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경영환경변화에 따른 경영전략 및 경영성과 영향 관계 분석 연구 : U.E.C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박종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50815

        Most of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is conveniently located and can stably maintain its management activity with public fund investment. However, this public fund investment, which has been taken for granted, makes the management activity of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passive and causes competitive strength in complex cultural space to be vulnerable. In addition, as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can't get away with financial loss every year, its fiscal self-reliance ratio is one third of private facilities', which means it is in very bad condition and the situation leads to more requirement for ongoing public funds and ends up facing with a continuous vicious circle. By its facility characteristics,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requires various professional manpower, so it needs more systematic management activities as it is run with the condition where a huge organization inevitably forms. Therefore, as a ne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strategy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urrent national complex cultural space arises and it is time to seek propriety of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management environment through a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a successful management role mod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study : How does the change in management environment of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influence on the successful cases and management activity of U.E.C?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to solve the issue above, internal and external management cases of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 were examined and the analysis about the related research trends proceeded. To compare U.E.C with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analytically, current operating condition of Korea's complex cultural space, its resulting problems, and the trend of research on complex cultural space associated with them were examined. In addition, legislations and policies related to the architectur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foundation of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were analyzed and the resulting problems were suggested. Furthermore, for actual analysis among management activities of national and public performance facilities, a variety of relevant theories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presented by looking into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strateg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analyzing the trend of management-structure-related research. The population studied was public officials and contract workers in charge of administration, management, planning, accounting, operating, education, sales and service in the current national and public performance complex cultural space.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10 performanc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which were National Theater of Korea,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ance Arts, Seoul Arts Center,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Gyeonggi Culture Arts Center, I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Seongnam Arts Center, Chu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Cheonan Arts Center and Daejeon Arts Center. The survey conductor visited National Theater of Korea, Seoul Arts Center,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Gyeonggi Culture Arts Center, I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Seongnam Arts Center and Chu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in person and surveyed them, and the rest three were mail-surveyed after requesting a survey by telephone. The survey period was from the 28th of March, 2017 to the 28th of April, 2017, which was four weeks. Among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which were around 450, 288 were retrieved and 268 except for 20 with insincere answ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actual analysis of the study, SPSS 23.0 and AMOS 23.0, which are the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input data and analyze the statistics. First,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accuracy and precision related to the measurement tools, analysis of reliability was executed with Cronbach's α coefficient value(Cronbach's alpha coefficient). After then, to prove the validity of measurement variables that composed the factors influencing business performance of U.E.C,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through AMOS by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 causal relation inter variable was analyzed with AMOS, which could control errors of measurement and analyze accurately as compared with SPSS-used regression analysis. AMOS was used to see the influences among success factors of U.E.C, change in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strategy,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y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In addition, SPSS was used for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ange in management environment which the workers of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felt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importance of entertainment factors, food factors, and sales factors of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 and that change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rategy and management performance positively. However, the importance of entertainment, food and sales was not affected by only the result of management strategy and performance, and it was suggested that considerable stimulation by external factors could be interpreted as a result that changed strategies and performances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at utiliz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roup of those holding a high position and the group of those working for long years sensed the change in management activity more easily, and when the main body of operation was a local government such as provincial or city one rather than national one, more sensitive reponses were shown to the change in management environment, which was a fine line, though.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used cluster analysis, both one group of those who felt the change in management environment deeply and the other group of those who were not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uccessful factors of U.E.C, which were entertainment, food and sales.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management strateg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group of those who felt the change in management environment deeply were quite highly aware of them while the group of those who slightly felt the change in management environment had relatively low awareness in management strateg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hat statistically verified and analyzed the management activity of national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a successful model and with various analysis methods. This study is considerably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drew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change in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current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effect factors of management strateg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various analys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for research on the management activity of national and public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future and there will be a ground-breaking change in mana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performance complex cultural space.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은 대부분 장소성이 뛰어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공적자금의 투입으로 인해 안정된 경영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당연시 되는 공적자금의 투입은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경영활동을 수동적으로 만들고 있으며, 복합문화공간 간의 경쟁강도를 취약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매년 적자 운영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은 재정자립도가 민간시설의 3분의 1 수준으로 매우 열악한 상태이고 이는 지속적으로 더 많은 공적자금의 투입이 요구되어 계속적인 악순환으로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은 시설 특성상 다양한 전문 인력이 필요하므로 방대한 조직이 구성될 수밖에 없는 조건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인 경영활동이 필요한 상황으로 비추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경영환경과 경영전략, 경영성과간의 영향관계 분석 필요성이 제기되며, 롤 모델이 될 수 있는 성공적인 운영모델의 영향관계를 통해 내·외부적 경영환경변화의 적정성을 모색할 시점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 경영환경변화는 U.E.C 성공요인과 경영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의 국·내외 운영사례를 살펴보고 관련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와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비교분석을 위해서 우리나라 복합문화공간의 운영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와 관련한 복합문화공간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건축과 설립, 운영 기반을 살펴보기 위해 관련 법령과 정책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국·공립 공연시설 경영활동 간의 실증분석을 위해 경영환경, 경영전략, 경영성과에 대한 특성 및 유형 등을 살펴보고, 경영구조 관련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필요한 여러 가지 관련이론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현재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에 근무하고 있는 행정, 경영, 기획, 회계, 운영, 교육, 판매, 서비스 등을 담당하는 공무원 및 계약직 등 직원들이 대상이었다. 자료 수집은 국립중앙극장, 세종문화회관, 예술의 전당, 국립국악원, 경기도 문화의 전당,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성남아트센터, 춘천문화예술회관, 천안 예술의 전당, 대전 예술의 전당 등 총 10개의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에서 이루어졌으며, 국립중앙극장, 세종문화회관, 국립국악원, 경기도 문화의 전당,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성남아트센터, 춘천문화예술회관 등 7개 시설은 직접설문을 진행하였고, 예술의 전당, 천안 예술의 전당, 대전 예술의 전당은 전화 설문요청 이후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기간은 2017년 3월 28일부터 4월 28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 진행되었고, 배포된 총 450여개의 설문지 중 288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내용을 숙지하지 않는 등 불성실한 설문 20개를 제외하고 268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의 실증분석에는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기초 자료를 입력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측정도구들에 관한 정확성이나 정밀성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값(Cronbach's alpha coefficient)을 활용하여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U.E.C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측정변수들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AMOS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PSS를 활용한 회귀분석에 비해 측정오차를 통제하고 정밀한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U.E.C 성공요인, 경영환경 변화, 경영전략, 재무적성과, 비재무적 성과 간 영향을 알아보고자 AMOS를 사용하였고, SPSS를 활용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 근무자들, 그들이 느끼는 공간 내의 경영환경 변화는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의 엔터테인먼트요소, 식음요소, 판매요소 중요도에 상당한 영향이 미친다는 것이 입증 되었고, 그 변화는 경영전략/경영성과 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경영전략/성과의 결과로만 엔터테인먼트, 식음, 판매 중요도에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당한 외부 요인의 자극이 조직의 전략과 성과를 변화시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시사 되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활용한 일원배치분산분석에 의하면,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근무자들은 직급이 높은 집단군과 근무연수가 오래된 집단군에서 경영환경변화에 따른 조직의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를 나타냈고, 미미한 차이지만 운영주체가 국립보다는 도립, 시립 등 지방자치단체가 경영환경 변화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집분석을 활용한 결과를 보면, 경영환경변화를 높게 체감하는 군집과 낮게 체감하는 군집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군집 모두 U.E.C의 성공요인인 엔터테인먼트, 식음, 판매의 중요도는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경영전략, 경영성과의 인식도의 차이는 경영환경변화를 높게 체감하는 군집이 다소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경영환경변화를 낮게 체감하는 군집은 경영환경변화를 높게 체감하고 있는 군집보다 경영전략과 경영성과에 낮거나 미미한 인식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경영활동을 성공모델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다양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이다. 이는 현재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경영환경변화에 중요한 요소와 경영전략과 경영성과의 영향 요소를 다양한 분석을 통해 도출해냈다는 것에 상당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국·공립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경영활동 연구의 기초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 실제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경영구조의 획기적 변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하여 본다.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기업 문화마케팅 활용 방안연구

        윤지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815

        기업은 이제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기술을 파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들의 문화적 감성까지 충족시켜야 하는 마켓 3.0 시대를 맞이하며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따라 기업의 문화마케팅도 다양해져, 제품과 기술을 파는 마케팅전략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을 만드는 사회공헌전략, 문화와 예술을 활용하여 직원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거나 경영 프로세스에 응용하는 경영전략으로 스펙트럼이 넓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 문화마케팅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업 문화마케팅으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해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다수의 미디어가 사용되기 때문에 미디어 사이의 간격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간격을 사람(참여자)이 연결해야 하나의 이야기가 완성되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참여자들의 참여 양상에 따라 이야기가 다양하게 변주되기도 한다. 즉, 감성의 자극을 통한 사람들의 참여와 사람들의 참여를 통한 이야기의 다양화는 문화마케팅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기에 적절함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업의 마케팅으로 활용한 사례를 통하여 그 효과와 시사점을 정리하였으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폭넓은 활용을 위해 마케팅전략뿐만 아니라 사회공헌전략과 경영전략으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사회공헌전략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려면 우선 지원의 목적과 결과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를 이야기(스토리)와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가령, 예술 프로그램 지원과 같은 소프트웨어 지원이라면 이야기 자체를 예술 관련 스토리로 지정하여 중간 중간에 참여자들이 예술을 체험하게 한다. 미디어를 시, 영화, 음악 등 예술로 선정하거나 스토리 자체만으로도 예술적 소양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방법이다. 시설 건축과 같은 하드웨어 지원은 사람들의 참여의 결론이 시설 건축의 결과물과 연결될 수 있도록 기획한다. 마케팅전략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마찬가지로 이야기를 정하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 미디어를 선택한다. 다만 마케팅전략으로 사용될 시에는 기업의 가치관이나 판매하고자하는 제품 및 기술이 이야기 속에 적절하게 스며들어 사용자가 체험해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케팅전략은 사회공헌전략과 경영전략보다 소비자(사용자)들에게 빠르고 강한 인상을 남겨야 하기 때문에 참여도가 높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인 ‘소형·동기식’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시리즈 제품의 경우는 이러한 소형·동기식 유형이 모여 대형·비동기식이 될 수 있도록 시리즈 마케팅간의 연결도 고려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경영전략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기 위해서 우선 경영전략의 목적을 분명히 한다. 이 논문에서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첫 번째는 복지차원의 직원 예술 교육, 두 번째는 창의적 기업 공간, 세 번째는 창의적 기업 문화, 네 번째는 예술 프로세스의 경영적 적용을 위한 교육이다. 첫 번째 목적이라면 이야기를 예술과 관련된 이야기를 선택하고, 두 번째 목적이라면 예술작품이나 공간을 소재로 한 이야기를, 세 번째 목적이라면 기업이 처한 상황 해결에 간접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문제 해결 중심의 이야기를, 네 번째 목적이라면 예술의 창작 과정에 중점을 맞춘 이야기를 선정한다. 다음으로 직원들의 속성을 파악하여 유형을 선택하고 직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내 메신저, 사보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이 활동이 업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게임하기 요소를 결정하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문화마케팅으로 폭넓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필요하다. 우선 각 기업별, 목적별 이야기가 발굴되어야 하며 사용자 및 참여자의 속성을 잘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술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사람들의 예술적 문화적 소양을 키울 수 있어야 하며,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지 않기 위해 시리즈처럼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기획하여 문화마케팅의 파트너십을 실현해야 한다. 한 기업이 모든 것을 관여하기보다는 여러 기업이 협업하여 하나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대기업뿐만이 아닌 중소기업도 문화마케팅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더 다양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기획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기업에 대한 이해를 모두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를 토대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활발한 활용을 기대해 보며, 문화마케팅의 스펙트럼이 좀 더 넓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Companies are now facing changes from the era of Market 3.0 in which they are required to sell their products and technologies to consumers as well as to satisfy cultural sensibility of the consumers. With these changes of the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culture marketing is becoming varied and expanding its spectrum. Not only culture marketing is being used with marketing strategy to sell products and technologies, but it is also being utilized based on strateg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create social value and for management to promote creativeness of employees with culture and art and apply it to management process. This research suggests an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to culture marketing in response to increasingly varying environments of companies’ culture marketing. Transmedia storytelling means to create a story through a variety of media. As more than a single media are used, creating gaps between each different media, people(participants) need to connect those media to fill the gaps to complete a story. Therefore, participations from people are essential while the story varies by a level and a form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participations coming from moved hearts and stories varied by participation are the great examples of applying transmedia storytelling into culture marketing. In this research, the previous cas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were reviewed about how companies applied it into marketing, organizing its effect and implication and suggesting transmedia storytelling to be utilized based on the strategies for marketing as well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in order to expand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To utilize transmedia storytelling as a wise tool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what the clear purpose and potential outcome of the support are and how it can be connected to the story. For instance, if the support is to offer software such as offering an art program, the story can be designated as the relative story to art in order for participants to experience the values of the art in the sessions or be designed as media contents like poem, movie, and music to give participants the chances to accumulate the artistic values. Providing hardware to share opportunities to build constructions of facilities with participants will help their participations to be connected with the actual outcomes of constructions. To utilize as a way of marketing strategy, a story needs to be selected and the type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media are also to be determined. In the case of marketing strategy, the vision of a company and the product and the technology the company is trying to sell should be appropriately embedded into the story, so users can fully experience it. It is good to choose ‘small and synchronous type’ encouraging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s for Marketing strategy as it is required to leave stronger impressions in a shorter amount of time than a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y and management strategy. In case of a series of products, connections of marketing amongst the series should be considered for effective outcomes by gathering ‘small and synchronous type’ to form large and asynchronous type. The purpose of management strategy should be clearly defined before utilizing transmedia storytelling as a way of management strategy. This study divided into four main parts: Art education to employees as a welfare benefit, a space to promote creativeness in company, creative culture of company, and education for applying art process in a management way. If the goal of education is to bring artistic values to the minds of employees, the story needs to be selected relative to the piece of art. And the piece is designed for the space, if creating the space to promote creativeness. Moreover, the creative culture and education for applying art process in a management way require problem solving-oriented story to indirectly grow abilities to solve any given challenges companies may face and creating process of art-oriented story, respectivel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grasp a good understanding of each employee’s personality, to introduce in-company messenger and newsletter that can be easily exposed to employees, and to add different forms of media to use. More positive outcomes can be expected if these activities decide to add the elements of game that might not affect tasks of workforce. In order for us to utilize transmedia storytelling in a broader range as a way of culture marketing, several challenges needed to be addressed. Foremost, stories need to be figured out according to different companies and purposes and attributes of participants should be well understood. Participants should accumulate knowledge of culture and art in their mind through the appropriate use of art while it should not end in a one time event but continue in a series to realize partnerships of culture marketing. More than a one company should collaborate one another to create transmedia storytelling rather than a company by itself directing the all, encouraging not only large conglomerates bu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lso to easily participate in and leading in more planning projects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future. Last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ducation to train manpower who has a great understanding of both transmedia storytelling and compan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encourage active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broader spectrum of culture marketing.

      •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오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815

        ESG 경영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중심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지속가능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기업 경영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사기업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ESG 경영은 신공공이론을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지속 가능 경영과 경영성과 평가에서도 새로운 기준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한편, 공공기관에서는 기관의 형태, 분야 및 운영 방식 등의 관점에서 기관별로 중시하는 지속 가능 경영 목표와 방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ESG 경영의 방향성과 구체적 경영지표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기업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 ESG 경영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공공문화예술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ESG 경영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우선, 기존 민간 사기업을 대상으로 제시된 다양한 ESG 경영관 관련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ESG 경영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문화예술 분야의 특성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 ESG 경영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FGD 기반의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고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평가를 위한 지표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하여 각 ESG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에서는 사회적 책임 분야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약 60%)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그다음으로는 지배구조(G)와 환경(E)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E)’의 경우 최근 환경 변화와 기후 위기 등의 영향에 따라 일반 사기업에서는 매우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지만,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가장 낮은 중요도로 인식되었다. 이는 서비스 산업적 특성 혹은 공공행정의 특성이 있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특성에 따라 사회공헌과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어 ‘사회(S)’ 분야의 중요도가 높게 인식된다는 것이며, 또한 문화예술을 통한 환경 분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공문화예술기관에 대한 ESG 경영평가는 기존 민간 사기업 평가 체계와는 다르게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기관의 거버넌스 개선 노력과 환경 분야의 중요성과 개선 활동을 평가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ESG managemen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corporate management paradigm that establishes sustainable management. ESG management is a system used to evaluate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a company, assessing environmental, societal, and governmental factors. ESG management, which has been studied mainly in private companies, has begun to also be used as a new standard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for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new public theory. For public institutions, sustainability management goals and values are different from private companies. The direction and specific management indicators of ESG management appear differently when evaluating the type, field,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nstitution. In this study, ESG management evaluation items that can be applied to public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used mainly for general private compa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ESG management at private companies an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m. Next,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se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FGD-bas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reflect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field based on the existing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Additionally,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for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Finally, the level of importance for each ESG indicator was derived by applying a hierarchical decision-making technique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about 60%) for culture and arts public institutions, followed by governance (G) and the environment (E). In particular, ‘environment (E)’, was recognized as the least important factor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he arts. However, ‘environment (E)’showed very high importance in private companies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Social contribu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great import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cultural and artistic public institutions. Specifically, the service industry and public administ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 field displayed great importance. Therefore,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determined that a system unlike the existing private enterpris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he ESG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should focus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while also improving the governance and environmental fields accordingly.

      •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필요성 & 구성요소 연구

        진윤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815

        This study examines how ESG management, a new paradigm for corporate growth, can be applied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was reviewed how to apply the core elements of corporate ESG management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how to construct evaluation indexes components applicable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se ESG evaluation indexes secures th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self-sufficiency, and stability, and preemptively predicts crises and risk factors in the organization's operation. Firs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definition and core elements of ESG management were reviewed, and the case of SK holdings, a domestic company, was studied through case analysis of companies for each core element. Second, based on the previously researched definition of ESG management and case analysis for each core element, the necessity of ESG management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raised and the details of each core element were studied. Third, case studies of ESG management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analyzed. As an example in practice, the environment-based theater operation case of the Pigfoot theater company in England was investigated. As another example, Samsung Cultural Foundation's ESG management cases and current statu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ird example is Academy Passion & Sha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S), a performance group with 25 members, was analyzed for each key element of ESG management.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ESG management is an important management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stainable organizations and that it can help other companies realize ESG management. Fourth, the need for ESG evalu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the functions and components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studied. The necessity and functions of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studied. In order to construct the ESG evaluation index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 cases of ESG evaluation index of general companies were first studied and analyzed. The corporate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analyzed in detail. The company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basic diagnosis item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used as models. The specificity of ESG manage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studied, and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ex system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It is suggested that each cultural and organization itself select the weight and application par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ach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 when evaluating each part.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the evaluation index construct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a fair judgment criterion by using the constructed evaluation factors when deliberation of investment and support by companies and public support organizations. I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execute and evaluate ESG management using the index system and diagnosis items studied in the future, they can be equipped with competitiveness and self-sufficiency based on sustainable management in the market. In addition, culture and art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in leading a sustainable society. 이 연구는 기업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ESG경영을 어떤 방식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게 할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특히 기업의 ESG경영의 핵심요소를 문화예술 단체에 적용하고 국내기업의 ESG경영지표와 K-ESG평가지표 모델을 바탕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이 가능한 평가지표 구성요소를 어떻게 구성할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단체의 경쟁력, 자생력, 안정성을 확보하고 단체 운영의 위기와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이 일반기업과 기관들의 ESG경영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의 대안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 이론적 배경으로 ESG경영의 정의 및 핵심요소를 살펴보고 각 핵심요소별 기업의 ESG경영 사례분석으로 국내기업 SK주식회사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된 ESG경영의 정의 및 각 핵심요소별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각 핵심요소별 세부내용을 연구하였다. 셋째, 국내외 문화예술단체 ESG경영 사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국외 사례로 영국 피그풋 시어터(Pigfoot theatre company)의 환경에 기반 한 극장운영사례를 조사하였고 국내사례로 삼성문화재단의 ESG경영사례 및 현황을 연구 분석 하였다. 25인 규모의 연주단체인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이하APS)의 운영상황을 ESG경영의 핵심요소 별로 분석하였다. 시사점으로 ESG경영이 지속가능한 단체의 운영을 현실화 시키는데 중요한 경영방식 이며 특히 문화예술단체의 특성상 레퍼토리의 구성, 지역기업과의 파트너 쉽 형성 등이 다른 기업의 ESG경영 실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넷째,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의 필요성과 평가지표 기능 및 지표 구성요소를 연구 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필요성 및 기능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구성을 위하여 먼저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 중견중소기업 기본 진단항목을 모델로 삼았다. 문화예술단체 ESG경영관련 특수성을 연구하고,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현재 국내외에서 대표적 기업이나 단체에서 활용되고 있는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을 감안한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단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된 기업과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를 구성해 그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문화예술단체의 특수성에 맞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각 부분 평가 시 모든 문화예술단체의 단체별 특수성을 고려해 가중치 및 적용부분은 단체 스스로 선택할 것을 제안 하였다. 더 나아가 이렇게 구성된 된 평가지표는 사회공헌에 관심 있는 기업 및 공공지원 단체에서 투자 및 지원 심의 시 구성된 평가요소를 활용 하여 공정한 판단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된 지표체계와 진단항목을 이용하여 문화예술단체가 ESG경영을 실행하고 평가한다면 시장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바탕으로 경쟁력과 자생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이 지속가능한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활성화를 위한 경영평가지표 분석

        이혜린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815

        Undergoing catastroph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supply chain crises due to wars, ESG became no longer an option but a necessity, significantly influencing not only corporations but also governments and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his study considered how to introduce and activate ESG for sustainable culture and arts in the context of survival. It especially categorized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to executive agencies, other public institutions, regional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and basic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based on their executive departments and applicable Acts, and quantified the proportion of ESG in the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into a score through analyzing the evaluated item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It also suggests the direction to improve management evaluation in relation to ESG activation by consulting the field experts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rough FGI. First, major concepts related to ESG a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various examples of the current trend are introduced. Second, through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current trend, the necessity to introduce ESG to culture and arts is suggested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for the activation of ESG. Third, the status quo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published by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s examined, and ESG classification indices are suggest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that presented ESG evaluation indic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 order to select the indices in the existing management evaluation that belong to ESG. Fourth, through FGI, an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ESG management, ESG evaluation process, and the ideal proportion of ESG in management evaluation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Fifth, the scores of the ESG proportion are calculated for two different years of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by four different types of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en the ite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SG classification indices suggested earlier, and the scores of the corresponding indice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a suggestion is made that the activation of ESG management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mprovement and revision of the evaluated items in the existing management evalu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s,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evaluation indices should be revised based on th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rather than conducting a separate ESG evaluation. Furthermore, the management evaluation items and the method of evaluation can be continuously analyzed and discussed through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measurement indices suggested here, resulting in the activation of ESG and potentially expanding this trend to individual artists and private art organizations. 전 세계가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위기 등을 겪으며 ESG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었고 기업을 넘어 각국의 정부, 공공 및 민간단체까지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존이라는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을 위해 ESG를 어떻게 도입하고 활성화 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공공문화예술기관을 관리부처와 근거법률 등을 바탕으로 책임운영기관, 기타공공기관, 광역자치단체 출연기관, 기조자치단체 출연기관으로 나누었고 경영평가편람 평가항목 분석을 통해 현재 경영평가 내 ESG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점수로 계량화시켰다. 또한 FGI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ESG활성화와 관련한 경영평가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첫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ESG 관련 주요개념의 발달을 살펴보고 현재 동향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한 이론적 배경과 최근 동향을 통해 문화예술의 ESG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또한 ESG활성화를 위해 평가와 측정의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셋째, 기존에 이뤄지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평가편람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기관과 문화예술기관의 ESG평가지표를 제시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기존 경영평가 내 ESG에 해당되는 지표들을 선별하고자 ESG분류지표를 제시하였다. 넷째, FGI를 진행하여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ESG평가 진행방식, 경영평가 내 ESG의 이상적 비율 등의 내용 등에 대하여 인터뷰하였다. 다섯째, 각기 다른 유형의 네 곳의 문화예술기관의 각각 두 개의 다른 연도의 경영평가편람에서 ESG비중을 점수로 도출하였다. 이에 앞서 제시한 ESG분류지표에 따라 항목을 분류하고 해당 지표의 배점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기존 경영평가에서 이뤄지는 평가항목의 개선과 보완을 통한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활성화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별도의 ESG평가의 진행보다 기존 경영평가 평가항목을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에 따라 평가지표의 개선을 이뤄가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지표를 통해 경영평가 평가항목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분석과 그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활성화가 이루어져 이런 추세가 민간예술인과 민간예술단체들로 확대 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 연구

        장유진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815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late 2008 helped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realize the limitations of the market economy, inducing them to pay greater interest in the social economy or social enterprises and competitively conduct diversified activities in related areas both at the private and government level.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originated in Europe. It received great attention in the U.S. and later came under the spotlight in Korea. Korea began to institutionalize polic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immediately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e mid-2000s. This effort led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to certify social enterprises in 2007. The system, implemen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s centered on direct support to certified enterprises in terms of labor costs and operating expenses, while inducing pducnerships between private businesses and local governments. As of 2010, the total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stands at 319. Only 29 of that number is taken up by those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 clear indication that social enterprises in the said area account for a fairly insignificant portion of all social enterprises in the country. The 29 certified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show a heavy dependence on government support in their overall expenditure. Most of those in the aforementioned sector have yet to establish a business model for sustainable business, which raises concerns for their operation after government support is suspend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k a direction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To this end, a study on the theor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present status thereof at home and abroad as well as into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in Korea. The study was also us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present status of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and the support they receive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 direction was found in the process to draw a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related documents and interviews with working-level professionals. In addi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mplications of successful cases of overseas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s well as of exemplary domestic cases and to seek measures to apply such cases in Korea. This research presents proposals based o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through a study of related theories,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nd an analysis of successful cases at home and abroad. The three perspectives are associated with policies and institutions, management within social enterprises as well as with external environment, respectively. The proposal related to policies and institutions seeks to build an infrastructure for social enterprises by shifting the current direct support policy to a indirect support scheme and to expand educational and promotional activities. Another proposal requires social enterprises to make diversified efforts to secure necessary resources by vitalizing inter-business networks and establishing a revenue model. The last proposal seeks to improve external environment for social enterprises with greater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citizens and partnerships with large corporations in terms of technology and managerial abilities. A close look at the contents of the proposals reveals that each of the proposal is linked with one another. Communication and exchanges with various entities including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citizens should form the basic framework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t is within this framework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so that they can firmly take root as a new area in the marke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igures out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us of both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s well as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in general. It aims to encourage wide-ranging research and approach on not only the area of culture and art, but also on various social enterprises. 2008년 말의 세계적 금융위기 이후 시장경제의 한계를 자각하게 된 각국의 정부들은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 또는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에 대해 더욱 관심을 기울이며 경쟁이라도 하듯 민간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다각화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에서 시작된 사회적기업은 미국에 이어 한국에까지 관심이 증대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금융 위기 직후인 2000년대 중반에 사회적기업 관련 제도화가 추진되었다. 우리나라의 2007년부터 노동부 주도 아래 시행되고 있는 사회적기업 인증 제도는 민간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연계를 유도하면서, 사회적기업에게 인건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는 직접지원의 형태를 주축으로 해왔다. 2010년까지 사회적기업 수는 총 319개를 나타내는데, 그 중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29개로 아직 전체 사회적기업에서 문화예술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미 인증된 29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들도 전체 예산에서 지원금이 큰 비중을 차지하여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들은 아직도 지속경영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어, 정부의 지원금이 중단된 이후의 기업운영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론연구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개념 및 국내외 일반현황과 국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및 예비사회적기업의 개념, 정부 및 지자체 지원과 일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문헌조사 외에 실무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결론 도출을 위한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해외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공사례와 국내의 모범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시각에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인터뷰, 국내외 사례분석 등의 조사방법을 통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으로 세 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정책 및 제도적 관점, 기업 내부 경영적 관점 그리고 외부 환경적 관점이다. 정책 및 제도적으로는, 현재의 직접지원을 간접지원으로 전환하여 인프라를 구축하고 교육 및 홍보 등의 활동을 확대하여야 한다. 기업 내부적으로는, 기업간 네트워크를 활성화 하고 수익모델을 구축하는 등 재원을 위한 다각화된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외부 환경적으로는,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확대와 대기업의 기술 및 경영능력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 세 가지 방향성의 내용을 살펴보면 서로 하나로 연결되는 개념이다. 정부-기업-시민 및 다양한 영역과의 소통과 교류가 기본바탕이 되고 그 안에서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새로운 시장영역으로 확실히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뿐만 아니라 예비사회적기업 전반에 걸쳐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문화예술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기업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접근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 기업교육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 연구 : '독서통신교육'을 중심으로

        홍석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815

        창조 경영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우리 사회의 화두로 등장함에 따라 기업교육에 있어서도 사회 공헌 및 경영전략, 문화마케팅 등 기업환경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은 다양해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식 정보화시대, 다문화시대에 필요한 창의적 문제해결과 유연한 사고력, 그리고 소통능력 등 우리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적 역량을 키워 주는 교육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학문으로 연구된 기업 문화교육이나 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연구나 자료를 찾아보기 어렵고,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에 이 논문이 의미하는 가치가 크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는 문헌적 고찰과 각 현장의 문화예술교육 담당자와의 인터뷰, 설문조사 자료 및 사례 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적 고찰로는 일반적 기업교육의 정의와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업교육의 쟁점과 동향, 그리고 기업예술교육의 사례를 통해 전반적인 기업교육의 형태와 의미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둘째, 현재 교육기관에서 운영 중인 기업예술교육의 역할이나 내용을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는데, 2008년 전반기에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기업교육과 예술교육간의 역할이 어떻게 다른지, 혹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지 비교해 보았다. 셋째, 차후에 운영 가능한 예술교육프로그램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기업예술교육의 가능성과 예상효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조사된 기업 교육의 정의와 역할에 대한 결과로, 기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재육성으로 현재 기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조직원의 직무능력 향상 및 자아실현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계획된 학습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교육은 업무 위주의 직무 능력 향상과 마인드 향상 교육 등 분야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사례를 통해 기업예술교육의 현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교육이기 보다는 이벤트성 행사로 운영 중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기업에서 운영 중인 문화예술 관련 프로그램을 조사해 본 결과, 일반적인 형태의 기업교육보다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맞춤형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회사의 프로그램이 전반적으로 교육성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독서통신 교육을 중심으로 기업교육을 조사한 결과 기존의 기술교육형태에서 벗어나 창의력과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의 역할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아울러 기업 내ㆍ외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과 경영 마인드 제고를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효과를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기업 교육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에 대한 결과로 창조 경영 및 지속 가능한 경영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등장함에 따라, 기업 환경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은 더욱 확대되리라 기대한다. 또한 그동안의 문화예술교육과 연계한 기업 내ㆍ외부 활동 사례에 비추어 볼 때, 기업 교육에서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기업에게 미래 비전과 성장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새로운 파트너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creative manage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ompanies have appeared as a main issue in our society, even in the respect of business education, there are various alternatives to add cultural art education to business environments, such as social contribution, administrative strategies and cultural marketing. Cultural art education is an education to cultivate cultural capabilities so that all kinds of social members may coexist with each other, such a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flexible thinking and communicative ability needed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and multi-cultural age.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theoretical researches or data about business culture education or art education programs that are studied in terms of learning, and since it is time to conduct a research into the relevant fields, the value of this thesis seems highly significant. This study was paralleled by bibliographic consideration, interviews with managers in each field of cultural art education, survey data and case studies. Firstly, as for the bibliographic consideration, the pattern and meaning of general busines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issues and trend of business education and the cases of business art education in order to help comprehend the definition and roles of general business education. Secondly, the roles or contents of business art education, which are operated by educational organizations now,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in the first half year of 2008, a comparativ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differences between the roles of general business education and art education to find out which direction those two education systems should improve in. Thirdly, the potential of business art education and its anticipated effects were stated by suggesting art education programs possible to be operated in the future as an alternative. As a result of the definition and roles of business education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earches above, it was foun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business education is the cultivation of talents, which is a planned learning activity performed on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business task ability of employees working for companies now along with the self-realization. Business education plays various roles in each field, such as the improvement of task ability focusing on business affairs and mind improvement education. Besides, with the investigation into the reality of business art education through the relevant case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programs are operated as an event rather than a single education. With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cultural art-related programs operated by companies now, it was found that the degrees of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are higher in art education programs than in the pattern of general business education, and it was also found that out of those companies for the study, especially the company operating customized art education programs has superior educational achievements as a whole. Moreover, with the result of investigating business education mainly with reading-communication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off the existing pattern of technology education and need the roles of cultural art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further admitting the potential and effects of art educa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inside and outside companies and the promotion of managerial mind. In comprehensive conclusion, as a creative management and a management possible to continue have shown up as a main issue in our society as a result of the potential of art education programs for business educ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alternatives connecting business environments with cultural art education will be expanded much further. In addition, with the investigation into the cases of companies' inside-and-outside activities in conjunction with cultural art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art education programs in business education will be recognized as a new partner able to suggest future vision and growth potential to companies.

      • 문화예술경영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문화예술기관 중심으로

        이유정 호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815

        21세기에로 접어들면서 문화와 예술은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과거와는 달리 문화예술을 통해 삶의 질적 수준도 날로 향상되었으며 참여도 능동적으로 변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문화욕구를 위해 1980년대 문화정책의 변화로 전국 각 지역의 지자체에는 자치구를 대표하는 문화예술회관이 우후죽순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문화예술기관의 소프트웨어를 고려하지 않고 문화예술회관이 건립되었기 때문에 효율적 경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이러한 현실문제로부터 문화예술기관은 각 지역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조사의 부족 등 여러 가지 운영상의 문제점과 보완점이 노정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기관이 보다 효율적인 경영을 꾀하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우선 문화예술지원사업을 통해 정부주도사업과 민간주도사업의 사례를 들어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민, 예술가들의 인식조사와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사회적 특수성을 활용하여 생활 속 문화예술을 활성화하는 효율적 운영방법을 모색하였다. 제 2장에서는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시민들의 정서함양과 문화향유 권리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우선 ‘문화’라는 화두를 통해 접근하였다. 먼저 문화예술의 형성배경 및 변천과정, 문화예술경영의 이론적 배경과 시장현황, 환경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본 논문을 이해시키고자 이론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문화예술을 시장경제학에서는 어떠한 활동은 금전적 수익의 발생을 우선시 하지만 문화예술시장의 경우 그 특성상 수많은 작품 활동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방법들이 요구되기 때문에 물리적 수익의 발생과 함께, 작품의 소비자와 생산자, 즉 감상자와, 작가들 간의 상호의사소통을 위한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우리가 안고 있는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게 하였다. 문화예술은 서로의 삶을 통해 형성되며 만들어가는 것이며 서로 공유하고 소통한다. 문화예술 행정, 경영은 문화예술시장을 형성해 가면서 공존 했을 때 다원적 조직체계와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상호작용이 일어나면서 새로운 문화예술콘텐츠가 생성되고 예술시장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문화예술시장이 형성되고 내․외부의 환경변화에 따라 작가와 소비자들의 공감대가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겠다. 제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지원기관(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서울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인천문화재단, 광주문화재단, 전남문화관광재단)을 대상으로 지원기관 운영현황, 인력현황, 프로그램 현황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의 거버넌스 실현방안 요소를 제안하여 공공기관의 경영인력현황과 지역특성화에 맞는 전문적인 운영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지역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정부가 지향하는 문화예술 추진과제에 맞춰 지역실정에 맞는 현장프로그램 개발과 진행, 지역특성에 맞춘 운영방식을 도입해야 효율적 경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제 4장에서는 유럽의 사례를 통해 공간에 대한 커뮤니티형성과 네트워크의 활성화, 문화예술기관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소통의 확장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문화예술경영을위한 거버넌스 실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자기조직화와 거버넌스를 실현을 위한 유형과 특성들을 살펴보고 국가주도형, 시장자율주도형, 시민사회주도형을 사례로 문화예술지원기관의 체계적인 파트너십 형성과정을 논하였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은 소비자들의 욕구가 점점 더 다양해고 있는 가운데, 예술의 표현방법과 홍보, 예술이 행해지는 공간도 그에 맞게 진화해 가지 않는다면, 문화예술시장에서의 생존을 보장받기는 더 이상 어려울 것이다. 동굴 벽에 돌로 그림을 그리던 생활에서 이제는 다양한 재료에,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창의적 발상으로 지역과 소통하고 작품을 확장해 가는 시대로 바뀌었고, 사진과 영상 저장기술이 등장하면서 표현의 방법 또한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심지어 작품과 자신이 같은 공간 안에 없다고 해도 실시간으로 누릴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활성화로 정보 전송기술 역시 각양각색이다. 문화예술기관이 진정으로 원하는 커뮤니티 형성의 방법과 네트워크의 다양화가 무엇인지에 따라 새로운 방법들을 활용한 예술활동과 대안적 마케팅기법들을 지속적으로 적용해 나간다면, 자연스레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관의 파트너십 관리단계를 형성해간다면 시장실패라는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출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제 5장에서는 이러한 변화된 생활문화 속에 문화예술지원사업을 제도적으로 이해하고 효율적 활용을 위한 문화예술지원사업의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산중심의 환경에서 시장중심의 환경으로 바뀌어가면서 정부주도, 민간주도, 기업의 문화예술마케팅 및 지원사업의 효율성이 기존의 마케팅 기법과 다른 점을 이해하고 문화예술시장의 활성화와 마케팅에 대한 대안적 전략과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문화예술경영의 환류시스템을 제고하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예술경영의 효율성을 위해 문화예술지원사업의 제도적 이해를 통해 성공적 마케팅과 그 단계에 맞는 적절한 지원사업의 취지, 목적, 재원조성을 하여야 한다. 기존의 생산중심의 환경에서 시장중심의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인지하고 대처함으로써 문화향유자를 위한 마케팅을 실현하고 서로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류시스템이 제고되어질 때 더욱더 문화예술이 활성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제 6장에서는 공간활성화 방안으로서 노후 된 폐 산업시설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이 갖는 유산적 가치는 문화예술경영의 지평에도 새로운 과제로 제시하였다. 사회적기업과 전통적인 비영리 단체와의 성격은 조금은 다르다. 사회적기업은 영리를 목표로 추구하기 때문에 전통적 비영리 단체는 문화예술 시장 속에서 상당한 경제적 위험을 감수하게 된다. 산업구조의 변화로 다양한 산업시설물들이 유휴공간으로 만들어져 가는데 정부주도의 공간 활용 사례를 본다면 대표적인 예로 서울역사, 포천아트벨리. 안양 예술공원, 대구 문화창조 발전소, 청주 연초제조창, 군산 근대역사관, 광주 양산동 스튜디오 등을 볼 수 있고, 민간주도 사업현황으로는 문래동 창작스튜디오, 스페이스 빔, 감자꽃스튜디오, 군산여인숙, 담양 대담미술관을 들 수 있겠다. 이는 곧 문화예술경영의 중심활동에 전혀 다른 차원을 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복합적 예술의 수용과 창작 및 제작, 배급과 향유, 투자의 선 순환적 구조가 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본다면, 문화는 통합적 공간의 실현을 보게 된다는 것이다. 지역의 특수성과 지역사회의 문화활동에 대한 네트워킹, 파트너십, 지역민들의 매카니즘을 통한 새로운 접근방식은 문화예술 향유자의 개념을 바꾸어놓고, 창작의 주체로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각 지자체의 공공기관에서는 도시재생의 창조도시 담론과 더불어 공간에 따른 인력구성의 다양화에서도 문화예술공간이 도시적 구도에서 그 역할이 달라짐을 확인 할 수 있다. 단순한 기능직업무의 개념이 아닌 공간이 주는 새로운 여건에서의 문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예술행정의 기간이 짧고, 문화정책의 수립과 실현에 있어서도 국가 주도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때문에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파트너십이 잘 형성되지 않으므로, 문화예술경영이 효율적인 체제로 운영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도기적 시점에서 문화예술경영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실천과 노력이 필요하다. 즉, 문화예술경영의 효율성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켜 국가가 운영하는 기금사업으로 민․관, 시민사회, 지자체, 예술단체, 기업 등 사회구성원으로 속해있는 대상과의 파트너십이 용이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민․관의 거점역할을 하고 있는 문화예술지원기관이 우리나라 문화예술네트워크에서 허브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때 비로소 문화예술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시스템구축이 가능해 질 것이다.

      • 체육교과 내 표현활동을 통한 효율적인 문화예술교육 도입을 위한 연구

        이민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815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체육과는 ‘신체 활동’을 통하여 체력 및 운동 능력을 기르고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며 바람직한 품성과 사회성을 갖추어, 건강하고 활기찬 삶과 여가, 문화와 예술 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함께 체육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하는 교과이다. 신체 활동은 ‘체육’을 타 교과와 구별 지을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체육과에서는 신체 활동이 교육의 본질이자 교육의 도구로써 활용되며 ‘신체 활동’을 통해 세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표현 활동은 신체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이를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능력을 추구하는 가치이다. 풍부한 감수성과 비판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신체적 표현 활동은 창의력을 기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표현 활동’은 신체 활동의 심미적 요소를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표현 유형과 문화적 특성을 감상하는데 초점을 둔다. 표현의 대상을 기준으로 움직임표현, 리듬표현, 민속표현, 주제 및 창작 표현으로 구분한다. 표현 활동 단원은 음악과 소리를 통해 신체를 표현하는 활동으로 음악, 무용의 통합예술교육이 가능하고 논리, 분석적 사고, 독창성, 다양성, 개방성, 상상력, 호기심, 흥미 등의 요소들이 발생함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이 이뤄진다. 또한, 주어진 여가 시간을 자기 계발과 사회 발전을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태도를 추구하는 가치이다. 이렇게 체육교과 내에서 표현활동단원의 필요성과 중요함, 꼭 교육 이뤄져야 함이 뚜렷하게 보이는 데 불구하고 그 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에 대한 해결방법 또한 열악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더 이상 누구를 탓하고 미루는 것이 아니라 학교체육교사의 객관적인 입장에서 학교교육과정의 체육수업이 효율적인 수업경영 방안을 모색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어려움과 거리를 두고 있는 체육교사들을 위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의 체육수업 내에서 이뤄질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교 체육수업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더 나은 방법으로 수업을 경영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재구성하여 체육교사와 학생들에게 실제 수업에 적용을 하는 것에 목적으로 하고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체육수업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며,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1. 학교의 체육교사는 표현 활동단원 수업을 잘 운영하고 있는가? 1) 체육교사가 경영하는 표현활동 수업은 어떻게 운영되는가? 2) 체육교사가 경영하는 표현활동 수업운영에서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2.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배우는 표현활동을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참여하고 있는가? 1)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배우는 표현활동의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배우는 표현활동을 이해하고 있는가? 3. 학교체육교사의 입장에서 학교체육교육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업 운영하기 위해 개발하고 개선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의 해답을 얻기 위해서 이 논문은 관련된 서적과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였고, 학교에서 체육교과 내 표현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방법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함과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 초, 중, 고등학교 체육교사 30명과 학생 50명, 교사를 준비하고 있는 예비교사인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런 논의를 위해 이론적 고찰에서는 체육교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념과 배경을 살펴보았고 체육교과 내의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기본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과 내 표현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효율적인 도입에 관한 연구문제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얻게 되었다. 첫째, 교사들이 교사자신의 요인으로 인해 무용 수업이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교육의 경험이 부족한 교사에게서 무용에 대한 높은 인식과 자신감 있는 교수방법과 지도능력을 바라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을 것이다. 체육교과 속의 표현 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모습을 보였다. 교사의 다양하지 못한 경험과 전문성의 부족으로 전문예술경영인과 비교하였을 때 다양한 프로그램 보유, 효율적인 수업경영의 부분이 매우 부족하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학생들을 인솔할 수 있는 능력과 친밀감, 시간과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에 대해서는 전문예술경영인에 배해 높은 능력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전문적인 기술과 수업 능력, 다양한 프로그램의 보유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났고 이를 위해서 교사의 연수(교육)의 중요함을 보였다. 둘째, 표현 활동은 활동적인 움직임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로 되는 단원이다.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표현 활동을 위한 무용실이나 체조 실 등의 특별실이 필요로 된다. 특별실은 일반적인 교실과 다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런 특별한 교실이 있는가에 따라서 교사의 적극적인 시범과 수업이 이뤄지고 수업의 질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표현 활동은 다른 단원과 달리 공간의 대한 필요성이 높기 때문에 학교 내에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는 교실인 특별실이 확충되어있지 않고 환경과 여건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표현 활동의 수업은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모든 시설을 갖춘 완벽한 특별실이 꼭 아니어도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준과 적한한 공산은 꼭 필요한 곳이다. 이를 바탕으로 초, 중, 고등학교 체육교과 내 표현 활동 단원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업설계가 효율적으로 올바르게 운영될 수 있기를 바란다. According to revised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PE) is a subject to promote the quality that can succeed and develop sports culture creatively and make art activities, healthy and active lives and leisures possible with reasonable character and sociality that understands oneself and the world and promotes athletic ability and strength with physical activities. Physical activity is the core factor that distinguish PE from other subjects. It is utilized as an educational means as well as essence in PE and students are educated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it. Expression activity is a value that reveals emotions and thoughts oneself and embellish them with the physical activity. Various physical expressions based on sensitivity and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re very powerful to raise creativity. ‘Expression activity’ focuses on understanding aesthetic factor of physical activity, expressing creatively and appreciating various expression typ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for expression are classified on the standards of movement, rhythm, folk, title and creation. Expression activity chapter is an activity that expresses the body with music and sound, which makes integration of music and dance. Also, its artistic education is done with logical and analytic thinking, originality, diversity, creativity, curiosity and interest. Moreover, it is a value to persue the attitude that utilize given leisure time for self-development and social growth. However, in this, that activity is not well-done even it looks so clear that expression activity chapter is needed and important so it must be done. Worse thing is its solutions are done poorly. It is time to stop blaming others, find effective instructional management solutions for school PE curriculum on the objective side as a school PE teacher and instruct PE teachers who have difficulties abou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In this study, it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esent problems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programmes that can be done in school PE classes, and reorganize those programmes accurately and efficiently that fit to realistic class management. Also for that, it investigates the reality of present school PE classes and how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about this. Study subjects are set like: 1. Do PE teachers manage expression activity chapter class well? 1) How the expression activity classes are managed? 2)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expression activity class according to the PE teachers? 2. How do students like and participate in the expression activity class? 1) How are the recognition about the expression activity class? 2) Do students understand their learning expression activity class? 3. As a school PE teacher, how they can develop and improve for rather effective expression activity class management? To get answers, this study looked up related publications and Internet sites, made up questionnaires and inadept interviews with 30 current school PE teachers , 50 students and 30 PE teachers in the mill to grasp the recognition abou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of students and find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that class management through expression activity in school PE class. For this debate, theoretical review gives the concept, background, goal and heading direction of PE itself and cultural artistic education. As a result, conclusions on the study subject about effective introduction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hrough expression activities within PE are quired based on the analysis like below: First, teachers were revealed not to educate dance with their self-factors. It is not reasonable to ask teachers short of dance education experiences to have high recognition about dance and be confident about their teaching method and ability. Teachers had low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hrough expression activities in PE. Comparing teachers with limited experiences and professionalism with professional art executives, it seemed low in the number of owned programmes and effectiveness of classes but it seemed high capacity for student controlling, intimateness, efficient time and space utilizing. Thus, it seems for teachers to have various programmes, professional skills and teaching methods,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training of teachers. Second, expression activity needs space enough for active movements. For good classes, special rooms for expression activity classes like gym and dancing room are required. These room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rdinary classrooms and whethers these rooms exist or not affects the quality of class and the teachers’ attitudes for showing positive models. Expression activity has high need for rooms so schools that have not enough rooms for it or not enough extrinsic supports would have many difficulties for expression activity class. It does not have to be all-set perfect special room but rooms proper enough for free and active movements are required. Based on this analysis, there is a hope for efficient and positive class design for successful cultural artistic education with expression activity chapter within P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