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장이식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지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신장이식인의 이식 후 겪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완충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 신장이식인의 건강한 사회복귀를 위해 의료사회사업서비스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외래에 정규적으로 진료를 받는 신장이식인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최순희가 사용한 일상생활 스트레스척도, 남석인이 사용한 이식스트레스 척도, Radloff의 우울척도, Cohen & Hoberman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되는 자료는 SPSS 10.0 Packag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장이식인의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본 결과 17문항으로 구성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평균 5.11, 12문항으로 구성된 이식 스트레스는 평균 5.66으로 나타났으며 이식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장이식인의 우울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평균 우울정도는 18.7점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Radloff가 CES-D의 척도에서 제시한 임상적 우울이 나타나는 16점 이상이므로 신장이식인의 우울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장이식인의 사회적 지지수준은 전체 평균이 5점 척도 중 3.53으로 보통 보다 다소 높았으며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자존감지지 순으로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장이식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인 소속감·정서적 지지와 자존감지지 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첫째,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에 주목해 일정 수준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대응전략을 향상시킬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 사회사업적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완충효과를 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위해 사회적 지지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지 자원의 개발과 지지 자원간의 상호 교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 지지 하위 차원 중 소속감·정서적 지지와 자존감지지 향상을 위해 자조모임, 자원봉사자 연계, 자아성장 프로그램과 같은 사회사업적 실천 서비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적극적이고 활발한 의료사회사업 실천 개입을 위해서는 제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kidney-transplanted patients stress on depression after their operations and identifies the social supports buffering effects on stress and depression. Also this paper suggests medical social work to kidney-transplanted patients back to the socie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6 kidney-transplanted patients who received regular follow up treatment in the Out patient department. The measurement of the survey was stress related to daily life scale which used by Choi sun hee,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scale which used by Nam seok in, Radolff's depression scale, Cohen & Hoberman's social support scale. The survey information was analyzed by SPSS 10.0 Package. First, this research is showing that the degree of Kidney-transplanted patients post-operation stress is higher than their daily stress. The following data supports this fact - the level of daily stress is 5.11 out of 17, and the later is shown as 5.66 out of 12. Next, the average point of kidney-transplanted patients depression degree comes out as 18.7 from this research. Since Rodloff suggested that 16 points is the clinical depression degree based on the CES-D scale, this figure 18.7 represent that the patients stress degree is higher than ordinary people. Thirdly, the social support for Kidney-transplanted patients is shown as 3.53 out of 5, and this numerical value is above the mediocrity. The patients recognize the social support with the order of tangibl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support. Fourth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stress and depression, this paper presents stress effects negatively on the depression. Lastly, the buffering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between kidney-transplanted patients stress and depression, only emo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support can effect significantly on the relationship. Both of these two supports are subordinated to the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ses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certain programs to reduce stress of kidney-transplanted patients and apply clinical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patients. Also, for reinforcing the social support i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educational programs, which can maximize the practical use and interactions of all kinds of social support are needed. Particularly, to elevate emo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support, social work services, such as self-reliance, cooperation between volunteers and self-growing program are desired. To finish, more institutionalized support is required for the practical intervention of constructive and progressive medical social work.

      •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선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을 찾아내고 나아가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어떠한 대처전략을 사용했을 때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완화하는지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인력관리 및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그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의료사회복지사의 대처전략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에 소재한 85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167명의 의료사회복지사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였다. 조사는 2004년 10월 25일부터 11월 13일에 걸쳐 방문 및 우편을 통해 이루어졌고, 58개의 병원으로부터 총 10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들 모두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11.5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우선 연령에서 40대 이상이 평균 88.44로 직무만족이 가장 높고 20대가 77.38로 직무만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혼여부별로는 미혼이 78.12, 기혼이 82.02로서 기혼의 직무만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직위에서 사회사업과장이 82.82로 직무만족이 가장 높으며, 월수입별로는 전반적으로 월수입이 많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있었다. 현 기관 근무기간에서는 1-3년의 평균이 75.36으로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으며, 11년 이상이 84.46으로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근무기간에서는 3년 이하가 74.80으로 가장 낮으며, 11년 이상이 83.76으로서 직무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Hullin(1996), 박일연(1998), 이수진(1994), 신재원(2001), 곽연희(1997)의 연구를 포함한 기존의 대다수 연구 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둘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수준은 5점 만점 기준에서 3.33으로 중앙치인 3.00을 약간 넘어서고 있었다.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면, 역할갈등의 하위변수인 역할전달자 내 갈등과 역할 간 갈등이 각각 3.11, 3.29로서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역할 갈등과 조직구조적 갈등은 각각 2.70, 2.64로 보통이하로 나타났다. 역할과다의 양적 역할과다는 3.32로 보통이상이였으며, 질적 역할과다 역시 3.19로서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대처전략 중에서 직접행동 전략은 3.35로 보통이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외재적 전략은 2.98로서 보통 정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전략은 3.11로 보통 이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회피전략 역시 3.01로 보통 정도 사용하고 있다. 셋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역할갈등의 하위변수인 개인역할 갈등, 역할모호성의 하위변수인 행동조건의 모호성을 제외한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다의 하위변수 모두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낮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 중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행동조건의 모호성에서 오는 역할모호성으로 나타났다.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다의 각 하위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행동조건의 불명료성에서 오는 역할모호성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채원(1995)의 연구결과와 동일한데, 의료사회복지사의 경우 역할에 대한 기대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의료사회복지사의 대처전략의 경우, 내재화 전략을 제외한 직접행동 전략, 외재화 전략, 회피 전략의 사용 모두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일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4가지 유형의 대처전력 중 직접행동 전략만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직접행동 전략의 사용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인 역할과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감소시켰으며, 외재화 전략의 사용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인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감소시켰다. 또한 회피 전략의 사용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인 역할갈등과 역할과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업무지침서를 개발하여 의료사회복지사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둘째, 의료사회복지사의 경우 타전문직과의 틱�p시 업무의 범위 및 책임에 대한 불명료성으로 인해 역할모호성이 역할갈등이나 역할과다 보다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스트레스로 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상사는 정확한 업무지시를 내려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업무 역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하여야 하고, 앞서 제시한 바 있듯이 역할모호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업무지침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과다는 역할갈등, 역할모호성과 더불어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역할과다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채용과 같은 방법을 통해 의료사회복지사들의 역할 및 업무를 적절하게 분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외재화 전략을 포함한 다양한 대처전략이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료사회복지사협회와 같은 기관을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증대시키고 직무만족 등을 감소시키는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전략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스트레스 관리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ing on the medical social workers, is to find the subordinate variables which affect the satisfaction in the work and, furthermore, to optimize the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and outcome of the organization by examining what kinds of management strategies they use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stress on satisfaction in the work. For this, the study has set the issues how the job stress of the madical social workers affects the satisfaction in the work and how their management strategies control the effect of the stress on the satisfaction in the work. In order to approve the hypothesis according to these issues, an organized questionnaire has been surveyed to 167 medical social workers in 85 hospitals located in Seoul, Inchun and Kyungki. The survey has been completed by mail and visit in person from 25th of August to 13th of November in 2004, and 107 questionnaires from 58 hospital has been collected in total, and all used in final analysis. This collected materials has been analyzed by using the SPSS 11.5 Statistics Package an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has been summarized as follow. Fist of all, the result, by examining difference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in terms of the sociology of population, was that the people aged over 40 were the most satisfied in the work, marking average 88.44 and the people aged 20 were the least, marking 77.38. According to the marital condition, the unmarried were 78.12 and the married, 82.02, showing the married were more satisfied in the work.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work, the position of the social business chief was the highest marking 82.82, and as they got more monthly pay, it was shown that they were more satisfied. According to the working period in the current facility, 1-3 years was average 75.36, the lowest and over 11 years was 84.46, the highest. Referring to the total period in the work, below 3 years was 74.80, the lowest and over-11-years was 83.76, the highest. This result of study is identical with the most of the existing results of studies including the one of Hullin(1996), Park Il-Yun(1998), Lee Su-Jin(1994), Sin Jae-Won(2001), (Guak Yun-Hee(1997). Secondly,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medical social workers was 3.33 out of 5, which was slightly over 3, the medium value. Referring to the job stress, each of the conflict in the role-transmitter, the subordinate variable of the role conflict, and the conflict between roles was 3.11 and 3.29, which was over the average. Also, each of the personal role conflict and the organizational conflict was 2.70 and 2.64, which was below the average. The quantitative excess of role was recognized as 3.32, which was over the average and 3.19 for the qualitative excess of role, which was also over the average. For the management strategies, the directive action strategy was used 3.35. over the average, and the external strategy, 2.98, about the average. Also, the internal strategy was used over the average, 3.11, and 3.01 for the avoidance strategy, about the average. Thirdly, in case of the job stress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all of the personal role conflict; the subordinate variable of the role conflict, and the role conflict excluding ambiguousness of condition of action; the subordinate variable of role ambiguousness, and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excessive role were causing the nega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ore job stress the medical social workers have, the less job satisfaction they get. Fourth, the variable,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job stress, which affects job satisfaction the most was appeared as the role ambiguousness which was generated from the ambiguousness of condition of action. This is identical to the result of study by Lee Chae-Won(1998) and,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xpectation of role was ambiguous in case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Fifthly, the directive action strategy, the external strategy and the avoidance strategy, except the internal strategy, reduced partially the negative effect of the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referring to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ies, only the directive action strategy among a four kinds of management strategies could reduce the job stress and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usage of the directive action strategy reduced the nega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caused by the excess role, the subordinate variable of the job stress, and then the usage of the external strategy reduced the negative effect on it caused by the role conflict, role ambiguousness and excessive role,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job stress. Also, the usage of the avoidance strategy reduced the negative effect on it caused by the role conflict and excessive role,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job stress. Referring to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 for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are as follow. First, in the link of strategy for reducing the role conflict affecting the satisfaction fo the medical social workers negatively, the work-guide book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sure the self-awareness of the business they conduct. Second, in case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when they work as a team with people in different field, it has been found that the role ambiguousness is the main stress factor causing negative effect rather than the role conflict and excessive role, because of the ambiguousness on the scope and responsibility of the task. Therefore, the officer in charge should instruct precisely so that the social workers would know the exact information needed for their roles in the task, and, as mentioned above, there is the need to develop the work-guide book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Third, with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ousness, the excessive role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are indicated as a stress facto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job stress, an appropriate allocation of roles and tasks should be maintained through the employment of the social workers. Fourth, it is turned out that the diverse management strategies including the external strategy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the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So, in order to manage the stress factors causing the job satisfaction reduced and management strategies, the education for stress management should be enforced by the organizations such as the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 유방암환자의 치료과정 및 사후관리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 일반주의 실천적용을 중심으로

        이주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방암 환자의 문제와 사회사업적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의료사회복지사의 다차원적 개입 가능성을 확인하고 의료사회복지사 고유의 개입 영역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유방암 환자의 심리정서적 문제, 신체적 문제, 치료에 관한 정보의 문제, 사회복귀 및 재활과정의 문제, 경제적 문제, 지역사회 자원연결 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개인 수준, 가족 수준, 집단 및 조직 수준, 지역사회 수준, 사회 정책적 수준의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 방안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4개 종합 병원의 유방절제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 7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개를 제외하고 총 7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심리정서적 문제로서 유방절제술 이전의 자신감을 되찾기 위해 자조모임이나 전문가와의 상담을 원하였다. 이러한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과거의 치료방법이 발견되었다. 둘째, 치료에 관한 정보의 문제로서 재발 및 전이 가능성과 스스로 질병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원하였고,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는 의사와의 일대일 면담을 가장 필요로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학력, 가족의 총수입, 월평균 치료비, 진단 이후 치료기관과 유방절제술 이후 치료기간이 발견되었다. 셋째, 사회복귀 및 재활과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상담과 집단상담이 50% 정도씩으로 환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개입 방안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질병 이후의 치료 기간와 유방절제술 이후의 치료기간이 발견되었다. 넷째, 경제적 문제로서 대부분의 환자가 건강보험 확대적용을 필요로 하였다. 다섯째, 지역사회 자원연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방안으로 언제나 만날 수 있는 상담자와 자조모임으로부터의 복합적 지지를 필요로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평균 치료비와 과거치료방법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유방암 환자의 문제와 사회사업적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바탕으로, 주로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개입하는 단면적인 문제해결 접근이 아니라 환자를 둘러싼 다양한 체계를 변화매개체로 하는 다차원적 개입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의료세팅에서의 일반주의 실천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problems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needs of social work services with the study of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mastectomy (MRM), and consequently confirm the possibility of multiple interven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and establish medical social worker's own intervention area.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subjects suggested here are to confirm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emotional problem, treatment-related information problem, breast cancer patients' rehabilitation problem, financial problem and community resources contact problem, and certify the medical social worker's intervention method with individual (patient) level, family level, group or organization level, community level and political level.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the postal questionnaire survey to 72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mastectomy in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using an organized questionnaire. Two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insincere response, so a total of 70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 based on this surve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for psycho-emotional problem, the patients wanted self-help group or consultation with experts in order to recover confidence which they used to have before mastectomy. Past treatment methods are regarded as the factor affects this problem. Second, for treatment-related information problem, they wanted explanation about any possibility of relapse and metastasis and self-management of the disease. For problem-solving, they wanted one-to-one talk with doctor most. The factors affect this problem include age, academic background, gross income of family, monthly average medical fee, treatment period after diagnosis and treatment period after mastectomy. Third, in order to solve the rehabilitation problem, individual consultation and group consultation are needed 50% each, so we find that the desired intervention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patient's character. The treatment period after disease and that after mastectomy are regarded as the factors affect this problem. Fourth, for financial problem, most patients needed more expanded application of health insurance. Fifth, mixed support from the always available consultants and self-help groups was needed as an intervention method to solve the community resources contact problem. Monthly medical fee and past treatment methods are regarded as the factor affects this problem. Consequently, based on breast cancer patients' problems and needs for social work services, not single problem-solving approach intervening usually patients and their family, but the possibility of multiple interventions where diverse systems around patients are used as change-agent systems is confirmed. With this, we can verify the possibility of generalist approach to medical setting.

      • 이혼 가정 청소년들의 부모 이혼 후 초기 적응을 위한 학교중심 사회복지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권정은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부모 이혼 후 2년 이내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교 중심 사회복지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이혼 가정 청소년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인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혼 가정 청소년들의 초기 적응을 개인 요인, 가족 요인, 가족외적·사회적 요인으로 분리하여 분석하였으며 이혼 가정 청소년들의 초기 적응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고 초기 적응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과 긍정적인 요인을 뽑아내어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학교중심 사회복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심층 면접을 통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모 이혼 후 청소년의 초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크게 이혼에 대한 개념화, 부모 이혼에 대한 죄책감, 이혼 가정 청소년의 탄력성, 생활 스트레스, 인간관계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 청소년의 기질적인 측면, 현실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이혼 후 초기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을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 간 갈등 노출, 가정 내의 이혼에 대한 태도, 비양육부모와의 접촉, 형제유무, 양육부모 이외의 동거가족유무, 가족에 대한 학생의 인식 및 태도, 가정에서의 생활 변화로 정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혼 가정 청소년들은 사회적지지, 물리적인 환경의 변화, 종교생활, 경제적인 수준, 사회적 편견의 가족 외적·사회적 요인에 따라 초기 적응 과정에서 다른 적응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론적 측면, 실천적 측면, 정책적 측면에서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고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이혼 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초기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In this study, it is purposed to develop the school social work service for the teenager who have the less experience in terms of parent's divorce than two years and to understand the teenager of divorced family deeply. The study was performed by quality method. The early Adaptation of the teenager of divorced family was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main causes such as individual, family, social causes in the focus of the ecology systematical view. Moreover, it is searched what kinds of difficulties are in the teenager of divorced family and analyzed what main causes affected their stress or positive attitude for their problems in the early adjustment process. It is expected to make the school social work services for the adjustment of teenager of divorced family progres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quality data which are performed by deep interviews, the first outcome of analysis shows seven main causes such as conceptualizing divorce, guiltiness for their parent's divorce, the elasticity of teenager of divorced family, the stress of daily life, the conceptualizing right relationship with people, teenager's temper and awareness toward the realities of life as individual causes. The next result of analysis shows family causes such as the attitude of parents toward bringing their children up, the exposure of troubles between parents, the attitude of family for divorce, the contact with parents who are not bringing up,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brothers or sisters, family except parents who are bringing up, a wareness or attitude of the children for family and the change of life within family. Lastly, it is seen that there are five main causes such as social support, physical environmental change, religion, the economic standard, and social prejudice toward divorce as the outward causes of family and social causes. In conclusion, it is able to expect tha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give implication to social work theory, practice and policy and be practicall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social work programs for the early adjustment stage of teenager of divorced family.

      • 敎會自願奉仕 活性化를 위한 敎人들의 意識調査 : 韓國基督敎 長老會 Y敎會를 中心으로

        박운자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19

        관주도형 사회복지사업의 한계점의 인식과 교회의 사회봉사의 사명을 위해 교회는 사회봉사 활동의 정화라 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에 노력을 경주하여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회의 사회봉사제도중 자원봉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사례 교회의 교인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서 바람직한 교회자원봉사활동 실천방안을 모색함으로서 우리나라의 사회봉사 활성화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 본 조사의 결과 Y교회 교인들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자원봉사 활동경험은 비교적 낮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자원봉사 활동을 단순히 자선적인 시혜로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주민들의 통합과 사회적 책임감및 지역복지 수준의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으나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에도 불구하고 교인들의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경로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부분 자원봉사 활동원들은 언론매체를 통해 자원봉사활동 정보를 얻고 있으며 이러한 현실은 교인들로 하여금 지원봉사 활동에 대한 체계적 홍보, 모집 및 교육이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회 자원봉사활동자와 복지관련 기관들간의 협력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자원봉사활동 인력이 있어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답한 교인들 대부분은 앞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갖고 있으며, 이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희망하는 분야는 주로 아동, 복지, 환경단체들이며 희망하는 장소로는 보육원 및 사회복지단체 및 시설이 높은 빈도로 지적되었다. 본 조사의 결과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이타주의적인 태도가 상대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해 주민들의 인성교육과 사회적 책임성에 대한 교육, 훈련과 가정, 지역사회, 교회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게 하고 전문적 지도와 지원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낀다. For mission of awareness of limitation of government leading style social service and public service of church, church should be devoted in activation of volunt eerism activity that can talk that is center of public service activity. Wish to take charge part in public service activation of our country as that examin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 of volunteerism of public service system of existing church in this research hereupon and grope desirable church volunteerism activity practice way through attitude survey about volunteerism of believers of example church. Appeared fairly positively in attitude about volunteerism activity of result Young-Sin church believers of this investigation . But Volunt eerism activity experience was construed that is comparative low level. Specially, it appeared that is recognizing by local community inhabitant ses' integration and social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ssential activity for elevation of area welfare level that not recognize volunteerism activity as activity that is charity simply. However, in spite of such affirmative awareness and attitude, is connoting problem that method that can take part in believers' volunteerism activity is not defined enough. Most volunteerism circles are getting volunteerism activity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This actuality can know that sy stematic public relations about volunteerism activity by believers, recruitment and education or administration is not consisting. Also, because cooperation between welfare connection engines does not consist enough with church volunteerism persons, is being expose that is not utilizing enough even if it has volunteerism activity manpower. Most of believers who respond nevertheless have a doctor to take part in volunteerism activity forward, field that these hope volunteerism activity is child, welfare, the environment organizations mainly, and nur sery school and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dicated by high frequency to place that hope. A person who take part in result volunteerism activity of this investigation can know that his attitude is altruistic much relatively in the activity than people who does not participate in the activity . Therefore, the education is needed about inhabitant ses' human nature educ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volunteerism activity. And we should develop volunteerism program laying stress on home, local community, church for volunteerism activity relationship activation, and need special guidance and support.

      •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나연금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학교 실천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활동하는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요인, 학교 특성요인, 지역사회 특성요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92명의 학교사회복지사이며,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에서 2.92점으로 보통수준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각각의 하위 변인별로 기술해 보면 첫째, 역할요인에서는 역할 모호성, 업무과다, 역할갈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대인관계요인의 경우에는 학교행정가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조직 요인의 경우는 학교조직풍토와 인지된 조직특성 순이었다. 직무만족은 평균 3.42점으로 나타나 보통수준보다는 더 높게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직무자체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독, 동료관계, 전직과 이직 순이었다. 다음으로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 학교 특성, 지역사회 특성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과 학교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먼저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개인적 특성 하위변인에서는 연령, 학교사회복지사로서의 총 경력, 근무기간, 학교사회복지관련 실습유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 특성변인에서는 근무학교 소재지, 학교규모, 교사의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지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을 살펴보면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 변인에서는 학교사회복지관련 총 경력만, 학교 특성 변인에서는 학교 규모와 교사의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지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하위변인 중 연령에서는 직무자체와 전직과 이직, 근무기간에서는 전직과 이직 및 동료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간에 서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8개의 하위변인은 54.3%의 설명력을 가지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 중에 세 가지 영역 즉 학교 행정가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인지된 조직특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은 개인적 역할요인보다는 대인관계요인과 학교조직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져 왔었다. 그러나 학교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본 연구에서는 역할요인이 아닌 대인관계요인과 학교 조직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이라는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학교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연구한 최초의 연구임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천적 측면에서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인적인 노력과 더불어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차원에서의 정기적인 교육, 훈련 및 워크샵이 정례화 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조직이 개방적으로 열려야 할 것이며, 교사들의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학교 행정가 및 교사들의 잘못된 인식 및 부정적인 견해를 바꾸기 위해서는 반드시 학교 행정가 및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워크샵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연수시 학교사회복지와 관련된 강좌를 개설해 학교사회복지를 이해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정책적 측면에서는 보다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 운영을 위해서는 반드시 학교사회복지제도가 우리나라에서도 하루 빨리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들이 안정적으로 학교 내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 지위, 역할, 업무 등이 제도적으로 뒷받침 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과 강도 높은 훈련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먼저, 본 연구에서 설정하지 않았던 변수들을 포함시켜 연구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하위변인들을 분석하였지만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예방하기 위한 대처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계속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1) how job satisfaction generally relates to job stress; 2)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in their school practice; and, 3) how the personal character factor of the School Social Worker,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can make a difference to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sample consisted of 92 school social work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orking all over the country. Research method was by questionnaires. Summary of results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of respondents was 2.92 and it was some high level in the ordinary level. Each low independent variables were firstly, the role factor appears to be in order of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and role conflict. Secondly, in the case of the personnel relationship factor the rank order in sequence was: school administrators' relationship, teachers' relationship and students' relationship. And lastly, in time of organization come out orderly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character. Job satisfaction rate was 3.42 in a five-point scale. As for low independent variables, the highest recognized was the work itself, followed by supervision, then co-workers, changing or leaving the occup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chool characteristic and personal characteristic of the school social work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munity characteristic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tress when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 such as the social worker's age, all business career of school social worker, a period work with school field, and practical career at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 factor of school between factors such as social worker's school, school scale, and, the perception of a school social worker by principals and teachers. As far as job satisfaction is concerned, and the nature of personal factor, only all business career school social workers shows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s for the nature of school factor, school scale and the perception of a school social worker by principals and teachers had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nsidering social worker's age, which was apparent in the work itself, or changing or leaving the occupation. A period of work in the field affected changing or leaving the occupation and relationship with co-work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eight variables relating to job stress indicated a mild correlation of 54.3% to job satisfaction. This was most evident in the provinces of job stresses; school administration's relationship, teacher's relationship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character. It would appear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a school social worker is influenced rather by relationship and school system factors than by a personal role factor. Until now, most of job stress researches have focused on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This study, however, has investigate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 school social worker, and has concluded that job stress factor was influenced by a personnel relationship and a school organizational factor rather than a role factor. Moreover, this is significant research which the first research to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a school social work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ly, as a practical aspect, in order to diminish a school social worker's stress there is a need for a ongoing education, training and workshops through the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the school organization and systems, including principals and teacher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a school social worker. Therefore, workshops are required for teachers to change the current negative recognition and stance of the school social worker to enable them to understand school social welfare. Secondly, as a policy for more effective school social welfare operation, the school social welfare must be fixed quickly in our country. The system must support the school social workers in their position, role and tasks. A recognised qualification and higher training course for school social workers is also required. Thirdly,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study such variables as which have not been included in this study.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low independent variables of job stress which has an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it has not been able to delineate how to prevent job stress. This should be investigated in future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