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한류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안소현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35

        한류는 1기, 2기, 3기를 거치면서 잠깐의 유행이 아닌 하나의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스포츠 한류, 디지털 한류, 경제 한류 등 한류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이 파생되고 있어 그 실체 및 범위를 명확히 규정짓기 어려워지고 있다. 한류에 대한 명확한 범위가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류관광 역시 한류 콘텐츠 체험을 이유로 방한한 관광에 국한하여야 하는지,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에 호감을 갖고 일반적인 관광행위를 하는 관광까지 포함해야 하는지 그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에 적합한 한류관광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협의의 한류관광은 방한 목적을 한류콘텐츠, 대중문화로 설정하였으며, 광의의 한류관광은 한류콘텐츠, 대중문화, 역사/문화유적, 음식, 쇼핑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한류관광 범위설정에 따른 경제적 효과의 논란 여지를 줄이고자 하였다. 한류관광객수 도출과 한류관광객 지출액 추정은 「2011 외래관광객 실태 조사」와 「한국관광위성계정」보고서 등 2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추정 결과 2011년 방한 한류관광객 1인의 평균 국내 지출액은 US 1,297이며, 이는 낸드플래시 16기가 반도체 725개를, 40-42인치 LCD 8.6대를 수출한 것과 같은 수출효과를 나타냈다. 2011년 협의에 의한 방한 한류관광객의 국내 총지출액은 약 5,093억 원이었으며, 광의에 의한 방한 한류관광객의 국내 총 지출액은 4조 2,659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한 한류관광객의 국내지출액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직, 간접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07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기본부문 403부문을 33개 부문으로 통합하여 생산승수, 소득승수, 고용승수, 부가가치승수, 세수승수, 수입승수를 도출하였으며, 2011년 방한 한류관광객의 국내 지출액을 최종수요화 하여 생산파급효과, 소득파급효과, 고용파급효과, 부가가치파급효과, 세수파급효과, 수입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한류는 단시간 동안 한국에 대한 급속한 홍보효과를 가져온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한류영향 산업 중 하나인 한류관광산업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범위 설정조차 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효과적인 정책 및 지원을 이끌어 내기 어렵게 한다. 한류관광의 실질적인 효과는 한류에 호감을 가진 사람의 실질적인 관광행위를 창출하도록 하여 LCD 8대를 수출하는 것과 같은 경제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단순한 수치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한류관광을 통해 한국에 대한 호감이 더욱 강해져 한국산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까지 유발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수준 낮은 한류 관광상품으로 인해 한국에 대한 신뢰를 상실시키며 반한감정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이는 앞으로의 대한민국의 이미지, 대한민국의 수출품 구매에까지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한류 관광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한류관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정부의 정책과 지원을 위해서는 한류관광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때문에 본 연구는 한류관광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한류관광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 공감대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관광안내지도 선택속성이 이용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일본과 중국어권 개별관광객 중심으로

        김경욱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19

        2012년은 한국 관광산업에 의미 있는 일들이 많았던 한 해이다. 중국인과 동남아시아 관광객의 증가와 함께 2012년 11월21일 외래 관광객이 1천만명을 돌파 하였다. 우리나라가 외래 관광객 1천만명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명실상부한 '관광 강국'으로 도약했다. 또한 관광 관련기관 및 기업들이 한류콘텐츠인 드라마, 영화, K-POP, 등 한류문화 외에 미용, 패션, 웨딩, 음식, IT, 의료, 전통 등 유·무형의 체험형 관광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상품과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 홍보하고 있기에 한국으로 관광과 여행을 즐기러 오는 외래 관광객들의 수가 더 늘어나고 이에 한국의 관광산업이 크게 발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을 찾는 외래 관광객의 증가는 관광수요가 늘고 그로인한 관광산업의 활성화는 관광수입과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그에 따라 각 업체별 관광홍보 경쟁이 치열해지기 때문에 관광홍보의 필요성 역시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관광홍보는 전파매체(TV, 라디오), 인쇄매체(관광홍보 브로슈어, 리플렛, 관광안내지도), 뉴미디어(인터넷), 기타매체(옥외광고물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들 중 최소의 경비로 최대의 효율을 누릴 수 있는 매체로써 인쇄매체를 들 수 있다. 특히, 인쇄매체를 통한 홍보물 중 관광안내지도는 다양한 관광정보를 한눈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저가 매체로서 그 홍보효과 및 지속성은 저예산 홍보매체로 적합하며 그 활동성 또한 높다(박명숙, 2002; 홍경선, 1987). 관광안내지도는 다른 인쇄 홍보물에 비해 관광 참여자가 비교적 접근,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제작되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으며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홍보물로 형태, 색채, 레이아웃, 사진 등 디자인요소와 목적지, 주변위치, 길 등 주변정보 그리고 쇼핑, 음식, 우대, 할인 등 다양한 광고정보를 통해 외래 관광객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유수정, 2007). 지금까지 외래 관광객이 관광안내지도를 언제부터 어디서 취득하여 무엇을 찾는데 사용하는지에 대한 조사와 관광안내지도 선택속성이 이용도 및 만족도와의 영향관계를 밝히는 연구는 전무하였다. 따라서 현 서울지역 일본/ 중국/ 기타 관광객의 특성을 고려한 관광안내지도 연구의 폭을 넓히고, 개별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관광안내지도의 편리성, 디자인, 주변정보, 광고정보 등의 선택속성이 이용도 및 만족도 간에 영향관계 조사를 실시하여 외래 관광객에게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관광안내지도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 다섯 가지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관광안내지도 선택속성이 이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관광안내지도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관광안내지도 이용도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관광안내지도 선택속성은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나? 다섯째, 관광안내지도 이용도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나?

      •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외래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따른 예술소비 시장세분화 연구 : 중국·일본 관광객을 중심으로

        마해미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19

        관광산업에 있어 문화예술상품은 미래 주요 관광 트렌드의 하나로 교통, 통신 등 미디어 발달에 따른 관광산업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영화, 음악, 문화 등 대중문화 관광이 주요 콘텐츠로 부상하면서 관광산업에 있어서 문화예술상품의 중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한 한 외래관광객 중 새로운 소비층으로 부각되고 있는 중국과 일본 관광객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에 따른 인바운드 시장에서의 예술소비 시장을 세분화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세분화된 인바운드 시장별로 문화예술소비 수요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주요 타깃 세분시장과 선호하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잠재적 수요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세분화의 기준 변수로는 그동안 다른 분야의 시장세분화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인구통계학적인 변수가 아닌 심리학적인 변수로 최근 들어 그 유용성이 커지고 있는 지각된 가치를 활용하고자 한다. 외래관광객의 문화예술상품 시장세분화를 위하여 심리적인 변수인 지각된 가치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등의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각된 가치의 설문 항목 구성은 단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의 이론을 따라 구성하였다. 설문 대상은 2011년 기준 외래관광객의 약 62%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기술통계적 분석을 하고 데이터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인을 위해 신뢰도 분석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된 요인들을 근거로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또 군집분석을 통해 시장세분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도가 검증된 15개의 항목을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감정적 가치 요인, 금전적 가치 요인, 사회적 가치 요인, 기능적 가치 요인 등 4가지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도출된 4개의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최종적으로 크게 감정적 가치를 상대적으로 높게 추구하는 ‘감정적 가치 추구집단’, 지각된 가치 4개의 요인을 낮게 인식하는 ‘가치 저인식 집단’, 4개의 가치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는 ‘복합적 가치 추구집단’의 3개의 집단이 유의미한 군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예술상품의 지각된 가치에 따른 시장세분화 결과 나타난 세 집단의 집단별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한국을 방문한 외래관광객의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에 있어 인구통계적 특성, 관광행동적 특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실증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국 문화예술상품 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한국 문화예술상품의 경험이 많고, 소득 수준이 높은 집단인 감정적 가치 추구 집단과 복합적 가치 추구 집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두 집단은 한국의 문화예술상품에 있어 주로 뮤지컬, 대중음악콘서트, 미술 전시 등에 관심이 많았다. 또한 장애 요인으로 이러한 관광상품을 즐기고 싶어도 언어의 장벽 때문에 망설이고 있는 관광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고 외래관광객들로 하여금 더 높은 흥미 유발과 만족도를 높이는 마케팅 활동들이 필요하다. 또한 중국과 일본 관광객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의 문화예술상품과 관광활동을 연계하여 관광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질 향상을 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상품의 수요가치 창출 전략으로 다양한 시장세분화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In the tourism industry, the importance of cultural/artistic products is increasing as the tourism of pop culture, including movies, music, and culture has risen as major tourism content for the future with the changes in the tourism industry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raffic, communication, and medi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art consumption market in the inbound market according to the value of cultural/artistic products perceived by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who are rising as the new group of consumers among the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The demand for cultural/artistic consumption is surveyed for each inbound market to understand the major target markets and the potential demand for preferred cultural/artistic products. As the baseline variables of market categorization, this study use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instead of demographical variables that are generally used for market categorization, to use the perceived value, which has recently become useful. To categorize the cultural/artistic product market for foreign tourists, substantial analysi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perceived value, a psychological variable, and the survey questions on the perceived value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a multilateral theory.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who took about 62% of foreign tourists in Korea as of 2011. For the substantial analysis, the SPSS 20.0 program was used and the survey forms for the substantial analysi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n,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data.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was verified based on the identified factors and the market categorization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15 items that are proven to be reliable, four factors of emotional value, monetary value, soci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were identified. Seco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the four factors, three significant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emotional value-oriented group' that pursue emotional value, the 'value under-estimation group' that under-estimate the four factors of perceived value, and the 'complex value-oriented group' that highly perceive all four factors of valu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groups identified by the market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perceived value of cultural/artistic products sugges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ourism-behavioral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oreign tourists' perceived value of cultural/artistic produc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as a result of the substantial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cultural/artistic product market for foreign touris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emotional value-oriented group and the complex value-oriented group that have relatively more experiences with Korea's cultural/artistic products and higher income level. These two groups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Korea's musicals, pop music concerts, and art exhibitions. Also, as language barrier was an obstacle that kept many tourists hesitant when they were willing to enjoy various tourism produc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marketing activities to resolve this to enhance the interests and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Al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on various ways of market categorization as a strategy to create demand for cultural/artistic products to be able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ourism industry by relating Korea's cultural/artistic products with tourism activities focused o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Keywords : Cultural/Artistic Products, Perceived Value, Art Consumption, Market Categorization

      • 관광객의 승마체험 동기가 만족도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동성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승마는 그동안 귀족 스포츠라 불리며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고 거리감이 있었으나 국민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증대로 인해 관심과 수요가 크게 증가 하였다. 승마는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시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로서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인 동시에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키우고 동물 애호정신을 통해 인간애를 고양 시키는 전신운동이다. 또한 장애인에게도 승마운동의 긍정적 효과가 검증 되면서 승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승마관광을 육성할 법적 근거가 아직 마련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승마산업 발전 방안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국내 승마산업이나 승마 활동에 대한 통계적 자료도 거의 구축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더 많은 사람들이 승마를 즐길 것이라고 가정했을 때 이들이 승마에 대해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갖기 위해서는 어떤 동기를 가지고 승마를 체험하며 체험을 했다면 체험을 하면서 느끼는 만족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만족이 미래에 지속적인 참여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승마관광의 개념을 정립하고 승마관광 체험동기가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관광 및 레저 활동으로서의 승마로 발전하고 승마를 즐기는 참여자들이 일회성 체험이나 단기간의 참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하여 승마관광의 저변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규명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승마체험 동기는 기술습득, 건강증진, 외적과시, 가족친화, 일상탈출, 관계증진이라는 6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만족도는 만족경험이라는 단일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지속의도 역시 지속의도라는 단일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증명되어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둘째, 승마체험 동기가 만족경험에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가설 1에 대해서 승마체험 동기 중 기술습득, 건강증진, 가족친화, 일상탈출, 요인이 만족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면서 부분채택 되었다. 셋째, 만족경험은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만족경험이 지속의도에 의해 설명되어 지고 있으므로 가설 2는 채택 되었다. 넷째, 승마체험동기는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에 대해서는 체험동기 중 기술습득, 건강증진, 일상탈출 요인이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므로 가설 3은 부분채택 되었다. 다섯째, 승마체험 동기와 지속의도의 관계에서 만족경험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4에서는 승마체험 동기 중 기술습득, 건강증진 요인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일상탈출 요인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승마체험 동기와 지속의도의 관계에서 만족경험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4는 부분채택 되었다. Horse riding has been considered as a sports only for the rich and high-class, not for the ordinary people, but public’s demand and interest for horse riding has grown due to an increase in income and leisure time these days. Horse riding can be classified as a moderate intensity exercise in that horse riders need to be good at interacting with their horses. It helps horse rider impro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by encouraging fearless spirit. Furthermore, it is an overall excising activity that increase the courage and philanthropy through the kindness to animal. Interests for horse riding is getting bigger than before since it turned out that horse ri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sabled’s exercise and health. However, legal system for horse riding tourism is not enough, and the specific plan for promoting horse riding industry has not been suggested yet. The lack of the statistical data for horse riding industry and activity makes it harder to develop horse riding touris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rse ride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ir adherence intention in the assumption that more people will enjoy horse riding in the future. Moreover, this study will analyze the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adherence intention that can be useful data in promoting horse riding as a promising leisure sports in the long-term. Definition of the horse riding will be also redefined to provide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orse riding touris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backgroun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proved it’s validity by analyzing the sampl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motivations for horse riding experience were sorted into the 6 factors : acquiring skill, improving health, showing off to others, family bonding, escaping from the daily life and improv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only sorted into a single factor, satisfactory experience, and adherence intention was also sorted into a single factor, which is also adherence intention too. As constructs included in the research framework have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ample data had no problem in being analyzed for this study. Second, acquiring skill, improving health, family bonding, escaping from the daily life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ory experience, which partly supports the hypothesis 1 suggesting that motivation for horse riding has an influence on satisfactory experience. Third,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atisfactory experience and adherence intention supports the hypothesis 2 saying that satisfactory experience has an positive influence on adherence intention. Fourth, acquiring skill, improving health and escaping from the daily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herence intention, which partly supports the hypothesis 4 suggesting that motivation for horse riding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adherence intention. Fifth, acquiring skill and improving health played role in partly mediating between satisfactory experience and adherence intention, but escaping from the daily life was verifie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 between them. This results partly supports the hypothesis 4 suggesting that satisfactory experience have a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 between motivation for horse riding and adherence intention.

      • TV 드라마 시청행태가 관광지 이미지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체류형(滞留型)관광객을 중심으로

        이석호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opular Korean TV-Drama on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tourist Behavioral Intention with an emphasis on the Long-Term tourists coming to Korea to see the Korean tourist resorts made known through the Korean popular culture like the TV dramas and so on. That is,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ulture of the Korean TV-drama and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the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with a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Long-term tourists' awareness of the Korean TV-drama on the Korean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the relation of influence between the Korean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the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the intention to visit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and furthermore to seek the regional or national programs to increase the foreign touris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 SNS 정보 품질 특성이 관광정보 신뢰, 만족 및 관광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태경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관광을 SNS와 연계하여 관광객의 경험을 공유하고, 콘텐츠를 기반으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는 ‘스마트 관광’의 시대로 진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SNS 관광정보 중심의 품질 특성을 다각적으로 고찰하여 국내 관광 소비자들의 관광정보 신뢰와 만족, 관광 지식 공유간의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 관광 소비자에게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SNS 운영 방향의 전략적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SPSS를 이용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측정변수들 간의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해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정량적 검증을 토대로 네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관광정보 품질 특성이 관광정보 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SNS 관광정보 품질 특성 6개요인 중 이해용이성, 적시성, 경제성, 정확성 4개의 요인이 신뢰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SNS 관광정보를 제공 시 지각된 비용, 오류 없는 정보 제공, 읽기 쉬운 형태, 지속적 업데이트, 카테고리별 구분 등을 최대한 고려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SNS 관광정보 품질 특성이 관광정보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SNS 관광정보 품질 특성 6개 요인 중 이해용이성, 상호작용성, 적시성, 경제성, 구조성 5개의 요인이 관광정보 만족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SNS 관광정보를 제공 시 알기 쉽게 표현,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정보 제공 등을 최대한 고려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관광정보 신뢰가 관광정보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광정보 신뢰는 관광정보 만족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용자는 정보 홍수 시대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정보의 빠른 확산은 결국 사용자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SNS 관리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 넷째, 관광정보 신뢰와 만족이 관광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광정보 신뢰와 만족 모두 관광 지식 공유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장기적으로 기업의 효율적 홍보마케팅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SNS 소비자가 생산자로서의 역할로 확대되어 적극적인 참여와 지식 공유 활동이 필요하다. 스마트 미디어 환경으로의 변화에 맞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관광기업의 SNS 관리자는 신속, 정확하며 고객과 빠르게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고객에게 가치 있는 지식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과 고객 간에 신뢰형성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커뮤니티에 기반한 이용자들 간의 관광경험의 지속적 상호작용을 통해 축적된 경험적 지식 정보는 관광기업의 경쟁력의 원천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SNS 정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감에도 불구하고, 관광분야의 SNS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SNS에서 관광정보를 얻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 관광기업에서는 이러한 자신만의 관광정보를 개발하고 운용해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관광업계에서는 이용자의 심리적 욕구를 먼저 파악하여 보다 차별화되고 신뢰성 있는 SNS 관광정보 사이트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e are in the era of 'Smart Tourism' in which experiences of tourists are shared by connecting tourism with SNS and participants in tourism seek two-way communication based on cont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ormation trust and satisfaction as well as tourism knowledge sharing by review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SNS tourism information in various viewpoints. Thought the identification of such relationships, this study eventually aims at seeking out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 direction of SNS operation that can provide tour consumers in Korea with conveniences and benefits. For the methods of this study, the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between measured variables, reliability analysis and analysis of correlation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were employed using SPSS. The four significant implication derived from these quantitativ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SNS tourism information quality characteristics on tourism information trus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of effects of ease of understanding, timeliness, perceived sacrifice, and accuracy - four factors out of the six tourism information quality factors - on tourism information trust. When providing SNS tourism information, it ought to be operated by considering the following factors as much as possible: perceived cost, providing error-free information, form that is easy to read, continuous update, classification by categories. Second,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SNS tourism information quality characteristics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of effect of ease of understanding, interaction, timeliness, perceived sacrifice, and architecture - five factors out of the six tourism information quality factors -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When providing SNS tourism information, it ought to be operated by considering easily comprehensible expressions and providing much information in short period time as much as possible.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ourism information trust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of the effect of tourism information trust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As a user is under massive amount of information, quick proliferations of unverified information have eventually direct impact on satisfaction of a user. In order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the role of SNS administer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ourism information trust and satisfaction on tourism knowledge sharing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of the effect of both tourism information trust and satisfaction on tourism knowledge sharing. For SNS to be the effe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tool of a tour company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hat the role of an SNS consumer should expand to the role of a producer so that he or she participate actively and involve in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the changes to smart media environments, an SNS administer of a tour company should communicate with consumers with speed and accuracy so as to transmit valuable knowledge to consumers. This implies the significance of maintaining consumers to use SNS continuously by forming trust between a company and consumers. In conclusion, accumulated experient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continuous mutual reactions of tour experiences of users based on a community will become the fundamental source of competitiveness of a tour company. Yet even if the importance that SNS information has across the board in our everyday lives is becoming larger and larger, the studies on SNS as to tourism are still insufficient to say the least. Here lies i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operating its own tourism information by a tour company as users who want to obtain tourism information through SNS. Therefore, the tourism industry should seek a means to operate an SNS tourism site that is differentiated and reliable rather than figure out psychological desire of users.

      • 의료관광에 대한 서비스품질이 관광객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동천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의료관광은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나 시설을 의도적으로 촉진함으로써 관광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관광시설을 결합한 시도로써, 건강관리의 문제가 전 세계인의 중요한 관심분야로 부각되면서 건강과 관광을 연계한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시장개방에 힘입어 전통적인 저비용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에서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그 성격이 변화하고 있는 중국시장의 잠재적 의료관광객인 중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료관광 서비스품질 속성은 무엇이며, 국내 의료관광에 대한 그들의 향후 행동의도가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의료관광에 대한 태도에 근거해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의료관광에 대한 서비스품질과 관광객의 태도, 행동의도 및 의료관광에 대한 특성 및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잠재적인 의료관광객으로 의료관광을 경험해 본 적이 없으나 의료관광에 관심을 보이며, 한국의 의료관광에 대한 사전정보를 주입받지 않은 서울의 K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2013년 10월 10일부터 2013년 11월 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284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은 ‘유형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의 총 5개의 요인과 ‘관광객의 태도’와 ‘행동의도’는 각각 단일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의료관광 서비스품질 차원이 관광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형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의 5개 차원 모두 ‘관광객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이 관광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셋째, 관광객의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광객의 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객의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2도 지지되었다. 넷째,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유형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 등 의료관광 서비스품질 5개 차원 모두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나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3도 지지되었다. 다섯째, 실증분석을 통해 ‘관광객의 태도’는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의 5개 차원 중 ‘유형성’, ‘반응성’, ‘확신성’, ‘신뢰성’의 4개 차원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으며, ‘공감성’ 차원에서는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매개변수에 의한 간접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edical tourism attempts to combine intentionally promoted health-related services and tourism facilities to attract tourists. Health related problems became very important to people around the world, leading to variety of activities that links health and tourism. This study focuses on Chinese students who are the potential medical tourists of Chinese market which has sustained economic growth and open market because of its low-cost production and huge consumer marke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at service qualities of medical tourism have effect on tourists’ behavior intention. We observed the tourists’ attitudes toward medical tourism considering the following factors; service quality of medical tourism, attitude of tourists, behavior intention, characteristics of medical tourism,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s a sample for empirical analysis we used potential medical touris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Chinese students who don't have prior knowledge about Korean medical tourism, who don't have experience as a medical tourist but have interest in medical tourism. Sampling method was tested on undergraduate and graduate Chinese students of K University from 2013.10.10 to 2013.11.07 and survey was conducted on 284 Chinese students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service quality of medical tourism derived five factors: tangibles, responsiveness, assurance, sympathy and reliability, while tourist’s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each derived a single factor. Second, results showed that five factors: tangible, responsiveness, reliability, sympathy and assurance of service quality have positive effect on tourists’ attitudes. Thus, hypothesis1 on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medical tourism on attitude was adopted. Third,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ourists’ attitudes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Thus, hypothesis 2 on the effects of attitude of tourists on behavior intention was adopted. Fourth, results showed that five factors: tangible, responsiveness, reliability, sympathy and assurance of service quality of medical tourism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Thus, hypothesis3 on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medical tourism on behavior intention was adopted. Fifth,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while tourists’ attitudes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tangible,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behavior intention, it has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sympathy and behavior intention. Significant validations of all indirect effect on the paramet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스마트파워 지향적 한국 관광외교역량강화 연구 : 글로벌 거버넌스 협력을 중심으로

        한혜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paper explores the evolution of Korea's tourism diplomacy that is defined as "a medium or tool of public diplomacy and a behavior to enhance soft power which expands a nation's ability to affect others to the global level through stimulating tourism exchanges between nations and people." Among three types of tourism diplomacy, Korea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global governance cooperation in the field tourism, attempting to improve its tourism diplomacy and global image. By closely investigating the level of engagement by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UNWTO(World Tourism Organization) and with the analysis of interviews of the UNWTO member states, this paper lays out policy recommendations to enhance Korea's tourism diplomacy capacity, which is an important tool in the arsenal of smart power.

      •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정보만족이 잠재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대불일치이론 관점에서

        유서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that the value of lectronic word of mouth(e-WOM) tourism information has over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EDT),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of providing tourism information.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a study of preceding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EDT;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were identified through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 addition, varied opinions on EDT and recent usage trend of e-WOM tourism information were reviewed through the study of preceding research.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ublic who had experience on using e-WOM tourism information. With respect to statistical research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done to confirm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on information satisfaction(which is based on EDT model) and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atisfaction on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ctation of the valu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disconfirm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disconfi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potential travelers became thorough and active on information search and pursuit of various information value dimensions to make prudent travel decision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applying the intangible featured valu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to EDT and verified the influence on information satisfaction. Second, in practical ter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to tourism-relat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in providing information which can meet potential travelers’ needs with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most used e-WOM tourism information source. It will help them to find a way to choose an effective tourism information source and make the best use of it, and also to develop it continuously. Third, this study reveals that identifying, assessing information value dimensions and recognizing travelers’ perceived values can be useful to the marketers of tourism-relat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in creating publicity campaigns and planning for sales promotions. Moreover, it can provide abundant information and improve travel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hich would facilitate their subsequent travel decision making. 본 연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가 정보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기대불일치이론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관광정보 제공의 효율적인 방법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조사 그리고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기대불일치이론의 구성요인인 기대, 지각된 성과, 불 일치, 만족 간의 관계 및 만족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선행연구조 사를 통해 기대불일치이론에 대한 다양한 견해 및 최근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이용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통계조사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함께 기대불일치 이론을 토대로 기대, 지각된 성과, 일치성과 정보만족, 정보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기대는 지각된 성과와 일치성 모두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일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일 치성은 정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정보만족 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중한 관광의사결정을 위한 잠재관광객들의 면밀하고, 능동적인 정보 검색과 다양한 정보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바탕 으로, 무형의 특성을 갖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를 기대불일치이론에 적용 하여 정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로 나타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원과 관련하여 관광기업들이나 기관들은 잠재관광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하는데 있어 관광정보원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 지속적으로 발전시 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의 가치 차원을 구분하고 잠재관광객들이 중요하 게 생각하는 정도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정보를 제공하게 될 관광기업, 관 련기관이 관광상품 또는 관광지 홍보 및 판촉활동을 계획할 때 유용하게 활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잠재관광객들의 필요에 적합한 정보를 풍부하게 제 공할 수 있으며, 정보탐색 행동 향상 및 추후 관광의사 결정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승마레저 참여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임찬연 경희대학과 관광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승마는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로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인 동시에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키우고 동물 애호정신을 통해 인간애를 고양시키는 정신운동이며, 최근에 국민 소득 및 여가시간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여가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여가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대안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하지만 승마의 인기에 편승하여 무분별하게 승마장을 건립하다보니 시설수준 및 경영책임이 부족한 승마장이 속출하고 가격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때문에 승마레저 참여자의 다양한 동기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행태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승마시장을 마케팅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승마레저 참여자의 욕구가 다양해질수록 승마시장을 세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승마레저 참여자의 동기를 기반으로 한 시장세분화 연구가 현 상황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존의 승마레저 참여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로 진행된 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필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 260부의 유효한 설문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승마레저 참여동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응답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동기요인을 기준변수로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승마레저 참여자를 세분화하였으며 승마레저 참동기 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하여 도식화하고, 교차분석과 대응일치분석간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승마레저 참여자는 주로 30대 이상의 회사원에 서울에 거주하고 대학교 졸업의 학력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월간 승마 횟수로는 5회 이하, 정보원천은 승마장, 자마 미보유, 회원가입, 동호회 미가입, 승마레벨 구보, 외승경험 없음, 해외승마 경험 없음, 승마레슨은 10회 미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승마레저 참여동기는 ‘관계증진’, ‘외적과시’, ‘가족친화’, ‘기술습득’, ‘일상탈출’, ‘건강증진’ 등 총 6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시장세분화 결과 ‘탈일상추구집단’, ‘다목적추구집단’, ‘승마기술추구집단’ 등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행태적 특성 및 승마레저 참여동기에 의해 세분화된 군집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유의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령, 교육수준, 직업, 거주지와 행태적 특성 월간 승마레저 횟수, 정보원천, 자마보유여부, 승마장 회원여부, 동호회 가입여부, 승마레벨, 외승경험 횟수, 해외승마레저 횟수, 승마레슨 경험을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여 집단별 특성을 시각적으로 파악하였다. 이처럼 세분시장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행태적 특성 및 참여동기에 의해 세분화된 군집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세분집단의 특성에 맞는 승마시장 마케팅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주제어: 승마레저, 참여동기, 시장세분화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according to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eisure for Riding a Horse Lim, Chan Yeon Graduate School of Tourism of Kyung Hee University Dept. of Tourism Leisure Industry As being an exercise with a special character that should be united together with a living horse, horse riding is a total-body workout to help a good physical development like sports to develop a great spirit by building up a health body and cultivating chivalry, is simultaneously a spirit exercise to develop sound thought & boldness and to enhance humanity through spirit for loving animals, and rapidly increases as an alternative to satisfy needs of leisure due to a growing demands on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as the national income & leisure time are increasing. But as horse riding courses are thoughtlessly constructed by riding on popularity of the horse riding, the courses lack of level of facilities & managerial responsibilities continue to increase and the price competition is overheated. Hence it's required to suggest a way in marketing in effect at a market related to riding horses by having a good grasp of various motivatio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behavioral ones for participants in leisure for riding horses. In particular, as it's important to segment the market for riding horses as varied as the needs are for participants in riding horses, a study on the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leisure for a horse riding is considered to be pertinent to the current situation. Also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necessity in that there's no study conducted with the market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leisure for riding horses. As a result of survey in this study, valid questionnaire data could be obtained from 260 copies in the survey.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8.0 was utilized to check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leisure for riding horses and the descriptivel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grasp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the participants in leisure for riding horses were sub-divided using a group analysis with the standard variable regarded as the drawn motivation factors and were shown in a diagram using an analysis correspondent with responses to grasp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and a suggestion were presented on basis of results between a cross analysis and the analysis correspondent to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s found to be the highest ratio for the participants who are office workers with college graduates in over 30s in Seoul. It's shown to be high ratios in the number of less than 5 times a month for riding horses, information source of the horse riding courses, no possession of one's own horse, joining memberships, no joining clubs, horse running in riding levels, no experience on riding outdoors, no experience on riding overseas and the number of less than 10 times for riding lessons. It's demonstrated to be total 6 factors of 'relationship promotion', 'external boasting', 'family friendly', 'acquisition of technology', 'escape from routine', and 'health promotion' in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leisure for riding horses, and it's drawn to be 3 groups of 'a group in pursuit of escaping from routine', 'a group in pursuit of multi purposes', and 'a group in pursuit of the horse riding skill' as a result of the market segmentation. The cross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if there's any difference across groups sub-divided by the motivation and the demographic statistical characteristics & behavioral ones, which were visually understood by groups with the analysis correspondent to responses such as ages, significantly demographic statistical analysis, education levels, occupations, residence &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riding horses a month, information source, possession or no possession of one's own horse, with or without membership, joining or no joining clubs, riding level, the number of riding outdoors, the number of riding overseas, experience on riding lesson. This way as ther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sub-divided by the demographic statistical characteristics & the behavioral ones an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by the segmented market, the marketing suggestion to offer a marketing way suitable for the sub-divided groups' characteristics could be drawn. Key Words: Leisure for riding a hors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Market seg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