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사회의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박재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27

        우리 사회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기독교 사회학과 박재찬 지 도 교 수 이 철 우리 사회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많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광고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사람들은 아름다운 얼굴과 건강미 넘치고, 마른 몸매의 사람이며, 인터넷은 매일 다양한 연예인들의 얼굴과 몸매를 찍은 사진을 기사거리로 다루고, 이러한 기사는 하루도 수십개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아름다운 피부와 몸매를 가꾸는 책들이 인기를 끌고 있고, 다양한 몸매 관리와 피부 관리 프로젝트가 관심을 받고, 성형외과는 미용성형을 위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시술을 받고 있다. 이렇게 외모에 대해서 사람들이 지나친 관심을 가지는 이유 중 하나는 미디어의 영향이다. 그 중에서도 광고는 짧지만 강한 이미지를 남기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막대하다. 또한 광고는 일차적인 의미 뒤에 또 다른 의미가 숨겨져 있고, 이 숨겨진 의미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화되어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광고의 영향력 때문에 광고 속의 외모지상주의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의도하지 않게 자연화 되어 남아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광고의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의 외모는 단순히 보기에 아름답고, 좋은 것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외모는 이제 권력과 자본의 상징이다. 일차적으로는 외모는 취업과 사회생활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외모는 이제 현대 기술력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프로젝트와 성형시술을 통해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와 성형시술은 많은 시간과 돈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결국 외모는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권력과 자본을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사실 이러한 외모지상주의를 우리 개인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아무런 영향력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어쩔 수 없이 다른 사람을 의식하게 되고, 사회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아가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들의 욕망을 개인들이 욕망하게 된다. 다른 사람들이 욕망하는 외모를 개인들도 욕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비판받아야 한다. 그리고 기독교는 의식을 가지고 더욱 심각해지는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비판과 의식이 필요하다. Christian sociological critique of lookism in our society PARK, JAE-CHAN Department of Christian Sociolog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Our society has great interests in looks. Everyone, appearing in TV dramas and ads, has beautiful face, healthy beauty, and slim body. Internet covers the photos of the faces and the bodies of many entertainers for article topics every day, and tens of these articles can be found everyday. Also, the books, dealing with beautiful skins and bodies, win popularity; the various projects for getting fit and skin care appeal to us; and many people undergo cosmetic surgery,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One of the reasons why so many people have excessive interests in looks, is the influence by the media. Among them, the ads leaves very strong images, even though it is short, so the influence is enormous. Also, the ads has the secondary message hidden behind the primary message, and this hidden message is naturalized and left without our awareness. Due to the influence of ads like this, the lookism in ads, appears more seriously in our society. Also in our society, the looks is not just good and beautiful things to look at, but the symbol of capitalism. However, the more serious problem is the looks can be changed though various projects and cosmetic surgery, due the advanced modern technologies. However, these projects and cosmetic surgery are closely associated with a large amount of time and money. Eventually, the looks became the very important symbol, showing the power and the capital of the beholder. In fact, if we do not accept the lookism, it won't have any influence. However, humans will inevitably recognize the others and the eyes of our society, while they are living. And furthermore, they will desire what is desired by the others. Thus, a person will desire the looks which are desired by the others. From this perspective, the lookism in our society should be criticized. And christian critique of lookism which is getting more serious in our society, and its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at lookism, are required.

      • 포스트모던시대에 접어 든 한국기독교의 어린이사역 연구

        전지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11

        한국기독교는 세계에서 보기 드문 급속 성장을 이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기독교는 정체 또는 감소의 위기상황에 놓여있다. 특히 한국기독교의 성장의 중심에 있는 어린이의 감소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기독교가 당면한 포스트모던 시대와 어린이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보고, 그 특징과 가능성에 대해 고찰한 다음, 포스트모던 시대 속에서 어린이사역의 실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한국기독교의 어린이사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의 대상을 학령기 어린이로 제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제 2 장에서는 포스트모던 세대의 60%가 가지고 있는 인식의 틀인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간략하게 정리해 본 다음,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과 비교하여보고, ‘포스트모던 시대’의 두드러진 특징을 살펴보아 이를 기독교세계관으로 재해석하여 보도록 하겠다. 제 3 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학령기에 속하는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을 주요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살펴 본 다음, 포스트모던 시대에 속한 어린이의 독특성을 살펴보고, 아울러 한국기독교의 어린이사역의 역사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 4 장에서는 포스트모던 시대 속에 나타난 다양한 지역교회의 어린이사역의 사례를 살펴보되, 미국교회와 일본교회 그리고 한국교회의 순서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 5 장에서는 앞서 살펴 본 내용을 토대로 포스트모던 시대의 한국기독교의 어린이사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되 어린이사역의 주체가 되는 어린이, 객체가 되는 어린이사역자, 그리고 어린이사역의 내용 및 방법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문화로써 발돋움하게 될 어린이사역의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developed very rapidly that there is no precedent for this. In spite of that, today's Korean Christianity is in danger of decrease or stagnation of its member. Especially, the decrease of children who stand on the center of Korean Christianity's development considered as a serious problem. Accordingly, this research suggests discussion of post-modern era which is faced to Korean Christianity, making views regarding children wide and thinking its possibilities and features. And then, in the post-modern era, as knowing real examples of Children‘s Ministry, the direction that which way today's children ministry of Korean Christianity should goes forward is discussed. Especially, research subjects are limited into children who go to schools. In part 2, we organize simply the concept of 'post-modernism' which is 60% of post-modern age, compare 'post-modernism' and 'modernism' and we will re-interpret 'post-modern' era's significant features with Christian outlook on the world. In part 3, we mainly organize typical features of 'children' who go to schools and also who are subjects for this research. Then, children'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is post-modern era and the Korean Christian history of children ministry would be studied. In part 4, we will study examples of children ministry in diverse local churches in post-modern era with an order of churches in USA, Japan and Korea. In part 5, based on the above contents, we find the right direction for Korean Christian children ministry in post-modern era to move. We also figure out contents and methods regarding children ministry, children who are the main agent of children ministry and children ministry who become objects who all will be the new culture.

      • 종교지도자의 카리스마에 대한 기독교사회학적 연구: 여의도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를 중심으로

        김성하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11

        ABSTRACT A study of a religious leader's charisma at a viewpoint of Christian sociology: focusing mainly on Rev. David Yonggi Cho of Yoido Full Gospel Church KIM, SUNG-HA Department of Christian Sociolog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Religious leader's charisma is not only ‘a gift of grace', but also reflection of followers' ardent hopes that want revolution of their own situations, for charisma comes from concrete charismatic situations. Therefore, a study of a religious leader's charisma at a viewpoint of Christian sociology can be one of the meaningful approaches that can evaluate churches of nowadays. One of the Charisma's characteristic is that it is ‘endowed' by somebody. According to Max Weber's charisma theory, it was caused by 'pure charismatic conditions'. In this reality, the follower's expectation or craving is spouted out to overcome pure charismatic conditions, and charisma leader appears on the stage. At this time, the charisma connotes revolution power of society. Also, through the movement in one's character, charisma gets quickly systemized. But, contrary to leader and follower's intention, charisma is most likely to go through process of fluctuations by external economic system. In this process, the first stage of charisma is that the power of influence is weakened to all of the leader and followers. This charisma becomes a conservative or progressive according to tendency of the leader and followers. In other words, the tendency maintains or reforms power of society as it strengthens charisma toward special section. Rev. David Yonggi Cho of Yoido Full Gospel Church is well-known as a charismatic religious leader. Also the church is passed on by strengthening charismatic system that is based on church's exponential growth and Cho's individual ability, and development of routinization(systematization). However, in these circumstances, his charisma has shown not only an affirmative consequence, but also weakening of responsibility and superiority senses to followers and system of the church. Furthermore, he seems to take passive actions on society's structural problems. Yoido Full Gospel Church will experience period of the greatest charisma fluctuation by Cho's retirement and independence of branch churches. The church, to rise again with Paster Lee Young Hoon(new church's leader), will have to prepare appropriate counter plan for not only spiritual part of followers but also their lives and social reality by newly recognizing charisma and overcoming problems. 국문초록 종교지도자의 카리스마에 대한 기독교사회학적 연구: 여의도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를 중심으로 기독교사회학과 김성하 지 도 교 수 이 철 종교지도자의 카리스마는 ‘신의 은총’ 이기도 하지만, 현재 자신의 상황을 변혁시키고자 하는 추종자들의 간절한 소망의 반영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카리스마는 구체적인 카리스마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교지도자의 카리스마에 대한 기독교사회학적 연구는 오늘의 교회 현실을 진단해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접근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카리스마의 특징 중 하나는 그것이 누군가에 의해 ‘주어지는(부여되는)’ 것이라는 점이다. 막스 베버의 카리스마 이론에 따르면 카리스마는 순수한 카리스마적 상황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현실에서 카리스마적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추종자들의 기대 혹은 욕망이 표출되고, 카리스마적 자질을 갖춘 지도자가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카리스마는 사회 변혁적인 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카리스마는 그 운동의 성격상 빠르게 일상화(제도화)된다고 한다. 그러나 카리스마는 지도자나 추종자의 의도와는 달리 외부의 경제적 질서에 의해 변동의 과정을 겪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과정에서 초기의 카리스마는 지도자와 추종자 모두에게 그 영향력이 약화되는 조정의 시기를 지나게 할 것이다. 조정의 시기를 거친 카리스마는 지도자나 추종자의 성향에 따라 보수적이 되거나 진보적이 될 것이다. 즉, 사회 변혁적인 힘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특정 부분에 대해서만 카리스마가 강화되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조용기 목사는 카리스마적 종교지도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여의도순복음교회는 급격한 교회 성장을 통한 정당성의 확보와 조 목사의 개인적인 자질, 그리고 일상화(제도화)가 발전하게 되면서 카리스마적 구조가 강화되는 길을 걸어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회적 상황에서 그의 카리스마적 영향력은, 물론 긍정적인 결과도 많았지만, 추종자들과 교회 구조(제도)에 있어서 책임의식과 초월의식의 약화라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사회적 현실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 왔다.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앞으로 진행될 조용기 목사의 은퇴와 지교회 독립에 따른 새로운 시스템의 정착 등을 통해 최대의 카리스마 변동의 시기를 통과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교회의 지도자인 이영훈 목사를 중심으로 힘찬 도약을 준비하는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카리스마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그리고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한 적절한 극복을 통해, 추종자들의 영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과 사회적 현실에 좀 더 적극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자살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평가 및 대응

        문상명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295

        최근 20년간 자살률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6년부터 10년간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이 9.1-11.8명 정도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나 1996년부터 자살률이 높아지기 시작하여 1998년 IMF사태 이후에는 19.9명으로 이전시기보다 두 배나 많은 사람들이 자살로 사망하였다. 이후 2000년 까지 2년 동안 자살률이 감소하는 듯 보였으나 2001년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2003년에는 24명으로 1998년 수준을 초과하였고, 이후에도 증가의 속도는 줄었으나 계속 증가하여 2005년에는 무려 26.1명이 자살로 사망하였다. 기독교윤리학에서 자기 목숨을 버리는 행위가 정당화될 수 있는 규범적 근거로는 두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하나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신앙을 지키기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기로 결단하는 경우이다. 주님께로 가고자 하는 자는 자기 부모와 처자와 형제와 자매 및 자기 목숨까지 미워할 수 있어야 한다(눅 14:26) 오늘날 한국교회는 급증하는 자살률이 보여주듯이 자살을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일반적인 방편으로 이용하기 시작한 심각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 현실을 맞이한 교회는 교육과 실천의 두 전선에서 자살을 예방하고 자살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기독교인들에게는 “살인하지 말라”는 명백한 성경의 법이 있고, 성령의 권능을 의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살에의 충동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자들임을 강조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교회는 자살충동을 유발하는 사회적이고 심리적인 요인들을 실질적으로 제거 내지 완화시키기 위한 실천적이고 제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구제기금을 조성하여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경제적으로 돕는다든지, 사회안전망의 확보를 위한 제도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든지, 자살충동을 느끼는 자들에게 상담을 통하여 위로하고 설득하는 상담네트워크를 강화시킨다든지, 자살결행자들이 언제라도 도움을 요청하고 참여하고 싶어 하는 복음의 위로와 사랑의 실천이 풍부하게 넘치는 아름다운 교회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는 등의 구체적인 실천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교회는 또한 인간의 영혼은 죽지 않으며 사후에 모든 행동이 하나님의 심판 앞에 서야 한다는 준엄한 진리를 가르치는 동시에 자살과 관련된 부당한 구원문제에 있어서 오해에 빠지지 않도록 가르치는 일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survey of the suicide rate for recent 20 years, the suicide rate have maintained 9.1-11.8 people per hundred thousand from 1986 to 1999 without major change, but since 1996 it became highter and higher and in 1998, the IMF situation, it soared to 19.9 people, which means the number of people who committed suicide became doubled. Although. the suicide rate seemed to decline for 2 years until 2000, it started to rise again after 2001. It scored 24 exceeding the one of 1998, and even 26.1 people per 10 hundred thousand killed themselves in spite the speed of increase slowed down. In christian ethics we can point out the two standard reasons to justify act of the abandon for his life. One is to abandon his life to keep love for God and the faith. Anyone who wants to go to the God should be ready to give up the lives of parents, brother, sister, even his own. (Nuke 14:26) Today, South Korea churches are facing a serious reality, where people started to use suicide as a way of running away from their pain. Churches should take an action to prevent committing suicide and spreading of suicide as a point of view of education and practice. We need to emphasize that Christians are the people who are able to overcome the urge to commit suicide because they have the law, "Thou shalt not kill" from the Bible, and can depend on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churches have to make practical and systemic efforts to eliminate or ease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o cause suicidal thoughts. The efforts should be practical, for example we can create a relief fund for the livelihood and economic difficulties in front of them, prepare the social safety net system, enforce the counseling network to talk with people who feel suicide urge to relieve them and build beautiful churches with plenty of love and practice where the people who make their mind to commit suicide can ask any help at any time. Moreover, churches have to teach the severe truth that the spirit of people do not die and that everything after death should be in front of God's judgement as well as to educate people in order not to be misunderstood the unfair salvation related to suicide.

      • 일제말 경남지역 기독교의 신사참배 반대운동에 대한 연구

        이정호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295

        국문초록 일제말 경남지역 기독교의 신사참배 반대운동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기독교사회학과 이정호 본 논문은 일제 말기 경남지역의 기독교인들이 신사참배와 반대운동을 어떻게 전개하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 내에서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한 군국주의자들은 대륙침략 정책과 절대주의적 정치체제의 구축을 정당화하기 위해 천황제에 근거하여 자신들의 권력을 절대화 신격화하였다. 일제의 한국에 대한 신사참배 강요는 군국주의에의 충성을 요구한 것으로 민족적 세력을 말살시키려는 정치적 탄압이었다. 따라서 기독교에 대한 신사참배의 강요는 단순히 종교적 탄압이 아니라 정치적인 차원의 탄압이었다.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대해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은 신사참배는 국민의 의례일 뿐이라는 논리로 참배함으로써 배교하였다. 이는 종교적 배교일 뿐 아니라 정치적 변절이었다. 경남노회의 일부 목사와 장로들은 일제의 신사참배에 동참하거나 제국주의 전쟁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반면 주기철 목사와 같은 이들은 절대적 권력은 하나님에게만 있다는 제1계명의 신앙으로 신사참배를 항거하다 순교하였다. 경남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마산, 밀양, 거제, 통영, 진주 등에서 신사참배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경남지역의 신사참배운동이 강력하게 전개된 이유는 다음의 몇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경남지역의 신사참배 반대운동은 사회문화 및 지리적 영향이 매우 컸다. 둘째,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신사참배반대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선 지역은 매우 극단적이고 배타적인 사회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던 곳으로, 이들 지역은 항일운동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곳이기도 하였다. 셋째, 경남지역의 신사참배운동에 앞장선 교회와 목사들은 기독교 신앙과 민족의식이 융해되어 그 지역의 사회 문화 지리적 영향으로 정신적․종교적 신념이 매우 강했다. 그러나 경남지역의 교회들은 신시참배반대운동의 위대한 신앙의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해방직후 여러 교회로 분열되었다. 이들 교회들은 과거에 대한 성찰과 소통의 부재로 인하여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경남지역의 교회들이 해결해야할 역사적 과제라고 하겠다. ABSTRACT A Study on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of Christians in Gyeongsangnam-do during the Last Period of Japanese Rule YI, JUNG-HO Department of Christian Sociolog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the militarists who took the political leadership in Japan, defied their power based on the emperor system to justify the continent invasion policy and the construction of absolutism. The enforcement of the shrine visit by Japanese Imperialism was to demand allegiance to the militarism, and it was the suppression to liquidate the Korean racial movement. Therefore, The enforcement of the shrine visit to Christians was a political suppression as well as a religious suppression. Many Christian leaders renegaded by the shrine visit under the logic that the shrine visit was merely a national ceremony. But it was not only a religious apostasy but also a political apostasy. Some ministers and elders of Gyeongsangnam-do presbytery subscribed the shrine visit and were mobilized to the imperialistic war. On the other hand, others and Rev. Chu, Gi-Chul were martyred resisting the shrine visit. They stuck to their convictions that the absolute power is in God.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of Christians in Gyeongsangnam-do area was developed in Masan, Miryang, Geoje, Tongyeong, Jinju, etc. We can see the several points about the reason that strong development of the movement in Gyeongsangnam-do. First,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of Christians in Gyeongsangnam-do was affected by the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 Second, the areas that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was powerful, were seriously affected by extreme and exclusive cultural feature. Anti-Japanese movement was powerful in those areas, too. Third, the churches and the ministers that led the movement against visit shrine in Gyeongsangnam-do had strong mental and religious faith by fusing Christian belief and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the churches in Gyeongsangnam-do were split into several churches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even though they were great expectations of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They are not discussing church unity because of lack of understanding and self-examination about the past. It is a historial task that the churches in Gyeongsangnam-do should solve in the future.

      • 노동과 노동조합운동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논의

        김현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295

        Korean society has faced with human rights, labor and political problems during the process of industralization. The labor world seems to come to risk in modern society. Modern society is affluent and getting technological benefits that were unimaginable in the past. However, it has a lot of problems behind the bright side. Labor has been important motive power that has supported the human society. However, the meaning of labor is disappearing in modern society. We need to recover the trne meaning of labor through the sanctity and complete our life through its real meaning. The terms of labor has rapidly developed depending on times and historical circumstance. Sometimes, the labor interpretation has been different, so human was recognized as machine and human rights were infringed and the meaning of labor were lost without ideology and philosophy and ultimately the present called labor was distorted. Ancient people had dual work ethics that physical labor was humble Greek and mental labor was sacred. The perspective of capitalism diminished the value of labor as traded goods and labor was considered as means to increase productivity. Marxism held labor sacred and interpreted the labor value as ‘the ultimate reason of labor isolation lay in private ownership’. In the view of Christianity, human beings have bee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Humans get supremacy over nature to take care of it and maintain one´s existence. That is to say, labor is activit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God and God's will. Thus, labor should not be ignored. Also, labor should not be considered as goods by separating from humans. In the view of salvation, reformers regarded a job as ‘a royal summons’. There are two kinds of ‘a royal summons’ corresponding to Christians; one is the gospel calling as a spiritual royal summons and the other is a job as an external calling. In this context, human labor has a varied meaning. First, regarding the range of labor, it includes all productive activities. House chores, voluntary work, church service, pray as well as a paid job have value as labor. Labor is a passage of serving and worship. Christ came and restored the meaning of labor, so human labor is considered as one of worship (1 Corinthians 10:31). Third, labor is a means of service for neighborhood. Christians serve by providing goods to people in need and serve neighbors by being devoted to the poor. With this in mind, Biblical perspective does not disregard and idolize labor. Its value is not estimated depending on income. In spite of difficult and harsh work, we can be pleasant in the service for God and neighbors. Human beings have the rights that they can work, freely choose the work, are satisfied with labor, get a fair pay and are protected from a job. Considering this, capitalists sweat labor from workers under the tie of low pay, so workers, the underprivileged, unite and establish an interest group under disaster for a long time work, th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nd this is the beginning of a labor union. A labor union raises a pay, stabilizes employment, protects the underprivileged, improves the labor environment and workers' life quality. Furthermore, it plays a role for justice, equality and democracy by being deeply engaged in social and political issues and forcing to revising the law unfavorable for only workers. The world of God, as Christ said, is not different from the ideology of a labor union. The underprivileged should be protected, society should be righteous, and labor should be utilized as means of service for nature and society by realizing God's creative provision. The world of God has present and future; the present means that the earth is established. Christ pronounced that people under pressure and pain are the children and subjects of God (Matthew 5:1-12) and all children were invited to his feast (Matthew22:1-14). The world of God is not given, but we should make it together. Christians should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issue and be interested in well-fare, reunification, human rights, and democratization, and devote our efforts to the righteous life. This is practical belief and living faith. 한국사회가 산업화의 과정에서 인권문제, 노동문제, 정치문제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었다. 현대사회의 노동세계는 큰 위기에 처한 것 같다.현대사회는 과거에 비해 상상할 수 없었던 풍요로움과 기술의 혜택을 얻고 있다. 그러나 외면상의 눈부신 모습 이면에 무수히 많은 문제들을 안고 있는 것이 또한 현대 사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노동은 지금까지 인간의 사회를 지탱해온 중요한 동력이다. 그러나 이제 현대 사회는 노동의 의미가 그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하나님이 주신 노동의 신성함을 통하여 노동을 재발견하고 노동의 참의미를 통하여 자신의 삶을 완성시켜나간다. 노동조건은 시대와 역사의 환경에 따라 급속히 발전하여 왔고 때로는 이념과 철학의 부재 속에 노동의 해석방법이 달라 인간을 노동의 기계로 인식하여 인권을 유린하고 노동의 참 의미를 상실케 함으로 하나님이 주신 노동의 선물을 왜곡 시켰다. 고대 헬라인들은 육체적 노동은 천한 것으로 정신적 노동은 신성시 하는 이원화된 노동관을 가지고 있었다. 자본주의적 시각이 노동을 시장에서 매매되는 상품으로 그 가치를 축소 시켰고, 노동은 생산성 증대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해했다. 맑스주의자는 노동을 신격화하면서 노동의 소외의 궁극적 원인이 사적 소유에 있다. 라는 이념 속에 노동의 가치를 해석 하고 있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성서는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다. 인간은 창조될 때부터 자연을 돌보고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을 이용 하도록 자연의 지배권을 부여 받는다.즉 노동은 하나님께서 배려해 놓으신 활동이며 인류에 대한 하나님의 뜻이다. 그러므로 노동은 결코 천시하거나 천박하게 여길 대상이 아니다. 또한 노동을 인간과 분리하여 하나의 상품으로 간주하는 것도 정당화될 수 없다. 구원의 관점에서 종교개혁자들은 직업을 ‘소명’으로 이해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해당되는 두 가지 소명을 말하는데 하나는 영적인 소명으로서 복음의 부르심이고, 다른 하나는 외적인 소명으로서 직업을 말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간의 노동은 다음과 같은 여러 차원의 의미를 갖는다. 먼저 노동의 범위와 관련하여 노동은 우리가 하는 모든 생산적인 활동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급여를 받는 직업을 기본으로 가사일이나 자원봉사, 교회봉사, 기도하는 것도 노동의 가치를 부여한다. 둘째로, 일은 창조주에 대한 섬김과 예배의 통로이다. 인간의 노동은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노동과 직업의 의미를 본래적인 것으로 회복하셨기에, 노동은 그리스도께 대한 섬김의 하나로 이해된다(고전10:31). 셋째로 노동은 이웃에게 봉사하는 수단이다. 그리스도인은 그가 만든 상품을 필요한 사람에게 공급하는 것으로, 또한 일의보수로 가난한 사람을 섬기는 것으로 이웃에게 봉사한다. 이와 같이 노동에 대한 성경적 견해는 노동을 천시하지 않으며, 우상화 하지도 않는다. 보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일의 가치를 평가하지도 않는다. 힘들고 고된 노동일지라도 하나님과 이웃에 봉사이므로 그 속에서 기쁨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모든 인간은 노동할 권리와 노동을 자유로이 선택할 권리와 노동에 만족할 만하고 공정한 임금을 받을 권리 그리고 직업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권리를 가진다. 그러함에도 자본가는 노동을 제공하는 노동자에게 저임금의 굴레에서 노동을 착취하고 장시간 업무로 인한 재해, 인권유린 등으로 노동자들이 신음하고 있을 때 약자인 노동자들이 연합하여 이익단체를 만들게 되는데 그것이 노동조합의 출발이다. 노동조합은 개개인의 노동자를 대변하여 임금을 올리고, 고용을 안정시키고, 조직의 약자를 보호하며 노동환경을 개선시켜 노동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서 사회적 문제, 정치문제에 깊숙히 관여하여 노동자에게만 불리한 법을 개정하도록 압력을 행사하고 사회가 정의롭고 평등과 민주화에 역할을 담당한다. 예수그리스도가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나라가 결코 노동조합의 이념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약자가 보호 받고 사회가 정의로우며 노동을 통하여 하나님의 창조섭리를 깨닫고 인간이 자연과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수단으로 노동을 이용한다. 하나님의 나라는 현재성과 미래성이 있는데 현재성은 하나님의 나라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예수는 억압당하고 고통당하는 사람들이 차별 없는 하나님의 자녀와 하나님의 백성임을 선포한다(마5:1-12). 그리고 하나님의 모든 자녀들을 하나님 나라 잔치에 부른다(마22:1-14). 하나님의 나라는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다. 기독교인은 사회문제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복지, 통일 ,인권, 민주화에 관심을 갖고 이 땅에서 사람이 사람답게 살기 위한 노력들을 실천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이 실천하는 믿음이요, 살아있는 믿음일 것이다.

      • 한국 교회의 권력 비대(肥大)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한국 교회의 세습 문제를 중심으로

        정성국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 논문은 한국 교회가 종교 권력을 추구함에 따라 나타난 교회 세습 현상을 다루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권력의 비대화로 나타난 한국 교회 내부의 대표적 현상이 바로 교회 세습이다. 교회 세습을 들여다보면, 한국 교회의 권력 욕망이 얼마나 강한지를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겉으로 드러난 교회 세습만 아니라 내부에 쌓여있는 종교 권력의 이해를 위한 다양한 분석도 포함되어 있다. 이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 교회 권력 비대화의 원인을 진단하고 한국 교회가 앞으로 걸어 나갈 적절한 대안도 찾을 것이다. 본 논문은 교회 세습 발단이 된 원인을 크게 성경해석의 차이와 가족, 친척 또는 신(新)가족주의로 이루어진 구성체에 있다고 본다. 세습 문제의 주된 원인인 한국 사회의 깊은 관습인 가족주의 영향은 자녀 또는 친척 그러고 더 나아가 신(新)가족에 포함된 사람들에게 물려주는 것을 자연스러운 선택으로 믿게 했다는 데에 있다. 본 논문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한국 교회 권력에 따른 세습 현상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4장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고 비판을 다룬다. 그래서 성경뿐만 아니라 다른 관점에서도 세습은 충분히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데 목적이 있다. 4장 후반부와 결론에서는 교회 권력에 대한 대안과 저자의 비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핵심은 교회 세습, 더 나아가 교회 권력이 성서적으로나 이론상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데 있다. 본 연구자는, 한국 교회가 단지 권력을 지양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교회의 본질을 바로 잡아서 교회라는 것은 함께 세워나가는 것임을 지각하는 출발점이 되길 소망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iscussion on scandals of hereditary leadership succession in South Korea which arise from the churches’ pursuit of power and to find a solution to improve the situation.It is hereditary leadership succession that results from the overly strengthened power of churches in South Korea and becomes a major issue nowadays. If you look closely into the church hereditary issues, you can see how strong desire for power South Korea churches have. This study deals with not only the hereditary issues revealed in media but also various analyses for understanding power games within many churches. Focusing on the succession phenomenon,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agnosis on the causes of overly strengthened power of South Korea churches and an appropriate alternative for the churches’ future.In this study, the beginning of hereditary leadership succession lies in two factors: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nepotism in the church. The main reason for the hereditary issue is that the nepotism, which is one of the old customs in South Korea, has mislead the public into thinking that it is natural to hand the church over to their children, relatives, and people-in-law as well. Chapter 3 shows the hereditary situations and problems caused by the power-sought South Korea churches. Chapter 4 covers various points of view and criticism on this matter, whose purpose is to report that the hereditary succession is wrong not in the biblical aspect but also in other aspects. The latter part of Chapter 4 and the conclusion suggest the alternative to the hereditary problem and the author’s criticism.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is that power and authority in the church can not be justified biblically and theoretic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churches in South Korea do not merely pursue their power and authority but reestablish the essence of church and are fully aware of the fact that they should be based on a sense of community and cooperation of people.

      • 시장 경제적 교회 성장에 대한 비판 : 피터 버거의 다원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홍창표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263

        기독교가 이 땅에 들어 온 이후부터 한국교회는 꾸준히 성장하다가 1990년대에 와서는 그 성장이 급격히 둔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90년 대 후반에 개척된 몇몇 후발 대형교회들은 급속히 성장하였다. 이교회들의 성장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시작이었다. 이교회들은 시장 경제적 원리에 의하여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예배의 구성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그들의 욕구에 충족시켜 교회를 외면했던 사람들을 다시 교회에 오게 만든 것이다. 이것은 피터버그가 구축한 ‘시장상황이론’인데, 사회가 세속화 과정에 있고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이전에는 권위 있게 부과될 수 있었던 종교적 전통을 이제는 시장에 내놓고 더 이상 “구매”하도록 강요받지 않는 고객들에게 “판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장상황에서는 종교제도가 매매 기관이 되며, 종교적 전통은 소비자 상품이 된다. 이러한 시장 경제적 논리에 의하여 그 규모를 기반으로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하는 예배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교회들은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성장을 위해 교회의 구조와 운영원리를 기업의 경영원리와 마케팅 전략이 적극 도입되고 있다. 그래서 다양한 소비문화에 익숙해져 있는 소비층은 대형교회의 다양하게 준비된 프로그램들과 자원을 향유하기 위해 대형교회를 찾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점도 있다. 대형교회가 성장하는 것은 신자들의 수평이동을 통하여 성장하는 것이다. 수평이동 이전과 이후의 교회규모를 비교해보면, 주로 소형교회와 미 자립 교회에서 가장 많이 옮겨갔고, 중대형교회 초대형교회로 가장 많이 옮겨 갔다. 교인의 수평이동현상에 의해 작은 교회는 더 작아지고, 큰 교회는 더욱 커져가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그리고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세속화 이론과 피터버그의 다원주의 이론을 소개하고 있다. 3장에서는 먼저 성장하는 교회들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그리고 시장 경제적 논리에 의해 성장한 미국교회의 모델로 윌로우크릭커뮤니티 교회를 분석하고, 그 교회를 벤치마킹한 한국교회모델로 온 누리 교회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먼저 시장 경제적 논리에 의해 성장한 교회들을 평가하였고, 그리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순기능적인 면을 보면, 첫째, 교회 성장전략의 필요성이다. 시장 경제적 논리에 의해 성장한 교회들을 보면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예배의 구성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그들의 욕구에 충족시켜 교회를 외면했던 사람들을 다시 교회에 오게 만든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둘째, 교회조직과 경영이다. 경영과 조직은 교회에서 비전을 추구하고 진단하고 처방하는데 있어 교회로 하여금 전체그림을 볼 수 있게 해주고, 또한 변화의 필요성을 신속하게 해준다. 셋째, 다원론적 환경의 대처이다. 교회가 전통을 고수하며 세상이 요구하는 다양한 필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면, 교회는 시대에 요구에 동떨어져 사회의 중심에서 밀려나게 될 것이다. 역기능적인 면을 보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 신자유주의 사상이 교회에 들어와 ‘효율성’이 중요한 가치기준으로 부각되면서, 무한경쟁과 적자생존의 구조로 흘러간다. 그러면 능력 있는 교회가 대접받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슨 방법을 쓰더라도 상관없다는 것이다. 승자가 싹쓸이 하는 세상이 된다. 둘째, 인본주의 이다. 교회의 모든 에너지와 노력은 양적인 팽창에만 쏟아지고, 교회의 성공척도는 철저하게 수량화된 결과를 가지고 평가하는 풍조가 만연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면서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교인확보에만 전념하는 교회, 목회자들이 늘어났다. 그 결과 소위 “복음의 상품화”라는 현상이 생겨나게 되었다. 고객을 즐겁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스도 없는 기독교의 증상이다. 셋째, 맘모니즘이다. 맘모니즘이란 부, 돈, 재산, 소유, 재물, 물질을 절대시하거나 그것에 최고의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 태도나 행위를 말한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체의 원리가 교회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사회적 공신력 상실이다. 한국교회가 사회적 공신력을 잃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다. 교회가 교회 밖의 사람들에게 사회적 공신력을 잃어 존경과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다. 시장 경제적 교회 성장에 대한 대안으로, 첫째, 복음의 능력 회복을 회복해야 한다. 십자가의 복음이 올바로 선포되고, 교회가 복음의 능력을 회복함으로써 교회는 마케팅의 유혹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하나님의 복음을 사람의 입맛에 맞추는 마케팅 열풍의 원인은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대한 망각이다. 거룩하신 하나님이 친절한 하나님으로 바뀐 마케팅 교회의 예배는 단지 단어만 예배일 뿐 사실상 공연에 불과하다. 둘째, 초대교회의 신앙의 열정을 회복해야 한다. 성장둔화요인을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Since the Christianity came in to this land churches in Korea kept increasing without ceasing until in 1990’s the increasing rate started to slow down extremely. However, regardless of this matter, some big churches that were built in late 1990’s increased the size of their church when others could not. ‘How did these churches managed to keep increasing?’ Trying to have the answer for this question was the starter of this study. These churches were market-oriented churches. Meaning that they studied what the people wanted from the church, making variety of programs and different types of services, satisfying the people and eventually bring them closer to the church once again. This is ‘market-orienting theory’ of Peter Berg. The theory is saying that some tradition of our religion, which was possible to be seemed a bit imposing in today’s pluralistic society, should not be forcing people to accept it but should be accepted by the people with their choices. In this kind of theory, religion becomes like a market and the traditions of the religion like selling products in the market. Following the orders of the theory, churches that are making up the services that satisfy the people, or ‘customers’, should I say, and making many different programs that are desirable to the people are increasing their numb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ir church, they are seeing their church as a business and putting marketing strategies to the church. And the customers, or believers, in other words, find these churches for their many satisfying programs. This kind of happening brings some problems too. The growths of big churches are based on horizontal migration, which means no new comers are found but just old believers moving from one church to another. The horizontal migration makes small churches even smaller and big churches bigger.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First chapter includes the presentation of the problem and the research methods.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secularization theory and the religious pluralism of Peter Berg. In third chapter, I studied the churches that show the growth, and used Willow Creek church in United State and Onnuri church in South Korea as examples. And fourth chapter consists of evolution and solutions. Evaluating churches that show the growth with ‘market-orienting strategy’, first, we evaluate them with positive point of view that they studied what people, or customers desired from the church and created variety of services and many different programs and so brought the people back into the church. Secondly, we talk about how they had the structure of the church and how they managed to run the church. Thirdly, we see their pluralistic actions. We see some serious negative things too. First, we see Neoliberalism in them. Neoliberalism is an economic and social policy that believes having no interruption from the state on the market that has been created and just leaving the market as it flows is the best way to make wealthy society. If we accept this Neoliberalism our society would be all about standing against each other and take over. In such society only the winners live with wealth. Secondly, we find humanism in those churches. Thirdly, Mammonism can be seen. Fourthly, today’s churches are losing their public confidence. Churches are not receiving any respects or trusts from the society around us. Marketing business is all about numbers. And so many market-oriented churches tend to put much worth on the number of believers. But in God’s world numbers do not mean much. There is no reason why churches should behave as a rival to the world, competing against the world with numbers. Jesus did not grade churches with their numbers of believers. And he did not judge those twelve churches in Revelation with their number of believers. He complemented the churches that kept the proper teachings of Christianity. No churches among the twelve received complements or rebukes according to their number of believers. First, we need to regain the strength of our gospel. Second, we need to get back to our real Holy God. Third, we need the revival of our early churches. It is wrong that some say the reason why today’s churches do not increase is because we have wrong marketing methods. Fourth, it is needed for the churches to get involved more with the society of this world. Fifth, we need to put more of our concerns to small churches. The early churches grew through proper worships and communions. The size of the church was not their concern. Most of the churches in Korea are small. In today’s society many people are isolated or being left alone. What God wants from the churches is to heal those sick people. God wants to show his care and his love for them. And such things are only possible in small churches. These small churches might also be market-oriented churches later and lose its public confidence. The conclusion was made in chapter five by organizing all the states given so far.

      • 여성목회자안수의 역사와 전망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교단중심으로

        서영임 숭실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263

        본 논문은 여성목회자에 대한 안수의 역사를 살펴보고 현재 목회현장의 현황을 직시하여 디딤돌로 삼아 앞으로 여성목회자가 지향해야할 목회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9세기 말에 기독교가 전래되었을 때 우리나라에는 유교가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거역할 수 없는 정통 이데올로기 역할을 하고 있었다. 수직적 가치의 유교사회와 수평적 가치의 기독교의 만남은 필연적인 갈등과 긴장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유교적 가치관이 교회 안에서 불평등과 차별의 제도, 습속을 만들어냈다. 이 상황 가운데 여성들은 자신의 능력을 행할 수 없었다. 또한, 성경해석의 오랜 전통의 힘과 한국의 전통규범 속에서 생겨난 남성우월 관념은 교회가 제도화 되는 과정에서 여성들이 지도력을 갖는 것을 반대하고 소외시켰다. 그러나 교회 내에서 여자 성도들의 복음을 향한 열정과 헌신은 기독교가 전래될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제는 여성의 역할과 위치를 제고하여 자연스럽게 여성 지도자를 필요로 하고 나아가 여성목회자를 세우게 되었다. 통합교단에서 여성목사 안수가 통과되었지만 여성목회자들에게 목회의 현장이 동등하게 열려지지 않는 과도기를 지나고 있다. 앞으로 여성목회자들을 통해 한국교회와 하나님나라의 확장에 차별 없이 사역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ory is to research for history about the female of minister`s imposition and faces the present of the ministerial atmosphere, then we try to make the direction of ministerial purpose over a female minister as a step stone. The Late in the 19th century, when christianity was introduced, confucianism acted a role as a traditional ideology over politic, society, economic, and culture in our country. Meeting between a Confucianism society of the vertical merit and christianity`s horizontal value was drawing inevitable conflicts and tensions, and it noticed to start harden history. The confucianism values make a institution about the discrimination in a church. The Among this matter, female minister could not expose their ability. And also male chauvinism which are made by the power of a korean old tradition and the bible translation of the old custom rejected and ignored about a female minister having a leadership during progressing the church`s institutionalization. But the passion of female believers and devotion to gospel has influenced critically in church from beginning of introducing christianity to present. Now improving a female`s role and place is needed, and we prefer and nominate female leaders Although female paster`s imposition is entered in the unification Religious Association, The chance is not equal to a ministry atmosphere, which a passes a transitional period. From now on, the way of going to need about no discrimination of the ministry researching is very important to the Korean Church and Gospel Nation`s expansion through a female p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