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병원 구성원의 공정성 지각과 관련한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은광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19

        Since a mental hospital needs a longer-term approach of medical treatment due to a longer-term hospitalization compared to other hospitals, the preparation of early turnover of the personnel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strong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related to the equity percep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urnover. The investigated are 255 workers among the personnel of 12 mental hospitals in a megalopolis during Sep. 15 - Nov. 13, 2001 and systematic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Using SPSS PC+(Version 10.0) computation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ed personnel complyi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frequency test, and those of equ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complyi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and tho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qu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etween equity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qu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after the equity items of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garding equ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ffective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1. The positively higher perception of equity for the investigated personnel in mental hospitals afforded the higher affection of hospital organization and th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measure of personal intention.2. The positively higher perception of equity for the investigated personnel in mental hospitals afforded their relatively lower turnover as a prediction index of voluntarily deviation action from the hospital.3. The positively higher affection of hospital organization for the investigated personnel and the positively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 정신병원의 경우에는 타과에 비해 환자의 장기입원으로 치료프로그램 또한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로 하고 있어 구성원들의 조기이직에 대한 대비책과 조직몰입 유인책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그래서 공정성지각과 관련한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 이를 근거로 효율적인 구성원인사관리에 중요한 자료제공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전국 12개 정신병원을 선정하였고, 2001년 10월 15일부터 11월13일까지 조사한 255개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그 주요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정신병원에 관련된 구성원들은 조직공정성 지각의 정도가 긍정적으로 높으면 병원조직에 대한 애착심과 헌신하려는 개인의사(個人意思)척도의 개념인 조직몰입도 또한 높았으며, 둘째, 정신병원 구성원들이 정신병원 공정성의 지각정도가 긍정적으로 높으면 정신병원 구성원들의 병원으로부터 자발적 이탈행동예측지표인 이직의도 또한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정신병원 구성원들이 병원조직에 대한 애착심과 헌신하려는 개인의사척도인 조직몰입도가 긍정적으로 높으면, 상대적으로 이직의도는 낮았었다. 넷째, 정신병원조직관리에 있어 구성원들의 조직몰입도 상승과 이직의도 하향조정에는 조직의 적정보상시스템이 아니라 이 시스템에서의 상사의 기능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영향을 주었고, 구성원의 이직의도엔 구성원의 개인적인 노력인 조직몰입보다는 상사의 역할이 더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역할이 중요한 전문특수병원인 정신병원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조직몰입을 위한 병원의 합리적인

      • 종합병원의 재고물품 관리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도 : 종합병원 재고물품 관리자를 대상으로

        차상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전국 종합병원의 재고물품관리자를 대상으로 종합병원의 재고물품 리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재고물품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석하여 종합병원 재고물품관리 효율화 방안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2년 4월 12일부터 5월 1일까지 전국 276개 종합병원의 재고물품관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중 설문에 응답한 128개 종합병원의 설문내용을 그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종합병원 재고물품관리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둘째로, 독립변수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재고물품의 일반적 특성, 전산화 및 외주와 종속변수인 재고물품관리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각 변수별 빈도분석, 변수와 변수간의 t-test, 분산분석(ANOVA), χ^(2)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합병원 재고물품관리 실태를 보면, 400병상 미만의 병원보다 400병상 이상의 병원이 전산화가 잘 되어 있었으며, 외주를 시행하지 않는 병원이 시행하는 병원에 비하여 100병상당 관리부서 인원이 많았고 창고의 면적도 넓었다. 그리고 전산화가 잘 안된 병원이 잘 된 병원에 비하여 100병상당 물품공급 인원이 많았다. 2. 재고물품관리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도 분석결과, 응답자의 만족도 전체 평균은 보통이상(3.24)이며, 이중에서 물품공급방식의 선진화(평균 2.94)와 재고물품 관리의 외주(평균 1.94)항목은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인식도의 경우는 전체 평균이 4.05로 전반적으로 물품관리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도가 높은 편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보면, 고학력자 일수록 재고물품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병상규모별로는 400병상 이상의 병원이 400병상 미만의 병원에 비하여 재고물품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3. 재고물품관리 특성과 만족도 및 인식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과 만족도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선형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100병상당 물품공급인원과 만족도 간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선형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재고물품관리 특성별 만족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R-square 값이 0.52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에 의해 52%가 설명됨을 알 수 있었고, 재고물품관리특성별 인식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R-square값이 0.20으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에 의해 20%가 설명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종합병원 재고물품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동발주를 포함한 재고물품관리의 전산화 구축, 외주를 포함한 관리방식의 개선, 물품공급방식의 선진화 및 재고물품관리에 대한 경영층의 관심도 제고가 요구된다고 본다. 향후 본 연구의 세부분야에 대한 좀더 깊이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level of awareness were investigated in people in charge of inventory management at general hospitals throughout Korea in order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on inventory management for the purpose of securing basic data for effective inventory management in general hospitals. A structured survey to be filled out by the individual surveyed was distributed to people in charge of inventory management at 276 general hospitals in Korea from April 12 to May 1, 2002. The present study was done with the returned survey from 128 hospitals. We firs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inventory management in general hospitals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ventory, computer networking and outsourcing) and dependent variables (level of awareness and level of satisfaction on inventory management). SA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which each variable was analyzed using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χ^(2)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inventory management in general hospitals, computer networking was established better in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compared with hospitals with less than 400 beds. The number of people in supply per 100 beds was more and storage area per 100 beds was larger in hospitals that did not use outsourcing compared with those that used outsourcing. The number of people in supply per 100 beds was more in hospitals with a not well established computer networking system compared with those with a well established computer networking system. 2.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satisfaction and awareness on inventory management showed that the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by respondents was 3.24 points in a 5-point scale (1 point-extremely unsatisfied, 2 point-not satisfied, 3 point-tolerable, 4 point-satisfied, and 5 point-totally satisfied). The scores of satisfaction on the advanced method of supply distribution (average: 2.94 points) and on outsourcing of inventory management (average: 1.94 points) were low. However, the overall score of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inventory management was high at 4.05 poi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on inventory management was high in people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ds, satisfaction on inventory management was high at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3.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ory management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awareness was analy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as determined between age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the number of people in supply per 100 beds and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satisfaction according to inventory management characteristics showed the R-square value of 0.52, indicating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model could account for 52% of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awareness according to inventory management characteristics showed the R-square value of 0.20, indicating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model could account for 20% of awareness. From these result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inventory in general hospitals would need computerization of inventory management including computer-generated ordering, improvement of management method including outsourcing, advancement of supply distribution methods, and increased interest on inventory management by the management. Each specific subject in the present study needs to be examined in-depth in future studies.

      • 병원직원과 환자의 의료시장개방에 대한 인식 및 외국병원 선택요인

        류향진 연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병원직원과 환자의 의료시장개방에 대한 인식과 찬·반태도, 외국병원 이용의사·재진단의사, 국내병원의 대응방안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1개 대학병원의 직원 450명과 외래환자 362명으로 총 812명으로 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의료시장개방에 대한 인식 정도는 직원이 환자보다 높았으며, 직원의 직종별로는 의료기사직이 가장 높았고 간호직이 가장 낮았다. 환자의 직업별로는 전문기술직·행정사무직이 가장 높았고 전업주부가 가장 낮았다.둘째, 의료시장개방에 대한 찬·반 태도에서 찬성률은 직원이 72.2%로 환자 63.5%보다 높았다. 의료시장개방 찬성률은 직원의 직종별 차이가 있었으며, 의료기사직이 79.7%로 가장 높았고 의사직의 45.6%로 가장 낮았다. 환자의 찬성률은 학력이 중졸이하에 비하여 높을수록·월수입이 199만원이하에 비하여 많을수록 높았으며, 직업은 자영업·사업·서비스직이 71.9%로 가장 높았다. 의료시장개방 반대율은 직원의 직종은 의사직이 35.4%로 가장 높았으며, 의사직중 전공의는 찬성율이 38.1%, 반대율 42.9%로 찬성률보다 반대율이 높았다. 환자의 직업별 반대율은 전업주부가 17.4%로 가장 높았다. 의료시장개방 찬성이유는 직원과 환자 모두 선택권보장, 의사의 권위, 의료장비 순으로 비슷하였다. 반대이유는 직원은 공공성훼손, 경쟁력부족, 의료상품화 순이었고, 환자는 비싼 진료비, 자본유출, 의료상품화 순으로 직원과 환자 간 차이가 있었다.셋째, 의료시장개방 관련 현안과제에 대한 태도는 보건의료서비스의 국제경쟁력 강화 문항은 환자가 직원보다 높았으며, 대체민간보험제도의 도입필요에 대해서는 직원이 환자보다 높았다.넷째, 외국병원 이용의사는 이용 하겠다는 의사가 직원 44.6%, 환자 38.9%로 직원이 환자보다 높았으며, 이용 안하겠다는 의사는 직원 15.4%, 환자 14.9%였다. 직원과 환자 모두에서 이용하겠다는 의사가 이용하지 않겠다는 의사보다 높았다.다섯째, 외국병원에서 재진단의사는 그렇다가 직원 54.7%, 환자 45.9%로 직원이 환자보다 높았으며, 그렇지 않다는 직원 24.4%, 환자 21.6%였다. 직원과 환자 모두에서 재진단 하겠다는 의사가 재진단하지 않겠다는 의사보다 높았다.여섯째, 의료시장개방에 대응한 국내병원의 최우선 개선과제는 직원과 환자 모두 1순위는 진단 및 치료기술의 향상이었고, 2순위는 의료인의 서비스 수준의 향상, 3순위는 대기시간에 따른 불편감 해소였다. 직원의 직종별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직의 경우 진단 및 치료 기술의 향상이 4순위에 그쳤다.일곱째, 의료시장개방 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원은 직종으로 행정직에 비하여 의사직이 낮은 요인이었다. 환자의 경우는 학력, 월수입, 의료시장개방에 대한 인식이 영향 요인이었다. 학력은 중졸에 비하여 대졸과 대학원졸 이상이 높은 요인이었으며, 월수입은 400만원이상 군에 비하여 200-399만원 군과 199만원이하 군이 낮은 요인이었다. 의료시장개방 인식도가 높은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낮은 요인이었다.여덟째, 외국병원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원은 직종으로 행정직에 비하여 간호직이 이용의사가 낮은 요인이었다. 환자의 경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이 없었다.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국내병원의 의료시장개방에 대한 대책은, 진단 및 치료기술의 향상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여 외국병원과 경쟁하여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ntends to clarify the counterplan of domestic hospital for perception of hospital staff and patient toward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and support or opposition, intention of use of a foreign hospital and intention of diagnose again.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total 812 peoples. Those are 450 hospital staffs and 362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yunggi-do and as for instrument of research, it used organized list of questions and as for method of analysis, it used analysis of frequency, t test, chi square test, regression 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ingsFirst, the staff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than patients did; medical technicians showed the highest recognition while the nursing staff showed the lowest recognition by staff members'' occupation. Technical experts and those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showed the highest recognition while housekeepers showed the lowest recognition by patients'' occupation.Second, the staff (72.2%) showed a higher support rate for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than patients (63.5%) did. The support rate for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varied by staff members'' occupation: medical technicians (79.7%) showed the highest rate while doctors (45.6%) showed the lowest rate. The higher academic career and the more monthly income, the higher patients'' support rate; independent enterprises, businesses, and service were related to the highest rate (71.9%) by their occupation. Doctors (35.4%) showed the highest opposition rate for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by staff members'' occupation; of them, residents showed more opposition (42.9%) than support (38.1%). Housekeepers (17.4%) showed the highest opposition rate by patients'' occupation. Both the staff and patients supported medical market opening because of the securing of options, doctors'' authority, and medical equipment in order. On the other hand, the staff offered opposition because of damage to public spirit, insufficient competitiveness, and medical commercialization in order while patients opposed because of expensive medical fee, capital drain, and medical commercialization in order.Third, as for pending tasks concerning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the staff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reinforc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or health care service while the staff toward the need to introduce an alternative private insurance system.Fourth, the staff (44.6%) were more willing to use a foreign hospital than patients (38.9%) were while 15.4 percent of staff members and 14.9 percent of patients were not willing to use it. It was thus found that both the staff and patients were more willing to use a foreign hospital.Fifth, 54.7 percent of the staff and 45.9 percent of patients were willing to take reexamination from a foreign hospital while 24.4 percent of the staff and 21.6 percent of patients were not willing to do. It was thus found that both the staff and patients were more willing to take reexamination.Sixth, both the staff and the patients indicated that the most urgent task for domestic hospitals to cope with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was improvement in diagnosis and treatment techniques, followed by improvement in the service level of the medical staff and removal of inconvenience caused by long waiting. It varied by staff members'' occupation: doctors gave the fourth priority to improvement in diagnosis and treatment techniques.Seventh, doctors showed lower factors affecting support for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than the administrative staff did. As for patients, those influential factors included academic career, monthly income, and recognition of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College graduates and those who possess attainments equal to or higher than those of postgraduates were higher factors than middle school graduates; the group with monthly income between 2 and 3.99 million won and that with 1.99 million won or below were lower factors than that with 4 million won or over. In addition, high recognition of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was a lower factor.Eighth, as for factors affecting the will to use a foreign hospital, the nursing staff were more willing to use it than the administrative staff were. Patient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as measures against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s for domestic hospitals to improve diagnosis and treatment techniques and provide good-quality medical service in order to reinfor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or health care service as compared with foreign hospitals.

      • 외래환자의 병원 선택요인과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 선택요인 : 서울시내 소재 1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윤여룡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환자들이 생각하는 일반적인 대학병원의 선택 기준과 S대학교병원(이하 'S병원'이라 한다) 선택 요인, 그리고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의 선택 요인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는 것이었다. 설문은 2003년 4월 14일부터 4월 16일 사이에 S병원 외래환자를 단순 무작위 선택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본인(또는 보호자)이 직접 기입하게 한 후 수거하였다. 설문지는 500매를 배포하여 수거된 463매를 분석하였다.(회수율 93%) 분석은 각 문항별 척도의 백분율, 평균 등을 EXCEL 프로그램과 SPSS 10.K 등으로 분석하였다. 각 문항간의 유의성은 χ²검정, T 검정 및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설문응답자는 남자가 237명(51.5%), 여자가 223명(48.5%)이었다. 연령별로는 34세 이하가 118명(26.0%), 35-49세가 155명(34.1%), 50세-64세가 124명(27.3%), 65세 이상이 57명(12.6%)으로 65세 이상 고령환자의 응답률이 낮았다. 교육수준별로는 중졸이하가 50명(11.0%), 고졸이 161명(35.5%), 대졸이 202명(44.5%), 대학원졸 이상이 41명(9.0%)으로 고학력자가 많았다. 직업별로는 전문 기술 행정직이 118명(26.6%), 서비스 생산직 기타가 102명(23.0%), 개인자영업이 92명(20.8%), 전업주부가 131명(29.6%)이었다. 소득수준은 200만원 미만이 143명(33.0%), 200-399만원이 188명(43.4%), 400만원 이상이 102명(23.6%)이었다.(무응답은 백분율에서 제외함, 이하 같음) 2. 병원 선택의 의사 결정자와 대중매체의 영향 병원의 선택자는 본인이 선택한 경우가 48.8%, 부모 형제 등 가족이 선택한 경우가 33.0%로써, 본인이나 가족이 선택한 경우가 81.8%이었다. 타의료기관(의사)의 추천이나 주변사람의 추천으로 S병원을 선택한 경우는 각각 12.1%, 5.1%이었다. 병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신문이나 TV 등 대중매체의 영향을 받았는가의 질문에 영향이 있었다는 응답이 65.5%로서 별로 영향 없음과 무 영향을 합한 34.5%보다 많았다. 3. 대학병원의 선택 기준과 S병원의 선택 요인 환자들의 대학병원 선택 기준의 첫째가 권위(실력)있는 의사이었다. 그 다음으로 종합적인 진료와 현대적 의료장비, 명성과 신뢰성, 의사의 상세한 설명 순이었다. S병원의 선택 이유도 첫 번째는 권위(실력)있는 의사이었고, 그 외에 명성과 신뢰성, 종합적인 진료, 이용상의 편리성, 현대적 의료장비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병원 선택의 주된 요인이 대부분 서로 같았다. 4. S병원 재이용 이유와 이용 권유 S병원의 재이용과 이용권유의 빈도를 보면, 반드시 재이용과 재이용의 합이 84.1%이었으며, 반드시 권유와 권유의 합이 75.8%이었다. 최근 1년간 3회 이상 재이용하게 된 이유로서는 진료의 연속성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그 외는 진료결과가 좋아서, 권위(실력)있는 의사, 의사의 상세한 설명, 종합적인 진료, 명성과 신뢰성 등이었다. 전반적 만족도와 재이용 및 이용권유의 관계를 보면, 매우 만족할 경우에는 재이용(96.9%)하고 타인에게 이용을 권유(81.3%)하나 매우 불만인 경우는 재이용과 이용권유가 전무(0.0%)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병원선택 요인으로서 직원의 친절, 편의시설과 현대적 의료장비 직원의 친절과 편의시설, 대기시간 등을 대학병원의 선택기준 또는 재이용 이유로 선택한 경우는 매우 적었다. 특히 대학병원의 선택기준에서 65세 이상, 대졸과 대학원졸 이상, 전문 기술 행정직, 400만원 이상 소득자, 중환자 군에서는 직원의 친절, 짧은 대기시간, 싼 진료비 등에 대하여는 거의 선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에 있어서 친절의 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 같다. 왜냐하면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들은 무엇보다 먼저 질병의 치료가 시급하고 중요하기 때문에 직원의 친절 등은 크게 염두에 두지 않게 되고, 특히 S병원의 오랜 전통과 최근 3년 연속 브랜드파워 1위(매일경제신문, 2003년 3월 6일자)에 선정된 명성, 신뢰성 때문에 직원의 친절함은 어느 정도 기대수준 이상일 것이라고 당연시하였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의료기관 이용 후 친절함에 있어서 심각한 결함이 있을 경우 환자들은 재이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소문 등으로 나쁜 평을 하여 다른 환자가 병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크게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 부분에서는 친절함과 시설 등 진료환경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사립 대형병원의 선택 이유를 조사 연구하여 그 결과와 비교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환자들이 친절하고 편의시설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병원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그 부분에 고객가치(비중)를 두고 선택하였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사의 상세한 설명과 현대적 의료장비는 대학병원의 선택과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 선택의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것은 환자들이 자신의 진료내용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고 하는 욕구와 권리의식이 강하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첨단 의료장비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는 것을 환자들도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관에서는 앞으로 여기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려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6. 의료시장 개방에 대한 태도 의료시장의 개방에 대한 조사에서 찬성 56.5%(247명), 반대 6.9%(30명), 생각하지 않음 36.6%(160명)로써 찬성이 반대의 8.19배이었다.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 직업, 소득수준, 서울과 지방에 관계없이 찬성이 반대보다 많았다.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대중매체의 영향이 클수록 의료시장 개방의 찬성률이 더 높았다. 직업적으로는 개인자영업과 전문 기술 행정직의 찬성률이 높았고 전업주부와 서비스 생산직 등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의료시장 개방의 찬성 이유로서 첫째가 의료에 대한 환자(국민)의 선택권 보장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권위(실력)있는 의사, 세계적 명성과 신뢰성, 의사의 상세한 설명, 현대적 의료장비, 편리한 진료절차 등이 주요 이유이었다. 반대의 주된 이유는 비싼 진료비(50.5%)때문이었다 전반적 만족도와 의료시장 개방에 대한 태도를 보면 크게 불만인 경우는 의료시장개방에 모두 찬성(100.0%)하였고 반대한 경우가 없었다. 대중매체의 영향 정도와 의료시장 개방에 대한 찬성 태도를 보면 대중매체의 영향이 많은 군의 찬성률(63.6%)이 영향이 없는 군의 찬성률(45.9%)보다 높았다. 7. 외국병원 이용에 대한 태도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의 적극 이용은 5.4%, 이용은 48.3%, 생각해보지 않음은 32.8%, 별로 이용하지 않음은 10.3%, 전혀 이용하지 않음은 3.2%이었다. 전반적 만족도에서 크게 불만인 경우 외국병원을 이용하지 않겠다고 한 경우가 없이, 적극이용(66.7%)과 이용(33.3%)만 선택하였다. 8. 대학병원 선택 요인과 외국병원 선택 요인에 대하여 외래환자들의 대학병원의 선택기준을 보면 첫째가 권위(실력)있는 의사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종합적인 진료와 현대적 의료장비, 명성과 신뢰성, 의사의 상세한 설명 순이었다. S병원 선택 이유에서도 첫 번째로 권위(실력)있는 의사를 선택하고, 그 외에 명성과 신뢰성, 종합적인 진료, 이용상의 편리성, 현대적 의료장비 등이 주요 이유이었다. 그런데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 선택 요인으로써도 환자들은 권위(실력)있는 의사를 첫 번째로 선택하고, 세계적 명성과 신뢰성, 의사의 상세한 설명, 현대적 의료장비, 편리한 진료절차 등을 주요 요인으로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병원의 선택기준과 S병원의 선택 이유, 의료시장 개방시의 외국병원 선택 요인을 보면 환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의사의 권위(실력)였으며, 그 다음으로 명성과 신뢰성, 종합적인 진료, 현대적인 의료장비, 의사의 상세한 설명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요인들은 의료의 질 보장과 관련이 있는 것이므로, 결국 환자들이 3차 의료기관인 대학병원을 선택하는 이유와 외국병원 선택 이유는 의료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의료시장개방의 찬성 이유로써 가장 많이 선택한 환자(국민)의 선택권 보장도 의료의 질을 보장받기 위하여 다양한 선택권을 가지려는 권리 의식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조사대상이 서울소재 1개 대학병원을 방문한 외래환자들이기 때문에 결과의 해석에 제한이 있으며, 둘째, 소아나 치과 환자들을 설문에 포함하지 않았고, 셋째, 고령환자들은 설문에 응답하기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면담 조사 등을 하여 고령환자들의 설문응답률을 높여야 하는 데 그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향후 제안점으로는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서울소재 1개 국립대학병원의 성인 외래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향후에는 입원환자와 소아환자 뿐만 아니라 S병원처럼 오랜 전통은 없지만 근래에 대기업체에서 신설하여 친절함과 시설 등 진료환경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사립 대형병원의 환자와 중소규모 병원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병원 선택 요인과 의료시장 개방시의 외국병원 선택요인을 조사 연구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고령환자나 중환자 등 설문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환자의 응답률을 높이기 위하여 면담 등을 추가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있기를 바라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전반적 만족도와 S병원 선택 이유 등을 부록으로 첨부해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lection of University hospitals in general, 'S' University hospital(From after, it is called 'S hospital') and to examine the factors for selecting a foreign hospital when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is opened i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4 to April 16, 2003 by randomly selecting outpatients of 'S' hospital. We distributed prepared questionnaire and had the patient(or guardian) to write the answers and collected them. We distributed a total of 500 sheets and received 463 sheets (93% retrieval rate). We then analyzed the percentage, average, etc. of each item using EXCEL and SPSS 10.K.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rvey respondents were 51.5%(237persons) male and 48.5%(223 persons) female. Their age range 15 years to 87 years old, 34 years or under were 26.0% (118persons, including under 20 years 5 persons), 35-49years were 34.1%(155 persons), 50-64years were 27.3%(124persons) and over 65years old were 12.6% (57persons). Subjects education level ranged from middle school graduates or less were 11.0%(50persons), high school graduates were 35.5%(161persons), college graduates were 44.5%(202persons), post graduates were 9.0%(41persons). As for occupation, professional administrators were 26.6%(118persons), service/manufacturers were 23.0%(102persons), private business owners were 20.8%(92persons) and housewives were 29.6%(131persons). 2. Hospital selection decision maker and impact of mass media When selecting a hospital, patient or family members made the decision 81.8% of the respondents. Hospital selection by the patient was 48.8% and by a family member such as parents and siblings were 33.0%. 12.1% and 5.1% of people selected 'S' hospital from recommendations by healthcare institutions(physicians) and acquaintances, respectively. When asked if they were influenced by mass media such as newspaper or TV, 285persons(65.5%) answered positively while 150persons(34.5%) answered negatively. 3. Reasons for revisiting 'S' hospital and recommendation When looking at the frequency of revisit and recommendation made to others at 'S' hospital, 84.1%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revisit the hospital and 75.8% answered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 hospital to others. The primary reason for revisiting the hospital three times or more in the past year was due to continuous treatment. Other reasons included satisfying treatment outcome, physician expertise,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comprehensive treatment, reputation and trust. When we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revisit/recommendation, it was verified that satisfied patients revisit the hospital and recommend it to others. 4. Employee kindness, convenient facilities and up-to-date medical devices as factors of hospital selection Very few chose employee kindness, convenient facility and standby time etc. as their selection criteria or revisit factor at university hospitals. Those who are 65years or older, college graduates and postgraduates, professionals and managers, high income earners that make 4 million won or more per month, an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did not choose employee kindness, short stand-by time and cheap medical cost as important factors for selecting university hospital. Physician's thorough explanation and up-to-date medical devices, however, were important factors for selecting foreign hospitals when the medical market is opened and Criteria for selecting University hospitals. 5. Attitudes of Medical Market Opening In a survey about medical market opening 56.5%(247persons) were for the opening, 6.9%(30persons) were against it, and 36.6%(160persons) replied that they have not thought about i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ge and those who were more influenced by the mass media are, the higher the approving rate for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opening. The reasons for agreeing on the medical market opening are firstly, the right of patients to choose in the medical market field. Other major factors are physician expertise, worldwide reputation and trust,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up-to-date medical devices, convenient treatment process etc. Those who are opposed to the medical market opening chose expensive medical costs (50.5%) as a factor.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the attitudes for medical market opening, those who were strongly dissatisfied agreed 100.0% on market opening and none disagreed. When observing the relation between the influencing amount of mass media and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opening, those who were highly influenced by mass media(63.6%) agreed more on medical market opening than those who were uninfluenced(45.9%). 6. Attitudes of using foreign hospitals Patients who responded that they will actively use foreign hospitals were 5.4%, take advantage of them were 48.3%, have not thought about it were 32.8%, will not use foreign hospitals very much were 10.3% and will not use foreign hospitals at all were 3.2%. For overall satisfaction, out of those who were highly dissatisfied with Korean hospitals, none responded that they will not use foreign hospitals. They would actively use foreign hospitals(66.7%) and use foreign hospital(33.3%). When patients were dissatisfied with Korean hospitals, 70.4%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would actively use foreign hospitals. When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Korean hospitals, the sum of above criteria was 44.3%. 7. Factors for selecting university hospitals and foreign hospitals As for selection criteria of university hospitals, first was physician's expertise, next was comprehensive treatment and up-to-date medical devices, reputation and trust,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in order. As for reasons for selecting 'S' hospital, first was physician's expertise, next were reputation and trust, comprehensive treatment, convenience, and up-to-date medical devices. And, factors for selecting foreign hospitals when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is opened was firstly, physician's expertise, next were global reputation and trust,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up-to-date medical devices and convenient treatment procedure. Key factors for selecting a hospital were the same for most cases. In conclusion, when we look at selection criteria of university hospitals and reasons for selecting 'S' hospital, factors for selecting foreign hospitals upon medical market opening is that patients think that physicians expertise, reputation and tradition, reliability, comprehensive treatment, up-to-date medical devices,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etc. in order are the most important.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guaranteeing medical quality. So we could conclude that patients select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y hospitals and foreign hospitals because medical quality is guaranteed. Therefore, guaranteeing right to choose which most people selected as the reason for agreeing on medical treatment market opening is considered as their right to enjoy a variety of options and to ensur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outpatients that visited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So there may be a limitation in representing the outpatients. Secondly, pediatrics and dental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survey. Thirdly, there were limited interviews with senior patients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ey have difficulty filling out survey questionnair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that large private hospitals that big corporations have established do not have long tradition as 'S' hospital, but they are renowned for their services and convenient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research results on outpatients from these hospitals. I hope additional studies on this topic will be done in the future.

      • 의료기관의 설립주체에 따른 조세제도 형평성 분석 : 일부 병원 조세부담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19

        우리나라의 의료기관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개인병원에서부터 비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의료법인, 사회복지법인, 학교법인, 공공의료법인 등의 서로 다른 다양한 설립주체가 있으며 이 모든 의료기관들은 국민보건향상을 위한 중추적 중심기관으로서, 의료전달체계의 주 공급자로서 민간의료기관이 국가를 대신하여 국민보건의료를 책임지는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의료현실은 민간의료기관들에 대하여 기여만큼의 인정을 해주지 못하고 있으며 의료법에서는 의료법인을 비영리법인으로 규정하면서 세법상의 조세지원은 영리법인과 동일한 정책을 위주로 적용하고 있고, 조세지원을 받고 있는 의료기관들도 여러 가지 설립주체에 따라 동일한 조세지원을 받지 못하는 법적인 모순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병원계에 비우호적인 정책 결정과 비현실적인 보험수가가 의료기관 경영의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정부는 다양한 분야에 걸친 의료정책의 변화를 예고하였으며 이에 발맞춰 의료환경과 병원경영의 투명성 및 정상화를 향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병원 채산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 대안 중 비교적 용이한 민간기부금의 확대유인과 의료기관에 대한 조세감면 중에서 의료기관관련 조세제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설립주체에 따른 조세제도 분석 및 일부 의료기관의 조세부담 조사를 통하여 그 차이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조세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현황파악, 의료기관의 비영리성 및 비영리법인에 대한 조세제도 조사 그리고 의료기관 조세관련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의료기관 설립주체별 조세제도 및 준조세를 분석하고 더불어 실제 일부 의료기관의 조세부담조사를 행하여 의료기관 조세부담 형평성을 분석한 후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세법과 관련하여 의료사업으로부터의 수익을 의료사업에 재투자할 수 있도록 순수의료 목적에 국한하여 그 비용의 일정 부분을 고유목적사업준비금으로 손금 산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리고 사단법인, 재단법인, 의료법인에 대한 손금산입의 범위도 학교법인, 사회복지법인, 국립대학교 병원 및 서울대학교 병원과 형평있게 조정한다. 둘째, 조세특례제한법과 관련하여 기부금의 손금 인정 한도액을 사회복지법인, 의료법인, 사단법인, 재단법인의 경우도 학교법인, 국립대학교 병원 및 서울대학교 병원과 동등한 기준으로 적용하여 민간 기부금의 유인이 활성화 되도록 한다. 셋째, 소득세법과 관련하여 대학·전문대학 및 이에 준하는 학교의 교원이 받는 연구보조비 중 총 급여의 일정 범위를 근로 소득의 범위에서 제외하듯이 대학 교수의 신분이고 소득발생의 유형이 같으면 대학부속병원이 아닌 병원으로부터의 소득도 총 급여의 범위에 포함하여 비과세 소득의 계산과표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부가가치세법과 관련하여 부가가치세법 상 면세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효과는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나 현재 의료행위에 대한 면세는 부분적 면세이고 의료 수익에 부가가치가 없는 점을 감안하면 환자가 부가세를 전액 부담하는 형태가 되므로 의료를 위한 재화나 용역의 공급에 대하여는 영세율을 적용한다. 또한 대리납부부가세는 면세사업자의 경우 과세사업처럼 매입세액공제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과세 제외를 하도록 하여야 하며 과세사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의료 관련 용역 제공 시는 의료용역을 면세범위에 포함시켜 면세처리 되어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섯째, 지방세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병원이나 국립대학교 병원과 같이 사회복지법인, 의료법인에 대해서는 사업소세와 대도시 지역에서의 등록세 비과세를, 학교법인에 대해서는 대도시 지역에서의 등록세 비과세 처리를 제시한다. 여섯째, 관세와 관련하여 대학병원이외의 수련병원 지정 의료기관에 대해서도 학술연구용 물품의 관세 감면율 적용과 국내 제작이 곤란한 첨단의료기기의 경우 조세특례제한법상의 관세 경감 규정에 따라 탄력세율을 적용하여 면세 처리해 줄 것을 제시한다. 이상의 세법별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우리라 의료기관 관련세제의 전체적인 개선방향을 말하면 의료사업이 비영리법인의 주요고유목적사업인 경우는 단체의 설립형태 또는 등록 부처에 차이가 있어도 동등한 세제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 형평성을 제고하는 방안일 것이다. 또한 외국의 경우와 같이 영리와 비영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여 비영리법인의 경우는 확실한 세제상 혜택을 주되 의료기관은 경영의 투명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다양한 설립 주체 중 의료법인과 사회복지법인 두 기관의 조세부담을 실제로 조사하여 조세부담의 형평성을 분석하고자 한 데 의미가 있으며 일부 기관만을 분석하였으므로 의료기관 전체로 확대 해석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고 하겠다. 향후 의료기관의 다양한 설립주체별로 빠짐없이 실제 조세부담 내역을 조사하여 세목의 타당성 검토 및 조세부담의 형평성을 분석하도록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바이다. In korea, We have various kinds of medical institutions ranging from a private commercial hospital to a medical corporation, a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a public service medical institution which are all non-profit. All of these medical institutes as backbones to the national health improvement and medical delivery system's main providers take their social role and function by taking charge of national health and medical care on behalf of the nation. Despite all their efforts and contribution, it is true that civil medical institutes are not rewarded enough for their efforts. For example, our medical law has some contradiction with the taxation law. According to the medical law, a medical corporation is non-profit organization but the taxation law considers medical corporation as a profit organization in taxational support. And taxational support for medical institutes a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establishing subjects. Policies that are unfavorable to hospitals and unrealistic fee schedule of medical insurance have been major problems of the hospital. The government recently made an announcement that many changes of medical policies in various fields were imminent. Now, it is required that hospitals should try to be transparent and normal in their management. This research will consider motives to increase civil donation and tax redu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an efforts to improve their payability. It intends to analyze problems in the taxation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and suggest better measures about them. For this, the status of medical institutes in Korea, their non-profitableness and taxation system for non-profit corporations have been examined. The taxation system and quasi tax, applied to each establishing subjects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se studies and documents on the taxation of medical institutes. In addition, the equity problems of taxation among medical institutes and solutions to them are suggested he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corporation tax, profits form medical practice should be allowed to be taken into account a deduction as a reserve fund for the object of essential project. Second, in relation to the regulation law on tax reduction and exemption, the limit of a donation considered a deduction to social welfare corporations or medical corporations should be decided by the same standard as national or public hospitals. Third, in relation to income tax, subsidies for research, which are given to the staffs of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are excluded from their earned income in a given portion of the total income. Likewise, professors' incomes from not only university hospitals but other hospitals should be included in the total and the standard of assessment of tax exemption. Fourth, in relation to value added tax, the effects of goods and services, exempted from taxation are for final consumers. But tax exemption on medical practice is partial and there are no added values to medical profits, patients actually pay all value including. No tax rates should be given to the goods and services provided medically. When medically related services are supplied by taxation business,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range of tax exemption. Fifth, in relation to local tax, the business office tax and registered tax in the metropolitan area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medical institutes lik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other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hould be exempted from taxation. And the registered tax in the metropolitan area of the educational foundation also should be exempted. Sixth, in relation to customs duty medical institutes designated as training hospitals like university hospitals should be given a reduction on articles for academic researches and high-technology medical instruments that are hard to make domestically. These should be exempted from taxation by applying flexible tax rates of customs duties reduction provisions. After considering measures to improve the medical institute related system of taxation, we reached this conclusion. If medical institutes' practice is a non-profit corporations' main original purpose , they should have equal status in taxation though they have different forms of establishment and registration. And medical institutes should choose between profit and non-profit. If they choose to be non-profit, the institutes can get some taxational benefit.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have transparent managements. This research was quite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equity of taxation by investigating medical corporations and social welfare corporations' tax expenses. But the research had some limits in that it analyzed only a few institutes. The next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the actual tax burdens of all kinds of institutes and analyze the propriety of tax article and the equity of taxation.

      • 병원 행정직원의 조직효과성 수준

        이덕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행정부서 업무의 질 향상과 병원조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기초자료로서 인천지역에 소재한 1개 대학병원과 이 병원과 같은 계열병원인 3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229명의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직효과성과 관련된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2002년 4월 8일부터 4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합병원은 대학병원에 비해, 연령은 31세이상, 병원 총재직기간은 8년이상, 미혼보다는 기혼, 직책이 높을 수록, 급여수준은 높을수록, 직무교육과 교양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조직효과성이 높았다. 2. 전반적으로 모든 병원에서 만족도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효과성이 높았으며, 동기부여 요인은 종합병원에서만 심리적 동기부여 수준과 조직효과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3. 병원에서 업무의 표준화 수준이 높을수록, 업무에 권한이 많을수록 조직효과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대학병원은 업무의 전문성 수준이 높고, 교육훈련 및 활용성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의 효과성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4. 조직의 공식화 수준이 높을수록,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의사소통이 빈번할수록 조직효과성은 향상되었으나 의사결정의 참여도와 재량권은 조직효과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5. 각 병원별 조직효과성의 중요 영향요인을 구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 대학병원은 직무교육을 많이 할수록, 병원조직의 운영과 업무수준에 만족할 때, 조직의 효과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업무에 대한 전문성과 교육훈련을 많이 받고 활용할수록, 조직의 공식화 수준이 높고,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조직효과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종합병원은 심리적인 동기부여 수준이 높을 때 조직의 효과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업무의 표준화와 병원조직의 공식화 수준이 높고,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조직효과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병원유형별이나 지역적인 특성을 대표하기 곤란하며, 일부 설문항목에 대한 내용이 설문응답시 누락되는 등의 일부 제한점은 있지만 나름대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가지고 설문지를 개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병원 행정직원의 조직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대학병원은 직무교육과 업무의 전문성 수준을 높이고, 교육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것이 조직효과성을 향상되었음을 인식하고, 종합병원은 심리적 동기부여 수준과 업무의 표준화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의 효과성이 향상됨이 검증되었으므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은 이와 같은 조직효과성 향상 요인을 진작시키는데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hospital is characterized by it's remarkable labor industry and human resources input by unit. Recently, the administrative personnel a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staff to provide a hospital guidance to consumer and also easiness for consumer's visit to hos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administrative personnel in hospitals. The survey data involved in the study was derived from 229 personnels working in 3 medium and small sized hospitals and 1 university hospital in Inchon area. Th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1.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order of over 31 years of age, university graduates, long-term tenure and high position is higher, whereas, in as much as wage and well trained personnels in are higher, general hospital's organizational efficiency is higher in comparison with those of university hospital. 2.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satisfaction and the psychological motive contributional factors is higher as much as the high satisfactory level in every hospitals in general. 3.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the 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is higher in as much as difficulty of the jobs is lesser, however ther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ce. In as much as job standard level is higher and the more job responsibility the higher organizational efficiency. It was obvious that the higher professional expertise as well as the training and application level are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4.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the factor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as much as the intercommunication was smooth and the structural formalization level are higher, however ther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ce between the participation level of decision making and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5. In as much as older age, management of organization and the job level are satisfied, the higher structural formalization level, the smooth intercommunication have affected as major influence factors of organizational efficiency. 6. In the university hospitals is satisfied in the management and job level of hospital organization as there are no difficult jobs while the level of hospital's organizational formality is high and the intercommunication is smooth, which are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In the general hospitals is also satisfied the management and job level of hospital organization and psychological motive contributional factors is higher, it was apparent that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is higher in as much as the level of job standardization is high and the intercommunication is smooth.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personnel in hospitals, the management and job level as well as personal relation are preferably satisfied, whereas formalization of organization, intercommunication and etc. should be satisfied, and,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buildup discriminated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environment for different division on the basis above factors. Since this study is carried on four hospitals in Inchon area, there is a certain limit to generalize its result to all domestic hospitals, nevertheless the gallop poll was made by developing the questionnaires with reasonability and reliability. Especially, as the study was carried by analyzing the comparison of influence factors'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the divi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