18%, 27홀 16.80%로 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경사도 25도 이상 40%이상의 경우 입지 제한 및 중점검토하고 있으며, 분석결과 18.22%로 만족하였으며 9홀 15.49%, 18홀에서 20.20%, 27홀 17.40%로 분석되었다. 넷째, 산지 전용되는 골프장의 표고는 평균 171.76m이며, 9홀 131.60m, 18홀 174.59m, 27홀 215.09m로 분석되었고 구간별 표고차는 50m미만에서 대상지 6개에 표고차 32.83m, 50m ~ 100m에서 대상지 13개에 표고차 76.92m, 100m ~200m에서 대상지 48개에 159.31m, 200m ~ 300m 대상지 24개에 251.83m, 300m ~400m에서 대상지 3개에 339.67m, 400m이상에서 대상지 1개에 410m로 나타났으며 골프장 규모별 차이를 보였다. 골프장 입지관련 중점 항목 분석 결과, 첫째, 녹지자연도 6등급은 9홀에서 150,261 m2, 18홀에서 310,471m2, 27홀에서 332,737m2로 나타났고, 7등급은 9홀에서 156,776 m2, 18홀에서 519,515 m2, 27홀에서 844,799m2로 8등급의 경우 11건이 약 2% 정도 포함하여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골프장 개발 후 녹지자연도는 7등급은 감소하였고 6등급은 복원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골프장 개발로 인해 훼손되는 산지면적은 임야면적의 72%인 591,176m2, 골프장 규모별로 비교하면, 9홀 252,750 m2, 18홀 641,615 m2, 27홀 885,974m2로 골프장 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골프장 개발로 인해 훼손되는 수목은 소나무, 참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이 많았으며, 평균 55,501주로 나타났으며, 9홀에서 24,676주, 18홀에서 60,283주, 27홀에서 83,139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장 개발로 인해 훼손되는 수목의 이식수량은 4,258주로 이식률은 7.68 %를 보였고, 92.32%는 벌체되어 임목폐기물로 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골프장 개발로 인해 훼손된 산림을 복원하는 면적은 평균 30.17%로 나타났으며, 9홀에서 33.06% 18홀에서 30.02% 27홀에서 29.47%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산림면적은 국토의 전체면적 대비 약 64 %이며 꾸준한 경제 성장과 개발 압력이 땅값이 싼 산림지역으로 개발이 옮겨 가면서, 최근 10년간 산림면적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골프장으로 인한 산림면적감소는 2008년과 2009년에 가장 넓은 면적을 산지전용하여 골프장으로 개발 되었으며, 개발에 따른 문제점은 산림훼손이 발생하면 복구하는데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무차별적인 산림파괴가 지형을 변화시켜 지하수위의 변화로 인근 우물이 마르게 되는가하면 집중 호우시 토사가 밀려 하천과 경작지가 매몰되기도 하고 이로 인해 골프장 주변 환경 및 생태계가 서서히 변화해 가고 있는 실정이며 각종 개발이 대부분 산지에서 이루어지지만 농업용 목적의 산지전용은 5% 내외로 삶의 터전인 농업인들은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므로 각종 개발을 위한 인,허가가 진행될 시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골프장의 경우도 최근에는 친환경 골프장 건설과 농약 사용을 줄이는 등의 노력으로 무너진 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점점 줄고 있는 산림지역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개발에 대한 허가기준 강화 등 규제를 하여야 하나 규제를 너무 하면 경기침체 등 문제점도 나타나게 된다. 대규모 산지전용을 위한 평가기준은 협의기관에서는 한계가 있으며 이는 허가 관청에서 엄격히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개선방안으로는 대규모 산지전용을 위한 허가기준 제시와 환경영향평가 같은 관계기관 협의 시 생태적 측면에서의 산지전용 및 개발을 유도하고 정부 정책과제 등과 연계하여 종합적인 산림훼손 최소화를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무분별한 산지 훼손을 지양한 생태적 산지전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산림 훼손을 줄이기 위해서는 골프장의 입지기준에서 제시하는 원형보전율을 상향 조정하여야 하며 개발하는 면적을 줄이고 친환경골프장으로 만들기 위해 최대한 복원면적을 늘리고, 비료 및 농약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

      • 기후변화에 따른 금오산의 식물 다양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원택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687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Raunkiaer’s Life-form Chang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environment and flora in Geumosan from 1958 to 2008. 1. Flora Changes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vascular plants of Geumosan, Yang (1958) reported 586 species in total of 348 genera under 139 families. Natural Love Association (2008) reported that a total of 790 taxa including 117 families, 382 genera, 679 species, 1 subspecies, and 99 varieties were distributed. During the survey period, 11 to 14 taxa in endemic plants were observed, and 47 to 63 taxa of the specific species were distributed. Also, 24 to 45 taxa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ere investigated. The naturalization rate has increased from 3.74% to 5.71%. The urbanization index (UI) was 14.0% and the Pteridophyta-eqotient (Pte - Q) was 0.79. The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classified into 3 taxa, while the red list were classified into 18 to 22 taxa. 2. Raunkiaer’s Life form Change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phanerophyte decreased in the light of Raunkiaer’s life-form. while the hemicryptophyte and the cryptophytes increased. Along with the rise in temperature, the number of phanerophytes that are relatively unfavorable to adaptation and migration is decreasing, and the number of the hemicryptophyte and the cryptophytes is increasing. 3. Strategy Development and Proposal The conclusion to be drawn here is that active public relations and the use of appropriate natural sabbatical system should be required to prevent the destruction and disturbance of habitat in Geumosan. It is also necessary to identify plant species that are sensitive to climate change, and to plan and practice the establishment of protected area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based on the change of plant life form due to global warming. To be sure, steps such as periodic monitoring and countermeasure to preserve the flora and vegetation of Korea should be taken, including tree species renewal for environment change. 본 연구는 금오산의 1958년부터 2008년까지 기후 환경과 식물상의 조사결과를 Raunkiaer의 생활형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1. 식물상 변화 금오산의 유관속 식물상에 대한 조사 결과, 양(1958)은 총139과 348속 586종을 보고하였고, 자연사랑연합회(2008)의 결과에서는 총 117과 382속 679종 1아종 99변종 및 11품종을 합하여 전체 790분류군을 보고 하였다. 조사 기간 중 한국 특산종은 11분류군에서 14분류군이 조사 되었다.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은 47분류군에서 6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종은 24분류군에서 4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율은 3.74%에서 5.71%로 증가하고 있다. 도시화지수(UI)는 14.0%이고 양치식물계수(Pte-Q)는 0.79로 나타났다.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종은 3분류군, 적색 목록은 18분류군에서 22분류군이 조사 되었다. 멸종 위기종, 기후변화 생물 지표종은 각각 2종씩 조사되었다. 2. Raunkiaer의 생활형 변화 식물상의 Raunkiaer의 생활형에 특이점은 조사기간 중 대형지상식물과 왜형지상식물은 감소하였고, 반지중식물과 지중식물은 증가하였다. 기온의 상승에 따라 적응과 이동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지상식물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반지중과 지중식물은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3. 전략개발 및 제안 결론적으로 금오산 내의 서식지 파괴 및 교란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활동과 적절한 자연휴식년제 활용등의 시행이 요구된다. 또한, 기후변화에 민감한 생물종을 확인하고 온난화로 인한 식물의 Raunkiaer의 생활형 변화를 토대로 생물종 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구역설정 계획수립 및 실천이 필요하다. 환경변화에 알맞은 수종갱신 등 우리나라의 식물상과 식생을 보전하기 위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대책수립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 로드킬 저감을 위한 시설물 설치에 관한 연구

        황태섭 대구한의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87

        Recently, the court handed down a ruling that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took partially responsibility for the secondary roadkill-induced traffic accident, roadkill has been highlighting as social issues. Since this led many cases which connected to human injury, the secondary traffic accident, big traffic accident caused by middle mammal and large mammal together with injury of wild animals, it needed the research to solve them. Thus, from 2010 to 2014, there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roadkill at total 560km which occurred to 13 intervals on 8 lines of nation road, 5 intervals on 4 lines of state support prefectural road and 3 intervals on 3 lines of prefectural road, there standardized to number/ km and number/ ha. Setting up the assumption that standardized data could vary according to type of severance in the ecosystem occurred due to road, environmental condition, ecology characteristic, there were proposed to plan of facilities installation for reduction of roadkill. The conclusion were that, the first, the numbers of roadkill were showed to 166 cases in 2010, 224 cases in 2011 and 270 cases in 2012, etc, since then, were remained unchanged. Mammals were shown the highest fatality rate to 51% of the total by classification group, there were occurred the order of 30% to birds, 11 % to reptiles, 6% to amphibians, 1% to unidentified animals. The second, raccoons, elk, wildcats and squirrel among mammals were occupied with 69.4% and frequencies of occurrence were shown highly in the autumn. Pheasants and Rufous turtle doves, sparrows, magpies, Scops owl among birds were occupied with 60.8% and frequencies of occurrence was shown highly in the summer. Asian Tiger Snake, Steppe Rat Snake, yellow-spotted serpent, Agkistrodon blomhoffi brevicaudus among the reptile were occupied with 84.2% and frequency of occurrence was shown highly in the autumn. Red-bellied frog and bull frog of amphibians were occupied with 82.3 % and frequency of occurrence was shown highly in the spring. The third, endangered wild animals were occupied with 5.7% of total, there were mainly otters(a Class Ⅰ), wildcats (a Class II), owls(a Class II), eagle owl(a Class II), etc. Natural monuments were occupied with 2.3% of total, there were mainly kestrel(Number 323-8) and scops owls(Number 324-6). Protected species were occurred in the 34 line where has many habitats, it was found at structure of road which no safety facilities for wild animals have. The forth, probabilities of roadkill were appeared that were 20.1 numbers at nation road, 19.2 numbers at state support prefectural road and 17.8 numbers at local raod, the wider roads were, the faster design speed was, there tended to show highly. Probabilities of roadkill according to road width were occurred 53% at 2 lane and 43% at 4 lane. Probabilities of roadkill to Mammal were shown to 47% at 2 lane and 53% at 4 lane, probabilities of roadkill to birds were shown to 40% at 2 lane and 60% at 4 lane. Probabilities of roadkill to reptiles and amphibia were generally shown to 2 lane. It was shown that case of no center divider was 55.3%, case of center divider was 44.7%. If there was center divider, albeit a little appeared to be effective. depending on gradient of road, there were shown to 77.3% at flatland, 20.9% at upward slope of road, 1.8% at downward slope of road. The fifth,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 of road, there were appeared that elk and jackrabbit which live in mountainous district were occupied mainly with 26%, wildcats which live in farming land were occupied mainly with 26%, weasels and raccoon which live in mountainous district and farming land were occupied mainly with 21%, weasels and raccoon which live in river were occupied with 9.8%. The sixth, there were shown to 19.8% in spring, 32.7% in summer, 30.4% in autumn, 17.1% in winter by season. Night appeared a little higher 52.3% than daytime was 47.8% by period of occurrence. These results were believed that road design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of breeding season and growth season in the department to create or manage the road until now.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moving habits for feeding activity, growth, the environment and habitat territory of animals that living in flatland, mountains and river corridors, it needs policy to make the design principle of ecological paths. Proposals were, the first, that wild animals live in flatland, mountains and river, have characteristics on moving into feeding activities and breeding. Probability of roadkill was generally high in summer and autumn, probability of roadkill of raccoons, wildcats, jackrabbit and weasels, etc of small mammal was 83.9%, probability of roadkill of elk of middle and large mammal was 16.1%, most small mammal have high probability of roadkill. Tunnel type and channel type of ecological paths which small mammals are easily movable appeared to more effective than overhead bridge type of ecological paths, it was confirmed that roadkill was little in the interval where center divider were type of defilade. Therefore, the interval where roadkill frequently occurred was replaced by type of defilade of center divider, or planted dense shrub in the upper and bottom of crash barrier, wild animals did not let opposite situation know, by reducing rate of road crossing attempt, it expects to reduce roadkill. The second, so as to decide minimum installation regulation of reduction facilities about occurrence of roadkill for wild animals, there was occupied to 90.5% that separation distance to mountain was average 165m, less than 300m in the place of occurrence of roadkill. Therefore, case of road abutting on the mountain, they installed inducement fence of the above minimum 300m at the foot of mountain, and then, if there were installed tunnel type and channel type of ecological paths for movement of small mammals in the middle of inducement fence and mountain, there expect to 최근 로드킬로 인한 2차 교통사고의 유발 책임이 도로관리청에도 일부 있다고 법원에서 판결했고 이에 로드킬이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로드킬로 인한 인적피해 및 2차 교통사고 그리고 중․대형 포유동물에 의한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예가 많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국도 8개노선 13개구간, 국가지원지방도 4개노선 5개구간, 지방도 3개노선 3개구간 총 560㎞에 발생한 로드킬 수를 조사하여 마리수/㎞, 마리수/ha로 표준화 하였다. 표준화된 자료는 도로로 인하여 발생하는 생태계 단절유형, 환경조건, 생태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을 설정하여 차이분석을 실시하고 로드킬 저감을 위한 시설물설치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결론과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은 첫째, 로드킬 수는 2010년에 166건, 2011년에 224건, 2012년에 270건 등으로 급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그 이후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었다. 분류군별로는 포유류가 전체의 51%로 가장 많은 치사율을 보였고, 조류 31%, 파충류 11%, 양서류 6%, 미동정 1%순으로 발생하였다. 둘째, 포유류 중에는 너구리, 고라니, 족제비, 삵, 멧토끼, 다람쥐가 69.4%를 차지하였고 가을철에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조류 중에는 꿩, 멧비둘기, 참새, 까치, 소쩍새가 60.8%를 점하였고 여름철에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파충류 중에는 유혈목이, 누룩뱀, 능구렁이, 살모사가 약 84.2%를 점하였으며 가을철에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양서류 중에는 무당개구리, 황소개구리가 약 82.3%를 점하였고 봄철에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셋째, 멸종위기야생동물은 전체의 5.7%를 차지하였고 수달(Ⅰ급), 삵(Ⅱ급), 올빼미(Ⅱ급), 수리부엉이(Ⅱ급) 등이 주종을 이루었다. 천연기념물은 체의 2.3%를 차지하였고 황조롱이(323-8호), 소쩍새(324-6호)가 주종을 이루었다. 보호종들은 서식처가 많은 34호선에서 대부분 발생하였고 도로구조상 야생동물 보호시설이 없는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넷째, 10km 당 로드킬 확률은 국도가 20.1마리, 국가지원지방도 19.2마리, 17.8마리로 나타나 도로 폭이 넓고 설계속도가 빠를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도로폭에 따른 로드킬 확율은 2차선에서 53%, 4차선에서 43%가 발생하였다. 포유류는 2차선에서 47%, 4차선에서 53%로 나타났으며, 조류는 2차선에서 40%, 4차선에서 60%로 나타났다. 파충류와 양서류는 대부분 2차선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분리대가 없는 경우 55.3%, 있는 경우 44.7%로 나타나 분리대가 있으면 조금이나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 구배에 따라서는 평탄지 77.3%, 오르막 20.9%, 내리막 1.8%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로의 환경조건에 따라 산지형에서는 고라니 멧토끼가 주종으로 26%를 점유, 농지형에서는 삵이 주종으로 43.2%를 점유, 혼합형에서는 족제비 너구리가 주종으로 21%를 점유, 수계형에서 9.8%로 나타났다. 여섯째, 계절별로는 봄 19.8%, 여름, 32.7%, 가을 30.4%, 겨울 17.1%로 나타났으며, 발생시간대별로는 야간이 52.23%로 주간 47.8%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도로를 만들거나 관리하는 부서에서 번식기와 육아기의 환경 등을 고려하지 못한 도로설계에 있다고 생각된다. 평지·산지·강변에서 생활하는 동물의 서식지 영역과 환경, 먹이활동이나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 습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생태통로 설계지침을 만들어서 정책화 할 필요가 있다. 제언은 첫째, 야생동물은 평지·산지·강변 등에서 서식하며, 먹이활동이나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름과 가을에 로드킬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소형포유류인 너구리, 족제비, 삵, 멧토끼 등이 83.9%, 중·대형포유류인 고라니 16.1%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소형포유류가 로드킬 당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육교형 생태통로보다는 소형 포유류가 이동하기에 용이한 터널형 및 수로형 생태통로가 국도에서는 더 효율적으로 보여지며, 중앙분리대가 차폐형인 구간에서는 로드킬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로드킬 발생이 빈번한 구간은 차폐형 중앙분리대로 교체를 하거나 가드레일 상․하부에 관목을 조밀하게 설치하여 야생동물이 반대편 상황을 알 수 없게 하여 도로 횡단 시도율을 줄임으로써 로드킬을 저감하기를 기대한다. 둘째, 야생동물 로드킬 발생 저감시설의 최소 설치 규정을 정하기 위하여 포유류 로드킬 발생지점에서 서식지와의 이격거리는 평균 165m이고, 300m미만에서 90.58%를 점유하였다. 따라서 산지에 접합한 도로의 경우 산자락에서 최소한 300m이상의 유도 울타리를 설치하고 그 중간에 소형 포유류 이동을 위한 터널형 및 수로형 생태통로를 설치하면 소형포유류의 로드킬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환경부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에 이 항목을 추가하여 좀 더 유도울타리 설치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육교형 생태통로 설치시에는 환경분석 단계에서부터 서식동물들의 이동통로를 확보하여 생태축을 조성하고 생태축의 위치와 높이에 맞게 터널을 조성하여 기존동물들의 이동통로

      • 대학 유형별 특성에 따른 그린캠퍼스 조성에 관한 연구

        임명수 대구한의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study has set a scope of research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green house inventory at universities, carbon emission reducing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low carbon green campus according to the type of universities by specifically targeting 15 universities selected as schools proceeding 'low-carbon green campus'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were referred sub-dividing the survey questionnaires in four areas regarding the low-carbon green campus (green management, green human resource cultivation, establishment of green campus, and practice of green life) and two areas on the improvement of sustainability for promoting the green campus and a degree of establishment of inventory. In addition, types of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establishment (private and public), location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areas), and the scale in the number of people (small scale, med-scale, and large scale). Research tasks to be deriv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contents scope in the study are ① to analyze four areas and two sectors from the result of survey for promoting the sustainable low-carbon green campus and suggest plans for activation. ② It is also to procee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survey answers in each type of universities an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and also multiple regression of emission amount in each category of green gas and pure amount of emission. In addition, it is also t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the future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green gas at universities and goals in reduction through the analysis on difference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applying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③ It is to raise the importance of afforestatio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total emission and pure emission amount in terms of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ith green house emission amount and carbon absorbing amount in forest and also analyze the economic profit of afforestation from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inventory of forest and goals in reducing the green gas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ve source of emission in other issues on green ga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 (Ver. 3.1.1).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fference on the values from survey an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four areas of activities (green management, green human resource cultivation, establishment of green campus, and practice of green life) and two areas (a degree of establishment of inventory and improvement of sustainability) in each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location, and size),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However, strategies in the difference of each specific area and practice programs shall be supplemented. However, P-value was turned out to be 0.021 in the analysis on survey answers from 'necessity of additionally expanding the green campus' in the area of improvement for sustainability. Hereupon, a conclusion was made representing that universities are recommended to play a leading role in climate changes and energy reduction and diffusing it to the whole nation after the business of government support on low-carbon green campus on both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on a steady basi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n the green management, green human resource cultivation, establishment of green campus, a degree of establishment of inventory, and improvement of sustainability, all the them were positively related representing a significant P values in the <IV-3.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criteria applied on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on each university, area, sector, and year, universities with less average score on the establishment of green campus based on the criterion of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each year were turned out to have relatively high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average score of establishment for inventory and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P-values were significant on the criterion of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each year. Therefore, the universities with higher average score of establishment for inventory were turned out to have relatively less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related to the only source of absorbing the carbon, the forest, P-values were significant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existing amount of carbon emission on per-head forest area and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that universities with less amount of carbon emission on per-head forest area were said to have less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each university, area, sector, and year, universities with lower average score of establishment for inventory on the criterion of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2011 were turned out to have higher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2011. In addition, universities with lower score on sustainability based on the criterion of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in 2007 were turned out to have higher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② Significant result on the amount of emission in each category of university, type, and green gas and also 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ure amount of emission has a similar order on the weight of category-based source of emission for green gas in each university. In details, it was significantly recorded in a descending order of large scale, med-scale, and small scale in terms of the number of members. The amount of emission from the category was recorded significantly in a 본 연구는 환경부 주관 ‘저탄소그린캠퍼스’ 추진 대학으로 선정된 15개 대학을 대상으로 대학 유형별 특성에 따른 지속가능한 저탄소 그린캠퍼스 조성과 대학 온실가스 인벤토리 현황과 감축활동을 중심으로 연구범위를 설정 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참고하고 저탄소 그린캠퍼스 활동 관련 4개 부문(녹색경영추진, 녹색인재양성, 녹색교정조성, 녹색생활실천)과 인벤토리 구축 정도, 그린캠퍼스 활성화를 위한 지속가능성 제고에 대한 2개 영역의 설문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대학 유형은 설립별(사립, 국공립), 지역별(수도권, 지방권), 인원규모별(소규모, 중규모, 대규모)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 및 통계 분석에서 도출할 연구과제는 ① 지속가능한 저탄소 그린캠퍼스 활성화를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4개 부문별, 2개 영역별로 통계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② 대학 유형별 설문 값과 온실가스 탄소배출량과의 상관분석 및 온실가스 카테고리별 배출량과 순 배출량과의 다중회귀 분석을 하고 탄소배출량 적용 기준에 따른 차이분석 및 상관관계 검정을 통해 대학의 온실가스 구축 정도 및 감축목표를 시스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미래 정보를 제공하고 ③ 온실가스 배출량과 산림의 탄소 흡수량과의 인과관계를 총배출량과 순 배출량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산림조성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온실가스 기타항목의 대표 배출원을 기준으로 산림의 식재효과와의 비교 분석 및 온실가스 감축량 목표에 따른 산림 조성의 경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Ver 3.1.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대학 유형별(설립, 지역, 규모) 4개 활동 부문(녹색경영, 녹색인재양성, 녹색교정조성, 녹색생활실천)과 2개 영역(인벤토리 구축 정도, 지속가능성 제고) 설문 값의 차이 및 상관 분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부문별, 세부분야별 차이에 대한 전략 방안 및 실천 프로그램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지속가능 제고 영역의 '그린캠퍼스를 추가 확대할 필요성' 설문 값 차이분석에서는 P값이 0.0210로 나타나 국공립 및 사립대학 모두 저탄소 그린캠퍼스의 정부지원 사업이 지속적으로 지원되어 대학이 기후변화 및 에너지 절감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여 범국가적으로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Ⅳ-3. 탄소배출량 적용 기준에 따른 차이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녹색경영, 녹색인재양성, 녹색교정조성, 녹색생활실천, 인벤토리 구축 정도, 지속가능성 제고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P값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별, 부문별, 영역별, 연도별 총 탄소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연도별 총 탄소배출량 기준으로 녹색교정조성 평점 점수가 낮은 대학일수록 총 탄소배출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벤토리 구축 평점과 총 탄소배출량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각 연도별 총 탄소배출량 기준으로 P값이 유의하여 인벤토리 구축 평점 종합점수가 높은 대학은 총 탄소배출량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일한 흡수원인 산림 관련 통계분석에서는 1인당 산림면적 기준 탄소배출량과 총 탄소배출량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P값이 유의하여 1인당 산림면적 기준 탄소배출량이 적은 대학은 총 탄소배출량이 적은대학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대학별, 부문별, 영역별, 연도별 총 탄소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1년 총 탄소배출량 기준으로 인벤토리 구축 평점 종합점수가 낮은 대학일수록 2011년 총 탄소배출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2007년 총 탄소배출량 기준으로 지속가능성 점수가 낮은 대학일수록 총 탄소배출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 대학별, 유형별, 온실가스 카테고리별 배출량과 순 배출량과의 다중회귀 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는 대학별 온실가스 카테고리 배출원의 비중에 따른 순위가 흡사하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인원규모에서는 대규모>중규모>소규모 순으로 유의하였고 카테고리에 따른 배출량은 전력>고정연소>폐기물>열>이동연소>수도>탈루>농축산>폐기물>산림 순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접 및 간접 배출량의 카테고리별 분석을 통한 대학의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설정과 연계하여 원인에 따른 합리적 대안을 찾아가는 통제관리가 필요하다. ③ 탄소배출량 적용 기준에 따른 차이분석 및 상관관계 통계 검정 결과, 총 탄소배출량 기준에서의 유의한 연구 결과로는 소규모 대학일수록 탄소배출량이 낮으며 녹색경영, 녹색인재양성, 녹색교정조성, 녹색생활 실천 별로 그린캠퍼스를 고루 경영함으로써 인벤토리 구축과 지속가능한 그린캠퍼스를 조성 할 수 있다. 그리고 녹색교정조성이 잘 될수록 인벤토리 구축에 대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벤토리 구축이 잘되어야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산림 면적이 넓을수록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지속가능성 제고에 대한 열망이 높아야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 태양광 발전소 부지의 식생관리에 관한 연구

        김미경 대구한의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ppropriate trees and herbaceous plants for the site boundary, small end, slope and other planting sites of the solar power plant,Vegetation, soil chemistry, temperature and flora investigation, and suggested the management of vegetation management on the sites of each solar power plant.In addition, based on the survey data of the solar power plant selected as the study area, appropriate method for the solar power plant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suggested Solar power plants selected four solar power plants located in Gyeongsangbuk-do as the target of this study. In-situ surveys of solar power plants were conducted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season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the land. Since the solar power plant is built in a relatively gentle place, large-scale slopes do not occur, but slopes and slopes that occur inevitably occur. Shrubs should be planted at the boundaries of the temple and foothills to prevent sunlight from interception.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ypes, we should plant the shrubs that meet the optimal conditions. In general, many shrubs such as sari, azalea, dukjung, and sancho are living in Korea. In the section of slope and embankment,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plant was more severe than that of the lower part of the solar panel, and the species inhabited on the slope and embankment was similar, but the coverage was considerably low and it was aimed at greening by simple transition and various methods such as artificial soil It is judged that construction is required. The photovoltaic power plant blast furnace slope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flat part because the survival rate of the plant is remarkably low during the dry season and the slope of the power plant i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bout 1/4 in the flat part. It is desirable that the plants that plant or sow plant herbaceous plants and grow on poor soil should plant or sow plants such as broad-leaved plants, thick dandruff, crustaceans, fowl of chickens, wolves, dandelions, and fur. Since the slope of the solar power plant is non-shading, it is suitable to select the plant which is suitable for the sunny soil, has the good rooting ability, and is excellent in the geotextile which can prevent the soil leaching, and should be planted considering the soil. The growth rate of the seedlings was 10, 29, 4, 12, and 12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native plants after 3 months, It is estimated to increase a lot. In addition,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water spraying facilities and drainage facilities are needed to maintain stable growth of other plants. For the lower part of the solar power plant, a suitable plant should be selected. First, it is right to select natural dominant species with strong vitality. It is best to plant or plant herbaceous plants in the lower part of the solar power plant where the mass of soil is dominant among the constituents of the photovoltaic power plant, and it is best to plant or sow thick and thick plants, molluscs and paddy plants appear. Since these herbaceous plants are plants that grow in the barren land, they are dominant in nature and stronger than other species. In general, it is considered that it is important to select vegetation with good geotrophic properties as a lower vegetation in consideration of shade and saturation. In addition to the dominant species suitable for environment such as soil, humidity, and climate in the area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oil erosion, erosion prevention, control of microclimate, control of microclimate, intellectual effect and protection effect after forming solar power plant, , Cicada flowers, layered flowers, fenugreek, Sasa borealis, pike riding, asteraceae plants and lily plants, and the choice of species should be chosen to suit the local environment. In addition, additional facilities are needed to maintain the growth of plants and solar power plants by installing water spraying facilities and drainage facilities for heavy rainfall in case of long-term rainfall. Solar power plants are installed in nature such as forests, and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m in case of special situation such as germination of shrubs and shrubs. Therefore, it is easy to manage the solar panel subsurface vegetation, but it is necessary to use eco-friendly lawn mower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management path of the manager. For the management of the vegetation of the site of the solar power plant, it is easy to manage by the natural method by the natural transition, so it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method and technology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소를 조성 할 때 발생하는 태양광 발전소의 절·성토사면의 부지경계부, 소단부, 사면부 및 기타 식재구역에 적정한 수목 및 초본류 선정을 하였고, 태양광 발전소 하부면의 기반식생, 토양의 화학성, 온도조사 및 식물상 조사 등을 조사하였으며 태양광 발전소별 부지의 식생관리에 관해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된 태양광 발전소를 대상으로 현장을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소에 적절한 공법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태양광 발전소는 경상북도에 위치하고 있는 4군데 태양광 발전소를 이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고, 태양광 발전소별에 대한 현장 조사는 동절기와 하절기에 답사하여 조사하였으며, 현장을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소의 부지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태양광 발전소는 비교적 완만한 장소에 건립되므로 대규모 사면은 발생하지 않으나, 조성 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절·성토사면이 발생한다. 절·성토 부지경계부에는 햇볕의 차단을 막기 위한 관목류를 식재하여야 한다. 다양한 제반의 특성과 유형을 살펴본 후 이에 최적의 조건에 맞는 관목류를 식재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인 관목류는 싸리, 진달래, 철죽, 산초나무 등으로 많은 관목류가 우리나라에는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성토 사면부는 태양전지판 하부에 비하여 식물생육환경이 더 혹독하여 절·성토 사면부에 서식하는 수종은 비슷하였으나, 피복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단순 천이에 의한 녹화는 지향하고 인공 토양 등 다양한 공법에 의한 시공이 필요 한 것으로 판단된다. 태양광 발전소 절·성토사면은 건기 시에 식물의 생존율이 현저히 떨어져서 기준공된 발전소의 피복도는 평지부에 4분의 1정도로 현저하게 차이가 나며, 우기 시에는 토사유출로 사질화 현상이 발생하므로 초본류를 식재 또는 파종하고 척박한 땅에 자라는 식물이 잎이 넓은 식물이나 두꺼운 비듬, 돌나물, 닭의 장풀, 양지꽃, 서양민들레, 김의털 등의 식물을 식재 또는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 발전소의 사면은 무차광이므로 양지에 적합하고, 뿌리 활착이 좋고, 토사유출을 막을 수 있는 지피성이 우수한 식물을 선정하는 것이 적합하고, 토성을 고려하여 식재하여야한다. 자생지피식물인 기린초, 땅채송화, 좀씀바귀, 꽃향유 등은 피복도가 3개월경과 후 식재 시 면적의 각각 10배, 29,배, 17배, 12배로 증가하여 다른 광환경에 생육한 것에 비해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그 외 식물의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살수시설 및 배수시설 등의 부대시설이 추가로 필요하다. 태양광 발전소 하부에 대해서는 적합한 식물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먼저 생명력이 강한 자연적 우점종을 선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태양광 발전소 조성 후 토질의 성분 중에 마사가 많은 비중이 차지하는 태양광 발전소의 하부에는 초본류를 식재 또는 파종하는 것이 좋고 잎이 넓고 두꺼운 식물과 사초과식물, 벼과식물 등을 식재 또는 파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초본류는 척박한 땅에 자라는 식물이므로 타 수종에 비하여 생명력이 강하여 자연적으로 우점하고 있고, 추가적으로 침식방지의 지피식물을 선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뿌리 활착이 좋아서 토사유출을 막고, 지피성이 우수한 식물을 선정하여 음지 및 토성을 고려한 하부식생으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태양광 발전소 조성 후 흙날림방지, 침식방지, 서릿발방지, 미기후의 조절, 지적효과, 보호효과 등 기타 안정적인 관리를 위하여 그 지역의 토질, 습도, 기후 등의 환경에 적합한 우점종외에 지피식물은 노루오줌, 매미꽃, 층꽃나무, 패랭이, 사사조릿대, 눈개승마, 국화과식물 및 백합과의 식물 등이며, 수종의 선택은 그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것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간 비가 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살수시설과 폭우를 대비한 배수시설 등을 설치하여 식물의 생육과 태양광 발전소를 유지하기 위한 부대시설이 추가로 필요로 한다. 태양광 발전소는 임야와 같은 자연에 설치가 되어 교목류, 관목류의 종자가 발아되어 서식하는 등 특수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즉시 제거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가 하고 태양광 발전소의 환경에 적절한 초본류를 선정하여 관리하므로 태양전지판 하부식생의 관리는 손쉬우나 관리자의 관리통로를 확보해야할 경우 한하여 친환경적인 제초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태양광 발전소의 부지의 식생관리를 위해서는 자연천이에 의한 자연적인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관리가 손쉬우므로 향후 새로운 공법과 기술의 개발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기후요인이 송이생산에 미치는 영향분석

        권오웅 대구한의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was purposed to find effectiv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plan of producing area of tricholoma matsutake, being analyzed and investigated data about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for increased output, ecology of tricholoma matsutake and production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in Gangwon area 6, Gyeongbuk area 7 and Gyeongnam area 1 where were a lot of production and chief producing district of Korea tricholoma matsutake, after figuring out relevance of climate factor and production. Data of research utilized to collect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and by grade production from 2006 to 2015, data of joint marketing in forest association of each city and county which were producing tricholoma matsutake and meteorological data of temperature(maximum, average, minimum), humidity, precipitation, etc.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Survey data was analyzed that difference of production period by region, by month, by year and climate factor were influenced on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using average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SPSS Program packag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production of Korean tricholoma matsutake appeared to be producted 0.7% in August, 38.6% in September, 48.1% in October, 12.7% in November. In August, the temperature was suddenly lowered, if effective stimulation temperature was given, it was also the case that tricholoma matsutake could grow from August, but those amount was not much. Hypha grew up, tricholoma matsutake became, it is called autumn tricholoma matsutake. It was most which grew from early September to mid-October. Production days of Korean tricholoma matsutake showed up 27.8 average annual days, annual production days were no difference by year(F = 1.047, P = 0.403). The second, tricholoma matsutake grew up the whole area of Korea in the Yi dynasty, but its area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Recently, tricholoma matsutakes were mainly grown around the Mountains Taebaek and Mountains Sobaek. In the early 1970s, purchase of tricholoma matsutake was formed to Gyeonggi-do(Gapyeong, Gwangju), Chungcheongnam-do(Yesan), Jeollanam-do(Damyang, Hampyeong, Hwasun), but tricholoma matsutake's purchase has not been formed in these regions at present. In 2000∼2005, compared to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by the province, Gyeongsangbuk-do occupied about 65% of national production and about 27% Gangwon Province, more than 90% is confined to these regions. Production of chief producing district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n could count Yeongdeok, Uljin, Bonghwa of Gyeongsangbuk-do, Yangyang and Samchuk of Gangwon, but since 2006,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of Gangwon Province decreased rapidly, it could be seen to reduce to Yeongdeok, Uljin, Bonghwa and Pohang of Gyeongsangbuk-do. Its annual ranking chang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rainfall of relevant year, it resulted in territory of production region of tricholoma matsutake to forest fire demage of major chief producing district of 3.76ha Goseong(1996) forest fire and 23,794ha Donghea coastline forest fire(2000). In addition, it could analyse to be due to recent change the climate factors of global warming, etc. The third,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 showed up to average annual 219.0 tons, it was large difference by year(F = 3.027, P = 0.003). It was the most production to 628.3 tons in 2010, there were order of 409.8 tons in 2012, 275.9 tons in 2006, 231.6 tons in 2015, 184.6 tons in 2014, 103.0 tons in 2013, 98.0tons in 2008, 85.7 tons in 2011, 59.1 tons in 2009. During the research period were many of the most production, production of 2010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the annual average, production of 2012 was approximately two times the annual average, production of 2009 was approximately 1/8 times the annual average, etc, it showed a very significant difference by year. These differences were estimated to be closely related to temperature, humidity and precipitation, there were many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which typhoon in 2010 and 2012 dealt particularly heavy blow production region of tricholoma matsutake, it was consistent with decreasing rapidly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n 2009 when typhoon was not. Monthly production was the highest to 48.1%(254.0 tons) in October, was produced the order of 38.6%(204.0 tons) in September, 12.7%(66.9 tons) in November, 0.7%(3.4 tons) in August.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make from August to November, but the amount was very small,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nthly(F=7.696, P= 0.000). The forth, the more the amount of rainfall was,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n regard to climate has increased, if the temperature of June was extremely high or extremely low,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tended to reduce. There was a lot rainfall in August, the higher temperatures was, the amount of production was increased. The more the days and the amount of rainfall were in September, the amount of production was increased. And, year held highly the lowest temperature of September showed a tendency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As in the case of 2009, when rainfall was extremely lacking in September, there were the worst harvest. In inside and outside of the minimum temperature 19℃, hypha of tricholoma matsutake were stimulated to temperature, after the formation of the vigor, the minimum temperature re-raised, if there was over 30℃, hypha weak to temperature were annihilated, failure of crop had became due to disorder of high temperature, a lot of tricholoma matsutake damaged by insects has producted, there also showed a tendency of falling quality. The fifth, annual mean temperature of production region of tricholoma matsutake was range of 10.8℃∼14.0℃, the amount of rainfall was range of 1000m∼1400m, t

      •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정지현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655

        Since urban parks, the products derived from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policy, the urban planning provide services for urban residents, each of the presence of accessibility according to a distribution of parks and an equitable distribution of urban park services is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acceptances of public service benefits and establishing the planning and executing the policy, resp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ve equity i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planning stage of urban parks, supply adequacy at the use stage and expandability at formation stage, in order to empirically review and analyze whether urban park services are equitably distributed around 8 autonomous districts/counti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by considering local population and service users at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investigate an alternative to contribute to th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by drawing factors that affect the equity. It defines th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as the 'righteous distribution based on market equity principle according to which there should be no division between one class receiving benefits of services and other alienated class, by observing principle of equal freedom and equal opportunity. First, it examines equality of locations by using an urban management scheme and statistical data and conducting an analysis of accessibility around areas where urban parks are determined to be formed, in order to explore alienated areas. Second, it examines the equity of supply, in order to find areas benefited from urban park and understand quality of urban park service benefits, by analyzing supply adequacy. Third, it examines formation potentials around unexecuted park areas, in order to inquire the equity of urban park formations. Moreover, some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butive equity are examined based on the finding and variables that influence inequity are selected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equity variable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of them, through standardization. The ANOVA is conducted to verify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lected variables and the Scheffe Test, a post-hoc test is also implemented. From the analysis, following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the average service area ratio of urban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84.5% and that of alienated areas is 15.5%. Among a total 139 administrative dongs, the number of those in which alienated areas are distributed is 83(60.4%) and that of others where there no such areas is 55(39.6%). Second, although the whole area in which park services are provid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20,881,059㎡ which is higher than 14,926,974㎡, the legal requirement, the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shows that the autonomous district in which the service area per capita fulfills the legal requirement is Namgu and most of autonomous districts have few service area. From an analysis of the supply adequacy by administrative district, it is found that there are large variations. In addition, the evaluation index of supply adequacy in an administrative dong where there is no park is sometimes high, suggesting the distributive inequity of parks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ird, the autonomous district with the highest ratio of unformed parks in Deagu Metropolitan City is Seorogu (53.8%), followed by Junggu (52.6%), Donggu (47.8%), Dalseonggun (43.8%), Namgu (37.9%), Bukgu (35.3%), Suseonggu (33.3%), and then Dalseogu (9.9%) with the lowest ratio of them. The average ratio of all unformed parks is 34.3%, due to lack of a budget for park formations. Fourth,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supply adequacy enough to achiev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The findings show that area of park service, the number of people by administrative dong and population density by administrative dong have effects on the supply adequacy. Thus, this study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When dense residential complex is constructed, the ratio of legal landscape area, which has been stipulated as 15% of plottage, should be replaced with that of area per capita. It is necessary to set entire urban greenspace quantity by introducing the No Net Loss of Green. The unformed park areas should be removed or formed, depending on the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A plan for forming parks and promoting residents' participations should be designed by introducing object tax for the insufficient budget. In addition, park security and budget plan for old city should be included in developmental plan for new city, and infrastructure decision system of comprehensive urban plan should be also introduced to secure parks at old downtown areas. Finally, some policies for interconnections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Long Range Urban Planning and Urban Manage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e results of achieved distributed equity of urban parks will b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k policies, such as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in the future. 도시공원은 도시계획이라는 정책의 의사집행과정 결과로 도시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원 배분에 따른 접근성 유무는 공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혜택의 수혜여부를 결정짓는데,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있는 배분은 계획수립 및 정책 집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8개 자치구․군을 중심으로 도시공원 서비스가 지역인구 및 행정구역 단위의 이용자를 고려할 때 형평성 있게 분배되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분석을 위해 도시공원 계획단계에서의 입지성, 이용단계에서의 공급적정성, 공원조성단계에서의 확충성에 대한 분배적 형평성을 모색하였다. 특히, 형평성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평등한자유의 원칙과 공정한 기회균등의 원칙에 따르고 서비스의 혜택을 받는 계층과 소외된 계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시장형평성 원칙에 따라 정의롭게 분배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평가하였다. 가장 먼저 서비스소외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공원결정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관리계획도 및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접근성분석을 시행하여 입지의 형평성을 알아보았고, 두 번째는 도시공원의 서비스 혜택지역을 알아보기 위해 공급의 형평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도시공원의 공급적정성 분석을 통해 도시공원 서비스 혜택의 질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세 번째는 도시공원의 공원조성의 형평성을 알아보기 위해 미집행 공원지역을 중심으로 조성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배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불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변수를 선정하고 표준화 방식을 통해 형평성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분배적 형평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고 샤페검정(scheffe test)법을 통해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구시 도시공원의 서비스 면적비는 평균 84.5%로 나타났고 15.5%의 서비스 소외지역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비스소외지역이 분포하는 행정 동은 총139개 행정 동 중 83개 행정 동으로 60.4%로 나타났고 미 분포지역은 55개 행정 동으로 39.6%로 나타났다. 둘째, 대구시 전체 공원서비스 제공량은 20,881,059㎡로 법적요구량인 14,926,974㎡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인구 1인당 서비스면적이 법적요구량에 충족하는 자치구가 공급적정성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매우부족현상을 보였고 행정구역별 공급적정성을 살펴보았는데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원이 없는 행정 동에서 공급적정성 평가 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행정구역별 공원의 불 형평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대구시 미조성 공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자치구는 서구로 53.8%의 미조성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중구가 52.6% ,동구 47.8%, 달성군이 43.8%, 남구 37.9%, 북구 35.3%, 수성구 33.3%, 달서구가 가장 낮은 9.9%의 비율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미조성율은 34.3%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는 공원조성 예산의 부족으로 인한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실현을 위한 공급적정성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공원서비스면적, 행정 동 인구수, 행정 동별 인구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고밀도 주거단지 건설시 대지면적의 15%로 규정하고 있는 법적 조경면적의 비율은 인구1인당 면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있고 녹지총량제를 도입하여 도시의 전반적인 녹지량을 설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미조성 공원지역은 공급적정성 평가를 통해 해제 내지는 조성을 하여야하며, 이때 부족한 예산은 목적세를 도입하여 공원을 조성하고 주민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한다. 또한, 신도시 개발계획에 구도시 공원확보계획 및 예산계획을 일부 포함시켜야 하고 구도심지역의 공원 확보를 위해서는 입체적 도시계획시설 결정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원녹지기본계획과 도시장기개발계획 및 도시관리계획이 서로 연계되고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러한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실현을 위한 결과는 앞으로 도시공원녹지기본계획 등의 공원정책수립 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자연휴양림의 유형별 관리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상제 대구한의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55

        자연휴양림의 조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증가하는 추세로 산림의 휴양·레져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점차 중시되고 있다. 그러나 산림휴양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도 자연휴양림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자연휴양림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어 조성 목적에 부합될 수 있도록 각 유형별 자연휴양림의 관리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발여건과 조성규모, 지리적 위치, 자연의 특성 등 입지분석과 숙박시설, 편익시설, 체험· 교육 및 체육시설, 위생· 전기· 통신· 안전시설 등 시설분석 그리고 국가운영, 광역 · 기초지자체운영, 개인 · 사법인운영 등 유형별 관리운영 분석을 통해 자연휴양림에 대한 관리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운영중인 139개소의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국유자연휴양림, 공유자연휴양림, 사유자연휴양림으로 구분하여 입지관련 자료, 시설관련 자료, 관리운영관련 자료를 SPSS Program을 통해 집단간 평균비교, T분석, F분석, 빈도분석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실시하였고, 자연휴양림의 유형별 관리운영 실태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자연휴양림의 평균면적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국유자연휴양림이 2,749ha, 공유자연휴양림은 230ha, 사유자연휴양림은 98ha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은 923ha이다. 국유자연휴양림의 평균면적은 공유자연휴양림의 12배, 사유자연휴양림의 28배로 면적에 있어서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F=18.395, P=.000). 자연휴양림의 입지로 대표할 수 있는 평균표고는 국유자연휴양림이 470m로 가장 높았고, 사유자연휴양림은 393m, 공유자연휴양림은 348m의 순으로 나타났다(F=6.654, P=.002). 전체평균은 387m이다. 지리적 위치에 따른 분류를 하면 국유자연휴양림은 산간오지형, 사유자연휴양림은 도시와 산간 중간형, 공유자연휴양림은 도시근교형으로 조사되었다. 방위는 북서향이 33개소, 남동향이 25개소, 남서향이 24개소, 북향이 17개소, 북동 · 서향이 각 11개소, 남향이 10개소, 동향이 8개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자연휴양림의 방위는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df=14, P=.423). 숙박시설은 개소별 평균수량이 사유자연휴양림은 23실로 가장 많았고 국유자연휴양림은 21실, 공유자연휴양림은 20실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F=.991, P=.374). 그러나 가동률은 유형별 자연휴양림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최근 4년간 변화 추이를 보면 국유자연휴양림은 2010년 60%에서 2013년에는 74%로 1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공유자연휴양림과 사유자연휴양림의 증가율은 각 9%와 4%로 국유자연휴양림과 비교하면 낮은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국유. 사유자연휴양림은 4년간 자연휴양림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공유자연휴양림은 15개소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국유자연휴양림, 공유자연휴양림, 사유자연휴양림 순으로 가동률의 증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편익시설의 개소별 평균수량을 보면 야영데크는 국유자연휴양림이 25개로 가장 많았고 공유자연휴양림은 19개, 사유자연휴양림은 10개의 순으로 나타났다(F=2.306, P=.104). 오토캠핑장은 사유자연휴양림이 8개로 가장 많았고 국유자연휴양림은 7개, 공유자연휴양림은 3개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F=1.499, P=.227). 체험·교육시설의 개소별 평균수량은 국유자연휴양림이 4.31개소로 가장 많았고 사유자연휴양림은 4.27개소, 공유자연휴양림은 4.07개소의 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F=.409, P=.665). 체육시설의 개소별 평균수량은 사유자연휴양림이 2.07개소로 가장 많았고 공유자연휴양림은 2.04개소, 국유자연휴양림 1.41개소의 순으로 나타났다(F=5.600, P=.005). 국유자연휴양림은 사유 · 공유자연휴양림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육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년간 이용자를 개소별 평균으로 보면 국유자연휴양림이 96,405명으로 가장 많았고 공유자연휴양림은 90,349명, 사유자연휴양림은 89,553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F=.037, P=.964). 2013년도 자연휴양림 수지현황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개소당 평균값으로 비교한 결과 수입은 국유자연휴양림이 343,545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공유자연휴양림은 289,084천원, 사유자연휴양림은 230,526천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F=1.810, P=.168). 지출은 국유자연휴양림이 462,366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공유자연휴양림은 277,613천원, 사유자연휴양림은 246,773천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10.771, P=.000). 차인액은 국유자연휴양림이 △118,821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사유자연휴양림은 △16,247천원, 공유자연휴양림은 11,470천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9.931, P=.000). 국유자연휴양림은 년간 △118,821천원의 적자운영을 하고 있었으며 3가지 유형중 가장 적자폭이 큰 것으로 조사되 The recreational forest is gradually being expanded, its demand also is being increased and the function of the forest is emphasized gradually as a recreational and leisure space. However, although the demands for the forest recreation is being increased, since the profitability of the recreational forest is getting worse and the function as a recreational forest is not carried out well enough, the research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in the recreational forest by type and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building it are need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recreational forest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such as development conditions and the scale, geographical position, characteristics of nature, etc, the facility analysis such as accommodation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experiencing, educational and sports facilities, health, electric, communication, safety facilities, etc, and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analysis by type such as the management by the state, by the metropolitan or local government, by individual or private corporation, etc.. The 139 recreational forests operated across the country were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and the data related to the location, facilities and management and oper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public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and mainly the mean comparison among the groups, T-analysis, F-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program. The study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2013 to August, 2014 and the reasonable and efficient improvement measure were suggest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recreational forest by type. For the average area of the recreational forest by type,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was 2.749ha,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was 230ha and private recreational forest was represented as 98ha and the average area was 923ha. The area of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was 12 times of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and 28 times of private recreational forest showing great difference in the area (F=18.395, P=.000). In the average altitude, which can represent the location of recreational forest,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was 470m representing highest altitude and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represented as 393m and 348m, respectively (F=6.654, P=.002) and the average altitude was 378,m.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position,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were investigated as the remote mountainous type, intermediate type between mountainous and urban types and the suburban types, respectively. For the bearing, northwest facing was 33 forests, southeast facing was 24 forests, north facing was 17 forests, northeast facing and west facing were each 11 forests, south facing was 10 forests and east facing was 8 forests and the bearing of the recreational forest by type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f=14,P=.423). In the accommodation facilities,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has average 23 rooms representing the greatest and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s were 21 rooms and 20 nrooms,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991, P=.374). However, in the operating rate, the deviation between the recreational forests by type was represented greatly and in the trend for recent 4 years, while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showed the 14% of high ncrease rate from 60% in 2010 to 74% in 2013, the increase rate of public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was 9% and 4%, respectively showing low increase rate compared to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However, while in the national and private recreational forests, almost no change was made in the number of recreational forests for 4 years, the number of public recreational forests was increased by 15 forests. Therefore, the operating rate was analyzed to higher in order of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public recreational forest and private recreational forest. In the average number of convenience facilities by forest, for the camping deck,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has 25 representing the greatest, and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have 19 and 10, respectively (F=2.306, P=.104). For the auto camping site,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has 8 representing the greatest and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have 7 and 3,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499, P=.227). In the average number of experiencing and educational facilities by forest,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has 4.31 representing the greatest,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have 4.27 and 4.07 in order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665, F=.409). In the average number of sports facilities by forest,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has 2.07 representing the greatest and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and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have 2.04 and 1.41 in order (F=5.600, P=.005).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represented to have relatively insufficient sports facilities compared to the private and public recreational forests. In the average annual number of users, the national recreational forest has 96,405 persons representing the greatest, the public recreational forest and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have 90,349 persons and 89,553 persons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037, P=.964).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verage income and expenditure by type in 2013, for the income, the national recreat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