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 assessment of political interference on the implementation of urban development plans : a case study of Kampala physical development plan

        Senoga, Edwine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67

        This thesis presents an in-dept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olitical interference on the successful execution of urban development plan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Kampala Physical Development Plan. The study is grounded in empirical evidence collected through a comprehensive survey conducted within Kampala city, targeting five key physical planning departments that constitute the city's urban development framework. The study's sample comprised 50 participants actively involved in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strategic urban development endeavors. Findings of this research reveal a stark reality: where by a big number of the respondents represented by 98 percent reported encountering instances of political inter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Kampala Physical Development Plan. Through rigorous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multifaceted nature of political interfer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urban development. It examines the various forms of interference, from undue influence on decision-making processes to bureaucratic hurdles that hinder the effective execution of development projects. Furthermore, this thesis delves into the consequences of political interference on urban development outcomes, shedding light on its adverse effects on infrastructure, hous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overall urban livability all within Kampala city. The research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mpartial and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in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explores potential strategi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aimed at mitigating the impact of political inter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urban development plans. It calls for enhanced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stakeholder engagement to foster a more conducive environment for urban development initiatives to thrive. To sum up, this research accords significantly to the extant corpus of knowledge on the challenges of urban development and planning in the context of political interference. It functions as a valuable asset for policymakers, urban planning professionals, and scholars with an interest in comprehending and tackling the intricate factors that affect the efficient execution of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not only in Kampala but also in analogous urban contexts around the globe. 본 논문은 캄팔라 물리적 개발 계획을 중심으로 도시 개발 계획의 성공적인 실행에 정치적 간섭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도시의 도시 개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5개의 주요 물리적 계획 부서를 대상으로 캄팔라 시 내에서 실시된 포괄적인 조사를 통해 수집된 경험적 증거에 기초하고 있다. 본 연구의 표본은 전략적 도시 개발 노력의 계획 및 실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50명의 참가자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냉엄한 현실을 보여준다. 즉, 98%의 다수 응답자가 캄팔라의 물리적 개발계획 실행에 정치적 간섭사례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엄격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해석을 통해 본 연구는 정치적 간섭의 다면적인 성격과 그것이 도시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부당한 영향력부터 개발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실행을 방해하는 요식적 장애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간섭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도시 개발 결과에 대한 정치적 간섭의 결과를 조사하고 캄팔라 시 내 인프라, 주택, 환경 지속 가능성 및 전반적인 도시 거주 적합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도시 계획 및 개발에서 공정하고 증거에 기반한 의사 결정의 중요성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 개발 계획 실행에 있어 정치적 간섭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잠재적인 전략과 정책 권장 사항을 탐구하였다. 도시 개발 계획이 더욱 잘 진행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향상된 투명성, 책임성, 이해관계자 참여가 필요하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정치적 간섭의 맥락에서 도시 개발 및 계획의 과제에 대한 현재 알려진 바와 대부분 일치한다. 이는 캄팔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유사한 도시 맥락에서 도시 개발 전략의 효율적인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요소를 이해하고 다루는 데 관심이 있는 정책 입안자, 도시 계획 전문가 및 학자에게 귀중한 자산으로 사용될 수 있다.

      • A Study on Regularizing and Upgrading of Informal Settlements in Kabul-Afghanistan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바크쉬 아흐메드 하니프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51

        일반적으로 불법 거주지는 전세계 개발도상국에서의 도시화 시기에 나타나는 널리 알려진 현상이며, 불법 거주지 형성은 도시화 및 인구성장으로 인한 도시의 주택 및 인프라 접근가능성 적체, 토지개발의 불규칙성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 지난 몇 년간 발전 및 이행되어온 새로운 통합적 접근법에서 도시재생 사업 및 접근법은 주거환경의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측면을 개선하고, 여러 수준의 관련당사자 공동체 참여를 개선하여 지속 가능한 장기적 개발 성과를 가져오기 위한 광범위한 역동적 조치를 포함한다. 이는 불법 주거지 처리를 위한 도시 차원의 통합정책을 통해 달성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카불의 불법 거주지를 도시 차원의 기준에 부합하는 합법적 거주지로 변경 및 통합하기 위한 도시 개선 설계(재생) 사업 -주택 및 인프라 서비스를 포함하는 - 에 기여하고자 한다. 도시 설계 사업에서 활용되는 방법론은 도시화와 인구 성장 동향에 따른 다양한 사회경제적 동향에 적용할 수 있다. 도시 설계 네트워크의 여러 차원의 기술적 역할은 다양한 수준의 주체들이 워크숍 및 공적 모임을 통해 설계, 이행, 기술, 사회, 재무적 측면에서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 이와 같은 접근법의 이행은 도시화와 인구성장의 여러 물리적, 사회경제적 동향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개선 설계사업을 통해 가능하다. 그러한 이유로 선행 연구 챕터에서 논의되는 인도, 터키, 그리고 동남유럽 알바니아의 사업 사례연구 및 파키스탄 오란지 시범 사업의 일부 사례는 불법 거주지의 합법화 및 물리적 개발을 위한 통합된 도시 차원의 관행 및 정책 접근법을 지지하는 견해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통합적 개선사업 설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4대 구체적 성과는 다음과 같다. i. 통합 개선사업 내 도시 수준 및 거주지의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 ii. 사회적 통합 iii. 좋은 거버넌스 iv. 권리 기반 개발 v. 지배구조 요약하면, 카불 시와 아프가니스탄의 도시 개선을 위한 모델 프레임워크 내 통합된 도시 차원의 설계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도시 개선사업을 통해 도시 수준 기준에서 주택 및 인프라의 재생을 통해 토지 보유권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차 및 2차 가로 배치 설계에 따른 도시 개발사업은 인근의 마을들의 연계, 인접한 비즈니스 및 경제활동의 통합, 공용 공간의 공유를 촉진할 것이다. 이 전략은 복잡한 전면적 사업이 아닌 점진적 도시 및 지역개발 사업을 위한 접근법을 권장한다. 이는 도시 수준에서의 연계와 이동성을 고려해 공동체의 대표성 및 우선순위를 제기하며, 사업의 설계 및 이행에 대한 다양한 관련당사자 공동체 간 워크숍 협의 및 지식이전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기술, 관리, 재무역량을 점진적으로 개선한다. 도시 및 지역 차원에서 여러 관련 당사자가 설계 및 이행에 기술적, 사회적, 재무적으로 기여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역할은 컨설팅 워크숍 및 공공 회의를 통해 도시 개발사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공적 공간의 가용성과 가로 양식은 지속 가능한 목표에 이를 수 있는 전략적 계획 방식을 제공할 것이며, 물리적 개발, 지역 경제발전, 접근가능성, 토지사용의 최적화, 시민과 불법 거주민의 물리적 환경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 가치 상승과 관련하여 도시 수준의 통합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상호 연관된 문제들은 통합된 개선 및 재생 사업의 점증적 단계 그리고 도시 수준의 사업주기 내에서 관리 및 달성 가능하다. In general, informal settlement is a well-known phenomenon during the urbanization period in developing countries. Its formation often relates to the irregularity of land management, backlogs on the housing and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less provided on the city level standards due to urbanization and population growth. On one side of the argument, it’s mentioned that squatter or informal settlements’ existence hinders the cities in maximizing their multiple functionalities e.g. social, economic, physical income generation activities and other opportunities. But from the other side the integrated practices and city level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make the appropriate and flexible way forward to converting these settlements into formal planning and urban development frameworks with less financial, technical and managerial burdensome. This paper is aimed to follow up the integrated upgrading programs for contribution on the urban upgrading design (renewal) projects that include establishment of housing and infrastructure quality standards, and consolidation and converting informal areas to formal settlements at the city level for most cities of Afghanistan including Kabul. The role of the multilevel stakeholders in design, implementation of a project with technical, social and financial contribution at the urban and local levels will be fundamental in leading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to long term positive outcomes through consulting workshops and public gatherings. The study also introduces urban development projects with the primary &secondary street layout designs which will facilitate linking of nearby city level neighborhoods with many economic and social outcomes. The study cases from India, Turkey and Albania and some examples from the Pakistan Orangi pilot project provide some strengthening arguments on the use and scaling up the road network connectivity and extension for the settlement and city level connectivity with the implementation of upgrading design projects. In summary, I recommend that an integrated model for following up city level design project is applicable in most cities of Afghanistan including Kabul city for land tenure issues, scaling up housing and infrastructure networks with the current urbanization patterns at the city level standards by implementation of urban integrated design projects. This is also for the adaptability to different social,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 and trends of population growth in the regions and cities. The integrated model encourages incremental project cycles with medium and long term outcomes within informal settlements through gradual enhancement of technical, managerial and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 Liability on climate change from urban development in Cambodia : A case study on quality infrastructure investment principles selected

        Suon, Sorinda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51

        캄보디아의 도시개발은 경제성장과 인구증가에 힘입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개발은 기후변화의 맥락에서 인구 및 토지 이용 변화로 인하여 환경영향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도시지역이 계속 확장됨에 따라 기후 변화에 대한 책임 기여도를 평가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 논문은 캄보디아의 도시개발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이 사례 연구를 위해 선택된 품질 인프라 투자(Quality Infrastructure Investment, QII) 원칙의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QII 원칙은 환경 지속 가능성, 사회적 포용성, 경제적 효율성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20년 동안(2000년, 2009년, 2019년) 인구 증가, 5가지 유형의 토지 이용 변화 및 기온 상승을 다루는 데이터 세트의 정량적 분석을 통합하는 혼합 방법 접근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캄보디아 41개 도시 지역의 인구 증가, 토지 이용 변화 및 기온 상승을 다루었고, 회귀 분석 및 패널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여 캄보디아 도시 개발 맥락에서 인구 증가, 토지 이용 변화 및 기후 변화 간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또한, 도시 개발, 환경, QII 원칙과 관련된 기존 법률 및 규정에 대한 질적 검토가 포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유형의 토지 이용 변화(삼림, 건축 지역, 농경지)가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였다. 광범위한 삼림 벌채, 광대한 농경지, 인구 밀도가 높은 건축 지역으로 특징지어지는 지역은 상당한 기온 상승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책 입안자, 도시 계획자, 개발자 및 지방 당국에 도시 개발이 기후 변화에 크게 기여한다는 사실을 알려줄 것이다. 이는 기후 변화와 캄보디아 QII 원칙의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도시 개발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여 캄보디아 도시의 보다 지속 가능하고 기후 탄력적인 미래를 육성하는 것이다. Urban development in Cambodia is on the rise, driven by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expansion. However, this urban development has raised concerns about its environmental impact from population and land use change, with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s urban areas continue to expand, there is a growing need to assess the liability contributions to climate change. This research paper focuses on the Liability on climate change from urban development in Cambodia, with a specific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Quality Infrastructure Investment (QII) Principles selected for this case study. QII principles encompass a range of criteria, includ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ocial inclus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This research employs a mixed-methods approach, integrating quantitative analysis of datasets covering population growth, five types of land use change, and temperature increase over a 20-year period (in 2000, 2009 and 2019). This analysis covers population growth, land use change, and temperature increase across 41 urban districts in Cambodia, employing regression and panel data analysis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growth, land use change, and climate change in the context of urban development in Cambodia. Additionally, it includes qualitative reviews of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urban development, the environment, and QII principles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act of various types of land use change—forests, built-up areas, and agricultural land—on climate change. Districts characterized by widespread deforestation, extensive agricultural land, and built-up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re experienc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temperatures. These findings will inform policymakers, urban planners, developers, and local authorities about the substantial contribution of urban development to climate change.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ith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nd QII principles in Cambodia. The ultimate goal is to mitigate the adverse effects of urban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 fostering a more sustainable and climate-resilient future for cities in Cambodia

      • A comparative study of sustainable development experience of Seoul (South Korea) and Minsk (Belarus)

        쿨락 안톤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51

        The state program for the construction of large residential areas for residents of Minsk in satellite towns was approved by the Government of Belarus in 2010; the main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reduce the burden on the capital. It is expected that the satellite towns of Minsk will become Smolevichi, Gatovo, Dzerzhinsk, Logoisk, Fanipol, Rudensk, Zaslavl, Stolbtsi. The Minsk’s satellite towns of the first stage are Smolevichi and Rudensk. Housing factor for the decreasing of burden on Minsk and for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towns is considered as the basic factor. At the same time the price of housing units in satellite towns seems to be the same as in the capital.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houses in satellite towns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otential of circular migration of the citizens and their intention to move to satellite towns would make a problem of unclaimed houses. In other words, there is no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issue of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towns, and that is most important there is no clear perspective vision for the creation of additional job places. The other issue is that there are no clear methods for stimulation for migration and creation of attractiv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usiness and services in Belarus. The process of making a decision for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towns was not based on the deep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analysis. Also there was no any analysis of public opinion, the mechanism of the creation of satellite towns do not include social part that is realized through the civil society and involved in this process population. There was a task to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satellite towns as the administrative-territorial units. However, it cannot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aims and functions, which are defined for the satellite towns. Therefore current problem is to find out a model and effective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towns, which will be able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economic grows of the settlements and for the increasing of their attractiveness for migration. From the other side there is a rich experience of satellite towns development in the world and the study and analysis of reached experience, existed problems and the ways for their overcome can help to rationalize and optimize the process of satellite settlements creation in more effective ways. South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faced rapid urbanization since the second half of XX century 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is issue followed the way of the creation and developing of the new towns. The backward analysis of the results and the ways for doing this can give some useful material for the improving of Belarussian approaches in urbanplannig activities. All of this determined the relevance of the thesis. It based on a study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ome particular aspect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apitals of two countries and their metropolitan areas. In particular, much attention is paid to the analysis of basic key factors, such as self-sufficiency (economic sustainability), social mix (social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 friendly management (environment sustainability). 2010년 벨로루시 정부는 수도 민스크에 인구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대규모 주거지를 갖춘 위성 도시 건설을 승인했다. 스몰레비치, 가토보, 제르진스크, 로고이스크, 파니폴, 루덴스크, 자슬라블, 스톨읍치가 민스크의 위성 도시로 조성될 예정이고 스몰레비치와 루덴스크가 첫 번째 위성 도시로 선정됐다. 주택은 민스크의 부담을 줄이고 위성 도시 개발을 위한 기본 요소로 간주된다. 동시에 위성 도시의 주택 가격은 민스크와 유사한 수준으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시민들의 순환 이주 가능성과 위성 도시로의 이주 의사를 고려하지 않고 주택을 건설할 경우 미분양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위성 도시 개발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법이 부재하고, 특히 일자리 창출에 대한 명확한 비전이 없다는 것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또한 비즈니스와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이주를 장려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도 부재하다. 정부는 위성 도시 개발 결정 과정에서 사회경제 상황과 여론을 심도 있게 분석하지 않았고 관련 시민 사회와 인구와 같은 사회적 부분을 고려하지 않았다. 행정구역 단위로서 위성 도시의 법적 지위를 확인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으나 이를 통해 위성마을의 목적과 기능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현재 과제는 거주지의 경제 성장과 거주민 증가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위성 마을 개발 모델과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위성 도시 개발과 이들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기존 문제와 이들 문제를 해소한 방법에 대한 전세계의 다양한 연구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위성 도시 개발 과정을 합리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한국은 XX 세기 후반 급속한 도시화를 경험하고 신도시 조성 및 개발 방식에 따라 이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했다. 한국의 도시화 경험과 결과에 대한 역방향 분석은 도시 계획 개선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들 모두를 확인하고 양국의 수도와 대도시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사회경제 발전을 연구하고 비교 분석했다. 특히 자급 자족(경제적 지속가능성), 사회 혼합(사회적 지속가능성), 친환경 관리(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같은 핵심 요소 분석에 집중했다.

      • A Study on the Financing of Public Infrastructure : The case of Bogotá

        Bárbara CARVAJAL PINTO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35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development is an important economic and social cohesion tool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linking and development, not only between municipalities or ports but also within urban areas. Infrastructure conditions impact on economic factors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public deficit, inflation or employment; which are important in population welfare and economic growth. In general, public works, by their nature, are public goods by domain and use, and their ownership belongs to government, on its different levels, central, regional or local. Traditionally, planning, financing, construction, conservation and exploitation have been in in the sphere of the public sector. However, nowadays public works are available to be funded, built, operated and, exploited by the private sector as well; according to particular regulations and cases, under indirect management systems, normally concessions However, supplying of all urban infrastructure needed by public sector requires a huge budget and efficient government management system. Unfortunately, developing countries do not have enough funds to cover all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costs and in several cases governments are focused in short-term goals. Due to high cost in infrastructure supply, governments have to find innovative mechanisms to fund facilities and other kinds of urban needs. Lack in infrastructure means lack in development. Infrastructure development has to face several difficulties: technical problems, weak legislation, poverty, corruption, and especially shortage in financial resources. In this thesis financing management in public works and public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ways to get funding will be described. In Colombia, financial resources needed to build infrastructure are mainly financed by the government; which causes one of the main difficulties for urban infrastructure supply and, hence implementation of urban renewal and regeneration projects. Although such a difficulty is a general concern of government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inancial mechanisms should be permanently evaluated to find ways to reduce deficits and fulfill urban nee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urrent conditions and suggest a mechanism for achieving improved implementation of urban projects through regulations or financial tools that enhance the private role as funders to urban infrastructure in Bogota, specifically in the Central Station Project case study. In this research, innovative financial tools are analyzed, compared, and applied in a specific project, which will show new financial conditions to find limitations, weaknesses or strengths and help to choose an ideal tool that can be implemented in similar case projects. Findings on the topic have revealed that policies should be stronger than political conditions, and that government projects have to be the first independently than who rules. With correct regulations and financial tools, infrastructure development can find resources. In present research,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 a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d comparative methods, with aim to evaluate financial condition for urban projects in Colombia, specifically in Bogotá taking Central Station, as a case study of public project to be implemented with private sector but that present delay due to particular condi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Colombian government to expand financial resources necessary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Keywords: Urban projects, financial tools, Infrastructure, Finance Supply 인프라 및 시설 개발은 도시/항구 간뿐만 아니라 도시 내 지역 간의 물리적 연결성 개선 및 교차 발전을 위한 중요한 경제적∙사회적 결속 수단이다. 인프라의 상태는 국민 복지 및 경제 성장에 매우 중요한 국내총생산(GDP), 재정 적자, 인플레이션, 고용 등과 같은 경제 지표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공공 사업(인프라 및 시설)은 속성상 영역 및 용도가 공공재이며, 그 소유권이 각급 정부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계획, 자금 조달, 건설, 보존 및 개발은 공공 부문의 영역에 속해 왔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특별한 경우 규정에 의해(예: 간접 경영 체계) 민간 부문 또한 공공 사업의 자금 조달, 건설, 운영 및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정부 허가의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공공 부문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도시 인프라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과 효율적인 정부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안타깝게도 개발도상국의 경우 모든 인프라 및 시설의 비용을 감당할 만큼 충분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며, 일부 경우에는 정부가 단기적 목표에 치중한다. 인프라 공급에 수반되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정부는 시설 및 다른 형태의 도시 필요물에 소요되는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은 개발이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인프라 개발에는 기술적 문제, 법률적 제도 미비, 빈곤, 부패, 자금원 부족과 같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수반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금 조달 방안을 포함하여 공공 사업 및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를 위한 재정 관리를 다룬다. 콜롬비아의 경우 인프라 건설에 필요한 재정 자원을 주로 정부에서 조달한다. 이는 도시 인프라 공급에 큰 어려움을 야기하며, 따라서 도시 재개발 및 재건 사업의 이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은 정부의 일반적인 문제이기는 하나(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재정 관리 및 조달 체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재정 적자를 완화하고 도시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고타를 대상으로, 특히 중앙역 프로젝트(Central Station Project)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도시 인프라 개발의 자금원으로서 민간 부문의 역할을 강화하는 규정 또는 재정적 수단을 통해 향상된 도시 개발 사업 이행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분석, 비교 및 적용된 혁신적인 재정적 수단(재정 여건)을 통해 새로운 재정 상태를 제시함으로써 제약 요소, 취약점 및 강점을 찾고 유사 프로젝트에서 이행 가능한 이상적인 방안을 선택한다. 이 주제에 대한 연구 결과, 정책은 정치적 상황에 관계없이 보다 강력해야 하며 정부 사업은 집권 세력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규정과 재정적 수단이 뒷받침된다면 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자원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롬비아 내 도시 프로젝트를 위한 재정적 조건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히 보고타의 중앙역 프로젝트를 민간 부문과 함께 추진되었지만 현재 특정 조건으로 인해 지연되고 있는 공공 부문 사업의 사례 연구로 삼아, 설명 및 비교 방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정보를 분석했다. 주요 용어: 도시 사업, 재정적 수단, 인프라, 금융 공급/재정 지원

      • Analysis of the potential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round metro stations of Tashkent

        Jalilov, Jafar Kamol Ugli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35

        The escalating vehicle emissions in Tashkent have given rise to deteriorating air quality, contributing to health issues. The surge in car ownership exacerbates the problem of car dependence, necessitating solution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emerges as a potential remedy, directing planning towards the transportation network. However, the complex nature of TOD requires a multi-criteria method and a GIS-based geoprocessing model for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is research addresses the absence of a suitable measurement framework for TOD around metro stations in Tashkent, introducing a TODness index. The index aims to assist stakeholders in informed decision-making, resource allocation, and attracting investments for TOD projects, foster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ashkent's urban landscap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city's extensive network of 50 metro stations. The lack of a standardized framework for TOD assessment poses a significant challenge, leading to inconsistencies in criteria application and misallocation of resources. This research aims to fill this gap by developing a methodology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TOD around each of Tashkent's 50 metro stations. The focus is on creating a TOD Index that incorporates various indicators, identifying areas for improvement, and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TOD planning proposals. The central research question addresses how current TOD levels around each of the 50 metro stations can be measured and analyzed to inform policies and identify areas for enhancement.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providing actionable insights for successful TOD investments and areas requiring improvement in Tashkent, leveraging the unique opportunity presented by the city's extensive metro system. The methodology developed can be applied beyond Tashkent, contributing to the broader knowledge base on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transit planning. The research successfully achieved its objectives, employing innovative spatial frameworks, advanced geoprocessing models, and 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SMCA). In addition, spati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Global Moran’s I Statistics, Statistics of Getis-Ord Gi, and Anselin Local Moran's I statistics, were applied to enhance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TOD assessment. The results clarify opportunities for TOD in Tashkent, contributing to the ongoing discourse on urban development and sustainable transportation. Challenges, including the ambiguous nature of TOD evaluation standards and data limitations, were addressed. Recommendations include refining GIS models, adopting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methods, and incorporating indicator weighting processes based on input from stakeholders such as planning professionals, academics, and community representatives. This ensures a comprehensive assessment that considers the priorities and perspectives of diverse groups, enhancing the relevance and effectiveness of TOD evaluation as a tool for urban development and decision-making. 타슈켄트의 차량 배기가스 증가로 인해 대기 질이 악화되어 건강 문제가 발생했다. 자동차 소유의 급증은 자동차 의존 문제를 악화시키며,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솔루션이 필요하다. 대중교통지향형도시개발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은 교통 네트워크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잠재적인 해결책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TOD의 복잡한 특성으로 인해 포괄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다기준 방법과 GIS 기반 지오프로세싱 모델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TODness 지수를 도입하여 타슈켄트 지하철 역 주변의 TOD에 대한 적절한 측정 프레임워크가 없다는 점을 다루고 있다. 이 지수는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 자원 할당 및 TOD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유치에 있어 이해관계자를 지원하고 타슈켄트 도시 경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특히 도시의 광범위한 50개 지하철 역 네트워크에 중점을 두고 있다. TOD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프레임워크가 부족하면 기준 적용에 불일치가 발생하고 자원이 잘못 할당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타슈켄트의 50개 지하철역 각각 주변의 TOD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여 이러한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다양한 지표를 통합하고, 개선 영역을 식별하고, TOD 계획 제안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공하는 TOD 지수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두었다. 주된 연구질문은 정책을 알리고 개선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50개 지하철 역 각각의 현재 TOD 수준을 어떻게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지를 다루었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도시의 광범위한 지하철 시스템이 제공하는 독특한 기회를 활용하여 성공적인 TOD 투자와 타슈켄트의 개선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 개발된 방법론은 타슈켄트 이외의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및 교통 계획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기반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혁신적인 공간 프레임워크, 고급 지오프로세싱 모델 및 공간 다중 기준 분석(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SMCA)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했다. 또한 TOD 평가의 포괄성을 높이기 위해 전역적 모란지수 (Global Moran I) 통계, 게티스지(Getis-Ord Gi) 통계, 안셀린 국지적 모란지수 (Anselin Local Moran I) 통계 등 공간 통계 분석을 적용했다. 결과는 타슈켄트의 TOD에 대한 기회를 명확히 하여 도시 개발과 지속 가능한 교통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에 기여한다. TOD 평가 표준의 모호한 특성과 데이터 제한을 포함한 문제가 해결되었다. 권장사항에는 GIS 모델 개선, 참여적 의사결정 방법 채택, 기획 전문가, 학계, 지역사회 대표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지표 가중치 프로세스 통합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그룹의 우선순위와 관점을 고려하는 포괄적인 평가를 보장하였고, 도시 개발 및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TOD 평가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 A study On the New Towns Development by Taking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Developed Countries

        후세인 후세인 하마디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35

        이라크에서 도시들은 긴 전쟁의 결과 40여 년간 파괴와 퇴화를 겪었다. 또한 1990년 이후 연간 약 3%의 인구 성장률 확대와 이농현상으로 특정 지역의 급속 성장과 인구과밀화, 빈민가 문제, 주택위기 등이 야기됐으며, 이는 이라크의 경제와 인프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라크의 새로운 도시운동과 관련하여 생태학적, 문화적, 정치적, 제도적, 사회경제적 측면을 개선함으로써 도시 생활의 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시민을 위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내기 위한 도시개발 도전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2004년 이전에는 이라크 정부가 신도시 정책 등의 도시정책을 적용하고자 노력했으나, 도시화에 대한 명확한 전략의 부재로 실패한 바 있다. 2004년의 새로운 상황 이후 이라크 정부는 2010년-2014년 5개년 계획을 통해 공간계획 정책을 도입했으며, 또한 신도시 개발 정책도 도입했다. 이에 따라 국가투자위원회(NIC)는 이라크 사상 최초이자 가장 규모가 큰 도시개발 사업인 ‘비스마야 신도시 사업(BNCP)’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비스마야 신도시를 이라크의 자급자족 도시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스마야와 다른 국가에서 개발된 신도시를 분석해 비스마야 신도시가 주민을 위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돕는 보완적 정책을 수립했으며, 바스라 등의 다른 이라크 도시와 비교하여 비스마야 신도시를 위한 긍정적 시사점과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요인을 파악했으며, 이는 이라크의 기존 도시와 선진국의 신도시개발에 대한 개요와 이를 BNCP의 새로운 경제적 기반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상세한 논의를 제공한다. 필자는 연구결과에 기반해 비스마야 시 건축 및 도시 주변 확대를 위한 두 가지 선택안을 선정했으며, 이는 비스마야 시의 생존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산업 및 상업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제안에 기반한다. ‘산업단지’는 BNC의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범주였으며, ‘연구 및 대학 부문’과 ‘농업부문’이 이의 뒤를 이었다. BNC의 새로운 경제기지는 보다 전통적인 구조의 도시환경에 존재하는 다수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공동체의 복지를 개선하는 한편 지역 내 자연자원을 보존하고 국가 경제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In Iraq, cities have suffered from destruction and degradation for more than four decades as a result of long wars. In addition, population growth of around 3% annually since 1990 and im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 has led to the rapidly growing regions and caused overcrowding, slum problems and housing crisis, which has directly affected the Iraq economy and infrastructures. In the new urban movement in Iraq, it is necessary to identify urban development challenges to create a sustainable future for the citizens with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city life by enhancing the ecological, cultural, political, institutional, and socio- economic aspects of urban areas. Before 2004, the Iraq government tried to apply urban policies such as the new towns policy, but failed because there was no clear strategy for urbanization. After the new situation in 2004, Iraq adopted the spatial planning policy which began in his five- year plan from 2010-2014. Moreover, new towns development was adopted. Accordingly, the National Investment Commission (“NIC”) proposed the Bismayah New City Project (“BNCP”) as the first and largest city development project in the history of Iraq. The aim of this research is making Bismayah New City a self-sufficient city in Iraq. By analyzing three current statuses of Bismayah and other new town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this study sought some complementary measures to help Bismayah New Town in creating more jobs necessary for the residents. In addition, the comparison with other Iraqi cities like Basrah was undertaken to find positive implications to help Bismayah New City and draw my conclusion. Many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here provides an overview of new-city development in developed countries and existing cities in Iraq then and a detailed treatment of their ap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a new economic base in BNC. Based on findings, the researcher chose two options for to establish in the city of Bismayah and spread around the city under the suggestions that industrial and commercial services are needed to ensure the continuation of its survival. ‘Industrial park’ was the most significant category affecting the future of BNC, followed by ‘R&D and University Zone’ and ‘Agricultural sector’. New economic base in BNC can help resolve many problems that exist in more traditionally structured urban environments, enhance the well-being of the community of the city while preserving natural resources in the area, and also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economic state of the country as a whole.

      • Strategies to improve slums through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Mattakkuliya’, Colombo, Sri Lanka

        Don Gihan Ramesh Karunanayake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35

        도시 인구의 증가와 도시화로 발생하는 슬럼은 오늘날 사회가 직면한 주요 문제다. 슬럼은 주택 부족, 사회적 불평등, 일자리 부족, 폐기물 관리, 범죄 등 많은 환경, 사회, 경제 문제를 야기한다. 이 상황은 앞으로 더욱 악화될 것이다. 도시 지역의 비공식 정착지가 급속히 확장됨에 따라 그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은 개발된 도시 지역에서 살 권리를 잃는다. 각국 정부는 시민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 슬럼가를 재생하는 작업을 오랫동안 진행해 왔다. 이들 정부는 도시 재생을 진행할 때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기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리랑카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도시 재생을 위한 성공적이고 지속가능한 지표와 전략을 식별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문제는 도시재생을 위한 지속가능성 지표의 부족이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에서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통한 슬럼 개선 활동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찾고, 그 지식을 효과적이고 저렴하며 실행 가능한 지속가능성 지표와 전략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기술적 연구를 사용했다. 여러 국가에서 시행된 몇 가지 성공적인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사례 연구로 연구했다. 질적 방법을 주로 활용하면서 기술적 방법을 병행 사용했다. 연구 질문에 답하는 연구 방법론은 두 가지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는 문헌 검토를 통해, 두 번째는 심층 인터뷰와 설문 조사를 통해 진행했다. 개발도상국에서 지속가능성을 구현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높은 초기 비용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개발도상국의 슬럼 개선의 지속가능성을 구현하기 위해 우선 실행할 수 있는 저렴하고, 비용이 낮고, 쉽고, 복잡하지 않고, 효과적인 해결책과 지표 및 전략을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사례 연구와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얻은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지표와 개발도상국에서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했다. Slums, which have been arisen due to the increase in urban population with urbanization, are one of the major issues facing society today. It has created many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such as housing shortage, social inequality, unemployment, waste management problems and crime. This situation will worsen in the future.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informal settlements in urban areas, they themselves have lost the right to live in a developed urban area. Therefore, the governments of countries have been in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se urban slums for a long time to provide a better quality of life to their citizens. In carrying out this urban regeneration, many challenges have to be faced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because in some cases, moving towards sustainability is not an easy step.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to identify and implement successful, sustainable indicators and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in a developing country like Sri Lanka. The strategic lack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urban regeneration, especially sustainability indicators, is the main research problem. Therefore, it is needed to discover new knowledge on slum improvement activities through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a developing country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effective, affordable, and viable sustainability indicators and strategies to prevent future problems. To address the research problems, an exploratory descriptive method of study was conducted. Several successful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mplemented in several countries are studied as case studies. A mixed approach combining mainly qualitative methods with some form of descriptive methods was used. The research methodology consists of two parts, which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part i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econd part i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s. The first and foremost challenge in implementing sustainability in a developing country is the high initial cost. As the main finding of this research, affordable, low cost, easy, uncomplicated, effective solutions, and indicators &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primarily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slum improvement in a developing country were found. Finally, it is explored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obtained through case studies and stakeholder interviews, indicators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trategies that can be successfully applied in a developing country.

      •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a model for cluster urban development : implications for Tongzhou, China

        Li, Wei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35

        The thesis discusses why Beijing (Chinese capital) wants to build an urban sub center and this new urban sub center wants to be a self-sufficient city. We will also discuss in what way “self-sufficient” city can contribute to a city's sustainability, how the self-sufficiency of a city can be measured, and how cluster development can contribute to self-sufficiency of a city.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is the learning model. So what kind of implications from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can be learned by Beijing new urban sub center, how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achieves self-sufficiency, and how cluster development promotes self-sufficiency are also discussed in this thesis? Both Tongzhou and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have realized cluster development pattern can be the leading factor to achieve self-sufficient urban formation. So according to the implications from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we try to prove self-sufficient urban pattern by cluster development is valuable to a new relocated administrative-like city. Regard to the thesis topic and its characteristics, interview and secondary data analysis will be the main methods. These analyzing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for future self-sufficient Tongzhou urban sub center. So the key finding is that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could be a reasonable self-sufficient and cluster developmental model to Tongzhou new urban sub center. Keywords: Beijing, Tongzhou,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self-sufficient, cluster development, urban planning 이 논문은 베이징(중국의 수도)이 도시 서브센터를 구축하려는 이유, 이 새로운 서브센터를 자족도시(self-sufficient city)로 건설하려는 이유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자족도시”가 한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어떤 식으로 기여하는지, 한 도시의 자족성은 어떻게 측정되는지, 클러스터 개발이 한 도시의 자족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여기서 우리의 학습모형은 세종특별자치시이다. 따라서 베이징의 새로운 도시 서브센터는 세종특별자치시로부터 어떤 것을 학습할 수 있는지, 세종시특별자치시는 어떻게 자족적이 되었고, 클러스터 개발이 자족성을 어떻게 증진했는지도 논의할 것이다. 퉁저우와 세종특별자치시는 모두 클러스터 개발 패턴이 자족적 도시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했다. 따라서 세종특별자치시로부터 배운 교훈에 따라, 우리는 클러스터 개발에 따른 자족적 도시 패턴이 새롭게 이주된 행정중심 도시에 아주 중요한 부분임을 증명하려 했다. 본 논문의 주제 및 특징과 관련하여 채택한 주요 연구 방법은 인터뷰와 2차 데이터 분석이다. 그 분석 결과는 향후 자족적인 퉁저우 도시 서브센터를 위한 도시계획과 개발을 위해 더욱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여기서 핵심적 분석 결과는 세종특별자치시가 합리적인 자족적 도시가 될 수 있고, 퉁저우의 새로운 도시 서브센터 개발을 위한 클러스터 개발 모형이 된다는 점이다. 주요 용어: 베이징, 퉁저우, 세종특별자치시, 자족적, 클러스터 개발, 도시계획

      • Assessing Transit Area for Potential Transit-oriented Development on BRT Corridor in the Inner City of Addis Ababa

        Henok Darsema TESSEMA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35

        무계획적으로 단시간 내 진행된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의 개발은 도시 내 혼잡 증가, 환경 피해, 경보나 자전거 등 무동력 수단을 통한 이동의 불편 과 도시 난개발 현상을 유발시켰다. 해당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강력한 토지 사용 규제 및 대중교통 지향형 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을 기반으로 하는 고밀화 도시 통합 개발이 제시되었다. 또한 지속가능한 대규모 간선급행버스체계(bus rapid transit: BRT)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TOD 개발은 현 도시 교통 시스템, 주택 부족, 도심 상황을 고려하는 동시에 효과적인 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그러나 도시 내 TOD 개발 사례 및 실행은 부족한 상태이다. 여기에는 관련 상황에 대한 사전 평가 및 이해를 요하는데, TOD 개발을 위한 대중교통 위치 계획은 초기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 연구는 도시 내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적으로 한 TOD 개발 전략 기반 접근방식에 대한 선제적 이해를 우선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디스아바바의 신규 간선급행버스가 이용하는 간선도로 전반의 TOD 지수를 기반으로 TOD 수준에 대한 정량 평가를 진행하는 동시에 전세계 사례도 살펴보면서 TOD가 지닌 도전과제 및 기회에 대한 정성 평가도 진행한다. TOD의 기준 및 지표는 다기준 평가방법(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ology)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또한 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해 지표 가치의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아디스아바바 도심 내 간선급행버스체계 상의 B6 간선도로에 걸쳐 위치한 8개의 역에 대한 TOD 지수가 결정되었는데, TOD 측면에서 케라(Kera)역은 높은 수치를, 칼(Karl)역이 최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해당 간선도로 상의 대다수의 역들의 경우 TOD 특성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케라역과 같은 역은 TOD 개념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잠재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해당 결과는 의사결정권자들이 TOD의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계획된 역 내 TOD 투자 지역의 선택 및 교통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론은 추가 연구를 위한 다른 간선급행버스역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해당 도시 내 지속가능한 TOD 개발을 위한 접근 방식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e unguided fast development of Addis Ababa has led the city to cause congestion increase, environmental damage, uncomfortable situations for non-motorized mobility, and urban sprawl. In reaction to this growing concern, strong land use regulation, and an integrated development by considering urban densification us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is implied. Also, vast sustainable BRT transport systems are proposed. While considering the current city's transportation problem, housing shortage, and status of the city centers the development of TOD required effective planning. However, TOD development practice and implementation in the city is pretty much less. It requires a pre-assess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 Thus, in any transit location planning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can be effective when a proper initial assessment is conducted. Hence, the drive of this study is to add a prerequisite understanding of the approach using the TOD development strate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ity. Therefore, the research quantitatively measures the level of TOD in terms of the TOD index along the new BRT corridor of Addis Ababa and qualitatively assesses the challenge and opportunity of TOD whereby looking at the global practice. The criteria and indicators of TOD were assessed by using a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ology. Also, stakeholders are involved in giving weight to the value of indicators. Hence, a TOD index was determined for 8 stations of the BRT B6 corridor in the city center of Addis Ababa. The result indicates among the stations, Kera has a higher value of TOD-ness and Karl has the least. Moreover,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tations along this corridor require improvement of the TOD characteristics. Yet, a station like Kera has the potential to apply the TOD concept. Generally, the result helps decision-makers to effectively plan TOD and choice the TOD investment area in the intended station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transit system. Additionally,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applicable to the other BRT sta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 Overall, the study will help in the approach to sustainable TOD development in th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