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황성운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조직문화를 규명하여 보급함으로써 사회복지관의 기능을 최적화 하고 나아가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모집단은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중 93개 기관 372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응답자 214명 중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결혼, 종교, 평균임금, 담당업무에서 유의미하였으며, 성별, 연령, 학력, 직위, 근무기간, 주당근무시간, 고용형태는 무의미하였다. 기관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운영법인형태, 운영법인종교가 유의미하였으며, 운영기간, 위탁기간, 기관규모, 기관장 신분은 무의미하였다. 사회복지사가 인식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 특성은 집단문화(3.57)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개발문화(3.28), 합리문화(3.19), 위계문화(3.18)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시 사회복지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은 자신이 소속된 기관의 조직문화를 내부체계의 유지와 통합, 구성원의 단합과 성실,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집단문화와 외부환경에의 적응과 변화, 신축성, 조직변화와 혁신을 중시하는 개발문화 특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직무만족 구성요소 중에서는 동료관계 만족도가 3.91로 가장 높게, 다음으로 리더십 만족도(3.73), 직무 만족도(3.68), 기관 만족도(3.49), 승진 만족도(3.10), 보수 만족도(2.79)로 나타나 동료와의 인간관계와 상사의 리더십 성향이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보수와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한국 사회는 경제성장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각종 인센티브가 넘쳐나고 있다. 사회복지 환경도 예외가 아니어서 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업별로 순위매기기와 이에 따른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3년마다 실시되는 보건복지부 및 지자체의 사회복지관 평가와 이에 따른 서열식 순위 경쟁은 이미 과열되어 있다. 따라서 성과위주의 사회복지관 조직문화 특성이 사회복지관을 둘러싼 환경에 객관적으로 대처하기에 적합한 조직문화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자신이 소속된 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를 성과를 중시하는 문화보다는 인간적인 유대관계와 협동, 단결, 인화를 중시하는 집단문화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발전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첫째, 동아리 활동 지원이다. 조직구성원들이 같은 취미활동을 공유하면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직원상조회를 적극 지원하여 내부결속을 더욱 돈돈히 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심을 바탕으로 직무만족을 높이는 집단문화를 형성하는데 힘이 될 것이다. 둘째, 인적 자원 관리시스템의 구축이다. 사회복지관의 가장 큰 자원은 사회복지사를 비롯한 직원들이다. 정기적인 직원면담, 체계화된 슈퍼비전 제공, 선배 사회복지사의 멘토 역할, 공정한 인사고과 시스템의 적용, 전문가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교육훈련 시스템 개발을 실천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안으로는 내부 통합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마음치유 프로그램 개발 보급이다. 현대인들은 저마다 마음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각 기관의 형편에 맞는 마음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먼저는 개개인을 돌아보며 다스리고 나아가 조직 전체의 인화와 단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기관장의 세심한 배려와 조직구성원들의 노력이다. 기관장의 인간적인 세심한 배려, 분위기 조성, 조직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고 단합하려는 노력들이 모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끌어올리는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관이 급변하는 사회복지 환경에 지혜롭게 대처하며, 사회복지관의 위상과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사회복지사가 즐겁게 일하며, 이들의 영향력이 지역사회에 널리 퍼져나가는 조직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 주제어 : 조직문화, 직무만족

      • 유료노인요양시설의 성립 및 전개에 관한 역사적 사례연구 : 한국 최초의 유료노인요양시설로서의 '충효의 집'을 중심으로

        윤영식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에서는 그간 우리나라 노인복지를 끌어온 시설복지의 한 형태로서 최초의 유료노인복지시설인 “충효의 집”이 어떻게 성립, 전개되었는가의 역사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러한 특성을 반영한 노인장기요양보험법하에서 유료노인요양시설의 정체성은 어떠하며, 또한 기능상의 재편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1차사료에 의거한 역사적 연구방법론에 바탕을 두되, 필요에 따라 인터뷰법에 따른 사례연구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문헌자료로는 최초의 유료노인요양시설인 “충효의 집”의 설립부터 전개에 이르기까지 시설에서 행해진 노인복지서비스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1차사료로서 법인설립허가신청서, 입소계약서, 입원현황표 등을 활용하였다. 더불어 설립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설의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계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인터뷰하여 문헌자료의 부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 외에도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학술논문 등의 2차자료를 이용하였다. “충효의 집”과 운영법인으로서의 성지원이 설립되기까지는 적지 않은 애로가 발생하였는데, 이를 설립 동기로서 당시의 노인문제에 대한 사회적 시각의 보수성과 설립자의 개인적 시각과 결부지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립 동기에 있어서의 첫 번째 사회적 동기로는 유교주의적 가치관이라는 대외적 명분과 경제개발정책의 우선이라는 실질적 이유 하에서 그간 등한시되었던 사회문제로서 노인 소외 문제의 발현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노인 문제의 사회문제화가 바로 성립하는 것은 아니었는데 그 결정적 이유는 전례가 없다는 것이었다. 한편 개인적 동기로는 설립자인 신남옥여사의 노인복지시설을 통한 사회에의 기여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노인복지분야에 있어 설립자의 선각자적 발상은 이용자 부담에 의거한 유료시설 및 종합적 기능의 노인복지타운 구축이라는 면에서 평가할 수 있다. 1990년대에 들어오면 노인문제와 그에 따른 욕구가 저소득층에서뿐만 아니라 중산층 이상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건강보호문제 및 가족 간의 갈등문제와 노인들의 독립적인 가구구성의 욕구 등으로 중산층 이상의 노인층에게도 그 문제와 욕구가 점차 확산되고 있었다. 1981년에 제정된 노인복지법은 1989년 12월 30일 법률 제4178호에 의해 제1차 전문개정도 그와 같은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 1989년에 제1차 노인복지법이 전면 개정이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무엇보다 노인에 대한 기존의 공적 보호의 개념만으로는 개별적이고 복잡한 노인의 복지 욕구를 충족시킬 수는 없었다. 이에 경제행정규제완화시책의 일환으로 민간기업체나 개인도 유료노인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현행규정상 미비점을 개선하여 노인복지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993년 12월 27일 법률 제4633호로 동법의 일부 개정이 이루어졌다. 1997년 8월 22일 법률 제5359호에 의해 전부 개정된 노인복지법에서는 생활보호대상 노인과 저소득 노인을 위한 경로연금의 지급과 노인복지서비스에 새롭게 보건 분야가 추가되면서 치매, 중풍 등 만성 중증 노인 질환을 위한 전문 요양재활사업이 확충되고, 노인복지시설의 종류와 운영체계가 개편되었으며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를 도모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유료노인요양시설의 기능도 의료를 강조하는 노인전문병원으로서의 행로를 모색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충효의 집”에서도 전문개정 후, 1996년 8월에 성지 한의원을, 1999년 3월에는 75병상을 갖춘 노인요양병원인 “효행병원”을 개원하였다. 다음으로 “충효의 집”에서의 사업 실태를 사상, 대상, 방법, 종사자, 건축계획, 경영, 지역⋅사회, 일과의 시점을 개별적으로 혹은 결합하여 그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유료노인요양시설은 가족에 의한 전통적인 노인부양사상에 대한 노인 스스로의 노후 생활 영위 내지 가족의 부양 부담을 사회적으로 경감하기 위해 1980년대 후반에 성립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은 당시의 노인관이나 처우사상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았는데, 단적인 예가 유료노인요양시설의 미비한 발전 양상에서 나타난다. 여기서는 특히 가족 중심의 노인재가처우론과 유료노인요양시설처우론과의 대척 관계가 보이는데, 이의 주요한 원인은 노인 스스로 혹은 부양보호자들의 경제력의 유무였다. “충효의 집”에서의 이용자인 ‘대상’의 평균 입소 연령은 74.38세이며, 평균 입소 기간은 31.71개월(24명)이었는데, 이용자의 입・퇴소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요인은 역시 경제력의 저하였다. 단적인 예로 IMF 경제 위기 후 가족 및 친지로의 복귀 이용자 선호도는 저조하여 2004년 시점에서 실제 입소율은 64%에 불과하였다. 유료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로는 창설자를 비롯하여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와 같은 의료관계자뿐만 아니라 취사원, 운전기사 등의 서비스요원, 사무스탭 등 다양한 사람들이 일하고 있다. 이 중 양・한방 병원 소속 종사자 중 의사의 급료 비율이 전체의 70%인 사실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성지원의 기능은 의사를 중심으로 한 병원으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유료요양시설의 기능은 법인 설립의 당초의 취지와는 달리 축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축계획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넓은 공간 구성과 신체상황을 고려한 편의시설의 설비를 지향한 공간구성은 기존의 무료요양시설과는 차별화된 유료요양시설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입지조건에 있어서는 요양에 필요한 한적한 교외적 환경과 더불어 가족⋅지역사회의 접근성이 동시에 고려된 점을 특색으로 들 수 있다. 경영측면에 관해서 시설의 재정 수입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충효의 집”은 설립 당초부터 종래의 노인복지시설의 이용자와는 차별화되는 중산층 이상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유료노인요양시설이었다. 따라서 주관부처인 수원시는, 보증금은 낮추되 월 이용료는 오히려 소폭 인상할 것을 권고하는 등 시설의 활발한 이용을 지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업의 개시 이래로 경영이 꾸준히 안정적일 수는 없었는데 그 이유는 시설의 사회적・개인적 효용이 IMF경제위기 때의 대규모 퇴소 현상과 같이 경제적 부담을 초월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유료노인요양시설이라는 본래의 사업 취지를 넘어 양·한방 의원의 개설이나 주간보호사업 등 사업의 다각화 내지 기능의 재편은 시설 존속을 위한 불가결한 선택이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충효의 집”에서의 방법에 관해서인데, 여기서의 방법이란 이 시설에서의 의료와 복지의 실천 양태 전부를 가르킨다. 먼저 1981년 노인복지법상 제정 당시의 노인요양시설이란 “노인을 입소시켜 무료로 또는 저렴한 요금으로 급식·치료 기타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라 하여 시혜적 차원에서의 간단한 주거적·의료적 목적의 시설을 표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유료노인요양시설의 법적 근거가 비로소 마련된 것은 1989년의 노인복지법 전문 개정에 의해서였다. “충효의 집”에도 촉탁의사 이외에도 전속으로 물리치료사, 간호사, 간병원(생활보조원의 의미)들을 배치하여 환자들의 케어에 종사하고 있었다. 의료적 처치가 주된 처우방법이라고 해도 단순히 신체상의 개선이나 수발에만 그 목적을 두는 것은 아니었는데, 일례로 생활보조원의 역할은 심리적 안정이나 카운슬링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가정에서와 같은 정서적 지지도 중요하게 여겨졌다. 다음으로 유료노인요양시설에서의 일과를 살펴보면 유료시설 이용에 대한 자부담 이용이라고는 하나 노인성 질환을 가진 입소자의 특성상 안전사고 등에 대비하여 가정에서와 같은 일상생활의 영위가 충분히 확보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이는 이용계약서 제12조(거실 출입의 권한), 제30조 (동물 사육 금지)등에서도 나타난다. 유료노인요양시설과 지역⋅사회와의 단절 내지 교류관계에 관해서는 특정 시점(1993년 4월)의 운영현황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국가(보조금) 및 지역사회(자원봉사, 후원 등)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사실로부터 유료 노인요양사업의 효용성에 대한 공·사적 지지가 부재함이 드러난다. 그러나 보조금의 형태에 의한 공적 지지를 강하게 요청하고 있음에 비해 기부금이나 후원, 자원봉사의 지속적 투입같은 사적 지지에 있어서는 유료노인요양시설의 의의에 관한 적극적인 홍보나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어떻게 구축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계획은 보이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본격적인 실시에 즈음하여 유료노인요양시설의 대응 양태에 관해서는 시설장 인터뷰와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 시행함에 있어 가장 큰 과제라 할 수 있는 것은 ‘재원’의 확보였다. 이에 관해선 국가가 부담하는 장기요양보험료 예상수입액의 100분의 20을 확대하면서 이용자 부담을 경감시키는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사회보험 방식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이 제도의 의의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불가결한 전제 조건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자유로운 시장 진입에 따른 상업적 마인드를 경계하고, 우리의 전통적 재가복지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서비스의 양과 질을 확충해 나가야 함이 필요하다.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확보, 직접적 서비스 제공자인 요양보호사의 확충과 자질 개선 등과 같은 구체적 사안에 대해서도 시장경쟁원리와 더불어 국가의 체계적 개입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 지방자치 시대에 부응하는 地域社會 老人福祉 구현에 관한 연구 : 예산군 지역을 중심으로

        김종신 崇實大學校 統一政策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775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들어와서 지방자치제 정착과 아울러 지방자치 시대를 맞이했다. 지방자치의 정착이 추진되면서 그 파급으로 사회복지가 중앙에서 지방으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역복지가 '90년대에 더욱 부각이 되었다. 한편, 현대는 고령화 사회로 인하여 노인들의 문제가 급증되고 있다. 이 현상은 도시 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에도 함께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하여 지역사회복지 측면에서 적합한 대책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방자치와 고령화 사회를 직면하면서, 농촌지역 노인문제를 노인복지적 측면에서 진단할 수 있는 노인복지 기본 틀을 소득, 의료, 주택, 사회적서비스 면에서 이론적으로 마련하여 충남예산 복지실태를 분석 평가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여 발전적인 노인복지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참고문헌의 기본자료와 관련 행정부처의 통계 자료들을 활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읍내외의 20개 노인정과 읍내 노인학교를 방문하여 65세 이상 일반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노인들의 의식조사와 문제점들을 파악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지역노인복지의 문제점과 구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은 예산지역과 같이 농촌지역이고 군재정자립도(22.9%)가 낮은 지역이며 노인비율이 10%이상인 고령화 지역의 노인복지 구현의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분야로서 현재 공적연금 혜택을 받는 노인들이 1% 미만인 실정이다. 그러므로 정부는 국민연금 혜택에서 제외된 노인들을 위해 '무갹출연금제도법'을 도입하고 법령을 제정하여 속히 소득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노인취업 알선센터 확대와 노인정 공동작업장 설치 및 감독과 노인고용촉진법령을 개정하여 농촌노인들에게도 충분한 혜택이 되는 장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의료분야로서 예산 보건소의 의사부족과 진료상태가 부실하므로, 중앙정부와 군정부가 보건소 인력을 보충 개선하고 좋은 진료제도를 강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의료보험 인하조정과 노인전문병원 설치를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주택분야로서 노인주택에 대한 욕구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노인전용주택과 노인공동주택에 대한 군정부 정책을 수립하고 중앙정부는 노인주택법령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개정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다. 넷째, 사회적 서비스 분야로서 노인 보호시설과 노인복지회관이 없으므로, 중앙정부의 재정지원과 군의 재원확보를 통하여 건립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지역사회 노인복지 발전을 위해 '지역사회복지 협의회'를 군정부가 주도적으로 읍면 단위까지 조직하고 활성화하여 군주민 모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노인복지 구현방안들이 제대로 이루어지기까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분담과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하고, 아울러 지역주민들의 동참과 협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방화 시대에 부응한 최선의 지역노인복지를 구현하기 위해서 중앙정부 및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간의 협력체제 구축·운영이 필요시된다. Since the local autonomy period has begun in Korea, that system being settled in the 1990's, the people have become concerned about the social welfare of the local communities. This modern society is an aging society, so the problems of the elderly people have increased not only in the cities but in rural communities. Thus, a suitable plan is needed urgently in the local social welfare system. This study tries to set up the basic framework which is able to diagonose the needness of the senior citizen of rural community regarding income, medical services, housing, and other social services, and analyzing and estimating the welfare conditions of Yesan, Chungnam, suggesting plans to actualize senior citizen welfare by us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is prupose, the basic materials and governmental statistics which are found in the bibliography of this paper, were used. The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people and the problems were surveyed. The subject of the survey is the elderly population over 65 located in the local senior citizen centers and the senior citizen school in Yesan.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e problems and the plan to actualize the senior citizens welfare system wer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plans for the materialization of the welfare for the elderly were made out in the following ways. This study is for the aging community that a elderly population is over 10% and the rural community that the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is low(22.9%) like Yesan. At first, in the aspect of incomes, the pension that the elderly people receive is less than one percent. So, the government should introduce Old Age Pension Act bill and make a law so as to guarantee the income. Furthermore, the employment agency for the elderly people will have to be expanded, and more public workshops in the senior citizen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and supervised. Also the senior citizen employment promotion law should be amended for the elderly in order for them to get enough benefits. Secondly, regarding medical services, there are not enough doctors and the medical services are not sufficient in Yesan. Therefore the central and county governement should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public health centers and create an adequate medical treatment system. In addition to this, a medical fee must be reduced and adjusted, and a special hospital for elderly people should be founded. Thirdly, in the area of housing, the need of the housing for the elderly has been increased. Thus the county government should make policies about housing strictly for the elderly as well as public housing for the elderly. The central government must take measures to amend the enforcement ordinances and regulation of the senior citizen housing law. Fourthly, in the area of social services, we have no care centers or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o, these kinds of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financial supports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through the county government. Fifthly, a local social welfare council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for the elderly should be organized and expanded up to Eup and Myun, and activated by the county government, and a plan for the people live in this county to take part in the activity must be drawn out.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county self-governing bodies were asked to bear their parts and cooperate. All the residents of the community should participate and support organically until the plants will be carried out. Particularly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the related county self-governing bodies, and the community residents is required for the materializa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for the elderly suitable to the local autonomy period.

      • 성인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 장애인복지기관 중심으로

        이정민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ocial distance between volunteers working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disabled people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approach the disabled and the change of the way of looking at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adults who had ever done volunteer work in several welfare centers and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Seouland Gyeonggi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m and disabled peopl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gender, age, religion, academic credential and monthly mean income.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m and disabled peopl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volunteer work, the volunteers who were spending less than one hour doing volunteer work in th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felt more social distance from the disabled than the other volunteers. And those who did less than 30 hours of volunteer work in total in th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felt more social distance than the others. Those who weren't serving as volunteers in the other institutions felt more social distance than the others who were, and the volunteers who did less than 30 hours of volunteer work in the other institutions in total felt more social distance than the others. By the type of volunteer work, greater social distance was experienced by the volunteers who didn't made a physical contact or interact with disabled people. Concerning prior volunteer education and evaluation, the volunteers who received no prior education under went more social distance than the others who did, and those who weren't evaluated experienced more social distance than the others who were. Finally, how volunteer work affected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 disabled was examined, and their sociald istance was under th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the total volunteering time in the other institutions, interaction with the disabled and whether to receive prior educat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adult volunteers and the disabled grew shorter when the volunteers did volunteer work for a longer time, when they had more interaction with the disabled and when they received more prior education on volunteering. In order to narrow the social distance between volunteers and the disabled,the kind of programs that urge volunteers to have dynamic interaction with disabled people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and more systemic prior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volunteers. 성인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 장애인복지기관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정책학과 이 정 민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장애인복지기관에서 자원봉사자의 효과적 관리와 이들의 장애인에 대한 접근방법 및 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일부지역 소재 장애인복지관이나 장애인 생활시설에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성인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 후 자원봉사활동과 사회적 거리감 간 인과관계모형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실태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살펴본 결과, 현재 장애인복지기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1시간미만 하는 자원봉사자가 다른(1시간이상) 자원봉사자보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높았고, 장애인복지기관에서 총 자원봉사활동을 30시간미만한 자원봉사자가 다른 자원봉사자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높았다. 또한 현재 타 기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지 않는 자원봉사자가 현재 타 기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보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높았고, 타 기관에서 총 자원봉사활동을 30시간미만 자원봉사자가 다른 자원봉사자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높았다. 자원봉사활동유형에 있어서는 장애인과 신체적 접촉활동과 상호작용 활동을 하지 않은 자원봉사자일수록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높았다. 자원봉사자 사전교육 및 평가에 있어서는 자원봉사자 사전교육을 받지 않은 자원봉사자가 받은 자원봉사보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높았고, 자원봉사에 대한 사후평가를 받지 않은 자원봉사자가 받은 자원봉사보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는 타 기관 총 활동시간과 장애인과 상호작용 활동 여부, 그리고 자원봉사자 사전교육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성인자원봉사자들은 타 기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많은 시간동안 할수록, 장애인과 상호작용 활동을 많이 할수록, 그리고 자원봉사자 사전교육을 받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의 사회적 거리감을 줄임으로써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와 장애인에 대한 올곧은 태도형성을 위해 장애인의 생애주기 관점을 고려한 타 기관과의 연계적 자원봉사자 관리, 자원봉사자들의 활동내용 중 장애인과 상호작용을 많이 할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에게 사전교육의 체계화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사회복지시설의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이 네트워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승기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간 네트워크 시스템의 활성화를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적절한 복지서비스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고, 사회복지행정기관과 사회복지시설에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50명에게 각각 1부씩 베포하여 회수된 115부 중 불성실한 설문조사지15부를 제외한 100부의 설문지를 유효 설문지로 채택,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고,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이 서비스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조직화 정도가 높을수록, 네트워크의 규모가 클수록,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성이 클수록 사회복지 서비스 품질 개선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이 관계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네트워크의 규모가 클수록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이 네트워크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네트워크의 규모가 클수록, 네트워크의 효율성이 높을수록 네트워크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이 사회복지 성과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규모가 클수록, 네트워크의 효율성이 높을수록 사회복지 성과달성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면, ‘사회복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체계가 잘 구축되어 있다’는 3.43점, ‘사회복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홍보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3.45점, ‘사회복지 네트워크 이용과 진행을 위한 정책이 명확하다’는 3.46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네트워크의 조직화 정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네트워크의 규모가 클수록 서비스 품질 개선, 관계의 지속성, 네트워크 참여도, 사회복지 성과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효율성이 높을수록 네트워크 참여도와 사회복지 성과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회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이 긍정적일수록 사회복지 네트워크 활성화는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