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과 현대 공예의 개념 정립 연구 : 工藝形氣神論을 중심으로

        용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제2차 세계 대전 후부터 공예는 여러 나라에서 현대대학교육제도와 체계에 편입했다. 하지만 근 10년에 예술디자인 새로운 사조의 급한 발전 때문에 공예는 미술학과 디자인학 각각의 일부로 해제되고 있는 것을 보이며 예술디자인학에 편입할 추세가 있다. 이 추세는 국제화, 기계지능화, 산업화 등 시대의 추세를 따라 가는 것도 있지만 현대 공예연구는 공예가 독립한 학과로써의 독립성 및 대체할 수 없는 특성을 보여 주지 못한 것을 반영된다. 오랫동안 공예학계에서 미술학 및 디자인학 저럼 사변(思辨)이론의 구축을 중시하지 않아서 당대공예이론은 주로 미술학 및 디자인학이론을 따라서 발전하여 미술 및 디자인 맥락에서 벗어나서 공예 자체의 특성이 있는 이론 및 관점을 표현하는 것이 별로 없다. 또한 공예는 전통을 보호 및 전승하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여기지만 기술의 전승에 과도하게 집중해서 전통공예가상을 시대적인 연구 깊게 하는 경우가 별로 없다. 사변(思辨)이론 구축의 결핍 및 전통공예사상에 대한 깊은 연구를 중시하지 않기 때문에 공예학이 신세대에 위상을 즉각 정의 하는 것도 못하고 새로운 발전단계에 들어가지도 못한다. 이 연구 배경을 기반 해서 본 논문에서 공예형기신론(工藝形氣神論)을 제기한다. 공예 및 전통철학의 밀접한 관계를 빌려서 공예가 철학측면에서 갖고 있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정신구축에서 출발하고 형기신(形氣神)의 철학 범주는 연결체로 생각하고 형(形), 기(氣), 신(神)사이의 변증관계를 이용하여 공예영역 내에 형기신(形氣神)과 대응할 공예연구 요소를 도출해서 전통철학사변논리의 특색 있는 공예이론구조를 구축한다. 본 이론의 도출과정은 공예의 철학적 본질측면부터 위에서 아래로 현상측면에 진행한다. 공예품을 중심으로 기여 과거 공예연구에 독립적이고 심지어 대립하고 한 로직에 귀납하지 못한 '기능적 및 비기능적', '수공생산적 및 기계생산적', '장인 정신적 및 디자인적' 등 요소를 형기신(形氣神)사이의 논리관계를 통해 서로 연관되어 안정한 관계를 가지는 이론 구조로 서로 연계한다. 공예의 본질은 공예의 형(形), 기(氣), 신(神)의 결합으로 보인다. 그 중의 공예의 형(形)은 기능형태 및 장식형태를 가리킨다. 공예의 기(氣)는 공예품 성형 전의 기능형태 재료 및 장식형태 재료, 수공생산력 및 기계생산력, 공예 기술 및 공예 규칙을 가리키고 공예품 성형 후의 공예품주변에서 퍼진 장기(匠氣)를 가리킨다. 공예의 신(神)은 기능의 구상과 설계, 장식적인 의사소통 및 장인 심리를 가리킨다. 본 논문은 3가지 내용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공예형기신론(工藝形氣神論)을 제기한다. 공예전통에 철학과 밀접한 관계를 이용하여 공예가 가지고 있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정신 및 이상에서 출발해서 '공예형기신이론' 제기 하는 도출논리 및 과정을 자세히 표현하고 형기신(形氣神)이론은 철학 범위에 공예이론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이유 및 형기신(形氣神)과 공예 사이의 어떤 관계가 있는 지 등 문제를 설명한다. 두 번째는 진일보로 공예 형기신적 이론의 구체적 내용을 구축한다. 전통철학의 형기신(形氣神)범주 및 공예연구요소를 서로 연결시키고 공예의 형(形), 기(氣), 신(神)에 대한 할 수 있는 구제 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세 번째는 구축된 공예 형기신적 이론을 이용해서 구제적인 공예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면 공예의 본질이 무엇이고 공예의 범위가 무엇인지 다른 공구, 기계 미술품 설계제품 등의 인공물체 하고 어떤 차이점 있는 지 등 장기적으로 계속 수많은 공예가 및 공예전공 학생이 고민한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이 이론은 향후에 공예교육, 공예창작 및 공예비판 등 영역의 발전 전망 및 현대 연구가치 등 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하여 향후에 본 이론을 연구자에게 참고를 제공한다. 공예형기신론(工藝形氣神論)은 완전히 새로운 공예이론이고 공예학계가 과거에 중시하지 않은 영역과 방향이다. 본 이론은 공예품과 공예제작이 가지고 있는 사람과 자연의 조화, 물질과 정신의 조화, 감성과 이성의 조화, 그리고 진(真)、선(善)、 미(美)의 조화 등 특성을 강조하고 공예활동을 천인합일(天人合一)을 심미와 체득하는 것에 유도하여 공예학의 신세대 배경에 새로운 위상을 정립하는 것에 참조를 제공한다.

      • 제단화에 나타난 그리스도 이미지 연구 : 북유럽 제단화를 중심으로

        김남민 백석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 국문 초록 ] 제단화에 나타난 그리스도 이미지 연구 -북유럽 제단화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미술학전공 김 남 민 본 논문 연구는 역사 속에서 찬란하게 꽃을 피웠던 북유럽 제단화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연구의 필요와 목적은 제단화의 정체가 무엇이며 또 제단화를 통해 표현된 그리스도 이미지는 어떠한 것인가? 에 대한 탐구하기를 원했다. 예배처소에서 제단과 함께 예배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는 제단화는 예배 공간에 봉헌된 전례, 예배미술이었다. 이 제단화에 나타난 그리스도 이미지 연구를 하고자 한다. 제 I 장에서는 본 연구의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규정하였다. 르네상스기의 북유럽 제단화 연구는 시간적으로는 〈메로드 제단화〉가 제작된 1420년에서 〈이젠하임제단화〉를 봉헌한 1515년까지 약 100년의 기간이며, 공간적 범위는 알프스 북쪽, 프랑스, 플랑드르 지역, 네덜란드, 독일 지방을 포함한 지역이다. 북유럽제단화에 나타난 그리스도 이미지 연구로서 연구자는 기독교 세계관의 입장에서 그 의미와 내포된 상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론에서는 미술사와 기독교 역사에 근거하여 도상학과 도상해석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제 II장에서는 제단화에 대한 역사적, 종적인 개관을 시도하였다. 긴 기독교 (미술) 역사에서 제단화는 계속하여 발전해 왔다. 제단화의 역사는 예배의 역사가 그렇듯이 오래되었다. 먼저 제단화에 대한 정의와 기능을 살펴보았다. 제단화는 기독교 교리와 가르침을 전달하는 동시에 “그리스도 현존을 초대”하는 기능을 가진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 예배공간에 함께 한 제단화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는 이미지들은, ‘제단화’라고 명명되기 이전이었지만 ‘제단화’로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리스도 이미지의 시대적 변천을 개관함으로써, 당시의 역사적 성경적 함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제단화의 초기 형태인 제단에 봉헌된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는 곳은 교회 공동체가 모여 예배드리던 예배 현장이었다. 제 III장에서는 북유럽 제단화의 형성 배경과 특성을 주목하였다. 15세기에서 16세기 초, 북유럽에서는 동시에 대량의 제단화와 대작이자 걸작이 생산된 전성기였다. 이렇게 제단화의 전성기를 이루게 된 그 시대적 배경과 정신 그리고 제단화의 구조, 형식은 물론 표현 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북유럽 제단화의 특징을 탐구하였다. 북유럽 제단화 특징을 연구함으로써 북유럽 제단화에 나타난 그리스도 이미지에 대한 도상학과 도상해석학적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제 IV장에서는 북유럽 제단화의 공시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북유럽 제단화에 나타난 그리스도 이미지를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당시 주문자들이 선호했던 제단화의 주요 주제들 가운데 - 수태고지, 성탄(탄생과 경배), 성모자상, 최후의 만찬, 십자가 책형, 최후의 심판에 대한 작품들을 주목하여, 각각의 제단화에 나타난 그리스도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단화를 분석함에 있어 그리스도의 생애(사이클) 순서에 따라 주제별로 서술하고, 같은 주제에 있어서는 제작된 연대순으로 작품을 다루었다. 제 V장에서는 북유럽 제단화 가운데 그리스도 이미지를 다룬 여러 주제가 종합적으로 담겨져 있는 마티아스 그뤼네발트의 〈이젠하임 제단화(Isenheim Altarpiece)〉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제단화에 표현된 네 가지 주제 - 수태고지, 성모자상, 십자가 책형, 부활 - 속에 표현된 그리스도 이미지를 도상학과 도상해석학적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그 속에 나타난 그리스도 이미지는 위로와 치유와 구원을 선포하는 설득력을 가진 메시지였다. 제단화는 그리스도의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그리스도가 죽음에 처한 인생들의 고통과 두려움을 위로하고, 치유하며, 구원함을 전달하였다. VI장 결론에서는 각 장에서 고찰한 연구를 통하여 제단화의 기능을 알 수 있었다. 제단화는 그리스도(복음)를 증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장치였다. 예배공간에 놓인 예배미술이자 복음 메시지 전달의 강력한 도구인 제단화는 회중과 예배자에게 구원을 선포하는 시각 메시지이자 설교였다. [Abstract] An Analytic Study of the Image of Christ in the Northern Renaissance Altarpieces Graduate School of Baekseok University Department of Fine Art Nominee Kim This dissertation had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concerning the identity of the altarpiece which had the faithful and steadfast development as the field of religious, liturgical art in the history of the altarpiece in the Northern Renaissance art. As we know, altarpiece has the long history of the field of Christian art. For a long time, as a member of Christian community and the worshippers, I had some questions with curiosity about Northern European altarpieces in my heart; What‘s the implying? What does it signify and mean? Sculpting or painting, the things investing to God will bear some kind of image.The altarpiece was very attractive to me for the role(attitude) of conveying for the visual images of Word of God like guide plate or direction board. Moreover, the altarpiece might be located in the core or focus of worship service with the altar which is dedicated for the worship space as the ritual and liturgical art. Actually,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meaning and symbols of the Image of Christ in the Northern Renaissance altarpiece through an analytic method of study in the sense of Iconography and Iconology. Thus, in the respect of the Biblical and Christian world view, I’ll study the image of Christ of the Northern Renaissance altarpieces concentrating the hidden meanings under symbols. The first chapter has regulation of the spatial, temporal range of this researches as follows: I will focus on Northern Renaissance art produced about 100years, between the early 15th century and the early 16th century.It’s at the flourishing time of the panel painting when developed is thought that from 1420’s to 1515. Regionally, it covered the Northern part of the Alps including France, Flanders, Netherlands, and Germany. The second chapter does the historical overview of the altarpieces in the Christian art history trying to trace special cultural and religious environments. By checking the ups and downs of the times, we can find historical connotation from the artwork at the very time. Even before the Altarpiece so named, the very place is where community gather for worship and prayer. The images of the primitive form of the altarpieces the place we can find the primitive form of the art of altarpiece was the early form of worship sites. like the tomb site of catacomb which the very spot where the worship service and prayer took place. The third chapter will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Renaissance Altarpiece with the spirit of the age and background about achieving its golden age. The fourth chapter tries to analyze the image of Christ from the six themes of the Northern Renaissance altarpiece favored to order by consecrater at that time. We can see the core images of Christ; the Annunciation, Nativity, Madonna and the Child, Holy sacrament, Crucifixion, the Last Judgement. The fifth chapter also deals with the four topics of the image of Christ, but from one artwork, 〈Isenheim Altarpiece〉 created by Grünewald. The images of Christ from the altarpiece express the suffering God and the wounded healer. The altarpiece shows the healing and redeeming power of the wounded and suffering God, Jesus Christ. Yes, the image of Christ in itself is the message of our salvation. The sixth chapter concludes the function of the altarpiece bearing the image of Christ through the study of all of chapters. The altarpiece is the art with the strong power of the word of God which has been dedicated in the space of worship service. Actually the identity of altarpiece is the visual message of the Words of God as a kind of visual sermon. That is, the altarpiece is a kind of vessel for delivering for the religious truth to the congregation or worshippers. Truly, the altarpiece have played a decisive role as a device to evangelize and witness for the gospel of Jesus Christ.

      • 三國時代의 彌勒 半價思惟像 硏究 : 國寶 78호와 國寶 83호를 中心으로

        김미현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 고대 조각에 대해 연구함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반가사유상일 것이다. 그 이유는 반가사유상은 다른 불상과는 확연히 다른 독특한 형식를 지녔기 때문일 것이다. 이 독특한 형식이 가지는 아름다움은 세계적으로도 그 조형적 아름다움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 이렇게 찬사를 받고 있는 반가사유상에 대해 일반인들에게 반가사유상이란 불상을 알고 있느냐 묻는다면 상상외로 많은 사람들의 모른다는 질문을 듣게 된다. 이는 대개의 사람들은 불상을 떠올릴 때 불상이 가지는 종교적 가치만을 생각하지 그것을 하나의 완성된 예술적 작품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면서도 기독교의 종교화나 조각들을 아는 것은 당연한 듯이 여기고 하나의 예술품으로 인정한다. 학교의 교과서에서조차 우리의 불상은 예술품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우리의 아름다운 문화유산 중 하나인 반가사유상을 종교적 예배의 대상이 아닌 예술적 가치를 지닌 하나의 조각 작품으로 인식하고 어떤 형식을 지닌 불상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대한 양의 반가사유상을 다 다루진 못하고 금동 반가사유상 중 일부를 통해 미륵불로 조성된 경위와 반가사유상으로 조형적 특징과 양식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운보(雲甫) 김기창(金基昶) 회화에 나타난 기독교적 성향

        명경자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운보 김기창(雲甫 金基昶; 1914~2001)은 근대 한국 미술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화단의 큰 거목으로 평가된다. 구상과 추상을 넘나들고 채색과 수묵을 아우르며 시기마다 새로운 작품으로 다양한 화풍을 섭렵한 누구나가 인정하는 한국을 대표하는 화가이다. 청각장애자(8才)로서 장애를 극복하고 신실한 기독교인의 삶을 영위하며 생의 후반에는 많은 사유재산을 들여 봉사적인 이웃사랑을 실천한 참 크리스천으로도 그의 생애는 아름답게 평가된다. 또한 87년을 사는 동안 좌절과 고통의 순간순간에서 넘어지지 않고 승리하였으며 그의 예술 또한 새롭게 빛을 발하는 변모의 과정을 도출함으로 모든 사람에게 경이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김기창의 특수성은 어머니 한윤명, 스승 이당 김은호, 치과의사 부스박사 내외, 부인 우향 박래현 등의 희생과 사랑으로 그의 삶에 동행(同行)하고 있었음이다. 또한 어머님과 스승으로부터 배운 기독교 신앙이 그의 삶의 어려운 시기마다 정신적 지주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1950년 6.25 전쟁을 당하여 온 국민과 더불어 고난 받는 시기에 그는 특별한 은총으로 피난지 군산에서 "예수의 생애"라는 성화를 제작할 수 있었다. 그와 친분이 두터운 미국인 선교사 젠슨씨의 권유로 한복 입은 예수의 일대기를 한국 풍속화의 형식을 취하여 제작케 된 것이다. '나는 유년 주일학교 다닐 때 가끔 미국에서 발행된 예수를 그린 예쁜 카드를 선물 받았다. 그때 나는 어린 마음에도 그런 그림을 그려보고 싶은 충동을 받았다. 나는 그때의 충동을 30여년 만에 실현시켰다.' 라는 그의 말처럼 권유와 충동으로 큰 소명감 없이 시작한 「예수의 일생」이었으나 표출코자 하는 내용을 깊이 알고자 복음서를 통독하였다. 그는 작업기간 중 꿈속에서 예수를 만나는 체험의 은혜를 받게 되는데 「그것은 마음 괴로운 순간이었다. 어두운 동굴 속에는 한줄기 빛이 어디에선가 비껴 들어오고 있었고 나는 빛줄기 아래에서 예수의 시체를 부둥켜안고 통곡하고 있었다. 통곡을 끝내고 문득 정신을 차리니 나는 동굴이 아닌 햇빛이 눈부신 방에 앉아 화필을 들고 있었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렇듯 그는 성화작업 기간 중 주님과의 깊은 영적 교감으로 믿음을 더하여 큰 힘을 얻게 됨으로써 영감에 의하여 생명력 있는 화면을 표출할 수 있었다. 「예수의 일생」을 완성한 이후 그의 예술혼은 팽창하여 동양화의 변혁인 입체파 구성을 시도하게 되어 그만의 독특한 개성의 화면을 표출함으로써 일약 명성을 얻고 부인 우향과 더불어 활발한 화단 활동을 하게 되며 해외 초대전에도 자주 초대받아 세계의 화단을 돌아보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 시기 그는 해외 사조에 접하게 되는데 이를 수용하여 추상계열의 작품을 창출하는가 하면 동양적 미감의 중요성도 강조하며 운필의 美가 뛰어난 수묵담채화 영역의 동물화 등을 주축으로 다양한 경향의 작품들이 창출되고 있다. 그러나 1969년 부인 우향의 판화 수업을 위한 유학차 미국으로 떠나고 홀로 서울에 남아 7년 동안의 고독한 삶을 살게 되는데 설상가상으로 1976년 1월 2일 끝내는 부인을 간암으로 천국으로 보내고 처절한 슬픔에 쌓이게 된다. 그는 단신으로 장기간의 해외여행을 다녀온 후 모든 고통을 신앙으로 극복하고 어린아이 같은 천진한 심령으로 돌아가서 민화가 지닌 예술성을 자신만의 감성으로 재창조하여 새로운 산수화, 바보 산수화를 창출하게 된다. 즉 그는 신앙생활 속에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모든 소욕에서 자유로워졌으며, 어린아이 같은 작가 정신에 도달한 것이다. 작가정신이 어린이가 되지 못하면 그 예술은 결국 죽는 것이라 자각하면서 그는 스스로 바보가 되어 소박하다 못해 어리숙한 필치의 작품들인 바보회화 시리즈를 몰두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화적 변화와 그가 말년에 몸소 실천했던 사회사업에 이르기까지 그의 예술적 능력과 업적들은 기독교적 신앙이 뿌리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im, Ki-chang (1914~2001) is one of the greatest artists in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He is recognized as the master of his time who moved freely from figurative to abstract painting and combined colored and Indian ink painting. He overcame the hearing disability and led a full life as a devoted Christian, practicing the love of Christ to neighbor in the latter part of his life. Kim, Ki-chang's 87 years of life was a wonder to all in a sense he overcame trials and tribulations and in that process he achieved significant artistic accomplishments. These are attributable to the love and sacrifice of his mother Han, Yoon-myeong, his mentor Kim, Eun-ho, Mr. and Mrs. Boose, the dentists and his wife Park, Rae-hyeon. Faith in Christianity he inherited from his mother and mentor also played a pivotal part whenever he faced difficulties.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he suffered hardships alongside the Korean people. However, with the grace of God, he painted 'the Life of Jesus', the religious painting. In the work, which started with the encouragement of close friend, American missionary Jenson, Kim, Ki-chang portrayed Jesus wearing traditional Korean garb in Korean genre painting. I received lovely cards made in U.S.A. as a present in my childhood at Sunday school. At that time, I got an urge to draw picture like that. In 30 years, I realized that urge, Kim said. At first, he started painting 'the Life of Jesus' with encouragement and urge but without much hope. Then, he began to read the Bible to understand what he was drawing. It was an agonizing moment. A ray of light was shining in a dark cave. Under the light I was waling, holding Jesus' dead body in my arms. When I finished waling, I found myself grabbing brush in a bright room not a dark cave, he said. His spiritual relationship to God, which was forged during the period he painted 'the Life of Jesus', gave him inspirations and helped him to draw lively paintings. Since the completion of 'the Life of Jesus', he experimented with cubism, the modification of Oriental painting. By establishing the uniqueness of his painting, he gained reputation, received frequent invitations from overseas exhibitions and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from the world art circle. During this period, he encountered and embraced the art of the West, producing abstract paintings. However, Kim further expanded his art lif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Oriental beauty and painting animals with light coloring in Indian ink. In 1969, his wife Park, Rae-hyeon went to the U.S. alone to study woodblock prints, leaving him for 7 years. His loneliness turned into grief when his wife died of liver cancer on January 12th 1976. But he overcame hard times with faith after he traveled abroad alone. After that, Kim, Ki-chang created Babosansoo (Fool Nature) by having a heart of a simple and innocent child and innovating artistic value of Korean fork painting. In other words, he got free from all vanities and ambitions as he looked back on his life with faith in God. Realizing that an art can survive only when an artist sees the world from the eyes of a child, he made himself a fool and concentrated on the simple Babo (Fool) works. This attests to the fact that his faith in God was the basis for his capability and accomplishments including artistic transformation and philanthropic works.

      • 謙齋 鄭敾의 眞景山水畵 硏究

        고선영 群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Painting of Korea that founded unique way of personal took theory chinese. lt set up objective view of history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we are going to make Korean typical culture and spirit of right way of value, it was active movement in every field, and such right way became Korean typical art futhermore we made an effort about the future of Korean art, so writer made it clear the expression of chapped rule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t main paper. First of all the concept of chapped rule and sort and observe chapped ru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especially Khunlyum-landscape and Jinkyung-landscape of kyumjae showed on the chapped rule, Among them, KyumJae was not satisified with chinese painting, he made creative way his own going around Korean beautifiul mountains and rivers. In opening way of this main paper, to deal with the meaning and sort of chapped rule I am going to research in objective way, It is going to be analize systematically. In syudying result, kyumJae`s JinKyung-landscape techniques of painti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show painting styles of china tradition, but lt Gives Feeling distinguish Korean landscape, and material and chapped rule from chineses, In such background, kyum Jae's work of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influenced in many field, but his painting was not succeeded, I was very sorry to stop in the late 18th century. In those days Kim Hong Do, Kim chung Hee were very influential painter and and a theorist were coming out, so It was very declined. Probably It was not supported by continuous favor of a scholar painter. So to speak, realism can be looked down, a scholar painting based on theory of picture JinKyung-landscape can not be recognized, The Kyum Jae's work beginning with painti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y can be pointed out of the reasons cause of declination.

      • Relief를 이용한 자연이미지 연구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서아희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 자연은 인간과 가장 밀접한 곳에 존재하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장엄함은 인간으로 하여금 늘 표현하고자 하는 충동유발의 대상이 되었다. 인간의 생활이란 자연을 벗어나 결코 있을 수 없기에 오래 전부터 각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창조적인 표현활동을 하는 작가들에게는 자연이 주는 관심은 더욱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자는 자연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소재로 나뭇잎, 나무, 꽃, 산 등 주위에서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여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성을 나타내고자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판화기법 중에서도 Relief기법을 선택하였다. Relief기법에서도 소멸판법, 고무판(Linocut), 콜라주 그리고 목판에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하여 찍음으로서 Relief기법이 가지는 단순한 파서 찍는 한계점에서 벗어나면서 자연의 자연스러움과 편안함을 나타내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들을 찾고자 하였다. 자연을 보이는 그대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내면의 시각으로 나타내면서 새로운 작품의 제작 방향을 알아가고자 한다. Man is making continuous effort to seek beauty. Nature is closest to man. Because of its beauty and magnificence, nature has been an object that always urges man to express it. Human nature cannot exist beyond nature. For this reason, nature has long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various fields. Especially artists who are engaging in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have more interest in nature than any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image of nature by selecting materials such as leaves, trees, flowers and mountains, all of which are easily acceptable, ultimately showing the beauty and vitality of nature.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here employed Relief which was one of engraving techniques. Then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best ways of expressing the spontaneity and comfort of nature through employing extinction printing technique, Linocut and collage and printing a variety of objects onto wood blocks, avoiding just engraving and printing as typical processes of the technique.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express nature not as it is, but from her inner view, finding a new direction of creation.

      • 디지털 기법을 응용한 표현연구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서명진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03년 사이에 제작된 본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의 전개과정에 있어 표현하고자 했던 내용과 그 방법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21세기는 완벽한 디지털 시대로서 무궁무진한 잠재력으로 기계화된 매체인 디지털 아트로 인해 사회와 문화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매체는 미술 영역의 새로운 표현 도구로 쓰여 지면서 창작영역의 확대를 가져왔으며, 그리는 행위에 따라 여러 소비적인 문제나 표현 재료에 따르는 문제점들을 개선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디지털 매체의 활용으로 '붙이기', '지우기', '재배치하기', '증식 복제하기'등의 기법들을 활용해 개발한 '전자 팔레트'로 자아의 정체성을 단계적으로 찾아나간다. 필터와 색채, 이미지 합성 등으로 인해 구상화와 추상화가 더 이상 대립적이지 않은 시각현상을 창조하고, 디지털 기법을 오리지널 판화와 결부시킴으로서 자아의 정체성을 단계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오리지널 판화기법을 통한 현실세계의 외적인 정체성에서 디지털 매체를 통한 내부세계(가상공간)의 본질적 문제와 그로 인해 변화되고 있는 사회적 윤리적 규범, 그리고 본 연구자의 자아 정체성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작품을 대중적으로 확산하고 미적 감수성을 보다 대중문화적인 취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한다. 예술에 있어서 시각적 이해 능력은 더 이상 '사물'에만 재한하지 않고, 이제는 컴퓨터 내에 존재하는 유동적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를 포용해야만 한다. 이 세계는 인터랙티브 아트의 세계로서, 실제에 있어서는 가상적일 수도 있고, 예술작품의 완성에 '관람자'가 결합하는 장르에 있어 근본적으로 상호의존적인 관계가 성립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s and methods of expression applied to this researcher's works created between 2002 and 2003. The 21st century is completely the digital era when digital arts as mechanical media having unlimited potential ar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Digital media has expanded the field of creation as they have been employed as a new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They may become an alternative in solving problems with wastes and expression materials related to painting.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pproach the self-identity on step-by-step basis by using the electronic palette which was developed such techniques of digital media as 'attaching', 'erasing', 'rearranging' and 'multiplying and reproducing'. The researcher also could realize visual phenomena in which formative and abstract paintings did not confront with each other any longer, by using filters. colors and image combination. Further the researcher could draw out the self-identity by combining digital techniques and original block painting. In the study, the researcher intended to determine the outer identity of the real world through original block printing, clarify the nature of the inner world(virtual space) with reference to digital media, examine resultant changes in social and ethical norms and profoundly look into her self-identity, ultimately making the works popularized and adapting her own aesthetic sensitivity to pop culture. In art, skills of visual understanding should not focus only on objects any more, but now on such flexible and continuously changing world on the computer, which is the world of interactive art. Though it may be virtual, the world is basically interdependent with spectators in genres needing them for artistic completion.

      • Etching기법을 이용한 기억 이미지 표현 연구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탁경아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판화의 개념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모해 왔다. 사진의 발명 및 보급이 전의 판화는 예술가 자신의 자유로운 발상에서 제작된 것도 다수 있으나 순수 예술적, 미적, 목적이외의 문화사적 내지 사회적인 기록 또는 자료로서의 가치 있는 것이 많았다. 현대에 와서는 자기 세계의 표현을 위한 방법으로서 회화나 조각을 선택을 하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판화매체가 본인들의 작업에 적합하며 그리는 행위와 만드는 행위에 의해 표현되어지는 작업과정에 매료되어 선택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판화에 대한 관심은 날로 고조되고 있으며 미술의 한 독립된 분야로 복수예술(複數藝術)에 의한 경제성, 대중성, 편리성 등에 힘입어 회화와는 달리 표현의 독자적인 창작품으로서 그 기술이 고도로 발달해 감에 따라 원화의 복제가 아닌 섬세한 기법의 발달과 함께 판화 특유의 독특한 표현세계를 정립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독창적인 창작품으로서의 표현을 위해 판화의 기법 중 가장 섬세하고 깊이감 있는 동판화의 기법인 Etching을 선택하였다. 이를 통해 무의식에 잠재되어 있던 '기억 이미지'의 상징적 메타포로 상실감을 비유한 'Heimatiose'와 망각의 현상을 표현한 'oblivion'을 선정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내면의식의 표현을 통한 상징적인 형상의 구체화, 그에 따른 효과적인 이미지의 기술적인 표현 방법과 작품에 사용되어진 색채의 의미등을 연구함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 세계를 정립하고 또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concept of engraving vari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places. Before the invention and distribution of photography, some engravings were created based on artists own free views. But many engraved works were valued as social records or 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y, beyond just meeting artistic and aesthetic purposes. Today artists choose painting or sculpture as a means of expressing their own world. In a similar vein, engraving is employed because it is appropriate for artists work and its drawing and making processes are attractable themselves. More and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engraving. Now engraving is considered an independent multiple art with economy, popularity and convenience, which are difficult to be found in painting, and a creation of unique expression. The artistic genre is establishing its own world of expression avoiding just copying original images as related technologies and techniques are being precisely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used etching, the technique of copper plate printing as the most precise and deepest method of engraving in order to make a unique expression of her inner world. In relation, the researcher employed 'Heimatiose' which suggests the feeling of loss as the symbolic metaphor of remembrance image hidden in unconsciousness and 'oblivion' which is an expression of forgetfulness. In conclusion, here, the researcher intends to establish her own world and future direction of creation by studying the embodiment of symbolic forms via the expression of inner consciousness, ways of expressing images effectively and technically and the significance of colors used in related works.

      • 캐리커쳐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한컷짜리 캐리커쳐 중심으로

        하성율 牧園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599

        Paintings are utilized as an eppective method of communications. Caricature among these is a peculiar visual communication that is appropriate to express contradictoriness and irrationality in the modem society is so complicated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classes may not be carried out well due to its stiffness and misunderstanding. Thus, caricature plays a very improtant role in the modem society by providing with catharsis through its satiric characteristics the objective of this theses is to study the history of caricature and to define the comprehensive cancept of caricature. In fact, caricature has always been translated into cartoon or co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