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안도시지역에서 선박배출원을 고려한 대기질 수치모델링

        원경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a numerical modeling of air quality considered shipping sources in coastal urb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nalysis for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sources in Pusan Metropolitan City show the amount of SO_(2) emission is increasing after decreasing, TSP and Co decreasing, HC a little increasing and NO_(2) remarkably increasing. Most of the emission amount is by SO_(2) and NO_(2).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emission amount for respective pollutant sources is that transport by oil consumption and ship or something rather than automobile has occupied most of the emission amount. In terms of air quality, SO_(2) TSP and CO concentrations are decreasing and O_(3)is remarkably increasing. The frequencies for NO_(2) and O_(2) concentration exceeding short term environmental standard has increased. 2. The estimation of pollutants emission amount in inland and coastal area shows that the ratios of the latter to the former amounts are 12.2% for NO_(2) and 11.7% for SO_(2), even though coastal area is smaller than inland.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air quality of coastal urban area considerably counts on ships. 3. The distribution of emission amount of NO_(2) and SO_(2) from ships arriving and departure or at anchorage at harbors shows that the emission rate at north harbor, especially Shinsundae and Jasungdae which are full of container ships, is highest. As for the kind of ships, 65% of total emission is due to container ships. The emission rate of NO_(2), SO_(2) is 2.5 and 2.8times raised at anchorage compared with on a run,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amount of air pollutants from ships at anchorage in the coast during loading can fairly affect inland area. 4. It can be predicted that pollutants emitted from piers can affect inland, especially Dongnae, and coastal area and those emitted from Sasang and Janglim industrial complex can affect Hwamyeong and coastal, respectively. 5. The diurnal change of deposition velocity, compared with observation data, depends on irradiances and winds at daytime and night, respectively. The deposition velocity at daytime was 1.0∼2.0cm/sec by sea breezes and topography. The concentration was low at daytime when deposition flux is high, and deposition effect on industrial complex and Dongnae region is considerable in particular. 6. The concentrations around coastal and pier area can be explained by emissions from in coming and out going ships. The emissions from ships result in concentration difference of 8.5ppb, 8ppb, 7.5ppb in O_(3) So_(2) and NO_(2), respectively. 7. The air quality model results including emissions from ships show that the diurnal variation pattern of respective pollutnats is consistent with observed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as a whole.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ships need to be considered as a emission source in modeling coatal urban area, and that the photochemical reaction and deposition had considerable effect on predictive concentration. Currently, restriction for emission amount of ships does not exist, so the authorities have to set the standard and take a measure to meet the situation. And coastal urban area needs particular air - cleaning law.

      • 연안지역 SST공간분포가 국지순환과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

        전원배 부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Sea Surface Temperature(SST) spatial distribution on regional circulation and air pollution. A three-dimensional non-hydrostatic atmospheric model RAMS, version 6.0, was applied to examine the impact of SST forcing on regional circulation. New Generation Sea Surface Temperature(NGSST) data were implemented to RAMS to compare the results of modeling with default SST data. We conducted simulations for three cases. First was the case with NGSST data(Case NG), second was the case with RAMS monthly data(Case RM) and third was the case with seasonally averaged RAMS monthly data(Case RS). Case NG showed accurate spatial distributions of SST but, the results of RM and RS were 3∼4℃ lower than buoy observation data.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patial SST distributions, horizontal temperature and wind field were different in each case. Case RM and Case RS showed similar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and wind field but, Case NG estimated the intensity of sea breeze weakly and land breeze strongly. Thes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temperature gradient caused by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s of SST. Diurn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wind speed for Case NG indicated great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 data and statistics such as root mean squared error, index of agreement, regression were also better than Case RM and Case RS. In order to find the impact of the difference of the meteorological input data to air quality modeling, we also conducted numerical simulations using CAMx. Horizontal distribution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Simulated ozone concentrations were different in each cas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meterological input data that affect advection and diffusion of many pollutants. Time series of ozone concentrations for Case NG indicated great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 data and statistics such as root mean squared error, index of agreement, regression, mean bias were also better than other cases. From above numerical experiments, we confirmed that spacial distributions of SST have influence on regional circulation at coastal area and the difference of the meteorological input data due to different SST forcing also have influence on the results of air quality model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improve the prediction ability of air pollution at complex coastal area by enhancing modeling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기상 입력 자료의 개선을 통해 대기질 수치모의 결과의 향상을 도모 하고자, 광양만 권역을 대상으로 해수면 온도의 분포 특성에 따른 대기유동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약한 종관장과 높은 기온으로 인해 국지 순환장의 차이가 잘 나타날 수 있으며, 고농도 오염현상이 발생했던 2007년 8월 24일부터 26일까지를 수치모의 사례기간으로 선정하였고, 복잡한 해안선의 형태를 잘 고려해 주기 위해 고해상도 지표 경계 자료를 적용하였다. 중규모 기상모델인 RAMS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일평균 해수면 온도자료인 NGSST자료를 사용 한 경우, RAM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월평균해수면 온도자료를 사용한 경우, RAMS의 월평균자료를 여름철 계절 평균한 자료를 사용한 경우에 대한 세 가지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해수면 온도 모의 결과 NGSST를 사용했을 때 난류에 의한 고온역과 해안선의 형태에 따른 국지적 해수면 온도분포의 특징이 잘 표현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수면 온도 분포의 차이에 따른 기상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높아진 바다의 온도로 인해 내륙과의 온도경도가 변화하여 해풍의 경우 풍속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반대로 육풍의 경우는 풍속이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경계조건의 변화가 대상지역의 기상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상위도메인에서의 해수면 온도분포 차이가 경계면에서의 열역학적 차이를 유발하여 대상영역의 수평기상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상장 수치모의 결과에 대한 객관적 검증을 위해 관측값과의 시계열 비교를 실시한 결과 NGSST 자료를 사용 했을 때 관측값과의 일치도가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통계분석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한편, 해수면 온도분포 특성에 따른 기상장의 차이가 대기질 수치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AMx를 이용한 대기질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기상 입력자료만을 달리하여 기상장의차이가 대기질 모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기상장의 차이가 나타났던 지역을 중심으로 오존농도의 수평분포에 차이가 나타남을 확일 할 수 있고, 관측값과의 비교 및 통계분석 결과 NGSST자료를 이용한 기상장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상장 및 대기질 수치모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확한 해수면 온도분포의 반영으로 실제와 더 유사한 기상장이 표출될 수 있었고, 개선된 기상장을 대기질 모델의 기상 입력 자료로 사용했을 때 대기 오염물질의 이류 및 확산이 좀 더 현실적으로 표현되어 수치모의 결과가 향상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복잡한 연안지역의 기상장 개선에 따른 대기질 수치모의 결과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연구는 대기질 모델에 사용되는 기상입력 자료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져서 연안지역의 오염물질 수송 및 확산 연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Effects of air-sea interaction on fog and snowstorm over the ocean : with the use of a coupled model

        허기영 부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19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mplications of using a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to simulate mesoscale weather phenomena including sea fog and snowstorms. An improved depic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which is the application of a simulated SST in the ocean model during the atmospheric model integration, leads to a better simulation of reasonable vertical fluxes and boundary layer structure. The purpose of coupling the atmospheric and ocean mesoscale models is to consider the best mutual forcing and thus to best simulate the response of the atmosphere and ocea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ysical processes of air-sea exchange that strongly affect the air-sea interaction in both the oceanic and atmospheric boundary layers. To understand the physical processes of air-sea interaction in sea fog and snowstorms, air-sea coupling is implemented in this study. In terms of air-sea coupling in the development of sea fog, the results show different mechanisms for advection fog and steam fog. The feedback of advection fog is enhanced by the increase in the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An enhanced cooling of the air temperature in the boundary layer over the cooler ocean surface increases the condensation of water vapor and strengthens stable stratification. The stabilized low-level atmosphere causes a decrease in wind speed and restricts the downward mixing of drier air. However, the decrease in the wind speed results in a weakening of turbulence and wind stress. The weakened wind stress limits a decrease of turbulent mixing in the ocean, which increases the SST. That is a negative feedback mechanism.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team fog is mainly affected by the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The warming of the ocean surface acts to increase evaporation from the ocean, and then the quantity of water vapor in the low-level atmosphere is increased. However, the SST warming increases the upward transport of fog water and downward mixing of drier air, and then fog dissipation. Evaporation due to the strengthening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plays a key role not only in the formation of steam fog but also in its dissipation. Therefore, the effect of air-sea interaction changes or maintains the atmospheric stability by the variability of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and wind speed, which determines the duration and dissipation time of sea fog. The evolution of the mesocyclone over the western coast is discussed in three stages. These are the initial stage, the developing stage, and the mature stage. In the initial stage of mesocyclone formation, the mesocyclone is generated by the barotropic shear instability in the horizontal shear zones where the convective cloud bands exist as relatively large cloud clusters. In the developing stage, the mesocyclone is developed by enhanced convection, anomalous cyclonic circulation, and the baroclinic instability corresponding to surface diabatic heating and moistening from the warm ocean. The increment of the latent heat flux is about two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sensible heat flux. The high-VIMFC is presented 3 hours earlier than the heavy snowfall. These conditions produce a good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convective clouds and the snowstorm itself. In the mature stage, two convective clouds, one moving eastward, the other stagnant, merge together and increase in thickness. The upward motion is increased by the convective instability around the center of the mesocyclone due to enhanced low-level surface heating and an interaction between upper- and low-level PV anomalies. The moisture flux convergence and the convection intensified by the development of convective mixed layer lead to the formation of the severe snowstorm. The air-sea coupling results in important structural modifications for the amount of snowfall. The coupling enhances the magnitude of low-level convergence by decreasing wind speed that increases the upward motion where the decrease in turbulent heat flux weakens a pressure gradient force around the center of mesocyclone. We can conclude that the time variation of the SST has to be considered in simulating or forecasting sea fog. The time variation of the SST affects the development of meteorological phenomena due to adjustments in the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atmospheric stability, and supplement of water vapor. Especially, that affects the duration and dissipation time of advection fog and the dissipation time of steam fog. Therefore, a sea fog simulation has to consider the effect of air-sea coupling. When simulating and forecasting snowstorms by air mass modification, the variation of the SS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mount of snowfall although the variation is small value of about 0.5 K; the specific heat of the ocean is four times that of the atmosphere. Model comparisons show that the strength of the snowstorm over the cooling SST region is affected more by changes in low-level wind than by the turbulent heat flux at the ocean surface. The time variation of the SST has to be considered when simulating or forecasting snowstorms 대기에 존재하는 수분 사이클과 관련된 악기상은 해양 상에서 형성되어 발달하거나 이동하면서 연안 지역에 피해를 야기한다. 특히 안개 현상과 폭설 현상은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메커니즘이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현상의 지속 시간과 발달에 대한 예측성이 매우 낮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해양 모형 접합을 통해 해무와 폭설의 발달에 미치는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규모 대기모형인 COAMPS와 중규모 해양모형인 ROMS가 접합되어 사용되었다. 이류무는 차가운 해수면 위로 온난다습한 이류가 있을 때 형성되며, 안개 발생 이전에 강한 난류 혼합이 안개 형성을 제한한다. 해수면 온도와 풍속의 감소로 인해 대기가 안정화되면서 이류무가 발생하는데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해수면 온도 감소로 인한 해기차의 증가는 경계층 내의 기온의 냉각을 가져오고 수증기의 응결을 증가시킨다. 또한 대기를 안정하게 만들어 풍속을 약화시키고 건조공기와의 혼합을 제한하여 안개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풍속의 약화는 난류와 바람 응력을 약화시킴으로써 해양의 혼합을 억제한다. 이것은 해수면 온도의 증가를 유발하여 안개를 소산시키는 효과를 준다. 증기무는 따뜻한 해수면 위로 차고 건조한 공기의 이류가 있을 때 형성되며 증기무의 농도는 해기차에 의해 결정된다.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수면은 증발을 통해 대기 하층의 수증기를 증가시키지만, 불안정을 야기하여 안개를 약화시키는 효과를 주기도 한다. 증기무 역시 이류무와 마찬가지로 대기 하층의 안정도가 안개의 농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이것은 해수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므로 해기차는 증기무의 형성에도 중요하지만 소산과정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는 해기차 변동과 풍속 변화로 인한 해수면 위의 대기 안정도 조건을 변화시키거나 유지함으로써 지속 기간과 소산 시간을 결정하게 된다. 기단변질에 의해 발생한 폭설의 주요 원인은 중규모 저기압의 발달과 연관되어 있으며, 대기 하층의 시어 지역에서 발달한 순압불안정과 비단열 가열에 의한 경압불안정, 강한 대류가 중규모 저기압을 발생시켰다. 강한 대류불안정과 상-하층 잠재와도의 상호작용이 강한 상승운동을 유발하여 중규모 저기압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하였다. 저기압 중심 부근에서 대류불안정과 더불어 지속적인 하층의 수증기속 수렴으로 인해 대류운이 더욱 강하게 발달할 수 있었다. 중규모 저기압이 발달하는 동안 해수면 온도는 북풍을 타고 이동한 해류로 인해 특히 저기압 중심부근에서 0.5oC가량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해수면 온도의 감소는 지표의 열속과 저기압의 강도를 약화시켰으며, 수평 기압경도를 약하게 하였다. 약화된 수평기압 경도는 이 지역의 풍속 감소와 수렴을 가져와 상승운동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 지역에서 최대 강설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해무와 폭설 같은 중규모 기상현상을 예측하거나 모의함에 있어서 해수면 온도의 시간 발전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해기차의 조절뿐만 아니라 해상 위의 대기 안정도 및 대기로의 수증기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기상 현상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류무에는 지속기간과 소산시간, 증기무에는 소산시간, 폭설에 있어서는 하층 수렴과 강설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기-해양 접합의 효과는 해무의 발달 및 소산 과정을 정확히 모의하기 위해서, 그리고 폭설 강도의 예측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 도로변 대기오염 노출평가를 위한 하이브리드 대기질 모델링의 적용과 평가

        강윤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19

        Exposure to roadside air pollution is a major environmental health problem in urban area. This is not only because of the magnitude of its emissions, but also because pollutants are emitted in close proximity to people, thus enhancing exposure levels. A number of studies have continuously documented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roadside air pollution and adverse health effects (e.g.,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mpaired lung function). Furthermore, as growth of car amount and higher densely population in city, the impacts of vehicle emissions are increased. Concentrations of traffic-related pollutants show dramatic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on-road and near environments. This variations leads to significant uncertainty in quantifying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exposures. Previous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largely relied on spatial approaches for exposure assessment to traffic including proximity-based, GIS-based and interpolation models. However, air pollutants induced by traffic nearby road regions is needed high resolution spatial distributions using meteorological-dispersion modeling.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hybrid modeling approach was adapted to predict the ambient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The hybrid modeling approach is the method to join two model, regional air quality model and local dispersion model. I selected that regional air quality model and local dispersion model are CMAQ and CALPUFF, respectively. The study domain is Songpa area (4 km × 4 km) with a 200 m horizontal resolution in Seoul, and the study period is on June, 2014.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present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raffic-related air pollutants near roadsides using high resolution hybrid modeling approach and evaluate this approach as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 data. Results from the hybrid air quality modeling approach have been compared with CMAQ and CALPUFF modeling results. The CMAQ modeling cannot accurately characterize “hot spots” and will typically underestimate maximum potential air quality level. The grid model such as CMAQ, emissions get diluted into a 1 × 1 km2 grid and the transport and dispersion of the pollutants between adjacent cells takes place following the concentrations gradients tending to smooth out the concentrations distribution. In the CALPUFF modeling, both NO2 and PM10 concentrations in the major roads are higher than those in the outskirt of Seoul. The CALPUFF model is not considered about secondary air pollutants from the photochemical reactions. The NO2 and PM10 distributions provided by the hybrid modeling approach show shaper gradients than those calculated with the 1 km nested CMAQ model. The averaged NO2 and PM10 concentrations from the hybrid air quality modeling approach are about 28.7 ppb and 34.8 ㎍/m3 like the CMAQ modeling results, but the hybrid air quality modeling approach can resolve fine-scale traffic-related pollutant variability near roadside areas.

      • 열대 해양에서 해수면온도와 동서 대기순환이 구름-복사강제력에 미치는영향

        이우섭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국문초록 열대 해양에서 해수면온도와 동서 대기순환이 구름-복사강제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대기과학과 대기과학 전공 이우섭 이 연구에서는 ERBE, ISCCP D2 그리고 NCEP/NCAR 재분석 자료를 사용하여 열대 해양에서 나타나는 구름-복사강제력이 해수면온도 및 대기 순환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사용한 자료의 기간은 ERBE 자료가 이용 가능한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5년간이다. 구름-복사강제력은 ERBE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구름자료는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으로 구별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열대 태평양에서 나타나는 구름-복사강제력의 지역적 보상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열대 중태평양 (10S-10N, 180E-90W)에서부터 열대 해양 (30S-30N)으로 점차 지역을 넓히면서 10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해수면온도와 구름-복사강제력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이 분석은 계절변동이 제거된 자료 (편차자료)와 제거하지 않은 원래의 자료(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편차자료를 사용한 경우, 열대 태평양에서는 해수면온도가 1℃ 증가할 때 장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 (LWCRF)은 약 7.3, 단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 (SWCRF)은 약 -4.4를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해수면온도의 증가와 연관되어 구름은 대기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면 지역이 점차 넓어질수록 구름-복사강제력의 크기는 점차 감소하여 처음의 부호와 반대의 부호를 나타냈다. 특히, 열대 해양 전체에 대해서 해수면온도가 1℃ 증가할 때 장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 (LWCRF)는 약 -3.4, 단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 (SWCRF)는 약 1.9를 나타냈다. 따라서 비록 해수면온도의 경년 변동이 뚜렷한 열대 태평양에서 해수면온도의 상승에 따른 구름의 변화가 대기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하더라도 열대 해양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면 오히려 구름이 대기를 냉각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계절변동을 제거하지 않은 원시자료를 사용한 경우, 열대 중태평양에서는 해수면온도가 1℃ 증가할 때 장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 (LWCRF)는 약 6.7, 단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 (SWCRF)는 약 -3.2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편차자료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와 정성적으로 잘 일치한다. 다만 그 크기가 작아졌다. 따라서 열대 중태평양의 경우 해수면온도에 대한 구름-복사강제력의 의존도는 경년변동이 지배적이며, 계절변동은 그 의존도를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지역이 점차 넓어질수록 구름-복사강제력의 크기는 점차 감소하여 해수면온도에 대한 의존도가 약하게 나타난다. 특히, 열대 해양 전체에 대해서 해수면온도가 1℃ 증가할 때 장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 (LWCRF)는 약 0.2로 매우 작으며, 단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 (SWCRF)는 약 2.7로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계절변동과 경년변동의 영향이 포함된 경우 열대 중태평양에서 뿐만 아니라 열대 해양 전체에서도 해수면온도의 상승에 따른 구름의 변화가 대기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해수면온도의 경년변동이 뚜렷한 열대 태평양에서는 경년변동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이 대기를 가열하는 반면, 열대 해양 전체에서는 계절변동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이 대기를 가열한다.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해수면온도의 증가에 따른 구름-복사강제력의 공간분포를 조사한 결과, 적도에 중심을 둔 인도양 및 서태평양 일부 해역에서는 열대 태평양의 대부분 지역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정반대의 특성을 보였다. 즉, 적도에 중심을 둔 인도양 지역은 해수면온도가 높을 때 장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이 대기를 냉각시키며, 단파복사에 의한 구름-복사강제력이 대기를 가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해수면온도가 상승할 때 상층운과 중층운은 적었으며, 하층운은 많았다. 즉, 이 지역은 해수면온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하강운동에 의해 대류활동이 억제되어 하층운만 증가하고, 상층운과 증층운이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열대 태평양 지역의 경우는 해수면온도가 증가할 때 중층운과 상층운은 증가하며, 하층운은 대체로 감소하였다. 즉, 열대 태평양 지역의 대부분은 인도양과 달리 해수면온도의 증가에 의해 대류활동이 강화되고 이로 인하여 중층운과 상층운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인도양에서 나타난 구름-복사강제력의 특성은 열대 태평양과는 달리 해수면온도의 변화에 의해 야기된 것이 아니라 동서순환과 연관된 하강운동에 의해 야기된 구름의 변화에 의해 나타난 것이다. 열대 태평양에서 해수면온도가 증가하면서 나타난 하층운의 감소는 상층운의 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층운을 적게 탐지하는 위성자료의 특성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Influence of Sea Surface Temperatures and Zonal circulation on Cloud-Radiative-Forcing in the Tropical Ocean Woo-Seop Lee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aeng-Ki Kim) The regional dependency of cloud-radiative forcing at the top of atmosphere is studied using ERBE, ISCCP D2 and NCEP/NCAR reanalysis data for 60 months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89 over tropical ocean. This analysis is done for raw and monthly anomaly data, respectively. In the interannual time scale, the dependency of cloud-radiative forcing 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over tropical Pacific ocean is about 7.3 for longwave radiation and about -4.4 for shortwave radiation, respectively. It means that the net cloud-radiative forcing due to the increase of sea surface temperature over tropical Pacific ocean make the atmosphere to be heated. But the dependency is reversed over all the tropical ocean with -3.4 for longwave and 1.9 for shortwave radiation, indicating that the net cloud-radiative forcing make the atmosphere to be cooled over all the tropical ocean. In raw data including seasonal cycle, the dependency of cloud-radiative forcing over the tropical Pacific ocean is very similar to that in interannual time scale in both the magnitude and the sign. But the dependency of cloud-radiative forcing 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over the tropical ocean is about 0.2 for longwave and 2.7 for shortwave radiat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the role of seasonal cycle is gradually more important than interannual time scale as the ocean area is broadening from the tropical central Pacific to the tropical ocean. Especially, the convective activity in the Indian ocean near the equator is weakened by the downward motion related to zonal circulation in spite of the increased sea surface temperature, so that the decreased middle and high cloud amount make longwave cloud-radiative forcing to be reduced and shortwave cloud-raditive forcing to be enhanced. It means that these characteristics over the Indian ocean are different from these in tropical Pacific ocean.

      • A Study of Hydrometeor Classification using Polarimetric Radar Observations : 이중편파레이더자료를 활용한 대기수상체 분류

        박향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미국 NEXRAD 이중편파레이더는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기상학적 기원의 에코와 비기상학적 산란체를 구분하며, 또한, 강우, 우박, 싸락눈, 눈 등 다양한 대기수상체를 분류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기존 이중편파레이더자료를 활용하는 NEXRAD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은 이중편파레이더 관측변수의 오차, 빔 퍼짐 효과, 약한 눈과 약한 비에서 관측되는 이중편파신호의 중첩, 어는 비(freezing rain) 등을 고려하지 않아 대기수상체 분류에 문제가 있음을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현재 운영 중인 미국 NEXRAD 이중편파레이더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또한 겨울철 어는 비를 추가로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먼저, 이중편파레이더자료를 활용하는 NEXRAD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주요 개선 사항으로는 이중편파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한 모든 오차요인들을 고려한 품질지수, 대기수상체마다 이중편파변수들의 분류능력을 할당한 가중치 행렬, 그리고 레이더로부터의 거리 및 방위각에 따른 밝은 띠(이중편파레이더 자료를 활용하여 탐지)에 대한 레이더 샘플링 볼륨의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였다. 이러한 개선으로 알고리즘에 유연성을 크게 하였고, 액체상(예, 약한 비)과 고체상 대기수상체(예, 약한 눈)의 구분을 더욱더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이 개선된 알고리즘은 이중편파레이더 관측자료 만을 입력 자료로 하여 10개의 다양한 대기수상체를 분류한다. 사례연구로 선정한 2005년 5월 13일 미국 중부 오클라호마에서 KOUN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로 관측한 여름철 중규모 대류복합체 경우에 개선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레이더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비, 습설, 건설 및 빙정이 점진적으로 분류되는 등의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개념모델과 일치하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음은 최초로 이중편파레이더 관측자료와 RUC 수치예보모델의 열역학적 정보를 결합하는 겨울철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겨울철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은 대기상층의 미세물리과정(융해 및 재동결)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열역학적 정보를 활용함으로서 이중편파레이더 관측에만 의존하던 기존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 기술을 향상시켰다. 특히 이러한 열역학적 정보는 레이더 관측만을 활용하는 선행연구들에서 부족하였던 겨울철 전이 기상현상 사례(transitional weather events)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 알고리즘은 먼저 RUC 모델로부터 얻은 연직 습구온도분포를 활용하여 배경 강수유형을 형성하고, 그런 다음에 경험적인 규칙에 따라 관측과 배경 강수형태와 일치하면 이중편파레이더 자료를 활용하여 대기수상체를 다시 세분화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개발된 새로운 겨울철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은 2006년 11월 30일 미국 오클라호마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따뜻한 비, 어는 비, 얼음싸라기, 그리고 눈 입자(건설과 습설)로의 전이 현상이 관측된 폭풍사례에 대하여 KOUN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로 관측한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되었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레이더에 의해 상층에 밝은 띠가 관측되었을 경우에 모델은 상층 온난층이 전혀 존재하지 않음을 예측하여 지상 배경강수유형을 건설(dry snow)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실제 지상에는 건설이 관측되지 않았다. 이는 이중편파레이더 자료로 탐지한 밝은 띠가 모델결과보다 실제 지상강수유형을 결정하는데 더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겨울철 전이 기상현상 사례에 대하여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 전체적으로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와 수치예보 모델로부터 얻은 열역학적 정보와의 결합이 잠재적으로 매우 유용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이 알고리즘은 광범위하게 넓은 지역을 다루고 있는 모델자료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관측하는 이중편파레이더 자료를 기반으로 강수유형을 재분류하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본 논문에서의 결과들은 호우, 우박, 어는 비 등의 위험기상 탐지 및 보다 정확한 강수량추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AMIP II 기간에 모사된 모형 대기 에너지 수지의 분석

        오현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기후 변화의 이해와 예측을 위해서 필수적인 고품위 기후 시스템 모형의 평가에서 에너지와 수증기의 광역 수지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이 연구는 연세대학교 대기 대순환 모형 대류권 7층 판 YONU AGCM Tr7로 AMIP Ⅱ 기간 곧 1979.1 - 1996.2의 17년 2개월 기간에 대해서 모사된 모형 대기의 에너지 수지를 분석하고, 해양 대기로부터 육지 대기에로의 에너지 수송 및 수증기 수송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모형 자료는 AMIP II에 출품된 YONU AGCM Tr7의 표준 모형 출력 자료이고, 검증 자료는 NCEP/DOE 재분석 자료이다. AMIP Ⅰ과 AMIP Ⅱ에 대하여 각각 모사된 에너지 수지 성분들의 상호 비교와 이들의 검증으로부터 YONU AGCM T r7의 오류 교정을 통한 괄목할 만한 모형 품위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특히, AMIP Ⅱ 기간에 모형의 에너지 속은 대기 상단에서 하향으로 9.4 W/㎡, 그리고 지표에서 하향으로 1.4 W/㎡ 이고, 대기의 에너지 불균형은 8.0 W/㎡이다. 이 8.0 W/㎡ 불균형은 AMIP Ⅰ의 25 W/㎡ 에 비해 대폭적으로 감소된 것이다. 이 불균형을 해양과 육지의 구별없이 대기안에서 소실된 것이라고 보면 육지 대기는 17.7 W/㎡의 에너지 부족을, 그리고 해양 대기는 6.7 W/㎡의 에너지 여분을 각각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해석에 따라 해양에서 육지로 일어날 에너지 수송은 4.8 × 1015 W 이다. 이 값은 해양 또는 대기를 통하여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일어나는 에너지 수송과 대략적으로 같은 수준이다. 해양에서 육지로 일어나는 이 에너지 수송에 대한 잠열 수송의 기여가 얼마인가를 알기 위해서 모형에서 일어난 유수를 통하여 추정한 결과, 해양에서 육지에로의 잠열 수송은 5.5 × 1015 W 이었다. 이 값은 전체 에너지 수송 4.8 × 1015 W 보다 더 크다. 이는 엔탈피와 지위 에너지의 형식으로 에너지가 육지에서 해양으로 0.7 × 1015 W의 율로 흘러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에 비추어 해양과 육지 사이에 일어나는 에너지와 수증기의 흐름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된 것임이 확인된다. As a valuation of quality, global energy budget and water vapor budget are very important component.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the model atmosphere energy budget and transportation from ocean atmosphere to land atmosphere by means of between the energy and water vapor relation for the AMIP II period, 1979.1 - 1996.2, simulated with Yonsei University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 with 7 vortical levels.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 climate system, we must have a high-quality climate system model. Most principal climate models had been participating the AMIP do intercompare the models, and do asses their quality. The data used in this research is the YONU AGCM Tr7 AMIP II standard output that is submitted to the AMIP II For verification of the output is NCEP/DOE(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reanalysis data. When we study the simulated normal mean fields of energy flux components and patterns of the global distribution, we can find remarkable improvement on the model quality achieved by some development and error correction of YONU AGCM Tr7. Especially analysed atmospheric energy imbalance during AMIP II period is downward 9.4 W/㎡ at the top of the atmosphere, downward 1.4 W/㎡ at the surface, thus 8.0 W/㎡ at the atmosphere. Comparing with energy imbalance during AMIP. I period which was 25 W/㎡ energy surplus, we could get a sharp decrease of the atmospheric imbalance, and confirm the approachment to the energy balance. When we consider the global atmospheric energy imbalance, we can infer that the land atmosphere have 17.7 W/㎡ energy deficit, the ocean atmosphere have 6.7 W/㎡ energy surplus. According to energy deficit and surplus, the energy of the transportation from ocean atmosphere to land atmosphere is 4.8 × 10^(15) W. This value is the same level energy from low latitude to high latitude occording to ocean and land. To investigate how the latent heat do contribute the energy flux from ocean to land, we calculated runoff by YONU AGCM Tr7. So we could get that the estimated latent heat flux is 5.5 × 10^(15) W. This is apparently larger than total energy flux, means that the energy follow from land to ocean by means of the form of entalphy and geopotential energy. This result confirm that the stream of the energy and water vapor between ocean and land does have closely relation.

      • 대기 순환 지수와 한반도 강수량과의 지연 상관성

        송동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에서는 AO, NAO, PNA, SOI의 4개의 대기 순환 지수를 예측 인자로 사용하여 한반도의 계절 강수량이 예측 가능한지를 조사하였다. EOF 분석을 통해 얻은 시간 계수를 사용 강수량을 예측 변수로, 1개~4개의 모든 조합을 갖는 대기 순환 지수를 예측 인자로 사용하였으며, 통계 모델의 신뢰도는 교차검증에 의해 평가되었다. 한반도 강수량의 EOF 결과의 특성은 제 1모드로 전체 변동의 50~70%를 설명하며 제 2모드는 10~20%를 설명한다. 또한 그 시간 계수는 모든 계절에서 뚜렷한 경년 변동을 보여주고 있다. 여름철 제 1모드의 기여도가 51%로 가장 낮은데 이것은 장마, 태풍, 집중호우 등 여러 원인이 중첩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리고, 제 2모드는 거의 모두 겨울을 제외하고는 남북 시소 구조 갖고 있다. 겨울철에 나타나는 동서 구조는 지형과 큰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예측성을 평가한 결과 겨울 및 봄철 강수는 2~7개월 지연을 갖는 AO와 PNA 영향이 가장 크며 여름 및 가을철 강수는 대기 순환 지수와는 큰 상관성을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중·고위도에 기원을 둔 대기 순환 지수와 태평양에 기원을 둔 대기 순환 지수가 한반도 겨울 및 봄철 강수량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이다. 겨울과 봄철 한반도 강수량이 전구 규모의 대기 운동에 거의 그대로 반응을 한 반면 여름과 가을철 강수량은 전구 규모의 대기 운동뿐만 아니라 대기 운동의 섭동(태풍 등)과 지형학적인 영향(집중호우 등) 등에도 크게 영향을 받음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많은 대기 순환 지수들 중에서 4가지를 사용하였는데, 더욱 정확하게 한반도 강수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4가지 대기 순환 지수 외에도 다양한 지수를 선정하여 대기 순환 지수와 한반도 강수량의 상관관계 규명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4가지 지수와 대기 순환 지수와는 큰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던 여름철 강수에 대한 예측 및 검증을 다른 지수를 활용하여 검증을 해 보는 것도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 statical model is studied for the seasonal prediction in Korea using the lag-correlated four atmospheric circulation indexes such as Arctic Oscillation (AO), North Atlantic Oscillation (NAO), Pacific North America (PNA), and Southern Oscillation (SO) index, based on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analysis and multi-linear regression method, and predictability of this model is verified by cross-validation model. The predicors are selected from the various combination of four atmospheric circulation indexes for 1~12 months preceding the target seasons of the predictands. The predictability in both spring and winter precipitation is higher than in the other seasons, indicating that the prediction of warm season precipitation is more difficult than that of cold season precipitation. Cold season precipitation is more related to AO than NAO and to PNA then SOI. The correlation skill in the cross-validation is over 0.4 which satisfies the significance level of 5% under the lead time from two to nine months in April and December. The correlation skill in October and November is over 0.3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10% under the lead time from one to eight month. We found that the best combination in predicting the Korea precipitation, especially in spring and winter, is the combination of AO and PNA, implying that the forcings originated from the north ploe and tropical Pacific are equally important in predicting the cold season precipitation.

      •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 algorithms using infrared channels from geostationary and polar orbit satellites

        최윤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retrieval algorithm using GeoKopmsat-2A (GK2A) /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AMI) data, to optimize the LST retrieval algorithm for GK2A/AMI,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etrieving LST using the mid-infrared band of the Multi-Purpose Satellite 7A (MPS7A). A non-linear split-window (SW) LST retrieval algorithm was developed and improved for GK2A using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RTM, MODTRAN 6). The performance of the GK2A LST retrieval algorithm (GK2A LST Alg.) for the prescribed LST is relatively excellent and has stable accuracy.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GK2A LST Alg. using the prescribed LST showed that correlation coefficient, bias and root-mean-square-error (RMSE) are 0.998, 0.01 K, and 0.767 K, respectively. The indirect validation of the retrieved LST from GK2A/AMI data using the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LST also showed a reasonable and stable accuracy,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69, a bias of 1.227K, and an RMSE of 2.281K. However, the performance of GK2A LST Alg. was different depending on daytime/nighttime and geographical location, higher at night (wet/vegetated areas, dry atmosphere, nadir) than a day (dry soil, wet atmosphere, large viewing zenith angle (VZA)). To minimize the problem of the GK2A LST Alg., the land surface emissivity (LSE) of GK2A/AMI channels 13 and 15 were recalculated using the up-to-date spectral emissivity database and spectral response functions (SRF) of GK2A/AMI of ch. 13 and 15. It considered the wavelength and SRF of the GK2A/AMI ch. 13 and 15, the latest LSE database (ECOSTRESS), representative vegetation, and soil for the land cover. The GK2A LST alg. was also newly developed (New_GK2A LST alg.), using the updated GK2A/AMI LSE lookup table. Compared to the GK2A LST alg., the New_GK2A LST alg. improved the performance level,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0.001), bias (-0.001) and RMSE (-0.022K) for the prescribed LST. The comparison results of LST retrieved by New_GK2A LST alg. with the MODIS LST data showed an improvement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from 0.969 to 0.998) and bias (from 1.227K to 0.760K). The performance of New_GK2A LST alg. showed a slightly better or comparable performance in the validation with ground observed LST data (18 stations of Ozflux, Tateno station) The possibility of LST retrieval for night using mid-infrared (MIR) bands was evaluated with RTM simulation and ground observation data. The top-of-atmosphere (TOA) temperature of the MIR band was affected the most by the atmospheric profile, followed by LSE, diurnal variation of LST, and satellite VZA. Generally, the SW method using two bands is more accurate and stable than a single band. The sensitivity experiments for the impacting factors showed that the LST can be retrieved with the atmospheric profile, LSE of two bands, diurnal variation of LST, and satellite VZ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MIR bands, an LST retrieval algorithm was developed and optimized by applying the SW method to the two MIR bands. The evaluation for the possibility of LST retrieval for night using MIR bands showed that the LST could be retrieved with high accuracy in terms of correlation (0.999), bias (0.023K), and RMSE (0.437K) if the atmospheric and surface conditions are precisely known. The RMSE increased rapidly when the brightness temperature difference (BTD) between the two bands was less than 0K or greater than 13K. Optimization of the LST retrieval algorithm according to the BTD of two bands showed a slightly improved performance: correlation coefficient (0.993 : 0.993), bias (1.904 : 1.916)K, and RMSE (2.106 : 2.070)K, when validated with the 26 field observation cases. In this study, the retrieval accuracy of LST was improved by optimizing the LST retrieval algorithms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at affect LST retrieval and improving auxiliary data. The theoretical accuracy limits of the LST retrieved from the Korean satellites were presented, and problems with the current algorithm were presented based on the various sensitivity experiments and direct/indirect validation with the MODIS LST and ground observation data. The GK2A/AMI LST retrieval algorithm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the high accuracy of LST for East Asia/Oceania at 10-minute intervals, so it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understanding land-atmosphere interaction, drought, surface urban heat islands, and input/validation data as numerical weather models. 본 연구에서는 천리안위성 2A호(GeoKompsat-2A: GK2A/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AMI) 자료를 이용한 지표면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최적화하였으며, 다목적실용위성 7A호(Multi-Purpose Satellite 7A: MPS7A)의 중적외 파장역을 이용한 지표면온도 산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이 제안되었음에도 기법들마다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므로 우리나라 위성에 맞는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최적화하였다. 복사전달모델인 MODTRAN6을 이용하여 수증기의 비선형성을 알고리즘에 고려한 분리대기창 기법(split-window method)의 GK2A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GK2A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은 비교적 우수하고 안정적인 정확도를 보였다. 복사전달모델 시뮬레이션으로 처방된 지표면온도와 개발된 산출식으로 추정된 지표면온도 간 상관계수는 0.998, 편의는 0.01K, 평균제곱근오차(root-mean-square-error: RMSE)는 0.767K을 나타냈다. 지표면온도의 정확도는 주간과 야간, 그리고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이에 따라 알고리즘을 주간과 야간, 휘도온도차에 따라 산출식을 여섯 개로 분리하여 최적화하였다. GK2A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의 산출 정확도는 주간보다는 야간에, 건조한 토양보다는 습윤한 식생에서, 습윤한 대기 연직구조보다 건조한 대기 연직구조에서 위성의 관측각이 큰 지역보다는 직하점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분리대기창 기법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자 GK2A/AMI의 채널 13과 채널 15의 파장역과 분광반응함수(spectral response functions: SRF)를 고려한 최신의 지표면 방출률 조견표(ECOSTRESS)를 이용하여 지표면 방출률을 재산출하였다. 천리안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Meteorological Imager: MI)의 지표면 방출률 조견표에서 지면피복 별 대표 식생과 토양이 적절하지 않았던 문제점과 식생의 침엽수와 활엽수를 구분하지 않았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개선된 된 GK2A/AMI 지표면 방출률 조견표에 따라 실제 GK2A의 채널 13과 15의 지표면 방출률 범위를 고려한 GK2A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을 복사전달모의를 통해 재개발하였다. 기존 알고리즘과 새로 개발된 알고리즘을 비교하였을 때 상관계수는 0.001 증가, 편의와 RMSE는 각각 0.001K과 0.022K 감소하였다.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지표면온도를 이용한 비교검증 결과 기존 알고리즘 대비 새로 개발된 알고리즘의 상관 계수는 0.969에서 0.998로 증가하였으며 편의는 1.227K에서 0.760K으로 감소하여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RMSE의 경우 기존 알고리즘의 2.281K에서 약간 증가한 2.347K을 보였다. 특히 새로 개발된 지표면온도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에서 2.11K의 큰 온난편의가 0.76K만큼 줄었으며 야간에도 편의가 0.476K 감소하여 개선된 모습을 나타냈다. Ozflux의 18개 현장관측 자료를 이용한 검증 결과 기존 알고리즘과 새로운 알고리즘은 비슷한 상관 계수를 나타냈으며 편의와 RMSE는 각각 -0.294K와 0.038K만큼 약간 증가하였다. 주간과 야간으로 나눈 검증결과 기존 알고리즘은 주간과 야간의 편의가 각각 0.524K과 –0.989K이 나타난 반면 새로 개발된 알고리즘의 편의는 각각 0.323K과 –1.331K으로 나타나 주간과 야간이 다른 특징을 보였다. 또한 복사전달모델 모의와 현장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야간의 중적외 밴드를 이용한 지표면온도 산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중적외 두 개 밴드의 대기상단 온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는 것은 대기 연직구조이며 지표면 방출율, 지표면온도의 일 변동, 그리고 위성 관측각 순서를 보였다. 중적외 단일 밴드와 두 개 밴드를 이용한 지표면온도 산출식의 정확도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두 개 밴드를 이용한 분리대기창 기법이 더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나타냈다. 흡수 기체(이산화탄소, 오존)들은 대기상단 온도와 지표면온도 산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대기 프로파일, 두 밴드의 지표면 방출률, 지표면온도의 일 변동, 위성의 관측각을 고려하여 중적외 두 개 밴드를 이용한 지표면온도 산출식을 개발하고 이를 최적화 하였다. 지표면 정보와 대기의 정보를 정확하게 알 때, 야간의 중적외 두 개 밴드를 이용한 지표면온도 산출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복사전달모델에 처방된 지표면온도와 추정된 지표면 온도 간 상관계수는 0.999, 편의는 0.023K, RMSE는 0.437K을 나타냈다. 두 밴드의 대기상단 온도 차이가 0K보다 작거나 13K보다 클 때 RMSE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이를 임계값으로 하여 산출 알고리즘을 최적화하였다. 최적화된 중적외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은 상관계수가 0.999로 기존 알고리즘과 동일한 값을 보였으며 편의와 RMSE는 소폭 감소하여 각각 –0.003K, 0.411K을 보였다. 26개의 현장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두 밴드의 대기상단 온도를 모의하여 검증한 결과 기존 알고리즘과 개선된 알고리즘은 각각 상관계수가 0.993(0.993), 편의는 1.904(1.916)K, RMSE는 2.106(2.070)K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복사전달 모의실험과 검증을 통해 지표면온도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알고리즘을 최적화하고, 보조 입력 자료를 개선함으로써 지표면온도의 산출 정확도를 향상하였다. 정확한 대기 정보, 지면 정보,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위성인 GK2A/AMI와 MPS7A의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을 때 이론적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GK2A 지표면온도 산출 알고리즘은 높은 정확도로 매 10분마다 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 10분 주기로 지표면온도를 제공하여 지면-대기 상호작용, 가뭄 모니터링, 지표면 도시열섬, 수치모델의 입력/검증 자료 등 다양한 응용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상인력의 전문화 방안 연구

        임나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Abstracts A Study of Specialist Training for KMA Meteorologists Yim Nayoung Advisor : Prof. Ryu Chan-Su, Ph.D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requires a large number of specialist staff, for example to develop numerical models or analyze data from complex observing systems, such as meteorological satellites and weather radar. As well as trying to hire staff with the necessary skills, it is also necessary to train existing staff so that they can fill these specialist positions, even if they already have significant experience in meteorology. In this report I discuss current methods for training meteorologists at KMA, and suggest ways the training might be improved. In particular, I recommend that KMA should try to establish a new educational institute to provide specialist training. In order to realise this goal, KMA will first need to develop plans for presentation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ncluding proposed training programs and management systems for the students. If the plans are accepted by the ministries, they will work with KMA to propose a budget and location for the new institute, so that KMA can then develop proposals for the required government legislation. One possibility would be for KMA to try and obtain general legislation from the National Assembly, but a better option would be to pursue special legislation from the Judiciary. The kind of educational institute required by KMA would need to train only a small number of students at one time, so could be run as a single department. However, it should aim to provide accreditation for a number of specialis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