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표준 ISO 14090:2019에 기반한 국내 기후변화 적응계획 타당성 검증체계 구축방안 연구

        박영재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Climate change is being regarded as a significant risk that widely affects society and economy, even human health and living conditions, including the natural ecosystem, agriculture, fisheries, livestock and industrial activities. Recently, BIS(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 mentioned that Climate change is serious risk threatening financial stability and the system of world economy. Releva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every country agreed to reduce green house emissions through international agreement such as Paris Climate Change Accord(November 2016) to reduce risk of climate change threaten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mankind. In case that an adaptation plan to climate change has been properly established by a country or a general organization, damage from climate change would be minimized when climate change is faced. However, In case that an adaptation plan to climate change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for particular region, a lot of damage would be happened and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would be shrunk and heavy charges would be spent to restore them. This study is to continuously verify the validity of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change established by the state or organization and to establish system to improve the adaptation plan. In previous studies in the same field, there was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domestic adaptation plans to the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verification of validity of an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chang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recently developed ISO 14090:2019 stipulating requirements for an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change, and international standard ISO 17029:2019 stipulates requirements for a verification body that verifies validity of an adaptation plan using the ISO 14090:2019. The inten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se international standards is for the verification body to impartially, independently and rationally verify an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change. In verifying validity of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most important thing is reliability and such a reliability can be secured through a third-party conformity assessment system operated by the International Accreditation Forum (IAF). In the third-party conformity assessment system, the accreditation body monitors the verification body, which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organization's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accreditation body is periodically monitored on the adequacy of their monitoring activities by the IAF. Mechanism of a third-party conformity assessment, based on the structure of IAF-Accreditation body-verification body-organization, can provide reliability to the verification scheme of validity of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change. Therefore, if verification system to verify the validity of domestic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change is established and operated early by using the abov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 mechanism of the third-party conformity assessment system operat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IAF, the adaptation plan to reduce the risk of climate change is recognized from abroad, and it can not only induce domestic investment by foreign companies, but also protect people's lives and property and solidify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regard, I suggest government authorit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that verification system to verify a domestic adaptation plan to the climate change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early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14090:2019. 기후변화는 자연생태계를 포함하여 농수산업 및 축산업 그리고 산업 활동 심지어 인간의 건강과 주거환경 등 사회 및 경제적으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리스크로 간주되고 있다. 최근에는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 BIS)에서는 기후변화를 금융안정 및 세계 경제체제를 위협하는 심각한 리스크로 언급하였다. 관련 국제기구 및 각 국가들은 이처럼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기후변화 리스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파리기후변화협약(2016.11)등 국제협약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 합의하였으며 또한 변화된 기후에 적응하기 위한 적응계획을 각 국가별로 수립해왔다. 국가 또는 일반조직 등이 수립한 기후변화 적응계획이 적절히 수립된 경우, 예상한 기후변화가 도래하였을 때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후변화 적응계획이 해당 지역에 적합하게 수립되지 않은 경우 기후변화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사회 및 경제활동이 위축되며 이를 복원하기 위한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이 논문은 국가 또는 조직이 수립한 기후변화 적응계획의 타당성(Validation)을 지속적으로 검증하고 해당 적응계획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동 분야 이전 논문에서 국내 기후변화 적응계획 이행 실적에 대한 평가방안을 연구한 논문은 있었으나, 해당 적응계획에 대한 타당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최근 개발한 국제표준 ISO 14090:2019 표준은 기후변화 적응계획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ISO 17029:2019 국제표준은 ISO 14090:2019 표준을 이용하여 조직의 기후변화 적응계획 타당성을 검증하는 검증기관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표준의 요구사항이 의도하는 것은 검증기관이 해당 기후변화 적응계획의 타당성을 공정하고 독립적으로 그리고 합리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타당성 검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성이며 이러한 신뢰성은 IAF(국제인정기구포럼)가 운영하는 제3자 적합성 평가체계를 통하여 확보할 수 있다. 제3자 적합성 평가체계에서는 조직의 기후변화 적응계획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검증기관(Validation)을 인정기관(Accreditation body)이 모니터링하고, 인정기관은 국제기구 IAF로 부터 주기적으로 인정기관 모니터링 활동의 적절성에 대하여 평가받는다. IAF-인정기구-검증기관-조직으로 연결되는 제 3자 적합성 평가 시스템은 기후변화 적응계획 타당성 검증제도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위 국제표준과 국제기구 IAF가 운영하는 제3자 적합성 평가 체계를 이용하여 국내 기후변화 적응계획 타당성 검증제도를 조기에 구축하고 운영한다면 해외로부터 국내 가후변화 리스크 경감을 위한 적응계획을 인정받아 해외 기업의 국내 투자 유도는 물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공고히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후변화 관련 정부당국에 국제표준 ISO 14090:2019에 근거한 국내 기후변화 적응계획 타당성 검증제도가 조기에 구축 및 운영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내의 에너지 빈곤층 지원 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해외 정책 사례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송미혜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IPCC 제 5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명백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시행하고 있다.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에 의하여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량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 모두 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에너지 효율개선이 단기적인 축면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가장 경제적인 온실가스 저감대책으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효율개선 정책을 수립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정책으로 인한 에너지의 비용의 증가로 인해 에너지 빈곤이 심화되었다. 에너지 빈곤은 낮은 에너지 효율과 저소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파악한 해외 국가들은 이미 ‘에너지 빈곤 지원 정책’을 수립하여 에너지빈곤층 해소와 온실가스 저감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에너지복지정책은 해외 에너지 복지 정책에 비해 아직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에너지빈곤층을 대상으로 에너지복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정책과 사례를 비교연구 하여 에너지 복지 효율성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있다. According to the IPCC fifth assessment report, it is clear that the climate change affects human activity.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the world started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policy.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energy consumption rat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increasing continuously. And as the energy efficiency revealed that it is the most efficient and economical way to reduc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short term, the world started to establish th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olicy. However the increase in energy costs caused by energy conservat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act, paying energy costs became a burden for low-income and it caused 'energy poverty'. As a result, other foreign countries realized that energy poverty is influenced by low energy efficiency and low income. So to relieve this problem, they started to establish the 'energy poverty assistant policy(also known as energy welfare policy)' to reduce the rate of energy poor and to achieve the goal of greenhouse reduction goals. But in Korea, the energy welfare policies are yet inadequate by comparing to other countries' policy. So using comparative study methode by comparing America, the United Kingdom, Canada and Japan's energy welfare policies and cases with Korea's policies and cases, this study has meaning and purpose on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energy welfare efficiency.

      • 석탄화력발전의 향후 기후변화 적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영동, 동해, 서천 화력발전소의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개발 및 평가

        남재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reserve margin of Korea has decreased continuously from 2008 to 2011. Electric power shortages occurring in the Korean summer and winter seasons have become a serious concern. To secure a supply of electric power, one solution is to build new base load power plants. Nuclear power-generation and coal-fired stations as base load plants in Korea supply cheap electric power to consumers, but the government has shelved a plan to extend the nuclear power-generation due to concerns over stability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this situation,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allow private companies to build new coal-fired power plants instead of continuing development of nuclear power-generation. To set up measures to ensure power supply stabilization, the reasons behind the increase in power demand need to be addressed. Climatic conditions, the calorie unit price for energy resources, and general Korean economic conditions are the main causes for increased demand. Additionally, the moment of utmost shortage of the reserve margin is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eason because of increasingly extreme climatic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one measure to be considere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supply stability of coal-fired power plants and climatic conditions. To determine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of coal-fired power plants, a vulnerability indicator was developed. This indicator was developed using current research, exiting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experts. This is comprised of three sections: climate exposure, the sensitive section, and the adaptive capacity. Each of these sections is ordered by different proxy variables. Each section and variable generates a unique score which helps to assess the vulnerability of coal-fired power plants in Korea. To evaluate domestic coal-fired power plants which use domestic and imported coal, three coal-fired power plants located in Western (Seocheon) and Eastern (Yeongdong and Donghae) areas of the country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ocheon coal-fired power plant is the most vulnerable, and the Yeongdong and Donghae plants are the second and third most vulnerable, respectively.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the final scores of each proxy variable are similar. However, the annual frequency of typhoons in the climate exposure section, coal transportation distances in the sensitive section, and the number of coal trade countries in the adaptive capacity section are the biggest influences on proxy variables in each section. Among these main three proxy variables, coal transportation distance is the major cause for the vulnerability of the Seocheon coal-fired power plant. The Seocheon coal-fired power plant is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most domestic coal mines and harbors are located on the east coast. In contrast, Yeongdong and Donghae coal-fired power plants are located on the east cost of Korea. When coal is being delivered from the coal mines and ports to the power plant, the coal can become increasingly moist because of the climatic conditions such as rain or snow. The consequence of this i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al-fired power plant can be reduced more and more the farther the coal needs to be transpor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wo main respects. The first is the development of coal-fired power plant vulnerability indicators. With new indicators, vulnerabilities can be better identified which can lead to a more stable supply of electricity. The second is verifying how much the three coal-fired power plants are relatively vulnerable by comparing results between these three plants can give mor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plant vulnerabilities in Korea. In this context,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icators which ar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domestic coal-fired power plants. As a result, this can help to develop and research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icators of other power plants such as a thermoelectric and nuclear power plants. 우리나라의 전력예비율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여름과 겨울철에 심각한 전력난을 겪어 왔다. 이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기저발전기의 건설을 제시할 수 있는데, 정부는 원자력발전의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건설 계획을 추진하는 대신 민간부문의 석탄화력발전 확대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력공급 안정화 방안 마련을 위하여 전력수요 증가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기후적 조건, 에너지원 열량단가, 경기 상황 등이 전력수요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름과 겨울철의 전력예비율 부족 현상은 혹서나 혹한 등의 이례적인 기후적 현상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안정적인 전력공급 방안 수립을 위하여 석탄화력발전소와 기후적 조건간의 관계를 고려한 기후변화 적응 방안을 연구하였다. 석탄화력발전소의 기후변화 적응 방안 수립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보고서 및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표는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 능력의 세 가지 부문과 각 부문별 특성에 맞는 상이한 변수들을 구성하여 국내 석탄화력발전소들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및 수입 석탄을 사용하는 석탄화력발전소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하여 충정도(서천화력발전소)와 강원도(영동 및 동해 화력발전소) 지역에 위치한 세 개의 석탄화력발전소를 선정하였다. 세 개의 석탄화력발전소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한 결과, 서천화력발전소가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하며 그 다음 영동, 동해화력발전소 순으로 기후변화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개의 발전소에 적용한 각 부문별 대리변수 최종 값은 대부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지만 기후노출 부문에서는 ‘연간태풍빈도수’, 민감도 부문에서는 ‘운송거리’, 그리고 적응능력 부문에서는 ‘국외석탄보급 국가 수’의 대리변수들이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위에서 제시한 주요 세 가지 변수들 중에서 민감도 부문의 ‘운송거리’ 대리변수가 서천화력발전소의 기후변화 취약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서천화력발전소는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에 소재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내 탄광 및 석탄 수입항이 동해에 위치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영동 및 동해 화력발전소는 국내 탄광 및 석탄 수입항이 발전소와 근접해 있다. 석탄을 탄광이나 항구에서 발전소로 운송할 시에 눈과 비와 같은 기후적 조건들로 인하여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는 석탄화력발전의 효율성이 낮아지거나 더 많은 석탄이 요구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석탄운송 거리가 장거리인 서천화력발전소가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는 석탄화력발전의 취약성 지표 개발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는 안정적인 전력공급 방안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둘째는 석탄화력발전소들간의 취약성 평가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인 취약 요소들을 확인하여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석탄화력발전소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는 국내 석탄화력발전소에 적용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 방안을 수립하고,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및 기타 발전소의 기후변화 적응 방안을 연구·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도시가스산업 기후변화 적응과 비용연구

        이한석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Although climate adaptation and mitigation are crucial policies in order to reduce the risk and hazards of climate change and to minimize its negative impact,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have mainly focused their attention on climate mitigation. The industry sector’s approach has remained similar concentrating on target setting measures, emission trading preparedness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On the other hand, city gas, which accounts for 18% of primary energy consumption in Korea, is used various ways by 75% of the Korean population in household, commerce ,industry and transportation sector. Even as the city gas industry, which by nature requires heavy investment on underground distribution channel and initial infrastructure, has safely supplied gas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transmission pipeline, the significance of climate adaptation is growing larger as climate change and extreme weather can impact the supply management This paper reviews the vulnerability of the city gas industry to climate change, identifies the adaptation measures set out by the industry and quantifies the damage inflicted on the industry by assessing the entailing economic cost. The purpose lies in drawing implications on adaptation policy by exploring the perspectives of those engaged in the industry. The find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the general status of disaster points out that natural disasters in Korea mostly occur in the three months of July~September. The reason behind this that damage arising typhoon and torrential rain make up 86.9% of the total disaster. In the same vein, the damage inflicted on the city gas industry due to climate change is mostly caused by typhoon and torrential rain as underground-buried gas transmission pipelines are lost and intruded by water. According to an internal report compiled by the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32 cases of physical damage to facilities have been reported in the last 10 years and a total of 43,012 cases of gas facilities damage owing to water intrusion have been filed. Second, total loss triggered by disaster of the city gas industry sector have been estimated at 2.284 billion KW. This figure was estimated by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with personnels at city gas companies in order to quantity the cost associated with damage in the sector. Year by year, 2003 recorded the highest overall damage of 1.044 billion KW when typhoon Maemi, the second strongest wind to hit Korea since record-keeping, struck Korea. 382 million KW of loss suffered in July, 2011 comes next as the storm flooded more than 10,000 houses over the course of three-day heavy rainfall. By item, boiler inspection and repair cost topped the list followed by gas stove repair cost and gas facilities inspection cost resulting from water intrusion. Third, since the level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s determined by the level of necessity for adapt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engaged in the city gas industry sector on the impact, response and preparedness needed to climate change. The research indicates 91% to b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climate change impact. Global warming was considered to be the foremost factor influencing city gas as the industry revenue is directly related with temperature. However, natural disasters such as torrential rain and typhoon were not of concern reflecting low perception for adaptation. 56% of the respondents replied negatively to the efforts exerted by the city gas industry, implicating the need for the industry to step up its effort. 45% responded safe supply of gas to be of most significance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This indicates that city gas supply can be highly affected by change in temperature and city gas supply has emerged as key challenge to the industry. This study carries meaning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city gas industry, associated damage and what the industry needs to prepare for adaptation. But the study has limitations on estimation of economic cost and overall perception of the industry. Future endeavors to standardize the itemized amount of damage and securing data by disaster type will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is study and will contribute to city gas-related policy-making.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요소들을 줄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후변화 적응은 완화와 함께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한 정책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수의 국가들은 기후변화 완화에 초점이 맞추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산업계에서도 목표관리제의 이행, 배출권거래제의 준비 등 온실가스의 감축에 집중하는 등 완화정책 위주로 대응하고 있다. 한편 도시가스는 우리나라 국민의 75%가 사용하며, 1차 에너지의 18%를 부담하는 국민 에너지로서 가정, 상업, 산업 및 수송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도시가스산업의 특성상 지하에 매설된 공급배관의 구축이라는 막대한 초기 인프라의 투자와 공급망 관리를 통해 안전한 도시가스 공급이 지속되고 있지만, 자연재해 상황이나 혹한, 혹서 등 이상기후가 발생할 경우 재난 및 수급관리 등 적응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분야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적응대책에서 도시가스산업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의 취약성을 검토하고 업계에서 추진하고 있는 적응 현황을 정리하며, 도시가스산업의 재해에 따른 손실비용을 조사하여 계량화하였다. 그리고 도시가스산업 종사자들의 기후변화 현황과 대응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도시가스산업의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수립에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재해현황을 검토한 결과 우리나라 자연재해는 주로 7월~9월, 3개월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재해피해가 여름철에 대다수 발생하는 것은 태풍과 집중호우 2가지 원인에 의한 재해피해가 86.9%로 절대적 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도시가스산업의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피해 역시 대부분 집중호우와 태풍에 의한 것이며, 이는 도시가스 시설물의 대부분인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이 유실되거나 침수되면서 발생되는 피해이다. 한국가스안전공사의 내부자료에 의하면 2003년~ 2012년까지 최근 10년간 도시가스 분야에 32번의 자연재해로 인한 시설피해가 발생하였고, 도시가스시설의 총 침수피해 현황은 43,012건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도시가스 분야의 재해발생에 따른 비용을 계량화하기 위해 도시가스사 시공․공무 분야의 담당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면접방식을 통해 공급시설과 사용시설의 손실비용을 추산한 결과, 지난 10년간 도시가스분야 재해 손실금액은 총 2,284백만원으로 산정되었다. 연도별로는 역대 2번째 강력한 태풍‘매미’가 강타했던 2003년이 1,044백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2011년 7월 집중호우시가 382백만원으로 많게 산정되는데, 이는 3일 정도 계속된 수도권의 집중호우로 1만여 가구의 침수가 발생하였기 때문이었다. 원인별로는 침수로 인해 발생한 보일러의 점검․수리비용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스레인지 수리비용과 일반적 침수에 따른 가스시설 점검비용 순서였다 셋째, 기후변화의 적응수준은 적응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에 의해 좌우되므로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가스산업의 영향과 대응을 위한 준비수준과 필요한 사항에 대한 도시가스산업에 종사는 임직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기후변화의 일반영향에 대해서는 91%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도시가스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는 1위 기상조건으로 온난화를 답하였으며 이는 도시가스산업이 기온에 따라 매출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산업의 특성에 따른 것이며, 상대적으로 폭우, 태풍 등 재해요인에 대해서는 크게 생각하지 않아 적응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였다. 도시가스업계의 기후변화 대응수준에는 56%가 부정적으로 답하여 업계의 대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시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안정적 수급의 중요성을 45%가 답하여 향후 온도의 변화에 따른 도시가스 공급량이 급변할 수 있으며, 가스수급의 과부족에 대한 대응이 업계의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가스산업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연구의 시도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기후변화와 도시가스산업과의 영향이나 피해양상, 산업계의 준비사항에 대한 일반적인 조사는 적절하게 수행되었으나, 손실비용의 산정 및 업계의 인식조사에는 일부 한계가 있다. 향후 보다 많은 전문가 설문을 통해 재해별 손실금액을 표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재해시 피해발생에 대한 유형별 데이터를 추가로 확보하는 등 기후변화 손실비용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연구를 통해 보완함으로써 도시가스산업 관련 기후변화 대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T 발전소의 기후적응 취약성 및 리스크평가

        문보경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많은 기후학자들은 지구 대기의 온실가스 농도에 따른 범지구적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이와 관련하여 산업부문의 초기 대응은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 온실가스 감축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후변화가 현실화됨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이 중요시 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보면 농업분야, 도시분야 등 주로 대규모의 면적을 차지하는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지자체의 적응대책을 보면 방재기준 제도 강화, 보험활성화, 재해예방사업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별 산업 사업장에 대해서는 적응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 T발전소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개별산업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대책으로 폭 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Many climate scientists have been working to predict global climate change due to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in the Earth's atmosphere. In this regard, the initial response of the industrial sector has been actively pursu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o mitigate climate change. Howeve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climate change becomes reality. To date, studies on adaptation measures for climate change have been actively pursued in areas such as agriculture and urban areas, where large-scale areas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The measures for adaptation by local governments include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standards, activating insurance, and preventing disasters. However, up to now, there is no adaptation measure for individual industrial sit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untermeasure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for T power plant, and it can be widely applied as adaptation measures for climate change in individual industries in the future.

      • 신기후체제 하의 국제탄소시장에 통용 가능한 배출권 잠재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파리협정 제6조에 기반한 교토메커니즘의 JI를 중심으로

        어광선 中央大學校 産業·創業經營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2015년 12월, 국제사회는 UN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2020년 이후 신기후체제인 파리협정을 체결하였다. 파리협정에 따라 2020년 신기후체제 하에서는 모든 당사국이 NDC를 통해 ‘공통의, 그러나 차별화된’ 원칙에 따라 자발적으로 국가 감축목표를 제시하고 이행하는 노력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당사국은 국가 내 온실가스 흡수․감축 및 ITMO의 활용 등 국제탄소시장을 연계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여야 한다. 기존 교토메커니즘에서는 시장기반 메커니즘인 ‘공동이행제도(JI)’, ‘청정개발체제(CDM)’, ‘배출권거래제(ET)’를 운영하였고, 파리협정에서는 모든 당사국이 지구의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에 비하여 2℃ 보다 이하로 온도를 유지하고 더 나아가 온도 상승을 1.5℃까지 제한하도록 목표를 달성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국내 온실가스 감축 뿐만 아니라 국제탄소시장을 활용하여 감축 산출물을 생산하고,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시장기반 메커니즘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제6조와 유사한 양자협력 기반인 교토메커니즘 JI를 분석하여 신기후체제 하의 국제탄소시장에 연계 및 활용하고 감축 산출물을 통해 NDC 목표 달성을 이행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탄소시장의 동향 및 후속 협상을 분석하여 파리협정 제6조에 기반한 교토메커니즘 JI의 국제탄소시장 활용을 위한 ERU 잠재성 분석과 연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토메커니즘 JI의 사업 운영 체계 및 ERU 현황을 분석하여 신기후체제 하의 국제탄소시장에 통용 가능한 배출권 잠재성을 분석하는데 그 의미와 목적을 갖고 있다. In December 2015,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cluded the Paris agreement under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n the year 2020. The Paris Agreement, under the POST2020, all parties will voluntarily present and implement a national reduction goal based on the "common, but differentiated" principle through the NDC. Therefore, most of the parties concerned should achieve the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by linking them to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such as the absorption and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country and the utilization of ITMO. In the existing Kyoto mechanism, the market-based mechanisms 'Joint Implementation(JI)', 'Clean Development Mechanism(CDM), and 'Emission Trading(ET)' were operated, and the Paris Agreement requires all parties to maintain the global temperature rise below 2°C and further limit the temperature rise to 1.5°C, compared to pre-industrial levels.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the market-based mechanism in which all countries participate in production of reduced products by utilizing international carbon markets as well as domestic greenhouse gas reduction is necessary. Thu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Kyoto Mechanism JI, a bilateral cooperation base similar to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to link and utilize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under the POST2020 and to achieve the NDC goals through the ITMO. In this study, by analyzing trends i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and follow-up negotiations to derive a link to the ERU potential analysis for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of the Kyoto mechanism JI based on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In addition, it proposes at analyzing the business operating system and ERU status of the Kyoto Mechanism JI to analyze the potential of emissions available i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under the POST2020

      • 주민참여형 대규모 태양광 발전사업 경제성 분석

        조예령 중앙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5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정책 목표 달성의 일환으로 대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은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지역주민과 발전사업자 간의 갈등으로 인해 사업 지연, 무산 및 축소 사례가 증가하는 등 많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주민 수용성 이슈의 해결을 위해 정부에서는 주민참여형 신재생 사업지원제도와 같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형 신재생 사업지원 제도의 적용을 받는 주민참여형 대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을 적정하게 가정하여 내부수익률, 순현재가치법, 비용-편익법 등 경제성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경제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기존 관련 연구들과 실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의 자료를 토대로 발전시간, SMP, REC 단가 등을 적정하게 가정하였다. 그리고 자기자본비율은 10%, 타인자본비율 90%(지역주민 채권 4%, 선순위차입금 86%)로 설정하여 경제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경제성 분석 결과 사업의 내부수익률(IRR)은 7.78%, NPV값은 31,852백만원, B/C 비율은 1.46으로 해당 사업이 충분한 수익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해당 정책의 정책적 효과가 있을 것임 보여준다. 또한, 자기자본수익률(FCFE 기준)은 30.17%로 이 값은 WACC(사회적 할인율)를 4.5%로 설정하였을 때의 자기자본 요구수익률보다 높아 경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발전사업 운영기간(20년)동안 주민조합과 총 167억의 이익을 공유하여 사업적 측면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측면에서도 충분한 경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규모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추진 활성화와 주민들의 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수용성을 높이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part of the implementation plan for the ‘Renewable Energy 3020’ policy goals, large-scale solar power projects are being promoted. However, recent domestic new and renewable energy projects have faced social costs, including project delays, cancellations and downsizing, due to conflict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project developers. To address these issues of community acceptanc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ies such as the community participation-based support system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In this study, an economic analysis of a large-scale solar power project that recieves support through the community participation-based support system was conducted using economic analysis models such as internal rate of return, net present value method, and cost-benefit method. And for economic anaysis, appropriate values for factors such as generation time, SMP(System Marginal Price), and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prices was assumed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actual solar power project data. The capitl structure was wet with a 10% equity ratio and a 90% debt ratio(4% local resident bonds and 86% senior loans), and economic analysis showed an internal rate of reture(IRR) of 7.78%, an NPV value was 31,852 million won, and a benefit-cost(B/C) ratio of 1.46, confirming that the project is financially viable and indicating positive policy effects. Furthermore, the return on equity(based on free cash flow to equity, FCFE) was 30.17%, which is higher than the required rate of return on equity with a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WACC) of 4.5%, demonstrating economic feasibility. Additionally, by sharing profits of 16.7 billion won with the community association over the project’s operational period(20years), the project showed sufficient economic viability not only from a business perspective but also from local community perspective. These results can serve as supporting evidence for promoting large-scale Solar power projects and incresing positive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among residents.

      • 농업부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저탄소농축산물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김혜란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기후변화는 인간계와 자연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고 있고, 기후 시스템이 온난해지고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로 보인다. 이에 우리나라는 2008년 저탄소 녹색성장을 선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20년 배출전망치 대비 30%로 결정하고 농림어업부문에서는 배출전망치 대비 5.2%의 온실가스 저감을 감축목표로 설정했다. 농업부문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유인 정책으로 저탄소농축산물인증제도 시범사업을 2012년에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탄소농축산물인증제도에 참여하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경영성과, 만족도 및 제도의 발전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제도의 운영방향 정립과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농가의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67.44%를 차지했으며, 전체 응답의 93.02%가 인증 이후 환경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다고 답변하였다. 이에 인증제도 참여 농가를 포함, 모든 농가에 대한 환경교육 실시를 통하여 농가의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을 증가시켜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농가의 저탄소농축산물인증은 생산량, 소득증대 및 품질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차별화된 농가 경영성과 제고 방안 마련과 함께 수요 측면에서의 정책 또한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저탄소농축산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유통 활성화 및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저탄소농축산물의 유통 활성화 및 유통구조 개혁, 신규 홍보 전략 수립, 사전인증 취득농가에 대한 저탄소농축산물인증제도 홍보 강화와 더불어 관련기관 담당자들에 대한 홍보 또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여러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연구대상을 인증제도에 참여하는 농가로 한정지어 향후 참여의사가 있는 농가에 대한 의견 등은 논문에 담을 수 없었다. 둘째, 농가 심층인터뷰의 경우 일부 농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인터뷰 내용이 전체 농가의 의견을 대변한다고 볼 수 없다. 셋째, 설문 가능 대상자가 100개 농업경영체에 그쳤고, 설문 시점이 농번기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응답 수는 43개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한계를 넘어 제도를 한층 더 발전시켜 나아가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참여농가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향후 연구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바 없는 저탄소농축산물인증제도에 참여하는 농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참여농가의 의식조사 및 의견수렴 등을 통하여 제도의 발전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Climate change has had a widespread impact on human and natural systems and the warming of the climate system seems evident. In order to tackle climate change, in 2008, the Republic of Korea unveiled a "low-carbon, green growth" strategy and announced its goal of 30%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s, compared to the business as usual and established a goal of 5.2 percent cut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s. In oder to realize this target by inducing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a pilot system of carbon labelling of agricultural products was introduced in 2012. This thesis will survey farmers which are participating in the system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level toward the system, the effects of the system and what should be improved. By conducting a survey and analyzing its results, the thesis will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operating and vitalizing the system and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surveyed participants have a high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67.44 percent of those surveyed replied that they decided to join the system because of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93.02 percent of the responde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s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system. Thus, providing all farmers, including the system participants, with education programs on the environment would be helpful to enhance environmental awareness, thereby achiev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target of the agricultural sector. Second, the system has not had a large impact on improving farmers’income and the output and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To address this limit of the system, new and differentiated measures, compared to other similar systems, which can improve farmers’income should be layed out. Along with this effort, measures to boost farmers’ income on the demand side should be taken. Third, the system needs an active promotion, new distribution channel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complement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discover new distribution channels, to develop a new promotion plan, and to promote the system to those who obtained prior certific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which work closely with farmers. This thesis has some limitations. First, the research was restricted to those who have in the system, which means the opinions of potential participants are not reflected. Second, regarding the in-depth interview with a selected number of farms, it was helpful to understand their opinions but they cannot be seen as the representative of all participating farmers. Third, the surveyed population was only 100 and the period of survey was the busiest time for farmers so the number of respondents reached only 43. Therefore, in order to advance the system beyond the limitation of this thesis, it is believed that more researches and studies for participating farmers should be taken in the future. This thesis is the first of its kind which aimed at suggesting measures to vitalize the system of carbon labelling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on farms. It also worked on finding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by surveying farmers’awareness and soliciting their opinions.

      • 녹색펀드 투자의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송태영 중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Government consensus such as Paris Agreement, sustainable development has to accomplish the goal to achieve its original intent. All the participated countries of Paris agreement are facing to ac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s.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low carbon green development policy on August 2008 to change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 based on green growth engine. One of the related government policy is names Green Finance and it is aim to growth in finance sector, economic growth and eco friendly at the same time. This is to provide fund to increase in energy efficiency,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make investment on green companies. Green Fund specifically focused on environment, social and ethical factors. This study targeted Office workers who expected to have fund investment experiences. The research assumed that the consumer behaviour affects that Green Fund investment intent and analyze the effect on environmental awareness based on consumers’understanding on funds. Also the research tried to provide marketing insight based on consumer fund investment behaviour. To verify the thesis, survey was executed on 62 days, targeting Office Wokfing labours living in Seoul. Also, it used SPSSv. 18.0 to check its credibiilty, factorial analysis and more. Cronbach-Alpha was used to check the credibility of Survey questions. All of the result appeard ober 0.6 and proved its credibility. Hypothesis testing results is as shown in below. First of all, expected rate of return has positive effect on Green Fund investment behaviour. This proves that the return on investment is important factor on decision on Green Fund investment. However, this does not proved that return on investment does not shows corelation wit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econd, perceived risk shows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behaviour. This proves that investment incentive is lower when investors there is high risk. Higher understanding of Fund is adjusting the investment behaviour. However, this does not apply to environmental conciousness. This provide that environmental conciouesness does not effect the investment behaviour. Lastly, appearance and social contribution does effect positively on Green fund investment behaviour and management style had negative effect. This proves that investors who cares about its apprarance and social contribution has stronger intension of green fund investment and lower for who cares about management style.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making investment decision is “Return and Risk”. However, as most of survey participants has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incentive for investment on green fund would be higher through promotion and education. 파리협정과 지속가능개발 같은 중대한 국가적 합의는 목표가 달성되어야만 인류가 의도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파리협정에 동참한 국가들은 협의된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몸소 실천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하지만 새로운 녹색 기술의 개발과 에너지 생산 방식의 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기후 재난 예방 및 복구 등의 해결에는 엄청난 재원이 든다. 파리협정 이전에 선진국은 2020년까지 매년 1천억 달러를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처 사업에 지원하기로 약속을 했는데, 파리협정에서 이를 2025년까지로 연장했다. 또한 2025년 전까지 매년 1천억 달러 이상의 새로운 장기재원목표를 세울 것을 정했다. 하지만 그 이후의 새로운 재원목표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 되지 않고 있다. 녹색금융은 금융 산업 발전, 환경개선 및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복합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금융이다. 이는 에너지 효율 향상, 환경 개선 등에 자금을 제공하여 녹색지수의 개발이나 녹색펀드를 통해 녹색기업에 투자하는 자본시장의 금융이다. 그중에서 녹색펀드는 사회적 책임투자 펀드의 한 형태로 환경, 사회, 윤리적인 요인까지 고려하여 운용하는 펀드로써 환경보호 및 사회적 기여 측면을 고려한 환경부문에 중점을 둔 펀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펀드투자 경험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녹색환경펀드 투자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녹색펀드 소비자들이 지각한 수익과 위험 그리고 펀드선택속성이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의 펀드 이해도와 환경의식 조절효과에 대해 밝혀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와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펀드투자행동의 변화를 예측하고 사회책임행동으로써 소비자행동을 자극할 수 있는 녹색펀드 마케팅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각 변수에 대해 작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6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총 62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방에 거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척도의 신뢰성,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증하기 위해서 SPSS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문항 항목들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Alpha 값을 사용하여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기준치인 0.6을 모두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분석에 사용되는 항목들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상 수익률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금융상품 투자결정에 수익률이 중시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예상 수익률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와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위험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이 투자 상품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투자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지각된 위험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지각된 위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펀드이해도가 녹색펀드 투자의도를 강하게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각된 위험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녹색펀드 투자의도에서 환경의식은 녹색펀드의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펀드속성 중요도 중에서 외형적조건과 사회공헌은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운용스타일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형적 조건과 사회공헌을 중요시 하는 투자자일수록 녹색펀드 투자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운용스타일을 중요시하는 투자자의 경우 녹색펀드 투자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펀드속성 중요도와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 조절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외형적 조건과 사회공헌의 경우 조절효과를 확인하였고, 운용스타일의 경우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운용스타일은 녹색펀드의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펀드속성 중요도와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녹색펀드 투자의도에서 펀드속성 중요도와 환경의식의 조절 효과는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있어서 ‘수익과 리스크’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설문 대상자들의 환경의식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볼 때, 녹색펀드의 사회책임투자로 인한 사회공헌정도를 확실히 알리고 환경의식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인 차원의 홍보와 교육 프로그램을 보급한다면, 보다 낮은 수익률이라도 소비자들의 녹색펀드에 대한 투자의도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 주차장·옥상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 비용-편익 분석 : 환경·사회 편익 중심으로

        고형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전환에 대한 공감대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깨끗하고 청정한 에너지로의 전환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국내 정부도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에너지기본계획, 전력수급계획, 재생에너지 3020 정책, 그린뉴딜 정책 등에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설정하고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는 2007년 5,400MW에서 2019년 23,172MW로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들어 신재생에너지 전력판매단가(REC 및 SMP)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공공 및 민간기관들의 태양광 설치에 대한 경제성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서울·경기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4개권역에 위치한 주차장 및 유휴부지 선정하여 현장여건 및 설치용량 등을 분석하여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일사량이 뛰어나지 않은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은 계약시장을 통해 REC를 선정하더라도 수익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급격히 하락한 REC 및 SMP 단가 기준으로 수익성을 분석했을 경우에는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 뿐아니라 일사량이 좋은 경상권과 전라권에서도 수익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시 전력판매, REC판매로 발생하는 수입 및 운영비용으로 분석하는 수익적 타당성 뿐아니라 환경적인 편익(온실가스저감, NOx, SOx 감소효과) 및 사회적인 편익(신재생 전력공급 편익)을 포함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편익과 사회편익을 고려하여 경제성을 추가로 평가해보았으며, 결론적으로 단순 재무적인 측면만 고려했을 경우 경제성이 없는 사업도 환경편익과 사회편익을 고려하면 충분한 경제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향후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사업을 추진할 경우 환경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편익을 고려하여 타당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적극적인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정부의 정책적인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Consensus on energy conversion to cope with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around the world, and the trend toward to pure and clean energy is spreading in Korea.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set active targets for supplying renewable energy in the basic energy plan,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 renewable energy 3020 policy, and Green New Deal policy to expand the suppl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is actively pursuing energy policies. As a result of this, the number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400MW in 2007 to 23,172MW in 2019. However, the economic feasibility of installing solar power by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has been deteriorating due to the recent sharp decline in the sales unit cost of renewable energy (REC and SMP). In this study,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economic feasibility by selecting parking lots and idle sites located in four areas of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areas nationwide, and analyzing site conditions and installat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low profitability in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where the solar radiation was not excellent even if REC is selected through the contract market. In addition, when the profitability was analyzed based on REC and SMP unit prices, which have recently dropped sharply, not only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but also the Gyeongsang and Jeolla areas with good solar radiation show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d the economical validity the profitable validity including environmental benefits (greenhouse gas reduction, NOx, SOx reduction effect) and social benefits (renewable power supply) that is analyzed by income and operating costs which is occurred from electricity sales and REC sales when installing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economic feasibility was evaluated additionally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and social benefits.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businesses are not economical when considering only simple financial aspects are also sufficiently economical when it is considering environmental and social benefits.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renewable energy goal in the future. Also,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feasibility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aspects and social benefits for the spread of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the government's policy role is expected to be important to induce active private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