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수사 인재양성에 관한 연구

        이종희 경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91

        우리나라 과학수사 인재양성을 위해 과학수사 교육기관의 현실과 설문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경찰 교육훈련에 관한 각종 국내·외 연구문헌, 보고서, 및 학위논문을 조사하여 실시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은 인터넷 매체를 이용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직 과학수사요원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대부분이 각 대학(원)들의 교육시스템의 개선 및 전문교육 대학(원)의 설립을 원하고 있으며 경찰수사연수원 역시 전문교육 세분화 및 실습교육 위주로 개선해야함을 인지하고 있다. 또한 전문성 강화를 위한 운영 전문수사관 역시 개선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각각의 대학에서 과학수사에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과학수사 전문교육 대학(원)역시 설립해야하고 경찰수사연수원의 실습을 강화해야하며 전문수사관 자격을 국제표준규격에 맞춰 혜택을 확실히 하여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정책과 제도가 도입된다면 과학수사의 발전을 이루어 전문성 확보 즉 과학수사 인재 양성이 되어 한국 과학수사에 큰 힘이 될 것이다.

      • 과학수사요원 선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오순섭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ociety as a whole has changed our lives all at once as we have undergone many changes due to COVID-19. New crimes have also been created and evolved due to various environments changes, threatening public saf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forensic activities to predict new crime and symptoms of crime to protect public safety. Edmond Locard once said, “Every Contact Leaves a Trace”, as known as Locard’s Exchange Principle. Exchange Principle is a banner of all the forensic agents and a principle of forensic service. The mission for the forensic agents is to find the trace in a crime scen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forensic activities which is the beginning of investigation, cannot be overstated. There are two ways to select as a forensic agents: internal recruitment and professional career competitive recruitment. Internal recruitment is the case when a new police officers enter the police station, detective, investigation, and transportation as a forensic agents. They have had a lot of on-site experience throughout the course of many cases, so they have been able to adapt quickly and solve communication problems among employees, but they generally do not have professional bachelor’s training related to forensic investigation. Meanwhile, forensic agents selected for professional career competition received training related to forensic investigation, such as professional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However, due to the employment route is special, they immediately enter the field of forensic investigation without going through various processes such as criminal investigations. Therefore, they have little experience in the field. They might learn the theory, but the gaps between theory and field makes them spend months to years to adapt to forensic agents due to lack of practical field experience and know-how, which reduces communication and filed adaptation among employees. This thesis studied both the literature study and qualitative study of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referring to statistical data, reports, and the Internet data.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in May 2021, with internally recruited forensic agents and professional competitive forensic agents selected by age, gender, and field experience. Through the research, this thesis found three solutions to solve the problem in recruitment of forensic agents. First, expending education specializing in forensic investigation. It is a system when all forensic agents are selected, they will receive basic train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being placed in field. Second, it is necessary to select forensic agents through practical test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by improving oral and interview test. Practical practice should be applied rather than oral test and effective practice evaluation that can be used in practice rather than simple memorization. For instance, it can utilize low- cost and simple practical evaluation such as camera operation tips, fingerprint classification methods, light source usage tips, micro evidence collection, and basic analysis tips for bloodstains. Third, if internal police officers have studied forensic investigation and are interested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m as forensic agents by conducting a simple practical evaluation related to on-site inspection. Internal agents have a lot of experience in Detective, Investigation, Women and Juvenile Affairs, and police stations, and are familiar with the scene, therefore they will be able to work as forensic agents if they receive on-site inspection training.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future of forensic investigation depends on the selection of forensic agent. To that end, the selection of forensic agents is important. The more civilization develops, the more diverse the methods of crime are. So, the evidence collection on-site by forensic agents is valuable for solving cases. The police are trusted by the public when the police are found guilty of arresting criminals, uncovering other crimes and presenting evidence in court.

      • 공판중심주의 강화에 따른 경찰과학수사의 발전방향 모색

        유제설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우리 경찰에 있어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전에 서술한 바와 같이 수사기관에서 타기관에 의뢰없이 직접 실시하는 증거물 감정이 지문 등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경찰 과학수사가 선진화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권한을 가진 감정기관이 경찰 내에 존재하거나 경찰의 감정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사건을 전문적이고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수사기관과 최대한 가까운 곳에 증거 분석, 감정이 가능한 시설과 인력이 있어야 한다. 현재 지방청 단위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기능 증거분석실을 운영하기 위한 전문요원들과 분석 장비 등을 확보하여 기능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과학수사 분야에 있어서 경찰의 예산의 투입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 과학수사와 외국의 과학수사 비교분석

        조유라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rovements in Korean forensic investigation by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forensic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Korean forensic investigation.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Korean forensic investigations and forensic cases in foreign countries, a literature review was first conduct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digital technology developed in the 21st century are used to secure traffic routes through 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and criminal vehicles, and to use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location tracking service of mobile phones. As a method, it uses a new investigation technique that tracks the criminal's whereabouts. Scientific investigation (Scientific Investigation), as the word implies, means an investigation using science or an investigation conducted in a scientific way. And forensic investigation incorporating scientific principles is an investigation that reflects the objectivity, certainty, and efficiency of science, and refers to an investigation method that responds to or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tatements and newspaper-centered investiga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terature data, the most urgent problem in Korea is that an independent research institute sh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research in the field of forensic scienc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Korea does not have an institution or organization leading forensic science research, so the pace of academic development is inevitably s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long-term unsolved cases are often resolved through DNA investigation techniques. Among them, the 'DNA genealogy', a state-of-the-art genetic analysis investigation technique, solved the unsolved serial murder case for the first time in 29 years. Eve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technologies for this DNA investigation technique, which is widely used in developed countries. Based on these studies, Korea can also make education and research functions independent from practice, so that working institutions can build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focus on practice only. In addition, research institutes should develop standards for forensic scientific methods and procedures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with working-level institutions, and should conduct research

      • 경찰과학수사와 CoC(Chain of Custody)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장승우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75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범죄의 방법은 날이 갈수록 첨단화 되고 지능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방송 매체 등에서 과학수사기법의 노출로 인하여 범인들의 증거인멸 방법 또한 발전하고 있어 경찰의 과학수사 방법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법 등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과학수사 기법 등을 통해 검거된 범인은 형사재판을 받게 되며 공판중심주의, 국민참여재판 등의 증거재판 원칙을 기초로 공판절차가 진행된다. 과거의 자백에 의존하였던 수사방식은 더 이상 법정에서 범죄의 입증이 어렵게 되어 국민의 신뢰를 얻게 될 수가 없다. 범죄현장에 임장하게 되면 과학수사 요원은 적법절차를 지키면서 증거수집 활동을 해야 한다. 실체적 진실을 밝힐 수 있는 증거물은 범죄현장에 산재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채취된 이 증거물은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포장 및 봉인을 하여야 하며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이 되었으며, 보관방법은 어떻게 되었는지 등에 대한 증거물 연계성(Chain of Custody)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증거물에 대한 채취, 보관, 운송, 분석, 처리에 관한 시간대별 문서화를 하여 사건현장에서 법정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명확한 처리 절차 및 기록을 남겨두어 법정에서 증거물이 적정절차에 의해 수집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 방법에 대하여 명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증거물 연계성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경찰과학수사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사법환경의 변화에 따른 공판중심주의, 국민참여재판 제도를 언급한 뒤 증거의 분류 및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내용인 증거물의 연계성에 대한 일반이론을 다루었다. 증거물 연계성을 설명하기 위해 국내의 과학수사 사례를 언급하였으며, 외국의 대표적인 사례인‘O.J.심슨’사건을 자세히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하여 증거물 연계성의 확보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수사의 발전에 발맞추어 법과학의 발전은 사건사고의 범인 지목에 커다란 공헌을 해 왔으나, 증거능력 없는 증거에 의해 진짜 범인에게 과학의 이름으로 면죄부를 준 경우도 있었다. 증거재판주의의 확산으로 범인의 범행을 입증할 증거물이 부정하지 않은 방법으로 수집되고, 전달되고, 분석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어야 사건처리에 있어서 억울한 국민이 단 한명이라도 생기지 않을 것이며 국민에게 우리 경찰과학수사에 대한 신뢰감을 줄 수 있다. 과학수사의 중요성이 점점 커져 가는 만큼 증거물 연계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여 과학수사 요원들의 현장 감식활동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범죄의 방법은 날이 갈수록 첨단화 되고 지능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방송 매체 등에서 과학수사기법의 노출로 인하여 범인들의 증거인멸 방법 또한 발전하고 있어 경찰의 과학수사 방법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법 등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과학수사 기법 등을 통해 검거된 범인은 형사재판을 받게 되며 공판중심주의, 국민참여재판 등의 증거재판 원칙을 기초로 공판절차가 진행된다. 과거의 자백에 의존하였던 수사방식은 더 이상 법정에서 범죄의 입증이 어렵게 되어 국민의 신뢰를 얻게 될 수가 없다. 범죄현장에 임장하게 되면 과학수사 요원은 적법절차를 지키면서 증거수집 활동을 해야 한다. 실체적 진실을 밝힐 수 있는 증거물은 범죄현장에 산재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채취된 이 증거물은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포장 및 봉인을 하여야 하며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이 되었으며, 보관방법은 어떻게 되었는지 등에 대한 증거물 연계성(Chain of Custody)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증거물에 대한 채취, 보관, 운송, 분석, 처리에 관한 시간대별 문서화를 하여 사건현장에서 법정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명확한 처리 절차 및 기록을 남겨두어 법정에서 증거물이 적정절차에 의해 수집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 방법에 대하여 명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증거물 연계성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경찰과학수사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사법환경의 변화에 따른 공판중심주의, 국민참여재판 제도를 언급한 뒤 증거의 분류 및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내용인 증거물의 연계성에 대한 일반이론을 다루었다. 증거물 연계성을 설명하기 위해 국내의 과학수사 사례를 언급하였으며, 외국의 대표적인 사례인‘O.J.심슨’사건을 자세히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하여 증거물 연계성의 확보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수사의 발전에 발맞추어 법과학의 발전은 사건사고의 범인 지목에 커다란 공헌을 해 왔으나, 증거능력 없는 증거에 의해 진짜 범인에게 과학의 이름으로 면죄부를 준 경우도 있었다. 증거재판주의의 확산으로 범인의 범행을 입증할 증거물이 부정하지 않은 방법으로 수집되고, 전달되고, 분석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어야 사건처리에 있어서 억울한 국민이 단 한명이라도 생기지 않을 것이며 국민에게 우리 경찰과학수사에 대한 신뢰감을 줄 수 있다. 과학수사의 중요성이 점점 커져 가는 만큼 증거물 연계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여 과학수사 요원들의 현장 감식활동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살인범죄에 있어서 과학수사의 방법에 관한 연구

        이효걸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정보·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범죄기술 역시 하루가 다르게 변화와 진화를 거듭하여 흉포화·지능화·광역화 되어가고 있다. 이에 우리의 수사기관이 국민의 신뢰를 받기 위해서는 사회의 변화에 발맞춰 수사 역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진화된 범죄에는 고도의 장비와 수사기법을 사용하여야 하고, 적법절차와 증거재판주의를 악용하여 사법망을 빠져 나가려는 범인들을 차단하면서 그에 맞게 처벌하기 위해서는 올바르면서도 빈틈없는 수사절차와 증거수집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범죄사건에서 범죄피해자를 구제하고 사건에 대한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은 무수히 많이 존재하겠지만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사건 현장을 주도면밀하게 조사함으로서 그에 맞는 단서, 즉 증거재판주의에 맞는 증거(證據)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에 우리 과학수사는 범죄로 인하여 억울하게 피해를 입은 자에 대한 진실을 규명하고 최소한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더욱이 한번 피해를 입으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회복이 불가능한 살인 사건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살인의 비중은 전체 강력범죄의 비중으로 봤을 때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는 경우보다 훨씬 적은 0.1∼0.2%에 불과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살인에 대한 두려움을 버리지 못하고 세계 각 국에서 가장 중대한 범죄로 다루고 있는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살인에 대한 피해는 최첨단 과학·의학기술로도 영원히 회복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한 피해가족들에 대한 갖가지 피해도 실로 엄청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이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범죄 중 살인범죄에 초점을 맞춰 그것에 대한 수사기법중의 하나인 과학수사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정의 및 역할을 살펴보고, 세계 주요 국가의 과학수사 실태를 비교연구 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수사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죽음과 살인을 구분함과 동시에 우리나라 형법상 살인죄의 규정을 살펴 보아 살인의 종류를 알아본 후 시체의 사후 변화를 다뤘다. 또한 현장 감식에 있어서 중요한 사인의 판단 및 자·타살 구별, 이에 따른 혈흔의 형태 및 비산각도, 방향성의 판단, 더 나아가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사건 해결의 커다란 실마리가 될 수 있는 미세증거물의 종류 및 채취 방법의 제시, 마지막으로 심리학적으로 접근하는 프로파일링 분석까지 개괄적으로 범죄 현장에서 쓰이는 과학수사의 일반적인 기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가 현장에서 직접 발로 뛰는 감식요원들의 노력과 땀에 비하면 감히 견줄 수는 없지만, 과학수사를 궁금해 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범죄로 인하여 사망의 피해를 입은 모든 망자에 대한 삼가 명복을 비는 바이다.

      • 과학수사요원의 교육훈련시스템에 관한연구

        이훈제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오늘날 정보와 통신이 발달하고 사회의 다원화와 변동에 따라서 치안에 대한 요구와 수준도 높아지게 되었고, 범죄의 방법이나 수단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죄를 묻고 형을 집행함에 있어서 조서나 자백에 의존하지 않고, 국민의 참여와 법정에서의 구두변론으로 공방하는 등의 공판중심주의로 변모하고 있다. 증거의 관점에서 과거엔 범죄자의 자백에 크게 의존한 진술증거 등으로 범죄를 증명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형사소송법의 개정과 공판중심주의, 배심제로 변화하는 재판정에서는 과학수사요원이 채취한 물적 증거물이 재판의 유무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러한 점 들을 모아보면, 범죄에 있어서 용의자의 범죄행위 입증과 그에 따른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증거를 수집하는 과학수사요원의 역할과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도 더욱 중요해 질 것이다. 그러므로 과학수사요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민에게도 공정하고 객관적인 정의의 실현을 보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그 방법으로는 과학수사요원의 전문성을 키우는 것이다. 과학수사요원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방법으로는 최우선으로 교육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올바른 교육훈련이 선행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이 효과적이기 위한 과학수사요원의 환경과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며, 그러한 여건과 환경을 토대로 기관, 장비, 강사, 커리큘럼의 전문적인 교육훈련을 이루어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과학수사의 교육훈련에 관련된 실태를 살펴보고 교육훈련에 저해되는 환경적인 요소를 살펴보았고, 과학수사요원의 직무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요원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교육훈련은 무엇인지 검토하였고, 외국의 교육훈련이나 제도를 보면서 우리나라 과학수사에 도입하여야 할 점을 검토하고 이를 추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혈흔 수사 사례분석을 통한 과학수사 기법 향상 : 미국·호주·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이광현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4

        Every bloody crime scene comes with blood pattern. Blood spatter indicates what happened between the offender and the victim in terms of physical actions. Before the introduction of blood spatter analysis, blood spatter in the scene was considered as one of clue that shows offender-and-victim-made acts. As the blood pattern was put aside as an offender's clueless performance, criminal investigators put their focuses mainly on scars and wounds by a murder weapon that killed the victim. In the past, blood spatter analysis was less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crime scene for analog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crime. In this sense, even in the bloody crime scene, the oppressive investigation by questioning led another suspecter to the real culprit. And, the true criminal for the scene slipped through the hands of the police. Sometimes, the mistakes were corrected by trial. A century ago, Europe started to experiment and educate how to analyze the blood from the bloody crime scene. Though this, they have known many : the categories of blood spatter, analysis of individual blood pattern,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pattern, criminal tool and striking acts, the character of blood-related to its’ directionality, size, shape. Moreover, the reconstructed crime scene by blood spatter analysis helps detective easily to convince judge and juries in the court. In this regard, Korean police and investigators must enlighten that, for the better performance on the court, they should put the forensic science with blood spatter analysis for reconstructing crime scene before the investigation by question. Albeit late than the West, Daegu police in Korea adopted the blood spatter analysis for re-simulate crime scene from Canada in 2007. From then on, blood spatter analysis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For improving their capacity to use the method, they opened academic and practice-based classes of blood pattern analysis in their Forensic Education Institute. It targets to their forensic investigating agents. The National Police Agency fosters the trained agents to blood spatter analysts by tests and simulation of reconstructing the crime scene. The analysts have developed their analytic skill on the ground to analyzing manual, redesigned training course, forum, and better uses in the court. As a forensic science tool, the blood spatter analysis helps the analysts and police to understand the start of the bloody spot and acts between offender and victims, and analogize what happened at the crime site. Through the reconstructed crime scene, they give the victim the true in the scene, offender the right for fair judgment. It also assists judges and juries by presenting higher accuracy on clues for the crime. Accordingly, blood spatter analysis has gained in popularity from investigative agency and justice depart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aimed to diversify and develop the level of blood spatter analysis in Korea by proposing the direction of it based on various literature and materials.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forensic science and enlightenment for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blood spatter analysis. 유혈사건 현장은 항상 피가 존재한다. 존재하는 혈흔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행위와 행동을 나타낸다. 혈흔 수사가 도입되기 전에는 현장에서 발견된 피는 상대방과 피해자의 인위적인 행동으로만 생각했다. 아무런 의미가 없는 가해자의 행위만을 인식한 체, 범행도구에 의한 피해자의 상흔과 직접적으로 사망케 한 상흔에만 관심을 가진다. 범행 당시의 일련의 행위를 추정하고 재구성을 통한 행위를 유추해석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체, 혈흔 수사에 대하여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다. 과거에는 유혈사건 현장에서 조차 강압적인 수사와 탐문수사에 묻혀, 진범임에도 진범을 처벌하지 못하고 다른 사건의 용의자가 진범으로 구속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재판과정에서 진범이 검거되거나 무죄 판결을 받는 사례가 있다. 유럽에서는 100년 전부터 유혈사건 현장에서 발견되는 혈흔에 대하여 실험과 교육을 통해, 발생 기전에 대한 혈흔의 분류와 개별혈흔에 대한 분석, 범행도구와 가격행위, 혈흔의 방향성과 특징, 모양, 크기, 그룹 등으로 현장에서 재구성을 하고 있다. 재구성한 사건을 통해 법정에서 재판관과 배심원을 상태로 증거능력을 확보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경찰은 기존의 탐문수사 및 진술에 의존한 수사에서 탈피, 과학수사 기법인 혈흔 수사를 통해 사건을 재구성하고 법정에서 재판관과 배심원에게 증명력에 대한 증거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비록 서구에 비해 혈흔 수사는 늦었지만, 2007년 캐나다를 통해 도입, 대구경찰청 과학수사계에서 실험과 교육, 분석 방법 등을 시작으로 혈흔형태분석 기법은 각 지방경찰청에 분석관을 두고 현장에서 재구성을 하고 있다. 또한, 과학수사 교육기관인 경찰수사연수원에서는 과학수사요원을 대상으로 교육과목을 신설하고 교육과 실험, 분석 등 사건을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고 있다. 경찰청에서는 과학수사요원 중 혈흔 수사에 대한 수사연수원에서 일정한 교육과목과 시간을 이수, 시험과 사건현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심사 혈흔 수사 분석관을 양성하고 있다. 혈흔 수사 분석 요원들은 현장에서 혈흔형태분석 기법으로 증거물 채취 및 분석, 매뉴얼과 품질, 교육, 학회, 세미나, 법정진술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과학수사 기법인 혈흔 수사는 범죄현장에서 유류된 혈흔의 크기, 모양, 위치, 분포, 외형적 특징 등 다양한 분석을 통해 혈액의 출발점과 움직임 등을 판단하고, 범행 당시의 일련의 행위를 추정하여 재구성을 통한 행위를 유추해석 할 수 있도록 증명력을 확보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를 말한다. 재구성한 분석 자료를 통해 피해자에게는 억울함을 풀어주고, 피고인에게는 자기 방어권인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다. 법정에서는 재판관과 배심원으로 하여금 공정한 재판을 할 수 있도록 증거적 증명력을 확보하거나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부 사건에서 첨예한 대립을 통해 수사기관이나 재판부에서 혈흔 수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거나 중요한 분석 자료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혈흔 형태 재구성을 통한 과학수사 향상을 목적으로 관련분야에서 문헌과 자료를 통해 활용 및 향상 방안에 대하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혈흔 수사 기법이 경찰 과학수사 발전을 도모 하고 혈흔 수사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귀중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경찰관의 법과학 지식 인지도

        천정환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59

        어떠한 죽음이든 이유 없는 죽음은 없다. 그것이 자연사 일지라도 과학수사를 토대로 한 수사활동을 통해 사인을 명확히 밝혀내어 억울한 죽음이 생겨나지 않도록 하기위해, 일선의 경찰관들에게 심도 있고 새로운 법과학 및 법의학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여 사건현장이 훼손되거나 증거물 채취에 사소한 실수도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경찰관의 법과학 지식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0 년 5 월 1 일 부터 5 월 13 일 까지 2 주간 대구․경북 및 경남권의 7 개 경찰서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12 명 중 1 급지가 171 명 (80.7%), 2 급지가 29 명 (13.7%), 3 급지가 12 명 (5.7%)이었으며, 1~5 년 근무자가 43 명 (20.3%), 6~10 년 근무자가 48 명 (22.6%), 11~15 년 근무자가 52 명 (24.5%), 16~19 년 근무자가 33 명 (15.6%), 20 년 이상 근무자가 36 명 (17.0%)이었다. 범죄에 의한 환자나 죽음의 경험 횟수에서 10 회 이상이 58.8%로 가장 높았으며, 조사대상 중 대부분의 경찰관이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수행 중 가장 어려운 점은 열악한 업무환경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62.1% 가장 많았으며, 법과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경로로는 언론매체가 45.0%로 가장 많았다. 경찰관의 법과학관련 교육유무는 교육을 받지 못한 경찰관이 53.3%로 가장 많았으며, 과학수사팀의 경우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이 강력범죄수사팀과 기타부서보다 많았다. 법과학관련 교육기간은 기타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가 30.3%로 가장 많았으나, 대부분 4 주 미만의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과학관련 교육을 접하는 통로로는 경찰수사연수원이 38.6%로 가장 많았으며, 법과학관련 지식정도에서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많은 교육이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50.5% 가장 많았고 법과학 지식의 업무 활용도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73.0%에 달했다. 법과학 지식의 부족으로 업무 중 어려움을 경험한 횟수에서 3~5 회라는 응답이 31.0%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조사대상 경찰관들이 법과학 지식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과학 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는 과중한 업무라는 응답이 59.6%로 가장 많았으며, 법과학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1.1%만이 충분하다고 응답했을 뿐 대부분이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법과학관련 교육이 충분하지 못한 이유는 교육시설의 미비가 49.7%, 교육기간이 20.7%로 가장 많았다. 법과학관련 효율적인 교육 기간에 대해서는 2~4 주 라는 응답이 51.0%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을 배우기 위한 적합한 시설은 국립과학연구소가 34.4%로 가장 많았고 교육받기를 가장 원하는 대상은 국립과학수사 연구원이 30.3%로 가장 많았다. 경찰관 업무에서 가장 필요한 법과학 분야에 대해서 법의학이 33.8%, 범죄심리학이 29.5%로 의학관련 교육에 대해 많이 필요하다는 응답을 했다. 법과학 중 법의학관련 교육에 대한 질문에서 약간의 수치차이는 있으나 대동소이한 응답이었으며, 그 중 교육 받기를 원하는 대상에서 법과학관련 교육에서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30.3%로 가장 많았으나, 법의학관련 교육에서는 “법의관”이라는 응답이 30.4%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법과학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에 대한 질문에서는 법과학 분야의 부족한 인력수급이 33.7%, 체계적이지 못한 법과학관련 교육제도가 22.6%로 나타났다. 급변하는 정보통신과 지능화 되는 범죄, 높아져 가는 국민의식에 부합하기 위해 법과학관련 교육의 심도 있고 체계적인 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경찰 과학수사요원 특별채용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수정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59

        사법 환경의 변화에 따른 ‘증거중심주의’에 따라, 증거물 연계성(Chain of Custody)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 과학수사의 전문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2013년 처음으로 과학수사 전공자에 대해 특별채용을 시행하였다. 과학수사요원 특별채용제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과학수사요원 특별채용제도의 필요성 및 적실성과 실효성에 대해 모색함으로써 앞으로도 전문성이 요구되는 과학수사요원 특별채용제도를 정례화하여 우수한 인력을 확충하고, 나아가 과학수사의 효율성과 인권의 보장에 기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 특별채용제도에 대해 살펴보고,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인 과학수사요원 특별채용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로서, 동 제도가 추구하는 전문성 및 조직몰입, 직무만족과 그에 따른 직무효과성이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별채용제도가 추구하는 목적인 전문성은 자신이 보유한 전문성이 업무를 추진하는데 적합하고 연관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문성에 따라 자신에게 주어진 직무에 대한 이해가 높고 업무를 수행하는데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어서 직무에 대한 심리적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한 개선방안으로 전문성을 통한 조직효과성을 위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업무배치와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직무에 대해 충실성과 능률성을 높이기 위해 경찰공무원 각자의 직무에 대한 과학적인 직무 분석을 통해 개개인의 적성이나 전문성과 담당 업무와의 적실성을 연결하고, 업무의 중요성과 조직의 목적 달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 업무에 대한 자율성과 재량권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자 담당하는 업무에 대한 의무감을 부여하고 자긍심을 고취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