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풍수원리에 따른 도시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엄기헌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35

        <국문 초록> 風水原理에 따른 都市評價 모형에 관한 硏究 嘉泉大學校 大學院 都市計劃學科 都市計劃學 專攻 嚴 基 憲 풍수지리는 약 2천 여 년 이상의 세월 동안 주례고공기와 더불어 동양의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실제 도시건설에서도 막대한 영향력을 끼쳤다. 서울이 그러하고 북경, 남경, 장안(서안) 등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풍수지리는 궁극적으로 사람과 자연의 합일을 추구하는 사상적 기반 아래 산과 수, 그리고 명당(토지)라는 자연을 대상으로 인간의 이상적 환경과 생태적 계획을 추구하여 왔다. 그러나 20C에 들어서면서 서세동점의 시대적 조류에 따라 동양의 도시들도 서구의 도시계획과 서양의 근대도시 모형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풍수는 일시에 고유한 자리를 잃고 말았다. 이에 따라 동․ 서양을 막론하고 전 지구적 차원에서 도시공간의 구성과 조직, 도시문화 양상이 획일적으로 서구화 되었다. 이렇게 서구화된 현대도시가 고도의 과학기술과 공학이 편리함을 사람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현대도시가 전문가 만에 의한 도시, 일부 사람만이 중시되는 도시, 자본만이 중시되는 도시에 대한 반성이 거세게 일어나고, 오늘날에는 서구에서도 생태환경도시, 환경친화적 도시, 공공서비스 도시, 인간적 도시가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반성의 흐름 속에서 토지를 단순한 공간 분할대상인 물적인 토지로 바라보는 기존의 서구적 시각에서 벗어나, 토지를 살아있는 생명력을 지닌 유기체적 존재로 인식하고 사람과 자연의 하나 됨을 주창하는 풍수지리가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풍수지리가 이론이 난해하여 일반이 쉽게 접근할 수 없고 또 알기 어려운 전문용어 등으로 그 역시 일부 전문가(일부 전문가는 혹세무민하는 술사이기도하다)만에 의한 주관적인 심지어 독선적인 운용과 해석이 만연하였다. 게다가 풍수적 도시평가는 주로 산줄기에 대한 서술식의 막연한 평가로, 용혈사수향의 전통적 풍수이론에 따른 대상지의 개별적 구체적 분석이 결여되어 있다. 그에 따라 어떤 도시가 얼마나 풍수적으로 길상한 지 가늠할 수 없고 복수의 도시에 대하여 상대적 우위도 평가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양에서 오랜 세월동안 중요한 도시계획원리였던 풍수원리를 기초로 기존 풍수적 평가의 주관성과 모호성을 극복하고, 풍수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소양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떤 도시를 대상으로 풍수적인 측면에서 얼마나 길상한지를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국내․ 외의 학자들에 의한 광범한 풍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섭렵하고 이를 수집,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인 풍수적 평가모형을 구성하는 분석의 틀로는 <전통적인 고전 풍수원리>와 <현대적 풍수 10원칙>을 토대로 삼아 각각의 이론을 심층․검토하였다. <전통적인 고전 풍수원리>는 국내․ 외의 대다수 연구자들이 전개하는 ‘용·혈·사·수·향의 전통적 이론 분류 체계에 따라 용의 원리, 사의 원리, 수의 원리, 혈의 원리를 순차 정리하였고 일반 풍수에서 잘 다루지 않지만 도시평가에 꼭 필요한 도로풍수이론을 추가 정리하였다. 이렇게 광범한 <풍수이론의 기초사상>과, <전통적인 고전 풍수원리>, <현대적 풍수 10원칙> 그리고 <이상적인 풍수격국도>를 종합하여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풍수적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형파적 이론 바탕 위에서 6부문, 23항목, 65지표라는 평가분석 기준을 설정하고 부문별 항목별 상호 간에는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였다. 평가 틀은 먼저 전통적 풍수원리에 따라 평가대상 도시공간의 범위를 나누어 먼저 배후의 형세를 관찰하는 <내룡 및 주산>부문, 도시 내 좌우와 전방의 산의 형세를 관찰하는 <찰사>, 도시 내 물길의 길흉을 평가하는 <관수>, 그리고 사신사로 둘러싸인 도시공간의 형세를 관찰하는 <정혈 및 명당>으로 나누고, 풍수적으로 완전한 땅이 없는 만큼 도시공간의 풍수적 결함을 구성원들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고쳐 쓰고 보완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풍수비보노력> 부문의 5개 부문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 다시 현대풍수 10원칙 중 위 전통적 5개 부문 분류체계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해당 도시의 정체적 풍수상황을 살필 수 있는 정체계통, 인지제의, 의산방수, 적중거중 4원칙과 이상적 풍수격국에서 도출되는 정체 풍수적 환경인 봉폐적 환경을 평가항목으로 삼아 <총칙>부문을 설정하여 모두 6개 부문으로 대별하고, 23항목, 65지표로 세분화한 풍수적 평가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65지표에 대한 원칙적인 5단계 평가척도기준을 마련하고, 각 지표 설정에 대하여 국내․외의 저서에서 설정근거를 찾아 제시함으로써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평가 모형에 따라 역

      • 地域祝祭에 따른 都市마케팅 效果에 관한 硏究 : 慶尙南道를 사례로

        이호근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sorted out the representative local festivals from many festivals held in Kyeongsa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and examined concisely about public relations, participation type, satisfaction of local festival and the recognition about infrastructure in host cities and researched on the effect of urban marketing according to the appropriateness of local festival. Selected local festivals ar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which is chosen the most excellent festival among representative festivals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6 and Hadong Wild Tea Cultural Festival chosen as grate festival. Also there are Tongyeong Hansandaecheop Festival, Sancheong Jirisan Herb Festival, Hapcheon Tripitaka Festival as the promising and the preliminary festival, and Masan Gagopa Chryanthemum Festival, the representative festival which is held in central area in Masan, Changwon, Jinha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First, it is revealed that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ocal festivals are in the order of Hapcheon Tripitaka Festival,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and Tongyeong Hansandaecheop Festival. It seems that Hapcheon Tripitaka Festival got high satisfaction because it holds as a kind of the religious event although it showed lower valuation than other festivals in the appropriateness of local festival and the effect of urban marketing, Secondly, in the analysis about appropriateness of local festival, it appeared that Sancheong Jirisan Herb Festival got highest point at the local representation and clearness of the festival's purpose and Tongyeong Hansandaecheop Festival is estimated to be most proper for the originality of the local festival program and the appropriateness of scale of the festival. Thirdly, in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the urban marketing result from local festival,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brought about big effect in increasing the income and Hadong Wild Tea Cultural Festival have the effect on related businesses activation. As the matter of raising city's identity,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at Tongyeong Hansandaecheop Festival have an effect on creating local sympathy, feeling of bonds and community spirit. And Sancheong Jirisan Herb Festival influence to increase citizen's self-esteem, attachment and unity. At last, at the point of heightening city's image, the respondents regarded that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have an effect on improvement city's image and tour attraction, activation city culture, and Sancheong Jirisan Herb Festival influence to activate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local cities. At the facts mentioned above, it was found that urban marketing effect such as the satisfaction of the local festival, the activation of urban economy and the effect on increasing city's identity appears various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festival. Therefore it needs to make a close investigation in the planning and preparing process to hold local festival. Keyword : city marketing(urban marketing), local festival, satisfaction of local festival, Effect of City Marketing

      •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가 도시공간이용에 미치는 영향

        박홍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2019년 말 발생한 감염병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전 세계로 확산되어 그 높은 감염성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도시에서의 공간이용에 큰 영향을 주었다. 감염병은 도시라는 공간에 큰 영향을 미쳐왔지만, 국내에서 감염병과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으로 인한 도시공간이용 변화 영향요인의 인과관계를 실증 분석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도시공간이용의 변화를 서울시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많은 활동이 일어나는 주중 주간시간대의 2019년 생활인구와 2020년 생활인구, 그리고 2020년과 2019년 생활인구의 차이를 지표로 설정하여 COVID-19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도시공간이용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COVID-19 확산 초기 정부에서 순차적으로 시행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 속 거리두기’ 기간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에 따른 영향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커널밀도분석과 LISA분석을 통해 시각적으로 도시공간이용패턴과 공간적 군집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공간계량모델을 활용하여 도시공간이용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커널밀도분석, LISA분석 결과 COVID-19와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상업시설, 업무시설 등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도시공간이용이 감소하고 주거지역 등에서는 도시공간이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9년과 2020년의 전체적인 도시공간이용의 패턴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 초기 사회적 거리두기는 COVID-19의 확산을 통제하면서 일정 수준의 정상적인 도시공간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공간이용 영향요인의 분석 결과, 기존의 도시공간이용을 증가시키는 상업시설 밀도, 업무시설 밀도 등은 도시공간이용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규제를 받은 업종과 학교, 대학교가 많은 지역에서도 도시공간이용이 많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반대로 주거지역에서는 오히려 도시공간이용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도가 높을수록 도시공간이용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공간이용에 COVID-19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를 통해 감염병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에 대한 선제적 방역 및 피해 대책 등의 수립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infectious disease COVID-19, which occurred at the end of 2019, spread around the world and due to its high infectivity, it greatly influenced the use of urban space in crowded cities. Although infectious diseases have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space of cities, there are not many studies in Korea that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s and changes in the use of urban spaces.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use of urban space due to COVID-19 and social distancing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de facto population of Seoul. By setting 'De facto population in 2019', 'De facto population in 2020' and 'Differences in de facto population in 2020 and 2019' as an indicator, we aimed to determine the impacts of COVID-19 and social distancing on the use of urban spaces in the daytime hours during weekdays when the most activities take place. In addition, we tried to analyze the impacts of social distance by comparing the social distance periods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in the early stages of COVID-19 diffusion. The analysis method was to visually show urban spatial utilization patterns and spatial clusters through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LISA analysis, an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urban space us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patial Econometrics Model.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LISA Analysis showed that urban space use decreased in areas where commercial and business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and urban space use increased in residential areas due to COVID-19 and Social distancing, but the overall pattern of urban space use in 2019 and 2020 was similar. It has been shown that social distancing in the early stages of diffusion is a policy that enables normal urban space use at a certain level while controlling the spread of COVID-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urban space use, density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business facilities, which increase the use of existing urban spaces, were the factors that reduced the use of urban spaces and also,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urban space in areas where regulated industries, schools, universities concentrated was greatly reduced due to the influence of social distance, on the contrary, in residential areas, the use of urban space increas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intensity of the social distancing, the greater the impa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s of COVID-19 and social distancing on urban space use.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 think it can help establish preemptive prevention of epidemic and measure to remedy the damage for areas that are sensitive to infectious diseases.

      • 都市 綠化 “푸른 부산 가꾸기 사업”의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권영달 釜山大學校 環境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lans on how to improve afforestation of a city more reasonably and efficiently. For this purpose, Green Busan Building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from 1999 to 2004, and the effect of this project on the environment of Busan were reviewed.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refered to a lot of documentary records to see the location and size of green tract of land in Busan and the changes of Use District. Based on these records, the current distribution and change of the green tract of land in Busan were examined, and accordingly, the problems of afforestation policy of Busan were revealed. Second, through spot investigation, I analys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afforestation projects of Busan and categorized these project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fterwards, I examined whether the type of trees that was introduced to each district was appropriate or not. Third, questionnaires on civil servants, examiners, and contractors who were involved in Green Busan Building Project are done; Busan citizens who are beneficiaries of this project also participated on the questionaries. Last,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se studies, I abstracted the factors that can greatly influence on the afforestation projects of a city, suggesting proper programs, or plans for Green Busan Building Project. The general problems of Green Busan Building Project that my studies recognize are: firstly, the satisfaction rate of this project is low because of the lack of afforestation in residential areas. Secondly, from the planning of the project to implementation, the local government alone has made every decision. Therefore, citizens could not participate on this project; their opinions were ignored. In addition, the budget for this project has been reduced every year, making it difficult to promote various sub-projects. Lastly, the types of trees that were introduced for the afforestation were too simple to display Busan's own city view. Moreover, the managing systems for the afforestation project was inefficient. To solve these problems, I suggest following three ideas. First, to increase the size of a green tract of land, integrated plans to provide new areas, or space for trees and shrubs should be established. The plans should be made in long term perspective and based on standards and rules for new afforestation methods. More importantly, the expansion of this project to satisfy the citizens who want various types of green tract of land is necessary. Second, the general environment of the city should be put in good order through the afforestation that the citizens want. Besides, for the promotion of the afforestation, the priority of the projects should be determined, the extension of participation should be enlarged, the size and quality of the green tract of land should be improved, and relevant systems and regulations should be reformed. Finally, the special types of trees which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have to be selected, and development plans for dynamic city views should be prepared. Afterwards, the continuity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through computerize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guaranteed; the staff members of this project need to be experts through continual education. Via these solutions, our living cognitions can be improved,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se solutions is the cooperative effort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itizens.

      • 수도권 신개발지의 도시자족기능용지 확보 기준에 관한 연구

        백두형 가천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도시자족기능용지는 1995년 「택지개발촉진법 시행령」의 개정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이후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보금자리주택 업무처리지침」등에서 적정비율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 이전, 이후로 나누어 지구지정된 수도권의 택지지구, 보금자리지구, 보금자리전환지구를 대상으로 도시자족기능용지에 면적비율을 산출한 결과 관련규정보다 낮게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자족기능 강화 및 활성화를 위한 도시자족기능용지 확보 기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진행하였다. 향후 수도권 신개발지의 도시자족기능용지 확보기준 개선을 위해 사례지구, 2000년 이전, 이후 지구지정된 시기별, 지역별, 사업유형별로 사업지구에 대한 여러 요인 등에 대하여 회귀분석(단순, 다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도시특성 및 산업특성 등 분석을 통하여 향후 수도권 신개발지의 도시자족기능용지 확보기준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직주근접, 도시성 및 자족기능 활성화를 위해 관련지침에서 규정한 확보기준을 준수할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에는 면적과 수용인구를 선택하여 적용하도록 되어 있어 타 관련지침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관련규정의 개정 검토를 통해 도시자족기능용지 확보기준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족기능용지 확보전에 도시특성 및 산업특성을 고려하여 그 도시의 공업지역 면적에 따른 사업지구의 자족기능용지 면적비율은 주변여건 및 기존 산업입지 여부를 감안하여 탄력적으로 계획하되, 법적 기준에 근접하도록 확보기준의 개선이 요구된다. 넷째, 수도권 중에서 많은 공업지역을 확보하고 있는 지역에 대하여는 도시특성 및 산업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도시자족기능용지를 타 지역보다 많게 확보하도록 하여야 한다.

      • 비법정계획이 도시개발계획에 미치는 실증연구 : - 인천 용현·학익 2‐-2블록 도시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정원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신도시개발과 같은 대규모 개발사업은 재정집행력이 있는 공공이나, 지방공사에서 토지를 보상취득 및 매입하여 택지개발사업이나, 공공주택지구사업 등으로 시행할 수 있는 사업으로써, 대도시 외곽지역이나, 도시 내 산지를 이용하거나, 유휴부지를 활용하여 정주지 개발을 추진하는데, 이미 지가가 높게 형성된 시가지에의 대규모 개발사업은 공공이나, 지방공사에서 사업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공업지역의 경우 민간에서 정주도시로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은 다른 용도를 부여할 수 있는 「도시개발법」에 의거한 도시개발사업이 가능하다. 도시 내 노후공업과 주택의 혼재는 주거환경악화와 환경문제로 대두된다. 유클리드 지역제 중 사전확정주의를 적용하여 도시기본계획을 변경한 지역에 대하여 신도시개발, 공공주택지구개발, 개발관련 특별법상 각종 구역의 지정 개발 등을 기성시가지 내에서 지자체 또는 지방공사가 대규모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공공재정의 한계로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신도시와 같은 규모화된 정주지를 개발하는 일을 민간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광범위한 지역의 토지를 민간이 전부 확보하거나 개발에 대한 동의를 확보하여 사업을 추진하기에는 물리적인 어려움이 크다. 그리하여 일정 규모로 구획하여 해당 구역의 개발계획(안)을 지자체에 입안제안 하는데, 지자체 도시계획행정 관리관의 입장에서는 개별구역단위 계획을 지양하고, 신도시 전체에 대해 체계적인 마스터플랜을 구상한다. 이때, 적용할 수 있는 행정계획이 바로, 비법정계획이며, 예비계획의 수립과 운영관리이다. 비법정계획을 작동기제로써 도시상을 정립할 수 있고, 사업시행주체, 사업시기, 사업시행방식, 공간적 범위, 공간의 형태, 기반시설계획, 공공용지 부담주체, 계획 지표 등 개발지침을 명시하거나 수치화할 수 있다. 이 비법률적인 계획은 선계획 후개발의 원리를 가지고 있어서, 지자체는 개발참여자와 이해공유하여 민간이 지역을 개선하기 위한 개발에 참여할 때 무분별한 계획을 방지하고, 신도시 전체를 고려한 도시계획 수립을 유도하여 체계적인 도시조성과 민간에게서 도시인프라 구축 또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Large scale development, such as New-Town development, is a project that can be promoted as a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 or a public housing district project by purchasing land by receiving compensation from local governments or public companies with financial execution power.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is promoted using land or idle land, but it is difficult for public enterprises or local public enterprises to promote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urban region with high existing land prices. In the case of industrial region, there is an urban development project under the Urban Development law as a way for private development implementers to develop into New Town. The mix of urban backward industries and housing is emerging as a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urban problems. Among Euclid zoning systems, it is almost impossible to develop large-scale New-Towns and Public-Housing-Districts within the existing urban district due to the financial limitations of local governments for zone where the urban master plan has been changed. So, it is inevitable to rely on the private sector to develop the district(development as a settlement), and there are physical difficulties in promoting the project by securing all the land in a wide area from the private sector or obtaining consent for development. Therefore, it is divided into a certain size and proposed to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plan(draft) of the relevant site. and the local government city planning administrators avoid individual zone unit plans and devise a systematic master plan for the entire New Town. Therefore, in this situation, the applicable administrative plan is the non-statutory plan,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anagement of the long-term preliminary plan. Non-Statutory-Plan can be used as catalysts to build a future image of the city, and project implementation subjects, project periods,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s, spatial scope, spatial form, infrastructure plan, public land burden entity, and planning indicators can be established. Since this Non-Statutory-Plan has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after prior planning, local governments prevent reckless planning when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es in development for improvement of the region, by sharing understanding with development participants, and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systematic cities by inducing the establishment of urban planning that considers the entire New-Town, and lead the construction of urban planning infrastructure from the private sector.

      • 도시유형별 문화요인분석을 통한 도시특성 연구

        박민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기반으로 녹색성장을 통한 도시개발기법에 대한 연구가 확산되고 주5일 근무, 산업의 고도화 등으로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문화도시, 창조도시를 활용한 도시재생 및 활성화 방식이 시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전국 도시 쇠퇴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 도시들은 인구 증가율이 감소되고 산업 쇠퇴 등 도시 성장기를 지나 도시 쇠퇴로 이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양적 기반여건은 점차 선진도시 수준으로 이행되고 있으며 21세기 현대 도시의 핵심 분야인 환경, 경관, 문화는 아직도 초기적 문제 인식 단계에 머물고 있다. (도시계획론, 2010)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시와 문화변수를 추출하고 이를 통하여 도시의 특성 분석 및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지표를 선정한다. 또한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변수의 수를 줄이고 특성이 같은 변수들 간 대표성 있는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주요특징을 명료하게 비교분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서 도출된 요인 값은 도시를 유형별로 구분하는 기준으로 활용하여 전국 161개 시, 군 도시에 대해 군집별 특징과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161개 도시는 요인분석을 통한 도시, 문화종합지수로 군집분석을 실행하였다. 도시와 문화종합지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종합지수는 인구밀도, 총 면적당 주거용도지역 비율, 총 면적당 상업용도지역 비율, 3차 산업 종사자 밀도, 도로율, 총인구 수, 도시지역비율, 도시화율, 인구증가율, 지가변동률, 재정자립도 11개의 지표의 2개 요인 값을 기준으로 가중치된 값들로 구성된다. 문화종합지수는 천인당 문화재정액, 총 문화기반시설 밀도, 축제개최 밀도, 관광지 보유 밀도, 문화재 보유 밀도, 문화 기반시설 이용자 밀도와 1인당 문화관련 산업 생산액 지표, 체육시설 밀도, 청소년수련시설 밀도 9개의 지표의 3개 요인 값을 기준으로 가중치된 값들로 구성된다. 군집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5개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크게 도시와 문화적 특성이 모두 양호한 도시, 도시적 특성이 양호한 도시, 도시, 문화적 특성이 모두 미흡한 도시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도시와 문화적 특성이 모두 양호한 도시는 1군집인 서울특별시, 2군집인 과천시, 4군집인 5개 광역시, 수원, 성남 등 경기도 8개 도시와 청주, 전주 목포시 등 지방 중심도시들이다. 이는 특별, 광역시, 지방 중심도시를 중심으로 인구와 도시 내 기반시설 및 도시적 기능의 집중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둘째, 도시종합지수 측면에서 양호한 군집으로는 3군집으로 울산광역시와 다수 지방대도시와 수도권 대부분의 도시들이 이에 속한다. 이 도시들은 도시적 측면에서 다른 유형의 도시보다 공업지역의 비율이 높고 도시성장 측정 지표인 인구증가율, 지가 변동률에서 가장 강한 측면을 보여 제 2차 산업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추세에 있는 도시군집으로 판단된다. 도시의 지속적 성장세가 있는 도시를 대상으로 문화향유적 측면에서 인구 대비 문화시설 및 자원의 현황을 파악해보면, 그 정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도시단위로 배분되는 기반시설의 경우 도시적 성장과 더불어 기반 시설이 지속적으로 건설되고 있으나 문화적 측면에서는 도시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셋째 도시, 문화종합지수 측면에서 모두 미흡한 군집은 5군집으로 대부분 인구규모 5~10만의 지방 소규모 군지역이이다. 이는 도시의 인구규모가 적고 비도시적 특징이 강한 도시들로 도시적 성장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지역들이 대부분이다. 이 도시들은 토지의 면적이 넓고 녹지 및 자연환경지역 비율이 높으며 도심지의 비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도시들은 지역향토 문화 및 보유 문화, 지역 대표 자원을 통하여 문화적 활동 및 산업을 발굴함으로써 도시 내 성장동력의 개선과 시민들을 위한 활동공간의 창출 등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민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문화시설적 요인은 양호한 편이므로 자연환경 및 지역고유문화를 토대로 한 체험, 관광을 활성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과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도시의 도시적 특성과 문화적 특성을 변수선정, 지표도출,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한다. 둘째,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요인값을 가중치화하여 종합지수로 도출한 후 도시와 문화적 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한다. 셋째, 군집분석한 도시의 유형별로 도시의 특성을 분석하고 해외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도시특성에 따른 도시의 개발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전국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적, 문화적 특성 분석의 기준과 도시의 유형별 특성분석 및 도시계획에 있어 문화룰 통한 개발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연구가 미흡한 현시점에 새로운 시도로서의 의미를 갖고자 한다.

      • 도시설계 변화에 따른 계획내용 및 건축물 특성 비교연구 : 마포구 신촌지역을 중심으로

        정훈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아시안게임과 올림픽게임 등 중요한 국제적 행사를 앞두고 도시미관 및 환경개선을 위해 대규모 공동개발 및 층고 제한 등을 규제하는 도시설계가 건축법을 근거로 하여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최초로 수립지정되었다. 도시설계는 현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구단위계획으로 수립되기까지 계속 변화되고 다양화되는 등 도시계획의 핵심적인 관리제도로 자리잡았으며 도시재생, 노후시가지 정비, 상권활성화 등 좀 더 입체적이고 다양한 목적의 지구단위계획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초로 도시설계가 수립되어 반영된 지역의 도시설계 내용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계획내용 변화에 따라 시기별 건축물을 분석하여 지구단위계획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최초 도시설계가 수립된 지역인 신촌지구일대 지구단위계획구역 중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과 대학교 입지 등 주변환경 등을 보았을때 개발여건이 충분한 마포구 상업지역일대를 선정하였다. 도시설계의 전반적인 개념 변화 및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기 위하여 관련법과 문헌 및 유사연구사례를 검토하고, 대상지의 각 연도별 도시설계 결정도서 및 지침내용을 수집하였으며 도시설계 계획내용 및 주변 도시계획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도시설계 지정 전 수립용역시기(1984년)부터 현재(2013년)까지 각 연도별 도시설계 이후 신축 건축물 현황을 조사하여 도시설계 계획요소별로 반영여부를 확인하고 도시설계 계획요소 중 필지규모, 용적률, 용도, 층수별로 나누어 유형별로 건축물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987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도시설계의 계획내용은 법적으로 체계적이고 다양한 변화를 이루었지만 그에 따라 대상지 도시설계는 규제의 확대축소 및 변경을 반복함으로써 현황은 오히려 개발이 정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신축은 단독필지개발이거나 조정심의를 거쳐 신축하는 형태를 보여 공공과 민간의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부분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블록별 민간 개발자의 선호양상이 매우 달라 입지적 강점을 활용한 차별화된 단지성격을 부여하여 실현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Expecting important internal events such as the Asian game and the Olympics, urban planning has been established and designated for the first time from 1983 to 1987 based on the construction law regulating large scale common joint development and height limit for improving city appearance and environment. Urban designing has settled as the core management system of urban planning such as constantly changing and diversifying until being established into a district unit plan by the current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keeps on developing into a district unit plan of rather 3-dimensional and diverse purposes including city reproduction, dilapidated areas repair and market revitalization. Therefore, the study is to look at the changing stages of the urban planning content of the regions with the urban planning established and reflected for the first time and re-establish the function and roles of the district unit plan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s by period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plan. Mapo district commercial area with sufficient development condition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among the Shinchon district unit plan areas which was the very first urban planning established region, by looking at the infrastructure such as the road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he university. In order to consider a pilot study on the overall concept change of urban planning and district unit plan, related laws, books and similar research cases were reviewed, urban planning decision books and guidelines were collected by years of the target area and the urban planning content and the surrounding urban planning status were investigated. Additionally,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new constructions since the urban planning by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service period(1984) before designating the urban planning until now(2013), the reflecting status by urban planning elements was verified, the construc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types an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Although the content of urban planning since 1987 until now, 2013 has been making legally systematic and diverse changes, status of the following urban planning of the target area has showed delay in development by repeating expansion, reduction and changing. It could known that rational arbitration was necessary on parts contracted with a concern of the public and private for most of new constructions as they were residential plot development or showed a form of being constructed by going through consideration of regulation .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listic plan by imposing a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 which has utilized locational benefits as the preference phase of private developers is different by blocks.

      • 광교 호수공원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조성의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장명기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도시공원은 신도시를 쾌적하게 하는 중요 시설로서, 도시환경조절과 지역발전이라는 복합적 기능을 갖는다. 최근 도시공원을 만들 때 적극적인 주민참여가 필요하다는 데 대부분 공감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주민참여는 아직도 상당 부분 제한적이다. 대부분 법적 요건을 갖추기 위한 형식적 절차로 운영되거나, 홍보 부족과 주민들의 무관심으로 제 역할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호수공원과 같은 대규모 도시공원시설을 만들 때 이용자가 될 시민들의 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광교신도시 호수공원의 이용특성과 행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광교 호수공원 조성에 관련된 사업시행자와 지자체 종사자, 지역민의 3개 집단을 대상으로 주민참여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수공원 계획 및 조성 등 추진과정에서 주민참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가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상당수 주민들이 시간과 비용, 정보 부족, 효과성 등을 이유로 직접적인 참여의사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적정 주민참여시기로는 세 집단 모두 계획단계에서부터 주민참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운영과정에서의 일반적인 주민참여 방법으로 호수공원 홍보, 행사, 레크레이션 및 생태교육, 공예 등 각종 교육 프로그램, 이용지도 및 자연보호, 안전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이용 및 관리시설과 조경식물점검 및 관리를 위한 규칙 만들기도 제안되었다. 행정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등 사후관리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주민참여도 요구되었다. 셋째, 세 집단 모구다 아직까지는 행정기관 담당자 면담 및 민원실 민원 제기, 공청회 참석 등 전통적인 주민참여방법이 효과적이라 응답하였다. 더불어 주민들은 홍보강화를 주문하였고, 그 방법으로는 인터넷과 함께 SNS을 높게 평가했다. 따라서, SNS가 향후 새로운 주민참여방법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편단된다. 이러한 설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참여 활성화 대책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택지예정지구지정 및 개발계획승인단계, 실시계획승인단계는 계획수립단계와 실시계획승인단계로 나누고, 사업시행단계에서는 공사시행단계, 시공단계, 공사준공 및 검수단계, 양도단계, 유지관리단계 등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단계별로 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협의체는 사업시행자, 주민 대표 및 주민, 지자체, 설계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하고, 공원계획에 직접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사업시행단계의 협의체 구성은 주민조경설계위원회, 주민조경시공위원회, 주민조경관리 및 운영 위원회를 주축으로 해야 하며,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공원 이용에 주민 참여를 활성화 하여야 한다. 둘째, 행정적 지원 강화와 전문가 파견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선진국처럼 대규모 도시공원을 만들 때 주민참여협의체 지원을 전담하는 별도 행정조직 설치가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 그 후 유지관리위한 프로그램 운영, 협의체 지원기금 운영 등의 지원행정체계를 구축하여 주민들이 의사표현과정에서 불편함이 없도록 해 주고,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전문가를 지원토록 한다. 사업시행자는 협의체에서 전문가적 인력지원을 하여 주민들의 조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올바른 판단을 유도하는 등 효율적 운영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주도적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기존 주민공람방식 개선과 주민참여수단 다양화 이다. 주민공람을 등기우편을 통해 정확히 전달하고 신문공고 기간과 주민공람기간을 충분하게 더 늘려야 한다. 또한 주민공람 때 일반인들의 원활한 이해를 도울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행정용어가 아닌 평이한 용어로 작성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주민공람 때 제출된 의견에 대해서는 처리과정과 결과를 의견 제출자에게 실시간으로 빠르게 통보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사안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SNS 등 온라인을 활용한 실시간 정보제공 및 교류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최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전자매체가 많은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하여 주민참여수단을 보다 다양화하고,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위에 제시된 활성화 방안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민참여의 인식에 대한 사업시행자와 지자체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시행자와 지자체는 각종 공원계획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보다는 계획, 설계, 시공단계에서 입주예정자와 입주민 참여를 당연시 하는 자세 변화가 요구된다. 더불어 사업시행자가 지자체와 주민 사이에서 코디네이터(Co-ordinator)로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사업시행자는 지자체와 주민 간 유기적인 피드백(Feed back)이 가능하도록 가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주민 갈등을 최소화하고 지자체와 사업시행자, 지역주민 모두가 같이 만들어 나가는 공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오피스 빌딩 저층부 문화시설이 도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신문로2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양승열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 ABSTRACT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ultural facilities on the urban livability in office redevelopment Yang, sung-ryul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University of seoul Advised by Kim, Ki-ho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was the center of the city clustered administration, finance, business, commerce but it is recently required of functions of culture, interaction, and leisure as the changes of urban environment and people’s needs. But, urban redevelopment was oriented to construct primarily high rise office buildings for the quantitative expansion purpose, and this brought the replacement of existing history, culture, and other functions in the city by business space. Therefore, city is dynamic with business activities during weekdays. On the contrary, it becomes hollowed out in the weekdays evening and during weekends. In the observation of Jeong Dong, a historic and cultural place, Sinmunno 2 zone redevelopment, learning cultural facilities in the office building lead to C.B.D revitalization with various activities, Thesis started to research on the possibilitie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signated Sinmunno 2 zone in the 1980’s and as 6 of 11 district completed; they set as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of Seoul. Also, government co worked with the building in the 4 district, Sinmunno 2 zone to develop the street gallery and the street park under the ‘Seoul city gallery project’ campaign in Oct. 2008. Specially, the lobby of the building in the 4 district was open to public for the city gallery, and cinema is located at the basement for the culture facilities. I discovered these aspects differentiate it from other circumferential buildings mainly planned for business driven. Whether city center activation is affected by the cultural facilities in the business building, I research and analyze the number of users of the cultural facilities, and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office building with cultural facilities tend to more various activities unlike office building providing vicinity living facility could, and these cultural facilities activate the down town to attract more people after business hours. In the survey of weekend using percentage, it is 42.5% in the museum and it is 46.99% in the cinema. This result suggests the good alternatives to solve the C.B.D hollow out. In addition, these types of cultural facilities give optimistic influences on offices and vicinity living facility in the same building, and only achieve public goal itself but also provide the profitable opportunity for owner to control rent rate.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business hours and the influx of population of vicinity living facility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business hours of vicinity living facility located with cultural facilities in the same building in the 4 district range 11:00 P.M till late but buildings in the other area facilities operates around 8:00-9:00 P.M. Also, it made the large differences in the influx of population during weekends. It appeared that users of vicinity living facility grow by locating cultural facilities in the same building. Therefore, cultural facilities located building was more helpful in the C.B.D vitalization than the other were due to the extension of business hours and increase in the population influx. Urban redevelopment achieved building modernization and expansion of infrastructure, on the other hand it exposed the problem from the whole deconstruction redevelopment without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s. 49%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candidate remains. It clues to us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may play important role in the urban environment of Seoul in the future. But only 5 districts are planned to locate the cultural facilities among 21 all candidate districts. Facilitate the cultural place in the office building offer cultural function besides business and commercial role to activate C.B.D as attracting the people and leading various activities. The cultural facilities in the building in 4 district are being operated by the large corporation, which make unique case unlike business driven office buildings. But it suggests good precedent for urban redevelopment. keyword : cultural facilities, urban vitalization, office redevelopment, C.B.D hollowing out 【 국 문 초 록】 -오피스 빌딩 저층부 문화시설이 도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도심은 도시의 중심으로 행정, 금융, 업무, 상업 등의 핵심 기능이 집적되어있는 지역이었으나, 최근에는 도시환경의 변화와 도시민의 요구에 따라 문화, 교류, 위락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환경정비사업은 양적 팽창을 목적으로 업무시설 위주의 대형 건축물이 들어서게 되었고, 이는 기존 도심이 가지고 있던 역사, 문화 등의 다양한 용도들이 업무공간으로 치환(置換)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도심부는 평일에는 업무 위주의 활동으로 도심이 활력을 가지다가 저녁시간이나 주말에는 도심이 공동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역사·문화적인 장소인 정동 일대의 신문로2구역을 들여다봄으로써, 오피스 빌딩 저층부 문화시설이 도시공간의 다양한 인간 활동의 유발로 도심활성화에 영향을 끼치는가를 확인하고, 그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서울시는 신문로2구역을 1980년대에 구역지정 하였으며, 총 11개 지구 중 6개 지구가 사업이 완료 되어 현재 서울의 중심업무지구로 자리를 잡았다. 또한 2008년 10월 신문로2구역 4지구에 ‘서울시 도시갤러리프로젝트’의 일환으로 4지구 건축물과 공동작업을 하여 가로갤러리와 거리시민공원을 조성하였다. 특히, 4지구 건축물 1층 로비는 도시갤러리로 시민에게 개방되고 있으며, 지하층에는 문화 및 집회시설인 영화관이 있어 업무시설 용도로만 계획된 주변의 건축물과 다른 양상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업무시설의 저층부 문화시설이 도심활성화에 영향을 끼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화시설의 구체적인 이용자수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업무시설 저층부에 문화시설이 운영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근린생활시설만 복합화 되어 있는 오피스빌딩보다 다양한 행위가 유발되며, 업무시간 외에도 많은 도심활동 인구를 유입하여 도심활성화에 영향을 준다. 특히, 주말이용 비율이 미술관의 경우 42.5%, 영화관의 경우 46.99%로 나타나 도심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는 하나의 좋은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화시설은 같은 건물 안에 있는 오피스와 근린생활시설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문화시설 자체의 공공적 성과 외에 임대료에 영향을 주어 건물주의 이익에도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근린생활시설의 영업시간과 평일, 주말의 유입인구수를 분석해본 결과, 문화시설을 운영하는 4지구 건물의 근린생활시설은 영업시간이 밤 11시 전·후로 나타나 저녁 8시~9시까지 영업하는 타 지구에 비해 늦게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주말의 유입인구수 또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문화시설의 운영에 따라 같은 건물 내의 근린생활시설의 이용자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업시간의 연장과 이에 따른 유입인구의 증가로 문화시설이 없는 다른 건물에 비해 더 도심활성화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은 건물의 현대화와 기반시설의 확충 등의 성과를 나타냈으나, 그 이면에는 지역적 특성에 관계없이 전면 철거방식의 재개발로 인해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도시환경정비사업의 미시행지구가 약 49% 남아 있다는 것은 향후, 도시환경정비사업이 서울시의 도시환경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구역별 도시환경정비사업 유도 방향에서 저층부의 용도를 문화시설로 유도하는 구역은 전체 21개 구역 중 5개 구역 일부 지구뿐이었다. 업무시설 저층부 문화시설은 도심이 도시의 중심으로 업무와 상업 기능 외에 문화의 기능을 강화하여 도시민의 다양한 행위 유발과 그에 따른 인구 유입으로 도심활성화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4지구 건축물은 수익성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는 다른 업무시설과 달리 대기업 본사에 문화시설을 운영하는 독특한 사례이지만 그 가능성은 향후 적용하기에 따라 좋은 선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문화시설, 도심활성화, 도시환경정비사업, 도심공동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