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 보완대체의학의 실태 및 한국 보완대체의학의 발전방안

        진경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75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현대의학기술만으로는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이 증가되는 등 질병의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만성질환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의료비 부담이 커지자 전 세계적으로 보완대체의학(요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 활용 또한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의료비 절감을 위해 대체의학(요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목적에서 1992년 국립보건원 산하에 대체의학국(Office of Alternative Medicine, OAM)을 설치하여 의료비절감 성과가 나오자, 1998년에는 대체의학국을 국립보완대체의학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NCCAM)로 승격시켰다. 또한, 정부 차원의 보완대체의학 전략계획을 수립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보완대체의학(요법)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2016년에는 국립보완대체의학센터를 국립보완통합의학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NCCIH)로 명칭을 변경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뿐만 아니라 그 안전성도 고려하는 웰니스(wellness) 지향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강조하는 단계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긴 역사를 통해 전통적인 민간요법(대체요법)이 다양하게 사용되어 오고는 있으나, 서양의학과 한의학이 모두 정통의학으로 인정되고 있는 의료제도의 이원화의 현실 속에서 제도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외국에서는 보완대체의학의 영역에 포함되는 한의학 분야와는 중첩되는 요법들(침술, 뜸, 약초, 추나요법 등)로 인해 제도권 밖으로 밀려나 있는 현실이다. 이에 제도권 안에서 보완대체요법사의 치료행위는 불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애매한 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정부 산하 관리기구 뿐 아니라 의사나 한의사와 협치 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보완대체의학 전문가를 양성할 교육기관도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보완대체의학(요법) 이용실태, 관리 기구, 교육기관 등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근거로 현재 우리나라 보완대체의학의 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네 가지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보완대체의학(요법) 전반에 대한 관리(일반인, 의료인, 보완대체요법전문가에게 정보제공) 및 지원(센터, 보완대체의학연구소 설치)을 위해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형 NCCIH가 설치되어야 한다. 둘째, 선별된 보완대체의학 대학교 및 대학원 과정에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달성되어야 한다. 셋째, 표준화된 정규 교육과정을 거친 보완대체의학졸업자에게 보완대체의학전문가 자격(면허)시험과 합격자 대상의 보수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올바른 보완대체의학 관련 정보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환경(website, SNS, application, youtube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위에 제시된 환경이 가까운 장래에 마련이 된다면 더 이상 제도권 의학과 보완대체의학(요법) 간의 분쟁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정규교육과정을 통해 양성된 보완대체의학 전문가들이 주로 예방차원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으로 국가의료비 부담을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민간요법에 대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보완대체의학 선진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global trend of aging populations, disease profiles are changing.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the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that are difficult to cure through modern western medicine. With such a rise i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national health care expenditure has also increased; this has resulted in a growing interest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worldwide. Consequently, the utilization of CAM has also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United States, the Office of Alternative Medicine(OAM) under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was founded in 1992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CAM to reduce public medical expenses; this resulted in actual reductions in health care expenditure. With its success, OAM was elevated to the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NCCAM) in 1998. Additionally, strategic plans for CAM were developed at a governmental level, which led to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enabling the provision of proper information on CAM. In 2016, NCCAM was renamed the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NCCIH). The center continued to lead development in focusing on wellness-oriented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considering both the effects and the safety of CAM. However, in South Korea, traditional folk medicine(or alternative medicine) has been adopt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country’s long history. However,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of a dual medical system, in which both Western and Korean medicine are accepted and recognized as conventional,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in the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CAM. Several therapies fall under the category of CAM in foreign countries overlap with treatment methods of Korean medicine (e.g., acupuncture, moxibustion, herbal medicine, and Chuna manual therapy). Thus, official system and institutions in South Korea have turned away from CAM. Currently, within the institutional system of South Korea, treatments by CAM therapists are illegal. Additionally, there are few governmental agencies that can manage and control such ambiguous circumstances, or academic institutions that can educate and train qualified CAM experts, who can then collaborate with Western or Korean medicine docto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four strategies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CAM in South Korea based on CAM’s current status, such as the global status of applying CAM, supervisory agenc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same. First, the foundation of NCCIH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ustomized for South Korea is proposed for overall management(providing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health care providers, and CAM experts) and support(operation of the center, CAM research) of CAM. Second, a standardized curriculum should be applied to selected CAM universities and graduate programs. Third, CAM expert qualification(license) examination and extension refresher course should be provided for CAM graduates who have completed the standardized curriculum. Fourth, an environment (Website, SNS, Application, YouTube channel, etc.) in which proper CAM-related information can be disseminated to the general public, should be formed. If the environment presented above can be built, conflicts between conventional institutionalized medicine and CAM will no longer exist. Moreover, CAM experts who have been educated and trained through standardized curriculums are expected to reduce the burden of national medical expenses mainl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eventive health care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South Korea, with its long history and tradition of folk medicine, can develop into a global powerhouse in CAM.

      • 셀프마사지 처치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성향 아동의 증상 개선에 미치는 영향

        양지웅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59

        현대사회에서는 환경적, 정신적 요인 등으로 인해 ADHD아동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른 치료법으로는 약물이나 미술, 놀이치료 등의 심리치료로 제한되어 있으며 미용치료를 통한 접근은 매우 드믄 실정이다. 미용치료의 한 분야인 셀프마사지는 경혈을 자극하여 신진대사와 신경전달물질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뇌 이상에 기인하는 ADHD아동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배우기가 쉽고 매우 안전하며 시·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즉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치료의 한 분야인 셀프마사지를 통해 ADHD성향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을 개선시키고 아울러 자아존중감 향상하는 등 심리치료와의 시너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단일대상연구 중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선택하여 단축형 코너스 교사평점척도에서 17점 이상을 부여받은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3집단으로 나누어 중재로서 셀프마사지를 주 5회 총 16회기를 적용, 주의산만 행동 개선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산만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아동 전체 기초선 주의산만행동 평균 발생 구간은 총 40구간중 29.5구간으로 높았고, 중재기간에는 26.9, 중재 후반 3회기 23.2, 유지 기간은 23.7이었다. 중재 기간의 주의산만행동 평균 발생 구간은 기초선 기간에 비해 2.6구간이 감소하여 총 측정 구간 대비 6.4% 감소하였고, 중재 후반 3회기는 9.3% 감소하였다. 또한 유지 기간의 평균 발생은 23.7구간으로 중재 후반의 효과가 시간이 지나도 유지되었다. 전체적으로 중재를 시작했을 때 보다 셀프마사지 프로그램을 전체 반복한 후반 5회기에서 더 낮은 주의산만행동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셀프마사지를 받기 전의 자아존중감 평균값이 2.37, 셀프마사지를 받은 후의 자아존중감 평균값이 2.75로, 0.39만큼의 평균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셀프마사지를 통한 ADHD성향 아동에 대한 중재가 주의산만행동을 개선시킴으로써 자아존중감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향후 사회 심리적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용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여드름에 대한 洋韓方협진치료 효과에 관한연구 : 구진농포형 (肺胃積熱型) 여드름 中心으로

        형화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5343

        An acne is a self-focal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as an pilosebaceous unit which occurs the most often among dermatological disease. Because an acne mainly appear on the face, it could negatively affect on appearance and become an initial obstacle for having a social life. Currently the treatment for an acne is mostly provided by Western dermatology("Western treatment") and by Oriental herbal clinic("Oriental treatment"). Western treatment is allopathy which can be effective and quick but may produce side effect if used for long. Oriental treatment, on the other hand, uses natural herb that there are less side effect, but it is hard to apply allopathic treatment for severe skin damage or for inflammatory reaction, and it also takes longer than Western treatment. In order to find more effective way of acne treatment, a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an integrative point of view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treatment. This study is conducted on 20 acne patients who received Western treatment vs. integrative treatment. To understand clinical meaning of the integrative treatment on the acne treatment, before vs. after comparison has been conducted on skin erythema level, oil level, and number of papule and pustule. Data was processed and analyzed by using SPSSWIN 12.0 program.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those who received Western treatment only, inflammatory erythema level decreased by 31.3% (from 417.8 to 286.9). Oil sebumeter level decreased by 33.7% (from 281.7 to 186.8), and the number of papule and pustule were reduced by 45.4% (from 20.7 to 11.3). In other words, Western treatment alone showed an effective result. 2. For those who received Western and Oriental integrative treatment, inflammatory erythema level decreased by 42.4% (from 419.7 to 241.7). Oil sebumeter level decreased by 50.5% (from 280.7 to 138.9), and the number of papule and pustule were reduced by 60.7% (from 21.9 to 8.6). The result shows comparably higher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ve treatment. 3. The integrative treatment reduced inflammatory erythema level by 178 while the Western treatment alone by 130.9, resulting in integrative treatment's higher efficacy by 11.1%. For oil sebumeter level, the integrative treatment reduced by 141.8 while the Western treatment alone by 94.6, showing more reduction of integrative treatment by 16.8%. The number of papule and pustule also decreased more by the integrative treatment (13.3) than the Western treatment (9.4), resulting in better efficacy of the integrative treatment by 15.3%. With the overall data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integrative treatment reduces acne inflammatory erythema level, oil level, and the number of papule and pustule and has relatively better effectiveness than the Western treatment alone. Therefore, the integrative treatment is considered to be a more effective and recommendable way for the acne treatment. 여드름은 피부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모지선 단위의 자아 국소적인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주로 얼굴에 분포되기 때문에 외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을 하는데 일차적인 장애가 될 수 있다. 현재 여드름의 치료는 주로 서양의학의 피부과(아래“양방치료”)와 한의학의 한의원(아래“한방치료”)에서 진행하고 있다. 양방치료는 대증치료로 효과적이고 신속하지만 장기간 치료하면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한방치료는 천연 한약재를 사용하여 부작용은 적지만 심한 피부손상이나 염증반응의 대증치료가 어렵고 소요되는 치료시간도 양방치료보다 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조사연구는 양방과 한방의 협진이란 시각에서 보다 효과적인 여드름에 대한 치료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중 양방치료와 양한방협진치료를 받았던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한방협진치료가 여드름의 치료에 어느 정도의 임상적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치료전과 치료후의 환자 피부 홍반염증지수와 유분지수 및 여드름의 구진, 농포 개수를 측정해서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Ver. 12.0의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치료전과 치료후 피부측정결과에 대해서 통계학적 검증은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방치료인 경우 피부홍반염증 Erythema지수가 417.8에서 286.9로 31.3% 감소하였고 피부유분 Sebumeter지수가 281.7에서 186.8로 33.7% 감소하였으며 구진 및 농포개수는 20.7개에서 11.3개로 45.4% 치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드름의 대한 단순 양방치료만으로도 효과가 나타났다. 2. 양한방협진치료한 경우 피부홍반염증 Erythema지수가 419.7에서 241.7로 42.4% 감소하였고 피부유분 Sebumeter지수는 치료전의 280.7에서 치료후의 138.9로 50.5% 감소하였으며 구진 및 농포개수는 21.9개에서 8.6개로 60.7% 치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드름의 대한 양한방협진치료의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다. 3. 양한방협진치료를 통한 피부홍반염증 Erythema 지수가 178 감소한 반면 단순 양방치료의 경우는 130.9 감소하여 양한방협진치료의 감소폭이 11.1% 많았고 피부유분 Sebumeter 지수는 141.8 감소한 반면 단순 양방치료의 경우는 94.6 감소하여 양한방협진치료의 감소폭이 16.8% 많았으며 구진 및 농포 개수는 양한방협진치료인 경우에 13.3개 감소한 반면 단순 양방치료의 경우는 9.4개 양한방협진치료의 감소폭이 15.3%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 여드름 치료에 있어 양한방협진 치료는 여드름의 피부홍반염증지수와 유분지수 및 여드름의 구진 및 농포개수를 감소시켰고 단순 양방치료보다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으로써 양한방협진치료가 보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실기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수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실기교사의 수업이 학생들의 수업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에게 필요한 기초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과 충청지역에 위치한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기수업 만족도에 관하여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일반적 사항 5문항,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실기수업 특성 7문항,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실기수업의 만족도 27문항이 구성되어 총 39문항이 설문문항에 사용되었다.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미완성 되거나 응답이 불성실한 응답지 13부를 제외한 287부를 통계자료로 사용하였다. 일반적 사항의 분석 결과 대상자의 연령은 18살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미용이라는 전공 특성상 여학생이 현저히 많았다. 학년제에 따른 분류에서는 2년제보다 3년제가, 학교유형은 공립보다 사립이 많았다. 지역의 분포도를 보면 충청지역 163부, 서울지역 127부로 충청지역이 조금 더 많았다.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실기수업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 요인을 교사의 자질성, 교사의 지도성, 학생의 동기유발성, 교사의 진실성, 교사의 관심성, 교사와 학생의 관계성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은 SPSS 프로그램(ver. 18.0)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과 실기수업에 관한 사항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Cronbach's a 값 을 구하여 신뢰도를 측정하였으며 실기수업 만족도 인식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만족도 차이와 실기수업에 대한 참여성, 효과성, 만족도를 보기 위하여 t검증(student's t-test)을 실시한 후 마지막으로 실기수업 만족도 하위요인과 실기수업에 대한 참여성, 효과성 및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실기수업의 만족도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과목별 실기교사가 실기를 주로 지도하고 있으며 실기 지도에 가장 적합하다고 하였다. 실기교사가 수업에 참여하는 정도는 매우 많이 참여한다가 41.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사가 실기 지도 할 때 좋은 점은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실기 교육을 시켜준다’가 46.3%로 가장 많았다. 교사가 지도하는 미용실기 중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자격증 취득 과정이 72.8%로 가장 높았으며, 교사에 의한 실기수업은 ‘잘되고 있다’가 51.6%, ‘매우 잘 되고 있다’가 18.8%로 실기수업 만족도 평가는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전반적인 실기수업에 대해서는 ‘만족한다’가 55.1%, ‘매우 만족한다’가 15.7%가 나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일반적 사항에 따른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실기수업 만족도는 6가지 하위요인인 교사의 지도성, 교사의 자질성, 학생의 동기유발성, 교사의 진실성, 교사의 관심성, 교사와 학생의 관계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3년제가 2년제보다, 공립이 사립보다, 충청지역이 서울지역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기술을 잘 연마하고 있는지 실기수업의 참여성, 실기수업의 효과성 및 실기수업의 만족도 3가지 요인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3년제가 2년제보다, 공립이 사립보다, 충청지역이 서울지역보다 학생 실기수업의 참여성, 효과성 및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용 실기수업 만족도 요인과 학생의 실기수업의 참여성, 효과성 및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교사 만족도 6가지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이 좋을수록 실기수업에 대한 참여성, 효과성 및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과 충청지역 대상으로 조사하여 지역적으로 국한되어 있으며 미용전공 특성상 남학생의 비율이 현저히 적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있어 미용 실기수업에 대한 세부적인 만족도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었으며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실기교사가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여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 중년여성의 체 성분 및 혈액성상에 미친 림프마사지와 흑삼녹두묵 섭취의 시너지 효과 : 사례연구 중심으로

        정진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27

        일부 한국 중년여성(Case study)을 대상으로 림프마사지와 식품치료식(흑삼녹두묵) 섭취가 체 성분 및 혈청지질 수준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두 parts로 나누어 part 1에서는 비만 치료식으로 흑삼녹두묵을 제조하여 그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part 2에서는 사례연구의 형식으로 중년여성 가운데 본 실험 참여 의사를 밝힌 4명을 대상으로(Case study) 4주 동안 실시하였다. Part 1에서 흑삼농축액 첨가수준에 따른 흑삼녹두묵의 색도 변화를 보면 명도(L값)의 경우 흑삼 농축액 첨가비율이 증가할 수 록 어두워져서 명도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흑삼농축액 첨가수준에 따른 흑삼 청포묵의 관능평가결과, 흑삼농축액 첨가수준이 증가할 수 록 흑삼 녹두묵의 맛의 점수가 높아졌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색과 향의 경우도 흑삼농축액 첨가수준이 증가할 수 록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아졌는데 흑삼농축액 3%와 4% 첨가 녹두묵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흑삼농축액 첨가수준에 따른 흑삼 녹두묵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보면, 흑삼농축액 첨가수준이 높아질 수 록 경도(hardness), 탄성(springness), 씹힘성(chewiness), 검성(gumminess) 등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P<0.05) 결합성(coheiveness)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흑삼농축액 3% 첨가군이 장기간의 비만치료식으로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 진다. Part 2에서는 중년여성(4명의 사례연구)을 대상으로 총 실험기간 4주 중에서 2주간은 림프마사지만 단독으로 수행하였고 그 뒤 2주간은 흑삼녹두묵을 함께 섭취시켜 마사지와 식이치료의 시너지 효과를 사례별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7.25 세, 평균 신장은 160.75 cm 이었다. 림프마사지만 단독으로 2주간 시행한 후 체 성분과 혈청지질 수준이 림프마시지 처리전과 사례별로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림프마사지와 식품치료를 병행한 2주 후의 체성분과 혈청지질 수준은 사례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Part 1과 part 2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part 1에서는 3% 흑삼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치료식(흑삼녹두묵)의 품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art 2 연구가 사례연구로 대상자 수(n=4)의 제한으로 통계처리를 할 수는 없었지만 림프마사지 단독처리보다는 림프마사지와 식품치료(흑삼녹두묵 섭취)를 병행하므로써 혈액순환을 시키며 노폐물과 독소를 체외로 배출시켜 생체를 방어하는 림프마시지 기능이 식품치료식 급여로 더 활성화된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체중관리가 요구되는 비만인의 경우 림프마사지와 식품치료식(흑삼녹두묵) 섭취를 병행하여 처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정착방안을 위한 피부미용분야 프로그램의 기초연구

        주보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1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현재 생활특성과 관련하여 그들의 관심도 및 복지지원센터 이용 대한 사항 등을 살펴보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안정적인 한국 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피부미용과 같은 전문적인 직업을 경험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S다문화가정 복지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을 조사한 결과 60%가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기 위해 기관을 방문하고 있었으며, 응답자의 30%는 향후 한국생활에 정착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직업훈련과 관련하여 자격증취득 및 취업관련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관리사‘라는 새로운 직업군에 대한 소개와 함께 실제 피부관리 실습을 진행한 결과 임상실험대상자의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도는 실험 전과 비교하여 9.4±0.7점으로 9.3%증가 하였고, 피부관리 직업군의 호감도는 9.4±0.9점으로 피부 관리 전보다 1.5점(20.5%)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관리 전·후 피부관리 관심도와 피부관리 직업군의 호감도 변화를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5) 셋째. 피부 관리가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피부만족도와 피부상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관리 전 본인 피부에 대한 피부만족도는 5.7±0.8점이었으며, 피부관리 후에는 8.4±0.9점으로 2.7점(47.3%)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p<.05) 피부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함과 더불어 실제로 피부관리 후 피부상태를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 유분함량, 모공크기, 탄력도 있어 실험 전과 비교하였을 때 수분함량은 실험 전 보다 22.4% 증가하였으며, 유분함량의 경우 T존은 44.6%, U존은 79.1% 증가하였고, 탄력도는 실험 전과 비교하여 87.2%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으며, 모공크기는 실험 전과 비교하였을 때 12.2% 감소하여 이는 실험대상자 스스로가 느끼는 피부만족도와 실제 피부상태의 긍정적인 변화가 결과적으로 일치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피부관리에 대한 실습과 교육이 진행된 후 복지센터기관 이용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관리 실험 전 보다 지원센터 및 기관이용이 매우 증가하였다는 응답이 6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복지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측면에서도 실험 후 한국어교육 35% 뿐만 아니라 취업관련교육 30%, 취미생활교육 15%을 위해 센터를 이용하게 되었다는 응답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이 경험한 피부관리와 그 직업군에 관한 소개는 그들의 피부 상태뿐만 아니라 피부 관리에 대한 관심도와 피부관리 직업군에 관한 호감도, 복지지원센터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로 미루어 보아 그들이 국내 생활 적응에 있어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요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두피 솔루션이 젊은 여성들의 두피모발 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영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11

        최근에는 남성뿐 아니라 여성들에게서도 탈모나 두피의 문제 등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렇게 문제가 있는 두피를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수술, 약물 등의 의학적 관리와 마사지, 아로마 테라피, 푸드 테라피 등의 대체요법이 있으며, 일반적인 관리로는 두피전용 샴푸나 두피 솔루션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의료적 관리는 부작용이 따른 따르며 대체요법적 관리도 부작용은 적지만 의료적 관리와 비슷하게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으나 일반적 관리는 효과는 느리거나 미비하지만 스스로 할 수 있고 의료적 관리나 대체요법적 관리보다는 비용이 적게 들어간다는 장점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탈모와 문제성 두피에 관심을 가지면서 탈모예방·두피보호용 샴푸를 두피전문센터나 미용실, 마트와 홈쇼핑 등에서 구매를 하지만 정작 두피를 보호해주고 영양을 주는 두피 솔루션의 사용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피에 많은 문제를 호소하는 20∼30대 여성32명을 선정하여 두피샴푸만 사용한 C-group과 샴푸+두피 솔루션을 사용한 S-group, 샴푸+두피 솔루션+주 1회 MTS를 실시한 SM-group으로 나누어 2010년 7월 11일부터 9월 5일까지 8주간 사용하게 하여 두피에 대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모든 실험군은 실험 전 일반적인 사항과 두피에 대한 특성을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고, 실험 전, 4주 후, 8주 후 두피진단기를 이용하여 진단하였으며, 실험이 끝나고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group과 SM-group의 두피의 톤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 전과 비교하여 8주 후에는 맑게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두피의 톤이 개선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과도하던 각질들이 적당하게 제거 되어 두피 표면이 깨끗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S-group의 모발의 밀도가 실험 전과 비교하여 8주 후에는 평균 17개가 증가하였고, SM-group은 모발의 밀도가 실험 전과 비교하여 8주 후에는 평균 20.1개가 증가하여 대조군의 평균 3.1개 증가한 것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셋째, S-group의 모발의 굵기가 실험 전과 비교하여 8주 후에는 평균 0.014 mm가 증가하였고, SM-group의 모발의 굵기가 실험 전과 비교하여 8주 후에는 0.016 mm가 증가하여 대조군이 0.03 mm 감소한 것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즉, 샴푸와 두피 솔루션을 사용한 군과 샴푸+두피 솔루션+주 1회 MTS를 실시한 군이 샴푸만 사용한 대조군에 비해 두피의 톤이 개선되었으며, 모발의 밀도와 모발의 굵기도 증가하였다. 만족도 조사에서도 두피에 대한 활력이나 자신감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만족도가 높아 샴푸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두피솔루션과 MTS(미세다륜침)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탈모예방 및 두피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H.)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효과

        김희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11

        민들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taraxasterol, traxacerin, taraxicin, sterol, pectin 등의 성분이 들어 있으며, 오래전부터 독성과 부작용이 없어 사용량의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되어 왔다. 서양에서는 민들레를 변비, 류마티스, 노이로제, 야맹증 등의 치료와 채소나 샐러드로 섭취하고 있으며 꽃과 잎은 목욕 재료로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약용과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과학적인 연구는 일부 식품에 대한 항균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피부미용분야와 관련하여 특히 여드름 치료 관련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들레를 에탄올과 증류수 용매로 추출하여 4종의 여드름 유발균 (Pityrosporum ovale, Propionihacterium acne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여 여드름 균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여드름 균으로 알려져 있는 P. acnes 에 대한 민들레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에탄올 용매 추출물보다 증류수 용매 추출에서 더 높은 세균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Broth dilution test 결과 에탄올, 증류수 용매 추출물 모두 4종의 여드름 균 (P. ovale, P. acnes, P. aeruginosa, S. aureus)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민들레를 에탄올과 증류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모두 4가지 여드름 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보고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식품에 대한 항균성이 이미 입증된바 있는 민들레가 피부미용분야인 여드름 치료에도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자료로 사료된다.

      • 대학생들의 탈모 인식 및 탈모 경험에 관한 연구

        고희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5311

        최근 탈모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탈모가 대학생 시기부터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탈모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 수준이 탈모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탈모예방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구체적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2월부터 4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연구 대상자는 총 304명(남학생 147명, 여학생 157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빈도를 산출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탈모관련 차이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의 각 항목별 탈모 인식 및 탈모 경험 차이 분석은 성별에 따라 탈모 발생 시 대처 방법에서 여학생은 전문 제품 사용이, 남학생은 전문가 상담이 높았고, 탈모 발생 시 해결 방법으로 남, 여학생 모두 두피관리를 받겠다고 하였으며,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전문 제품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계열별에서 탈모 발생 시 대처 방법으로 자연·이공과 예·체능계열 학생은 전문가 상담이 높았으나, 인문·사회계열은 전문 제품 사용이 높았다. 학년별에서 고학년은 저학년에 비해 두피 상태가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고, 탈모 경험 또한 고학년이 저학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탈모 발생 시 대처 방법으로는 저학년은 전문가 상담이, 고학년은 전문 제품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거주유형별에서 자취생은 자택·친척집과 기숙사 생활 학생에 비해 탈모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자각도별 탈모에 대한 관심도와 탈모 경험이 건강하지 못한 편이 건강한 편에 비해 높았고, 전문가상담에서 건강한 편은 두피전문센터를 건강하지 못한 편은 병·의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습관에 따른 탈모 인식 및 탈모 경험 차이 분석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탈모 경험이 높았고, 탈모 발생 시 해결 방법으로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 두피관리가 높았으나, 비흡연자는 흡연자보다 전문 제품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균형식사 여부에서 균형식사 자는 불균형 식사자에 비해 탈모치료 및 관리기관으로 병·의원이 높게 나타났고, 탈모 발생 시 해결 방법으로는두피관리가 높았으나, 불균형 식사 자는 균형식사 자에 비해 전문 제품 사용과 병원 약물치료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수준별 탈모 인식과 탈모 경험 차이 분석에서 탈모에 대한 관심도와 탈모 경험은 고위험 스트레스군, 잠재적 스트레스군, 건강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자취생이 자택·친척집과 기숙사생에 비해, 건강하지 못한 학생이 건강한 학생보다, 흡연자가 비흡연자 보다, 불균형 식사 자가 균형식사 자보다, 그리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탈모에 대한 관심과 탈모 경험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lopecia and it has been known that people starts alopecia at undergraduate period. Therefore, the aim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alopecia i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assess the impact of lifestyle and stress level on the experience of alopecia in this popu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04 undergraduate student (147 males and 157 females) who are commut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between February to April in 201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alopecia according to gender, major, grade, and residential type particularly in the coping method for alopecia incidence. Also, students who perceive less healthy had more interest in alopecia than students who perceive better health status. Second, according to life-style, smokers had more experience in alopecia than non-smokers and non-smoker more utilize special care products. Differences in treatment and management also exist based on balanced diet consumption. Thir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alopecia was different according to stress level. Students who receive more stress had higher interest and experience of alopecia. In conclusion, undergraduate students present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alopecia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stress level. Therefore, distinct treatment and management approached against alopecia may need in this population based on these differences.

      • 등마사지가 근막통증증후군의 비대칭적인 체형변화에 미치는 효과

        이현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5311

        본 연구는 등 경부의 근막통증 증후군을 경험하고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파동 마사지가 통증완화 및 비대칭적 체형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기간은 2006년 6월 20일부터 10월 31일 까지 이루어 졌고 연구대상자는 근막통증 증후군을 경험하고 있고 등 경부의 비대칭적 체형 변화를 갖고 있는 30 대 ~ 60 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대상자의 지각된 통증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10Cm 수평선의 0(통증 없음) -10(아주 심한 통증) 이라고 적은 시각적 상사 척도 (Visual Analogue Scale. 이하 VAS)를 이용하여 대상자가 직접 자신의 통증 자각도를 표시하여 점수화 하였다. (Park 1994: Whitaker & Warfield.1988) 등경부의 비대칭적 체형변화는 모아레 영상 진단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좌, 우의 수평과 수직의 각도와 각의 수를 데이터화 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Microsoft Office Excel 20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기술적 특성을 정리하여 챠트 작성, 평균, 표준편차를 데이터로 정리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제 1가설 : 모아레 측정기를 이용하여 마사지 전, 후에 비대칭적 등부의 체형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 2가설 : 임상군의 마사지 전, 후의 상사 척도를 검사한 결과 통증의 감소를 보였다. Many peopl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re suffering from various kinds of pain. Pains in the back and the vertebral column are common for adults and adolescents. Moreover, among several cases of myofascial pain, many of them also suffer from the change of the spinal cord shape, the bodily asymmetry change. Therefore, pain in the cervical area not only causes muscular pain but also results in bodily asymmetry chan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back massage used in alternative medicine relives pain and recovers one’s healthy beauty.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quantum massage for pain relief and bodily asymmetrical change among women who are suffering from cervical myofasical pain syndrom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purpose is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left and the right muscular asymmetry and the spinal abnormalit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 pain and the bodily asymmetry change and to find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utilizing a precise body figure assessment instrument (moire topography). The second purpose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quantum massage on the bodily asymmetry change. The third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ains and the degree of the body figure change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 application of the quantum massage and to investigate the endurance of the treatment effect for pain decrease and bodily symmetry change.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twenty two women in the thirty’s and fifty’s who had myofascial pain syndrome. They showed bodily asymmetry change on the back around the vertebral column when they were measured with moire topography, a muscular body figure assessment instrument. There were two experimental groups: one group received the massage two times a week and the other group received the massage once a week. Each group consisted of eleven participants and received the massage ten times in total. The research method was to measure the muscular and the bodily asymmetrical change in the cervical, thoracic, lumbar and pelvic regions of spinal column both before and after the quantum massage with moire topography system. In addition, participants marked their own pain perception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both before and after the massage treatment to measure and score the participants’ perceived pai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superior angle, inferior angle, liac crest, and the degree of spinal bodily asymmetry became symmetrical, thereby the values of the asymmetrical angles decreased after the massage. Thus, the massage treatment was effective to recover the body to normal symmetry. First, after five or more times of massage, it was observed that the muscular symmetry persisted. As a result, it is assumed that the quantum massage is at least, partly effective for the musculoskeletal system. Second, the pain relief effect of a massage treatment lasted for more than three days. This result indicates that although one application of the massage hardly affects the asymmetrical bodily change, it decreases stress and cervical pain and in turn, is anticipated to enhance the individual productivity. Furthermore, after measur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of both before and after ten-time quantum massage, most pains were alleviated and the bodily figures became symmetrical Fourth, although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he massage, the faster the decline of the degree of asymmetry, both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persisting period of the symmetry after ten times of the massage treatment. Third, the group A, which received the treatment twice a week, represented faster bodily symmetrical change than the group B, which received the massage once a week. Based on this result, the researcher could infer that the length of lasting muscular adjustment effect which depends on the frequency and the number of the quantum massage application influences the musculoskeletal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at the massage treatment not only decreases pain but also is effective for changing asymmetrical body figures; therefore, it alleviates stress and improves work-related productivity. Moreover, the current research findings support that the quantum massage has less side effects than other physiotherapy methods and yields more customer satisfaction. To firmly establish massage as a treatment method of alternative medicine, more research endeavors that investigate it as a field of physiotherapy and a field of preventive medical treat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only limited information regarding abnormal bodily figure changes that are caused by various vertebral disorders such as vertebral scoliosis and vertebral lordosis. Continuous research effort in terms of massage therapy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cope of the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