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레 클래스와 음악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Vaganova method를 중심으로

        김상연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19

        In recent years a great change has come over Korean ballet. People have become much more interested in ballet accompaniment than recorded music, and have realized real ballet-performance is quite more effective than recorded performance for students. This change has resulted from pioneering accompaniment efforts made by Ewha Women’s University, translating many accompaniment books in Korean, and performing joint-researches by musicians and ballet dancers. Despite of these efforts, people’s stereotype for ballet accompaniment has not changed a lot. Basically, for example, a ballet instructor arranges and teaches a dance, and students exercise the dance for every class. Music selection plays very important role for the class as well. Since many ballet classes still use recorded ballet music, the arrangement of the dance must be changed (or fit) to the recorded music. Thus, the ballet classes are ineffectively operated. Moreover, almost every ballet test, audition, performance, etc, are operated by recorded music without ballet accompanists. Nobody has responsibilities for this ineffective situation. However, every musician and ballet dancer should know we have to jump this obstacle for the bright future of Korean ballet dancing. Since ballet accompaniment in Korean lacks research works and education systems of making active ballet accompanists, existing ballet accompanists are not systematically-educated and just play by trial and error. In addition ballet accompanists come to the ballet field without attitude, passion, knowledge, etc.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assumes this ballet accompaniment situation, and gives some solutions for how to study in order to become talented ballet accompanists. Moreover, it represents theoretical backgrounds of music and ballet accompaniment for in-class-ballet-accompaniment and reviews basic knowledge, such as ballet movements and their musical scores, for ballet accompanists, based on the Vaganova Method. Especially, important educational roles of ballet accompanists for freshmen and sophomore levels are as follows; Ballet accompanists should 1. Know minimal sets of ballet theories such as history of ballet, introduction of ballet music, and ballet techniques. 2. Understand French terms for ballet and has steady music performance technique. 3. Know high-level music theories such as tone quality, style, tempo, sentence, range, etc, in order to choose proper music. 4. Try the best to control ballet dancers, only concentrating on their performance, by stimulating dancers’ ears and muscles with inspirational music performance. 5. Progress ballet classes smoothly with right knowledge and trust. 6. Assist the ballet instructor, lacking in music knowledge, to make clear the main movement and the transition movements. 7. Prepare to meet all-levels of ballet dancers, and assist the ballet instructor and students to stimulate their curiosity. Characteristics of the Vaganova Method for freshmen and sophomore levels are as follows; 1. Schools and programs to teach the Vaganova Method should use ballet accompanists, not recorded music such as CD and types. 2. It is the most important for freshmen-levels to understand rhythmical senses. 3. Music for freshmen and sophomore levels should not be variety. But, the accompanist prepares music with various tempos. 4. Music selection by the accompanis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he accompanist teaches students to distinguish music phases, characteristics, rhythms, and strength and weakness. 5. Music selection by the accompanist should be slow since students are still in freshmen and sophomore levels. 6. Students are taught polka in order to feel dance and music together. 7. By letting students bow before and after class to music, students can dance to music during the class. 근래에 와서 한국 무용계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발레 반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녹음된 음악이 아닌 실제 연주에 맞춰 수업하는 것이 얼마나 더 효과적인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무용계 자체의 선각자적인 노력도 있었고 (이화여대 중심의 일련의 반주활동), 무용계 출신의 여러 교수님들의 무용음악에 대한 여러 저서 번역 활동도 이러한 변화의 물꼬를 터놓았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음악계 출신의 무용 음악에 대한 연구와 도전활동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경쟁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발레 반주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바람직하게 바뀌었다고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발레 클래스는 무용교사가 매 수업마다 안무를 짜고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연습하는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되므로 그날의 안무에 따라 적절한 음악의 사용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녹음된 음악에 의해 수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히려 음악에 안무를 맞춰야 하는 비효율적인 발레 클래스가 운영되고 있다. 아울러 모든 무용학과 실기시험과 입학시험, 각종 오디션, 발레공연까지도 반주자 없이 녹음된 음악이 사용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이러한 상황이 우리 무용계만의 책임도 아니고 음악계만의 책임도 아니지만 한국 무용계의 위상을 생각하고 참다운 미래 한국의 무용발전을 지향하는데 크나큰 문제점이라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발레반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업적도 미비하고 활동하는 반주자들 역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배출된 사람들이 적기 때문에 발레 동작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경험없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쌓아온 경험에 의해 반주하는 경우가 허다한 실정이다. 또한 발레 반주자의 자질과 태도, 무용에 대한 열정과 정확한 지식, 무용가를 이해하고 같이 예술작업을 병행한다는 사명감 없이 발레 반주에 뛰어드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어떻게 하면 유능한 발레 반주자가 될 수 있고 어떤 공부를 어떻게 해야 훌륭한 반주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무용과 음악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일별하고 발레 수업 반주의 기본 원리와 무용교육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Vaganova Method에서 우수한 반주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과 발레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각 동작의 특성과 그에 알맞은 악보의 예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아울러 Vaganova Method의 저학년(1~2학년)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반주자의 역할과 음악 사용법에 대한 고찰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①발레 반주자는 최소한의 무용 이론(무용사, 무용음악에 대한 기초이론, 무용 테크닉) 또한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발레의 프랑스 용어를 알고 있어야 되고 고도의 음악적 테크닉이 필요함을 알았다. ②발레반주의 기본원리와 고도의 음악적 기능을 알고 갖추어야 하며 적절한 음악선택을 위해서는 음악의 요소(음질과 스타일, 템포, 악절, 조, 음역, 맥박)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③반주자는 적절하고 다양하며 근육적으로 영감을 주는 음악으로 무용수의 귀를 자극함으로써, 단지 기술에만 집중하려는 무용수의 경향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경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④반주자는 올바른 지식과 신뢰를 갖추고 수업이 부드럽게 잘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⑤반주자는 음악적 지식이 부족한 무용교수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또한 주요 동작과 연결 동작의 리듬을 명확히 하도록 도와야 되는 위치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⑥발레에 대한 애정과 클래스에서의 적극적인 참여로 무용교수의 수업에 도움이 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⑦반주자는 모든 레벨의 무용수들과 접촉할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무용수와 교수들의 음악에 대한 지식고양에 이바지 할 수 있어야 하고 무엇보다 음악에 대한 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Vaganova Method에 있어서 저학년 클래스의 특색은 다음과 같다. 첫째, Vaganova Method를 가르치는 발레 학교에서는 테잎이나 CD가 아닌 반드시 반주자를 사용한다. 즉, 전체 수업이 음악반주자의 반주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1학년 과정에서는 음악적으로는 학생들이 리듬감을 익힐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박자와 템포에 대한 것을 스스로 터득하게 한다. 셋째, 저학년의 음악은 흥미로우면서도 단조로워야 한다. 즉 반주자는 다양한 템포의 음악을 준비하되 학생들의 연령에 맞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악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넷째, 반주자의 음악 선택이 아주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음악을 단지 박자를 보여주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음악 프레이즈를 구분 할 수 있고 음악의 성격,리듬, 강약을 잘 이해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다섯째, 아직 저학년이므로 동작이 느린 만큼 음악도 느린 템포여야 한다. 액센트 없이 리듬감만 느껴지게 연주해야 한다. 여섯째, Center 동작에서 폴카를 배우게 되는데 이는 춤 감각과 음악 감각을 익히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일곱째, 수업 전후의 인사까지도 음악에 맞추게 함으로서 학생들 자신의 모든 동작과 생활을 음악에 맞추게 하고 있다.

      • 피아노 반주자를 위한 성악반주 방법 연구

        배은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전문 성악 반주자가 되려는 반주자들에게 이론적인 자료와 실제 연주에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반주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반주형식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피아노교수법 학자들과 반주학자들이 강조한, 피아노 반주자가 갖추어야 하는 중요한 테크닉들 중에서 템포, 아티큘레이션, 페달, 앙상블, 몸의 움직임, 이 다섯 가지를 선정하여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계된 논의의 핵심적인 개념을 실제 악곡의 반주에 적용하여 효과적인 반주방법을 구안하여 작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훌륭한 반주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음악적 요소, 신체적 요소, 심리적 요소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성악반주 방법에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성악반주에서 템포 처리는 성악가의 호흡, 발음, 가사처리의 한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루바토와 아고긱 등 많은 유연성이 필요하며, 아티큘레이션은 프레이즈와 함께 음악의 호흡이며 생명과도 같은 것이고 미적 감각의 표출을 위한 중요한 방법임을 강조하고 레가토를 연주할 때의 손목의 사용 방법, 슬러와 스타카토가 있을 때의 반주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페달은 피아니스트에게 ‘제2의 손’으로 간주될 정도로 중요하며 음색 창출에 크게 기여한다는 사실을 주지시키고 피아노가 사용되는 음역, 연주홀의 울림, 함께 연주하는 성악가의 파트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예민한 귀를 가지고 페달의 깊이와 길이를 다르게 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반주자가 앙상블에서 가장 먼저 생각할 점은 성악가가 노래를 가장 잘 부를 수 있게 지지하는 것과, 만약 역량이 부족한 성악가라도 반주자가 음악적인 부분을 보충해 주어 전체적인 음악을 성공적으로 연주할 수 있다는 점을 기본으로 하여, 성악가와의 소리의 조화를 위해 왼손과 오른손의 균형, 발음이나 음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강약의 문제 등을 다루었다. 또한 피아니스트의 몸의 움직임은 마음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몸동작이 음악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성악가와의 훌륭한 조화를 위한 열린 소리를 갖기 위해 손가락, 손목, 팔의 사용 방법 등에 관해 연구하였다. 좋은 반주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음악적 요소로는 시와 음악과 딕션에 대한 학습, 고도의 기교와 음악성, 초견 능력과 조옮김, 성악 음성에 대한 전문적 지식 등을 연구하였고, 신체적 요소로는 눈과 성악선율의 일체감, 무대 연주시 발생하는 다양한 일에 대한 대처 능력, 순발력, 악보의 페이지를 넘길 때의 신체 움직임 등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요소에 관해서는 성악가에게 편안함과 자신감 주기, 성악가와의 조화, 파트너쉽, 포용력, 음악적 소양과 성품, 자제력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 시대별 합창음악의 연주관습에 따른 합창반주와 형태에 관한 연구

        유은정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When look into the history of music from the ancient and medieval period when Western music started to contemporary music, we can find that many styles of music were created and improved by the flow to each era. Also, various forms and concepts of accompaniment are introduced in result of improvement in instrumental music from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include vocal and choral music. Although the definition of concept and role of such accompaniment also has been changed by forms of music or era, the general definition of accompaniment is supplement main melody and harmony, along with rhythmical feelings of movement, lead entire music of vocal, choral and instrumental. For the music need the accompaniment, any vocal or instrumental soloist, he/she is very excellent though, unable to create completed performance at all without accompanist who would support and lead the music. Accompaniment alone neither has significant sense, but the authentic concept of accompaniment can be settled when it is harmonized with other player as companion beyond simple supplementary role. To express the music correctly, not only the conductor but the accompanist has to understand and know how the forms of music changed by each era, what is musical characteristic in each era, and how the form of accompaniment has been change as well as musical notes and rhythms on music score. In this dissertation, we looked into the style of choral accompaniment by each era from the baroque period which has been seriously developed for the accompaniment section to contemporary, focused on choral music and its performing practices. Also, we studied for the correct techniques and interpretations of accompanist with simple example by classifying form of choral accompaniment as: form of piano or organ accompaniment played as an actual accompanist, and form of orchestral or a cappella choral pieces that need for practice only instead of performance on the stage. Expect that this dissertation will help for the people who accompanies choral music or wants to be, to understand the feature and techniques of choral music and to play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tention of composers and to musical interpretation pursued by conductor, as choral accompaniment through this understanding. 서양음악이 시작된 고대·중세음악에서 오늘날의 현대음악까지의 역사를 살펴보면 각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음악 양식들이 생겨나고 발전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악 및 합창음악을 비롯하여 다양한 악기의 발달로 인해 많은 기악음악이 발달하면서 이로 인한 다양한 반주형태와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반주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정의(定議)도 시대나 음악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지만 일반적인 반주의 정의는 성악·합창음악이나 기악음악의 주요 선율과 화성을 보충하고 리듬적 생동감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곡 전체를 이끌어 나가는 것을 말한다. 다른 성악음악이나 기악음악은 독창자 또는 독주자와 반주자와의 호흡이 중요한데에 비해 합창반주는 노래하는 단원들과 반주자 이외에 합창단의 소리와 음악을 이끌어 가는 지휘자와의 호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전문 합창단을 비롯하여 여러 형태의 합창단이 많이 있지만 지휘자들의 음악적 해석과 스타일에 따라 합창단의 소리와 음색, 음악적 특징들이 각기 다르다. 하지만 지휘자의 주관적인 해석만으로 본래 작곡자의 의도와는 달리 연주하는 경우도 간혹 볼 수 있다. 지휘자뿐만 아니라 반주자는 악보에 표기된 음표와 리듬을 연주하는 것은 물론 각 시대에 따라 합창음악과 반주의 형태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각 시대의 음악적 특징과 연주 관습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알아야 그 음악을 올바르게 표현해 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합창음악에 있어서 반주가 본격적으로 발전한 바로크시대부터 현대까지 각 시대별 합창음악의 연주관습과 이에 따른 반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합창반주의 형태에 따라 실제 반주자로서 연주하게 되는 피아노나 오르간 반주의 형태, 그리고 연주보다는 연습을 위해 반주가 필요한 오케스트라 반주의 형태와 무반주의 형태로 분류하여 간단한 실례와 그에 따른 반주 기법에 대하여 연구해 보았다. 합창음악을 반주하고 또한 합창단의 반주자가 되기를 원하는 이들에게 각 시대별 합창음악의 특징과 연주 기법 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합창반주자로서 작곡자가 의도한 그리고 지휘자가 추구하는 음악적 해석에 최대한 근접하게 연주하는데에 이 논문이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H.Wolf의 Italienisches Liederbuch의 내용별 분류에 의한 비교 분석 연구

        이혜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볼프(Hugo Wolf 1890-1903)는 이전의 다른 작곡가들이 이룩한 시와 음악의 통합에서 벗어나 더욱 시 자체에 중점을 두고 독일 낭만 가곡을 가장 높은 경지로 끌어올린 19세기의 대표적 작곡가이다. 볼프 가곡의 가장 큰 특징은 시인과 작곡가 그리고 시와 음악이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는 것이다. 볼프는 시 자체에 중점을 두고, 시의 의미를 잘 전달하기위해 성악성부의 낭창법을 사용하였다. 볼프 가곡의 특징은 이런 낭창법에 있는데 선율이 시의 억양을 반영하는 것을 넘어 감정이나 중요한 말에 따라 쉼표, 강약, 템포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가사의 운율에 따라 박자를 맞추기보다 가사의 뜻에 따라 리듬적 발음을 중요시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율을 살펴보면 단순한 화성과, 반음계 등, 반주부와 전혀 다른 선율을 가지고 대위적으로 움직여 시와 전혀 다른 분위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어에 박자를 길게 늘리거나 다양한 악상의 변화는 감정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함이고 이 또한 볼프 음악에 시와 음악을 결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낭창법으로 인해 선율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위해 반주를 발전 시켰다.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피아노 반주로 이루어져 있고 이는 그의 음악에서 시를 표현하기위한 도구이자 그의 음악세계를 표현하기 위함이었다. 화성은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그의 화성과 유사하다. 그는 기능화된 화성을 통하여 감정의 변화를 표현하였고, 불협화음과 반음계의 전조를 자주 사용하였으며 비화성음과 감화음 등을 통해 화려하고 대담함을 볼 수 있다. 리듬은 반복되는 리듬형을 볼 수 있는데 하나의 결정된 리듬형이 지속되거나 혹은 변화 할 경우 원래 리듬에서의 확대나 축소가 되어 사용되었다. 또, 독일어 특유의 운율을 표현하기 위해 리듬의 반복을 사용하였고 이는 시의 전체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주인공의 심리상태나 동작을 표현해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탈리아 가곡집> 1권을 남성 및 여성을 위한 곡으로 분류하고 시의내용에 따라 분류한 내용을 중심으로 각곡의 가사, 형식, 화성, 반주와 성악부의 관계 및 각 내용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음악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연구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의 내용에 따라 교훈, 슬픔, 사랑의 찬미, 화해, 해학적, 고백, 사랑의 염원, 갈등, 기타로 분류하여 보았다. 첫 번째로, 교훈은 1번곡으로 가사에서 작은 것이 더 소중할 수 있다는 것을 서술 하고 있으며 이에 반주 부는 크게 변화 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넓지 않은 음역대를 사용하고 있다. 또, 다이나믹은 가사의 작은 것을 표현하기위해 p와 pp의 악상을사용하여 가사의 내용에 따른 전체적인 곡의 분위기를 음악에서 나타내고 있다. 두 번째로, 슬픔은 2번 ,7번, 20번곡으로 특징으로 모두 minor의 조성을 쓰고 있고 시어를 충실히 전달하기 위해 성악성부의 낭창법을 사용 하였다. 차이점으로는 2번곡과 7번곡은 반주부가 크게 변화 되지 않고 진행 되고 전체적으로 통일된 리듬형을 보이는데 20번곡은 반주부가 노래 부를 주도하여 곡의 분의기를 이끌고 있다. 세 번째로, 사랑의 찬미는 3번, 4번, 17번곡으로 3번곡과 4번은 모두 사랑하는 연인의 아름다움을 과장된 대상에 비유 하고 있다. 또, 3번곡과 17번곡은 모두 분산화음과 아르페지오를 사용하여 반주 부를 풀어 쓰고 있고 4번곡은 가사의 분위기가 신께서 천지창조와 함께 애인을 창조 하셨다는 분위기의 가사로 분산화음이나 아르페지오를 사용하지 않고 옥타브와 강한 화성을 사용 하고 있다. 네 번째로, 화해는 8번, 19번곡으로 모두 E?Major의 같은 조성으로 전체적으로 편안한 리듬형을 가지고 있다. 성악부의 멜로디 라인이 도약이 많지 않고 온화한 선율의 진행을 하고 있으며 변화가 많지 않고 낭창법을 사용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8번은 전체적으로 같은 반주형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19번은 가사의 흐름에 따라 리듬형이 변하고 반주부가 화려하게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섯 번째로, 해학적은 11번, 14번, 15번곡으로 이탈리아 가곡집의 다른 곡들에 비해 가장 변화가 많이 일어난다. 11번은 F Major 14번은 D Major 15번은F Major 로 조성은 같지 않지만 모두 Major 로 되어있다. 또 전주부에 곡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배경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갑작스럽게 나오는 악센트와 붓점, 음들의 갑작스런 도약이나 트릴, sf을 통해 곡의 과장된 표현들을 볼 수 있다. 여섯 번째로, 원망은 13번곡으로 성악부와 반주부가 서로 반진행하면서 곡이 주고받는 대화식 형식으로 되어져있다. 또 다이나믹의 고조가 짧은 시간에 많이 일어나고 있고 급격하게 화가 일어나는 것 같이 가사에서 오는 강도를 반주부에서 급격한 다이나믹의 변화로 균형을 ?춰 주고 있다. 일곱 번째로, 고백은 18번, 22번곡으로 남성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일관된 리듬형을 유지 하고 있고 박자는 12/8, 3/8으로 3박자의 흐름을 가지고 있어서 반주부가 완만한 흥분된 곡의 분위기를 조성한다. 가사의 변형에 따라 박자를 길게 늘여 놓았고 반주부와 선율적 흐름이 가사에 따라 독특한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 여덟 번째로, 사랑의 염원은 16번, 21번곡으로 두곡 모두 반주부에 모티브적인 리듬의 반복 사용을 함으로서 염원하는 마음을 더욱더 간절히 표현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16번곡은 도입부와 후주부가 통일성을 이루고 있는데 21번곡은 곡의 도입부에서는 변형됨으로써 곡의 분위기가 극적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아홉 번째로, 갈등은 6번, 10번, 12번곡으로 갈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곡의 중간 중간에 붓점 리듬이나 셋잇단음표를 사용 하고 있는데 6번곡은 다른 두곡의 비해 붓점을 강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고 급격한 음의 도약이나 sf로 갈등을 표현 하고 있다. 앞서 해학적인 곡들과 마찬가지로 곡의 다이나믹의 대조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차이점으로는 10과 12번은 노래와 반주부가 같이 가고 있는데 6번곡은 반주부와 노래부분이 빗겨가고 있다. 열 번째로, 기타로 분류하여 5번곡과 9번곡으로 5번곡은 사랑에 번뇌에 관한 내용으로 반어법적 표현을 사용하였고 이에 분위기가 너무 무겁지 않게 흘러 갈수 있도록 반주부에서 계속적인 legato를 사용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9번곡은 가사에 종교적인 뉘앙스를 나타내고 있고 가정법을 사용하여 표현 하고 있다. 반주부의 오른손은 지속적인 연타를 볼 수 있는데 이는 가사의 내용에 따라 두 부분으로 나뉘어 가정법을 사용한 부분에는 쉼표를 사용하고 있고 선포되는 내용에는 쉼표 없이 연속적 연타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대부분 서로 다른 곡이지만 조성, 다이나믹, 리듬, 성악부의 낭창법사용, 템포 등이 볼프의 전체적인 작곡기법 안에서 곡의 분위기와 작곡성향이 같은 내용을 가지므로 서로 비슷하게 작곡되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볼프의 가곡을 연주 할 때에 먼저 시의 내용을 충분히 분석하고 이해하는 단계를 거친 후 작곡가의 의도대로 곡의 분위기와 시의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해야 하겠고 <이탈리아 가곡집>의 연구를 통해 볼프의 음악 양식이 가장 잘 압축되어 작곡 되었고 그의 음악적 세련미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며 각각 다른 곡이지만 가사와 음악이 내용별로 분류 했을 때 반주형에 있어 비슷하게 작곡되어진 유사점을 통하여 볼프만의 독특한 작곡 기법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 발레 클래스 반주를 위한 찬송가 편곡 : 바 웍(bar work)을 중심으로

        박슬기 성신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먼저 발레 클래스를 위한 발레 반주의 개념과 특성을 발레의 역사와 발레 반주의 발전과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이탈리아에서 태동한 발레는 프랑스에서 성장하고 러시아에서 꽃을 피우게 된다. 발레 무용이 사교 무용에서 전문적인 공연예술로 발전함에 따라 정식 발레 학교가 설립되었고, 발레 클래스 역시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반주악기의 변화와 함께 발전하였다. 발레에서 무용수의 기술적, 예술적 성장을 위한 훈련시간으로 마스터와 함께 발레 클래스를 진행하게 된다. 발레 클래스의 무용동작에서 나타나는 반복되는 리듬과 박자의 구성으로 현장에서 연주되는 음악이 발레 클래스 반주음악이다. 이러한 반주음악은 즉흥연주를 기본으로 클래식 음악, 발레작품 음악 등을 주로 사용하며, 반주자에 따라 반주음악의 레퍼토리 확장을 위해 대중음악, 민요 등의 리듬을 이용해 발레 클래스에 적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발레 클래스 반주음악 레퍼토리 확장의 일환으로 연구자는 발레 클래스를 위한 반주음악의 역사, 반주곡의 특성, 반주음악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반주음악과 발레동작의 상호관계 등을 살펴보고 교회음악 중 찬송가의 발레 클래스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연구 하였다. 그 결과 500여 곡이 넘는 다양한 곡과 단조롭고 쉬운 선율의 찬송가는 발레 클래스에 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레퍼토리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레퍼토리 확장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바 웍의 각 발레 동작에 필요한 찬송가 편곡 반주음악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찬송가가 발레 반주음악으로 편곡하기에 쉬운 구조로 되어 있고, 화성적 부분에서는 찬송가는 주로 주요 3화음인 I, IV, V만을 사용한 기본적인 화성진행으로 악곡이 구성되어 있으나 편곡의 과정에서 부속화음이나 변성화음을 사용하거나 주선율에 반음계적 비화성음 등을 사용함으로써 발레의 특정 동작을 강조할 수 있었다. 또한 음악에 색채적 변화를 주어 발레 동작 표현에 도움을 주거나, 프레이즈의 끝맺음을 강조하는 등의 효과를 낼 수 있어 발레 동작과 음악의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할 수 있음을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Ballet classes are held as training session for technical and artistic growth of dancers with accompanist and master. The music played with the composition of repeating rhythms and beats in dance movement is accompaniment music of the ballet class. An accompanist who plays ballet music in a ballet class needs to secure various musical repertoires. The accompanist mainly uses classical music and ballet music based on improvisation. And they also apply various musics such as popular music and folk songs to expand their repertoire in the ballet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using hymns as accompaniment music in ballet classes. On the basi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accompaniment music and ballet movement, this study were able to arrange hymn music for the ballet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below. First, the repertoire of accompaniment music can be expanded by using the hymns of numerous songs. Second, hymns have advantage of raising artistic inspir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hymns can be used as accompaniment music to dance in ballet classes. As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hymn to secure the diversity of ballet accompaniment music can be used as accompaniment music in the ballet class.

      • Gustav Mahler의 연가곡 『Lieder eines fahrenden Gesellen』 반주 연구

        고가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말러(Custav Mahler, 1860~1911)는 신고전주의와 후기낭만주의가 공존하던 시대의 작곡가로 전 시대의 고전주의를 흡수한 상태에서 낭만파의 새로운 경향인 후기 낭만파의 진보적 개혁정신의 선두에 서 있던 작곡가이다. 말러는 그의 교향곡 대부분을 성악과 관련시켜 작곡하였으며, 교향곡의 소재를 시나 노래의 주제에서 이끌어냈다. 말러 가곡의 작곡기법은 보수적인 경향의 가사와 멜로디, 진보적인 경향의 반주부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그는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의 영향을 받아 시와 언어 등의 표현을 위해 반음계나 불협화적인 어법을 많이 사용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무조음악(atonal music), 12음기법(tweive-tone music) 등의 조성의 붕괴를 예고한 듯 하다. 자전적 내용의 자작시로 쓰여진 말러의 연가곡『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Lieder eines fahrenden Gesellen)』는 전 4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곡은 민속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가사의 내용과 곡의 형식이 부합되는 장조와 단조를 자유롭게 혼용하였으며, 반음계적 선율로 애통하고 슬픈 감정을 표현하였다. 반주부에서 비화성음을 적절히 이용하고, 불협화음의 병행을 통한 대담한 화성진행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이 곡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피아노 반주만이 아니라 관현악 반주도 만든 점인데, 말러는 관현악 반주를 사용하여 실연당한 젊은이의 마음을 더욱 극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는 이러한 관현악과 가곡의 조화를 통하여 보다 폭 넓은 표현력으로 독일 가곡의 서정성을 성공적으로 구사하였고, 독일 가곡의 새로운 경지를 보여 주었다. 말러의 음악은 보수적인 성격과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진보적인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후기낭만주의 음악과 근대음악을 연결해주는 교량적인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말러의 자서전적 작품으로 볼 수 있는 『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를 연구과제로 채택, 말러의 생애와 작품배경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시의 원문 번역은 직역위주로 하였다. 세부적인 화성분석은 배제하고 곡의 기본 형식과 구조 및 가사의 내용에 입각한 반주부의 연주기법과 역할, 또한 피아노 반주와 오케스트라 반주를 비교하여 성악성부의 조화와 연관성을 중심으로 논제를 이끌어 가고 있다. Gustav Mahler (1860~1911) was a composer in the times when later romanticism coexisted with neoclassicism, and stood on the frontier of the progressive and innovative minds of the latter period romantic school that was a new trend of the romantic school which had absorbed previous classicism. The majority of his symphonies were composed being related to vocal music, and he obtained symphonic materials from the subjects of poems and songs.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songs written by Mahler can be explained by obstinate words and melodies, and progressive accompaniments. In addition, he was affected by Wagner to use chromatic scales or cacophonies to express poems and languages. These trends resulted in the collapse of formation such as atonal music, 12 note techniques. The love song of Mahler, the song of lost young people (Lieder eines fahrenden Gesellen), written with his own poem having autobiographic content consists of four pieces. This song was based on folklore elements, freely used major keys and minor keys matching with the content of its words and the format of the song, and expressed sorrow and sad feelings with a chromatic melody. It used non-harmonic sounds in accompaniment parts, and positively accepted bold harmonic progress with the parallelism of cacophony. The most remarkable point in this music is that it includes orchestral accompaniments as well as piano accompaniments. Mahler expressed the mind of brokenhearted young people more dramatically by using orchestral accompaniments. He successfully used the lyricism of German songs with wider expressions through the harmony of this orchestral music and songs, and showed a new area of German songs. The music of Mahler had both obstinate characters and progressive characters always pursuing new things, and did the role of the bridge that connected modern music to later romantic music.

      • L.Minkus의 Don-Quixote음악을 응용한 발레클래스 반주법 연구

        강혜경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문에 있어서 무용예술은 공연예술의 특질적 성격으로 인하여 그동안 무용학 연구에 대한 무용가들의 의식이 약간은 소홀히 한 경향이 없지 않았으나 현재는 10여개의 학회지를 비롯하여 무용학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한 학문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미래의 무용학 연구는 무용이 다방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좋은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무용과 음악과의 불가분한 상호보완적 관계는 매우 중요한 문제임에 틀림이 없다. 특히, 발레분야에서 과거 우수한 기량에도 불구하고 국제 콩쿨에서 음악적 문제로 좌절한 경험이 허다하였으나 현재는 발레 반주자의 발레반주에 맞추어 발레 클래스를 행함으로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음악에 관한 이해성을 높임으로서 발레 반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여러 가지 발레계의 발전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발레에 있어서 음악의 역할, 상관관계 내지는 상호작용을 통한 음악적 이해의 상승효과 및 발레의 미적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음악 특히 발레 반주의 역할에 대하여 가장 성격적 음악이 잘 나타나있는 ‘돈키호테’를 통해 발레클래스 반주음악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특히, 발레 반주에 있어서 발레의 특성을 고려한 반주가 어떻게 발레 무용수들에게 도움을 주고 동작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음악적 역할과 그 동작에 맞는 멜로디 연구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The study of dance is comparatively lower than others, as a point of the dance is an actual performance art. Also, the study of dance is comparatively lower than other art fields. Because, in a school education dance was treated as a extremely small part of physical education. But, recently the study of dance progress quite actively and almost 20 unit of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re studying dance in academic degree course. So as an aspect of quantity the study of dance have a bright prospect. And, contrary to this low quantity of study and bright prospect of dance, dance music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thing to the dancer. In a dance performance, the dance always cooperated with music and a famous dance work always cooperated with famous music. But, a guide for the researching, teaching and studying of dance music is too insufficient. Until just a few years ago, middle & high schools, dance institutes and colleges are doing their dance class without dance music accompanist, except for a minimum number of dance college. And they also neglect the study of dance music. Recently, by the rising of interest in dance music, using a dance music accompanist in a dance class of art middle & high school and college are generalized. This treatise understan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ance music, interrelation between dance and music, and the role and concept of accompaniment in ballet class to know dance music and ballet accompaniment. Specially, analyze the 'Don-Quixote', which is a work of L.Minkus, and study the interrelation between ballet movement and music in Don-Quixote. The conclusion as like below. First, to recreate the accompaniment as a synthetic art, we have to synchronize the music with ballet by underst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allet music and systematize the theory. Second, in the interrelation between ballet and music, ballet movement and music have to be in equal position not in subordinate position. And I could know that the music shown by the dancer's movement, unlike a simple CD music. Third, I could know that the basic movement and step of ballet are in intimate relation with the basic principal of music. Fourth, I could know that by inspect the accompaniment, which adapt ballet work, closely we can know about the work profoundly and more smooth class could be progressed by adapting familiar music to class accompaniment.

      • Gustav Mahler의 'Kindertotenlieder' 반주연구

        신지윤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19세기 후반, 독일 후기 낭만주의 시대의 작곡가이자 유능한 지휘자였던 구스타프 말러는 9개의 교향곡과 40여곡이 넘는 가곡을 작곡하였다. 그의 지휘자로서의 이력은 그의 음악에 다양한 관현악적 색채를 부여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것은 예술가곡의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Kindertotenlieder>는 1900년대 초, 오스트리아 빈(Wien)에서 지휘자로서 왕성한 활동을 하던 시기, 그의 5, 6, 7번 교향곡과 함께 작곡된 5개의 연가곡으로 성악과 관현악 반주를 위하여 쓰여졌다. 이전 시기 그의 교향곡과 가곡의 기초가 되어오던 민요시인 「Des Knaben Wunderhorn」에서 벗어나 서정적인 Rückert의 시에 심취함으로서 탄생하게 된 작품이며, 시에서 나타나는 빛과 어두움의 대비를 관현악 악기들의 다양한 음색과 주법을 통해 명확히 표현하고 있다. 또한 초기 작곡시절부터 자신의 철학과 사상의 이상적인 표현을 위하여 교향곡에 시와 문학을 도입하던 말러에게 가곡과 관현악 반주의 결합은 필연적인 것으로서, 그 결과물인 <Kindertotenlieder>에서 보이는 관현악 반주의 도입은 후에 교향곡과 가곡적 특징을 지닌 작품인 <대지의 노래>의 탄생을 예고하는 과도기적 작품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본 논문은 <Kindertotenlieder>에 사용된 시의 해석과 관현악 편성을 통하여 연주시 중요하게 다뤄야 할 특징적인 부분에 대하여 이해하는 과정으로, 말러의 교향곡에서 보이는 악기들의 상징과 주법에 기초하여 이 연가곡 속에서 시의 의미를 어떤 방법으로 구체화 시키며, 더 나아가 피아노로 연주시에 시의 표현과 말러의 의도를 구체화 시키는 바람직한 반주의 방향을 고찰하고 있다. At the end of 19th century, a late-romantic German composer/ conductor Gustav Mahler wrote his 9 symphonies along with over 40 art songs. Mahler’s aptitude as a gifted conductor enabled him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depth of orchestral color, and this musical sense affected greatly in his song writing. Kindertotenlieder was composed in the early 1900’s in which time Mahler was actively working as a conductor in Wien, Austria. This work is a collection of 5 songs written for voice and orchestral accompaniment. It was written simultaneously with his symphonies 5, 6, and 7 at the time. Kindertotnelieder breaks out of Mahler’s former use of German folk poems Des Knaben Wunderhorn, and instead takes on Rückert’s lyrical poems. Through the contrasting musical colors of orchestral instruments, Mahler was able to express the darkness and lightness of things described in Rückert’s poetry. Since the very beginning of Mahler’s career as a composer, he blended poetry and literature into his symphonies to express his upmost philosophy and ideals in music. Kindertotenlieder exemplified Mahler’s novel craftsmanship in the blending of poetry and orchestra. This music signified as transitional music in which later resulted yet another masterpiece like Das Lied von der Erde. In this paper, I intend to analyze the poetry and orchestration of Kindertotenlieder to lay out their significant relationship. I will look into providing performance guidance of this piece by looking into Mahler’s use of instruments in his symphonies to see how they are mirrored in Kindertotenlider. Lastly, this paper will also discuss what needs to be carefully thought-out when performing with piano accompaniment.

      • Gustav Mahler의 가곡 「Funf Lieder nach Gedichten von Ruckert」의 피아노 반주 연구

        이경미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후기 낭만파에서 근대에 이르는 과도기의 작곡가로서 후기 낭만주의를 근대음악으로 이끈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 1860~1911)의 「뤼케르트에 의한 5개의 노래(Funf Lieder nach Gedichten von Ruckert)」에 관한 연구이다. 다섯 곡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내용상 각각 연관성은 없지만 작곡 연대가 1901~1902년에 집중되어 있고 모두 서정시에 곡을 붙인 공통된 성격을 갖고 있으며 1905년에 「죽은 북치기(Revelge, 1889)」와 「소년 북치기(Der Tamboursg' sell, 1901)」두 곡을 포함하여 <후기의 일곱 곡의 가곡(Sieben Lieder aus letzter Zeit)>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제 2곡을 제외한 나머지 네 곡은 1905년 1월 29일 Wien의 작은 방에서 "관현악과 함께 하는 가곡의 밤(Lieder Abends mit Orchester)"이라는 이름으로 초연되었으며, 당시 「Ich atmet’ einen linden Duft」→「Blicke mir nicht in die lieder」→「Ich bin der welt abhanden gekommen」→「Um Mitternacht」순으로 연주되었음을 참고하여 그 순서대로 본 논문에 게재하였다. 첫 번째 곡 「Ich atmet’ einen linden Duft」는 사랑하는 이에게 선물 받은 보리수 가지의 은은한 향기를 맡으며 사랑을 느끼는 주인공의 심경을 노래하는 곡이며, 두 번째 곡 「Liebst du um Schonheit」는 부인 알마(Alma Mahler : 1879~1964)에게 헌정한 사랑 노래로서 사랑을 아름다움, 젊음, 보물에 빗대어 아무 조건 없이 사랑만을 위한 사랑을 해달라는 노래, 세 번째 곡「Blicke mir nicht in die lieder」는 벌들이 벌집을 만들고 있을 때 엿보는 것을 싫어하는 것에 비유하여 자신이 작곡 중인 노래를 완성하기 전까지 미리 엿보지 말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네 번째 곡 「Ich bin der welt abhanden gekommen」은 혼란스런 세상에서 멀리 떠나 자신만이 안식할 수 있는 평화 속에서 살고자 하는 말러의 심정을 담고 있으며, 다섯 번째 곡 「Um Mitternacht」는 한 밤 중에 깊은 번뇌에 사로잡힌 시인의 불안한 심정을 절실하게 표현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자신의 무력함을 깨닫고 모든 것을 신(神)께 의탁하여 비로소 얻게 되는 깨달음과 안도의 환희를 엄숙하게 노래한다. 말러는 가곡의 반주 매체를 피아노에서 관현악으로 바꾸어 종래의 예술 가곡과는 다른 규모의 음악을 선보였으며 19세기 가곡의 본질을 바꾸었다.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 : 1813~1883)의 발자취를 따르는 말러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 1864~1949)는 세기의 전환기에 가장 저명한 관현악 지휘자였고, 관현악 편곡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매우 자연스럽게 가곡을 관현악으로 편곡하였고 실내악적인 규모보다 관현악의 다채로운 사운드와 음색에 적합한 웅장한 스타일로 작곡을 했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의 심층 작곡 기법적인 측면을 분석하기보다 가사의 내용을 토대로 피아노 반주의 역할 및 적절한 표현 방식을 관현악 반주 악보와 함께 비교해 보는 데 역점을 두었다. 각각의 곡은 말러 자신에 의한 피아노 반주 악보와 관현악 반주 악보가 공존하지만 두 번째 곡 「Liebst du um Schonheit」만은 1916년 막스 푸트만(Max Puttmann : 1864~1935)에 의해 후에 관현악으로 편곡되었음을 주지하여 제 1, 3, 4, 5곡은 관현악 반주 악보를 먼저 게재한 후 피아노 악보를 게재하여 관현악적 색채를 토대로 한 시와 피아노 음색 연구에 집중하여 분석하였고 제 2곡은 말러 자신에 의한 관현악 편곡이 아니므로 관현악 악보는 게재하지 않았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은 피아노 원곡인 제 2곡을 제외한 제 1, 3, 4, 5곡을 피아노 반주로 연주 할 때에는 시(가사)에 대한 철저한 분석뿐만 아니라 관현악적 다양한 색채를 피아노의 입체적 표현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심도 깊은 연구와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함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This is a Study on the Accompaniment of 「Funf Lieder nach Gedichten von Ruckert」by Gustav Mahler, who led the transition between the late romantic period to modern period in music history. Each of the five pieces of 「Funf Lieder nach Gedichten von Ruckert」is not related with the contents but the years of composition are all focused in 1901~1902 and they are all composed for lyric poetries in common. In 1905, those songs were published under the name of 「Sieben Lieder aus letzter Zeit」 including these two songs, 「Revelge(1889)」 and「Der Tamboursg′s sell (1901)」. Except the second song,「Liebst du um Schonheit」all the other four songs were first performed in a small room in Wien under the name of "Lieder Abends mit Orchester" and this thesis was written by the order of the first performance,「Ich atmet’ einen linden Duft」→「Blicke mir nicht in die lieder」→「Ich bin der welt abhanden gekommen」→「Um Mitternacht」. The「Ich atmet’ einen linden Duft」is a piece that sings the mind of main character, who are smelling the subtle perfume of a linden branch given by the one's lover. The second piece, 「Liebst du um Schonheit」is a love song dedicated to Mahler′s wife Alma(Alma Mahler : 1879~1964). In this song, the love is insinuated as a beauty, youth, treasure asking to love him without any terms. The third piece, 「Blicke mir nicht in die lieder」is a story insinuated to bees hating one who steals a glace when they are not completed building their beehives and Mahler is warning people not to steal a glance before he finishes writing his songs. Also the fourth piece,「Ich bin der welt abhanden gekommen」represents the Mahler's mind of wanting to live in a peace where he can rest besides the complicated world and the fifth piece,「Um Mitternacht」keenly describes the poet's deep anguish which leads him to anxious feeling in the midnight, then at the conclusion, he finally percieves a truth of his powerlessness and give his all souls to god then solemnly sings for the realization and the joy of relief he has gained. By substituting piano to orchestra as accompanying instrument, Mahler had changed the essence and the size of the art songs of the 19th century. Following the trace of Wagner(Wilhelm Richard Wagner : 1813~1883), Mahler and Richard Strauss(1864~1949) were the most prominent conductors of the transition of 19th and 20th century and they both were gifted for orchestration, so that they naturally could make various sound and appropriate timbre for the orchestra. This thesis mostly compared the role of the piano and orchestra by using the plot of the lyrics rather than the discussing on the depth of the technic of composing. Each of five songs has Mahler′s own piano accompaniment as well as the orchestra accompaniment, except the second piece, 「Liebst du um Schonheit」 known as orchestrated later by Max Puttmann(1864~1935) so thus the first, third, fourth and fifth songs are shown the orchestral accompaniment first and then piano accompaniment follows in this thesis. Also the thesis concentrated on the tone colour of piano based on the text. As the second piece doesn′t have Mahler's own orchestral edition, it is shown the piano accompaniment on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wo versions of the accompaniments of the songs, except the second piece which is only written for piano, I found out that not only the anlysis of the lyrics, but also lots of efforts and study are needed for pianists to convert the orchestral colour to the dimesional expression on piano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