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공예 교육과정의 실태 조사 연구 : 서울특별시 4년제 대학교 공예학과 중심으로

        성낙봉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공예가 대학교 내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교육되고 있는가에 대한 유형별 구분을 우선 목적으로 하며, 세부적인 통계를 바탕으로 공예교육의 형식과 목적, 대학별 실기와 이론의 배분, 전공과목과 기타과목의 분포 등을 연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서울시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각 대학교 공예학과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통계적인 수치를 인용하여 현대 우리나라 공예교육의 흐름을 파악함과 동시에 앞으로 대학교 내에서의 공예 교육에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시안이 되었으면 한다. 우리나라의 공예교육은 다른 나라의 그것과 분명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제 식민교육 체제에서 우리 공예는 그들의 문화 말살정책으로 인해 후대에 올바르게 계승되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전통의 단절은 물론이며, 역사성 없는 공예문화가 난무하고 있다. 물론 선학들의 쉼 없는 연구와 노력으로 인해 동시대의 공예 정체성 확립에 많은 근접을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누구라도 현 시대 공예의 정의를 내리는 것에 대한 의문점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혼란기를 겪지 않았다고 가정해 보자, 현재 대학교라 불리는 고등교육기관에서 교육되고 있는 교육목표나 교육과정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을 것임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는 삶의 지혜와 예술적인 혼이 담긴 훌륭한 공예문화 유산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이는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주목을 받으며 성장하여 왔으며, 또한 앞으로도 많은 발전이 있을 것이라 본다. 점차적으로 세계의 문화도 국제 경쟁력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는 결코 성장할 수 없으며 우리나라 문화도 그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서는 문화경쟁시대의 약소국이란 오명을 벗지 못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 2의 문화예술의 혼란기에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공예문화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공예교육의 큰 줄기를 되 짚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classify by pattern how industrial art is educated in university and study and analyze form and purpose of industrial art education, distribution of practice and theory by university and distribution of special subject and other subject. The researcher wants to understand the flow of Korea industrial art education and establish basic case for industrial art education through specifically surveying the purpose and course of education of industrial art on the basis 4-years university in Seoul. Industrial art education of Korea shows many differences to other countries. Korea industrial art could not be inherited to next generatio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o disconnection of tradition and industrial art culture without historical philosophy happened. Of course, it is approaching to establishment of current identity of industrial art due to restless study and effort of senior. However, everybody will have a question to define present industrial art. For example, if we presumed that we did not undergo the chaotic age, everybody would not deny that there would be many changes in the purpose and course of education performed in high-level educational institution. We have many splendid inheritances of industrial art containing wisdom of life and artistic spirit. It has grown under public attention and it will develop much in future. Gradually, world culture can't grow without focusing on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Korea can't remove stigma, small and weak nation in cultural competition age without understanding the flow of culture well.

      • 중국요대(?代)와 조선시대(朝鮮時代) 분청사기에 나타난 조형감각과 장식성의 비교연구

        김선범 원광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요나라 시대의 분청사기와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에 나타난 조형감각과 장식성, 사적자료, 기법과 조형성, 장식성 등을 비교ㆍ고찰하여 양국의 분청사기에 대한 학술적 토대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중국 요대 분청사기의 시대(916-1125년)에 북방의 민간자기를 주로 제작한 요양공관툰요(辽阳江官屯窑),자주요(磁州窑)의 기형, 문양, 편년, 변천, 특징 등을, 조선시대 분청사기(粉青砂器)시대(1392-1592년)의 기형, 문양, 편년, 변천, 특징 등으로 제한하였고 양국의 분청사기를 병, 호(관), 완, 합, 그리고 기타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요대에는 광범위한 민요(民窑)제작이 이루어진다. 특히 북방족 시대인 요대에서는 서민들이 수요에 따라 도자기가 제작되었다. 중국 요대(辽代)분청사기는 10세기 중엽에서 약 200여년 생산되었다. 요나라 시대에 주로 분청사기가 제작되어졌지만 그 시대에 북송, 남송, 금나라가 서로 전쟁과 평화가 공존하였던 시대이기에 서로 왕래가 원활하여 문화가 교류되었기에 요나라만의 특유한 미적 감각이 나타나기 보다는 중국대륙의 전반적인 미적 감각이 존속되어 표현 된 것이 조선의 분청사기와는 다른 점이다. 400여년이나 뒤에 발생한 조선시대 분청사기는 14세기 중엽에서 16세기 중엽 경 까지 약 200여 년간 존속했던 소박한 도자기이다. 퇴락해 가던 상감청자로부터 변모 발전하여 백자에 흡수, 소멸됨으로써 자연발생했다가 자연소멸하는 한국민족의 미술품을 대표하는 민족자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민족문화의 발전을 이룩하였다. 조선시대 분청사기의 발생은 결국 고려 청자시대의 관요에서 활동하였던 도공들이 민요에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열악한 조건에서의 작업환경이 분청토를 백토로 분장하여 화장할 수밖에 없었던 환경적인 요인이 작용되어 진 것이다. 분업화 되어 있던 관요의 제작방식에서 도공 스스로 모든 제작과정을 감당하여야 하였던 분청사기 제작과정이 그러한 가장 한국적인 미적 감각으로 표출되어진 것이다. 요대 분청사기의 특징은 백지철화 (白地鐵花), 유하흑채, 요백(僥白) 등으로 구분한다. 조선시대 분청사기의 특징은 백토분장기법이며 백토분장의 방법에 따라 상감분청, 철회분청, 박지분청, 귀얄분청, 덤벙분청, 인화분청, 선각분청으로 구분 한다. 시기의 구분은 중국요대는 916-1125년. 조선분청사기 전기(1360-1420), 중기(1420-1480), 후기(1480-1540), 말기(1540-1600)의 시기로 구분하며 시기 구분의 분청사기 자체의 변화에 의거하여 되도록 타당성 있다고 판단되는 문헌기록, 현저한 양식상의 변화 등에 따라 구획하였다. 조선분청사기는 약 200여 년간 생산되었으며 대부분의 문양이 활달하고 서민적인 구수한 정취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어 가장 한국적인 도자기의 역사로 명할 수 있으며, 많은 현대 도예가들 뿐만 아니라 일반 감상자의 마음속에 생명을 불어 넣어 주고 있는 도자사상 독특한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보이는 도자기이다.

      • 와당문양을 모티브로 한 타피스트리 작품 연구

        강경애 淑明女子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our modern society, individual artists attempt to express their own art world creatively on the canvas, while pursuing a variety of expressions. Likewise, in tapestry, various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while artists try individualistic expressions based on their artistic spirit. Here, artists attempt to approach the essence of objects from their best possible viewpoints in an effort to pursue their unique art world. With such a basic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attempted to use the rooftile patterns as motive for a tapestry work torealize a creative expression of formative world through on-screen restructuring. The traditional rooftile pattern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because they must be the products created with our ordinary aesthetic values and techniques, and thus may represent our people's unique culture. After all, a tapestry work was created by using on-screen shapes, color rendering, material mass and diverse expression techniques. This study may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s for a work should be based not on simple representations of a given object but on restructuring of diverse unique forms according to artist's subjective senses. Second, depth and vigor of the work could be reinforced by diverse on-screen restructuring, pattern repetition, overlays and gradual color expressions. Third, as a result of using the five Yin and Yang colors (red, blue, yellow, white and black) as primary colors and harmonizing them with less intense and more sonorous surrounding colors, a more traditional color rendering could be conceived.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create unique tapestry expression by applying these rech color rendering to tapestry.

      • 해골이미지를 응용한 금속작품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이재훈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Skeleton means human bone remaining after human death and body decomposition. Human has had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imes. Meanings of skeleton have been different between Asia and the Western Culture. In Asia, skeleton is simply same with bone, as a fear while it is accepted as a good meaning with the purpose of incantation. In the past, it was as being of fear and has been strongly associated with negative images of death. However, as time changes, people become to have strong consciousness that "human dies someday', changing to the meaning that 'death is with life'. As people's recognition on death has changed, skeleton becomes positive rather than negative as a meaning of commemoration and memory rather than fear. Now, skeleton, beyond its negative images to the modern people, is reinterpreted as positive one for our liv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rts. Skeleton has been accepted as a pattern and beauty, and as it is used for designs, dresses and metal accessaries such as necklace, ring, and earrings with skeleton images are manufactured. It is also easily seen in tattoos and interior items in our daily lives, and then it is selected for the materials for this study. This study aims at studying symbolic meaning of skeleton, re-interpreting its meaning fit to the contemporary affects based on positive meaning rather than negative one, researching the designs, and manufacturing accessaries and sculp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beauty of form of skeleton, applying it to metal arts, and to broadening its friendliness and positive images. Accordingly, I research accessaries and sculptures with skeleton forms and patterns, and study general review and symbolic meaning of skeleton, and how to use it for the works through various literature, articles, researches, internet, and specialized books. I check the cases of application of skeleton, and expressional method through the previous artists' works. Based on the researched studies, and focusing on re-interpreting the skeleton patterns in modern sense,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duced. First, through general review on skeleton, focusing on its symbolism, meanings of death, reincarnation, fear, and fortune were reflected. Second, manufacturing methods of metal works from both the past and present were checked, and history of memento mori jewelry was reviewed. Third, re-interpreting symbolic meaning and modern affects of skeleton, its possibility to be expressed as metal sculptures and accessaries was confirmed, again. From this study, beauty of form of skeleton was confirmed again, and it seems that skeleton would be more refined and close to modern people's sense through various methods. With diverse symbolism, many forms and patterns of skeleton were developed to motivate new recognition on skeleton to many people. The study would be helpful for developing designs based on skeleton.

      • 조선시대 창살을 응용한 현대자수 연구 : 사찰의 꽃살을 중심으로

        원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공예학부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조선시대는 숭유억불(崇儒抑佛)정책을 취하였으며, 이 시대의 유학자들은 정의롭고 청빈한 선비의 삶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이러한 기풍(氣風)은 조선시대 미술에 영향을 주었고, 수묵화, 백자, 자연미를 살린 목공예 등 자연주의적 미술문화를 발달시켰다. 한편 유학이 주도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불교나 도가사상도 나름대로의 영향력을 갖고 있었고, 불교회화와 사찰건축에서 화려한 미술문화를 형성하였다. 조선시대 사찰에는 대웅전, 극락전, 비로전 같은 중심법당의 문은 물론이고 관음전, 미륵전 등 보살전의 문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문이 꽃살로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꽃살에 쓰인 문양은 연꽃을 비롯하여 모란, 국화, 매화, 대나무, 소나무, 물고기, 꽃병 등이 있고, 이 문양들은 장식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의미,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의 사찰에 나타나는 꽃살문양의 상징성을 고찰하고 그 조형적 특성을 자수 표현을 통하여 연구 분석하는 데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우리나라 전통 창호의 개념과 창살의 의미 및 변천에 대하여 파악하고, 조선시대 창살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둘째, 꽃살의 상징적 정의를 알아보고 그 종류 및 조형적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섬유예술과 꽃살에 대하여 현대미술과 섬유예술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작품표현은 꽃살문양을 응용하여 단순화한 창살과 원의 형태로 조형화함으로써 상직적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단순화 한 창살의 형태로 노방을 태우고 중첩시켰다. 원의 형태는 꽃문양을 응용한 것으로 면과 선으로 표현하였으며, 작품Ⅳ에서는 바탕천의 일부를 제거하여 수가 실 위에 놓여지게 표현하였다. 자수기법으로는 표현의 적절성을 위하여 한국자수기법인 자련수와 자릿수, 서양자수기법인 버튼홀 스티치(buttonhole stitch)와 테일러드 버튼홀 스티치(tailord buttonhole stitch)를 응용하여 사용하였다. 바탕면은 삼잎수와 칠보수를 응용하여 표현하였고, 선은 러닝스티치(running stich)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면으로 된 꽃문양은 자련수와 자릿수를 응용하여 수놓았고, 선으로 된 꽃문양은 버튼홀 스티치와 테일러드 버튼홀 스티치를 응용하여 표현하였다. 작품재료는 중첩의 효과를 살리기 위하여 투명한 노방을 사용하였고, 실은 견사를 꼬아서 사용하였다. 또한 실 위에 수놓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자수용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조선시대 사찰의 꽃살문양을 응용한 자수 작품을 제작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다양한 꽃살문양을 응용하여 단순한 형태로 재구성함으로써 현대미술에서의 최소 표현에 접근시켰다. 둘째, 투명한 노방을 1겹∼5겹으로 중첩시킴으로써 깊이감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자수용 부직포를 사용하여 바탕천의 일부를 제거하고, 실 위에 수가 놓여지는 새로운 자수표현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꽃살문양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와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hosun dynasty suppressed Buddhism, while promoting Confucianism. Thus, Confucian scholars thought that just and nobly poor life was important. Such a tendency influenced fine art during Chosun dynasty when ink paintings, white porcelains, natural woodcrafts and other naturalistic fine art were developed. Although Confucianism dominated the society, Buddhism and Taoism had their own influences, developing colorful fine art such as Buddhist paintings for temples. During Chosun dynasty, not only the main hall doors such as Daeungjeon, Kukrakjeon and Birojeon but also Bodhisattva doors including Kwanunjeon and Mirukjeon were decorated colorfully with flower lattices. The patterns used for such flower lattices were lotus flower, peony, chrysanthemum, bamboo, pine tree, fish, flower vase, etc., and these patterns had religious and symbolic meanings as well as some decorative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ymbolicity of the flower patterns shown on the Buddhist temples during Chosun dynasty and thereby, analyze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view of embroidery expressions. For this purpose, concept of our traditional windows/doors, implications of lattice and its changes were reviewed theoretically, and thereupon, types of lattices during Chosun dynasty were surveyed. Second, the symbolic definition of flower lattices was discussed, and their types and formal aesthetics were analyzed. Third, the flower lattices expressed artistically were compared with textile art. Based on such reviews and discussions, flower lattice patterns were simplified into lattices themselves and circle to be expressed symbolically, and thereby, embroidery works were produced. In producing the works, simplified lattices were overlapped. The circle was expressed by applying the flower patterns in terms of plane and line. For work Ⅳ, some part of the ground textile was removed for embroidery. Long and short stitches (Jaryeonsu and Jaritsu) were applied to express the flower patterns in two dimension, while button hole stitch and tailor button hole stitch were used to express the flower patterns linearly. In addition, Samipsu and Chilbosu were applied for the ground cloth, while running stitch was used to express the lines. For an overlapping effect, a transparent Nobang was used, while silk yarns were twisted to be used as embroidery yarns. In addition, a woven cloth for embroidery was used for an easy embroidery work. As a result of producing embroidery works applying the flower patterns during Chosun dynast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possible to realize the minimal expressions of modern art by restructuring the diverse flower patterns into simple forms. Second, it was effective to express the sense of mass and depth by overlapping the transparent Nobang one to five times. Third, it was possible to create a new embroidery expression (embroidered on yarns) by removing some part of the woven cloth.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experiment diverse and creative embroidery methods applying the flower patterns during Chosun dynasty.

      • 곡옥형태를 응용한 금속공예 디자인 연구

        이송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past, comma-shaped jade was utilized in various uses earring, necklace, decorations for gold head-pieces and belt, etc as a precious accessary with the meaning of life protection, awe, productivity, and life. It was also used as accessary or charm for religious, magic, ritual or daily purpose. However, in the contemporary age, with lack of recognition in comma-shaped jade, the Great Absolute or paisely patterns have been popular, and accessaries applied with pure comma-shaped jade become scar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reating metal crafts and accessaries with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shape of comma-shaped jade by applying the jade with traditionally meaning of life due to its similarity of shape of a fetus to metal craft, expressing its own plastic curves of the shape based on its material features and symbolic meaning, without losing its traditional roots. For creating the crafts, the symbolic meaning, types, and features in shape of comma-shaped jade were studied through various literatures, articles, researches, and internet sources. Then, the crafts and accessaries were made by patterning its shape or reinterpreting its plastic features with modern designs. For applying the shape of comma-shaped jade with new patterns and to metal crafts,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metal processing or imprinting were used. Materials such as gold, silver and copper strengthened contrasts in colors of the patterns, broadening ranges of the designs with their external beauty. Using 3D Rhino CAD Program, the form of an accessary was produced, and then it was arranged repeatedly to realize mass production and practical works. In addition, in order to emphasize characteristics of its various colors and usage, enameling technique was applied to express its traditional features. By reinterpreting plastic and symbolic features of comma-shaped jade and applying it to metal crafts through the research and design process, it was confirmed its availability to transform to new patterns reflecting the contemporary aesthetic sense. By using diverse traditional techniques, emphasizing its traditional beauty, and reinterpreting it as modern designs, the study sought possibilities to apply it as materials for designs. It also expected to apply various meanings and plastic elements of comma-shaped jade to accessaries and plastic arts, to rediscover and promote excellence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o review an encounter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ity, contributing to expand the fields of metal craf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