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메이크업 이미지 유형에 따른 시지각 반응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방효진 원광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19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 to the images of beauty makeup and art makeup in a variety of advertisements on advertisement attitudes. It proposed th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production of advertisement in business marketing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human pupil response when a person was exposed to the images of beauty makeup and art makeup. 1.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 and advertisement attitude elements depending on makeup styles, the important elements in the art makeup were artistic value in recognition response, decorative value in emotion response, and interest, attractiveness and negativity in advertisement attitude. For the beauty makeup, the important elements were practicality in recognition response, familiarity in emotion response, dignity, attractiveness and reliability in advertisement attitude. It indicates the difference in evaluation on those two kinds of makeup styles. 2. For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 on advertisement attitudes depending on beauty makeup, the attractiveness in advertisement attitudes had no influence on all elements of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s in beauty makeup. It proved that the beauty makeup images didn't draw attention. The interest in advertisement attitudes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decorative value, attractiveness, familiarity and dignity in emotion response in that order. The practicality in recognition response had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rest in advertisement attitudes. Furthermore, the negativity in advertisement attitudes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decorative value and dignity in emotion response and artistic value in recognition response. The familiarity in emotion response and the practicality in recognition response had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negativity in advertisement attitud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excessive colors and accessories in beauty makeup could make the audience negatively accept the advertisements so that the beauty makeup could induce interest on advertisement by appropriately expressing decorative elements. Moreover, the reliability in advertisement attitudes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practicality in recognition response and dignity, decorative value and attractiveness in emotion response in that order. It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n the practicality was, the higher the reliability of the audience on advertisements was because the beauty makeup expressed the personal images. 3.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 on advertisement attitudes was analyzed in art makeup. The artistic value and practicality in recognition response and dignity and decorative value in emotion response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attractiveness in advertisement attitudes for the art makeup. However, the familiarity in emotion response had the negative influence. In addition, the artistic value in recognition response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rest in advertisement attitudes. The familiarity in emotion response and the practicality in recognition response had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rest in advertisement attitude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above, the art makeup could induce visual interest and draw attention from the audience when it is applied by emphasizing the artistic expression elements. Furthermore, the familiarity, dignity and decorative value in emotion response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in advertisement attitudes for the art makeup. While decorative value in emotion response for the negativity in advertisement elements had positive influence positive influence, the attractiveness in emotion response had the negative influ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re the art makeup images were recognized in familiar and elegant ways, the higher the reliability on advertisement was. The negative recognition on decorative elements including accessories or brilliant colors in art makeup was also found. 4. The pupil response on dot images, beauty makeup images and art makeup images was measured with 20 college students. When the subjects watched the dots without specific designs, their pupils showed the least change in siz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ir pupils became expanded the most in size when they watched the art makeup images rather than when they watched beauty makeup images. 5.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 and advertisement attitude elements depending on makeup styles was compared with 20 subjects. The art makeup showed higher scores in artistic value in recognition response, decorative value in emotion response and interest, attentiveness and negativity in advertisement attitudes than beauty makeup. However, the beauty makeup had higher scores in practicality in recognition response, familiarity and dignity in emotion response and reliability in advertisement attitudes. Accordingly, the beauty makeup and the art makeup showed the opposite images in all elements except attractiveness. Th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that the art makeup had higher effect in drawing attention and interest due to decorative and artistic expression which visual stimulation strongly worked than the beauty makeup. It could be estimated that such results were related to the phenomenon that pupils were enlarged.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dignity, familiarity and reliable recognition of the beauty makeup as the practical makeup was higher than the art makeup. It was estimated that such element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nlargement of pupil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and emotion resonse on advertisement attitudes depending on makeup styles. It proved that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 on advertisement attitudes varied on makeup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 on the change of human pupil sizes by makeup style, the pupil sizes were changed depending on the expression features of makeup styles. This paper analyzed the mechanism related to pupil response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 and advertisement attitudes related to makeup imag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would contribute on more effective production of advertisements which could attract the consumers' attention by strategically applying the makeup images for the production of enterprise advertisemen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각종 광고에 활용되고 있는 뷰티메이크업과 아트메이크업의 이미지에 대한 인지?감성반응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뷰티메이크업과 아트메이크업 이미지가 시선에 노출될 때 인체의 동공반응에 대한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마케팅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광고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1. 메이크업 유형에 따른 인지?감성반응 및 광고태도 요인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아트메이크업은 인지반응의 예술성과 감성반응의 장식성, 광고태도의 흥미성, 주목성, 부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반면 뷰티메이크업은 인지반응의 실용성, 감성반응의 친숙성, 품위성, 매력성, 광고태도의 신뢰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두 메이크업에 대한 평가에 서로 차이가 나타났다. 2. 뷰티메이크업에 따른 인지?감성반응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뷰티메이크업의 주목성 광고태도는 인지?감성반응의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뷰티메이크업 이미지는 시선을 주목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광고태도의 흥미성은 감성반응의 장식성, 매력성, 친숙성, 품위성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인지반응의 실용성은 광고태도의 흥미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광고태도의 부정성에는 감성반응의 장식성, 품위성, 인지반응의 예술성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감성반응의 친숙성과 인지반응의 실용성은 광고태도의 부정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와 같이 뷰티메이크업은 과도한 색조와 액세서리를 표현할 경우 광고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장식적인 요소를 적절하게 표현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고태도의 신뢰성에는 인지반응의 실용성, 감성반응의 품위성, 장식성, 매력성의 순으로 정(+)의 영향이 나타남에 따라 뷰티메이크업은 개인의 이미지를 연출하는 메이크업이기 때문에 실용적으로 인지할수록 광고를 신뢰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3. 아트메이크업에 따른 인지?감성반응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트메이크업의 주목성 광고태도에는 인지반응의 예술성, 실용성, 감성반응의 품위성, 장식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반면 감성반응의 친숙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광고태도의 흥미성에는 인지반응의 예술성이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감성반응의 친숙성과 인지반응의 실용성은 광고태도의 흥미성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아트메이크업은 예술적 표현요소를 강조하여 광고에 접목시킬 경우, 소비자에 대한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시선을 주목시키는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트메이크업의 신뢰성 광고태도에는 감성반응의 친숙성, 품위성, 장식성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성 광고태도에서는 감성반응의 장식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감성반응의 매력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트메이크업 이미지에 대한 친숙적, 품위적으로 인식할수록 광고를 신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아트메이크업에 대한 화려한 색채와 액세서리와 같은 장식적인 요소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도 나타났지만, 이러한 장식적인 요소를 적절하게 표현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20명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점 이미지와 뷰티메이크업 및 아트메이크업 이미지에 대한 동공반응을 측정하였을 때, 특별한 디자인이 없는 점 이미지를 볼 때 동공반응의 크기가 가장 작게 변화하였으며, 뷰티메이크업 이미지보다 아트메이크업 이미지를 볼 때 동공반응의 크기가 가장 크게 확장되었음을 검증하였다. 5. 메이크업 유형에 따른 인지?감성반응 및 광고태도 요인의 차이를 동공측정 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아트메이크업은 인지반응의 예술성과 감성반응의 장식성, 광고태도의 흥미성, 주목성, 부정성이 뷰티메이크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뷰티메이크업은 인지반응의 실용성, 감성반응의 친숙성, 품위성, 광고태도의 신뢰성이 높게 나타나, 두 메이크업에 대한 매력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서로 상반된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트메이크업이 시각적인 자극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 장식적이고 예술적인 표현으로 인해 흥미와 시선을 주목시키는 효과가 뷰티메이크업보다 높게 나타남을 입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동공이 확장되는 현상과 관련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반면에 뷰티메이크업은 실용적으로 활용되는 메이크업으로써 품위적이고 친숙함과 신뢰적인 인식이 아트메이크업보다 높게 나타남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동공이 확장되는 현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유형에 따른 인지?감성반응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메이크업 이미지에 따라 인지?감성반응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입증하였다. 또한 메이크업 유형에 따른 인체의 동공반응 변화를 실험한 결과, 메이크업의 표현 특성에 따라 동공반응의 크기가 다르게 변화함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메이크업 이미지에 대한 인지?감성반응과 광고태도 간의 인과관계 및 동공반응에 대한 메커니즘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기업의 광고 제작에 있어서 메이크업 이미지를 전략적으로 접목하여 소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광고제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 윤리적 뷰티와 화장품 판매 사례 연구 : 발화와 시연의 공리주의 분석

        성예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Ethical beauty is a concept that embodies ethically correct action in the field of beauty design. More specifically, ethical beauty i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movement that pays ethical attention in the field of beauty design, produces and consumes products in an ethical manner and performs procedures by reflecting ethical aspects. In such context, I aim to articulate ethical principles based on rule utilitarianism and encourage show hosts who sell cosmetics in the beauty design and marketing area to ethically sell goods and communicate with consumers. Utilitarianism is divided into act utilitarianism and rule utilitarianism according to the criteria and methods. Principles of rule utilitarianism are derived from the right actions chosen by act utilitarians. Detailed rules as consequences of public interests or common goods, serve as a criterion for identifying ethical action in situations of conflict in the field of beauty design. In chapter 2.1, I examine the process of ethics of design companies from corporate ethics and introduce theoretical and practical adoption and development of ethical fashion and ethical beauty. In chapter 2.2, I explore rule utilitarianism for cosmetic marketing communication ethics. The four ethical rules applied to cosmetic marketing communication are inclusive of the principle of harm, the principle of equality, the principle of autonomy, and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When judging whether a particular marketing activity is ethical, these rules are the basis in three dimensions: subject, object and time. First, the judgment by ethical rules can be mad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sefulness of a particular act, or the subject to which the damage is applied. In other words, whether a particular action is ethically correct is judged from both customer and shopping host perspective. Second, usefulness and harm caused from marketing activities may vary over time. Judgment based on ethical rules is subdivided as per time differences such as short-term and long-term. Third, when judged by ethical rules, usefulness and harm caused by marketing activities appear in areas such as physical, monetary, labor, knowledge, emotion, etc. These three dimensions combine with each other in ethical judgment. In this study, I explore ‘utterance’ and ‘demonstration’ of shopping hosts who are selling anti-aging cosmetics in TV home shopping by applying the three-dimensional analysis framework of four ethical principle. Specifically, in chapter 3.1, I design case studies and describe their processes which are chapter 3’s cosmetics ‘A’ and chapter 4’s cosmetics ‘B’. By doing so, I analysis the shopping hosts’s utterances and demonstrations in the three-dimensional framework of four ethical rules. I form an experience group to testify about the usefulness or damage of marketing communications for cosmetics ‘A’ and ‘B’ and conduct three surveys. First, in the preliminary survey, I identify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kin type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TV home shopping purchasing experiences. In the second survey, after the experience group tests the cosmetic for a month, I analyze the evaluation of the show hosts marketing action and its effectiveness. Third, I conduct the additional survey when the answer of the experience group is ambiguous or unclear. ‘Utterances’ during marketing communication are what shopping hosts said to sell products, and ‘demonstrations’ are what shopping hosts show customers how to use products. Both utterances and demonstrations are divided into promotional marketing and production introduction. In promotional marketing, introduction of benefits, notice of exclusive sales conditions, and sales performance come to demonstrations, while, in product introduction, utterances explaining the ingredients and effects of cosmetics and demonstrations showing the use of cosmetics are applicable, respectively. The case studies in chapters 3 and 4 call for an ethical shift in cosmetic marketing. As a result of applying the four dimensions of rule utilitarianism to shopping hosts’ marketing utterances and demonstrations, the most common violation was the principle of harm.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ases that violated the principles of autonomy and equality. Through this study, I address the necessity for ethical beauty research. Though there are various areas such as labor, fair trade, marketing, the environment, and marketing communication in ethical beauty, I only explore an ethics of cosmetic marketing communication in TV home shopping.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in the field of beauty design has pointed out problematic situations or presented consumer statistic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esent an ethical argumentation by rule utilitarian ethics. Rule utilitarianism has an advantage of efficient argumentation. But contemporary ethicists pays more attention to preference utilitarianism and virtue ethics. Ethical beauty research needs to further explore and reflect the contemporary ethic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encourage subsequent research in ethical beauty and drive changes in the design practice. 윤리적 뷰티는 사람을 아름답게 만들어 주는 뷰티 디자인 영역에서 윤리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구현하는 개념이다. 더 세부적으로 윤리적 뷰티는 뷰티 디자인 분야에서 윤리적 관심을 기울이고 윤리적 제품 및 시술을 생산, 소비하는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움직임이다. 이에 본 논문은 뷰티 디자인의 마케팅 영역에서 화장품을 판매하는 쇼호스트를 대상으로 규칙 공리주의 윤리학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리주의는 행위 결과의 유용성을 판단하는 기준과 방식에 따라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로 나뉜다. 규칙 공리주의의 규칙은 행위 공리주의가 선택했던 옳은 행위들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공리를 결과하는 세부 규칙들은 뷰티 디자인의 현장의 갈등 상황에서 윤리적 행위를 식별하는 기준이 된다. 2장 1절에서는 기업 윤리로부터 디자인 기업의 윤리가 나타난 과정을 살피고 윤리적 패션과 윤리적 뷰티의 이론적 실천적 도입 및 전개를 소개한다. 2장 2절에서는 화장품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윤리학으로 위해 규칙 공리주의를 탐구한다. 화장품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적용하는 윤리 규칙은 해악 금지의 원칙, 평등의 원칙, 자율성의 원칙, 선행의 원칙이다. 특정 마케팅 행위가 윤리적인지를 판단할 때 이 규칙들은 적용 대상, 시간의 흐름, 적용영역의 3차원에서 기준이 된다. 첫째, 윤리 규칙의 판단은 특정 행위의 유용성, 혹은 피해가 적용되는 대상에 따라 달리 내려질 수 있다. 즉, 특정 행위가 윤리적으로 옳은지는 고객과 쇼호스트 관점 모두에서 판단한다. 둘째, 마케팅 행위로부터 야기되는 유용성과 해악은 시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윤리 규칙에 따른 판단은 단기와 장기 등 시차에 따라 세분된다. 셋째, 윤리 규칙으로 판단할 때 마케팅 행위로 인한 유용성과 해악은 신체, 금전, 노동, 지식, 감정 등의 영역에 나타난다. 이 3가지 차원은 윤리적 판단에서 서로 결합한다. 본 논문은 4가지 윤리 규칙의 3차원 분석틀에 기반하여 홈쇼핑에서 안티에이징 화장품을 판매하는 쇼호스트의 발화와 시연행위를 탐구한다. 3장 1절에서는 3장의 화장품 ‘A’와 4장의 화장품 ‘B’의 사례 연구 설계와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자는 화장품 ‘A’와 ‘B’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결과로 유용성이나 피해를 증언할 체험단을 구성하고 3번의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첫 번째, 예비 설문은 체험단 모집과정에서 참여자의 피부타입, 홈쇼핑 구매 경험 등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이다. 두 번째, 본 설문에서는 체험단이 한 달간 사용한 후 쇼호스트의 마케팅 행위 및 화장품 효과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다. 세 번째, 추가 설문은 본 설문을 진행하면서 체험단의 답변이 모호하거나 불명확할 때 진행한다. 본 논문은 체험단의 답변을 근거로 쇼호스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진실하고 설득력이 있었는지 살펴본다. 마케팅 커뮤티케이션 중 발화는 쇼호스트가 제품 판매를 위해 말이나 글로 발언한 것이며 시연행위는 쇼호스트가 고객에게 실제로 사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것은 다시 판촉 마케팅과 상품 소개, 사용법 시연으로 나뉜다. 판촉 마케팅에는 혜택 소개, 단독 판매 상황 고지, 판매 성과에 대한 발화가 속하며 상품 소개에는 화장품의 성분과 효과를 설명하는 발화가 속한다. 사용법 시연은 쇼호스트가 사용법을 소개하며 직접 보여주는 시연행위를 말한다. 3장과 4장의 사례 연구는 화장품 마케팅의 윤리적 전환을 요청한다. 쇼호스트의 마케팅 발화와 시연에 4가지 규칙 공리주의를 3차원으로 적용한 결과, 가장 많이 위반한 것은 해악 금지의 원칙이었다. 또한 자율성의 원칙과 평등의 원칙을 위반한 경우도 상당수였다. 본 논문은 윤리적 뷰티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탐구 방향을 제안하는 시론이다. 윤리적 뷰티에는 노동, 공정 무역, 마케팅, 환경 등 다양한 영역이 존재하지만 본 논문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영역 중에서 홈쇼핑 화장품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탐구했다. 지금까지 뷰티디자인 분야의 선행연구는 문제 상황을 지적하거나 마케팅 분석으로 소비자의 통계를 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윤리학 이론의 하나인 규칙 공리주의로 뷰티디자인 현장의 개별 행위들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윤리 논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규칙 공리주의는 윤리적 갈등 상황을 확립된 규칙을 통해 판단하므로 논증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동시대 윤리학은 선호 공리주의나 덕 윤리와 같이 개인의 인격 도야나 사회적 실천의 맥락에 더 관심을 기울인다. 앞으로 윤리적 뷰티 연구는 동시대 윤리학의 발전된 연구들을 더 깊이 탐구하고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이 후속 연구자들에게 윤리적 뷰티의 탐구를 독려하고 조금이나마 디자인 현장의 변화를 추동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중국여성의 뷰티관심도와 이너뷰티제품 인식에 따른 구매실태 분석

        김하늘 중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With present people’s increased interest in beauty, several alternate methods such as various functional cosmetics as well as general cosmetic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e beauty market. Of the alternate methods, inner beauty products have attracted consumers’ attention and they have the advantage of easy access. China is the second largest beauty market in the world and its inner beauty market has grown together. However, no previous researches on inner beauty products have been conducted with Chinese women in Korea. In this sen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interest in beauty and the awareness and usage of inner beauty products with Chinese woman consumer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inner beauty products in Chinese beauty marke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23 Chinese women and result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methods used a SPSS 23.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cross tab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The common age was the 20s(53.3%) and the 30s(39.3%) and the 20s and 30s were more than 90%. The most common occupation was white-collar and management work(66.6%). The most common education was university graduation(69.3%). The common income was 5,000∼10,000 yuan(49.8%) and less than 5,000 yuan(32.2%). For the marital status, 39.9% were single, while 59.8% were married. The interest in beauty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for the survey. The result of the mean value of factors was other-awareness(3.888) > brand(3.806) > self-management(3.8) > fashion(3.596). 91.0% of the subjects had knowledge of inner beauty products. Their knowledge path was advertisement(51.0%) > sales clerk’s inducement(16.3%) > other’s recommendation(15.6%) > expert’s inducement(15.0%). The product types they know were liquid(27.6%) and capsule(27.5%). The effects they know was whitening(20.4%) and anti-aging(20.3%). 81.1% of Chinese women thought that inner beauty products were necessary. The subjects purchasing inner beauty products were 72.4%, suggesting that many people had purchased inner beauty products. Their purchase purpose was moisturizing and whitening. The high purchase path was shop visit and Internet. The most common age of purchasing inner beauty products was 30s, followed by 40s, 50s and over, and 20s. The purchase purpose by age was whitening, moisturizing, and night care products in the 20s and whitening and moisturizing, anti-wrinkle and enhancement of skin resilience, and health supplements in the 30s. The higher income, the higher purchase rate of inner beauty products, while the lower income, the lower purchase rate. The higher income, the higher satisfaction at the effect of inner beauty products. People who thought that inner beauty products were more effective than general cosmetics and skin was improved when both inner beauty products and general cosmetics were used together purchased inner beauty products more commonly. People who knew inner beauty products purchased them for the purpose of whitening and moisturizing, while those who did not know inner beauty products purchased them for the purpose of health supplements. Many people purchased inner beauty products for the purpose of whitening and moisturizing irrespective of the effects of inner beauty products they knew. However, the purchase rate was high in products which th effects of products they knew agreed with those of products they purchased. People who knew inner beauty products by other’s recommendation and advertisement mostly purchased them in Internet. But people who knew the products by expert’s or sales clerk’s inducement greatly purchased them in the shop. People who thought that inner beauty products were more effective than general cosmetics and skin was improved when both inner beauty products and general cosmetics were used together showed high product satisfaction. Also, the higher the number of inner beauty products, the higher product satisfaction. People who thought that inner beauty products were necessary for Chinese women showed high satisfaction at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most Chinese women responded that inner beauty products were necessary and high concern for their effects was whitening, moisturizing, and anti-aging. They commonly purchased inner beauty products by Internet and shop visit and preferred types were tablet and capsule. As mentioned above, considering that the purchase rate was high when people who knew inner beauty products used the products having suitable effect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in inner beauty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inner beauty products in Chinese people. It is expected that Korea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will use this study to find the inner beauty market in China.

      • 퍼스널 컬러의 메이크업 적용 효과에 대한 일반인 집단과 뷰티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최민령 圓光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메이크업은 사회생활의 승패를 좌우하는 외모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메이크업에서 퍼스널 컬러는 이미지 표현에 가장 기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퍼스널 컬러의 이미지 메이크업에 대한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인 집단과 뷰티 전문가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퍼스널 컬러를 적용한 이미지 메이크업 자극물을 활용하여 총 25문항으로 구성하여 자기 기입방식으로 설문 조사하여 SPSS 19.0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과 퍼스널 컬러를 인식하고 퍼스널 컬러의 유용성에 대해 두 집단 모두 60%이상 공감을 하였으나, 실제로 색조 화장품 구매와 자신의 메이크업에 적용 정도는 일반인 집단이 뷰티 전문가 집단보다 낮았다. 그리고 따뜻한 유형과 차가운 유형의 색조 화장품 색도를 측정하여 얼굴에 적용하였을 때 파운데이션은 일반인 집단과 뷰티 전문가 집단 모두 ‘차가운 유형’이 더 잘 어울린다고 응답하였고, 블러셔 유형은 일반인 집단이 ‘따뜻한 유형 파운데이션에 따뜻한 유형 블러셔’, 뷰티 전문가 집단은 ‘따뜻한 유형 파운데이션에 차가운 유형 블러셔’를 가장 잘 어울린다고 응답하여 퍼스널 컬러 유형과 동일한 색상의 블러셔를 적용하는 것이 파운데이션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립스틱을 사용하여 이미지 메이크업에 적용하였을 때 일반인 집단은 깨끗하고 청순한 이미지 메이크업에 ‘따뜻한 유형 색상의 파운데이션과 차가운 유형 색상의 블러셔에 차가운 유형의 페일 톤 핑크색 립스틱’을 더 잘 어울린다고 응답하였고, 뷰티 전문가 집단은 ‘차가운 유형 색상의 파운데이션과 차가운 유형 색상의 블러셔에 차가운 유형의 페일 톤 핑크색 립스틱’을 더 잘 어울린다고 응답하였다. 귀엽고 경쾌한 이미지 메이크업에 일반인 집단과 뷰티 전문가 집단 모두 ‘차가운 유형 색상의 파운데이션과 차가운 유형 색상의 블러셔에 차가운 유형의 라이트 톤 핑크색 립스틱’이 가장 잘 어울린다고 응답하였고, 여성스럽고 성숙한 이미지 메이크업에 일반인 집단과 뷰티 전문가 집단 모두 ‘따뜻한 유형 색상의 파운데이션과 차가운 유형 색상의 블러셔에 차가운 유형의 딥 톤 빨간색 립스틱’이 가장 잘 어울린다고 응답함으로써 립스틱 색상은 블러셔와 마찬가지로 퍼스널 컬러와 동일한 유형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고, 이미지 메이크업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퍼스널컬러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적용에 대한 자료와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퍼스널 컬러의 사용과 적용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고, 뷰티 메이크업을 할 때는 동일한 유형의 블러셔와 립스틱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연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메이크업 분야 산업체 현장과 색조화장품 개발 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높다고 사료된다. 주제어: 퍼스널 컬러, 이미지 메이크업, 색조 화장품, 퍼스널 컬러 적용 효과 Personal color is the base of makeup for creating one's own personal image which has influence on one's social su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by the general public and beauty experts of both the personal color itself and effects of the personal color applied to the image makeup.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of 25 items that utilized stimulants related to image makeup based on personal col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9.0. The findings is that 60 percent or more of those respondents know personal color and think it of use, and that the group of people in general take less consideration for their own personal color than the beauty expert group in buying color cosmetics and in putting on makeup. They were asked to use two different types of cosmetics that respectively have warm and cool colors after the chromatility of the cosmetics was tested. And then both groups replied that cool colors looks better on themselves when they put on foundation. As for blusher, the general public group answered it looks best on themselves when they use foundation of warm color and blusher of warm color, and the beauty expert group replied it looks best on themselves when they use foundation of warm color and blusher of cool color. So it is more effective to use blusher that has the same color as personal color than to use foundation that has the same color as personal color. As for image makeup by the use of lipstick, the general public group replied that a makeup with a clean, innocent image goes better with foundation of warm color, blusher of cool color and lipstick of pink with a cool pale tone, and the beauty expert group answered that it goes better with foundation of cool color, blusher of cool color and lipstick of pink with a cool pale tone. Concerning a makeup with a pretty and cheerful image, both groups replied that it goes best with foundation of cool color, blusher of cool color and lipstick of pink with a cool, light tone. In terms of a makeup with a feminine and mature image, both groups replied it goes best with foundation of warm color, blusher of cool color and lipstick of red with a cool, deep tone. Likewise the case of blusher, it is most effective to choose lipstick of the same color as personal color, and it has the best impact on image makeup. Nowadays, people in general are concerned about their own personal color, but they aren't well informed about it. So publicity and education are required about the use of personal color. When a woman want to put on her makeup to make herself look more beautiful, the combined use of blusher and lipstick that have the same color is more effective.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expected to be of great use in the field of makeup and for the development of color cosmetics. Key words: personal color, image makeup, color cosmetics,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

      • 뷰티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번아웃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박나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19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investigation using questionnaire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f beauty workers on job stress and burnout syndrom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perficial act and inner act were derived as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role conflict, role overload, and role ambiguity as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sub-factors of burnout syndrome were emotional exhaus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decreased work efficiency, and cynical attitude as sub-factors of burnout syndrome. A total of 4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50 were collected. For the sample size, G Power 3.1 program was used for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an effect size of .21, a power of .95, and an effective value of .05, the F rejection range was 2.393, and the total sample size was 430, and 450 people were randomly sampled in consideration of the dropout rate. 4Of the 450 questionnaires, 447 (99.3%)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the 3 incomplete response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superficial act, inner act), job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burnout syndrome (emotional exhaustion, decreased work efficiency, cynical attitude),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role overloa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which were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ha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decreased work efficiency and cynical attitude, sub-variables of burnout syndrom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beauty workers on job stres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with superficial act and inner act sub-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job stress as dependent variables, showed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24.153, p<.001).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indicat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0. The superficial act (B=.17, t=2.331, p<.05) had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job stress, and the inner act (B=-.52, t=-6.705, p<.00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e influence of inner act was -.37 and that of superficial act was .13,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inner act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job stress of beauty workers on burnout syndrome,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job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burnout syndrome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68.597, p<.001),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indicat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2. Burnout syndrom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ole overload (B=.12, t=3.242, p<.01) and role ambiguity (B=.24, t=6.350, p<.001) of job stress. appear. The influence of role ambiguity was .40 and that of role overload was .18,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role ambiguity was high.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motional labor of beauty workers on burnout syndrome,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emotional labor (superficial act, inner ac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burnout syndrome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48.260, p<.001),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which indicat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8. Superficial act of emotional labor (B=.21, t=4.118,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syndrome, and inner act (B=-.52, t=-9.673, p) <.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e influence of the inner act was -.51 and that of the superficial act was .22, showing that the influence of the inner act was high.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uperficial act and inner act sub-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burnout syndrome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48.260, p<.001),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which indicat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8. Superficial act (B=.21, t=4.118,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syndrome, and inner act (B=-.52, t=-9.673, p<. 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nd the influence of inner act was -.51, and that of the superficial act was .22, showing that the influence of inner act was high. Fifth,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to determine whether the emotional labor of beauty workers affects burnout syndrome through job stress.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absolute fit index, the p-value of (=6.421, df=1) was .011, and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model perfectly explains the data’ was rejected, and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was not satisfied. However, among the absolute fit indices, RMR .01 and GFI .99 met the standard, and in the case of the incremental fit index, the standard fit index (NFI) was .99, which satisfies the standard (≥0.9). The non-conformity index (IFI) satisfies the standard value (≥0.9) at .99, and the relative fit index (CFI) also satisfies the standard value (≥0.9) at .99, confirming the suitability of the path model. The superficial a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13, p<.05) and emotional exhaustion (=.24, p<.001), and the inner a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37, p< .001), emotional exhaustion (=-.18, p<.001), decreased work efficiency (=-.40, p<.001), and cynical attitude (=-.20, p<.001).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51, p<.001) and cynical attitude (=.53, p<.001) but had a significant adverse impact on the decreased work efficiency (=-.19, p<.001).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o find out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superficial act, inner act) and burnout syndrome (emotional exhaustion, decreased work efficiency, cynical attitud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job stress h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pathway between superficial act and emotional exhaustion (.06, p<.05), showing that job str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ficial acts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ficial act and decreased work efficiency and cynical attitude, and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path between inner acts and emotional exhaustion (-.19, p<.01), showing that job str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er act and emotional exhaus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er act and decreased work effici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er act and cynical attitude, job stress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Sixth,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eld of employment (F=2.663, p<.05).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eld of superficial act, a sub-variable of emotional labor (F=3.637, p<.01), and inner act, a sub-variable of emotional labor in age (F=3.378, p<.05) and years of service (F=3.984,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by field, and emotional labor in skin care was the highest. The sub-variable of emotional labor, superficial ac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field, and the superficial act of skin care showed the highest. In the inner act, a sub-variable for emotional labor, by age, the inner ac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in their 50s or older, and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over 10 years. Through the abov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labor of beauty workers is a factor affecting job stress and burnout syndrome, respectively, establishing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본 연구는 뷰티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번아웃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은 표면적행위와 내면적행위, 직무스트레스는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 번아웃증후군은 정서적탈진, 업무효능감 감소, 냉소적 태도 등을 도출하였다. 2021년 12월 13일부터 2022년 2월 7일까지 전라북도, 천안시, 서울 지역의 뷰티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470부를 배포하였고 450부가 회수되었다. 표본의 크기는 ANOVA, 회귀분석을 위해 G 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크기 .21, 검정력 .95, 유효값 .05로 산출된 F기각역 2.393, 총 표본크기 430명으로, 탈락률을 고려하여 450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450명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한 3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447명(99.3%)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감정노동(표면적 행위, 내면적 행위), 직무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 역할모호), 번아웃증후군(정서적 탈진, 업무 효능감 감소, 냉소적 태도)의 상관관계에서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 하위변인 역할과다, 역할갈등, 역할모호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번아웃증후군의 하위변인의 업무 효능감 감소, 냉소적 태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감정노동의 하위변인 표면적 행위와 내면적 행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종속변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4.153,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10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에 표면적 행위(B=.17, t=2.331, p<.05)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적 행위(B=-.52, t=-6.705,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적 행위의 영향력은 -.37, 표면적 행위의 영향력은 .13로 내면적 행위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번아웃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 역할모호)를 독립변인, 번아웃증후군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68.597,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32로 나타났다. 번아웃증후군에 직무스트레스의 역할과다(B=.12, t=3.242, p<.01)와 역할모호(B=.24, t=6.350, p<.001)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모호의 영향력은 .40, 역할과다의 영향력은 .18로 역할모호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뷰티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번아웃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감정노동(표면적 행위, 내면적 행위)을 독립변인, 번아웃증후군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48.260,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18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의 표면적 행위(B=.21, t=4.118, p<.001)는 번아웃증후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적 행위(B=-.52, t=-9.673, p<.001)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적 행위의 영향력은 -.51, 표면적 행위의 영향력은 .22로 내면적 행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감정노동의 하위변인 표면적 행위, 내면적 행위를 독립변인, 번아웃증후군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48.260,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18로 나타났다. 번아웃증후군에 표면적 행위(B=.21, t=4.118, p<.001)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적 행위(B=-.52, t=-9.673, p<.001)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면적 행위의 영향력은 -.51, 표면적 행위의 영향력은 .22로 내면적 행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종사자의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번아웃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절대적합지수의 경우 값(=6.421, df=1)의 p 값이 .011로 ‘모형은 자료를 완벽하게 설명한다’라는 영가설이 기각되어 연구모형의 적합도에 충족 못하였다. 그러나 절대적합지수 중 RMR .01, GFI .99로 기준치를 충족 하였으며,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표준적합지수(NFI)가 .99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다. 비교준적합지수(IFI)는 .99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으며, 상대적합지수(CFI) 역시 .99로 기준치(≥0.9)를 충족하여 경로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표면적 행위는 직무스트레스(=.13, p<.05), 정서적 탈진(=.24, p<.001)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적 행위는 직무스트레스(=-.37, p<.001), 정서적 탈진(=-.18, p<.001), 업무 효능감 감소(=-.40, p<.001), 냉소적 태도(=-.20, p<.001)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정서적 탈진(=.51, p<.001), 냉소적 태도(=.53, p<.001)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 효능감 감소(=-.19, p<.001)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표면적 행위, 내면적 행위)과 번아웃증후군(정서적 탈진, 업무 효능감 감소, 냉소적 태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발생한 간접효과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Bootstrapping한 결과 표면적 행위와 정서적 탈진(.06, p<.05) 간의 경로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표면적 행위와 정서적 탈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면적 행위와 업무 효능감 감소, 냉소적 태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적 행위와 정서적 탈진(-.19, p<.01) 간의 경로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내면적 행위와 정서적 탈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적 행위와 업무 효능감 감소 관계, 내면적 행위와 냉소적 태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은 종사분야(F=2.663,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하위변인 표면적 행위의 종사분야(F=3.637, p<.01)와 감정노동 하위변인 내면적 행위는 연령(F=3.378, p<.05)과 근무년수(F=3.984,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은 종사분야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피부미용의 감정노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정노동 하위변인 표면적 행위는 종사분야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피부미용의 표면적 행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정노동 하위변인 내면적 행위는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의 내면적 행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년수는 10년 이상에서 내면적 행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뷰티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번아웃증후군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변수들 간 인과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뷰티 이미지메이크업 시술시 색도변화와 감성적 표현에 관한 연구

        이윤진 圓光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8719

        Beauty make-up, a way for beauty, is often used for image production by Korean women.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this issue since there is little data that is objective and particular on makeup treatment based face color tone change and cognition of it. Therefore, in this study, to obtain the effects of color cosmetics onto image production and the relevant data for image makeup were investigated the color tone change before and after image makeup treatment by selecting 8 types of beauty makeup were observed. Second, the emotional adjective expressions, season based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based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makeup preferred and disliked by the beauty specialists and ordinary people groups, the makeup that would be suitable for them in ordinary time and 8 types of image makeup and the hair colors after survey were used by the statistics package of SPSS Ver. 16.0 program, utiliz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ignificance test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specialists and ordinary people groups, the 'age' of 30 s and 20s was the highest, average monthly pocket money of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won both group four hundred thousand won is the most common, but in the beauty experts less than thirty thousand won was 32.7 percent ,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won was 30.9 percentage in the purchase of cosmetics. whereas, in the normal group,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won was the highest at 24 percent. These characteristics seem to indicate that Korean domestic market has kept growing up generally in the beauty field. 2. The analysis on cognition of makeup showed that both specialists and ordinary people groups did basic makeup everyday; that they did not start makeup till they entered into college; that they made up their eyes, chicks and lips for image change everyday; and that makeup worked positively on their psychological state. 3. The analysis result on the effects of makeup cosmetics onto 8 types of beauty makeup and on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makeup showed that image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image makeup by emphasizing face partially and putting light & shade, line and optical illusion effects on face using makeup cosmetics. 4. The most preferred beauty image makeup by the specialists group excluding their 40s group among such 8 types of beauty image makeup was 'natural' image makeup as preferred by the ordinary people group, while the image makeup disliked by both groups was the exaggerated eye-line image makeup. This result indicated that soft tone makeup was preferred to tough tone makeup. This showed that both beauty specialists and ordinary people groups had similar thoughts to each other about image makeup: which one they would like or dislike and which one they prefer for their ordinary time. 5. While investigating the emotional adjective expressions, season based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based characteristics of 8 types of image makeup, Both beauty specialists and ordinary people groups did not only get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nfidence by image makeup but also have similar feeling and image to each other on image makeup. This result indicated that image makeup would be highly useful and contributable to industry sites and makeup beauty training. 6. The analysis result on the hair color going well with image makeup and on image preference indicated that there was different cognition between both groups on the matter which image makeup would be chic, unique and strong smoky but both groups still thought that makeup would influence hair color in general. In conclusion, above data indicate that both groups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cognition of makeup, preference of makeup and emotional adjective image and style and preference of makeup and hair color image as ordinary people have been getting more interested in beauty together with their being-upgraded life quality although makeup has been recognized to be used by only high society. And objective data such as the effects of makeup cosmetics onto face color tone and image, cognition of beauty image makeup and effects of hair color onto image makeup may be highly useful and contributable in the academics. is considered. 아름다움의 추구방법중 하나인 뷰티메이크업은 우리나라 여성들 사이에서 이미지 연출 방법으로 즐겨 사용되지만, 얼굴의 색도변화와 이미지 인식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색조화장품이 이미지 연출에 미치는 영향과 이미지메이크업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첫째, 8가지 뷰티 이미지메이크업을 선정하여 이미지메이크업 시술 전 ․ 후의 색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둘째, 뷰티 이미지메이크업을 시술한 모델의 자극물을 제작하여 뷰티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이 좋아하는 이미지메이크업, 싫어하는 이미지메이크업, 평상시 어울리는 이미지메이크업과 8가지 이미지메이크업에 대한 감성형용사적 표현, 계절성, 상황성그리고 이미지메이크업에 잘 어울리는 헤어컬러에 대해서 설문 조사한 후 SPSS Ver. 16.0 프로그램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 유의성 검증,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뷰티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연령’은 30대와 20대가 가장 많았고, 월 평균 용돈은 두 집단 모두 ‘40만원 이상’이 가장 많았으나, 화장품 구입비는 뷰티전문가 집단은 ‘3만원 미만’이 32.7%, ‘10만원 이상’이 30.9%로 높은 비율을 나타낸 반면에 일반인 집단은 ‘10만원 이상’이 24%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월 평균 용돈에서 화장품 구입을 위한 소비는 메이크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뷰티 분야 산업의 발전과 시장성 확대라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 2.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분석에서 뷰티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은 매일 기초 메이크업을 하고 있으며, 대학생이 되어서 화장을 시작하고 이미지 변신을 위해 눈, 볼, 입술 화장을 매일같이 하며, 메이크업이 심리적인 안정감과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색조화장품이 8가지 뷰티 이미지메이크업에 미치는 영향과 이미지메이크업의 특징으로는 얼굴에 색조화장품과 색의 명암, 선, 착시 효과를 통해서 이미지 변신이 가능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4. 8가지 뷰티 이미지메이크업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뷰티전문가 집단에서 40대를 제외하고 일반인 집단과 마찬가지로 ‘내츄럴 이미지메이크업’이었고, 싫어하는 이미지메이크업은 두 집단 모두 ‘과장된 아이라인 이미지메이크업’, 평상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내츄럴 이미지메이크업’ 을 선택함으로서 강한 색조메이크업보다는 부드러운 느낌의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뷰티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은 대체적으로 좋아하는, 싫어하는 그리고 평상시 이미지메이크업에 대해서 비슷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8가지 이미지메이크업에 대한 감성형용사적 표현, 계절성과 상황성 조사에서 시술기법에 따라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고, 뷰티전문가와 일반인들이 이미지메이크업에 대해 비슷하게 좋아하고 느끼며 연상하는 것으로 관찰됨으로서 산업현장과 메이크업 미용교육시 그 활용성과 기여도가 높다고 사료된다. 6. 이미지메이크업과 어울리는 헤어 컬러 및 이미지 선호도 분석에서는 뷰티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에서 시크한 이미지메이크업, 유니크 이미지메이크업, 강한 스모키 이미지메이크업에서 두 집단이 상반되게 인식하였지만, 나머지 이미지메이크업에 어울리는 헤어컬러를 동일하게 인식함으로써 헤어컬러는 메이크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그 동안 일부의 특권층만이 이용하는 것으로만 인식되어 왔던 메이크업이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일반인들도 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두 집단이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 뷰티 메이크업과 감성형용사적 이미지 및 스타일 선호도, 메이크업과 헤어 컬러 및 이미지 선호도 분석 등에 있어서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색조화장품이 얼굴색도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뷰티 이미지메이크업에 대한 인식 그리고 헤어컬러가 이미지메이크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가 확보됨에 따라 그 활용성과 학문적 기여도가 높다고 사료된다.

      •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의 패션·뷰티 스타일링 연구 : 2017년 이후를 중심으로

        안소정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19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의 패션·뷰티 스타일링 연구 현대사회에서는 대중 매체의 발달로 이미지를 활용한 의사전달 방법이 다양해지고 외적 이미지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식적인 사회 활동을 하는 사람에게 외적 이미지는 사람을 인지하고 수용하는 매 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단순히 개인의 이미지 조 성을 넘어서 사회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 할을 한다. 대통령 배우자는 대통령과 함께 국내 공식행사나 해외 순방에 동행하며 한 국가를 대표하게 되는데 대통령 배우자의 이미지는 사회적인 역할과 책임에 있어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2017년 이후를 중심으로 대통령 배우자의 TPO를 고려한 패 션 스타일링과 뷰티 스타일링 분석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 구의 범위는 대한민국 19대 대통령인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기간인 2017 년 5월 10일부터 2022년 5월 9일까지 김정숙 여사의 활동사진 118장과 후 임인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식 2022년 5월 10일부터 2023년 10월까지 김건 희 여사의 활동사진 128장으로 한정하여 사진을 수집하였다. 선행연구 고 찰을 통해 패션 스타일링 요소로 의상 아이템, 실루엣, 길이, 액세서리 아 이템, 주요 색상, 문양, 배색으로 분석표를 재구성하였고 뷰티 스타일링 요소로는 메이크업과 헤어 스타일링으로 형태, 질감, 컬러로 분석표를 재 구성하였다. 활동 분류는 국내 행사로는 취임 행사, 국빈 접대 및 외교 활 동, 국내 행사 참여 및 사회 활동으로 분류하였고 국외 행사로는 출국장, 국외 접대 및 외교 활동, 국외 행사 참여 및 사회 활동으로 총 6개의 활 동으로 분류하였다. 김정숙 여사 분석 결과 공식 의례에서는 레이디라이크 룩의 특징인 긴 길이와 절제된 곡선미가 가미된 H-라인의 클래식 수트를 많이 착용했고 해외 공식 만찬에서는 주로 한복을 착용했으며 해외 활동 시 한국의 전통 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문양 활용한 의상이나 액세서리 아이템을 활용 했고 사회봉사 활동, 캐주얼한 미팅에서는 팬츠나 수트를 주로 착용하여 부드럽고 편안한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뷰티 스타일링 분석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메이크업 스타일이 변화되었고 국내외 행사에서는 대부분 화 려하게 표현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김정숙 여사는 서민적이고 평범한 이미지보다는 고전적이고 우아함이 겸비되는 화려한 이미지로 대통령의 공식 활동을 함께하고 외빈 접대 및 사회 활동의 역할로 내조하는 전통적 내조형으로 분석되었다. 김건희 여사 분석 결과 공식 의례에서는 가냘프고 마른 체형에 어울리 는 로맨틱한 X-라인의 클래식한 뉴 룩(new look) 실루엣의 우아한 레이 디라이크 룩을 주로 착장하였다. 공식 만찬에서 데이웨어의 X 실루엣을 유지하면서 길고 풍성한 스커트로 스타일링 함으로써 TPO에 따른 화려 한 이미지를 연출하였고 사회봉사 활동, 캐주얼한 미팅에서는 블랙 팬츠 수트를 착장하여 유능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뷰티 스타일링 분석 결과 메이크업의 표현은 대부분 일자형 눈썹, 꼬리형 아이라인, 라운 드 파트 헤어 스타일링 등을 동일하게 표현하였고 취임식 이후에는 C컬 또는 S컬의 긴 기장으로 스타일링을 유지함이 분석되었디. 김건희 여사는 전체적으로 현대적이고 세련된 커리어우먼의 관례적 의전형과 공식 활동, 정책적 역할 담당하는 활동적 내조형으로 분석되었다. 한 시대의 아이콘이 되는 대통령 배우자의 활동 범위가 다양해지고 이 전보다 많은 사회적 이슈가 되는 인물이기에 이들의 이미지는 사회적 책 임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대통령 배우자의 패션 스타일링 과 뷰티 스타일링 분석을 통해 앞으로 관련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 함과 동시에 실제 패션과 뷰티 관련 산업 전문가들에 있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대통령 배우자, TPO, 패션 스타일링, 뷰티 스타일링, 이미지메이킹 In modern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communication methods using imag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 importance of external image is increasing day by day. Especially for people who engage in formal social activities, external image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factors in recognizing and accepting people. These images go beyond simply creating an individual's image and play a role in exerting social influence and delivering positive messages. The president's spouse accompanies the president to domestic official events and overseas trips and represents a country. The image of the president's spouse is one of the important topics in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is study sought to prepare basic data by analyzing fashion styling and beauty styling considering the TPO of the president's spouse, focusing on the period after 2017.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118 photos of First Lady Kim Jung-sook from May 10, 2017, during the term of President Moon Jae-in, the 19th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May 9, 2022, and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her successor, President Yoon Suk-yeol, from May 10, 2022. Photos were collected limited to 128 active photos of First Lady Kim Keon-hee until October 2023.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the analysis table was reorganized with clothing items, silhouette, length, accessory items, main colors, patterns, and color combinations as fashion styling elements, and the analysis table was reorganized into shape, texture, and color with makeup and hair styling as beauty styling elements. .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domestic events as inauguration events, state receptions and diplomatic activities, participation in domestic events and social activities, and overseas events as departure halls, overseas entertainment and diplomatic activities, participation in overseas events and social activities. did. As a result of Ms. Kim Jeong-sook's analysis, she often wore H-line classic suits with long length and understated curve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the ladylike look, at official ceremonies. She mainly wore hanbok at official dinners abroad, and when working abroad, she recreated Korea's traditional beauty in a modern way. Clothing and accessory items using interpreted patterns were used, and pants or suits were mainly worn during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nd casual meetings to create a soft and comfortable image. As a result of beauty styl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keup styles have changed over time and are mostly expressed in a flashy manner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events. First Lady Kim Jeong-sook was analyzed as a traditional housewife type who accompanied the president in his official activities, entertained foreign guests, and assisted in social activities with a glamorous image that was both classic and elegant rather than a commoner and ordinary im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s. Kim Keon-hee, she mainly wore an elegant ladylike look with a classic new look silhouette with a romantic X-line that suits her slender and thin body type at official ceremonies. At the official dinner, she maintained the As a result of the beauty styl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makeup expressions were the same, such as straight eyebrows, tail-shaped eye line, and round part hair styling, and after the inauguration ceremony, the styling was maintained with a long C-curl or S-curl length. Mrs. Kim Kun-hee was analyzed overall as a modern and sophisticated career woman with the customary protocol type, official activities, and an active domestic type in charge of policy roles. As the scope of activities of presidential spouses, who are icons of an era, are diverse and they are the subject of more social issues than ever before, their image must have social responsibility.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f the president's spouse's fashion styling and beauty styling in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and at the same time be helpful to actual fashion and beauty-related industry experts. Keywords: Presidential Spouse, TPO, Fashion Styling, Beauty Styling, Image making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미용·뷰티 학위논문 연구 동향

        황예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beauty curriculum to mee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of the beauty industry and the ti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rasp the topics being studied in domestic beauty thesis and the study topics that are newly emerging. From 2000 to 2020, the thesis titles or abstracts in Korean with keywords ‘beauty treatment’ and ‘beauty’ were searched on the RISS site. The searched 4,079 ‘beauty treatment’ and 1,349 ‘beauty’ were collected, and the keyword data of ‘beauty treatment & beauty’ was generated after de-duplication. Key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and topic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he analysis period of beauty theses is divided into period 1 (2000-2004), period 2 (2005-2009), period 3 (2010-2014), period 4 (2015-2019), and period 5 (2020, recent). Using the extracted keyword data, Term Frequency (T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Degree Centrality, N-gram network, and topic modeling of the theses were performed. By combin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keywords by period, in the first period (2000-2004), beauty treatment, skin, female, care, education, survey, health, use, utilization, hair, service, society, factor, beauty makeup, the elderly, cosmetics, characteristics, culture, change, effect, relation, beauty salon, and makeup appeared In the second period (2005-2009), skin, beauty treatment, care, female, use, hair, customer, utilization, service, survey, factor, cosmetics, effect, education, change, image, makeup, styl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method, product, health, satisfaction, relation, beauty salon, interest, expression, society, professi onal, form, male, consumer, design, preference, culture, and market were derived as keywords. In the third period (2010-2014), beauty treatment, skin, education, care, service, hair, factor, female, use, survey, customer, satisfaction, utilization, effect, characteristics, recognition, satisfaction, cosmetics, image, change, industry, beauty, target, makeup, style, hair, relation, method, society, Korea, type, group, professional, interest, consumer, product, expression, procedure, process, and design appeared as keywords. In the fourth period (2015-2019), beauty treatment, education, skin, factor, care, service, hair, beauty, satisfaction, use, customer, relation, effect, cosmetics, utilization, image, female, recognition, behavior, survey,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design, industry, application, consumer, makeup, Korea, expression, product, information, works, type and process were derived as keywords. In the 5th period (2020), beauty treatment, factor, beauty, relation, behavior, care, customer, hair, service, satisfaction, education, cosmetics, skin, image, consumer, product, procedure, style, and makeup were derived as keywords for the thesis. Second, according to N-gram analysis by period, skin-beauty and hair-style keywords were frequently presented simultaneously in the first period (2000-2004). Also,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the elderly-we lfare, makeup-culture, fashion-magazine, health-behavior, color-tone, work-time, aroma-therapy, improvement-plan, vocational-college, job-choice, hair-dye, employment-support, beauty-manager keywords emerged only at this time. It can be confirmed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skin beauty, beauty workers, beauty industry, beauty education institutions, skin health conditions, and scalp hair care. And such studies as beauty service in welfare programs for the elderly, hair or makeup research in fashion magazines,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job stress of hairdressers, and aromatherapy were the main concerns of thesis during this period. During the second period (2005-2009), topics such as skin care, skin care shop, skin health, skin care behavior, female skin condition, beauty service quality, and use of functional cosmetics, and research contents such as service quality, interest in appearance, cosmetic surgery, cosmetics purchase, functional cosmetics, care behavior, men's cosmetics, cosmetics market, care products, middle-aged women, lifestyle, brand image, hair loss treatment, and sun care products newly appeared. It was found that the main research contents of the thesis from 2005 to 2009 were cosmetic surgery for skin aging prevention, cosmetic surgery behavi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ke-up, and the brand image of men's cosmetics. In the third period (2010-2014),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t the same time was high in order of skin-beauty, cosmetic-surgery, beauty-service, beauty-industry, beauty-education, hair-beauty, beauty-worker, and beauty-maj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kin care behavio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calp hair care were the main concerns. The new keywords that emerged simultaneously were social-commerce, beauty-industry, hair-design, beauty-major, beautician, nail-shop, work-production, beauty-department, permanent-wave, industry-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the main interests of the thesis during this period were manual face-lifting massage, skin beauty social commerce coupons, beauty social commerce marketing, and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works of hair, nails, and makeup. In the 4th period (2015-2019),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was in the order of skin-beauty, management-behavior, beauty-education, and the key words that appeared frequently were beauty education courses, skin beauty service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ir beauty workers, beauty treatment service industry, beauty service industry, Korean cosmetics purchase, and “for middle-aged women”. In addition, semipermanent-makeup, organization-immersion, job-competency, interaction, hair-cut, visit-intention, Korean-cosmetics, career-decision, national-technology, and turnover-intention newly appeared simultaneously. It can be seen that, due to the Korean Wave fever during this period, research on Korean cosmetics conducted for foreigners such as women in Hong Kong, Vietnamese consumers, and Chinese tourists, and comparison of perceptions on semi-permanent makeup in Korea and China were the main research topic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emi-permanent makeup,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hair cut design research, and turnover intention of beauty workers were the main interests of the thesis in the 4th period (2015-2019). In the 5th period (2020), ‘beauty’ appeared frequently with ‘worker’, and the word ‘worker’ was derived as ‘beauty worker’.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were in-fluencer, self-nail, interpersonal-relationship, customized-cosmetics, beauty-contents, service-scape, emotional-reaction, beauty-academy, field-training, emotional-labor, and word of mouth-information. In the case of ‘fluencer’, it appeared as a beauty-influencer and a social-influenc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kin care behavior, beauty treatment services cape, beauty treatment service quality, beauty service quality, beauty treatment service industry, beauty service industry, beauty training courses,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 relation are often used. This shows that research on the impact of beauty influencer information quality on makeup behavior and intention to purchase color cosmetics, beauty research using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Instagram, and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customized cosmetics manufacturing manager certification are being conducted for the MZ generation (A combination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s Z, familiar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pursuing individual happiness rather than collective one, sharing rather than owning, and pursuing the latest trends and unusual experiences.) in 2020. In addition, as the customized cosmetics manufacturing manager qualification test was newly established on March 14, 2020, it was shown that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customized-cosmetics’ was high. As such, it was shown that the research of the 2020 beauty the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keywords for the whole period, a total of 18 keywords were derived: beauty treatment, skin, women, care, education, service, factor, cosmetics, hair, effect, relation, satisfaction, recognition, makeup, product, customer, image, consumer. This means that there was a steady research interest in the 2000-2020 beauty thesis.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beauty treatment keywords are more used among researchers than beauty keywords, and studies on skin, hair, and makeup are consistently studied. In the case of nails, the research activity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fields. Fourth, as a result of common N-gram analysis for all periods,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words such as skin-beauty, hair-style, skin-care, survey, beauty treatment-service, correlation, beauty treatment-education, customer-satisfaction, beauty treatment-industry, and job-satisfaction were high. This means that there are many studies on correlations using survey in beauty thesis. In the field of hair, research on ‘style’ was mainly done, and in the field of skin, research on ‘care’ was representative. In the field of beauty treatment, research on ‘service’, ‘education’, ‘industry’, and ‘satisfaction’ is a constant subject and interest of researchers. Fifth, as a result of LDA topic modeling analysis, three modeling groups by period were derived. In the first period (2000-2004), the modeling group appeared in order of beauty services, skin care, hair style and image. And in the second period (2005-2009), it was divided into hair style and beauty salon, skin beauty and appearance management, skin care and beauty services. In the third period (2010-2014), it was derived from beauty services, hair makeup image, skin & hair care and beauty education. In the fourth period (2015-2019), it appeared as beauty education and service, cosmetics purchase and beauty image, and beauty care. And it was derived that the detailed topics of the 5th period (2020) were management behavior relations, beauty education, and hair beauty. Detailed research topics that are being dealt with in each period were visually confirmed using the TEXTOM program. In addition, although the biggest topics are the main research interests, it can be seen that the three detailed topics are evenly studied in independent areas without being biased toward a specific topic. In this study, through the TEXTOM program, a big data analysis solution, a large amount of data publish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was analyzed by minimizing the subjective judgment of researchers and subdividing research trends without much difficulty. By grasping the detailed research trend, it is meaningful that it proposed a new research method that has not been attempted in the past and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research trend to beauty majors. In the future, if the news related to the ‘beauty treatment’ and ‘beauty’ keywords is ‘web-crawl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meaningful as a study that suggests the vision of the beauty field. 본 연구에서는 시대 변화에 맞는 미용 교육과정 확대 및 뷰티산업과 시대 융합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국내 미용·뷰티 학위논문에서 연구되고 있는 주제 및 과거에 비해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연구주제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RISS에서 ‘미용’, ‘뷰티’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논문제목 또는 국문초록으로 ‘미용’ 4,079편과 ‘뷰티’ 1,349편을 수집하고, 중복 제거 후 ‘미용·뷰티’ 키워드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주요 단어를 추출하고, 토픽 분석도 진행하였다. 미용·뷰티 학위논문의 분석 시기를 1시기 2000∼2004년, 2시기 2005∼2009년, 3시기 2010∼2014년, 4시기 2015∼2019년, 5시기 2020년(최근)으로 구분하였다. 추출한 주요 단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위논문의 시기별 단어 빈도(TF), 단어 빈도–역문서 빈도(TF-IDF),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N-gram 네트워크,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기별 중심 키워드 분석 결과, 1시기 2000∼2004년에서는 미용, 피부, 여성, 관리, 교육, 조사, 건강, 사용, 이용, 모발, 서비스, 사회, 요인, 화장, 노인, 화장품, 특성, 문화, 변화, 효과, 관계, 미용실, 메이크업 키워드가 나타났다. 2시기 2005∼2009년에는 중심 단어로 피부, 미용, 관리, 여성, 사용, 헤어, 고객, 이용, 서비스, 조사, 요인, 화장품, 효과, 교육, 변화, 이미지, 메이크업, 스타일, 인식, 특성, 방법, 제품, 건강, 만족도, 관계, 미용실, 관심, 표현, 사회, 전문, 형태, 남성, 소비자, 디자인, 선호, 문화, 시장 단어가 도출되었다. 3시기 2010∼2014년에서는 미용, 피부, 교육, 관리, 서비스, 헤어, 요인, 여성, 사용, 조사, 고객, 만족, 이용, 효과, 특성, 인식, 만족도, 화장품, 이미지, 변화, 산업, 뷰티, 대상, 메이크업, 스타일, 모발, 관계, 방법, 사회, 한국, 유형, 집단, 전문, 관심, 소비자, 제품, 표현, 시술, 과정, 디자인 키워드가 학위논문의 중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4시기 2015∼2019년에는 미용, 교육, 피부, 요인, 관리, 서비스, 헤어, 뷰티, 만족, 사용, 고객, 관계, 효과, 화장품, 이용, 이미지, 여성, 인식, 행동, 조사, 특성, 만족도, 디자인, 산업, 활용, 소비자, 메이크업, 한국, 표현, 제품, 정보, 작품, 유형, 과정 단어가 중심 단어로 도출되었다. 5시기 2020년 학위논문의 중심 키워드로 미용, 요인, 뷰티, 관계, 행동, 관리, 고객, 헤어, 서비스, 만족, 교육, 화장품, 피부, 이미지, 소비자, 제품, 시술, 스타일, 메이크업 키워드가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 N-gram 분석 결과, 1시기 2000∼2004년에서는 피부-미용, 헤어-스타일 키워드의 동시출현 빈도가 높았고, 노인-복지, 화장-문화, 패션-잡지, 건강-행위, 색상-색조, 근무-시간, 아로마-테라피, 개선-방안, 전문-대학, 직업-선택, 모발-염색, 취업-지원, 미용-관리사 키워드의 동시출현 빈도가 이 시기에서만 나타났다. 이는 피부 미용, 미용 종사자, 미용 산업, 미용 교육 기관, 피부 건강 상태, 두피 모발 관리 등을 주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노인 복지 프로그램의 미용 봉사, 패션 잡지의 헤어 또는 메이크업 연구와 교육과정 개선방안, 미용사 직무 스트레스, 아로마테라피 등 이러한 연구가 2000∼2004년 학위논문의 주요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2시기 2005∼2009년에는 피부 관리, 피부 관리실, 피부 건강, 피부 관리 행동, 여성피부 상태, 미용 서비스 품질, 기능 화장품 사용 등의 주제와 서비스 품질, 외모 관심, 미용 성형, 화장품 구매, 기능 화장품, 관리 행동, 남성 화장품, 화장품 시장, 관리 상품, 중년 여성,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이미지, 탈모 관리, 자외선차단 제품 등 의 연구 내용이 새롭게 나타났다. 이는 2005∼2009년 학위논문의 주된 연구 내용이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미용 성형, 화장 정도에 따른 미용 성형 행동, 남성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 등의 연구가 학위논문의 주된 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3시기 2010∼2014년에서는 피부-미용, 미용-성형, 미용-서비스, 미용-산업, 미용-교육, 헤어-미용, 미용-종사자, 미용-전공 순으로 동시에 출현하는 빈도가 높았고, 피부 관리 행동, 외모 관리 행동, 두피 모발 관리 등의 주된 관심사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동시출현 키워드로 소셜-커머스, 뷰티-산업, 헤어-디자인, 미용-전공, 피부-미용사, 네일-샵, 작품-제작, 미용-학과, 퍼머넌트-웨이브, 산업-발전 키워드가 동시에 출현하였다. 이는 2010∼2014년 학위논문의 주된 관심사가 수기 미용 성형 요법 마사지, 피부 미용 소셜 커머스 쿠폰, 미용 소셜 커머스 마케팅, 헤어·네일·메이크업의 작품 제작 연구 등 주된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4시기 2015∼2019년에는 피부-미용, 관리-행동, 미용-교육 순으로 동시출현 빈도가 보이고, 자주 등장한 핵심어로 미용 교육 과정, 피부 미용 서비스, 외모 관리 행동, 헤어 미용 종사자, 미용 서비스 산업, 뷰티 서비스 산업, 한국 화장품 구매, 중년 여성 대상 등이 나타났다. 또한, 반영구-화장, 조직-몰입, 직무-능력, 상호-작용, 헤어-커트, 방문-의도, 한국-화장품, 진로-결정, 국가-기술, 이직-의도 단어가 새롭게 동시출현 빈도를 보였다. 이는 2015∼2019년 한류 열풍으로 인한 홍콩 여성·베트남 소비자·중국인 관광객 등 외국인 대상으로 한국 화장품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반영구 화장 인식 비교 등 주요 연구주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반영구 화장, 국가기술자격, 헤어 커트 디자인 연구, 미용 종사자 이직 의도 등이 4시기 2015∼2019년 학위논문의 주된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5시기 2020년에는 미용-종사자와 동시에 출현하는 빈도가 높고, 종사자는 뷰티-종사자로도 도출되었다. 동시출현 빈도가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로는 인-플루언서, 셀프-네일, 대인-관계, 맞춤-화장품, 뷰티-콘텐츠, 서비스-스케이프, 감정-반응, 미용학원, 현장-실습, 감정-노동, 구전-정보 키워드가 동시출현 빈도를 보였다. 플루언서의 경우 뷰티-플루언서, 소셜-플루언서로 등장하였다. 외모 관리 행동, 피부 관리 행동, 미용 서비스 스케이프, 미용 서비스 품질, 뷰티 서비스 품질, 미용 서비스 산업, 뷰티 서비스 산업, 미용 교육 과정, 화장품 구매 의도, 이직 의도 관계 등이 자주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뷰티 인플루언서 정보품질이 메이크업행동 및 색조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유튜브(Youtube)·인스타그램(Instagram)과 같은 플랫폼을 활용한 미용·뷰티 연구,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 시행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등 2020년 MZ세대(밀레니얼과 Z세대를 합친 말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소유보다 공유를, 최신 트렌드와 남과 다른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세대)에 맞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2020년 3월 14일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시험이 신설됨에 따라 ‘맞춤-화장품’의 동시출현 빈도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2020년 미용·뷰티 학위논문은 시대 흐름에 따라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체 시기 중심 키워드 분석 결과, 미용, 피부, 여성, 관리, 교육, 서비스, 요인, 화장품, 헤어, 효과, 관계, 만족도, 인식, 메이크업, 제품, 고객, 이미지, 소비자 총 18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이는 2000∼2020년 미용·뷰티 학위논문의 꾸준한 연구 관심사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미용 키워드가 뷰티 키워드보다 연구자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피부, 헤어, 메이크업 분야에 관한 연구가 일정하게 연구 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네일의 경우 다른 분야에 비해 연구 활동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체 시기 공통 N-gram 분석 결과, 피부-미용, 헤어-스타일, 피부-관리, 설문-조사, 미용-서비스, 상관-관계, 미용-교육, 고객-만족, 미용-산업, 직무-만족 등 의 동시출현 빈도가 도출되었다. 이는 미용·뷰티 학위논문에서 대체로 설문 조사를 이용한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헤어 분야는 ‘스타일’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피부 분야에서는 ‘관리’에 관한 연구가 대표적으로 나타났다. 미용 분야에서는 ‘서비스’, ‘교육’, ‘산업’, ‘만족’에 관한 연구가 연구자들의 꾸준한 주제 및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시기별 3개의 모델링 그룹으로 도출되었다. 1시기 2000∼2004년에는 미용 서비스, 피부 미용 관리, 헤어 스타일 및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고, 2시기 2005∼2009년에서는 헤어 스타일 및 미용실, 피부 미용 및 외모 관리, 피부 관리 및 미용 서비스로 구분되었다. 3시기 2010∼2014년은 미용 서비스, 헤어 메이크업 이미지, 피부·모발 관리 및 미용 교육으로 도출되었다. 4시기 2015∼2019년에서는 미용 교육 및 서비스, 화장품 구매 및 뷰티 이미지, 미용 관리로 나타나고, 5시기 2020년에는 관리 행동 관계, 미용 교육, 헤어 미용으로 세부 주제가 도출되었다. 텍스톰(TEXTOM)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기별 세부 연구주제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가장 큰 토픽들이 주된 연구 관심사이지만 특정 토픽에 치우치지 않고 3개의 세부 주제가 독립적인 영역에서 고르게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긴 시간 동안 발간된 대용량의 자료를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텍스톰(TEXTOM)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을 최소화하고, 큰 어려움 없이 연구 동향을 세분화하여 파악하였다. 세분화된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과거에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연구방식을 제안하고 미용·뷰티 전공자들에게 연구 동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향후, ‘미용’, ‘뷰티’ 키워드 관련 뉴스를 웹 크롤링하여 본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면 미용·뷰티분야의 비전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케이팝 걸 그룹의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뮤직비디오 이미지와 헤어스타일 분석

        김희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케이팝의 발전과 확산으로 인해 케이뷰티는 전 세계에 문화를 형성하고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걸 그룹의 뮤직비디오 이미지와 헤어스타일 분석을 통하여 뷰티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되고자하며, 다양한 학술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국가의 경제력과 글로벌 시장에 기여가 되는 시기인 신 한류 시기 가운데 침체 되어 있던 걸 그룹 시장이 재 열풍을 일으키기 시작한 시기를 연구범위로 하였다. 따라서 2015년부터 2020년 활동 중인 걸 그룹 중 유튜브 구독자수로 세계 기네스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블랙핑크와 글로벌 한류 홍보 대사로 활동 중인 레드벨벳을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식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 수를 기준으로 총 6곡을 선정하였다. 객관적인 뮤직비디오 이미지 분석을 위해 공식 유튜브 뮤직비디오 리뷰 속 구독자 언어와 리뷰&리액션 영상을 통해 음악특징, 뮤직비디오 특징, 외모, 패션을 묘사 및 평가한 어휘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어휘는 언어이미지스케일과 배색이미지스케일을 활용하여 나타내는 용어로 뮤직비디오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이어 헤어스타일의 분석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도구를 재구성하며 공식 유튜브 뮤직비디오 속 헤어스타일을 스톱모션과 프린트스크린을 통하여 이미지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케이팝과 케이뷰티의 개념 및 확산에 대해 조사 결과, 케이팝은 한국대중음악을 의미하며 1990년 후반 1세대 아이돌 가수를 시작으로 하여, 이후 싸이의 강남스타일로 인해 한국 브랜드가 강화되었다. 최근 방탄소년단이 한국가수 최초 그래미어워드에 참석하며 케이팝의 역사에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고 이와 동시에 케이뷰티도 동반성장을 이루었다. 케이뷰티는 ‘korean beauty’의 줄임말로 한국의 고유한 뷰티문화를 의미하며, 글로벌 브랜드 기업들의 신제품의 키워드로 활용이 되고 뷰티크리에이터들에 의해 케이팝 팬들과 공유되면서, 케이뷰티의 시장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케이팝 걸 그룹의 뮤직비디오를 분석한 결과, 언어이미지스케일과 배색이미지스케일을 통한 이미지 용어는 ‘다이나믹&고져스&엘레강스’, ‘다이나믹&고져스’, ‘다이나믹& 캐쥬얼&프리티’, ‘고져스&로맨틱’, ‘캐쥬얼&고져스’, ‘프리티&쿨 캐쥬얼&로맨틱’ 이미지로 도출되었다. 이는 한가지의 이미지로 국한되기보다 2개∼3개의 이미지가 융합되어 나타났으며, 언어이미지와 배색이미지가 대부분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케이팝 걸 그룹 헤어스타일을 형태, 질감, 색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형태에서 앞머리 없음, 센터 가르마, 롱 헤어길이, S컬 웨이브, 질감요소에서는 매끄러운 표면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무거운 질감과 가벼운 질감은 동일한 비율로 연출되었으며 대표 헤어컬러는 R컬러, RP컬러, PB컬러, YR컬러, P컬러가 주요컬러로 나타났다. 넷째, 케이팝 걸 그룹의 뮤직비디오 이미지, 헤어스타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헤어컬러는 뮤직비디오 배색이미지컬러와 대체로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고, 뮤직비디오에서 보이는 이미지는 대체로 트랜드보다는 곡의 콘셉트나 분위기에 적합한 헤어스타일로 연출 되었고 뮤직비디오의 배경, 조명과 같은 소품은 트랜드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블랙핑크와 레드벨벳의 뮤직비디오 분석을 통해 대중에게 사랑받는 걸 그룹의 뮤직비디오 이미지와 헤어스타일의 연관성에 대해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케이팝 산업과 케이뷰티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에 의의를 두며 향후 트랜드 가수들의 뷰티와 이미지 연구가 체계적으로 연구되어 본 연구와 함께 케이뷰티의 질적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rough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K-pop, K-Beauty has formed a culture all over the world and has shown great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various learning materials to beauty experts through analyzing the music video image and hairstyle of girl group.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eriod when the girl group market, which had been sluggish, began to boom again in the Shinhanryu era, which contributed to the country's economic power and global market. therefore, BlackPink, who holds the world record for YouTube Number of subscribers from 2015 to 2020, and Red Velvet as Global Hallyu Ambassador,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study. For analysis, a total of six songs were selected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of the official YouTube music video. For objective analysis of music video images, the subscriber language and review & reaction videos in official YouTube music video reviews ,were collected words that describe and evaluate musical features, music video features, appearance, and fashion. The collected vocabulary derived music video images using terms represented by using language image scale and color image scale. The analysis of the hair style was then reconstruct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 hair style in the official YouTube music video was analyzed through stop motion and print screen.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concept and Spread of K-pop and K-beauty, pop means "Korean pop music," and the Korean brand was strengthened by PSY's Gangnam style starting in the latter Starting with the first generation of idols, late 1990. Continuing, BTS then attended the Grammy Awards for the first time as a Korean singer, creating a new history in K-pop's history. At the same time, K-beauty is growing together. K-beauty stands for "Korean beauty," meaning beauty culture unique to Korea. k-beauty was used as a keyword for new products of global brand companies and shared with K-pop fans, by beauty creators, indicating that the K-pop market is spreading worldwide. Second, after analyzing the music video of K-pop girl group, Image terms based on language and color scheme image scale were derived from images of "dynamic&gorgeous&elegance""dynamic&gorgeous""dynamic&casual&pretty" "gorgeous&romantic""casual&gorgeous" and "pretty&cool casual &romantic". This isn't limited to just one image, it's a fusion of two or three images, could see that most of the language images and color images match. Third, the analysis of K-pop girl group hairstyles divided into shapes, textures, and colors showed that, The shape was no bangs, and appeared as a central kiln, long hair length, and S curlwave, The texture element was mainly composed of smooth surfaces. Next, heavy and light textures appeared in the same proportion, with representative hair colors mostly RP, PB, YR, and P. Fourth,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s and hairstyles of K-pop girl groups, Hair Color is almost identical to the color scale image of the music video, and Most of the images you see in the music video are done in a hairstyle that suits the Concept, and mood of the song, The music video's background and lighting were related to trend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music video analysis by Blackpink and Red Velvet, It w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girl group music video images and hairstyles. It is meaningful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pop and K-Beauty industries, The beauty and image research of future trend artists has been systematically studied, I hop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K-beau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