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에 대한 문화경영학적 접근

        변철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문화재단인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에 대해 제도적-운영적-수혜적 측면에서 실태를 조사하고, 결과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문화경영학적으로 혁신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으로 본론의 1장에서는 문화경영학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학제적 개념들을 살펴보았고, 2장에서는 지역문화재단과 관련한 국가차원의 정책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문화재단의 설립배경과 의의 그리고 인천문화재단의 외부적 고찰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선진화된 서울?경기문화재단의 정관, 조직, 예산, 사업 등의 일반현황을 인천문화재단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인천문화재단의 내부적 고찰을 위해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의 실태 파악을 위한 질문의 구성을 알아보았고, 5장에서는 각 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한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천문화재단을 문화경영학적으로 혁신시키기 위한 제언으로, 첫째, 인천문화재단은 시민들의 수요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또한 정책목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중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제도적 영역에 있는 구성원들은 지역민들이 소비해야 한다고 판단한 문화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적 영역의 구성원들은 정책목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수혜적 영역에 있는 구성원에게 매개해야 하는데 이것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중간적위치에서 문화를 매개하는 문화경영자들인 인천문화재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수요자인 시민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시장을 분석하고, 시민의 수요를 파악하여 적절한 목표를 설정한 후 진행되어야 한다. 인천문화재단은 인천의 도시발전을 위해 설립된 인천광역시 산하 공공기관으로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공공의 요구를 받아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재단의 홈페이지에 정보공개 창구를 마련하여 투명한 행정을 실현하고, 풀뿌리 민주주의의 대표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댓글 기능을 추가 하며, 시민들이 문화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재원운용 전문가를 채용하여 문진기금을 이자수익에만 한정시키지 말고, 원금을 보존하되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 등 다각도로 재원조성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현장과 지역에 대한 이해와 전문지식을 고르게 갖춘 인재를 채용해야 하며,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기존 근무자를 포함한 재단근무자에게 지역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여섯째, 재단의 근무자들이 문화사업을 수행하는데 매진할 수 있도록 인력을 충원시켜야 한다. 일곱째, 현재의 조직구조를 벗어나 창의적인 조직이 될 수 있도록 조직도를 행렬조직으로 개편해야 한다. 또한 재단 구성원 스스로 재단 근무자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 중 최우선 요소를 통찰력으로 꼽을 만큼, 이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구조인 행렬조직으로의 개편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는 국내문헌조사 위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주제에 대한 해외문헌 연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있음을 밝히며, 문화경영학적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과 문화로 부강하는 인천을 위한 인천문화재단의 미래 향후 발전 전략에 대한 문화경영학적 방안은 후속연구로 제안한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ctual condition of the organizing and managing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which is the Arts & Culture foundatio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organizational, operational and beneficial aspects, and to propose a strategy for innovating the problems coming from an analysis of result to the culture-managemental one. The first chapter shows educational concepts for understanding of a cultural-managemental approach, and the second chapter displays governmental policy related to local foundations for Arts & culture. In the chapter 3, there are a background and meaning for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 general present condition such as a statute, organization, budget, business and so on about Seoul & Keong-Ki foundation of Arts & Culture is evaluated as being advanced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 comparing to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in order to study it externally. The forth chapter shows a composition of questions for grasping an actual condition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bout Incheon foundation Arts & Culture in order to study it internally, and the fifth chapter shows an analysis of result which is coming from a survey of individual group. The followings are proposal to innovative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with the culture-managemental aspect as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First,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should function as a communication network by linking citizens and the authorities concerned in order to facilitate policy setting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and step up the actualization of selected policies.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formulate the kinds of cultural policies that seem to be appropriate for locals, and administrators should serve as mediators to realize the goals of policies in behalf of beneficiaries. To make it happen,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should perform its roles successfully as an intermediate cultural agent. Second, a close and sustained market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from the standpoint of citizens who are cultural consumers before a cultural project is planned, and appropriate target setting that could address their needs is important as well.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is one of public institutions that have been established under the umbrella of the Incheon Metropolitan Government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that city, and that should satisfy the needs of the public in pursuit of public interests. Third, the website of that organization should release relevant information to ensure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on, and citizens should be allowed to post their opinions on culture onto the website without any restraints, which is a barometer of grass-roots democracy. Fourth, financial experts should be hired to secure multiple sorts of financial resources instead of just relying on interest income. For instance, they should make a profitable investment without losing the principal. Fifth, competent people who have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knowhow should be employed, and all the employees should keep on receiving education about the region to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Sixth, the institution shouldn't be understaffed to let employees devote themselves to their mission, namely pushing ahead with cultural projects. Seventh, the institution should be streamlined and turn into a creative matrix organization instead of merely clinging to the curr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s the members of the institution viewed an insight as the top qualification that every employee had to possess, the institution should convert itself into a matrix organization to foster the insight of the members, since this sort of organization enables each member to experience different fields.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in that just domestic literature was reviewed without looking into relevant international literature.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coming up with specific culture- managemental strategies and finding out how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 중국 용천(龍泉)청자 고찰 및 조형 분석을 통한 현대 청자 디자인 작품 연구

        웡먀오먀오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Longquan kiln is one of China's most famous historical kilns, and is highly representative of the history of celadon development. Longquan celadon, known by its glazing color, was first burned during the Three Kingdoms and the Jin Dynasty, and reached its peak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when it developed its own unique style. Longquan celadon is a combination of handcraft and industry, local culture and millennium-old techniques, and is known for its delicate, warm glaze and subtle, elegant shapes. The unique flavor and expression of Longquan celadon is a combination of Chinese visual design and totem, and we can find the unique flavor and aura of China’a oriental culture in the shape and glaze of traditional Longquan celadon. This unique flavor is deeply rooted in the aesthetic system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Through a m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Longquan celadon, the author find that Longquan celadon, as a traditional art and craft, has carried the specific human connotation of local culture during its long history of development and shaped up, and is an important carrier of local regional culture and specific craft technology, and the humanistic artistic value it contains is an important resource an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What is contained in it is not only the beauty of a specific field of craftsmanship, but also the collection of oriental aesthetic consciousness system, traditional oriental ethics and spiritual demands of the local people, which have been formed through thousands of years development. Longquan celadon is a carrier of a cultural way and a means of local cultural inheritance.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local cultural creative design, it realizes the practical significance and value that cannot be ignored. At this inflection point of modern cultural new economic development, how to graf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y traditional arts and crafts and modern cultural creative design is crucial. What is needed to be thought about now is how to really make the Chinese traditional arts and crafts industry fit the needs of the current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ew era with the mindset of creative design and carry out systematic mindset reform. This paper starts with the method of on-the-spot investigation of visiting ancient kiln sites, factories, workshops, stores and related museums in Longquan to learn about the shape, glaze, decoration, production, firing techniques and marketing strategies of Longquan celadon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Combined with material analysis method, the author collected and organized existing monographs, dissertations, journals, photographic materials, and video materials on Longquan celadon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grasp of the development of Longquan celadon, and the author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shapes and decorative features of each period to summarize its historical, cultu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th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decoration methods of Goryeo celadon and Longquan celadon of Song Dynasty, and to compare the design methods of modern foreign ceramics and domestic ceramic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points of difference of the times. Finally, on the basis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practical research method is applied to study what is worth learning from traditional celadon and the modern technological means and design methods are used to design Longquan celadon work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taste of the current era. This thesis consists of seven chapters. Chapter 1 cover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formulates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the study, summarizes prior research and draws insights. Chapter 2 systematizes the basic research on Longquan celadon culture, introducing the concept of Longquan celadon, the evolution of Longquan celadon in various period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ongquan celadon and the distribution of kiln sites of Longquan celadon. Chapter 3 analyzes the shapes, decorative patterns, and glaze colors of Longquan celadon, and meticulously introduces the entire Longquan celadon production process, and explor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Longquan celadon. Chapter 4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ancient Longquan celadon and Goryeo celadon, with specific examples of contrasting the origins, shapes, decorations and techniques of the two countries. Chapter 5 presents exampl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ramic designs. Chapter 6 is the key part of this study, which mainly,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focuses on clarifying the purpose and meaning of innovation, analyzing and refin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Longquan celadon,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way of thinking of the former people, getting the source of inspiration, carrying out the work design with this researcher's innovative thinking, summarizing the thinking method of innovative design, and at the same time, showing the examples of this researcher's innovative works and classification explanation them from the source of inspiration, design methods and design intention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Longquan celadon, based on the analysis and summarizing relevant materials and information, the researcher absorbs the essence of traditional culture, searches for inspiration, explores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celadon and modern celadon design, and then summarizes and generalizes universal design laws and patterns. The design of Longquan celadon works is mainly developed through 10 themes which are combination with "circle" culture, improvement of firing process, use of multiple materials, combination of regional cultural elements, functional expansion, application of nature texture,touch design,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elements, use of floral patterns and use of cartoon images. It is hoped that the designed and developed celadon works will increase people'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ceramics, especially Longquan celadon, and inspire modern ceramic designers to design more excellent works. The celadon culture contains the most primitive and innocent artistic image of China, and it is well enough to represent the splendor of Chinese indigenous art. It contains the entire culture of a nationality from the time of ancient mythology , which integrates the group culture accumulated in literature, art, and religious beliefs of each period, and it is the crystallization of the labor wisdom of the ancestors. An examination and study of traditional Longquan celadon reveals that it is still remarkable today in terms of its shape, decoration, glaze, technique, and even design ideas. Therefore, a detailed study of this topic will allow u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celadon culture, to search for the beauty of the oriental charm in it, and to extract these elements of beauty and apply them to modern ceramic art and design, as well as to further understand the design methods, techniques, and aesthetic ideas of ceramics. A detailed study of this topic will also has academic help for modern ceramic researchers and it will be of value as a guide and inspiration for Longquan celadon practitioner. Although porcelain has certain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is mainly due to different living habits, there are no psychological barriers to the perception of porcelain by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Therefore, through a multifaceted study of the ancient ceramic culture of Longquan celadon,in this paper, it is hoped to use Longquan celadon as a carrie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motion and dissemination of cultures and to increase the sense of identity of Chinese celadon among people of all nationalities in the world, based on the inheritanc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celadon. At the same time, we hope to achieve the unification of practicality and aesthetics based on the fu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craft heritage and the use of modern creative and innovative design, hoping to promote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craft culture and modern life to achieve modern cultural transformation, and to form a new cultural creativity, so as to better serve modern society. 용천(龍泉)요는 중국 역사에서 유명한 요로 청자의 발전 역사상 가장 대표적인 요이다. 삼국양진시대부터 시작해서 남송시대에 이르기까지 자신만의 스타일을 갖추며 절정에 이르렀다. 용천청자는 수공업과 공업, 인문학과 천년 기예의 종합으로 섬세하고 부드러운 유약색 및 함축적이고 우아한 조형으로 유명하다. 그만의 특유한 운치와 표현은 중국식 시각디자인과 토템의 결합으로 전통적인 기형과 유약색에서 중국문화 특유의 운치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특유의 운치는 동양의 전통 유교 문화 심미 시스템에 깊이 뿌리박고 있는 것이다. 용천청자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전통 공예 미술로서 오랜 발전과 형태를 갖추기까지의 과정에서 지역문화의 특정적인 인문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본토문화 및 특정 공예 기술의 중요한 매개체로서 인문예술 가치가 문화 창의 산업에서 중요한 자원과 발전을 추구하는 기초가 되고 있음을 밝혀냈다. 여기에는 특정 분야의 공예적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천백 년 묵혀온 동양의 심미적 의식 시스템, 전통 이론 및 지역 민중의 정신적 욕구의 집합이 담겨 있다. 용천청자는 문화형식의 매개체이자 본토문화 전승의 수단이다. 현대 본토문화 창의디자인의 발전 과정에서 무시할 수 없는 현실적 의의와 가치를 실현하였으며 이러한 현대문화의 새로운 경제발전의 변곡점에서 수많은 전통 공예미술과 현대문화 창의디자인의 관계를 어떻게 잘 접목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본다. 지금은 중국의 전통 공예미술산업이 새로운 시대의 경제 발전의 수요에 맞게 창의디자인의 사고 방식으로 체계적인 사고방식을 개혁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인 것 같다. 본 논문은 실사법을 통해 용천의 고대 가마터, 공장, 공방, 시장가게 및 관련 박물관을 방문하여 고대부터 현재까지의 용천청자의 조형, 유약, 장식, 제조, 소제기법 및 마케팅 전략 등을 알아보았다. 문헌자료 분석법을 결합하여 기존의 용천청자에 관한 전문저서, 학위논문, 간행물, 사진자료, 영상자료 등을 수집 정리하여 용천청자의 발전 맥락을 전반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시기별 기형과 장식 특징을 분류 분석하여 역사 문화 및 미학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고려청자와 송대 용천청자의 장식방법과 형태 국내외 도자기 디자인 방법을 비교분석하여 시대적 특징과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사전답사를 바탕으로 실천연구법을 적용하였으며 전통 청자 배우고 참고할 점을 받아들이고 현대 테크놀로지와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여 현시대의 특징과 심미적 정취에 부합하는 용천청자 작품을 디자인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다루며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정하고 선행 연구를 총괄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2장에서는 용천청자 문화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용천청자의 개념, 시대별 변화과정, 용천청자의 유형 및 특징 등, 용천청자의 일반적인 고찰을 하고자한다. 3장에서는 용천청자의 기형, 장식문양, 유색 등을 분석하여 용천청자의 전반적인 제작과정을 설명하고 미적 특징을 탐구한다. 4장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고대 용천청자와 고려청자의 연원과 기형, 장식 및 기법 등을 비교 연구한다. 5장에서는 국내외 도자기 디자인의 사례를 소개한다. 6장은 본 논문의 중점적인 부분으로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혁신의 목적과 의의를 명확히 하고 전통 용천청자의 예술적 특징을 분석하여 추출하며 선인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학습하여 영감을 받아 연구자의 혁신적인 활용작품 디자인을 소개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의 사고방법을 총괄하는 한편, 연구자의 혁신적인 작품 사례를 전시하고 영감의 원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의도 등을 분류해서 설명한다. 연구자는 용천청자에 대한 고찰 과정에서 관련 자료와 소재를 분석하고 정리하였으며 전통문화의 정수를 받아들여 시사점을 찾고 전통 청자와 현대 청자 디자인의 접점을 탐색하여 보편적으로 적용된 디자인 법칙과 모델을 정리하고 요약하였다. 주로 '원형(圓形)'문화와 결합한 디자인, 유약 소성기법의 개발, 다양한 재료의 융합, 지역문화요소와 결합한 디자인, 기능 확장 디자인, 자연형태 질감의 활용, 청자의 촉각 디자인, 중국 전통 요소의 융합, 꽃문양의 청자 디자인 활용, 청자 디자인에 캐릭터 활용 등 주제로 용천청자 작품에 대한 개발 디자인을 펼치고자 한다. 디자인 개발을 통한 청자작품으로 용천청자에 대한 이해와 인정을 증가시켜 현대 도자기 디자이너들의 우수한 작품이 많이 출품되기를 기대는 바이다. 청자 문화는 중국의 가장 원시적이고 순수한 예술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중국 예술의 찬란함을 대표한다. 이는 한 민족의 오랜 신화로부터 번성하여 변화한 모든 문화를 담고 있으며 시기별 문학 예술, 종교 신앙 등이 축적된 집단적 문화를 종합한 선인들의 노동과 지혜의 결정체이다. 전통 용천청자에 대한 고찰과 연구를 통해 조형, 장식, 유약, 기법, 심지어 디자인 사상까지 지금에서도 탁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 과제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는 청자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동양의 정취를 지닌 예술적 아름다움을 찾아내며 이러한 미적 요소를 추출하여 현대 도자기 예술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도자기의 디자인 방법, 공예 기법, 심미 사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현대 도자기 연구자들에게 학술적 도움과 용천청자 종사자에 대한 지도 및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가치가 있다. 생활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청자는 지역성이 있다. 그러나 그 인식에 있어서 각국의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아무런 장애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용천청자라는 고도자기 문화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청자의 역사문화 계승을 바탕으로 용천청자를 매개체로 대외문화의 확산과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세계 여러 민족의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전통문화와 공예 전승의 융합을 바탕으로 현대 창의디자인을 활용하여 현대문화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문화창조력이 형성되며 현대사회에 기여하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 한ㆍ중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 현황 및 만족도 비교분석을 통한 개발 및 발전방안연구 : -한국 국립광주박물관과 중국 허난(河南)박물관을 중심으로-

        후위에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명제안에는 많은 내용들이 내포되어 있다. 사유와 행동, 집단과 개인, 창조와 향유등 수없이 많은 것들을 연상할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인류학적 관점에서 수없이 오랜세월을 걸치며 인류는 이렇게 진화해왔다. 생산과 공유, 언어와 소통, 문명과 사회로 이어지며 더 없이 소중한 요소들이 창출되었으며, 이러한 모든 발명품들은 단순한 자랑거리로서 보다는 문화적 가치성을 인정받으며 보존되고 있다. 세계 어느곳이든 각 나라들은 자신들의 유물을 보존유지한다. 지구촌문화권들은 지역마다 나름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교육적 이든 문화향유적이든 특수목적을 갖는 장소도 마련한 것이며 우리 또한 그렇게 하고 있다. 인류의 문화유산과 시대의 문화예술을 전하는 박물관은 사회문화적 성과이자 국가번영의 핵심이다. 과거의 사람들의 창의성과 상상력을 키우는 장소에서 현재의 새로운 문화발전을 탐구하는 장소로 박물관은 활기차고 미래지향적인 공간이 되었다. 박물관은 미래세대를 위해 유산을 보존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문화를 평등하게 획득하고 인류사회의 기본가치의 보급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적 통합측면에서 박물관의 기능은 공동체결속을 지향하는데 필수적이며 국가문화의 발전과 보급을 위한 중요한 매체이다. 최근에 들어와‘문화는 산업이다’는 말들이 많이 회자되며 화두가 되고 있다. 일반인들의 문화향유권 확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 및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문화적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것은 비단 단순문화향유로서 보다는 그로인하여 창조활동에 대한 의욕도 같이 높아지면서 또 다른 새로움이 창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띠라서 문화행정의 방향을 올바르게 할 수 있다면 당연히 더 좋은 결과가 낼 수 있으리라는 것은 자명한 이야기이다. 재정, 시설, 인력등 제한된 여건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대두된다. 더 넓은 글로벌 맥락에서 박물관의 역할을 이해한다는 것은 박물관의 다양성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다원화된 환경에서의 대규모 국립박물관에서 본토 또는 지역문화환경의 소규모 커뮤니티 박물관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형태의 문화유산을 탐구하고 인간이 행복과 지구건강의 균형을 추구할 수 있는 장소로 간주한다. 즉‘교육’은 박물관의 주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국제박물관의 새로운 정의는 박물관의 미래 발전방향을 이끈다. 제26회 ICOM회의가 2022년8월 프라하에서 개최되어 박물관의 새로운 정의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즉, 박물관은 유형 및 무형유산을 연구, 수집, 보호, 해석 및 전시하는 사회에 봉사하는 비영리영구기관이다. 공중에게 개방되고 지속가능성과 포용성이 박물관의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촉진시켰다. 박물관은 윤리적이고 전문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교류하며 지역사회의 참여와 함께 교육, 감상, 묵상 및 지식공유를 위한 다양한 체험을 제공한다. 본연구의 범위는 시간, 공간, 콘텐츠의 세가지 관점에서 코로나시대와 같은 불가항력적 상황 아래서 중국과 한국의 지역박물관의 문화예술프로그램 발전현황과 코로나팬데믹 맥락에서 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에 대한 방문객수요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체계는 현황분석, 실증분석, 종합 결론이다. 현황분석은 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의 기능, 개념, 목적, 유형, 특성등을 중심으로 한 선진박물관의 문화예술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한국국립광주박물관과 중국허난(河南)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 현황내용을 분석한다. 실증분석은 방문객체험만족도 조사 및 비교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지도, 방문동기, 관심도, IPA(만족도, 중요성), 태도, 행위변화이다. 방문객 체험만족도의 공통성 및 특이점분석을 하였다. 종합결론은 중국허난박물관 문화예술 프로그램개발 및 발전방안이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박물관의 문화예술 프로그램개발 및 발전방안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종합결론은 이 네가지 차원으로 정리, 즉, 현황분석차원, 정성분석차원, 방문객경험의 차원 및 활성화계획의 차원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차원은 국제박물관의 발전추세와 세계선진국박물관의 교육기능실천에서 근현대박물관의 기능과 다양한 역할에 대한 연구를 통해 르네상스에 의해 발전된 박물관의 소장기능은 점차‘사람중심’의 교육기능을 중요시한다고 결론을 얻었다. 정성분석차원은 한중지역박물관의 현황과 방문객체험만족도 데이터를 분석해 공통적인 결과, 즉, 박물관에는 풍부한 소장품이 있으며 문화예술프로그램의 교육자원이 풍부, 문화예술프로그램은 방문객과 밀접한 관계, 박물관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 및 기술이 단점이며 공통한 문제. 특이점 분석, 허난박물관 소장품의 디지털자원은 개방성이 미약하며, 박물관의 문화예술프로그램 대상의 특이점, 박물관의 문화예술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의 단일성 및 박물관에는 몰입형전시회가 부족함을 분석하였다. 방문객경험의 차원은 첫째, 박물관발전의 역사의 관점에서 방문객경험의 변화는 주로 네가지 측면으로 나뉜다. 둘째, 방문객경험의 관점에서 박물관의 건설방향은 경험형성의 3차원에서 제안되고 평가될 수 있다. 활성화계획차원은, 미래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의 발전계획은 지역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의 활성화계획을 탐구하는 것이다. 즉 개발원칙, 프로그램 세부내용, 디지털기술, 운영, 교육의 다섯가지 측면에서 활성화계획을 분석한다. 본연구는 총7장 구성되었다. 제1장은 서론이며, 연구배경, 연구의 필요성, 연구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제2장에서는 박물관의 기능과 변화, 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의 개념 및 목적, 유형 및 특징, 선진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 사례 및 현황을 포함하여 본연구에 대한 이론적조사를 하였다. 제3, 4장에서는 중국허난박물관 및 한국국립광주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다. 즉, 발전역사변천,‘장역(場域)’특징, 문화자원 및 문화예술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중국 한국의 지역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의 발전현황과 개발사업을 체계화한 설문지를 작성·배포·집계하여 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에 대한 방문객경험의 만족도, 중요성, 개선요구등을 도출한다. 설문지의 명칭은 <허난박물관 방문자경험만족도 설문지> <국립광주박물관 방문자경험만족도 설문지>이며, 온라인 설문조사방법을 채택하였다. 본설문지는 5개부분으로 구성된다. 설문지는 방문전, 방문중 및 방문후의 방문객의 경험순서에 따라 작성되었다. 첫번째 부분은 방문하기 전에 방문객의 행위에 대한 연구로, 방문에 대한 인식과 동기로 구성된다. 두번째 부분은 방문객방문의 행위, 주로 방문객의 관심과 체류시간에 대한 연구이다. 세번째 부분은 방문후방문객행위에 대한 연구로, 방문객경험의 중요성과 만족도에 따라 12가지변수로 구성되며 특히 전시회, 문화예술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말한다. 결론은 SPSS인구데이터 통계, 신뢰성 및 타당성분석, IPA분석, 공통성 및 특이점의 비교분석에 의해 도출되었다. 제6장에서는 지역박물관 문화예술프로그램의 개발 및 발전방안, 즉, 개발원칙, 프로그램 세부내용, 디지털기술, 운영, 교육의 다섯가지 측면에서 활성화계획을 분석한다. 제7장에서는 결론부분이다. 이 네가지 차원으로 정리, 즉, 현황분석차원, 정성분석차원,방문객경험의 차원 및 활성화계획의 차원을 분석하였다. 엘빈토플러는‘21세기 국가위상은 문화의 힘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라고 예상하였다. 정보미디어를 통해 세계가 하나로 엮이는 현실에서 그 영향력은 커질 수밖에 없으며, 문화주권을 갖기 위한 무한경쟁시대가 시작되었다. 문화는 우리의 삶을 더욱더 풍부하게 해줄 뿐 아니라 국가에는 대외적 이미지를 높이고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원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일들은 개인이 해낼 수 있는 일들이 아니다. 따라서 소중한 문화유산에는 중앙정부든 지방자치이든 관심을 가져야한다. 행정적 정책적 재정적으로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박물관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의 개발 및 발전방안을 분석하였다. 한⸱중지역박물관의 문화예술프로그램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발전방안을 연구하면서 향후 연구관점을 넓히고 중국허난박물관의 미래건설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roposition "Humans are social animals" contains many implications. It evokes thoughts of reasoning and behavior, individuals and groups, creation and enjoyment, and countless other aspects. From a broad anthropological perspective, humanity has evolved over countless centuries, connecting production and shar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civilization and, society, and generating invaluable elements that are preserved and recognized for their cultural value rather than mere boasts. Every country in the world preserves its artifacts. The cultural regions of the world exhibit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creating educational or culturally enriching spaces with specific purposes, and we are also doing the same. Museums that transmit human cultural heritage and the cultural arts of the times are not only social and cultural achievements but also the core of national prosperity. Museums have become vibrant and forward-looking spaces where the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past individuals are nurtured while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new cultures in the present. Museums have a mission to preserve heritage for future generation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equal access to culture, and the dissemination of the fundamental values of human society. From a perspective of social integration, the function of museums is essential in pursuing community cohesion and serving as a vital medium fo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national culture. In recent times,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 phrase "culture is an industry," and it has become a topic of interest.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expansion of cultural enjoyment rights among the general public can be considered a desirable phenomenon. As education and income levels increase, cultural desires are also on the rise. This not only leads to simple cultural consumption but also increases the enthusiasm for creative activities, leading to the creation of innovations.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if cultural administration is guided correctly, better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 is a need to more efficiently utilize limited resources such as finances, facilities, and personnel. Understanding the role of museums in a broader global context means changing our perception of the diversity of museums. From large-scale national museums in various countries to small community museums in local cultural environments, museums are considered places to explore new forms of cultural heritage and to pursue a balance between human happiness and the health of the planet. In other words,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 major function of museums. The new definition of international museums guide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museums. The 26th ICOM conference held in Prague in August 2022 officially announced the new definition of museums. In other words, museums are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s that serve society by researching, collecting, protecting, interpreting, and exhibit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Museums have become open to the public, and sustainability and inclusivity have promoted the diversity and sustainability of museums. Museums are operated and exchanged ethically and professionally,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for education, appreciation, contemplation, and knowledge sharing along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community. The scop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in visitor demand for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museums in China and South Korea, focusing on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other uncontrollable circumstances. The research framework consists of a situational analysis, empirical analysis, and comprehensive conclusions. The situational analysis involves analyzing case studies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advanced museums, with a focus on their functions, concepts, purposes, types, and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includes an examination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 developments at the National Museum of Gwangju in South Korea and the Henan Museum in China. The empirical analysis includes a survey of visitor satisfacti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wareness, motivation, interest, IPA (satisfaction, importance), attitudes, and behavioral changes. The analysis aims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specific aspects of visitor satisfaction. The comprehensive conclusions propos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the Henan Museum in China. Consider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study suggests several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museum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organized into four dimensions: situational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visitor experience, and activation plan analysis. The situational analysis dimension examines the functions and various roles of museums, drawing 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trends of international museums and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advanced museums in different countries. It concludes that museums, influenced by the Renaissance, increasingly prioritize the "people-centered" educational func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dimension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museums in China and South Korea and the data on visitor satisfaction, revealing commonalities and issues such as the rich collection and educational resources of museum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nd visitors, and the recognition and shortcomings of the importance of museum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t also identifies specific issues such as the limited openness of digital resources in the Henan Museum and the lack of immersive exhibition events in museums. The visitor experience dimension examines the changes in visitor experienc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proposes construction directions for museums based on a three-dimensional experience formation and evaluation. The activation plan dimension explores the development plan for future museum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focusing on the activation plan for regional museum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The analysis includes five aspects: development principles, program details, digital technology, operation, and education. This study is composed of seven chapters in total.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which includes the research backgrou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research objectives, scope, and methods. In Chapter 2,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study is conducted, including the functions and changes of museums, the concept, and purpose of museum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types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case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advanced museums. In Chapters 3 and 4,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t the Henan Museum in China and the National Gwangju Museum in Korea is analyzed. This includes the historical changes, distinctive features, cultural resources, and contents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Chapter 5, a systematic questionnaire is developed, distributed, and aggregated to derive visitor satisfaction, importance, and improvement demands regarding museum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China and Korea. The questionnaires used are titled "Visitor Experience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r Henan Museum" and "Visitor Experience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r National Gwangju Museum," and an online survey method is adopted.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ive sections and is designed based on the visitor's experience before, during, and after the visit. The first section focuses on the visitor's behavior before the visit, examining their perception and motivation for visiting. The second section investigates the visitor's behavior during the visit, primarily focusing on their interests and duration of stay. The third section examines the visitor's behavior after the visit, consider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ir museum experience across 12 variables, particularly related to exhibitions,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nd services. The conclusions are drawn through the analysis of SPSS population data statistic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IPA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ommonalities and peculiarities. In Chapter 6,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plans for local museum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re analyzed from five aspects: development principles, program details, digital technology, operation, and education. Chapter 7 is the conclusion, where the analysis is summarized in four dimensions: status analysis dimension, qualitative analysis dimension, visitor experience dimension, and activation plan dimension. Elvin Toffler predicted that "the status of a nation in the 21st century will be determined by the power of culture." In the reality where the world is interconnected through information media, the influence of culture will inevitably increase, and an era of fierce competition for cultural sovereignty has begun. Culture not only enriches our lives but also elevates a nation's external image and becomes a new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These are not tasks that individuals can accomplish alone. Therefore,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an interest in preserving valuable cultural heritage, and substantial investments need to be made in administrative, policy, and financial aspects.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plans for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local museums. By researching ways to enhance and develop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Chinese and Korean regional museum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roaden future research perspectives and seek new approaches to improve the future construction of the Henan Museum in China.

      • 중국 전통마을 문화경관 현황 분석 평가를 통한 경관개선 활성화 발전 방안 연구 : -간문화 전통마을을 중심으로-

        샤멍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China boasts a long history of agricultural civilization which lasts for 7,000 years. In these lengthy historical changes, numerous traditional villages have been preserved around the country. These traditional villages serve as vehicles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n its richness and dimensions. Since the nationwide survey of traditional villages in China, the authority has announced five batches of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Bulletin which consist various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Among these listed villages from 31 provinces in China, Gan Culture which is represented by Jiangxi province has taken the 8th place in terms of the indexed traditional villages.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Gan culture has been paid a lot of attention and been recognized by the public. Jiangxi Province situates in the center of China which is surrounded by six other Provinces. It was affected by Yellow River Culture, Yangtze River Culture and Chu Culture. Combined with local culture, a new and muti-dimensional culture was formed, that is, Gan Culture. Gan Culture reached its peak in Tang-Song Dynasty. When China came to Ming-Qing Dynasty, the development of Gan Culture as was at a standstill as China’s economic center had shifted into coastal areas. Since the boom of culture tourism in recent years, Gan Culture once again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for the dynamic folk arts. This provides Gan Culture a new development opportunity. In terms of geological and culture character,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in Jiangxi Province, which is treated as a representative of Gan Cultu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cultural regions: Gan-po region (comprise of Lin-chuan area, Lu-ling area and Yu-zhang area), Huizhou region and Hakka region. In these cultural regions,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are featured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Ancestral Temple Culture, Farming-and-Studying Culture, Nuo Culture, Ceramic Culture and etc. Due to the influence of various cultures, traditional villages of Gan Culture enjoy diverse architectural style and outline. However, with the rapid advance of urbanization, traditional villages are now facing the dilemma of falling into decay. How can we better preserve these scarce cultural resources? The answer may lie in the new pattern of rural tourism, namely, Culture-inherited oriented model. Through this new pattern, cultural landscape construction should be adopted to activate the historical cultural space in traditional villages. Besides, the new pattern of rural tourism is capable of expanding the cultural influence and realizing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villages in Gan Culture. Previous studies about the revitalization and inheritage of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mainly focused on three Provinces: Guizhou Province, Yunan Province and Hunan Province where ethnic minorities account for a large percent of the population. Researches on Provinces with Han ethnic group occupying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are not well addressed, especially those places with muti-culture. Jiangxi Province which nurtures the culture of Gan is inhabited by the majority of Han ethnic group and the traditional villages in this land are lack of studying. Thu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villages of Gan Culture. This study focuses on traditional villages of Gan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situation and evaluation on traditional villages’ cultural landscape. The adopted methodologies are case study, field investig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AHP and Delphi Method). The survey is designed for experts, scholars, aboriginals and tourists collecting data from cognition and sastifaction of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Ten villages which can represent Gan Culture are sampled from the three cultural regions to analyze their current status from various aspects. Moreover, a relatively comprehensive system, that is, Current Status Investigation-Cognitive Evaluation-Scheme of landscape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will be constructed. Finally, a feasible solution will be offered. This dissertation can be divided into five chapters: Chapter one contains the background, objective,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content of Chapter two is the theoretical study involv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and the cause of the formation. Also, the concept of Gan Culture with its background and components will be demonstrated. Further, the notion of cultural landscape and its categories will be explained. The connotation of cultural landscape in traditional villages will be illustrated. Chapter three is the current status analysis and evaluation of Chinese traditional villages of Gan Cul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and investigation,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of Gan Culture can be claimed to have the basic traits of “integrity”, “concentration” and “originality.” The current problems of these villages center on the segregation of reg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goal, decentralized administration and insufficient awareness of protection. The survey results reveal that the majority of the interviewees have a certain level of cognition towards the cultural landscape of Gan Cultural traditional villages but with low satisfaction. Chapter four provides a development scheme about the landscape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Gan Cultural traditional villages. By employing SWOT method, this section will list out three principles of Gan Cultural traditional villages on revitalization development: Connecting and integrating villages around hills and plains area; protecting villages around mountainous region; developing villages around urban area by multi-approaches. Chapter five is the conclusion part. At the Macro-Level, we need establish an awareness of holistic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building Gan Cultural “Regional Culture Protection Unit,” a managerial mechanism of “protection and revitalization unit” with the same culture background can be constructed. Industrial resources can be integrated and the path of joint development can be found. At the Meso-Level, we need concentrate on developing typical villages of Gan Culture. We can consider the most representative traditional villages as the first-tier core villages, namely, Core Villages with Culture Unit; the resource complementary type of villages as second-tier, that is, fundamental villages with Culture Unit. For those core villages, we protect and revitalize the entire village such as theme rural tourism. For those fundamental villages, we maintain the landscape axis and expand agri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t the Micro-Level, we must protect and revitalize the historical relics of traditional villages with Gan Culture which includes the protection of the integrity of spatial layout. The spatial layout of villages comprises natural spatial and artificial ones (e.g., alley, plaza, pier). Under the premise of protecting the integrity and the style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s, a moderate renovation and refurbishment can be added onto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architectures. At the meantime, we must keep the harmony and authenticity of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color. Additionally, we can also increase some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highlighting regional culture in its diversity and inheritance. This study proposes some practical advices on the protection, exploitation and improvement of cultural landscape in traditional villages of Gan Culture. Some insights and new thought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raditional villages with Gan Culture have been provided in the analysis. We hope this study would bring some new directions and perspectives to the research of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중국은 7,000년 이상의 농업문명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전국 각지에 수많은 전통마을이 생겨났다. 이러한 전통마을은 풍부하고 다양한 전통문화를 갖고 있다. 전국 전통마을에 대한 조사가 실시 된 이후, '중국 전통마을 명록'이 선후로 다섯 차례 발표되었으며, 31개 성 및 시 중 장시성(江西省)의 간(贛)문화를 대표하는 전통마을의 수는 전국 8위를 차지하였다. 이 결과는 간(贛)문화가 더 많은 관심과 인정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장시성(江西省)은 중국 남부의 내륙부에 위치하며 주변의 6개 성(省)과 연결되어 있다. 역사 속 중원(中原)문화, 오월(吳越)문화, 초(楚)문화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지역문화적인 간(贛)문화가 탄생되었다. 간(贛)문화의 발전은 당송(唐宋)시대에 절정에 달하였다. 명청(明清)시대 이후 중국 경제의 중심이 해안으로 옮겨지기 시작했고 장시성(江西省)의 경제 위상은 크게 하락했으며 간(贛)문화도 정체되었다. 최근의 문화관광이 인기를 얻으면서 간(贛)문화의 풍부하고 다양한 민속 예술 문화가 점차 초점이 되었으며 간(贛)문화는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맞이하였다. 간(贛)문화를 대표하는 장시성(江西省)의 전통마을은 지리적 위치와 문화적 속성에 따라 3개의 주요 문화지역으로 나뉜다. 즉 간파(贛鄱)문화 지역(린촨(临川)문화 지역, 루링(庐陵)문화 지역, 위장(豫章)문화 지역 3개의 하위문화 지역을 포함한다), 휘파(徽派)문화 지역 및 객가(客家)문화 지역이다. 이러한 간(贛)문화 전통마을에는 제사문화, 농경문화, 나(儺)문화, 도자기문화, 전통건축문화, 민속문화 등의 문화자원이 있다. 또한 현재까지 장시성(江西省)의 무형문화유산 총 70여점이 중국 국가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간(贛)문화 전통마을이 형태가 매우 풍부한 것은 바로 다양한 문화 때문이다. 그러나 도시화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전통마을의 쇠퇴와 소멸 현상은 계속 심화되고 있다. 이 희소한 문화자원을 어떻게 더 잘 보호할 수 있는가? 따라서 문화계승 위주의 농촌관광을 통해 문화경관 조성을 수단으로 간(贛)문화 전통마을의 역사문화 공간을 활성화하고,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 또 간(贛)문화 전통마을의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높여야 하며, 간(贛)문화 전통마을의 '활태(活態)' 계승을 실현해야 한다. 현재 전통마을의 계승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귀주성(贵州省), 윈난성(云南省), 후난성(湖南省) 등 소수민족이 많은 성(省)에 집중되어 있으며, 다양한 지역문화를 지닌 한족(汉族)이 집거하는 지역의 전통마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풍부한 함의를 지닌 간(贛)문화 전통마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간(贛)문화 전통마을의 활성화와 발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贛)문화 전통마을을 연구대상으로 전통마을 문화경관 현황조사와 전통마을 문화경관 평가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사례분석법, 현장조사법, 정량적 분석법(AHP 방법 및 델파이(Delphi) 방법)을 사용하여 전문가와 원주민, 관광객의 관점에서 전통마을의 문화경관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10개 대표적인 간(贛)문화 전통마을(3개 문화권 포함)의 문화경관 현황을 현장과 결합하여 거시적 관점·중시적(中观)관점·미시적 관점에서 다양한 유형의 전통마을에 대한 해당 보호 및 활성화 개발계획을 수립하였다. 즉 "현황조사-인지도 평가-경관개선 및 활성화 방안"의 실행 가능한 체계이다. 본 연구는 총 5 장 구성되었다. 제1장은 서론이며, 연구배경, 연구의 필요성, 연구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제2장에서는 중국 전통마을의 개념, 형성원인 및 특징, 간(赣)문화의 개념, 형성배경 및 구성요소, 전통마을 문화경관의 개념, 유형 및 함의를 포함하여 본 연구에 대한 이론적 조사를 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국 간(赣)문화 전통마을 문화경관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대표적인 간(赣)문화 전통마을의 문화경관의 현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간(赣)문화 전통마을의 '전체성', '집중성' 및 '원생성(原生性)'의 기본 특징을 확정하였다. 전통마을의 문제는 주로 전통마을 활성화 발전의 목표와 개별 마을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적 문화적 함의의 불일치, 분산된 행정관리, 보호의식 부족 등이 있다. 문화경관 평가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응답자가 간(赣)문화 전통마을의 문화경관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4장에서는 중국 간(赣)문화 전통마을의 경관 개선 및 활성화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SWOT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간(赣)문화 전통마을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간(赣)문화 전통마을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평지 및 구릉지역 주변 전통마을의 통합 활성화', '산지 주변의 전통마을 보호', '활성화 및 발전', '도시 주변의 전통마을 다채널 활성화 발전' 등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또 전반적인 문화권의 관점에서 간(赣)문화 전통마을에 대해 '전반적인 보호 및 활성화 발전'과 '전형적인 핵심 발전'의 활성화 및 발전 개념을 추진해야 한다. 위의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거시적 관점에서 전 지역 활성화와 발전에 대한 인식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贛)문화의 "지역문화 보호구역(Regional Culture Protection Unit)"의 설립을 통해 같은 문화적 배경을 가진 "보호와 활성화 구역" 관리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산업자원을 통합하고 공동개발 경로를 구축해야 한다. 중시적(中观)관점에서는 간(贛)문화 전통마을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전통마을을 지역의 1급 핵심마을, 즉 문화구역의 핵심마을로 삼는다. 보완적 자원이 있는 전통마을을 2급 핵심마을로 한다. 즉 문화 구역이 있는 기초마을이다. 테마형 마을관광 개발을 통한 마을 내 고대마을 지역과 새로운 마을 지역의 차별화된 활성화 및 개발 등 문화구역 핵심마을에 대한 전체 마을 보호 및 활성화 개발을 수행해야 한다. 문화구역의 기초마을은 경관축의 연장과 농업 산업의 확장으로 보완해야 한다. 미시적(微观)관점에서 간(贛)문화 전통마을의 역사적 유산을 보호하고 활성화해야 한다. 전통마을 공간적 유형의 무결성 보호를 포함하여 공간적 유형에는 마을의 자연 공간적 유형 및 인공 공간적 유형(예: 거리 공간, 광장 공간, 고대 호안 부두 등)이 포함된다. 전통가옥의 전체 스타일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전제하에 건축 공간 형태는 적절하게 업데이트되고 변형되어야 한다. 주로 전통마을 건물의 색상과 마을 환경을 포함하여 마을 전체 색상의 조화와 고유성을 유지해야 한다. 전통마을의 문화적 형식을 풍부하게 하고 지역문화 활동의 계승과 다양성을 강조하는 문화체험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본 연구는 간(贛)문화 전통마을의 보호, 개발 및 활용, 경관개선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 간(贛)문화 전통마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중국의 간(贛)문화 전통마을 활성화 및 발전의 발전 방안을 연구하면서 향후 연구관점을 확장하고 중국 농촌 생활 환경 건설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관련 사례 연구

        박미애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국민에게 양질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여건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에 대한 과제는 중요한 국가정책 중 하나가 되었다. 문화, 예술, 도덕이나 정신 등이 중요한 권력의 역할을 하는 시대로 도래하면서, 다른 나라에 감동을 주고 존경심을 이끌어내는 힘을 지닌 나라가 지배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 복지정책 등의 확대로 생활이 점차 안정됨으로써 대중에게도 문화예술향유의 기회가 골고루 공유되는 문화예술 대중화시대 즉 대중문화예술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로써 도시·지역 계획은 물론, 정책까지 문화예술이 중심이 되는 개편을 시행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예술 관련 프로젝트를 등장시키면서 예술 비전과 문화예술정책에 대해 많은 정보 자료를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저소득층에게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최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하여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는 사례를 기업 및 공공기관으로 나누어 선정한 후 이를 자세히 살피고, 각각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선정 방법은 현대 사회에 ‘지역·소득의 차별이 없는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와 예술의 정신적 감동을 모든 국민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적을 두고, 지속적인 지원 형태와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소비자 프렌들리(friendly)’ 성격을 바탕으로 탄탄한 구성, 그리고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도를 고려하여 이에 준하는 사례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사례를 통하여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각 사례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피고, 이에 따라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국외 사례와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자세히 살피고자 하였다.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 혹은 ‘문화 복지’, ‘소득양극화와 예술지원정책’ 등 본 논문과 관련한 여러 선행된 연구를 살펴보면, 21세기 선진 국가들의 초(超)부가 가치는 문화에서 발생할 것이며, 이에 따라 양질의 고품격 문화를 생산하고 예술을 향유할 줄 아는 능력이 곧 국가 경쟁력으로 직결될 것이라는 문화예술향유의 필요성을 충분히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해 국민 소득 4만 달러라는 목표로 항진해 가는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은 삶의 질 뿐 만 아니라 필수적인 문제라는 인식이 공유돼야 함을 함께 말하고 있다. 이것은 앞으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는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것이며, 만약 누릴 수 없는 환경에 놓인 계층이라면 이들을 위한 지원이 필수적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일반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지원의 성격이 단순한 일회성을 띠고 있거나 지원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소홀하여 대상자 참여도가 낮은 경우를 볼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된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저소득층이라는 특정 계층의 범위에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제도를 중심으로 저소득층이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최대한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과 기업의 사례를 나누어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저소득층이 가지고 있는 소외감, 상실감, 회피의식 등의 심리적인 문제를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감동과 정서를 경험함으로써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기회를 지원해야 함은 소외된 일상에서의 일탈, 원활한 의사소통의 통로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문화예술향유를 통해 계층의 구분을 벗어나 동등한 자격을 갖도록 하고, 꿈과 희망을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세밀한 배려와 진정한 관심을 주고, 이에 따른 적극적인 대책과 실질적인 지원으로 더불어 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선진사례를 더욱 연구하고 조사하여 제도를 재정비하고, 저소득층 관련 전문가 양성과 더불어 전문 인력을 사회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도록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he subject how to supply the nation to the opportunity to enjoy high qualified culture & art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policies. When the era that culture, art, morality or mind play an important role comes, the nation which sweeps away the other nations and let the other nations respect has finally led the world. With our life becoming more and more stable due to the expansion of welfare policy, popularization era of culture & art that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is shared equally, namely, populace culture & art era, has finally come. Because of this, for the policies as well as urban/regional planning, reorganization of culture & art has been performed for its centralization. Also, new project related to art having been shown, a lot of information data for art vision and culture & art policy has been provided. In the background of this abstract, after I suggested to maximize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and, for this, I classified the samples that any supporters would support the enjoyment program of culture & art for the low-income group into the companies or public institutions, I'll take a look at this, compare and analyze each example to examine the suggestion. There's any selection method; to provide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and to make the people experience the mental emotion of culture & art; with the base of 'customers-friendly' characteristic, I selected proper sample, considering stable composition and affirmative participation. To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for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I took a look at the characteristic and problem of each sample and, according to this, any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problem for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and overseas examples. When I take a look at several pre-studies related to this abstract such as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for the low-income group' , 'cultural welfare' or 'both extremities of income and art supporting policy, super value added of the advanced nations comes from the culture. According to this, I suggest enough that the ability to produce high qualified culture and to enjoy the art shall be connected to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Recognition that culture & art is an essential issue as the quality of life should be shared in Korea moving forward the purpose of national income of 40,000$. This means that everybody can enjoy the culture & art in the future and, if there's any group who can't enjoy the culture & art, the support for this is shown to be essential. However, sometimes, the characteristic of support is merely instant or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people due to poor constitution of the supporting program in the general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with the base of the pre-studied research contents in this study and with the center of the opportunity supporting system to enjoy the culture & art, I tried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 of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the culture & art, taking a look at the sampl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to have the low-income group find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the culture & art the best. To support the opportunity to solve the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a sense of alienation, a sense of loss and avoidance consciousness, it shall be very crucial meaning for the low-income group to experience the emotion and sentiment of the culture & art for providing the path of smooth communication. Also, we should made a good society to let the low-income group enjoy the same state out of the distinction of layers through the enjoyment of culture & art, should give close care and real interest, and should make a better world where we can live with them through affirmative measures and real support. With studying and surveying the better examples more, training the experts and allotting the experts to every place of the society, we should make the best effort to develop the best measures to let the low-income group enjoy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 호주와 한국의 다문화 축제 콘텐츠 비교 분석

        정찬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인지하여, 앞으로 지속될 한국의 다문화 사회에 민족 간의 소통의 도구로써 다문화 축제가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이에 우수한 다문화국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호주와 한국의 다문화 축제의 비교ㆍ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해 다문화 축제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비교ㆍ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분석틀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고 그 결과 크게 세 가지 분석틀로 정리될 수 있었다. 첫째, 더슨(1991)의 다문화 축제 분류체계와 류정아(2007)의 지역축제 분류체계를 통한 '축제 유형 분석틀', 둘째, 문화인류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축제의 네 가지 특성을 활용한 '축제 특성 분석틀', 셋째, 뱅크스(Banks, 1994)외 다수의 학자들이 제시한 다문화교육내용을 재구성한 아홉 가지 특성을 통한 '축제 구성성분 분석틀'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세 가지 층위를 '축제 콘텐츠 분석틀'로 정하여 한국과 호주의 다문화축제 비교ㆍ분석을 했다. 첫 번째로 호주의 다문화 축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축제 유형 분석'에서는 '문화예술형 민족 축제'로 분석되었다. '축제 특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정 민족의 전통에 기인한 '유희적 일탈성'과 '공동체적 정체성', 그리고 '주기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축제로 분석되었다. '축제 구성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호주의 다문화 축제는 특정 민족의 전통을 기반으로 기획되며 생활문화에 기인한 축제의 구성과 정체성의 가치가 대표적으로 드러나는 축제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한국의 다문화 축제 유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축제 유형 분석'에서는 '문화예술형 다문화 축제'로 분석되었다. '축제 특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제를 중심으로 '유희적 일탈성'과 '다 민족 간의 협력을 통한 정체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축제로 분석되었다. '축제 구성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민족ㆍ인종이 참여하는, 협력과 다양성의 가치가 대표적으로 드러나는 축제로 분석되었다. 두 축제의 비교ㆍ분석을 실시한 결과 '축제 유형 비교ㆍ분석'에서는 호주의 경우 민족적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는 문화예술 축제이지만 한국은 특정민족에 집중하지 않고 보편적 주제를 통해 다양성을 인정할 수 있는 다문화적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는 문화예술 축제로 분석되었다. '축제 특성 비교ㆍ분석'에서는 호주의 경우 역시 민족 전통에 의거한 프로그램이 많은 관계로 민족 정체성과 주기성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축제이지만 한국의 경우 일탈성과 다양한 민족의 정체성이 아우러지는 성격의 축제로 분석되었다. '구성성분 비교ㆍ분석'에서는 호주의 경우 특정 민족의 전통과 생활문화를 느낄 수 있는 모리셔스 정체성확인의 장이자 새로운 소통의 장인 다문화 축제로 분석된 반면 한국의 경우 다양한 인종ㆍ민족을 대상으로 협력을 경험하고 다양성의 인정을 촉진시키는 축제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 축제의 유형은 '민족 축제'와 '다문화 축제'로 구분될 수 있으며 '문화예술 축제'의 성향이 강하다. 둘째, 두 유형의 축제 모두 전통적 축제 특성에서 신성성의 의미가 담긴 프로그램이 보강되어야 한다. 셋째, 양 축제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성(gender)', '언어', '종교'에 관한 요소가 전반적으로 제외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램 기획에 고려해야 한다. 넷째, '민족축제'의 경우 특정 민족의 문화를 소개하는 축제인 만큼 일방적 성향이 강하므로 다문화사회에서 필요한 소통을 위해 참여인력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상호작용(interactive)적 프로그램이 보강되어야 한다. 다섯째, '다문화 축제'의 경우 소통의 가능성을 더욱 증폭시키기 위해 인류 보편성을 함축한 주제를 선택하여 진행하는 것을 고려하되 이를 위해 참여국가의 주제관련 전문 인력과 더불어 축제가 기획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 축제의 기획에는 다양한 민족ㆍ인종적 배경을 지닌 다양한 사회계층의 남성ㆍ여성 이주민들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둘째, 축제의 본질적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 축제가 기획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적 차원의 소단위 다문화 축제에 정책적으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 인천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연구 : Balmer의 AC²ID 테스트 모델을 활용한 정체성 분석 중심으로

        전은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11

        지역 발전에 관한 논의에서 ‘경제적 성과’는 오랜 시간 가장 중요한 화두이자 목표였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경제활동 중심 생활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 중심, 여가 중심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지역 발전에 관한 최근의 논의 역시 경제적 성과를 판단하는 기존의 평가 논리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세계 국정의 핵심 코드 역시 ‘경제’에서 ‘행복’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른바 ‘국민총행복(Gross National Happiness)' 시대로의 전환이다.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의 행복경제, 캐나다의 웰빙지수(Canadian Index of Wellbeing), 영국의 행복지수(Happy Planet Index) 등은 이러한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들은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 요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여 물리적 환경은 물론 정신적 욕구 충족을 위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모든 국민에게 적용되는 공공적 문화정책, 문화복지 정책 보다는 국민 개인의 필요와 욕구에 맞는 문화 프로그램 제공과 문화생활 환경조성이 더욱 강조되는 현 사회에서 이를 국가적 재정만으로 감당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스스로의 기업 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활동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이다. 초기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활성화 정책을 추진했던 정부 방침대로 현재의 사회적기업 정책은 일자리 창출만을 위한 지원정책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고용노동부 주관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사회적기업의 다양한 목적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사회적기업이 기업 활동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적 목적이란 일자리 창출 이외에도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특히 경제적 목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문화복지 정책-사회적기업 육성 정책 등의 연계 및 다각화가 필요하다. 특히 인천시의 경우 현재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해 인천시 차원에서 뿐 만 아니라 인천시의 7개 구(區) 차원에서도 관련 조례와 시행규칙을 제정하는 등 노력 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의 노력과 막대한 재정적 지원에 따른 만족할 만한 시행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경우 전체 34개 업체 가운데 단 4개 업체에 불과해 육성과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일반 사회적기업과는 차별되는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현재와 같은 동일한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은 큰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따라서 기업의 특징과 기업 활동 기반 분석, 이를 지원하는 정책 분석이 필요하다.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시브랜딩과 연계한 사회적기업의 브랜딩을 제안함에 있어서 사회적기업 브랜딩 프로세스에 Balmer의 정체성을 단계별로 측정하고 그 실체와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위한 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Balmer의 AC²ID 테스트 모델을 활용한 분석 방법론을 통해 실제 정체성(Actual identity), 희망 정체성(Desired identity)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정책의 이상 정체성(Ideal identity)을 도출하였다.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문화복지와 문화 서비스 보급 등의 보완 기능을 수행하며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요 기업목표로 한다. 사회적기업 확대를 통해 일자리 창출 및 다양한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려는 정부의 지원정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별 특성에 맞는 구체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관련 정부 기관 등과의 연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활동 분야와 사업 영역에 따른 적절한 지원 제도 역시 마련되어야 한다. 향후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적극 활용한 지역문화 활성화와 문화복지 확대 방안과 정책 지원의 다양화를 기대한다.

      •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 정책범주 및 계열성을 중심으로

        전영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the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have transitioned since it was first introduced during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until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hen suggest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going forward. For this analysis, the study is based on the sequence, which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course and contents of study,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Like this,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and also have sequence, which stresses different elements and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for each government.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s the sequence by examining the Shift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is study consists of five analysis categorie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concept by shifts in Korea`s Arts and Culture Policies: Culture Welfa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Training, Artist-in-School Program,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ociety. More particularly, Arts and Culture Education Business and Policy Contents will be mainly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nalyzed by the government policy contents of the book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particularly the Culture Policy white paper from 2001 to 2009, and 2006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white paper. This analytic framework is based on sequence analysis of five categorie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First, this study will deal with two forms (content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and development degre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that present sequence analysis method of each Administration’s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The criteria of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are repetition, difference, emphasis, development, and expansion. In conclusion, this thesis deals with the policy contents from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analyzes the sequence of each administration. This thesis proves that the five categor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have developed and expanded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s well as from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quence analysis of the Arts and Culture Policy Contents in Korea, this thesis proposes that the Arts and Culture Policy Contents in Korea will improve in each category in the future. Finally, this thesis suggests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in Korea: First, the government agencies have to be cooperative to work with. Second, the government has to accommodate needs and support the people. Third,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has to develop among mutual cooperation of government agencies. Fourth, teacher and children, who are with the suppor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have to be backed up more actively by the government.

      • 마을문화콘텐츠의 기호학적 해석 모델에 관한 연구

        임지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 가치를 문화콘텐츠 개념을 통해 ‘마을문화콘텐츠’로 정의하고, 이 마을문화콘텐츠를 끊임없이 의미를 생산하는 기호학적 해석 과정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그럼으로써 기호학적 해석 모형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특정 지역의 마을문화콘텐츠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기호학은 고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았던 시대에서부터 사회의 여러 문화현상들을 이해하는 관점으로서 유용한 개념적 틀을 제공해 왔다. 본 논문에서 기호학적 해석 모델을 정립함에 차용하고자 하는 논리는 퍼스의 "무한한 세미오시스"의 가능성이었다. 퍼스 기호학의 전통은 예로부터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관점을 제공해 왔다. 특히 세미오시스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과정 속에는 기호 사용자의 '해석'의 논리가 전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일종의 연상 작용처럼 의미의 재생산이 무한하게 지속되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세미오시스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탐구 과정은 기호 사용자 간의 해석적인 의사소통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무한한 세미오시스에서 최종적으로 추구되는 기호의 의미는 기호 사용자 간 협동적 행위로서 대화적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기호학적 해석 모델역시 의미가 끊임없이 발생하도록 추동하는 세미오시스의 해석적 대화를 전제로 하고 있다. 마을문화콘텐츠는 그것을 생산하고 향유하는 기호 사용자 간에 소통을 매개하는 텍스트이다. 그리고 그 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기호 사용자 간에 끊임없는 해석적 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을문화콘텐츠의 기호학적 해석 모델이란 세미오시스에서 무한히 의미가 재생산되는 메커니즘을 통해 마을문화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재생산의 원리를 연구하는 것이다. 과거에 '마을'은 자연 지리적 조건에 의해 결정된 삶의 터전이었다. 문화를 인간이 환경을 극복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물이라고 한다면, 마을문화는 마을이 위치한 자연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지리적 경계는 구성원들의 외부와의 교류를 제한했고, 이로써 폐쇄적인 공간이 만들어졌으며, 유대감이 강한 마을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었다. 반면 현대적으로 변용된 마을문화의 개념 속에는 지리적인 경계의 폐쇄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의 팽창과 함께 분화된 사회에 등장한 집단은 아파트에 사는 이질적인 도시 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가 장소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유대감을 형성했던 방식과는 다르게 도시 공동체의 유대감은 사회적 공간의 상징적 의미를 공유함으로써 형성되었다. 따라서 현대의 도시 공동체가 만들고 있는 '마을'은 지리적 정체성에 기반을 둔 것이라기보다는, 사회적 공간에서 형성한 상징적인 의미를 도시 공간에 전이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따라서 마을문화의 개념은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전통적인 마을문화의 개념은 지리적인 장소의 역사적 상징을 공유한 마을 공동체에 의해 문화적으로 창조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현대적으로 변용된 마을문화의 개념은 문화적 상징을 공유하는 공동체의 실천을 통해 '마을'이 회복되거나 창조되는 과정으로서의 문화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을문화'의 의미는 '콘텐츠화'라는 과정을 통해 마을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콘텐츠화'란 문화적인 내용물을 타자와 공유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간주했다. 즉 개체들 간에 공동의 상징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의미를 소통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마을문화'가 도시 공간에 정착되고 실현되기 위해서는 '콘텐츠화'의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마을문화콘텐츠는 과거에 살았던 마을 공동체들의 문화적인 결과물을 콘텐츠화 한 것과 현대를 살고 있는 문화공동체의 실천을 통해 '마을'이 회복 또는 창조되는 과정을 콘텐츠화 한 것의 두 가지 유형으로 볼 수 있다. 마을문화콘텐츠는 마을 주체들에 의해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으로, 마을 주체들의 관계에 의해 형성된 마을문화라는 내용물이 담긴 매체를 뜻한다. 여기에서는 마을문화콘텐츠를 기호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텍스트'라는 개념을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호체계로서의 마을문화는 마을문화텍스트와 기호 사용자, 그리고 그들에 의해 공유되는 코드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우선 기호사용자의 측면에서 기호발신자는 '마을문화를 운반할 기호' 생산의 주체이고, 기호수신자는 '마을문화가 운반되는 기호' 향유의 주체이다. 마을문화텍스트는 마을이라는 공간에서 기능을 수행하며 코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호라고 볼 수 있다. 이 때 마을문화를 텍스트로 보는 관점은 마을을 마을 주체들에 의해 구성된 특별한 기호체계로 간주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을문화 코드는 마을 주체들의 행위와 그들에 의해 만들어진 텍스트의 의미를 규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호사용자가 마을문화텍스트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마을문화콘텐츠를 설명하고자 했다. 첫째 기호발신자 중심의 마을문화콘텐츠는 전통적인 '마을'을 보존하고자 하는 기호발신자의 목적에 의해 기호수신자로 매개되는 의미가 결정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둘째 기호수신자 중심의 마을문화콘텐츠에서 기호수신자는 '마을'의 상징적인 의미를 차용하여 현대 도시에 새롭게 창조된 '마을'의 정체성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기호발신자의 의미 생성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마을문화콘텐츠의 지속적인 재생산 과정은 기호학적으로 마을문화텍스트의 의미가 기호사용자에 의해서 끊임없이 반성되고 해석될 때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성적 해석의 과정을 '마을문화의 형성 단계', '마을문화의 리터러시 단계', '마을문화의 소통 단계'의 과정으로 나누어 논의했다. 여기에서 논하고 있는 마을문화콘텐츠 연구 과정은 퍼스의 세미오시스를 바탕으로 논리를 전개한 '텍스트 소통적 공간 스토리텔링'의 모형을 기본 전제로 활용한 것이다. 퍼스는 기호의 의미 체계가 기호 밖의 세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 속에서 기호가 표상하고 있는 대상을 '역동적 대상'과 '즉각적 대상'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발신자 중심의 마을문화와 수신자 중심의 마을문화가 어떻게 재생산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지를 펼치는데 중요한 영감을 준 개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들을 바탕으로 다음의 세 가지 단계를 통해 마을문화가 생산되고 재생산 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앞에서 논의한 기호학적 해석 모델을 실제 마을문화콘텐츠 사례에 적용해 기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남의 '풀장환상'을 해석한 결과 마을 구성원들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것을 실천에 옮김으로써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의 활동의 참여는 지역사회 내에 한 사람의 주체로서 정체성을 가지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다. 문화예술을 통해 실현되는 활동들이 주민들의 주체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가 되었던 것이다. 이는 본 논문에서 기호학적 해석모델로 설명했던 마을문화콘텐츠의 재생산 과정에서의 생산 주체의 양산(Sn+1)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강릉단오제'를 해결한 결과 강릉단오제는 축제라는 형식을 통해 과거의 민속 문화를 현대 사회에 적응된 형태로 전달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강릉단오제는 예전의 모습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켰는데, 향토신제(鄕土神祭)의 모습이었던 제의와 그네, 씨름을 그대로 이어가면서 여러 가지 민속공연, 전국적인 먹거리, 전국적인 난장(亂場)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게다가 문화․체육 행사까지 곁들여 명실 공히 종합예술축제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강릉단오제가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전통적인 마을 문화의 의미와 가치들을 현대 사회에 전달하며 현대인의 기호에 맞도록 성격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 과정 속에서 강릉단오제를 경험하고 전승하는 주체들은 계속 확장되고 있으며, 강릉단오제를 운영하는 주체들의 전문성은 계속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논문에서 기호학적 해석모델로 설명했던 마을문화콘텐츠의 재생산 과정에서의 향유 주체의 양산(Rn+1)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이처럼 마을문화콘텐츠의 실제 해석을 통해 생산과 향유의 주체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양산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 결과 마을문화콘텐츠 재생산의 원리는 마을 주체들의 끊임없는 반성적 성찰에 있었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콘텐츠 생산 과 향유의 주체가 양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마을'의 의미와 가치가 현대 삶의 공간에 지속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마을문화콘텐츠가 끊임없이 재생산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마을문화를 구성하는 주체들이 공유하는 상징적인 실체를 '마을문화콘텐츠'로 정의함으로써 '마을문화'의 의미를 도시 공간에 정착시키고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개념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마을문화콘텐츠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은 콘텐츠 사용자 간 소통에 필요한 방법론의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즉, 콘텐츠 생산자의 경우에는 마을문화를 그것의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신자에게 가장 적합하게 전달할 수 있는 형식적 틀을 찾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콘텐츠 수신자의 경우에는 마을문화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또 동의하는 실천적인 향유를 통해 발신자의 반성적 성찰을 유도하며 마을문화가 발전적으로 계승될 수 있도록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도시 공간에 마을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반성적 실천을 기반으로 하는 마을문화콘텐츠의 개념을 적용하는 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마을문화에 대한 실용 인문학 및 기호학 이론의 학제 간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중국 간쑤성의 역사문화 테마파크 콘텐츠 구성에 대한 연구 :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하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오늘날 경제수준의 향상과 레저공간의 확장에 따라 사람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가 수없이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은 현실의 삶을 살아가는 동안 필연적으로 조상들의 삶의 방식, 역사문화에 대한 관심이 점점 많아진다. 역사문화형 테마파크는 이러한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여가활동의 하나로 조상들의 전통적인 삶을 보여 주고 체험하게 해줌으로써 역사문화를 전시하는 박물관보다 접근성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간쑤성은 중국의 서북 지역, 황허 상류에 위치한 중국 문화와 문명의 발생지 중 하나이다. 간쑤성에 있는 실크로드는 지역의 역사성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쑤성의 홍보를 위해서는 실크로드를 주제로 한 역사문화 테마파크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중국 간쑤성에 대한 인지도가 늘어난다면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역사 문화 테마파크의 공간 콘텐츠 구성 방식을 파악하고, 나아가 중국 간쑤성의 역사문화를 보존하고 홍보하기 위해 실크로드를 주제로 한 테마파크의 조성을 통해서 간쑤성의 관광산업을 추진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역사 문화 테마파크 공간의 콘텐츠 구성 방식이고 둘째,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한 역사 문화 테마파크의 조성 전략이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 사례분석과 대상지 현황 조사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테마파크에 관련된 문헌의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여 논문의 전체 구조 및 이론적인 틀을 파악하였다. 제3장에는 주로 중국 간쑤성의 관광 및 테마파크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제4장에는 국내 외 역사 문화 테마파크 4곳을 선정, 분석하여 일반적인 역사 문화 테마파크의 콘텐츠 구성 방식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 간쑤성의 실크로드 역사문화 테마파크의 조성 기본 방향, 콘텐츠 구성, 전략 추진 방향을 제안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공한 역사문화 테마파크의 콘텐츠 구성 방식을 도모하여 간쑤성에서 실크로드를 주제로 세부적으로 이야기거리, 놀거리, 볼거리, 먹거리, 살거리의 콘텐츠 구성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를 부여하여 "실크로드에 관한 역사관, 문화관, 신화전설과, 연구관, 공연장, 문화 체험프로그램, 전통음식, 향토음식 판매시설, 기타 편의시설 등 다양한 콘텐츠"로의 조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간 스토리텔링 전략이 적용된 실크로드 역사문화 테마파크의 조성을 통해 사람들에게 실크로드 문화를 재인식시키는 동시에 간쑤성의 지역 이미지 구축과 관광산업을 촉진하며 이를 통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전략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