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관 관람객의 정체성을 돕는 문화전략

        정혜정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6415

        The question of 'what the visitors to galleries would want and what kind of their desires would be satisfied when they visit galleries' is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but the answer to that question is neither simple nor temporary. This paper examines what influence the experiences in galleries would have on their visitors and how galleries would be able to help their visitors to find their identity mentally. Galleries have been revitalized mostly when the marketing strategies, focusing on the quality and the extensity of art work and on exhibition planning, were introduced, because there have been continuous studies on visitors. Now, it's not that difficult to find some data on the studies on the visitors to galleries around us, including the studies on how to improve the service in galleries, the studies on how to teach to appreciate art works, and the studies on the diversity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However, while galleries have sincerely taken the position of valuing much of their visitors' learning and experiencing so far, now it's time to jump to a new level in order to sensitively react to and cope with the fashion of the day. In other words, today's galleries should lay stress on the visitors' thinking power and encourage their rich imagination, future dreams and life stories to open through galleries, rather than implant selected thoughts in visitors' mind from the galleries' point of view, and also should study on the identity of visitors with open mind toward and continuous interest in them. This paper examines how to extend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 diversity of visitors, and how to fulfill the expectation of the visitors to galleries. Galleries are one of the places where you can feel the phase of the tim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as an age of culture.' Galleries should be ready to enter upon the future, realizing that the time are moving from the age of images, movies, and information to the age of expressing imagination with stress on stories, dreams, and sensitivities. The present age requires galleries that help visitors recover their identity so that they can appreciate art works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not from the viewpoint of galleries. Therefore, galleries have the task to reexamine and research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visitors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visitors. In particular, they need to take interest in the fact that their visitors become interested in art not only by the messages offered from the galleries, but also by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fact that the meanings of the messages can be given from the visitors' internal motivations. Alth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galleries and their visitors have been studied on in many ways so far, more detailed studies need to be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ors who are experiencing galleries and the art works on exhibition and the artists. Through the study results, galleries will be able to broaden the extent of their understanding on their visitors' identity, and take more active interest in and cope with the visitors' appreciation of exhibitions by their own internal motivation. In addition, galleries need to play a role of a multi-cultural space which has clear establishment purposes and aims, sensitively reacts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produces culture and art for the masses. The galleries which can keep time with the masses and reflect their voice to the society are the very leaders making today's culture and art.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the ways how galleries can offer visitor-centered and users-centered cultural environments or exhibitions, not suppliers-centered ones. Gang-sik Choi, the curator of National Museum of Korea, once said, "Galleries are the place for festival," which also expresses the museums' current position since today's museums and galleries are popularized and required to play a role of a multi-cultural space. The will to make museums open places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can communicate presents the direction toward which museums and galleries should advance. Next year is the 100th year since the first museum was built in Korea. In order to become future-oriented galleries in the rank of culturally advanced country, galleries should develop various programs through which visitors can feel sympathy and help people in general become more interested in and have deeper understanding in culture and art. Successful galleries make future plans so that they can cope with the urgently-changing times. Modern galleries have the task to help their visitors find their identity so that they can go to galleries by their own internal motivations. Galleries also should play a role of enhancing their visitors to improve their cultural attainments, express their personal imagination and dreams freely through art and culture, and to use them as a place to express themselves experimentally and actively. Likewise, galleries are continuously required to have wisdom and readiness to react to and cope with the needs of the urgently-changing present times. ‘미술관을 찾은 관람객의 입장에서 요구되어지고, 충족되어지는 부분이 무엇일까?’ 라는 질문은 가장 기본적이지만, 그에 대한 답은 간단하지도 않고, 일시적이지도 않다. 본 연구는 미술관 관람객이 느끼고 경험하는 미술관 체험의 영향력과 동시에 관람객이 심리적으로 미술관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술관의 방향성을 연구한 것이다. 미술관이 작품의 질과 공간성 그리고 전시기획을 중심으로 한 마케팅의 도입에 집중해서 활성화된 것에는 관람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함께 있었기 때문이다. 미술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나 미술작품 감상지도를 위한 연구,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다양성의 연구 등 미술관 관람객 연구에 대한 자료를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술관이 관람객을 위한 학습과 체험을 중요시 여기는 입장을 성실히 지켜 왔다면, 이제는 시대적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위치로 도약할 단계이다. 즉, 현 시대의 미술관은 미술관 입장에서 관람객을 위해 선별된 사고를 심어주는 입장이 아니라, 관람객의 사고력을 중요시 여기고 그들의 풍부한 상상력과 미래의 꿈과 삶의 이야기가 미술관을 통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정하고 열린 사고와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관람객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와 관람객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미술관을 찾은 관람객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연구한 것이다.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다.’라는 시대성을 가장 민감하게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미술관이다. 미술관은 이제 이미지와 영상, 정보의 시대에서 이야기와 꿈을 다루며, 감성을 중요시 여기는 상상력의 표현화시대로 가고 있음을 감지하고 미래를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 현 시대는 미술관의 입장에서 관람객을 관람하게 하는 것이 아닌, 관람객의 입장에서 미술관을 관람하게 할 수 있도록 관람객의 정체성을 회복시키는 미술관이 필요하다. 미술관은 관람객과의 관계성을 재검토하고 연구해서 관람객과의 소통관계를 원활하게 해야 할 과제가 있다. 특별히 관람객의 관심과 흥미가 미술관이 제공하는 메시지로부터만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미술관의 내 · 외부 환경적 요인과 관람자의 내적동기로부터 메시지의 의미가 부여될 수 있다는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금까지 미술관과 관람객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미술관 체험을 하는 관람자와 전시된 작품이나 작가에 대한 구체적인 만남과 관계성에 대해서는 연구과정의 미흡함을 보인다. 관람객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관람객과 관람객이 접하는 작품, 그 작품의 작가에 대한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필요하며, 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미술관은 관람객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관람객의 내적동기에 의한 전시 관람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대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아울러 미술관은 명확한 미술관의 설립취지와 목적을 가지고, 시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대중을 위하여 예술문화를 연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그 위상을 나타내야 한다. 대중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미술관, 대중의 목소리를 사회에 반영시킬 수 있는 미술관이야말로 이 시대의 문화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주역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의 문화적 환경이나 전시의 방향이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전시로 관람객 위주의 방향성을 제시해 나가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박물관은 축제의 장이다”라고 표현한 국립중앙박물관 최강식 박물관장의 발언에서도 현 시대의 박물관 · 미술관의 위치가 대중화와 더불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시대적 입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박물관을 오픈 된 공간으로 만들어 전통과 현대가 소통하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는 의지는 박물관 · 미술관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박물관이 세워진지 내년이면 100년이 된다. 문화선진국의 반열에 서서 미래지향적인 미술관의 위상을 세우는 미술관이 되려면, 관람객이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더불어 사회 전반적인 예술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혀 나가야 한다. 급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미래 계획을 세워 나가는 것이 성공적인 미술관의 자세이다. 현대의 미술관의 과제는 관람객이 미술관을 찾는 동기가 스스로의 내적동기에 의한 것이 되도록 관람객의 정체성을 세워주는 것이다. 미술관은 관람객이 미술관을 통하여 문화적 소양을 함양시킬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상상력과 꿈을 예술문화를 통하여 자유롭게 표출되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실험적이고 적극적인 자아표현의 장소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그 입장을 세워 나가야 한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반응 · 대처할 수 있는 미술관의 지혜와 준비되어져 있는 태도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홍석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6399

        미술관은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장소이며, 인간의 미적 경험을 이끌어내는 커뮤니티 공간이기도 하다. 2000년대 들어 미술관은 오랫동안 중심이 되었던 전시 기능에서 탈피하여 대중과 소통하는 교육 기능을 강화했다. 미술관 교육 기능을 통해 소통이라는 사회적 화두를 수용한 것이다. 최근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인문학 관련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것도 미술관 교육을 활성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미술문화가 지닌 특수한 성격과도 맥을 같이 한다. 대중은 예술 체험을 통해 잠재된 정서를 교감하며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정보를 얻는다. 미술관 교육 활동은 여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분위기를 유도하고, 문화적 역량을 갖추는 환경을 조성한다. 미술관 교육이 대중에게 가까이 다가가며 다원화된 사회에서 대중의 삶의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미술관 교육은 2000년대 들어 정부 지원이 대폭 확대되어 국·공립 미술관을 중심으로 대상과 계층을 아우르며 전개된다. 그 사이 교육도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교육 내용도 실기와 체험, 큐레이터 토크, 작가 워크숍, 감상·이론 등의 통합교육으로 발전한다. 타 교과와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 대중과 예술인이 직접 교류하는 형태의 교육도 나타나는 등 미술관 교육은 사회 흐름을 반영하여 다양하게 보급되었다. 주 5일 수업, 주 5일 근무, 탄력근무제, 조기 퇴직 등은 대중에게 여가 시간을 안겨주고 있고, 보다 가치 있는 여가문화를 제공하기 위해 미술관 교육 기능은 점점 부각되고 있다. 미술관 교육은 대중의 삶을 윤택하게 돕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미술관은 미술관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미술관 교육을 전개할 의무가 있다. 문화 향유자에 대한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부상하고 있는 담론을 프로그램에 담기도 하는 등 다양한 교육 유형을 개발하고 있다. 생활 환경이 여유로워지면서 풍요로운 삶을 향유하려는 욕구는 당연하다. 인간의 정신적 성취감의 충족을 위해서라도 심화된 교육 개발은 필요하다. 더불어 미술문화 소비자에서 최근에는 미술문화를 함께 공유하고 즐기는 능동적인 주체자로 변화한 수요자의 문화 의식이 높아진 분위기 속에서 질 좋은 교육프로그램의 등장은 당연하며, 문화를 공유하려는 대중과 함께 미술관 교육은 활성화되고 있다. 미술관의 풍부한 문화 자원을 활용해서 개발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은 보다 질 좋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중에게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국립현대미술관이 2013년 한 해 동안 수행한 교육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국내에서는 국립기관인 국립중앙박물관과 현대미술 중심지로 성장한 서울시립미술관, 국외에서는 세계 최초로 현대미술관으로 자리하고 세계 현대미술의 중심 역할을 한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및 국립기관인 영국 런던국립미술관(The National Gallery)의 교육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프로그램을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나타난 시사점을 보완하여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되어 미술문화가 생활속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교육 수요자의 다변화 측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측면, 평가시스템의 개발 측면에서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다변화한 사회가 요구하는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는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미술문화를 경험한다는 공통된 과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의 문화를 만들어가는 연결 통로로서 미술관 교육이 활용되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성숙한 문화의식을 숙지함은 물론 생활속에서 미술을 실천할 수 있는 미의식의 함양 등 미술관 교육의 공공성을 확고히 하는데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한다.

      • Museum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정소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6399

        Museums of the 21st century have become complex, multifaceted spaces with different dimensions. In order to compete with other leisure activities, museums must change and adapt to this cost-driven age. Although it is still an unfamiliar approach to classify the museum, perceived in the past as a “Cathedral of Learning”, as a space for leisure, its significance as a complex cultural space is drawing more attention. While in competition with other leisure activities there is a need for museums to attract a greater audience. If the museum's function of collecti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were emphasized in the past, then the modern day museum is changing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By progressing into a popular form, the museum is changing its image as it aims for the participation of and service for its audience. The museum operates as the facilities and services provided for visitors are the key factors in attracting its audience. The visitor should feel warmly received and comfortable, and through this experience will continue to visit museums and can make recommendations for others to do the same. As a media space that intends to smoothly perform its function as a complex cultural space, the museum is a convenience facility. A convenience facility is a space where museum visitors enter regardless of the type of exhibition, and it is generous in accommodating some functional activity because most visitors come into the space with a lighthearted attitude. This study do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use of information in ten museums domestic and abroad, seeking a solution for developing museums that present the identity and cultural standard of the nation, and proposes a management plan for attracting museum visitors. Nine types of convenience facilities taken from cases abroad that can be applied to museums of Korea are presented. The first application is taken from the increasing number of visitors to the outdoor garden at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Breaking free from the idea that museums are dull and contained within a standardized space, the museum must be reformed to have an open space where visitors may come close to nature. Second, the case of the Tate Galleries is noted as a museum that is a landmark. Buildings and sculptures that are landmarks are continually sought by an audience. That audience may naturally carry over as museum visitors. Third, the British Museum, which is experience-oriented,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communication” with its audience rather than a unilateral means of conveying through the “exhibition”, making itself a museum that may be remembered for a long time. The fourth application is taken from the case of the Louvre Museum, where the use of audio guides is an effective method of viewing. They present the shortest route to follow, reducing fatigue, and are available in each language that will accommodate visitors from different countries. Fifth, the Musee de l'Orangerie is noted for its arrangement of large chairs inside the exhibition space. The arrangement of large chairs creates a comfortable space where visitors are able to rest while they view the art work. Sixth, the Guggenheim Museum is noted for its unique method for viewing and use of free audio guides, which hav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visitor's convenience and provide free explanations for modern art pieces that may be difficult to understand. Seventh, the MoMA is noted for its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products. Through various cultural products the visitors' motivation to buy is increased, and the online shop enables them to do so at any time. The eight application is taken from the Mori Art Museum,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high accessibility. Through its connection with other convenience facilities within the Mori Tower, it naturally draws in visitors. Finally, the new concept of The National Art Center, Tokyo is examined. Having a sophisticated restaurant and cafes makes a visit to the museum an opportunity to have a culinary experience. Through analysis of the above eight cases from museums abroad, I have proposed six different plans for the revitalization of museums in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convenience facilities within the exhibition space.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space limitations and fatigue, the open space and convenience facilities of the museum should be expanded, providing all museum visitors with comfort and various services. Second is the provision of a cafeteria or restaurant with high quality food and beverage. A space for relaxation that associates the museum with a comfortable atmosphere can reduce fatigue and energize the visitors to have an enjoyable time viewing of the museum. Third is the revitalization of the museum shop. To those visiting the museum, the museum shop is an element of attraction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economic profit of the museum. After the viewing of an exhibition, the museum shop recalls the art work and further contributes to the dissemination of culture. Fourth is the construction of a museum theme park as a landmark. A museum builds a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around it, and while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 region's culture it provides the opportunity to lead visitors of the city into the museum. Fifth is reinforcing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the expansion of experience-oriented space for children. Training for specialized human resources and teachers, and lectures not only for students but for the general public, will raise museum standards for improvement. Having experience-oriented exhibitions aimed at children will expand the awareness of the museum's ability to fulfill its educational role. Sixth is the application of public relations that utilize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 following with the expanded dissemination of smart phones, this will become an aggressive marketing tool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for users and also attract dormant museum visitors. As mentioned above, the expans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in museu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ge of cultural industry. Like in the cases from abroad, in order for revitalized museum management that will present the identity and cultural standards of the natio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nvenience facilities and demand for aggressive management will reform the museum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leisure spaces. 21세기 Museum은 다양한 양상을 띤 복합적이며 다차원적인 공간이 되었다. Museum은 다른 여가활동과 경쟁하기 위해 소비지향의 시대에 적응해서 변화하여야 한다. 과거 ‘배움의 전당’으로 인식되어온 Museum을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직까지는 익숙하지 않은 접근법이지만, Museum은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다른 여가생활 공간과의 경쟁에서 더 많은 관람객을 유치할 필요성이 있다. 과거 Museum의 수집, 보존, 전시의 기능이 강조되어왔다면 현대의 Museum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Museum은 대중적인 모습으로 발전하여 관람자의 참여와 서비스를 지향하는 모습으로 바뀌고 있다. Museum이 관람객에게 제공하는 제반시설과 서비스는 Museum 관람객 유치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관람객은 환대받고 있다는 느낌과 편안함을 느껴야 하는데 이러한 경험을 통해 계속 Museum을 찾게 되고, 다른 사람들에게 Museum의 관람을 권유할 수 있다. Museum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있는 매개체 공간은 편의시설이 될 것이다. 편의시설은 관람형태와 상관없이 Museum 관람객이라면 반듯이 방문하게 되는 공간이며 방문자 대부분이 이 공간을 가벼운 마음으로 방문하기 때문에 그 어떤 기능적 활동을 수용하는 데에 관대하다. 본 논문은 국내·외 열한개의 Museum의 편의시설과 정보이용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그 국가 정체성과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Museum이 더욱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Museum의 관람객 유치를 위한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제언하였다. 국외의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 Museum이 활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에 관한 아홉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의 야외정원을 이용한 관람객 수의 확대를 활용한다. Museum이 지루하고 정형화된 공간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자연친화적인 열린 공간으로 관람객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거듭나야한다. 둘째, Landmark로서의 Museum의 모습인 테이트 갤러리의 사례를 주목한다. Landmark로 자리한 건물 및 조형물들은 끊임없이 관광객이 찾아온다. 이 관광객이 자연스럽게 Museum의 관람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셋째, 체험중심의 대영박물관을 통해 ‘전시’라는 일방적인 전달방식이 아닌 관람객과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수 있는 Museum이 되도록 한다. 넷째, 오디오 가이드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관람방법을 제시하는 루브르 박물관의 사례를 활용한다. 박물관 피로를 줄이는 최단 동선을 제시하고, 여러 나라에서 온 관람객들을 위한 해당언어의 오디오 가이드를 제공한다. 다섯째, 전시실 내 대형 의자를 배치한 오랑주리미술관을 주목한다. 전시실내부에 대형의자를 배치시킴으로서 관람객들이 작품을 감상하면서 잠시 휴식할 수 있는 Museum만의 편의 공간을 마련한다. 여섯째, 독특한 관람방식과 무료 오디오가이드를 활용한 구겐하임 미술관을 주목한다. 관람객의 편의를 고려한 동선을 마련하고 난해한 현대미술품의 설명을 무료로 제공한다. 일곱째, 현대적이며 문화상품을 활용한 MoMA를 주목한다. 다양한 문화상품을 통해 관람객의 구매의욕을 높이고 온라인 샵을 통해 언제든지 문화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여덟째, 접근성을 높인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모리미술관의 사례를 활용한다. 모리타워에 위치한 다른 편의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관람객에게 다가가도록 한다. 아홉째, 새로운 개념의 국립新미술관을 살펴보았다. 다양하고 품격 있는 레스토랑 및 카페를 마련하여 음식의 맛과 특별한 경험을 위해 Museum을 방문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위의 아홉 가지 국외 Museum 운영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 Museum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여섯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전시실 내의 편의시설의 확대가 필요하다. Museum의 공간적 한계성과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방적인 공간과 편의시설을 확대하여 Museum 찾는 모든 관람객에게 편안함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품질 높은 식음료를 제공하는 카페테리아, 레스토랑을 마련한다. 편안한 분위기와 Museum과 연관된 이미지를 활용한 휴식공간은 Museum 피로를 줄이고 활력을 주어 보다 즐거운 관람이 되도록 할 것이다. 셋째, 뮤지엄 샵 운영을 활성화 한다. 뮤지엄 샵은 Museum을 찾는 관람객에게 매력적인 요소임과 동시에 Museum의 경제적 이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전시관람 후에도 작품을 다시 떠올리게 하며 더 나아가 문화 보급 활동에 기여할 것이다. 넷째, Landmark로서의 Museum 테마파크를 조성해야 한다. Museum은 지역 사회와 상호 협조 관계를 구축하여 지역문화 발전을 도모하며 도시를 찾는 관광객을 Museum 관람객으로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다섯째, 교육의 기능을 강화하고 어린이 체험공간을 확대한다.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위한 특별강좌, Museum 전문 인력과 교사를 위한 연수는 Museum 수준의 향상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체험 중심의 전시는 Museum이 교육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인식을 확대할 것이다. 여섯째, SNS를 이용한 홍보를 활용한다. 스마트 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잠재된 관람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마케팅 도구가 될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Museum 편의시설의 확대는 문화산업시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외의 사례처럼 국가 정체성과 문화 수준을 잘 나타내는 Museum 활성화 운영을 위하여 Museum 편의시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운영이 요구되며 다른 여가생활공간과 차별화된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 지역문화 자원으로서의 작가 미술관 건립 계획에 관한 연구 : 홍재호 미술관 건립계획을 중심으로

        김미정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6399

        문화와 예술적 자본이 도시를 만들어 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대에 경제발달은 삶의 윤택함으로 이어져 자연스럽게 여가시간의 확대를 가져왔다. 과거 특수한 계층이 누렸던 예술은 오늘날 일반 대중의 문화예술적 욕구와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상적인 문화가 되었다. 그러나 지방자치제를 통해 지역사회의 문화향수 제고 및 지역 이미지 창출과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역사적 정치적 배경으로 인해 사회전반의 문화예술은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현재까지도 지역과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의 경쟁력과 지역문화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작가 미술관의 건립 계획안을 통해 작가 미술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동시에 지역 작가의 작품과 삶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갖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의 경쟁력 강화와 이미지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중, 소형 규모의 국내외의 작가 미술관 사례를 선정하여 작가 미술관의 필요성을 선행하였다. 첫 번째, 작가 미술관의 사례로 지역단체가 운영하는 박수근 미술관과 개인이 운영하는 사립미술관 형태로 경북 통영에 위치한 전혁림 미술관 사례를 연구했다. 해외 사례로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스톡브리지에 문을 연 노먼 록웰 박물관과 중국 북경의 스차하이에 위치한 서비홍 기념관 두 곳을 선정했다. 이 네 곳의 미술관은 각각 운영방식에 차이가 있으나 그 지역을 대표하는 작가 미술관으로 작가의 생애와 작품, 지역과의 연관성 및 장소성, 미술관의 운영 프로그램, 미술관 건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과 작가 미술관과의 연계성은 지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미술관은 지역작가의 생전 업적을 기리는 역할과 더불어서 지역 문화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공간으로서 존재하며 지역과의 연관성을 보이며 지역의 특색을 지니고 있는 문화콘텐츠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앞서 살펴본 작가 미술관의 사례를 발판으로 미술사 적으로 연구 가치가 있다고 사료되는 서양화가 홍재호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고찰하고 작가 미술관 건립 계획안과 작가미술관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장소성 이론에 근거하여 작가가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애정을 품고 작품 활동에 열정을 바친 강원도를 작가 미술관 설립 계획 장소로 선정하였다. 미술관 건립지로 선정한 강원도의 지역성과 미술관 운영 실태에 파악을 위한 지역답사와 이를 토대로 지역을 작가의 작품과 연결해 장소 일치성을 구연하여 작가의 기념비 적인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 작가 미술관의 설립은 단순한 문화예술 공간 설립의 의미를 넘어 한 예술가의 삶과 작품세계를 온전히 들여다볼 수 있고 사회적 문화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사안이다. 또한 홍재호 미술관 설립 계획 안 연구를 통해 작가 선양사업을 계획하여 지역의 경쟁력 확보와 나아가 지역 작가의 발굴 및 양성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In this age in which it is no exaggeration that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are creating a city and economic growth improved standards of living that naturally expanded free time. Art which used to be exclusive for privileged class has now become a common culture to satisfy cultural and artistic desire as well as intellectual desire. In spite of the efforts to promote cultural nostalgia and to generate the image of local society through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overall cultural art throughout the society is concentrated on Seoul and capital area due to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s. So there is a still significant development difference from other regions.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activate strategies of small art museum and to review life and art works of the artist based on construction plan of artist museum which can improve local value and competency. For this purpose, small to medium sized artist museums in this country which delivered positive effects on image improvement and strengthened competency were selecte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artist museum. Firstly, Park Soo Keun Museum which is run by local organization and The Jeon hyuck Lim Museum of Art Museum located in Tongyoung, Gyeongbuk which is run by private were selected as artist museums. For overseas cases, Norman Rockwell Museum in Stockbridge, Massachusetts and Xu Beihong Museum in Shi Cha Hai, Beijing were selected. Even tough those museums show slight differences in operation methods but they are all artist museums representing the area so life and art works of the artists, relation with the area, placeness, operation programs and architectures of the art museum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influence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region and artists on local society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local art museum is a very important place which admires the art works of the local artists as well as to strengthen local competency.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correlations between art museum and region and art museum is playing as cultural contents which contain local uniqueness. Therefore, life and art works of western style painter, Hong, Jae Ho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ly mentioned preceding researches since the artist has research values in terms of art history. Also artist museum construction plan and reactivate strategies of the area through an artist museum were suggested. Furthermore, Gangwon province in which the artist has spent more than 30 years for creating art works was selected as a place of construction for artist museum. Site inspection was performed to find out regionality of Gangwon province which was selected as a place of construction as well as operation status of art museum. And space congruence was reviewed by connecting the region with art works of the artist and strategies were presented to restructure the place as a monumental space of the artist and to activate it. Constructing local artist museum is beyond just constructing cultural art space but it is to review the actual life and art works of the artist and to improve social and cultural assets. Important directions will be suggested in terms of securing local competency, finding local artists and fostering them by developing artist enhancement business through this research on construction plan of Hong Jae Ho museum.

      • 박물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뮤지엄 샵과 문화상품 개발 방안 연구

        허은미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6399

        Competitive power of culture has been increased due to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as interest in culture of each country has been grown. Museums are the organizations of cultural integration that represent cultures of countries, therefore their importance, role and function have been emphasized and diversified. Museums these days have been transformed from organizations of traditional functions including collecting, preserving, and displaying, to complex cultural space offering various services. As museums transform into more accessible to general public, they have been attracting more participations from their users and offering more services. Meaning and role of museum shops and culture products among roles and functions of museums as cultural spaces are very important. Culture products, unlike other general products, have more than product value since they reflect traditions and cultures of countries, regions, and museums. Especially museums as representatives of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level have a great significance. Museum shops and culture products contribute to culture distribution, image improvement of a nation, a region, and a museum as well as promotion. They also contribute to profit increase of museums, and distribute pamphlets, related books. By producing various reproductions and design products, users can buy the products that they only could see in display and fulfill their cultural satisfactio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anagement of museum shops and culture product development in the country and abroad to recognize problems to develop museums that represent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level, and to suggest ideas for development. To develop museum shops that represent nation identity and cultural level, the following development plans were suggested as results of finding concrete solution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to vitalize museum shop management. First, services for users of culture products should be improved. Through A/S for products after selling, credibility should be increased. Various guidelines should be published. Online shops will be helpful. Second, a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are needed. Diverse and active marketing by gift certificates for culture products, discount for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membership system, and promotion using cultural product packaging are needed to draw more users. Third, effective space arrangement, active museum shops are needed. Museum shops should be considered an industry for public interest, not merely for commercialism. In addition, effective layout reflecting flow of users, product display, lighting, and colors should be considered. Four suggestions were made for vitalizing culture product development. First, change of perception on culture products and user analysis are needed. Effort to change public perception on culture products,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to meet users' nee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user preference and need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financial, and political support are needed on national level. Cultural products sold in museums are part of the culture that represents the identity and cultural level of a country, therefore,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on national level should be provided. Thir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useum shops and culture products, well-organized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research diverse culture products and find various ways to vitalize museum shops for public interest. In addition, many possible ways to host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competitions in the country should be considered by attending international culture product related events. Fourth, each museum should have design department to develop culture products systematically. And museum shops should host internal exhibitions to develop promotions, sales, talent search for artists, and new culture products. As mentioned earlier, museum shop management and culture product development are taking a great role in the age of culture industry. To develop vital museum shop management and culture product that well represent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level as other countries do, we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eum shops. Museums should take active management, and develop unique and original products separated from general products. 문화산업의 발달로 인해 문화의 경쟁력은 날로 커졌으며 문화에 대한 각 국의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한 나라의 문화를 나타내는 문화집약체인 박물관은 이러한 문화 중심의 사회에서 그 중요성과 역할, 기능이 더욱 다양해지고 중요시되고 있다. 현대의 박물관은 수집, 보전, 전시의 전통적인 기능에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박물관은 대중적인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이용자의 참여나 서비스를 지향하는 모습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변화된 박물관의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기능 중 뮤지엄 샵과 문화상품이 갖는 의미와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문화상품은 일반상품과는 다르게 한 국가, 지역, 박물관의 전통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특히 국가의 정체성과 문화 수준을 나타내는 박물관은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뮤지엄 샵과 문화상품은 문화의 보급과 국가, 지역, 박물관의 이미지 개선 혹은 홍보에 크게 기여하며, 또한 박물관의 수익증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팜플렛, 관계도서 등을 보급하고 각종 복제품과 다양한 디자인 상품으로 진열장 건너로만 보던 전시품을 보다 가까이서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관람의 연장선상에서 이용자들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박물관의 뮤지엄 샵 운영과 문화상품 개발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국가의 정체성과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박물관 뮤지엄 샵으로 발전하기 위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언해보고자 했다. 국가 정체성과 문화수준을 나타낼 수 있는 박물관의 뮤지엄 샵으로 발전하기 위해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발전 방안을 제언하였다. 뮤지엄 샵 운영 활성화를 위한 세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문화상품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문화상품 판매 후 상품의 A/S 등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높이고 다양한 안내서를 발행한다. 또한 온라인 샵을 개설한다. 둘째,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을 해야 할 것이다. 문화상품권 발행, 전시관람 할인, 멤버쉽 제도 활용, 문화상품 포장을 이용한 홍보 등 다양하고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이용자 개발을 위해 노력한다. 셋째, 효율적인 공간구성과 적극적인 뮤지엄 샵 개설을 해야 한다. 뮤지엄 샵을 단순한 수익 사업으로만 보지 않고 공공의 목적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인식하여 운영한다. 또한 효율적인 판매를 위해서 이용자의 동선을 반영한 효율적인 위치와 상품의 진열, 조명, 색채 등을 효과적으로 구성한다. 문화상품 개발 활성화를 위한 네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문화상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이용자 분석이 필요하다. 문화상품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의 변화를 위해 노력하며 뮤지엄 샵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선호도 혹은 욕구를 조사, 분석하여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국가적 차원의 재정적, 정책적 지원을 한다. 박물관에서 판매하는 문화상품은 한 국가의 정체성과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문화의 일부이므로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뮤지엄 샵과 문화상품의 연구와 발전을 위해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전문기관을 개설하여 공공의 이익을 목표로 뮤지엄 샵의 활발한 운영과 다양한 문화상품을 연구하고 다양한 방법을 모색한다. 또한, 국제적인 문화상품 관련 행사에 참여하며 국내에서 국제적인 세계박람회 및 공모전을 개최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각 박물관에 디자인 부서를 두어 체계적인 문화상품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뮤지엄 샵에서 내부 전시회를 개최하여 전시를 통한 홍보, 판매, 작가 발굴, 새로운 문화상품의 개발 등이 이루어지게 한다. 앞에서 말했듯이 뮤지엄 샵의 운영과 문화상품의 개발은 문화산업시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외처럼 국가 정체성과 문화수준을 잘 나타내는 뮤지엄 샵의 활발한 운영과 문화상품 개발을 위해서는 뮤지엄 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박물관의 적극적인 운영이 요구되며 일반 상품과는 차별성을 가지는 독창적인 상품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국내)박물관 미술관 사진유물의 소장, 수집 및 관리연구

        이선종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6399

        Last year 2009,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Korean Museum Association decided to have the celebration year for Korean museums 100-year anniversary. About the past century of the Korean museums history, the recent days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museum has been shown on many lectures and also compiles related with century history of Korean museums has been shown. Founded on December 31, 200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ata, which classify into culture infrastructure, the number of museums and galleries are over 7hundreds. At this point, if the museums or galleries entry their name for the country, following the rules country stated, at least 60 up to 100 pieces of relics must be registered. This fact let us know the comparison of increase and the number of museums and galleries. This fact also shows the number of museums and galleries are hardware for the organization. These days by seeing the increase of museums and galleries, we can assume, for a while, 30museums and galleries will increase every year. Along with this, the number of registered relics will increase. Relics are not just the things coming down from the past. Continuously created artworks are collections(relics, data etc.) which museums and galleries collects. Artworks can't be numbered by variou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ways. The museums and galleries that collects work created this way are not opened for the display, but for a long time preservation it is well cared. Photography was invented on 19th century(year1839). Starting from the invention until collection on museums and galleries, it has been an recent issue on whether photography is and relics(record, artistic). It is mentioned often and investigated rapidly. These days photography based museums, photography which is displayed as a center of the gallery, photography is displayed and collected by the record and artistic. The influenced museums and galleries all around the world has photography as a collection, displayed and collected continuously, cared is a great way. Particularly the mass media of photography, the manufacturing way passes through the chemically process. This is why photography can be preserved in neutral reaction and caring is the most important work after collecting. It has a strong demand about care for collections which differ with the existing collections. During the last century, relics-painting, ceramics, sculpture, folk customs, a bibliography etc. on Korean museums and galleries has been remaining good condition, and with a lot of interests and research, relics has been preserved can be remarked as a success also showing expansion. But like photography and new mass media there must be more interest and investigation about the care and preserve. On this thesis, already having a lot of interest and care from museums and galleries, the record of importancy or artistic collections of photography mass media, the meaning and history of photography relic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the advanced report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o find out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actual conditions, report on what they thought about photography relics in domestic, the insufficiency about this and ways of how to improve, further more mark about the future view on this study. The change of museums and galleries if they are national facilities, the rapid spreading effect will show. But still none of the policy and labor force related with photography relics of national facilities change has happened. This means that advanced reports related to museums and galleries photography relics should be cared by supervised division and specialist. For these reasons, I hope this thesis will be used in many museums and galleries in domestic for further more collections and cares needed for photography relics and basis knowledge. Simply because there are few museums and galleries that have special collecting and cares on photography relics, the reason why I made limit on my research, I would say it is my own lack. But I will think this thesis will be a start for this study and I deeply hope in the future studies and varied research related with museums and galleries will endure. 국립중앙박물관과 사단법인 한국박물관협회는 지난 2009년을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의 해로 정하고, 박물관의 과거 100년과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여러 강연회와 백년사를 집대성한 자료집을 통해 소개했다. 2008년 12월 31일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에 의하면 문화기반시설로 분류된 박물관 및 미술관의 수가 700개를 넘어섰다. 이때 박물관이나 미술관이 국가에 등록할 경우 그 적용법에 의해 최소 60점에서 100점 이상의 소장유물을 등록하도록 되어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박물관·미술관의 증가는 곧 소장품(유물)의 증가와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박물관·미술관의 수와 유물의 수는 하드웨어가 갖춰졌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라고 할 수 있겠다. 최근 박물관·미술관 증가추이를 보고 추측하건대 당분간 박물관·미술관의 수는 매해 30여개씩 증가하고, 그에 따라 등록유물도 계속 증가 할 것이다. 유물은 예전부터 전해 내려 온 것들 외에도, 지금 계속해서 제작되고 있는 예술품이 수집품(유물, 자료 등)으로 박물관·미술관에 소장되고 있다. 예술품은 다양한 재료와 제작방법으로 그 수를 헤아릴 수 없고, 이렇게 제작된 작품들을 수집하는 박물관·미술관에서는 전시 외에도 오랫동안 보존을 위해 관리하게 된다. 사진은 19세기(1839년)에 발명되어 박물관·미술관에 소장되기까지 유물(기록성, 예술성)로서 소장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근래까지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이제는 자주 언급되고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최근 사진전문 박물관, 미술관을 중심으로 사진작품이 전시되고 수집되면서 기록성이나 예술성 규정과 같은 논란은 일단락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전 세계 박물관·미술관에 영향력을 가진 유수 박물관·미술관에서 사진을 소장, 전시하고 지속적으로 수집, 관리하는 것은 좋은 예이다. 특히 사진매체는 그 제작과정에 화학적 프로세스를 거치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중성)로 보존, 관리하는 것이 수집이후 가장 중요한 일이다. 이는 기존의 소장품과 다른 관리가 요구되는데, 지난 100년 동안 한국 박물관·미술관에서 관리된 보편적인 유물들-회화, 도자기, 조각, 민속, 서지류 등-의 상태(컨디션)를 일정수준 유지, 관리하는 데에는 많은 관심과 연구에 의해서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발전하였지만, 사진과 같은 새로운 매체 소장품에 대한 관리방법은 앞으로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박물관·미술관에서 기록적 중요성이나 예술성을 가진 소장품으로 자리매김한 사진매체에 대한 관심과 관리를 위해 사진유물의 정의와 역사, 국외 선진 사례와 국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일반현황과 관리실태 그리고 국내 박물관·미술관에서 사진을 유물로서 어떻게 인식해왔는지 기술하고, 이에 대한 부족한 점은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이 분야에 대한 전망을 짚어볼 것이다. 박물관·미술관의 변화는 국립기관 일수록 그 파급효과를 빠르게 보여줄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국립기관의 사진유물관련 정책과 담당인력 직제 변화와 인식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선진 박물관·미술관의 사례를 통해 바라본 사진유물은 그 담당부서와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앞으로 국내 박물관·미술관에서 더 많이 수집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사진유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으로서 도움 되기를 바란다. 다만, 사진유물이 다수 소장되어 있거나, 그것을 전문 수집하고 관리하는 알려진 박물관·미술관이 적다는 이유로 이를 한정해서 연구한 것은 본인의 부족함이다. 그러나 본 논문이 이 분야에 대한 연구의 시작으로 생각하고 향후 사진과 박물관·미술관에 관련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 대전 시립미술관 운영 실태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권수진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6383

        1980년대 중반 박물관 및 미술관법의 제정을 시작으로 국내 미술관은 본격적으로 설립과 운영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본격적인 지방 자치시대 에 돌입한 1990년대에는 지방에서 운영하는 공립 미술관 설립이 주를 이어 서울, 부산, 대전, 광주 등에 공립 미술관을 건립하게 되었다. 지방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공립 미술관은 문화 정책의 주요 구실로서 지역 주민과 나아가 대중에게 개방되는 문화 공간이다. 또한 지역 문화사업인 만큼 지역을 대표할 만한 기관으로서의 명분을 갖추고 지역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공립 미술관은 작품의 수집, 보관, 연구, 전시, 교육 등의 기능을 가진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기여하는 비영리 기관이다. 나아가 현대의 미술관은 전시 이상의 기능을 갖춘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소로서 거듭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공립 미술관으로서 위상을 세우고 있는 대전 시립미술관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개관 11년째를 맞고 있는 대전 시립미술관과 분관으로 설립된 이응노 미술관을 바탕으로 기본 구조에서부터 대표적인 전시활동과 관람객 개발을 통한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미술관으로서의 역할이 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지역 문화의 중심 기관으로서 펼치고 있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 시민과의 미술 문화 참여 기회의 증진과 보다 발전적인 구색을 갖춘 시립 미술관으로서의 발전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 다루어진 내용들을 바탕으로 대전 시립미술관이 성장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제언하기 위해 외국의 시립 미술관 사례를 연구하고 비교해 보았다. 대전 시립미술관은 대전이라는 도시적 특색을 반영한 만큼 대전이라는 도시가 지향하는 행정과 문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대전과 오랜 시간 결연을 맺고 있는 도시 시애틀의 사례를 찾아 시애틀 미술관을 통한 국제 교류를 모색하는 방법과, 대전 시립미술관과 위치적 특성이 비슷한 곳으로 일본 나고야를 선택하여 시라카와 공원에 인접하고 있는 일본 나고야 시립 미술관의 사례를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외국의 사례를 통해 대전 시립미술관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운영 발전 계획을 4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대전 시립미술관 자체의 변화를 필요로 해야 할 것이며, 둘째는 주목받는 국제 전시의 확장을 위한 전시의 변화가, 셋째는 관객과 소통하는 미술관으로서의 도약에 힘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응노 미술관을 위한 스토리텔링 구사를 제안, 작가 미술관만이 갖는 특색을 잘 살려야 할 것이다. 대전 시립미술관의 운영방안을 살피기 위한 자료의 부족으로 연구에 있어서 제한이 있었다. 대전 시립미술관은 자체적 평가와 발전을 위해서 미술관 전반적인 활동이 담긴 간행물을 발행하여 대외적으로 열람이 가능하게 할 수 있어야 하겠다. 이 연구를 통해 대전 시립미술관이 행정기관과 문화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를 두며 이 연구를 통하여 대전 시립미술관이 지역 시민과의 거리를 좁히고 나아가 지역 문화 활동에 기여하는 기관으로서 성장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박물관 전문 인력의 활용 활성화 연구 : 학예사·인턴 중심으로

        박선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6383

        문화의 세기라고 할 수 있는 21세기 들어 더욱 더 박물관의 역할이 확대되고 강조되고 있다. 박물관은 단순히 그 소장품을 수집, 보관, 전시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으며, 대중을 이목을 끌고 대중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문화 복지의 장이 되었다. 게다가 사회교육 기능까지 가지고 있어 명실상부 복합문화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박물관의 역할이 다양해지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박물관은 각 분야별로 세분화 되었으며 또 그에 합당하는 전문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에 있던 학예사 뿐만이 아니라 소장품 관리사, 보존처리사, 교육담당자, 전시 디자이너 등 각 분야별로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박물관을 운영해 나가는 근본적인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문화 정책이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잘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든다. 제도적으로, 인식적으로 아직 개선이 많이 필요한 상태이다. 프랑스의 경우 국가의 주도하에 문화정책이 진행되고 있어 점차 외교적인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미국의 경우에는 독립된 행정기구에서 문화예술 정책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행정기구 안에서 문화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의 다양성과 표현의 자유를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가 박물관 전문 인력에 관한 제도를 실시한 것은 사실상 얼마 되지 않는다. 아직 학예사를 제외한 다른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구체적인 법제가 있는 것도 아니다. 학예사라는 이름으로 모든 분야를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각 분야에 맞는 전문 인력 양성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턴쉽 프로그램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인턴쉽 프로그램을 바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하나의 기초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인턴쉽 프로그램을 운영할 인력이 턱없이 부족할 뿐만이 아니라, 임금도 제대로 지급되지 않는 등 지속적인 운영이 불가피하여 심지어 폐지되는 경우도 빈번하다. 하지만 인턴쉽 운영은 해외의 사례에서도 살펴 볼 수 있듯이 충분히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밑거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의 경우 다양한 인턴쉽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비 인력을 육성하고 있다. 로스 엔젤레스에 위치한 게티 미술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양한 인턴쉽 프로그램을 통해서 각 분야에 맞는 전문 인력을 예비해 두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박물관 전문 인력 운영은 사실상 실효성이 없는 학예사 자격증 제도가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유명무실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격제도를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등급을 간소화하고 자격 요건을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어렵게 획득한 학예사 자격증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심지어 국공립 박물관 학예연구직들이 의외로 학예사 자격증을 가지지 않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자격증을 실효화 시키려는 노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인턴쉽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이다. 학예사 제도와 인턴쉽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켜서 전문 인력을 구체적으로 양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했을 때 현재 박물관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들이 제대로 수행 될 것이다. Going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this century can be called as culture century. The museums role expanded and emphasized. Museums role which are storage of collection, exhibiting started to break away. Museums started to get the publics attention, it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and it has been a plave for culture welfare. Also it has social education systems, so we can call it complex cultural space. Museums role has started to get various and the importance is being emphasized. Museum role and area has been departmentalized and professionals has been required. The existing curators and registrar, educator, designer etc every part has been placed as professionals. This will be fundamental motive to manage museums. But there is a doubt if our country culture policy, these days are completely following the rules. Institutionally, it needs to be more improved in understanding about the museum systems. France the culture is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nation and it is expanding in diplomatic areas. United States culture is not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ut culture is included inside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United States culture variation and freedom expression is increasing. Focusing on our country, Korea, museums are managing systems with professionalists. The settlement of the systems has not been long. There are no specific rules about finding professionalist. Only expanding for curator professionalist has been started. There needs improvement in this system management. Also there must be specialized system to find professionalist in roles. We need to focus on domestic internship programs. Internship programs are important because it's the basic step on educating professionalist. But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ional internship management. Some places internship programs has been abolished because the salary system is not continuous. By seeing the internship management cases on overseas country, if there are sufficient ways for internship management, this will be the base for educating professionalist. The case about MOMA there are various internship programs to create professionalist. Also Los Angeles Getty Center are the same. Various internship programs are needed to educate professionalist. These days our country‘s museum management for professionalist most serious problem is the effectiveness of curator certificate is diminishing. The qualification condition needs to be reasonable and realistic. Also it is hard to achieve curator certificate but it's utilization is difficult. Not all national museum curator has curator certificate. To improve this situation license must be made for a practical use. Also internship programs must be made for practical utilization. Curator systems and internship programs needs to be vitalized to create professionalist. If this can be settled, the roles required on museum these days will be utilized and vitalized.

      • 컨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지역박물관의 활성화 연구

        한예석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6383

        21세기의 박물관은 그 개념과 역할이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다양한 박물관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박물관 별로 특성상 다양할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의 시행이후 더욱더 그 수적 증가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박물관 육성 정책 등으로 2011년까지 인구 9만 명당 1개 수준으로 박물관을 육성하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사실상 지금 그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한 셈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는 이렇게 우후죽순으로 등장한 많은 박물관 및 미술관들이 사실상 모두 내실까지 튼실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고 있는 21세기의 덕목들은 변화와 창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대야 말로 다양성이 내재되어 있는 세계적인 가치를 알아보는 안목이 정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도 적극 문화적 인프라를 형성하는데 앞장 서왔다. 그 문화적 인프라의 대표적인 기관들이 바로 지역박물관들이다. 지역박물관들을 통해 지역민들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그 지역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으며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박물관으로서는 지역 문화를 형성 시키고 발달시키는데 적극 참여 할 수 있다. 곧 지역박물관은 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역박물관의 수적인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박물관들은 내적으로는 관람객의 감소, 다양한 전시의 부재, 시설의 열악함, 예산의 부족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당면해 있다. 지역의 정체성 나아가 우리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이러한 지역박물관의 공간과 존재를 새로운 패러다임의 수용과 변화하는데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때문에 본문에서는 지역박물관의 개념과 역할을 밝히고, 그에 따라 잘 운영되고 있는 여러 지역박물관의 예를 성남 토지주택 박물관, 전라남도 농업박물관, 익산 보석박물관, 청주 고인쇄박물관, 여주 목아 불교박물관 등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박물관들은 지역의 특산품을 적극 활용하거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관람객들을 적극 유치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박물관의 상당한 수가 소장품의 부족, 전문 인력의 부족, 박물관 마케팅 요령의 부족 등의 현실적인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곧 관람객의 감소, 그리고 박물관의 존폐 위기에 까지 놓이게 하였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 몇 가지 해결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박물관을 특성화시키기 위해서 사이버 박물관을 개관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실상 이 작업은 거의 모든 박물관에 있어서 실현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온라인 컨텐츠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그리고 지역박물관이 경우 규모가 크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더더욱 지역박물관들 끼리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자료나 기술을 공유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사실상 공공의 이익성을 중시하는 박물관에도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적용시켜 보다 적극적으로 박물관을 활성화 시키는 방안도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관람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이 문화상품을 판매하는 뮤지엄 샵을 비중 있게 다루어 박물관 자체가 새로운 수입원을 찾을 뿐만이 아니라 관람객들도 문화의 재생산된 물건을 소장하게 되는 이중효과를 낳을 수 있다. 문화적인 인프라를 중시하는 21세기의 세계적인 흐름에 맞추어 가자면, 내실부터 튼튼한 지역박물관을 만들도록 해야 할 것이다. 모쪼록 본 연구를 통해서 편차는 있지만 지역의 박물관들이 내실을 다질 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편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As role and concept of Museums in 21 century are getting extended, various kinds of museums are appearing. Each Museums have their own speciality and the number of museum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korea implement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n Korea, the government has a policy to promote museums and to expand the range of culture-art experience. Actually it's goal has already done. Although the number of museums have increased fast, the problem is that most of them are not strong and healthy inside. We are living 21 century that is derived by changes and creativities. This time is the very time to find out the global value of potential variety. As the global generations goes by in these days, Korea has have a positive policy which is making a cultural infrastructure. Local museums are representative of cultural infrastructure. It’s possible for local people to experience local culture in the near place through local museums. In addition, museum makes local culture more active. Therefore a local museum plays a very important role forming a local's cultural identity. Although the museums are still increasing in number, each local museums are in trouble, such as decreasing of spectators, an absence of various exhibitions, a bad facilities and a lack of budget. In order to find a local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these local museum should accept a new paradigm and use more practically. Hence in this essay will write about the concept of local museums and the main role of local museums, and then show an good examples such as Sung-nam Land Museum, Jeollanamdo Agricultural Museum, Ik-san Jewel Museum,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and Yeoju Moka Museum. These local museums are struggling to attract the visitor through using a special product of localities and diversity educational programs. However, these local museums are in trouble because of lack of collection, specialities, marketing skills. Thess difficulties let the local museum has a small visitor, and worry about it's existence. Therefore this essay is proposing several solution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t first, we need to open a cyber museums to specialize the local museum. Actually this cyber museums are running most of museums already. Online contents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 to develop as well. Moreover most of local museums are having on a small scale, so local museums networking would be a good supplementation each other. And business marketing policy would be a good solution to promote the local museums which is regarded the public service as serious. For example, good cultural product will bring about the visitors interesting. This cultural product makes a kind of double effects, one is the new earning, and the other is making a new collector who has a cultural product. To establish a sound and firm local museums is very important work. This essay would be a good guideline to make a sound and firm local museums, though there must be a little var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