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의 통섭적 접근

        전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35

        이 연구는 신체활동의 가치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수행하며 감상하기 위한 체육과(科) 교육과정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 활동과 관련하여 기존의 교과 내 통합에 머무른 통합적 체육교육에 새로운 대안적 방법으로써 통섭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기존의 통합적 체육교육은 체육의 인문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며 신체활동의 문화적 가치를 추구하는 체육교육론으로 교육현장에 새바람을 불러일으켰으나 활발한 신체활동을 위한 물리적 수업시수를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만들었으며, 교과 간 학습내용이 타 교과로 전이되는 과정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평가방법에 있어서 체육과 교육과정 본래의 평가 의도에 부합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교과 간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 내용 및 활동을 선정한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시도하였다.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은 체육 교과 내 영역 간 통합을 기본으로 하되 체육과 교육과정과 타 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통합하는 것으로, 특히나 신체활동의 총체적인 이해와 수행을 강조하는 통합적 교수ㆍ학습 활동을 타 교과와 연계하여 구성한 교육과정이다. 이는 각 교과목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가르치는 지식 간의 간극을 메우고 교과목 간 중복되는 학습내용의 시간낭비를 줄이며 과목 간 연관성을 살린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통섭적 교육과정 운영으로 신체활동의 가치를 이해하는 총체적인 경험을 통해 체육교육의 실제를 구현하고 융․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체육인재를 기르는 데 있어 구체적인 방향성과 단초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에 기초한 셀프 연구(Self-study)를 이용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셀프 연구는 교육적 실천행위 속 교육적 의미 및 상황적 맥락이 상호작용하는 공간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교사 개인의 개인적 성장 및 발달, 교사의 전문적 성장과 발달 촉진, 수업과 학교의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이 연구는 교육 상황에서 교사의 실천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교사의 교육철학과 교육적 담론임을 감안하여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로서 ‘나’의 내러티브에 주목한다.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나’ 자신에 대한 자서전적인 방법으로 교육적 의미를 내부자적 관점에서 반성적으로 이야기함으로써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는 1년 7개월에 걸쳐 연구자의 4학년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먼저 1단계는 예비 연구적 성격으로 학습연구년을 수행하면서 본 연구 실행에 앞서 현장 들어가기 및 실행 가능성 탐색에 주안점을 두었다. 다음 2단계는 연구 과정에 따른 자료를 집중적으로 기술, 분석, 해석하는 과정으로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마지막 3단계는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결과를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현장 텍스트를 연구 텍스트로 작성하고 형식을 갖추었다. 구체적인 자료 수집 방법은 문서자료, 저널, 학생 배움공책, 수업관찰,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Cla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현장 속에 존재하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이동하기,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이동하기, 연구 텍스트 작성하기의 과정을 거쳐 기술-분석-해석하였다. 연구에 적합한 절차와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자료를 수집하며 분석하고 이를 정리하여 다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 절차와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연구 절차와 기간이 중첩되어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먼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기까지의 ‘나’의 교직 생활 경험과 학문적 고민들을 그 여정에 따라 현상적 맥락을 ‘나’의 목소리로 기술하였다. 현장교사로서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게 된 ‘나’의 교육적 실천행위와 복잡성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현상적 맥락을 해석적으로 때론 비판적으로 탐구하였으며 이를 풀어나가기 위한 실천 지식, 나의 이야기와 목소리를 셀프 연구 방식으로 담았다. 그 다음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실제 적용하는 과정으로 탐색한 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세부 절차에 따라 실제적 내용을 ‘나’의 내러티브를 이용한 셀프 연구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이 갖고 있는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 다각도 검증법, 심층적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상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나’의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 계획 전 교육적 실천 경험은 어떠한가? ‘나’의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기 전 교육적 실천 경험 과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먼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기까지의 교직 생활 경험과 고민들을 내러티브적으로 기술하였고, 다음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겪은 난점은 무엇이었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은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기까지의 여정을 ‘나’의 목소리로 담아 내러티브적으로 기술한 결과 ‘기대와 우려’, ‘냉정과 열정 사이’, ‘체육수업 비평’, ‘타협과 절충’, ‘변화와 기대’, ‘프락시스 연결하기’로 나타났다. ‘기대와 우려’는 부푼 꿈을 안고 교직 생활에 첫발을 내딛은 햇병아리 교사 시절 나의 기대와는 달리 가을 대운동회에서 느꼈던 무용 지도의 어려움이 트라우마가 되었으며 이것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며 답답함으로 남았고, 이는 연구자가 체육활동을 지도함에 있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우려 사항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체육교육의 문을 두드리는 ‘냉정과 열정 사이’로 연결되었다. 체육을 지도하면서 느꼈던 어려움을 피할 수 없으면 즐기기 위해 체육교육의 문을 두드리게 되었으며, 스포츠교육학을 공부하며 교직 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체육수업 비평’은 아나공에 젖어 있던 학생들에게 체육의 새로움을 일깨우기 위한 방편으로 스포츠교육학을 전공하며 알게 된 뉴스포츠 활동을 전개하였고, 뉴스포츠 활동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새로운 체육에 대한 기대감과 만족감을 높이는 촉매가 되었으며 다양한 체육활동을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다음은 학급 학생 간 갈등 상황이 체육활동을 통해 분출되면서 겪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체육이 갖고 있는 신체활동의 문화적 가치를 강조하고자 통합적 체육교육으로 ‘타협과 절충’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통합적 체육교육은 시․공간적으로 무리가 있어 이로 인해 생기는 또 다른 차원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변화와 기대’는 나 스스로의 한계성과 통합적 체육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또 다른 발전적 활동을 기대하며 초등체육과교육연구회에 가입을 하였고 이때 통섭과 만나게 되는 계기를 얻었다. ‘프락시스 연결하기’는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사전 실험적인 수업의 시도와 학습연구년 과정을 통해 통섭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체육과 교육과정의 터를 마련하는 데 주력하였다. 둘째,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면서 겪은 어려움과 이를 해결해 나가며 기회를 만드는 과정은 ‘천우신조(天佑神助)’, ‘난공불락(難攻不落)’, ‘마부작침(磨斧作針)’으로 나타났다. 통섭적 교육과정의 원리를 탐색한 학습연구년 수행이 끝나며 학교 현장으로 복귀를 하는 과정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없었던 상황적 맥락이 있었으나 ‘천우신조(天佑神助)’로 학교 업무와 담임 배정이 재조정되면서 연구 수행을 시작할 수 있었다.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실제로 적용하기에 앞서 외부적 차원에서는 교과서 배부 시기 부적절, 동학년 체제에 발맞추기, 체육교육 관련 행사 소홀, 체육수업 중 상규적 활동 부재, 아나공 수업, 시설 및 용․기구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내부적 차원에서는 과중한 개인적 업무의 상충, 셀프 연구로 인한 연구 타당성 확보 필요성으로 인한 어려움 등의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요소들이 산재해 있었다. 그러나 위기와 어려움을 기회로 만드는 ‘마부작침(磨斧作針)’의 과정은 현장 교육 전문가 집단 구성, 학생 중심의 상규적 활동 마련, 체육 전담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데 있어 여러 난점들을 극복하였다. 나. ‘나’의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제는 어떠한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위한 실제적인 설계 모형을 위해 대표적인 통합교육 모형들에 대한 문헌을 탐색하였고, 그중 대표적인 STEAM 교육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안된 PDIE 모형을 이용하여 단계적 세부 절차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활용하였으며 수정된 단계적 세부 절차는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을 거쳐 계획과 적용의 과정이 진행되었다. 첫째, 준비(P)단계이다. 준비단계는 다시 학습자 분석, 통합유형 선정, 교육과정 분석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효과적인 수업 설계를 실행하기 위한 준거로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내 과목(또는 활동)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유능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조사를 통해 학교와 학부모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였다. 이 연구의 통합유형을 보면 학문 관련방식은 간학문적 통합, 통합형태접근은 기여적 통합, 통합요소접근은 활동중심 통합으로 선정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각론이 적용되는 시점에 맞춰 체육과와 타 교과 간 통섭적 연계 요소를 분석하였다. 둘째, 개발(D)단계이다. 이는 활동주제 및 내용 선정, 활동 템플릿 작성, 교실친화적 모듈 구성, 수업 자료 개발 등이 있다. 활동주제 및 내용을 선정함에 있어 적정성과 타당성을 위해 현장 교육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최종 협의 과정에 따라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위한 과목별 구체적인 활동주제 및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내용은 활동 중심의 템플릿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다시 수업의 흐름과 내용상의 연계성을 염두에 두고 현장 교육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공동 연구하는 방법인 교실친화적 모듈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수업을 구체화시키고 효과적으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활동 내용별로 효과적인 수업 계획을 위한 다양한 수업 자료들을 지도내용과 연계성 있게 개발․준비하였다. 셋째, 실행(I)단계이다. 이는 활동 중심의 교실친화적 모듈 구성과 그에 따라 개발된 수업 자료를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하는 과정으로 초등 체육수업의 일상을 엿보는 ‘프롤로그’, 통섭으로 체육에 입문하는 ‘익숙함과 낯설음’, 체육으로 생각을 심는 ‘통섭의 시도와 도전’, 체육으로 아우르기의 ‘소통과 숙의’, 체육으로 열매 맺는 ‘체육적 가치의 내면화’로 나누어 졌다. 넷째, 평가(E)단계이다. 이 단계는 수업평가, 수정 및 개선으로 나누어 졌다. 먼저 수업평가는 통섭적 교육과정 운영에 맞게 교과 내 통합에 의한 방식의 체육과 평가와 교과 간 통합에 의한 방식의 타 교과 평가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이는 각 교과별로 의도하는 평가 요소에 따라 교과 나름의 고유 영역은 유지하되 교과 간 서로 기여적인 측면을 도모하는 것이다. 다음 수정 및 개선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의 타당성 평가를 통해 선정 내용 및 활동을 수정하고 일반화를 위한 활동으로 현장 교육 전문가와 함께 컨설팅과 협의를 거쳐 수업 과정 및 결과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컨설팅 결과는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 전개, 학생 주도적 수업 자료 개발 필요, 학교 및 가정과 연계한 교육활동 전개, 지역사회 자원 및 인프라 구축으로 나타났다. 다.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이 내포하고 있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교사 차원, 학생 차원, 교과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교사 차원의 교육적 의미는 먼저 교사 전문성 패러다임이 수업 전문성에서 교육과정 전문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교사’로 나타났다. 다음은 통섭적 교육과정 운영을 하면서 나타난 바람직한 상호 협력의 학교 문화를 통해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은 교사 역할이 다변화되고 시대가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리더-학습자로서 교사’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차원의 교육적 의미는 ‘인식론적 기능’과 ‘사회 심리적 기능’으로 나타났다. 먼저 ‘인식론적 기능’은 지식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고 지식의 유용성과 의미를 높여주는 신체 활동 지식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다음 ‘사회 심리적 기능’은 사회와 학교를 연결해 주고, 사회 문제에 적극적인 대처 능력을 길러주며, 전인적 인격 계발을 돕는 통찰력과 사고의 유연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차원의 의미는 먼저 통섭적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환원주의 패러독스’를 해결하고 지식의 소통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교과별 소통을 원활하게 만드는 통섭적 운영은 각 교과의 정통성을 유지하되 교사의 의도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도모하고 교육과정의 다양화를 모색할 수 있는 ‘교육과정 편제의 변주곡’으로 나타났다.

      • 언론에 보도된 학교체육문제의 개선 수준연구

        오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과거 신문에 보도된 학교체육의 문제점들이 현재 시점에서 어느 정도의 개선수준을 나타내는지 학교체육 현장 최 일선에 종사하는 전문가집단인 체육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학교체육의 현실성 있는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질적 개선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전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3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40부 중 응답이 부적격한 39부를 제외하고 최종 301부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체육정책 관련 문제의 개선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입시위주 교육으로 인한 체육교육 소외’ 문제에 대해서 체육교사들은 아직까지 개선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시수’와 ‘학교체육예산’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더 많았다. 반면에, ‘운동부 학생선수의 수업권 보장’ 문제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체육교사들이 개선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체육대회의 활성화’여부와 ‘체육동아리·특기적성 교육 활성화’ 여부에 대해서는 활성화 되어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체육시설 관련 문제의 개선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학생들의 학교체육관 이용은 제한적이다’는 문제와 ‘체육시설문제로 인한 정상수업의 어려움이 있다’라는 문제에 대해서 대부분의 체육교사들이 개산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사회 시설과 연계된 체육활동이 실시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는 의견이 많게 나타났다. 또한 ‘체육시설 및 용기구의 수량’과 ‘체육시설 및 용기구의 상태’, 그리고 ‘학교운동장 크기’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럽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쩨, 체육교사 관련 문제의 개선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체육교사의 운동부 담당 업무가 과중하다’와, ‘체육교사의 학생부 담당업무가 과중하다’는 문제, 그리고 ‘체육교사가 학교행사 관련 업무를 많이 맏고 있다’는 문제와 ‘체육교사가 학생들의 규율과 기강을 잡는 악역을 맡고 있다’는 문제에 대해서 대부분의 체육교사들이 개선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규율을 잡아달라는 관리자·동료교사의 요구가 있다’는 문제 역시 여전히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본인 및 동료교사는 충분한 자질과 책무성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체육교사들이 충분한 자질과 책무성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수업 관련 문제의 개선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고3 학생들의 체육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와 ‘무용·보건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응답을 한 체육교사가 더 많아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기초 군기잡기식·통제식 수업인 이루어진다’ 라는 문제와 ‘수업내용은 일부 종목에 편중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수업내용은 성적평가가 쉬운 종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라는 문제는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체육교사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으며, ‘학교 안전사고는 체육시간에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 역시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과거 언론에서 보도된 학교체육관련 문제점들 중 아직까지 개선되지 못한 것들이 많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또한 개선되었다고 나타난 문제점들 중에서도 체육교사 스스로가 평가대상이 되어 자기평가가 이루어진 내용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 결과를 완전히 신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부분도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과거에 있었던 문제점들 중 정부의 정책과 지원, 교육계 그리고 학교현장과 체육교사들의 노력으로 개선된 부분들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에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의 무용교육 이해에 대한 사례 연구

        전숙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intendeds to handle “Understanding about Dance class in the curriculums, and its operational cases”, and to suggest “Future Dance class”. To achieve the goal, six women P.E. teachers in Seoul and KyungSangNam-D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f case survey, document collection and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by the existing reports and analyzed by inductive categorization method. And to make the data more realistic, some various ways of group discussion among the participants, colleague teachers, and the interview with the expert group in the area were don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outcome out of the study. Firstly, Dance leads to the expression of delicate and frank emotion of the students, and makes them find the value of their body and enlarge their cultural insight. Also, people understand that P.E. and Dance class have different root, but Dance should be taught with big importance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grow sensibility and creativity. Dance is basically the expression of internal sensitivity in various way, and kind of multi arts by body expression. In that regard, it has different characters in motion of muscle and its development from the P.E. in general. So, people take it as beauty and a kind of artwork. And it can convert the agony and grief to beauty of life. Especially, people in their juvenile period can experience the oneness of mind and body through dance. Even man P.E. teachers recommend rhythmic skipping rope, creative gymnastics and rhythmic gymnastics as good dance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may enhance cultural insight by refreshing the value of cultural traditions. Secondly, dance teaching is in the part of P.E. But, all the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have different yearly plan of teaching mainly focusing on creative dancing. And the content, methodology and its assessment are all different. This way of dance education in P.E. has been done with no change for long time. And it shows dance education has not been seriously taken at school. Dance education is possible, but not quite ready at almost school. Financial support is given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dance teachers’ own passion and efforts. Some teachers have one hour dance class in a week, and some other teachers are fully dedicated in dance education only. And its assessment is also all different from each other. Out of the school surveyed three have dance room, and another three have auditorium to be used for dance room. Those auditoriums are also used for school event, and dance class can not be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Some school have no mirror equipped for dance lesson. However, in general, girl students are quite positive in dance class, and boy students are not and prefer sports. The budgetary plan for the dance class is done in the beginning of every school year. And the administrators are becoming positive in the class, and readily to support financially. To get more support from school, the P.E. teachers are making some principles by showing up with concerts during the school events to the people concerned, their colleague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irdly,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dance may not be independent class from current P.E. in spite of their strong wish. And some say that dance can be sustained, only if it can be done as part of P.E. Above all, the dance teachers themselves under current environment should make every effort to lead the class in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way by keeping in mind that dance education is quite necessary to the students. Also, some raises issue with regard to being neglected by boy students and current education system.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it is against the ideal of education, growing the whole man. And they believe that only the P.E. teachers can activate the dance class by their own efforts and strong will towards the dance class. And it is understood that physical motion in the dance class is quite critical, and the time for that real activity should be maximized,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in dance class should be well planned in more scientific way. Also, the P.E. teachers raise voice that man P.E. teachers should change attitude towards dance class. And their wish is that if dance class can not be independent from current P.E. class, some dedicated dance teachers should be recruited in some proportion. 이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무용수업을 하고 있는 여자 체육교사들의 ‘체육교과 속의 무용에 대한 인식’, ‘무용교육과정 운영의 현장 상황’, ‘체육교과 속의 무용교육의 향후 과제’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여자체육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비참여 관찰, 문서자료, 심층면담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고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와의 검토, 동료·전문가 협의, 다각도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교육은 섬세하고 솔직한 감정 표현을 위한 교육으로서 청소년기 무용교육은 몸의 가치를 발견하고 문화적 시각 확장을 위한 안목 교육을 위해 필요하다 하였고 체육과 무용은 맥락이 다르며 체육교과 속에서 무용은 감성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반드시 교육되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무용은 기록이나 경쟁 보다는 자신의 내적인 감성을 겉으로 다양하게 표출하는 것이며 신체를 통하여 삶의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종합예술로서 체육과는 근육의 움직임이나 발달 정도가 다르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용작품을 감상하고 느끼는 감정은 아름다움이라고 생각하였고 애환도 슬픔도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킨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청소년 시기의 무용교육은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는, 즉 나와 세계가 하나가 되는 경험을 하게 해주며 철학적 의미로 보면 우주적 세계관을 갖게 해준다고 느끼며 남자체육교사들도 무용단원 수업은 아니지만 음악과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하여 음악줄넘기, 창작꾸미기체조, 리듬체조 등을 무용처럼 활용하면 충분히 무용에 근접한 수업을 할 수 있다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였으며 무용수업을 통하여 전통문화유산 가치의 보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문화적 시각을 확대하게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무용교육과정은 무용단원의 운영에 있어 교과서가 있지만 연구 참여자 모두 각기 다른 연간계획서를 수립하여 수업을 운영하였으며 창작무용을 중점적으로 가르치고 있었고 수업 내용, 방법, 평가의 내용과 무용영역의 반영 비율도 모두 달랐다. 이러한 운영은 변화 과정 없이 진행되어 왔고 교사 자신들도 무용교육에 대한 반성적사고 없이 계속하여 답습하고 있는 것으로 무용교육의 소외를 여실히 보여주는 단면이라 하겠다. 학교의 환경은 무용수업이 가능하기는 하나 미비 하였고 재원은 무용수업을 하는 교사의 의지와 열정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지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주 1시간 무용단원을 수업하는 교사가 있는가 하면 체육관련 영역은 동료 체육교사의 양해를 구하거나 또는 협의하여 무용단원 수업만 전담하는 교사도 있었다. 무용단원 수업 후에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학교마다 반영 비율은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정식 규모의 무용실은 아니지만 세 곳의 학교가 무용실을 확보하고 있었고 강당을 무용실로 사용하는 학교도 세 군데 있었다. 그나마 강당도 학교의 행사시에는 예정된 무용수업을 다른 종목으로 대체 할 수밖에 없다고 하였다. 무용실에서 가장 중요한 거울이 부착되어 있지 않는 학교도 세 곳이나 있었으며 대체로 여학생들은 무용수업에 대해 즐거워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나 남학생들은 스포츠관련 단원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무용교육을 위한 재원은 학기 초에 예산을 확보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자들의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도 점차 긍정적으로 변화여 그 필요성을 인식하여 환경과 재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원을 받기위하여 교사들은 나름대로의 원칙을 세우고 있었는데 그것은 학기말, 학년말 또는 학예제나 발표회 행사를 통하여 무용작품 결과물을 반드시 보여 관리자나 타교과 교사들, 학부모, 학생들에게 무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실질적인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교과 속의 무용이 독립교과로 분리되기를 바라지만 제도적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한편으로 체육교과 속에서라도 존재해야 명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자조적인 목소리도 있었다. 무용단원 수업을 하는 교사들의 무용수업이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체육교과 내에서도 지속적인 무용교육을 해야 한다는 연구 참여자 자신들의 자각의 필요성과 무용교사의 확보를 위한 선발 규정의 변화를 희망하고 있었다. 남학생에게는 교육되지 않아도 되는 당연한 단원으로 여기는 것에 대한 문제 제기와현재의 입시제도하에서 체육교육의 중요성이 결여됨과 동시에 무용단원 역시 입시와 관련이 없는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어 무용교육이 가지는 정서적인 효과를 인지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주요교과목에 대한 비중을 크게 두고 있어 전인교육을 표방하는 교육의 목표와 모순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지속적인 무용단원 수업을 위한 노력과 적극성이 무용단원 수업을 활성화 시킬 것 이라고 한결같이 얘기 하였다. 무용교육의 방향으로 신체활동을 통한 무용교육이 학생들에게 교육적 효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실기중심의 교육 비중을 최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용교육과정의 조직과 내용 구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남자 체육교사들의 무용수업에 대한 의식의 전환을 주장하였으며 무용을 제도적으로 독립교과로 분리할 수 없다면 임용제도에 체육교사 선발 시 일정 비율의 무용수업 가능교사를 선발할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가 진로 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계열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태도 성숙도가 성별, 학년, 중요타자, 결정시기, 희망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진로성숙을 도와, 미래의 합리적인 진로선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B시, C시, D시 소재의 4년제 대학교를 재학 중인 체육계열 대학생 1, 2, 3, 4학년 350명이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으로 표본을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충분히 설명 한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tration)에 의해 작성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지는 선행연구에서 이미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거쳐 사용했던 도구 가운데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선별하여 예비조사를 거쳐 이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 5문항, 전공 선택 동기 13문항, 진로태도 성숙도 3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Likert척도로 이루어졌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 하다고 판단된 20부를 제외한 330부가 연구에 활용 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Cronbach’α),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사후분석(Scheffe),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 선택 동기의 차이검증에서 중요타자에서는 내재적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06), 중요타자가 교사인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시기에서는 내재적동기, 외재적동기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 p=.000), 두 요인 모두 결정시기가 중학교인 학생들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직업에서도 내재적동기, 외재적동기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요인 모두 희망직업이 체육교사인 집단이 가장 높게 인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에서는 유의미한 타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검증에서 성별에서는 결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03),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게 인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결정성, 준비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25, p=.004), 결정성은 4학년이 높게 인식하고, 준비성은 2학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타자에서는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p=.000, p=.012, p=.001), 하위요인 모두 중요타자가 교사인 집단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시기에서는 결정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결정시기가 중학교인 집단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직업에서는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p=.004, p=.003, p=.000, p=.006), 독립성을 제외한 4개의 하위요인에서는 희망직업이 체육교사인 집단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성에서는 희망직업이 레저 및 체육관련직업 집단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모두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내재적 동기는 결정성(p=.000), 목적성(p=.000), 확신성(p=.000), 준비성(p=.000), 독립성(p=.000)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동기는 결정성(p=.003), 목적성(p=.003), 독립성(p=.000)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재적동기가 외재적동기 보다 모든 하위요인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체육계열 대학생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태도 성숙도를 상이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공 선택 동기의 내재적 동기는 진로태도 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동기는 정,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와 같이 체육계열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 이며, 이를 바탕으로 체육계열 전공 학생들을 이해하고, 미래의 합리적인 진로선택을 통해 앞으로의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가 교우관계 및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상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으로서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와 교우관계 및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스포츠 참여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G도, C도, D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의 하나인 할당표집(quota sampling)으로 500명을 표집하여, 설문에 불응답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후 총 454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차이 일반적 특성(성별, 학교급, 가정의 경제 수준, 부모의 태도)에 따른 스포츠 참여를 비교한 결과 스포츠 참여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학교급에서는 고등학생이, 가정의 경제 수준에서는 하의 집단이, 부모의 태도에서는 스포츠 참여에 찬성하는 집단이 스포츠 참여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 스포츠 참여가 교우관계 및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첫째, 스포츠 참여의 하위 요인 모두가 지위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근접성과 호혜성에는 행동적 참여와, 정의적 참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유사성에는 행동적 참여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동적 참여는 근접성, 유사성, 지위성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참여의 하위 요인 모두가 즐거움과 건강·체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과시, 사교, 기술성취에서는 인지적 참여를 제외한 행동적 참여와 정의적 참여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교우관계가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교우간계의 하위 요인 중 유사성, 지위성, 호혜성은 즐거움과 건강·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외적과시에는 유사성과 지위성이, 사교에는 근접성, 유사성, 호혜성이, 기술성취에는 유사성과 호혜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사성 요인은 모든 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스포츠 참여, 교우관계 및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의 관계 첫째, 스포츠 참여는 교우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우관계는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포츠 참여는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교우관계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스포츠 참여는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교우관계를 통하여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영향이 미치도록 작용하는 요인이다. 교우관계는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스포츠 참여가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참여에 따른 교우관계 및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 구조모형은 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변인간의 인과관계가 성립함을 보여 주었다.

      • 트니트니 영유아 체육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 조사연구

        허성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채 프로그램 개발자의 주관적인 생각으로 개발되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현행 문화센터 시설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트니트니 영유아 체육의 수업 구성요소가 학부모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조사 분석하여 유아들의 프로그램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 학부모들의 트니트니 영유아 체육 수업을 선택한 기준을 알아보고, 유아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요인을 살피고 이를 활용해서 효과적인 유아체육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6개 광역시 H, L 대형 마트 문화센터에서 트니트니 영유아 체육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341명의 영, 유아의 학부모를 모집단을 설정한 후 조사도구 설문지 총 341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와 자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트니트니 영유아 체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결정은 참여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고 유아의 성별과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수강 연령에서 3∼4세의 학부모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기간에서는 10∼12개월을 수강한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트니트니 영유아 체육 프로그램에 만족도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만족도의 재이용 의사 및 구전의도는 프로그램 요인의 시설 선호도, 교사 선호도, 운동능력 선호도, 프로그램 선호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트니트니 영유아 체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결정 요인이 재이용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트니트니 영유아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교사 선호도가 높을수록 학부모의 재이용 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 선호도와 운동능력 선호도 및 교사 선호도가 높을수록 학부모의 구전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트니트니 영유아 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모들은 교사의 자질이 높으면 만족도의 점수 및 구전의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만족도 요소들 역시 교사의 자질향상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 학부모들의 만족도 및 구전의사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질을 높이기 위한 시간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동시에 시설, 효과, 프로그램 요소들을 꾸준히 유지 향상 시키려는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트니트니, 만족도 Current infant sports programs are developed under the developers’ subject thought without reflecting parents’ opinions and used on the spo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 of component factors of teuniteuni infant sports classes being conducted at current cultural centers on parents’ satisfaction and look into the selection standard of teuniteuni infant sports classes of parents having a right to select infant programs, examine recommendations on infant sports grams and prepare for basic data for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infant sports using them. This study set a population ti 341 infant parents taking infant sports programs at H, L large-scale mart cultural centers in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and used total 341 questionnaires. For the collected data,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factor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these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there is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cision of teuniteuni infant sports program by participating region and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fant gende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children. Also the satisfaction of parents of 3~4 year old infants was indicated to be high and that of those taking 10~12 month as participant period was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factors about infant sports programs, the re-use intention and mouth intention of satisfac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preferences of facilities, teachers, exercise ability and programs, program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satisfaction factors of teuniteuni infant sports programs on re-use and mouth intention, the higher preference of infant programs and teachers was, the higher parents’ re-use intention was, and the higher reference of programs, exercise ability and teachers was, the higher parents’ mouth intention was . According to parents participating at teuniteuni infant sports programs, the higher teachers’ qualities were, the higher satisfaction scores and probability of mouth intention were. However, other satisfaction factors were indicated to be as important as teachers’ improved qualities. Thus, to raise participating parents’ satisfaction and probability of mouth intention, it was indicated time for improving teacher’s qualities should be intensively invested and effort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facilities, effects and program factors should be made at the same time. keyword: Teuniteuni, Satisfaction

      • 공부하는 학생선수의 체육 정책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원다윗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정책과 관련된 질적 연구물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분석하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은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은 현재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총체적으로 분석 및 종합하여 의미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 질문 세 가지로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은 무엇인가? 둘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의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의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연구 질문을 통해 도출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은 다음과 같다. 현재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이 무엇인지 분석한 결과 2012년에 제정된 학교체육진흥법에 따라 ‘학습권 보장제’를 바탕으로 시행된 ‘최저학력제’, ‘e-school’의 2가지 체육 정책이 분석되었다. 또한 공부하는 학생선수에게 연계적 양성체제를 확립하여 지속적인 공부의 필요성과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체육특기자제도’가 분석되었다. 둘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에 관한 의미를 취지와 등장 배경을 통해 ‘표면적인 의미’, 실제 현장에 작용된 결과로 ‘실제 현장에서의 의미’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실제로 최저학력제와 e-school, 체육특기자제도와 같은 일부 정책에서는 그 실상을 살펴보니 긍정적인 요인보다 부정적인 요인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물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체육 정책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부정적인 요인이 주를 이루는 체육 정책은 학생 차원,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최저학력제는 학생 차원에서 ‘부적응’, 학교 차원에서 ‘정상적인 수업의 어려움’, 제도적 차원에서 ‘획일화되지 못한 기준’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e-school은 최저학력제와 마찬가지로 학생 차원,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으로 나누어 구분하였으며 학생 차원에서 ‘부적응’, 학교 차원에서 ‘미흡한 관리’, 제도적 차원에서 ‘불안정한 기반’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체육특기자제도는 현재 불법적으로 관행화되어 있는 스카우트 제도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정체·도태’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셋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의 내용을 분석하여 각각의 정책에 따라 우수한 정책은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부정적인 요인이 주를 이루는 정책은 향후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처럼 체육 정책이 표방하는 취지와 실상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요인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향후 과제를 도출하는 것은 신중한 고민이 필요하다. 즉,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위한 체육 정책의 본래 취지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체육 정책의 내용이 잘 부합하는지 관계를 잘 살펴, 체육 정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 차원,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으로 나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실 수준, 학교 수준, 국가 수준에서 구조적으로 보다 세부적인 정책의 발전이 필요하다. 즉, 체육 정책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체육 정책의 구조 개혁과 혁신을 위한 구성원 모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학교체육진흥법의 보다 세부적인 개정과 학생선수 관련 기구의 설립은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체육 정책 지원 방안의 토대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선수가 공부에 능동적인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학생선수의 충분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학생 차원,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아체육 연구 동향 분석

        채기웅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유아체육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유아체육에 대한 연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체육 연구에서 용어 사용범주와 년 평균 논문 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회전자도서관과 RISS에서 ‘유아체육, 신체활동, 움직임교육, 동작교육’ 의 키워드로 검색된 학위논문 586편과 학술논문 371편으로 총 957편을 대상논문으로 선정하여 유아체육관련 용어의 사용 범주를 분석하고, 유아체육 범주 내에 속한 281편은 국회전자도서관에 한하여 수집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개정 시기별, 주제별, 연구방법별, 전공별로 분석하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체육 연구를 위한 용어사용 범주에서는 ‘유아체육’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동작교육, 움직임교육’ 용어를 사용한 논문은 제6차 교육과정까지는 늘어났다가 2007개정부터 누리교육과정까지 점차 줄어들었다. 하지만 ‘신체활동’ 용어를 사용한 논문은 누리교육과정에서도 계속 논문 수가 늘어났다. 이러한 원인은 누리교육과정에서 다시 ‘신체활동’ 용어를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유아체육 연구의 개정시기별 논문 발표 빈도는 2007개정 교육과정 기간에서 연간 논문 수가 가장 높았다. 그 원인으로는 유아체육 사설센터가 증가하고 유치원 체육수업이 많아지고, 또 관련 전공자들의 대학원 진학률이 높아진 것이 그 이유로 사료된다. 셋째, 유아체육 연구의 주제에서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영향 및 효과’를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유아교사 및 유아체육교사 인식’이 많았고 ‘학부모인식 및 만족도’, ‘유아의 체격과 체력 및 발육발달’, ‘유아체육 수업 및 프로그램 운영과 실태’, ‘기타’, ‘유아체육기관 및 시설’ 순이다. 이러한 원인은 연구의 대부분이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학부모 인식과 교사 인식 이 높게 나타난 것은 유아체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유아체육 연구의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 사례연구, 혼합연구 순이다. 특히 조사연구가 많은 것은 연구의 대부분이 프로그램 적용 후 나타나는 변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유아체육에 대한 인식 등을 대부분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유아체육 연구자의 전공별 경향은 체육전공자가 가장 높았다. 이는 사회체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유아체육이 대중화되면서, 유치원현장에서 유아체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였다고 사료된다. 현재도 유아교육기관인 어린이집, 유치원에서도 전문체육강사를 두고 유아체육 수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사설 유아체육센터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체육교육 전공자들의 전문성이 요구됨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Researches relative to the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sed in terms of 1)related terminology used and its frequency, 2)the number of related researches by revision year, 3)major research themes, 4)major research methodology utilized, and 5)major areas of researchers. The analysis covered researchers conducted for 44years from the year of 1969 to the year of 2013, which was partition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eurriculum revision. A total of 281 researches concerning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was chosen from thesis and professional journals. Most frequently used terminology in the researches for the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Included such terms as infant phys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and movement education, etc. The number of researches done during the curriculum revision period increased consistently and most significant increment was observed from the fifth revision to the seventh revision ranging from the year of 1992 to the year of 2007. Research themes covered such topics as program development, parent's perception about program, teacher's perception about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children's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level, in that order. Approximately 87% of the total number of researches employed the survey research method while about 10% of the researches utilized experimental approach. Researcher's major areas ranged from infant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nd education in general. In total, research trend in the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uring the curriculum revision period showed no typical pattern in terms of research theme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er's major areas, whereas the number of researches increased dramatically in qua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