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계층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지역별 폭염재난 취약성 평가

        나예지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9423

        IPCC의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2014년 연구보고서에서는 전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과 국내 재난으로서의 폭염을 경고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재난취약계층이 증가하여 재난취약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존. C. 머터에 따르면, 재난의 피해는 사회 구조나 격차와 같은 불평등에 영향을 받으며, 불평등은 재난취약계층에 가중되어 나타난다. 현재 재난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재난취약계층을 반영한 재난관리를 개선해 나갈 필요성은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또한, 폭염은 지역별 특성에 따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별 특성과 재난취약계층을 함께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특정 지역 혹은 특정 재난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폭염을 연구재해로 선정하여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거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고 실직적인 폭염재난취약계층을 반영한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폭염의 피해가 컸던 2018년을 대상으로 지역별 특징과 재난취약계층을 반영한 지역별 폭염재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AHP를 통해 지표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비교하고, 폭염재난 취약성 평가지수들의 조합과 온열질환 발생의 관계를 파악하며, 재난취약계층에 따른 폭염재난 취약성 평가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문헌분석을 통하여 폭염재난 취약성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온열질환 발생과 지표별 분포를 비교하였다. 지표별로 분포순위가 유사하게 나타난 지역은 대부분 다르게 도출됨에 따라 지역별 폭염재난 취약성을 판단하는 과정에는 재난취약계층을 포함하여 기후노출과 적응역량과 같은 지역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지표들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폭염재난 취약성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해 AHP를 실시한 결과, 측정지표 중 가장 높은 가중치는 ‘기후노출’에 부여되었으며, 측정항목의 경우, 폭염일수, 열대야일수, 질환자, 재정자립도 순으로 높은 가중치가 산정되었다. 특히, 농가인구와 비만자의 복합가중치는 외국인, 여성, 다문화가구보다 높게 산정되어 농가인구와 비만자의 폭염재난 취약성이 더 높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폭염재난 취약성 평가는 폭염재난취약계층(Model A)과 일반재난취약계층(Model B)에 대하여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전북’은 폭염재난 취약성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고, ‘서울경기, 충북, 전남’은 재난취약계층의 영향이 큰 것으로 도출되었다. 지역에 따라 폭염재난 취약성 순위에 영향을 크게 받은 지표들이 다르게 나타나 폭염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때 지역별 특성을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온열질환자 및 온열질환 사망자와 취약성 평가지수 조합의 관계를 분석한 모든 결과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도출된 지수조합 중 설명력이 가장 크게 나타난 지수는 온열질환자의 경우, Model A의 민감도 지수인 SI(81.2%)로 나타났으며, 온열질환 사망자와의 관계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크게 나타난 지수는 VI(81.8%)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재난취약계층 분류에 따라 폭염재난 취약성 평가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지수조합에 대한 설명력이 Model A에서 Model B보다 높게 도출된 경우가 많아 재난취약계층을 분류할 때 재난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The IPCC's special report ‘Global Warming 1.5℃’ and the report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in 2014 warned of global average temperature rise and Heat wave as disaster.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 particular, were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as the number of disaster vulnerable class increases due to aging, etc. in Korea. According to the John, C, Mutter, the damage of disaster is affected by inequality that is weighted against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although, is being consider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there is still being raised a need for improvement. The necessity to prepare measures through regional vulnerability is emerging,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of Heat wave. There are, however, still insufficient studies that consider the actual Heat wave disaster vulnerable class or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eat wave were enforced reflecting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is thesis. The purposes of this thesis were to confirm the expert’s perceptions of indicators through AHP and we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e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eat wave according to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The indicators of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eat wave were selecte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gional ranking of indicators were compared to the damage of Heat wave. The AHP, in addi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and results of the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Heat wave reflecting weight by indicator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he heat wave victims and deaths were compared with that of indicators of the Heat wave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most of the indicators of similar rankings by region were analyzed to be different. Therefore it were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add various indicators, such as climate or financial ability, including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to determine the regional vulnerability of Heat wave. The results of AHP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 were the highest for Exposure, and the composite weight were the highest in order of Heat wave day, Tropical night, Patient, and Financial self-reliance ratio. The Heat wave vulnerability to Farmer and Obesity of Model A were percei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Foreigner, Female and Multicultural family of Model B, depending on the composite weight of Sensitivit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eat wave according to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it was found that ‘Jeonbuk’ had the highest vulnerability to Heat wave regardless of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The region which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that means Sensitivity indicators were analyzed ‘Seoul-Gyeonggi, Chungbuk, Jeonnam’. The indica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gional vulnerability ranking were analyzed differently. Therefore it were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ppropriate measures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index with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drew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at wave victims were Model A’s Sensitivity Index(SI, 81.2%), while Model A’s Vulnerability Index(VI, 81.8%) were derived from the heat wave death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eat wave according to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most of the index tha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showed higher explanatory power in the Heat wave disaster vulnerable class(Model A) than in the Basic disaster vulnerable class(Model B). Therefore it were deemed necessary to classify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 구조방정식을 통한 자동차 제조업에서의 근로자 안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마권호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9407

        자동차 제조업은 노동환경이 어렵고 위험한 업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업종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자동차 제조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건수는 56건, 사망자 수는 1명, 부상자 수는 49명으로 제시되었다.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의 법적 제도가 강화되었으나,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자의 사망자 수는 시행 전년도 대비 증가한 것으로부터 법적 제도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며, 제도와 함께 근로자 안전행동의 증진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들의 안전행동 증진을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에 기여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로자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안전경영, 안전문화, 안전관리 활동, 안전의식을 선정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다양한 변수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하는데 적합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각 요인들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변수의 타당도 검증은 주성분 요인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요인회전에 있어서는 요인들 간의 상호독립성을 검정하는데 유용한 직교회전법을 이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근로자 안전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여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의 안전행동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의 크기는 안전의식(1.073*), 안전관리활동(.770*), 안전경영(.763**), 안전문화(.288*) 순으로 분석되었다. 직접효과는 안전의식(1.073*)만이 나타났으며, 안전경영(.630, p>0.5), 안전관리활동(-.135), 안전문화(-.614)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고 나타났다. 간접효과는 안전관리활동 (.905*), 안전문화(.902*)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안전의식이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므로 안전의식에 해당되는 신념 및 태도, 안전가치관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우선적으로 기울여야 한다.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소는 안전의식 뿐이며, 안전관리활동과 안전문화는 안전의식을 매개로 하여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안전의식이 향상되어야 하며, 이는 개인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생각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다른 안전관리활동들보다 오랜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자동차제조업에서는 개인적 안전의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장기적 개선계획 중심으로 안전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s evaluated as a difficult and dangerous industry in which the working environment is difficult and dangerous, and is known as a industry in which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According to data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ar manufacturing industry stood at 56 in the first quarter of 2021, with one death and 49 injuries. Legal system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have been strengthened, but the death toll of businesses with 50 or more full-time workers needs time to expect the effect of the legal system from the previous year.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behavior of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were analyz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id- to long-term strategies to improve the safety behavior of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Safety management, safety cultur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awareness were selected as factors affecting workers' safety behavior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The analysis method appli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suitable for analyzing the complex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tructure of each factor was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variable was verified using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in factor rotation, an orthogonal rotation method useful for testing the mutual independence between factors was used. A plan to improve the safety behavior of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was proposed by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workers' safety behavior through structural equations.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ze of the total effect affecting safety behavior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safety awareness (1.073*), safety management activity (.770*), safety management (.763**), and safety culture (.288*). Only safety awareness (1.073*) appeared in the direct effec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fety management (.630, p>0.5),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135), and safety culture (-.614). The indirect effec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905*) and safety culture (.902*). Therefore, since safety awareness has a large impact on workers' safety behavior, efforts to improve beliefs, attitudes, and safety values corresponding to safety awareness should be made first. The only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safety behavior is safety awareness,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culture show that safety behavior is affected through safety awareness. In the end, in order to induce workers' safety behavior, individual safety awareness must be improved, which means that it takes longer than othe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y changing individual perceptions and thoughts of safety. In particular,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trategy focusing on mid- to long-term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the level of personal safety awareness.

      • 폭염 재난 피해자 내적특성에 관한 연구

        이재영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9407

        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이 더욱 심해질 것이 예측되어 우리나라는 범정부 폭염 종합대책으로 체계적이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정부 폭염 종합대책이 시행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폭염의 피해인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88명에 이르고, 온열질환자는 매년 1,000여명이상 발생하고 있다. 폭염 피해 및 온열질환자 발생의 감소를 위하여 온열질환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 연구들은 119구급일지, 의무기록, 응급환자진료정보망 등의 능동적 혹은 수동적 감시체계로 수집된 기록을 활용하여 주로 연구되었기에 감시체계에 포함되지 않은 개인의 특성과 온열질환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사 환경, 지역, 직종, 연령과 성별임에도 불구하고 온열질환의 피해에 발생하고 있는 개인차에 주목하여 개인의 내적특성이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항을 탐색하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열질환(증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온열질환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개인의 삶의 과정에서 형성된 가치관과 삶의 태도가 온열질환(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 결과로 도출된 온열질환 연관된 내적특성을 문항으로 구성하고 일반인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온열질환 연관 내적특성과 온열질환(증상) 경험 유무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온열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을 밝혀, 온열질환의 영향요인으로써 개인의 내적특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온열질환과 연관된 특성이 높음으로 평소 자신의 업무를 성실히 이행하여 가계를 책임지며 가정을 부양하는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의 역기능적 결과이므로 그로 인한 처벌 혹은 불이익을 받지 않아야 한다. 이에 온열질환의 영향요인으로 내적특성의 개연성이 폭염대책 정책에 반영되고, 온열질환에 대한 인식 향상 및 환경개선의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heat wave caused by global warming is expected to worsen, Korea is responding systematically and actively as a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on governmental level. Nevertheless, the number of deaths from heat-related illness reached 88, and more than 1,000 people with heat-related diseases occur every year from 2018 to 2021. Researches on heat-related illness has been conducted mainly based on active or passive monitoring systems such as medical records, and emergency patient care information networks with little consideration of relation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heat-related ill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s on heat-related illness by paying attention to individual differences that occur in the damage of heat-related illness despite of similar environments, regions, occupations, ages, and gender.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first conducted with heat-related illness experienced people to derive inter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heat-related illness (symptoms) experience, exploring the process of experiencing heat-related illness (symptoms). Using in-depth interviews, a situation/result model for the heat-related illness (symptoms) experience process was proposed. Next, inter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heat-related illness derived from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as question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general public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eat-related characteristics and heat-related illness (symptoms) experienc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value attitude, working environment, economic environment, social relations, growth environment, and heat consciousnes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heat-related illness related internal characteristics scale, were distinguished from those who are likely to experience heat-related illness (symptoms).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growth environment and social relation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experiencing heat-related illness (symptoms) in the sub-factors of the heat-related illness related internal characteristics sca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ffecting thermal diseases and laid the basis for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s as an influencing factor of heat-related illness.

      •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이호승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9407

        South Korea has introduced the fire safety manager system and reinforced private autonomous fire safety to prevent the constant occurrence of big fires and the increase of casualties and spread autonomous fire-fighting. A fire safety manager performs a role of preventing a fire usually and minimizing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by coping with any accident at its early stage. However, the recent cases of fires that caused significant casualties demonstrate constant occurrence of fire accidents in which the failure in fire-fighting at its early stage led to a large-scale disaster due to poor awareness of the risk of fires and poor job competence of fire safety managers. Focusing on safety behavior in terms of job competence of fire safety managers in charge of fire prevention for the targets of fire safety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safety behavior of fire safety managers. The factors possibly affecting safety behavior of fire safety managers included organizational safety leadership, safety values, safety attitude, author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structural model of the associations between each factor and safety behavior was built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factors for safety behavior of fire safety managers. The total effect size in terms of the effects on safety behavior was largest for safety leadership, followed by safety values, safety attitude, and authoriz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negatively affected safety behavior; authorization indirectly negatively affected safety behavior. As safety leadership strongly affected safety behavior of fire safety managers,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ttention and participation attraction, and will and attitude, all of which fall within safety leadership. Safety leadership directly strongly affected safety values, safety attitude, author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organizational safety leadership strongly affected safety behavior, which is a factor for job competence of fire safety managers, it may strongly affect job competence of fire safety managers in charge of the targets of fire safety management. Fire safety managers' safety behavior is not simply a personal issue but is closely associated with safety leader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intra-organizational safety leadership with the objective of reinforcing their job competence. 지속적인 대형 화재 발생과 인명피해 증가를 예방하고 자율소방을 확산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 제도를 도입하여 민간 자율소방안전을 강화하고 있다. 소방안전관리자 업무는 평상시 화재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을 통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한 화재사례로부터 화재위험성에 대한 인식부족과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수행능력 부족에 기인한 초기 화재대응 실패로 대형 참사로 이어진 화재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대상물의 화재 예방을 책임지고 있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수행 능력 중 안전행동을 중점을 두고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조직의 안전리더십, 안전가치관, 안전태도, 권한위임, 조직몰입을 선정하고, 각 요인들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의 크기는 안전리더십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안전가치관, 안전태도, 권한위임 순으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몰입은 안전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권한위임은 간접적으로 안전행동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안전리더십이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므로 안전리더십에 해당되는 조직의 의사소통, 관심도 및 참여유도, 의지 및 태도 등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우선적으로 기울여야 한다. 안전리더십은 안전가치관, 안전태도, 권한위임,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의 안전리더십이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수행 능력 중 하나인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을 관리하는 조직의 안전리더십이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수행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은 단순히 개인적 측면의 문제가 아니라 안전에 대한 안전리더십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능력 강화를 위해 조직 내의 안전리더십이 형성되어야 한다.

      • 저수지 재난사고 사례 분석을 이용한 성능기반 저수지 상태평가 개선 연구

        백상이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9407

        국내 농업용 저수지는 1969년 이전에 축조되어 공용년수가 50년 이상인 시설물이 대부분으로 노후화가 심각하다. 또한 저수지 하류부는 준공 당시 대부분 농경지였으나 준공 이후 도시화로 인한 변화로 저수지 붕괴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발생한 사고 사례에서 저수지의 안전점검 결과양호한 상태에서 붕괴가 발생하여 안전점검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사고 사례에 대한 원인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는 대부분이 총저수용량 5만㎥ 미만의 소규모 저수지인데, 현행 법규상 정밀안전진단 대상시설이 아니며 지자체관리 저수지의 경우에는 안전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 저수지의 안전점검 체계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안전관리 현황에 대한 분석과 2020년 사고 사례에 대한 원인분석을 실시하여 취약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취약요소와 정기점검 상태평가의 문제점을 반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정기점검의 상태평가는 관리적․기술적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붕괴 영향까지 평가하는 성능기반의 점검방식이다. 이로써 노후 저수지의 재해 예방 및 안전성능 확보를 통해 피해 발생을 저감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Korea, most of agricultural reservoirs were built before 1969, resulting in a service life of 50 years or more, and the deterioration is serious.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the surrounding of the reservoir was mostly farmland, but the urbanization over years leads to potential damage to property and human life when the reservoir collapses. Some of recent failures have occurred in the reservoirs with rather good grade in safety inspection, which raised the problem of safety inspection, a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ailure cases. In addition, most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are small-scale reservoirs with a total storage capacity of less than 50,000 ㎥, the safety management of which is carried out by local governments, and in general,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prepar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agricultural reservoirs,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status of safety management and a cause analysis of the failure cases in 2020 were conducted to derive vulnerable factors and to reflect the derived vulnerable factors. The condition evaluation of the improved regular inspection was presented as an improvement plan for problems in the management and technical aspects, reflecting the performance and vulnerable factors of the reservoir. This will contribute to reducing the occurrence of reservoir failures by securing safety performance of aged reservoirs.

      •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훈련 시나리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미예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9407

        According to the 2018 Disaster Yearbook, the large-scale fire in public-use facilities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among the social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in the last 10 years (2009-18). public-use facilities are defined as facilities used by multiple and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if it occurs the damage is very large hence. in order to prepare for such disaster situations, safety education and practice-based training are carried out, execution basis training is based on the purpose of creating a scenario, assuming an actual disaster situation. However, the current scenario-based training does not meet the training objective of strengthening response capacit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epar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training scenario by analyzing the current problems. In order to find the cause of large-scale damage in actual fires in public-use facilities. past events during which the central and regional disaster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were activated for the past 10 years were selected. The factors that made the fire larger were derived from the media reports on each case. Six of them were finally selected and risk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event tree analysis. As a result the risk factor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occurrence was the non-operation of sprinklers with a probability of about 18.29%, the fire alarm not working at 5.82%, and 5.16% of simultaneous occurrence of fire engine approach delay and sprinkler non-operation during golden time. Next, the manuals and scenarios of domestic public-use facility fire response train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risk factors that occurred in the actual fire accident were not applied to the existing scenario,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the worst case was not considered, Therefore, in this study, an improvement plan for the training scenario was presented. First, worst scenario training that applied all situationsthat occurred in actual fire cases was presented. Worst scenario training is a training method applied by assuming all possible failure situations in each stage. Second, it is a training scenario for each stage that considers the probability of failure as a result of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risk assessment result, the training is carried out by selecting a scenario for each response stage of the training. 2018 재난연감에 따르면 최근 10년간(09~18년) 발생한 사회 재난 중 발생 빈도 가 가장 높은 것은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이다. 다중밀집시설은 불특정 다수인 등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로 한번 발생하였을 경우 그 피해가 매우 크다. 그래서 이러한 재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안전교육과 실행 기반훈련을 실시한다. 실행 기반 훈련이란 그 목적에 따라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실제 재난상황을 가정하고 시간경과에 따라 대응해나가는 훈련이다. 하지만 현재 시나리오 훈련은 대응역 량 강화라는 훈련의 목적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훈련을 위한 훈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실질적인 재난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현재 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훈련 시나리오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제 다중밀집시설의 화재에서 피해를 대형화하는 원인을 찾고자 최근 10년간 중앙·지역 재난안전대책본부가 운영된 다중밀집시설의 대형화재를 분석 대상으 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화재사례에 대한 언론 보도 내용을 통해 화재를 대형화 한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 중 6가지를 최종 선정하여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 으며 그 방법으로는 사건 수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위험성 평가 결과 가장 발생 확률이 높은 위험요인은 스프링클러 미작동으로 약 18.29%의 확률을 보 였으며 화재경보기 미작동 5.82%, 골든타임 내 소방차 접근지연과 스프링클러 미작동 동시발생이 5.16%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내 다중밀집시설 화재 대응훈련의 매뉴얼 및 시나리오를 분석하였 다. 분석 대상은 ⑴ 행정안전부의 다중이용시설 훈련 가이드북과 ⑵ 노인요양병 원 화재 대응시나리오, ⑶ 보건복지부의 의료기관 화재안전 매뉴얼 및 ⑷ 서울 소방재난 본부의 다중이용시설 훈련 가이드북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시나리오에는 실제 화재사고에 발생했던 위험요인이 적용되지 않았고, 최악의 상황 발생이 고려되지 않았으며, 훈련의 모든 대응 과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 었다. 이와 같이 기존 시나리오는 실질적인 재난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훈련 시나리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실제 화재사례에서 발생한 상황들을 모두 적용한 Worst scenario 훈련을 제시하였다. Worst scenario 훈련은 단계별로 발생할 수 있는 실패 상황을 모두 가정하여 적용한 훈련 방법이다. 둘째, 위험성 평가 결과 실패 확률을 고려한 각 단계별 선택 시나리오 훈련이다. 위험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훈련의 대응 단계별로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진행하는 훈련방법이다.

      • 기업 재해경감을 위한 중점관리 대상 리스크 선정 기법에 관한 연구

        양준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9407

        최근 국내 100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와 2022년 초강력 태풍 힌남노의 발생에서 보듯 예상치 못한 리스크 요인(재난)에 대한 노출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재해경감활동 관리체계는 업무 중단 시 재난으로 야기되는 중요 활동과 시간 경과에 따른 업무 영향도를 분석하는 리스크 평가를 통해 중점관리 대상 리스크(핵심 리스크)를 도출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있어, 재해경감활동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재해경감활동 준비상태 파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BCP의 첫 단계인 성숙도 조사는조직의 재해경감활동을 위한 가장 취약하고 집중적인 활동을 도출하는 핵심 과정이지만 다양한 관심사의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확보를 통해 재해경감활동 관리체계의 실현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성숙도 조사 영역별 가중치 적용을 제안한다. 리스크 평가는 빈도와 잠재적 리스크의 영향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중점관리 대상 리스크(핵심 리스크)를 선정한다. 그러나 현행 선정 절차는 재해경감활동의 목표 달성계획 기간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 리스크 발생 기간 내 확률적 발생 가능성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은 리스크의 과도한 추정으로 인해 선택된 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너무 과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리스크 평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재해경감활동 목표 달성계획 기간 내 발생 확률을 고려하여 경영진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할 리스크 범위(핵심 리스크)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조직의 주요 기능과 중요 활동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재해경감활동 관리체계와 기능연속성계획은 실제 재난 발생 시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한 성과 영역별 분석 기법의 발전이 선행되어야 한다. Recently,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unexpected risk factors (disasters) is increasing as shown in the record-high heavy rain in 100 years in Korea and the outbreak of super-strong typhoon Hinamno in 2022.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is a process of deriving risks (core risks) subject to priority management through risk assessment that analyzes critical activities caused by disasters and the impact of business over time when work is suspended. In this change of environment, the organization's readiness for business continuities is essential to establish a plan to achieve the goal of business continuities; however, the current maturity survey as the first stage of bcp does not consider the diverse weight of the issues of interests since the maturity survey is the key process of deriving the most vulnerable and focused activities for the organization's business continuities, this paper proposes the application of the weight of each area of the maturity survey, which can ensure the feasibility of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y securing its reliability. In addition, risk assessment selects risks (core risks) subject to focus management through priority analysis of frequency and impact of potential risks. However, the current selection procedure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target period of the business continuity plan, and does not reflect the probabilistic occurrence of the actual risk occurrence period. As a result, the preparedness for selected risk may be too excessive due to over-estimation of risk even with very low probability of occurr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a company's risk assessment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criteria for selecting a range of risks to be prioritized for management (core risks) in consideration of the target period of the business continuity plan by considering probability of occurrences for designation time of period.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and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to secure continuity of the organization's key functions and critical activities should be preceded by the advancement of analysis techniques for each stage of performance to secure execution in the event of an actual disaster.

      • 자살사고 예방교육이 군인의 자살예방 시스템 활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곽동혁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9391

        우리나라는 분단국가라는 특수성으로 인해서 20대의 남자라면 누구나 군에 입대해서 군 복무를 하는 것이 의무로 정해져있다. 또한 의무로 복무하는 용사가 아니더라도 군에 간부로서 군 복무를 하고 있는 인원들을 포함하면 60만여명에 가까운 수가 군에서 복무를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군 안에서는 수 많은 사고가 발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군 장병의 자살은 총 사망자 중 68%에 달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군 사망사고 현황을 확인하였을 때 전체 사망자 952명 중 차량사고, 익사, 폭발 등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270명이나 자살로 인한 사망자는 682명으로 약 68%에 해당하는 사망자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살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군에서는 자살사고 예방 프로그램을 도입해 자살사고의 수를 감소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자살사고 예방 프로그램은 군 간부 또는 전문 강사에 의한 자살사고 예방 교육, 간부 또는 병영전문 상담관에 의한 상담관 제도, 그린캠프, 현역복무부적합 심의, 정신건강센터 운영 등 자살예방 시스템으로 나뉘어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자살사고 예방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미 공군 자살사고 예방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자살사고 예방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자살사고 예방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 실효성, 교육 인식, 교육 참여도, 간부 실효성, 상담관 실효성, 상담 인지도, 시스템 실효성, 시스템 인지도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요인 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매개 변수를 조정하여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살사고 예방 교육을 통해서 상담 및 상담관 제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살예방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자살사고 예방 교육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는 것이 자살사고 예방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보다 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자살예방 시스템의 긍정적인 효과를 위해서는 자살사고 예방 교육에 대한 홍보가 더 중요하게 작용되어야 한다. Due to the peculiarity of our country as a divided country, it is compulsory for all men in their 20s to enlist and serve in the military. In addition, even if they are not compulsory warriors, if you include those who are serving as officers in the military, close to 600,000 are serving in the military. However, in our military, many accidents occur and many people lose their lives. Among them, suicide by military personnel accounts for 68% of the total deaths. When the status of military fatalities from 2015 to 2020 was confirmed, 270 of the 952 deaths were due to safety accidents such as vehicle accidents, drowning, and explosions, but 682 deaths were due to suicide, accounting for about 68% of the deaths. It could be confirmed that occupied To prevent such suicides, the military has introduced a suicide prevention program to reduce the number of suicides.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is divided into suicide prevention systems such as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by military officers or professional instructors, counselor system by officers or barracks professional counselors, green camp, deliberation of inappropriateness for active duty service, and operation of a mental health center.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s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re being operated in a positive direction, this researcher conducted an analysi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nd the US Air Force suicid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thi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educational effectiveness, education awareness, education participation, executive effectiveness, counselor effectiveness, counseling awareness, system effectiveness, and system awareness were selected as factors affecting the suicide accident prevention program. Also, in order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each facto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as analyzed by adjusting the parameter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counseling and counselor system and the suicide prevention system through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hosphorus effect was exerted. Therefore, for the positive effect of the suicide prevention system, publicity on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more important.

      • 통계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하천 정비사업의 효과도 평가

        이태현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9391

        정부는 자연재해의 예방, 대비를 목적으로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재해의 예방을 위한 정비사업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강우량, 수위의 계측자료를 기반으로 다중선형회귀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수위 예측 모형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미호천 유역의 정비사업을 다루고 있으며, IETD(interevent Time Definition)와 독립변수의 시간 규모를 자기상관분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단계적 선택법을 이용하여 모델별 회귀계수를 산출하였고, 통계적 지표를 이용하여 가장 정확도가 높은 수위 예측 모델을 선정하였다. 정비사업 시행 후 발생한 강우사상에서 모델을 통해 예측된 수위와 실제 관측 수위를 비교하여 정비사업 효과를 평가한다. 정비사업 시행된 후 관측된 수위는 최고 수위에서 모델을 통해 예측된 수위에 비해 감소했다. 본 연구 결과는 연구에서 개발된 수위 예측 모델을 사용하여 정비사업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o prevent and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Hazard Mitigation Projects for Natural Disaster Risk Reduction Districts. This study is to develop a water level prediction model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of rainfall and water level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Hazard Mitigation Projects on the prevention of river disasters. This study covers the Hazard Mitigation Projects in the Mihocheon Basin and Interevent Time Definition(IEDT) and the time scal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determined through autocorrelation analysis.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each model was calculated using the stepwise selection method, and the highest-accuracy water level prediction model was selected using statistical indicator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Hazard Mitigation Projects by comparing the predicted water level and the observed water level in the rainfall events that occurred after the Hazard Mitigation Projects was implemented. After the Hazard Mitigation Projects were implemented, the observed water level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dicted value at the highest water level. The results show that the water level predi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azard Mitigation.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교안전사고 분석

        김민섭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9391

        학생은 국가의 미래이다.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교육부는 학생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마련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학교안전교육을 시작했다. 그러나 10년 가까이 시행되고 있는 현재의 학교안전교육이 과연 학생들의 안전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매년 100,000명 이상의 학생이 학교 안전 사고로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하고 매년 300억 원 이상의 보상금이 지급되었으며 이러한 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마침내 2022년, '이태원 참사'로 수많은 젊은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학교안전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토픽분석을 통해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각급 학교별 학교안전사고 실태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학교 현장에 제공되는 단순 통계에 기반한 현행 학교안전사고 분석은 경험이 부족한 교사가 교훈을 얻기 어렵고 이를 학교 안전 교육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학교안전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입체적이고 다면적인 학교안전사고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각급 학교의 학교안전사고는 학교 유형별 학생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므로 차별화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유치원생들은 놀이 중에 많은 사고를 당했는데 특히 운동장, 교실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주요 원인으로 판단되며, 이는 신체적으로 미숙한 유치원생의 신체적 특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교실과 운동장에서 점심시간에 놀다가 일어나는 사고와 계단에서 일어나는 사고가 가장 많았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는 발목과 손가락 부상이 많았는데 주로 체육 수업 중 발생한 사고로 파악되었다. 중·고등학생의 경우 신체 접촉이 강한 팀 스포츠 활동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했는데, 이는 신체적으로 성인과 유사하면서도 사고 경험이 없는 연령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모든 학교는 학교안전교육을 시작한 '세월호 참사' 직후의 초심으로 돌아가 대한민국의 미래인 우리 학생들에게 실질적이고 실질적인 학교안전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세월호 참사'를 통해 국민의 안전의식은 점차 향상되었지만 학교안전교육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가지 이유로 위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국민이 안전한 나라',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염원하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은 언제나 '교육'이라고생각된다. Students are the future of the countr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pared various policies related to student safety. As a result, Korea started school safety education in 2015.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oday's current school safety education,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nearly 10 years, is really helping students' safety. More than 100,000 students are killed or injured each year in school safety incidents. And more than 30 billion won was paid as compensation every year. These damages are increasing every year. And finally, in 2022, countless young people lost their lives in the 'Itaewon Disaster'.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school safety education was found out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and the actual situation of school safety accidents was analyzed by conducting topic analysis for safety accidents at each level of school belonging to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current analysis of school safety accidents based on simple statistics provided to school sites is difficult for inexperienced teachers to draw lessons from, and it is not easy to use them for school safety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ree-dimensional and multifaceted school safety accidents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chool safety education. Second, school safety accidents by school type at each level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the school type, and accordingly, differentiated preventive measures are required. Kindergarten students had many accidents during play. In particular, it is judged that accidents such as slipping and falling in playgrounds and classrooms are the main cause, and this is judged to be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hysically immature kindergartener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ccidents during lunchtime play in classrooms and playgrounds and accidents on the stairs are the most common.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kle and finger injuries were mainly identified as accidents that occurred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ity of accidents occurred during team sports activities with strong physical contact, which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age characteristics of having no experience of accidents while physically similar to adults. Third, it is necessary to go back to the mind immediatel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which started school safety education, and provide substantial and practical school safety education to our students, the future of the Korea. Although th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people has gradually improv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the Korea, research and interest in school safety education are shrinking over time for various reasons. However, even in these circumstances, I always believe that the most important means to create a 'safe country for the people' and a 'safe Republic of Korea' that all citizens of the Korea aspire to is alway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