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觀光英語敎育에 대한 敎育者와 學生의 認識에 관한 硏究

        朴圭煐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31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 할 수 있을 것인가? 대학에서의 관광영어교육은 관광교육과정상의 문제점 및 제 여건 미비로 인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실용학문인 관광학에서 관광영어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관광관련 실무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앞에서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의 관광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관광관련업체 종사원을 배출하는 양성기관으로서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영어교육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고 조사된 근거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관광영어교육이 될 수 있도록 관광영어교육의 교수방법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며, 본 연구는 한국의 전문대학 이상의 관광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는 관광영어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후 교육방법에 관한 집중적인 연구를 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에서의 관광관련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영어 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이를 체계화 하였다. 둘째, 관광관련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교육의 실태중 특히 관광영어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관광관련학과에서 관광영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와 교육을 받는 학생을 대상으로 관광영어 교육에 대한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관광영어교육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과 그 실태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현황분석과 실증분석의 단계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관광관련학과에서의 바람직한 관광영어교육의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는 설문조사가 완료될 1998년을 기준 년도로 정하고 이론적 연구의 과거 분석 년도는 한국에서 관광관련학과가 경기대학에 맨 처음 설립된 1964년부터 최근의 관광관련학과 관광교육 및 관광영어교육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실증분석의 구체적인 시기는 1998년 8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로 수도권 및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 이상의 관광관련학과에서 관광영어를 강의하는 교수들과 관광영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연구와 실증적인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이론적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에 소재한 대학중 관광관련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학교 특히 관광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영어교육 방법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는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의 지역적 대상 범위는 수도권 및 경기지역중 관광관련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전문대학이상으로 한정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관광관련학과에서 관광영어과목을 강의하고 있는 교수와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 추출방법은 무작위 추출방법이 이용되었고, 유효표본은 195매로 확정되었다. 조사기간은 1998년 8월 20일부터 1998년 9월 20일까지였고, 조사된 자료는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dows)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들이 인식하는 관광영어교육은 다음과 같다. 교수들의 관광영어에 대한 흥미는 매우 강하게 나타났으며, 교수들이 인식한 학생들의 관광영어에 대한 흥미가 높은 이유로 취업과 전공분야에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이 관광영어에 대한 흥미가 낮은 이유는 실생활과 관련성이 없기 때문이며, 학습기자재의 사용빈도는 한달에 2-4번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적당한 수업인원수에 대하여는 10-20명이 가장 적당하다고 대답하였으며, 효과적인 수업방식은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학생중심토의식 교육효과에 대하여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향후 관광영어교육의 잔행방향은 실무실습 위주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학생들의 관광영어에 대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관광영어에 대한 흥미는 높은편이며, 흥미가 높은 이유는 취업 및 전공에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관광영어에 대한 흥미가 낮은 이유로는 실생활과 무관 및 영어실력이 부족하다였다. 학생들의 듣기·말하기 수준은 평균이하인 학생들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교수들의 시청각기자재 사용에 대한 견해는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며 현재 학급당 수업인원 수에 대하여는 50%이상이 너무 많거나 많다고 응답하였다. 적당한 수업인원 수에 대한 견해는 10-20명으로 파악되었다. 가장 효과적인 영어교수방법에 대하여는 학생들도 교수들과 마찬가지로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이라고 응답하였다. 향후 관광영어 교육에 대한 견해에서는 실무 및 이론실무겸비의 교육으로 진행하여야 한다는 대답이 88.1%였다. 셋째, 교수와 학생의 공통질문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교수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관광영어를 가르치는 교수는 내·외국인중 내국인이 약간 더 선호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르치는 교수의 전공여부에 대하여는 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영어를 전공한자가 더우수하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현재 관광영어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학생과 교수모두 다 관광영어 교육과정의 문제로 지적되었다. 대학관광영어가 자격증 취득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것은 도움이 되지 않거나 보통이라는 견해가 69.6%였다.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소재하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시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 이상의 관광관련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영어교육에 대하여 이론적 연구와 실증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지역적인 특성과 각 학교별 교육이념 등 제요인을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전문대학이상에서 실시되고 있는 관광영어교육이 과연 현장근무를 함에 있어서 효과적인가에 대한 관광관련학과 출신 현장실무자들에 대한 조사의 미비로 인한 이론적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ow can we be good at English? Actually, Tourism English education was not carried out well because the system was both undeveloped and disorganized. This study will explain the current state and the problems of Tourism English, and will then show the direction teaching should move in. The practical analysis is from 20 August to 20 September, 1998, which is the period I conducted my survey with professors and the students in college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sample was random and the available sample was limited to 195.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using the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dows)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fessors' view of English education for tourism: The professors were very interested in English for tourism and said that the reason that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is is their need for a job and for their major. The reason students are not interested in English for tourism was that English is rarely related with the practical side of life. The using time of the education material was 2-4 for a week. The appropriate size of the class is 10-20 students a class, they said, and the most effective lectures used the communicative teaching method. They considered the student centered class as a good one and preferred classes with practical education. Second, the students' views: Their interests in English for tourism was high, because of its importance for finding a job and for the department they are majoring in. There was, however, an opposite view, which held that English is not related much to practical life, affected by a feeling that they were not good in English. Over half of them were below average in listening and speaking. They thought what the professors' use of audio-visual material is helpful. Over 50% replied the the current class size is too big. The rational size of the class was 10-20. They preferred the communicative teaching method, like the professors. The opinion for the future direction to take, 88.1%, was that the class should proceed both practically and theoretically. Third, the views of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Korean professors were preferred a little bit more than the foreign professors. The survey was that the professors who majored in English in graduate school were superior to the professors who majored in English in undergraduate school. The problem that students and professors are concerned with is the curriculum, and 69.6% said that college English for tourism is not helpful in getting a certificate. On account of time limits this study couldn't cover the entire national university system, but only colleges located around Seoul and Kyonggi Province. I have carried out a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is of English education for tourism throughout the departments relating to tourism in the colleges, so I couldn't examine the regional specialties and educational outlooks of each college. Especially due to the lack of research for people being asked on the spot in their actual place of work or study whether English education for tourism working, the study is limited on a theoretical basis. Therefore, to overcome this point, there should be more and continuous study.

      • 한국 관광학 연구의 동향 : 관광관련학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월계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research project of touris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search trend regarding tourism. As searching the complete enumeration without restriction over time and space from initial stage to present, trend research is analyzed by subject, year, degree, university and department. A data for research subject is conducted which the time period for the data is from 1980 to 2009 and 5,596 total theses were used for the data research which 4,535 theses was used for the master degree and other 1,061 theses were used for the doctorate which was extracted from National Library of Korea using 21 keywords related to the tourism. The reason to use the search function of the Library is that all theses published within Korea are obliged to present a specimen copy of them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Precedent researches were executed numerous times in domestic and overseas on the subject of research trend of tourism but those researches were restricted by period, region, and degre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mplement the complete enumeration targeting all theses published within Korea and is meaningful for analyzing the topics by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As an analytic method, first, a subject distribution of dissertation related to the tourism within KDC was examined and second, the topic analysis was retried by keywords based on the classified table in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as most of theses were leant too much towards a certain classification without categorizing by three section in tourism within the classification table of KDC. Third, a volume of publishing theses was examined by year and a status of thesis was analyzed classifying by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 as the unit of the years over from 1980 to 2009. Fourth, theses were analyzed the subject characteristics by degree. Fifth, a number of theses were searched by department per each university where has a post graduate school of tourism related and lastly, a recent trend of tourism research was understood as examining changeable aspects of dissertation by department related to tourism and of department name which were searched the status of theses by overall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first, 2,771 theses of tourism (326.39) were mostly occupied in the overall thesis 5,596 and these of hotel (596.81) and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596.1) were the next rank about 2,102 these in a subject distribution on the academy classified table. Second, dissertations for hotel/restaurant industry management are 2,579 overwhelming and ones for marketing/product are 633 in keyword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table of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Third, a number of master’s and doctorate dissertation was the highest gain in status dissertation by year. Moreover, as classifying the issuing period of dissertation by a unit of 10 years, the first period from 1980 to 1990 was issued 438, the second period from 1991 to 2000 was issued 1,489 and the third period from 2001 to 2009 was issued 3,669 which showed remarkable volume increase in a recent period. Fourth, diversity of subject area were showed more in master’s thesis than doctorate one in the subject characteristic by degree. Fifth, Kyonggi University published 1,399, Sejong University issued 1,229 and Kyunghee University issued 1,992 overwhelming in dissertation status by each department of University. Sixth, tourism management school issued 2,652 dissertation, hotel tourism management issued 740, hotel management issued 609 and restaurant industry as a new department issued 26 in 2007 and tourism and scie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issued 3 these from 2008. Implications of results in this study are that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ourism has been getting highlighted on the total academic characteristics as tourism area has been recently diverse and identity controversy of tourism cam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otal academy. Despite of the quantitative growth of academic thesis in this study results, it is the problem that the controversy has been continuously mentioned. Research method and subject leant too much toward one side are the assignment for overcoming to researchers for differentiated tourism development with accumulating qualitative research kept pace with the quantitative one regarding tourism. The establishment for Research indicators is required for proper integrated professionalism and standardiz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which the study of tourism intends leant to the non-business area as tourism demand has been recently increased by quality of life and by implementing the five-day work week and leisure time increase which causes demand increase regarding dine-out, cooking, culture, sports and leisure. Differentiated curriculum course is required to university with four year course, two year course, industrial university, cyber university so on whether quantitative and practical study require putting before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tourism status or vice versa. 본 연구는 관광학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관광학의 발전적 연구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관광학의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시대적, 공간적 제한 없이 학위논문 전수를 조사하여 내용분석을 함으로써 주제별, 연도별, 학위별, 대학별, 학과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국내에서 발표되는 모든 학위논문을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의무적으로 납본 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관광관련학과 명칭 21개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자료를 추출한 결과, 시기적 범위는 1980년부터 2009년까지였으며, 석사학위논문 4,535건, 박사학위논문 1,061건으로 총 5,596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동안 관광학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기간별, 지역별, 학위별로 제한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모든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한국십진분류법(KDC) 학문분류표에 의한 주제 분석을 시도한 데 의의가 있다. 분석방법은 첫째, 논문의 KDC 학문분류표 내에서 관광학 관련 학위논문의 주제 분포를 살펴보았고 둘째, KDC 분류표 내에서 관광학 분야가 세분류되어 있지 않아 대다수의 논문이 한 분류기호에 편중되어 있어 한국연구재단 연구 분야 분류표에 근거한 키워드로 주제 분석을 재시도하였다. 셋째, 연도별로 학위논문 발표량의 추이를 살펴보았고 198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을 단위로 제1기, 제2기, 제3기로 구분하여 논문 현황을 분석했다. 넷째, 학위별로 주제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관광관련 학과 대학원이 개설된 각 대학의 학과별로 논문 편수를 조사했고, 마지막으로 전체 학과별 논문현황을 조사하면서 관광관련학과별 논문수의 변화양상, 학과 명칭의 변화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관광학 연구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첫째 KDC 학문분류표 상의 주제 분포는 관광학(326.39) 논문이 총 5,596편중 2,771편으로 가장 많았고 호텔(596.81) 및 공동주택관리(596.1) 분야가 2,102편이었다. 둘째, 한국연구재단의 연구 분야 분류표에 의한 키워드 분석에서는 호텔/외식산업경영이 2,579편, 마케팅/상품이 633편으로 압도적이었다. 셋째, 연도별 논문현황에서는 석·박사 공통으로 2001년도에 큰 폭으로 증가 하였다. 또한 논문발표시기 전체를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보면 1기(1980-1990)에는 438편, 제2기(1991-2000)에는 1,489편, 제3기(2001-2009)에는 3,669편으로 최근으로 올수록 괄목할만한 양적 증가를 보였다. 넷째, 학위별 주제 특성은 박사학위논문보다 석사학위논문에서 주제 분야의 다양성을 보였다. 다섯째, 각 대학의 학과별 논문현황에서는 경기대가 1,399편, 세종대가 1,229편, 경희대가 1,192편으로 압도적이었다. 여섯째, 학과별 특성에서는 관광경영학과가 2,652편, 호텔관광경영학과가 740편, 호텔경영학과가 609편이었고, 신생학과로는 2007년부터 외식산업학과가 27편, 2008년부터 관광조경학과가 3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시사점은 최근 관광학의 분야가 다양화됨에 따라 관광학의 학문적 특성인 종합학문적 특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관광학의 정체성 논란은 관광학이 종합학문의 성격이 가지는 데에 원인이 있는 것 같다. 연구결과물인 학위논문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학문의 정체성 논란이 지속적으로 언급된다는 것은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관광학의 양적인 발전에 맞춰 질적 이론의 축적이나 한국만의 차별화된 관광학 발전을 위하여 연구방법이나 연구주제 편중문제는 연구자들이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또한 최근 삶의 질 향상으로 관광에 대한 욕구증대와 주5일 근무, 여가시간 증가로 인한 외식, 조리, 문화, 스포츠, 레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광학 연구가 비사업분야 보다는 사업분야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론과 실용이 적절히 통합된 전문화, 표준화를 위한 연구지표 설정이 요구된다. 시대적 상황을 고려한 계량적, 실용적 학문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관광 현상학적인 이론적 규명을 우선시해야 하는지의 문제인데 4년제와 2년제, 산업대학, 원격대학 등에 따라 교과과정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 2년제 항공관련학과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아름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which factors of curriculum based on the department of aviation/tourism service are influential to the satisfaction of their major as well as the level of decision making of students for their careers, and to find out what the practically helpful curriculums are.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messag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atisfaction of their major, there was no differences of grades, and as for the level of decision making for their careers, the 1st grade was shown to be rather higher than the 2nd grade. Also, in terms of the level of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of economic activities, it was found out that as the number of the household members of economic activity increased, the level of decision making for career got higher as well. Based on this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operate the practice-oriented curriculums that can easily determine the level of decision-making for careers in the 2nd semester of 1st grade, and the 1st semester of the 2nd grade when operating the curriculum, and to seek for the substantial system at department level for the students with economic difficulties. Second, among the gener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the 'feasibility', 'system', 'professionality' and the textbook factors were found out to be influential for the satisfaction of major. According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ormulation of courses that lean to one side, the level of difficulty, and also the proper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educational hours, are important. In addition, since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educator, the number of educators,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educator, and the class hours are influential to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as its feature of having many practical subjects, it would be important to select the educators with having at least 3~5 years of related work experiences with holding the degree in the department, and 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roper placement of lectures for the educators and the number of students as well. As the texts are also good means that can deliver theoretical contents to students while providing visual effect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aterials of the educators are also important as well.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level of decision making for career, it was found out that the lecture ability among the educator factors of curriculum was influential to the degree of decision making for career. It can be said that the lecture ability of the lecturer who teaches contents of the text according to the textbook-oriented operation, is important. In addition, this can be regarded as the research result that remind us that the education is no longer based on theoretical delivery, but it is most fundamentally based on the human touch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개방화, 국제화, 세계화를 지향하는 현 상황으로 인해 국제 관광의 수요가 자연스럽게 증대되고 이에 따라 항공·관광 산업의 발전 속도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관광·항공 산업의 발전으로 많은 대학에서 항공·관광산업 인력 양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항공·관광관련전공 학생들은 실제 졸업 후 좁은 취업문과 정규직 전환에의 어려움, 열악한 근로 조건으로 인하여 그 만족도가 기대에 상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항공·관광관련 전공학생들은 학과 선택의 만족과 학과 교과과정의 만족에 따른 진로결정의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바 많은 논문에서 교과과정,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수준에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전공만족도 안에 교과과정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교과과정의 어떤 요인이 전공만족도에 구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관광서비스학과를 중심으로 교과과정의 어떤 요인이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과과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미래 준비에 효과적인가?’의 큰 연구문제 하에 ‘교과과정은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과과정은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세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기존문헌을 토대로 요인을 추출하고 항공·관광서비스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모형 변수들의 분석결과 교과과정에서 2학년보다 1학년이 교육자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결정수준에 있어서는 오히려 1학년이 2학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 가구구성원 수에 따른 진로결정수준에 있어서는 경제활동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과정 운영 시 1학년 2학기와 2학년 1학기 때 진로결정수준을 결정짓기 쉬운 실무위주의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학과 차원에서의 실질적인 제도가 무엇인지 모색해야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교과과정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교과과정의 일반사항 중 ‘적절성’과 ‘체계성’, 교육자 요인 중 ‘전문성’, 그리고 교재 요인이 전공만족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쪽으로 치중된 과목 편성, 난이도와 교육 시간 수의 적절한 분배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습과목이 많은 학과의 특성 상 교육자의 실무경험, 교육자의 수와 1인당 학생 수, 수업 시간 등이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교육자의 선정이 중요함과 동시에 교육자에 따른 적절한 강의배정과 학생 수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교재 역시 시각적 효과를 주면서 학생들에게 이론적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기에 교육자들의 교재 선택 역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교과과정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는 교과과정의 교육자 요인 중 강의능력이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교육은 이론적인 전달이 주가 아닌 학생과 교수사이의 휴먼터치가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해주는 연구결과라 할 수 있겠다. 넷째,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면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봤을 때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교과과정을 보기위한 것이 본 연구의 원래 목적이었으므로 교과과정 자체가 학생들의 만족도를 이끌어 내는 1차적 조건이기에 각 학교 교과과정 개발자들, 혹은 교육자들은 이를 유념하여 교과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한계, 성별 한계 등의 표본적 한계점이 존재하고 2년제 학교의 교과과정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한 연구가 진행되어 관광교육의 발전에 더욱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대학교육만족도와 직장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학과와 사회계열 주요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성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31

        관광학과가 관광진흥을 통한 국가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정규 학사과정 전공으로 개설된 지 반세기가 지났다. 그러나 관광학과 전공자들의 졸업 후 취업현황 및 고용조건 등에 대해 계열 내에서 살펴보면 고용률은 높은 반면 정규직 비율과 임금수준은 계열 내에서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 최근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이 직장에서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직장생활의 만족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나 행복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관광학과를 졸업한 대졸 재직자의 대학교육만족도, 직장만족도, 삶의 만족도를 동일연구에서 원인과 결과변수로서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와 4년제 관광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직장에 다니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대학교육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직장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후, 통제변인이 주요 변수사이에서 어떠한 영향관계를 보이는 지에 대한 검증을 통해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변수 간 영향관계를 살펴본 후, 원인변수로서 대학교육만족도, 결과변수로서 삶의 만족도, 매개변수로서 직장만족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통제변인으로는 선행연구에서 주요 변수와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전공, 성별, 연령, 학점, 종사상 지위 등으로 정하여 각 변수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실증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이 매년 시행중인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6GOMS)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 학과(전공) 분류 자료집을 기준으로 관광학과 재분류를 시행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에는 전문대 졸업자 591명, 4년제 졸업자 1,206명 등 총 1,797명을 선정하였다. 학과별 평균차이 검증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직장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에는 매개회귀분석 및 소벨테스트(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학과와 사회계열 주요학과의 변수별 평균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문대의 경우 대학교육만족도에서는 ‘학생복지 시설’ 변수, 직장만족도에서는 평균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삶의 만족도에서는 ‘개인적 측면에 만족’, ‘관계적 측면에 만족’, ‘소속 집단에 만족’ 변수에서 관광학과가 사회계열 주요학과와 평균차이를 보였다. 4년제 대학의 경우 대학교육만족도에서는 ‘학생복지 시설’, ‘전공 교수진의 능력 및 열의’, ‘수업의 방식 및 질’의 변수에서, 직장만족도에서는 ‘고용안정성’, ‘근로시간’, ‘인사체계’ 변수, 삶의 만족도에서는 ‘개인적 측면에 만족’, ‘관계적 측면에 만족’ 변수에서 관광학과가 사회계열 주요학과와의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전문대, 4년제라는 대학유형에 관계없이 대학교육만족도는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장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육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직장만족도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넷째, 통제변인에 따른 영향력 검증에서는 전문대졸 재직자는 학교만족과 내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 연령과 학점이 높으며, 임금이 많을수록 내재적 직장만족이 높아졌고, 학교만족과 외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는 연령이 낮고, 임금이 많을수록 외재적 직장만족이 강화되었다.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더 큰 삶의 만족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졸 재직자는 대학교육만족도와 내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 비상용근로자가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교육만족도와 외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은 낮을수록, 학점과 임금은 높을수록, 정규직일수록 높은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남성이, 연령은 낮을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더 큰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전공에 있어서는 전문대 대학교육만족도와 외재적 직장만족에서 금융회계세무과의 경우 정(+)의 영향을 보였다. 4년제 대학교육만족도와 내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는 경제학과가 부(-)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대학교육만족도와 외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는 경제학과, 가정사회복지학과, 행정학과, 법학과가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수에서 전공별 평균차이를 보인 세부 항목에 대해 대학 및 학과 단위에서 근본적이고 집중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교육만족도와 직장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노동시장 환경변화에 맞춰 주요 변수별 만족도 제고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셋째, 직장만족도의 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직장만족도의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교육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전공 및 성별, 연령 등 다양한 통제변인들과의 주요 변수간에 영향관계가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다양한 통제변인별 영향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관광학과에서는 낮은 정규직 비율과 월평균 소득 등 고용 구조에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취업센터의 역할확대, 취업캠프 및 모의 면접 등의 취업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대학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인턴쉽 확보 및 다양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 4년제 관광관련학과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가능성 연구

        김도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15

        ABSTRACT The Applicabilit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Departments in 4-Year Universities Do hee, Kim Department of Tour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 Joon, You) Since 2000s, a labor market in Korean tourism industry has been changing due to a big growth that more than 12 million foreign tourists visited Korea in 2013. Korean tourism industry is demanding to those who are skillful, oriented to a tourism job. S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HRD Korea) began to develop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for a field of tourism and leisure in 2013. This paper is focused to the issue that students may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to pursue the specification for employment, in contrast,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do not have adequate human resources. The current government has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bette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as developed for. From 2003 through 2020 the preparation period has progress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the 2 year course colleges, Meister specialized high school, Polytech University and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re responding and moving to steps in response to purpose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Recently, the major public associations show the data that they are hiring their employees as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methods. As mentioned above, the 2 year course colleges, Meister specialized high school, Polytech University and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re responding and moving to steps in response to purpose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however the 4 year course have not yet been made active changes. There will be several reasons, like as the nature of the study,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pplicability of the National Comenpetency Standards for the development in 4 year course universities. The service-intensive industries, tourism is an important sector of Human Resources are working together with academic knowledge competencie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human resources in the tourism sector to identify effective capabilities required by enterprises to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raining courses will continue. For the studying of this thesis, there is the first step that is based on previous studie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four year course curriculum of the tourism department. The second step is that is based on the interview with the faculty members in the tourism department in Chungnam universities, also the representatives of the tourist business fields about what is the effective way the human resource in the tourism field, how we could appl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o the curriculums in the 4 year course universities. As a result, develop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must be meaningful for Korean tourism industry becaus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gap between a demand of the field in the industry and educational training.

      • 관광전공 외국인유학생의 학습동기, 학과만족도, 대학충성도와의 영향관계 연구

        이나탈리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15

        한국은 세계적 견지에서도 산업화로 인한 고도성장과 더불어 문화적으로도 한류라는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영향은 관광산업 분야의 빠른 성장세로 이어졌으며, 한국의 역동적인 면모는 많은 외국 학생들에게 한국이라는 국가의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좀 더 나아가 한국의 발전에 대해 더 알고자 하는 욕구는 한국 대학의 교육을 받고자 하는 동기로 이어졌다. 대학은 고급인재를 육성하는 기관으로 국가 경쟁력에 큰 영향력을 미치며, 대학교육은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한다. 산업의 고도성장에 따른 경영 및 경제를 배우기 위해 많은 유학생들이 한국에 온 것처럼 한류에 따른 한국의 관광산업의 눈부신 성장이 관광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유학생들의 관심을 이끌었고 결과적으로 빠르게 관광전공 외국인유학생수가 증가하고 있다. 관광전공 외국인유학생들이 한국에 잘 적응하여 관광 선진국으로서의 학문적 영역과 현실적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한국과 자국에 큰 자산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외국인유학생들의 학습동기, 학과만족도, 대학충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학과 만족도와 대학 충성도 사이에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동기가 학과 만족도와 대학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 소재 관광전공 학과 및 학부를 개설하고 있는 19 개 대학을 선정한 후,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이 300명 이상인 대학만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석·박사 과정의 유학생들과 어학연수 과정의 유학생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018년 1월 3일부터 2월 5일까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한 자기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 (SNS) 방법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코딩(Data Coding)을 거쳐 사회과학조사 패키지인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에서 외적 및 내적 동기는 학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에서 내적동기는 대학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적동기는 부정적인 영향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과만족도는 대학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더 적극적이고 주관적으로 참여하며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고, 선순환으로 대학충성도 역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관광산업에 매력을 느껴 한국을 찾은 관광학부 유학생들의 학교 충성도에 대한 연구 결과가 장기적으로 외국인 유학생에게 개인적, 국가적으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觀光關係學科의 觀光日本語 敎育改善에 관한 硏究

        姜大勳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15

        관광교육은 인간교육의 한 부분이다. 관광이 지니는 특성에서 생각할 때 관광의 모습에 이동이 없다면, 즐거움이 없다면, 여가와 소득이 없다면 우리의 생활은 어떻게 되었을 거라고 하는 생각에서 관광을 받아들이는 사람에게 있어서 관광교육은 모든 시대의 관광문화의 내부에 있어서 주요한 과제다. 관광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하고 있는 가운데 관광산업의 진흥을 통한 경제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자국의 이익을 축구하기 위한 국가간의 경쟁은 매우 치열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각국에서는 관광의 경제적인 효과에 치중하여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미래의 한국관광의 성패는 질 좋은 상품과 고품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이 잘된 관광인력을 배출하는데 달려 있다 할 수 있다. 이제까지의 관광외국어에 대한 선행연구가 대부분 영어만을 집중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대학에서의 관광 일본어 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에서 제기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관광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관광관련 종사원으로 활동할 인재를 배출하는 양성기관으로써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관련학과의 관광 일본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관광 일본어교육의 현황을 분석, 비판, 정리하여 좀더 효과적인 관광관련 학과의 일본어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방법으로 관광일본어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이를 체계화 하고자 하였으며 현재 관광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관광 일본어 교육에 대한 실증분석들 함으로써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관광 일본어 교육 특히 교수법 및 교재 내용의 문제점과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시간적으로 1999년 3월 8일부터 3월 20일 까지 면접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공간적인 연구의 범위는 3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범위 에서는 전체를 6개의 장으로 구분하였으며 제1장은 서론으로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방법,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으로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관광 일본어의 이론적 고찰로써 외국어 교육의 법에 관한 제 이론을 기술하였다. 제3장은 관광 일본어 교육의 현황으로 전국관광 관련학과의 현황과 현재 관광 일본어 교육의 교재 구성 내용을 대학교 및 전문대학별로 현황 분석하였다. 제4장은 실증분석으로 관광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방법 및 내용과 교재내용에 관해 작성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4장의 분석을 토대로 그 문제점을 도출시키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결론으로 향후 관광관련학과의 관광 일본어 교수법의 진흥 방안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 일본어 교재 내용을 회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고 있으나 현재 한국에서의 독본 위주의 수업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어 강사는 독본위주의 수업방식에서 탈피해 회화 중심의 수업 진행으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 도를 높여야 하겠다. 둘째, 학생들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수업내용은 회화, 듣기, 위주의 수업방식이지만 실제로써는 대부분의 문법 위주 방식의 수업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교육교재의 문제점으로는 관광 일본어 교재 라기 보다는 일반회화교재와 구분하기 힘든 교재가 대부분이었으며, 거의 초급자 위주로 되어 있어 중급 및 고급 일본어교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상에서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는 적국 적으로 소재하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시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관광관련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 일본어 교육에 대하여 이론적 연구와 실증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지역적인 특성과 각 학교별 교육이념등 제 요인을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전문대학이상에서 실시되고 있는 관광 일본어 교육이 과연 현장근무를 함에 있어서 효과적인가에 대한 관광관련학과 출신자들의 실무에 대한 조사가 미비한 관계로 이론적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관광 일본어 교육개선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are living in the era of trade war. Tourism industry accounts for important part in trade. Since tourism is categorized as service industry, fostering tourism experts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Thanks to the government policy of fostering tourism industry as key strategic industry for the nation, tourism business has experienced great improvement so far and is now viewed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business sectors with further growth possibility in Korea.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also made it possible to bring more focus on academic aspect of tourism. Thanks to the development in tourism, diverse special education courses of tourism are established, which brought more people to get involved in tourism industry and as a result it became the key source of supplying tourism experts to the industry. Especially tourism related departments in colleges play a major role compared to those of other institutes. The research of this thesis is divided into 6 chapter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hapter is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tion, raises issues and provides the objective, method, scope of the study. Chapter 2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in which it deals with theories of tourism Japanese and othe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t also offers recent approach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literary study on the conventional Japanese teaching method. Chapter 3 deals with the status of tourism Japanese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status of tourism related department of colleges nationwide. It also provides the analysis on current teaching materials used for tourism Japanese education by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Chapter 4 offers positive analysis on survey conducted for tourism major students regarding education method and contents of materials. Chapter 5 outlines issues raised based on analysis of chapter 4 and provides reform measures. Chapter 6, Conclusion, summarizes the outcome of the study and presents measures to enhance future tourism Japanese teaching method. Due to the limited time given for the research, the study is not conducted for the universities nationwide and the scope is confined to tourism Japanese education given by tourism related industries of junior college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Kyounggi and Kangwon province. It does not provide accurate in depth analysis on regional differences. A survey on graduates of tourism related maj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is not sufficient enough to cover whether the tourism Japanes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n junior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effective and efficient in the field. The theoretical limit of this part should be overcome so that m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may be conducted.

      • 觀光호텔敎育訓練과 大學의 호텔 및 관광經營學科敎科의 聯關性 比較에 관한 硏究 : 現場敎育訓練의 重要性을 中心으로

        김순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99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호텔이 사람들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비즈니스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호텔을 이용 하게 되면서 일반적인 문화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더욱이 유럽과 아시아 30여 개국 정상들이 참여한 ASEM과 전 세계인의 축제인 2002년 월드컵을 개최하는 등 국제적인 행사를 함에 있어 서비스 사업인 호텔산업의 비중은 더욱 중요해졌다. 호텔산업은 어느 산업보다 인적 자원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고,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에 우수한 인재의 확보와 숙련되고 훈련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관리하는 것이 호텔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호텔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는 다시 말해 수준 높은 인적자원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교육은 호텔의 발전과 더불어 호텔 종사자들의 개인적인 발전에도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변화되고 있는 고객의 서비스 기대 수준에 부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호텔의 교육훈련프로그램은 새로운 학술, 기술이나 지식의 습득을 통해 개인의 자가발전을 도모하고, 호텔 현업 종사원이라고 하면 호텔교육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적극적인 근무태도를 다짐하고 긍정적인 사고와 서비스 마인드를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현재 호텔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이 호텔 현업에 종사하기 전 관련 학교나 학과교과과정에서 호텔관련 교육프로그램이나 그와 유사한 내용을 미리 접 할 수 있다면 더욱 효율적일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교육의 중요성은 잘 알고 있으나 업계와 전공을 학습하는 대학의 교과과정이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가 하는 의문이 연구의 시발점이 되었고, 호텔에서 훈련을 통해 습득 할 수 있는 사항들을 교과 과정에 미리 학습을 함으로써 좀 더 전문적이고 준비 된 모습으로 종사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의 개선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Hotel's first consideration was business. However, as life standard become higher, hotel has many kinds of purposes and it becomes one part of entertainment. Thus, hotel business offer many kinds of service and marketing. Hotel business has higher expectation for human resources than others. Human resource is very important property for hotel business. Thus, employment and positioning management is important consideration to improve hotel quality and quantity. It is important to make plan and manage to offer service properly, but the result has come out when contact with guest. So hotel can be a people business. Education program which provided by hotel business is make a direct effect to attitudes, mind of employees and hotel management training program will support self development and become opportunity for employees to achieve better working attitude and open service minds. This study will show about how relate university education and real business. Also, we will learn about how effect hotel study courses in university to hotel business. And this study will make employees work effectively by learning about the things which hotel requires to workers and what they can achieve by education program hotel and travel study course is consist with hotel management, travel management, food & beverage, hotel F&B management, hotel convention, travel resources, travel, and air service in university. This study will analysis about process of hotel management course and research relation between hotel training programme and hotel management course in university by analysing consciousness of hotel training programme and study course. the target of research was 240 staffs who worked 3 to 5 years because most of them who worked more than 5 years can not remember what they study before. Result was same as follow. 1st place of university course was hotel English/ English or Japanese/ Japanese communication. 2nd is sommelier / F&B practice/ cocktail practice and hotel travel service. 3rd is hotel business practice and management theory. And 1st place of hotel training programme is language education, 2nd guest service education, 3rd department education, dealing complain, 5th service education/ global manner education. According to research of Dittman(1997) which is done Cornel University emphasize importance of personal relation, financial analysis, and information technology. Like that, to make students, who will work as soon as graduate, know real hotel business, university should project and develop study course by borrowing hotel training programme (especially, personal relation training programme) to prepare work previously, they will become a specialized staff who hotel needs

      • 호텔관광경영학과의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와 교육만족의 매개효과

        김미성 배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83

        The effect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in department of hotel management :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Mi-Sung Kim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Tae Kim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students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on perceived valu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much the impact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was mediated by perceived valu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eventu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by suggesting measur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to increase the education quality from verified the level of education quality currently perceived by students. Also it is to induce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school after graduation by perceiving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department.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tal 800 to college students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The collected survey was 778 and used survey in the empirical analysis is 714. The other 64 are with the tendency of centralization or insincere response. The empirical analysis tool was used SPSS 18.0 Program and sobel-test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ed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However education factor had no effects on factors of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dismissed.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value, the administrative service had positive (+) effects on symbol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However education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no effects on factors of symbol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Therefore dismissed.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education facto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fore dismissed. On the contrary,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all positive (+) effects on it. Fourth, the perceived value was indirectly affect partially mediated relation between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Lastly,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was supported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serving as a partial media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i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mpirically identified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r students majoring in hotel tourism management. However, it has following limitations,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be complemented and controlled by researches in the future. First,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fact that the NCS based curriculum in department of Hotel Tourism Management was surveyed only in specific departments. In order to improve and expand the NCS based curriculum management of universities,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study of the overall NCS based curriculum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summarize specific details when reorganizing or operating the NCS based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has been verified through HEdPERF dimension for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measurement. Although HEdPERF was developed as a service quality measurement tool specialized in educational field, there is a limitation in measuring the perception level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Hotel Tourism Management. Therefore, reliability of the scale should be secured through similar studies. In addition, even if the present study is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process, so it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analysis. Third, there is a limit to the one-time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had a large share of freshman students, and the measurement period had to be diversified in order to measure multiple variables more accurately.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gap of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service perceived by the student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ra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distributions of the various grades and the long-term aspects for more accurate analysis. Finally, the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quality is still new and not conceptually active yet. Therefore, there may be a leve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addition, most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freshman students, and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which may lead to differences i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recommendation intention or loyalty to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Future research should reflect the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본 연구는 호텔관광경영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인지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의 주요 변수들이 지각된 가치, 교육만족,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각된 가치와 교육만족에 의하여 매개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것이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증분석을 통해 현재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교육서비스품질차원을 확인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졸업 이후에도 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을 인지함으로써 호텔관광경영학과의 발전 및 개선에 기여하고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호텔관광경영 관련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총 80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778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중심화 경향을 보이거나 불성실한 응답지 64부는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71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서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정서비스 와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자발적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었지만, 교육 요인은 자발적 행동의도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둘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정서비스 요인은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교육 요인과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에 모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 요인은 교육만족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고, 반대로 행정서비스 요인과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교육만족에 모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는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과 자발적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과 자발적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교육만족은 매개효과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으며, 교육만족이 부분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호텔관광경영 관련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 통제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호텔관광경영학과의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하여 조사한 부분이라 특정 학과에 국한되어 측정하였다는 것이 한계라 할 수 있다. 이에 향후 연구는 대학의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개선하고 확산하기 위해 대학의 전반적인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NCS기반 교육과정을 개편하거나 운영할 때, 구체적인 사항들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해 HEdPERF차원을 통해 검증하였다. HEdPERF는 교육분야의 서비스품질측정도구로 개발되어 호텔관광경영 관련학과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수준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연구들을 통하여 척도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가 긍정적이라 할지라도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은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위해 1회에 한 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것이 한계가 있다고 본다. 설문응답자가 1학년 재학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여러 변수들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시기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즉, 학년의 변화에 따라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지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년의 분포와 장기적인 측면에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은 아직은 새롭고 개념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해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 수준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연구의 응답자는 대부분이 1학년 재학생들이라 NCS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하여 NCS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한 추천의도나 충성도 등 자발적 행동의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이에 향후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현재 연구의 한계점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 연구해야할 것이다.

      • 국제회의도시지정을 위한 정부 및 지자체의 역할에 관한 실증 연구 : 지정요건 및 컨텐츠개발을 중심으로

        김상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83

        제 1 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경제가 "문화를 창출했던 시대"에서 "문화가 경제를 생산시키는 시대"가 도래되었으며, 문화를 통해 정치, 경제, 사회를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어 "문명의 전환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세계는 문화와의 전쟁에서 살아남고 그 문화적인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력을 하고 있다. 관광은 문화의 측면에서 발생되었으며, 최고의 경제적인 가치를 생산하고 있는 산업으로 부각되어 세계관광시장은 급속도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컨벤션은 관광의 꽃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컨벤션시장의 열기는 식을수 없는 용광로의 상태이다. 이와 같은 문명의 전환 패러다임속에서 오늘날 세계는 세계화, 정보화의 흐름으로 인적, 문화적 교류가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종 규제와 장벽이 완화됨으로서 더욱더 정보 획득의 가치가 기술로서 평가받고 있다. 이런 최신 정보의 장(場)에는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으며, 여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소비액은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인한 국제회의, 전시회 등의 관련산업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회의, 인센티브, 컨벤션, 전시회(MICE-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에 대한 각국의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경제가 발전하고 세계화 추세에 따라 컨벤션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규모도 대형화 전문화되어 가고 있는 바, 구미 선진국뿐만 아니라 후발 동남아국가에서도 컨벤션 산업에 대한 진출에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 기준 세계 18위권인 컨벤션 개최국가에서 2005년까지 세계 15위 권의 개최 국으로 진입하고 국제회의 점유율을 2000년 국제협회연합(UIA :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기준 0.93%에서 2005년 국제회의 수요의 2%(약200건)를 국내에서 유치하여 국제회의산업을 통하여 외화 10억달러 획득(회의부분 1억 5천만달러, 전시부분 8억 5천만달러)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시아 국제회의 시장에서의 싱가포르의 경우 1996년 UIA에 의한 아시아 최우수 국제회의도시로 선정되고, 일본의 경우 운수성은 국제회의 진흥책으로 1986년 "국제회의 관광도시 구상"을 책정하고 1987년부터 국제컨벤션 진흥시스템의 개발조사를 실시하고 1994년 컨벤션법에 의한 전국 49개도시가 지정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세계 18위권인 국제회의 국가에서 발전하고 아울러 국제적 규모의 전시·박람회, 국제회의 개최국가와 도시국으로의 진입과 지역문화·관광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국제회의도시를 지정운영해야 한다. 프랑스 지방문화에 대한 세방화(glocalization)의 모범사례처럼 우리나라 역시 "국제회의도시"를 통해 모범적인 사례를 선보이고 선진컨벤션국가로 도약을 해야한다. 2. 문제의 제기 첫째, 컨벤션의 개념정립 부재 둘째, 실행제도의 시행부족 3. 정부, 민간, 학계가 지속적인 네트워킹 부재 3. 연구의 필요성 "국제회의도시"를 지정 운영하여 컨벤션산업의 발전은 물론, 지역주민의 의식수준향상, 지역의 균형발전, 지역경제의 활성화, 수도권억제정책에도 그 역할을 담당하고, 국제회의도시 지정은 국제회의산업은 물론 관련산업의 발전과 국토균형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4. 연구의 목적 첫 번째로 국제회의도시지정에 필요한 요건과 사후방안에 대한 일본과 한국의 자료를 통해 설문지의 항목을 구성하고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으로 결과를 도출하고, 두 번째로 국제회의도시 지정을 통해 국내컨벤션산업을 발전시키고, 세계컨벤션시장에서의 경쟁력 우위확보를 위한 것이고 세 번째로 서울에 편중된 컨벤션산업을 지방으로 분산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정부 및 지자체의 역할과 향후 방안에 主 목적을 두고 있다. 5.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논문을 통한 이론적 검토와 정부 및 관련 기관의 각종 통계 자료를 수집하여 이론적 기틀에 의한 기술적 분석을 하였다. 국제회의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문헌적 연구에 기초하고 일본의 벤치마킹을 통해 우리나라의 지정요건에 관한 분석하고 정부 및 지자체의 향후 역할방안을 모색하였다. 제 2 장 이론적 고찰과 현황분석 제1절 국제회의 개념 및 선행 연구 이론 1. 국제회의 개념 및 파급효과 첫째로, 경제적인 효과로서 국제회의는 참가자, 주최자 등의 관계자와 개최지역의 관계자가 각종 노하우를 직접적으로 교환하는 시스템이다.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가기 위해서 국제회의를 통해서 선진국의 노하우를 직접적으로 수용하여, 국제협력 및 산업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정치적인 효과로서, 국제회의는 자국의 GNP 성장률 및 무역량 등의 국제적인 물적 교류에 비해서 국제적인 인적교류가 상대적으로 선진국에 비해서 뒤떨어져 있거나, 앞서 있으므로 해서 상호이해의 부족으로 인한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마찰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국가적인 측면에서는 개최국의 국익신장에 기여하며 국제적인 지위력과 외교력을 상승시키는데 기여를 한다. 또한 비수교국이나 비동맹국대표가 다수 참가함으로써 한국의 평화통일 외교정책 구현에 기여하게 되고, 또한 국제회의 참가자는 대부분 해당 분야의 영향력 있는 고위지도급 인사로 구성되므로 민간 외교적 차원에서 파급효과가 지대하다. 셋째, 문화적인 효과로서는 국제회의에 참가하는 각 국 대표들은 해당 국제회의 내용이 참가자 자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관광객과는 달리 국제회의 개최국에 대해 단순 결정되므로 비교적 충분한 심적 준비기간을 가지고 관심사항에 대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하게 되므로 효과적인 이미지 부각이 용이하다. 또한 회의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국제회의 참가를 주위의 동료, 친지, 관련단체, 주요인사들의 접촉시에 의논함으로서 한국의 홍보효과도 가져온다.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2. 컨벤션의 형태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제2절 국제회의 개최현황 1. 세계국제회의현황 국제협회연합(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 UIA)*의 자료에 의하면, 2001년 세계에서 개최된 국제회의는 총 9,259건으로 '00년도에 비해 1.9%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국제회의 현황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2. 한국국제회의현황 우리나라는 2001년도 UIA기준 국제회의 개최권수는 전년도 24위에서 18위로 상승되고, 개최권수는 전년도 107건에서 134건으로 27건 증가하였으며, 아시아권내 일본, 중국(홍콩포함)에 이어 3위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아시아지역 주요국가 국제회의 개최현황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제 3 절 한국과 일본의 국제회의산업 비교분석 1. 한국 국제회의산업의 분석 - 서울, 부산, 대구, 제주지역의 컨벤션센타 오픈으로 시설적인 인프라 확충, 전문인력부족, 관련지원업체의 서울집중문제, 지원제도 미비, 1996년 국제회의육성에 관한 법률제정 관련지원업체의 지역분포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2. 일본국제회의산업의 분석 1994년 컨벤션법제정과 동시 전국 49개도시 국제회의관광도시 지정운영, 해외 14개국 지부에 컨벤션매니저 배치를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가. 일본의 국제회의 지방 분산화 나. 각 지방도시의 국제회의 개최 노력 다. 일본 국제회의 용역업체가 통역학교 개설 라. 정부의 일본 오키나와를 제2의 홍콩으로 도약 정책 제 4 절 국제회의도시 지정에 관한 운영사례분석 1. 국제회의도시의 개념 및 선행연구 김용관, 최태광, 채용식, 김우곤 등 국제회의도시의 필요성 제기 2. 일본의 국제회의관광도시 지정 요건 및 지원사항 (1) 일본의 국제회의관광도시 지정요건 - 해당도시의 국제회의장 시설, 수용체계, 유치기관, 관광자원 등으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지정도시에 관해 유치 및 개최 단계에 이르는 지원사항이 마련되어 있다. (2) 일본의 국제회의관광도시 지원 사항-국제관광진흥회(JNTO)의 지원, 일본 국제회의 관광도시 컨벤션뷰로의 서비스지원 제 5 절 지방 컨벤션인프라분석 - 지방의 컨벤션인프라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으로 첫째, 자연환경, 둘째, 인문사회환경, 셋째, 관광영역의 위치 등으로 분류하며, 컨벤션 개최 및 유치현황으로 국제회의, 전시회와 이벤트 등의 개최 및 유치 현황으로 분류하며, 하드웨어측면으로 첫째, 컨벤션전문시설, 둘째, 교통 및 숙박, 셋째, 관광자원 등으로 분류하며, 소프웨어측면으로 첫째, 관련 교육기관, 둘째, 관련 업체, 셋째, 지원제도 등으로 분류 1. 부산 컨벤션인프라분석 2. 대구 컨벤션인프라분석 3. 제주 컨벤션인프라분석 제 3 장 조사 설계 및 분석 제 1 절 조사 설계 1. 조사 목적 첫째, 국제회의도시 지정에 관한 전반적인 필요성에 관한 인식을 측정하여 이러한 변수들이 각 요인에 의해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한다. 둘째, 국제회의도시 지정에 필요한 전-후 필요한 항목의 중요도를 측정하여 이러한 변수들간에 요인을 묶고, 개별항목의 영향력을 검증한다. 셋째, 조사 대상자의 설문지의 실증분석 결과를 근거로 국제회의도시 지정에 필요한 전후 방안을 정부 및 지자체에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2. 조사 대상자 선정 및 자료수집 컨벤션산업에 관한 인식 및 산업수준이 초기 단계임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의 조사대상자는 우선 학계, 업계, 정부기관 중심의 담당자로 하였다. 학계의 경우, 컨벤션과 관련된 관광, 외교, 경영학과 컨벤션강의 교수, 컨벤션관련 석박사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업계의 경우 PCO, 컨벤션센타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부기관의 경우 문화관광부,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연구원, 일본 관광청, 서울, 대구, 부산 지자체 컨벤션담당자를 대상자로 규정하였다. 제 2 절 가설의 설정 본 연구를 위하여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H 1. 서울의 국제회의도시지정 제외에 관한 유의한 수준의 집단간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이다. H 2. 지정요인에 따라 도시지정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3. 국제회의도시 명칭에 따라 변경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4. 국제회의도시의 기여도에 따라 지역경제활성화인식에 영향이 미칠 것이다. H 5. 정부·지자체의 개선방안에 따라 역할강화필요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 3 절 설문지의 구성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의 항목(변수)들은 일본 국제회의관광도시와 한국의 국제회의육성에 관한 법에 의한 국제회의도시 지정요건을 비교분석하고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 배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 수집기간은 2002년 9월 이후로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 구성은 첫째, 인구통계학적 사항, 일반적인 사항, 국제회의도시지정에 관한 질문 등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 째, 국제회의도시지정에 관한 집단간, 요인별 분석을 파악하기 위한 Likert 5점 척도와 yes 또는 no로 대답이 가능한 이분열 척도로 답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지의 측정방법은 응답자가 1에서 5까지의 척도에서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를 나누어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전혀아니다", "아니다", "보통", "그렇다", "매우그렇다"로 나타낸다. 한국과 일본의 국제회의도시 지정요건 비교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제 4 절 변수 선정 및 측정 1. 독립변수, 종속변수 선정 2.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0.0를 사용하였으며, 사회과학의 통용되는 유의수준은 5% 이내로 한다. 일반적인 특성을 알고자 인구통계학적 사항에 따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수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자료의 신뢰성을 위해 Cronbach's alpaha 값을 구하고 국제회의도시지정에 필요한 요건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집단간 서울의 국제회의도시지정 제외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또 다른 가설의 검증을 위해 추출된 요인과 개별항목을 독립변수로, 도시지정에 관한 해당 이분열 항목을 종속변수로 지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제 4 장 분석결과 가설1의 검증- 서울의 지정제외에 관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남. 가설2의 검증- 컨벤션유치실적과 전문인력이 도시지정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침. 가설3의 검증- 컨벤션도시와 컨벤션관광도시가 변경의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침. 가설4의 검증- 지역주민 의식 및 참여기회 향상기여가 지역경제활성화인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침. 가설5의 검증- 유의수준을 벗어나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강화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입장을 보임. 제 5 장 결론 및 요약 1. 국제회의도시 지정을 위한 필요요건의 개선방안 본 연구에서 나타난 지정요인은 외국인 참가자를 위한 숙박시설, 지역내 컨벤션전담기구(CVB)설치, 고속도로·항만 및 철도, 전문국제회의시설의 내용을 포함하는 "시설적인 측면", 전시회 유치실적, 국제회의 유치실적, 국제이벤트 유치실적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컨벤션유치실적", 지정도시내 국제 축제, 문화유산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문화관광자원", 지역내 국제회의기획업체(PCO), 컨벤션관련학과, 서비스 및 교육기관, 통역·번역 등의 컨벤션지원업체의 내용으로 구성된 "전문인력" 등의 4가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지정에 필요한 4가지 요인 중에서는 시설적인 요인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고, 컨벤션유치실적, 문화관광자원, 전문인력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제회의도시 지정을 위한 결정에 가장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서는 컨벤션유치실적과 전문인력으로 나타났다. 컨벤션유치실적 요인 중에서는 국제회의, 전시회의 유치 및 개최실적보다 국제이벤트의 유치 및 개최실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것은 국제적인 행사를 유치하고 개최할 수 있는 능력이 해당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국제적인 이벤트는 기획에서 행사의 사후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회의나 전시 등의 행사가 수반되기 때문에 국제이벤트를 개최한 경험이 있는 지자체는 대규모의 국제회의 및 전시회를 유치·개최 및 운영하는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UIA 기준에 적합한 세계컨벤션 시장은 제한되어 있고 이러한 기준의 국제회의나 전시회를 지자체로 유치 및 운영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이벤트를 지정도시로 유치 및 개최하고 중·소 규모의 국제회의를 유치하는 데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전문인력 요인은 국제회의기획업체(PCO), 컨벤션관련학과, 서비스 및 교육기관, 통역·번역 등의 컨벤션지원업체 내용을 포함한다. 전문인력 요인 중에서 컨벤션 유치 및 개최에 필요한 컨벤션지원업체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컨벤션관련학과이 항목은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이것은 컨벤션 유치 및 개최에 필요한 전문인력의 부재의 현실에서 나타난 결과로서, 현재 컨벤션 전문인력의 양성에 대해 각계단체에서 중요하게 제시한다. 서울을 비롯 컨벤션에 필요한 시설, 통역, 번역 등의 소프트인력 및 업체가 부족하고 그 비용이 높고 지방의 경우 그 비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는 점을 고려해 컨벤션지원업체의 양성이 필요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컨벤션관련 학과의 개설이 필요는 하겠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관련학과의 중요도는 제일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관련학과의 양성보다는 관련업체의 양성이 중요시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컨벤션에 필요한 인력은 멀티플한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함으로서 컨벤션에 국한된 학과의 개설보다는 기존 대학의 타전공자들에 대한 '컨벤션전문인력으로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정부 와 희망지자체는 기존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더욱더 컨벤션에 대한 개념정립과 홍보를 해야하고 컨벤션에 필요한 국제적인 경험을 위한 지원책에 대해서 재원확보를 마련하고 다양한 전공자들이 컨벤션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아울러 양성인력에 대한 지역외부로의 '자원 유출현상' 방지를 위한 자구책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국제회의, 전시회, 국제이벤트 등의 컨벤션을 유치 및 개최하기 위한 전문인력은 어느 한 학문에 국한된 전공자의 양성보다는 多財多能한 전문인력들의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치, 기획, 이벤트, 디자인, 문화, 관광, 컨벤션콘텐츠개발, 컨벤션도우미 등의 세분화된 전문인력의 양성이 세분화되어야 한다. 또한 호텔, 대학, 컨벤션센타 등 컨벤션 공간에 필요한 등록, 의전, 안전, 자원봉사 등의 현장담당 전문인력과의 네트워킹과 서비스교육을 위한 지원단체의 운영이 필요하다. 나머지 시설적인 요인과 문화관광자원 요인 중 시설적인 측면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숙박시설 확충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나 여전히 우리나라 숙박시설에 대한 확충에 제기되었다. 외국인이 편리하게 숙박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방의 호텔, 전통가옥 등의 숙박시설에 대한 인력과 서비스를 위한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컨벤션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문국제회의시설(이하 컨벤션센타)의 건립에 대한 중요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대규모화된 컨벤션센타의 건립계획에 따른 공급초래현상이 2005년 이후 발생될 소지가 높으며, 일본의 경우에서 나타나듯이 기존의 대규모형태의 '컨벤션센타기준'을 우리나라 컨벤션산업의 현실에 고려하여 지정요건의 기준을 완화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서울을 제외한 지방지자체들은 국제회의도시 지정과 컨벤션의 유치를 위해 컨벤션센타의 건립계획을 발표하고 그 부담은 지역주민과 국민의 세금으로 부담해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2002년 4월 제주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건립 중인 제주국제컨벤션센터가 시설을 100% 가동해도 연간 12억원의 적자가 발생한다는 예상이 나왔으며, 제주국제컨벤션센터의 경영문제를 자체 분석한 결과 별도의 수익사업을 벌이지 않을 경우 해마다 적자에 시달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컨벤션센터 가동률이 20%일 경우 연간 57억원, 40% 가동에는 46억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주관광종합센터의 기능을 겸하는 제주국제컨벤션센터가 내국인 면세점 운영 등 추가 수익사업을 하지 않을 경우 국제회의 유치만으로는 적자 운영이 불가피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규모화되고 고비용의 컨벤션센타의 건립은 지자체의 재정적인 부담과 경영의 문제를 발생시킬 것이다. 하지만 지방의 국제회의, 전시회, 이벤트의 개최가 가능한 호텔, 대학교 등의 시설이 이미 마련되어 있으며 이 시설물을 보완을 한다면 국제적인 행사가 가능한 컨벤션센타와 같은 시설물로 대체사용이 가능하고 우리나라의 컨벤션산업과 지방의 국제회의도시로서의 육성을 위해서는 국제회의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시설기준을 완화하여 기존의 코엑스와 같은 대규모형태에서 분활이 가능한 전시장의 회의시설대체 등의 기능을 보유한 중등규모 형태의 컨벤션센타 건립을 유도할 수 있는 기준으로 완화시키고, UIA기준의 국제회의나 전시회가 없는 기간동안 지역민들을 위한 문화공간, 각종 행사의 장으로서 경영을 하여 지역민에게 문화요소를 제공하고 국제회의도시의 주인으로서 의식을 정립시키고, 가동률을 높여 경영상의 능률과 효율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따라서 지자체의 컨벤션센타 건립에 따른 시설물의 영업을 위한 국제회의도시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컨벤션센타요건 완화로 희망지자체의 재정과 경영의 부담을 줄이고 대규모센타의 사전건립계획을 방지하고 중등규모의 시설건립을 유도하고 '컨벤션관련 전담기구설치의 의무조항'의 신설을 포함하는 시설적인 요인으로 마련해야 하고 해당도시로의 고속도로, 철도, 항만 등의 접근성에 대한 인프라 확충에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 컨벤션센타 보유도시가 국제회의도시가 아니라 컨벤션 유치 및 개최에 적합한 지자체를 국제회의도시로 육성하고 '브랜드화' 시키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문화관광자원의 요인 역시 국제회의도시로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매력물로서 기존의 문화관광자원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외국인을 위한 안내시설과 편의시설을 개발 및 보수해야 한다. 그리고 정기적인 축제나 행사를 통해 방문객과 지역민이 함께 호흡을 통해 지역의 문화를 자국의 안방에 이르기까지 전달 될 수 있도록 기존의 문화관광자원을 새로운 콘텐츠와 기술의 접목을 시도하고 '관람식'이 아닌 직접참여가 가능할 수 있는 보이지 않는 홍보 자원으로 성장을 도모시켜 국제적인 행사로의 발전 및 개발시키고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역문화관광 전문가 양성과 다양한 전문가의 행사 기획자로서 참여를 시켜야 한다. 2. 국제회의도시 지정대상에 관한 개선방안 일본은 도쿄를 제외한 49개 도시를 국제회의관광도시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의 문화관광 경쟁력을 확보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고도로 서울의 컨벤션 집중현상을 보이고 있고 지방의 인력들은 점점 서울로 집중하는 '역귀경'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의 집중현상과 지방의 컨벤션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서울의 국제회의도시 지정대상 제외에 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 서울의 국제회의도시 지정제외에 관한 집단간 유의한 수준(0. 037 < p = 0.05) 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 가장 높게 서울을 국제회의도시 지정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컨벤션의 실무를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컨벤션참가자의 성향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컨벤션의 참가외에도 며칠간 진행되는 회의에 대한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해 개최도시 및 주변의 문화 및 관광을 체험하기를 선호한다. 서울은 이미 국제화된 도시이고, 문화관광자원이 풍부한 지방의 컨벤션산업 및 관련 산업들의 발전과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방도시 중심으로 국제회의도시를 지정 운영해야 한다. 서울이 국제회의도시로 지정이 된다면, 기존의 서울집중현상을 더욱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으며, 지방의 컨벤션센타는 물론 지방의 컨벤션산업은 불경기 속으로 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국제회의기획업체(PCO)와 통·번역 업체 등의 사무실이 서울에 집중되어 업체별 컨벤션유치 기간동안에만 지방으로 파견하는 현상이 초래되어 지방의 국제회의, 전시회,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자체 능력함량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지방의 인력들은 서울 및 수도권으로 유출될 소지가 발생하고 국제회의도시 지정의 기본목적인 "국제회의육성에 관한 법 제 6 조"에 의한 '지역간의 균형적 발전'의 취지를 무시하는 결과를 도출시킨다. 우리나라는 지역간의 균형적인 국토개발과 수도권억제 정책으로 인한 지방의 육성을 중요시 여기므로, 수많은 인프라의 확충에 따른 고용효과와 지역경제활성화, 국가 및 지역 이미지 제고, 지역민의 문화의식 향상, 지방의 국제화 등의 파급효과에 따라 서울을 제외한 지방중심의 국제회의도시를 육성해야한다. 국제회의도시로 지정받기 위한 희망지자체는 컨벤션관련 지원사항의 법률을 제정하고 컨벤션과 관련된 시설, 인력, 문화·관광자원, 유치실적 등의 하드-소프트측면의 인프라 확충에 관심을 가지고 개발 및 개선해야 하고 자체능력을 함량시키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립시켜야 한다. 3. 국제회의도시 명칭변경에 관한 개발방안 및 시사점 컨벤션의 개념이 국제회의를 중심으로 해석이 되어 "국제회의 = 컨벤션"이라는 등식이 성립이 될 정도이다. 하지만 컨벤션은 국제회의, 전시회, 이벤트 등의 상호관계 속에서 종합적인 행사의 총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국제회의도시라는 명칭은 국제회의에 참가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단일브랜드'로 전락될 소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벤션도시, 컨벤션 관광도시, 국제회의 관광도시의 독립변수를 가지고 명칭변경에 대한 의사를 종속변수로 지정하여 분석한 결과 "컨벤션도시", "컨벤션 관광도시"로 명칭을 변경을 필요로 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것은 컨벤션의 개념이 국제회의에서 넘어서야 한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컨벤션도시와 컨벤션 관광도시로의 변경을 통해 국제회의 참가자는 물론, 일반관광객, 전시회 참가자, 지역주민들의 컨벤션상품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고 활성화 시켜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도약을 마련하여야 한다. 국제회의는 외화획득, 외래관광객 유치면에서 직접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생산시킬 수 있고 전시회는 무역의 장, 국제교류, 지역주민의 참여기회 확대 면에서도 가치를 창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컨벤션은 국제회의나 전시회중 어느 하나의 주도 하에 부수적인 이벤트가 첨가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서 참가자들의 관광, 이벤트, 숙박, 소비활동을 통해 지역경제, 지역 국제화, 관련산업의 발전을 도모시킬 수 있다. 현재 국제회의육성관한 법률에서 "국제회의도시"명칭이 국제회의의 의존개념이 아닌 국제회의, 전시회, 문화, 관광, 이벤트를 포함하는 '컨벤션'의 단어를 가미한 새로운 명칭으로 변경을 통해 컨벤션의 파급효과를 지역 및 국가는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4. 지역경제활성화의 개발 방안 및 시사점 국제회의도시지정의 파급효과 즉 지방분산정책의 기여, 지정도시로의 관광객유치 기여, 국제기구 및 해외기업의 국내유치 기여, 지역주민 의식 및 참여기회 향상기여, 국가 및 지역 이미지향상 기여에 따라 지역경제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지역주민의 의식 및 참여기회 향상의 기여'면에서 가장 지역경제활성화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국제회의도시가 지정된 후 지역주민들이 직접적으로 컨벤션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지역경제활성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회의도시제도 시행이 된다면,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불가능한 국제회의의 유치에만 열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지역주민들이 참여가 가능한 상품 즉 전시회, 각종 회의, 이벤트를 유치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국제회의도시내의 지역민이 컨벤션에 대한 수혜자이자 공급자임을 간과하지말고 관련 산업적인 측면의 유치 및 개발에만 집중하지 말고 지역주민들에게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개발 또한 중요한 사항으로 인식하고 해당지자체는 노력을 해야한다. 지역주민들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컨벤션산업의 발전사항 결정에 참여를 보장하고 관련단체들과의 네트워킹도 강화해야 한다. 5. 정부 및 지자체의 역할강화에 관한 개선방안 및 시사점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정부 및 지자체의 역할강화에 찬성을 하고 있다. 개선방안으로 지정취소 제도, 해외기업 및 국제기구 유치지원, 지정도시의 제한적 육성정책 등을 제시하고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해외기업 및 국제기구의 유치, 지정도시의 제한적인 육성에 관해서는 높은 인식을 한 반면, 지정제도의 사후 방안으로서 취소제도에 관한 항목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컨벤션산업은 초기단계이고 국제회의도시제도 역시 시행 초기단계이므로 상당기간 운영을 토대로 사후 취소제도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제회의도시는 중장기적인 마스터플랜에 의해 계획되고 개발이 됨으로서 단기적인 성과를 토대로 국제회의도시 지정에서 취소를 한다면, 지자체의 브랜드로서 상징성이 소멸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정부는 국제회의도시 지정에 관한 제도를 시행을 하되 구체적인 필요요건이 확보된 지자체에 대해 지정을 하고 제한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육성하고 감독을 시행하고 지자체는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인프라와 환경을 확충하고 해당 지자체로의 기업이나 국제기구 등의 단체나 지부 사무소를 개설할 수 있도록 정부 및 지자체는 노력을 함께 해야 한다. 지정제도의 취소에 대한 사후방안에 관해서는 정부의 감독아래 국제회의도시들의 성과와 운영결과를 평가하고 그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가 향후 이루어져야 한다. 후발 컨벤션국가로서 세계컨벤션시장을 대상으로 "국제회의도시"라는 브랜드를 통해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개최지로서 인식을 각인시켜야 한다. A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international meeting city and to suggest role of Government & Local Government for accrediting to international meeting city. progressively for advance to bringing-up of convention industry. For this, first of all, it should be understand that convention is not the only international meeting but including reciprocal related to international meeting, exhibition, event. and should be understand a accrediting system to international meeting city. this certificated convention city requires a necessary condition to accreditation. In order to concrete necessary condition, reasearcher had analysed on case of japan's "internationl meeting tour city" with reference and internet. This research proposes is development a necessary condition(faculties, career of convention hold, cultural-tourism resource, convention specialist) for accredit to convention city. through necessary condition, analysis on how it has influence on determination for international meeting city. Moreover, this research suggests several government & local government's role for development the convention industry in terms of unlimited possibility in the future. A government & local government must carry eight-policy following. First, downs condition of meeting faculties, second, improves foreigner service, third, excepts seoul from accrediting place, forth, bids international organization & enterprise into the international meeting city, fifth, translates a city name into convention city or convention tour city. sixth, improves local festival to international level. seventh, secures convention supporting organization into the international meeting city. finally, expands transportation infra. and develop a soft program & support following. develops a convention specialist program for multi-major, a participating program for local people, cultural-tourism specialist based in local, develop & support for a convention program overseas, must found a public office for voluntee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to fix accrediting system and obtain competitive edges of Korea convention over other countries in the Asian & world re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