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학 연구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과 지식구조 탐색

        이신영 동의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855

        평생교육학의 지식구조가 어떠한 실체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학문적 성격과 특성을 이해하는 기준이 되며, 평생교육학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평생교육학의 지식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를 기점으로 다수 있어왔으나 대부분 일차원적 기술분석 중심의 시도였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터에 근거를 두고 지식구조를 형성하는 기본단위인 주제어를 기반으로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지식구조를 구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교육학 지식구조와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를 탐색하고 개념화하였으며, 평생교육학 관련 논문 데이터를 수집하여 논문의 제목, 주제어, 초록을 바탕으로 주제어 추출 및 정제, 주제어 선별, 분석 데이터 구성 단계를 거쳐 주제어 연결망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Microsoft Excel 프로그램과 IBM SPSS(version 25.0) 통계프 로그램, 연결망 분석 프로그램인 Netminer(version 4.0)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생교육학 연구논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게재연도별 논문의 빈도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였으며, 평생교육 관련 학술지 외에도 329종의 학술지에서 평생교육 관련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평생교육학 연구논문의 연구형태는 단독 연구 형태가 공동 연구 형태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년을 기점으로 공동 연구 형태가 우세한 현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결망 기초분석을 통해 추출된 평생교육학의 주제어는 총 514개이었으며, 연결망 활성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밀도는 연결망에 대한 상대적 수치로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타 학문의 선행연구 대비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생교육학 연결망에서 한 주제어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주제어의 수는 평균 26개이었으며, 평균적으로 약 2단계의 거리 안에서 모든 주제어들이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학의 핵심주제어를 중심성(연결정도·근접·매개) 분석과 출현빈도, 등장 논문빈도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과, 통시적 평생교육학의 핵심주제어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생학습’, ‘성인학습자’, ‘근로자’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학의 지식지도를 도출하여 평생교육학의 주제어 연결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식지도의 가장 중심에 위치한 주제어는 ‘평생교육’이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평생학습’, ‘평생교육활성화’, ‘평생교육프로그램’, ‘평생교육기관’, ‘연구방법’, ‘시민’, ‘평생교육사’, ‘평생교육학’, ‘평생교육법’, ‘평생학습자’, ‘평생교육관점’, ‘지식사회’, ‘장애인’ 총 13개의 주제어가 1차적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다섯째, 평생교육학의 중점연구 영역을 분석한 결과 총 24개로 도출되었으며, 시기별 평생교육학 중점연구 영역은 1990년대 이전 13개, 1990년대 12개, 2000년대 16개, 2010년대는 18개로 도출되었다. 여섯째, 평생교육학 중점연구 영역을 인지지도에 위치시킨 결과 그 특성에 따라 평생교육학의 주류 연구 분야, 독립적 성장 연구 분야, 개별 연구중심 분야 및 차세대연구 분야, 연계 연구중심 및 유행연구 분야로 분류할 수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존에 축척되어 있는 평생교육학 연구논문의 문헌데이터를 바탕으로 주제어 간의 연결성 및 연계성, 유사성을 근거로 평생교육학의 지식구조를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둘째, 연구범위를 평생교육 관련 전문학술지와 인접학문 분야의 평생교육관련 연구까지로 확대하여 통합적 평생교육학의 지식구조를 구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셋째, 평생교육학의 맥락성, 중심성, 정체성, 확장성을 주제어 연결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해석하고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본 연구는 학술적 차원에서 가치를 내포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므로 향후 보다 나은 연구 수행을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연구가 집약되어 표현되는 전문학술지로 범위를 한정 하였다. 따라서 전문학술지 뿐 아니라, 평생교육학의 학위논문이나 학회 발표논문 등으로까지 연구범위를 확대하여 평생교육학의 지식구조를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는 평생교육학의 주제어 추출과정에 있어 주제어의 의미를 해치지 않는 수준에 한하여 정제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평생교육학에 등장하는 주제어 전반을 다루고자 하여 유사한 주제어지만 미묘한 차이에 의해 동의어로 처리하지 않은 주제어 또한 존재하였다. 따라서 평생교육학의 지식구조가 보다 명확히 드러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학 용어를 표준화하는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dentifying what composes the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is a basis of understanding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it. Moreover, it can help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Many studies have analyzed the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but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one-dimensional technical analys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and to determine the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by utiliz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which is the basic unit forming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based on data.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and conceptualized the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by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and studies. Moreover, this study collected peer-reviewed publications on lifelong education science, reconstructed them through keyword extraction and refinement, keyword selection, and analysis data construction steps based on the topics, keywords, and abstrac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ss-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Microsoft Excel, IBM SPSS (ver. 25.0), and Netminer (ver. 4.0), which is a program for keyword network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scholarly article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publications increased by a year.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science were published in 329 types of academic journals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science specialized journals. Additionally, single-author studies were most common prior to 2009, but collaborative studies have dominated. Secondly, total 514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science using network basic analysis. Although the density indicates the degree of network activation, it has limitations to be used as a relative value for evaluating networks. However, the density value implied that it was higher than the previous studies of other fields. Additionally, in the lifelong education science network, the number of keywords directly connected to a keyword was 26 on average.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all keywords were connected within approximately two levels of distance on average. Thirdly, the core keywords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were derived by using central (degree of connection, proximity, and mediation) analysi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nd the frequency of publication using the word.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the core keywords of diachronic lifelong education science were ‘lifelong education’, ‘program’, ‘lifelong learning’, ‘adult learner’, and ‘workers’. Fourthl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network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s keywords by deriving the knowledge map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The keyword located at the most center of the knowledge map was ‘lifelong education’. Total 13 keywords formed the primary network, centered by this word: ‘lifelong learning’, ‘lifelong education activati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methodology’, ‘citizens’, ‘lifelong educators’, ‘lifelong education science’, ‘lifelong education method’, ‘lifelong learners’, ‘lifelong education viewpoint’, ‘knowledge society’, and ‘the disabled’. Fifthly, the main research area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24 areas. The number of main research area was 13 before the 1990s, 12 during the 1990s, 16 during the 2000s, and 18 during the2010s. Sixthly, the main research area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was placed on the cognitive map. The result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t into a mainstream research field, an independent growth research field, an individual research-oriented field, a next-generation research field, and a connection research-oriented and trend research fie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discovered the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using the connectivity, linkage, and similarity between keywords based on literature data. Second, this study is academically meaningful in terms of expanding the scope of the study to the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and the lifelong education studies of related fields to find the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of integrated lifelong education science. contextual, central, identity, and extensibility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Although this study has valuable academic findings, it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as well. Therefore,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to carry out betterstudies in the future. First, the analysi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the professional journals, which present specialized and integrated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tudy to thesis and conference presentations on lifelong education and analyze the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Second, this study conducted a refining process at the level that does not impair the meaning of keywords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lifelong education science keywords. Since this study aimed to discuss overall keywords emerging in lifelong education science, there were keywords there were not treated as synonyms even though possessing a similar meaning.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terminologies used in lifelong education science in order to reveal the formative knowledge structure of it more clearly.

      • 교육본위론의 관점에서 본 평생교육론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진선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23

        현재 평생교육은 시대적․사회적 변화를 배경으로 국가․사회․개인 모두에게 필요성이 요청되면서 실제적이고 정책적인 관심의 증가와 함께 우리의 삶 속에서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에 대한 관심과 발전만큼 평생교육에 관한 학문적 영역의 발전은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이론적 관점이 대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평생교육영역에서의 학문이 실제에 비추어 보아 지체되어 있음은 평생교육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 또한 지체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평생교육의 발전만이 아닌 평생교육학의 발전이 시급히 요청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그 담론의 수준과 학문적 노력은 아쉬운 상황이다. 평생교육이 안고 있는 학문적 정체성과 개념 혼란이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그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많은 부분 용어와 관련된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 용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론적 배경이 원인이라는 생각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평생교육론 안에는 사회교육, 성인교육, 평생학습이라는 세 개의 관점이 역사적 배경과 함께 큰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각 관점은 평생교육론에 내재하면서 평생교육에 관한 학문적 정체성과 개념혼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 각 관점은 그들의 개념이 안고 있는 문제도 청산하지 못한 채 평생교육과 깊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쇄적으로 평생교육학에 또 다른 문제와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세 가지 관점의 역사적 배경과 각 개념이 지닌 문제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평생교육 개념정의의 분석을 통해 세 가지 관점이 평생교육론에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각 관점의 영향으로 드러나는 평생교육학의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평생교육의 개념과 논의는 상당부분 평생교육 고유의 현상에 집중하지 못하고, 상식과 제도 그리고 타학문의 관점에 의존해 있는 상태이다. 제1기 교육학의 오류와 더불어 실제보다 뒤쳐진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실천은 교육에 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이어져 교육, 학습, 평생교육, 평생학습 간의 의미구분이 모호한 상황에서 혼재된 양상을 보이며 학습중심의 이분법적 사고의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비롯되는 평생교육론의 학문적 정체성 문제와 개념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에 관한 인식의 전환과 타학문의 관점을 배제하려는 자세가 요구된다. 또한 평생교육의 구조 탐색을 지향하는 가운데 고유한 평생교육이론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학문의 세계에 진입하기에 적합한 태도의 전환에 성공한 평생교육학자를 통해 이루어질 확률이 크다. 본 연구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적용된 방법은 ‘교육본위론’의 관점이다. 교육본위론은 일찍부터 ‘교육=학교태’라는 상식을 뛰어넘어 교육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삶의 어느 곳에나 편재되어 있는 고유한 세계임을 가정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관점과 개념에 따른 자율적인 교육학 정립을 위한 학문적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 요청되는 조건들을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평생교육학 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학의 고유한 관점이라고 판단된다. Alo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ever increase in our lives, asking for the relevant policies and practices. However, the academic support for them is not as much satisfactory as what has been required to cover actual interest and development. Since theoretical perspectives influence our perception on the an objects of interest, the relative standstill of the academic scope of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object of close examinations. This study is a part of it. The main problem lies in the lack of academic identity and conceptual confusion, which are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shortcoming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urrent theories of lifelong education consist of the three major areas of social education,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each of them causing confusion in the academic identity and conception in their own variation. Based on this general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related to such three perspectives, and tried to find the resulting problems and their causes. An analysis of the definitions of lifelong education was made to verify the inheritance of the three perspectives and thereafter showed the conceptual problems each of which has. The overall problems are found to be caused in the dependence on the areas of the common sense, institutional establishments and other fields of studies, failing to focus on the intrinsic phenomena of lifelong education itself.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 entirely new independent approach needs to be taken by which we can accomplish a conceptual conversion and eliminate the academic perspectives borrowed from other studies. The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new theories proper to lifelong education, which try to capture the phenomenon as a whole. All these efforts may be successfully implemented by the scholars of lifelong education who first of all succeeded in inducing the attitudinal conversion appropriate to the entry into academic learning. Finally, this study examined a theory which is recently proposed along this line. It broke from the conventional idea of "education = schooling" and is called as the endogenous theory of education in that it tries to avoid traditional conceptual dependence on other areas of academic disciplines. Employing new concepts and vocabularies, it depicts a new world of education that is ubiquitous in our daily live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place. It is expected that the new perspectives and ideas can make the discussions of lifelong education less ambiguous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its unique way.

      • 여성평생교육학습자의 생활공예 프로그램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정례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는 생활공예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참여하고 있는 여성평생교육학습자의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생활만족도를 분석했다. 또한 생활공예 프로그램이 가정생활영역, 신체적‧정서적 영역, 사회적‧여가활동영역, 지율성‧자아감영역과 행복감영역으로 주관적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와 삶의 질 변화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분석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공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평생교육학습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참여 동기에 차이가 나는가? 둘째, 생활공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평생교육학습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에 따라 생활 만족도의 차이가 나는가? 셋째, 생활공예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 유형에 따라 참여 이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차이는 무엇인가? 연구의 대상은 현재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며, 생활공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있는 20세 이상의 여성학습자 315명이다. 수집된 설문 자료를 SPSS WIN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공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평생교육학습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참여 동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공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평생교육학습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생활만족도에도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생활공예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 유형에 따라 참여 이후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여성학습자들은 배움과 지식 그 자체를 추구하는 ‘학습지향형 동기’가 가장 높았으며, 활동 그 자체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지향형 동기’, 지식과 기술의 전문적향상이나 새로운 지식을 통한 발전목표를 지닌 ‘목표지향형 동기’로 구분하여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세 가지 참여 동기 유형은 삶의 질 모든 항목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다시 말하면 참여 동기가 클수록 삶의 질의 긍정적인 변화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곧 여성학습자들이 어떤 동기를 가지고 평생교육에 참여 하였느냐에 상관없이 교육 참여로 인한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유의미함을 실증적으로 증명하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에는 더욱 다양한 생활공예 프로그램 참여자와 평생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정확한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생활공예 프로그램의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공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수강생으로 이루어졌으나, 설문지 배부 과정 중 직업교육이나 자격증 취득과정의 프로그램은 포함되지 않은 상태였으므로 목표지향형 참여 동기가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고 예측 된다. 앞으로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가 추진되기 위해서는 취미나 여가생활의 생활공예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자격취득 중심의 생활공예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포함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과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후속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 평생교육학적 관점으로 본 농촌지도사의 정체성과 역할 연구

        김정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사회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우리나라 농촌지도와 농촌지도사는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평생교육학적 관점에서 고찰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기존의 연구물들과 농촌진흥기관의 자료를 활용한 문헌연구 방법을 이용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농촌지도의 배경과 발전, 농촌지도사의 직업적 정체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농촌지도사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어떠한 평생교육학적 관점이 필요한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근대적인 농촌지도는 미국의 민주적인 농촌지도시스템의 도입으로부터 시작되었고, 사회교육적 접근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교육적 특성이 중요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농촌진흥청 설립과 함께 주곡자급이라는 국가적 차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력한 하향식 농촌지도체제를 구축하고, 이후 신자유주의에 입각한 농업의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 증대라는 기조로 우리나라의 농촌지도는 농민들을 주체자로 세우지 못하고 일방적인 직업교육 형태인 기술보급에 치중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농촌지도사의 교육적 성격과 영역을 좁히는 결과를 가져와 농민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데 어려움으로 작용하였다. 농촌지도사의 지도사(指導師)에서 지도사(指導士)로의 호칭 변화 그리고 도와 시군농촌진흥기관의 명칭을 도농촌진흥원에서 도농업기술원으로, 시군농촌지도소에서 시군농업기술센터로의 변경,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선발자격 규정의 폐지와 필수시험과목의 지정문제, 농촌지도직 공무원 육성에 관한 대학의 육성시스템 붕괴와 입직 후 교육시스템의 부족,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지방직 전환에 따른 행정업무의 증가 등의 환경은 농촌지도사의 교육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농업의 다기능화와 농촌어메니티를 활용한 사업 그리고 농업의 6차산업화와 같은 새로운 농촌지도사업의 등장과 기존 농민들의 요구의 다양화, 귀농‧귀촌인과 결혼이주여성과 같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농촌이주자들의 등장은 농촌지도사에게 변화를 요구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농촌지도사에 요구되는 변화는 평생교육학적 관점으로의 전환 내지 복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시대가 요구하는 역할에 맞는 농촌지도사의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변화는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농촌지도를 평생교육이라는 큰 틀 안에서 바라보는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의 기술보급에 중심을 둔 농촌지도는 현재의 다양한 농촌의 요구를 담아내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기 때문에 농민이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들을 농민의 전생애 관점에서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게 만들고 현재의 농업활동 이외의 삶과도 연계성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농촌지도는 지도(指導) 보다는 확장(Extension)의 개념을 가져야 할 것이다. 농촌지도의 역할이 기술보급에 중점을 둔다면 지도(指導)라는 개념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농촌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주체적이고 자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조력하여 현재의 자신에서 확대‧발전하여 새로운 자신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 농촌지도가 멘토와 같은 역할을 하고자 한다면 농촌지도는 확장(Extension)이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지도사업은 사업(事業)적 개념보다는 봉사(Service)적 개념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미국에서 지도사업의 본래 의미는 농민들의 요구사항과 같은 지역사회의 요구를 농촌지도의 형태로 사회봉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술보급에 따른 생산성 증대, 효율성과 성과주의를 앞세운 사업(事業)이 아닌 교육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대학이 접근하여 필요한 기술이나 연구물을 제공한다는 미국의 아웃리치(Outreach)와 같은 봉사(Service)의 개념이 강조되어야 한다. 넷째, 농촌지도사는 교육을 통한 평생교육학적 관점을 가져야 할 것이다. 농촌지도사는 교육적 정체성의 재확립이 필요하며, 그 내용은 현재 사회교육적 내용을 포괄하고 있는 평생교육이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농업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력과 평생교육학적 관점에서 학습자를 바라 볼 수 있는 능력을 균형 있게 갖춤으로써 농업기술을 겸비한 사회교육자로 다시 태어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what kind of changes are needed for rural extension and rural extension workers in Korea in order to accommodate various needs according to changes in rural society.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using existing research materials and the data of the Rural Development Organization was us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rural extension system 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rural extension workers could be confirmed. Based on this information, I investigated the lifelong educational perspectives that are required to perform the role of rural extension worker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n rural extension of Korea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emocratic rural extension system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at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were important because the social education approach was used. Howev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 powerful top-down rural leadership system was created to achieve the national objective of the main grain self-sufficiency. Later, under the keynote of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agriculture based on neo-liberalism, Korea's rural extension failed to establish farmers as subjects and instead focused on technology dissemination, a one-sided form of vocational education. This phenomenon has resulted in narrowing the educational character and scope of rural extension workers, which has made it difficult to accommodate the various needs of farmers. Multiple changes, including the change in the title of rural extension worker from the ‘Guide-Teacher’ to the ‘Guide-Worker’, the change of the names of provincial and municipal rural development agencies from the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o the ‘Provincial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from the ‘City-County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 to the ‘City-County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 the abolition of the rules for selection of qualifications on rural extension workers and the problems of designation for mandatory test subjects, the collapse of the university's training system for rural extension workers and the lack of a post-employment education system, and the increase in administrative duties due to the transition of rural extension workers to local jobs, etc.,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educational identity of the rural extension workers. New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such as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and rural amenity projects and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the diversification of traditional farmers' needs, the appearance of rural migrants from various backgrounds, such as Urban-to-Rural Migrant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served as major factors in demanding change from rural extension workers. The changes required for these rural extension workers refer to a transition or a return to a lifelong educational perspective, and the changes for redefining the identity of rural extension workers that fit the role demanded by this era can be summed up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view of rural extension within the big framework of lifelong education. Rural extension centered on the existing technology dissemination is often in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needs of various rural areas, so it must be extended to be able to identify and provide the knowledge or information needed by farm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rmers' life and be linked to life other than current agricultural activities. Second, rural extension should have an extension concept rather than a guidance. If the role of rural extension is focused on technology dissemination, the concept of guidance will be sufficient. However, if rural extension is to play a role as a mentor in the process of expanding and developing oneself and creating a new self by helping residents in rural areas to develop their ability to solve their problems independently and voluntarily, rural extension must be focused on mentoring instead of just guidance. Thir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should emphasize the concept of service rather than the concept of business. In the United States, the original meaning of extension services was to provide community service in the form of rural extension focused on the needs of the community, such as the needs of farmers. Therefore, the concept of service, such as outreach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in which universities provide necessary technology or research to those who need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rather than businesses focused on productivity gains due to technology dissemination, efficiency, and performance enhancement. Fourth, rural extension workers should have a lifelong perspective based on education. Rural extension workers need to reestablish their educational identity, and the content should be lifelong education that encompasses social and educational content. By doing so, s/he will be reborn as a social educator who combines the professional skills in agriculture and the ability to look at learning from a lifelong educational perspective.

      • 시민주도적 학습참여 확장 과정에 관한 실행연구 : 수원시평생학습관 시민기획단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importance of civil education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lifelong education is going higher, but it is still very slow both in theorical research and civil participation in the real field. Most of researches on civil participation education takes quantitative approach that is based on statistics,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 research only shows the current status not making another step of problem-solving. This leads to the request on a follow-up study of theorizing civil participation education based on the field practice. There are no specific methodologies or messages to explain how civil participation could work in the actual field of lifelong education. What we call the citizen-led learning and learner-centered way of learning only stays at a declarative level currently, but nothing substantial. Unlike most of lifelong learning centers run by each of local government, Suwon Lifelong Learning Center is where learner-centered learning is taking place with awakening contents toward their lives and mutual learning is happening among citizens who are also willing to try and learn things in an innovative way. A civic organization of ‘The hope Institute’ took over the authority of running Suwon Lifelong Learning Center in October, 2011 and this has been spreading positive impacts to the other learning centers in Korea as Suwon Lifelong Learning Center was recognized through prominent activities of ‘School for everyone’, ‘School for anything’. However, there was a lot more participation into the hobbies, certificate courses, and job trainings, rather than its participation in learning humanities designed for the citizens and this is how we started melting humanities into civil learning at Suwon Lifelong Learning Center since 2015 and the reason we created a civil project grou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lesson and learned from the education perspective and also to be able to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in the actual filed of learning b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becoming one genuine group of learning and also doing the analysis on how civil-centered learning is being extended. This study will be able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of “ what is the critical view that has led to create a civil project group?, how is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t?, and how can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in learning be extended?” and following lists are the references for this research; Humanity learning, Flip learning, Dialogism of Bakhrin and Arendt’s learning through the discussion, and so on. The author of this research, myself, as a doer in the lifelong learning filed was looking back the experiences at Suwon Lifelong Learning Center from June, 2015 to 2020 considering the action itself to be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is is the action research owned by practitioner exploring oneself for the study and applying the process of spiral circulation of planning, acting, observing, re-planning. This research has begun by raising questions on the learning trend of just attending the famous lectures and along with the vision of Suwon Lifelong Learning Center focusing on learner-centered learning, we have civil project group, ‘COMPASS’, ‘Yoo-Too-Kong’ who watch video contents in YouTube and discuss one another, and end up with ‘Jak-Kong-Dang’ where people create learning cluster online. The consequence of civil project group’s activities has stepped forward to planning one’s life and they learn from one another through the discussion and finally get to the creative self-evolution finding oneself by connecting to the society. This study shows how civil project group is enabling to extend the level of civil-led learning along with the way of center operation, the autonomy that working-level person can have within the organization, thoughts that are breaking from the traditional programs, faith in intellectual equality, and the power of learning community among citizens. This study is the circulative process of proving the theory of lifelong learning in the field and theorizing again based on accumulated experiences, and it also has shown the great significance since this is an action research based on the actual records that working-level peopole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nd citizens have been creating together in the lifelong field. 평생교육학의 이론과 실천 영역 모두에서 시민교육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이론적 연구와 평생교육 현장의 시민참여교육은 모두 미미한 실정이다. 시민참여교육은 통계 중심의 양적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질적연구는 현상을 드러내는 데 그치며 문제 개선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실무자들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시민참여교육의 이론화를 후속연구로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평생교육 현장에서 시민의 학습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고, 시민이 주도하는 평생학습은 가능한지 구체적인 목소리는 나오지 않았다. 시민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공공적 공간으로 여러 지자체에서 확산되고 있는 평생학습관의 다양한 시도를 살펴보면, 단순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자 역할을 벗어나 시민들이 스스로 더불어 배우는 주체적 학습, 깨어있는 삶을 향한 시민교육, 자율과 상호작용의 학습장이라는 지향을 가지고 시민교육 차원의 혁신적인 시도를 하는 수원시평생학습관을 주목하게 된다. 시민단체 희망제작소가 수원시에 위탁을 받아 2011년 10월에 문을 연 수원시평생학습관은 누구나학교, 뭐라도학교 등의 시민주도, 당사자 활동의 성과를 인정받으며 전국의 여러 평생학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평생교육 현장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취미활동, 자격증취득, 직업교육에서 시민의 학습 참여는 늘어나고 있지만 시민교육과 인문학습 분야에서의 시민 참여는 저조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수원시평생학습관에서 2015년부터 시민인문학교 등의 인문학 강좌 사업을 담당한 연구자는 수강생들과 함께 시민이 주체가 되어 학습에 참여하는 활동을 기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시민기획단을 만들게 됐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민기획단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고 시민주도적 학습참여가 확장되는 원리를 분석하며 기존의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면서 교육학적 시사점을 찾는 동시에 여러 평생교육 현장에서 시민주도 학습을 확산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 연구는, ‘시민기획단을 만들게 된 문제의식은 무엇이며 시민기획단이 만들어지고, 활동하는 실행의 과정은 어떠한가?’, ‘시민기획단 만들기와 시민기획단 활동의 실행 결과는 무엇인가?’, ‘시민의 학습 참여는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시민참여교육과 인문학습, 시민참여 실천조직, 플립러닝과 바흐친의 대화주의, 아렌트적 토론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며 연구 수행에 참고했다. 연구자가 평생교육 현장의 실천가로 2015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수원시평생학습관에서 시도하고 있는 경험을 돌아보며, 현장에서의 실천 행위가 곧 연구의 과정이 되는, 실행가가 연구의 주체가 되어 자신의 실천을 스스로 탐구해나가는 실행연구이고, 계획-실행-관찰-재계획의 나선형적 순환 과정을 반복했다. 연구의 실행은 유명한 강사의 강의를 듣는 것에 그치는 학습쇼핑의 유행, 시민교육의 부재와 추진의 어려움 등의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의 소비자를 넘어 시민의 주체적 학습을 지향하는 수원시평생학습관의 비전과 학습자 중심성, 시민주도 학습이라는 평생교육의 흐름이 맞물려, 북콘서트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시민기획단 ‘나침반’, 관심 주제별로 유튜브 강연을 모여서 보고 이야기 나누는 ‘유투공’을 기획하는 ‘유투공’기획단, 시간과 장소의 한계를 넘어 온라인에서 토론학습을 만들어 가는 ‘작공당’으로 이어졌다. 시민기획단 형성과 활동의 결과는, 강좌 수강에서 머물던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삶을 기획하는 단계로 나아갔고, 타인과 만나 토론하는 경험을 통해 시민교육을 몸으로 느끼게 됐으며, 자기계발을 넘어 나를 찾고 사회와 연결되는 창조적 자기 진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시민기획단의 실행을 통한 시민주도적 학습참여 확장의 요소로 기관 운영의 특성과 조직문화에 따른 담당자의 자율성, 프로그램 중심 사고의 탈피, 지적평등에 대한 신뢰, 모여서 함께 하는 공동체의 힘이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이론이 실천 현장에서 확인되고 실천 현장의 경험이 쌓여 이론화되는 순환의 과정으로, 교육 분야에서 딜레마로 생각되던 이론과 실천의 괴리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는 실행연구가 대학을 비롯한 학교 현장에 빠른 속도로 보급되는 것과 달리, 아직 실행연구가 부족한 평생교육 분야에서 평생교육 활동가와 시민들이 함께 수행한 실천을 기록한 연구로 의의가 있다.

      • '교육자로 거듭나는 예술가'의 경험세게에 대한 연구 : 미술분야 문화예술평생교육 교수자를 중심으로

        신석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91

        논 문 요 약 ‘교육자로 거듭나는 예술가’의 경험세계에 대한 연구 - 미술분야 문화예술평생교육 교수자를 중심으로 - 신 석 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학과 (지도교수 조 화 태) 본 연구는 현재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에서, 예술인들이 개인 창작공간에서 벗어나 ‘가르치는 예술가’ 즉 교육자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세계에 대한 한 사례연구로서 미술분야 문화예술평생교육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교수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예술인들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고충을 이해해 보고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의 보다 나은 교육여건과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성인미술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교육환경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은 어떤 이유에서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을 찾게 되었는가? 둘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이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에서 겪게 되는 갈등, 불안, 위축, 괴리감 등 위기감의 양상과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이 교육자로 변화된 삶에서 느끼는 예술가와 교육자 사이의 혼돈은 어떤 것이며, 그것을 어떻게 조절하고 있는가? 넷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이 교육자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얻게 된 교육적 역량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기존의 예술세계는 어떻게 재규정되어 가는가? 다섯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이 제시하는 향후 바람직한 문화예술평생교육자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시대의 신문기사와 사회인문학적인 서적을 참조하며 그와 연관된 문헌고찰을 하였고, 연구의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8명으로서 개인 창작활동을 병행하며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2년에서 16년 기간의 다양한 교육종사 경험 층으로 연령은 20대에서 60대 이후의 폭넓은 나이층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비구조적인 심층면담의 방식으로 개인면담과 집단면담을 시행했으며, 부분적인 교육현장의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연구내용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제 면담이 이루어지기 전에 간단한 형태의 예비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전화로 예비면담 역시 5회 정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다루며 용어의 정의와 함께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뒤이어 Ⅱ장에서는 문화예술평생교육과 그에 대한 연구의 쟁점을 살펴보았으며, 선행연구에서 미술 관련의 이론적 배경에 더욱 집중하여 학교 형식교육의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본 연구의 ‘가르치는 예술가’들과 같은 맥락인 예술 강사와 학교 미술교사와의 미술교육 연계방안 등을 살펴보았고, 국내· 외 다양한 연구사례들을 고찰해 보았다. 이와 함께 국내 문화예술평생교육의 현황(백화점 문화센터, 대학부설 문화센터, 학점은행제, 미술관 문화센터, 언론사부설 문화센터 및 기타 교육기관)과 문화예술인의 실태와 현황을 평생교육과 성인 미술교육의 변천과정을 통해 살펴보며 정리하였다. 또한 그에 따른 문화예술인들의 경제적 실태와 함께 사회적 의의를 도출하여 이후 조사 연구의 타당성의 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Ⅳ장의 연구결과는 위의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맥락에서 분석되었다. 첫째, 진입 동기 및 초기의 갈등, 삶의 변화 양상은 세부적으로 ‘예술가로서의 미래에 대한 불안과 새로운 인생의 개척’, ‘경제적 돌파구로서의 선택과 현실이 주는 괴리감’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교육활동으로 얻게 된 새로운 열망과 세계관’으로 집약되었다. 둘째, 예술가와 교육자 사이에서의 갈등으로는 ‘예술가적 기질과 교육가적 자아의 혼돈’과 ‘교육현장실천을 통한 기관, 강사, 학습자와의 갈등’ 등으로 나타났으며 그것을 통해 ‘자신의 미적 기준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경험한 교육적 역량의 변화에서는 ‘자아의 변화’와 ‘가르치는 기법에 대한 탐구의 결과’로 나타나 그들 스스로 교육을 주도하면서 교육자로 변화되며 느끼고 터득한 여러 가지 교육기법에 대한 것이 드러나 있었고, 그런 경험세계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문화예술평생교육이 나가야 할 점과 ‘향후 바람직한 미래의 문화예술평생교육자의 자세’를 제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Ⅴ장에서는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해서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우리나라 문화예술평생교육으로 ‘미술분야’ 세부적으로 순수미술(Fine Art) 분야에 종사하는 교수자만을 다루었으나, 그 외에 현재 평생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디자인교육 등의 상업미술(Commercial Art)분야까지 확장하여 다양한 그룹의 경험세계를 살펴보는 것도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가르치는 예술가’들의 개인적 경험을 해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했기 때문에 그들에게서 교육수혜를 받는 학습들의 경험세계 또한 살펴보는 것도 우리나라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흐름과 방향을 읽을 수 있고 교수자-학습자간의 관계분석에 유효한 연구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현재 정부의 문화예술정책 및 지원제도의 다각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인의 사회, 경제적 소외현상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그렇기에 향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예술인 현황 분석과 함께 문화예술인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심도있게 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가 자살생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조절된 매개효과

        안효권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교육학과 2018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충청남도 D시에 거주하는 26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살생각이 매개하고 이러한 매개관계를 희망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여 노인의 자살 예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는 SPSS PC+ Win. 21.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평균비교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SPSS macro PROCESS 모델1, 4, 14를 이용하여 매개, 조절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검증은 bootstrap을 이용하였고, 검증 시 부트스트랩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차이비교 분석 결과 희망과 삶의 질은 모두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높았다. 또한 평생교육 참여는 중졸이상이 초졸 및 무학보다 높았으며, 자살생각은 배우자가 없다는 집단이 있다는 집단이 높았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평생교육 참여는 자살생각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희망과 삶의 질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삶의 질은 평생교육 참여와 희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매개효과 분석 결과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살생각이 매개하였다. 넷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자살생각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희망이 조절하였다. 자살생각이 증가하면 삶의 질이 감소하는데 희망의 고집단에서 그러한 경향이 낮았다. 다섯째,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 자살생각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평생교육 참여 → 자살생각 → 삶의 질 간의 경로의 조건부 간접 효과는 희망이 중간 이상일 때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 지역은 D시로 한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D시만이 아니라 대도시,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을 군집화하고 선정하여 다양한 지역 특성을 가진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평생교육 참여, 종속변인은 삶의 질이었으며, 매개변인은 자살생각, 조절된 매개변인은 희망이었다. 이러한 모형보다는 독립변인은 평생교육 참여로 같지만 종속변인은 자살생각, 조절변인은 희망이면 현상을 보다 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 판단되며, 추후 연구에서 이 모형을 적용하기를 기대한다. 셋째, D시는 이미 노인들의 평생교육 참여 정도가 높고 자살생각이 낮은 지역이다. 평생교육 참여가 낮고 따라서 자살생각도 높은 지역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모델이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uicid ide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deter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hope on the relationship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through suicide ide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suicide preven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266 elderly people living in D city of Chungcheongnam-do. SPSS PC + Win. 21.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PSS macro PROCESS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difference of hope and quality of life were higher among female elderly than male elderly.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higher in above middle school graduates than non schooling respondents. The suicide idea was higher in a group that there was no spouse.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quality of lif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hope. Third, mediation effect analysis showed that suicidal ide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Fourth,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hop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quality of life. When the suicidal ideation increased, the quality of life decreased, but the tendency was less in the high group of hope. Fifth,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hope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suicidal ide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the path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 suicidal ideation → quality of life was effective when the hope was more than medi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rea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D city.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luster and select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not only in D, but also to study elderly people with diverse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dependent variable was quality of life, mediating variable was suicidal ideation, mediated variable was hope. Rather than this model, if a new model is lik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i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dependen variable is suicide ideation, and the moderating variable is hope, it can explain the phenomenon more clearly. We expect to apply this model in future studies. Third, D city is a region with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low suicidal ide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whether the model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by selecting a region with low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high suicidal ideation.

      • 학습지교사의 평생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학습지교사를 중심으로

        권순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지교사들의 평생교육 참여실태와 개인별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필요성 및 요구가 어떠한지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학습지교사집단을 위한 평생교육 정책 개발이나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학습지교사를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314부를 배포하고, 그 중 260부를 회수하여 82.8%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등의 추리통계 기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요약하면 성별에서는 남성이 10.2%, 여성이 89.8%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분포는 20세~29세가 26.6%, 30세~39세가 46.3%, 40세~49세가 25.8%, 50세 이상이 1.2%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대해서는 미혼이 43.4%, 기혼(부양자녀 없음)이 17.6%, 기혼(부양자녀 있음)이 38.9%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학습지교사들의 근무연수를 살펴보면 1년 미만은 24.2%, 1년이상~3년 미만은 22.5%, 3년 이상~6년 미만은 21.3%, 7년 이상~9년 미만은 16.4%, 9년 이상은 15.6%로 나타났다. 학력을 살펴보면 전문대 졸이 32.4%, 4년대 졸이 66%, 대학원재학 이상이 1.6%로 조사되었다. 학습지교사의 소득은 150만원 미만이 27.0%, 150만원~200만원이 35.7%, 200만원~300만원이 28.7%, 300만원~400만원이 7.4%, 400만원 이상이 1.2%로 나타났다. 끝으로, 학습지교사의 교육학이나 교직이수 전공여부는‘전공출신’이 16.8%,‘비전공출신’이 83.2%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습지교사의 평생교육 참여실태는 참여율이 54.5%, 비참여율(참여한 적이 전혀 없다)이 45.5%로 나타났고, 참여만족도는 5점 만점에 2.18로 나타나 참여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습지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평생교육 필요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두 변인 간에 약하기는 하지만 정적 상관(r=0.158, p=0.013)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 하였다. 직무만족도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유형에서 '상'/'중' 집단은 교사 능력향상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하’집단은 문화교양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넷째, 연령에 따른 평생교육 필요성에서는 전체 평균이 3.9112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 교사들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20대 교사들의 평균이 가장 낮았으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는 연령에 구분 없이 전체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유형 조사 결과에서 20대 학습지교사들은 교사능력향상과정에 대한 필요성의 요구가 높은 반면에 30/40대 학습지교사들은 문화교양과정에 대한 필요성의 요구가 높았다. 다섯째, 근무연수에 따른 평생교육의 필요성에서 전체 평균이 3.9112로 조사되어서 근무연수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근무연수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유형에서 1년 미만/1년 이상~3년미만 학습지교사들은 교사능력향상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 3년 이상~6년 미만/6년 이상~9년 미만/9년 이상 학습지교사들은 문화교양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여섯째, 학습지교사들의 교육학이나 교직이수 전공여부에 따른 평생교육 필요성은 전공여부에 관계없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여부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유형에서는 전공출신 학습지교사들은 문화교양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 비전공출신 학습지교사들은 문화교양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지교사들의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을 크게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지교사들의 직무만족도 특성에 알맞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용 방안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인센티브를 시행하거나 쿠폰을 발행하여 평생교육 수강에 대한 만족감을 갖도록 한다. 또한 지역 내 평생교육센터에서 교사전문성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면 사내 교육과정 이수와 똑같이 인정해주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지교사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램유형, 지출비용, 운영시간, 운영기간 등 학습지교사 집단의 특성에 알맞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회사 내 경력개발제도나 인적자원개발에서도 학습지교사들을 인재육성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의 발전에 모두 동참할 수 있도록 회사와 사회를 연결한 평생교육운영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y book teachers’ participation in lifelong-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need for lifelong-education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xtent of the job satisfaction, the length of service, the age, and the major in higher education.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s with 260 study book teachers belonging to five major study book companies in Jeju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study book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need for the lifelong-educ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st requested type of the lifelong-education program was the teaching-skill-program for the high and the middle job satisfaction group and the cultural and liberal arts program for the low job satisfaction group. Second, rega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service and the extent of the need for the lifelong-education, study book teachers working for over 6 years and below 9 years had the highest need for the lifelong-education. Those for over 9 years, those for over 3 years and below 6 years, those for over 1 year and below 3 years, those for below 1 year followed. The overall average of the need for the lifelong-education was 3.9112. The teaching-skill-program was most requested by the teachers working for below 3 years, whereas those for above 3 years requested the cultural and liberal arts program. Third, the extent of the need for the life-long education was found to be high regardless of the study book teachers’ major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cultural and liberal arts program was most requested by both two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the lifelong-education programs for study book teachers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study book companies'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study book companies and lifelong-education centers in the region.

      • 한국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의 전개과정과 정책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지선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평생교육 전문가인 평생교육사에 대한 양성정책이 사회교육법을 제정한 시기부터 현재까지 어떠한 방향으로 변동되어 왔는지, 그리고 어떠한 정책 환경이 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문제로 첫째,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의 전개 방향을 알아보고, 둘째,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의 요소인 양성기관과 자격요건, 양성교과목은 각 어느 방향으로 변화되었는지 파악하였으며, 셋째,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이 변화하는데 영향을 미친 환경적 요인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친 집단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석학적 역사사회학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에 영향을 주는 환경을 정치적 환경, 경제적 환경, 사회·문화적 환경, 국제 평생교육이념 환경, 한국 교육정책 환경으로 구분하였다. 정책변동과정에 연관된 집단을 행정 집단과 평생교육 전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정책 환경에 따라 나타난 양성정책을 양성기관, 자격요건, 양성교과목으로 구분하여 법 개정이 나타난 다섯 시기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사회교육법 제정기(1982∼1988)는 헌법에 평생교육 진흥조항을 삽입하면서 양성이 시작된 시기로, 사회교육전문요원은 2급으로 나누어 문교부 장관이 지정한 사회교육분야의 학과에서만 양성할 수 있었고, 양성교과는 사회교육학, 사회·심리학, 직업교육학, 사회교육실습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사회교육법 개정기(1989∼1998)는 사회교육법 개정을 통하여 사회교육전문요원의 양적확대를 가져온 시기로 일부 학과의 양성에서 전체학과로 확대되었으며 양성과목의 성적이 80점 이상이어야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도록 제한을 두었다. 평생교육법 제정기(1999∼2006)는 1999년 평생교육법 전면개정을 기준으로 나타난 시기로 명칭을 평생교육사로 바꾸었으며 급수를 3개로 분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고등교육기관과 함께 지정양성기관을 운영하였으며 교과목의경우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으로 구분하고, 현장에 적합한 교과목으로 재구성하며 실습을 4주에서 3주로 축소하였다. 평생교육법 개정기(2007∼2012)는 학점은행제를 통한 양성이 가능해졌다. 1급의 경우 평생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하는 승급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변경되었으며, 지정양성기관을 확대 운영하였다. 실습과목을 필수 학점과목으로, 기간을 3주에서 4주로 변경하였고 양성교과목을 3학점 이상으로 개편, 필수과목 변경, 선택과목을 실천영역과 방법영역으로 세분화하였다. 평생교육법 일부개정기(2013∼ )는 지정 양성기관 사업을 종료하였고, 교육부와 대학총장으로 구분된 발급처를 일원화하였으며 실습과목의 운영과 기준의 강화를 꾀하였다. 또한, 양성정책의 세부요소에 따른 변동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양성기관은 고등교육 기관 양성기, 현직자 양성 시작기, 양성기관 다방면 확대기, 양성기관 일부 축소기로 나눌 수 있었으며 주로 경제적 환경에 의하여 변화가 나타났고, 형식성은 약화 되다가 일부 강화되는 모습으로 변하였다. 둘째, 자격요건은 기초적 자격 구분기, 자격구분 세분화기, 자격기준 강화기, 자격관리 통합기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주로 행정 집단과 전문 집단의 의견을 수용하되 경제적 논리가 반영되어 일부만 채택되어 변화하였고 형식성은 계속해서 강화되는 경향을 띄었다. 셋째, 양성교과는 이론중심 교육과정 운영기, 현장 관련 교육과정 운영기, 실습과목 강화기로 구분 지을 수 있으며 행정 집단과 전문 집단의 의견이 고루 반영되어 변화했고, 변화에 따라 형식성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정책의 변동과정과, 시대별 환경, 정책 결정 집단들의 관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은 평생교육의 법 개정과정에서 중요한 논의거리였다.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의 변동이 나타난 시기 중 양성기관, 자격요건, 양성교과의 전부 변화가 나타난 시기는 평생교육법을 전체적으로 제정하고 개정한 시기로 법의 전면개정 속에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의 변동이 나타난다는 것은 그만큼 평생교육정책에서 중요시 된다는 것이다. 양성정책의 일부 변화만 나타난 시기의 법 개정은 정책 전반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지만 정책개정의 요인을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의개정에 있어 정책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경제적 환경이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쳐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이 변동되고 있었다. 양성정책에 영향을 주는 주된 환경은 지식경제 논리로 이는 다른 정책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식이 경제성장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제논리에 영향으로 양성정책이 변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에 대한 행정 집단과 전문 집단의 의견은 비슷하게 가고 있지만, 행정 집단의 경우 정책의 큰 그림과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정책을 제시하는 반면, 전문 집단은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향상과 평생교육 발전에 초점을 맞춘 이상적이고 세부적인 정책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평생교육사 양성 기관은 경제논리가 강하게 반영되어 양성기관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하였으며, 자격 요건은 경제적 환경,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정책집단의 의견이 부분적으로 반영되어 강화되었다. 양성 교과의 경우 전문 집단의 의견이 높게 반영되어 현장직무와 관련성 있도록 변하였으며 실습 또한 강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여 형식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의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평생교육사 양성정책이 다방면의 환경을 적용받아 양성정책의 형식성이 강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아직 타 자격증이나 학계에서 주장하는 부분에 비해서는 미흡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문성 있는 평생교육사양성을 위해 학계 및 행정기관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평생교육사 양성을 포함한 배치, 연수 까지 확대하여 평생교육사 정책의 변동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주제어 : 평생교육사, 평생교육사 양성정책, 정책변동, 정책 환경

      •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참여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정현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로서 중년기 여성들이 평생교육에 참여함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평생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는가? 둘째,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어떠한가? 셋째,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5세 이상 60세 이하의 중년기 여성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전문가의 자문과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되었다. 최종 413명의 유효분석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χ²검정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자기효능감은 개인적 배경변인 중에서 ‘세대 주거형태’와 ‘건강상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경험은 개인적 배경변인 중에서 ‘결혼상태’와 ‘세대 주거형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여성들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에 대한 분석결과, 자아실현과 배움에 대한 참여동기가 가장 높았다. ‘자아실현을 위해서’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배우는 것이 즐거워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 여성이 참여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84.1%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전문성과 강사의 자질에 대해서는 만족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여성들이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이 자신의 기대와 일치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중년기 여성들은 그들의 자아실현의 장으로서 평생교육기관들을 찾고 있다. 각 평생교육기관은 좀 더 전문적인 상담과 맞춤식 교육으로 평생교육 현장에서 많은 중년기 여성들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자아실현의 열매를 맺어갈 수 있도록 배려하여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보다 더 전문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self-efficacy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it aim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al factors and satisfaction level for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o address these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as follows: First, is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related with their self-efficacy? Second, what are the motivational factors for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ird, to what extent are the middle-aged women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o address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f 460 middle-aged women who had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The surve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verified by the professional consultants and a pilot test. As final valid data, 413 data sampl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es that were used for the collected data ar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χ² tes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of middle-aged women was affected the most by the family size and the health state of all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Secon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ere affected the most by the marital status and family size of all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motivational factors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he highest motivation was to carry out self realization, the second-highest was to enjoy learning, the third was to acquire updated skills and knowledge. Self-realization and learning wer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all the motivational factors. Fourth,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were very high, over 84.1%. Most of the middle aged women were satisfied with the professionality of the programs and the qualifications of the lecturers. Most of them agreed on the congruence between the expectancy and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hey thought they had enough interaction among their peers and the tuition of the programs were reasonable. In the ever changing diversified society, a number of middle-aged women have been knocking on the door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ith more professional counseling and tailored educational programs, each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s required t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middle-aged women and help them elevate their self efficacy and carry out self realization designing and developing more professional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setting up more effective educational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