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놀이 주도성과 자아 존중감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공해정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5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총 3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총 291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들이 평정한 유아의 놀이주도성, 자아존중감, 친사회성 모두 평균이상 수준 이였다. 둘째, 놀이주도성의 경우 만 만3세와 만4, 5세 혼합 반에 있는 유아보다 만4세 학급에서, 10명~15명의 유아인원보다 15명~20명의 유아인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자아존중감의 경우, 보육학과를 전공한 유아담당 교사보다 유아교육학과를 전공한 유아담당 교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높인다고 응답하였다. 친사회성의 경우, 남아보다는 여아가 친사회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전공에서 보육학과보다 유아교육을 전공한 보육교사의 담당 유아가 친사회성이 유의미하게 높인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놀이주도성과 자아존중감, 놀이주도성과 친사회성, 친사회성과 자아존중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유아의 놀이주도성, 유아의 성별,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시회성 하위요소별로 살펴본 결과는 친사회성의 개인정서부분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사회정서, 기관유형, 담당 유아 수에 영향을 미치고, 친사회성의 유치원 적응에서는 놀이주도성,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인 시작과 독립심, 학습성취, 사회정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사회성의 대인관계 부분에서는 놀이주도성, 자아존중감의 사회정서, 교사의 전공, 교사의 경력, 유아의 성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놀이주도성 발달을 위한 적절한 학급 인원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실행되어 보다 구체적인 연구결과가 도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보육교사를 배출하는 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발달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보육지식과 기술관련 교육 강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보육현장에서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 특히 친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유아 담당 현직 교사들의 보수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교육내용은 유아의 구체적인 발달 특성을 이해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한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교사간의 긍정적인 관계 구축이 필요하며 긍정적인 관계구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보육교사의 처우, 근무조건, 부정적 사회적 인식, 부족한 전문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 모색, 지속적인 관심, 정부정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play-driven and self-respect on the prosociality of children.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for children in charge of child 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291 children's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1) The play-driven, self-respect, and prosociality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all above average. 2) Children in the 4-year-old class were more play-driven than those in the mixed class of 3-year-olds, 4-year-olds, and 5-year-olds. 15 to 20 people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play-driven than 10 to 15 peopl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ponded that infants have higher self-esteem and prosociality than teachers majoring in child care. Girls were significantly more prosociality than boys. 3)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showed that play-driven and self-respect, play-driven and prosociality, prosociality and self-respect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4) The play-driven nature of children, the gender of children, and self-esteem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sociality of children. By subfactor, prosociality (personality) influenced self-esteem (social sentiment), institutional type,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charge. In terms of prosociality (adaptation to kindergartens), play-driven, self-respect (starting and independence, learning achievement, and social sentiment) have an impact. Prosoci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s been shown to be influenced by play-driven, self-respect (social sentiment), teacher's major, teacher's career, and children gender.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urther research on the appropriate number of classes is needed for play-driven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hild care knowledge and technology-relat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in the curriculum of childcare teach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onservative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should consist of understanding the specific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inally, in order to develop children's social emotional abilities,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are needed. In particular, efforts should be made to solve problems such as the treatment of child care teachers, working conditions, negative social awareness, and lack of expertise.

      • 보육교사 심리적 안녕감이 영유아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

        유지운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on the adaptation of infants to daycare centers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A total of 32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0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final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fants and children adapted well to daycare centers the longer they attended them. And the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was more positive when the period of living with the same homeroom teacher was between one or two years. 2)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of child care teachers,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the class in charge was four years ol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teacher was high, but when she was in charge of mixed ag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low. If a child care teacher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she showed higher job stress than a college graduate. Childcare teachers with three to five years of experience showed higher job stress than childcare teachers with one to three years of experience. When the teacher was in charge of the three-year-old class, she showed high job stress. 3)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showed a static correlati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have shown a misfit correlation. The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adaptation of infants to daycare centers showed an inadequate correlation. 4)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on infant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showed that job stress had a controlling effect. In detail,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the greater the job stress was affecting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adapt infants to daycare centers, various programs and support are needed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In particular, even i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is high, if the job stress does not decrease, it has a negative impact on infant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job stress for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있는 국공립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총 321부를 배포하였고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310부였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들은 어린이집 등원 기간이 길수록 어린이집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어린이집에서 같은 담임교사와의 생활하는 기간이 1~2년 사이일 때 어린이집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은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는데 보육교사의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고, 담당 학급이 만 4세일 때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던 반면 혼합연령을 담당했을 때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관련해서는 담당 학급이 만 3세 일 때보다 만 4세 일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해서는 4년제 대학교 졸업생이 전문대 졸업생보다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냈고, 경력 3~5년의 보육교사가 경력 1~3년의 보육교사보다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냈다. 학급 유형과 관련해서는 만 3세반을 담당했을 때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어린이집 적응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은 각각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조절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집단일수록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더 큰 조절작용을 하여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의 안정적인 어린이집 적응을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심리상담, 보수교육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을 제언하였고, 특히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고 하더라도 직무스트레스가 줄어들지 않으면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주목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개별적이고 지속적인 심리상담과 지원 등을 제언하였다.

      • 국공립 어린이집의 운영개선 방안연구

        임순선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295

        사회적 변화로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보육료 지원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하여 어린이집에 자녀를 맡기고자 하는 가정들이 늘어나고,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대상의 연령이 점차 하향화되면서 부모들의 보육 서비스에 대한 질적 수준의 욕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들의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운영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보육특구로 지정된 서울 성동구에 거주하는 국공립 어린이집 부모 50명, 농공 지역을 이루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국공립 어린이집 부모 50명, 농업과 어업 그리고 관광종사자 있는 제주시 구좌읍 국공립 어린이집 부모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운영, 보육프로그램, 인적환경의 요구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 하여 부모의 요구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셋째, 설문지 구성은 부모 관련 변수로 연령, 학력, 소득, 취학 전 자녀 수, 거주형태, 직업, 배우자직업, 가족 구성, 위탁한 자녀 연령이다. 지역 관련 변수로 서울 성동구, 남양주 화도읍, 제주시 구좌읍의 국공립 어린이집에 다니는 부모이다. 종속변수로는 어린이집 운영에서 반 구성, 교사 대 아동 비율, 운영시각, 운영시간 시설의 문제, 교재교구, 실외놀이, 시설 규모, 주변 환경, 위치, 등 하원 방법, 보육료 타당성, 보육료 부담, 보육료 지급형태, 보육료 지원 혜택으로 두었다. 보육 프로그램으로는 프로그램의 중요성, 신체검사측정횟수, 식단제공관리자, 위생상태, 환아 관리, 화재 점검 교육, 희망프로그램, 어린이집 입학 이유, 어린이집 선택이유, 적합한 학습방법, 현장학습, 부모교육으로 두었다. 인적환경으로 보육교사의 학력, 결혼 여부, 연령, 경력, 교사의 역할, 교사상, 교사의 만족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어린이집 운영 연구결과에 따른 부모 요구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반 구성은 동일연령 반을 선호하고 있다. 둘째, 어린이집 운영시간이 제주의 특성상 24시간을 요구하는 부모를 위한 보육시설의 설치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서설 규모의 부족함과 주변 환경의 적합하지 않다는 요구의 개선 방향은 현 정부의 보육정책인 국공립 40% 확충을 기대하는 것을 제안했다. 넷째, 기타 비용을 포함한 보육료 부담을 원하고 있는 분석은 교사나 자원 봉사자의 지원이나 보육료에 기타 비용을 포함하여 현실화를 이루게 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보육 프로그램 부분의 부모 요구조사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중요성은 안전관리 부분과 제주에서는 교육 부분을 선호하였다. 이를 표준 보육 과정의 영유아를 위한 내용을 알리며 함께 공유 할 수 있는 제안을 하였다. 둘째, 연구지역의 어린이집에 보내는 이유는 단체 생활을 통한 원만한 성격 형성을 위해서이지만, 부모의 개인적인 시간을 위한 내용도 있어 개인적 성취도와 발전을 위한 시간적 배려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장학습을 원하지 않는 서울의 18%와 남양주 2%를 위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넷째,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면담상담과 가정통신, 부모 교육의 전반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어 부모를 위한 교육방법으로 모든 부모에게 여러 가지 방법을 실천 할 수 있게 제시하였다. 인적 환경의 요구 내용은 첫째, 보육교사의 결혼은 유무와는 관련이 없었고 연령은 30∼39세가 가장 많이 요구 하였다. . 둘째, 교사의 경력은 모두가 3∼5년을 선호하였고 따뜻한 애정을 가지고 아이를 이해하는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요구 되면서 전체적으로 교사의 만족도는 높았다. 이처럼 연구 지역의 부모들은 어린이집 운영요구와 보육프로그램, 인적환경의 요구를 알 수 있었으며 지역적 특성에 맞는 요구의 개선방향을 제시 하였다.

      •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 조직헌신,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강미령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29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교사 임파워먼트, 조직헌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230명, 경기지역 120명, 대구지역 100명의 국공립, 법인, 직장, 민간, 가정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41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9월 17일부터 10월 4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분석은 대인관계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리더십 하위요인인 감정통제와 대인관계가 조직 헌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항목들에서 표준화 계수의 크기를 기반으로 분석하면 대인관계 그리고 감정통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역시 대인관계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에게 감성 리더십의 보유와 높은 대인관계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임파워먼트, 조직헌신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라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대인관계가 모든 항목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on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50 preschool teachers working for the national public, corporate, private and family members comprised of 230 in Seoul, 120 in Gyeonggi Province, and 100 in Daegu. The answers from 417 participants have been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the period of 17 September to 4 October 2019. The data analysis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the daycare cent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s empowerm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empowerment revealed that on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The influence of emotional leadership sub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nd that emotional disciplin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nalysis of the two items based on the size of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they had an effect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motion control.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also positively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rector of the day care center requires emotional leadership and hi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as a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 of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have a consistent effect on all items.

      •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 과다사용실태 문제점 및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홍주현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5295

        국문초록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과다사용실태 문제점 및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새로운 것을 빠르게 흡수하는 유아기에 있어서 여러 장단점을 가진 스마트기기를 일찍 접하고 이를 오남용하게 될 경우, 유아의 발달단계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특히 스마트기기를 접하고 사용하는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사용 문제도 심심치 않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 실태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더불어 스마트기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올바른 스마트기기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를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스마트기기가 유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올바른 스마트기기 활용을 위한 부모의 역할,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의 영향요인의 개선 방안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 영향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위해 네 곳의 논문 검색엔진(Riss, Kiss, DBpia, 국회도서관)에서 유아 and 스마트기기, 유아 and 스마트기기 과다사용, 유아 and 스마트기기 문제, 유아 and 스마트기기 영향요인, 유아 and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를 검색어로 사용해 검색한 결과, 총 479건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검색된 479건의 논문에 대해 선별기준과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22편의 문헌을 선정하여 체계적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유아기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는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처음 접하는 시기는 36개월로, 스마트기기 사용 연령대의 하향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은 유아의 신체적 발달, 정서적 발달, 사회적 발달에서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 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의 기질도 유아기 스마트기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기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에 있어서 향후 스마트기기 사용 연령대가 더 낮아질 경우를 대비한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유아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다사용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의 변화가 요구되고, 유아의 기질을 고려한 스마트기기 사용방법의 지도가 필요하다 하겠다. 결과적으로 부모의 스마트기기 과다사용 문제의 선제적 개선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ABSTRACT Analyze Trends on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Excessive Use of Smart Equipments in Early Childhood A Focus on Analysis of Excessive Use, Problems, and Influencing Factors Hong, Joo Hyun Major in Infant Nurser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ic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In early childhood where new things are rapidly absorbed, if smart devices with man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re encountered early and abused, various problems may arise in the infant's developmental stage. Especially, it is a fact that the ages of using smart devices are gradually lowering, and there is also a problem of overuse of smart devices of infa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infants use smart devices in their infanc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overuse of smart devices in order to prevent overuse of smart devices of infants, and utilize smart devices properly for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rt devices on infants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overuse of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find out the role of parents for correct use of smart device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plan of influential factors of overuse of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Infants and smart devices, infants and smart device overuse, infants and smart device problems, infants and smart device influencers, and infants and the actual use of smart devices were used as search words in four search engines of thesis(Riss, Kiss, DBpia, National Assembly Library) for systematic consideration of literature abo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excessive use of smart devices in infancy, and a total of 479 papers were searched. For the 479 papers retrieved, the final 22 papers were selected by applying the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and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tual use of smart devices in infancy was found to be 36 months when infants first encountered smart devices, and we could confirm the downward trend of usage age of smart device. Second, the overuse of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was found to cause problems in infant physical development,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Third, parental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excessive use of smart devices in infancy, and infant temperament also influenced overuse of smart devices in infancy. These results show the necessity of research for the case that the usage age of smart device is lower in the actual situation of the use of smart devices in infanc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enting attitu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overuse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growth of infants. Guidance on how to use smart devices considering infant temperament is needed, and suggesting that preemptive improvement of parents' overuse of smart devices is required. Keyword : Early Childhood, Smart Equipments, Excessive Use, Influencing Factors

      •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종윤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295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15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의 전반 상태를 기초통계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개인별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개인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검정을 실시하고,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Baron & Kenny(1986)의 3단계 절차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특성 (경력, 기관원아 수, 보육교직원 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국공립어린이집원장 경력에 따라 회복탄력성 중 감정조절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경력 5년 미만인 경우보다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 10년 이상 15년 미만인 경우, 15년 이상인 순으로 감정조절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충동통제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원장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보다 10년 이상 15년 미만인 경우와 15년 이상인 경우의 원인 분석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공감능력,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소진에서는 비인간화, 정서적 고갈, 개인성취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는데, 심리적 소진 전체적으로 경력 5년 미만인 경우가 10년 이상 15년 미만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가 10년 이상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어린이집 원아 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먼저 직무스트레스에서는 교직원관리 스트레스, 시설관리에 대한 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변수는 교직원관리 스트레스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원아 수가 20인 이하인 경우가 원아 수 40인 이상 80인 이하의 경우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설관리에 대한 스트레스는 21인 이하 39인 이하인 경우가 40인 이상 80인 이하인 경우나 81인 이상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복탄력성에서는 자아낙관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20인 이하인 경우가 21인 이상 39인 이하인 경우와 40인 이상 80인 이하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소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직원 수에 따른 차이 분석결과, 먼저 직무스트레스에서 교직원관리 스트레스는 5인 이상 10인 미만인 경우가 10인 이상 20인 미만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관리에 대한 스트레스에서는 5인 이상 10인 미만인 경우가 10인 이상 20인 미만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복탄력성에서는 소통능력에서 5인 이상 10인 미만인 경우가 10인 이상 20인 미만인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심리적 소진에서는 비인간화, 정서적 고갈, 심리적 소진 전체에서 5인 이상 10인 미만인 경우가 10인 이상 20인 미만인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심리적 소진도 높은 경향을 보이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심리적 소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사람은 회복탄력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직원관리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경로, 부모관리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경로, 재정관리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경로, 시설설비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경로에서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매우 유의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원장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이르지 않도록 하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임을 감안할 때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고 개인별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함으로써 보육시설 운영 전반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순차적 매개효과

        임성례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29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이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종단연구인 한국아동패널조사(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데이터 중 7차 년도(2014년) 자료에서 6세 유아 1,203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행복감을 높이고,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는 교사효능감이 교사행복감을 높이며, 유아-교사 상호작용에서 교사는 유아에게 유아를 존중하는 자세와 태도, 그리고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질적으로 높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을 규명한 결과이다. 둘째, 교사행복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또래상호작용의 질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증진되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통하여 교사의 긍정적 정서가 유아들에게 그대로 전이되어 또래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는 결과이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은 유아들이 또래상호작용이나 사회적 유능성, 학업 성취도 등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교사효능감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교사효능감은 교사행복감을 높임으로써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고, 그 결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질도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로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시설이나 환경 등의 개선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유아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임으로써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고자하는 정책적 방안의 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높임으로써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유아교사의 전문성 교육 프로그램의 기발과 보급이 필요하며, 유아교사가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교사로서의 자긍심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아교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부족한 인력을 대처할 수 있는 보조교사제도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 happiness, teacher - infant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 - efficacy on peer interaction. .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data of 1,203 6 - year - old infants in the 7th year (2014)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enhance teacher 's euphoria, teacher - infant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on quality. Teacher efficacy enhances teacher happiness. In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the teacher has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fant, respect for the infant, and a high quality interaction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 It is the result of identifying what contributes to quality improvemen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 infant interaction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 's peer inte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with high quality of teacher - infant interaction have higher peer interaction,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by confirm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uphoria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n peer interaction, teacher efficacy increases teacher euphoria and thus enhances the quality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quality of interaction is also improv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policy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nhancing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directl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widen and spread the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ncrease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raising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is needed. Second, teachers'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influenced not only by professional knowledge but also by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 - esteem of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activate auxiliary teacher system to cope with scarce manpower.

      •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모아애착이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

        안재숙 건국대하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5295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모아애착이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어린이집 이용시간의 차이는 어 떠한가? 2.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모아애착,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어린이 집 이용시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모아애착, 어머니의 취업여부가 어린이 집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설문 조사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남양주시 N, B 2개동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0-2세반 영아의 어머니 109명이다. 연구자는 직접 또는 어린이집을 통하여 172부를 배포하고 이중 111부(64%)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미응답 또는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109부(63.4%)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들을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이 때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일반적 배경변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빈도분석)를 산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신뢰도 확인을 위하여 문항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척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산출하였다. 또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애착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검증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anova)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의 사후검증으로는 Schaffe(등분산 가정)와 DunnetT3(등분산을 가정하지 않음)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모아애착, 어린이집 이용시간, 취업유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모아 애착, 취업여부가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모아애착, 어린이집 이용시간의 기술통계를 산출한 결과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그 외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모아애착, 어머니의 취업여부, 어린이집 이용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취업여부와 어린이집 이용시간은 통계적으로 부적상관을 보이며 유의미하였고, 양육 스트레스와 모아애착도 부적상관을 보였다. 양육 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이용시간, 모아애착과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모아애착, 어머니의 취업여부가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취업여부는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다른 변인은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모아애착은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중요한 변인이 되지 않고, 취업여부가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중요한 변인임을 타나내는 것이다. 따라서 보육시설은 어머니들의 취업을 적극 지원함으로 일과 보육의 양립을 돕고, 양육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함과 안정애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력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a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attachment of infants' mothers on daycare center usage time. The research questions we have set for thi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infant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 mother's parenting stress, maternal attachment, daycare center usage time? 3. What are the effects of infa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attachment of infants' mothers on daycare center usage time?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109 mothers, whose children are in age of 0 to 2years old, go to daycare centers located in 2dong of N, B, in Namyangju, in Kyunggi-do. The researcher distributed 17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directly or by mail to the institution and collected 111 copies (64%) of them. 109 copies (63.4%)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except for the non-responses and unreliable responses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In order to analyze the general backgrounds of the study subjec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lso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ronbach's α, which is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question, was calcul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hecked to figure out the technical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skewness value and kurtosis were used to check whether the normal distribution was assumed. Independent sample test and ANOVA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liability in mother's parenting stress, maternal attachment and daycare center usage time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subjects. If the ANOVA t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cheffé test and DunnetT3 ware conducted as a posteriori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maternal attachment, employment status and daycare center usage tim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lso,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maternal attachment, employment status and daycare center usage tim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we conducted the verification of mother's parenting stress, maternal attachment and daycare center usage time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ycare center usage time by employment statu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othe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as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maternal attachment and daycare center usage time, it was found that parenting stress, maternal attachment, employment status and daycare center usage time, had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attachment also had negative correlation. Not only parenting stress and daycare center usage time but maternal attachment and daycare center usage time had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Third, as we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maternal attachment, employment status on daycare center usage tim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ed employment status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impact on daycare center usage time. Other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aycare center usag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attachment can not be important variables daycare center usage time. and It shows that employment status is an important variable in daycare center usage time. Therefore, Childcare facilities actively support mothers' employment to help them balance work and childcare, Seeking various ways to reduce parenting stress, need to help to form a stable attachment.

      •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지각차이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정옥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5295

        The Influence of Parent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Problem Behavior of the Inf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Mother Jung-ok Lee Major in Infant Nurser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ic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conflic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parental conflic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s problem behavi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data of 1,496 4 year old infants in the 5th year (2012)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father's perception level. This is because the expectation of mother's participation in the parenting of her husband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level of the father. Second, the differences in parents' perceptions about parental involvement negatively affects marital conflict.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father and the mother about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the higher the marital conflict was. This suggests that discrepancies in expecta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about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rearing lead to marital conflict, considering the fact that marital conflict is caused by discordance between husband and wife goal and expectation. Third,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a factor not only to increase mother 's parenting stress but also to promote child' s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to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due to husband' s conflict, darkness of family due to husband's conflict causes negative psychology such as anxiety and atrophy of the child. In addition, if aggression such as violence due to husband conflict is expressed, the child learns about it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door ac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n important factor causing problem behavior. Parenting stress is a cause of loss of self - control and social ability due to physical aggression, abuse, and maladjustment of infants due to problems in parenting behavior, unpleasant marital relationship, and chain reaction that cause infant problem behavior. Fifth, it wa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of parent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child' s problem behavior.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of parent’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duces husband conflict, and that of husband’'s conflict increases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s possibility of child's dis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in father‘s parenting directly affects husband's conflict and infant's problem behavior as well as indirect influence on infant problem behavior through paren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It turned out.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in the fatherhood was found to be important as well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parents so that they can percei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and exchange constructive opinions to resolve discrepancies in parenting participation. ABSTRACT The Influence of Parent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Problem Behavior of the Inf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Mother Jung-ok Lee Major in Infant Nurser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ic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conflic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parental conflic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s problem behavi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data of 1,496 4 year old infants in the 5th year (2012)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father's perception level. This is because the expectation of mother's participation in the parenting of her husband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level of the father. Second, the differences in parents' perceptions about parental involvement negatively affects marital conflict.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father and the mother about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the higher the marital conflict was. This suggests that discrepancies in expecta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about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rearing lead to marital conflict, considering the fact that marital conflict is caused by discordance between husband and wife goal and expectation. Third,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a factor not only to increase mother 's parenting stress but also to promote child' s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to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due to husband' s conflict, darkness of family due to husband's conflict causes negative psychology such as anxiety and atrophy of the child. In addition, if aggression such as violence due to husband conflict is expressed, the child learns about it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door ac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n important factor causing problem behavior. Parenting stress is a cause of loss of self - control and social ability due to physical aggression, abuse, and maladjustment of infants due to problems in parenting behavior, unpleasant marital relationship, and chain reaction that cause infant problem behavior. Fifth, it wa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of parent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child' s problem behavior.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of parent’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duces husband conflict, and that of husband’'s conflict increases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s possibility of child's dis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in father‘s parenting directly affects husband's conflict and infant's problem behavior as well as indirect influence on infant problem behavior through paren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It turned out.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in the fatherhood was found to be important as well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parents so that they can percei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and exchange constructive opinions to resolve discrepancies in parenting participation. ABSTRACT The Influence of Parent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Problem Behavior of the Inf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Mother Jung-ok Lee Major in Infant Nurser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ic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conflic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parental conflic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s problem behavi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data of 1,496 4 year old infants in the 5th year (2012)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father's perception level. This is because the expectation of mother's participation in the parenting of her husband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level of the father. Second, the differences in parents' perceptions about parental involvement negatively affects marital conflict.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father and the mother about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the higher the marital conflict was. This suggests that discrepancies in expecta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about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rearing lead to marital conflict, considering the fact that marital conflict is caused by discordance between husband and wife goal and expectation. Third,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a factor not only to increase mother 's parenting stress but also to promote child' s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to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due to husband' s conflict, darkness of family due to husband's conflict causes negative psychology such as anxiety and atrophy of the child. In addition, if aggression such as violence due to husband conflict is expressed, the child learns about it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door ac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n important factor causing problem behavior. Parenting stress is a cause of loss of self - control and social ability due to physical aggression, abuse, and maladjustment of infants due to problems in parenting behavior, unpleasant marital relationship, and chain reaction that cause infant problem behavior. Fifth, it wa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of parent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child' s problem behavior.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of parent’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duces husband conflict, and that of husband’'s conflict increases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s possibility of child's dis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in father‘s parenting directly affects husband's conflict and infant's problem behavior as well as indirect influence on infant problem behavior through paren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It turned out.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in the fatherhood was found to be important as well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parents so that they can percei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and exchange constructive opinions to resolve discrepancies in parenting participation.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지각차이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 본 연구는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지각차이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가 느끼는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종단연구인 한국아동패널조사(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데이터 중 5차년도(2012년) 자료에서 만4세 유아 1,496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지각은 어머니보다 아버지의 지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배우자인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기대가 높기 때문에 이를 인식하는 수준은 아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둘째,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지각차이는 부부갈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지각차이가 클수록 부부갈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부부의 갈등이 부부 간에 목표와 기대의 불일치에서 발생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 간의 기대치 불일치가 부부갈등을 유발한다. 셋째,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자녀의 문제행동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부부갈등으로 인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부부갈등으로 인한 가정의 어두운 분위기는 자녀의 불안과 위축과 같은 부정적 심리를 유발하게 된다는 점이다. 특히, 부부갈등으로 인한 폭력과 같은 공격성이 표출되는 경우 자녀는 이를 학습하게 됨으로써 문제행동의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문제행동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부부갈등 및 유아 문제행동을 발생시키는 연쇄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아의 신체적 공격성, 학대, 부적응으로 연결되어 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능력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다섯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지각차이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는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지각차이는 부부갈등을 유발시키며,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발생시켜 유아의 문제행동의 가능성을 높인다. 이와 같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지각차이는 직접적으로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통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양과 질뿐 아니라 배우자의 인식도 중요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지각차이를 파악하고, 부부간 양육참여에 대한 지각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부모에 대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연구 : 활성화수준과 운영특성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김엄지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295

        이 연구는 부모가 인식하는 열린 어린이집 활성화수준과 운영특성이 부모의 기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기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열린 어린이집 요소를 밝히고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고 현재 열린 어린이집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18년 4월 2일부터 4월 25일까지 23일간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네이버 오피스 100부와 설문지 150부씩 총 250부를 배부하였고, 응답률 94%정도로 회수된 235부 가운데 무응답 등 문항에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누락된 23부를 제외한 212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인 부모의 연령은 36세 이상 40세 이하가, 학력은 4년제 졸업한 부모들이 가장 많았다. 직장은 반 이상 갖고 있었으며 경제상황은 보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수는 1명이 가장 높았으며 자녀의 성별은 여아가 많았다. 부모의 양육관심도는 높다가 많고, 어머니보다 아버지 관심도가 더 높았다. 둘째, 부모가 인식하는 열린 어린이집 활성화수준, 운영특성, 기관만족도 평균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들이 어머니들보다 열린 어린이집 활성화수준을 더 잘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열린 어린이집 운영특성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어머니들보다 아버지들이 기관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부모가 인지하는 열린 어린이집 활성화수준은 기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운영특성은 기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기관만족도에서는 보육교사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보육시설 운영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는 본인이 열린 어린이집 프로그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기관의 열린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충실한 실행으로 기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논의로는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참여로 인한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아버지가 열린 어린이집 인식과 운영특성이 더 높은 만큼 아버지를 위한 열린 어린이집 프로그램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현재 실행 중인 열린 어린이집 활성화수준이 운영특성 부분에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열린 어린이집의 제일 큰 요소인 환경 뿐 만 아니라 전반적인 운영 및 프로그램 등의 개발을 위하여 노력함에 있어서 열린 어린이집이 활성화가 되면서 부모의 기관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는 곧 영·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제언으로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높아짐에 따라 아버지가 동참할 수 있는 아버지를 위한 참여 프로그램이나 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부모의 기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함에 따라 한계점을 보완 할 수 있는 열린 어린이집과 관련 된 연구물들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열린 어린이집 프로그램이 한 방향적인 제한된 참여와 협조가 아닌 양 방향적인 소통과 상호작용으로 서로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 of parental awareness on the level of revitalization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titution.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open daycare cente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o provide practical improvement directions for programs. To carry out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tudy selected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daycare centers that liv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re currently running open daycare centers. The investigation period was 23 days from April 2, 2018 to April 25, 2018. To collect the data, the company distributed a total of 250 copies of 100 Naver Office copies and 150 questionnaires, and the 23 parts of 235 that were collected with 94 % response rate that were insincerely responding to or missing were exclud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ver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research result was that parents aged 36 to 40 were the most likely ones to study, and parents with four-year diplomas were the most likely ones. He has more than half of his jobs and the economy is the most prevalent. The number of children was the highest, and the number of girls was highest. Parents ' interest in raising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ir mothers, and father's interest was higher than that of their mothers. Second, the average level of child care,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 of institutions recognized by parents was above normal. Third, the father recognized that the level of activation of the open daycare center was better than the mothers and the nature of the operation of the open daycare center was more important. It is thought that fath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institution than mothers. Fourth, although the level of activation of the open daycare center, recognized by parents, was found to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titution,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titution. Fifth, the satisfaction level for child care teachers was highest among the institutional satisfaction levels, and the satisfaction level for operation of childcare facilities was the lowest. Regardless of whether they value the open daycare center program or not, the faithful implementation of the institution's open daycare program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institution. This research discuss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s of father's active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father's open home awareness 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are as high as these results.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vel of activation of the currently running open daycare center in terms of operational characteristics. It will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titution of parents by activating the institu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overall operation and programs as well as the environment, which is the biggest element of the open daycare center. This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you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uggestion is to develop a participation program or support program for fathers who can participate as their fathers ' participation in raising their children increase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program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arents is needed, and open research centers are those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 due to the lack of a prior study of open daycare centers. Also, it is deemed necessary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because the open daycare center program is bilater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not one direction of limited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