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ranz Kline의 회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현대자수기법을 중심으로

        정주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overlapped expression area of each genre of modern arts expands and its border has been vague or tends to be blended. As art becomes a part of real life away from an inaccessible separated entity, there has been active grafts between fashion and high arts such as painting, sculpture, architecture, and so on. In other words, each genre of the modern formative arts is expanding its expressional realm, seeking form liberal expression and formative feature through a close contact with fashion. Getting through the steps of encounter, correspondence, respect, borrowing between the world of art and design, the harmonious realm of art and fashion broadens, showing conceptual , stylish, and aesthetic agreement between artists and designers. Away from simply put painting on clothes, th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artist's spirit more in depth, combining painting with fashion by re-constructing what the artist intends to express through new representation techniques. Accordingly, selecting the painting of Franz Kline(1910~1962) who is a representative painter of Abstract Expressionism as motif. this study tried to make 'Black-and-White Painting' after 1950, which expresses his bold and structural thick stroke realized in clothes. The lines composed of straight line and biased line in the painting of Franz Kline make one architectural structure, show structural image by utilizing the blank of the background in the active form. In this way, he tried to express a strong tension, which contrasts with a vast space. Franz Kline said that black and white had equal valu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white with outstanding black line in his painting. In the latter part of his work, he tried to expand his expression realm to other colors, neither black nor white. The image shown in the painting is developed as a proper motif to modern fashion , expressing this features of his painting with modern embroidery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reative clothing through expressing materials suitable for fashion, applying the spirit of the artist and its plasticity and to show that fashion can be another way of expression of art. This study analyzed Franz Kline's work of art focusing on era and formative features, and searched for examples that painting was applied to fashion. Moreover, as for representation techniques, within modern embroidery techniques using taping and stitch , its concept, history, materials, technique, applied example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re-constructing Franz Kline's 'Black-and-White Painting' as motif, which characterizes bold structural line, 8 works of modern embroidery clothes were manufactured showing his strong and structural imag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bination of modern fashion design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hape and color in the painting can be a motif of creative design and give aesthetic value to designer's simple and practical fashion within social range. Secondly, architectural bold expression of line and characteristics of 'Black-and-White Painting' are noticeably shown in the painting of Franz Kline. It turns out that Franz Kline's painting is a proper artistic component of expression of clothing design by constructing Franz Kline's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stroke, and color expression as motif. Thirdl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echnique to change Franz Kline's characterized line into pattern, modern embroidery techniques were used by combining it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tape, cotton thread, and wool felt. In addition, hand painting and hand felt were applied to modern embroidery technique with rich texture and it proves that these techniques are effective to in expressing touching feeling and spreading effect. Fourthly, Franz Kline noticeably showed 'Black-and-White Painting' which emphasized black line in his works of art and introduced other colors to his existent 'Black-and-White Painting' in order to expand his expressional realm in the latter part of his works. It is shown that thoughtful and modern image can be reflected on clothing through the expression of colors by reflecting this characteristic of color on motif and using limited colors. This study could express Franz Kline's bold and structural image of painting as motif of clothing by combining his architectural line and characterized expression of 'Black-and-White Painting' with fashion through modern embroidery techniques. Likewise, it turns out that the creation of novelty through combination of painting and fashion is indefinite by developing a part or whole of painting into the motif of clothing. It is expected that artistic value will be added to clothing with the progress of more creative and artistic express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and diversity of materials and design. It is desirable that Franz Kline's painting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as various motifs in modern clothing design in the future. 현대 예술 분야의 각 장르들은 서로 오버랩 되는 표현영역이 확대되어 점차 그 경계선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서로 융합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예술이 접근하기 어려운 독립된 하나의 개체에서 벗어나 실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하면서 회화, 조각, 건축 등의 순수예술과 패션의 접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즉, 현대 조형 예술의 각 장르들은 패션과 긴밀한 연계 속에서 자유로운 표현과 조형적인 면을 추구하며 그 표현 영역을 확대 시키고 있는 것이다. 예술의 세계와 디자인 세계의 만남, 상응, 경의, 차용의 단계를 거치면서 예술과 패션 사이의 조화의 영역을 넓히고, 예술가들과 디자이너들 사이의 개념적이고 스타일 적이며 미학적인 동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회화를 단순히 의상에 덧입히는 것에서 발전하여,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새로운 표현 기법의 개발을 통해 패션과 접목, 재구성함으로써 작가의 정신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의 대표 작가인 프란츠 클라인(Franz Kline 1910~1962)의 회화를 모티브로 선택하여 1950년대 이후 그의 대담하고 구조적인 굵은 선 획으로 표현되는 'Black-and-White Painting'의 흑백회화를 의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프란츠 클라인 회화에서 나타나는 직선, 사선들로 이루어진 선들은 하나의 건축적인 구조를 만들고 배경의 여백을 적극적인 형태로 활용하면서 구조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며, 프란츠 클라인은 이를 통해 광대한 공간과 대조되는 강한 긴장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프란츠 클라인은 그의 회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검은색 선과 함께 흰색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하면서 흑과 백은 동등한 가치 지닌다고 말했으며 작품 활동 후기에 흑과 백이 아닌 다른 색채의 사용으로 표현영역을 넓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회화의 특성을 현대자수기법으로 표현하여 회화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들을 현대패션에 적합한 모티브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가의 정신과 그것을 통해 표현되는 회화의 조형성을 응용하여 패션에 적합한 소재의 표현을 통해 창의적인 의상디자인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패션이 예술의 또 다른 표현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프란츠 클라인의 작품을 시대와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회화가 현대 패션에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표현 기법은 테이핑(taping)과 스티치(stitch)를 이용한 현대자수기법으로 현대자수기법의 개념과 역사, 재료와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현대자수가 적용된 사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프란츠 클라인 회화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난 대담한 선의 구조를 가진 흑백회화를 모티브로 재구성하여 그의 강렬하고 구조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현대자수 의상을 총 8점의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화에서 나타나는 형태와 색채 등 조형적인 특성을 현대 패션 디자인과 결합함으로써 독창적인 디자인 창작의 모티브가 되고, 이는 디자이너의 단순하고 실용적인 패션을 발전시켜 사회적 범위 내에서 미학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프란츠 클라인의 작품에서는 건축적인 대담한 선의 표현과 흑백회화의 특징적인 표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프란츠 클라인 회화의 건축적이고 구조적인 붓의 휘두름과 색채의 표현을 모티브로 구성하여 나타냄으로써 프란츠 클라인의 회화가 의상디자인의 예술적 모티브로 적합한 표현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프란츠 클라인의 특징적인 선을 문양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법 개발과정 속에서 패브릭 테이프, 코튼사, 양모 펠트 등 다른 여러 가지 재료와의 혼합을 통한 현대자수기법을 활용하고, 현대자수 기법과 함께 핸드 페인팅, 핸드 펠트 등의 표현 기법을 함께 응용함으로써 풍부한 질감으로 예술적 표현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기법이 회화의 터치 감과 번지는 듯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프란츠 클라인은 그의 작품 세계에서 검은색 선을 중심으로 한 흑백회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작품 활동 후기에 표현 영역의 확대를 위해 기존의 흑백회화에 색채를 도입하였다. 이와 같은 색채의 특성을 모티브에 반영하고 제한적으로 색채를 사용하여, 깊이 있고 모던한 이미지를 색채의 표현을 통해 의상에 나타내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프란츠 클라인 회화의 건축적인 선과 흑백회화의 특징적인 표현을 현대자수기법으로 의상에 접목함으로써 그의 작품에서 보여 지는 대담하고 구조적인 회화의 이미지를 의상의 모티브로 표현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회화의 한 부분, 또는 전체를 의상의 모티브로 개발함으로써 회화와 패션과의 결합을 통한 새로움의 창조는 무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새로운 기법의 개발과 소재, 디자인의 다양성을 통해서 보다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표현의 발전이 이루어져 의상에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고, 프란츠 클라인의 회화가 앞으로 현대 의상 디자인에 있어 다양한 모티브로 발전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되어지길 바란다.

      •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박원경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A natural form stimulates from ancient times human feelings, and you provide a dynamic of an artistic creation, and the native motif is becoming in all creative working. The Artists who have an immense admiration and passion for the nature have observed and expressed the nature not only by simple imitation but also by painting with their own colors and images as well as develop new ways to express it what they feel. In the same line, fashion designers have been made enormous efforts to develop their own expression skills to bring the nature to the world of fashion which allows them to make creative and frontier pieces expressing their own inspirations about the nature. The creative power of fashion designer develops one of the formative art fields, which is considered as practicality, primary purpose of cloth as well as art itself. Therefore, artists have to do consistent researches to develop the fashion having artistry, creation, and high values as well as build up variable expression techniques including hand making to express their inspiration which allow escaping mechanical and standardized design pattern in the past. In this thesis, I suggest the new insights of flower origami into modern fashion design and present a new linkage between formative reconstruction and providing high valuable added clothes through the processes of flower origami, one of the formative arts by paper. Predictably, large amount of design's motif are coming from the flowers which are one of the best nature supplies, major sources of creation. I have investigated the definition and origin of flower origami as well as collected data about various methods and features of flower origami through the literatures, materials for pictures, and information form internet. In addition, I have collected and arranged the data of modern design used origami method. Especially, I have focused on the types and methods of flower origami which have been applied in modern fashion design. I have been examining the new methods to recruit flower origami into the clothes. Through these studies, I suggest “flower origami” need to be added on the list of expression methods of fashion design as a novel, creative and valuable skill. At first, I have used paper to examine the expression methods and formative sense of various types of flowers and then I have tried to find proper and creative motifs to apply textile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s compared with those of paper. I have generated total eight pieces of dresses. To highlight the characters of flower origami within textiles, I used roadside-silk, vertical-silk and vertical-silk satin after dyeing which allow enhancing color contrast between in and out of textile and improving visual effects and flower images by gradation dyeing. Here is a summary of my researches. First, my studies broaden the expression methods in fashion fields by trying to use flower origami in clothes as well as suggest a new formative art by examining the possibilities of flower origami in textile. Second, flower origami using textile provides the possibilities to formation both thin layer’s two dimensional and thick layer’s three dimensional expressions at the same spaces. Third, I observed the possibilities that flower origami with various textiles composed of distinctive materials and characters can be expressed diversely even in the same motif. Forth, I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arrange the color within the textiles depend on the shape of clothes and design because some flower motifs made by flower origami show both textile’s in and out all together. Fifth, it is sometimes a challenge to generate flower motif by using flower origami with textile since it has different characters in material itself compare with those in paper. However, the procedure of repeated trials and errors gives the chance to develop new creative motif and serendipity by chance. Taken together, my studies in this thesis provide new insights of flower origami into fashion design and highlight new potential and possibilities of hand-making expression skills which will broaden the field of formative arts. Regarding to my studies, I expect that further researches in flower origami using textile in the fashion design field will be performed to develop new expression skills which allow us to build up the creative and valuable fashion design. 자연의 형태는 예로부터 인간의 감정을 자극하여 예술창작의 원동력을 제공하며 모든 창조적인 영역에서의 근원적 모티브가 되고 있다. 자연에 대한 동경과 열망을 갖고 끊임없이 자연을 관찰하면서 미를 표현해 온 예술가들은 자연의 피상적 모방을 단순히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표현이 아니라 그 속에 존재하는 특질을 찾아내어 자기만의 새로운 표현기법과 양식으로 그 이미지를 자신의 색깔로 자신만의 방법으로 형상화 하여왔다. 의상에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디자이너들이 자연에서 받은 영감을 의복에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다양한 기법들의 표현 연구와 함께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으며, 작가의 창조의지가 조형예술의 한 형태로 표현되어 의상의 본래의 목적인 실용성 뿐 만이 아니라 그 자체로써의 하나의 조형 예술로서 인정받고 있다. 특히, 20세기의 현대의상은 일반 조형예술의 특성을 공유하며, 여러 다양한 분야의 조형예술과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그 중, 현대 조형예술의 한 분야인 종이 조형예술은 그 발전과 더불어 의상에 있어서도 종이조형의 다양한 기법들을 응용한 의상디자인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종이조형의 기법은 부조 표현과 환조 표현 등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의상디자인에 폭넓게 응용할 수 있으며, 조형적 재구성이 가능해 작가의 창조 활동의 표현방법으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작가가 자연에서 받은 영감을 의상에 표현하는 하나의 표현기법으로써 종이조형 중 꽃을 모티브로 하여 표현하는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의상에 응용하여 도입하는 연구를 통해, 조형적 예술미와 독창성, 고부가가치성을 추구하는 의상디자인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창조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자연물, 그중에서도 많은 디자인의 모티브로 연구되어왔던 꽃의 형태와 이미지에서 디자인의 모티브를 도출하고, 종이조형 기법 중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하여 의상 디자인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선행연구와 이론 고찰을 통한 작품제작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꽃의 이미지와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문헌 고찰과 사진자료 조사를 비롯한 선행 연구를 통해, 꽃의 상징성과 조형미에 대해 살펴보고,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디자인 작품 사례를 통해 꽃의 이미지를 디자인에 응용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다음, 본 연구의 주요 모티브인 종이접기 기법과 꽃 종이접기 기법에 관한 고찰로 그 정의와 유래를 문헌고찰과 인터넷 정보 들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꽃 종이접기의 종류를 문헌고찰과 인터넷 정보 들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현대 패션 디자이너들의 작품사례 연구를 통해 종이접기 기법을 현대 의상디자인 작품에 응용하는 표현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꽃 종이접기 기법의 조형성을 의상에 접목하여 도입하는 방법을 연구, 실험하였으며, 꽃의 형태를 재구성하여 의상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하여 표현의 영역을 확대시킴으로서 독창적이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되도록 제시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먼저 색종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꽃 종이접기 기법을 실험해봄으로써 표현기법과 조형감각을 익히고, 이를 원단을 이용하여 의상디자인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종이와는 다른 소재의 특성상, 원단에 맞는 표현 방법으로 다시 실험하여 새로운 독창적인 표현의 모티브 제시를 의도하였다. 이를 디자인에 응용하여 총 8작품을 실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랜 시간 꽃은 의상 디자인의 주제로써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되어 왔으며, 꽃의 형태를 재구성하여 의상에 응용하는 과정에서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하여 표현기법의 영역을 확대시켰다. 둘째, 원단을 이용하여 꽃 종이접기 기법으로 꽃 모티브를 제작할 경우에도 종이접기 기법의 특징인 날렵한 종이의 끝 선 표현과 함께 반복적으로 접는 작업으로 부조 표현과 환조 표현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종이가 아닌 원단을 이용하여 모티브를 제작할 경우, 말거나 구부렸을 때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려는 탄성이나 제자리에 고정되는 힘이 없으며, 접었다 다시 폈을 경우에도 접은 선이 종이와 같이 명확하게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단면을 잘랐을 경우 종이와 같이 끝선이 날카롭고 깨끗하게 정리되지 않으며, 풀로 고정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종이와 다른 소재의 차이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래의 종이접기 기법에서의 접기, 말기, 자르기 등의 표현방법들을 스티치 장식, 스팀 고정, 시접처리를 위한 뒤집어 박기와 끝선 올풀기, 등 원단에 알맞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 연구하여 모티브를 전개하였다. 그 결과, 꽃 종이접기 기법 특유의 날렵한 끝선과 조형적 표현이 잘 드러나면서도 원단을 이용한 꽃 모티브로 발전 할 수 있었다. 넷째, 원단을 이용할 경우, 원단의 소재와 재질감에 따라서 각기 다른 형태와 느낌의 꽃 모티브로 발전 가능하며, 꽃 종이접기 기법의 풍부한 표현 가능성을 다양한 원단으로 실험해 봄으로서 다양한 의복에 응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하여 만든 꽃 모티브는, 접기의 방향에 따라 안감과 겉감이 함께 겹쳐지는 중첩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중첩 된 부분들을 옷의 형태와 디자인에 따라 패턴 상에서 먼저 색채 계획을 세우고, 색채의 배색과 함께 표현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의상 디자인에 접목시킴으로서 새로운 독창적 표현으로서의 다양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재조명하였으며, 나아가 새로운 가치를 지닌 하나의 조형예술로서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앞으로도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이외에 다양한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하여 원단으로 표현하는 다양한 표현 기법의 연구와 실험을 계속해 나간다면 독창적이며, 고급스러운 의상디자인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Morel버섯류의 이미지(Image)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누노펠트, 카빙펠트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김현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Industrial development throw open the door to mass production. In result, the Industrial Revolution simplified every product. However, this quantitative expansion could not satisfy emotional desire. People are look for something which expressed her own personality with difference, and the object are returning to the Mother Nature - basis of life, mystique and beauty. Nature means a "phenomenon" which can be seen everywhere, and aesthetics of the Nature can be found not only in scenic view, but also in everything - from huge biological world to trivial inorganic substance. By expressing, reproducing and reorganizing the image of nature, human can represent her own character and desire for beauty, and be satisfied. Some designs were made from the nature - especially mushrooms which we live together with from the primitive aged, and has various shape and multiple color. In respond to human desire, the clothing industry has focused on value added business from meeting her basic and public purpose to satisfying profound and private appetite. As we want more to express individuality, we are running short of material for clothing. To solve this problem, we need to find out new material or value added texture. For this purpose, I develope and reorganize the Felt - the oldest technique in human clothing history, especially Nuno Felt. This study includes followings : 1) Mushroom's formative character by researching its biological feature and design cases based on it 2) Research the felt methodology to represent mushrooms's aesthetic characteristics formerly discussed This study researched mushroom's attributes in typ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material and appearances, and design examples from books, articles, journals, periodicals and thesis of others. Also,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 and technique of Nuno felt, as well as design illustration from books, articles, journals, periodicals and thesis of others to express in effective way. With this study of mushroom and Nuno felt, 8 designs of different clothing could be made. This study concludes following: 1) By motivating mushroom as design, harmony between nature and clothing could be expressed. In addition, it could be found out that a natural object can be a good motive in every expressional activities. 2) As mushrooms with various shapes and colors have repeated lines and surfaces, it is good motive for clothing to express the beauty of form. 3) The soft feel of the material of Nuno felt was suitable for the shape of mushroom, the natural creature. 4) Nuno felt, mixture of felt and other material to express peculiar feel, was good enough to shape the special surfaces in mushroom. 5) With various decorating and carving felt technique, the texture of the face could be represented deeply. This study made some value added designs in special figure by combining the mushroom, the nature, and the clothing, the art. In the extension of this study, I expect various felt methodology can be applied to textile industry as a new material development. 산업의 발전은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지만, 제품을 획일화 하였고, 이런 양(量)위주의 발전은 인간의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역설적으로 인간은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고 차별화 할 수 있는 소비문화를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성을 표출하고 싶은 인간 욕구의 대상은 산업화에서 기인한 인위적인 산물에서 벗어나 예로부터 인간의 관심대상이었고 생활터전이었으며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지닌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다. 자연이란 말은‘볼 수 있는 현상의 세계’이며, 자연의 미는 단순히 자연 경관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리라 온갖 생물과 무생물을 막론하고 하찮은 유기물이나 무기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자연의 소산 가운데 널리 편재하고 있다. 이처럼 인간은 자연의 이미지를 재현하거나 재구성함으로써 자신의 개성과 미적욕구를 표현하고 충족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물 가운데 원시시대부터 인간과 같이 공생하며 다양한 형태와 색채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 버섯의 독특한 이미지를 도입하여 의상디자인을 하였다. 양모를 가지고 펠트기법 중에서도 펠트와 다른 소재를 결합해 독특한 고유의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누노펠트(Nuno Felt)와 여러 가지 색이 다른 펠트를 겹쳐 컷팅하는 카빙펠트(Carving Felt)기법을 응용하여 소재개발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미적욕구를 충족시키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의상소재 및 형태등과 같은 표현 영역에 확대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주요 모티프인 버섯의 이미지와 디자인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렐 버섯을 조형적으로 분석한 후 버섯을 응용한v디자인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버섯의 이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펠트의 정의와 특성을 알아보았고 펠트의 다양한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사례를 알아보았다. 각각의 이론적 배경과 사례들은 단행본, 학회지, 인터넷, 패션관련 정기 간행물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총 8점의 버섯의 이미지(Image)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인 버섯의 특징과 종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버섯의 이미지를 의상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자연과 의상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었고,버섯 모티프는 조형예술의 무한한 표현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모렐 버섯의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의상형태의 모티프로 사용하여 독특하고 개성 있는 다양한 의상형태를 창출할 수 있었다. 셋째, 펠트와 다른 소재를 결합해 독특한 고유의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누노펠트기법을 통해 버섯의 유연한 곡선과 곡선이 만나 이루는 다양하면서 통일감 있는 면의 주름 모양을 표현할 수 있었고,여러 가지 색이 다른 양모를 겹쳐 컷팅하는 카빙펠트기법을 통해 투과되어지는 면 사이로 투명, 불투명, 반투명이 나타나 공간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여러 겹의 다른 색채의 양모 층을 펠트로 제작하는 카빙펠트 기법을 통해 버섯의 풍부하고 다채로운 색채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연의 일원인 버섯의 이미지를 의상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자연물과 의상의 예술적요소를 결합시켜 독특한 조형성이 나타난 새로운 시도의 의상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누노 펠트와 카빙펠트기법을 접목시킨 소재를 연구함으로써 획일화된 소재에서 벗어나 차별화된 독특한 소재를 개발하여 표현영역을 확대하고 예술적인 의상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펠트기법을 통한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응용되어 보다 차별화된 고부가가치의 소재로 활성화시켜 의상의 조형적 표현 영역 또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신정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50767

        In order to protect the physical body from the unexpected environment, the functional aspect of wearable objects has increasingly become more important. These features started appearing in our daily lives afte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echnologies brought on high-tech industry. As high-tech is gradually applied to the realm of science, commerce, telecommunications, transportation, military, art, leisure, and medical, the use of high-tech theory has also reached human clothes in order to protect the wearer’s body. Modern people’s lives are not just for survival. In the aging society, they want to achieve their goals with longevity in a safe environment. At this point,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has been extended not only to selected, but also to general groups, Therefore, the process will need a new direction in design categories. Global IT companies focus on investigating high-tech wearable devices, most of which have already been launched in the healthcare field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market is going to expand. Although,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that combines high-tech device and costume started appearing in various areas of our modern life, the research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for the protective clothing is still not enough. As a result, reliable research on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design and its purpose of body protection in combination with the appreciation of our social environment in the aging society is necessary. This paper’s aim is to identify the categories of hightech’s functional features that would be used as sources of suggestions for market direction. Through clothing, modern people are protected in their environment and in society, and are able to maintain relationships with the society they belong to. Also, they could defend themselves and protect their bodies through clothing.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development of science has brought on the emergence of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In this research project, classification of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design is linked to the function of personal protection and the purpose of wearing clothing. The examples of the clothing for the personal environment are underwear, hospital gowns, sportswear, outdoor activewear and so on. The space suit and diving suit in the natural environment, working clothes and uniform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fire fighting garment, rescue clothing and combat uniform in the dangerous environment are examples for each case respectively. The case studies on the functions of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design characteristics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First, the ‘open’ type is that your body information is exposed to others at the necessity of management and protection. Second, the ‘variable’ type represents a change of the spatial form, the length, volume, silhouette, light (LED). Third, the ‘communication’ type enables communication of the wearer’s physical and mental information with health management. Fourth, the ‘enclosed’ type surrounds the whole body from shoes to helmet so as to block air, pressure and external biochemicals. The fifth and final type, the ‘concealed’ type enables its wearer to hide and disappear, so as to deny their existence. ‘Open, Variable, Communication and Enclosed’ types appeared in personal,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In the dangerous environment, we can add ‘Concealed’ type in addition to the previous four.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is as follow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rough the expansion of human physical ability, potential for life expansion, covering of the body and managing its state, humans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physical body, and extend the limits of performance. Second, a broader sense of physical ability extends the potential for applying on other categories such as hospitals and meeting room, thus achieving security from dangerous environments and creating a new living space. Third, the multipurpose use of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link the human body to clothing into one object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design,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hobb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providing healing through music and transferring its wearer’s emotions. Fourth, the physical expansion of communication abilities proves that high-tech clothing with safety devices can potentially prevent isolation from society and provides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high-tech protective clothing proved when the cultural environment changes not only the changes in food, clothing and shelter, but also the value of human thought and behavior as humans develop a new type through selfuse and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The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requires a variety of convergence functions and culture, flexibility in using its elements, support with immediate coordination, finding new sources of hightech materials and building a systematic design process. 현대의 의상은 인간을 둘러 싼 유동적인 환경 속에서 인간의 신체와 정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기능적인 측면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고도의 첨단 기술인 하이테크로 현대의 생활환경에 나타나고 있다. 하이테크는 과학, 상업, 정보통신, 교통, 군사, 예술, 레저, 의료 등의 시설과 제품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의상에 있어서도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현대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삶이 아닌 안전한 상태에서의 이상의 실현과 건강하고 장수하는 삶을 추구하는 고령화 시대에 돌입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은 특수한 대상뿐 만 아니라 일반대상으로 확대 되고 있으며 디자인에도 새로운 방향성이 필요할 것이다. 세계적인 IT기업들의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하이테크 웨어러블 기기는 헬스 케어 분야를 시작으로 상품출시가 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웨어러블 기기의 시장성 성장과 규모의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하이테크 기기와 의상이 결합된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이 현대인들의 실생활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디자인별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고령화 시대의 사회적 환경에 적합한 디자인을 위한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디자인 특성에 대하여 거시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디자인 분석을 통해서 하이테크 기능의 유형과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의의는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제품화와 시장성을 위한 방향성 결정에 있어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현대인들은 의상을 통해서 자연 환경과 사회 환경에서 신체가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며 사회와의 관계에서도 고립되지 않게 유지하고자 한다. 또한 의상을 통해서 환경과 상황에서 스스로를 지키고 신체를 보호하고자 한다.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은 오늘날 의료기술의 발달, 자연재해의 발생, 과학기술의 발전, 극한 상황과 위난에 대처하기 위해 발생되었다. 본 연구에서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디자인 사례는 신체보호의상의 착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분류하였다. 개인 환경에서는 내의, 의료복, 운동복, 일상 활동복, 일상 유희복, 야외 활동복으로 분류하였다. 자연 환경에서는 우주복, 잠수복으로 분류하였다. 사회 환경에서는 작업복, 경기복으로 분류하였다. 위난 환경에서는 소방복, 구난의복, 전투복으로 분류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본 연구의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디자인 특성 중에서 유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신체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거나 보호막 없이 신체에 대한 정보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노출시키며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개방형이다. 둘째, 신체에 새로운 공간 형성 및 길이, 부피, 실루엣, 빛(LED)의 변화를 나타내어 형태의 변화가 가능한 가변형이다. 셋째, 신체정보에 대한 송·수신이 가능하며 건강관리와 다른 신체와의 감정소통이 가능한 통신형이다. 넷째, 외부의 공기, 압력, 생화학적 물질이 신체에 접촉되지 않게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의상을 신발부터 하의 , 상의, 헬멧까지 결합시켜 신체 전체를 감싸는 폐쇄형이다. 다섯째, 주변 배경을 의상으로 송신하여 의상이 주변의 배경과 동일시되어 타인에게 신체가 보이지 않게 하는 은폐형이다. 위와 같은 디자인 유형은 개인환경, 자연환경, 사회환경에서는 개방형, 가변형, 통신형, 폐쇄형을 보였으며 위난 환경에서는 개방형, 가변형, 통신형, 폐쇄형, 은폐형으로 나타났다.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디자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인간에게 주어진 신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명의 연장 가능성, 신체의 은폐, 신체 상태를 측정, 신체의 힘이 증가가 되는 것으로서 신체 능력의 확대를 보이고 있다. 둘째, 병원, 모임의 공간 같은 다른 영역으로도 확장시키고, 위험환경으로 부터의 안전성을 획득하고, 새로운 생활공간을 이룰 수 있는 신체 영역의 확장이 나타났다. 셋째, 디자인의 변화, 개인의 건강관리, 취미생활, 정보 확인, 외부와의 소통, 의상을 신체처럼 활용하여 감정 전달, 음악을 통한 정서적 치유, 스스로나 타인과의 소리 정취로 심리적 안정이 가능하도록 신체를 여러 용도로 활용의 다변화를 보였다. 넷째, 신체의 안전을 위해 통신이 가능한 하이테크 장치를 부착한 의상은 신체를 인식하고 알려주는 기능으로 신체를 스스로 보호하는 것과 사회로부터의 고립을 방지하고, 사회생활에서 서로간의 정보를 통해서 더욱 안전 할 수 있는 신체와 사회 간의 소통 확장이 되겠다. 하이테크 신체보호의상의 디자인 특성은 문화적 환경이 바뀌면 인간의 의식주는 물론 사고와 행위의 기준이 되는 가치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자신의 신체를 통한 자기 사용(self-use)과 소통으로 보여주었다. 디자인의 개발방향은 기능과 문화의 다양성이 융합된 디자인, 사용상의 융통성이 있는 디자인, 사용 시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조율을 제공하는 디자인, 하이테크 소재 개발과 디자인 프로세스의 시스템화가 필요하겠다.

      • 한국 전통 연극탈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 한국자수 기법을 중심으로

        조은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67

        In the twenty-first century, development of the nation's cultural elements and designing of high value-added products are being demanded as a part of the national enterprise. To achieve this end, the people engaging in creative and imaginative activities are confronted with the task of developing elements of our nation's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ng a new culture by combining them with modern design. Also in the field of fashion, efforts are requir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otifs into modern costumes design and for their progress and inheritance.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 is a formative image through which the traditional life of the olden days may be glimpsed. Diverse emotional aspects of the commoners depicted on these mask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renders the masks motifs worthy of integration into costumes.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Korean drama masks and costumes share a common significance in the respect that the former was used to hide one's face just as the latter was handed down through time as a means to conceal one's body provides another cause for this attempt to integrate these masks into costumes. Korean embroidery, utilized as a means to express the motif of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 features three-dimensional spatiality achieved by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 floss to form facets and exclusivity imbued by the gradation effect of colors and sheen, qualities that allow the makers to display their intentions and expressional methods with a great degree of freedom. We hereby intend to generate a creative fashion design by embroidering costumes with a simplified motif of the formative quality of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in a repetitive arrangement or intersection. This research intends to integrate humorous expressions and formative images of Korean drama masks, which offers a peek at the traditional Korean beauty and ideas, into costume design by utilizing various techniques of Korean embroidery, thereby ultimately aiming to articulate the harmony between our country's traditional sense of beauty and its modern counterpart. This research was first performed by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history of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lso the Hahoe Byulsingut (a shamanistic ritual performed at Hahoe village in Andong) Mask Dance, from which originated the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was studied for its plot and the six characters which appear according to each themes presented in the play. Based upon these characters, we examin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masks and the aspects of development for the characters which became progressively transfigured in accordance to the said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deduce the 8 persons employed in the making of the play. In addition, previous examples of integrating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into costumes and design products were collectively analyzed for diverse methods to apply the masks in design expressions. Furthermore, Korean embroidery techniques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Korean embroidery, through which we could gain an insight into the tradition of Korean embroidery. The types and techniques of Korean embroidery were also investigated to establish a theory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in order to eliminate any difficulties that might be presented for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through embroidery techniques in producing actual works. The previous cases of Korean embroidery utilized in modern fashion designs were studied as well in order to seek ways to apply Korean embroidery. Up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s discussed above, 8 pieces of costumes that mak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and the decorative expression techniques of modern embroidery were actually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is process: Firstly, the eight characters Chui-bal-li, Hal-mi (old woman), Om-joong (poxed monk), Meok-joong (black monk), No-seung (old monk), So-moo (little female-shaman), Mal-thuk-gi, and yangban (traditional aristocrat of dynastic Korea), which assume ritualistic, ceremonial, and satir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hemes of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were used as motifs in costumes to design concise patterns to produce costumes with modern images that are leavened with the traditional sense of beauty. Secondly, the characteristic personalities of the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were magnified, and the traditional images were captured from humorous facial expressions that convey laughter, anger, inarticulacy, and sadness. These images were expressed in designs with the eyes, the nose, and the mouth as the centerpieces. This rendering process of motifs from humorous and satirical images depicting our ancestors' various emotions enable a creative design effect to be produced. Thirdly, to utilize and to imbue exclusiveness to the sense of spontaneous popularity found in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in costume designs, Korean embroidery techniques were applied. Of these, the ja-ryeon-su technique (similar to long and short stitch in Western embroidery) was used and was found to be especially effective in express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through the gradation of colors, which is achieved through the overall blending of individual floss. Fixation of special vinyl floss through jing-geum-su technique (similar to coating stitch in Western embroidery) endowed a sense of depth equivalent to the thickness of the floss on the fabric. Yi-eum-su technique (similar to outline stitch in Western embroidery) was used to express the eyebrows and wrinkles on the masks, while techniques such as pyeong-su , sasun pyeong-su (similar to satin stitch in Western embroidery), jeom-su (similar to running stitch in Western embroidery), sal-al-su (similar to seed stitch in Western embroidery), guk-hwa-su (similar to lazy daizy application stitch in Western embroidery), and ban-gwan-su (similar to running application stitch in Western embroidery)were used to describe the skin texture of the masks, deriving a new modelling effect. Fourthly,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bumpy three-dimensional feeling displayed by the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viscose rayon, specialized vinyl floss, and specialized glittering floss of varying thickness were used. Especially, viscose rayon is superior to silk in its diversity of colors and sheen despite being thicker than the latter. It also enables a more effective expression of the exclusiveness of hand embroidery in the works. Lastly, this research was limited by the small number of available previous studies to be used as literature materials. Also, previous cases in which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were applied in costume designs were rare. Therefore, it is our wish that the artistic and traditional values of traditional Korean drama masks and the artistry which Korean embroidery techniques are capable of expressing will be integrated into modern costume design in various ways to enable a more progressed research in the future. 21세기는 국가산업의 일환으로 국가의 문화적 요소들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며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 디자인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창의적 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요소를 발전시키고 현대적인 디자인에 접목시켜 새로운 문화를 재창조해야하는 당면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패션 분야에 있어서도 한국의 전통적인 모티브를 현대의상디자인에 접목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한국 전통 연극 탈은 한국의 전통적인 옛 삶을 엿 볼 수 있는 조형적 형태로 서민들의 희노애락(喜怒哀樂)을 담고 있는 다양한 표정이 의상과 접목시킬 모티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또한 한국 탈이 얼굴을 가리는 도구로 사용되어져온 것과 의상이 우리의 몸을 가리는 도구로 이어져온 것을 볼 때 한국 전통 연극탈과 의상은 한편으로 일맥상통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연극탈을 의상에 도입하고자 한다. 한국 전통 연극탈의 모티브 표현 방법으로 사용된 한국자수는 실이 한올 한올 모여 면이 만들어내는 입체적 공간성과 실의 그라데이션 효과에 따른 색채와 광택이 주는 고급스러움이 제작자의 의도와 표현방법을 자유자재로 나타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한국 전통 연극탈의 조형성을 단순화 된 모티브로 응용하여 의상에 손자수로 수놓아 반복적으로 배열하거나 교차 시켜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인 미와 사상을 엿 볼 수 있는 연극탈의 해학적인 표정과 조형적 형태를 한국자수의 다양한 기법으로 의상에 도입함으로써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전통미와 현대미의 조화를 의상에 표현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한국 전통 연극탈에 대한 개념과 역사를 정립하고 한국 전통 연극탈의 원형인 하회별신굿탈의 이야기 구성과 그 속에서 나타나는 주제별 인물들을 살펴보았으며, 하회별신굿탈에서 살펴본 인물 6명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 연극탈의 지역적 특성과 그에 따라 발전 변모되는 인물의 전개 양상을 살펴봄으로서 작품제작에 사용된 8명의 인물을 추출하였다. 또한 한국 전통 연극탈을 의상과 디자인 상품에 접목시킨 사례를 표집 하여 한국 전통 연극탈의 다양한 디자인 표현 방법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한국자수기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자수의 정의와 특성, 역사를 살펴봄으로서 한국자수의 전통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 자수의 종류와 기법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기법 표현에 대한 이론정립을 하였으며 그로 인해 실제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한국 전통 연극탈을 자수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으며, 한국자수가 현대 패션디자인에 사용된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한국자수의 활용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한국 전통 연극탈의 특징과 현대자수 기법의 장식적인 표현방법을 활용한 총 8점의 의상을 실물 제작하였다. 작품제작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 연극탈의 주제에 따른 제의적, 기원적, 풍자적 성격을 갖는 인물 8명인 취발이, 할미, 옴중, 먹중, 노승, 소무, 말뚝이, 양반탈을 의상의 모티브로 활용함에 있어서 간결한 형태의 문양으로 디자인함으로서 전통미를 표현한 현대적 이미지의 의상을 창출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 전통 연극탈의 인물 성격을 부각시키고 전통적인 이미지를 웃는 표정, 화난 표정, 어눌한 표정, 슬픈 표정 등의 해학적인 표정에서 포착 하여 눈, 코, 입을 중심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우리 조상들의 희노애락의 해학과 풍자가 느껴지는 이미지를 모티브 화하여 창작적인 디자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셋째, 한국 전통 연극탈에서 느껴지는 자생적 대중성을 의상에 적용, 고급화시키기 위하여 한국자수 기법을 사용하였다. 한국자수 기법 중 자련수 기법을 사용하여 특히 실과 실이 섞이면서 나타나는 색채의 그라데이션 효과는 입체적인 조형표현에 효과적 이였으며, 징금수를 이용한 비닐 특수실의 고정은 소재 위에 실의 굵기만큼 입체성을 부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음수는 연극탈의 눈썹과 주름 표현 을 위하여 사용되고, 평수, 사선평수, 점수, 쌀알수, 국화수, 반관수는 연극탈의 피부를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조형 효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넷째, 한국 전통 연극탈에서 느껴지는 울퉁불퉁한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서로 실의 두께가 다른 비스코스 레이온사, 비닐 특수사, 반짝이 특수사를 사용하였다. 특히 비스코스 레이온사는 견사보다 두께가 두껍지만 색채의 다양성과 광택이 견사보다 더 뛰어나 작품 표현에 있어 손자수의 고급스러움이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문헌자료로써 선행연구의 사례가 적어 조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한국 전통 연극탈을 응용한 의상디자인의 사례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한국 전통 연극탈에 대한 예술성과 전통성, 한국자수기법으로 표현 가능한 예술성이 현대의상에 다양하게 접목되어 발전된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 녹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기법을 중심으로

        윤지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51

        인간의 예술에 대한 조형 의지는 자연을 통한 끊임없는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오감에 의해 경험되어지며, 그 중 시각과 촉각에 의한 경험은 가장 직접적으로 감성을 자극하며 적극적으로 미학적인 경험에 참여케 한다. 우리의 일상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사물들은 다양한 질감과 색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자연현상으로 인해 나타난 질감적 형상들의 독특한 조형성은 예술미의 전제가 되며 자연미로써 미학적 가치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의 주변 환경 속 사물의 녹(鏥)에 관심을 가지고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녹의 질감, 자유로운 형태, 색상의 변화와 같은 조형성이 예술적 모티브로서 무한한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여 작품의 모티브로 도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현상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조형적 특징을 지닌 녹슨 이미지를 패턴으로 재구성하여 독창적인 표현영역의 확대와 조형예술로서 가치를 둔 의상디자인을 창출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국내외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고찰에 의한 방법을 토대로 녹에 대한 개념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외 사진자료, 전자문헌 등을 통해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녹과 연관되는 여러 가지 이미지를 상정한 다양한 범주의 조형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표현기법으로는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의 개념과 생산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을 활용한 현대복식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 모티브는 녹이 슨 구조에서 얻는 유기적인 패턴과 안료와의 과감한 색상대비에서 오는 감성적이고 예술적인 특징이 돋보이는 ‘東理夫’의 작품집 ‘錆’에서 8개의 녹 이미지를 선택하고 Computer graphic Tool(CAD, Photosho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작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녹의 패턴을 변형, 재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반복, 점진, 율동, 대비, 강조, 조화 등의 조형원리와 조화시켜 독자적인 조형 활동을 표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8벌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제작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녹은 금속표면과의 상이한 재질감의 결합으로 각각의 독특한 조형적 특징이 나타나며 다양한 패턴의 조화는 풍부한 미적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예술의 새롭고 중요한 소재로 풍부한 예술적 원천의 모티브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녹의 상이한 질감을 가진 다양한 패턴과 빛(석양)에 따라 녹에서 나타나는 따듯한 색과 정제되지 않은 형태의 느낌을 시각적으로 잘 표현한 ‘東理夫’의 작품집 ‘錆’의 녹 이미지를 본 연구 작품에 모티브로 사용함으로써 감각적인 개성과 특별한 감성을 부여할 수 있었으며 자연에서 오는 회화적이며 추상적인 패턴과 독특한 색감의 조화가 돋보이는 창의적인 의상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셋째, 녹의 자연스러운 느낌을 강조하고자 Computer Graphic Tool을 활용하여 녹 이미지를 변형, 재구성하고 반복, 점진, 율동, 대비, 강조, 조화 등의 조형원리를 의상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함으로써 단순한 실루엣에 강렬한 패턴이 돋보이는 독창성 있는 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었다. 넷째,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방법은 녹의 질감 표현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효과적인 표현 기법으로 활용되었으며 고급스러운 매쉬실크, 오간자실크와 같이 염색이 용이한 자연소재와 합성섬유에 DTP함으로써 녹의 자연스러운 형태와 세밀한 질감표현, 독특한 색감을 표출시킬 수 있었으며 시각적 효과와 촉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독특한 감성의 디자인을 통해 고부가가치 의상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녹의 다양한 조형성을 재발견함으로써 자연미 속에 감추어진 독특한 감성을 작품에 반영하여 조형예술로서 가치를 둔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패턴의 의상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앞으로 녹의 조형성을 현대 디자인과 의상디자인에 접목시킴으로써 감성적이고 개성적인 예술적 모티브로 연구개발이 활발해 지기를 기대한다. Human desire for modeling factor has been completed ceaselessly by experience through nature. This is experienced by five senses, and experience by vision and auditory sense is the most direct, incurs our emotion and makes us join at the aesthetic experience very aggressively. All the matters surrounding our routine life have various feels of materials and colors, and the modeling factor of these natural matters become the premise of beauty of art and have aesthetic values as natural beauty. In this study, the author takes an interest in rust of matters around our environment where we live, found that the modeling factor such as the change in the patterns and colors of free feels of materials seen from the rust occurred by certain natural phenomenon has infinite possibility and then tried to induce the rust as the motive of the author's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any rusty image including natural modeling characteristic presented from the natural phenomenon to certain patterns in order to create the fashion design that are valued in the expansion of independently expressional area and modeling art. As a method for research, the author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for rust with a base of theoretical background by the documental research and realistic consideration, analyzed its modeling characteristic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pictures, and e-documents as data, inspected the modeling activities of various categories that various images were adapted related to rust, looked into the concept of Digital Textile Printing and its producing procedure as an expressional method, and analyzed the examples of modern dress and its ornament making use of Digital Textile Printing. The motive of this study for the author's works is 8 images of rust having various emotional and artistic factors coming from the bold contrast between organic patterns and painting materials (pigments) acquired from the pictures of rusty structures seen from the works, Donginji's Rust. So, the author deformed and reorganized the patterns of rust suitable for the size of this works, making use of Computer graphic Tool(CAD, PhotoshopCS) program. In this process, harmonizing with the modeling principles such as modeling principles such as repetition, increment, rhythm, contract, emphasis and harmony, the author expressed independent modeling activity and produced total 8 suits of dres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rust occurred due to the natural phenomenon is the bond with different material like metal, each unique modeling characteristic occurs and harmony of various patterns has abundant aesthetic value. These factors were found to be used as the motive of rich artistic resource ad new and important materials of art. Second, the author could endowed sensible characteristic and speciality with works and could produce creative fashion design that painting, abstractive pattern and harmony of unique sense of colors are significant by using the image of rust, Donginji's works, various patterns having different feels of materials for rust, warm colors derived from rust according to the light (the setting sun) and rough feel of shape was expressed visually. Third, to emphasize natural feeling of rust, the author could develop creative design that simple silhouette and impressive pattern look significant by reorganizing and applying rust according to repetition, increment, rhythm, contract, emphasis and harmony. Fourth, Digital Textile Printing method is used to induce visual effect by the expression of feels of rust, and the author could express the natural patterns, delicate expression for the feels of a material and unique design of emotion, and could create high value-added fashion design with unique emotion satisfying visual effect and sense of touch by matching (DTP) the easy dying applied natural materials such as luxury mesh silk and organza silk with synthesis fibers. Like this, by searching various modeling factors of rust occurred by natural phenomenon, the author could be touched by certain attraction hidden in the beauty of nature, reflect this feeling in to the works and confirm the creation of independent and characteristic pattern expressed fashion design. In the future, the rusty modeling factor shall be developed as emotional and characteristic motive by adding the factor to modern design and fashion design.

      • 하늘타리꽃(Trichosanthes kirilowii)의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현대입체자수기법 중심으로

        이호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51

        As today’s fashion industry is emerging as sensory business emphasizing individuals’ personality, clothes are recognized as a new means of expressing individuals’ personality in addition to their functionality. Consumers’ lifestyle is also being diversified and emphasizing individuality, and in response to this trend, dress is expanding its concept to the role of self?expression with mental and psychological values. In this way, as the fashion industry is rising as a sensory industry pursuing individuals’ original personality, the importance of dress materials is emphasized as much as the diversity of designs. In unceasingly changing contemporary society, we human beings are living together with nature and interacting with the regular changes and life force of nature through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on. Accordingly, nature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our daily life and mental images, and becomes the source of art activities. Among the natural objects of expression in various methods, the formative beauty of flowers and leaves has been visualized into simple forms and, by doing so, the images of flowers and leaves has been interpreted through subjective sensitivity and restructured into simple unit patterns. Furthermore, the life force and beauty of flowers and leaves have been emphasized through the repeated use of the patterns and, by doing so, different worlds have been formed and emphasized with new mental images rather than through simple imitation. Thus, in order to design fittingly for contemporary trends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unit patterns for efficient formative expression,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new expression technique using the motive patterns of flowers and leaves. In addition, by introducing laser cutting processing, which is used in various areas,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unique texture obtained from laser cutting,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practical use and development of an original technique using organdy and leather.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combinations expressible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simplified unit patterns of flowers and leaves and correlations among the principles of combination, and by doing so, attempted to expand the expression images of unit patterns and to propose a dress design expression technique. As to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unit patterns, the characteristics of unit patterns, the combination principles of unit patterns, and the effects of combination, and sampled formative works and dress design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style of the formative elements of unit patterns. In order to apply the results to actual dress design, we used motives based on the shapes of flowers and leaves an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dy. Furthermore, laser cutting techniques and formative expression were studied in order to employ leather material, and a number of cases of contemporary dress design using laser cutting were examined. Through this procedure, a total of 8 works were created using the combination of organdy and leather with the motives of flowers and lea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lowers and leaves represent beauty and gorgeousness among numerous objects of expression in nature. They have their own beauty and life and have long been the objects of infinite meaning and interest. Therefore, flowers and leaves are worthy to be the themes of arts. Second, unit patterns are motives for producing various effects such as sense of unity and sense of vari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petition, similarity, etc., and the use of light organdy and tender lambskin maximizes delicateness in expressing the beautiful images of flowers and leaves softly. Third, this study suggested the infinite potential of flowers and leaves for design creation by interpreting the motives of flowers and leaves in subjective sensitivity, restructuring them into simple unit patterns and expressing them repeatedly, and expressed the beautiful feminine images of flowers with relief texture by using organdy and leather and introducing laser cutting. Fourth, organdy and leather were found to facilitate functionally the combination of unit patterns and to be effective in creating contemporary images by applying the unit patterns of flowers and leaves as visual images. The unit patterns of flowers and leaves have been designed usually through the repeated combination of simple geometric forms, but this study could create more fresh and original image by varying the unit patterns into diverse forms and material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artistic uses of the unit patterns by combining the expression method of laser cutting with organdy. We expect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reative expressions in dress design and that there would be continuous research for creating more fresh and original images. 오늘날 패션산업은 개인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감각산업으로 대두되면서 의상은 기능적인 측면뿐 아니라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새롭게 인식되어가고 있다. 소비자의 생활양식 또한 매우 다양하고 개성을 강조하는 생활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그 중 의상은 정신적, 심리적 가치를 지닌 자기표현의 역할로 그 개념이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패션산업이 개인의 독창적인 개성을 지향하는 감각산업으로 대두되면서 디자인의 다양성 못지않게 소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맞춰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 인간은 자연의 규칙적 변화와 생명력에서 직접 혹은 간접적인 상호소통 방식의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에 따라 자연은 우리일상 생활과 심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더 나아가 예술 활동의 모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대상이 되고 있는 꽃들 중에 하늘타리라는 꽃을 선정해 시각화함으로써 단순한 꽃의 형태로 재구성하였고, 형태를 반복적으로 결합하여 꽃이 지닌 생명력과 아름다움을 강조하여 단순한 모방이 아닌 새로운 심상으로 또 다른 세계를 재구성하여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적 표현을 위하여 꽃의 다양한 구성형식을 활용하여 디자인하기 위해 하늘타리꽃의 조형적 분석을 통한 꽃의 이미지를 모티브를 만들어 의상에 응용하였다. 또한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현대입체자수기법을 응용하여 자수기법으로 표현하였다. 투명한 소재와 불투명한 소재를 겹쳐서 그 위에 하늘타리꽃의 형태를 자수로 표현하여 가죽과 결합하였다. 이질적인 느낌의 소재를 서로 조화가 되도록 조합하여 새로운 결합기법을 제안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꽃과 꽃의 이미지에 관하여 연구하고 꽃의 특징과 조형성, 하늘타리꽃의 조형적 분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하늘타리꽃의 형태를 현대입체자수기법을 이용해 표현하였고, 꽃의 이미지를 이용한 현대디자인의 사례 등을 살펴보았다. 현대입체자수의 개념과 역사, 재료와 기법, 조형적 특징과 현대입체자수기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총 8벌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꽃의 모티브와 가죽을 결합하여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꽃의 이미지는 자연의 수많은 표현 대상 중에 가장 아름다움과 화려함으로 상징되며 그 자체가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갖고 있으며 무한한 의미와 끝없는 관심의 표현 대상으로서 예술의 소재로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하늘타리꽃의 이미지는 꽃의 조형성에 대하여 표현하기 적합한 소재로 의상에 접목시키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꽃의 형태를 시각적 이미지로 응용함에 있어, 노방소재와 가죽은 이질적인 소재임에 불구하고 결합을 기능적으로 용이하게 하며, 현대적 이미지 창출에 효과적인 소재임을 알았다. 넷째, 현대입체자수기법은 많은 기법들이 있으며 이들이 통일된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조화미를 나타낼 때 결과적으로 좋은 작품으로 평가 받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꽃의 모티브는 주로 기하학적인 단순형태의 반복적인 결합을 응용하여 디자인되어 왔으나, 그 꽃의 이미지를 보다 더 다양한 형태와 소재로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참신하고, 독특한 이미지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현대입체자수기법의 표현방법을 응용하여 이를 소재에 접목시킴으로서 현재 다양하게 예술적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의상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창의적인 표현의 확대를 위한 계기가 되어 이에 보다 참신하고, 독특한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한국 풍경에 나타난 야생화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최진숙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51

        The nature of humans where we live together we obtain a continuous inspiration to explore our selves to express work as art. Nature is the foundation of our lives and arranges to give, to feel the beauty and artistic inspiration and creative desires raises. Humans are born in nature and in nature we return. In other words, the natural environment to verify their existence and vitality is to feel the psychological sense of self security . In addition, the nature of artistic activity, interest in the womb is a human life to become the new home you can feel the beauty and infinite targets is presented. Those of the Korean tradition we worship the root of nature. From ancient times to the Koreans for peace enjoyed tasteful and loved the mountains in the wild and enjoy nature, and poetry grown to a song, a long winter or spring, the cherry blossoms come out of the mountains in the fall wildflowers Summer listen to your heart's natural smell was roses. Such is the natural unity of Korea and the wild life as a single vacancy in the blend. Therefore, wild nature and the rustic look has a soft blend creates a beautiful scenery. In a vague modern society, deadly to the modern psychological comfort can afford to retreat, and the space needed in an increasingly bigger role in nature is going. This community-wide phenomenon of 'health' on the contemporary material flow according to the nature of a research trend is increasing. The present study pushed the industry to develop increasingly deadly, but fragile in the drain at the same time that modern society has strong vitality South Korea is a beautiful wildflower images were selected as design motif. " Beautiful is the nature we see through pictures" munsunhwa plot by introducing the work of this research, especially in fields and mountains collectively form a natural blend of wildflowers that were in the target image. As such the image of wild nature in the works seemed to express the transferred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was used for the base, the incidence of wildflowers image was used to make the embroidery technique. Wildflower images such as landscapes and still forms to express a simple silhouette and chose the costumes, colors, the colors of wildflowers in which the nature of human vision can come closer to a more comfortable transition saturation suchlike mounted, the sky was blue, the color transitions to a warm family. Beading, ribbon stitch, felt, hot fixes, knots wildflower embroidery techniques, applied at a flat image of the highlighted image DTP has added a rich texture effects. South Korea ’s mountains there is a study that the collectively form the motif of a wild image a s with the DTP and embroidery techniques to enrich the image of clothing put on the nature of the design while it presents a new expression to the worl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sychological well-placed as to its purpose. The first examination is, a wildflower native to Korea about concepts and categories to learn about wildflowers, South Korea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flowers of the Wildflowers of South Korea, and to just about anyone can know what the overall content and nature of the genus Korea can be seen in wild type and in accordance with seasonal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and has See. In addition, wild and natural attributes of the color system (NCS) and analyzed based on the lateral and looked. Second, the work for creating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sign motif for the flowers and costume design can be expressed in the flower image to a representation of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of information to learn about the flower image and the image of a flower design and application of author of works of art of design practices through the release of the photos presented have dealt with that way.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of a flower costume design practices around the collection of flowers and shapes depending on how the representation of each share was analyzed. Techniques include in productions of Korea expressed a feeling of wild nature in the blend to represent the most abundant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and the' surrender 'technique was selec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r native country’s wild flower in the mountains has not a smooth DTP technique with the pure natural beauty in costume, when introduced to a wide landscape could give the same image. Secondly, after analyzing the color of wild flowers, most of the bright and vivid series Warm colors were added. It also got the green background and the sky looks for a strong color contrast phenomenon, including wild plants and colors of the image by switching costumes also applied to more natural and visual comfort could be granted. Third, the simple form of When applied to clothing design motifs contained in the wild nature of the images and that they were effectively highlighted. Fourth, the motif representation in partially translucent materials using the results of three-dimensional spatial representation could. Fifth, with the flat printed images with DTP on the flowers images we can bidding, structuring , knot, ribbon embroidery stitches and techniques by applying complex texture to express vibrancy and therefore are subject to the incidence could be as effective. In this study, particularly South Korea's wild flowers and making costumes as some variation of the image in South Korea's natural beauty combined with modern fashion, while it presents a new expression through the world of moder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to implement. The wildlife is simply due to the uniqueness directly, there's been limited to the visual experience the unique taste of wild brighten incorporation of a variety of techniques designed to maximize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ld's subsequent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인간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면서 그 속에서 끊임없이 자아를 탐구하여 얻어지는 감흥을 예술작품으로 표현해 왔다. 자연은 우리에게 삶의 기반을 마련해 주고,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예술적 영감과 창작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서 자연으로 돌아간다. 즉, 자연환경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과 생명력을 확인하고, 심리적 안점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자연에 대한 관심은 예술적 활동의 모태가 되고, 인간에게 생활의 터전이 되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무한한 대상을 제시한다. 그 중 한국인의 전통적인 유교 사상은 그 뿌리 깊으며 자연을 숭배하고 경애하며 살아왔다. 한국인은 예로부터 평화를 사랑하고 풍류를 즐겼으며 들과 산에 핀 자연속의 야생화를 감상하며 시를 읊고 노래를 불렀으며, 긴 겨울이 지나 봄이 오면 산과 들에 나와 꽃놀이를 하고 가을에는 야생화 향기를 마음껏 맡으며 자연을 감상하였다. 이렇듯 한국의 야생화는 자연합일과 무위 속에서 하나의 생명체로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야생화는 구속되어져 있지 않은 생명력과 함께 자유분방함 속에서도 질서와 조화를 지닌 존재이며, 인간의 일상 속에서 정신적 위안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야생화는 소박하면서 은은한 모습으로 자연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어낸다. 삭막해져가는 현대 사회는 현대인들에게 심리적 위안을 줄 수 있는 휴식처와 같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있어서 자연의 역할은 점점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전반의 현상들은 '웰빙'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자연을 소재로 한 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 개발에 밀려 점차 삭막해져가는 현대 사회 속에 연약해 보이지만 동시에 강인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아름다운 한국의 야생화 이미지를 디자인의 모티브로 선정하였다. "사진으로 보는 아름다운 우리산하" 문순화 작의 사진집 이미지를 본 연구의 작품에 도입하여, 특히 산야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집단적으로 서식하는 야생화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렇듯 야생화의 이미지를 자연을 옮겨온 듯 작품에 표현하기 위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기법을 기본으로 이용하였고, 야생화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자수기법을 활용하였다. 풍경화와 같은 야생화 이미지를 그대로 표현하기 위하여 단순한 실루엣과 형태의 의상을 선택하였고, 색채는 야생화가 담겨있는 자연의 색채에서 인간의 시각에 좀 더 편안하게 다가 올 수 있도록 채도를 저채도로 전환 시켰고, 하늘의 파란색은 따뜻한 계열로 색상 전환 하였다. 비딩, 리본스티치, 펠트, 핫픽스, 매듭수등 자수기법을 적용해 야생화의 이미지를 강조해 주는 동시에 평면적인 DTP이미지에 풍부한 질감 효과를 부가 시켰다. 본 연구는 한국 산야에 집단적으로 서식하는 야생화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DTP및 자수기법을 통해 의상에 자연의 이미지를 풍부하게 담아 디자인의 새로운 표현 세계를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통하여 심리적 웰빙을 구현함에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첫째, 한국에 자생하는 야생화에 관한 고찰로 야생화에 대한 개념과 범주를 알아보고, 한국 야생화의 생태적 특징과 누구나 쉽게 한국의 야생화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는 전반적인 내용과 한국의 자연 속에서 볼 수 있는 야생화의 종류와 계절별에 따른 분류 및 특징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야생화의 색채특성을 자연색체계(NCS)를 기반으로 측색하고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작품 제작을 위한 디자인 모티브의 이해를 위해 꽃과 디자인으로 의상에서 표현 될 수 있는 꽃 이미지의 표현방법 중 사실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고, 꽃 이미지와 디자인으로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디자인 사례들을 작가들의 예술 작품들을 통하여 자료사진을 제시하여 그 방법을 다루었다. 또한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사례들은 컬렉션을 중심으로 꽃의 각각의 표현 방법과 형태 등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표현기법으로는 한국의 자연 속에 어우러진 야생화의 느낌을 최대한 풍부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기법과 '자수'기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산야에 자생하는 야생화의 다듬어지지 않은 순수한 자연미를 DTP기법을 통해 의상에 도입 했을 때 한 폭의 풍경화 같은 이미지를 줄 수 있었다. 둘째, 야생화의 색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Warm계열의 밝고 선명한 색채를 띠고 있었다. 또한 이는 그린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 강렬한 색채대비 현상을 보이는데 하늘과 초목을 포함한 야생화 이미지의 색채를 저채도로 전환시켜 의상에 적용한 결과 더욱 자연스럽고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부여할 수 있었다. 셋째, 단순한 형태의 의상디자인에 모티브를 적용 했을 때 자연 속에 담겨진 야생화의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부각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모티프 표현에 있어서 반투명 소재를 부분적으로 사용한 결과 입체적 공간감을 표현 할 수 있었다. 다섯째, DTP로 출력한 평면적인 꽃의 이미지에 비딩, 펠팅, 매듭수, 리본 스티치 등 자수기법을 응용하여 부조적 질감과 그에 따른 생동감을 표현할 수 있어 주제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꽃 중에서도 한국의 야생화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한국적인 자연의 미를 현대 패션에 접목하여 새로운 표현 세계를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통하여 현대인들의 심리적 웰빙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야생화란 특수성 때문에 직접적 시각체험에 한계가 있었음을 밝히며 야생화의 독특한 멋을 다양한 기법으로 디자인에 접목하여 표현의 세계를 확대시키는 후속연구가 계속되기 바란다.

      • 가리비의 조형성을 이용한 한지직물 의상디자인 연구

        권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51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지구 환경은 인간의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해 무분별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파괴로 인해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태 속에 세계에서는 자연의 보존을 위한 목소리가 커지면서 21세기 환경에 대한 인식의 향상은 의상 디자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환경과 패션을 접목한 친환경적 패션디자인, 생태디자인, 에콜로지컬디자인 등 의상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흐름에 따라 세계 패션계는 의상디자인의 소재로 친환경적 섬유를 개발하고 친환경적 디자인을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전통적 재료인 한지를 소재로 한 개발 물인 한지사는 친환경을 중요시 생각하는 현대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한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연구 개발 물이다. 천연섬유소재인 한지사는 차세대 환경과 인간의 더 나은 삶을 목표로 하는 21세기 라이프 트렌드를 반영한다. 서구문화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계 패션계에서 고유의 신소재를 가진다는 것은 21세기 국가 경쟁력을 확고히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2010년에 이르러 한지 개발과 상업화는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아직도 서구 웰빙 제품에 익숙한 우리나라 소비자의 눈을 돌리기엔 디자인적인 면과 홍보•마케팅 면에서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아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적 소재인 한지사를 이용하여 한지직물의 독자성과 기능성을 알리고 우리나라 한지직물의 상품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자연의 형태 중 패각의 선의 반복과 곡선적 리듬이라는 조형적 특성을 가지고 납 방 염을 전제로 한 붓 염색 기법을 연구하여 입체적이고 장식적인 예술적 표현수단으로 의상디자인의 새로운 범주로 전개시키고자 한다. 천연 섬유 소재인 면 한지직물은 패류의 질감표현을 위한 염색에 용의한 천연소재이며 본 연구자가 만들어 내는 조형적 특징 중 반복되는 곡선을 이용한 입체적 느낌을 표현하고 패 각 단면의 색채에서 오는 질감과 이미지를 나타내기에 적합하였다. 이러한 파라핀 방염을 이용한 붓 염색기법과 스티치 기법의 사용으로 단조로움에서 탈피 하고자 하였고 패류에서 보여 지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접근 방법은 한지의 역사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지직물의 특징과 시제품, 산업현황에 대해서 파악하여 작품에 적용 하였다. 또한 자연에서 모티브를 가져 온 가리비 패 각의 질감의 이미지를 의상에 접목 시켜 가리비의 색채의 분석을 통해 파라핀 방염을 전제로 섬유물감을 이용한 붓 염색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체적인 염색에 사용 한 염료는 붓 염색 작업 후 견 뢰 도가 뛰어난 독일 C.kreul사의 자바나(javana)염료를 선택하고 그 외 미국 튤립(Tulip)사의 metalic염료와 gliter 염료로 세부적인 표현을 더하였고 염색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핸드 스티치를 넣어 패각의 이미지를 시각화 하는 동시에 장식성을 더하고자 했다. 위와 같이 연구하고 작품을 제작 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모티브인 가리비를 표현함에 있어 가리비가 가지고 있는 연속성과 리듬 성 이라는 조형적 특징은 자연에서 오는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품고 있으며 현대 디자인에 융화 했을 때 직물에서 오는 텍스쳐의 질감을 터크 기법 중 쉘 터크 기법과 부분 솔기기법을 응용하기에 용이 하였고, 직물을 겹쳐 사용하여 부조적인 양감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조형성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둘째, 천연섬유 소재인 한지직물은 염색에 용이한 강점을 가지며, 발색이 뛰어나고 직접염료 및 천연염료 모두 사용 가능하여 다채로운 현대의상 디자인에 적합한 소재로 상업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셋째, 가리비 패 각의 질감을 나타내기 위한 변형적 터 크 기법과 납 방 염 기법 그리고 핸드 스티치 의 믹스매치는 단조로운 이미지 표현에서 벗어나 패 각의 부조적인 형태와 시각적인 질감 효과, 장식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국내 현대의상이 세계무대로 나가기 위한 걸림돌인 고유성과 소재의 한계성, 세계성 결여를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한지직물과 현대적인 디자인의 결합으로 국내 및 세계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한지직물을 생산•보급 하는 업체가 증가하여 우리나라 고유 물인 한지직물의 독창성을 알리고 21세기 라이프스타일에 대표적인 오 가 닉(organic) 제품으로 자리 매김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the earth's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has been recklessly exploited in order to maximize convenience of human beings, seriously threatening the ecosystem. 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the world has begun to pay more attention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 increased awareness about the environment has affected the fashion world also, especially in the area of apparel design, where new concepts are being introduced such as environmentally-friendly fashion design, eco-design, ecological design, and so on. The global fashion world is accepting these changes and has developed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s and designs. At this moment, Hanjisa(Korean paper yarn), a new material made from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has been developed through local R&D efforts, reflecting the current trend highly valuing environmental efficiency. This new material i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21C lifestyle and culture pursuing improved quality of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In addition, while the fashion world is mainly driven by the West, the new material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2010 much commercialization has been done for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However, more efforts should be made in regard with design, PR, and marketing in order to attract Korean consumers who are still more familiar with western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widely make known the originality and functions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Korean paper yarn, as well as increasing its commercial value. Furthermore, a new category of apparel design is presented by studying painting dyeing based on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s and wax resist dyeing with formative features of repeated lines of shells and rhythms in order to implement three-dimensional and decorative artistic expressions. The texture of the Korean cotton paper yarn was particularly suitable to employ tuck and dyeing techniques expressing formative features of shell. Also, the material was useful for expressing the three-dimensional feelings with repeated curves and cross sections of shells. Moreover, paraffin resist dyeing and stitch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avoid monotony and the images of shells visually materialized. This research explores the history of the Korean paper as well as its general information, trial products,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industry in order to reflect them in design work. A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 is studied by apply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a scallop to apparel, which is the main motif of the work, and other cases were reviewed to study tuck techniques found in fashion collections. In addition, a painting technique using a fabric paint(paraffin resist dyeing) was used through the formative analysis of colors based on the images of a scallop. Javana dyes, manufactured by C. kreul, Germany, which has the outstanding colorfastness, were mostly used in this study while metalic and gliter dyes produced by Tulip, U.S., were partly employed. In order to avoid monotony, hand stitches were applied, expressing the images of shells and adding decorative effects. And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from the research and the work. First, in expressing the images of a scallop, a motif taken from nature, the continuity and rhythmic features render esthetic beauty. When the image was applied to modern design, the texture of the cloth was particularly suitable for employing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s, and overlapping of fabrics could create a sense of volume in a harmonious manner and maximize a formative property. Second, the Korean paper fabric of natural materials had special strength for dyeing, for the developed colors were highly vivid and clear. Both direct and natural dyes could be used for modern apparel using a variety of colors. The material has great potential of being applied to various commercial areas. Third, the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s and wax resist dyeing, which express the formative features of a scallop, mixed with hand stitches were effective to avoid monotony and add relief images of a shell, visual textures, as well as decorative effects. Through the results stated above, this study could explore how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Korean modern apparel such as lack of originality, materials, or globalness by applying modern design to the Korean paper fabric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manufactures could produce and supply the new materials so as to make widely known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 paper fabrics and develop the material into a popular organic product fitting the modern lifestyle.

      • 조선시대 창살의 조형미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테이핑 기법을 중심으로

        고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51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의 시대에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우리가 당면한 중요한 과제이며, 이는 전통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기초로 하여 이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발전시켜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는 것으로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패션 디자인 영역에서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여 현대적인 감각을 갖춘 한국적 디자인의 개발로 글로벌시장을 공략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전통문화 중에서 한국의 멋을 가장 짙게 풍겨 볼 수 있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창살문양이다. 창살문양의 기하학적인 조형성은 여러 전통문양 중 기하학적 구조의 간결성을 가장 잘 찾아볼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기하학적 형태의 가장 단순하면서도 기본적인 조형원리의 요소인 선과 선의 교차에 의해 생기는 면의 구성에서 전통문양의 독특함뿐 만 아니라 현대에 와서도 다양한 분야에 적극 활용 되어 질 수 있는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전통문화 양식 중 기하학적 형태의 다양성이 잘 나타나 있는 조선시대의 창살문양을 통해 기하학적 형태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것의 조형원리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기하학적 조형성이라는 가장 본질적인 수단을 바탕으로 국제화 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적인 상호교류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창출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둘째, 조선시대 창살문양의 종류와 조형적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전통문양의 이미지 현대화에 효과적으로 다가서는데 있다. 셋째, 조선시대 창살문양의 조형미를 분석하고 의상디자인 사례들을 통하여 현대 여러 디자인 분야에서 우리민족의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시키고, 전통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독창적인 이미지와 발전된 형태로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지속적인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고유의 창살에 나타난 조형미를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현대패션디자인에 응용하여 전통미의 현대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패션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대함에 있다. 내용에 있어서는 이전까지 건축양식들의 창살문양들에 비해 특히 그 종류가 다양하고 완성도 높은 조선시대 창살문양의 형태를 기하학적 조형성에 근거하여 분석한 후 조선시대 창살문양을 활용한 현대패션디자인 적용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창살의 조형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테이핑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았고 테이핑기 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테이핑 기법을 활용한 10벌의 작품제작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살문양의 기하학적 조형성은 현대 의상으로 재구성하기에 적합하였고,창살문양의 형태는 테이핑 기법에 의해 장식됨으로써 풍부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창살문양의 기하학적 규칙성을 간결하고 단순한 형태의 의상에 응용한 결과 모던한 이미지로 잘 융합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테이프의 가는 선적 특성을 통해 테이핑 함으로써 의상디자인의 선 요소를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기법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다. 넷째, 창살문양이 지닌 일률적인 직선미는 디테일에 독특한 변화를 주며 새롭게 연출 될 수 있었다. 다섯째, 창살의 반투명 창호의 이미지를 반투명 소재로 표현한 결과 부드러움을 부가시키는 동시에 공간감을 줄 수 있었다. 여섯째, 문양의 주된 표현기법으로 사용된 테이핑 기법에 스티치 기법을 부가적으로 도입하여 선의 조형미를 다채롭게 표출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창살의 현대적인 활용가치를 되새기는데 의의가 있다. 창살의 조형미를 시키면서도 현대적인 이미지로 재창출하여 현대 의상디자인 개발의 지속적인 모티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a recent era called as the ear of globalization, we face with a major challenge that national competitiveness should be secured and it might be resolved by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es based on in-depth appreciation of it. From that aspect, we should focus on entering international markets with the design inspired from Korea signature symbol but modernized. Beauty of Korea is well expressed on shape s of the muntin. A mong various traditional patterns, a geometrical formation of the muntin’ s shape most apparently shows the simplicity of geometrical structure. Also, as well as uniqueness of traditional patterns, several factors tha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were founded from the formation of spaces created by lines which are the basic components of formative principles. A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of all supporting a creation of design which can initiate a cultural bond of empathy an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diverse range of fields developed in the globalization era based on geometrical formation by means of the most basic measure by realizing the importance of geometrical formation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formation principles through patterns of the muntin in the Joseon dynasty,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cultural pattern and shows the diversity of geometrical patterns. Seco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effectively establish modernization of the image of tradi tional patterns in various fields by researching kinds of patterns for the muntin in the Joseon dynasty and geometrically analyzing them. Third, based on analysis of the structural beauty of the beauty and costume design cases, cultural identity in various modern design filed should be set and continuous search on implicating the design which is uniquely developed from traditional cul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beauty revealed on the muntin and to apply it on modern costume designs to promote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beauty and expand its area on costume designs . A s contents, the study focuses on studying the features and kinds of the muntin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noticeable various and displays higher execution level compared to other window patterns before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a representative pattern of muntin was analyzed with geometrical formation and geometrical formation principle of lines and shapes which forms muntin was understood. Also, the cases that the patterns of muntin in the Joseon dynasty were applied on costume designs were researched. The lines of the muntin were expressed using features of a tape which is long and thin were employed to display various effects. Thus, in the study, a tape was repeatedly analyzed and crossed to express the geometrical formation of the muntin. The results after designing 8 pieces of fashion costumes with a taping technique are listed as follows: F irst, a geometrical formation of muntin patterns is suitable to be used for modern costumes. The structure of muntin pattern can be embellished with a taping technique. Second, pattern regularity of a geometrical formation of the muntin can be well integrated into the costumes with simple pattern. Third, by taping it with a long elongated tape, such taping might be developed as the technique which can effectively show a line factor of costume designs. Fourth, the beauty of line that muntin patterns have can be add uniqueness in details and innovatively expressed. Fifth, semi-transparent material was used to replace Chang-Ho and it could add softness as well as the sense of space. Sixth, a stitch technique wa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taping technique that was mainly used for expressing the patterns to display structural beauty of patterns and it might be considered to be used to express patterns. With forementioned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modern usages of patterns of muntin for costume designs that applied structural beauty of the muntin and conduct continuous researches to keep its structural beauty along with creating modern image to make the patterns of the muntin as a geometrical formation more ap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