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상공간에서 사유공간으로

        안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Questions for our fundamental being are important, being asked ceaselessly in our lifetime. With many questions about our being, this work began with a question about the true meaning of our being. This work is significant in its course of realizing that likely to be seen indifferently, objects and spaces around us exist in our reality, through the observation of actual spaces and objects. This means thinking of what is existent in reality, and this article aims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and meaning of objects present in reality in various ways and then expand thinking about our being in an actual space, with theaim of having a closer look at the resonance present in diverse phenomena and situations in reality. On the basis of the notion that everyday space where we live is the reality constructing myself at present,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a new viewpoint on the reality, by means of thinking about everything we face in reality. This study gives meaning on viewpoint at the state of ‘pause,’ rather than from a general viewpoint on being. Here, ‘pause’ dose not mean the suspension of physical time, but pause on movement, referring to the attitude to look something more intently. True reality is thought to be possible, only when being is seen from a concentrate viewpoint. In order to capture and show the encounter with objects seen in an actual space, objects at ‘pause’ are expressed as everyday spaces and objects paused, by covering them with cloth. The 'covering and hardening,' which is capturing of objects, is a metaphoric method open to a possibility to imagine not only the shape of an object, but also the space without the object. The covering and hardening process in which covers an object and the space it is located and fixes them firmly represents the process of thinking to make a transparent approach to things present in reality. Connecting things present in everyday space and the space makes a difference in a general viewpoint of things surrounding us and helps perceive differ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paces. Interest in actual objects serves as a chance for me to look at the space where I am at present and think about many objects present in the space. 존재에 관한 근원적인 물음은 삶을 살아가는 동안 끊임없이 사유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존재에 관한 많은 사유들 속에서 진정한 존재 의미에 대한 의문으로 이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본 작업은 무관심하게 바라볼 수 있는 주변의 일상적 공간, 사물들의 의미에 가치를 두고, 현실을 이루는 공간과 사물에 대한 관찰을 통해 나의 주변을 이루는 존재들이 현실적 상황 속에 실재하고 있음을 바라보는 과정에 의미가 있다. 이것은 실제 하는 것에 대한 ‘사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현실 속에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하는 대상들의 관계와 그 의미를 살펴보고 현실공간에서의 존재인식에 대한 사유를 확장시켜나가고자 한다. 이는 현실속의 다양한 현상들과 상황 속에서 드러내는 존재들의 울림에 조금 더 다가가기 위함이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일상의 공간이 지금의 나를 이루는 현실이라 생각되며, 현실 속에서 만나고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의미에 대하여 사유를 통해 현실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존재를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pause' 된 상태의 바라봄에 의미를 두었다. 물리적인 시간의 정지가 아닌 진행속의 멈춤이라는 ‘pause'의 의미와 연결하여 조금 더 집중해서 대상을 바라보는 자세를 말하며 집중한 시각으로 존재들을 바라볼 때 진정한 실재가 가능하다고 본다. 현실 공간 속에서 바라본 실체와의 만남을 포착하여 드러내기 위해 ‘pause'된 실체를 천으로 덮어 일상 공간과 사물을 정지된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사물을 포착하는 'covering 과 hardening' 은 사물의 형태뿐 아니라 사물이 없어진 공간을 상상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 은유적인 표현방법이다. 천을 이용하여 사물과, 그 사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덮어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과정은 실재하는 것들에 투명하게 다가가기 위한 사유의 과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일상 공간에 존재하는 사물과 공간을 연결시킴으로서 주변을 보는 일반적인 시각에 변화를 주고 사물과 공간과의 관계에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사물의 실체에 대한 관심은 지금 내가 발 딛고 있는 이곳을 다시 바라보고 그 곳에 존재하는 많은 대상들에 대한 ‘사유’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 일상 속에서 만난 특별한 그림자

        김고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Suffering dizziness in a great flood of images, I feel nostalgia for something natural and analogue which is not a product of machines. Thinking about what I‘ve liked since I was a child, I found out 'shadows', and that was such a sensitive image different from the ones we could see these days. Because the light is a part of nature, I thought the shadows could be also considered as a part of nature, and it surely has the natural beauty. I enjoy look into something where the shadows exist. One night I met an attractive shadow of a transparent object. In the old days transparency was considered as a precious property compared to jewels but it became worthless because of the mass production. Nowadays we have so many transparent things and people take their convenience and existence for granted. But still, I think the shadows of the transparent objects are like jewels. The shadows made from the transparent objects have two different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it is not only dreamlike, fantastical and abstract but it is also detailed and realistic than common shadow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lights and the change of material inside the objects make the shadows sensitive and changeable. So people only imagine how the shape of things would be, but it's almost impossible to know the exact shadow by thinking it. This work began to hold on this attractive shadows and the objects with me. I used artificial lights to get the effective shadows of the transparent objects. And then I took pictures of it and put the castings on the photos. The plaster cast objects are kind of a fossilized monument made of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object and the space time during my working. Most of the things used in the work are mass production or daily necessaries which we can easily find in homes. These objects were selected by chance but they can show pieces of my life. The shadows I met during working made me travel in dreams, fairy tales and helped me look back on the childhood. The transparent objects make fantastic shadows but they get thrown away easily like the other daily necessaries. As we set up a monument of the deceased, I put the mass of the plaster on the photo. In this process, it has thankful meanings of the transparent object and remembrance of the special shadows. All the working process- taking photos, making plaster casts and so on -are my actions and expressions to hold on the moment. We always want to get out of tired daily life. And we try to figure out the way to forget about one's life by going on a trip or being rewarded by something special. But if you are open-minded, you can possibly experience new things in you daily life. My child says an innocent 'Hello' to ants and flowers while taking a walk. Isn't this the mind we need? It won't be easy to wake up your tired mind but it could be different if you meet the daily scene you have ever imagined. Not just wondering but communicating with the object and having innocent mind, will make new experience to you. It will give a hug to your sensibility and offer a great energy in your life as well.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어지럼을 느낀 나는 이미지의 기계적인 생산물이 아닌 자연스러운 것, 아날로그적인 것에 대한 향수를 느낀다. 어린 시절부터 좋아 했던 것을 더듬어 보다 그림자를 떠올렸는데, 요즘의 이미지들과는 다르게 참으로 감성적인 방법으로 원본을 차용하고 있다고 느꼈다. 게다가 빛에 의해 생기는 그림자는 자연의 일부라고도 할 수 있으니 자연이 원래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까지도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다. 나는 그림자가 생기는 곳을 유심히 들여다보는 습관이 있다. 그러다 어느 밤, 집안 탁자 위에서 너무나 매력적인 투명 물체의 그림자를 만났다. 예로부터 보석처럼 귀하게 여겨지던 투명성은 인간의 편리에 의해 투명한 물체들이 대량생산 되면서 무가치해 졌지만 그것이 만들어 내는 그림자는 여전히 보석 같았다. 투명한 물체가 빛을 받아 만들어낸 그림자는 몽환적이고 환상적이어서 추상적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그림자에 비해 섬세하고 사실적이기도 해서 두 가지의 상반된 특징을 동시에 갖고 있다. 빛의 조건에 따라, 그리고 물체 안에서의 물질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그림자가 드리워질지는 실제로 그림자가 바닥에 그림을 그려 넣기 전까지 오직 상상력에 의존해야 한다. 이렇게 매력을 끊임없이 발산하는 그림자와 그 그림자를 만들어 내는 물체를 곁에 두기 위해 작업은 진행 되었다. 투명 물체의 그림자는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인공적인 빛을 이용하였다. 이를 사진으로 촬영하였고 촬영한 사진 위에 casting한 물체들을 올려놓았다. casting한 물체는 물체의 본래 성질에 나와 작업하는 동안의 시공간적 환경이 축적되어 마치 화석화된 덩어리처럼 만들었는데 이는 기념비적 성격을 갖는다. 작업에 이용한 물체들은 대부분 대량 생산되거나 집안에서 볼 수 있는 일상용품들이다. 이 물체들은 나의 우연한 선택에 의해 작업에 이용되었지만 개인적인 이야기들이 담겨 있어 나의 일상을 단편적이나마 드러내 보여 주고 있다. 작업을 하면서 만나게 된 그림자들은 나를 꿈속으로 안내했고 동화 속을 여행하게 했으며 어린 시절을 추억하게 했다. 투명한 물체는 환상적인 그림자를 드리우지만 다른 일상적 물체들처럼 쉽게 버려진다. 고인(故人)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비석을 세우 듯, 사진으로 찍은 투명한 그림자 위에 석고 덩어리를 만들어 올려놓는 과정 속에는 나에게 특별한 그림자를 만들어 준 투명 물체에 대한 고마움과 투명한 물체와 소통했던 시간의 회고적 성격이 담겨있다. 사진을 찍고, 석고로 casting 하는 일련의 작업 과정은 그 순간을 잡아 두기 위한 행위이며 표현 방법이다. 우리는 늘 지쳐있는 일상에서 벗어나기를 갈망한다. 그 방법이 일상을 접고 여행을 떠나거나 자신에게 물질적인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는 등의 조금은 특별한 방법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고 믿는다. 나는 특별한 그림자와의 만남을 통해 일상 속에서도 마음을 열어 놓는다면 그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을 경험했다. 나의 아이와 공원에 나가 산책을 할 때면 아기는 지나가는 개미와 꽃에게 ‘안녕’하며 천진하게 인사를 건넨다. 우리에게 이런 마음이 필요한 것 아닐까? 이미 지쳐있는 자신을 능동적으로 깨우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상상하지 못했던 일상의 풍경을 만나게 되면 생각이 좀 바뀔지도 모르겠다. 단순히 상상의 나래를 펴는 것이 아니라 물체와 소통하고 깨끗한 마음으로 그 속을 들여다보면 지금까지와는 사뭇 다른 새로운 경험을 할 수도 있다. 아주 평범한 일상 속의 무엇이 우리의 감성을 어루만져주고 삶 속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이다.

      • 내적으로 억눌린 자아에 관한 표현 연구

        이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논문은 착한 사람 콤플렉스 안에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나 감정들을 은폐하고 억압하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내적으로 억압된 심리에 관한 표현들을 연구한 것이다. 인간은 홀로 존재할 수 없고, 태생적으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회적인 존재이다. 인간이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해 감에 있어서 어떤 부류는 타인에게 적극적으로 다가서며 쉽게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지만, 그와 반대로 관계 맺는 것을 두려워하며 자신만의 틀 속에 스스로를 가두고 억압하며 관계를 원활하게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스스로를 억압하는 현상이 때때로 콤플렉스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 중 착한 사람 콤플렉스는 자신이 타인에게 착한 사람으로만 보이기 원하여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들을 감추고 억압하는 증상이다. 스스로에 대한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미치지 못하는 자신을 향해 끝없는 수치심을 느끼며 그런 자신을 용납하지 못하고 부정적인 정보들을 은폐함으로써 내적으로 억압하는 것이다. 이 때 발생하는 억압은 의식적으로 자신이 인정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정보들을 무의식의 세계 속에 가두어놓으려는 마음의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내적으로 억압된 심리에는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그것을 표출하고자 하는 욕구들이 따라다닌다. 나는 학창시절 또래 친구에게 거부당한 경험을 한 이후로, 타인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인간관계에서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는 착한 사람이 되고자 노력하였다. 스스로 높은 기준을 세우고 나의 부정적인 정보들을 은폐하고 억압하는 것이 수 차례 반복되어 결국 착한 사람 콤플렉스 증상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나는 스스로 착한 사람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그 틀 안에 자신을 넣으려고 한 지속적인 시도는 내 자신을 바르게 사랑하지 못하고 억압하고 경직되게 만들었고 그에 따라 마음의 큰 괴로움을 겪게 되었다. 그 괴로움이 차오를 때면 나는 억압된 심리들을 표출하고자 하는 큰 갈망을 느꼈고 그것을 표출할 수 있는 사적인 공간을 찾곤 하였다. 사적인 공간은 나 홀로 존재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물리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 모두를 포함한다. 나는 타인의 침입의 가능성이 적은 곳을 찾아 그 안에서 안식을 누리며 마음에 억압했던 심리들을 글로, 그림으로 쏟아내었다. 나는 이러한 학창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착한 사람 콤플렉스 하에서 이루어진 내적 억압 상태와 억압된 심리를 표출하는 표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나의 작업은 압축과 집적, 폐쇄된 공간, 제한된 규격 아래서의 드로잉의 3가지 요소로 이루어졌다. 압축은 물질에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물질을 압축시킬 때 변하는 형태와 그 잔여물을 통해 억압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을 시각화하는 데 적합하였다. 집적은 작은 낱개의 물질이 쌓여가면서 하나의 큰 덩어리를 이루는 방식으로 내가 학창시절부터 지속적으로 억압해왔던 심리들에 대한 시간성이 느껴지게 하였다. 폐쇄된 공간은 억압된 심리를 표출하는 공간으로, 공간 자체를 다른 재료들로 구성하여 심리적인 공간으로 만들거나 드로잉 한 것을 공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나타내었다. 제한된 규격 아래서의 드로잉은 장소의 제한을 받는 것을 의미하는데, 사적인 공간 안에서 이루어진 드로잉을 통해 제한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특수성을 가지게 하였다. 또한 여기서의 드로잉은 심장 크기와 비슷한 사이즈의 종이에 내면의 억압된 심리를 표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나는 위의 요소들 중 두 가지 이상을 서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작업을 전개하였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스스로의 부정적인 모습을 은폐하고 억압하는 현상은 누구에게나 어느 정도씩은 가지고 있는 것이며, 또한 콤플렉스는 여러 가지 유형으로 각 사람에게 나타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는 콤플렉스 증상으로 인한 내적인 억압 현상을 직면하고 억압된 심리를 표출함으로써 내적 억압으로부터 점차 자유롭게 되는 경험을 가지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xpression of release of repressed feelings based on my experience of the Good Person Complex which resulted in concealing and repressing negative information and emotions of myself. Man cannot live alone since man is a social animal who is to interact with others. In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others, some easily form an intimacy, but others confine themselves and have a hard time relating to those around them, being afraid of forming and maintaining a relationship. The latter tends to repress themselves, which is sometimes reflected as syndromes. Among them, the Good Person Complex is something that veils and represses one’s negatives to look good. Those who fall into this category set high standards for themselves and be ashamed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xpectations and the reality, which is the real image. Instead of accepting themselves as they are, they repress themselves by hiding their weaknesses. Repression followed by these reactions results from the desire to lock the negative information in the unconscious which they do not want to admit. On the contrary, beneath the repressed emotions lies the craving for expression as a reaction. Since I experienced a refusal in peer relationship in my school days, I always tried hard to be a good person who can be accepted by anyone. So I set high standards of my own and concealed the discrepancy naturally followed. This recurred over and over again, leading to the onset of the Good Person Complex. My continuous attempts to set my own criteria of good person and put me into the frame made me suffer for not being able to love myself, which ended up in repression and rigidity. Whenever the anguish went to an extreme, I could no longer suppress the desire to express the repressed, so I would look for a private spot to vent them out. It was where I could be by myself, both physically and emotionally. All I could do at that time was to find a place where others would not easily spot out and intrude on, resting in peace of my own while pouring out the repressed feelings in writing and drawing. With my past experience as background, I explored the expression of repression and release. My work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compression and accumulation, a closed space, and a drawing under the limited standard. Compression is to put pressure on materials, which was appropriate for visualizing invisible phenomena by the form changes when the materials were compressed and their residues. Accumulation is observed when little pieces of materials pile up into a big mass. This method was used to represent time period of my repressed feelings since the school days. A closed space is where the repressed emotions are vented out. To illustrate this, I used different materials to separate a space for the psychological use or spatially arranged what I drew. A drawing under the limited standard means that it is placed under a spatial restraint. By being drawn in a private spot, the drawing came to have a distinctiveness of being drawn in a confined space. Also, the method was used to express the suppressed inner feelings moment by moment. I developed the work by using two or more of the four elements simultaneously. The behaviors of concealing and repressing one’s negatives are found in anyone who is living today. Also the followed different types of syndromes are found in each. This study allowed me to face my repressed feelings caused by the Good Person Complex and express the suppressed emotions, thus gradually freeing me from repression.

      • 반복 행위의 흔적으로 나타나는 공간감

        한혜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traces made by successively repetitive actions are like the record of time. The record is the mark of repeated and continuous motions and reveals time. Semitransparent material which impresses dim and shiny makes us imagine something beyond as well as it brings about mysterious and dreamy feelings. My work is based on the interest about sensitive and smooth feeling. I express the traces made by the gestures of continuously tearing and pasting changeable semitransparent paper among various materials through my works. The materialistic characteristic of semitransparent paper like this motivated me to become curious about it and to get myself absorbed in it. In addition, the delicate motions created from the piece of paper piled up another piece of paper and the extended space by the linked motions of them also encouraged me to concentrate on this work. The piling up of sides can give a dynamic characteristic and continuance to a space through proper changes of light and the size in a unit. This not only expresses the space which can easily become monotonous and boring with various feelings of motion, but also creates the effect of coincidence which is not planned beforehand. Also, when a unit is overlapped with another, the difference of whether the shapes of what comes first and what comes later are clearly visible or not results in the effect of transparency. The work begins by leaving all actions to contingency and tearing paper. The torn paper like this is connected again. This act is not to create something. It goes on with no purpose or intention, because it has no particular shape. The control of consciousness intervenes between the actions, which harmonize with the accidental effect and are expressed in the work. It creates the feeling of unlimited extension. The moments of the action progressed like this remain as traces and become visibl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overlapped piece of paper with another piece seen from the result of the action cannot be divided from each other, so they escape from the concept of successive time and keep each moment. The work consisting of subtle variables transcends the physical world and creates the effect of dim rays by unphysical light. It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 meditative space. Likewise, when one does the same action while concentrating on every moment, one can feel continuous present, that is, eternity, through the moments of connecting pieces of paper.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my work is made up of a series of actions performed during the time, and the action, time and space come to have ‘simultaneity.’ 반복적인 행위의 연속으로 인한 흔적들은 시간의 기록과도 같은 것이다. 그 기록은 반복되고 연속적인 행위의 궤적으로 시간성을 드러낸다. 반투명한 상태는 투명함과 불투명함의 중간적 상태로 경계에 있어 모호한 성격을 가진다. 은은하고 빛이 나는 느낌을 주는 반투명한 소재는 그것 너머의 어떤 것을 상상하게 하게 하며, 이것은 신비하고 몽환적인 느낌을 가져다준다. 이와 같이 섬세하고 부드러운 느낌에 대한 관심이 나의 작업의 근간을 이룬다. 나는 반투명한 성질을 가진 여러 가지 소재 중에서 많은 가변성을 지니고 있는 반투명한 종이를 사용하여, 계속해서 찢고 붙여나가는 손놀림에 의해 드러나는 흔적들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작업의 재료로 사용되는 반투명한 종이가 갖는 신비한 소재적 특성은 내가 그것에 호기심을 느끼고 몰입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하나의 종이 조각과 또 다른 종이 조각의 중첩으로 인해 나타나는 섬세한 움직임, 그 움직임이 연결되어 공간이 확장이 되어가는 것이 작업에 열중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면의 중첩은 빛과 단위형의 크기의 적절한 변화로 공간에 운동성, 연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은 단조롭고 지루하기 쉬운 공간을 다양한 운동감으로 나타낼 뿐 아니라 사전에 계획되지 않은 우연의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한 단위가 다른 것과 겹쳐졌을 때, 그 우선된 것과 나중된 것의 형태가 뚜렷하게 보이거나, 불분명하게 보이는 것의 차이에 따라 투명성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작업은 모든 행위를 우연성에 내맡긴 채 종이를 찢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렇게 찢어진 종이 조각들을 다시 이어 붙이면서 계속 연결해 나간다. 이때의 행위는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기 위함이 아니다. 그것은 어떤 특정한 형상을 갖지 않기 때문에 무목적적이며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다. 행위에는 의식의 통제력이 개입되며 이것은 우연적 효과와 조화를 이루면서 작품에 나타난다. 이것은 무한히 확장하는 듯 한 느낌을 갖게 한다. 이렇게 진행된 그 행위의 순간들이 흔적으로 남아 가시적으로 보여 지게 된다. 행위의 결과물에서 보여지는 종이 조각과 다른 종이 조각의 중첩은 시작과 끝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속적인 시간 개념에서 벗어나 순간순간을 담아낼 수 있게 된다. 미묘한 변이들로 이루어진 작품은 물리적 세계의 차원을 넘어서 비물질화 된 빛으로 인한 은은한 광선의 효과를 감지하게 한다. 이것은 명상적 공간을 체험하게 한다. 이처럼 매순간 집중하여 같은 행위를 하다보면 종이 조각을 연결하는 그 순간을 통해 계속되는 현재, 즉 영원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들로 인해 나의 작업은 그 시간동안 행해지는 일련의 동작으로 이루어져 행위·시간·공간은 ‘동시성’을 가지게 된다.

      • 어루만짐을 통한 표현 연구

        송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A tactile behavior to touch something is more pristine and friendly behavior than visually “seeing”. Tactile sense is the first memory having been u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mother prior to the sense of sight. Also, it connects the physical body of the entity with the world. Among such tactile behaviors, the comforting behavior by the gentle stroke corresponds to ‘touching with the gentle hands of soul (“eol” in Korean)’. That is to say, it denotes a touch together with vitality of spirit. “Eol” is compatible with “Jeongsin” (or spirit) or “Neok” (other expression of soul in Korean, quite often this word indicates a departed spirit or soul) or “Hon” (in literal sense, it strongly suggests the ghost or spirit of a deceased person. In some case it means vigor of life.). For this reason, a comforting by the gentle stroke is the behavior in which the aspect of spirit or mind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ordinary action of touching. In my works, the comforting behavior by the gently stroke is divided into two expressional methods, namely polish and copy. Given polishing work is performing the comforting behavior by gentle stroke directly, copy is rather deemed as psychological behavior. The object and the entity are able to obtain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 as well through the comforting behavior by gentle stroke. Such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 can be obtained amid sympathy between the object of being comforted by the gentle stroke and the entity of behavior. In the works of polishing, the artist obtains such quality through the sympathy with crude gypsum and marvel surface, and in the copy works, through sympathy with such objects as zebra and pieta statue. In the television documentary about the trip to the Holy Land, I once saw a stone statue that had been well polished coincidentally by touches of many people, and was very much impressed with such look. It can be seen that the well polished part of the sculpture are the results of worn-away through individual wish and yearning of numerous people. Therefore, the sensation of pleasure and inspiration that felt from the polished part of the sculpture has been caused not only by the smoothed shape thereof, but also it is due to individual life of a great number of people and their craver, who have caused a part of the statue to be worn away for a long period of time. Polishing works started with the motivation arisen from such inspiration and sensation of pleasure. In my works, polishing is a behavior to make rough surface smooth by grinding and shining. In this process, such tactile behaviors as touching and smoothing down the rough and angular surface are performed together ceaselessly. This may be considered a behavior to encompass such concepts as the thing that has not been refined yet, and that abject, and that is lower, from the perspective of touching the rough and angular surface with gentle strokes. And, the copy that is a different way of expression is a method to draw by transcribing the image being reflected underneath having placed the transparent OHP film over the image. The materials of copy are zebra,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weak and fragile existence, and the pieta sculpture,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sublime subject. I regarded the zebra as a weak and fragile existence. Zebra, which is an herbivore, just runs away when ferocious animals appear, but Zebra doesn’t have any strength to fight against such fierce animals. Such feebleness of zebra connotes the fact that zebra may easily get hurt or die. Meanwhile, the pattern of this animal is so intense and stimulative. As much as its feebleness, and as much as its instinct to survive, the pattern of zebra that wears protective coloring is being felt so strong. The other material of the works is Michelangelo’s pieta sculpture. The things felt from this statue are the dark side of human life, like death, pain, and sorrow, and also transcendental will thereto. Maria maintains a detached attitude toward the death of Jesus.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such releasement was the consequence of religious faith and spiritual strength to overcome death. Pieta sculpture is the subject that brings comfort to me due to the fact that death and pains are destiny of all human beings and also due to Maria’s transcendental attitude. I found the dark side of life, like death, pain and fear commonly from the zebra and pieta sculpture. These are the subjects where my sensations of fear of death and pains that I myself felt from life have been reflected. The images of zebra and pieta sculpture that transcribed on the film are presented with the method to hang in the air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ransparent and light quality of materials from others. Hanging images are being felt as if these were from different dimensions in the aspect of time, space, and size having been overlapped and absorbed one another. This is because of overlapping between images, swaying, and visual change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e moment that doesn’t reveal any clear indication if the images would be overlapped or not. Such transcendental feelings are reappeared as the different form through the overlaps of three images, like the image of zebra and pieta statue, and the visitors who view the artworks having entered between the images. This can be described as transcendence in relation to existence value established by human beings. The images of zebra and pieta sculpture that can be considered a contrasting standard of value that classified by human beings are seen as an overlapped image. And the visitors will enter between the images. Consequently, the image of zebra, pieta sculpture and humans are overlapped and seen as if they were one single image. This will definitely make people remind of the question about the standard of value established by humans themselves. Likewise, the motivation for this research was the interest in the dark side of life. Through the works with comforting behavior by the gentle stroke, the writer tried to embrace the dark side of life, like death, pain and fear. Also, this is an attempt to discover a pure natural belief and will of human beings under the atmosphere of modern society that tends to pursue external value, and evaluates humans with instrumental value. 무언가를 만지는 촉각적인 행위는 시각적인 ‘봄’ 보다 원초적이고 친밀한 행위이다. 촉각은 시각 이전에 아이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사용된 최초의 기억이다. 또한 주체의 몸과 세상을 연결시켜 준다. 이러한 촉각적 행위 중에서도 어루만짐은 ‘얼로 만지다.’ 즉, 얼의 기운으로 만진다는 뜻이다. 얼이라는 것은 정신, 넋, 혼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루만짐은 일반적인 만짐보다 좀 더 정신, 마음의 측면이 강조된 행위이다. 나의 작업에서 어루만지는 행위는 연마(polish), 모사(copy)라는 두 가지 표현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연마 작업이 직접적으로 어루만지는 행위를 하는 것이라면, 모사 작업은 보다 심리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어루만지는 행위를 통해 대상과 주체는 정서적인 위로와 안정을 느끼게 된다. 이 같은 정서적 위로와 안정은 어루만져지는 대상과 행위의 주체 간의 교감을 속에서 얻어진다. 나는 성지순례에 관한 TV 다큐멘터리에서 많은 사람들이 만져 우연적으로 연마된 돌 조각상을 인상 깊게 본 적이 있다. 조각상의 연마된 부분은 수많은 사람들 개개인의 바람, 염원으로 인해 우연적으로 연마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조각상의 연마된 부분으로부터 느낀 감흥은 부드러워진 형태에 대한 것일 뿐 아니라, 긴 시간동안 조각상의 한 부분을 마모시킨 수많은 이들 각각의 삶과 바람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나의 연마 작업은 이러한 감흥을 동기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마 작업은 거친 표면을 손으로 갈고 닦아 부드럽게 만드는 행위이다. 이 과정에서 거칠고 모난 표면을 만지고 쓰다듬는 촉각적 행위도 끊임없이 함께 이루어진다. 이것은 거칠고 모난 대상의 표면을 어루만진다는 점에서 정제되지 않은 것, 비천한 것, 낮은 것과 같은 개념을 포용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표현 방법인 모사는 투명한 OHP 필름(film)을 상(像) 위에 놓고, 밑에 비춰지는 상을 베껴 그리는 방법이다. 모사의 소재는 연약한 존재로 본 얼룩말과 숭고한 대상으로 본 피에타 조각상이다. 나는 얼룩말을 연약한 존재라고 보았다. 초식동물인 얼룩말은 맹수가 나타나면 도망칠 뿐, 이에 대항하여 싸울 수 있는 힘이 없다. 이러한 얼룩말의 연약함은 쉽게 다치거나 죽을 수 있음을 내포한다. 반면에 그 무늬는 강렬하고 자극적이다. 얼룩말의 연약함만큼 그리고, 살아남고자 하는 본능만큼 보호색인 무늬는 강렬하게 느껴진다. 작업의 또 다른 소재는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조각상이다. 피에타 조각상으로부터 느낀 것은 죽음, 고통, 슬픔과 같은 인간 삶의 어두운 측면과 그에 대한 초월적 의지이다. 예수의 죽음을 바라보는 마리아의 태도는 초연하다. 이러한 초연함은 종교적 믿음과 정신적 극복에 의한 것이리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피에타 조각상을 통해 죽음, 고통이 모든 인간의 숙명이라는 점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을 초연하게 대하는 마리아의 초월적인 태도 또한 나에게 위로가 되는 것이었다. 나는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으로부터 공통적으로 죽음, 고통, 공포와 같은 삶의 어두운 측면을 보았다.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은 나 스스로가 삶으로부터 느낀 죽음, 고통 그에 대한 공포의 감정이 투영 된 대상이었다. 필름에 모사된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의 이미지는 재료의 투명하고 가벼운 성질을 부각시키고자 공중에 매다는 방법으로 제시된다. 매달린 이미지들은 서로 겹쳐져서 시간, 공간, 크기 면에서 다른 차원의 것처럼 느껴진다. 이는 이미지 간의 겹쳐짐, 흔들림, 겹쳐질 듯 말 듯한 찰나가 주는 시각적 변동 때문이다. 이러한 초월적인 느낌은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의 이미지 그리고 그 사이로 들어가 관람하는 관객 이렇게 세 이미지의 겹침을 통해서 또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이것은 인간이 세운 존재 가치에 대한 초월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분류한 대조적 가치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인다. 그리고 그 사이에 관객이 들어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얼룩말, 피에타 조각상의 이미지 그리고 인간의 모습이 겹쳐 하나의 장면처럼 보이게 된다. 이것은 인간 스스로 만든 가치 기준에 대한 물음을 떠올리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연구는 삶의 어두운 측면에 대한 관심을 동기로 한 것이다. 이에 대한 표현으로 어루만지는 행위의 작업을 통해 죽음, 고통, 공포와 같은 삶의 어두운 측면까지 포용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외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인간을 도구적 가치로 평가하는 현대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인간 본연의 순수한 믿음, 의지를 발견해보고자 한 시도이다.

      • 부유하는 가치의 가벼움에 대한 표현연구

        이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re are numerous values in the world. And these numerous values are being circulated and understood in different forms in each society. As world becomes more complicated, values that exist in the world also become more diverse as well. Looking only at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s often expressed as flood, we can grasp how many values we face daily. Together with progress of capitalism, the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further complicates and diversifies values in this age and time. As such, there are many values floating around in the world, and they're sometimes recognized and accepted by people living in this age for different reasons and in different hapes. And through this process of recognition and acceptance, the so called 'universality' is acquired. That is, it is accepted in itself even if it is impossible to decide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In our lives, even if some things are quite not right, if many people do it or if it is in a general social atmosphere to do it, one accepts them sooner or later. However, not all of the numerous values that we empathize with in the name of 'universality' have genuine value. That is, among values that float around the world, there are surely to be values that are very frivolous. Information and images flowing through various media occasionally produce syndrome in our society. In the present time, this word is used more often to mean societal 'trend and vogue', 'heat and strong wind' rather than to mean psycho-medical term. Syndromes manifest desires, hopes, and values of people living in the same age hope to share. But large majority of syndromes vary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nd they often stay as peripheral culture as opposed to central culture. In our country, the intensity of such phenomenon has heightened to such an extent that an expletive called 'syndrome syndrome' has appeared. As can be seen, syndrome is an appropriate term in explaining floating values, that is, attitude that is swayed by people's movements without one's firm conviction or action that the researcher tried to coin. Although following contemporary vogue and imitating it can be a form of preventing oneself from being isolated from modern society, the examples shown in the paper are cases that failed to appropriately control one's desires and their satisfaction. Further, those cases are also the ones that can be found easily around us. The researcher suggests 7 kinds of syndromes in the paper, and the researcher seeks to present how these influence people's lives as they're disjoined from societal values, in direct phraseology. By presenting reality of society in random impression, the paper seeks to satirize the lightness of things that people living in this day and age put their values on. 세상에는 수많은 가치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수많은 가치들은 각기 다른모습으로 각각의 사회 안에서 통용되고 소통된다. 세상이 복잡해지면서 그 세상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가치들 또한 매우 다양해졌다. 이른바 홍수라고 표현되는 정보의 양만 보더라도 우리가 매일매일 직면하는 가치들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자본주의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 통신의 발달은 이 시대의 가치 또한 복잡 하고 다양하게 하고 있다. 이렇듯, 세상에는 수많은 가치들이 떠다니고, 그것들은 각기 다른 모습 다른 이유로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인정받기도 하고, 수용되기도 한다. 그리고인정받고 수용되는 과정을 통해 이른바 ‘보편성’을 획득하게 된다. 즉, 그것이옳고 그름으로 판단되지 않더라도 있는 그 자체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우리의 삶 속에서, 그것이 다소 바르지 않다고 해도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보편적으로 행하거나, 사회의 분위기가 그러하다면, 그것을 곧 받아들이게 된다. 하지만, 우리가 ‘보편성’이라는 이름으로 공감하는 수많은 가치들 모두가 진정 가치 있는 것들은 아니다. 즉, 세상을 떠도는 가치들은 매우 경박한 것 또한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각종 매체를 통해 쏟아지는 정보와 이미지들은 우리가 사는 세상에 종종 신드롬을 만들어 낸다. 오늘날 이 말은 정신의학적인 용어라기보다는 사회전체의 '풍조와 유행', '열기와 열풍' 이라는 뜻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신드롬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유하고자하는 바람이나 소망, 그리고 가치관을 나타낸다. 그러나 신드롬의 대다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변적이며, 중심문화에 대한 주변문화로 머무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그 강도가 높아 '신드롬 신드롬 '이라는 조어까지 등장했을 정도이다. 이렇듯 신드롬은 연구자가 말하려고 하는 부유하는 가치 즉, 자신의 확고한 신념이나 자세가 결여된 채, 사람들의 움직임에 흔들리는 태도를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동시대의 유행을 따르고 모방하는 것은 현대 사회 속에서 자기자신이 소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일 수도 있겠지만, 이 연구에 등장하는 예들은 자신의 욕망과 그에 대한 충족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들은, 우리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예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7가지의 신드롬을 제시하고, 그것들이 세상의 가치들과 결부되면서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으로 드러나는지를 직접적인 어법으로 표현한다. 이른바 명품이라고 불리는 상품을 오브제로써 직접 작업에 도입하기도 하고, 또 그것을 캐스팅하여 복제된 명품의 생산도구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또, 영상설치는 과장된 표현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치에 대해 역설하였고, 오브제가 원래 가지고 있는 형태를 왜곡시킴으로써 과잉된 욕망이 빚어내는 현실을 표현하였다. 7가지의 신드롬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도 하고, 각각의 독립된 이야기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연구자 자신이 당대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서의 시각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즉, 소비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갖게 되는 인식이 포함되는 것이다. 이는 사회현실의 단면을 보여줌으로써, 지금을 사는 사람들이 가치를 두고 있는 것들이 갖는 가벼움을 풍자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각자가 지금 딛고 서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가치를 되새겨 보게 하는 데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코쿤(cocoon)의 형태를 통한 치유적 공간 표현

        민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인간의 행복은 땀방울에 간직된 아늑한 사랑의 품 속 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현대 사회인들을 보면 ‘나는 행복하다’라는 말을 쉬이 못하는 것이 현주소이다. 인생이라는 것, 삶이라는 것은 신이 주신 최고의 선물이다. 그러기에 하루하루를 소중하게 그리고 최선을 다해 살고 또 맘껏 누려야 한다. 하지만 과연 이렇게 삶을 소중하게 여기며 늘 감사할 수 있는 사람들이 몇이나 될까? 사람은 홀로 태어나 홀로 떠난다. 즉, 인생이라는 것은 나만이 풀어야하는 과제이자 고독한 여행이다. 나는 ‘죽을 때 후회하는 스물다섯가지’ 라는 오츠 슈이치의 책을 읽으면서 생을 마감할 때 혹은 병상에 누워 죽음을 맞이하려는 사람들에게서 그제 서야 ‘인생’에 대한 깊은 의미와 가치를 찾으려고 하는 절실한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는 생의 끝자락에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인지를 보여 준다. 그렇다면 과연 후회하지 않는 지혜로운 삶, 행복한 인생이란 무엇일까? 대학 졸업 후 5년간의 교직 생활을 통해 나는 많은 학생들과 함께 생활해가며 다양한 삶의 모습들과 그들의 상처를 통해 아이들의 갈증과 필요를 느끼며 아픔을 함께할 수 있었다. 학교에서 일어나는 많은 아이들의 문제가 사랑의 결핍으로 비롯된 대인관계의 문제와 소통의 문제, 그리고 환경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와 삶에 대한 부정적 관점, 낮은 자존감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즉, 이런 문제들의 표상은 적극적으로는 문제의 행동으로 드러나고 소극적으로는 자기 안에 갇혀 우울증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크고 작은 우울증의 현상들이 꼭 문제아들만이 아니라 꽤 많은 학생들에게서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자신의 삶에 대한 의지와 꿈과 희망보다는 좌절과 무의미한 삶 속에서 많은 일들에 흥미가 아닌 의무로만 임하고 있었으며 참으로 나약함 그 자체였다. 특히 낮은 자존감으로부터 오는 공허와 허무감은 심각한 상황이었다. 자존감이란 인간 내면의 핵심적 요소로서 자기 내적인 인간의 가치를 높이고 자신을 사랑하며, 자신감 있게 살아갈 수 있는 자아상을 지키는 것으로 행복감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본 연구자의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서도 다수의 아이들의 삶 속에 ‘행복’이라는 단어는 멀기만 한 단어였다. 이러한 현상은 단연 오늘날 청소년기 학생들만의 현상은 아니며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많은 현대인들에게도 해당된다. 오늘날 현대 사회인의 삶은 물질만능주의 풍토에 의해 인간의 정신적인 가치보다는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게 되었고 인간의 끊임없는 물질적 욕구의 추구는 정신과 물질의 이중구조 사이에서 갈등의 원인이 되며 이기주의, 개인주의, 비인간화 등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로 이어진다. 각박한 도시생활에서 생기는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아가며 경쟁해야 하는 우리 현대인들은 현실에 부딪혀 때로는 지치고 넘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요즘 사회적 이슈로 문제시되고 있는 현대인의 우울증 문제는 어쩌면 예상된 현상일지도 모르겠다. 더욱이 자기가 처한 환경에 억눌리고 자기 안에 갇혀 우울증이라는 실체로 결국 자기 자신의 소중한 삶까지도 포기하는 나약한 현대인들을 오늘날 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점점 복잡해지고 위험해지는 사회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자신만의 공간 안에서만 생활하고자 하는 코쿤족을 등장 시켰으며, 이에 따라 현대인에 있어서 코쿤이라는 공간적 의미를 찾게 된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현대사회인들의 자존감과 인간성 상실을 통한 무기력함 이라는 우울한 현실의 사회적 문제를 전제로 하여 코쿤이라는 소재를 통해 현대인의 치유를 위한 공간을 표현해 보았다. 즉, 코쿤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코쿤의 생태적 특성에서 비롯된 ‘공간’의 의미를 현대인의 삶의 과정으로서의 공간으로 보았으며, 코쿤의 형태를 통한 치유적 공간을 심리학적 치유방법으로서 공간(자기공간, 실존적 심리공간), 빛, 색채, 음악이라는 테라피적 요소를 적용해 조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치유를 돕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코쿤(cocoon)이라는 형태를 통해 현대인들의 치유를 위한 공간을 제시함에 있으며, 이로써 현대인들에게 건강한 마음을 회복하여 삶에 대한 희망과 의지를 주고자 한다. Happiness of mankind can be found in a cozy bosom of love that is kept in a drop of sweat. Sadly not many can easily say “I am happy” in the present day society. Regardless, Life is a single most valuable God-given present. Therefore we must appreciate today and live the life to the fullest. But how many can actually appreciate what they have and always be thankful? Naked one came from his mothers’ womb, and naked he departs. Life is a question only one can answer for oneself. I could peek at those who were desperately trying to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t their deathbed while reading ’25 regrets of the life’ by Otsu Shuichi. This case shows an importance of fin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lbeit finding it at the deathbed. Then what is a life without regrets? What is the happiness of life? I spent 5 years teaching the adolescent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During this time, I was able see many different life styles and various emotional wounds. This experience enabled me to understand the thirst and the needs of these children and to understand their pain. I have come to understand a few causes of these adolescent issues, which ar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issues due to their lack of love, stress from the peers, family members and other environment, negative perspective on life, and a low self-esteem. These problems will burst as violent actions outside and gets trapped and become a depression inside. The problems is, these depression issues aren’t always limited to problem child but amongst many others as well. Rather than living for their hopes and dreams, their everyday lives were filled with frustration and pointlessness. Rather than doing things out of interests, they were doing things out of duty. Emptiness and futility coming from low self-esteem was especially a serious problem. Self-esteem is a critical part of a human characteristic; it builds inner value of oneself, and it allows one to live proud. Looking at how self-esteem affects a person, it is clearly tied to the happiness. My face-to-face talk with students also revealed that the lives of the adolescents were far from happy. This phenomenon isn’t limited to the students but also the modern men living today’s society. Many members of the present day society value materialistic gain rather than spiritual development. Unending greed of materialism is changing our society to become selfish and inhumane. Stress from relationships, flood of information and unending competition hits us hard in the name of reality. In this situation, the newly arising issue of mental depression perhaps isn’t a surprise. And some even give up their lives because of the depression. This phenomenon introduced a new group of people called “Cocoon group”. This “Cocoon group” depicts those living in seclusion from the society, wanting to protect themselves from dangers and complications. In my work, I began with looking at social issues such as loss of humanity and self-respect, then used cocoon as a symbolic space for healing of modern men. In other words, I viewed the space derived from cocoon’s biological characteristic as modern men’s process of life. Moreover, using therapeutic elements such as space (personal space, existential psychological space), light, color, and music, I hope to mould a cocoon shaped space into a space for recovery. Ultimately, m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pace of healing and to restore hopes and passion for life in modern society.

      • 현대 사회의 도시에 대한 표현연구

        윤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Our modern society is inseparably related with cities. It may be said that in this age we live our life in cities, and we often discuss our life quality engaged with development of cities. However, the cities constructed under a system of our modern society put highest priorities on materials and functions, and thus, our modern men suffer from alienation caused by anonymity as well as from loss of humanity. Ultimately, the value of human beings has come to be shaken. Thus, our modern men are faced with various problems, losing the meaning of their dignity. Our modern cities are well developed externally in terms of stable structure and order as well conveniences for men, but they are not matured internally, being collapsed.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expressing, through reinterpretation of urban building images, the mental picture of our modern men who are living in well-developed modern society but have lost their value of dignity for themselv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some specified eraser (0.8 x 1.6 x 5.9). Its function is erasion, while its property is similar to rubber, namely flexible. In addition, it is sort of industrial commodity produced in a certain lot, and particularly, a gray eraser may well be properly substituted into our modern men's psychological state, being a metaphor of a strong e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ress the images of our modern cities through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unit erase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ubstitutes erasers into cubic urban building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reviewed what cities imply for our modern men and examined the meanings of the ordinary objects changing, and thereupon, surveyed the works expressed by merging or stacking the units of industrial products or buildings. Despit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ities for us, the researcher judged that they have more negative aspects after all, which serve to threaten the values of our human existence. Such an emotional perception was substituted into urban building images to analyze the motives and contents of the works being developed accordingly. Then, geometric unit elements of erasers were used together with their properties to express the process of the buildings being constructed and demolished. Thus, the researcher relied on her personal experiences to set the motives for works and analyzed them in terms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contents and methods of their ex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express in the specified an impersonal forms of erasers the images of the cities built to protect men but demage our dignity. After all, each unit of eraser may represent the geometric unit or building where our modern men live their life or our modern men themselves; second, the erasers were built as units but their properties were adequate enough to express the forms being worn out and demolished. The erasers may well be contrasted with our modern building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intensity and geometric forms to highlight the contradictory images of our cities; third, the geometric eraser stacks with some parts of them worn are reminiscent of our solid cities being demolished. The mechanic and industrial images of cities are expressed by the gray erasers only to feature our modern society being farther distanced from nature and our original look. All in all, the works urge us to reflect on the problems cause by the unbalanced combinations in the industrial society devoted only to men and our growth. 현대 사회와 도시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이 시대의 삶은 도시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으며 그것의 발달 정도에 따라 우리는 삶의 질을 논의하곤 한다. 하지만 현대 사회의 시스템에 의해 구축된 도시는 물질과 기능을 우선시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현대인들은 익명성에 의한 고독감, 인간성 상실 등의 문제를 겪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존재 가치가 흔들리게 된 것이다. 결국 현대인들은 스스로에 대한 존엄의 의미를 상실한 채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현대 도시는 외형적으로는 안정적인 구조에 의한 질서와 인간에 대한 편의성은 발달되고 있으나 내적인 면은 성숙되지 못하고 허물어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도시 사회에서 존엄의 가치를 잃어버린 현대인의 심상을 도시 이미지로 형태화하였다. 본 연구에 있어 재료는 규격화된 지우개(0.8 x 1.6 x 5.9(cm))를 사용하였다. 지우개의 기능상의 특징은 지울 수 있다는 것이고 고무의 특성으로 인한 물렁함도 있다. 또한 지우개는 공업제품으로서 일정한 단위를 이루고 있으며 지우개의 회색은 감성적 의미로서 현대인의 심리적 상태에 대입하기에 적절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이미지를 직육면체의 도시 건축물에 지우개를 대입하여 표현하였다. 그리고 지우개 하나하나의 단위 요소를 이용한 구축과 해체의 과정을 통하여 현대사회의 도시에 대한 심상을 형태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현대인에게 있어서의 도시의 의미와 일상적 사물의 변화에 의해 발견되는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산업 제품 또는 건축물의 기본 단위와 같은 것들을 집합 또는 쌓는 행위를 통하여 표현된 작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표현 내용에서는 도시가 우리에게 제공하는 긍정적인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는 부정적인 측면이 많다고 판단하였고 부정적 영향은 인간의 존재가치를 흔들리게 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정서적인 인식을 도시 건축물의 이미지에 대입하여 그에 따라 전개되는 작품의 모티브와 내용을 밝혀 나갔다. 표현 방법에서는 기하학적 형태의 지우개의 단위 요소들을 통하여 건축물의 구축과 와해 그리고 지우개의 기능의 특징을 이용하여 마모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작품 분석에서는 개인적 체험에서 얻어진 작품 동기를 밝혔고 이론적 배경과 표현 내용 및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결국 인간의 존엄성까지 해하고 있는 도시의 이미지를 회색의 규격화되고 개성 없는 지우개의 모습으로 표현하는데 적합하였다. 따라서 지우개 하나하나의 단위는 각각의 현대인의 삶이 영유되고 있는 기하학적 단위의 건축물일 수도 있고 현대인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둘째, 지우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이를 구축하였으나 고무의 특성에 의해 유연하게 마모되고 와해되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구조적인 견고함과 기하학적이라는 특징의 현대 도시의 건축물들을 그것과는 다른 재료로 보임으로서 현대 도시의 모순된 상황에 대한 심상을 보일 수 있었다. 셋째, 지우개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쌓인 모습의 일부분이 마모되어지는 모습은 마치 견고한 도시가 허물어져 가는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회색의 지우개를 통해 보여지는 기계적이고 공업적인 도시의 이미지들은 나타내어 자연과 인간 본연의 모습과 멀어지고 있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는 모두 우리 사회가 인간과 발전 위주의 산업 사회 사이에서의 불균형적인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숙고하게 한다.

      • 사물에 대한 또 다른 메타포와 일루젼으로서의 단면(斷面)

        이경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보이지 않는 영역과 외형적 이미지의 진정성에 대한 의문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궁금함은 자르기라는 통로를 거쳐 내부를 들여다보는 것으로 연결되었다. 모든 사물에는 좌, 우, 앞, 뒷면이 있고, 단면도 있다. 하지만 공간을 수학화 시킨 원근법적 사고는 관조자가 바라보는 한 방향으로 깊게 보되 총체적인 구조에 대한 부분은 배제시키도록 만든다. 우리가 외형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은 거리감과 공간감을 포함하는 공간적 인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르기를 통해 드러나는 단면(斷面)은 입체성이 사라진 이미지로, 보이지 않았던 내부의 기능적 요소들을 숨김없이 드러내며 관념적으로 고정되어있던 외형적 인식으로부터의 변화를 가져온다. 잘려진 단면은 그 외부를 보았을 때는 알 수 없는 '보이지 않았던 것과 만나는 것'이며, 사물에 대한 기존의 인식체계가 해체되는 동시에 세상을 인식하는 새로운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단지 무지에 대한 탐구가 아닌 외형적, 가시적 세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우리의 시각에 대해 다른 관점으로의 확장을 꾀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포괄적, 심층적, 내면적 시각으로의 전의를 뜻한다. 내부로의 접근방법으로서 자르기는 분해 또는 해체 등의 방법으로 다양화되고 이러한 방법적 확대는 ‘사물에 대한 또 다른 메타포와 일루젼으로서의 단면’이라는 또 다른 사유의 영역으로 확장된다. 작업의 표현에 있어서는, 기능을 가진 사물(오브제)을 빌려와 표현하였다. 도구에 의해 필연적으로 드러난 단면은 스케일이 변화된 사진으로 표현되는데 정면-클로즈업된 사진은 내부의 요소들이 시각적으로 극대화 되며 또 다른 뜻하지 않은 일루젼으로 드러난다. 단면은 면들의 직접적인 만남으로 그 안의 요철들이 있는 그대로 드러나는 프레스 판화 기법과 같이 표현되기도 한다. 분해된 사물의 수평적 나열은 입체적 시점에 길들여진 우리에게 그 내부를 동시에-동등한 구조로 보여주고자 하는 표현 방법이다. 이러한 시점의 변화를 통해 사물 혹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열어두고 대상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 '동시에-동등한 시점'의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curiosity about disclosed areas and trust-worthiness of revealed images, which lead to an attempt to find the hidden essence embedded in surfaces through cross-sections created with cuts. When we look at an object, there can be several different viewpoints which lead to different aspects such as front, back, left, right or cross-section. However, we are much accustomed to linear perspective, in which we can focus on only one viewpoint relying on surfaces and exclude the other aspects or structures. By the way of cutting an object, we can reach another aspect of the hidden inside commanding functional elements and take a different view. When we look at the cut cross-sections, we can find different truth which cannot be spotted in the surfaces and those cross-sections themselves can be referred to as a different way of destructing conventional perspectives and restructuring another perspectives into the world. In this way, we can expand our viewpoint from the surface to the virtual, internal and mental inside. Cutting as a way of an approach to the inside of an object can be differentiated into disassembling, dismantling and so far. And also these expansion of methodologies can take us to another conceptional area where we can see the cross-sections as metaphors or illusions for the essence of an object. Specifically, objects which means things having their own functions, are taken to express these concepts above. Cross-sections of those objects created with some instruments are expressed in pictures of changed scales, where up-front close-ups highlight the inner elements of the objects and give us un-expected illusions about the objects. The cross-sections can be expressed in the 'press-print' technique which describes the objects with the direct contacts of several faces. And displaying those slides of an decomposed object in one flat slide can be a formative-artistic expression which can take us from the conventional view-point to another insight into the inner aspect of an object. After all, this study makes a point that we can confront an object, or even the whole world in a different open way by taking another view-points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