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시립중랑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문혜선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이용자 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오게 하는 영향요인들을 파악하고, 노인복지관의 운영과 프로그램·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복지관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이론적 개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기본변수로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복지관 이용관련 특성을, 독립변수로는 서비스 질(SERVQUAL)속성을 이용하여 크게 프로그램 영역·시설 및 환경 영역·직원 및 서비스 영역을, 종속변인으로는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7년 4월 16일부터 4월 30일까지 15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표본은 서울시립 중랑노인종합복지관의 기본사업을 규칙적·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여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된 설문지 250부 중에 최종 243부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고 SPSS for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는 첫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도는 학력, 수급여부, 가구형태, 경제적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로 무학노인과 수급노인, 독거노인, 경제적 상태가 매우 나쁜 편이라 응답한 노인의 이용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시설 및 환경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직원 및 서비스 만족도는 종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복지관 이용관련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도는 복지관 이용기간, 이용 복지관 수, 이용이유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용기간이 1~2년 되는 노인, 1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복지관 이용이유가 점심을 제공받을 수 있어서라고 응답한 노인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복지관 이용관련 특성에 따른 시설 및 환경만족도는 평균 이용 프로그램 수, 이용복지관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4~5개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 1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 및 서비스 만족도는 복지관 이용기간, 이용 복지관 수, 이용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복지관 이용기간이 1년 미만인 노인, 1개의 복지관 이용노인, 복지관·구·동 직원의 소개로 복지관을 이용하게 된 노인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지관 이용자 만족도 요인에 대해 평가영역별로 회귀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영역·시설 및 환경 영역·직원 및 서비스 영역 순으로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ERVQUAL 요인들이 이들 영역에 미친 주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프로그램 만족도 영역의 경우 가치성·참신성·다양성 순으로, 시설 및 환경 만족도 영역의 경우 접근성·적절성·매력성 순으로, 직원 및 서비스 만족도 영역의 경우 참여성·충족성·용이성 순으로 이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복지관 발전방안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은 다음과 같다. 노인복지관은 그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과 다양한 노인층의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의 결과도 사회에 기여하도록 가치성 측면을 고려해야 하고, 각 기관에서 이용자들의 시설 및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관접근성 증대와 이용인원을 고려한 프로그램실 크기의 적절성·층별배치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르신고문단을 구성하여 이용주체인 노인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노인복지관들은 필요한 정보공유 및 연계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등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특화된 복지관 설치와 고객만족에 대한 적용 및 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검토를 위해 이용자 만족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offering the theory concept about user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by evaluating of running and program service of senior welfare center with positive research for the factor which brings the difference of user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and studied using "SERVQUAL(Service Quality)" treat as follows: Basic variables are social demographic treat and senior welfare center using treat; Independent variables are program area, facility and circumstance area, staff and service area; A dependent variable is user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The material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pril 16th to April 30th, 2007 and the objective were the aged above 60 years old who have used Jungnang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gularly; selected 243 sample out of the distributed 250 sample and studied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for win 12.0. The summary of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ogram satisfaction with social demographic treat is different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nd outgo, household form, economic status; mostly high satisfaction is on the aged who has no education, no income, the single aged, low economic status. Facility and circumstance satisfaction h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staff and service satisfaction has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Secondly, program satisfaction with senior welfare center using treat is different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using welfare center term, using number of senior welfare center, using reason; high satisfaction is shown on the aged who have used senior welfare center for 1 year to 2 years, only one senior welfare center, for being offered lunch. Facility and circumstance satisfaction with senior welfare center using treat has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average frequency of using program, using number of senior welfare center; high satisfaction is on the aged who have 4 to 5 programs and only one senior welfare center. staff and service satisfaction has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using welfare center term, using number of senior welfare center, the channel of knowing the welfare center statistically; high satisfaction is shown on the aged who have used 1 year below, only one senior welfare center and known by welfare stuff, town staff or district staff.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er satisfaction was affected greatly in order as followings: program area, facility and circumstance area, staff and service area. SERVQUAL treat was shown important treat orderly as followings: in case of program satisfaction area; value, freshness, diversity : facility and circumstance area; approach, property, charming: staff and service area; participation, sufficiency, easiness. I proposed, based on the study, to evaluate, to elevate the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user as follows: Senior welfare center should create proper programs to fulfill senior's desire according th the lo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e feature and consider the value of education to contribute to society. Also the easiness to approach to the property of running program room such as size and location in a building for the capacity should be done by the relevant institute. The relevant institute should take senior's opinion through senior advisory group: each senior welfare center need to share information and link to program. We need to research for the applying and achievement of user satisfaction and building specialized senior welfare center.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특성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종태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del and to present the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cable to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or the important human resource management that make eff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 2016 to July 20, 2016 for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city of Deagu and Gyeongsangbuk-do region. The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78 were finally analyzed.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gender,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 according to social work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addition,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marital status, and work experienc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lower the age and academic level, the higher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trust. Religion shows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trust in the order of 'Catholicism', 'Christianity', 'Others', and 'Buddhism'. The variables that show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age, education, religion, monthly income, and work experience. Secondly, it is shown that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MX) as a parameter has positive(+) effects o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trust. However, the direct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did not appear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 better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trust they have, but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did not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job characteristic and organizational trust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path towar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higher trust and understanding of job characteristics in the organization the employees have,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the workers have. Fourth, the workers’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analyzed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relatively stronger as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of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workers is better. Fifth, in the effect of the workers’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MX),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trus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 it is analyzed that job characteristics are relatively stronger as the workers’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is better. In addition, there is a positive influence of the LMX on the organizational trust to the workers and it is shown that the better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of the worker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is, the stronger the trust in the organization. Sixth,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trust were significant in the indirect path from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to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direct path from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irstly a path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characteristics and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In other words, job characteristics showed mediating effects of promoting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is significant i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as the path from the organizational trust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organizational trust has a mediating effect on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promoting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In this way, the higher the LMX of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s. The LMX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 mediation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trust are shown as a buff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validation of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del and the intervention strategy applicable to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or the important human resource management that constitutes eff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medical welfare institu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효과적인 조직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인적자원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조직성과 모형의 검증과 사회복지조직에서 적용 가능한 개입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에 위치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1일부터 7월 20일 까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설문지는 최종 278부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리더구성원교환관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학력, 근무경력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직무특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학력, 종교, 결혼여부, 근무경력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직신뢰의 차이를 보인 변인을 살펴보면 연령, 학력, 종교로 나타났다. 연령, 학력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조직신뢰를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는 천주교, 기독교, 기타, 불교의 순으로 조직신뢰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 대한 차이를 보인 변인을 살펴보면 연령, 학력, 종교, 월평균소득, 근무경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매개변수인 직무특성과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으로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좋을수록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과 조직신뢰도는 높아지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직무특성과 조직신뢰가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으로 향하는 경로는 정(+)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구성원들이 근무하고 있는 조직의 직무특성과 조직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영향력은 정(+)의 영향력을 보였고,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좋을수록 조직몰입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직무특성, 조직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직무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좋을수록 직무특성이 상대적으로 강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은 정(+)의 영향력을 나타내어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좋을수록 조직에 대한 신뢰가 상대적으로 강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직무특성, 조직신뢰를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을 살펴보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에서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으로 가는 간접경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에서 조직몰입으로 가는 간접경로는 먼저 직무특성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이르는 경로로써,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특성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를 촉진시켜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에서 조직신뢰를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이르는 경로로,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신뢰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를 촉진시켜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을 높아지는데,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직접적으로 조직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직무특성이나 조직신뢰를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완충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정신보건교육프로그램 중재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홍종필 대구한의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노인의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중재가 생활만족도와 우울도의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입소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우울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활만족도와 우울도 효과를 보다 낮아질수 있는 방안 모색과 정책수립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8월 8일까지 약3개월간 경북 인근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노인 60명을 대상으로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설문조사하여 연구 분석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연령에서는 ‘76~80세’ 33.3% 가장 많았으며 ‘70세 이하’, 53.0%, ‘71~75세’ 20.0%, ‘81세 이상’ 16.7%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수준별로 보면 ‘중졸 이상’ 50.0%, ‘초등졸’ 30.0%, ‘무학’ 20.0%순으로 나타났다. 2)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가 없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생활만족도 척도에서 x2=2.069, P값=.150으로 집단 간 사전검사 척도의 유의성이 없음이 검정 되었다. 4) 심리상담의 만족이 높은 자의 생활만족도 점수가 실험전 측정 2.3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면 1차 중재, 3.37점. 2차 중재, 3.01점. 3차 중재 2.97점으로 실험 전 측정에서 만족하는 사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웃음치료효과의 만족이 높은 자의 우울도 점수가 실험 전 측정 3.3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면 1차 중재, 3.36점. 2차 중재, 3.30점. 3차 중재 3.28점으로 사전측정에서 만족하는 사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중재을 받은 실험군이 중재를 받지 않는 대조군 보다 심리적 복지감(생활만족도, 우울도)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중재가 향상 시킬 수 있고, 정신적, 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현실은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운영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 연구는 전체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못하고 일부 노인의료복지시설에 한정된 입소노인을 상대로 제한된 연구로서 향후에 노인 복지시설에 전체를 대상으로 해서 앞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야 하는 프로그램 중재로 제시해야 한다. 첫째, 정신적 및 정서적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경영자나 관리자가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운영의 적극적인 지원의식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학계나 관련단체에서는 노인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프로그램개발 및 전문가 양성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정서적 및 정신적 안정 프로그램이 없고 전문가가 아닌 임시방편 이여서 비효율적이며 노인의 특성,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특성을 감안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끝으로 이 연구는 경상북도내에 노인의료복지시설 한곳의 입소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임의 표본추출에 의한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구체적인 정신보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전문가 양성 국가적 관련법 등이 없기 때문에 보다 나은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 방법론적인 접근과 다양한 프로그램 적용 하여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언해 본다.

      • 중ㆍ장년층의 노년기 복지 욕구도 조사

        김미경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중·장년층의 노인복지욕구를 조사함으로서 효율적인 복지욕구에 대한 노인생활의 변화추이를 예측하여 현실적 타당성과 적합성을 지니는 노인복지정책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노인의 복지 욕구 도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노인복지 활성화 방안에 기여하고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키는 문헌연구와 이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노인복지를 필요로 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해보는 실증연구의 두 부분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노인복지의 이론적 고찰로 노인복지의 정의 및 개념, 제3장에서는 설문지에 대한 연구방법, 결과분석을 정리하였으며, 제4장은 결론부분으로 연구결과 요약 및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대응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의 방법에서 대상은 20세 이상 60세미만 대상자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204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AS System을 이용하여 빈도분포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중·장년층의 노년기의 복지 욕구 도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노년기의 생활과 생활비용에 있어서는 과거의 동거자녀에 의존하기보다는 사회보장제도와 부동산 또는 저축을 통해 노후를 준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경제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이유로는 교제 및 건강유지로 경제적 이유보다는 적당한 일로 인하여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정부는 고령사회의 노령인구를 위한 고용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질환형태가 과거의 급성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 변화함으로 완치가 불가능하고 질병을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과 장애를 수반하게 됨으로 노후의 병원 비 부담형태에 있어 지금과는 다른 의료보장정책과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하며, 노후에 다양한 여가활동 및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많은 사회적 뒷받침과 바른 노인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필요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 시대변화에 따른 실버타운 개선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오주현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우리나라는 의학발달과 경제적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특히 급속하게 진행되는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시대가 변하면서 다양한 수요 욕구가 급증하고 있고 욕구를 지닌 사회복지 대상자도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노인 주거복지 욕구가 다양한 유형으로 다양한 대상자에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앞으로 우리사회 에서는 인간의 생활패턴이 많이 달라질 것이다.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는 고령화 사회에서는 정년퇴직 이후의 노후생활 기간이 대체로 20년 이상 예상되며 평균수명도 더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노인인구의 증가는 경제, 의료, 사회 심리적 측면 등에서 많은 노인문제들을 야기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노인주거 문제가 가장 시급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경우는 노인복지 정책은 취약계층 노인들만을 위한 복지정책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복지서비스는 정부 또는 지방단체 등 공공부분 으로 주된 책임을 지고 수행하는 것이 옳다는 보편적인 생각이었지만 현대사회에서 다양하게 요구되는 복지욕구를 위해서는 공공부분에서만 해결 할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앞으로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다양한 복지수요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복지공급이 정부만이 아니라 민간복지 사업으로 비영리민간부문, 영리 민간부문이 동시에 발전되어져야 하며 종교단체의 핵심인 사랑의 실천의 다양한 사회복지시설과도 함께 발전해야 한다고 본다. 현 실정은 실버타운이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 확대되고 있지만 미래의 기대는 아직 그리 밝지 못하다. 특히 실버타운의 발달은 특정 한 기관에서만 이루어 질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노력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국가적 과업이고 우리의 과업이다. 따라서 세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 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는 가족, 기업, 지역사회 등 노인의 전반적인 환경을 안락하고 편안하게 제공 한다는 근본적인 원칙으로 이런 환경들을 적절하게 분담, 조절함으로서 서로가 협력하여 좋은 복지국가로 성장해야 한다.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므로 국가나 사회적 관심은 집중되고 있으나 아직은 모든 복지정책에 있어서 많이 부족한 단계이다. 실버타운은 노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책이며 모든 노인이 체계적인 제도 안에서 노년생활을 잘 한다면 앞으로 노인부양을 해야 하는 차세대나 국가차원에서도 매우 건강하고 바람직한 사회가 될 것이다. 둘째, 실버타운 시설에 대해 편견을 갖고 본다거나 노인을 대상으로 이윤을 추구하는 사업 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버리는 국민의식이 전환되어야 하겠다. 또한 실버타운에 입소하는 당사자인 노인자신도 부정적인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실버타운 입소가 사회에서 불필요한 존재가 되었다는 피해의식 속에 자존감 상실보다는 실버타운 입소는 자율적이고 지혜로운 선택을 하여 더 좋은 삶에 질을 만들어간다는 건강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민간기업은 사회발전과 국민복지 를 공공적인사업으로 기업이 책임진다는 정신으로 막중함의 사명을 갖고 기업자체의 이득이나 확장한다는 사업성으로 접근 하지 말고 소비자로부터 얻은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고 재분배 한다는 정신으로 노인복지 주거사업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에서도 선진국에서처럼 실버타운의 접근을 복지공급의 다원주의에 입각하여 경제력이 없는 노인을 위한 공공부문, 비영리부문, 영리민간부문이 동시에 발전되고 경제력 있는 노인들을 위한 민간부문에 의한 실버타운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노인복지가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와 관련된 사업의 특수성으로 연계해서 시설의 유지관리 등 입주자들의 일상생활을 보살펴주는 단일화 주거 서비스보다는 다양한 서비스 및 심리적 안정을 위한 복합적 시설을 제공 하도록 제안 해보았다. 수요의 지속성과 욕구의 다양화 고도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실버타운사업이 자유 시장원리에 입각하여 운영되는 편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민간기업이 실버타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 있도록 관련법규가 정비되고 개선되어야 하며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여 지원해야 할 분야는 인간이 노후생활을 해나감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기초적.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실버사업은 국가가 국민의 공통적인 욕구 중 일부를 재정능력의 한계로 충족해 줄수 없기 때문에 이를 사회의 민간단체들이 비용을 받고 해결해 주는 것이다. 최근까지 정부가 민간부문을 노인복지에 적극적으로 유도할수 없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민간부문의 참여로 전통적인 가족부양기능의 붕괴가 촉진될 것이라는 사회 일각에서의 우려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자녀들이 고령인 부모와 동거 하면서 노인의 경제적인 측면과 다른 여러 가지 도움을 충족시켜 주었던 전통적 가족제도의 변화는 선진국의 사례에서 보듯 가족들에게만 노인문제를 전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응책으로 여러 각도의 도움을 주는 방향과 또 다른 2차 대책으로 노인복지 유형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의 고령화와 사회 경제적 여건이 변화되면서 노인복지제도도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 했는데 이는 노인복지에 있어서 기본적인 최저국민수준은 국가가 책임지고 그 외의 능력 있는 노인에게는 민간자본을 동원하여 해결하려는 움직임으로 이것이 실버타운 등장 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실버타운은 아직 초보수준이지만 고령화 사회로의 진행속도가 빠르게 진입하는 만큼 신속하고 실패가 없는 여러 국가 들의 성공적 사례를 기초로 여러 유형의 실버타운을 추진하고 운영하여 많은 노인들이 이용하도록 해야겠다. 하지만 실버타운 설치는 단기적으로 빠른 결과를 기대 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계획으로 우리나라에 맞는 실버타운을 발전 시켜야 한다. 또한 미래사회에는 사전에 노후준비를 해두거나 연금 등에 의해서 노후생활을 준비하는 노인의 비율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인들이 질 높은 욕구충족을 한다면 실버타운의 입소율 은 높아 질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이러한 상황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현재의 공적부조 서비스만을 위주로 하는 노인복지정책을 지양하되 실버타운의 육성을 통하여 민간단체, 민간기업 등이 적극 참여 할수 있는 문호를 개방하여 여러 가지 측면의 다양한 실버타운 건립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Korea is now advancing into an aging society on a full scale. Rapidly growing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manifest a variety of needs to cope with change in the times. The pursuit of quality life requires an increasing number of social welfare needs. In particular, an aging society shows different modes of living. In an aging society in which the average span of human life is extended, the aged for the most part wilol spend more than 20 years in their old-age life, which leads the average span of life to be extended. An increase in the old-age population raises diversfied social issues, mostly the problem of old-age housing is presumed to be more serious in the futur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has been thus far carried out with emphasis on underprivileged old people. It is a generalized notion that welfare service should be implemented principally by the government, local self-government entities or other public facilities. However, comtemporary society does not depend upon the public sector alone in welfare service to fulfill multangular welfare needs. Thereupon, Korea is required to diversify its welfare service - 168 - on the basis of pluralism to meet a variety of welfare needs and well-balanced with the enhanc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people, along with simultaneous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sector, the nonprofit private sector, and the profit-making private sector. The silver town is now being expended in every type of life but it seems that its expect of future is not bright. The development of the silver town is not such a kind of problem as can be successfully realized in a particular institution alone. That is to say, it is a nationwide mission that can only be achieved by joint effects of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the people. In the light of this,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ay of the people should covert by sublating the negative seeing of old-age collective dwelling facilities and pursuit of profit from the aged. Concomitantly with this, the aged should make efforts for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in an autonomous and wise way. Second, enterprise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ir liabilities for social development and national welfare. On top of their own profit and its extension, enterprises should take part in the silver industry with the spirit to return and redistribute the profit from consumers to society.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play such a role as can support old people's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in families, enterprises, and communities, especially by adjusting the factors properly and in an orgarnic way. Furthermore, balanced cooperation should be maintained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in order to set up a substantial cooperation system in authorizion, permission, regulations and so forth, for the promotion of the silver industry within the government.

      • 노인복지정책 결정요인 분석 : 16개 광역자치단체 노인복지예산을 중심으로

        김갑주 대구한의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7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that have an influence on elderly welfare policy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The study does not include a political factor like presidential elections in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identify practical policy demands that have an impact on elderly welfare policy. The research model uses a social factor, an economic factor, and a financial factor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elderly welfare policy. Indicators for measuring these factors are as follow. First, the indicators for the social factors include the number of aging population (NAP), ratio of labor force population to support people aged above 65 (RLF), and rate of the elderly employment (REP). Second, the study utilizes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and GRDP per person (GRDPP) to assess economic situations in local governments. Finally, the indicators for measurement of financial factors are an independent rate of finance (IRF), the total amount of collecting local taxes (TAC), and ratio of budgets for elderly welfare to tax money allocated to local governments (RBE). Using data collected 2008 to 2011 from 16 local governments,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se determinants-social factor, economic factor, and financial factor- on local governments' budgets for elderly welfare (LGB) by employing poole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study variables, NAP, GRDP, IRE, and TAC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GB. In particular, the number of aging population (NAP) has the highest correlation (=.838) with LGB among study variables, with GRDP(=.807) following.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of multicollinearity test before carrying out pooled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study cannot use RLF, GRDPP, and RBE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lderly welfare policy because these variables have high values in VIF and tolerance limits. The result of Durbin-Watson test indicates that the time-series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have an autocorrelation problem. To solve this statistical problem, this study employs poole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ochrane-Orcutt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NAP (=.992), GRDP (=.975), and TAC (=1.153)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p<.01) on LGB but not REP and IRF.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ciding the budgets for elderly welfare policy and the number of people aged over 65 is a practical and important demand for elderly welfare policy. 이 연구에서는 정치적인 요인을 배제한 상태에서 노인복지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즉 노인복지정책 결정요인으로 사회적 요인(노인인구 규모, 노인부양비율, 노인취업율), 경제적 요인(지역내총생산, 1인당 지역내총생산), 그리고 재정적 요인(재정자립도, 지방세징수총액, 지방교부세 대비 노인복지비 비율)을 선정하고 노인복지예산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16개 광역자치단체로 한정하고 2008부터 2011년까지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한 기법은 노인복지정책 결정요인과 노인복지예산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그리고 노인복지정책을 결정하는 요인을 밝혀내기 위하여 통합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노인복지정책 결정요인과 노인복지예산 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인구 규모와 노인복지예산 간에 정(+)의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결과는 노인인구 규모가 증가하면 노인복지예산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노인복지정책을 결정할 때, 노인인구 규모가 실질적인 정책 수요라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둘째, 지역내총생산과 노인복지예산 간에 정(+)의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인 지역내총생산이 노인복지예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은 노인복지예산의 증가가 지방정부의 경제적 성장과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방정부의 경제가 성장한 만큼 노인복지예산이 따라 증가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능력을 의미하는 재정자립도와 노인복지예산 간에 유의미한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가 증가하면 노인복지예산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함으로 노인복지정책 결정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능력과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지방세징수총액과 노인복지예산 간에 정(+)의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정부의 지방세징수총액이 증가하면 노인복지예산도 증가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 지방정부에 대한 노인복지예산의 부담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지방정부의 지방세징수능력은 노인복지정책 결정에서 있어서 중요한 고려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노인복지정책 결정요인인 사회적 요인인 노인부양비율과 노인취업율, 경제적 요인인 지역내총생산, 그리고 재정적 요인인 지방교부세 대비 노인복지비 비율은 노인복지예산과 유의미한 상관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취업율과 노인복지예산 간에 상관성이 없음은 노인취업율이 증가하더라도 노인복지예산이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노인취업율 증가가 노인의 경제적 수준 향상에 얼마만큼 도움이 되는가의 문제와 긴밀한 연관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노인복지정책 결정요인과 노인복지예산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을 통해 도출한 연구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징수총액이 노인복지예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징수총액이 노인복지예산과 높은 인과성을 지닌다는 점은 노인복지정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부담능력인 것으로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노인인구 규모 역시 노인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정책수요는 노인인구라고 할 수 있다. 즉 노인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는 노인복지서비스 수요를 창출하기 때문에 정부는 이러한 정책수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셋째, 지역내총생산이 노인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은 지역의 경제성장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노인전문사회복지사제도의 필요성과 도입방안 :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관련하여

        김윤경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aging speed of our country which has entered the aged society as the population of 65 year old senior citizens has exceeded 7% in 2000 is progressing by an unprecedented quick speed throughout the world. While the interest toward the aged is growing rapidly in gear with this trend and the problem of the aged followed by increase of aged population, the interest toward elderly welfare is getting increased. The Ministry of Welfare is trying to expand the elderly sanitarium facility or home welfare services and enforce a system called 'health caretaker' by introducing the「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and preparing a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for the aged to cope with such problems. As the opinion that elderly specialists are needed is increasing out of necessity to enforce this law, the caretakers and elderly social workers have been trained by non-official qualifications centered on field workers or university professors, the reality is that such education is lacking in organization or education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while similar organizations are scattered in random because such training is provided by private organizations. At a point of facing the enforcement of 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 the situation is that workers who are only in charge of professional nursing and caring are needed in reality for the aged people who are in need of protection. Moreover, because the reality is that government would even systematize the 'health caretaker' in addition giving a government authorized qualification if the education time of certain period has been completed, the fact that related professional workers are necessary is recognized by everyone. In case of elderly welfare services, it is hard to expect satisfactory results if the professional workers are not ensured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even if the excellent facility or services are expanded and the method of raising expenses such as public or private care insurance policy, etc have been adopted. But just by looking at the fact that our country is trying to import the system called 'health caretaker', the reality is that the awareness toward necessity of professional workers on the field of aged people is still lacking and because the service is remaining at a beginner stage as it is lacking compared to the desire and demand of the elderly as the lower structure for providing services is insufficient, we must diversify the facilities providing elderly welfare while systematizing professional workers providing elderly welfare as government authorized license and raising them systematically by going through a certain curriculum and evaluation process by raising the awareness toward the necessity of elderly welfare for it to provide a diverse and professional services for feeble and handicapped old people. Therefore,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system of providing services for healthy aged people as well as the aged people who are in need of protection, the system of elderly welfare related providers that are scattered at random and also examined the necessity and introduction plan of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 system. The introduction plan of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 system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have been imported as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through the amendment of social welfare business law, because th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couldn't be adopted by each field and area followed by the system, the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 system must be legislated by elderly welfare practice which is the method to provide the services of professionally and continuously satisfying various demands of aged people who are able to live ordinary life as well as the aged people who are in need of protection. Second, because the reality is that the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job sites are unable to guarantee an environment to perform the job which sums up to the corresponding qualifications although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is being aimed at, I'd say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frastructure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ould provide a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service for the elderly and this would contribute to raising the quality of long term care insurance policy while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welfar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re expected to make the standard of elderly welfare one step higher by protecting the interests of elderly and subjects of long term chronic diseases through professionalism and by coping actively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welfare demands. 2000년에 65세 노인인구가 7%를 넘음으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 유래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노인에 대한 관심도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고,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고령자 문제도 사회적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노인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복지부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여 노인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방안을 마련하여 노인 요양시설이나 재가복지 서비스의 확충과 ??요양보호사??라는 제도를 실시하고자 하고 있다. 이 법 실행의 필요성으로 노인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증가하면서 노인케어에 관심이 있는 현장의 실무자나 대학교수들을 중심으로 민간 자격으로 케어복지사와 노인복지사를 양성하였으나, 이러한 교육은 민간단체에 의해 양성되고 있어 체계성이나 교육 및 자격관리 면에서 미숙하고, 유사한 단체들도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요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들에게 전문적으로 간병하고 수발만 담당하는 인력은 현실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며, 거기에 정부도 일정기간의 교육시간만 이수하면 국가공인자격을 주는 ??요양보호사??까지 추가적으로 제도화하겠다는 실정이므로, 이와 관련한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것은 모두가 인정하는 사실이다. 노인복지서비스는 아무리 좋은 시설과 서비스가 확충되고 공적 혹은 민간 요양보험제도 등의 비용조달의 방법이 강구된다 하더라도, 서비스를 직접 실천하는 전문 인력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확보되지 않는다면 그 성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는 ??요양보호사??라는 제도를 도입하고자 하는 것을 보더라도 노인 분야에 대한 전문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하부구조가 미비하여 노인들의 욕구와 수요에 비하여 서비스가 대단히 부족한 실정으로 초보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노인복지가 허약·장애 노인에게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인복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켜, 노인복지를 제공하는 시설을 다양화하고, 노인복지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을 일정한 교육과정과 평가과정을 거쳐 국가공인자격증으로 제도화하고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요보호 노인 뿐 아니라 건강한 노인에게 노인의 노인에 노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난립해 있는 노인복지 관련 제공자 제도를 살펴보고 노인전문사회복지사 제도의 필요성과 도입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주택 이용의사 결정요인

        김경숙 대구한의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75

        이 연구의 조사 목적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주택의 이용의사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노인들이 희망하는 노인복지주택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대구광역시 7개구에 거주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2009년 6월 3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 직접면접을 통하여 367(회수율 : 91.7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분석 목적에 맞추어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노인복지주택 이용의사 결정요인, 노인복지주택의 선정요건,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 연구에서는 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 요인분석에서 얻어진 요인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Ⅰ진취형, 군집Ⅱ 태만형, 군집 Ⅲ 웰빙형으로 분류되었다. 2) 노년층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성별, 연령, 최종학력, 전 직업, 월평균총수입, 동거형태, 건강, 현 거주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보면 진취형(35.4%)이 가장 많았고, 태만형(33.6%), 그리고 웰빙형(34.9%)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용의사에서는 동거형태. 건강상태, 현 거주지의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이용의사가 없다가 높았고,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은 이용의사가 있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건강상태에 따른 이용의사는 건강상태가 좋은 노인들이, 현 거주지는 이용의사가 있는 노인들은 수성구가 높았다. 4) 입지장소는 월 평균 수입 100만원 이상, 혼자 사는 경우 노인과 부부가 함께 사는 노인, 그리고 건강상태가 보통·좋다 일때 도시근교형을 선호한 것을 알 수 있고, 전체적으로 도시근교형의 선호도가 높았다. 5) 구체적 입지장소는 청도군을 가장 선호하였고, 60세 미만 노인은 경산시· 청도군을, 60-74세 노인은 청도군을 선호하였으며, 상대적으로 75세 이상의 노인은 대구 시내를 선호하였다. 연령이 낮은 노인일수록 도시근교를 선호하고, 75세 이상의 연령이 높은 노인일수록 도심을 선호하였다. 특히 75세 이상 노인이 대구 시내를 선호한 것은 고령일수록 의료시설에 가까이 있으려는 안전우선의 심리를 이유로 볼 수 있겠다. 또한 수성구에 거주하는 노인은 대구 시내를, 남구, 동구, 달서구는 모두 청도군을 선호하였다 6) 이 연구에서는 1인당 월 생활비 60만원 미만은 여성노인이, 학력은 고졸이하, 월 평균수입 100만원 미만의 노인들이 선호하였고, 60만 원 이상은 대졸이상, 그리고 월평균 수입이 300만 원 이상의 노인이 선호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7) 분양평수는 직업에 관계없이 79m²(24평형)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구체적으로 비교해보면 56m²(17평형)은 중졸이하 학력의 노인, 주부 및 기타, 월 평균수입 100만원 미만, 혼자 사는 노인, 건강상태가 나쁘다는 노인의 응답이 높았고, 반면에79m²(24평형)은 고졸이상의 학력의 노인, 전문직· 기술 및 자영업 종사하셨던 노인, 월 평균 수입이 100만 원 이상의 노인, 부부가 함께 사는 노인, 건강상태가 보통, 좋다 의 경우, 그리고 현 거주지는 대구지역 내 현 거주지에 상관없이 응답자가 전체적으로 79m²(24평형)을 모두 선호하였다. 8) 적정 분양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이었던 연령, 성별, 월 평균수입에 상관없이 모두 600만원 미만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특히 월 평균수입이 200만원 이상의 노인들이 월 평균수입 200만원 이하인 노인들보다 적정 분양가가 800만원 이상에 응답한 응답자가 많았다. 9) 세대수에 따른 차이는 100세대미만은 혼자인 경우(68.8%), 300세대 이상인 경우는 동거형태가 부부인 경우(24.4%)로 조사되어, 부부일 경우에는 세대수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0) 생활유지형태에 따른 생활유지형태에서 연금(52.8%) 이 가장 많았고, 여자의 경우 저축 및 본인의 수입에 의해 생활을 유지(38.6%) 하고 있으며, 남자의 경우는 연금에 의해 생활을 유지(52.8%)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60-64세의 노인들은 대부분 저축 및 본인의 수입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75세 이상은 자식들의 도움(19.0%)이 많았다. 11) 입주비용 조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특성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전 직업, 월 평균 수입, 그리고 현 거주지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본인부담(보험, 연금 등)이 62.9%로 가장 많았고, 본인 및 자녀가 분담이 19.9%, 자녀들에게 의존이 17.2% 순으로 조사되었다. 12) 입주방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특성은 연령, 월 평균 수입, 동거형태, 건강상태, 현 거주지였다. 전체적으로는 임대형(34.9%)이 가장 많았고, 종신형(15.1%) 이 가장 적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연구의 달성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복지주택의 공급방식이 다양해야 한다. 둘째, 노인복지주택의 시설시 중요 고려요인과, 시설고급화, 관리운영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주택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노인소득 보장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복합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생활의 편리성을 도모

      • 중장년층의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 입주 선호도에 관한 연구

        남순옥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고령화 사회에 이르러 노년층의 주거욕구와 선호도는 사회적 변화, 노인들의 필요와 욕구에 의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이 연구에서는 현재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미래의 노후대책을 위한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설의 설치 운영자에게 수요자가 선호하는 시설의 공급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자 하였다. 또한, 수요자인 노인층의 주거복지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노인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조사 기간은 2006년 10월 20일부터 2006년 10월 31일까지 11일간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370부를 배포하여 347부가 회수되었고, 회수율은 93.7%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미비하거나 불성실한 답변 7부를 제외하고 340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이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IE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 입주 선호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 검증), t-test 및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ANOVA 분석 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Ducna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실시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개발 보급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분석 결과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개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고졸 이하에 비하여 대졸과 대학원 졸 이상이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 개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입주 의사를 살펴보면, 입지조건, 시설, 비용들을 고려한 뒤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절대 입주하지 않겠다는 6.2%를 제외하면 93.8%가 입주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입주 의사를 살펴보면 비용을 고려한 뒤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58.2%로 가장 많았다. 입주동기가 없는 이유 중에서 자유로운 생활을 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서 아직도 주거복지시설이 수용시설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는 층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에 입주할 경우 그 시기를 살펴보면 연령이 많아 고독과 외로움을 느낄 때와 건강이 악화되어 누군가로부터 부양이 필요한 때가 가장 많게 조사되었으며, 입주방식은 임대방식을 가장 많이 선호했고, 전세 임대형을 선호 했으며, 희망하는 보증금은 3000만원 이상에 월 이용료 30만원 이하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노후에 거주하길 원하는 주거 시설로는 전원주택형이 가장 많았고, 전용면적은 11-15평을, 입지환경으로는 도시근교형을, 거주세대로는 51-100가구를 가장 많이 선호 하였다.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에 꼭 설치해야할 이용시설에 대한 응답은 의료시설의 필요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노후의 건강문제를 가장 중요시 했다. 여섯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에 대한 전망은 높은 수치의 긍정적 경향을 보였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선진국처럼 확대 될 것이라는 높은 수준의 전망을 보였다.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을 운영하는 주체로서 정부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복지법인에서의 운영을 선호하였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은 노인들의 사생활을 침해 받지 않는 자유롭고 독립적이며 안락한 노인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은 개개인이 만족할 만한 건강서비스 프로그램과 외로움을 위로 할 수 있는 정서적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 입주에 필요한 경비가 소비층에게 맞는 적정한 비용이 되려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넷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이 노인들에게 편안한 인식을 주기위해서 지역사회의 홍보가 있어야 한다. 다섯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은 도시와 멀리 떨어지지 않는 도시근교형으로 주변의 환경은 전원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 The elderly's need and preference for their residences become inspired in this aging society. In response to these social change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elderly's preference for charged welfare facility to acquire effective measures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useful information on how to provide more preferential facilities with consumers can be presented establishers and operators of facilities with. This study can help the elderly improve their living quality and be used to increase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welfar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can be remarked as follows. First, in answer to necessity to develop and provide charg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most of the respondents have high understanding that charg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Second, in answer to considerations for charg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most respondents list condition of location, state of facility, and expense as considerations in order to decide to reside. Third, in answer to time to reside in charg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most respondents answer that they will reside when they get to be lonely and unhealthy in need of others' help. Fourth, in answer to types of residence, most respondents answer that they prefer suburban style house. The most real reason why they decide to reside in charg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s that they need medical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