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이지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831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 개론을 수강하는 예비 중등교사 1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인식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로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 전과 수강 후의 인터뷰, 개별 과제 및 조별 과제를 수집하였다.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대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 이들은 통합교육의 대상인 장애학생을 일반학생과 같은 학생으로 느꼈으며, 장애학생의 특성 및 그와 관련된 내용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또한, 통합교육의 대상인 장애학생의 또래 관계 및 학업 수행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였다. 이들은 통합교육의 개념을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으며,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교사에 대하여 실천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들은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전문가인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 관계를 다짐하였다. 넷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실행에 대하여 다양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들은 모든 학교급을 통합교육의 적기로 인식하였으며, 또래 관계 및 학업 수행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섯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들은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도 많은 이점을 준다고 인식하게 되었으며, 통합교육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감소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비 중등교사들은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해 통합교육의 대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통합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였으며, 통합교육의 교사에 대하여 실천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통합교육의 실행에 대하여 다양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고, 통합교육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은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전공과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진학결정요소

        현진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자녀의 전공과 진학과 관련하여 자녀의 교육환경과 장애정도에 따라 장애학생 부모간의 전공과 진학에 대한 인식 차이와 전공과 진학 결정요소를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 전공과가 나아가야 할 방향 및 전공과 진학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교육환경에 따라 전공과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진학결정요소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라 전공과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진학결정요소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고등학교 장애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를 각각 90명씩 의도적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조사지 180부를 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불충분한 자료 5부를 제외한 자료에 대해 통계처리를 실시하여, 고등학교 자녀의 전공과 진학과 관련하여 자녀의 교육환경과 장애정도에 따라 장애학생 부모간의 전공과 진학에 대한 인식 차이 및 전공과 진학 결정요소를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교육환경에 따라 전공과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진학결정요소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모 집단에서는 ‘전공과 담당 교사의 전문성 확보’, ‘생활자립능력 향상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중도장애로 인하여 취업을 하지 못한 학생의 진로 지도’가 이루어질수록 자녀의 전공과 진학 희망률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자녀가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학부모 집단에서는 ‘일반학생과 통합된 교육환경 구축’, ‘전공과 담당 교사의 전문성 확보’, ‘생활자립능력 향상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사회적응력 향상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졸업 후 취업과의 연계 강화’가 이루어질수록 자녀의 전공과 진학 희망률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었다. 둘째,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라 전공과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진학결정요소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능력평가를 통한 수준에 따른 반 편성이 구성될수록 자녀의 장애정도가 3급 이하의 학부모 집단에서 자녀의 전공과 진학 희망률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었으며, 생활자립능력 향상 중심의 교육과정이 운영될수록 자녀의 장애정도가 1급인 학부모 집단에서 자녀의 전공과 진학 희망률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고등학교 자녀의 전공과 진학과 관련하여 자녀의 교육환경과 장애정도에 따라 학부모의 인식과 진학결정요소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장애학생의 교육환경 및 장애정도에 따른 학부모의 요구를 파악하여 전공과 운영적인 측면, 교육내용적인 측면, 취업과의 연계성 측면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볼 수 있다.

      • 장애학생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박종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사가 장애학생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급유형 변인에 따른 초등특수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실태와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유형(특수학교, 특수학급)에 따라 초등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인식은 어떠하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운영의 범위를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생활지도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전국 초등특수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특수교사는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생활지도 운영에 부모참여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 그 실행 정도는 인식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과 하위영역에서는 ‘기초교과(국어, 수학)’에서 부모 참여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체험활동 하위영역은 ‘진로활동’, 생활지도 하위영역은 ‘신변자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등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부모참여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로는 ‘장애학생 행동 및 정서적 발달의 긍정적 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운영의 어려움에서는 ‘과다한 행정적 업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유형에 따른 초등특수교사의 부모참여 교육과정 운영 실태는 생활지도 하위영역에서, 부모참여 필요성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학교의 행정적·재정적 어려움과 부모와 학생의 개인적 어려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특수교사들이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생활지도 각 영역에서 부모참여를 실제적으로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으며, 각 영역에 맞는 부모참여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형태에 따른 초등특수교사의 부모참여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연구 경향 분석

        정은미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67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직업생활을 통하여 장애인이 사회적 · 경제적 독립생활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으므로, 직업교육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연구에 관한 경향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직업교육 개선안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직업교육실태에 관한 선행 연구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하는 문헌 연구방법을 사용 하였으며 대상 논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홈페이지와 국회전자도서관 검색 서비스를 이용했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6차 교육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별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 연구의 경향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분석범주별로 볼 때 교육과정이 달라졌어도 연구의 경향은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 연구방법에 관해서는 좀 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하여도 분석범주별 개선방안의 차이가 없다. 위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아래와 같다. 특수학교 교육 대상자의 장애가 점점 중증·중복화 되어가고 있다. 이들 대다수는 졸업이후 가정에 머물고 있어 장애인 본인과 가족을 비롯한 주변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며 이는 특수학교 뿐 만아니라 특수교육 관련기관이 관심을 가지고 극복해나가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령기 이후의 중증장애인을 위한 보호 작업장 형태의 훈련과정도 고려할 수 있겠으나 이제는 우리의 특수교육도 평생교육체제로 가기위한 기반으로 학교와 졸업이후의 생활을 연결해주는 특수교육관련기관들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김영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도별 특수학교 교사의 교사 및 학교 특성의 차이와 교사 및 학교 특성이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도별 교사 및 학교 특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 및 학교 특성이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단계적 표집을 통해 전국 59개 특수학교와 해당학교의 특수교육 교사 36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요인 조사」와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도 조사」로 조사를 실시하여 기술통계, 카이스퀘어분석, 일원분산분석, 다층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는 교육과정 비실행 교사가 가장 많고, 초기실행, 소극적 실행, 적극적 실행 순으로 교육과정을 많이 실행하나, 교육과정 실행도별 교사 간에는 교사 및 학교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과정 실행도별 교사특성은 적극적 실행과 비실행 교사는 교직경력이 5년 미만인 교사가 가장 많고, 초기실행과 소극적 실행 교사는 교직경력이 15년 이상인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교육과정 실행도에서 학력이 학사인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초기․소극적 실행 교사가 비실행 교사보다 교사사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과정 실행도별 학교특성은 적극적․초기․소극적 실행 교사가 비실행 교사보다 학교의 교육과정 재량권과 자원이 더 풍부하고, 적극적 실행과 소극적 실행 교사는 비실행 교사보다 학교풍토가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과정 실행도별 교사 간에는 교사 및 학교 특성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사특성이 학교특성보다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고, 교육과정 실행도별로 교사 및 학교 특성이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적극적 실행 교사는 교사사고와 학교자원에 영향을 받지만, 교사사고보다 학교자원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기실행 교사는 교사사고의 영향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실행 교사는 교사사고와 설립형태의 영향을 받으나, 교사사고보다 설립형태의 영향을 더 많이 받으며, 교사사고가 풍부하고 국․공립학교에 근무할 경우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실행 교사는 성별, 교직경력, 설립형태의 영향을 받고, 성별, 설립형태, 교직경력 순으로 영향을 많이 받으며, 남교사이면서 교직경력이 많고 국․공립학교에 근무할 경우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 및 학교 특성은 교육과정 실행도별로 교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나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특성이 학교특성보다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수학교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에서 비실행 교사가 가장 많고, 교육과정 실행도별로 교사 및 학교 특성은 차이가 있으며, 실행도별 요인과 영향력의 차이가 있지만, 학교특성보다 교사특성에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특수학교 교사들이 지닌 교사사고, 교직경력 등은 학교의 설립형태, 학교자원 등의 학교특성 요인보다 교육과정 실행에 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 특성

        강지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특수교육 교사가 가지고 있는 과학과 탐구수업에서의 자아개념은 어떠한가? 둘째, 과학과 탐구수업에 있어서 초등 특수교육 교사들이 느끼는 교수 불안은 어떠한가? 셋째, 과학과 탐구수업에서 초등 특수교육 교사들의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11개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 특수교육 교사 11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 조사와 교수 불안 조사는 연구자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구안한 다음, 특수교육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자아개념 검사와 교수 불안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독립 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은 과학 지식 안내 영역과 탐구 수업 운영 영역에 비해 탐구 수업 준비 영역에서 자아개념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특수교육 교사들은 교육 경력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과학 관련 연수 경험이 많을수록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해 높은 자아개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 불안은 탐구 수업 준비 영역과 탐구 수업 운영 영역에서 과학 지식 안내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교수 불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육 교사들은 교육 경력이 낮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과학 관련 연수 경험이 적을수록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해 높은 교수 불안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은 과학 지식 안내 영역, 탐구 수업 준비 영역, 탐구 수업 운영 영역 모두에서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과학과 탐구수업에서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교수 불안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과학과 탐구수업에서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들의 자아개념을 높이고 교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탐구수업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 습득한 탐구수업의 기술을 실제 수업에 충분히 적용해보는 교육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교사와 학교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현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교사 및 학교의 특성과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사 및 학교의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및 학교 특성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 및 학교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의 특수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단계적 표집을 통해 1차로 전국 17개 시․도의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를 선정한 다음, 2차로 각 시․도 교육청의 특수교육 교사의 비율에 따라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지적장애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특수교육 교사 각 200명과 지적장애학생의 학부모 각 400명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특수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개발한 ‘지적장애학생 교육성과 영향 요인 조사’를 우편과 E-mail로 실시하여 총 369명 응답자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적장애학생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개발한 ‘지적장애학생 교육성과 조사’를 우편과 E-mail로 실시하여 총 738명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 및 학교 특성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정과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 및 학교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다층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는 교사 변인과 학교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교사의 투입 변인에 따라 여교사가 지도하는 경우, 교사의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최종 학력이 높을수록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과정 변인에 따라 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 정도가 낮을수록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의 차이에 있어서 학교의 투입 변인에 따라 국공립학교에 비해 사립학교에서, 학급당 학생수가 5~6명인 경우에, 학급에 특수교육보조원이 배치된 경우에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의 과정 변인에 따라 학교의 조직풍토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의 교육과정 적합성 수준이 높을수록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 수준에서 특수교육 교사들이 다양한 교육 경험을 쌓을 필요가 있으며, 학력과 더불어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직무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급별로 법적으로 정해진 적정 학생 수를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학급 편성 및 학생 배치, 특수교육보조원 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조직풍토와 학교장의 효과적인 수업지도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사와 학교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교사 수준 변인과 학교 수준 변인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의 70% 이상을 설명하고 있었으며, 연구모형에 따라 단계별로 교사 수준과 학교 수준의 변인을 투입한 결과 교사 수준의 변인이 학교 수준의 변인에 비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 과정 변인인 교수효능감, 전문성 인식, 직무 스트레스가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교사 투입 변인인 성별, 교직 경력, 최종 학력의 영향력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종 모형에서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종 학력, 교수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학교 조직풍토, 학교 교육과정 적합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수준의 학습 환경 조성 및 지원과 같은 요소들도 중요하지만 교사 수준의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이 크므로 교사의 노력, 열의와 같은 정의적 특성의 개선, 전문성의 향상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는 교사 변인에 있어서 성별, 교직경력, 최종학력, 교수효능감, 전문성 인식, 직무 스트레스에 따라 차이가 있고, 학교 변인에 있어서는 학교의 설립 유형, 학급당 학생 수, 학급의 보조원 배치 여부, 학교의 조직풍토, 학교장 수업지도성, 학교 교육과정 적합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교사 특성과 학교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면 교사 수준의 변인이 학교 수준의 변인에 비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수준에서 긍정적인 조직풍토 조성,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기본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업 전문성과 같은 자질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실태 및 지원 요구

        이슬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서울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실행실태 및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인식과 실행실태 및 지원 요구는 어떠하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교육경력, 통합교육경력, 학교폭력 업무경험, 특수교육 연수경험)에 따라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학급이 설치된 서울시의 고등학교를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배부한 총 370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230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지는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안하여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및 χ2 독립성 검증, 그리고 독립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복응답문항의 경우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며, 생활지도에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되기 위해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에 대한 지식과 적극적 해결태도가 필요함에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또한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에 대한 책무성은 우선적으로 일반교사, 그 다음으로 특수교사에게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일반교사의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의 법 조항 및 지식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편이며 이는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전문성 개발의 욕구로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장애학생은 학교폭력 유형 중 욕설, 놀림 등 언어폭력과 과도한 장난 및 괴롭힘을 자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소한 장난이나 놀림도 학교폭력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장애학생들에게 많은 고통을 줄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지도가 요구된다.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 예방활동을 실시하는데 있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일회성이고 형식적 교육내용으로 예방활동의 다양성 부족'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따라서 통합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 예방활동 개발 요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은 성별, 교육경력, 통합교육경력, 학교폭력 업무경험에 따른 차이가 일부 나타난 반면, 특수교육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즉,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및 실행수준은 경험에 영향을 받으며 특수교육 연수는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과 관련하여서 인식 및 실행수준을 높이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관련 학교폭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특수교육 연수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학교폭력이 없는 안전한 학교환경에서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 간 협력에 관한 사례연구

        최우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 간 협력 경험을 사례연구방법으로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의 과정과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 경험이 있는 4개의 사례를 선정하여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 각 4명씩 8명을 개별 심층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Yin의 패턴매칭, 설명하기, 사례통합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 실행 경험을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에 대한 인식, 내용,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사례 간 비교를 통하여 유사한 주제를 통합하여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 과정을 7단계로 매트릭스로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의 과정은 낯설음과 두려움, 이질성, 특수교사의 선제적 접근, 목표의식 공유, 인간적 신뢰관계 구축, 교육과정적 통합의 탐색과 실천, 장애학생 교육의 주체화 그리고 이상을 향한 지속적 도전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의 협력 실행 경험을 통하여 인식하는 협력을 촉진하는 방안은 물리적, 인적, 행정적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은 어느 하나의 차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 인적, 행정적 차원이 유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영향을 주며 함께 이루어져야 궁극적으로 교육과정적 통합을 실현할 수 있음을 매트릭스로 제시하였다. 물리적 차원의 협력 촉진 방안은 통합교육 프로그램 예산 지원, 지지적이고 포용적인 학교 문화, 학교 구성원 간 협력을 위한 팀 접근, 장애이해교육을 다양성 교육으로 방향 전환으로 나타났다. 인적 차원의 협력 촉진 방안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자발성, 관리자의 특수교육 지지, 비장애학생들의 수용적 태도 높이기, 협력에 적극적인 특수교사, 동료 교사들과 통합교육에 대한 정보 공유, 교사 간 수평적 관계 조성, 가정과의 연계 필수로 나타났다. 행정적 차원의 협력 촉진 방안은 교사의 업무 경감, 학생수 감축과 같은 학교 환경 개선, 교육부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지침 제공, 국가 차원의 장애학생의 도전행동 중재와 관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의 과정에서 특수교사의 선제적 접근이 있었고 구체적인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을 실행하기 전에 교사 간 인간적 신뢰관계를 구축한 점, 협력교수라는 이상을 향한 지속적인 도전 등 협력의 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물리적, 인적, 행정적 3가지 차원이 상호 유기적 영향을 주며 차원별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을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 간 협력 뿐 아니라 다양한 학교 구성원의 협력이 필요하며, 교육부의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지침 제공과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할 수 있는 학교 문화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 특수교육대상자의 중학교 진학 시 배치 유형 선택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박혜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find out what factors parents consider when choosing their children's middle school placement type,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factors parents consider depending on the type of placement, and why they chose other placement types such as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First, what are the factors that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targets consider when choosing the type of middle school placement of their children?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factors among parent groups by placement type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at they plan to enter? Third, why did you choose a deployment type or other deployment type, such as the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currently deployed, and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selecting the deployment typ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223 parents of 5th and 6th graders nationwide,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verified and interpre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consider the expertise of special teachers, individualized education, acceptable school atmosphere and teacher attitudes, and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as priorities when choosing the type of middle school placement for their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criteria considered by par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general clas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mmuting, peer rel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Parents who plan to go to special schools consider education and services,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environmental and facility factors, and parents who plan to go to special and general classes consider peer relations, commuting, education, and service factors in order. Third, there were many reasons for choosing a layout type such as a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 currently deployed because they were satisfied and familiar with the current layout environment, and the reasons for choosing other layout types were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and participation in classes according to the general curriculum. Difficulties in choosing the type of deployment include the number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that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demand, concerns about choosing schools that suit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lack of information on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allow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to choose the best educational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type of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suitable for their children,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ducing or improving reference materials for the transfer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가 자녀의 중학교 배치 유형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선택한 배치 유형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의 부모들이 고려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며, 현재 재학 중인 특수교육기관과 같은 배치 유형 또는 다른 배치 유형을 선택한 이유와 배치 유형 선택 시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가 자녀의 중학교 배치 유형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진학 예정인 중등 특수교육기관 배치 유형별 학부모 집단 간 선택 요인의 차이는 무엇인가? 셋째, 현재 재학 중인 특수교육기관과 같은 배치 유형 또는 다른 배치 유형을 선택한 이유와 배치 유형 선택 시 어려움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의 초등학교 5, 6학년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 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들은 자녀의 중학교 배치 유형 선택 시 장애학생의 지도에 필요한 특수교사의 전문성, 개별화 교육, 장애 자녀에게 수용적인 학교 분위기와 교사의 태도,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등을 우선순위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학 예정인 중등 특수교육기관 유형(특수학교, 특수학급, 일반학급)에 따라 학부모들이 고려하는 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는 요인은 통학, 또래 관계, 장애학생 특성 요인이었다. 특수학교에 진학 예정인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는 교육 및 서비스, 장애학생 특성, 환경 및 시설 요인의 순으로 많이 고려하며,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에 진학 예정인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는 또래 관계, 통학, 교육 및 서비스 요인의 순으로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재학 중인 특수교육기관과 같은 배치 유형을 선택하는 이유는 현재의 배치환경에 만족스럽고 익숙하다는 이유가 많았으며, 다른 배치 유형을 선택한 이유로는 또래 관계의 어려움, 일반교육과정에 따른 수업 참여의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배치 유형 선택 시 어려움으로는 수요 대비 부족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수, 자녀의 특성에 맞는 학교 선택에 대한 고민, 특수교육기관에 대한 정보의 부족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부모가 자녀에게 적합한 특수교육기관 배치 유형 선택요인을 고려하여 최선의 교육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특수교육대상자의 전이에 필요한 참고 자료 제작 또는 개선방안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