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V보도프로그램에서 컴퓨터그래픽스를 활용한 영상에 관한 연구 : 보도프로그램 영상을 중심으로

        유경미 단국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6399

        오늘날은 영상시대라고 불릴 정도로 영상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하다. 실제로 온갖 영상 정보들이 개인이나 사회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개인이나 사회의 영상정보 의존도는 앞으로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비견될 수 없는 신속성과 친밀성을 지닌 찬사와 비난을 동시에 받고 있는 TV방송은 지금도 쉴새 없이 계속적으로 제작되어지고 있고, 여러 가지 다양한 방송영상이 사회와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영상이 지닌 함축적 의미와 그에 따른 우리의 사고방식과 삶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대해서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는 컴퓨터 기술발전에 따른 컴퓨터그래픽의 그 응용분야가 다양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에 따라 TV방송에서도 타이틀이라는 형식을 통해 컴퓨터그래픽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방송영상에서도 일반인들의 시청이 높고 대중성이 강한 TV보도프로그램 영상에서 컴퓨터그래픽이 어떻게 활용되어지고 있고, 그 효과 및 영향을 통해 방송영상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영상제작인들의 전문의식 고취 및 방송영상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 범위로 우선 제2장에서 컴퓨터그래픽의 일반적인 개념이해의 필요에 의해 컴퓨터그래픽의 개념과 역사 및 변천과정과 함께 컴퓨터그래픽의 응용 분야와 그래픽 디자인의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보았다. 실질적으로 3장에서 보도프로그램 영상에서의 컴퓨터그래픽 활용에 의한 타이틀 디자인의 개념과 그 기능 및 분류와 그 구성요소를 문헌조사를 통해 제 정리했으며, 실태조사인 4장에서 비교적 시청률이 높이 평가되는 두 방송사(MBC, KBS)에서 방송되어지고 있는 보도프로그램에서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한 영상화면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한 영상이 일반시청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컴퓨터그래픽스를 활용한 영상의 시청자인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그래픽스의 활용한 현 방송영상은 과거와는 시각적으로나 미학적으로나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부분적으로 적절하지 않고, 시각적으로 자극적인 컴퓨터그래픽영상을 사용했는가 하면 방송영상 제작인들의 프로그램의 정확한 내용숙지 부족으로 인한 과잉전달 및 효과적이지 못한 컴퓨터그래픽의 활용으로, 아직 방송영상에서 컴퓨터그래픽 활용이 전체적으로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영상제작인들의 시대에 따른 컴퓨터그래픽활용에 관한 중요성의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현 방송영상계는 인터넷 방송과 버츄얼(Virtual) 스튜디오의 등장, 컴퓨터 그래픽의 기술 발전으로 영상의 고품질화(HDTV)등 커다란 변화의 물결이 지금도 계속 일고 있으며, 아직도 완료되지 않은 상태다. 그에 따라 앞으로 점점 더 방송영상인의 입지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중요한 영상시대의 역할을 담당하는 영상인의 중요한 사실은 영상인 스스로가 앞으로 다가올 기술발전에 따른 다채널·다매체 시대를 좀더 적극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는 방송영상에서 더 많은 컴퓨터그래픽활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그에 따라 방송영상 제작인들은 컴퓨터그래픽의 효과적인 활용을 좀 더 적극적인 자세를 준비해야 하고, 전문적인 영상제작자 양성을 위해 현업계 재교육과, 일반대학교육에서도 좀 더 질적인 영상교육 커리큘럼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effect of screen image on us is so considerable that today is called screen image age. In truth, all kinds of screen image information have an important effect on individuals or society. Our dependance on screen image information become increasingly larger. Although there are some criticisms about Television, it has also advantages as the fastest and most familiar media. TV programs are still being produced continuously and have a deep influence on our culture and community. As the computer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e application area of computer graphics gets wider and wider. Especially, TV programs take advantage of computer graphics through the form of title. TV news programs among all broadcasting images have great popularity because general population very often watch i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way how TV news programs utilize computer graphics and the importance of broadcasting images by the effect of computer graphics. In addition, we are willing to make images producers have professionalism and develop broadcasting images. In Chapter 2, we introduced the general background about computer graphics: the concept, history,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cation area of computer graphics, and a basic theory of graphic design. In chapter 3, the title design using computer graphics in TV program images was defined, divided into components, and categorized by its function through documentary survey. Practically, we analyzed the screen images of news program using computer graphics in two major TV broadcasting company of KOREA(MBC, KBS) through chapter 4. Finally, we surveyed how looker feel about the screen image using computer graphics and analyzed the amount of recognition. Today broadcasting images using computer graphics have been developed in the visual and aesthetic area. Despite of these developments, some of them were impertinent and had stimulated human instinct. Some broadcasting image producers didn't understand exactly the content of program. Accordingly, the computer graphics in broadcasting over utilization of computer graphics in broadcasting image area is not considered important as it is. Broadcasting image area has changed continuously and still changes through development of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and virtual studio, high-qualified image(HDTV) by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Domain of people working in broadcasting image area will be enlarged and broadcasting image producers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image age, should prepare actively multi-channel, multi-media age due to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future, computer graphics will be more useful. As a result, broadcasting producers must be ready for using effective computer graphics and re-educated to be professional image producers.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should have also better quality.

      • 지역TV방송 뉴스의 내용과 영상의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방송3사 분석을 중심으로

        박형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6383

        본 연구에서 지역TV방송 뉴스의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여 조사 항목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TV방송 뉴스를 집중 비교하는 방법으로 내용상 특성과 형식적 특성으로 크게 분류하여 검토 분석하였다. 우선 지역TV방송 뉴스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들을 설명하고 대전지역 TV방송 3사가 2008년 9월 한 달 동안 방송한 내용을 실제로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택했다. 뉴스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전체 보도의 방향을 공통기사, 각 방송의 연속뉴스, 어깨걸이 타이틀의 내용을 비교하였고, 뉴스 아이템 수 및 소요시간, 뉴스의 주제, 초점 보도대상, 보도의 중심, 보도의 흐름, 보도의 방향, 보도의 정서, 보도의 가치추구, 리드의 여부를 집계 분석하였다. 뉴스의 형식적 측면에서는 보도의 구성, 보도 담당자, 화면구성, 화면 접근방식, 화면내용, 인터뷰, 잘못된 편집을 각각 나누어 분석했다. 주요 문제점은 크게 뉴스 내용에 관한 문제점과 뉴스 형식에 관한 문제점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개선 방안으로는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하기 위해 영상매체와 음향매체의 조화로운 이용과 글씨 등의 독자적인 기능을 최대한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여만 경쟁력이 있다고 본다. 또한 보도대상, 보도주제 등 특정분야에 편향되는 지방자치 시대의 독립권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역 주민들의 인식과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보도의 시각도 다양하게 해야 할 것이다. 향후 디지털시대에 맞게 지역TV방송 뉴스도 그 한계성을 극복하고 효과적 영상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전달 방법을 한층 더 발전시켜야 한다. 추가적으로 지역방송이 가지고 있는 저널리즘의 기능을 확고하게 정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행정기관 중심의 기사 취재에서 탈피하고 공론 영역을 정당하게 담당하는 방송인들을 중심으로 객관적인 뉴스의 판단기준을 확립하여 지역의 사건, 사고를 객관적이고 깊이 있는 보도를 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and structural format of locally broadcast TV news and programs to deduce the categorical problems and then to suggest some solutions. Focusing on local news in and around the city of Taejeon, a careful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rough a process of detailed comparison of the content and form of the programs is undertaken. The study explains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contents and forms of local TV news and programs. An effective way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ograms, which have been broadcast during the month of September in 2008 by three major broadcasting stations in Taejeon, is select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 of news programs of similar content, the overall direction, news series, and titles were compared and news items, length of program times, themes, subjects of focus, main point, flow, method, emotional impact, and intrinsic value were analyzed to see whether or not they could be chosen as the best program.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news programs each of the following was analyzed in detail: the news producer, visual composition, visual presentation method, visual contents, interviews, and the process of editing out of the mistakes. After classification of the problem into two parts, one about contents and the other about forms of the news and programs, main problems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To improve and effectively meet the needs and various desires of local citizens, a balanced use of audio-visual media, words, etc. must be uniquely integrated. As such, only through effective presentation of a lot of information in the shortest amount of time can the programs be financially competitive. Also, independence of news programs from the power of local governments from influencing and adding bias to the object and subject of the news program needs to be secured and the range and scope of the news needs to be accurate and diverse enough to receive wide recognition and acceptance from local residents. For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the growing digital age, to successfully transmit news information local TV news programs need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current conventional approaches by effectively utilizing better presentation technologies, techniques, and methods. In addition, local journalism needs to be greatly strengthened and maintained by breaking out of the tendency to focus on the business administrative concerns and by becoming news broadcasters who take charge in broadcasting news of genuine public concern and establishing objective standards of news about broadcasting local incidents and events with in-depth accuracy.

      • 2006-2010년 국군방송TV 5년에 대한 평가와 제언

        김종명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6367

        국방홍보에서 차지하는 방송매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군이 운용하고 있는 국군방송 TV의 효율적 운영과 그 개선방안에 대한 군 내외의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각종 통계자료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군 홍보매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TV를 중심으로 지난 5년여 동안의 국군방송 TV 운영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정책적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국군TV의 주 시청대상은 주로 일부 국민과 장병들이었다. 여기서 말한 일부 국민들은 장병들과 직접 관련이 있는 소수로 사실상 군 장병들 이외에 국군 TV 시청자는 거의 부재한 상황이다. 둘째, 제작인력문제가 국군TV가 풀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 드러났다. 개국 이후 5년 동안 지속적 노력을 기울여왔음에도 아직까지 인력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이로 인해 방송의 완성도 부분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정되었다. 주로 공무원들로 이뤄진 방송 인력들은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방송의 질적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로 인해 개국 이후부터 지금까지 시청률은 5년 동안 평균비율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대책을 강구하고는 있으나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개선의 질과 양은 미미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군TV의 방송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공채널로 지정되는 정책적 지원을 통해 시청자가 쉽게 인지하고 접근할 수 있는 방법 모색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국군TV의 특성상 품게 되는 한정된 콘텐츠로 인해 시청자들과의 거리감이 적지 않은 바, 국방홍보 전문채널로서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첨단 방송장비의 도입과 함께 우수한 콘텐츠의 안정적 확보와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함은 물론 우수한 인력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broadcasting medium in national defense public relations, discuss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Korea Forces TV and its improvement are insufficient inside and outside the military. Aware of this issue, this study looks into the status quo management of Korea Forces TV and its problems, as well as its policy improvements from 2006 to 2011 using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polls with TV,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ublic relations medium of the military, as the focus. First, some civilians and military personnel were the main audience of Korea Forces TV. However, the civilian audiences consisted of those who are directly related to the military personnel, which practically limits the Korea Forces TV audience to the military personnel only. Additionally, production manpower issue was identified as the most urgent issue for Korean Forces TV. Even after putting continuous effort since its inauguration five years ago, the manpower problem has been plaguing, which revealed various problems in the final production of broadcasting. Broadcasting personnel, composed mainly of public service personnel, undermines the level of broadcasting due to their lack of efficiency. Therefore, from the foundation five years ago, the ratings haven't been above the mean level. While the measures are being considered, the scope and quality of those measures are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problem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of all,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exploring ways, by which the audiences can easily recognize and access the Korean Forces TV through policy support that assigns Korean Forces TV as a public channel, is absolutely necessary. Secondly, with significant distance from the audiences brought by the limited contents, due to the nature of Korean Forces TV, to redefine itself as "the channel" for national defense public relation, continuous effort must be made to introduce the state-of-the-art broadcasting equipment, to acquire excellent contents, to provide quality programming, and to utilize excellent manpower.

      • 대학생의 경제신문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 패턴, 선호도,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낙규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63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Business newspape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the pattern of use, preferences and gratification level.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pattern of use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Preferences and gratification level were set up as 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0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who read a business newspaper once or more a week. The instrument used to gather data were Chang, Chae-hun(2002)'s Questionnaire for University Students' Reading Behavior,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Regarding Sports Newspapers, which was modified for this study. SPSS/PC 10.0 Version for Windows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o see i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pattern of use, χ²(Chi-square) test was utiliz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use on preferences and gratification level. Scheffe's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when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pattern of use, preferences and gratification level,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gender, academic year and major made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to reading frequency, reading place, reading time, the way of keeping business newspapers, the way of reading and reading motivation. But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ading time according to academic year, and majo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reading motivation. Second, gender, academic year and majo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preference for the content and literary style of articles and newspaper composition. Third, gender, academic year and major made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to gratification level with content attributes and design of business newspapers. But their gratification level with reliability, one of content attribut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and academic year, and majo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gratification level with design. Fourth, their preference for business newspaper varied significantly with reading frequency. Those who read it more often had a higher liking for a straight literary style, expository style using graphic and diagram, and newspaper composition added by graphic and diagram. In terms of gratification level with design, a higher reading frequency led to more gratification level the weight of advertising, Fifth, reading tim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preference for and gratification level with business newspaper. Those who spent more time reading business newspaper had a larger preference for literary style of interview type and colorful newspaper composition added by graphic, and those students were more contented with the diversity and useful- ness of business newspaper, two of content attributes, and with the style of type and the shape of letter, which belonged to design. Sixth, the way of keeping business newspaper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preference for literary style and newspaper composition. The university students who kept the entire newspapers had a higher liking for interview-type literary style, a combination of different literary styles and newspaper composition marked by extraordinary layout. And those students were more pleased with reading convenience, which belonged to design. Seven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the content of article and literary style according to the way of reading. The university students who read newspaper in detail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articles on economic policies and future prospect and an expository literary style added by graphic and diagram. The students who read newspaper focusing on title and photo were more fond of an straight literary style. But the way of reading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gratification level. Eighth, reading motiva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preference for the content of article. They had a stronger preference for articles related to their reading motivation except for advertising and articles on economy and economic policies. And the students who read business newspaper to acquire information on business and business people were more contented with the usefulness of the newspaper, one of content attribute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the pattern of using business newspaper among university student reader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read business newspaper primarily to get information on economic policies and prospect mostly at home, three or four times a week, and 10 to less than 30 minutes a day. They clipped articles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and preferred articles on financial technology and trend. In relation to literary style, they had a liking for an expository article added by graphic and diagram. In order to lure more university student readers, it's required to encourage university students to subscribe to business newspaper, to increase articles on economic policies, economic prospect, financial technology and trend, and to include more expository articles, graphic and diagrams so that they could get a better understanding. Second,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business newspapers in that they provided a variety of useful information, and they were also pleased with their reading convenience, the size of the style of type, the shape of letters, color and newspaper composition. But they weren't satisfied with the heavy weight of advertising and newspaper reliability. To ensure the efficiency of articles, a rational amount of advertising should be included, and an unprejudiced, objective report should be made to boost newspaper reliability. In addition, an in-depth report should be enlarged, which cannot be done by other media. Third, gender, academic year and major made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patter of using business newspaper, gratification level and preference. In the event of the pattern of use, however, academic year and majo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reading time and reading motiva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atisfaction level, gratification level with reliability, one of content attributes, varied significantly with gender and academic year. In terms of design, majo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gratification level with the size of the style of type, the shape of letter and color.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didn't put confidence in business newspapers, and the humanities majors were pleased with the size of the style of type, the shape of letter and color, which belonged to design. Hence it's needed to produce more trustworthy newspapers to gain the confidence of femal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nd the design of business newspapers should be improved to satisfy unsatisfied majors. Fourth, as for reading frequency, reading time, the duration of keeping business newspapers and the way of reading, the subscribers who read business newspaper in detail had a stronger preference for the business newspaper and expressed higher gratification. So the kinds of marketing strategies that could attract more university students and increase their reading time should be prepared, and differentiated planning and in-depth articles are required to stimulate students to keep business newspapers for a long time and read them in detail. Fifth, the university students had a stronger preference for articles that covered what motivated them to read business newspaper. Hence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formulated by focusing on grasping the reading motivation of readers and increasing articles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in their preference for articles on economic policies and prospect, and those articles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their understand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경제신문 이용에 관한 연구로, 그들의 경제신문 이용 패턴과 선호도 나아가 이용 패턴에 따른 만족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배경변인으로, 이용 패턴을 독립변인으로, 그리고 선호도와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제신문을 주 1회 이상 구독하고 있는 140명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는 장재훈(2002)의 “대학생의 스포츠신문 구독행동, 선호도 및 만족도”를 위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이용 패턴의 차이를 카이제곱(χ²)검증으로,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 패턴에 따른 선호도 및 만족도의 차이는 t-test 및 일원변량분석방법(One Way ANOVA)으로 검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이용 패턴의 차이 그리고 선호도 및 만족도의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 전공에 따른 구독빈도, 구독 장소, 열독시간, 보관형태, 열독방식, 이용 동기는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년에 따른 열독시간과 전공에 따른 이용 동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학년, 전공에 따른 경제신문의 기사내용, 기사문체, 지면구성에 대한 선호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학년, 전공에 따른 경제신문의 보도속성 및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에는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보도속성 중 신뢰성의 경우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신문 구독빈도에 따라 선호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빈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이트형 문체’와 ‘그래픽 및 도표를 이용한 설명형 문체’ 그리고 ‘그래픽 및 도표를 삽입한 지면구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에서 광고 비중 역시 구독빈도가 높을수록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열독시간에 따른 경제신문의 선호도와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형식의 기사문체’와 ‘컬러 및 그래픽을 활용한 지면구성’은 열독시간이 길수록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신문 보도속성 중 다양성과 유익성, 경제신문의 디자인 중 ‘서체 및 글자모양’의 경우 역시 열독시간이 길수록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제신문의 보관형태에 따라 기사문체와 지면구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식 기사문체’, ‘다양한 문체의 혼합형’, ‘파격적 레이아웃을 적용한 지면구성’의 경우 ‘신문전체를 보관하는 대학생’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신문 디자인의 만족도 중 ‘읽기의 편리성’의 경우 역시 ‘신문전체를 보관하는 대학생’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경제신문의 열독방식에 따른 기사내용과 기사문체에 대한 선호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책 및 전망기사’와 ‘그래픽 및 도표를 이용한 설명형 문체’의 경우 ‘전체적으로 자세히 구독하는 대학생’이 더 선호하며 또한 기사문체 중 ‘스트레이트형 문체’의 경우 ‘제목과 사진위주로 구독하는 대학생’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신문의 열독방식에 따른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경제신문의 이용 동기에 따라 기사내용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및 경제정책 관련 기사와 광고를 제외한 대부분 이용 동기에 부합되는 기사내용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신문 보도속성 중 유익성의 경우 ‘기업, 기업인의 정보를 얻기 위해 구독하는 대학생’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조사된 대학생 경제신문 구독자 이용 패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생들의 경제신문 이용 패턴은 ‘경제정책 및 전망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대다수 ‘집에서 구독’하며 일주일에 3~4회, 하루 10~30분미만으로 경제신문을 읽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관심 있는 기사는 스크랩하며, 기사내용에 있어서 재테크 및 트랜드 기사를 선호하고, 기사문체의 경우 ‘그래픽과 도표가 삽입된 설명형 기사’를 선호한다. 따라서 대학생 구독자를 확보하기 위해선 대학생의 정기구독을 유도하고, 경제정책 및 전망과 관련기사를 비롯하여 재테크 및 트랜드 기사를 확대하고, 설명형 기사와 그래픽과 도표를 삽입하여 대학생 독자의 이해를 돕는 지면구성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들은 경제신문의 내용에 대하여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며 읽기의 편리성과 서체크기 및 글자모양, 색상, 지면배치 등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높은 광고 비중과 신뢰성에 대해선 만족도가 낮았다. 따라서 효과적인 기사 전달을 위해서 광고관리의 합리화가 고려되어야하며 경제신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편향되지 않은 객관적 보도 및 타 매체에서 다루지 못하는 심층 기획보도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성별, 학년, 전공에 따른 이용 패턴, 선호도, 만족도에는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용 패턴의 경우 학년에 따른 열독시간과 전공에 따른 이용 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경우 보도속성 중 신뢰성에 있어서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의 경우 서체크기 및 글자모양, 색상에 대한 만족도에서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및 대학원생의 경제신문에 대한 신뢰성이 낮으며 경제신문의 디자인 중 ‘서체크기 및 글자모양’ ‘색상’의 경우 인문계열 전공자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 및 대학원생들에 대한 경제신문의 신뢰성을 높여야 하며 다른 전공자도 선호할 수 있도록 경제신문의 디자인적인 요소도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경제신문의 구독빈도가 높고 열독시간과 보유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열독방식 중 전체적으로 자세히 읽는 구독자의 경우 경제신문의 선호도와 만족도가 높음으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 독자층의 경제신문 접촉 및 열독시간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며 경제신문의 기사를 장기간 보유하고 자세히 구독할 수 있는 경제신문만의 차별화된 기획 및 심층기사가 확대돼야 한다. 다섯째, 대학생 경제신문 구독자는 이용 동기에 부합되는 기사내용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경제신문 구독을 유도하기 위해선 경제신문 이용 동기를 파악하여 이에 부합되는 기사내용을 보강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경제정책 및 전망 기사’의 경우 대학생 구독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기사내용의 보완이 필요하다.

      •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방송 제작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허종봉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6367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최적의 네트워크(망)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디지털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단방향 특성의 방송망과 양방향 특성의 통신망의 결합으로 다양한 단말기에서 데이터방송 구현 등 다기능 방송이 가능해졌다는 것을 뜻한다. 이같은 방송 환경의 변화로 기존의 방송 제작 시스템은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 환경 즉 멀티미디어 제작 체제의 구축과 그에 적절한 시스템으로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컴퓨터 기술과 하드디스크 저장매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 제작시스템, 주조정실의 송출용 서버와 광대역통합망의 연결 등으로 구성되며 동시에 이들 각각의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통합형 방송 제작 체계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방송사는 기존의 영상프로그램 전송은 물론 사용자 친화성이 강화된, 실시간 대화형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홈쇼핑, 홈뱅킹,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설령 좋은 인프라를 갖추었다할지라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 활용하기에 편리한 장비와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방송체계는 방송통신 융합에 따른 미디어 환경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할 것이다. Media convergence means the formation of the environment in which a variety of contents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s through many available networks. In other words, broadcasting, a one-way medium, and telecommunication, a two-way medium, are converged that makes possible multi-functional broadcasting services over various devices. In order to adapt to this new environment, the existing broadcasting production system should incorporate multimedia functionality and retrofit itself as needed. As a combined system of each distinct unit, the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consists of a digital archive system, a digital production system equipped with computers and storage media, and a transmission server in the main control room connected with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s(BCN). This system enables broadcasting companies to serve real-time, interactive and user-friendly data services such as home-shopping, home-banking, video-on-demand, etc. including traditional program provisions. Without proper and efficient multimedia production and service capability, the existing broadcasting system cannot cope with the new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even if it operates top of the line facilities.

      • 프로그램 유형별 방송 자막의 활용 현황과 그 문제점에 관한 연구 : 공중파 방송3社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성 단국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6367

        텔레비전 자막은 노래의 가사나 출연자 또는 지명 등을 소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면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그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정보 전달의 보조 수단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장비의 발달과 더욱 치열해지는 시청률 경쟁으로 인해 자막의 사용은 눈에 띄게 늘어났고, 이제 자막은 방송제작 요소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러한 자막의 남용은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중파 방송 3사의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자막의 사용 현황과 그 문제점에 관하여 생각해 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할 방송 프로그램은 뉴스, 시사·교양 그리고 연예·오락 프로그램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눈 후, 방송 3사별로 2~3개의 프로그램들을 유형에 맞추어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프로그램에 삽입된 자막을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접근해 보았다. 양적인 측면은 전체 방송시간 동안 등장한 자막의 횟수, 즉 분당 빈도 수로 나타내어 프로그램 유형 별로 얼마나 많은 자막이 사용되었는지 측정해 보았다. 그리고 질적인 측면은 자막이 수행하는 기능과 그 문제점 그리고 방송언어로서 부적절한 사례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이 중 자막이 수행하는 기능은 두 가지 기능 즉, 정보 전달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의 기본적 기능의 자막과 시청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자 삽입한 부가적 기능의 자막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양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뉴스 프로그램을 제외한 다른 유형의 프로그램 전체적으로 높은 자막 빈도 수를 보였다. 이 중 시사·교양 프로그램이 분당 평균 5개, 연예·오락 프로그램이 분당 10여 개의 자막이 등장하여, 시청률 경쟁이 치열한 오락 프로그램일 수록 자막 의존률이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인 측면에서의 자막 활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 기본적 기능과 부가적 기능의 자막 사용수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뉴스 프로그램은 자막의 사용이 최대한 절제되었으며 정보 전달의 보조 수단이라는 기본적 기능에 충실한 반면, 시사·교양 프로그램이나 연예·오락 프로그램 모두 흥미 유발을 위한 부가적 기능의 자막 사용 수치가 점점 높아져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연예·오락 프로그램은 평균 비율이 1:4 정도로 기본적 기능의 자막 보다 부가적 기능의 자막 사용이 빈번하였다. 특히, 부가적 기능의 자막 중 연출자의 의도를 나타낸 경우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가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현상은 제작자의 의도가 시청자들에게 일방적·일률적으로 전달되면서, 시청자들의 자율적인 시청 행위를 방해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또한 방송언어로서 자막의 남용 사례 또한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는데, 특히 방송 언어로서 부적합한 저질의 대사나 농담 등이 띄어쓰기를 무시한 채 자막으로 그대로 처리되고 있어, 시청자들의 올바른 언어습관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자막 사용의 부작용은 제작자의 지나친 제작 의욕에 비해 자막의 부정적인 영향력에 관한 인식 부족과 시청자의 무관심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자막의 기능에 관한 제작자의 올바른 인식과 시청자의 적극적인 관심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Captions used in TV programs have been regarded as the subsidiary means to convey information. However, as the development of broadcast equipments and competition of audience rate, capt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production of TV program in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present situation and the controversial points of captions in the TV programs of major broadcast television stations. The program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ree genres such as news program, current events·cultural program and entertainment program. Captions in television program have been studied by two kinds of point of view,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Quantitative point of view stands for the number of captions that appeared during the length of a program. Qualitative point of view represents three things; functions that captions carry out, problems caused by discharge of the function and unsuitable cases for a broadcast language. Functions were classified in two categories; primary function and secondary function. Primary function is used to assist in the essential communication between program producer and TV audience. Secondary function is used to arouse the TV audience's interest in spite of the unnecessity. In result, in quantitative point of view, the order of high frequency of captions is entertainment program, current events·cultural program and news program. It shows that entertainment program that has great weight on audience rate tends to use captions more often. In the qualitative point of view,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certainly by program genre. Entertainment program use the secondary function of captions a lot in contrast with news program which firmly maintain to use the primary function of captions. In current events·cultural program, both functions of captions are used according to its situation. However, the use of secondary function of captions has been increased in current events·cultural programs as a sequel to emphasize the entertainment function more. But misuse of secondary function's captions caused many problems including the interrupting the self-control watching of TV audience. As a broadcast language, misusage of captions has resulted in serious level, especially the vulgar dialog or joke unsuitable for a broadcast language were treated by captions without following proper grammatical order such as spacing words, this effects a bad influence to the TV audience's right language life. As above, the problems caused by captions are increasing. This is because of the lack of recognition about the negative influence of captions in compared with producer's strong intension. Even now, program producer needs to have a right understanding about captions and continues a responsible effort to make those problems right. All broadcast television stations have to make a writer use a perfect command of Korean language in captions on TV Broadcasting. Captions can be an efficient means make a high-quality program, only if when they be used on right time and at right place.

      •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색채가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성식 단국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6351

        디지털 시대의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우리의 생활과 가장 밀접해 있고, 시각적 노출이 많은 매체이다. 매일 90%이상의 사람들이 텔레비전을 시청하고, 대부분의 업무도 컴퓨터 앞에서 처리하고 있다. 여가시간의 대부분을 텔레비전 시청과 인터넷에 소비한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그러나 이렇게 텔레비전 시청과 컴퓨터 활용이 우리의 일상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해 영상색채의 시각적 노출의 유해성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텔레비전 시청이나 컴퓨터 이용이 일상적인 행위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가는 상황에서 시각적 노출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영상색채는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수 없이 인체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개인마다 다른 성격 유형과, 색채선호 유형별로 영상색채가 인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험적으로 살핌으로써 영상 노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본 논문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국내외 색채에 대한 문헌을 통해 사례분석과 색채치유에 대한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기존 문헌을 통해 도출해낸 색채치유 요소에 대한 분석틀을 기준으로 하여 각 유형에 대해 평가하고 그 평가를 기반으로 영상색채의 효과적인 사용과 영상색채로서 인체의 치유에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단편적인 영상 연구가 아닌 영상색채의 독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즉 기존의 영상 연구가 영상의 내용적인 시청행위를 설명하였다면, 본 연구는 특정 내용의 시청행위보다는 시각적 영상색채가 주는 유해성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두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영상에 노출된 시간과 색채선호 유형에 대한 문제, 영상색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영상에 노출된 시간과 색채선호 유형에 대한 문제에 답하기 위해 우선 TV시청 시간, 컴퓨터 사용시간, 영상의 색채 선호도, 대한 개념화를 정의하고, 이러한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였다. 영상색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심리상태와 성격유형에 따른 색채의 선호도를 분석 하고 뇌파를 측정 하였다. 분석결과, 영상 색채는 인체 및 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사람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색채에 대한 선호도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성격에 따라 색채선호 경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영상색채 유형에 따라 인체에 심리적 신체적 영향을 미치며, 치유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상색채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고 다차원적이며 따라서 영상색채를 다차원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바로 여기서 색채가 갖는 치유행위를 설명하는데 있어 영상색채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실적으로, 실제 영상물을 제작하는 부분에 있어서 조화를 이룰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가 가는 상황이지만 앞으로 영상물을 제작하는 실무자들에게 본 연구 분석과 실증 연구가 영상색채 통한 색채치유와 영상매체 기획자들의 연구제작 방향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 이다. Visual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ra is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lives with lots of visual exposure. More than 90% of people watch TV every day and they work with computers. We know this through the facts that people spend most of their leisure time on watching TV and surfing in the Internet. However, there have been scarce of the studies on the side effects of exposures of visual color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watching TV and using computers during our daily lives. Therefore, I assume that visual exposure might be harmful to our health when watching TV and using computers are going to be set one of our routine daily activities. These visual colors give us significant influences to our health, whatever consciousness or not. In addition, I looked into the impact of visual exposure to the health experimentally analyzing how visual color impacts to the health by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colors. Moreover, I analyzed the cases and classified the types of color therapy through review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shed articles. Based upon the analysis of color therapy segments from the published articles, I assessed by each type, developed local strategies of visual color and supposed to approach to the therapies with visual color. Not to be a piecemeal study like the previous ones which focused on watching activities of visual contents, but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visual color, this study had been set two objectives looking at the side effects of visual color; Relatedness of exposure time to visual and preference types of color Impact of visual color to the health (electroencephalogram, EEG analysis) To understand relatedness of exposure time to visual and preference types of color, I defined TV watching time, computer using time, and visual color preference, and classified by these types. What is the impact of visual color to the health? EEG was performed and analyzed by preference of color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visual color were quite influential to the health and brain. To sum up the results, people had their own preference of color and the trend by characteristics. I assume that it may influence to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by the types of visual color and be getting through the cures. This reflect the further needs to study on various aspects of visual color which may be more complicated than our thoughts and influence to the human health. In this regard, I confirmed the usefulness of colors to explain color therapy. Practically, I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at there is certain area not to be compatible when producing visual systems. However, I hope this case analysis to be useful for working level of producers to set the direction of producing visual syste.

      • 방통융합 환경하의 케이블TV 전략에 관한 연구 : 수용자 인지도 결과를 중심으로

        박춘선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6351

        케이블TV는 유료방송시장의 선발진입자로서 위성방송, IPTV 등 다른 유료방송보다 유리한 요소가 있다. 높은 홈패스율과 기존 가입자규모, 시행착오의 경험과 노하우의 축적으로 인해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유료방송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TV가 시장상황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경쟁우위 전략을 구축하지 않으면 선발진입자로서의 경쟁적 우위는 시간이 지날수록 퇴색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선발진입자로서의 경쟁적 우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맞는 전략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방송통신 융합의 실현으로 다양한 이용행태가 예상되며 기존 매체와의 차별성, 케이블T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필요하여 본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용자 인지도 조사에 기초한 디지털케이블TV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케이블TV의 전략은 타 미디어와의 차별화에서 시작되어야 하고 프로그램의 화질이나 음질의 질적 차별화가 구체화되어야 한다. 둘째, 가입자 가계의 경제력을 좌우하는 여성에 대한 디지털케이블TV의 필요성과 차별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디지털케이블TV의 수요층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수용자들은 연령대별,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디지털케이블TV에 기대하고 있었다. 이에, 수용자들이 기대하고 있는 고화질 방송, 전문채널방송, 다채널방송이 실질적으로 내실화된 프로그램 제공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송사의 인적, 물적 인프라의 기반 구축이 요청된다. 넷째, 디지털케이블TV 수신비용을 적절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다섯째, 대내외 경쟁력, 기술력의 우위성 확보, 수용자에 대한 서비스 확보 차원에서 시스템 개선 및 고품격의 콘텐츠 제작에 힘써야 한다. As a pioneer in the paid broadcasting market, cable TV has an advantage more than any other paid broadcasting, like satellite broadcasting or IPTV. Cable TV is relatively more efficient due to a high passage to home, the size of the existing subscribers, an experience in trials and errors and piling up of know how. However, if as competition is increasingly deepening in the paid broadcasting market, a competition predominance strategy which appropriately responds to the change in the market situation is not established, the competition on the merits of the cable TV as a leading penetrator in the market would be degraded over time. Thus, in order to maintain a competitive advantage as a leading penetrator,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ie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era is required. As it is expecte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will result in the diverse use behaviors and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medium and the influence which has on cable TV is needed, I surveyed on this awareness. The digital cable TV strategy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accepters' awareness in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digital cable TV strategy should start with making a difference from other media and the differentiation in the program and sound quality should be also specifically sought. Secondly, the necessity and differentiation for the digital cable TV for the females who comm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subscriber families should be more strongly publicized and by doing so, the demand group for the digital cable TV should be secured. Thirdly, the diverse accepters by age, sex and income level expect the digital cable TV. As a result, the building of the human and physical infrastructure of the broadcasters which the high-definition broadcasting, the specific channel broadcasting and the multi-channel broadcasting which such accepters expect can practically supply those accepters with the substantial programs is required. Fourthly, the subscription fee for the digital cable TV should be reconsidered downwardly so that viewers may watch it at a reasonable price. Fifthly,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the high-quality content production in order to secure the local and foreign competitiveness and the technological edge advantage and provide a service to accepters should be strengthened.

      • 인터넷방송의 이용동기 및 행태에 관한 연구

        정윤선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6351

        본 논문은 인터넷방송의 이용 동기 및 행태에 관한 연구논문으로서 최근 네티즌들의 관심과 더불어 기존 방송, 신문, 라디오에 더해 이제는 당당하게 하나의 주류매체로서 자리 잡은 인터넷방송을 네티즌들은 어떤 동기를 갖고 이용하며, 이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방송을 지상파방송국이 운영하는 인터넷방송과 독립인터넷방송 두 가지로 구분, 각 인터넷방송에 대한 네티즌들의 이용 동기 및 행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독립인터넷방송의 현황과 의미를 확인하고 아울러, 네티즌들의 지상파방송국 운영 인터넷방송과 독립인터넷방송의 이용 동기와 만족도를 문헌자료와 설문조사내용을 근거로 비교분석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why people have access to online broadcasting and how they behave with regard to it and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ir motives for access to the medium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mainstream legitimate mass media among the traditional broadcasting companies, papers and radio stations with the support of netizens and to see how much satisfied the views are. Online broadcasting companies are divided into two classes in this study: the one class includes Internet broadcastings operated by the current traditional broadcasting corporations; the other independent Internet broadcasting companies.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into netizens' access motives and their behavior concerning the two types of Internet broadcasting. The major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esent status and meaning of independent Internet broadcasting is dealt with in the first place; then, access motives and satisfaction degrees of netizens with regard to Internet broadcastings operated by the current traditional broadcasting corporations and independent Internet broadcasting companies are comparatively analyzed making use of various literature and surve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