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의성디자인교육을 위한 U-space 디자인 제안에 관한연구 : 참여관찰법을 이용한 디자인교육공간제안

        신한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system requires creative and innovative individuals, so it is natural that our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the one for creativity. In other words, our society demands to have creativity education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society rather than that fosters just good student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education sites for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grafting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onto the existing system to effectively enhance the creativity for U-SPACE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s are consideration on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U-Space theory and analysis on current state of internal and external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environment of U-SPACE. I used participant observation, photography, shooting filming an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behavior of education based on these method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to improve the creativity, I took advantage of U-SPACE and suggested a schedule for the creativity design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ame as below; First, this study universalizes design education for creativity improvement and suggests that it can be conflated into diverse studies through characteristics of design education. It expands the scope of thinking with easy and interesting ways. In order to establish new educational environment for 3 education functions, that is to say aesthetic experience, association function and appreciation, we need to arouse students' interests through senses of sight and touch and stimulate them. For the effect of education on word association, expression, expressive power and thinking skills, we need to formulate the proper educational spaces to lead the emotional aspects through senses of sight and hearing. For the one on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ve power and observation, we need to prepare the educational spaces for senses of touch and hearing so that it can be done effectively and naturally. Second, educational circumstance should be changed for effective creativity design education. Especially, transformation of spaces, awareness, variability, flexibility, transparency and expansibility should proceed freely for the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In other words, we should provide U-SPACE environment for the program and suggest 3 scopes of it. 1) For the aspect of interior spaces, we had better formulate digital emotion system through the Wall Pad system which provides wall image display which satisfies the senses of sight and hearing. 2) For the aspect of a faculty of sensation, 3D display spaces which handles senses of sight, touch and hearing are organized. The emotional lighting system and learning tool such as Roballet, GOGO Ballet, Workbench are equipped and it supplies sensa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up-to-date facilities. 3)For the aspect of behavior,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to flexible education one according to the programs and we can perform the highest creativity design education through ubiquitous tool with I/O Brush such as LCD monitors and e-book, digital canvas. Hence, U-SPACE must be applied into th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learning and creativity. Third, as a result of design education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t is essential that spaces should be arrang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program and have improvement effect. I figure out that the effect of learning advances when spaces are altered by digital programs depend on learners. 3 types of spaces are proposed for the class according to the 7 subjects. 1) Self-experience(aesthetic experience, association function, appreciation) needs individual spaces, making blocks in forms of staircase. 2)Small group activities(word association, expression, expressive power, observation) can have space blocks of group behavior. 3) Group activities(aesthetic experience, expressive power, observation) need possibility of expanding spaces with the form of large and spacious blocks. I modularized 3 existing forms of block and transformed them for the creativity design education. Therefore, I think far more studies should be on the way for the design education. Ubiquitous education environments are little ahead of time as of now, but we can arrange it with U-SPACE in the near futur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programs for design education are insufficient, even though they are in progress currently.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creativity desig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present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studies on advantages of design education. Second, we need to foster educational professionals in spite of design education with Korean curriculum for now. It is crucial to foster specialist teachers and provide spaces for establishment as general education. Third, tool for the various program must be developed and studies should be continued in oder to vitalize design education more and make it happen even at home. 현 우리나라의 교육은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남과 똑같음을 탈피하여 다양함으로 자기만의 색을 가진 창의성 인재를 추구 하며, 그에 따라 우리의 교육현장도 자신만의 색을 찾게 할 수 있는 창의성교육으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런 교육은 예전의 공부만 잘하는 인재 보단 무한경쟁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교육 즉, 창의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창의성디자인교육을 위한 교육공간을 제안하고자 하며, 창의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해서 Ubiquitous의 환경을 함께 접목하여, U-SPACE교육환경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창의성 디자인교육과 U-SPACE의 이론 고찰과 국내ㆍ외 창의성 디자인교육 현황의 학습내용 및 환경의 U-SPACE을 분석한다. 본 사례를 위해서는 참여관찰법을 실행하였고, 사진촬영 및 동영상 촬영 그리고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 따른 행태를 분석하고,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U-SPACE를 대입하여 창의성 디자인 프로그램에 따른 디자인계획안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교육을 위하여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의 특성을 통해 디자인 교육의 일반화를 확립하며, 다양한 학문에 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며, 보다 넓은 사고를 쉽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 본 사례 조사를 통해 3가지의 학습 기능인“미적 체험, 연상기능, 감상영역”의 교육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시각+촉각을 통해 수업의 흥미를 유도하고 학습자들이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며,“언어연상, 감정표현, 표현력, 사고력”의 수업의 효과를 위해서는 시각+청각의 형태를 통해 내면의 감성적 측면을 이끌 수 있는 교육공간의 형태가 되어야한다. 마지막으로 “미적체험, 표현력, 관찰력”을 위해서는 촉각+청각의 자극적 공간이 되어 교육이 효과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창의적 디자인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육환경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디자인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변형, 인식, 가변성, 융통성, 투명성, 확장성이 다양하고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어야 창의성 교육프로그램을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U-SPACE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총 3가지 영역으로 U-SPACE을 제안하였다. 1)실내 공간적 측면은 프로그램에 따라 wall 영상 디스플레이로 시각적 청각적 촉각 요소를 만족할 수 있는 감성적 환경인 월 패드시스템을 구성하며, 디지털이모션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2)감각 기능적 측면은 시각, 촉각, 청각의 환경의 3D디스플레이 공간이 구성되며, 감성조명시스템과 창의력학습도구인 Roballet, GOGO Ballet, Workbench가 구비되어 첨단적 교육환경을 이루어 감각적 환경이 제공되게 된다. 3)행태적 측면은 책상 및 의자의 물리적 환경이 가변적 교육환경으로 이루어지며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자유로운 가변형태로 변화하며, LCD모니터와 전자책, 디지털 캔버스, I/O Brush을 통한 다양한 ubiquitous 교구를 통한 최상의 창의성 디자인교육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변형 가능한 U-SPACE가 도입 되어 보다 학습력을 증진 시키고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환경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 참여관찰법을 통해 디자인교육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디자인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을 이끌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 되어, 학습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학습자의 형태에 따라 공간이 디지털화된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될 경우 수업의 효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수업은 7개의 대주제를 통해 공간의 환경을 3타입별로 공간형태를 제시였다. 1)혼자하기(미적체험, 연상기능, 감상영역)는 계단형식으로 블록을 만들어 프라이버시적 공간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2)소그룹으로 하기(언어와 연상, 감정표현, 표현력, 사고력)는 그룹 행태의 공간 블록을 가질 수 있다. 3)다같이 하기 (미적체험, 표현력, 관찰력)는 큰 넓은 하나의 블록 형태를 통해 공간의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블록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모듈화 시켜 수업에 따라 공간을 변형하여 창의적 디자인교육을 진행 할 수 있도록 블록의 형태로 제안 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 첫 시작인 디자인교육은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또한 Ubiquitous교육환경도 현 시점에서는 이르다고 사료되지만, 급격한 속도로 우리 사회도 변화함에 따라 앞으로 머지않아 U-SPACE를 적용한 교육공간은 구성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첫째: 현재 디자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디자인교육의 프로그램의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자인 교육의 장점을 최대한 연구하여 창의성디자인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며, 현 교육환경에 맞는 활용 프로그램이 연구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현재 우리나라의 교과로 디자인교육이 시행하되 있지만, 교육 전문인 양성은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디자인교육전문 교사를 양성하여, 일반교육으로서의 교육 확립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보다 디자인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따른 교구가 개발되어 가정에서도 디자인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국내 외식산업 흐름에 따른 식음공간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

        김해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birth of new technology influences various aspects of our society. To look at our history, the technical development gave birth to the city and the new ideology was born or dissipated. In particular, since the space design field targets the environment where human leads their life for a long time, its change aspect appears diversely. For example, as a quality of life rise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and income level, the concern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which are human’s basic needs rises and marketing strategies making use of it are appearing. The lifestyle store reflecting the social trend sensitively is utilizing the ‘food marketing’ intensively and each media is putting out contents using the food marketing and fashion marketing. Although the food and beverage space which will be handled by this thesis is based on the behavior of eating food, as the customer’s expectation level rises, it includes the incidental behaviors such as the rest, play, and friendship besides food and beverage. Recently, food space including the restaurant is called EATS product, in other words, personal service on entertainment, material service on atmosphere, cuisine on taste, and cleanness on sanitation, it means the food & beverage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space for selling the general value comprehending the service, atmosphere, taste, and sanitation as well as just a space for eating food.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consider the change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luencing the food & beverage space, that is, the food service industry rather than fragmentarily apprehending the food & beverage space including various values, an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 20C food & beverage space following the environmental factor grew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 going through the food satisfaction era and product differentiation era starting from the provisions shortage era. The environmental factors before 20C are the overseas companies’ advance to Korea, prevalence of franchise due to the small-scale businessmen’s advance, wellbeing fever, and preference for luxury food due to the increase in life quality.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Korean food restaurant, family restaurant, coffee shop, pizza industry, fast food industry, chicken franchise, and seafood buffet were prevalent. Environmental factors after 20C are the solo economy(single household economy), HMR(simple household food), SNS marketing, O2O service, handmade food, big data technology, food of the 3rd world, eco-friendly design(green design), and use-oriented trend.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small restaurant, single-person restaurant, home food-specializing restaurant, complex food service space, and shop-in-shop are prevalent. When it comes to the food&beverage space design, the following are representative: user - oriented trend, space marketing, involvement, experience creation, how to create the participation-inducing design which raises the user space concentration by means of the interactive design, green design based on the nature with the sustainable design, how to create the eco-friendly design such as reasonable design, and way to create the mixed desig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ime, space, and genre due to the orientation toward various cultures. As described before, the food & beverage space has a feature that various factors besides the taste of food, original purpose, are realized by the complex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pace concentration, flow chart of traffic line, and space domain were set as detailed items as space constituting factors in order to examine the operational · administrative aspect and the marketing aspect that the food & beverage space was distinguished from other-purpose spaces, and the participation inductivity, eco-friendliness, and multi cultural trait were set as detailed items as expressive factors. Academy, association, and press media in the indoor design field were utilized to select the case, the analysis target, and total 12 place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e dispersal-type pattern prevailed in the space concentration trait of the space constructive trait, the traffic line type of the corridor access type in the trait of the traffic line flow chart, and combination arrangement type of set type in the seating arrangement type. In the space domain trait, the space division plan using the interceptive division was used much in the space. When it comes to the participation inductivity of the expressive trait, the theme trait was expressed a lot in the space in order of the theme, interest, participation, amusement, and information. The reenactment expression prevailed in the eco friendly trait, and the temporal blending and spatial blending were expressed much in the multi cultural trait. Building the space does not mean to just ‘make’ but means a process that various value systems such as trend, value, and social concern melt. However, we are overlooking the influence and value of the space field as watching the phenomenon that a lot of food & beverage spaces appear and disappear easily due to the recent excessive concern for the eating behavio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food & beverage space to proceed in a developmental direction in the future by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al factor influencing the food & beverage space and concretely examining factors which can provide customers with various experiences besides food and beverage. 새로운 기술의 탄생은 우리 사회에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끼친다. 우리의 역사를 살펴보면 기술의 발전은 도시를 탄생시켰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사조가 탄생하기도 소멸하기도 하는 과정을 거쳐 왔다. 특히 공간디자인 분야는 인간이 오랜 기간 삶을 영위하는 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 변화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교육 및 소득 수준의 향상 등으로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인간의 기본적 욕구인 의, 식, 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들이 등장하고 있다. 사회적 트렌드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의 경우 ‘푸드 마케팅’을 전면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각 매체들도 푸드 마케팅, 패션 마케팅 등을 활용한 컨텐츠를 내놓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식음공간은 음식을 먹는 행위를 기본으로 하지만 고객의 기대수준이 높아지면서 식음 이외에 휴식, 놀이, 친교 등과 같은 부수적인 행위를 포함하고 있다. 최근 레스토랑을 포함한 식음공간을 EATS 상품 즉 접대에 관한 인적 서비스(Entertainment), 분위기에 관한 물적 서비스(Atmospheres), 맛에 관한 요리 (Taste), 위생에 관한 청결(Sanitation)이라 지칭하고 있는데 이는 식음공간이 단순히 음식을 먹는 공간이 아니라 서비스 ·분위기·맛·위생 등을 아우르는 총체적 가치를 판매하는 공간으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는 식음공간을 단편적으로 파악하기보다 식음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환경 즉, 외식산업에 대한 변화를 고찰하고 환경적 요인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환경적 요인에 따른 20세기 식음공간은 식량부족시대에서 시작해 식품 충족시대, 제품차별화 시대를 거치면서 양적 ‧ 질적 성장을 한 시기이다. 전반적인 20세기 이전 환경적 요인을 보자면 해외업체의 국내진출, 영세업자 진출로 인한 프랜차이즈 성행. 웰빙열풍, 삶의 질 상승으로인한 고급음식 지향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외식업계에서는 한식레스토랑, 패밀리레스토랑, 커피숍, 피자업계, 패스트푸드업계, 치킨프랜차이즈, 씨푸드뷔페 등이 성행하였다. 20세기 이후 환경적 요인은 솔로이코노미(1인가구경제), HMR(간편가정식), SNS 마케팅, O2O 서비스, 수제음식, 빅데이터기술, 제3세계음식, 친환경화(그린디자인), 사용자중심지향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외식업계에서는 스몰레스토랑, 1인식당, 가정식 전문레스토랑, 복합외식공간, 숍인숍 등이 성행하고 있다. 식음공간 디자인 측면에서 보자면 사용자중심지향, 공간마케팅, 참여성, 경험창출, 인터렉티브 디자인 등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의 공간집중도를 높이는 참여유도 디자인 연출방법, 지속가능 디자인으로 자연을 기반으로 한 그린디자인, 합리적 디자인 등의 친환경 디자인 연출방법, 다문화 지향으로 인한 시간적·공간적·장르적 혼성을 기반한 혼성 디자인 연출방법 등이 대표적이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식음공간은 본래의 목적인 음식의 맛 이외에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 관계에 의해 구현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음공간이 다른 목적 공간과 구별되는 운영·관리적 측면과 마케팅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하여 공간구성 요인으로 공간집중도, 동선흐름도, 공간영역성을 세부항목으로 하였으며 표현적 요인으로 참여 유도성, 친환경성, 다문화성으로 세부항목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인 사례를 선정하기 위해 실내디자인 분야의 학회, 협회, 언론매체 등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정된 대상은 총 12곳이었다. 사례분석 결과 공간구성적 특성의 공간집중도 특성에는 분산형의 유형형태가 우세하며 동선흐름도 특성에는 복도형의 동선유형, 좌석배치유형에는 세트형의 조합배치유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공간영역성 특성에는 차단적 구획을 이용한 공간구획계획이 공간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표현적 특성의 참여유도성은 테마성,흥미성,참여성,오락성,정보성의 순서로 테마성이 공간에서 많이 표현되었다. 친환경성 특성에는 재현적 표 현이 우세했으며 다문화성 특성에는 시간적 혼성과 공간적 혼성이 많이 표출 되었다. 공간을 구축한다는 것은 단지 ‘만들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일정 시기의 트렌드, 가치, 사회적 관심 등 다양한 가치체계가 녹아드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는 최근 먹는 행위에 대한 지나친 관심으로 인해 많은 식음공간들이 쉽게 생겨나고 또 사라져가는 현상을 보며 공간이라는 분야가 지닌 영향력과 가치를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식음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대해 규명하고 고객들에게 식음 이외에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식음공간이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 모형 연구 :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감성 교육을 중심으로

        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75

        꽃과 식물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며 미술 작업에 예술적 영감을 불어넣어주는 소재이다. 꽃과 식물을 이용한 예술 분야로는 전통적으로 화훼, 원예, 화예디자인이 있는데, 특히 화예디자인은 자연 소재 중심의 디자인을 범주화한 분야로, 식물 자체가 갖는 생명력의 아름다움을 자연적으로 구현하여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꽃과 식물의 활용은 환경과의 상관성을 작품으로 연출하는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분야로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술적 특성만으로는 미래의 화예디자인을 발전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화예는 환경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절대적인데 이는 다른 디자인 분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화예디자인의 고유한 특성이며 단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오늘날 화예의 재배에서 폐기까지의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자원에 대한 보전과 자연친화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한 프로세스가 많이 실행되고 있다. 이는 현 상황에 대한 디자인계의 환경 관련 문제의식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서, 시대변화에 시의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이기에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없다. 최근 이에 대한 반성적 의미에서 화예디자인 및 환경디자인 분야에서는 공통적으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지속가능성의 중요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화예 및 환경연출디자인 관련 전공에서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을 하거나, 전공의 별도 트랙(Track)으로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학과는 아직 없다.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의 시작은 자연의 관찰과 체험을 바탕으로 하며, 이에 자연환경 관련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연 요소를 활용한 지속가능성 교육 가운데, 특히 자연연출 요소의 분야가 중심이 되는 ‘화예’는 자연의 원리 및 특성을 이용해 디자인적 기능으로 조형하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분야이다. 이를 연출적 영역으로 더욱 확장하여,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영역이 다루는 구체적인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체계적인 교육 과정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화예 분야가 영속성을 가지고 발전하려면, 현 교과과정에 ‘생태적 관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자각이 포함된 ‘공감적 감성교육’이 필요하다. 감성교육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방법 중 하나로, 인간 삶의 포괄적인 영역에서 가장 기본적인 한 국면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 감정이입 능력, 공감 능력, 문제해결 능력의 기능을 강조한다. 특히,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바르게 인지하고 조절해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창의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창의적 감성교육을 융합한 교육 모형을 구축한다면, 화예디자인과 환경연출디자인 분야에서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가 심각한 21세기에 적합하며 영속성이 있고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실시 중인 지속가능성, 화예디자인, 환경연출디자인 관련 전공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시사하였다. 국내에서는 서울대학교, 해외에서는 코넬 대학교,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위틀 대학교들의 지속가능 개발 디자인 교과과목에 대한 벤치마크 분석을 토대로,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적용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모형의 개발 절차는 첫째, ‘교육모형도 개발’, 둘째, ‘교육트랙 및 모듈 개발’, 셋째, ‘교육평가의 평가’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교육모형도 개발 단계에서는 기존의 체계적∙비체계적 교육모형인, ‘타일러’, ‘워커’, ‘아이즈너’와 문제 중심 학습인 ‘PBL’ 학습 모형을 재구성하여 교육모형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교육트랙 및 모듈은 본 연구의 핵심 키워드인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5차원(미학, 윤리,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과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프로세스 5단계(재배생산-디자인-유통소비-사후처리-인력교육)를 적용하여 개발한바, 지속가능 생태 감성교육 중심으로 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트랙에 대한 총 25가지 종류의 모듈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개발한 모듈은 두 가지 이상 선택적으로 융합 및 응용하여 교과과목을 구성할 수 있으며 교과과정은 단계별로, 1)교과 중심 모형(기초단계), 2)감성교육 중심 모형(중급단계), 3)문제해결 중심 모형(상급단계)으로 분류하였다. 개발한 교육모듈의 교과과정, 교과목은 ‘학습방법(method):이론/실습’, ‘학습과정(sequence):지속가능성/화예디자인/환경연출디자인’, ‘학습범위(scope):기초-중급-상급’의 틀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모듈을 적용한 교과목에서는 학습 단계가 높아질수록, 지속가능성, 환경연출디자인, 화예디자인 각각의 개념을 서로 조화롭게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과정에는 각 모듈의 요소가 높은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로 웨이스트와 심미디자인’ 교과목은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경제적’ 차원인 ‘에너지 효율성’의 내용과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프로세스의 ‘미학적’ 단계의 ‘미의식’ 내용을 융합하였고, 문제해결과 감성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상급 단계의 교과과목이다. 따라서, 25개의 교육 모듈로 구성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의 학습 과정은 창의적이고 감성적이며, 학습 결과도 환경문제와 그로 인한 각종 사회 문제에 대한 현실적이며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제시하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과 과정의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학습목표 달성도를 측정하여 실시하도록 제안하였는데 먼저, 선행연구를 근거로 학습자 수행 평가지를 구성한 후,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학습 수행 평가지의 타당성, 실용성 등을 검증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취합 분석하여 도출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여 기존에 제안한 평가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학습 수행 평가지를 구성하였다. 과거 환경이라는 개념을 바라보는 시각은 인간이 자연과 대치하는 상황에서 자연을 이용하고 활용한다는 측면이 강했지만, 현재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 포함된다는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산업 발전과 아름다움에만 치중되어 있던 인간중심의 지속가능성이 아닌, 생태적 지속가능성 기반의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 교육은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서, 지속가능성의 문제점과 자연의 생명성, 순환성, 희소성, 친환경성, 독창성 등을 보다 깊이있게 통찰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 생태 감성적 태도를 지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21세기의 교육은 이러한 생태적 지속가능성 기반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미래 세대가 성장하여 향후 생태계의 부정적인 변화를 늦추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재 학교 교육에 환경소양, 생태소양을 키우기 위한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교육과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과정이 생태적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자연 요소를 활용한 연출 디자인 활동 등을 통해 실천과 행동 단계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면 더욱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생태적 지속가능성 차원을 수용하고,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 교육의 교과 과정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이와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학문적∙실무적 자료로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단편적인 화예디자인이나 환경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지속가능 생태 감성 개념을 적용한 화예 중심 환경연출디자인 교과과정을 제시하였고, 융합을 강조한 실천가능한 25가지 교육모듈을 개발하여 화예디자인이 대학에서 독립된 미술 및 디자인 교과과정으로 자리잡고 발전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제시한 교육모형과 모듈이 미술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도입되어, 21세기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감성 교육의 저변확대에 이바지하길 바란다. Flowers and plants enrich human life and give inspiration to art. The field of art utilizing flowers and plants includes floral art, horticulture, and floral art design. Among them, the floral art design is characterized by its use of natural materials. It sublimates the beauty of the vitality of the flowers and plants into artwork. In recent years, the use of flowers and plants has expanded into floral environment art design, which expresses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the form of designs. However, such artistic characteristics alone are insufficient to further develop flower designs for the future. Floral art is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from the environment,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design fields, and is a unique characteristic as well as a disadvantage. Today, many processes, such as flower cultivation and the disposal of used flowers, do not conside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that is scare and limited. This i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of the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which is undesirable as this ignores the urgent calls from society.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ustainability' in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very few departments offer courses or tracks on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focusing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requires observation and experience of nature, and it is high time to bring a paradigm shift to education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Among many fields that use natural elements, the floral art of which the natural elements are at the center can teach design education, emphasizing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and this into the field of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and establish the curriculum which underpins ecological sustainability.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floral art, emotional education that includes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need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urrent curriculum. Emotional education is an educational method suited for cultivating 'creative and integrated' talents. It emphasizes empathy and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and solve problems in all aspects of human life. In particular, by accurately recognizing and regulating emotions of self and others, people can solve problems more creatively. A combinat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creative, emotional education can create an education model that is lasting and suitable for the 21st century threaten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This model can cultivate minds that proactively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plaguing society and its members. To achieve this aim, the researcher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and courses related to sustainability,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in domestic and foreign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universities that this study benchmarked includ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Cornell University (USA),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 (USA), Rhodes Islands School of Design (USA), and Whitley University (U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urses these schools offer, this study proposed the "emotional education model focusing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for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ducational model as follows: education model development, education track and module development, education evaluation.First,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educational model, the framework of the educational model was proposed by reconstructing Tyler, Walker, and Eisner's models, along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five key aspects (aesthetic, ethical,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the five stages of the environmental direct design process (cultivation & production-design-distribution & consumption-disposal- education). The track and module were develop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five aspects and five stages of sustainability, resulting in 25 modules. A subject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wo or more modules. The proposed curriculum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such as 1) subject-centered model (basic level), 2) emotional education-centered model (intermediate level), and 3) problem-solving model (advanced level). Depending on the content, the curriculum and courses can be categorized as method: (theory/practice), sequence (sustainability/floral art/environmental design), and the scope of learning (basic/intermediate/advanced). The courses that this study developed are expected to teach the concepts of sustainability,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in a cohesive,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way as the modules have higher levels of correlations and interdependency. For example, Zero Waste and Aesthetic Design,' an advanced level course focusing on Emotional Education, has integrated energy efficiency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and aesthetic perception from the aesthetic theory. Therefore, the learning process of floral art environment design composed of 25 education modules is creative and emphatic, and the learning outcome of these modules are expected to be practical and realistic designs solutions for various social issues. Las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measures learners'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courses. For this aim, this study first design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based on past studies and conducte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expert panel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on the revising and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Traditionally, the view on the environment has been dominated by the idea that humans and nature have constant struggles and conflicts and that humans can and need to maximize the utility of nature. The recent trend, however, has started to view that humans are a part of nature, not a dominant player in an ecological system. The proposed curriculum is founded upon ecological sustainability that argues that sustainability should not be human-centered,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must explore and contemplate the vitality, circular nature, and scarcity, ecology, and distinctiveness of nature. This approach can cultivate emotional intelligence that values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the acceptance of such a percept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demands the macro-perspective on sustainability. This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curriculum can prevent and delay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system by fostering positive mindsets and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ecology. In specific, the proposed curriculum will deliver not only theoretical and conceptual learning but also actions and corrective measures that employ natural elements and resources, which is anticipated to be more effective and valuable. The contribution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its proposed curriculum for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which improves the weaknesses of the past studies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specific, the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d is not for floral art or environmental design, respectively, but the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for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founded upon futuristic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integrative 25 modules are specifically design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loral art to be offered as a stand-alone curriculum in art departments or art schools. This study hopes that the proposed curriculum and modules are introduc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and serve as a catalyst to exp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emotional education for the higher education scenes in the 21st century.

      • 지하공간의 영역구성과 실내환경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신영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산업의 급속한 발전은 도시의 인구 집중현상과 도시기능의 복합화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도시의 가용공간은 한정되어 있어 이러한 현상이 사회적으로 주어졌을 때 건축적인 대응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가 21세기 우리가 맡은 건축적 바탕이다. 도시화로 인한 고밀도 현상을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가용면적, 적층, 밀집, 새로운 집합에 대한 이슈 같은 것들이 해결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지하공간은 가용면적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하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구조적, 기술적 측면만이 아닌 디자인적 측면에서 어떠한 방안이 계획되어야 하는가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국내 지하공간 환경디자인의 현황을 조사하여 원론적인 논의에 머물고 있는 지하공간 환경디자인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생리적 요인들에 근거한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연구하고 미학적인 측면의 새로운 유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의 공간적 범위를 최근 개발되어진 서울시 대형 지하 쇼핑몰과 오피스 빌딩의 지하공간으로 한정하였으며 지하공간을 진입부, 통로부, 광장부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의 특성들과 실내 환경디자인 요소들을 미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제 1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 방법들이 언급되었다. 제 2 장에서는 지하공간의 개념 및 특성을 언급하고 지하공간의 환경인자를 물리적 환경인자, 형태적 환경인자, 기술적 환경인자, 관념적 환경인자의 네가지로 분류하여 각 특성들과 그에 의한 심리적, 생리적 영향들을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지하공간의 환경디자인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본적인 관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제 2 장에서 파악된 특성들을 분석틀로 하여 실제 국내 지하공간의 실내 환경디자인은 각 특성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어떠한 영역에서, 어떠한 실내 환경디자인 요소들을 적용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지하공간의 환경적 특수성에 대한 대처방안들은 진입부에서 가장 많이 계획되어 있었으며 통로부, 광장부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실내 환경디자인 요소는 공간형상, 조명효과, 색채 및 마감재, 실내조경, 오브제 및 사인, 통로의 여섯 가지로 추출되었으며 공간형상을 이용한 디자인 기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 4 장에서는 지하공간의 진입부, 통로부, 광장부의 세가지 영역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유형 및 특성들을 살펴보고 앞서 추출된 여섯 가지 지하공간의 실내환경디자인 요소들의 구체적인 적용기법과 새로운 방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내용을 토대로 지하공간의 환경적 특수성을 극복할 수 있는 지하공간의 환경디자인을 영열별로 계획하고, 지하공간의 계획에 있어서 지상공간보다는 더욱 세밀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함과 동시에 건축기술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미학적인 측면이 간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has brought about over-population to cities and increased complexity to urban functions. But, as the amount of the available space is fundamentally limited, architectural response to the phenomena forms the background for architecture in the 21st century. Underground space has been suggested as a new frontier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limited available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gns to utilize underground spaces that include not just structural and technical aspects, but an aesthetic perspective as well.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the underground environment, several underground facilities in Seoul were surveyed. Us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various approaches based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actors were reviewed to provide new alternative aesthetic models. The subject facilities were newly developed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underground spaces of recently-constructed high-rise office buildings in Seoul. These underground spaces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entrance area, corridor area and hall area. Their characteristics and design elements were then analyzed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o accomplish its purpose, the study covers: Chapter 1. Purpos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2.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space are discussed. Physical, morphological, technical and ideological environmental factors of underground spaces are described. Their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along with their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to determine the basic perspective from which to consider environmental design in underground areas. Chapter 3. Working from characteristics examined in Chapter 2, underground areas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which methods were used in which areas to overcome problems associated with underground spa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devices utilized to overcome the inherent problems of underground areas were implemented in the entrance area, followed by the corridor and the hall area.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could be grouped into six categories: shape of space, lighting effect, color and materials, interior landscape, sculpture, and pathway. Design techniques utilizing shape of space were used with the greatest frequency. Chapter 4. In-depth investigation of actu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of the three areas of underground spaces. The six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are reviewed to develop new direction and methods of application. Chapter 5. Drawn from the above analyses, plans for the environment design of underground spaces are presented to overcome problems associated with each area. Finally, it is shown that underground areas require more detailed and thorough designs. Also, aesthetic perspectives must be emphasized along with the technical aspects of architecture to enhance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underground spaces.

      •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도심 가로공간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 중앙분리 공간을 중심으로

        김승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도시와 이를 구성하는 가로에는 유·무형의 자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사람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된 곳이다. 그러나 도시 및 가로의 개발 또는 정비를 하는 과정에 장소가 보유한 자산에 대한 의미를 간과하는 경향이 발생한다. 지역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환경 개선과 가로 재생은 결과적으로 지역의 고유한 장소성을 상실하게 한다. 같은 맥락에서 진행되었던 가로 활성화 시도들이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한 양상을 보임에 따라 새로운 관점 및 방향의 연구들이 요구되지만 노력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보행은 가로위계와 공간구조를 통해 결정되어진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연구의 전제조건이 되는 가로를 구성하는 사람 및 구성요소들의 특성이 다변화됨에 따라 기존의 이론으로는 다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의미들이 부여되었다. 또 가로위에서 단순히 걷는 행위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역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넓은 관점에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 가로공간 환경개선과 관련하여 새로운 방향제시를 위해 고유한 장소의 자산을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제 대상지에 접목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새로운 가로환경개선, 가로활성화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크게 3가지로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보행자만을 위한 가로환경개선사업들이 진행되었다고 한다면 보행자 및 차량 탑승자로 대상을 확장하고 장소성과 연계된 주변 건축물의 특성을 가로환경에 부여하여 가로구성요소의 폭을 넓혀 이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가로시설물 중 보도에 면한 부분만을 한정하여 설계되어온 것에서 탈피하여 보행자와 차량 탑승자의 참여를 동시 일으킬 수 있는 도로시설 중 중앙가로공간으로 영역을 확장하여 설계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보행자, 차량 탑승자, 건축물, 중앙가로 시설물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새로운 방향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파악된 가로환경개선 및 관련 개념들 간의 관계 속에서 장소자산의 활용은 지속 가능한 가로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수단이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를 전제로 테헤란로의 가로공간 환경개선 적용 모형을 정립하였다. 둘째, 실증연구 대상지인 강남 테헤란로의 장소성을 통해 이해되어진 장소의 고유한 특성을 중심으로 설계에 활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한 체험적 요소를 제공하는 선행적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중앙분리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시설물간의 혹은 사람과 시설, 건축물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나아가 참여가 가능한 공공 예술을 접목하여 설계에 접목하였다. 이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단순히 보행자를 위한 보도의 가로환경개선에서 탈피하고자 새로운 시도를 접목시킨 것이다. 넷째,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통해 이용자(보행자 및 차량 탑승자)에게 경험 전달요소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가로활성화가 가능하며 도심 가로에 생명력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중앙분리 가로공간의 특성에 적합한 설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활력 있는 가로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행위가 유발되도록 시사점을 도출한 점,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 요소들에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접목하여 디자인 적용에 대한 이해를 넓힌 점 등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가로공간 환경개선사업에 대한 범위를 확장시키고 설계에 새로운 지침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쓰이길 기대한다.

      • 공동 주택 단지 내 필로티 공간의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소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From department door second lock city space human own residing environment that receiving supply by opportunity of directest and sensual space experience about environment given as well as concretely as objet, residing space is expected about art anger between public ball which is cheerful and balance that reflect dwelling peoples opinion and is contributed in quality of life being influenced to human psychologically in observers position. As specific plan for this better life the latest difference between external worker and special quality anger mortification residing by my cooperation merit newly increasing pilotis space I of housing complex into external link and important utilization resources of course of events realize, and it is situation that introduction necessity of element is increasing environment design enemy who can overcome structural limitation. Becau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present condition that is environmental design between public ball and pilotis ball in internal cooperation housing complex for activation of element that is environmental design in pilotis space, special quality of each type introduction of element that is new environmental design to utilization present condition and pilotis space of design that put by purpose of research that present specific design technique because do grasping, and analyze structural limitation between pilotis ball to figurative element, and becomes standardization plan wish to . Viewers progress process for this is same as following. First chapter spoke about viewers objective and way of research. Sort public art and concept of environment design and type with existent discussion Chapter 2 and in internal public house only special quality anger between public ball studying examples of elements that is danger and injury public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applied, that controling and do variously humans action in open air space in jar, emotional composure and artistic atmosphere between residing ball corelation in environment design that do link analyze . Elements that induction is possible that in Chapter 3 through plan entity between pilotis ball and type classification by function the aspect examine, and is environmental design to pilotis space tributary, compositive factor between ball, objet and facilities, color and material, atomize and examined to variable elements among others. Apartment complex which do special quality grasped in Chapter 3 Chapter 4 to analysis element and difference between pilotis ball consists the latest in internal examples of elements that is actuality environmental design applied into compensation about reflect that specific application techniques of new modeling form link attribute with open air ball and contextually situation between ball which compare and analyze and is not figurative standard of design elements through synthesis analysis study . Planed application plan of element that overcome peculiarity environment enemy of structural function between pilotis ball on the basis of contents that study at top and are environmental design that can do so that do place value greatest Tuesday in compositive type between ball Chapter 5. Building for activation between pilotis ball between public ball and outside space, reasonable change of public art and art angers reciprocity link must consist in jar ultimately and existent city, to present activation way of element that is special new environmental design in approach construction enemy sense of research . 도시 공간에서 인간은 자신의 주거 환경을 오브제로서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주어진 환경에 대한 가장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공간체험의 기회로 제공 받으며, 주거 공간은 거주민의 의견을 반영한 유쾌하고 균형 잡힌 공공공간의 예술성에 대해 기대하게 되고 관찰자의 입장에서 심리적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어 삶의 질에 기여하게 된다. 이러한 보다나은 삶을 위한 구체적 계획으로서 최근 외부공간의 차별화와 특성화를 통한 주거 내 공동공간으로 새롭게 늘어나고 있는 필로티 공간은 주택 단지의 내.외부의 연계 및 매개의 중요한 이용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구조적 한계성을 극복 할 수 있는 환경디자인적 요소의 도입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필로티 공간 내 환경디자인 요소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 공동 주택 단지 내 공공공간과 필로티 공간의 환경디자인 현황을 조사하여, 각 유형의 특성들을 파악 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수법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고, 필로티 공간의 구조적 한계성을 조형적 요소로 해석하여, 획일화된 이용현황과 디자인의 필로티 공간에 새로운 환경디자인 요소의 도입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방법에 대해 언급 하였다. 제 2 장에서는 기존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공미술과 환경디자인의 개념 및 유형을 분류하고 국내 공공주택 단지 내 공공공간의 특성화를 위해 적용된 공공미술과 환경디자인 요소들의 사례들을 연구하여, 단지 내 옥외공간에 있어서 인간의 행위를 조절하고 다양하게 해주며, 주거 공간의 정서적 여유와 예술적 분위기를 연계해주는 환경디자인에 있어서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제 3 장에서는 필로티 공간의 계획 요소와 기능에 따른 유형분류를 통해 그 양상을 살펴보고, 필로티 공간에 환경디자인 도입 가능한 요소들을 분류, 공간의 구성적 요인, 오브제 및 시설물 ,색체 및 재료 ,그 외 가변적 요소들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제 4 장에서는 제 3 장에서 파악된 특성들을 분석요소로 하여 국내에서 최근 필로티 공간의 차별화가 이루어진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실제 적용 된 환경디자인 요소들의 사례들을 비교, 분석해보고 종합분석을 통해 디자인 요소들의 조형적 기준이 아닌 옥외공간과의 연계성 및 공간의 문맥적 상황이 반영된 새로운 조형 형태의 구체적인 적용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 5장에서는 위에서 연구된 내용을 토대로 필로티 공간의 구조적 기능의 환경 적 특수성을 극복하며 장소적 가치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환경디자인 요소의 적용 방안을 공간의 구성적 유형별로 계획하였다. 궁극적으로 단지 내 공공공간의 필로티 공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축물과 외부 공간, 공공미술의 합리적인 변화와 예술성의 상호연계가 이루어져야하며 기존의 도시, 건축적 접근에서보다 특화된 새로운 환경디자인 요소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한다.

      • 도심형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전략

        한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59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다가오는 2026년에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6080의 신노년층의 증가로 자립노인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면서 이들의 즐겁고 행복한 여가생활과 삶의 질에 대한 복지정책도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다가오는 초고령사회를 위한 도심형 노인복지관은 고객의 요구나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물리적인 환경을 제시해야 하며 이러한 맥락에서 물리적 환경 자체만 디자인하는 것이 아니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흐름과 고객, 관리자의 행태를 고려하여 서비스의 환경을 제안하는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이 중요해질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형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을 제시하고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도심형 노인복지관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및 요구도와 현황 분석을 통해 초고령사회의 노년 세대에게 건강하고 행복한 여가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도심형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의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초고령사회와 도심형 노인복지관의 역할, 이용현황과 설치기준, 발전방향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과 유형, 작용과정과 분석지표에 관해 알아본 후 서비스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리서치방법론에 대해 짚어 보았다. 이론적 고찰의 결과를 토대로 도심형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따른 이해관계자, 고객여정지도를 설정한 후 기초 프레임워크로 제시하기 위한 분석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노인복지관 설치·평가기준, 국내 노인복지관 물리적 환경 계획·평가요소, 국내외 서비스스케이프 분석지표 등 23개의 선행 연구 결과를 참고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 이해관계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앞에서 도출한 분석지표를 토대로 현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이 어떠한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조사는 2014년 2월부터 3월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5개소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용자 만족도 및 요구도, 분석지표 개념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개념간의 상관관계 등을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 회귀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도출하였다. 현장조사는 2014년 1월부터 4월까지 직접 방문을 통해 서울 소재 노인복지관 11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는 서비스디자인 리서치 방법론을 활용하여 서비스사파리(Service Safari), 관찰조사(shadowing), 고객여정맵(Customer Journey Map), 이해관계자 심층인터뷰(Stakeholder Contextual interview)를 통하여 현재 도심형 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총합하여 도심형 노인복지관에 대한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의 전략을 분석지표별, 공간별로 제안하고 내용을 총합하여 하나의 서비스블루프린트로 완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는 ‘도심형 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든 사회적·물리적인 환경’을 말하며 이는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의 흐름에 따라 이용자에게 인식되는 건축적 환경, 인적환경 그리고 이용자의 행태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 분석지표는 안전 요소(Safety factor), 기능적 요소(Functional factor), 심미적 요소(Aesthetic factor), 주변 요소(Ambient factor), 사회적 요소(Social factor) 5개의 차원과 37개의 세부지표로 정리되었다. 셋째, 현재 도심형 노인복지관의 이용자는 자신의 여가생활에 있어 노인복지관은 매우 필요한 시설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복지관을 이용하는 데 있어 서비스스케이프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또한 이용자의 관점에서 분석한 현재 도심형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도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요소는 만족도에 비해 요구도가 매우 높았으며 기능적 요소도 만족도에 비해 요구도가 높았으나 주변 요소는 요구도에 비해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실제 분석지표 충족도와 이용자의 만족도나 요구도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의 요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서비스스케이프를 계획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초고령사회 노인을 위한 도심형 노인복지관의 서비스스케이프의 디자인의 전략을 분석지표별, 공간별로 제안하고 내용을 총합하여 하나의 서비스블루프린트로 완성하여 제시하였다. 공간별 서비스스케이프 전략은 다음과 같다. ⅰ) 관리운영공간은 낮은 접근성과 같은 외부의 요인에 대한 이용자의 감정을 실내로 들어오면서 전환시키고 목적지로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며 본 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안전 요소, 기능적 요소, 심미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즉, 안전 요소로 개구부 안전장치, 유니버설디자인, 무장애디자인을 충족시키고 기능적 요소로 수직·수평동선, 규모·면적, 효율적 조닝, 접근성·길찾기를 만족시키며 심미적 요소로서 적합한 분위기, 색채 계획을 실시하도록 한다. ⅱ) 상담지도공간은 무엇보다 이용자로 하여금 친절하고 우호적인 이미지를 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스케이프의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담지도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사회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디자인해야 하며 직원 접근성, 직원 특성, 직원 행태에 유의하도록 한다. ⅲ) 복리후생공간A은 집중과 과포화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용자가 기다림을 감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스케이프의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며 기능적 요소, 사회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즉, 기능적 요소에서 규모·면적, 효율적 조닝, 기기·가구, 적절한 사인계획을 만족시키고 사회적 요소로서 혼잡성, 직원 접근성, 직원 행태, 교류·다양한 접점을 유도하도록 한다. ⅳ) 복리후생공간B는 다양한 공간 활용과 조경을 배치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여유로움과 정취를 한껏 느낄 수 있게 하는 서비스스케이프의 전략이 필요하며 기능적 요소, 심미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즉, 기능적 요소에서 접근성·길찾기, 기기·가구, 편의시설, 다목적 공간 활용에 유의하고 심미적 요소에서 적합한 분위기, 자연조경, 중정(시각적 통로)을 조성하도록 한다. ⅴ) 사회교육공간은 다양한 사회교육을 위한 공간의 배치 및 다양한 교류를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며 기능적 요소, 사회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즉, 기능적 요소에서 효율적 조닝, 접근성·길찾기, 기기·가구를 구비하고 사회적 요소로서 혼잡성, 직원 접근성, 타고객 특성, 타고객 행태, 교류·다양한 접점을 계획하도록 한다. ⅵ) 스포츠교육공간·의료재활공간은 혼잡과 기다림을 통제하고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기능적 요소, 주변 요소, 사회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즉, 기능적 요소로서 규모·면적, 효율적 조닝, 기기·가구를 만족시키고 주변 요소에서 쾌적성·위생·청결, 조명·자연채광, 환기시스템, 음향시설, 냉난방시설을 구비하며 사회적 요소로서 혼잡성, 직원 접근성, 직원 행태, 교류·다양한 접점을 유도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 적합화된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을 정립하고 시설 내의 이용자, 직원 그리고 물리적인 환경 사이의 사회적인 요소를 포함하였다는 점, 그리고 노인복지관에 적합한 서비스스케이프 분석지표를 개발하고 공간별 세부적인 지침까지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추후 후속연구가 이어질 것이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가오는 초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복지관의 물리적인 환경을 계획하는 데 조금이나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