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북경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류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5407

        한류의 열풍을 인해서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더 많은 사람이 대학교를 입학할 때 한국어 전공을 선택한다. 한국어 수요와 한국어 인재에 대해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학과의 개설이 급하게 이어졌다.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개설했을 때 다른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의 전형적인 모델을 참고하거나 다른 학교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모방하는 등 단기적인 관점에서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을 다시 검토해야 하고 언어적, 전문적인 접근으로 새롭게 바라 볼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시대 요구에 따라서 한국어 인재를 양성할 수 있게 적절성과 합리성을 갖춘 교육과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전문적인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으로 출발하고 중국 북경에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중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현황을 살펴보고 더 효과적인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제안을 제출하려고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하나는 한국 내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이며, 다른 하나는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현황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해서 다양하게 연구해 왔지만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이론적인 배경을 언급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의 개념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그 다음에 교육과정의 개발 절차 및 교육과정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은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해서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현황을 먼저 제시하였다. 중국 북경에서 한국어 교육은 대표적으로 하는 대학교, 즉 북경대학, 대외경제무역대학, 북경제2외국어대학, 북경언어대학, 중앙민족대학 이렇게 5개 대상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대학교의 교육 목표, 현지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교과목 설치 세 방면을 분석한 다음에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에 살펴하는 것을 바탕으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교육 개선 제안을 교육 목표 설치, 교재 선정, 교과목 설치 이 세 가지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정리하여 본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재 현황과 개발 방안 : 울란바타르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푸레브오치르 아디야수렝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of developing a new textbook by analyzing Korean textbook, which is used when Mongolian native speaker learns Korean language at home in Mongolia and by solving problems. There has been almost no textbook that was developed in Mongolia so far, thus the textbook,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s being mainly used. The majority of these textbooks are those that were developed mainly by having a proposition as what diverse foreigners learnt in Korea. As for the textbook, which is being used, what the grammar description and the text content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or Japanese is difficult to be said to be the textbook that was developed targeting the specific language region. A case of learning Korean language outside Korea is different from inside Korea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several aspects including the learner-group formation or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will analyze (centering on Ulaanbaatar University in Mongolia) Korean textbook, which is now being used, by grasp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actual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ill examine about the contents necessary for the textbook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n Mongolia, and will present a plan for development. Chapter 1 presen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nd, this is aimed to suggest a plan for examining and developing the constituent contents of Korean textbook, which is used when Mongolian native speaker learns Korean language domestically in Mongolia. Also, a method of this study was brought forth. Namely, as for Korean textbook, there were many arguments that diverse textbooks need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a learner's type.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actually targeting learners in the Mongolian language zone. Consequently, regarding development in this textbook, there is necessity of examination based on what was researched in diverse directions. Chapter 2 examined the history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present status of Korean-language education, and assignments. What Korean-language lecture was opened at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unde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s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March 1990 did open a new chapter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Since then, many special universit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as Korean language is taught as a minor in local region,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me to increase considerably. In addition, it is tendency that even the middle-and-high schools, which teach Korean language, are increasing and that the additionally small-and-mid institutes, which are the ir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re gradually growing. Given examining the Korean curriculum in Mongolia, the Korean major subject is being operated in the form that was mixed function and knowledge education from the basic Korean to the advanced Korean. Chapter 3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the textbook, which is used at Ulaanbaatar University and analyzed some Korean textbooks. In other words, this university is using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in Korea. Also, targeting Korean-language learners at Ulaanbaatar University, the survey of a response to the actually used textbook was conducted. This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September of 2007, and was surveyed targeting totally 69 students in sophomore and junior at the Korean-language department.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resented in relation to learner's goal and motive, satisfaction at the currently-used textbook, whether or not possibility of utilizing textbook when learning this textbook alone, the field that needs to be focused in the textbook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economic problem about textbook, contents of textbook, or whether or not definitude, whether or not causing a learner's interest in textbook, and which textbook do learners want. Chapter 4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bout the textbook that is being used now at Ulaanbaatar University, and whether or not being appropriate for using each textbook.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ponse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the existing textbook targeting Korean-language learners, the problems were solved, and a plan of developing the new textbook was suggested. 이 논문은 몽골어 모어 화자가 몽골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몽골에서 개발된 교재가 거의 없어서 주로 한국에서 개발된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교재들의 대부분은 주로 다양한 외국인이 한국에서 학습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된 것이다.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는 문법 설명이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일본어로 번역된 것은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교재라고 하기는 어렵다. 한국 국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는 학습자 집단 구성이나 교과 과정을 비롯하여 여러 면에서 학습 환경이 한국 국내에서와는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제로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분석을 하고 (몽골에서의 울란바타르대학교를 중심으로)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교재에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고 개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울란바타르대학교는 다른 대학교보다 한국어 교육을 시킨 지 가장 오래된 대학교들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몽골의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학교를 시작되었고 따라서 한국어 교육 경험이 있다. 저도 전에는 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에 다니었던 자로서 울란바타르대학교에 대하여 알고, 경험이 있다고 해서 본 연구를 울란바타르대학교 중심으로 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고 이는 몽골어 모어 화자가 몽골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교재의 구성 내용을 검토 및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즉, 한국어 교재는 학습자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는데 실제로 몽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별로 없다. 따라서 이 교재 개발에 관해서는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된 것을 바탕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70년대에 들어와서야 시작되었다. 기존 교재 분석 연구로서 권미정(1991), 김정숙(1992)의 논의된 제안을 반영하였고 또한 본 연구의 방법, 선행 연구를 제시하였다. 기존 교재의 분석 다음에 효과적인 교재 개발과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백봉자(1988, 1991), 구장희(1991), 김영기(1991), 이정노(1991)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몽골 국내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실태를 살펴보며 쟁점을 사항을 논의한 논문들이 2000년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2장에서는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 역사 및 한국어교육에 대한 현황 및 과제를 알아 보았다. 1990년 3월 한국과 몽골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외무부 산하 동양학연구소에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된 것이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그 후 몽골국립대학교 (1991), 몽골국립외국어대학 (1992), 울란바타르대학 (1995), 어르흥대학교에서도 외국어학부에 한국어학과가 98년도에 개설되어 2000년대 이후 국립사범대 (2000년), 세루르크대학 (2001년), 몽한기술대학 (2002년), 몽골국립공과대학교 (2003), 지방에서는 부전공으로 가르침으로써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 학습자가 상당수 늘어나게 되었다. 그 뿐 아니라 중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학교가 늘어나고, 그밖에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비정규 교육기관인 크고 작은 학원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한국어 전공과목은 기초 한국어부터 고급한국어까지 기능 및 지식 교육 혼합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3장에서는 울란바타르대학에서 사용되는 교재에 대하여 현황을 알아 보았으며, 일부 한국어 교재의 분석을 하였다. 즉, 본 대학교는 한국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에서 나온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 본 교재들은 한국에서 다양한 외국학생들을 위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몽골어권 학습자들한테 안 맞는 문제점들이 많이 나온다. 또한 교재 중 일부 교재에는 문법 설명에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일본어로 번역된 것도 있지만 이것은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교재라고 하기는 어렵다.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는 학습자 집단 구성이나 교육 과정을 비롯하여 여러 면에서 학습 환경이 한국 국내에서와는 다르다. 본 대학교의 한국어학과는 1993년 울란바타르(UB)대학교에서 한글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태동되었고, 1995년 대학설립인가를 얻음으로써 몽골에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학교육을 시작했다. 200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한국어학과 내에 한국학과를 새로 개설하게 되었다. 2004년 통계로 한국어통역사 및 한국학 전공 이수자 수는 171명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울란바타르대학교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로 사용한 교재에 대한 반응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2007년 9월달에 실시하였으며 한국어학과 2학년, 3학년 총 6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학습자의 목적, 동기, 현재 사용되는 교재에 대한 만족, 본 교재를 혼자서 학습할 때 교재 활용 가능 여부, 앞으로 개발할 교재에 중점을 두어야 되는 분야, 교재에 대한 경제적인 문제, 교재의 내용이나 명확성 여부, 그리고 교재의 학습자 흥미 유발 여부, 학습자들이 어떤 교재를 바라고 있는가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현재 울란바타르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나 문제점과 각 교재를 사용하는데 적합 하는 것인가에 대해 검토하였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기존 교재에 대하여 실시한 반응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셩경직>>의 형성 과정과 텍스트수정 양상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 <<셩경직광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순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5375

        <<셩경직ᄒᆡ>>의 형성 과정과 텍스트 수정 양상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셩경직ᄒᆡ광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셩경직ᄒᆡ광익>>이 번역 원본인 한문본 <<聖經直解>>·<<聖經廣益>>과 체재나 내용에서 어떤 영향 관계를 가지는지, 그리고 필사본 <<셩경직ᄒᆡ광익>>을 토대로 <<셩경직ᄒᆡ>>를 편찬하는 가운데 텍스트 차원에서 어떻게 수정되었고, 언어적으로는 어떻게 수정되었는지를 살피고, 최종적으로 <<셩경직ᄒᆡ>>가 어떠한 국어학적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지 논의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셩경직ᄒᆡ광익>>과 <<셩경직ᄒᆡ>>의 형성 과정을 논의하였다. <<셩경직ᄒᆡ광익>>은 천주교에서 연중의 주일과 첨례일에 읽는 성경 대목과 그 관련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필사본 성경책이다. 이 책은 한문본 <<성경직해>>와 <<성경광익>> 두 종을 번역하여 만든 것인데 2장에서는 먼저 이들 두 한문본의 성경 대문이 동일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성경 대문을 중심으로 두 종의 책에서 관련 내용을 번역하여 필사본 <<성경직ᄒᆡ광익>>을 만드는 과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문본 <<성경직해>>와 한문본 <<성경광익>>은 주일에 읽는 주일 성경과 첨례일에 읽는 첨례 성경의 배열 방식에 차이가 있다. <<셩경직ᄒᆡ광익>>은 이미 <<성경광익>>과 같은 방식으로, 1년 간 주일과 축일의 시간 순서에 따라 주일 성경과 첨례 성경 내용을 배열하였다. <<셩경직ᄒᆡ광익>>에서 각 주일이나 첨례일에 읽는 성경 대문은 <<성경직해>>와 <<성경광익>>이 동일하다. <<셩경직ᄒᆡ광익>>에서 ‘서문’, ‘성경 대문’의 ‘주석’, ‘ᄌᆞᆷ’은 <<성경직해>>의 것을 번역한 것이고, <<셩경직ᄒᆡ광익>>의 ‘의ᄒᆡᆼ지덕’과 ‘당무지구’는 <<성경광익>>의 것을 번역한 것이다. 인쇄본 <<셩경직ᄒᆡ>>는 필사본 <<셩경직ᄒᆡ광익>>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셩경직ᄒᆡ>>의 체재와 내용은 <<셩경직ᄒᆡ광익>>의 체재와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셩경직ᄒᆡ광익>>에서 통일되지 못한 부분들을 <<셩경직ᄒᆡ>>를 만들며 그 체재를 정비하였다. 특별히 성인들을 기념하는 ‘첨례 성경’에서 새로운 ‘첨례일’이 추가되고 기존 ‘첨례일’이 소멸되었다. 그리고 ‘쳠례일’의 명칭도 변경되고, ‘첨례일’의 배열 순서도 변경되었다. 제3장에서는 필사본 <<셩경직ᄒᆡ광익>>을 토대로 인쇄본 <<셩경직ᄒᆡ>>의 텍스트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살폈다. ‘성경 대문’은 그 내용의 중요성 때문인지 단락 이상의 차원에서 쉽게 추가되거나 삭제되지 않았다. 다만 특정 ‘첨례일’에 읽는 성경 대문이 다른 ‘성경 대목’으로 대치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성경 대문’ 관련 내용인 ‘서문’은 단락 이상으로 삭제된 경우가 있었다. 삭제된 내용은 대체로 당시 천주교 성도들에게 상식적이었을 법한 내용이나 다른 책을 통해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경 대문’은 정확한 성경 번역을 위해 수정되기도 하였다. ‘성경 대문’의 수정은 원래의 문장에 새 어절을 추가하거나 새 문장으로 대치한 것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새 문장을 추가해서 넣기도 하는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경 대문’에 대한 설명에서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용어, 본문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 용어 등도 삭제하였다. ‘ᄌᆞᆷ’과 ‘셩젼’은 수정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부분이다. 먼저 ‘ᄌᆞᆷ’에서 단락 이상의 수정으로 추가되는 것과 삭제되는 것이 모두 나타나고, ‘셩젼’은 완전히 삭제된다. 이렇게 수정한 이유는 내용의 간략화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의 간략화를 위해서 삭제되는 대상은 천주교계에 이미 정착되어 있는 제도와 정보에 관한 것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어떤 주제를 논증하기 위한 예가 여러 가지 반복될 때 그 중의 하나만 선택하고 나머지는 삭제하였다. 그러나 천주교 공동체에 필요한 내용이라고 여겨지는 내용은 추가하였다. 그리고 문장 이상 층위에서 특정한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정을 하기도 하였다. ‘당무지구’에서 ‘당무지구’ 전 대목을 다른 것으로 대치하였다. 이것은 한문본을 보고 번역한 기도문을 라틴어 본의 성경책을 보고 직접 번역한 기도문으로 대치한 것으로 보인다. ‘의ᄒᆡᆼ지덕’에도 미미하기는 하지만 어절을 추가하여 의미를 강조한 경우도 있었고 각주를 삭제한 경우도 있었다. 제4장에서는 필사본 <<셩경직ᄒᆡ광익>>을 토대로 <<셩경직ᄒᆡ>>를 편찬하는 가운데 언어적으로는 어떻게 수정되었고, 그 수정 양상에 나타난 국어학적 특성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셩경직ᄒᆡ광익>>에서 ‘ㄹ’말음 용언 어간, 겹받침 말음 용언 어간, 동명사형 어미가 모음 어미와 결합할 때 분철과 연철이 공존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셩경직ᄒᆡ>>에서는 분철의 경향이 더욱 분명하여졌다. <<셩경직ᄒᆡ광익>>에서 어두 경음을 합용병서로 표기했으나 <<셩경직ᄒᆡ>>에서는 각자병서 표기로 수정하였다. <<셩경직ᄒᆡ광익>>을 토대로 <<셩경직ᄒᆡ>>를 편찬하며 음운 층위의 수정이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한자음의 구개음화 상태는 <<셩경직ᄒᆡ광익>>의 이본마다 달리 나타나는 형태를 <<셩경직ᄒᆡ>>에서는 <<전운옥편>>을 기준으로 하여 설상음의 한자음은 구개음화된 형태로, 설두음의 한자음은 구개음화되지 않은 형태로 일관되게 수정되었다. 그리고 <<셩경직ᄒᆡ광익>>에서 동일한 어휘에 대해 이본에 따라 ‘ㆍ’로 나타나기도 하고 ‘ㅏ’로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셩경직ᄒᆡ>>에서는 주로 <<한불ᄌᆞ뎐>>을 바탕으로 ‘ㆍ’와 ‘ㆎ’의 수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셩경직ᄒᆡ>>의 텍스트는 어휘의 층위에서 <<셩경직ᄒᆡ광익>>의 한자어를 고유어로 수정하거나 다른 한자어로 수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품사류에 따라 나누어 보면 체언류에서 <<셩경직ᄒᆡ광익>>에서 ‘령심, 형적, 언어, 도로’ 등의 일상어는 <<셩경직ᄒᆡ>>에서 ‘마음, 자최, 말, 길’ 등의 고유어로 수정하였다. 종교적 의미를 갖는 한자어는 대체로 다른 한자어로 수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언류에서는 한문 원본을 보고 차용한 한자어들을 <<셩경직ᄒᆡ>>에서 고유어로 수정한 경우가 많았고, 1음절의 비자립적인 한자어를 우리말의 2음절 한자어로 수정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고유어를 한자어나 다른 고유어로 수정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한자어와 고유어의 수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셩경직ᄒᆡ>> 1권의 텍스트에 사용된 고유어와 한자어의 빈도를 대비적으로 살펴보았다. <<셩경직ᄒᆡ>> 1권에 사용된 총 어휘는 1,929개로서 이들 어휘를 한자어와 고유어를 품사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체언류 967개 중에 고유어가 251개(25.96%), 한자어가 716개(74.04%) 사용되어 한자어의 사용 비율이 3배 가까이 높았다. 용언류 962개 중에서는 고유어가 514개(53.43%), 한자어가 448개(46.57%)로서 대체로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고유어 사용 비율이 다소 높았다. <<셩경직ᄒᆡ>>의 텍스트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셩경직ᄒᆡ광익>> 문장의 문법 요소들도 수정이 이루어졌으나 수정의 정도는 전반적으로 미미했다. 부사격 조사 ‘의’와 ‘에’를 ’‘에’로, 관형격 조사 ‘의’와 ‘에’가 ‘의’로 통일하였다. 명사형 어미의 일부 ‘-음’ 형태가 ‘-기’로 수정되기도 하였다. 또한 <<셩경직ᄒᆡ>>에서는 종결어미 ‘-이오’는 한 문장이 그 다음 문장과 의미상 동등하게 나열될 때 사용되고, ‘-이니라’는 한 단락이 종결될 때 사용한다는 분명한 구분을 가지고 있었다.

      • 『훈몽자회(訓蒙字會)』를 중심으로 한 최세진의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

        김기영 공주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35375

        본 연구의 목적은 최세진(崔世珍)이 편찬한 「훈몽자회(訓蒙字會)」를 중심으로 최세진의 이중언어(二重言語) 교육을 고찰하는 일이다. 최세진은 조선 전기 국어학자이며 중국어학자이다. 최세진은 중국어학에 능통하고 중국어 연구와 교육에 평생을 바쳐온 학자로 그가 50대 만년에 지은 「훈몽자회」는 국어·중국어와 별개의 저서일 수 없다. 「훈몽자회」 주석(註釋)에는 812개의 당시 중국어 구어 어휘와 국문 명칭을 수록하고 있다. 자석(字釋)에 있어서도 당시 구어의 어휘 의미로 풀이한 것이 있어, 이 책은 국어학·중국어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이로 볼 때 최세진은 중국어에 능통했으며 국어와 중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던 이중언어학자였다. 본 연구는 이중언어학자였던 최세진이 1527년에 아동들을 위해 제작한 「훈몽자회」가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학습서였음을 밝히는 글이다. 먼저 제Ⅰ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 선행 연구 개관, 연구의 방법 및 논문의 구성을 기술하였다. 제Ⅱ장은 조선시대 이중언어 교육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중언어 사용이란,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언어를 알고 구사하는 일 또는 그러한 능력을 가리킨다. 심리언어학적 연구에 의하면 초기 이중언어 사용자(early bilingual)를 만드는 가장 좋은 나이는 4-5세이다. 그러나 이보다 빠른 것이 좋다는 학설과 늦을수록 좋다는 학설도 있으나 전자가 우세하다. 신경학자들에 의하면 이중언어 사용자는 대뇌의 양반구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른 대뇌의 우열현상을 나타낸다고 한다. 확실한 것은 이중언어 사용자(bilingual)들은 단일언어 사용자보다 오른쪽 반구가 더 활발하게 움직인다고 주장한다. 조선 초기에도 주변국과의 외교를 위해서 사역원(司譯院)과 승문원(承文院)을 설치하여 중국어 통역관을 양성했다. 이는 이중언어 사용자 양성 기관이었고 성종 임금의 경우는 직접 중국어를 공부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해 볼 때, 조선시대에도 외국어 교육의 열기가 있었고, 최세진은 이미 이중언어 교육의 가치를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자는 몇 천 년 동안 우리 문화의 수단이었다. 국어어휘의 70%가 한자어(中國語)로 되어 있다는 점은 차치하고라도, 당시 국제경쟁에서 낙후되지 않기 위해서는 중국 문자인 한자를 교육하고 학습하는 것이 시대에 맞는 일임을 그는 파악하고 있었다. 필자는 조선 초기에 추구한 이중언어의 학습과 특징 그리고 이중언어의 바람직한 학습 방법을 고찰했다. 제Ⅲ장에서는 조선 시대의 주요한 아동교육 기관이라 할 수 있는 서당의 교육을 중심으로, 서당에서는 어떠한 교재로 우리 국어와 한자어(中國語)를 어떻게 지도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조선조의 초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것은 서당이다. 서당에서 사용했던 교재 중 인륜만을 강조하는 책보다「훈몽자회」와 같이 우주, 역사, 수양법, 교육, 자연, 실생활 등과 관련된 교재를 선택했다. 아울러 아동교육 교재의 내용은 서당의 많은 교재 중 한자와 국문이 동시에 기록된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부지불식간에 국문을 깨치게 한 면에 주목했다. 제Ⅳ장에서는 최세진의 이중언어 교육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훈몽자회」에 수록된 근대중국어 어휘를 살펴보았다. 중국어학에 입문하는 데는 백화 어휘(白話語彙)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훈몽자회」의 편찬 목적은 이 요구를 수용하고자 한자(文言)와 함께 백화 어휘를 부기하였다. 퇴계의 예에서 보듯 당시는 백화 어휘에 대해 초보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훈몽자회」는 백화 어휘의 필요성을 수용하여 주(註) 속에 속(俗)이라는 표지로 중국어 어휘를 수록하였다. 최세진은 속(俗)으로 대표되는 중국어 어휘 812개를 제시했다. 이는 한자를 공부하면서 당시의 백화 어휘까지 소화시키려고 한 배려였다. 이러한 최세진의 의도는 명백히 이중언어 교육의 실상을 증명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이 백화 어휘를 가르친 것이 최세진 당시 조정과 언중들의 관심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제Ⅴ장은 「훈몽자회」의 체제와 목록 체계를 고찰하는 장이다. 「천자문」은 고사(故事) 중심으로 되어 있어 아동의 수준이 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웠다. 「유합」도 한자를 유별(類別)로 분류하고 있으나 실자(實字)가 적어 사물의 형상과 이름의 실제를 익히기 어려웠다. 이에 최세진은 한자 학습을 쉽게 하기 위해 「유합」의 내용을 보완하여 「유합」과 같은 형식인 유별(類別) 분류 체계로 구성된 「훈몽자회」를 편찬하였다. 각 분야별로 상권 16개 부류, 중권 16개 부류, 하권 1개 부류, 총 33개 부류로 정리했다. 「훈몽자회」는 우리 나라와 중국에서 쓰는 말들을 구체적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이중언어 교육적인 측면이다. 제Ⅵ장에서는, 「훈몽자회」에서 제시한 3,360자의 품사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하권의 1개 부류, 곧 잡어로 처리하고 있는 것을 김진규(1993)의 분류에 따라 14부류로 나누었다. 「훈몽자회」에 정리된 글자들은 생활중심의 어휘였다.「훈몽자회」<범례 2조>에 ‘한 물건의 이름에 글자가 둘, 셋 또는 그 속칭 및 별명이 둘, 셋이 있는 경우 어떤 한 글자 밑에 모아 싣지 않고 그 글자들 밑에 나누어 싣는다.’고 했는데 이는 유의어(類義語)에 해당된다. 「훈몽자회」의 유의어는 어휘의 양이 풍부했던 최세진의 언어생활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유의어를 품사별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Ⅶ장에서는 「훈몽자회」를 통한 이중언어 교수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최세진의 언어교육의 이상은 문자와 사물이 둘이 아닌 하나로 합치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최세진의 언어관을, 국어학습과 중국어학습을 시도한 「훈몽자회」를 통해 살펴보았다. 「훈몽자회」<범례 9조>에서 보듯 한글을 익힌 뒤에 중국어를 익히도록 한, 최세진의 이중언어 교수법을 고찰하였다. 최세진의 국어 교육관에서는 「훈몽자회」가 조선 전기 국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점과 ‘언문자모’를 통해 국어를 정리한 내용을 분석했다. 「훈몽자회」의 ‘언문자모’에서 자음과 모음의 음가를 최초로 지정했으며, 자모 배열의 전통을 확립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것은 한글을 가르치기 위한 국어학자로서의 태도였다. 그리고 최세진의 중국어 교육 방법을 고찰했다. 최세진의 중국어 교육 방법은 (1)언어학습 원리에 입각하였고, (2)중국어의 특성에 따른 교육을 실시했으며, (3)우리말과 대조에 의한 교육을 실시했다. 본문과 부록의 표에 있는 ‘순서’라는 용어는 「훈몽자회」에 실린 3,360자의 차례이며, 쪽의 ‘상·중·하’는 각각 상권·중권·하권을 의미한다. 앞쪽과 뒤쪽은 각각 영문 a와 b로 표시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oe, Sejin’s bilingual education with 「HunMongJaHoe」, which Choe, Sejin compiled. Choe, Sejin was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 scholar in early Joseon era. Choe, Sejin had thorough knowledge in Chinese linguistics and devoted his entire life as a scholar researching Chinese and education; therefore his 「HunMongJaHoe」 can’t be separate work of Korean and Chinese. 「HunMongJaHoe」’s annotations contain 812 Chinese’s colloquialism glossaries at that time period and Korean terms. From this one may assume Choe, Sejin had full knowledge in both Korean and Chinese and was a bilingual scholar who tried to teach Korean and Chinese with all his heart. Choe, Sejin’s, a bilingual scholar, 「HunMongJaHoe」, which were produced in 1527 for children, was a study book for bilingual education. First of all, the partⅠ is an introduction with an end of the study, general outline, and the process of research as well as organization of the paper. PartⅡ contains research on education of bilinguist at Joseon era. The word ‘bilinguist’ indicates an ability or action of a person who can speak more than two languages. In some opinions, the children raised in bilingual homes may take more time to learn to speak, but once after picked up with both languages, those children has more intellectual power than the others. Even in the early times of Joseon Dynasty, as diplomacy with neighboring countries was an important thing, Sayeokwon(司譯院) and Seungmunwon(承文院) were established to cultivate Chinese interpreters. These agencies were bilinguist training agencies. There is a record that King SeongJong(成宗) personally studied Chinese. As we take these trends into considerati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boom has already existed in Joseon era, and Choe, Sejin already knew the worth of bilingual education. He understood in order to not fall behind in international competition, studying Chinese was the right matter of the time. The writ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ying pursued in early Joseon era and the desirable way of studying two languages. In partⅢ, I studied how Korean traditional School(書堂), which was the ground for children education, taught and which text books they used in order to teach Korean and the Chinese characters. Korean traditional School(書堂) used more books like 「HunMongJaHoe」 or similar books that dealt with universe, history, morals, education, nature, or real life than the books that only emphasizes the moral principles. In addition to that, I took a notice on the books that were used for juvenile education, which were written in both Korean and Chinese at the same time, so that children can comprehend Korean not knowing or thinking that they are actually studying. In PartⅣ,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Choe, Sejin’s bilingual education, I went through modern Chinese words that are mentioned in 「HunMongJaHoe」. Understandings of colloquial Chinese vocabularies are required for Chinese primer. Because of this reason, the purpose of 「HunMongJaHoe」 compilation was to accommodate this demand by making an additional remark of colloquial Chinese with Chinese character. 「HunMongJaHoe」 accommodated the necessity of colloquial Chinese, so it mentioned Chinese vocabularies under the cover ‘the contents in explanatory notes’. The 812 representative contents are presented. This was consideration for those who studied Chinese characters can also comprehend colloquial Chinese of the time. These intentions of Choe, Sejin are clear proof of actual circumstances of education of bilingual education. PartⅤ contains the investigation on structure and content organization of 「HunMongJaHoe」. ?The Thousand Character Text? is tradition centered so it was hard for juveniles to understand with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lthough「Yuhap類合? classified the Chinese characters in categories, but the small number of the characters that indicate concrete objects made hard to acquaint oneself with figure and truth of objects. On this, Choe, Sejin compiled 「HunMongJaHoe」 by complementing the content of「Yuhap類合? and classifying the words in the same classifying system as「Yuhap類合?. 「HunMongJaHoe」 is consist of total 33 kinds; the first volume has 16 kinds, the second volume has 16 kinds, and the third volume has 1 kind. 「HunMongJaHoe」 explains the words used in Korea and China in detail. This is an aspect of the education of bilingual. In this study, the third volume’s 1 kind, which are considered as miscellaneous words, are sorted in 14 kinds based on Gim, Jin Gyu (1993)’s classification. PartⅥ is investigation of parts of study of 3,360 characters in 「HunMongJaHoe」. In 「HunMongJaHoe」<Introductory Remarks Article 2> ‘If an object’s name is consisted of two or three characters, or two or three popular names as well as nicknames, the word is not classified under only one character but under every characters in that word.’ This falls synonym and I investigated synonym. At last in partⅦ, investigated teaching methods of bilinguist through 「HunMongJaHoe」. The ideal of language education of Choe, Sejin was combining the characters and matters. This view on language of Choe Sejin is investigated through 「HunMongJaHoe」, which was both Korean and Chinese study book. I investigated Choe, Sejin’s teaching method of two languages as stated in 「HunMongJaHoe」<Introductory Remarks Article 9>; make oneself familiar to Chinese after making oneself familiar with Korean. With Choe, Sejin’s view on Korean education, I investigated the fact that 「HunMongJaHoe」 is providing valuable data for research on early Joseon era and analyze the arrangement of Korean through ‘Eonmunjamo諺文字母’. In 「HunMongJaHoe」’s ‘Eonmunjamo諺文字母’, it was first time to specify the consonants and phonetic value of vowels, and establishment of alphabet arrangement are undeniable facts. This was the attitude of a Korean language scholar to teach Korean. And also investigated Choe, Sejin’s teaching method of Chinese. His Chinese teaching method (1)based on language learning principles, (2)education followed by Chinese language traits, (3)education by comparison to Korean language. Many researches are positive on how Choe, Sejin compiled 「HunMongJaHoe」 for Korean education and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Chinese spoken language). Researchers did not refer him as bilingual scholar, but in this paper stated as bilinguist. Written for Korean education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HunMongJaHoe」 was teaching material which was in charge of bilingual education, and Choe, Sejin was bilingual educator.

      • 한국어 발음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중국의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손복희 공주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59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대체로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제1단계는 1945년 남경(南京)대학 동방 외국어 학원에 소속된 조선어전공의 설립에서 1980년대 말, 즉 한-중 수교 전까지인 북경대학 조선어학과, 북경대외경제무역대학 조선어학과, 낙양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북경 제2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연변대학 조선어학과 등의 개설까지이다. 당시 이런 대학들에서 모집하는 학생 수는 연변대학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일 년에 몇 명 정도였다. 그 시기에 중국에서는 한국어학과의 개설이나 학습자 수의 결정, 졸업 후의 사업 배치 등을 국가가 주도하여 결정하였고, 어떤 해에는 국가의 계획에 따라 학생을 모집하지 않을 때도 있었다.

      • 중국 대학의 비즈니스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WANG AIL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5359

        한국이 아시아의 경제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비즈니스 업무 커뮤니케이션에서 한국어의 가치가 점점 커지고 있다. 비즈니스 업무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종사자들이 직접 만나면서 상담하거나 이메일, 보고서, 프로젝트 추천서, 메모 등 문체의 방식으로 비즈니스 활동에서 정보를 전하는 것이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양국은 비즈니스 영역에서 활발하게 교류해 왔다. 비즈니스 한국어는 비즈니스 활동에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를 잘 활용해서 비즈니스 활동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많은 중국 내 대학이 비즈니스 한국어교육의 중요성을 느끼고 한·중 비즈니스 교류에서 훌륭한 인재를 배양하기 위해, 비즈니스 한국어 전공 및 수업을 개설하고 있다. 현재 중국 내 대학에서 사용하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들은 한국 출판 비즈니스 통합 교재와 중국 자체 개발 교재가 있다. 한국 출판 비즈니스 통합 교재들은 범위가 넓고 내용이 많으며 비즈니스 배경지식도 많이 포함되어 있으나, 비즈니스 한국어 초보자들에게는 난이도가 다소 어렵다. 그리고 중국 내 대학에서 개발한 많은 교재들은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 대해 잘 알지 못한 채 설계되어 내용과 과제가 실제 비즈니스 활동과 큰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교재들로는 수업의 교육 모델을 구성하기 어려우며 훌륭한 한·중 비즈니스 인재를 배양하기도 어렵다.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기존에 학습한 한국어 실력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영역의 전문 용어, 관용표현, 그리고 업무형식의 적절한 문체 등을 배우려는 목적으로 비즈니스 한국어를 학습한다. 그래서 비즈니스 교재는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말하기, 쓰기와 읽기 등의 종합적인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먼저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원리,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과정, 교수요목 등을 수립하고 이에 적합한 교재를 설계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중국 내 대학에서 사용되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는 대부분 교재 개발 이론에 따르지 못하거나 명확한 교수요목을 근거로 하지 않고 있다. 또한 한국 비즈니스 문화에 관한 내용을 삽입시키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더 원활하게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중국 내 대학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는 한국 문화에 대한 소개가 아주 제한적이다. 교재에 많은 새 단어들과 관용표현들이 많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학습자들에게 어휘를 기계적으로 외우기만 하게 만들 뿐이며 실제 비즈니스 상황에서 어휘를 활용하는 능력은 향상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현재 중국 내 대학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교재, 교재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이론,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를 정리하겠다. 그 다음 현재 중국 내 대학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중국 내 대학의 비즈니스 교육과정과 기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들에 대해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제시한 뒤, 그 문제점과 학습자, 교사, 비즈니스 종사자 대상 설문 조사의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考慮)하여 효과적인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비즈니스 활동에서 한국어로 원활하게 소통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여 이후 비즈니스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 지식의 파악의 경우, 비즈니스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 선행 연구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 비즈니스에 관한 주요 업무도 함께 검토할 것이다. 둘째, 중국 내 대학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핀다. 중국에서 출판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들을 살피고 그중에서 현재 중국 내 대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8권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교재 개발 구성 방안에 반영할 것이다. 셋째,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7개 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사, 그리고 4개의 지역에서 비즈니스 한국어 관련 업무를 종사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 조사를 통해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요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교재 개발 방안에 반영할 것이다. 설문 조사는 중국의 설문 조사 프로그램인 '问卷星(문권성)'을 활용하여 실시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러나 선정된 기관의 유형, 성향, 소재지, 역사 등 변인이 중국의 모든 기관이 가진 다양성을 대표하지는 못한다는 사실을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먼저 밝혀두고자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는 학습자는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의 3, 4학년 학습자로 제한할 것이다. 이는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의 비즈니스 한국어 과목은 보통 3학년부터 수강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을 토대로 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그리고 연구의 내용을 제시하며 연구의 방법과 절차를 규명한다. 2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의 이론적 접근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개념과 특성,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구성과 개발 원리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기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분석을 포함하여 현재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실시되고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실태를 파악한다. 4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 학습자, 교사 그리고 비즈니스 업무 종사자들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5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 목표 설정->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교재 구성 방식 설계->교재 개발'의 절차로 진행하며 단원의 예시를 제시하면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이용하여 어떻게 수업을 구성하는지를 함께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교재의 사용 상황에 대한 검증 조사를 실시한다. 6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며 논리 전개에 있어 부족한 점,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등을 제시한다.

      • 캄보디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망점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5359

        한국기업의 진출과 관광, 더 나아가서 한국과 캄보디아의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교류로 인해 현재 캄보디아 한국어 학습자들의 목적은 다양해졌다. 이러한 다양해진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캄보디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은 단순한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에 이르기까지 함양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유학과 한국어 교육자 및 관광·서비스에 종사하는 직장인, 통·번역가, 양국정부 간 교류에 필요한 국제 관계 전문가 등 다방면에서 한국 전문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캄보디아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현지에 적합하고 학습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요구에 부합한 한국어 교육은 미약한 상태이며 캄보디아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도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캄보디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첫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캄보디아 내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부족한 점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앞으로 캄보디아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인 한국어 전공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습자와 교사들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요구 사항에 맞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논의의 토대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는 두 가지로 나누어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와 다른 언어권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를 상세히 살펴보고 전반적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가 무엇이 있는지, 캄보디아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시 어떤 관점을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점을 찾고 연구의 범위를 정하고 연구 방법을 모색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의 질적인 논의를 위해 기존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 검토를 통해서 외국어 교육과정 이론에서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의 개념과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및 개발 절차를 밝히어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시에는 어떤 점을 고려하여 학습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연구의 범위를 분명히 하였다. 3장에서는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대학의 한국어 교과과정과 교과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각 대학교의 교과과정과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 대학교들의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밝혔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캄보디아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태국과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시사점을 살펴보고 각 나라 교육과정의 교과목이 캄보디아 현 교육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들과 비교하였고 태국과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이 캄보디아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그 차별성을 밝혔다. 5장에서는 220명의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와 18명의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 현지에서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맞는 교육이 무엇인지와 교육과정 개발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5장의 요구분석과 지금까지 각 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통해 캄보디아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구성 원리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과정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며, 의사소통 상황의 실제성을 갖춘 내용과 과제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 간에 한국어 수준을 고려한 교육과정, 한국어능력뿐만 아니라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교육과정 평가 시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을 명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등급 체계와 교육 내용 구체화에 대한 설정하고 실제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평가 영역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어 학습 목적과 교육 환경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만이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확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캄보디아의 한국어 교육은 한국에서 일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설학원과 교회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이후 대학교에서 교양과목과 외국어과목으로 채택되었고, 최근 대학의 전공과목으로 개설되기까지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이 이룬 발전을 미루어봤을 때 얼마나 빠른 속도로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상승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짧은 시간에 양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캄보디아의 한국어 교육이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캄보디아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목적에 따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과 학습방법 연구, 교재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 더 나아가서, 캄보디아에 우수한 교사 파견과 현지인 교사 양성을 위해 한국 대학교 내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며 캄보디아 내 대학의 한국어과에서는 앞으로 한국어 교육이 학사 학위 과정으로만 그치지 않고 대학원과정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캄보디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과 교과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태국과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과 교과과정과 비교하여 필요한 부분을 수용했다는 것과 대학교의 한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자료를 정리 및 제공했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둘째, 캄보디아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캄보디아 학생들과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관련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각 4개 대학교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의 개발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셋째,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반적인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 연구가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캄보디아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고 앞으로 본 연구가 후속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를 시작으로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비롯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가 심도 있고 체계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논의를 마친다. 1988 Seoul Olympics was the most important drive behi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turn of the millennium, Korean language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to Southeast Asia, U.S.A., and Europe, riding the Korean wav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rose in proportion to the popularity of Korea’s popular culture content, which in turn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Cambodia is no exception. The year 2000 saw the init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the objective of which was to certify learners for employm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also grew. Subsequently,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ambodia are also offer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mployment purposes. In 2002, most notably, Royal University of Phnom Penh (RUPP) located in - Phnom Penh, Cambodia’s national capital-began to offer Korean language classes as part of its liberal arts curriculum. Cambodian universities implemented Korean language majors beginning in 2006, resulting in four universities with Korean language majors at present, and five others offering Korean language classes as a liberal arts or foreign language cours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are progressing, which points to a need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programs with clear objectives and structur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identify problems and weaknesses, and propose measures for further development and cultivation. To this end, Korean majors and educators were surveyed, and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xplores effective and systematic curricula development measures. Chapter 1 clarifies the need and objective of the study, and reviews existing scholarship to establish the baseline. The content of the review comprises two categories; the first approach takes a detailed look into discussions on Korean curricula in Cambodia, and the second expands the scope to other countries. The chapter investigates the overall oeuvre of scholarship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what perspectives could be reflected in developing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based on which the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are established. Chapter 2 presents existing theoretical frame works to ensure the qualitative aspect of the study. By reviewing the theoretical frameworks, the chapter illuminates the curricula, the concept of the syllabus, and the components of and development process for the curricula, establishing the need for systematic learning from the early stages and clarifying the scope of the study. Chapter 3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 and analyz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courses in universities. The chapter identifies the problems found in existing university curricula based on analyses of university curricula and course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Chapter 4 looks at university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land and Vietnam based on the findings in chapter 3, comparing them to the courses in Cambodia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icula in the three countries. Chapter 5 presents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through 220 Cambodian students of Korean language and 18 Korean language educators, exploring the demand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Based on the findings, the chapter identifies the weaknesses in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investigates ways to develop customized curricula for Cambodian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Chapter 6 proposes new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chapters and the demand survey results in chapter5. First, the chapter presents the objective and goal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proposes that the curricula must be developed around learners and focus on facilitating communication as basic principles of curricula development, comprising content and assignments that aptly recreate the actuality of communication needs and situations. Lastly, the chapter proposes that curricula must take the learners’proficiency level into consideration, and enhance the learners’understanding of Korea and Korean culture rather than solely focus on cultivating language proficiency. Also, the chapter suggests that evaluations must clearly indicate and describe the curricula in concrete detail. Also, the chapter presents measures for establishing grades for the curricula, concretizing the content of the curricula, designing the actual syllabi, and identifying the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Chapter 7 offers a summary of the study and reflections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study, concluding with suggests for follow-up studies. As explained above, the learning goals of Cambodian learners of Koreanlanguage can be reached only by developing curricula that align with theKorean language learning objective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such,there is a need to seek measures for expan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mbodia.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mbodia began at private language institutes and churches, aiming to facilitate employment in Korea. Later, universities began to offer classes as part of their foreign language or liberal arts curricula, leading up to the creation of university majors. The rapid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mbodia attests to the fast-growing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In order for Cambodia’s quantitative expans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ffectively establish footing, there is a need for more foundational research on Cambodia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hould serve as the launching pad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objective-oriented curricula, catalyzing - the cultivation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studies on learn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the Korean government or universities’ active support to dispatch highly qualified teachers and train Cambodian educators. Also, the Korean departments at Cambodian universities should expand their bachelors’ degree program to graduate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s the overall statu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 and compares them to cases in Thailand and Vietnam, proposing measures to benchmark effective aspects while collecting and presenting data on university Korean language curricula at large. Second, the study conducts a demand survey, reflecting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students and educators in Cambodia across four universities, proposing measures to further develop and cultivate future curricula. Third, the study attempts to explore, examine, and develop compreh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Cambodian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drive and base lin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hopefully supporting and catalyzing future studies. The study concludes with expectations for more in-depth, multi-faceted, and systematic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

      • 『삼강행실도』 언해본의 서지학적·국어학적 연구

        이상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5343

        이 글은 현전하는 『삼강행실도』 언해본의 다양한 異本들을 조사하고 수집한 후 이들을 계통별로 분류하고, 언해문을 국어사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삼강행실도』 언해본은 조선 왕조의 전 시기에 걸쳐 꾸준히 간행・반포되었다. 성종대에 초간본이 간행된 이후 19세기 말까지 지속적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유교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에서 질서 유지를 위해 의도적으로 계속 간행한 것인데, 여러 차례 간행되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異本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렇듯 여러 시대에 걸쳐 간행된 이 문헌은 국어의 통시적인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사적으로 큰 가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가 직접 확인하고 수집한 『삼강행실도』 언해본은 총 60종이다. 이 글에서는 60종의 『삼강행실도』 언해본을 계통별로 분류하고 각 판본의 초간본 또는 초간본에 가장 근접한 판본을 대표로 삼아 언해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삼강행실도』 언해본의 다양한 이본들을 초간본이 간행된 시점을 기준으로 성종대 판본, 선조대 판본, 영조대 판본으로 분류한 후 서지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하고 영향 관계 등을 바탕으로 각각의 계통도를 그렸다. 다음으로 언해문을 대상으로 번역 양상, 표기 및 음운, 형태 및 통사, 어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번역 양상에서는 전체 번역의 경향을 살펴본 뒤 각 판본별로 다른 특징들을 살펴보았고 표기에서는 각자병서, 연결어미 ‘-아’의 표기, 분철 및 중철 표기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음운에서는 ‘ㅸ’, ‘ㅿ’, ‘ㆍ’의 변화, 모음조화, 유음화, ㄷ구개음화, 원순모음화 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형태는 조사와 어미로 나누어 이본들 간에 나타나는 변화 양상을 기술하였고 통사는 이 책에 쓰인 특징적인 형용사와 동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특징과 그들이 이루는 특징적인 구문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어휘에서는 이 책에서만 등장하거나, 다른 문헌 자료에 있더라도 그 용례가 드문 어휘를 대상으로 체언류, 용언류, 수식언류로 나누어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삼강행실도』 언해본은 15세기 중세어에서 19세기 후기 근대어 시기에 걸쳐 많은 이본이 있는 국어사에서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 문헌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은 한문 원문을 대상으로 여러 번 언해가 이루어지면서 그것이 수정되었다면 시대에 따라 동일한 내용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책은 매우 긴 시간에 걸쳐서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서지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삼강행실도』 언해본을 계통별로 분류하고 언해문의 차이를 유형별로 정리하여 주요 국어학적 특징을 검토한 본 연구는 문헌 자체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뿐 아니라, 15세기에서 19세기까지의 국어의 변화를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朝鮮語文經緯』를 중심으로 한 권덕규의 국어학적 업적 연구

        이명재 공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43

        권덕규는 1920~1930년대에 활발하게 국어 연구에 매진했던 학자이다. 그가 1923년에 지은 『朝鮮語文經緯』는 고대 국어의 모습부터 현대 국어의 모습을 아우르는 총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책이다. 이 책 속에서 그는 국어의 역사를 새롭게 고찰하였고, 우리가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빌려 쓴 것이 아니라 이미 고대부터 우리 나라 고유의 문자가 존재했었던 것을 밝혀 내고 있다. 또한 자음과 모음의 음가를 적절한 사료를 근거로 제시하면서 논리적으로 규정하였고, 음운 변동 현상까지도 두루 섭렵하는 등의 국어 연구에 있어서 놀라운 성과를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어원 연구에 있어서도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는 이전에 한자의 의미에 국한하여 어원을 연구하던 방식이나,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통해 어원을 연구하는 등의 방식에서 탈피하였다. 그리고 인접 국가의 언어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우리말의 기원을 정확히 밝혀내려고 노력했으며, 이에 비교언어학의 선구자라고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국어 연구에 큰 성과를 거둔 업적이 또렷이 남아있는데도 불구하고 그의 연구 성과는 아직도 크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 『朝鮮語文經緯』를 중심으로 하여, 그가 이루어낸 연구 성과를 고찰하였다. 또한 그가 이루어낸 연구 성과를 평가하여 보고, 어두운 시대를 국어 연구를 통해 극복하려고 노력했던 그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dates back to the time when Koreans settled down on the Korean Peninsular. There was a native tongue and letter of Korea in Korean Peninsular, and lots of studies on them have been done continuously. But an attempt to find out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had limitations. And in 1910, when we lost the national rights according to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the fates of Korean language and the nation encountered danger. On the other hand, many conscious linguists tried to keep the Korean language. They considered that knowing the Korean language as it is and keeping it was a way to overcome the danger. At that time, a linguist, who tried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and obtained excellent achievements was Aerew, Deok-gew Gwon(Aerew is the Deok-gew Gwon's pen name.). He made an active study on Korean language from 1920 to 1930. Joseoneomungeongwi, written by him in 1923, dealt with the overall studies on the features of the ancient Korean language and modern Korean language. In this book, he investigated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newly. Moreover, he found out that the letters native to Korea had already existed from the ancient time, not that we had borrowed the Chinese letters. Also the phonetic values of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language were regulated logically by showing the proper historical records. As he ranged over the phenomena of phonetic changes as well, he got splendid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he opened a new horizon of the etymology. He broke from the ways of study of the origins of words restricted to the meanings of Chinese letters or folk tales handed down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generation. He tried to find out the origin of Korean language accurately by making comparative studies of letters of neighboring countries, so he came to be recognized as a forerunner of comparative linguistics. Despite his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his results of study has not been admitted largely. So in this paper, with laying stress on his representative work, Joseoneomungeongwi, his results of study will be viewed. Also, his spirit that he tried to overcome the black period of Korean language with will be widely known by evaluating his results of study.

      • 十五世紀 國語의 派生法 硏究

        김길동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35343

        本考는 15世紀 國語를 對象으로 派生語의 類型을 把握하고 派生語形成過程에서 나타나는 音韻論的 意味論的 特性을 밝혀서 15世紀 國語의 派生法에 대한 記述을 精密化하려는 데에 그 目的을 둔다. 本 硏究가 文獻資料를 對象으로 한다는 制限性으로 인하여 派生語의 '生産性'여부를 논의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다. 즉 派生語의 唯一例에 대해서는 語基와 派生語 間의 意味 關聯性에도 불구하고 그 派生接辭의 生産性이 거의 없다고 하여 派生으로 처리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그 派生語形成規則을 設定하기 어려우므로 '生産性'의 측면에서 보다는 '分析'의 측면에서 論議를 展開시키는 입장에 섰다. 이러한 文獻資料의 制限性 외에 通時論的 解釋의 不可避性 또한 論議를 진행함에 있어 看過할 수 없는 問題이다. 派生法은 語彙分化의 方法.過程이므로 共時論的 硏究에 있어 通時論的 解釋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하여 本考에서는 15世紀 國語의 派生法을 記述함에 있어서도 中世國語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近代國語와 現代國語에서 발견되는 派生語와 關聯하여 論義 解釋하였다. 本考에서는 接辭에 의한 派生만을 다루었다. 먼저 派生語의 類型을 接頭辭에 의한 派生과 接尾辭에 의한 派生 그리고 零接辭에 의한 派生으로 나누고 接尾辭에 의한 派生은 다시 語基의 品詞를 바꾸는 경우와 語基의 品詞를 바꾸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派生接辭들의 目錄과 派生語들의 目錄을 작성하고 이들 派生語의 構造와 派生接辭들의 形態論的 統辭論的 意味論的 特性을 抽出하여 語基와 派生語 사이의 關聯性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接辭와 派生語의 目錄作成과 더불어 語基와 派生語 사이의 意味 變化, 派生語의 形成過程 및 構造 把握 등의 작업을 통해 共時的으로는 中世國語 派生語의 特性과 나아가서는 通時論的 觀點에서 國語의 派生法 變遷 攘相을 究明할 수 있을 것이다. 이 硏究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15世紀 國語의 接頭派生語에 대해 논의하였다. 接頭辭는 起源的으로 實辭에서 유래되었으므로 現代國語와는 달리 中世國語 당시 아직 그 實辭的 意味와 機能을 유지하고 있어 다른 語基와 결합하여 복합어를 형성하기도 한다. 本考에서는 接頭辭의 發達過程을 상정하고 現代國語의 觀點에서 接頭辭로 보이나 15世紀 國語 당시에는 自立的 語基로 機能하는 接頭辭性形態素와 완전한 접두사는 구별하였다. 그리하여 接頭辭는 어기에 실사로부터 유래한 접두사 자체의 의미를 첨가하는 것과 단지 어기 자체의 의미 정도를 加減하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3장에서는 接尾辭에 의한 派生에 대해 논의하였다. 接尾辭에 의한 派生을 다시 品詞를 바꾸는 경우와 品詞를 바꾸지 않는 경우로 나누고 品詞를 바꾸는 경우는 名詞派生, 動詞派生, 形容詞派生, 副詞派生으로 다시 세분하여 논의하였다. 語基의 品詞를 바꾸지 않는 경우는 名詞派生과 副詞派生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零接辭派生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本考는 零接辭를 인정하는 입장에서 기존에 '영변화파생'으로 다루었던 것을 接辭에 의한 派生의 하나로 다루었다. 零接辭派生에는 動詞派生과 形容詞派生 그리고 副詞派生이 있다. 5장에서는 本論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t the pattern of the derivate found in the 15th century Korean, and to clear up the phonem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the derivate forming, so, to explain in full the derivation rules of the 15th century Korean. Some studies on the forming of the derivative have get results in cataloging each derivative morpheme according to their uses, but they have failed in systematizing it with apprehending distributive meaning and function, and with explaining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derivative morpheme and syntactic aspect. In this thesis, therefore, I'll make a list of articles and clear up the phonemic, semantic and systematize the rules of the medieval Korean.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discussing whether a derivative has its 'productivity' for the object of study was limited to literature. In other words, I had to turn off the only example of a derivative as a derivation because the derivative affix had no productivity. For that reason, I'll discuss the forming of derivative not according to the 'productivity' but according to the 'analysis' for it is difficult to set up the forming rules of the derivative. Added to this, diachronic interpretation is used in synchronic research because the derivative rule itself is the rule and course of the differentiation of vocabulary. In this article, therefor, I intend to discuss and interpret the system of derivation of the 15th century Korean with reference to modern and current Korean as well as medieval Korean.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Derivation on prefix, suffix and zero-affix is respectively in Chapter II, III, IV according to the pattern of derivative affixis. In chapter II, some derivation on prefix is related Chinese character. And derivation on prefix is divide into three. One is that having practice meaning itself, therefore it is'nt pure prefix, another is that meaning addition to base, the other is that control wide of base meaning. In chapter III, according to derivational suffix , suffix classified: noun-derivational suffix, verb-derivational suffix, adjective-derivational suffix. I made some catologs about derivative affixes and derivatives, and abstrated the structure of derivatives and the characteristic of derivative affixes, then examined the derivation between derivation and these. In conclusion, we can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the derivative in medieval korean synchronically and find out the aspect of the transition of word formation diachronically with making catalogs of affixes and derivatives, apprehending the variation between derivatives and these, abstracting the meaning of affixes, and seizing the forming process and structure of deriv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