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재일 대구한의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51727

        이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노인대학 2곳, 노인복지관 5곳, 그리고 경로당 8곳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도되었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문제가 우리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건강상태가 라이프스타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노후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본 연구는 2010년 6월 22일부터 7월 31일까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673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문항별 기술통계에서 ‘나는 식사를 집에서 하는 편이다’가 3.88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상태에 대한 문항별 기술통계에서 ‘가족들과 함께 있으면 즐겁다’가 3.6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삶의 만족도에 대한 문항별 기술통계에서 ‘자녀와의 관계에 대해 만족하십니까?’가 3.48점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취미여가생활과 가족관계에서 연령이 적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생활정도가 중상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자녀가 같이 동거할수록, 연금과 저축금으로 생활비를 해결할수록, 월 평균용돈이 높을수록 취미여가생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활동에서도 여자인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종교활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관계와 식생활에서도 연령이 적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생활정도가 중상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자녀가 같이 동거할수록, 연금과 저축금으로 생활비를 해결할수록, 월 평균용돈이 높을수록 동료관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리에서는 여자인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생활정도가 중상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자녀가 같이 동거할수록, 자력으로 생활비를 해결할수록 건강관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생활의 특성별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생활정도가 중상인 경우, 연금과 저축금으로 생활비를 해결할수록 주거생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에서 전체 평균은 3.21점으로 보통이었고, 특성별로는 남자인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생활정도가 중상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자녀가 같이 동거할수록, 연금과 저축금과 자력으로 생활비를 해결할수록, 월 평균용돈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서 전체 평균은 3.24점으로 보통이었고, 특성별로는 남자인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생활정도가 중상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자녀가 같이 동거할수록, 연금과 저축금으로 생활비를 해결할수록, 월 평균용돈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성별, 배우자, 학력, 취미여가생활, 가족관계, 동료관계, 식생활, 건강관리로 남자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취미여가생활, 가족관계, 동료관계, 식생활, 건강관리의 라이프스타일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동거형태, 가족관계, 주거생활, 건강상태로 혼자 살지 않을수록, 가족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주거생활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상태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미여가생활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동료관계, 식생활, 건강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높아지고 라이프스타일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관계 수준, 식생활 수준, 주거생활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변인들의 효과를 요약하면 건강상태가 가장 큰 효과를 보였고, 다음이 가족관계, 취미여가생활, 동료관계, 식생활 순으로 나타나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가족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취미여가생활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식생활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취미여가생활, 가족관계, 동료관계, 식생활은 건강상태에 의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상태가 매개효과로 작용하였다.

      • 노인들의 삶의 질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우진 대구한의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51727

        이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사회문화적 특성 상 자살생각에 대한 설문조사 수행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제3기(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원시자료 중 65세이상 3,730명 중에서 종속변수로 사용되어진 “지난 1년간 죽고 싶다고 생각 해 본 적이 있습니까?”란 질문에서 응답 하지 않은 자를 제외한 1,074명을 분석한 요약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과 자살생각간의 차이 검증 결과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에서 연령이 공통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령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낮았고, 자살생각 차이 검증에서 남자보다는 여자가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배우자 없는 경우 세입이나 무상으로 거주하는 노인 그리고 의료급여를 받는 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았다. 2. 활동제한 특성에 따른 삶의 질과 자살생각간의 차이 검증 결과는 활동제한 특성에 따른 삶의 질에서 시력문제, 저작문제, 보행문제, ADL이 공통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활동제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일수록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고, 자살생각에서는 활동제한 특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보아 활동제한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질병이환에 따른 삶의 질과 자살생각간의 차이 검증 결과는 질병이환에 따른 삶의 질에서 공통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질병은 뇌졸중과 관절염이며, 이 질병에 이환된 노인들은 활동의 제한으로 인해 삶의 질은 낮다고 할 수 있고, 자살생각에서는 위암을 제외한 뇌졸중, 백내장(녹내장), 치주질환, 심장질환, 천식, 위십지장 궤양, 관절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상생활에 통증과 불편감 그리고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에 이환된 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삶의 질에 따른 자살생각간의 차이 검증 결과는 삶의 질에 따른 자살생각에서 삶의 질(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생활, 통증/불편감), 불안/우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삶의 질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증에서 자살생각을 종속변수로 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운동능력(b=0.438)저하, 통증/불편감(b=0.562), 불안/우울(b=1.475)이 있는 노인들의 자살생각이 높았다.

      • 재가장기요양기관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상훈 대구한의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51727

        이 연구는 대구ㆍ경북지역 노인재가시설에서 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는 어르신을 대상으로 재가장기요양기관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52명에게 얻은 설문 내용을 토대로 가사서비스, 정서적서비스, 보건의료서비스, 일상생활서비스 만족과 이용자신뢰가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시설 노인들의 가사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목별 만족률에서는 청결을 우선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성별로는 종교가 있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가사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정도에 따라 만족수준이 달랐다. 정서적서비스는 만족도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별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정서적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서비스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성별로는 월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가장기요양기관 이용자는 건강에 대한 각별한 관심도 있었다. 일상생활서비스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별로는 월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신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성별로는 월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질병이환시기가 길수록 이용자신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질병이환시기가 길수록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신뢰도가 더 짧은 시기에 높게 나타나므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재이용의사는 높은 점수를 보였고 특성별로는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재이용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서비스유형을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 특성과 이용자신뢰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종교가 있을수록, 이용자신뢰가 높을수록, 가사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많을수록, 경제만족도가 낮을수록, 질병이환시기가 짧을수록, 이용자신뢰가 높을수록 정서적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많을수록, 질병이환시기가 짧을수록, 이용자신뢰가 높을수록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이 여자일수록, 이용자신뢰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요양기관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장기요양 기관 재이용의사를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과 이용자신뢰, 일반적 특성과 이용자신뢰 그리고 재가서비스유형을 독립변수로 각각 추가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 소득이 적을수록, 이용자신뢰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서비스 만족도가 높을수록 장기요양기관의 재이용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서비스 항목별 만족률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만족률을 보였고,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만족도는 이용자가 요구하는 재가서비스 만족에 따라서 장기요양기관 재이용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신뢰 역시 신뢰가 높을수록 재이용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건강상태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손기복 대구한의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51695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년생~1963년생 사이 출생)를 대상으로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건강상태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베이비부머들이 노후에 보다 더 안정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는 대책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시 및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465명의 베이비부머를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2013년 6월 1일부터 2013년 8월 1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총 465부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427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제적 준비에 대한 차이는 부분적으로 있었다. 학력이 낮을수록 경제적 준비는 부족하였으며 배우자 없이 혼자 사는 경우가 배우자가 있는 경우 대비 경제적 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대비 경제적 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월평균 수입이 많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는 잘 하고 있었다. 직업에 따른 차이는 공무원, 회사원, 자영업 순으로 경제적 준비를 잘 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경제적 준비는 3.21점으로 보통수준 이상이었으며 성별과 연령, 그리고 종교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적 준비도 차이는 부분적으로 있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정서적 준비를 잘 하고 있으며 대졸 이상의 고학력일수록 정서적 준비를 잘하고 있었다. 또 종교를 가진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대비 정서적 준비를 잘 하고 있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배우자 없이 혼자 사는 경우보다 준비를 잘 하고 있었다. 월평균 수입이 많을수록 역시 정서적 준비를 잘 하고 있다. 연령 간, 부모와의 동거여부, 그리고 직업 간의 정서적 준비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적으로 정서적 준비는 3.24점으로 보통수준 이상이었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준비 역시 차이는 부분적으로 있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신체적 준비를 더 잘 하고 있었으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신체적 준비를 더 잘하고 있었다. 그 외에 연령 간, 학력 간, 배우자 유무 간, 부모와의 동거 여부, 월평균 수입 및 직업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 평균은 3.20점이었다. 넷째, 베이비붐 세대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준비도 차이를 보였다. 여자가 남자보다 노후준비를 잘하고 있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노후준비를 더 잘하고 있었다. 또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노후준비를 더 잘 하고 있었으며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노후준비를 잘하고 있었다. 기타 연령에 따른 차이, 종교 유무 및 부모와 동거여부, 직업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평균은 3.22점이었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 중 노후준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242), 월평균수입(β=.081), 그리고 부모와 동거(β=-.136) 요인이었다. 특성변수에 라이프스타일 요인을 투입한 결과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209), 연령(β=-.140), 월평균 수입(β=.146), 개인적 성향(β=.104), 전통적 성향(β=.184), 그리고 개방적 성향(β=.283)이었다. 노후준비에 대한 설명력은 24.7%였으며 F-값은 11.305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5). 특성변수와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건강상태 요인을 투입한 결과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176), 연령(β=-.147), 월평균 수입(β=.095), 개인적 성향(β=.159), 전통적 성향(β=.117), 개방적 성향(β=.222), 그리고 영적 상태(β=-.321) 이었다. 노후준비에 대한 설명력은 39.0%였으며 F-값은 16.405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의 특성변수와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건강상태 요인에 여가활동 요인을 투입한 결과 성별(β=-.156), 연령(β=-.167), 개인적 성향(β=.121), 개방적 성향(β=.126), 영적 상태(β=-.317), 시간활용(β=.127), 즐거움(β=.129), 그리고 충분성(β=-.127)이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노후준비에 대한 설명력은 46.3%였으며 F-값은 15.821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그리고 라이프스타일, 건강상태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 분석에서는 노후준비도 요인에 대한 예측변수는 건강상태 요인에 의한 직접효과(-.450, p<.05)와 총효과(-.474, p<.01)가 유의하였고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의한 직접효과(.639, p<.01) 및 총효과(.897, p<.01)도 유의하였으며 여가활동 요인은 직접효과 및 총효과가 .120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측변수 중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의한 직접효과(1.115, p<.01) 및 간접효과(-.200, p<.01), 그리고 총효과(1.167, p<.05)에서 유의하였다. 건강상태 요인에 의한 직접효과 및 총효과는 -.200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건강상태 요인에 대한 라이프스타일 요인(-.262, p>.05)을 통한 직접효과 및 총효과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들의 보다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해 This study adduces the major facts which can make the baby boomers resid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be able to live more stable life in their later years. Consequently it can contribute to find the weakness in preparation and its solution according to the factors. To obtain the purpose, this thesis identifies the factors; lifestyle, health status and leisure activ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this study selected 465 baby boomers lived in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to survey from June 1, to August 10, 2013. Total 465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427 answers were used as final data for analysis using AMOS 18.0 and SPSS 18.0 program. From the survey for factor and analysi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Daegu and Gyeonsang Buk-do, this study derived a several conclusion according to the factors. From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tributes the suggestion for the preparation.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s; At first, there are some difference of economical provision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partially. The lower academic ability was the lack of economical preparation. The single had a tendency to prepare less economical provision than the married. Baby boomers who live with a parents did less sufficient than the one who don't. And, it is definitely, the more monthly income the better economical preparation. There ar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job. The financial preparation was well established in order of the civil servant, office worker , self-employed. Overall, the financial preparation was more than average leve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religion and age. Secondly, there are some difference of emotional preparation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partially. Women were prepared better than men and the higher persons had been educated, the better they prepared emotional preparation. Those who have the religion showed the better preparation than otherwise. And on the whole, married people did better than the single. The group who earns higher benefit had a tendency to prepare better emotional provision too. There are no difference of emotional preparation between age, whether or not living with parents, and profession. As a whole, emotional preparation level is 3.24 and more than normal level. Thirdly, there are some difference of physical preparation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partially too. Woman is well prepared than man for the physical preparation, and those who have religion are preparing well physically than otherwise. There are no difference of physical preparation between age, educational background, with or without a spouse, whether or not living with parents, the average monthly income, and profession. As a whole, physical preparation level is 3.20. Fourthly, there is a difference of retirement preparation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The woman was well prepar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than man, the higher education had better prepared for retirement. In addition, those who with spouse were well prepared retirement preparation than people who live alone. Average monthly earning higher, prepare well for retirement preparation too. There are no difference of retirement preparation between age, religious or not, whether or not living with parents, and profession. As a whole, retirement preparation level is 3.22. Fifthly, In general, the characteristics which affect directly old age preparation are gender (β=-.242), monthly income (β=.081), and living with parents (β=-.136) factors. As a result of input lifestyle factor to Characteristics variables,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preparation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re gender (β=-.209), age (β=-.140), monthly income (β=.146), personal inclination (β=.104), the traditional inclination (β=.184), and an open inclination (β=.283). Explanatory capacity for retirement preparation was 24.7%, and F-value was 11.305,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As a result of input health status factor to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lifestyle factors,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preparation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re gender (β=-.176), age (β=-.147), monthly income (β=.095), personal inclination (β=.159), the traditional inclination (β=.117), open inclination (β=.222), and a spiritual condition (β=-.321). Explanatory capacity for retirement preparation was 39.0%, and F- value was 16.405,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As a result of input leisure activities factor to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lifestyle and health status factors,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preparation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re gender (β=-.156), age (β=-.167), personal inclination (β=.121), open inclination (β=.126), spiritual condition (β=-.317), use of time (β=.127), enjoyment (β=.129), and adequacy (β=-.127). Explanatory capacity for retirement preparation was 46.3%, and F-value was 15.82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impact of lifestyle, health status and leisure activities on retirement preparation, the direct effect(-.450, p<.05) and total effect(-.474, p<.01) due to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 the direct effect(.639, p<.01) and total effect(.897, p<.01) due to lifestyle was significant too, leisure activities factor was not significant that direct and total effect was 120. As the factors affecting leisure activities, direct effects(1.115, p<.01), indirect effects (-.200, p<.01) caused by lifestyle factors and the total effects (1.167, p<.05 ) were significant. 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caused by health status was not significant by -.200. 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through the lifestyle factor caused by health status(-.262, p>.05) was not significant.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is study contributes the suggestion for the provision for later life as following; At first , it is recommended

      •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도,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이동열 대구한의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51695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causal effects between variables of the job stress, depression leve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care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who are dedicated to improving the living quality of others. Also, based on its verified result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way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for care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nd rais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40 care workers who work in te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located in the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buk Province. For two months, 3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s after getting permission to collect materials from the institutions concerned. 328 questionnaires were recollected out of the 340 distributed, and 319 questionnaires recollected were utilized for the analyses of this study excluding nine questionnaires with insufficient responses (the recollection rate: 97.2%).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programs of SPSS/PC 18.8 and AMOS 18.0, matching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data. A T-test.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a post-test verificatio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 path analysis was mad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 in the subjects' job stress, depression leve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difference in their job stress, which was generally shown to be low at the score of 2.58 out of 5.0, the factors like age, economic level, working period, and current position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job stress. As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ir depression level, which was shown to be low at the score of 1.47 out of 5.0, the factors of gender, economic level, and education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depression level. As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ir empowerment, which was shown to be ordinary at the score of 3.30 out of 5.0, except working period, all the factors of gender, age, economic level, current position, facility type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empowerment. As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was shown to be a little high at the score of 3.48 out of 5.0, the factors of economic level and current position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us, all the hypotheses 1-1, 1-2, 1-3, and 1-4 were partially adopt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m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job stress, depression leve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Next,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ender, age, economic level, job stress, and empowerment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ut of the five elements, empowerment was the strongest factor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llowed by job stress. There was a negative influence that job stress had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higher was job stress, the lower wa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ly, hypothesis 2 was partially adopted. Thirdly, this study adopted hypothesis 3-1 that job stress would directly affect empowerment, and hypothesis 3-2 that depression level would directly affect empowerment. These two hypothes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eir verifi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subjects'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their empowerment. Fourthly, this study verified hypothesis 4-1 that job stress would affec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ubjects' job stress o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β) was -.496, and the critical region (C․R) was -6.83 with its critical value of more than +1.96 and less than -1.96. Thi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hypothesis 4-1 was accepted. The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SEM) of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47.6%. This study also verified hypothesis 4-2 that depression level would directly affec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ubjects' depression level o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β) was -.079, and the critical region (C․R) was -1.39 with its critical value of more than +1.96 and less than -1.96. Thi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hypothesis 4-2 was accepted. Finally, this study verified two hypotheses 5-1 and 5-2 in order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in the influence of the subjects' job stress and depression level o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rst was that job stress would have an in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mediation of empowerment. The second was that depression level would have an in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mediation of empowerment. Hypothesis 5-1 was discarded because the indirect effect of the subjects' job stres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mediation of empowermen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ypothesis 5-2 was adopted because the indirect effect of subjects' depression level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mediation of empowermen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이 연구는 타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지하는 직무스트레스, 우울도,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 변수간의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함과 동시에 이러한 검증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종사자에 대한 근무조건의 개선과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대구광역시 및 경북지역 장애인거주시설 10개 기관에 자료 수집 수락을 받은 후, 총 2달간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배포된 설문지는 총 340부이며, 이 중에서 회수된 설문지 328부중에서 결측치가 발견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9부를 제외한 총 319부(97.2%)를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맞추어 자료분석은 SSPS/PC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test와 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를 하였고, 구조 방정식 모형(SEM)에 의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우울도, 임파워먼트 그리고 조직유효성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차이에서 전체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의식 수준은 5점 만점에 2.58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연령, 경제생활, 근무경력, 그리고 현재직위에 따라 통계적 유의 차이를 보였다. 우울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우울도에 대한 의식 수준은 5점 만점에 1.47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성별, 경제생활, 그리고 학력에 따라 통계적 유의 차이를 보였다. 임파워먼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임파워먼트에 대한 의식 수준은 5점 만점에 3.30점으로 보통 수준을 보였으며, 근무경력을 제외한 전 영역 즉 성별, 연령, 경제생활, 현재직위, 시설유형, 학력, 월수입에 따라 통계적 유의 차이를 보였다. 조직유효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조직유효성은 3.48점으로 약간 높은 편이었으며, 경제생활, 현재직위에 따라 통계적 유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우울도,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의 차이를 규명하기위한 연구 가설에 대한 검정 ‘<가설 1-1>’, ‘<가설 1-2>’, ‘<가설 1-3>’ 그리고 ‘<가설 1-4>’는 모두 부분채택 되었다. 둘째,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경제생활,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임파워먼트 요인이었다. 이중 임파워먼트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다음이 직무스트레스 였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사이에서는 전체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2’ 는 부분채택 되었다. 셋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가설 3-1>직무스트레스가 임파워먼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3-2>우울도가 임파워먼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어 <가설 3-1>, <가설 3-2>는 채택되었다. 넷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가설 4-1>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표준화회귀계수(β)가 -.496이었으며, 기각역(C․R)이 -6.83로 기각역의 임계치가 ±1.96 이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으므로 <가설 4-1>은 채택되었다. 그리고 이 식의 설명력(SMC)은 47.6%이었다. 그리고 ‘<가설 4-2> 우울도가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표준화회귀계수(β)가 -.079이었으며, 기각역(C․R)이 -1.39로 기각역의 임계치가 ±1.96 이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으므로 <가설 4-2>은 채택되었다. 다섯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가설 5-1>직무스트레스는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5-2>우울도는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의 효과를 실시한 결과,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는 임파워먼트를 통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기에 <가설 5-1>은 기각되었으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도는 임파워먼트를 통한 간접효과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기에 <가설 5-2>는 채택되었다.

      • 가족관계에 따른 경제 만족, 노후준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열 대구한의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가족관계에 따른 경제만족, 노후준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조사하여 가족관계의 중요성을 밝히는데 유용한 결과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기간은 2015년 6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428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본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에 필요한 내용을 이해를 시킨 후 대상자의 응답을 자가 평가 기입법(Self adminstration method)으로 실시 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는 여성이 남성보타 가족관계가 높고, 연령은 50-59세가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학력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높게 나타나고, 종교는 불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제 상태는 보통이다, 좋다, 나쁘다 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제만족은 여성이 남성보타 경제만족이 높고, 연령은 60-69세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학력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높게 나타나고, 종교는 불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준비는 여성이 남성보타 노후준비가 높고, 연령은 60-69세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학력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종교는 불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제 상태는 높을수록 높은 결과치를 보였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생활만족도가 높고, 연령은 50-59세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학력은 높고,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관계가 경제만족,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경제만족은 노후준비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가족관계는 노후준비, 경제만족, 생활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가족관계는 경제만족,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경제만족이 높고, 노후준비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진다. The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including effects of family relation on their economic condition and effects of the later life preparat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s for mid aged people, and thus to provide useful result data to show the importance of family relation and improve it.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ne 20, 2015 up until September 2015 and 428 peopl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earcher of the study directly collected data in person by making subject understand to complete survey and asking them to fill in the answers based on self administration method. First, in terms of family relation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had higher family relations than man, people in the age between 50-59 years old had the highest family relations and it was higher as education level increased. Also, it was higher when health condition was better and was the highest in Buddhism among many religions. In the case of economic condition, it was higher in the order of moderate, good and bad. Second, in terms of economic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had higher economic satisfaction than man, people in the age between 60-69 years old had the highest and it was higher as education level increased. It was higher when health condition was better and it was the highest in Buddhism among many religions. Third, in terms of the later life preparation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had higher later life preparation than man, people in the age between 60-69 years old had the highest and it was higher as education level increased. It was higher when health condition was moderate and it was highest in Buddhism among many religions. Fourth,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man and the people in the age between 50-59 years old had the highest and it was higher as education level increased health condition was better and economic condition was better. Fifth, family relation affects economic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hile economic satisfaction affects the later life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Also, family relation indirectly affects the later life preparation, economic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words, family relation affects economic satisfaction and the later life preparation. Higher the family relation, better the economic satisfaction and better the later life preparation,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 클라이언트 폭력이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정체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은주 대구한의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35423

        This study intends to grasp of client violence on stress perception and task exhaust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and to verify moderating effect of job identity on stress perception and task exhaust according to client violence.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as made on 381 workers at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Daegu․Gyeongbuk. First, pursuant to verification result of influence of client violence on stress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client violence exercised influence on job-oriented stress which was a sub-variable of stress perception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lient violence exercised influence on cause of stress perceived by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pare prevention and measures against client violence in order to reduce stressor of workers. Second, pursuant to verification result of influence of client violence on task exhaust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it was found that it exercised influence on emotional weariness which was a sub-variable of task exhaust.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lient violence exercised negative influence on emotional weariness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Therefore, it seems very important to prevention beforehand because weariness of workers would lead to deterioration of quality of senior welfare servi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job identity on stress perception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due to client violence. This means that the seriousness of the workers' perception on violence at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as so severe that job identity could not create moderating effect due to experience in violence. In addition, as for influence on stress perception due to client violence, job identity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 but showed a partial influence from client violen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at job identity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was more secure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Thus, it seems necessary for concerned authorities to make efforts for education on job identity of workers and for strengthening of specialty in their service so that job identity can provide moderating effect on stress perception due to client violence. Fourth, as for task exhaust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due to client violence, there was moderating effect in professional vocation sense and public service conviction which were sub-variables of job identity. If a program is developed and provided to strengthen professional vocation sense of workers and to boost loyalty to the company, it would play a role to reduce job exhaust due to client violence. Also, it is required to develop a job identity strengthen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service specialty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service provided by the institution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lient violence had influence on stress perception and job exhaust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It was also found that job identity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 on stress perception but it showed a little moderating effect on job exhaus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job identity strengthening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is very important. 이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과 직무소진에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 381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클라이언트 폭력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클라이언트의 폭력은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지각중 하위변수인 일중심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지각하는 스트레스 원인에 클라이언트 폭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원을 낮추기 위해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예방 및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클라이언트 폭력이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정서적 탈진에 클라이언트 폭력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종사자들의 탈진은 곧 노인복지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지므로 클라이언트 폭력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지각에는 직업정체성이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경우 종사자들이 느끼는 심각성이 커서 폭력을 당한 경험에 직업정체성이 조절효과를 못내는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업정체성은 조절효과를 보이기보다는 클라이언트 폭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업정체성은 다른 직업군에 비해 확고하다고 보기가 어렵다. 이에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에 직업정체성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기관에서 종사자에 대한 직업정체성 교육 및 서비스 실천기술에 대한 전문성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넷째,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소진에는 직업정체성의 하위요인 중 직업소명의식과 공공서비스 신념에서 조절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종사자들에게 직업소명의식을 강화하고, 기관의 애사심을 높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직무소진을 줄여 주는 완충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전문성과 품질의 질적 향상을 높이도록 직업정체성 강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 폭력은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지각과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정체성은 스트레스 지각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소진에는 일부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직업정체성 강화는 클라이언트 폭력의 예방 및 감소에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이소희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5423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s on the status quo of Korea that as the desire for happiness increase and diversify, the long-term care(LTC) facilities which can are required to provide numerous services to gratify it. Thus, LTC facility service system which can actively reflect the desire should be well established. This study would offer basic data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e LCT facility program by developing program rating scale which can assist planning, implement, and suggesting alternative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of the program and previous research, the rationale for the situation, input, process, evaluation area and item development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can be obtained. Second, this study establish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areas and items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 consultation and opinion and program field survey, Third, based on questionnaires of the elderly medical-welfare institution program evaluation area and item aimed at the LCT facilities workforce, this study defines the measurement scale for program evaluations through factori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the program evaluation scale of LCT facility program to assist the program development for LCT facility and the program for the facility. Also, this study develops sub-questions by setting evaluation areas as situation evaluation area, input evaluation area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customized program for future LCT customer based on basic data to assist the overall program evaluation by planning and promoting the program. Keywords: Elderly Medical-Welfare Facilities Program, CIPP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of Rating Scale 이 연구의 필요성은 현재 우리나라는 삶의 행복감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다양해짐으로써 노인의료복지시설에게도 그 욕구에 상응할 수 있는 많은 서비스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욕구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관리와 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에서 활발하게 사용 중인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담당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동시에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과정평가(Prosess evaluation),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4개의 과정을 통한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준거 설정배경에서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논문 및 저서, 학술지, 발표자료, 장기요양기관평가 관련자료 등을 통한 CIPP 평가모형의 4가지 항목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프로그램 실태조사를 통한 영역간의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예비 평가 영역 내용과 항목을 구축하여 그 준거와 영역을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평가준거 개발에서 전문가 집단 중심의 포커스 그룹(Focused Group)의 의견조사를 거쳐 예비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고,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설문조사를 거쳐 SPSS 0.8과 AMOS 18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해 전문가 협의 후 프로그램 평가 준거를 구축하였다. 셋째, 평가준거 확정에서는 모든 부분을 수렴, 정리하여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최종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 척도의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였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에 필요한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을 하였으며, CIPP 평가 모형에 근거하여 상황평가 영역, 투입평가 영역, 과정평가 영역, 산출평가 영역으로 평가 영역들을 설정하여 하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노인요양시설 대상자에게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기획, 계획, 추진에 따른 전반적인 프로그램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만족

        최형대 대구한의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35407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조직문화의 종류별 수준과 조직몰입의 수준, 직무만족의 수준,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밝힐 목적으로, 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35개의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600명의 종사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를 직접 면접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수준에 대해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조직문화 수준은 인적자원문화가 가장 높고, 다음은 위계질서문화, 개방체계문화, 생산중심문화의 순이다. 또한 시설 종류별 조직문화 수준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가장 높고, 이어서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조직몰입의 요인별 수준은 정서적 몰입이 가장 높고,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의 순이며, 시설의 종류별 조직몰입의 수준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가장 높고,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직무만족의 수준은 요인별로 현 직무만족과 동료관계만족, 상급자관계만족은 높은 반면에 승진기회 만족과 보수 만족은 낮은 수준이다. 시설의 종류별 직무만족의 수준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가장 높고, 이어서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세 가지 모두의 수준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이다.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적자원문화와 위계질서문화, 개방체계문화, 생산중심문화 네 가지 조직문화 유형 모두 조직문화 수준이 높은 경우가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생산중심문화 수준이 높은 그룹의 직무만족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관련성 검정 결과 조직몰입이 높게 형성된 종사자 일수록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다. 특히 조직몰입의 요인 중 지속적 몰입이 높은 그룹의 직무만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조직문화유형과 조직몰입 요인 모두를 가지고 전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정서적 몰입과 위계질서문화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