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스토리텔링과 미디어고스트

        이대영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웹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대중심리와 미디어 성향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권력의 불확실성 성향에 대한 논증이다. 과거와는 달리 대상에 대한 옳고 그름, 좋고 나쁨에 대한 판단이 다수의 개인에게 옮겨 갔으며, 이 개인들 또한 자신과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선택적인 분류의 흐름에 빠지게 됨을 본 논문에선 지적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 이론을 바탕으로 미디어의 성격을 재정립하고, 현대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정세변화예측을 시도하였다. 디지털스토리텔링의 리좀구조를 따라 부유하는 텍스트의 변형성과 자기실현을 위해 진실에 가까워 보이는 가치를 지닌 텍스트의 선택 및 습득, 그리고 표출이라는 존재경험(Being Experience)이 만나 새로운 텍스트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부유성 텍스트의 현혹성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를 미디어 고스트라 명명하였다. 부유하는 텍스트의 변형성과 각자의 의도에 따른 프레이밍, 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혹은 진실과 유사해지기 위한 분절된 텍스트들의 집합은 미디어 고스트의 여론적 성향을 부추겨 스펙터클과 진실성에 기초한 권력세력을 만들게 한다. 이런 유사관점의 커뮤니티 안에서의 텍스트는 미디어 고스트현상을 통해 새롭게 구성된 텍스트를 만들고 유사 공동체들의 텍스트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영향력을 가진 미디어 고스트는 앞으로의 디지털미디어시대의 중요 현상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There is a change of mass psychology and media inclination by web media development. This means demonstration about uncertainty propensity of media authority. I point out that judgement on text is moved to a individual, and this is fell into a flow of selective classification by comparison of oneself with an another. On this, I studied media's character through digital-storytelling theory and tried an estimate of situation change by modern media property. Text's transformation floating along the rhizome structure in digital-storytelling, truth selection and picking for self-realization and expression that means being experience make new trend of community. I aimed at dazzlement of floating text, so named this 'media ghost'. Transform of floating text, framing on self-intention and gathering divided text for truth stir the trend of public opinion and make power structure based on spectacle and truth. The text of a view point of similarity makes newly structured text through the media ghost and affects other communities' text continually. Media ghost, which has this influence, will take its place as an important phenomenon in digital media age.

      •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효과적 영화 마케팅 전략 구축에 관한 연구

        박찬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디지털 미디어의 기술 발전에 따라 미디어 아트의 모습도 계속해서 변모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통한 미디어 아트의 시도는 상호작용성이 강조된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주목하고 있다. 관객과 작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객을 단순한 감상자가 아닌 작품 안에 참여시킴으로써 완성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는 관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흥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을 마케팅의 전략으로 활용하여 매출 증가와 제품의 긍정적 이미지의 향상을 유도하는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마케팅의 전략으로 활용되어지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의 사례를 분석하고 요소를 도출하여 그에 따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영화 산업의 마케팅의 요소로써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활용 되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전략적인 마케팅 요소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의 프로토타입을 제작 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영화 마케팅의 전략으로써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활용은 영화 선택의 유도를 통한 흥행과 관람 기대를 증대시키고, 2차적인 구전을 통해 긍정적인 평가를 퍼트린다. 둘째, 예술 작품으로써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영화 마케팅 활용은 영화의 예술성과 지속성을 향상 시키며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창출한다. 따라서, 관객들에게 지속적이고 새로운 몰입감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영화 마케팅 전략의 구축에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As technology of digital media advances, the forms of media art changes too. Media art, with new technologies,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interactive media' where interactivity with the audiences are emphasized. Interactive media, being completedby taking audiences not only as a spectator but also a partaker who involves in the movie, offers the audiences new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Many positive cases has been shown that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art as a marketing strategy increases the sales and gives the product good standing. On this study, I have analyzed examples of interactive media and have drawn the key elements out of it. I have also sought how to apply interactive media art as a marketing element to film industry; and have made some prototypes of interactive media art for marketing. The following are the anticipated outcome of the interactive media art. First, utilizing interactive media as one of film marketing strategies increases anticipation of the audiences; positive feedbacks by viral marketing; hence box-office success. Second, interactive media as a work of art itself and its use for film marketing enhances artistry of the movie; extend the effect of the marketing; and create new cultural content. This dissertation will propose desirable paths of interactive media to help the audiences immerse themselves in the movies fresh and steady; and suggest follow-up study on how to apply interactive media effectively not only on film marketing but also art industry in general.

      • 인터렉티브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김춘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커뮤니케이션의 다원적인 정보전달 수단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콘텐츠 제작기법과 표현수단, 응용영역 등이 다양해지면서 애니메이션에서도 새로운 예술 표현기법과 디자인 기술 등이 작품 되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애니메이션의 예술가치, 상업가치, 문화가치는 점점 더 많은 인적· 물적 자원뿐만 아니라 기술적 디자인 방법들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 몇 년이래,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업계는 예술표현영역과 기술영역에서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아시아에서 애니메이션 인구평균시청비율에서 최대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애니메이션 창작은 1940-1970년대 “중국학파”라는 독특한 풍격으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였지만 80년대 후로부터 발전이 더디어져 시스템적으로 잘 짜인 창작방법과 창작규모가 구성되지 못한다. 동시에 애니메이션 이론에 대한 연구가 계속 초기단계에 발전하지 못하고 새로운 미디어 기술들을 기반으로 하는 이론 등이 거의 공백을 이루었다. 본 논문은 시스템적으로 잘 짜인 애니메이션의 디자인 방법론의 연구를 하기위하여 현대 미디어환경 속에서 새로운 애니메이션의 재생방법과 기타 유사한 예술을 바탕으로 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의 중요한 단계인 스토리 작성과 디자인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하고, 또한 새로운 형세 속에서 애니메이션 기획, 제작, 홍보 등 다원적인 발전을 탐구하였다. With the recent rise of multi-media art, utilizing the digital computer storage technology to integrate text, images, sounds, images, animation, and video into various multimedia system, integrating a variety of media through the Internet in series to form an multi-media information network, and designing more systematic integration of multimedia information based on interaction makes an effectively improvement to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multimedia works. As a special area of multimedia, animation`s artistic value, commercial value, cultural value, etc. attracted a growing number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to it with years of development and progress. Especially in recent year, the animation makes significant progress in the area of artistic expression and technology, the animation world is a splendid legacy in US and Japan.China’s animation was well known as its unique “Chinese style” around the world during 1940’s to 1970’s in the last century. however, it has been in the doldrums since the 1980’s, it does not form the systematic approach of creative and scope. Meantime, the systematic research of animation theory stayed at an early stage, and it is almost non-existent point to the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theoretical analysis. In view of this, this paper directed towards the features of animation in modern media environment,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nimation art and other arts categories as the clues of the whole article, point to the important section of the animation-----the director idea and artistic skills, to do some exploratory analysis in order to help in realizing the effective combination of multimedia and animation, and achieving the fast development of interactive animation.

      • 중국 미디어 아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손봉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미디어 아트는 서양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여러 예술 문화와 융합된 예술형태이다. 80년대 중국은 자본주의경제체제를 수용하면서 사회, 정치, 경제 등 여러 면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고 예술 면에서도 큰 진전을 가져왔다. 개혁개방의 물결 속에 중국 미술은 미디어 아트를 알게 되었고 사회주의 배경 속에 유구한 역사를 지닌 전통미술과 융합되고 발전하여 왔다. 미디어 아트가 나타나면서 중국 전통미술은 아주 큰 신선함과 충격을 받았고 중국 작가들로 하여금 예술에 대해 다시금 사색하게 만들었다. 특히 최근의 서양예술과 기술의 수용은 중국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가진 사회주의 사회에서 미디어 아트는 어떻게 접수되었고 발전하였으며 어떻게 전통미술과 공존하고 발전하여 왔는지 조사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미디어 아트가 다양한 과정과 방식을 탐구해왔고 중국 전통문화와 사회에 맞는 미디어 아트는 무엇일까를 모색하면서 중국의 미디어 아트가 지금 중국인들의 일상생활과 문화인 텔레비전,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에 침투(浸透)되면서 어떤 반응을 가져다주었는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중국에서 특색이 있는 미디어 아트가 20년이라는 발전과정을 거쳐 현재의 문화적 및 교육적 면에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또한 향후 중국 미디어 아트가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를 제시하였다. Media art is kind of art that combined with variety of art cultures. It is popularized by evolution of Western science technology. In the 80s, China has been doing great for improving the social, politic, economy and art since the country has accepted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policy. Thus, media art has accepted as innovation of Chinese art and the art work keep improving with the combination of the great history of the traditional art. The appearance of media art is quite impacted on Chinese traditional art and makes Chinese artist needs to redefine ar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western art and technology are accepted by Chinese socialist society and developed with traditional Chinese art. The paper is focusing on investigating variety forms and history of Chinese media art, finding the media art that fit to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analyzing the impact of integration of Chinese media art with general Chinese recreations such as TV, internet, multimedia. We are finally analyzing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of Chinese media art through 20 years evolution. We are also indicating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Chinese media art.

      • 소셜 미디어 아트 : 소셜 미디어 기반 예술 활동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방승애 숭실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dissertation considers social media-based art activities as it investigates the expansion of art activities. Social media art is beyond the existing museum system because of the important rol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hapter 3, the focus is on the unique quality of social media art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participatory art and media art. Social media art has the distinctiveness of unpredictable collective activities and net work-based virtual space utilization. Moreover,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dia art or its mobile-based personalized exhibit space and fusion hybrid. Chapter4 classifies aspects of information aesthetics as well as those of sociological and artistic import in order to derive the expansion of social media art activities.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aesthetics indicates the perspective of aesthetics based on the instance of social network visualizations. The expansion of sociological view is based on the activity case of the online-open platform. Social media art overcomes the social limit of the existing community art, seen in the communication of the underprivileged and the creative proposal activities of members in society. In addition, it provides the expanding connection betwee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actor network theory. This dissertation categorizes the change of art in the expansional view of artistic aspects. It probes the artist’s practical use and the public’s collective participation. Artists can explore the change of the existing creative method utilized by social media. The general public, led by concerned individuals, can render equal collaboration with the artist. Recent social media art integrates engineering technology such as mobile applications and offline-based activities. This phenomenon shows the expansion of popular participation beyond the territory of art museums. 본 논문은 소셜 미디어 기반의 예술 활동을 소셜 미디어 아트’로 정립하여 소셜 미디어 기반 예술 활동의 확장성에 대해서 연구한다. 소셜 미디어 아트는 기존 미술관 시스템과 예술가 주도의 작품 형태에서 벗어나 관객 및 시민 참여 중심의 예술 활동이다. 3장에서는 소셜 미디어 아트의 독자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기존 참여 예술과 미디어 아트와의 변별성을 도출한다. 소셜 미디어 아트는 대중의 예측 불가능한 집단적 활동과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공간 활용으로 인해 기존 참여 예술과 변별성을 가진다. 모바일 기반의 개인화된 전시 공간을 연계하고 융합적 하이브리드를 지향하기 때문에 기존 미디어 아트와 변별성을 가진다. 4장에서는 소셜 미디어 기반의 예술 활동으로 인한 타 분야의 접점을 통한 확장성을 도출한다. 소셜 미디어 관점의 확장성을 정보미학적 측면과 사회학적 측면, 예술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정보미학적 측면의 확장성은 온라인 참여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시각화 사례에 근거하여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를 미학적 해석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사회학적 측면의 확장성은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오프라인 활동 사례에 근거하여 도출한다. 소셜 미디어 아트는 사회 구성원을 위한 소통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기존 커뮤니티 아트의 사회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와 빌렘 플루서(Vilem Flusser)의 이론과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 연구(Social Network Analysis: SNA)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과 연계하여 사회학적 측면의 확장성을 도출한다. 예술적 측면의 확장성은 소셜 미디어로 인한 예술 형태의 확장과 변화 양상을 유형화하여 고찰한다. 소셜 미디어 기반의 예술 활동은 크게 예술가의 작품 제작 방식과 대중 참여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공학적 기술을 접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오프라인 활동을 통합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소셜 미디어 도입에 따른 소통 방식의 변화를 반증하며 미술관의 영역을 넘어서 대중 참여 방식이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미디어 아트에서 동양화 기법의 활용 : 디지털 몽유도원도를 중심으로

        강성일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widened the choiceof visual expression.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provided us with a better visual choice (i.e. what to see) and has also allowed us a new means of communication. Artists have tried to reach another world of art by creating artwork with digital devices or throughnew visual experience, which shows that art and technology are able to work together. Recent media art has shown a variety of digital technologies, and has combined them with different aspects of previous art styles. In this sense, it is needed for us to have more discussions on combining traditional styles with digital technology and on metaphorical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media artwork that covers Oriental paintings, and to discuss new means of creating artwork.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reate a variety of visual expression, new meanings, and new characteristics of the new art by creating 3D image or animation, which are new technologies, together with paintingsof flowers and birds, or mountains and rivers, which have been traditional also indicating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Chinese media art. kinds of paintings in the Eastern world. In this sense, it is also possible in this paper to have a good look at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styles used in recent media art. This paper, above all, ultimately discusses new ways of creating paintings by looking at more pieces of artwork that combines media art with Oriental paintings. It will eventually be able to ““define””the styles of the new artwork that combines the traditional and the cutting-edge. 디지털 전자기술과 컴퓨터발전은 예술에서 시각적 표현의 확장을 가져왔다. 미디어의 개발은 우리의 생활에 다양한 시각적 선택의 가능성과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하였으며, 전자미디어, 인공지능, 인터넷 같은 디지털 전자기술과 예술의 융합으로 예술가들은 디지털 도구를 응용하여 작품을 만들거나 새로운 시각적 체험을 통하여 또 다른 예술의 세계로 확장을 시도하여 왔다. 최근의 미디어아트에서도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왔으며, 이전의 예술적 형식의 많은 부분과 결합하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내용적 관점에서 볼 때 전통예술기법의 디지털적 적용이나 은유적 방법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미디어아트에서 동양화를 활용하여 제작한 미디어아트작품을 분석하고 새로운 제작 방식과 기법 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양화의 원료인 먹으로 그린 화조화 또는 산수화기법을 사용하여 3D와 애니메이션의 디지털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미디어아트에서 시각적으로 가능한 다양한 표현이나 새로운 의미성 그리고 특징들의 창출이 가능하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아트에서 활용된 동양화 기법의 새로운 표현 가능성도 동시에 알아보고 저 한다. 본 연구는 미디어아트에 동양화를 활용한 유사한 작품들을 살펴보고 전통적 동양화와 동양적 사상을 적용한 미디어아트작품을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이미지 제작 방식 및 표현들을 찾아내고 동양화 기법의 적용을 통한 다양한 표현방식의 미디어아트작품의 개념적 정립도 가능하리라 본다.

      • 반복구성을 통한 미디어 아트 연구

        유희범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미디어 아트의 창발에 있어서 공학적 연구의 성과, 미디어 기술의 발전이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주었는지는 굳이 거론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미디어 아트의 구현에 있어서 무조건 적인 기술 중심적 사고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예술 활동이란 인간의 미감을 충족시켜주는 활동이기에 기술은 이를 위한 도구의 역할에 충실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미디어 아트로의 발전의 기로에서 과거의 예술 양식을 참고하는 것은 보다 합리적인 예술 활동의 방식이 될 수 있다. 과거의 예술에 남아있는 성과는 그대로 인간의 미감을 충족시켜주는 원리에 대한 탐구의 성과가 녹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초적인 조형발상의 원리 중에서도 반복(repitition)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 그리하여 현대 예술에서 반복의 조형원리가 잘 나타나는 예술의 양식과 그러한 작품의 예시를 분석하여 반복구성이라는 양식화된 조형방식에 대하여 정의하고 세부적인 반복구성의 유형을 분류해본다. 나아가 반복구성의 분석의 결과를 미디어 아트에 적용하여 이미 발표된 작품 안에서 나타난 반복구성의 예와 반복구성의 유형을 응용한 미디어 아트 작품 구현의 가능성을 시험해본다.

      • 소셜미디어 상호작용을 통한 자기생태인지에 관한 연구 : 원형적 자아를 연결하는 상생적 관심 및 놀이 네트워크

        심정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소셜미디어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공고해져감에 따라 드러나는 한계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이를 구성하고 있는 인간 상호작용의 복잡성에 대한 근본적인 분석과 접근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의 초점은 소셜미디어 환경이 제시하는 인간의 상호 관계적인 협력 방법론적 측면 보다는 공통보편적인 개인의 인지적 시각에서 자발적인 연결성이 발현되고 지향하고 확장되는 방식에 따라 필요로 하는 소통 환경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관점 및 경험이 자발적으로 발현되는 소셜미디어의 생태 인지적 환경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원천적 동인의 지속가능한 접점 및 영역의 발굴이 필요하다. 이용자들은 자기실현에 따라 상생 기여의 동기와 상호신뢰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자신만의 잠재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상생적인 관심-놀이적 네트워크를 활동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인지적 중심 및 원천적인 기여를 회복할 수 있다.

      • 큐레이팅 기반의 미디어아트 유형 분석

        이현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paper aims to give artistic and aesthetic value to Media Art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rator`s role which is seeking for the meaning of artwork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to investigate a new type of curating methodology appropriate to Media art. Discussing canges art exhibition concept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Media Art, Discussing about variation and expansion of curating methodology through analysis on the curating Examining diversity, expandability and prospects of curating field through not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with emphasis on medium such as Net Art, Web Art, Digital Art, Video Art, Visual Art and Computer Art but classification system with emphasis on curating`s purpose as installation, performance, urban environment and contents. Recently, Curating field is in the face of danger that loose its speciality by concept of curating is generalized used in contemporary society as a social trend over art society. Furthermore, In this paper attempts to searching for a way of establishing Media Art curating build its own independent area and speciality by means of creative art practice. 본 논문은 미디어아트에 예술적, 미학적 가치를 부여하며, 역사적 맥락에서 작품의 의미를 찾는 큐레이팅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미디어아트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큐레이팅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미디어아트 등장에 따른 미디어아트 전시 개념의 변화 살펴보고, 큐레이팅 기반의 미디어 아트 유형 분석을 통해 큐레이팅 방법론의 변화와 확장에 대해 논구한다. 넷아트, 웹아트, 디지털 아트, 비디오 아트, 비주얼 아트, 컴퓨터 아트 등의 매체 중심의 기존 미디어아트 분류 체계가 아닌 큐레이팅의 목적성에 따른 설치, 퍼포먼스, 도시환경, 컨텐츠 기반의 미디어아트 분류법으로 큐레이팅 영역의 다양성, 확장성, 그리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살펴본다. 최근 큐레이팅의 개념이 미술계를 넘어 동시대 사회 트랜드의 현상으로 보편화되어 전문성 상실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디어아트 큐레이팅이 창조적 예술 활동으로써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 디지털 미디어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퍼포먼스 작품 <Bandi>를 중심으로

        이보라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퍼포먼스는 가장 열려진 예술 형식인 동시에 각 장르의 형식을 자유롭게 결합하고 불확실한 가변성을 내포하는 장르로 알려져 있다. 퍼포먼스는 그 출발에서부터 탈형식과 탈장르를 목적으로 한 형식적 전환과 파괴를 이루어 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융합적 성격 때문에 퍼포먼스의 발달은 미디어의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수용으로 더욱더 그 특성을 살리게 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의 퍼포먼스 작품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결합에 의해 그 영역이 더욱 더 확장됨은 물론이거니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시각적 표현 방법의 발전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퍼포먼스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쳐 그 특성을 극대화 시키거나 새로운 성격을 부여하며 다양한 표현수단에 노출되어 있는 관객의 요구에 부응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최신 퍼포먼스의 기술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기술의 사용으로 얻게 되는 디지털 미디어 퍼포먼스의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본인이 참여한 퍼포먼스 작품 <Bandi>를 살펴보고 디지털 미디어 퍼포먼스의 의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Perfomance is the most well-known art form that can combine different genres unrestrictedly, involving uncertain variability. It is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closely related to development of media because it is based on convergence among genres and forms. Due to this fusional characteristic,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its reception. Especially, today's performance art extends its domains by integrating digital media, and it assumes a new aspect by the development of visual expression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Such chang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performance, and it maximizes its characteristic or even grants a new characteristic, satisfying the demands of audiences who are exposed to various expression methods. This research will focus on analyzing up-to-date techniques of performance using digital media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haracteritics of digital media performance,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it will examine closely the performance art work named <Bandi> that I participated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