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애착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선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 능력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애착, 심리적 안녕감,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 능력, 정서표현양가성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정서조절 능력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넷째, 정서표현양가성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S지역 초등학교 5~6학년 남·여 학생 245명이다. 부모애착을 알아보기 위해서 옥정(1998)이 번안하여 수정 및 보안한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 개정본(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 IPPA-R)을 사용하였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는 Ryff(1998)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 PWBS(Psychological Well-being Scale)를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가 한국판으로 번안된 것을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정재찬(201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정서인식의 명확성 척도는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및 Palfai(1995)가 개발한 특질 상위 기분 척도(TMMS-Trait Meta-Mood Scale)를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번안하여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정서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문용린(1999)이 개발한 정서 지능검사의 하위 척도 중 정서조절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표현양가성 척도는 King & Emmons(1990)가 개발한 정서표현 양가성 질문지(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를 최해연 외(2007)이 번안·타당화한 AEQ-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심리적 안녕감,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 능력 및 정서표현양가성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부모애착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정서조절 능력은 부모애착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넷째, 정서표현양가성은 부모애착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즉 부모애착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을 더 명확하게 하고 정서조절 능력이 높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을 낮게 느낄수록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은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달적 과도기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 능력 및 정서표현양가성이 부분매개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애착이 정서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교육 현장에서 정서교의 필요성을 밝혔으며, 학교 상담자나 교사 역시 아동의 정서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해야 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인 건강을 유지하는데 정서 변인의 역할이 크므로 가정은 물론이고 학교 현장에서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방법과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정서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체계적인 정서교육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학교 교사나 상담자 역시 대상으로 학생들의 정서 능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정서교육 및 연수를 주기적으로 받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서인식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정서교육이 첫 단계이며, 정서조절 능력은 학교 현장이나 상담에서 교육을 통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방법이므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 연구동향 - 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

        박재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성취동기이론을 바탕으로 제안된 기대-가치 이론은 초기에 기대 신념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Eccles와 Wigfield(2002)에 의해 주관적 과제가치의 중요성이 제안되었 다. 이후 가치의 하위변인인 비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Barron과 Hulleman(2015)에 의해 기대-가치-비용 모델이 제안되었고, 이후 세 구성 요인을 세 분화하여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과 관련된 교육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 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연구물의 경우 학 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 한국학술정보서비스(KISS), 한국과학기 술정보센터(NDSL), 구글학술검색(Google Scholar) 등을 통해 분석 대상 연구물을 추 출하였다. 수정된 현대 기대-가치 이론(Eccles & Wigfield, 2002)이 제안된 시점부터 2023년까지로 연구 시점을 제한하였으며, ‘기대-가치(expectancy-value)’, ‘기대-가치- 모델(expectancy-value model)’, ‘과제가치(task value)’, ‘가치(value)’, ‘비용(cost)’을 한 국어와 영어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간 중복, 원문 사용 불가, 교육학 이외의 영역(예.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등)에 해당하는 연구물을 제외하고, 학위논 문이 학술논문으로 출판된 경우는 학술논문으로 집계하여 국내 연구물 130편과 영 어로 발표된 국외 연구물 57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사한 분야에서 수행 된 연구동향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의 시기, 대상, 적용범위, 방법, 구성요인을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다.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과 관련된 교육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물 총 187편을 분 석하여 다음과 같은 동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시기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초기에는 국내연구가 국외연구가 더 적었 으며 국내연구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점은 2008년 이후이고 2010년에 국외 연구 물 수보다 많아졌고 2016년부터 2022년까지는 계속 국내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특히 2015년에 기대-가치-비용 모델 이 소개된 이후 구성 요인이 3개로 확장되었기 때문에 연구물의 수도 증가하였을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 연구자의 복수 연구 성과가 출판물의 수를 증폭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경향도 볼 수 있었다. 둘째, 대상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국내연구는 중학생 대상이 가장 많은 반 면, 국외 연구는 대학생 대상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연구 수행을 위한 사회·제도적 여건의 차이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셋째, 적용범위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거의 모든 연구가 학교 교과목을 적용하였으며 그 중 국내연구는 수학과 체육이 다수를 차지했지만, 국외 연구물은 수학과 과학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이 애초에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수학 학습동기를 연구하기 위해 시작된 배경이 반영된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그러나 국내연구 중 체육교과 대상 연구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체육교육분야에서 동기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 집단의 연구성과가 반영된 현상으로 해석하였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변인 간 상관을 기초로 하는 분석과 척도 개발 연구가 국내·외 공통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동향은 다변량분석을 할 수 있는 정교한 통계분석 기법들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론의 구성요인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국내·외 모두 기대-가 치 2요인 연구물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대-가치-비용 3요인 모델이 2015년에 제안되었기에 관련 연구물의 비율도 상당한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동향분석을 바탕으로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 의하고 본 연구가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기능할 수 있음에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주제어: Eccles, 기대-가치, 과제가치, 과제비용, 기대, 가치, 비용

      • 초등학생용 용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송옥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용서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학생들의 용서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용서 정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10개 반을 대상으로 Enright's Forgiveness Inventory(EFI, 1991)를 박종효(2002)가 번안하여 사용한 용서 심리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용서 정도가 낮은 두 개의 학급을 선정하였다. 이 중 한 학급으로 구성된 36명은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의 36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Enright(2004)의 용서의 단계를 바탕으로 구안되었으며,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용서교육 프로그램(정지윤, 2005), 인지 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이미경, 2006), 공감을 통한 용서교육 프로그램(이지영, 2006),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용서교육 프로그램(하요상, 2006), 용서상담 프로그램(김광수, 2008) 및 Enright(2004)와 Luskin(2003)의 용서를 촉진하는 전략적 기법들과 KBS 다큐멘터리 마음의 동영상 자료 등을 본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검사도구로는 Enright's Forgiveness Inventory(EFI, 1991)를 박종효(2002)가 번안하여 사용한 용서 심리 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Window 12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용서 정도 증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분석에서도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용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용서 정도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대인관계에서 아직 깊은 상처 경험이 적은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예방 프로그램을 통하여 용서를 경험해봄으로써 자신의 내적 상처 치료뿐만 아니라 앞으로 더 자주 용서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의미한 용서 작업 활동을 위하여 용서를 이해하고 선택하는데 차이를 보 이는 아동들을 위한 용서를 이해시켜 줄 수준별 자료 준비가 필요하다. 둘째, 용서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구성되어 실시된다면 예방적 차원의 용서교육으로 더욱 효과가 있을 것이다.

      •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안운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재적 동기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 내재적 동기는 서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는 매개효과를 갖는가? 이 연구는 전국단위 지역교육청 및 학교에 근무를 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Counselor Self-Efficacy Scale; CSES), 내재적 동기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18.0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 내재적 동기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은 더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교상담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심리적소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과, 이를 완충해줄 수 있는 내재적 동기의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논의되길 바라며,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연수를 활용하여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어린이집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 양육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분석

        김상언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현대 사회 환경은 가정의 가족 구조와 기능을 핵가족으로 변화시켰고, 이는 부모 역할의 성공적인 수행을 어렵게 만들었다. 그로인해 많은 부모들이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그리고 자녀와의 효과적인 인간관계를 어떻게 형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혼란을 겪고 있다. 현대의 부모들이 변화되고 다양해진 부모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자녀의 입장에서 아동기의 부모교육이 중요한 것은 생애 초기의 경험이 후기의 인성이나 삶에 대해 결정적이며, 출생 후 최초로 접하는 가정환경인 부모의 양육태도가 가장 커다란 영향력을 갖기 때문이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모 자신이 받아온 양육방식, 부모의 성격, 그들이 속한 사회 문화, 부모자신의 가치관, 자녀관 등의 복합적인 관계에서 만들어진다. 더욱이 어린시절은 결정적 시기로 양육이 되면 수정되기가 어렵다는 인간 발달의 특성상 부모역할 및 부모교육은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부모교육은 인간관계에 기초한 의사소통 기법을 학습하는 기능적인 부문이 강조되어 왔고, 부모자녀 간의 정서적이고 감정적인 부분을 바탕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 최초의 심리·정서적 환경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부모자녀 간의 정서적이고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위한 감정을 조절하는 대화를 바탕으로 어린이집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변화의 여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축소전환형 양육방식태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억압형 양육방식태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방임형 양육방식태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넷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감정코치형 양육방식태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 동구 00어린이집에 재원생을 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4회기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Gottman의 자녀양육 방식을 남은영(2007)이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인 실정에 맞게 수정한 것이 사용되었으며,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문항간 내적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의 α를 산출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는 t-검증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본 연구에서 구성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축소전환형, 억압형, 방임형, 감정코치형의 자녀양육태도를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부모자신의 내면상태를 이해하고 자녀를 이해하며 자아존중감에서 부모자신이 변화되어 자녀와의 의사소통에도 긍정적 변화를 가져온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자녀가 출생 후 최초로 접하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의 인생 전반에 걸친 지적, 정의적, 신체적, 행동적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녀 양육에 있어서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resent society we live in is changing into an information-oriented, globalized, multi-cultural society. In today's society where families are all becoming so diverse, it is not at all simple to explain the essential qualities of parent education. Moreover, in the environment of a rapidly changing society like today'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amilies are changing into that of a nuclear family, making it harder for the role of parents to be successfully played. Thus, many parents experience confusion when it comes to knowing how to play the role of a desirable and when forming an effec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 Therefore, in order for today's parents to change and superbly play the diverse role of parents, parent education is required. From a child's perspective the importance of childhood parent education is that the first experiences of childhood have a big role in deciding the character and upcoming life of the child, and the family environment, the first nurturing actions of parents they come into contact with after birth affect them greatly.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parents are formed by their own experiences with parent education, nurturing methods, parent's personality, the cultural society they were a part of, the parents' sense of valu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 and child. Moreover, the parental role and education is importance since childhood is a critical stage in which what is taught is difficult to be fixed. However, parent education until now has been emphasized on studying and learning the functional part of communication techniques based on human relations, and is in a state where it is lacking emotional and sentimental aspects in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In the following study the first emotional, mental environment which is the parent's nurturing behavior, and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is addressed, and the emotionally controlled communication needed to form an emotional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was the base of this study. The goal was to observe and prove the parental nursing attitudes and changes when parent education was implemented on mothers that have children attending daycar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pre-study was inspected and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change in the decreased changed behavior of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2) How is the change in suppressed nurture attitudes of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 3) How is the change in noninterference nurture attitude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 4) How is the change in emotion coaching nursing behavior in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following study,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according to fourth session for the positive change of parent nursing attitudes on the subject, a group of 10 mothers who have children enrolled in OOdaycare located in dong-gu in the city of Daejon. Nam Eun Young's improvisation of the child nursing method of Gottman to match South Korea's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between parent and child was used, and the SPSS statistics program was used in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 questions, Gonbach's alpha was produc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pre-inspection and post-inspection was compared as t-verification. The results are that this study of parent education program shows that there is an effect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change in the decreased changed, suppressing, noninterference, emotional coaching way that parents raise children. Especially, results show that understanding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arents themselves and understanding the child while the parents themselves change in self-respect bring positive changes in communication with the child. Looking into these result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first positive nursing behavior shown after the birth of the child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child's overall intellectual, physical, movement growth of their lives. Finaiiy, when it comes to child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 father must be recognized and education for fathers and education for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uggested.

      • 장애학생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박종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사가 장애학생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급유형 변인에 따른 초등특수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실태와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유형(특수학교, 특수학급)에 따라 초등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인식은 어떠하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운영의 범위를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생활지도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전국 초등특수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특수교사는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생활지도 운영에 부모참여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 그 실행 정도는 인식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과 하위영역에서는 ‘기초교과(국어, 수학)’에서 부모 참여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체험활동 하위영역은 ‘진로활동’, 생활지도 하위영역은 ‘신변자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등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부모참여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로는 ‘장애학생 행동 및 정서적 발달의 긍정적 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운영의 어려움에서는 ‘과다한 행정적 업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유형에 따른 초등특수교사의 부모참여 교육과정 운영 실태는 생활지도 하위영역에서, 부모참여 필요성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학교의 행정적·재정적 어려움과 부모와 학생의 개인적 어려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특수교사들이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생활지도 각 영역에서 부모참여를 실제적으로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으며, 각 영역에 맞는 부모참여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부모가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형태에 따른 초등특수교사의 부모참여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베이비부머의 퇴직태도, 노후준비가 심리적위기감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민지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에서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63년)출생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퇴직에 직면한 대상자의 퇴직태도, 노후준비가 그들의 심리적위기감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남자53명 여자47명으로 각각 53%, 여자47% 연령 50대~60대 초반으로 구성되어있다. 학력은 중졸 3명으로 3%, 고졸31명 31%, 전문대졸업 및 재학 12명 12%, 대학교 졸업 및 이상 54명 54% 기독교 24%, 천주교 8%, 불교29%, 무교 39%나타났다. 자녀를 1명 둔 가정을 20명 20%, 2명은 50명 50%, 3명이상은 26명으로 26%이며 경제적 형편은 하 14% 중하44% 중 24% 중상18%, 자녀의 결혼 상태는 자녀가 없음 4%, 아무도 결혼하지 않았다87%, 일부만 했다 6%, 모두 결혼했다 3%로 결과가 나왔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퇴직태도, 노후준비, 심리적위기감, 심리적안녕감 각 특성결과이다. 먼저 퇴직태도는 제 특성의 하위요인 중 “중졸, 고졸, 전문대, 대학교재학 이상으로 학력이 올라갈수록 (P=0.00)으로 유의하며, 하보다 중상으로 가정형편이 높아질수록 (P=0.05)로 퇴직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심리적 위기감은 성별(P=0.044), 학력(P=0.037), 종교(P=0.033)에 따라 심리적 위기감 차이가 유의하다고 나타난다. 심리적안녕감은, 하위요인 중 학력(P=0.014)에 따라 “중졸보다 전문대 졸업 및 재학 이상의 응답자가 심리적안녕감이 더 높다고 나타난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가정형편에 따른 퇴직태도, 노후준비, 심리적위기감, 심리적안녕감의 특성 차이는 다음과 같다. 가정형편에 따른 퇴직특성 노후준비 심리적위기 심리적안녕감의 차이는 퇴직태도와(P=0.05) 노후준비(P=0.04)는 가정형편과 유의하지만, 심리적 위기감과(P=0.318) 심리적 안녕감(P=0.788)은 유의수준(P=0.005)보다 높게 나왔기 때문에 가정형편에 따른 심리적 위기감과 심리적안녕감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다고 본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퇴직태도와 노후준비에 따른 심리적위기감과 심리적안녕감 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후준비와 퇴직태도의 상관관계는(0.2)로 유의수준(P=0.46)을 나타낸다. 심리적위기와 노후준비의 상관관계는(-0.496)으로 매우높은 음의상관관계로 유의수준은(P=0.00)을 나타낸다. 심리적안녕감과 노후준비 상관관계는(-0.277)으로 매우높은 음의상관관계로 유의수준(P=0.005)을 나타낸다. 심리적안녕감과 심리적위기감의 상관관계는(0.570)으로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수준(P=0.00)을 나타낸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퇴직태도와 노후준비에 따른 심리적위기감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심리적안녕감, 심리적위기감, 퇴직태도를 매개효과 검증 회귀분석을 하였다. R계수(0.747)로 설명력이 높으며, 독립변수 2단계에서 표준계수 (0.461)로 3단계 표준계수(0.343)으로 베이비부머의 퇴직태도에 따른 심리적위기감이 심리적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심리적안녕감, 심리적위기감, 노후준비를 매개효과 검증 회귀분석을 하였다. R계수(0.696)으로 설명력이 높으며, 독립변수 2단계에서 표준계수(-0.128)로 3단계 표준계수(0.768)보다 작으므로 모든 회귀분석에서 유의하다고 하나 매개효과는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즉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에 따른 심리적위기감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고 본다.

      • 학교폭력 실태 및 예방에 관한 연구 : D교육청 학교폭력 가해자 특별교육기관 'S센터'를 중심으로

        노연순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학교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대구중학교 자살사건에 이어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의 자살이 언론에 연일 보도됨으로써 우리 사회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경악을 금치 못하게 되었다. 우리 사회의 폭력에 대한 민감도가 만성화 되어 가는 가운데 미래의 우리 사회를 지탱해나가야 할 학생들 간의 학교폭력이 더욱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최근 들어 학교폭력이 불량서클을 중심으로 집단화, 흉포화 되고 있으며, 일부 음란 폭력성 영상물을 모방한 충격적인 일탈행동은 위험 수위를 넘어서 조직폭력 수준이 되었다. 학급 친구들로부터 집단 폭력의 고통에 시달리다가 자살을 하는 학생, 왕따를 당한 학생이 친구를 칼로 찔러 숨지게 한 사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여 외국 유학을 떠나는 학생 등 불행한 사건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현실이 된 것이다. 하지만 그 심각성이 이미 1980년대 후반부터 제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상에 대한 주장과 논의만 무성할 뿐, 이에 대한 대처방안은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더 이상 아이들끼리의 사소한 다툼이고 커가는 과정이라고 묵과하기에는 문제의 심각성이 너무 커진 상황이고 다양한 방법과 제도적 차원의 개입이 시급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의 학교폭력 변화 모습은 연소화‧집단화‧광역화되고 있으며 그 양상도 성인범죄를 모방하고 있어 해가 갈수록 더욱 흉포화‧교묘화‧지속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현실에 처해 있는 우리 학생들이 안전한 교육환경 속에서 보다 편안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줘야할 당면과제를 가지게 되었다. 이에 필자는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을 선행 한 후 보다 실효성 있는 해결방안과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이러한 목적 하에 학교폭력의 원인과 대책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서론 부분으로 서술된 Ⅰ장은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였고, 그 뒤로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연구방법을 사용했는지에 대해 기술하였다. Ⅱ장은 이론적 배경에 대한 서술로 학교폭력의 개념 및 경향 그리고 학교폭력이 일어나는 배경들에 대한 제반 관계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을 가정․ 학교․ 사회에서 폭력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과 매체를 통한 폭력의 간접 경험, 그리고 학생들의 문화시설과 여가 프로그램 부족, 교우관계의 불만, 개인과 집단의 대립에서 오는 소외감 등으로 파악을 하고자 한다. Ⅲ장은 학교폭력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였는데 기초적으로 교육부에서 시행한 전국 학교폭력의 연도별 피해 및 가해현황을 파악하고, D교육청 학교폭력 가해자 특별교육기관 S센터에서 교육을 받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파악한 학교폭력 가해자의 실태를 통해 구체적으로 폭력피해 원인별 실태와 폭력피해 유형별 실태를 분류하고 학교폭력방지의 문제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Ⅳ장은 학교폭력의 예방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였는데 먼저 지금까지 학교폭력에 대해 어떻게 조치가 이루어졌는가에 대해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학교 폭력에 대한 예방대책을 가정 내 차원, 친구 및 청소년 문화 활동 차원, 학교차원, 지역사회차원에서 예방대책들을 제안하였다. Ⅴ장은 연구의 결론부분으로 지금까지 진행된 전체연구의 요약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하고자 한다.

      • 지각된 교사와 또래의 기본심리욕구 지지가 학업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손병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Academic amotivation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such as boredom, lack of effort, and indifference and it is found that as the school year progresses, the number of the academically amotivational students gradually increases. Accordingly,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of 200 students (146 males and 54 females) in first-yea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ho may well express the features of academic amotiv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teachers and peer support on academic amotivation through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is found that the teachers' suppor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direct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academic amotivation (beliefs in ability, beliefs in efforts, task values, task characteristics), while peer suppor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full mediating effects on academic amotivation sub-factors (beliefs in ability, beliefs in efforts, task values, task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suppor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from teachers and peers have clearly different pathways of influence on academic amotivation, suggesting the necessity of different approach of support respectively from teachers and peers for the improvements of academic amotivation. This study may have it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academic amotivation in terms of fundamental psychological needs, rather than by emphasizing improvem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