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반려동물전공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윤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7391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전공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국의 반려동물전공 전문대학생 378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23일부터 2023년 11월 9일에 걸쳐 온라인 설문지를 진행하였다.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SPSS 2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척도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로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자료의 중심경향성과 산포도, 정규성 검정을 위하여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상관관계는 Pearson 적률상관계수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매개회귀분석 3단계로 분석하였으며, Sobel-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전공 전문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사회적 지지를 충분히 받고 있다고 인지하면서 높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 자신이 유능하고 긍정적이라고 지각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다는 관련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둘째, 반려동물전공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의 효과와 더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말하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셋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변인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평가, 목표설정, 진로계획, 문제해결, 직업정보 수집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부분매개역할과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반려동물전공 전문대학생이 형성하고 있는 자기평가, 목표설정, 진로계획, 문제해결, 직업정보 수집은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부모, 친구, 교수와의 관계를 원만하게 하고 지지적일수록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말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낮은 반려동물전공 전문대학생에게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지지를 제공하고, 부모, 친구, 교수 등 중요한 지지원으로부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받는 인식을 높이는 것이 대학생활의 건강한 성장과 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주제어 : 반려동물전공, 전문대학생,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et-related fiel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October 23 to November 9, 2023, targeting 378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et-related fields across the country. The survey utilized scales for social support,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analysis utilized SPSS 25.0 softwa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scale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ssess central tendency, dispersion, and normality, whil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determine correlations.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Baron and Kenny's three-step approach for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se effects was test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pet-related major college students. This suggests that perceiving sufficient social support and hi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ch leads to the perception of being competent and positive, can enhance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up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 partial mediation effect was foun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upporting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up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artial mediating roles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ere confirmed in all sub-variables, including self-appraisal, goal setting, career planning, problem-solving, and vocational information gathering. This suggests that self-appraisal, goal setting, career planning, problem-solving, and vocational information gathering formed by pet-related major college students not only positively influence college life adaptation but also impact it as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friends, and professors become more familiar and supportive. In conclusion, this data shows that providing support to increase social support among pet-related major college students with low social support, and enhancing the perception of receiv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rom important sources of support such as parents, friends, and professors, can lead to healthy growth and adaptation in college life. *Keywords: Pet major, Vocational College student, Social support, College life adapt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강성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73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college students’ self 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8 college students majored in companion animals volunteering for group art therapy. The group art program was conducted twice or on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in total of 13 times from September 3rd, 2021 to November 26th, 2021. In this research,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adapted by Wan Yong Park and applied by Gyeong Mi Baek(2012) was used for calculating the changes of the self-esteem. For observing the increas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of Seung Gu Lee which was developed by Schlein & Guerney(1971), adapted by Seon Mo Moon(1980), corrected & revised by Seok Kyun Jeon(1995)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20.0 and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realize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In addition, after conducting pre and post Kinetic House-Tree-Person(K-HTP) drawing tests, these chang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al Suk Kim's interpretation standard(2007) and the explanations of participants. Besides, after doing pre and post Kinetic School Drawing(KSD) tests, the changes were analyzed and each session was reviewed according to the Miok Lee & Nanhee Gwon's interpretation standard(2008) and the explanations of participants. The summary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anion animals. The subjects could establish a better positive identity by self identification and acceptance of others in each session. Furthermore, there was a positive change like restoring self confidence and overcoming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formation as their self esteem got increased. Secondly,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anion animals. The subjects could get self-confidence in solving and handling problems and also they showed a stable relationship with others. Thirdly, in each session, the subjects displayed positive changes in positive emotion, self acceptance, self expression and self confidence. To sum up these results, this study verified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 esteem and relationship form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anion animals. Moreover, we could observe a positive communication with other members, formation of self-esteem through encouragement and support,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 confidence.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n empirical data of group art therapy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anion animal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에 소재한 B대학교 반려동물전공 대학생들로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8명을 선별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1년 9월 3일부터 11월 26일까지 주 1회∼2회, 90분씩 총 13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의 의해서 개발된(Self-Esteem Scale)를 박완용(2009)이 번안하고 백경미(2012)가 적용한 것을 재사용하였고, 대인관계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Schlein & Guerney(1971)의 대인관계 변화 (Relationship Change Scale : RCS)척도검사를 문선모(190)가 번안하였고, 전석균(1995)가 수정․보안한 것을 토대로 한 이승구(2020)의 내용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0.0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적 집-나무-사람(K-HTP) 사전·사후 그림검사를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설명과 김말숙(2007)의 해석기준을 토대로 그 변화를 분석하였고, 동적 학교 생활화(KS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설명과 권난희, 이미옥(2008)의 해석기준을 토대로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회기별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대상자는 회기가 진행되면서 자기 인식과 타인 수용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였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어 관계형성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대상자는 주어진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원만한 관계로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회기별 내용에서 대상자는 긍정적인 정서와 자기수용, 자기표현, 자신감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집단원 간의 긍정적인 대화, 격려와 지지를 통해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형성되고 대인관계 향상과 자신감이 강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향후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소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7375

        본 연구는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23년 10월 15일부터 2023년 11월 15일까지 전국 반려동물미용사 남·여 321명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SPSS 2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평가를 위해 Cronbach's α 계수로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의 중심경향성과 산포도, 정규성 검정을 위하여 기술통계로 확인하였으며, Pearson 적률상관관계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매개회귀분석 3단계를 활용하였고, Sobel-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변수들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려동물미용사의 경우 전문직업성이 높고 자기효능감을 유능하고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직무만족도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자기효능감이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중요한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매개효과 및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이한 것을 말하며,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셋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분석한 결과 전문직업과 직무만족도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자신감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반려동물 미용사의 자신감은 직무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로써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는데, 가족과의 관계 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상승되었다. 과제난이도 선호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는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반려동물미용사들의 자기효능감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주제어 : 반려동물미용사,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pet groomers. The study targeted 321 male and female pet groomers nationwide from October 15, 2023, to November 15, 2023.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scales for professional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during this period. The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Population demographic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utiliz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s. Furthermor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examine the central tendency and dispersion of the data and the correlation relationships were confi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Next, the three-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was utilized to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professional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or pet groomers. For pet groomers, it was observed that higher level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self-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job satisfaction. Secondly, the results of self-efficacy among pet groomers indicated the presence of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pet groomers.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atistical testing of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indirect effect. This indicates that, along with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pport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Thirdly,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ub-factors of self-efficacy among pet groomers revealed that 'confidence'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confidence of pet groomers positively influences job performance, thereby indicating the potential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efficacy' was also verified. There was a tendency for job satisfaction to increase as the ability to regulat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improved. Finally, it was found that as the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increased, self-efficacy,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lso increased. In summary, the comprehensive findings of this study verify that the self-efficacy of pet groomers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 Keywords: pet groomers, professionality,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 동물매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조병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7375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S시에 위치한 A고등학교 1학년 6명을 실험집단으로, B고등학교 1학년 6명으로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기간은 동물매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2023년 9월 8일부터 10월 27일까지 주 2회, 회기당 5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를 동물매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연구대상에게 실시하여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검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비모수 검정(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회 활동일지를 작성하였으며 회기 및 단계별 대상자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대상자들은 동물매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자신의 생각과 감정 등을 표현하는 능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초기에 대상자들은 새로운 과제에 자신감이 부족한 모습이 있었지만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동물매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회기 및 단계별 질적 변화를 통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자는 치료도우미견과의 교감과 집단원 간의 상호작용으로 부정적인 정서는 감소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찾아가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동물매개활동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동물매개 집단상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using animal-assisted activities on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in education welfare target. The participants were six first-year students from A High School in S City. The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8, 2023, to October 27, 2023, for 50 minutes twice a week, totaling 12 sessions. The change in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a self-efficacy scal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the Mann-Whitney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test results. Furthermore, activity logs were kept for each session to analyze the qualitative changes in participan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program positively impacted the self-efficacy of the adolescent targeted for educational welfar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showed an enhanced ability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lso,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they exhibited a lack of confidence in new tasks, but gradually became more active as the sessions progressed, suggesting an improvement in self-efficacy. Second, upon examining the qualitative changes in self-efficacy per stage and session of the program,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participants. Through interaction with a therapy assistance dog and group members, the participants opened up, showing a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and the development of a more positive self-image. Therefore, the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been proven effective in enhancing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targeted for educational welfare, highlighting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uch programs for adolescents in education welfare target.

      •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의사소통과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효과=

        이미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737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employing animal-assisted activities on the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e of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The research involved 28 children from an after-school care center in S city, divided into experimental (14 children) and control groups (14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group counseling sessions utilizing animal-assisted activities twice a week for 40 minutes each, totaling 14 sessions from April 10th to May 22nd, 2023,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ake in the program.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the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e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 software.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communication skill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observed following group counseling employing animal-assisted activities.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socio-emotional competence was noted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group counseling utilizing animal-assisted activities. Third, the application of group counseling with animal-assisted activities demonstrated positive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e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over the course and stage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exhibited increased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s as the program progressed, actively engaging in the animal-assisted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e positive effect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utilizing animal-assisted activities on the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e of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It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foundational and empirical data for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animal-assisted activities programs tailored for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settings.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의사소통과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초등돌봄교실 아동 28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을 2023년 4월 10일부터 5월 22일까지 주 2회 40분씩, 총 14회기를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의사소통과 사회정서역량을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의사소통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사회정서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회기 및 단계에 따라 의사소통과 사회정서역량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집단원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동물매개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의사소통과 사회정서역량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돌봄교실 아동을 위한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성과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의사소통과 사회정서 역량에 미치는 효과=

        양지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7375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on the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ie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adolescents receiving educational welfa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applied to adolesc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rom April to July 2023, involving participant selection, pre-testing, implementation of the counseling sessions, post-testing, and result analysis. Participants included 11 students from S Middle School in S Cit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venience sampling, and 11 students from G Middle School in G Cit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sessions on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totaling 20 session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for both groups, with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ies measured using quantitative scal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and the method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pre-test phase. Secondly, paired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inally,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bilities of adolescents in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 group. Post-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ly,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positively affected the socio-emotional abilities of the adolescents. Post-program,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cio-emotional competenci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verifies that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effectively enhances the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ies of adolescents receiving educational welfar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animal-assisted activities not only improve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adolescents receiving educational welfare but also enhanced their understanding and empathy towards others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rapy animals. Furthermore, it provided assistance in improving their social skills through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implications of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programs.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의사소통 역량과 사회정서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이 적용된 집단상담의 참여자를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으로 선정하고 S시 소재와 G시 소재 재학중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2023년 4월 5일부터 7월 26일에 걸쳐 대상자 선정, 사전검사, 동물매개활동 집단상담 실시, 사후검사, 결과 처리 순으로 검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시행한 후, 실험집단에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을 주1회 각 9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의사소통 역량과 사회정서 역량의 양적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모수통계 검증방식인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사후검사 결과에 따른 평균 점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검증으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의사소통 능력 전체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사회정서 역량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후, 실헙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사회정서 능력의 전체에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사회정서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정서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들에게 도우미견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하는 태도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켰을뿐 아니라, 또래와의 사회성 향상으로 동물매개활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키워드 : 동물매개활동, 동물매개집단상담, 의사소통 역량, 사회정서 역량

      •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소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생명존중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선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7375

        이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소집단 상담이 초등학생의 생명존중 및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A초등학교의 남학생 3명이며, 2023년 8월 17일부터 9월 14일까지 총 21회기에 걸쳐 주 2회, 회기당 60분 동안 진행하였다. 생명존중 변화는 생명존중 척도와 K-HTP 그림검사를 하여 결과를 사전, 사후, 추후 비교 분석하였고, 대인관계는 대인관계 척도와 KSD 그림검사를 하여 결과를 사전, 사후, 추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생명존중과 대인관계의 변화 과정을 회기 및 단계별로 질적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소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생명존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HTP 그림검사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가족과의 관계 단절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성이 관찰되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불안감이 감소하고 주변 환경에 관한 관심과 애정이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소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SD 그림검사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협동성 부족과 소극적인 상호작용이 관찰되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협동성과 의사소통이 향상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소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생명존중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별 질적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활동 초기에는 다양한 생명존중과 공감 능력이 부족하고 대인관계에 소극적이며 부정적인 인식이 관찰되었으나, 동물매개활동 과정을 통해 타인과 주변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보였으며, 상호교류와 협동,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증진되어 생명존중과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소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생명존중과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경험적 연구 사례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unseling with animal-assisted activities on enhancing life resp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three male students from O Elementary School in S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21 sessions from August 17 to September 14, 2023, with two sessions per week, each lasting 60 minutes. Changes in life respect were analyzed pre-, post-, and follow-up using the Life Respect Scale and the K-HTP Drawing Test, whil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analyzed us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and the KSD Drawing Test. Additionally, the changes in life resp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subjec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y session and pha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ll group counseling with animal-assisted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life respect, as indicated by an increase in overall life respect scores. According to the K-HTP Drawing Test, emotional instability due to severed family relationships observed in the pre-test decreased post-intervention, with an increased interest and affection toward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econd, the intervention also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an overall increas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s. The KSD Drawing Test results indicated an improvement i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contrasting with the pre-test observations of lack of cooperation and passive interactions. Thir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small group counseling on life resp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vealed that initially, the students showed a lack of respect and empathy towards various life forms and were somewhat passive and negative in their relationships. However, through the course of the animal-assisted activities,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s towards others and the environment were observed, along with enhanced mutual interactions, cooperation, and active communication, positively impacting both life resp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confirm the positive impact of animal-assisted small group counseling on enhancing life resp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ing its valuable application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ettings as an experiential research case.

      • 국내 아동?청소년 대상 동물매개중재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김다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7375

        본 연구는 국내 아동・청소년 대상 동물매개중재 연구들을 분석하여 동물매개중재의 효과성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간 출간된 국내 아동・청소년 대상 동물매개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들 중 PICOTS-SD 기준에 적합한 40편의 연구를 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에서 사용된 45개의 종속변인을 정서, 인지, 사회, 행동적 변인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동물매개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을 찾아내고자 R 4.3.1과 R studi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숲 그림을 통해 개별연구의 질을 평가하고, 선정된 연구들의 평균 효과크기와 회귀계수를 산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trim & fill 기법으로 출간오류 검증과 Higgins I²로 이질성 검증을 진행하여 산출된 통계치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중재가 아동・청소년에게 0.82의 큰 효과크기를 보여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재검증함으로써 동물매개중재의 효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동물매개중재가 전체 아동・청소년에게 인지적(1.05), 사회적(1.013), 정서적 변인(0.808)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동물매개중재가 장애 아동・청소년에게는 사회적(0.99), 정서적(0.88), 인지적(0.68)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비장애 아동・청소년과 상이한 결과로, 대상자의 특성인 장애 여부가 동물매개중재의 효과성에 조절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최근 10년 간 국내 아동・청소년 대상 동물매개중재 연구 효과성의 메타 회귀계수는 0.123으로 도출되었고, 출간연도에 따라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최근 10년 간 출간된 연구를 기반으로 동물매개중재가 아동・청소년에게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검증과정에서는 기본적인 통계적 분석법뿐만 아니라 객관성 확보를 위한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더욱 신뢰도 높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국내 동물매개중재를 연구하는 데 있어 객관적인 수치적 근거를 제공하고 대상자별 특성에 맞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by analyzing research conducted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focuses o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3 and 2023 that applie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omestically, validating their effectiveness using the PICOTS-SD criteria. Through expert validation, 40 studies were ultimately selected, categorizing 45 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se studies into emotional, cognitive, social, and behavioral variable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and identify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R 4.3.1 and R Studio program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Individual study quality was assessed via forest plots, and average effect sizes and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studies were calculated. Publication bias was evaluated using the trim & fill method, and heterogeneity was assessed using Higgins I², ensu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ing statistical values.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n average effect size of 0.82. This reaffirms the validity of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by revalidating previous research findings. Second,animal-assisted interventions showe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ognitive variable(1.05), social variable(1.013), and emotional variables(0.808), in that order. Third,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in the following order: social variable(0.99), emotional variable(0.88), and cognitive (0.68). This disparity from non-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dicates that the presence of disabilities among participants moderates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Fourth, the meta-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effectivenes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over the last decade was calculated as 0.123, demonstr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statistically verifies the positive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highlighting the varying effects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Moreover, it provides quantitative evidence for researching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domestically and emphasizes the need for tailored studies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numerical evidence for researching domestic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and proposing the necessity for studies tailored to participant-specific characteristics.

      •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온라인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신뢰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7375

        이 연구는 대한민국의 반려동물 양육가구를 대상으로 온라인 구매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그리고 재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23년 10월 23일부터 11월 3일까지 웹 기반 인프라를 활용하여 실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18세 이상의 반려동물 양육가구 478곳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문답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반려동물 제품 시장에서 소비자 행동의 핵심 동인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개발을 위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도구는 Data coding 및 Data cleaning을 실행한 후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 가지 주요 가설이 검증되었다. 고객 만족도가 브랜드 신뢰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H1을 지지하였다. H2는 브랜드 신뢰도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3는 온라인 구매 만족도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4는 브랜드 신뢰도가 온라인 구매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 사이에서 중요한 중재 소임을 수행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은 이 네 가지 가설 모두가 확인되었고, 온라인 구매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도(β = .432, p < .001), 브랜드 신뢰도와 재구매 의도(β = .351, p < .001), 온라인 구매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β = .284, p < .001) 사이에 유의미한 긍정적 관계가 관찰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반려동물 제품 시장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도를 향상하는 전략이 고객의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객 충성도 및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의 전략적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 연구는 반려동물 제품 시장에서의 소비자 행동에 대한 더 깊은 이해에 이바지하며, 향후 마케팅 및 소비자 행동 연구 분야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반려동물 양육가구, 온라인 구매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재구매 의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among pet-owning households in South Korea. Conducted from October 23 to November 3, 2023, utilizing web-based infrastructure, it surveyed 478 pet-owning households with individuals aged 18 and above. The main objective was to understand the key drivers of consumer behavior in the pet product market an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e research tools included data coding and cleaning, followed by comprehensive analysis using SPSS 25.0. Four principal hypotheses were tested: H1 posit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brand trust; H2 indicated that brand trus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s repurchase intention; H3 suggested that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mpacts repurchase intention; and H4 proposed that brand trust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all four hypotheses, revealing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β = .432, p < .001), brand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β = .351, p < .001), and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β = .284, p < .001).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pet product market, demonstrating that strategies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positively influence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s.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focusing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to achieve customer loyalty and sustainable business success. Additional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in the pet product market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future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studies. * Keywords : Pet-owning Households,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Brand Trust, Repurchase Intention, 반려동물 양육가구, 온라인 구매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재구매 의도

      • 긍정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미용강사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주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7375

        본 연구는 긍정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미용강사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 소재 애견미용학원강사 9명을 대상으로, 긍정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2022년 8월 3일부터 9월30일까지 90분씩 주 1∼2회로,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의 변화 분석에 대한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연구대상의 상태를 집단미술치료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 사용하였고, 검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는 K-HTP 그림검사, PITR그림검사를 연구대상의 집단미술치료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회기의 활동을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반려동물미용강사의 자기효능감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후 K-HTP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나무가 작고 상흔이 있거나 사람의 얼굴표정이 없거나 뒷모습을 표현하였다. 사후검사에서는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나무와 사람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움직임의 표현으로 집단원 간의 긍정적인 유대감과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하였다. 둘째, 긍정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반려동물 미용강사의 스트레스대처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PITR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대처자원이 부족하고 사람의 표정 생략과 경직된 자세를 표현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우산, 우비, 장화 등의 직접 보호물과 얼굴표정의 생동감 있는 표현으로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긍정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단계별 진행과정에서 적극적인 자기표현과 공감대 형성을 통해 부정정서를 소거시키고 긍정적 자아상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긍정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미용강사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검증을 하였으며, 반려동물 미용강사의 미술치료와 심리적 상담의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on the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 ability of companion animal beauty instructor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9 instructors at a dog beauty academy located in "P" city, Gyeonggi-do.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was conducted for instructors at dog beauty academy from August 3, 2022 to September 30, for 9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total of 14 sessions. The self-efficacy scale and the stress response ability scal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group art therapy were examined using the self-efficacy scale and the stress response ability scale. For data processing,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and a paired-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est result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the K-HTP picture test and the PITR picture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ults of each session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step by step.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ositive psycholog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eneral self-efficacy of companion animal beauty instructors' self-efficacy.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K-HTP art test showed that the trees were small, scarred, no human facial expression, or the people were showing back. After the group art therapy, in the test conducted after the picture test, a positive bond and positive self-image between group members were formed by expressing the specific and detailed movements of stable trees and positive people. Secon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ositive psycholog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ress response ability of a companion animal beauty instructor.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PITR picture test lacked coping resources to cope with stress and expressed human facial expression and rigid posture, but the test conducted after art therapy showed that the stress response ability was improved by drawing umbrellas, raincoats, boots, and human facial expressions and active posture. Thir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each sess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they erased negative emotions and sought positive self-image through active self-expression and consensus formation.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 ability of companion animal beauty instructor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he need for art therap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o companion animal beauty instru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