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계열대학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취업준비에 미치는 영향 : 2년제 대학, 4년제대학교를 중심으로

        김지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미용계열학과 재학생의 전공 교육과정 만족도가 취업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의 2년제 대학 재학생 208명과 4년제 대학교 재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계열 학과 선택의 기준은 2년제 대학의 경우 지역적인 이유, 성적 위주, 4년제 대학교의 경우 학교 위주, 성적 위주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공학습 시 중요도는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교에 관계없이 미용 실기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을 경험한 경우는 2년제 대학 36.1%, 4년제 대학교 22.0%로 2년제 대학의 현장 실습 경험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현장 실습 경험자의 현장 실습 횟수는 2년제 4년제 모두 1회, 실습기간은 4주 이상 8주 미만이 가장 많았다. 1일 평균 전공과목의 개인적인 실기 연습은 2년제 대학 28.4%, 4년제 대학교 28.3%가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일 평균 실기 연습 시간은 2년제 대학의 경우 1시간이 54.2%, 2시간 20.3% 순으로 많았으며, 4년제 대학교의 경우 2시간 41.3%, 1시간 22명 34.9% 순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 관련 학원 수강은 2년제 대학 56.7%, 4년제 대학교 51.8%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자 중 학원 수강 분야를 살펴본 결과 대학구분없이 헤어분야, 피부분야, 메이크업분야, 네일분야 순으로 학원수강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계열학과의 대학유형별 교육과정은 2년제 대학 66.3%, 4년제 대학교 84.8%가 차이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전공별 심화 여부가 가장 큰 차이라고 응답하였다. 미용계열학과 수업의 강의 및 교육 환경 만족도는 교강사 및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실기 및 행정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용계열학과 수업의 강의 및 교육환경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2년제 대학에 비하여 4년제 대학교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전공별로는 피부전공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전공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에 관한 인식도 중 대학 유형에 관계없이 전공실기 교육, 자격증 취득, 미용 분야 경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 정보를 얻는 경로는 2년제 대학의 경우 본인 스스로 35.1%, 선배 및 주변인의 추천 18.8%, 4년제 대학교의 경우 본인 스스로 29.1%, 학과를 통하여(학과 취업 정보 시스템) 27.4%로 나타나 대학 유형별 차이를 보였다. 졸업 후 진로에 대하여 대학 유형에 관계없이 미용업 종사자, 미용 관련 기업(화장품 회사, 연구소 등)이 가장 많았으며, 취업 시 중요 요인에 대하여 2년제 대학은 연봉, 장래 전망, 복리 후생, 4년제 대학교는 장래 전망, 연봉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취업 시 초임 연봉에 대하여 2년제 대학은 1,001만원 이상 2,000만원 미만, 4년제 대학교는 2,001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을 희망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2년제 대학 67.8%, 4년제 대학교 83.9%가 취업 준비 시 학력 차이가 있다고 하였으며, 취업 관련 이유로는 다양한 취업 기회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계열학과 재학생의 구직 효능감은 구직 목표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 정보 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용계열학과 재학생의 구직효능감의 하위요인은 모두 2년제 대학에 비하여 4년제 대학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구직활동의 적극성’의 경우 피부전공이 높았고, 네일전공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직 목표’는 네일전공이 높았고, 메이크업전공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 정보 관리’는 헤어전공이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전공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전공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계열학과 재학생이 전공 교육과정 만족도에 따른 취업 준비는 대학 유형과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유형별 교육과정 정립과 취업에 대한 준비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공감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예림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55

        현재 급변하는 사회에 대처하는 우수한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미용 산업의 교육환경에서 질 높은 교육이 요구된다. 이러한 교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핵심역량이 필요하며 대학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국내 대학의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14일부터 4월 17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총 448부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의 하위요인 중 협업역량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나 미용 전공 대학생의 역할 파악과 자료 공유 및 협력하는 팀워크 능력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미용 전공 대학생의 인지적 공감과 자신감 수준이 높게 나타나 미용 전공 대학생이 지적인 추리와 상상력이 풍부하고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협업역량 수준이 탁월한 경우 공감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협업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 전공 대학생의 협업역량 및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협력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학습 활동, 의견 전달 및 수용 능력 고취가 가능한 교육, 상대방의 입장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도와주는 교육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하다. 셋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문역량 수준이 탁월하거나, 전문역량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전문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문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전공 지식 습득 및 이해를 촉진시키고 자기주도 및 자기관리 방법을 지도할 수 있는 미용 교육과정의 개발, 전공별 다양한 교내 대회 개최,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과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 발견을 위한 노력 및 자신의 정서·행동 통제를 할 수 있는 교과 활동 프로그램 고안이 필요하다. 넷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중 시민의식 높을수록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봉사 실천 및 희생적 태도가 좋은 학생일수록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용 전공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는 공동체에 봉사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사회적 민감성을 이해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중 협업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미용과가 있는 대학교에서는 협업역량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고안과 교육과정 개편을 통하여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se day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to nurture professionals in the beauty industr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uch education, core competence is essential. Therefore, colleges must provide curriculum aimed at improving core competenci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from March 14 to April 17, 2023. A total of 448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teamwork’ was the highest. In other words, teamwork skills needed for defining their roles, data sharing, and collaboration were high. In addition, since cognitive empathy and confidence were high, the students’ trust in problem-solving ability is high with intellectual reasoning and rich imagination. Second, as the level of teamwork was high, empathy was the greatest. In other words, as empathy was higher, teamwork increased accordingly. Therefore, to enhance such teamwork and empathy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it is necessary to launch a training program aiming to provide learning activities and opinions and enhance the acceptance ability for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to understand others’ stances and emotions. Third, as the level of professional competence was higher, problem-solving ability increased, and vice versa. To enhance such professional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required to develop curriculum which can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ir major and learn self-administration and self-control methods, host various competitions by academic major and make efforts to define and improve problem-solving issues.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control their emotions and behavior is also necessary. Fourth, as citizenship improved, empathy increased. In other words, as volunteer and sacrificial attitudes increased with interest in social issues, empathy was also higher.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ty and provid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ocial sensitivity to improve the students’ empathy and citizenship.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teamwork is a key element among core competencies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Therefore, colleges are anticipated to develop and provide a teamwork-related curriculum and help students build their core competencies.

      •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교과과정 연구

        박희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sev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have cosmetology education, and classified the curriculums of cosmetology into subject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 for a research of specialized curriculum of the cosmetology in inchoat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n, the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portion and organization about subject education, which is the core of the curriculum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schools. Also, in the research, 88 cosmetology-majored graduat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for knowing their opinions on the topic of this research. As a result of analysis of curriculums and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th cosmetology education is seven, attended by around 180 students, and most of the schools had a remarkably low proportion of subject education. In the survey, the students ranked lack of full-time professors top of the proble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y viewed fostering would-be teachers as a positiv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schools. In addition, they were found to be dissatisfied with major subjects for the reason that those are little help for a practical cosmetology teacher and to hope for opening subjects about a study of teaching method which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a school. The students were considering the entire subjects weighted to skin and hair field, hardly making a big help for the qualification test for appointment of school teacher.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this thesis proposes several improvements of the curriculum of cosmetology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bove all, subject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 have to be operated in balance for developing systematic teaching method that can connect teachers to the practical site of a school, and full-time professors cosmetology education are required for operating specialized educational programs that fits the characteristic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lso, more lectures should reflect the demands of current staff or hand-on workers, and additional major subjects need to be opened for helping students to have access to broader range of subjects and gain the opportunity of educational experienc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open subjects about the appointment test in the curriculum for the connection with the test. As the cosmetology education is at the starting point and lacks precedent thesis, more researches in wider and multilateral dimension are expected for long-term development of the cosmetology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본 연구는 이제 막 시작단계인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만의 특성화된 교과과정의 연구를 위해 미용교육전공이 있는 7개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교육목표에 대해 알아보고 미용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과교육학에 대해 각 학교별로 비율과 교과목 구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내용에 대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재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4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재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교과과정 조사와 설문조사결과로 현재 미용교육전공이 개설된 교육대학원은 총 7개 약 180여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고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과교육학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았다. 설문결과 재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가장 큰 문제점을 전임교수의 부족으로 꼽았고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방향은 교원양성기관으로서 예비교사 양성으로 보았다. 전공영역 교과목은 실제 미용교사로서 필요한 과목이 아니라는 이유로 불만족스러워했고 교과교육영역에서는 학교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교수방법론 과목을 개설하기를 희망했다. 재학생들은 전체적인 교과목이 헤어와 피부에 편중되고 임용시험에는 많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교과과정 개선을 위해 몇 가지 제안하려고 한다. 우선 교사들이 학교현장과 연계되며 체계적인 교수법 개발을 하기 위해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이 균형 있게 운영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원의 성격에 맞는 전문적이고 특화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미용교육전공의 교수(강사)진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현직교원이나 현장실무자와 같은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야하며 학생들이 보다 폭넓은 교과목을 접하고 그로 인해 교육 경험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전공교과목을 추가로 개설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있어서 임용고사와의 연계성을 위해 임용관련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다. 미용교육전공이 아직 시작단계이고 선행논문이 없어 앞으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에서 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2년제 미용대학 전공세분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 학과 명칭에 따라서

        이정선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55

        국문초록 2년제 미용대학 전공세분화 따른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 학과 명칭에 따라서- 이정선 지도교수 : 김춘득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현대사회는 연구와 교육을 통한 지식을 창의적으로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이 요구되는 사회이다. 다양성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사회적 흐름에 따라 전문화된 인적자원을 양성하고 지식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학 교육은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대학 교육의 질과 방향을 결정하는 교육과정은 대학 교육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핵심요소로 다양한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전공이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어야한다. 교육학적인 측면에서의 미용은 예술과 철학, 과학으로 구성된 실용 예술 학문 분야로 이론적 지식 축적과 기능 습득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미용대학의 교육은 ‘전문미용인력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따라 현장중심의 교육체제 도입과 교수법의 개발, 미용교육교재의 개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개선 및 전공세분화의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교육기회의 급속한 팽창과 대학 교육의 대중화 등으로 2년제 미용관련 대학 역시 양적인 증가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제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개설, 운영되는 2년제 미용관련 대학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운영 및 교과목의 편성이 잘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체계적인 발전과 효율적인 교과과정 운영을 위해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에 적합한 교육목표 제시 및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서 학과현황과 교육목표, 교과목 등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2년제 미용관련 대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교육부에서 인가 받은 미용관련학과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전국의 미용관련학과를 설치한 2년제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기간은 2013년 1월 15일~2013년 2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와 내용의 결과를 토대로 빈도(N)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 미용대학교 미용관련학과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과 명칭은 뷰티 디자인(아트)과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미용관련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대학에서는 전공을 헤어와 피부로 세분화하여 분리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계열과 학부로 명칭을 변경하여 그 안에서 전공을 분리하여 학과 명칭을 사용하는 대학교의 수가 최근 들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그 수는 아직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분포현황은 4년제 대학교는 지방에 많이 개설되어 있지만 2년제 대학교는 수도권지역에 많이 편중되어 개설되어 있다. 계열별 학과현황은 보건계열과 자연ㆍ과학계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교육목표는 고등교육법에 제시한 목적과 맞게 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계열에 따른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계열의 특징에 맞는 교육목표를 제시하기 보다는 고등교육법에 제시한 교육목적에 중점을 둔 교육목표를 가장 많이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전공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 피부교과는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 36%, 메이크업교과 15%, 네일교과 6%순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피부와 헤어교과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일부학과 의 경우 전공교과목에만 편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특히 메이크업교과와 네일교과의 경우 낮은 편성을 대부분의 학과에서 낮은 편성을 보이고 있다. 네일교과의 경우 모든 학과에서 10%이하의 편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네일을 전공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는 전공 선택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 교과목의 경우 교육내용은 동일하지만 각 학과마다 교과목의 명칭의 표기가 학과별로 다르게 되어 있어 교과목의 이해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전문미용인력양성’을 위해서는 2년제 미용대학교의 미용관련학과는 각 전공을 분리하고 전공분리에 따른 교육과정을 개선하여 전문 미용인 양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전공세분화로 학과의 특성을 살리고 전공과목을 주된 내용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과과정을 운영하여 전문 미용인양성의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미용전공대학생의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윤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855

        ABSTRACT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ubmitted by: Kang Yoon-jin Advisor: Jeon Hyun-jin Recently in college education, classes are being conducted by uploading recorded class videos such as YouTube or the school portal site 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s like ZOOM in contrast to face-to-face methods of the past due to the government’s social distancing and quarantine guidelines resulting from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bstantiate the impact of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who are taking online class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cause-effect 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enrolled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ho recently took online classes, and they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 us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ere the respondent enters responses manually.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March 30, 2021 on 30 college students currently majoring in cosmetics at a univers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2 to April 30 of 2021.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20 were collected. Questionnaires that were incomplete or had insincere answer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o use a total of 305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SPSS for Windows 21.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test was performed for follow-up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participation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the four factors of class activity expression of opinion, class passion, continuing participation level, and class confidence, and class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as a single aspect.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p<.05,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levels. Secon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participation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while the learning achievement aspect was categorized into the two factors of learning knowledge ability attitude and self-control learning.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p<.01,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levels. Thir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achievement 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achievement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two factors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as a single aspect.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levels. Fourth, upon identifying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mediating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it was verified that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indirec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p<.01, p<.001).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class activity expression of opinion, class passion, continuing participation, and class confidence per sub-factor of learning participation used learning knowledge ability attitude and self-control learning per sub-factor of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at was partially mediated. Fifth, it was found that learning participation rate, learning achievement rate, and learning satisfaction rate of online education had partial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detail, learning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1), online class impact for continuing academics (p<.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and learning achieve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01), recognition level of online classes (p<.01), online class preference status of theory textbooks (p<.05), impact of online class for continuing academics (p<.0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01), recognition level of online classes (p<.001), preferred classes for online classes (p<.05), online class preference status of practical textbooks (p<.05), impact of online class for continuing academics (p<.0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Through such results, it was evident that with the growing influence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ntact-free classes at universities because of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are impact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by verifying that each independent variable had greater direct impact compared to indirec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it was empirically proven that there is no cause-effect relations for learning achievement on the path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that is learning satisfaction. 논문개요 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강 윤 진 지 도 교 수 : 전 현 진 최근 대학 교육에서는 COVID-19로 인해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지침에 따라 기존의 대면 방식에서 유튜브(Youtube)와 학교 포털사이트 등에 녹화된 강의 영상을 올리거나 ZOOM과 같은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해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각 변인들 간 인과관계가 존재하는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최근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미용전공 대학생을 편의 추출 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직접 응답에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예비조사는 현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 중인 미용전공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2일~3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2021년 4월 12일~4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20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하거나 무성의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05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for windows 21.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설정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검정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참여도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수업활동의사표현, 수업열정, 지속참여도, 수업자신감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학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01). 이는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참여도 차원을 분류한 결과, 4요인으로 분류 되었으며, 학습성취도의 차원은 학습지식능력태도, 자기조절학습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1, p<.001). 이는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성취도의 차원을 분류한 결과, 2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학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이는 온라인교육의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는 학습성취도를 매개하여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학습참여도와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1, p<.001). 즉 학습참여도의 하위요인별 수업활동의사표현, 수업열정, 지속참여도, 수업자신감이 학습성취도의 하위요인별 학습지식능력태도, 자기조절학습을 매개하여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학습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습참여도는 학년(p<.01),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습성취도는 학년(p<.001), 온라인수업 인지정도(p<.01), 이론 교과서 온라인 수업 선호상태(p<.05),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가 파악되었으며, 학습만족도는 학년(p<.001), 온라인수업 인지정도(p<.001), 온라인 수업 시 선호 교과목(p<.05), 실기 교과서 온라인 수업 선호상태(p<.05),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COVID-19로 인해 대학에서 비대면수업으로 온라인교육에 대한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학습만족도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이 간접적인 영향보다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독립변인들인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가 종속변인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경로에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 특성화 미용고등학교 교육과정 만족도가 미용 세부 전공 및 직업 선택에 미치는 영향

        노혜지 광주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특성화 미용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만족도가 학생들의 세부 전공 선택과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취업지도와 미용 교육 개선 연구에 참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도 경주 소재 G 특성화 미용고등학교와 대구 소재 D 특성화 미용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산분석 후 차이가 있는 집단에 대해서는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특성화 미용고등학교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육과정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은 1학년(2.97±0.54) > 3학년(2.92±0.472) > 2학년(2.57±0.64)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전공 선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은 여자(3.18±0.55) < 남자(3.77±0.57)로 남자가 더 세부 전공에 확신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학업수준은 상(3.52±0.60) > 중(3.18±0.58) > 하(3.14±0.48)로 나타나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세부 전공에 대해 확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으로는 800만 원 이상(3.63±0.78) > 100만 원 미만(2.67±1.01)으로 나타나 가계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이 800만 원 이상보다 세부 전공 선택에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선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은 여자(2.72±0.69) > 남자(2.01±0.58)로 남자가 더 직업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학업수준으로는 상(2.40±0.82) > 하(2.84±0.72)로 나타나 학업성적이 낮은 학생이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보다 직업 선택에 다소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 교육과정 만족도, 세부 전공 선택, 직업 선택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미용 교육과정 만족도와 세부 전공 선택에는 p<.05와 p<.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 선택 간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 교육 만족도가 세부 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부전공의 본인만족에는 t값 2.800(p=.006)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요소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만족도가 직업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만족도가 직업 선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면, 미용 교육 만족도는 세부 전공 선택 시 본인 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선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부 전공 별로 취업에 어려움이 따르면서 현실을 고려한 선택의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취업으로 연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선호와 흥미만으로 선택했던 세부전공을 미용현장에서의 여러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세부 전공을 선택하고 직업을 선택하도록 지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취업지도에 도움이 되고, 향후 특성화 미용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만족도, 세부 전공 선택, 직업 선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효과적인 교육과정 개선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인식에 미차는영향

        이보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39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nd career awareness and examine if there is any causality among variables among students from cosmetology high schools. For thi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30 to April 20, 2017 (for 3 weeks) among students from cosmetology high schools in Gwangju and Jeonnam. Among a total of 650 questionnaires, 19 incompletely answered surveys were excluded, leaving a total of 631 copies used for final analysi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WIN 21.0 was adopted. For hypothesis testing,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nalysis, factors were classified by variable as follows: 1. Academic self-efficacy was divided into academic confidence, academic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2. Satisfaction with major was divided into satisfaction with cosmology curriculum and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 recognition. 3. Career awareness was classified into awareness of egoic career and awareness of career goals.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The hypothesis “Academic self-efficacy would have an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was supported.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warenes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supporting the hypothesis “Academic self-efficacy would have an influence on career awareness”. Third,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warenes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supporting the hypothesis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would have an influence on career awareness”. Fourth,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warenes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aking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s a mediator (p<.001).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wareness, proving the existence of causality, supporting the hypothesis “Academic self-efficacy would affect career awareness, taking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s a mediator”. The said results show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nd career awareness among students from cosmetology high schools.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nd develop a plan for employment linkage by career awar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smetology education modules that respond to current trends.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in addition to major courses and make up and develop a one-stop, linked system. Such internal cosmetology-related programs would facilitate academic major-related career activities and increase employment rate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cosmetology high school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osmetology education system designed for career linkag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Keywords: Cosmetology High School, Academic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Career Awareness, Major of Cosmetology 본 연구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하고 변인들 간의 인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에 소재한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30일부터 4월 20일까지 3주간 설문지를 650부 배부, 회수하여 통계처리에 부적합한 19부를 제외한 631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응답자들이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설정한 가설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변인별 요인이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1.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적자신감,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과제학습난이도의 3요인이 분류되었다. 2. 전공만족도는 미용교과 수업만족, 관계인식만족의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3. 진로인식은 자아적 진로인식, 진로목표인식의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전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p<.001)관계가 나타났다. 즉,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채택> 되었다. 둘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진로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p<.001)관계로 나타났다. 즉,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전체적으로 진로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p<.001)관계로 나타났다. 즉,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는 진로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진로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인식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인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실증하였다. 따라서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공 만족도를 매개하여 진로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인식에 긍정적 영향의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 시대의 흐름에 맞는 미용전공 교육모듈 개발을 통한 전공만족도 고취와 진로인식에 따른 취업연계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용전공 교육과정 외 교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과의 원 스톱 연계 시스템의 보완․개발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처럼 학내 미용전공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면 전공 진로 활동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미용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목표인 취업률의 상승 추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자의 연구가 미용전공 학생들의 교육만족과 진로연계를 위한 미용교육 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메이크업 전공 교육과정 분석 및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에 따른 교육과정 연구

        최영희 한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의 메이크업 전공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에 따른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 6개 대학을 선정하여 메이크업 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과 대학에 따라 메이크업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와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과목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크업 전공 교육과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6개 대학 전체 72개 과목 중 코디 메이크업과 분장이 9개 과목(12.5%)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초 메이크업과 아트 메이크업 7개 과목(9.7%), 화장품학, 일러스트레이션, 색채학이 6개 과목(8.3%), 공중위생관리학과 미디어 메이크업 5개 과목(6.9%), 테마 메이크업 5개 과목(6.9%), 이미지 메이크업 4개 과목(5.5%), 소독 및 전염병학 2개 과목(2.7%), 에어브러시 1개 과목(1.4%) 순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검정과목과 4년제 대학의 메이크업 전공 관련 교과목간에 차이가 있어 메이크업 국가기술 자격증을 취득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이크업 전공 교과목 개설 현황을 대학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한라대가 18개 과목(25.0%)으로 가장 높으며 성신여대 15개 과목(20.8%), 광주여대 14개 과목(19.4%), 영산대 13개 과목(18.1%), 을지대 7개 과목(9.7%), 한서대 5개 과목(6.9%) 순으로 나타났다. ‘코디 메이크업’은 성신여대와 한라대가 3개 과목(4.2%), ‘분장’은 성신여대가 3개 과목(4.2%), ‘기초 메이크업’은 영산대가 2개 과목(2.8%), ‘아트 메이크업’은 영산대와 한라대가 2개 과목(2.8%)으로 가장 높았다. ‘화장품학’은 광주여대, 성신여대, 영산대, 을지대, 한라대, 한서대가 1개 과목(1.4%)으로 나타났으며, ‘일러스트레이션’은 성신여대가 2개 과목(2.8%), ‘색채학’은 한라대가 2개 과목(2.8%)으로 가장 높았다. ‘공중위생관리학’은 광주여대, 성신여대, 영산대, 한라대, 한서대가 1개 과목(1.4%)으로 나타났으며, ‘미디어 메이크업’은 광주여대가 2개 과목(2.8%), ‘테마 메이크업’은 한라대가 3개 과목(4.2%)으로 가장 높았다. ‘이미지 메이크업’은 광주여대, 성신여대, 영산대, 한라대가 1개 과목(1.4%)으로 나타났고, ‘소독 및 전염병학’은 광주여대, 한서대가 1개 과목(1.4%), ‘에어브러시’는 한라대 1개 과목(1.4%)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관련학과의 메이크업 전공과목별 개설 학교 수는 ‘화장품학’, ‘기초 메이크업’, ‘분장’이 6개 대학(100%) 모두 개설되어 있어 가장 높으며, ‘공중위생관리학’, ‘일러스트레이션’, ‘색채학’, ‘코디 메이크업’, ‘아트 메이크업’, ‘이미지 메이크업’ ‘미디어 메이크업’, ‘테마 메이크업’, ‘소독 및 전염병학’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지 여부를 살펴보면, 자격증 인지여부는 ‘예’ 195명(91.1%), ‘아니오’ 19명(8.9%)’으로 나타났으며, ‘대학(p=0.018)’, ‘졸업 후 진로(p=0.000)’, ‘메이크업교육 경험 유무(p=0.03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의사 이유를 살펴보면 취득 의사 128명 중 ‘취업과 창업을 위해’ 50명(39.1%)으로 대체적으로 취업과 창업에 꼭 필요하기 때문에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졸업 후 진로(p=0.001)’, ‘메이크업 교육경험 유무(p=0.024)’, ‘전공분야(p=0.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지 않으려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면 ‘취득하지 않겠다’고 답한 86명 중 ‘필요성을 못 느껴서’ 41명(47.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p=0.05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의 현장실무 도움 정도를 살펴보면 ‘보통이다’ 86명(38.8%), ‘그렇다’ 83명(38.8%), ‘매우 그렇다’ 22명(10.3%), ‘그렇지 않다’ 20명(9.3%), ‘전혀 그렇지 않다’ 3명(1.4%)으로 현장실무에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으며, ‘진학이유(p=0.031)’, ‘전공분야(p=0.014)’, ‘전공에 대한 만족도(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덟째, 대학에 따른 메이크업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교육과정의 세분화 정도(M=2.65)’, ‘전공과목수(M=2.45)’, ‘국가자격증취득가능(M=2.15)’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평균 2.41점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대학별로는 전체적으로 을지대(M=2.76)와 광주여대(M=2.69)가 영산대(M=1.8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과목수’, ‘교육과정의 세분화 정도’에서는 메이크업 전공 교과목이 많이 개설되어 있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대학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체 평균 3.36점 중 ‘기초 메이크업(M=3.6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6개 대학에서 ‘기초 메이크업’이 7개 개설되어 있는 것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별로는 전체적으로 한서대(M=3.67)가 영산대(M=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와 같은 결과는 교과목 개설 수는 적지만 개설 과목 중 국가기술자격증 검정 교과목이 과반 수 이상 차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열 번째, 대학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과목 요구도를 살펴보면 ‘기초 메이크업(M=4.21)’, ‘웨딩 메이크업(M=4.14)’, ‘코디 메이크업(M=4.04)’, ‘미디어 메이크업(M=4.01)’, ‘테마 메이크업(M=4.00)’, ‘분장(M=3.96)’, ‘화장품학(M=3.88)’, ‘아트 메이크업(M=3.73)’, ‘위생학(M=3.68)’, ‘공중보건학(M=3.61)’, ‘에어브러시(M=3.60)’, ‘소독 및 전염병학(M=3.59)’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에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아 재학생들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대학별로는 전체적으로 한서대(M=4.09)와 성신여대(M=4.05)가 을지대(M=3.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0). 이와 같은 결과는 ‘한서대’가 가장 적은 교과목(6.9%)이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교과목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신설된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따른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와 상응하는 고찰이 미흡했으며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표집에 있어서 전국의 미용관련학과가 아니라 지역별로 6개 대학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미용관련학과의 특성상 남학생의 수가 여학생의 수보다 적어 비율이 적정하지 못했던 점 등을 볼 때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렵다. 둘째, 일부 미용관련학과를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2년제와 4년제로 구분하여 구체적이고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셋째, 대학별 교육과정 운영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보다 많은 대학을 조사하여 선택 편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2016년 신설된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가 향후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의 활성화 및 관련 메이크업 직종의 질적 향상 방안 마련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Make-up major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 depending on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state of the curriculum. By selecting 6 universities in Seoul, Gyionggi-do, Chungcheong-do, Jeolla-do, Gyeongsang-do, Gangwon-do make-up major curriculum have been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4 who were majoring in cosmetology at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current make-up major subjects for beauty-related department, ‘Coordi make-up’ and ‘Make-up’ (12.5%)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Basic make-up’ and ‘Art make-up’ (9.7%), ‘Cosmetology’, ‘Illustration’, ‘Chromatics’ (8.3%), ‘Public Health’, ‘Media Make-up’, ‘Theme Make-up’ (6.9%), ‘Image Make-up’ (5.5%), ‘Immunology and Microbiology’ (2.7%), ‘Airbrush’ (1.4%) among the subjects announced in curricula. It was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cquire th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 of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and the subject of make-up major of 4-year university. Second, with regard to current make-up major subjects for beauty-related department by university, ‘Halla university’ (25.0%)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8%), ‘Kwangju Women’s university’ (19.4%), ‘Youngsan university’ (18.1%), ‘Eulji university’ (9.7%), ‘Hanseo university’ (6.9%) among universities. ‘Coordi make-up’ 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and ‘Halla university’ (4.2%), ‘Make-up’ 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4.2%), ‘Basic make-up’ is ‘Youngsan university’ (2.8%), ‘Art make-up’ is ‘Youngsan university’ and ‘Halla university’ (2.8%)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Cosmetology’ is ‘Kwangju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Youngsan university’, ‘Eulji university’, ‘Halla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1.4%), ‘Illustration’ 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8%), ‘Chromatics’ is ‘Halla university’ (2.8%)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Public Health’ is ‘Kwangju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Youngsan university’, ‘Halla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1.4%), ‘Media make-up’ is ‘Kwangju Women’s university’ (2.8%), ‘Theme make-up’ is ‘Halla university’ (4.2%)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Image Make-up’ is ‘Kwangju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Youngsan university’, ‘Halla university’ (1.4%), ‘Airbrush’ is ‘Halla university’ (1.4%)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Third,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university for current make-up major subjects for beauty-related department, ‘cosmetics’, ‘basic make-up’ and ‘Make-up’ (100%)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Public Health’, ‘Illustration’, ‘Chromatics’, ‘Coordi make-up’, ‘Art make-up’, ‘Image make-up’, ‘Media make-up’, ‘Theme make-up’ (50%), ‘Immunology and Microbiology’ among universities. Forth, With regard to recognition on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91.1% of respondents recognize make-up technical certification, while 58.9% of respondents had a plan to get it. ‘University(p=0.018)’, ‘Career after graduation(p=0.000)’, ‘Make-up education experiece(p=0.03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ifth, With regard to the main reason for obtaining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39.1% of respondents are trying to acquir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for ‘getting a job’, 30.5% for ‘Developing themselves’, 28.1% for ‘Own major’. ‘Career after graduation(p=0.000)’, ‘Make-up education experiece(p=0.031)’, ‘Major field(p=0.003)’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Sixth, With regard to the main reason for not obtaining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47.7% of respondents and ‘Satisfaction with major(p=0.050)’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Seventh, With regard to the practic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Normal’ (38.8%), ‘Good’ (38.8%), ‘Very good’ (10.3%), ‘Bad’ (9.3%), ‘Worse’ (1.4%) and ‘Reason for enter university(p=0.031)’, ‘Major field(p=0.014)’, ‘Satisfaction with major(p=0.00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Eigh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for make-up major curriculum by university ‘Classification of curriculum(M=2.65)’, ‘Number of subjects(M=2.45)’, ‘Acquisition of certification(M=2.15)’ and the overall average was 2.41. By university overall ‘Eulji university(M=2.76)’ and ‘Kwangju Women’s university(M=2.69)’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Youngsan university(M=1.86)’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Nin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for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subjects by university among the total 3.36 points, ‘Basic make-up(3.69)’ was the highest and these results ar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re are seven 'basic makeup' in six universities. By university overall ‘Hanseo university(M=3.67)’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Youngsan university(M=3.00)’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p=0.001). This resul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is small, but more than half of the courses in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are covered in the courses. Ten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necessity of courses for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acquisition, ‘Basic Make-up (M=4.21)’, ‘Wedding Make-up (M=4.14)’, ‘Coordi mak-up(M=4.04)’, ‘Media Make-up(4.01)’, ‘Theme Make-up(M=4.00)’, ‘Make-up(3.96)’, ‘Cosmetology(M=3.88)’, ‘Art make-up(M=3.73)’, ‘Hygiene(M=3.68)’, ‘Public health(M=3.61)’, ‘Airbrush(M=3.60)’, ‘Immunology and microbiology(M=3.59)’ and ‘Basic make-up’ was the highest re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mand for students is high because there is no curriculum at university. By university overall ‘Hanseo university(M=4.09)’ and ‘Sungshin women’s university’ showed higher subjects necessity than ‘Eulji university(M=3.50)’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p=0.000). This result shows that the demand for the total subjects is high because the 'Hoseo University' has the smallest number of subjects(6.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sufficient in the case of the study o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wly made make-up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proposal for the follow - up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sampling of the studied, only six universities were selected for the region, not only the department of beauty related field in the whole countr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number of male students was less than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due to the nature of beauty related departments it is difficult Seco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to some beauty related departments. In futur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research subjects should be divided into collage and universuty, and specific and various follow up studies should be done. Third, Considering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of the curriculum by universit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more university and to consider the confusion that may arise in the selection bias. In addition,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newly established in 2016,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of th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test and related make-up occupation.

      • 미용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및 진로에 관한 연구

        서종철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는 미용고등학교에 발전에 전문적인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재학생들의 교육과정, 학교생활만족도, 진로인식의 성숙도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학교 교육방향에 대한 제고 및 앞으로의 진로지도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3월 현재 전국의 미용특성화고등학교 중 5개 학교를 선정하여 학교 당 50명씩 총 2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직접 각 고등학교에 방문하여 설문조사의 목적과 설문지 작성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한 후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하였다. 그리하여 250명 전원 설문지에 성실히 응답하여 250부 전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각 배경 변인 별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한편, 5점 척도로 측정된 문항은 연속형 변수로 간주하여 평균(표준편차)을 나타내었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과 t 검증을 시행하였으며, p =. 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통계분석은 SPSS 17.0을 활용하였다. 미용고등학교 재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는 보통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3학년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3학년의 경우 대학진학 대비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은 점을 생각하면 현실적으로 미용고 학생들의 대학진학에 대한 관심과 미용고의 직업교육이라는 교육목표 사이에서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실습 수업시간의 양이 적고, 전공별 세분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미용실기분야는 특성상 동시에 여러 분야를 전공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한 가지 전공에만 종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미용고에서는 미용기초교육을 공통으로 전공별로 실습을 세분화한다면 전공실습시간이 증가하여 학생들의 전문성 강화와 현장적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용교재로 사용하는 교과서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이론중심의 교육과학기술부 교과서, 국가기술자격증 중심의 서울특별시 교육감 인정 능률 교과서보다는 교사재량 선택하는 교재가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이론과 자격증 및 실기부분을 함께 다루는 수준별 교과서의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수업료와 재료비 부담에 대해서는 다소 부담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분야는 수업시 개인별 재료가 많이 들어가게 되는데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재료의 공급은 필수적이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특성화 미용고학생들에 대한 실질적인 재료비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조사에서 미용고등학교 입학 결정요인은 중학교 성적과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여 본인 스스로 한 것으로 나타나 전문기능인으로 성장하는데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학교의 시설에 대해서는 다소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열정 또한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관심과 열정에 걸맞는 시설과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미용교사들에 대한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시설이나 교사에 대한 만족독 낮음에도 미용고등학교의 추천의사가 보통정도로 전공에 대한 자긍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진로의식 성숙도의 경우 미용고등학교를 선택한 시기는 중학교 3학년 때가 가장 많았다. 대부분 학생들이 미용고등학교 입학 전․후에 직업 적성검사를 받은 적이 없었지만 미용과가 어느정도 적성에 맞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용분야에 대한 직업 전망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미용고를 선택한 남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소수이지만 적성에 맞는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여학생들보다 높았으며, 미용고 학생들은 졸업 후 직업을 선택할 경우 희망하는 분야는 헤어미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급별 미용전공 학생의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도

        강보라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23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in preparing an effective field practice operation plan after identifying the awareness toward practice by the main structuring system of field practice called students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argeting th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t a point in time in which the importance of field practice is being emphasized as a process for improving the practical ability of th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related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hat the high school and two year college students have high interest toward hair beauty care and the four year university students were shown as having high interest toward skin beauty care for the interested major and desired area of field practice. The career after graduation was shown as hoping for the major area of study for the most part and enrollment of university was shown as being high in ca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el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The most important purpos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while the practice of major field in ca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growth of field adaptation ability in case of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have been shown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s. Also, th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necessity of the field practice course than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Th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ield practice than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while the high school students also showed higher cultivation of sociability and the assistance of field practice in deciding career. For the time period of field practice, the students have replied that 1-2 semester of twelfth grade is appropriate in case of high school, 1-2 semester of second grade in case of two-year college and second semester of second grade or second grade of fourth grade in case of university. About one month was shown as being appropriate time period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For the frequency, the instance of replying five times or more was shown as being high in case of the high school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In contrast, the reply that about once is appropriate was shown as being highest in case of the two-year college students. For the quality of apprentices, the high school students said that an attitude of actively trying to learn is most necessary in ca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hile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said a diligent attitude is most necessary. As the ability of apprentices for an effective field practice, the high school students replied that the ability to accept field work is most necessary while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said that a specialized practical ability is most necessary to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For the quality of the person in charge of field practice, the interest toward apprentices was shown as being most necessary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In case of the ability,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wo-year college students replied that an abundant field experience is most necessary while the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replied that an experience of teaching apprentices is most necessary to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ird, the overall mean score of expected attribute before the field practice was 3.83 points while the ‘expectation toward career influence’(M=3.89) was the highest to be shown in the order of ‘expectation toward self development’(M=3.86), ‘expectation toward the business of field practice'(M=3.80) and ‘expectation toward school education'(M=3.75). Fourth, the overall expected attribute before the field practice, expectation toward school education, expectation toward the business of field practice, expectation toward self development and expectation toward career influence have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while we could see that the two-year college students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expectation standard compared to the high school students. Al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major and fiel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rough the results above, we could see that they generally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ield practice. They also had high expectation toward the expected attribute toward the field practice and the college students were shown as having high expectation level of field practice compared to the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se asp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ce in being able to use as basic material in searching for an effective field practice operation plan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while suggesting fac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that a differentiated field practice operation plan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For the limitations shown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ation in interpreting the study result by extension because it was only targeted on Gwangju and Honam area while also having a limitation from the fact that the field practice awareness investigation items according to the major of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by each school level not being able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y each majo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task to generalize the result by extending the boundary of investigation area and the performance of a little more systematic study by identifying on the expected attributes of apprentices with more diversity would be necessary. 미용 산업은 고용 창출을 높일 수 있는 신 성장 동력 사업으로 부각되면서 인력 양성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재 미용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미용 교육 측면에서도 양적‧질적 제고가 이루어졌다고 보지만, 실무 중심의 현장 교육 시스템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학교의 정규 수업만을 통해서는 현장 중심형의 교과 운영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학교급별에 따라 현장실습의 합리적인 운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실습의 주요 구성체계인 실습에 대한 인식도 및 실습 전 기대정도를 파악하고,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현장실습 운영 방안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관련 특성을 분석한 결과, 관심 전공 및 희망 현장실습 분야는 고등학생과 2년제 대학생들은 헤어미용, 4년제 대학생은 피부미용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는 전공 분야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대학 진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현장실습 관련 특성을 분석한 결과, 현장실습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학교급별에 차이를 보였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전공 분야 실습, 2년제와 4년제 대학생들은 현장 적응 능력 신장이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실습 교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2년제와 4년제 대학생들에 비해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현장실습 참여에 있어서는 고등학생들이 대학생들에 비해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 함양 및 진로결정에 현장실습이 도움이 된다는 의견에서도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현장실습의 시기로는 고등학교는 3학년 1-2학기, 2년제 대학교는 2학년 1-2학기, 4년제 대학교는 2학년 2학기 또는 4학년 2학기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기간은 학교급별에 관계없이 1개월 정도가 적절하다는 것이 높게 나타났다. 횟수는 고등학생과 4년제 대학생들은 5회 이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에 비해 2년제 대학생들은 1회 정도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습생들의 자질에 있어서는 고등학생들은 적극적으로 배우려는 자세, 대학생들은 성실한 태도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효율적인 현장실습을 위한 실습생들의 능력으로 고등학생들은 현장업무 수용 능력, 대학생들은 전문적인 실기 능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실습 담당자의 자질에 있어서는 학교급별에 관계없이 실습생에 대한 관심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능력에 대해서는 고등학생과 2년제 대학생들은 풍부한 현장 경험, 4년제 대학생들은 실습생 지도 경험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현장실습 전 기대속성 전체 평균은 3.83점이었으며, ‘진로영향에 대한 기대’(M=3.89)가 가장 높았고, ‘자아발전에 대한 기대’(M=3.86), ‘현장실습 업체에 대한 기대'(M=3.80), ‘학교교육에 대한 기대'(M=3.75)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현장실습 전 전체적인 기대속성, 하위요인별 학교교육에 대한 기대, 현장실습 업체에 대한 기대, 자아발전에 대한 기대, 진로영향에 대한 기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1), 대학생들이 고등학생들에 비해 기대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학교급별에 따른 미용전공 학생들의 전공 및 현장실습 관련 특성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현장실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장실습에 대한 기대속성에도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등학생들에 비해 대학생들의 기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