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보건 제공 실태조사

        김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보건 제공 실태를 조사하고, 구강보건위생지침서와 구강보건교육이 구강보건 제공 실태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요양보호대상자에게 보다 나은 구강보건을 제공하고,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한 장기요양시설 71개소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을 허락한 장기요양시설(요양원) 39개소, 요양보호사 369명 이었다. 설문은 334부(90.5%)를 회수하였고, 응답이 불충분한 28부를 제외한 306부(82.9%)를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은 인적사항 5문항, 구강보건지식문항 20문항, 구강보건 제공 실천 8문항, 구강보건교육관련 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실태를 정답 1점으로 하여 100점 단위로 점수화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 제공 실태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연령과 경력 및 대상자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 제공 실태는 분산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또 구강보건 교육경험과 구강보건 위생지침서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 제공 실태는 교차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연령과 경력, 요양보호대상자 수, 지식이 구강보건 제공 실태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82.8점이었고, 구강보건 제 공 실태 점수는 평균 78.8점이었다. 2. 요양보호대상자 수가 적을수록 구강위생용품 사용과 치과정기검진이 더 제공되었고,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으면 구강보건 제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으면 구강보건 제공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구강보건지식 점수는 높지 않았다. 4. 장기요양시설에 구강보건위생지침서가 비치되어 있는 경우 구강보건 제공 점수가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구강보건교육경험과 구강보건위생지침서가 있는 경우 구강보건 제공 점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구강보건위생지침서가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This is to survey the oral-health knowledge of nursing home staffs working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sanatoriums) and their effort to provide oral health servic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care services and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nursing staff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9 nursing home staffs working in 39 nursing homes that were selected from 71 long-term care facilities in Euijeongbu city, Gyeonggi Province. Of 369 staffs, 334 respondents(90.5%) returned the questionnaire. After excluding 28 incomplete answers, 306 respondents(82.9%) were analyzed. As for oral health knowledge, one point was given to the right answers and the sum scores were recalculated on the basis of 100 points. The results were tested by SPSS 18.0 package, ANOVA and t-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ir provision were analyzed by mu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ursing home staffs got 82.8/100 scores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78.8/100 scores in oral health care provision. 2) The less the nursing home patients per staffs was, the more oral health care services were given significantly. Also,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oral care services when the staffs were educated for oral health care. 3) If the staffs were educated for oral health care, the scores of care service were higher significantl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al health knowledge score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age and career, but the number of recipient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 of dental hygiene supplies and periodical dental examination.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al health care services and oral hygiene guidebook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lationship with oral health education. Conclusively, the better oral health care services were provided for elderly patients whe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equipped with dental hygiene guides and when the nursing home staff members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 초등학교 교과서의 구강보건관련내용에 관한 조사분석 연구

        문양미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author has analyzed 117 textbooks of primary school in Korea, in order to suggest the proper contents of oral health education materials for school children.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were selected from all textbooks and analyz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Total amounts of oral health contents in the textbook were calculated as 0.1%, otherwise 2.0% for general health. 2.Oral health contents were included only in the textbook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of primary school children, otherwise general health contents, in all grades. 3.Oral health contents were mainly in the textbook of physical training or Korean language forcussing on the tooth function, toothbrushing time, etiology of dental caries, caries prevention and toothbrushing method. 4.It was examined that eleven items school be changed and nine items would be partially changed, in the textbooks. 5.General health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of physical training(21.3%) and a little part of(3.8%) general health were oral health contents, so it was recommended that general health contents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physical training and included more for oral health contents, to promote the oral health for primary school children in Korea. 6. On production of an elementary textbook, oral health specialists should participate and organic cooperation should be necessary on the planning stages. 저자는 초등학교 학령기에 구강건강향상을 위한 학교구강보건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현행 사용중인 국내 초등학교교과서 117권의 내용 중 구강보건관련내용을 발췌하고, 구강보건관련 내용 양, 일반보건과의 양적 비교, 수정․ 보완해야 할 내용들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초등학교 교과서 전체 내용 중 구강보건관련내용은 0.1%로 집계되었고, 일반보건관련내용은 2.0%이었다. 2.학년별로 내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일반보건은 모든 과목에서 내용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반면, 구강보건관련내용은 1,2,3학년인 저학년에 국한되어 있고, 고학년에서는 구강보건관련내용이 거의 전무하였다. 3.현행 초등학교 교과서 중 구강보건관련내용은 3학년 체육과 국어 읽기에서 치아의 역할, 잇솔질 시기, 충치의 원인과 예방법, 올바른 잇솔질 방법 등 구강질환예방에 대해서 주로 게재되어 있었다. 4. 현행초등학교 교과서 내용 중에 반드시 수정/보완해야할 부분이 11개 항목에서 조사되었고, 부분수정을 요구하는 부분이 9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5. 현행초등학교 체육교과서중 일부가 보건단원으로 편성되어있고(21.3%) 그 중 극소수부분(3.8%)이 구강보건관련내용으로 포함되어 있기에 향후 구강보건교육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육교과목과 보건교과목의 분리가 필요하며, 구강보건내용은 초등학생 구강보건교육안의 기준에 부합하는 내용을 추가하고, 구강보건교육은 해당 전문가가 담당토록 하는 방안이 요망되었다. 6. 초등학교 교과서 제작 시 기획단계에서부터 구강보건관련내용에 대한 올바른 검토를 위하여 구강보건 전문가들의 참여와 이들과의 유기적 협조 및 전문적인 상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일부 고등학생의 스트레스가 구강건강인식, 구강보건행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보람 원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59

        Purpose : Figuring out how the stress of highschool students affects on their oral health perception, oral health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nd trying to provide the base data to improve the adolescent's oral health care and their quality of life. Method : The objects of research were the 394 highschool students of Iksan-si, Jeollabuk-do chosen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way of research wa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oral health perception, oral health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ose independent variables are characteristics of objects and the stress was used to analyze how the stress affects to the oral health perception,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Results : Students who get higher stress level are more positive to their oral health condition, and feel more pain and discomfort. They also have positive attitudes on oral health care. High stressed level students get more dental treatment, and stress does not affect to the snack intaking. Stress a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oral health care. The more stress students have, the less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oral health care. Stress has the most important inter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life on the oral health care, among the oral health perception, oral health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 : Stress affects on oral health perception, oral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so there must be a plan to lessen the highschool students' stress. 연구목적 : 고등학생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구강건강인식, 구강보건행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청소년의 구강건강 및 삶의 질 증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전라북도 익산시의 고등학생 394명이었다. 조사방법은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법이었다. 스트레스와 구강건강인식, 구강보건행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가 구강건강인식과 구강보건행동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조사대상자의 특성과 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성적 :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치아 통증과 불편감을 많이 느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구강보건에 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다. 스트레스가 높으면 지난 1년간 치과의료 이용횟수와 잇솔질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간식섭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는데,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구강건강인식, 구강보건행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중에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 결론 : 스트레스는 구강건강인식, 구강보건행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초등학생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효과 평가 연구

        유상이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59

        저자는 학교 구강보건사업의 일환으로 구강보건교육이 학생들의 태도 습관 및 인식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치면세균막의 산 생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 소재 중곡 초등학교 3학년 223명을 대상으로 3학년용 학교구강보건교육 목표와 주제 및 내용을 정하고 이에 따라 구강보건교육을 일인당 3회씩 받도록 교습한 후 교육 효과 및 항 산 생성도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교육 후 구강보건 태도 및 습관에 관한 변화는 식사 후 잇솔질에서 61.1%로 증가되었고, 일일 3회 이상의 잇솔질 횟수는 58.8%로 비교적 높았으며, 회전법 방법의 실천과 혓솔질에서 각각 15.5% 및 27.2%로 다소 낮았다. 2. 구강보건교육 후 피교육자의 인식도 변화는 불소와 치면열구전색에 관하여 알게 된 점이 높게 나타났고 치아에 좋은 음식에 대한 지식변화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었다. 3. Plaque check pH를 이용한 산생성도 검사의 분포는 교육 전에는 각 산생성도 군 별로 비슷하게 고루 분포되었으나 교육 후에는 녹색군이 41.3%로 가장 많았으며 적색군이 4.9%로 가장 낮게 나타났었다. 4. Plaque check pH를 이용한 항 산생성도 검사는 교육 전. 후 모두에게 남.녀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P>0.05) 구강보건 교육 전 1.75 ±0.76 점인데 비해 교육 후에는 2.67±0.91로 높았다 (P<0.01). In this study, the auther would like to deliver the result and the clinical trial regarding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This oral health education executed to find out that how the oral acid rate could be changed along with such awareness and the level of acidic bacteria cell in student’s oral. The result was obtained from a junior school located in Seoul along with total 223 students at the 3rdyear. As the dissertation focused on current educational level for student's oral health care along with executing the educational course of ‘Brushing the teeth three times per day’ along with checking student’s oral acid rate. 1. After performing the oral health educaion 61.1% of children have done toothbrushing after the meal and brushing teeth three times a day also increased up to 58.8%. Rolling method and Tongue brush activity indicates as 15.5% and 27.3%. 2. Subjects It revealed the increasement one awareness regarding the oral care education about fluoride and the sealant awareness by oral thealth education.on the other hand, the awareness of healthy food for teeth was appeared as quite limit level. 3. The experimental distribution of plaque check pH, the appearance of the acid spread indicated as similar the before/after the education. However, after the educational section, green category shows highest rate up to 41.3% which overcome the red category indicated as lowest rate 4.9%. 4. The experiment focusing on degree of acid formation using Plaque check pH shows that not much differences between pre/after and male/female’s educational section(P>0.05). The degree of acid formation shows as 1.75 ±0.76 before the oral care and after the educational section it shows as 2.67±0.91 (P<0.01).

      • 보건소 기반 순회 구강건강관리 요구에 관한 연구

        정윤주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59

        본 연구는 ‘제2차 구강보건 사업 기본계획’에서 보건소 중점사업으로 선정된 순회 구강건강 관리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보건소를 기반으로 하는 순회 구강건강 관리를 수행하기에 앞서 사업 수행자를 대상으로 사정이 필요한 항목을 알아보고, 직무수행 관련한 자가 수행 능력 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관련 교육의 필요도를 도출하여, 사업 활성화를 위해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보건복지부 전달 체계를 활용하여 전국 258개 보건소의 구강 보건 담당자에게 설문을 발송하였으며, 그중 자발적으로 참여한 84명의 설문을 통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도출된 연구 결과 및 고찰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건강 방문 진료의 시행률(64.3%)에 비해 관련 교육의 이수율(28.6%)은 낮다. 이것은 시행자에게 관련 교육의 이수가 철저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둘째, 시행하고 있는 대부분의 순회 구강건강관리 내용은 예방적인 처치에 그치며, 치료적인 치과 처치의 시행률은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셋째, 감염성 질환은 사정 시 매우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분야의 사업인 만큼 철저한 감염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구강건강 방문 진료 관련한 직무수행 능력 인식 정도에서는 대체로 ‘할 수 있다’의 응답 수치가 높았으나, 서비스 관리 및 통계 관리 부문에서는 ‘보통이다’의 수치가 높았다. 또한 직무교육 필요도 항목에서는 대체로 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업 수행자들에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적절한 인력 배치가 중요하며, 실질적인 교육을 위한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근무 경력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한 후, 직무 수행 능력 인식도 및 교육의 필요도를 분석하였다. 직무 수행 능력 인식도에서는 4가지 항목에서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p<0.05), 필요도에서는 5가지 항목에서 그룹 간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p<0.05). 예방 중심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 맞게, 취약계층에 주기적인 예방적 구강 관리를 전달할 수 있는 순회 구강 건강관리의 수행 현황, 교육필요도, 수행능력의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근무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 확인을 통해 업무연차별 필요 교육의 정의와 수행능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순회 구강건강관리 직접수행을 위한 후속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구강건강신념이 대학생들의 예방적 구강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혜림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연구는 구강건강신념이 대학생의 예방적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충남 천안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모형을 이용한 수정변수는 성별과 연령, 행동계기는 인지구강상태와 구강보건교육으로, 개인적 인지는 구강건강의 중요성과 구강질환의 심각성, 행동가능성은 구강건강행위와 유익성과 장애를 모형에 대입하였다. 이러한 구강건강신념이 구강위생실천과 예방적 가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잇솔질 행태와 정기적 스켈링 유무를 조사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요인별 구강건강신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심각성, 중요성, 유익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연령은 ‘21세 이상’이 ‘20세 이하’보다 심각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구강보건교육 및 자가인지구강상태에 따른 요인별 구강건강신념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장애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인지구강상태의 질문에서 ‘나쁘다’라고 대답한 집단이 심각성, 중요성, 장애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성별, 연령,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 분석한 결과,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구강상태(B=0.174)이었다(p<0.05). 중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B=-0.044)과 인지구강상태(B=0.074)로 나타났다(p<0.05). 인지된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인지구강상태(B=0.191)로 나타났다(p<0.05). 4. 구강건강신념이 개인의 구강위생실천과 예방적 가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잇솔질 행태에는 구강건강의 중요성(B=0.076, p<0.05)과 장애(B=0.098, p<0.05)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기적 스켈링 유무에 구강건강의 중요성(B=0.434, OR=1.543, p<0.05)과 구강보건교육(B=0.795, OR=2.214, p<0.05)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구강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신념의 요인은 구강건강의 중요성, 예방행동의 장애인지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계기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the personal oral health practice and preventive dental care in college students. The total 319 individuals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oral health belief such as importance, seriousness, benefits and barriers, modifying factors and oral health behaviors. 1. The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seriousness, importance, benefits (p<0.05), and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than 21 years showed a higher level of seriousness(p<0.05). 2. The group who didn't experience oral health educations showed a higher level of barriers scores(p<0.05) and the group who perceived showed a lower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5). 3.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effects on seriousness according to gender, age, oral health education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B=0.174, p<0.05). The factor effecting importance were age(B=-0.044)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B=0.074). Th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effected on perceived barriers(B=0.191). 4.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importance(B=0.076, p<0.05) and barriers(B=0.098, p<0.05) affected on tooth brushing practice and importance(B=0.434, OR=1.543, p<0.05) and oral health education(B=0.795, OR=2.214, p<0.05) affected on regular scaling.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behaviors were 'importance', 'barriers' in oral health belief and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ece in cue to action.

      • 아시아 각국 아동의 우식실태와 사회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최하나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43

        각 지역/국가의 구강건강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세계보건기구는 치아우식증에 대하여 12세 아동의 DMFT index와 치주병에 대해서는 15세 청소년의 CPITN2를 제시하고 있다. 아시아권 국가들은 세계 200개국 중 인근 지역에 위치하기에 비슷한 여건도 있지만, 사회, 문화, 종교, 경제여건도 서로 다르고, 식생활습관 및 우식발생에 관련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1인당 설탕소비량도 차이가 많다. 이에 저자는 2006년 아프가니스탄 조구리 지역에 치과 의료봉사 경험을 계기로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한 우식조사기준에 따라 아프가니스탄의 일부지역 아동 구강검사를 하였고, 아시아 19개국의 5세, 12세, 15세 아동에 대한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자료 및 2003년도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에서 주도한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로 우리나라의 동일 아동에 대한 우식관련 통계를 수집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각국의 GNP, 교육수준, 1인당 설탕소비량, 인구 10만 명당 치과의사 수, GDP대비 보건지출비, 1인당 보건지출비, 1인당 1일 영양공급량 등 사회문화적인 요인들과 각국 아동들의 우식발생현황과의 상관관계를 산정하여 국가적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우식발생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하여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세 아동 우식경험유치지수(dmft)와 우식유치지수(dt)는 역상관관계가 있었고, 상실유치지수(mt)와는 GDP대비 보건지출비 및 1인당 1일 영양공급량과도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충전유치지수(ft)는 GNP, 교육수준, 인구10만 명당 치과의사수, 1인당 보건지출비와 상관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 12세 아동에 있어서는 충전영구치지수(FT)와 GNP, 교육수준, 1인당 설탕소비량, 인구10만 명당 치과의사수, 1인당 1일 영양공급량과 상관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탕소비량이나 치과의사의 양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와는 상관이 없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3. 15세 아동에 있어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와는 국민의 교육수준과 상관이 있었고, 충전영구치지수(FT)와는 GNP, 교육수준, 인구 10만 명당 치과의사수, GDP대비 보건지출비, 1인당 보건지출비, 1인당 1일 영양공급량과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4. 각국의 5세, 12세, 15세 충전치아율(FT rate)과 교육수준과 상관성이 높았고, 치과의사비율과 5세, 12세, 15세 아동의 충전치아율(FT rate)과 상관성이 높았으며, GDP대비 보건지출비와 1인당 보건지출비와 각국의 5세, 12세, 15세 아동의 충전치아율(FT rate)과도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일반적으로 한국을 제외한 경제력과 교육수준이 높은 아시아 국가들에서 다소 우식발생이 낮았고, 설탕소비량은 우식발생과 상관성이 없었으며, 치과의사의 비율은 충전치수(FT)와는 상관이 높았으나 우식경험치아수(dft, DMFT)와는 상관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국 아동의 충전치아율(FT rate)과 교육수준, 치과의사비율, 보건지출비 등과는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수준과 치과의사비율, 보건지출비가 높을수록 충전치아율(FT rate)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구강보건수준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들을 우선적으로 개선하고 합리적인 제도를 마련하여 각국 아동들의 진정한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예방진료와 공중구강보건사업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As a representative index expressing dental health level by each area/country, WHO proposes DMFT index of 12-year-old children for dental caries and CPITN2of 15-year-old juveniles for periodontal disease. Though Asian countries have similar conditions since they are located in the neighboring area out of 200 countries in the world, they have differences in society, culture, religion and economy and have a lot of differences in sugar consumption amount per one person thought that will have high relations with eating habits and the outbreak of dental carries. The author checked dental health of children in partial area of Afghanistan according to the caries survey standard recommended by WHO since the author had dental volunteering activities in Jaghoriof Afghanistan in 2006. And the study collected statistic data of WHO for five-year-old, 12-year-old and 15-year-old children in 19 countries of Asia and carries related statistics for the same children in Korea with the national dental health survey led by the preventive dental service, dental college, Dankook University in 2003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statistics with each other. Also, the study calculated correlations between social cultural causes as GNP, educational level by each country, sugar consumption amount per one person, number of dentists per 1000 thousand population, health expenditure in comparison with GDP, health expenditure per one person and one-day nutrition supply amount per one person by each country and status of carries of children in each country and compared what causes had an effect on the outbreak of carries by each country. As the results, the study got the following conclusion. 1. In 5-year-old children, DMFT and DT had an inverted correlation and MT also had an inverted correlation with health expenditure in comparison with GDP and one-day nutrition supply amount per one person. FT had a high correlation with GNP, educational level, number of dentists per 100 thousand populations and health expenditure per one person. 2. In 12-year-old children, FT had a high correlation with GNP, educational level, sugar consumption amount per one person, number of dentists per 100 thousand populations and one-day nutrition supply amount per one person. However, DMFT didn’t have a correlation with sugar consumption amount and number of dentists. 3. In 15-year-old children, DMFT had a correlation with national educational level and FT had a correlation with GNP, educational level, number of dentists per 100 thousand populations, health expenditure in comparison with GDP, health expenditure per one person and one-day nutrition supply amount per one person. 4. Generally Asian countries with high economic power and educational level excepting Korea had somewhat low carries rate. The sugar consumption amount didn’t have a correlation with the outbreak of carries. The rate of dentist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FT and didn’t have a correlation with DMFT.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each country should promote medical treatment for prevention and public dental health business more efficiently to increase a true dental health of children by each county.

      •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업무에 관한 조사

        왕민숙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43

        The main roles of dental hygienist is known as preventive dental care and oral health education, in all over the world. But in Korea and Japan, most of dental hygienists are focussing to work for dental assisting. In legal, the dental hygienist,s roles are such affairs as scaling, fluoride application and prevention of oral disease and hygiene care including intra-oral x-ray taking, not included the oral health education or dental assisting. This study shows the roles or task for korean dental hygienist at the deantal clinics and public health center,at present and desirable in the future. 162 sheets of questionnaire to ask for the importance and frequency of each item of dental services were distributed and returned from dental hygienist who have been worked in dental clinics or in public health centers. Relative scores of importance for task with the use of the frequency score and difficulty score, were described at the questionnaire by each participants. The obtained results b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Korea dental hygienist who work at the dental clinics, regarded the dental assisting task as the most important roles and it should be changed the tasks to dental assistant's roles, in order to focus in the dental education and preventive dental works for dental hygienist, in Korea. In addition, Public oral health tasks were not well developed at present, so it should be needed to try to establish the task for public oral health programs more, for Korea dental hygienists and their association. 저자는 치과위생사의 바람직한 업무의 정착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현재 치과위생사가 수행하는 업무의 종류, 현재 시술빈도, 바람직한 시술빈도 및 난이도를 알아보고자 관련 설문지 문항을 만들고, 치과위생사 가 근무하는 치과 병·의원, 및 보건소·보건지소에 우편과 전자우편을 이용해 설문조사를 시행해 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치과의 예방업무에서 현재시술빈도에 비해 바람직한 시술빈도가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기에 향후 치과업무로 예방치과 시술이 확대실시 하도록 함이 권장되었다. 2.치과임상업무 중 각 진료보조행위의 현재시술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그에 비해 희망하는 시술빈도는 낮게 나타났기에, 향후에는 점차 치과진료보조업무를 탈피하여 치과위생사 고유의 업무로 종사함이 권장되었다. 3. 치과임상 업무의 중요도를 분석해 본 결과, 대다수의 치과위생사들이 현실여건상 예방이나 교육보다는 진료보조에 비중을 더 두고 있는 바, 향후에 진료보조는 가급적 치과 근무하는 간호조무사에게 위임 하도록 함이 권장되었다. 4. 보건소의 시술빈도에서 구강건강증진도 평가는 거의 수행하고 있지 않지만 희망하는 빈도에는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증진도 평가의 수행율 이 낮은 이유는 업무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보이며, 따라서 그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5. 보건소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사업의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기에 향후 치과위생사의 학교구강보건실의 업무확대가 필요함이 권장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치과위생사의 업무는 치과에서의 예방진료업무 및 구강보건교육, 보건소에서의 예방진료사업, 구강보건교육사업 및 구강보건사업평가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에 따른 적절한 치과위생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구강보건사업의 우식예방효과 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송현정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43

        저자는 구강보건사업 평가를 목적으로 2003년 전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시 표본으로 추출된 지역 중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대상아동,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대상 지역 아동,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사업 대상 아동과 이와 비슷한 지역 아동을 대상으로 사업군 1,792명, 비교군 1,620명 아동의 구강검사기록을 근거로 우식경험 관련 통계치를 비교, 검토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대상아동과 비교군 아동에서 유치와 영구치의 우식예방효과는 차이가 없었으며(p>0.005), 우식경험유치율은 9세 아동에서 사업군이 오히려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고(p<0.05) 우식경험영구치율은 10세와 11세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0세 연령층에서 오히려 사업군이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2.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대상지역 아동 중 우식경험유치율은 6세 아동에서, 우식경험유치면지수는 9세 아동에서 사업군이 오히려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전반적으로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으로 인한 우식예방효과는 대부분 사업군의 실시기간이 4년 미만이므로 큰 우식예방효과는 보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p>0.05). 3. 학교구강보건실운영 대상아동 중 우식경험유치율은 6세와 8세에서 비교군이 사업군보다 높게 나타났고(p<0.05), 영구치우식경험율은 8세, 우식경험영구치율은 8세와 9세,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는 8세에서 비교군이 사업군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학교구강보건실운영 사업으로 인한 우식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우리나라 아동들의 우식예방과 구강건강증진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구강보건사업을 확대하여야 하며, 또한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은 보건기관의 철저한 지도 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The author has analysed the data of the National Dental Survey in 2003, in order to appraise such public dental health programs for school children as school based fluoride mouthrinsing project, school dental clinic project and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ject. 1,792 children's survey charts for experimental groups and 1,620 chart's for control group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obtained data was as following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ies prevalances on primary and permainent denti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the school based on fluoride mouth rinsing project(p>0.05). In spite of reporting to perform the projects for several years, df rate in age 9, DMFT rate in age 10, 11 and DMFT index in age 10 wer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2. Gener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ies pre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lived at the average 4 years water fluoridated areas and the control group residency of children. Otherwise df rate in age 6 and dfts in age 9 were revealed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3.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df rate of age 6 and 8, in DMF rate of age 8 and 9 in DMFS of age 8,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included in the project for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p<0.05), so it revealed the caries prevention effects through the programs. 4. It needed more active supervisions and reasonable appraisals to develope and to spread the school based dental health programs in all around of Korea,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ealth level for Korean children.

      • Realtime PCR법을 이용한 청소년의 치아우식 유발세균 감염률 검사

        문예림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치아 우식은 구강 내에서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으로써 치면 위에 세균의 의해 형성된 균막, 즉 치태가 쌓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복잡한 구강내에서 구강병이 발생되려면 여러 가지 원인요소가 상호작용 하며, 숙주요인, 병원체 요인, 환경요인의 3가지 요인에 시간요인이 합쳐지는 곳에서 치아우식이 발생된다. 지금까지 치아우식 경험과 관련한 우식활성검사를 활용하여 향후 치아 우식증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어왔으나 최근에는 구강 세포 내에 발현된 세균들의 정성적인(qualitative) 분석뿐만 아니라 정량적인(quantitative) 분석에 Realtime-PCR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전자 발현의 분석의 일환으로 Realtime-PCR 기법을 이용하여 일부 청소년 연령의 구강건강 상태를 알아보고 치아우식유발세균의 감염률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구강환경을 가진 10세이상 20세미만을 대상으로 Realtime PCR을 이용한 구강 미생물 검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대상자의 구강미생물 은 총 146명중 Streptococcus mitis는 99.3%(145명)로 나타났으며, Streptococcus mutans는 63.0%(92명), Streptococcus sobrinus는 1.4(2명)%, Lactobacillus casei는 25.3%(37명)로 나타났다. 연령에 대한 Streptococcus sobrinus와 Lactobacillus casei의 양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Streptococcus mutans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구강미생물의 평균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구강미생물 감염자에서 구강미생물양의 수치는 Streptococcus mitis는 평균 42996.9으로 나타났으며, Streptococcus mutans는 평균 16129.4로 초등학생 1254.4, 중학생 7907.8, 고등학생 31915.8로 미생물 감염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평균 미생물의 양도 증가하였다. 구강미생물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Streptococcus mutans와 Lactobacillus casei이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미생물 양과 연령에 따른 검사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식유발세균의 량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치아우식에 관련된 세균에 대하여 전염을 낮추기 위해 구강보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획득하며 올바른 구강보건 행동을 수행, 유지하는 구강보건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