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약물중독자의 회복 및 사회복귀에 관한 사례연구 : 서울·부산지역 NA모임을 중심으로

        한부식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19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7년간 부산지역 NA모임의 스텝으로 봉사하면서 만난 서울과 부산지역 NA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약물중독자들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약물중독자들의 회복과 사회복귀를 도모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의도적 표집방법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총 15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고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초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약물중독과 관련한 사항, 약물중독회복, 사회복귀의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는 남성 11명, 여성 4명으로 구성되었다. 연령은 30대 5명, 40대 6명, 50대 4명으로 이는 생산적인 일에 몰두해야 하는 생산연령층이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은 장기간 약물을 남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법적으로 처벌받은 경험이 있었고 치료경험은 정신병원 입원치료가 대부분이었다. 약물남용 기간 중 단약을 했던 경험은 교도소, 정신병원, 치료공동체 등의 입소, 입원기간 그리고 약물을 구할 수 없었을 때라고 답하였다. 셋째, 약물중독 회복의 과정에서 약물의 사용을 후회하는 시점이 온다고 말한다. 약물중독으로 인하여 바닥을 치는 경험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어려움과 고통에 직면하게 되면서 약물남용을 후회하게 되며 이것이 단약을 결심하는 이유가 되었다. 그러나 스스로 약물을 중단할 수 없었으며 결국 타인의 도움으로 병원, 치료공동체에 참여 하면서 약물 없는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단약 이후의 부정적인 변화경험은 약물에 대한 갈망으로 이어져 재발의 원인이 되었다. 넷째, 사회적 재활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게 되었지만 사회복귀를 위한 직업재활의 부재로 인하여 사회복귀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NA모임의 꾸준한 참여는 회복과정에서 찾아오는 약물에 대한 교만함을 제거하여 자신이 약물중독자임을 잊지 않고 약물 앞에 겸손한 삶을 살 수 있게 하여 약물로부터 온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현장에서 청소년을 상대로 한 약물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시행하여 약물중독을 예방하여야 한다. 둘째, 교정시설 내에서의 치료에 대한 교육과 NA모임을 통하여 약물중독을 이해하게 하여 출소 후 치료재활 현장으로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재발의 응급상황에서 안전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쉼터 등의 보호시설과 장기적으로 직업재활이 가능한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약물중독자 가족이 약물중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약물중독의 치료 재활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구대상자의 예에서 보듯이 회복된 약물중독자를 일정한 자격을 갖추도록 하여 치료재활 현장에 투입해 약물예방강사 등 치료재활분야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for drug addicts through a case study of drug addicts who are participating in NA meetings in Seoul and Busan that the researcher met in Busan NA meetings while volunteering for 7 years. A total of 15 study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applied for this study.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questionnaire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es: general trait, drug addict-related particulars, recovery from drug addiction, and rehabilitation.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11 male and 4 female participants. 5 of the subjects were in their 30s, 6 were in their 40s, and 4 were in their 50s which all are in a productive age group. Second, the subjects were abusing drugs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had experiences of being legally punished, and most of their experiences of getting treatment was being hospitalized in a mental hospital.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used medicines during occasions when they could not find drugs, being hospitalized, staying in a jail, participating in a therapy group, and inpatient period. Third, according to their answers, there is a certain point of time when a feeling of regret comes in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drug addiction. As they experience the very bottom of their lives and face various difficulties and pains, they start to feel regret abusing drugs and this became the motivation to take medicines. However, the subjects were not able to stop abusing drugs by themselves and support and help from other people were required to live without using drugs as they participated in therapy groups and received treatment from the hospital. Negative experiences from the change caused after using medicines resulted in the desire for using drugs and this was the main reason for reoccurrence. Fourth, although they had been able to feel pleasure in daily life by social rehabilitation, they were having hard times returning to society due to lack of job rehabilitation for it. It was found that consistent participation in an NA meeting removes an arrogant attitude gained in the recovery process so that the participants keep remembering that they are drug addicts and can live a humble life which makes them live a full life away from drugs and is a specific and practical way to overcome drug addiction.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mandatory drug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for teenagers need to be conducted in schools to prevent drug addiction. Second, a plan is required to lead drug addicts to rehabilitation institutions after they are released from a jail by making them understand drug addiction through NA meetings and by education about treatment in a correctional facility. Third, expansion of facilities for long-term job training rehabilitation and local rehabilitation centers or local shelters to safely help drug addicts in an emergency situation of reoccurrence is required.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make the family of drug addicts understand drug addiction. Fifth, it is recommended to use and apply cases of subjec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rapy and rehabilitation fields and have recovered from drug addiction as seen in the example of the study subjects, and application plans that equip those subjects with proper qualifications and allow the subjects to work in therapy and rehabilitation fields as a lecturer of drug addiction is necessary.

      • 다문화가정 아동의 지역사회연계 활동서비스에 대한 사례연구

        안병희 가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19

        <국문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포괄적 보육서비스의 지역사회연계 활동서비스를 적용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해 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정서적 발달 및 신체적 발달, 언어 발달,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주는 정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다양한 보육서비스 활동의 확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6년 2월 1일부터 4월 25일까지 연구자가 봉사하고 있는 경상남도 밀양시 S사회복지기관 어린이집에서 진행되었는데 연구대상자로 지역사회연계 활동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5명을 선정하여 현장체험활동, 사회정서활동, 새싹건강교실활동, 미술활동을 적용해 살펴보고 연구자가 참여 관찰한 내용을 기록한 것을 연구대상자별로 요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연계 활동서비스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정서적 발달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대상자들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연계 활동서비스는 모든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 발달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연계 활동서비스는 전반적인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부모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지속적인 언어교육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기 또래 관계 기술을 늘릴 수 있는 보육서비스 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부모와의 연계를 통한 갈등해소방법, 사회적 기술의 습득을 위한 부모교육과 실천이 수반되어야 한다. 넷째, 다문화가정 아동과 부모를 위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applies community connected activity services of comprehensive child care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nalyzes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o understand how much it helps the mental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ims to use the obtained result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xpanding child care servic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2016 February 1st to April 25th in S social welfare organization child care center in Gyeongsangnam-do Miryang-si, where the researcher volunteers at. 5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at have had experiences receiving community connected activity services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for each subject after applying and observing field trip activities, social emotional activities, health classroom activities, and art activiti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community connected activity services increased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all subjects, although in varying degrees. Second, community connected activity services helped language development of al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community connected activity services generally helpe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 is needed for the parents’ rol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continuous language education support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necessary. Thir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expanding peer relationship skills during early childhood is necessary, and it needs to be accompanied with conflict resolution methods by linking through parents, and with parent education and practice for learning of social skills. Fourth,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upport for children a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necessary.

      • 중년기 직장 남성의 은퇴 불안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신대준 가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중년기 직장 남성의 은퇴 불안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년기 직장 남성 만 40세∼만 59세 미만 322명을 대상으로 은퇴 불안,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 분석, 단순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직장 남성의 은퇴 불안의 전체 평균은 2.83점이었으며, 사회적 지지의 전체 평균은 3.36점이었고, 심리적 안녕감의 전체 평균은 3.49점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은퇴 불안,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과 소득, 경제적 형편, 주관적 건강 상태에 따라 은퇴 불안,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중년기 직장 남성의 은퇴 불안과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하위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중년기 직장 남성의 은퇴 불안 전체와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신감 상실과 사회적 배제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각각 24.4.%와 31.2%이었다. 다섯째, 중년기 직장 남성의 사회적 지지 전체와 하위요인 중 평가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각각 32.7%와 35.0%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중년기 직장 남성의 은퇴 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은퇴 불안을 낮추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은퇴 이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준비, 경제적인 자립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회적 은퇴 불안감소를 위하여 개인 상담에서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황, 환경, 대인관계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사회적 자신감 향상과 사회적 배제의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방안이 필요하리라 본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평가지지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다가올 은퇴에 대한 불안감을 낮추고 심리적으로 안녕감을 유지하여 행복한 노년기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과 중년기 직장 남성의 재직 중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으로 참여와 함께 협회나 단체를 통한 정책적 지원으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올려서 사회적 관계망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and social support for middle-aged male work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tirement anxie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 aimed at 322 middle-aged male workers who are 40 to 59 years old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mean of retirement anxiety for middle-aged male workers is 2.83 point and that of social support and tha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re 3.36 point and 3.49 point, respe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retirement anxie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retirement anxie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financial conditions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tirement anxie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middle-aged male workers, the correlation is mostly significant between each sub-variable. Fourth, the total of retirement anxiety, and loss of social confidence and social exclusion as sub-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ts explanation is 24.4% and 31.2% respectively. Fifth, the total of soc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as sub-facto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explanation is 32.7% and 35.0%,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 retirement anxiety of middle-aged male workers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ly, continuous education and preparation, customized support for financial independence are necessary to lower retirement anxiety and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as for personal consul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to cope with situation, environment, personal relationship and various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in order to improve social confidence and solve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soc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as sub-factor have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middle-aged male workers should have interest in appraisal support to recognize themselves as being credited for personality in society to live happy old age to com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expand social network by actively applying the appraisal support factor so as to develop a social support program for a happy old age through policy support from a association or organization positive publicity and education while middle-aged male workers being in office.

      •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아동센터의 중학생을 중심으로

        임인자 가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research had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the family health and the social support that are perceived by the youths on the resilience.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ith the 21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that are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s the subjects, the examinations of the family health, the social support, and the resilience had been carried out. Regarding the data analyses,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2.0,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t-test, the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carried out.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average of the family health that is perceived by the youths appeared to be 3.57 points, the average of the social support appeared as being 3.95 points, and the average of the resilience appeared as being 3.36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difference analysis regarding the ordinary,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family health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ades at the school and the economic level. And, regarding the social support, there we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ades at the school and the economic level. And, regarding the resilience, 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ades at the school, the economic level, and whether or not both the parents worked.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family health according to the economic level, among the entire family health and the lower-ranking factors, the following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qualitative sense of tie, the family elasticity, the economic stability and cooperation, the family culture,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Among the entire social support and the lower-ranking factors, among the support by the parents, the entire resilience, and the lower-ranking factors, the sociability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family health, the social support, and the resilien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both the parents work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with regard to the resilience only. Fifthly,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amily health, the social support, and the resilience that are perceived by the youths, if we take a look at the correlation with the resilie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of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family health and the social support, the correlations, too, between each lower-ranking factor appeared as being significant. Sixthly,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finding out the influences of the health of the family of the youth,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it appeared that the family health g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ilience.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finding out the influences of the mutual respect, the accommodation, the qualitative sense of tie, the family elasticity, the economic stability and cooperation, the family culture,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which are the lower-ranking factors of family health, it appeared that the mutual respect, the accommodation, and the family elasticity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resilience. Seventhly,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entire social support for the youth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on the resilience, it appeared that the social support g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ilience.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finding out the influences of the parental support, the teacher support, and the friend support, which are the lower-ranking factors of the social support on the resilience, the parental support, the teacher support, and the friend support appeare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to the resilience. Based on such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First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ilience of the youths, there is a need to heighten the level of the family health. Second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ilience of the youths, there is a need to heighten the level of the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의 평균은 3.57점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 평균은 3.95점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평균은 3.3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에는 학교성적과 경제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에는 학교성적과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에는 학교성적과 경제수준,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경제수준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 전체와 하위요인 중 질적 유대감, 가족탄력성, 경제적 안정과 협력, 가족문화와 사회참여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지지 전체와 하위요인 중 부모지지,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중 사회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두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인 회복탄력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각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독립변인인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가족건강성은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상호존중과 수용, 질적 유대감, 가족탄력성, 경제적 안정과 협력, 가족문화와 사회참여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상호존중과 수용, 가족탄력성은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독립변인인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전체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지지는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인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회복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해 가족건강성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청소년들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해 사회적지지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 퍼포먼스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영경 가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본 연구는 퍼포먼스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 인지, 정서, 사회적 발달을 돕는 퍼포먼스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창녕의 N지역아동센터 아동으로 사전검사로 자아존중감 검사와 사회성검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낮은 점수의 아동을 9명 선정하여 퍼포먼스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015년 11월 10일부터 2016년 4월 30일까지 N지역아동센터에서 기관과 사전면담, 사전검사, 프로그램 실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주1회 50분 15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퍼포먼스놀이치료는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 전체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해 볼 때, 연구대상 9명 모두 자아존중감 전체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Z=-2.668, p<.01). 둘째, 퍼포먼스놀이치료는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회성 전체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해 볼 때, 연구대상 9명 모두 사회성의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Z=-2.675, p<.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퍼포먼스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센터 내 아동으로 구성된 한정된 집단 이므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 후속 연구에서는 동일한 문제를 가진 집단 또는 또래집단으로 구성 하였을 때 연구의 효과를 입증하기가 용이할 것으로 본다. 둘째,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 학교생활과 또래관계를 다루는 다양한 퍼포먼스놀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청소년문화회관, 지역아동센터, 위센터에서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대체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대한 유의도가 선행연구와 일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요인을 분석 후 일반화 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전 학년에게 동일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학년이 다양할 경우 아동들의 지적수준에 맞는 적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만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그 효과성을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has done to know how Performance Play Therapy effects a child's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n this study, I gave Performance play therapies which help a child's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s. And I have checked how children changed their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children on N Children center in ChangNyeonggun. The children had tests for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and I chose 9 children who got low scores, and gave a Performance play therapy. From December 10th, 2015 to April 30th, 2016, I conducted the preliminary meeting, inspection programs, and post test programs in 50 minutes per week, and 15 sessions in N local children center. First, Child’s self-respec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s though Performance Play Therapy. When comparing the ex ante and ex post examination, all studied 9 children rose their self-esteem points, and which revealed meaningful change. Second, a child’s social skills show a meaningful change through Performance Play Therapy. When comparing the ex ante and ex post examination about sociality, all studied 9 students rose their social skill points, and which revealed meaningful change. When all the studies were combined, Perfomance Play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a child’s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Based on this study, I try to suggest as follow. First, this study is for the limited group consisted of children in the only Children Center. So if we consist of peer groups or same issue group on the follow-up study, it will seem to be easi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Second,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erformances, play therapy programs are required to deal with school and peer relationships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ocial skills. Therefore, Youth Cultural Center is necessary, Wee Center area, children's centers, such as the activation of alternative programs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Third, the significance level for self-esteem and sociality is not in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For this part, we need the follow-up study to generalize after analysing factors Fourth, we used the same inspection tools to the whole grades in this study, But we need to use suitable tools that matches their intellectual level in case students’ grades are different, Finally, it is needed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a control group and a experimental group because only an experimental groups has been studied

      • 긴장성두통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양기완 가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targets patients suffering from tension - type headaches liable to cause severe physically, environment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problem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factors quality of life. To this end, among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visiting the headache clinic of the department of neurological medicine, B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usan, 91 patients that agreed on the goal of the trial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 pre-test was conduct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survey, and fina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the researcher through face-to-face examination. For the research tool,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gender, marital status, primary guardian, and medical security, and occupational variables including income level, years of service, experience of unemployment, employment type, work type, and occupation. For self-esteem, Rosenberg’s self-esteem scale(RSE) was used, and for social support, items related to friends and acquaintances were added to the tool revised and developed by Park Sun-ju(2001). For a dependent variable, which was quality of life,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was used.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demographic variables or occupational variable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ubjects’ quality of life. Merely, quality of lif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bjects’ gender and work typ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related to subjects’ quality of life, ‘normally so’(3) was distributed around the overall average, and health status(2.53), treatment(2.56), leisure activity (2.85), sleep(2.83), and sex life(2.92) were a little lower than the overall aver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health and leisure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primarily for subjects. Third, looking at the variables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of social support factors, family support(r=.591, p<.01), friend․acquaintances support(r=.655, p<.01) ha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Influencing quality of life, self-esteem(β=.483, t=2.111, P<.05) and family support(β=.279, t=3.010, P<.01), friends․acquaintances support(β=.382, t=4.615, P<.000), expert support(β=-.178, t=-2.187, P<.05) was found to affect both. Fourth,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esteem, higher family support, friends․acquaintances support, and expert support was lower, the higher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s below. First,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it is necessary to perform various programs and devise proper measures at the institutional level to rais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and leisure activity. Second, it is needed to carry out diverse businesses related to development of the programs that could enhance social support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Lastly, not only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but those with chronic headache or migraine should be included in research subjects, and follow-up studies also need to class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re in detail.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긴장성두통(tension-type headache)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B종합병원 신경내과 두통클리닉을 내원한 긴장성두통환자 중 연구의 내용과 목적에 동의한 9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 테스트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였으며, 최종설문지를 연구자가 직접 면대면 조사방법을 활용하여 배포하고 수거하였다. 연구에서의 측정도구는 독립변수인 개인적 특성 중 인구사회학적 변인 관련 문항으로 성별, 결혼상태, 주보호자, 의료보장 등을 포함한 문항과 직업적 변인으로 소득정도, 근속년수, 실직경험, 고용형태, 근무형태, 직업 등으로 구성하였다. 자아존중감에 대한 측정도구는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R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사회적 지지 요인에 대한 측정도구는 박순주(2001)가 수정, 개발한 도구를 바탕으로 친구 및 주변사람에 대한 항목을 추가하였다.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대한 측정도구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인 WHOQOL-BREF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중 인구사회학적 변인, 직업적 변인과 삶의 질의 정도에 대한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다만, 대상자의 성별과 근무형태에 따른 삶의 질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상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에서의 조사결과, 삶의 질 수준은 평균은 3.11점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상태(2.53점)와 치료(2.56점)과 여가활동(2.85점)이나 수면(2.83점), 성생활(2.92점)의 만족도에서 전체 평균(3.11점)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이는 건강, 여가활동관련 문제해결이 조사대상자들에게 우선시 되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변인을 살펴보면 사회적지지 요인 중 가족 지지(r=.591, p<.01)와 친구․주변 지지(r=.655, p<.01)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β=.483, t=2.111, P<.05)과 가족 지지(β=.279, t=3.010, P<.01), 친구 및 주변 지지(β=.382, t=4.615, P<.000), 전문가 지지(β=-.178, t=-2.187, P<.05)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족 지지가 높을수록, 친구 및 주변 지지가 높을수록, 전문가 지지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긴장성두통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강과 여가활동과 관련된 삶의 질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실시와 함께 제도적 차원에서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긴장성 두통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인 병원 이용 긴장성두통환자 외에 진료를 포기한 만성 두통환자와 편두통(migraine) 등 극심한 통증에 노출되어 있는 환자들도 연구대상에 포함되어야 하며, 후속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개인적 특성을 더욱 세분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지역아동센터 환경요인이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밀양시를 중심으로

        박미화 가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Abstract> Due to the increase in the divorce rate and working parents, family structure of our society has a variety of looks, such as nuclear families, remarried families, one-parent families. Due to such changes in family structure, children were being raised by others without care of parents. These children may be dissatisfaction with reality or have psychological anxiety, and cause for problems in the community. Recently, increase in concerns about the welfare and social awareness, protection and education responsibilities to these children have been recognized as a problem to be responsible with the community and the country. A representative of the Public Service recognizes that the realization of these is Community Child Center. Community child center are facilities that provide comprehensive child welfare services for the healthy upbringing of children and community child protection, education, provides wholesome entertainment and amusement, guardians and community ties. And most children use a community child center are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multiple crises, including poor families, domestic violence, family disintegration, economic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ommunity child center environmental factors on child's self-efficacy. And many of the previous researches studied on urban areas, we focus on a mixed city with urban and rural area’s community child cent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community child center environmental factors are divided into physical environment, program content, interaction with teachers, peer relationships and analyzed the impact on the child's self-efficac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23 child in community child center in Miryang, Gyeongsangnam-do.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generally recognized environmental factors are positive. And it appear that the most positive factors is program content. Second,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children, it showed a large impact on efficacy compared to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is result can be sai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fficacy of children relative to other factors. Third, program cont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programs provided by the community child center enhance children’s self-efficacy. Fourth, interaction with teachers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children. Considering most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are low-income family’s child, teacher’s role and responsi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fficacy of children. Fifth, peer relationships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children. This means that children used to feel increased self -efficacy through vicarious experience of peer behavior. In sum, this study confirms community child center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children that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So to increase children’s self-efficacy that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physical environment and program content, ensure the conditions that teachers and children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help forming an intimate peer relationships. <국문초록> 맞벌이 부부 및 이혼율의 증가 등으로 인해 우리 사회의 가족형태는 핵가족, 재혼가정,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등 다양한 모습을 띄고 있다. 이와 같은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부모의 보살핌 없이 다른 사람에 의해 양육되는 아동이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아동들은 현실에 대한 불만족, 심리적 불안 등이 있을 수 있고, 자신의 욕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해 청소년기에 지역사회에서 비행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최근 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사회적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위와 같은 아동들에 대한 보호 및 교육 책임은 지역사회와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이 실현되는 공공서비스 중 대표적인 것이 지역아동센터라고 할 수 있다.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서(아동복지법 제16조 1항 11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대부분은 빈곤가정, 가정폭력, 가정해체, 경제적 위기 등 다중 위기를 경험한 아동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아동들에게 지역아동센터의 환경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환경요인과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을 연구한 선행연구 대부분이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도농지역인 밀양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지역아동센터의 환경요인을 물리적 환경, 프로그램 내용, 교사와의 상호작용, 또래관계로 구분하여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들은 지역아동센터 환경요인에 대해 대체적으로 좋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환경요인 중 물리적 환경은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환경요인에 비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요인들에 비해 물리적 환경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내용 또한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용아동의 대부분이 저소득층 아동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아동의 자기효능감 형성에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래관계 또한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용아동들이 또래의 행동을 통해 대리경험을 느껴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환경요인이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내용을 보강하며, 교사와 이용아동들이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여건을 보장하고, 친밀한 또래관계를 형성시켜줄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자기효능감,대인관계능력,직무만족도와의 구조적관계

        김혜령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Kim, Hye-Ryoung Major in Social Welfare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Kaya University Directed by Prof. Ahn, Sang-Keun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mong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ims to propose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Used in analysis was the data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second wave, the fourth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KEAPD) in 2019.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2.0 and Amos 25.0 statistical programs. Specific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were examined in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gender, place of residence,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subjective social and economic status, type of disability, and degree of disability. Seco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showed that the subjects scored mean 3.39 and 3.18 out of 5 points in the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conquest of disability, respectively, as observant variables of disability acceptance. They scored mean 2.96 and 2.95 out of 4 points i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respectively. Their mean scores of job satisfaction were 3.64 out of 5. Third,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among the observant variables and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linear relations among them at the level of p<.001. Fourth, the study analyzed path coefficients between latent variables of a structural model and found that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β) was .522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fficacy, .133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248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01. In addition,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β) was .602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184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Both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01. Fifth, the study analyzed th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relations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found that acceptance of disability had positive effects(B=.122, p<.05)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in turn had positive effects(B=.251, p<.05) on job satisfaction, which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hereas self-efficacy had no mediating effects. Finall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Specifically, acceptance of disability had positive effects(B=.500, p<.05) on self-efficacy, which had positive effects(B=.574, p<.01)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in turn had positive effects(B=.251, p<.05)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a couple of proposals: First, there should be practical policy programs to support the disabled before and after their employment to increase acceptance of disability among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Secondly, it is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subjects for competency enhancement education and provide ongoing education such as social skills training to reinforce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are psychosocial element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We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important variables for in their job satisfaction. Most of the recent policies fo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need to change from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employment to the improvement and reinforcement of their psychosocial factors 본 연구에서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어떠한 매개적 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방안들을 이끌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19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KEAPD)에서 실시한 장애인패널조사(PSED) 2차 웨이브 4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Amo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거주지역, 연령, 학력, 혼인상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장애유형, 장애정도를 파악하였다. 둘째,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장애수용의 관찰변인인 장애수용정도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39점, 장애극복은 5점 만점에 3.18점을 보였고,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4점 만점에 2.96점이며, 대인관계능력의 평균은 4점 만점에 2.95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64점 이었다. 셋째, 본 연구의 관찰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관계를 보였다. 넷째, 구조모형의 잠재변수 간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장애수용과 자아효능감의 표준화경로계수(β)는 .522,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의 표준화경로계수(β)는 .133,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의 표준화경로계수(β)는 .248로 모두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의 표준화경로계수(β)는 .602로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표준화경로계수(β)는 .184로 나타나 모두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병렬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장애수용은 대인관계능력에 정적인 영향(B=.122, p<.05)을 미치며, 대인관계능력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B=.251, p<.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은 연속다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수용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B=.500, p<.05), 자기효능감은 대인관계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B=.574, p<.01), 대인관계능력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B=.251, 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을 높이기 위해 고용이전과 이후의 실질적인 장애인 정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심리사회적 요소인 자아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 강화를 위해 역량강화교육의 대상을 확대하고 사회성기술훈련과 같은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장애수용,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기존 임금근로 장애인 정책의 양적인 고용수 확장에서 벗어나 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요소들의 개선과 강화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흡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지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청소년 흡연행동 관련된 변인을 고찰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흡연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남에 소재한 고등학생 1, 2, 3학년 학생을 흡연학생과 비흡연학생으로 구분하여 대응표집한 223명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 가족건강성은 어은주 · 유영주(1995)의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도구는 최보가 · 전귀연(1993)의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연행동을 측정하는 문항은 현재 흡연여부를 묻는 이분형 문항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흡연실태를 분석한 결과, 1일 흡연량은 6-10개비가 38.9%(42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1-5개비가 32.4%(35명), 11-15개비 18.5%(20명), 16개비 이상10.2%(11명) 순이었다. 흡연지속기간은 2년 이상-3년 미만이 전체 흡연자 중에서 가장 많은 29.6%(32명)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4년 이상 22.2%(24명), 3년 이상-4년 미만 20.4%(22명), 1년 이상-2년 미만 19.4%(21명), 1년 미만 8.3%(9명)의 순이었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은 흡연집단이 평균 3.40점이었고 비흡연집단은 평균 3.65로 나타나 비흡연집단의 가족건강성이 더 높았다.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유대감, 의사소통, 문제해결, 가치체계공유 모두 흡연집단보다 비흡연집단의 점수가 높았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흡연집단의 평균은 3.26점이었고, 비흡연집단은 평균 3.46점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자아, 사회적자아, 가정적자아, 학교적자아 모두 흡연집단보다 비흡연집단의 점수가 높았다. 넷째, 가족건강성이 흡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유대감(Wald=5.450, p=.020), 문제해결(Wald=5.110, p=.02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대감과 문제해결은 정적으로 유의미하므로 가족간유대감과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비흡연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해석 할 수 있다. Exp(B)는 유대감이 3.773, 문제해결이 3.246로 나타나 가족유대감이 1만큼 증가할수록 흡연집단에 속할 확률보다 비흡연집단에 속할 확률이 3.773배 증가하고, 문제해결능력이 1만큼 증가할수록 흡연집단에 속할 확률보다 비흡연집단에 속할 확률이 3.246배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이 흡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가정적자아(Wald=4.739, p=.030), 학교적자아(Wald=5.089, p=.02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정적자아와 학교적자아는 정적으로 유의미하므로 가정적자아와 학교적자아가 높을수록 비흡연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Exp(B)는 가정적자아가 1.890, 학교적자아가 1.860으로 나타나 가정적자아가 1만큼 증가할수록 흡연집단에 속할 확률보다 비흡연집단에 속할 확률이 1.890배 증가하고, 학교적자아가 1만큼 증가할수록 흡연집단에 속할 확률보다 비흡연집단에 속할 확률이 1.860배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청소년의 흡연예방과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획일적인 금연교육보다는 가족간의 유대감 강화,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청소년과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건강가족 프로그램이 학교차원에서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 흡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을 하위변인별로 제시함으로써 청소년흡연에 대한 다양한 개입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which gradually becomes serious. It aimed to determine how family strengths and self-esteem affected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Matched sampling was performed in 223 tenth- to twelfth-grader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to form the smoking and non-smoking group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Eoh and Yoo (1995), which containe a total of 34 items, was used to measure family strength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oi and Jeon (1993), which contained a total of 31 items, was used to measure self-esteem. A binary item concerning current smoking status was used to measure smoking behavior. For data analysis, an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smoking status, the most frequent number of cigarettes smoked on a daily basis was 6-10 (42 respondents; 38.9%), followed by 1-5 (35; 32.4%), 11-15 (20; 18.5%), and ≥16 (11; 10.2%). Among all the smokers, the most frequent smoking duration was 2-<3 years (32 adolescents; 29.6%), followed by ≥4 years (24; 22.2%), 3-<4 years (22; 20.4%), 1-<2 years (21; 19.4%), and <1 year (9; 8.3%). Second, the non-smoking group had better family strengths: the mean score for family strengths was 3.40 for the adolescents in the smoking group and 3.65 for those in the non-smoking group. The non-smoking group scored higher for all of the sub-factors for family strengths―bonds,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haring of value systems―than the smoking group. Third, the mean score for self-esteem was 3.26 for the adolescents in the smoking group and 3.46 for those in the non-smoking group. The non-smoking group scored higher for all of the sub-factors for self-esteem―general self, social self, family self, and school self―than the smoking group. Fourth, as for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s on smoking behavior,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uch sub-factors for family strengths as bonds (Wald=5.450, p=.020) and problem-solving (Wald=5.110, p=.025)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smoking behavior. Bonds and problem-solving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e higher level of intra-family bonds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higher likelihood of becoming a non-smoker. Exp(B) was 3.773 for bonds and 3.246 for problem-solving; thus, the increase in family bonds by 1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n-smoking group rather than to the smoking group by 3.773 times and the increase in problem-solving ability by 1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n-smoking group rather than to the smoking group by 3.246 times. Fifth, as for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smoking behavior,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uch sub-factors for self-esteem as family self (Wald=4.739, p=.030) and school self (Wald=5.089, p=.024)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smoking behavior. Family self and school self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e higher level of family self and school self, the higher likelihood of becoming a non-smoker. Exp(B) was 1.890 for family self and 1.860 for school self; thus, the increase in family self by 1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n-smoking group rather than to the smoking group by 1.890 times and the increase in school self by 1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n-smoking group rather than to the smoking group by 1.860 tim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mprove family strengths and self-esteem with the objective of preventing adolescents from smoking and inducing them to quit smoking. Rather than uniform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for schools to run a healthy family program in whic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 together with the objective of reinforcing intra-family bonds and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uld present diverse programs for intervention in juvenile smoking by indicating the sub-variables of family strengths and self-esteem that affect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