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학습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이주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91

        국문초록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학습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이 주 형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학습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여 체육교사교육 현장 적용에 대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양적접근과 질적접근을 활용한 혼합방법연구(mixed methods research)로 설계되었으며, 양적데이터를 보고하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설명적(explanatory)설계 과정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K 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체육교육학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체육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양적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자와 라포가 형성되어있는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연구수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학습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예비체육교사들의 학습윤리와 학습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셋째, 학습윤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를 사용하였다. 넷째, 학습윤리와 학습윤리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초점그룹에 대한 인터뷰를 수행하고 참여관찰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체육교사들은 학습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습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학습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고 나타났다. 둘째, 예비체육교사들은 학습윤리 교육을 통해서 학습윤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체육교사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실제 학업 수행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기술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흥미와 참여를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교육이라고 평가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체육교사 및 현직체육교사를 위한 학습윤리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시대성을 반영한 수업전략과 교수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윤리 교육을 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다양한 예비체육교사 및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습윤리에 대한 가치를 중요시하는 인식의 개선과 문화의 정착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원양성교육 기관을 포함한 대학교육 기관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이 요구되며 현재 구축되어 있는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습윤리교육에 대한 다각도적인 연구들이 요구되며, 예비 및 현직교사 체육교사를 위한 학습윤리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맥락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유아체육교육기관의 선택속성 및 만족도, 재등록의도와의 관계

        전수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5375

        이 연구는 자녀를 유아체육교육기관에 보내는 학부모의 유아체육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속성, 만족도 및 재등록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규명하고, 유아체육의 활성화와 다양한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유아체육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로 설정하고,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신뢰도가 떨어지는 30부(7.5%)를 제외한 370부(92.5%)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노기현(2008), 김종문(2009), 박진경(2010), 이승행, 김태일, 권오성(2010)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선택속성은 Cronbach's α .902~.697, 유아체육기관의 만족도와 재등록 의도는 단일요인으로 만족도는 Cronbach's α .864, 재등록 의도는 Cronbach's α .728로 나타났으며,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방법은 Windows용 SPS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부모의 유아체육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 모두 즉 학부모 성별, 연령, 월 평균 소득, 알게 된 경로, 동기 혹은 목적, 참여횟수에 따라 모두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부모의 유아체육교육기관의 만족도는 인구통계적학 특성인 학부모 성별, 연령, 월 평균 소득, 알게 된 경로, 동기 혹은 목적, 참여횟수에 따라 모두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의 유아체육교육기관의 재등록의도는 인구통계적학 특성인 학부모 성별, 연령, 월 평균 소득, 참여횟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학부모의 유아체육교육기관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선택속성 중 특히 이미지, 환경 및 시설, 지도자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학부모의 유아체육교육기관 선택속성이 재등록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선택 속성 중 특히 이미지, 지도자가 재등록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학부모의 유아체육교육기관의 만족도가 재등록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is research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and re-enrollment intention of sports academy and to approve the positive effect that affects young children. An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vitalizations of physical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a variety of marketing establishment of a strategy.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were focused on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for sports academy in Seoul, Kyung-Ki, Incheon. This research distributed four hundred pages of questionnaires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which is a method out of Non-Probability Sampling. In total, three hundred seventy pages of questionnaires(92.5%)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irty pages(7.5%) were not used because they were answered insincerely with low reliability.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they wre formed with studies of Noh(2008), Kim(2009), Park(2010), Lee, Kim and Kwon(2010). Researchers used questionnaires from these studies and revised them to have their researches for i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selection attributes, Cronbach's α .902~.697. Satisfaction and re-enrollment intention of sports academy were a single factor. They were Cronbach's α .902~.697 for satisfaction and Cronbach's α .728 for re-enrollment intention. A statistic method for data processing was SPSS 18.0 version for windows and it achieved results by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lationship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parents' selection attributes of sports academy was demographic. In other words, all of them showed differences based on sex, age, average monthly income, the route that they got informed, reason, purpose, or times of participation. Second, parents' satisfaction of sports academy was demographic. All of them showed differences based on sex, age, average monthly income, the route that they got informed, reason, purpose, or times of participation. Third, parents' re-enrollment intension of sports academy was demographic. All of them showed differences based on sex, age, average monthly income, the route that they got informed, reason, purpose, or times of participation. Fourth, Parents' selection attributes of sports academy affected attentive effect to satisfaction. Especially, it affected to image, condition and environment, leader's satisfaction. Fifth, Parents' selection attributes of sports academy affected re-enrollment intention. Especially, it affected to image, and the leader's re-enrollment intention. Sixth, Parents' satisfaction of sports academy affected re-enrollment intention. Especially, it affected to image, and the leader's re-enrollment intention.

      • 한 중등 체육교사의 창의·인성 수업 실천에 대한 내러티브

        조명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75

        Abstract A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arrative on the Performanc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ho, Myung-Ho Physical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nd problem solving method through a middle school teacher's narrative on the performanc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was the autobiographical story of someone who practice the clas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was described by first-person perspective of "I". Field text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or a year from March 2012 to February 2013, which included class schedule , researcher's diary written about his class, photos, movie clips, journal of class observation, evaluation materials, dialogues among participants. For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for the study, Connelly & Clandinin(2000)'s procedure of narrative analysis was used. By reading field text repeatedly, categorizing subjects of the stories in it and restructuring into research text were done. For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based on the honesty, neutrality of data analysis, various data collection, peer debriefing were done. With these procedures, stories are structured as five chapter's following. In chapter 1, research purpose and proposal of the study was mentioned through the life style of the modern people. In chapter 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vestigation on creativity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includes creativity and character, narrative inquiry. Chapter 3 was about the study method. It included the description about researcher, participants, field text, analysis process of the text, and trustworthiness. Chapter 4 was about the management of P.E. teacher's classes : realistic difficulties and problems, exploring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nd problem solving method. Chapter 5 was about the naver ending story. This chapter was sum up of research contents and was mentioned the other starting. Object, method, and process of the research was summarized and the researcher's performance and self-reflection were described. 국문초록 한 중등 체육교사의 창의·인성 수업 실천에 대한 내러티브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조 명 호 본 연구는 한 중등 체육교사의 창의․인성 교육 실천에 대한 이야기를 통하여 현 창의·인성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법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창의·인성 수업을 실천한 한 교사의 자서전적 이야기로서 연구자가 ‘나(I)’로 표현되는 1인칭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본 연구의 현장 텍스트는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약 1년간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현장 텍스트는 수업계획서, 일기, 수업 사진, 수업동영상, 관찰 일지, 일화 기록지, 평가 자료, 동료교사 및 학생과의 대화이다. 자료의 분석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반복해서 읽고, 보고, 생각하고, 정리하고, 다시 재검토함으로써 나타나는 주제(theme), 줄거리(threads), 내러티브 형태(pattern) 등을 찾아내어 그것들을 연구 텍스트(research text)로 재구성하는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분석의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진실성을 위하여 다양한 자료 수집, 전문가 협의(peer debriefing)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자의 해석에 대한 정직성(honesty)과 자료 분석의 중립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5장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1장은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을 통하여 이야기에 대한 방향과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고, 연구 목적과 함께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창의성 교육, 인성 교육, 체육교과에서의 창의·인성 교육,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3장은 연구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현장 텍스트와 그것의 분석과정, 그리고 자료의 진실성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4장은 학교체육 현장에서 실천했던 수업 사례를 통하여 현실적 어려움이나 고민을 정리하고 이런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5장은 끝나지 않는 이야기로써, 연구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이자 또 다른 시작을 위한 반성의 이야기이다. 수업 실천과 반성이라는 여정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던 소중한 의미를 되새기며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며 이야기를 마무리하였다.

      • 중학교 학생들의 특기 · 적성교육활동과 체육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남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75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relation there is between the physical aptitude train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so as to encourage them in more actively participating the P.E. (physical education) class.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hypotheses and academic framework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ories. 383 middle school students,who have been taking the physical aptitude education through 4 different school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chosen as a sample group.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randomly chosen through the whole academic years-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This study is conducted via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test, Factor Analysis, t-test, ANOVA, 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under 0.05. (p<.05) From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conclusions were derived as the following: Firstl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levantly satisfied with the physical aptitude training. More male students were reliving stress through the physical exercise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nd athletics, the satisfaction level was related to the physical director and the factors relieving stress.This research reveals that longer period of participation increases the satisfaction level;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2 to 3 years, were more satisfied than others who have done for less than a year or 1 to 2 years. Secondl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 P.E. class and also relevantly satisfied with the class objectives. The class evaluation and class method were also satisfying but the class environment and conditions were less satisfying comparing to other factor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the satisfaction level of P.E. class for male students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for females, and the satisfaction level witheach kind of exercise was not remarkably differentiable. As a subordinate factor, the class environment considerably has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lifelong sports activities, hav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lass environment than others who participate in basic exercise and martial art. Thirdly,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est level of class, the class objective, the class method, the class evaluation and the class environment, so this study conclude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relevant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aptitude training and the relief of stress and the increase of health, physical strength and athletic ability also promote their satisfaction level of P.E. class.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과 체육수업에 어떠한 만족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그 관계를 밝혀 체육특기·적성교육활동의 만족도가 체육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켜 주어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이론을 기초로 연구가설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8년 현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을 실시하는 4학교 383명을 대상으로 1, 2, 3학년의 남·여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Cronbach's Alpha 검사, 요인분석, t-test와 ANOVA, 그리고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생들의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전체 만족도 수준은 보통 수준을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는 스트레스 해소 변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많이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종목에 따른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는 지도자와 스트레스 해소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간에 따라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는 참여기간인 2-3년 미만인 학생들이 1년 미만인 학생들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기간이 오래될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었으며, 변인별로는 체육수업에 대한 관심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수업목표에 대한 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업평가, 수업방법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수준으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종목별 체육수업 만족도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변인별로는 수업환경에 대한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바, 기본 운동과 투기운동 참여 학생들에 비해 평생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체육수업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기간에 따라 체육수업 만족도는 참여기간이 2-3년 미만인 학생들이 1년 미만과 1-2년 미만인 학생들에 비해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 관련 변인이 체육수업 만족도 중 수업관심도, 수업목표, 수업방법, 수업평가, 수업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되고, 운동기능 및 체력, 건강 등이 좋아졌다고 느낄수록 체육수업 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체육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연구윤리 의식

        윤형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는 체육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의 연구윤리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체육학 연구자들에게 연구윤리 교육이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체육학 연구에서 연구부정행위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6개 대학교의 체육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2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7부를 제외한 203부의 설문지를 최종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빈도, 백분율)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윤리 인식은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윤리 인식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체육학 전공 대학원생들이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수강경험은 거의 없는 반면,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의 체육학 전공 대학원생들이 연구윤리에 대해 전반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계열 대학원 및 대학 내에서 연구윤리 교육과정을 개설해야하며, 체육학 연구 실정에 맞는 연구윤리 교재 개발 및 표절검색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야 한다. 체육학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연구부정행위가 얼마나 큰 범죄인지에 대해 인식시키고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연구부정행위를 근절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중도탈락 대학운동선수의 진로장벽요인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임채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59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특유의 엘리트 스포츠 구조 속에서 중도에 탈락한 대학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특기자 제도 안에서 중도 탈락하게 된 원인과 새로운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진로장벽들을 파악하여, 중도탈락자들의 새로운 진로에 대해 도움이 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중도탈락 대학운동선수의 진로장벽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2013년 4월 2일부터 5월 2일까지 5주에 걸쳐, 질적 연구 방법의 비확률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의도적 표집방법(purposeful sampling)으로 체육특기자 제도를 통하여 대학에 입학한 중도탈락선수 5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은 1:1면담을 기본으로 하여, 면담 실시 전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방향성에 대해 설명하고 음성녹음에 대한 동의를 구했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구성원의 검토, 전문가 협의, 삼각검증법의 과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도탈락 대학운동선수들의 체육특기자 제도 내에서 수업 경시, 구타, 치열한 경쟁구조 등을 경험하고 부상과 구타, 감독의 탈퇴강요로 엘리트 스포츠에서 중도탈락하게 되어, 스포츠관련, 상급학교 진학, 비스포츠관련 등의 진로를 설정하게 되었다. 둘째, 중도탈락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요인으로는 목표설정, 학업부재, 정보부족, 낙인화가 진로준비과정을 어렵게 하는 장벽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요인의 개선방안으로는 동료 멘토링 제도와 같은 진로교육 활성화, 인턴쉽 제도 등을 통한 직업교육 및 지원 활성화, 체육인 사회진출 지원 및 복지활성화, 우수 인적자원 활성화, 사회적 인식의 개선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도탈락한 대학운동선수들의 경험을 통한 면담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중도탈락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엘리트 스포츠를 경험한 우수한 인적자원들인 대학운동선수들이 중도탈락하게 되었을 때 진로에 관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고자 사회적, 제도적 측면으로 지원방안과 개선방안을 논의하여 제시하였다.

      • Street dance를 통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 가치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박상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59

        본 연구는 Street dance를 통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 가치 인식을 알 아 보고자 한다. 따라서 Street dance의 경험에 대한 인식, 경험 유·무에 따른 교육적 가치, 신체적 가치, 사회적 가치와 참여정도에 따른 교육적 가치, 신체적 가치, 사회적 가치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S 중학교, S 고등학교 남녀학생 각각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는 Street dance에 대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 가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숙경(2001) “Dance Sports 교양수업의 만족도 ”설문지와 계진경(2003) “체육수업으로써 댄스 스포츠에 대한 중학생들의 가치인식” 의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조사대상에게 적합하게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은 연구의 신뢰도를 위해 설문의 신뢰도검사를 실시했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은 t-test분석과 일원변량분석, 공변량 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사용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체육가치의 차이는 여자가 남자보다 사회적 가치를 더 인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릿 댄스 인식정도에 따른 체육가치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 셋째, 스트릿 댄스의 경험 유·무에 따른 교육적 가치 · 신체적 가치 · 사회적 가치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 공변량분석의 결과는 스트릿 댄스의 교육적 가치 · 신체적 가치 · 사회적 가치가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스트릿 댄스의 교육적 가치 · 신체적 가치 · 사회적 가치 있다고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스트릿 댄스 참가정도에 따른 교육적 가치 · 신체적 가치의 인식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보자면 스트릿 댄스에 참가하는 기간이 길수록 교육적 가치가 높아지고 참가시간이 많을수록 신체적 가치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ppreciation of Street Dance as Physical Education. Thus its specific goal is to exam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their experiences in Street Dance, its theoretical value, its physical value, its social value and its educational value. For attaining this's purpose, the written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300 male, female students in S middle and high-school. This study used a written questionnaire that is based on written questionnaires of “An Analysis on the Dregee of satisfaction of the Dance Sports Class as a Liberal Arts”(Sook Kyung, Kim, 2001) and "Middle School Students` Appreciation of Dance Sports as Physical Education"(Jin Kyung, Kye, 2003)”, which is edited and supplemented for fitting targets to confirm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ppreciation of Street Dance as Physical Education . For analyzing data, this study used reliability test to make relies and T-test, One way-ANOVA, ANCOVA,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a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at obtained through these research and data analyze is that four below each clue. First, the difference of physical educational value perception dividing by gende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resented female students group recognize social value more compare with male students group. Second, There are partly different that physical educational value perception depends on recognition level of street dance. Third, there are partly difference that educational value, physical value, social value that depend on experience of street dance. The conclusion of ANCOVA means that street dance's educational value, social value depend on exper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th, educational value and physical value have considerable difference which depend on participating ino street dance. For detail, educational value is recognized higher that depend on participating period, and physical value is recognized higher that depend on participating time.

      • 중학생의 수업형태에 따른 대인관계 차이 분석

        이솔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e results will help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them by activ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a respectful and cooperative moo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100 students, who similarly felt difficulty in forming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been selected as participants by preliminary screening for this study, and all participants were junior and senior in the middle school located in Dobong-Gu, Seoul when the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ither one group where individu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 or the other group where group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 Both classes started in March, 2013 and lasted through May, 2013, and all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differences and direct observation after conducting both individual and group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ree times per week. For the individu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1) a researcher explained the subject of the physical activity each individual can do and provided demonstration for clear understanding; 2) a researcher gave all participants enough time to think and exercise to try their own methods or strategies by themselves; and 3) the students who completed plan and exercise with their own methods or strategies provided demonstration for other students. For the group physical education classes, 1) the demonstration had been given by explaining the subject of the physical activity each group can do after dividing participants into several groups where there were less than six people per group; 2) all participants in each group gathered together, a role was assigned to each participant, completed meeting, and practiced together; and 3) each group provided demonstration in front of other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concluded below. First, the participants who were assigned to the individu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nded to be more active and enjoyable and more engaged in their role compared to the ones in the group physical education classes. However, several participants assigned in the individu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likely to be boring and try not to participate. Second, there have been more effects in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who took the group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mpared to the ones who took the individu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Moreover, there was a student, who couldn’t be adapted in classes, whos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friends was gradually improved by participating in the group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ere the student showed the individual talent and communicated with other students. Third, the students who took the group physical education classes more actively participated by selecting their roles in the group and helped improve flexibility, creativity, and originality through meeting with other group me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체육수업을 어떠한 형태로 하느냐에 따라 대인관계 형성에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서로를 존중하며 협동하는 분위기에서 활발한 체육활동으로 원만한 대인관계를 신장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도봉구 소재의 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대인관계 형성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가 같은 100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13년 3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개인별 체육수업을 실시할 대상과 모둠체육수업을 실시할 대상을 분배하여 체육수업을 주 3회 실시한 후 설문조사를 하여 차이 분석 및 교사의 관찰로 결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개인별 체육수업을 위한 연구의 실천은 1) 개인이 할 수 있는 체육활동의 과제를 설명하고 본 연구자가 시범을 보여주었다. 2) 학생 스스로가 자신만의 방법으로 할 수 있도록 생각할 시간과 연습할 시간을 주고 3) 자신만의 방법으로 구상 및 연습을 끝낸 학생들이 친구들 앞에서 시범을 보였다. 모둠체육수업을 위한 연구의 실천은 1) 6명 이내의 소규모 모둠을 구성하여 모둠별로 할 수 있는 체육활동의 과제를 설명하고 시범을 보여 주었다. 3) 모둠 구성원끼리 모여 역할 분할 및 아이디어 회의 후, 모둠 구성원 모두가 함께 연습한 후 4) 연습 후 친구들 앞에서 모둠별로 시범을 보였다. 본 연구의 체육수업 형태에 따른 지도안에 따른 활동을 통하여 첫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들은 개인별 체육수업보다 모둠체육수업을 했을 때 더 명랑하고 쾌활하게 수업할 수 있었으며 친구들과 어울리는 수업에 더 열의를 가지고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에 충실히 임했다. 그러나 개인별 체육수업에서는 몇몇 학생들이 지루해하거나 많이 참여하지 않으려 하였다. 둘째, 모둠체육수업을 한 학생이 개인별 체육수업을 한 학생보다 학생들의 대인관계 형성에 효과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학급에서 적응하지 못하던 학생도 모둠체육수업을 함으로 인해서 각자의 재능을 보여주고 많은 의사소통을 나누며 교우관계가 조금씩 나아지는 학생도 볼 수 있었다. 셋째, 모둠체육수업을 한 학생들은 모둠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선택하여 활동함으로써 체육 활동에 더욱 성실히 참여하였고 모둠구성원들과 아이디어 회의를 통해 융통성 및 독창성, 창의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 체육교사 사고양식이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정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사고양식에 따라 체육수업을 받는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체육교사들의 사고양식을 조사하고, 체육교사의 사고양식이 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4개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당 교사 1명, 학생 90명으로 총 교사 8명, 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고, 체육교사 사고양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고양식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체육수업 만족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서는 사고양식검사와 체육수업 만족도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a계수를 산출하였고, 사고양식검사와 체육수업 만족도 검사의 요인구조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기 위하여 성별, 급별에 대한 차이는 t-test, 관심도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고양식이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게 되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 관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에서는 성별, 관심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 사고양식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 관계 체육교사 사고양식에 따라 체육수업 만족도의 관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학생 7560+운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인식의 관계

        서대용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서울학생 7560⁺운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인식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서 현재 서울시 각 급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서울학생 7560⁺운동」의 효과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신체활동 활성화와 체육수업인식 변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교 4곳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각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유층집락 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31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을 위한 설문지는 Marsh(1994)등에 의해 개발된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PSDQ :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를 우리의 문화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김 옥(2003)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체육수업인식은 김진용(1997)의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이진석(2002)이 재구성한 것을 본 연구에 부합하도록 수정·보완 후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한글 SPSS Ver. 12.0을 사용하여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에서 남학생 집단은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지구력, 근력,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신체전반, 건강, 외모 요인에서 여학생 집단보다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인식은 남학생 집단이 목표인식, 교사평가인식, 흥미인식에서 여학생 집단보다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학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1학년이 체지방 요인에서 3학년 보다 자신의 체중을 비만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신체활동 요인에서는 2학년, 1학년, 3학년의 순으로 신체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존중감 요인은 1학년이 3학년 보다 자신을 더욱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요인도 1학년이 3학년 보다 자신이 건강한 것으로 인식했다. 학년에 따른 체육수업인식은 1학년이 2학년과 3학년보다 분위기인식에서 체육수업의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학생 7560⁺운동」의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신체전반, 외모 요인에서 주당 5회 이상의 참여자가 주당 3∼4회 참여 또는 3회 미만 참여자 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학생 7560⁺운동」의 참여빈도에 따른 체육수업인식은 흥미인식에서 주당 5회 이상의 참여자가 주당 3∼4회 참여 또는 3회 미만 참여자 보다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울학생 7560⁺운동」의 참여시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스포츠 유능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활동, 신체전반, 외모 요인에서 1시간 이상 참여자가 30분∼1시간 참여 또는 30분미만 참여자 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학생 7560⁺운동」의 참여시간에 따른 체육수업인식은 1시간 이상 참여자가 목표인식, 교사평가인식, 흥미인식에서 30분∼1시간 참여 또는 30분미만 참여자 보다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서울학생 7560⁺운동」의 참여기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스포츠 유능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활동, 신체전반, 외모 요인에서 1년 이상 참여자가 3개월∼1년 또는 3개월 미만 참여자 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학생 7560⁺운동」의 참여기간에 따른 체육수업인식은 1년 이상 참여자가 목표인식, 교사평가인식, 흥미인식에서 3개월∼1년 또는 3개월 미만 참여자 보다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서울학생 7560⁺운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인식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유능감과 신체전반 요인은 체육수업인식의 목표인식과 교사평가인식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신체적 자기개념의 체지방 요인은 체육수업인식의 분위기인식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의 스포츠 유능감과 지구력 요인은 체육수업인식의 흥미인식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