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전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의 관계

        정미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무용공연불안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 이에 대한 지지근거를 마련해 향후 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의 심층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30대 중 무용공연 경험이 있으며, 현재에도 무용 관련 업계에 속해있는 무용전공자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무용전공자의 특성 3문항, 긍정심리자본 24문항, 무용공연불안 2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의 설문지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은 Luthans등(2007)이 개발한 PCQ(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를 정은영(2013)이 수정⸱번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무용공연불안의 설문지는 문영, 김기웅(2006)에 개발한 DPAT(DancePerformance Anxiety Test)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 척도의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한 신뢰도(Cronbach's α)를 살펴본 후,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성별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경력과 장르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최종적으로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과 무용공연불안과(인지적 불안, 자신감, 신체적 증상, 불안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무용전공자의 특성을 성별, 장르, 경력으로 구분하여 긍정심리자본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남자가 여자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르로 구분하였을 때는 한국무용이 가장 높고,그 다음으로 현대무용, 발레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결론이도출되었다. 반면에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영역인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은 무용공연불안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불안, 신체적 증상, 불안행동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공연불안의 하위요인인 자신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인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나타났으므로,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무용공연불안은 낮아질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수가 공연상황에서 좌절하지 않고, 긍정적인 사고과 태도로 이겨낼 수 있는 심리적 자본인 긍정심리자본이라는 긍정적 정서를 통해 무용공연불안이라는 부정적 정서를상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이 무용전공자가 무용공연상황에서 불안을 느낄 때, 융통성 있고 열린 마음가짐을 가지며, 미래의 고난과 어려움에 대처하고 성공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무용전공자가 무대상황에서 무용수행 시훈련을 통해 불안을 이겨낼 수 있는 방안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erformance anxie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dance majors,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for in-depth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in dancers in the future. A survey was conducted on 202 participants, aged 20 to 30, who had dance performance experience and were currently involved in the dance industry.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items on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ajors, 24 item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23 items on dance performance anxiet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for collecting data. The questionnaire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utilized the PCQ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developed by Luthans et al.(2007) and revised by Jeong Eun-young(2013). The questionnaire for dance performance anxiety utilized the DPAT (Dance Performance Anxiety Test) developed by Moon Young and Kim Ki-woong(2006). After collecting the data,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scales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was examined.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dance majors,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ased on career and genre. Finall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optimism, hope, resilience)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cognitive anxiety, self-confidence, physical symptoms, anxiety behavior). The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dance majors, such as gender, genre, and career, revealed that males showed slightly higher levels compared to females. In terms of genre, Korean dance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contemporary dance and balle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career.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dimension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optimism, hope, resilience) and the sub-dimensions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cognitive anxiety, physical symptoms, anxiety behavior).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fidence, a sub-factor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overal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rrespond to lower levels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s a psychological resource that allows dancers to overcome dance performance anxiety with positive emotions and attitudes, can offset negative emotions. Additionally, they demonstrate that when dance majors experience anxiety in dance performance situati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nables them to maintain a flexible and open mindset, cope with futur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and possess a positive belief in success. This positive influence suggests potential strategies for dancers to overcome anxiety through training during dance performances.

      • 한국창작발레 [허난설헌-수월경화] 연구

        김지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34335

        Since ballet was spread in the early-20th century, South Korea’s ballet has sharply been developed repetitively. Each college has set up the Department of Ballet and produces excellent dancers every year. Various ballet companies show various works every year and often write articles on foreign invitation performances. They continue to perform brilliantly, e.g. Joining famous foreign ballet companies as well as various domestic ballet companies and winning a prize at prestige dance awards ceremonies. Considering its history, which is not that long, it seems that South Korean ballet is now on the road to development, accomplishing meaningful achievements. However,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the status of ballet in the present world of the Korean performing arts is in a quite different situation, and in reality, many ballet companies and employees in the related industries encounter real difficulties. While concerned about a measure for achieving commercial growth through the overall revitalization of the market based on the presentcapability, this researcher came to have a chance to perform the creative work of ballet, Heonansulhun-Suwolgyeonghwa. Through performing the work, an insight could be obtained, different from when the researcher had in performing the existing familiar works of classical ballet or romantic ballet. Thus, this study would aim to analyze the Korean creative work of ballet, Heonansulhun- Suwolgyeonghwa and to understand what artistic distinction and commercial possibility this work has, compared to the existing work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birth of the genre, ballet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trend and discussed the process from its introduction to South Korea till now and the details of the major ballet companies’ activities through the representative creative works. Then, by analyzing the work, Heonansulhun- Suwolgyeonghwa,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and its choreographer Kang, Hyo-hyung, this study would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who have not seen the work, of those who read this study. Next, this study conducted a phased analysis by dividing the stages in detail, from the planning of a work of ballet to the execution of its performance as follows: First, planning the performance; second, securing the work; third, marketing; fourth, preparing the performance; and lastly, executing the performance. For the details of marketing, an academic approach, of them, was needed, and for an analysis, management theory, the marketing mix theory was utilized. Like this, a phased analysis of the performance held was applied to Heonansulhun-Suwolgyeonghwa, finally. In the result drawn through the analysis, the link between artistry and audience expansion was the substantive concentration of capability on upstream activities prior to the stage of the performance, in otherwords, planning the performance, securing the work and marketing. The evidence supporting this is the very case of the success of Heonansulhun-Suwolgyeonghwa, and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much the performance upstream stage can affect the success of the work. In the genre of performing arts, the act of the performance of art is simultaneously done with the act of the audience’ acceptance, so it is a field, impossible to exist without the audience. In other words, the audience is the element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o further expand the audience, the basi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new ‘creative works’ through new ‘planning’ in addition to the activity for preparing the performance to satisfy the existing audience and ‘marketing’ that can attract new custom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quality creative works to attract new audiences, and it is judged that South Korean ballet can continuously mak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consequently, through such efforts. 20세기 초 우리나라에 발레가 전파된 이후 우리나라의 발레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각 대학에서는 발레학과를 창설하여 매년 뛰어 난 무용수들이 배출하고, 여러 발레 단체들은 해마다 다양한 작품들을 선 보이고 있으며 종종 외국 초청 공연에 대한 기사를 전해주고 있다. 이들 은 국내 여러 발레 단체들은 물론 해외 유수 발레단에 입단하여 권위 있 는 무용 시상식에서 수상을 하는 등 눈부신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길지 않은 역사를 고려해 보았을 때 우리나라 발레는 의미 있는 업적을 달성해 가며 발전 일로를 걷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상업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현재 우리나라 공연 예술계에서 발레가 차지하는 위상은 사뭇 다른 상 황으로, 많은 발레 단체들과 관련 업종 종사자들이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 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 발레가 현재의 역량을 바탕으로 전반적 시장 활성화를 통한 상업적 성장을 이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던 중 창작 발레인 [허 난설헌-수월경화]라는 작품을 공연할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해당 작품의 공연을 통해 기존의 익숙한 고전 발레나 낭만 발레 작품들의 공연 때와는 다른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창작 발레인 [허 난설헌-수월경화] 작품을 분석하고 이 작품이 기존 작품들과 어떤 측면에 서 예술적 차별성과 상업적 가능성을 지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발레라는 장르의 탄생과 사조에 따른 발전 과정을 알아 본 후, 우리나라에 도입되고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및 주요 발레단의 활동내역을 대표 창작 작품을 고찰하였다. 그 후 본 연구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허난설헌-수월경화]의 작품과 그 안무가인 강효형에 대해 분 석을 함으로써 본 연구의 접하는 이들 중 작품을 직접 관람하지 못한 이 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하나의 발레 작품이 기획에서 공 연이 실행되기까지의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단계별 분석을 실시하였 는데 그 단계는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첫 번째 공연기획, 두 번째 작품확보, 세 번째 마케팅, 네 번째 공연준비, 마지막 다섯 번째 공연 실행이 다. 이들 중 마케팅에 대한 내용은 학문적 접근이 필요했던 부분으로 분 석을 위해 경영학 이론인 마케팅 믹스 이론을 활용하였다. 이렇게 진행한 공연 단계별 분석을 최종적으로 [허난설헌-수월경화]에 적용하여 분석하 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예술성과 관객 확대 사이의 연결고리는 공 연단계 이전의 상류 활동 즉, 공연 기획, 작품 확보, 마케팅에 대한 실질 적인 역량 집중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바로 [허난 설헌-수월경화]의 성공 사례이며,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중 하나는 공연 상류의 단계가 작품의 성공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공연 예술 장르는 예술의 실연 행위와 관객의 수용 행위가 동시간적으 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객이 없이는 존립 자체가 불가능한 예술 분야이 다. 즉 관객은 공연 예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 다.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관객층을 더욱 확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 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공연 준비 활동에 더해서 새로운 ‘기획’을 통한 새 로운 ‘창작 작품’, 그리고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마케팅’ 에 대 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새로운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양질의 창작 작품 확보가 필요한데, 이러한 노력을 통해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발레는 양적, 질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 장소 특정적 공간의 특성에 기반한 무용창작연구 : 작품<IF>를 중심으로

        변예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을 위해 창작한 작품 <IF>의 분석을 통해 장소 특정적 의미에 대한 해석과 예술적 매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자 창작한 무용작품 <IF>의 분석을 통해 장소 특정적 공연의 표현과 편집, 창작 특징을 통한 연구 함의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 부합하는 장소 특정적 공연에 대한 이론적 연구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를 위한 창작 무용작품 <IF>는 예술적 표현 방식과 환경 보호의 신 의식문화와 잘 결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장소 특정적 공연 목적을 환경을 토대로 창작하는 것이었고, 관객들이 환경에 대해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친근감, 구체감, 공감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무용을 창작하였다. 그 속에서 공간의 특성, 상호성, 접근성, 다변성을 추출하여 <IF>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히 무용수와 환경 간 친밀한 느낌 및 상호 간의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관객 개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자연환경 보호 의식 범위 확대와 환경 보호에 대한 자각 의식이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는 의식 속에서 장소 특정적 무용의 예술적 매력을 창조하여 작품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창작 작품 <IF>의 분석을 통해 특정적 장소에서 과거에 발생했던 사고와 관련하여 진행되었던 <IF> 공연을 분석하여 실질적인 함의와 그 특징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장소 특정적 공간의 특성을 배경으로 진행한 <IF> 공연을 살펴보면 사람과 자연이 하나가 되어 인간은 언제나 자연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IF>는 전통적 공연 관습을 초월한 실험적 시도 공연으로서, 기존의 공연 형식에 해안이라는 공간과의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을 위한 퍼포먼스를 결합하였다. 그리고 관객과의 소통 확장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IF> 내부 구성에 이미 다양한 소통 방식이 있다는 의미로서 기존의 전통 공연에서 텍스트의 구조를 탈피하여 관객, 무용수, 퍼포먼스, 특정 지역 태안, 시민들 간의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공연을 하나의 장으로서 하였다. 그리고 <IF>의 장소 특정적 공연을 생활 예술로서 확장하기 위해 방안을 고민하였고, 창작 작품 <IF>의 분석을 통해 장소 특정적 공연의 표현과 편집, 창작에 관한 특징을 제시하였다. <IF>의 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소 특정적 작품 창작에서 공간의 특성, 상호성, 접근성, 다변성을 잘 결합될 때 더욱 훌륭한 작품과 공연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창작 무용은 <IF>도 동일한 관점을 토대로 창작되었다. 창작된 작품<IF>는 천리포 해안에서 진행되었다. 작품 중의 다음과 같은 장면들을 통해서도 충분히 설명되고 있다. 공연의 입지는 접근성이 있고 생활 속에서 누구나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는 곳이다. 공간의 개방성이 극장 공연과는 다른 상호 소통성을 형성해 무용수들이 공연을 할 때 주변 관객들은 어떤 각도에서든 볼 수 있다. 관객들의 참여로 극장에서의 공연 관람과는 또 다른 경험을 하게 되었다. 또한 장소 특정적 공간이 갖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다변성이 무한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무용작품의 구성에서 이러한 점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을 알려주고 있다. 즉 이러한 무한 공간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관객들에게 넓은 상상력과 다양한 사고를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장소 특정적 공연은 분명한 사회문제에 대한 주제가 있어야 한다. 즉 장소가 갖는 의미를 배경으로 스토리텔링화 될 수 있는 주제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실적인 사회문제의 제기를 통해 관객들에게 주의와 경고, 그리고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공연에서 제시할 수 있어야 더욱더 작품의 창작 배경과 공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해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해야 한다. 동양이든 서양이든 산업화 이전 농경 문명 시대에는 인간의 생존과 관련된 외적 자연이 예로부터 미적 시야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산업 문명에 진입한 후 자연 자원의 과도한 개발과 이용으로 인한 주체 의지의 팽창이 자연계 균형을 깨뜨리면서 생태환경이 지속적인 악화되면서 인류의 생존 전망을 위협해오고 있다. 이 모든 연쇄적 효과를 극복하고 다시 자연환경으로 돌아가기 위해 무용공연에서 자연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해야 한다. 넷째, 장소 특정적 무용 창작 과정에서 역사문화의 대화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자연환경의 영역을 벗어나 장소 특정적 무용은 종종 일부 인문환경에서 역사문화 대화에 참여하며, 다양한 스타일의 신체 자세와 동작 장면의 표현을 통해 역사적 변화와 문화 혼합에서 인간들이 갖추어야 하는 정신 방향을 표현해야 한다. IF에서 보여주는 보디랭귀지는 어떤 묘한 조화를 낳기도 하고, 때로는 우스꽝스러운 해프닝으로 전락하기도 하며, 때로는 역사적 환경에서의 신체의 숙연함을 보여주기도 하고, 또 대중문화에 젖어 본능적인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장소 특정적 장소가 갖고 있는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역사적 대화에 참여를 시도한 것이다. 다섯째, 일상생활의 환경 속에서 환경 변화에 대한 깨달음의 시간과 경험을 전달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수많은 장소 특정적 무용작품들이 일상 생활환경에서 전개된다. 예를 들어 매일 자는 침대, 식사하는 테이블, 지나가는 문, 화장실 같은 좌변기 등을 배경으로 하기도 한다. 무용수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감각적으로 익숙하기 위해 그러한 환경에 대한 탐문 동작을 연습하고 공연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연구한다. 작품 <IF> 역시 관객들에게 지난 시간 발생하였던 사건과 해결, 그리고 경고 등 다양한 관점까지 다시 생각하고 고민하게 하는 함의를 표현하였다. 여섯째, 본 연구에 대상 작품인 <IF>는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의 요인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창작과 무용공연 진행을 통해 연구 목적이 충분하게 검증되었음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에 대한 연구시도와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기초적 근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연을 어떤 지역에 가서 공연을 구경해야 하는 것을 초월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이 가능한 온라인도 적극적인 추진해야 하는 필요성도 있다. 공연은 시대 흐름에 반응하면서 다양한 매체와의 결합하여 신 양식을 만들면서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장소 특정적 공연도 공간에 대한 실험적 시도에서부터 시작되었지만 다양한 형태로서 발전하면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공연예술이 사회로부터 변화에 대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간주하고, 장소 특정적 연구의 복합성에 초점을 두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pretation and artistic appeal of site-specific meaning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IF> created for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s.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nce work <IF> created by the researcher, the research implications through the expression and editing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theoretical research background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that meet this study was exam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the creative dance work <IF> for this study was well combined with the artistic expression method and the new conscious cultur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ite-specific performance was to create based on the environment, and dance was created so that audiences could experience familiarity, specificity, and empathy that could arous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mong them, the characteristics, reciprocity, accessibility, and diversity of space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IF>. In this process, the artistic charm of site-specific dance was created and applied to the work with the consciousness that the audience should expand the scope of natural environmental protection consciousness in daily life and form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work <IF>,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IF> performances related to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past in a specific site. Looking at the "IF" performanc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haracteristics of a site-specific space, humans and nature should always understand and value the importance of nature. Therefore, <IF> is an experimental attempt performance that transcends traditional performance customs, combining the existing performance form with performances for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s with the space of the coast. In addition, we attempted to expand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which means that there are alread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internal composition of <IF>, and the performance was made as a venue to allow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audiences, dancers, performances, and citizens. In addition, we considered ways to expand the site-specific performance of <IF> as a living art,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editing, and creation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work <IF>. The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of <IF>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characteristics, reciprocity, accessibility, and diversity of space are well combined in the creation of site-specific works, better works and performance performance can be expected. The creative dance of this study was created based on the same perspective in <IF>. The created work <IF> was carried out on the coast of Cheonripo. It is also fully explained through the following scenes in the work. The location of the performance is accessible and accessible to anyone at any time in life. The openness of the space forms a different mutual communication from theater performances, so when dancers perform, the surrounding audience can see from any angle.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 had a different experience from watching the performance in the theater.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diversity is infini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ite-specific space, which indicates that this must be considered in the composition of dance works. In other words, depending on how this infinite space is handled, it is possible to have a wide imagination and various thoughts for the audience. Second, site-specific performances should have a clear topic of social problems. In other words, it should be a topic that can be storytelling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meaning of the place. The creative background and performance effect of the work can be expected more only when attention, warnings, and messages about the results can be presented to the audience through the raising of realistic social problems. Third,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should be pursued through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s. In the era of agricultural civilization before industrialization, whether in the East or the West, external nature related to human survival has long been included in the scope of aesthetic vision. However, after entering industrial civilization, the expansion of the subject's will due to excessive development and use of natural resources has broken the balance of the natural world,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continues to deteriorate, threatening the prospects of human survival. In order to overcome all these serial effects and return to the na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xpress respect for nature in dance performan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participate in the dialogue of history and culture in the process of creating site-specific dance. Beyond the realm of the natural environment, site-specific dance often participat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dialogue in some humanities environments, and must express the mental direction humans must have in historical change and cultural mixing through the expression of various styles of body posture and movement scenes. The body language shown in IF creates some strange harmony, sometimes degenerates into a ridiculous happening, sometimes shows the body's solemnity in a historical environment, and reveals an instinctive desire immersed in popular culture. This is an attempt to participate in historical dialogue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 site-specific place. Fifth, it is necessary to convey the time and experience of realizing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daily life. Therefore, numerous site-specific dance works are developed in daily living environments. For example, it is also set in a bed that sleeps every day, a table that eats, a passing door, and a toilet such as a toilet. In order to be sensibly familiar with this background, dancers practice interrogative movements about such an environment and study the messages they want to convey through performances. The work <IF> also expressed the implications of making the audience rethink and think about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events, solutions, and warnings that occurred last time. Sixth, <IF>, the subject of this study, actively reflected the factors of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s and proved tha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sufficiently verified through creation and dance performance. Therefore, it can be a basic basis for expanding the research attempt and scope of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s. However, there is also a need to actively promote online performances that are easily accessible anytime, anywhere beyond having to go to any region to watch the performance. Performances continue to develop as they respond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combine them with various media to create new styles. site-specific performances also began with experimental attempts on space, bu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s they develop in various forms. In this study, it was also considered that performing arts can be affected by change from society, and focused on the complexity of site-specific research.

      •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경제조직 연구

        동다예솔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35

        최근 대학무용전공은 취업률의 잣대로 평가되어 과의 존폐가 위협받고 있으며 대학무용전공생은 좁은 진로의 벽에 부딪쳐 사회의 구성원으로 제 역할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직업은 본래 개인적 기능, 경제적 기능, 사회적 기능을 균형 있게 실현되어야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경제적 기능에만 초점이 맞춰져 직업을 선택하고 있으며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은 개인적 기능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직업의 기능을 균형 있게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이에 적합한 조직이 사회적경제조직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의 일자리창출에 보탬이 되는 새로운 직업의 형태로 사회적경제조직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의 취업현황을 파악하고 노동고용부, 기획재정부의 자료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경제조직의 전문가회의를 거쳐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조직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례조사는 사회적기업 구보댄스컴퍼니, 발레STP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자바르떼 3가지로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이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사례를 선정하였다. 사례를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조직의 특징인 자율성, 다양성, 지역성, 혁신성에 맞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회적경제조직의 특징인 조직원의 자율성은 세 개의 사례 중 사회적협동조합인 자바르떼가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사회적협동조합 자바르떼는 사회적 미션을 수행하고 조합원의 자율성을 보장하였으며 조합원의 아이디어가 실제로 사업으로 연결된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사회적기업 구보댄스컴퍼니는 대표와 직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활동에 반영하여 직원들의 무용활동을 보장하고 있다. 두 번째 특징인 프로그램의 다양성의 관점으로 살펴보면 구보댄스컴퍼니는 단체가 성장함에 따라 관객의 요구에 맞는 극무용, 댄스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만들어냈으며 청소년, 고령자, 군인 등 대상의 특성에 맞는 교육활동을 진행하였다. 또한 인천예술단체·예술가와 지역기관·기업이 네트워킹 할 수 있는 인천아트마켓을 통해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다. 발레 STP협동조합은 공연활동의 특징으로 다양성을 꼽을 수 있다. 갈라 공연의 형식으로 관객들에게 클래식발레의 다양한 작품을 간략하게 즐길 수 있으며 창작발레로 관객에게 신선함을 더하고 있다. 세 번째 특징인 지역성은 사회적기업 구보댄스컴퍼니의 특징이자 장점으로 인천아트마켓을 통해 지역 내의 예술가,예술단체와 기업 및 지자체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발레 STP협동조합의 지역성은 수원발레축제를 통해 드러난다. 일반인이 발레를 친숙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체험 및 공연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네 번째 특징인 혁신성은 3개의 사례에 모두 드러나는 특징으로 분석할 수 있다. 발레 STP협동조합은 기존의 민간단체로 이미 자리 잡은 발레단체의 단장들이 의기투합하여 협동조합을 꾸렸다는 것 자체가 혁신이었다. 협동조합을 꾸려 발레계의 문제를 해결하고 발레의 대중화를 실천하겠다는 목표 아래 단장들이 문제의식을 갖고 해결방안 찾는다는 점이 매우 혁신적이라고 사료된다. 사회적기업 구보댄스컴퍼니는 인천지역을 기반으로 무용전공생들의 활로를 넓히기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지속하고 인천아트마켓을 개최하였다. 인천아트마켓을 정부의 지자체의 주도가 아니라 민간단체인 사회적기업 구보댄스컴퍼니가 맡았다는 점이 매우 혁신적이라고 평가된다. 사회적협동조합 자바르떼 또한 설립목적부터 진취적이었으며 최근의 활동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변화무쌍하다. 문화예술교육에서 시작하여 축체, 체험콘텐츠, 기획과 컨설팅을 하기까지 많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업을 혁신적으로 확장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문화예술분야의 사회적경제조직의 발전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로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이 다방면의 활동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의 일자리창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실제로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이 진로를 설정하는데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Recently, majoring in dance in universities is evaluated with a standard of employment rate, and the existence of the major is threatened. And dance majors in universities are confronted with a narrow wall for the career path and it is difficult for them to play a role as members of society. The profession must inherently fulfill personal, economic, and social functions in a balanced way. In recent years, however, people are choosing jobs focusing on economic functions, and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dance were identified as focusing on the personal function. However, this researcher thought that the function of the job should be fulfilled in a balanced way and the appropriate organization for this is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s a form of new occupation that will contribute to the job creation of college graduates of dance majo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ntecedent literatur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he current condition of employment of graduates of dance major was identified and the data of 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an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was confirmed. In addition, through the conference of experts i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 examined case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The case study selected cases in which college graduates of dance major could enter, that are three types of Social Enterprise Koobo Dance Company, Ballet STP Cooperative, and Social Cooperative Javareutte. The results of analysing cases according to autonomy, diversity, locality, and innovativenes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re as follows. The autonomy of members of an organization, which i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ppeared most characterfully in Javareutte that is a Social Cooperative, among three cases. Social Cooperative Javareutte was able to carry out social missions, ensure the autonomy of members of an association, and find cases which their ideas were actually connected to the business. The social enterprise, Koobo Dance Company freely exchanges opinions between representatives and employees, and guarantees dance activities of employees by reflecting them in the activities. When I analysed Social Cooperative Javareutte from the viewpoint of the diversity which is the second characteristic, it was confirmed that culture and art education activities, local festivals and performances were carried out by combining with various art fields such as music, art, and theater.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xpand the business and build a unique image of Javareutte by providing the contents of various fields of art to the public. Koobo Dance Company created works of various genres such as dramas and dance performances to meet the needs of audiences as the group grew, and conducted educational activities sui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youth, elderly people, and soldiers. In addition, it is expanding into the business through Incheon Art Market which Incheon Art Group·artists and local organizations·companies can do networking. Ballet STP cooperative can be characterized by variety of performances. In the form of gala performances, the audience can enjoy a variety of works of classical ballet, and it adds freshness as the creative ballet to the audience. Locality which is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characteristic and advantage of the social enterprise Koobo Dance Company, and Incheon Art Market can be the representative case. Koobo Dance Company acts as a bridge between local artists, arts organizations and enterprises, local government through Incheon Art Market. In other words, this can be an example of the localization of social enterprises. The regional character of Ballet STP Cooperative is revealed through the Suwon Ballet Festival. It conducted experiential and performance programs so that the public could recognize the ballet with familiarity. Innovation, which is the forth characteristic, can be analyzed with characteristics revealed in all three cases. Ballet STP Cooperative was innovative in that heads of ballet organizations that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as existing private organizations cooperated together to form a cooperative. It seems to be very innovative that heads are trying to solve problems with the critical mind, unde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 of ballet system and making the ballet popularized by raising a cooperative. Social Enterprise, Koobo Dance Company has continued its active activities to expand the performances of dance students based on the Incheon area, and held the Incheon Art Market. The fact that Incheon Art Market is not led by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government, but by Social Enterprise Koobo Dance Company which is a private organization, is considered very innovative. The social co-operative, Javareutte was also progressive from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its process of change to recent activities is dynamic. From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festivals, experiencing contents, planning and consulting, it has expanded the business based on many know-hows. Through cas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nd it was confirmed that college graduates of dance major were actively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actually. This researcher expect that this study is used as basic data for job creation of college graduates of dance major, and can be helpful for actually setting the career path for college graduates of dance major.

      • 무용전공자의 무용공연관람 결정요인 탐색

        채가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35

        In South Korea, performing arts concentrate on the artistic level of works, rather than approaching from a direction to vitalize the industry by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a concept of marketing, so mos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have been in the form of non-profit organizations operated by government subsidies or corporate sponsorship. However, recently, with the enhancement of the global income level and the increase of leisure, a tendency to enjoy an abundant life has appeared as the consumption of performing arts. With an increased importance of performing arts and the vitalization of th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study marketing for dance performance as well. Currently, studies of dance performance marketing are in progress, but they are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researcher figured out the situations of the dancing world in South Korea, which has produced performance works from the provider's perspective only till now and percei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m from the business administration point of view as a way to meet the needs of the audience, consumers and plan and produce dance performances, so attempted to inquire into marketing strategies and methods to actively secure the audience for the activation of dance performance. To sum up again, this study looked into the patterns of consumption of the audience, the consumers of dance performances,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of the factors by which they would choose performances in consuming and accepting dancing. It attempted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dance performance marketing and seek for marketing measures for the vitalization of watching dance performances. In addition, it summarized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dance performance marketing elements, publications and articles on marketing and described them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Chapter Ⅰ identified the need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and presented a summary of terms. Chapter Ⅱ summarized the theory of customer behavior, the theory of purchasing and the concepts of marketing elements in business administration before inquiring into the determinants of watching dance performances. Chapter Ⅲ summarized the present condition of dance performance, the marketing theories of dance performance and the preceding studies of dance performance marketing. Chapter Ⅳ proposed a plan for vitalizing dance performances in the following four steps: planning, production, promo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discussed above. 우리나라에서 공연예술은 마케팅 개념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향에서 접근되지 못하고, 작품의 예술적 수준에 집중하여 대부분의 공연예술 단체는 정부의 보조금이나 기업의 후원금에 의해서 운영되는 비영리 단체 형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여가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풍요한 생활을 즐기려는 경향이 공연예술에 대한 소비로 나타나고 있다. 공연예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산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무용공연에도 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무용공연 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 공급자 입장에서만 공연작품을 제작해온 우리나라 무용계의 실정을 파악하여 소비자인 관객의 욕구를 수용하고 그에 맞는 무용 공연을 기획,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영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식되어 무용공연 활성화를 위한 능동적 무용공연 관객 확보를 위한 마케팅 전략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다시 정리하자면 본 연구는 무용공연에 있어 관객인 소비자의 소비 형태를 연구하고, 무용을 소비하고 수용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요인에 따라 공연을 선택하는지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검토 하여 무용공연 마케팅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무용공연관람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대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무용공연 마케팅요소와 관련된 국내외 문헌, 마케팅 관련 간행물, 마케팅 관련 논문 등을 정리하였고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나누어 설명하였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용어의 정리를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무용공연의 공연관람 결정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이전에 경영학에서의 소비자행동이론, 구매이론, 마케팅요소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무용공연의 현황 및 무용공연에서의 마케팅 이론과 무용공연 마케팅 선행연구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앞서 논의 되었던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공연 활성화 방안을 기획, 제작, 홍보, 평가의 4단계로 제안하였다.

      • 휠체어무용공연에서 카타르시스와 소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손가예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4335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휠체어 무용공연에서의 카타르시스와 소진에 관해 분석하고, 무용학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이론적 배경에서 카타르시스 및 소진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과 이론적 분석을 기반으로 카타르시스를 정화의 카타르시스·순화의 카타르시스·중용의 카타르시스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소진은 정서적 소진·신체적 소진·예술적 소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예술학적 관점에서의 카타르시스와 소진에 관한 논의들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무용수들이 공연을 통해 경험하는 카타르시스와 소진의 의미와 학문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규정과 절차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휠체어무용수들과의 라포르와 신뢰를 바탕으로 휠체어무용수 8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와 참여 관찰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화의 카타르시스는 휠체어무용수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공연준비과정에서의 중압감과 스트레스를 모두 잊고, 공연에 몰두할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 되고 있었다. 둘째, 중용의 카타르시스는 휠체어무용수들이 연민과 공포, 장애인과 무용수, 만용과 용기,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주어 휠체어무용수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평정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환희의 카타르시스는 무아지경, 입신의 상태, 환희를 경험하게 해주어 무용수들을 휠체어공연에 매료되고 중독되게 만들었다. 환희의 카타르시스는 휠체어무용수들이 더 높은 경지의 예술적 수준에 오를 수 있도록 돕고 있었다. 넷째, 휠체어무용수들은 공연으로 인해 생기는 경제적 문제나 인간관계의 문제,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한 정서적 고갈의 상태가 올 때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섯째, 휠체어무용수들은 무용공연으로 인해 신체적 이상에서부터 심각한 부상과 합병증까지 다양한 신체적 이상을 겪으며 신체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여섯째, 휠체어무용수들은 공연 자체가 주는 압박감과 공연을 위한 기술연습의 한계와 예술가로서의 회의감을 겪으며 예술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의 카타르시스는 경제적 어려움, 장애인이기에 경험하는 무시와 서러움, 연습 과정의 어려움을 해소해주고 있었고, 둘째, 중용의 카타르시스는 긴장과 불안 및 공포, 나와 다른 무용수들과의 조화, 예술과 장애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역할을 해주고, 셋째, 환희의 카타르시스는 불확실한 문제나 미래에 대한 두려움 등을 잊게 도와주고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카타르시스의 긍정적 역할의 확대를 위해서는 심리안정과 경제적 지원을 위한 전문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정서적 소진의 발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휠체어무용수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심리·정서적 관리와 치료를 위한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다섯째, 신체적 소진의 발현을 막기 위해서는 휠체어 무용공연의 모든 과정에서의 의료환경개선을 통해, 무용수들이 부상의 위험 없이 연습하고 공연할 수 있는 공연환경의 구축이 필요하다. 여섯째, 예술적 소진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공연예술인들의 예술적 소진을 검진하고 치료해 줄 수 있는 전문기관의 설립을 통해 정서적 소진의 치료를 정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atharsis and burnout in wheelchair dance performance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nd to make a dance-based suggest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objectives, catharsis was classified into catharsis of purification, catharsis of purification, and catharsis of moderate,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oretical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catharsis and burnout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mental exhaustion. In addition, discussions on catharsis and burnout from an artistic perspective were analyzed and describ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meaning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catharsis and burnout experienced by wheelchair dancers through performance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rules and procedure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of eight wheelchair dancers based on lafort and trust with wheelchair dancers.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tharsis of Soonhwa was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the wheelchair dancers to forget all the economic hardships and the pressure and stres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performance,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performance. Second, the catharsis of moderation was that wheelchair dancers balanced between compassion and fear, handicapped and dancers, brutal use and courage, and reality and ideals,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composure to wheelchair dancers. Third, the catharsis of joy made the dancers fascinated and addicted to the wheelchair performance by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trance, the state of mouth, and joy. Joy's catharsis was helping wheelchair dancers to reach a higher level of art. Fourth, wheelchair dancers were experiencing emotional exhaustion when they were in a state of emotional exhaustion due to economic problems, human relations problem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Fifth, wheelchair dancers experienced various physical abnormalities from physical abnormalities to serious injuries and complications due to the dance performance, and personal burnout. Sixth, wheelchair dancers were experiencing artistic exhaustion through the pressure of the performers themselves, the limitations of technical practice for performances, and skepticism as artis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atharsis of healing solved economic difficulties, the neglect and sadness experienced by the disabled, and the difficulties of the practice process. Second, the catharsis of moderation was the tension, anxiety and fear, harmony with me and other dancers, between art and disability. Third, the catharsis of Hwanhee played a role in helping to forget about uncertain problems or fears about the future and promoting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In order to expand the positive role of catharsis, it can be said that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institutions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conomic support is necessary. Fourth, in order to minimize the onset of emotional burnout, profession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anagement for stress management of wheelchair dancers and professional help for treatment are needed. Fifth, in order to prevent the manifestation of physical exhaus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erformance environment where dancers can practice and perform without threat of injury by improving the medical environment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the wheelchair dance performance. Sixth, in order to virtue the manifestation of artistic burnout, it is necessary to regularize the treatment of emotional burnout by establishing a specialized institution that can examine and treat artistic burnout of performing artists.

      • 리틀엔젤스예술단 활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가영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systematic dance education and performance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Little Angels Art Group's activities on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8 members belonging to the forsythia class, Mugunghwa class, and performance class, which are currently working as members of the Little Angels Art Group in 2022. As for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in parallel by applying the Morse (1991) model of the integrated research method. The tool for measuring self-efficacy in quantitative research was developed by Kim A-young and Cha Jung-eun (1996), and Hye-jin (2002)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A-young (1997) used a question verified through a revised validity test to appl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eight members of the Little Angels Art Troupe were selected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produced by referring to Berg (1998)'s interview question type. For data processing collect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technical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and individual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coding, and categorization process by inductive analysis method.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hypothesi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the Little Angels Art Troup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self-efficacy conducted on members currently working at the Little Angels Art Troupe, members with performance experience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those with no performance experience. In addition, when comparing forsythia class, which is in the early stages of joining, Mugunghwa class, and Mugunghwa class, which are preparing for the performance class, the performance class with high annual experience showed a higher sense of self-efficacy than the forsythia class and Mugunghwa class. It can be seen that this difference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in the activities of the Little Angels Art Troup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the Little Angels Art Troupe improved self-efficacy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daily life. As a result of individual interviews centered on four sources of self-efficacy, self-efficacy tended to improve through success and proxy experiences experienced by the Little Angels Art Troupe, verbal feedback through teachers and juniors, and the process of coping with tense situation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changed appearances had a positive effect, such as active behavior and participation in daily life, especially at school. Through these results, systematic dance education provides a successfu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learning various movements, and performance activities help improve self-efficacy by improving compensation for the preparation process and coping with tension.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at improve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have a positive effect through dance education. Unlike the subject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elonging to a group and receiving dance education from one year to nine years in the same curriculum and experiencing multiple stage performances. In addition, it will be meaningful to study self-efficacy for learners and teachers through the process of acquiring various repertoires in performances and transferring the order and movement of each seat to colleagues and junior members. Since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currently active members, it will be meaningful to confirm the sustainability and influence of dance education if the research is conducted on graduates of high school, university, and adult after graduating from the Little Angels Art Troup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continue to study the same research object as a reality that lacks longitudinal research related to dance. 본 연구는 리틀엔젤스예술단 활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체계적인 무용교육 및 공연 활동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2022년 현재 리틀엔젤스예술단에서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개나리반, 무궁화반, 공연반에 소속되어진 118명의 단원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통합연구방법의 Morse(1991) 모형을 적용하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양적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을 측정한 도구는 김아영, 차정은(1996)이 개발하여 김아영(1997)이 수정·보완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한혜진(2002)이 초등학생에게 적용하기 위해 수정 후 타당도 검사를 통해 검증된 문항을 사용하였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를 토대로 리틀엔젤스예술단 단원 중 공연 경험이 있는 단원 8명을 선발하여 Berg(1998)의 면담 질문유형을 참고하여 제작한 질문지를 토대로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양적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Pearson 상관분석과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행하였고, 연구결과에 대한 세부 사항을 뒷받침하기 위해 병행한 질적 연구 개별 면담은 귀납적 분석방법으로 전사, 코딩, 범주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틀엔젤스예술단 활동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리틀엔젤스예술단에서 활동하는 단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효능감 측정결과, 리틀엔젤스예술단의 주요 활동인 공연 경험의 유무에 따라 비교하여 보았을 때 공연 경험이 있는 단원들이 공연 경험이 없는 단원들보다 높은 자기효능감을 나타내었다. 또한, 입단 초기인 개나리반과 공연반을 준비하는 무궁화반, 공연반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도 연차가 높은 공연반이 개나리반과 무궁화반보다 높은 자기효능감을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리틀엔젤스예술단 활동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리틀엔젤스예술단 활동은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키며,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정보원 4가지를 중심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한 결과 리틀엔젤스예술단에서 경험하게 되는 공연 활동과 무용학습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성공 경험과 대리 경험, 선생님과 선후배, 동료를 통한 언어적 피드백, 긴장상태의 상황에 대처하는 나아가는 과정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변화된 모습들은 일상생활 특히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참여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체계적인 무용교육은 다양한 동작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성공 경험을 제공하고, 공연 활동은 준비과정에 대한 보상과 긴장에 대한 대처능력 등을 향상 시켜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무용교육을 통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들과 맥을 같이한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대상과는 달리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한 집단에 소속되어 동일한 교육과정 속에서 짧게는 1년에서 길게는 9년까지 무용교육을 받고 다수의 무대 공연경험 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공연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레퍼토리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각 자리의 순서와 동선을 동료, 후배 단원들에게 전달하고 받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와 교사의 경험 가지고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을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단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앞으로 리틀엔젤스예술단을 졸업하고 고등학교, 대학교, 성인이 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 나아간다면 무용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지속성과 영향력을 확인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무용과 관련하여 종단 연구가 부족한 현실로 동일한 연구대상을 지속해서 연구하는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소셜네트워크 빅 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시대 무용공연 현황 분석

        이주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현재 무용 공연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어떻게 극복해나가고 있는지 코로나19 시대 무용 공연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나갈 것인지 발전과 전망을 예측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2019년과 2020년 무용 공연을 중심으로 추출된 단어들을 비교하고 분석한 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코로나19 시대 무용 공연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고자 한다. 전문가 3인의 자문을 받아 무용 공연을 중심으로 무용 관객 측면인 ‘무용 관람과 무용 관객’, 무용 무대 측면인 ‘무용수와 무용가’ 그리고 무용 환경 측면인 ‘무용 인식과 무용 추세’로 3가지의 영역의 6가지 키워드로 선정한 후, 포털사이트 ‘다음’에서 ‘Python’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했다. 데이터를 명사나 단어들로 만드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2019년과 2020년 키워드를 비교했을 때 ‘코로나’와 ‘온라인’ 등 확연히 차이가 나는 부분들도 있었지만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 부분들도 있었으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홍보성의 글이나 기사 등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래서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 분석방법으로 부족했던 결과들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보충하고자 했다. 코로나19 시대에 무용 공연을 진행하고 제작한 경험이 있는 5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공연의 참여, 온라인 공연의 진행 과정, 온라인과 대면 공연 그리고 온라인 공연의 발전인 총 4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 결과 대부분 유튜브와 네이버TV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와 녹화 영상을 송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현재 대면 공연을 할 시 좌석 간 띄워 앉기, 대기실 취식 금지, 코로나19 검사 후 ‘음성’ 확인 등 정부에서 시행하는 방역 수칙들과 함께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 시대에 무용 공연을 준비하면서 전염의 위험과 마스크를 쓰고 공연 연습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 다수가 출연하는 경우 인원을 나눠서 연습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 공연이 언제 취소되고 연기될지 모른다는 점 등 다양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온라인으로 공연을 진행할 시 무용수는 현장감을 느끼기 어려웠으며, 관객들은 몰입감을 느끼기 어려웠을 것이라 생각된다. 온라인 공연이 대면 공연을 대신할 수는 없지만, 앞으로 온라인 공연이 대면 공연을 더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방안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이번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교육과 온라인 공연 등 온라인 미디어가 더욱 빨리 발전할 수 있었던 계기였다고 생각된다. 코로나19가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또 언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에 공연예술 분야 중 하나인 무용이 대면 공연과 더불어 또 다른 방안으로 더욱 발전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time of Covid-19, such as how the dances are currently performed and how the performances are overcoming the current adversities, and then, to predict the advancement and prospect of dance performances, in other words, how the dance performances will progress. Specifically, after the words extracted from the dance performances of 2019 and 2020 through the social network big data analysi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voices from the field on the dance performances in the time of Covid-19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advice from three experts, six keywords for the dance performances were defined in three areas: 'dance viewing and dance audience' in the aspect of an audience, 'dancers and dance masters' in the aspect of a dance stage, and 'dance perception and dance trend' in the aspect of the dance environment. Then, data were collected using 'Python' on the portal site 'Daum'. After the data were pre-processed, where they were converted into nouns or words, the frequency analysis and word cloud analysis on keywords were performed. The comparison of keywords of 2019 and 2020 showed some clear differences such as 'coronavirus' and 'online', but a considerable part was not changed. It was considered that this could be, at least in part, attributed to paid or promoted articles and posts, which were inevitably included in the collected data. Thu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mplement what the social network big data analysis lacked. Five experts who had experiences in organizing and producing dance performa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one-on-one with four subjects such as participation in online performances, production process of online performances, online and face-to-face performances, and development of online performances. The interviews showed that the performances were mostly delivered through either live or recorded broadcast on the platforms of YouTube and Naver TV, and currently when a face-to-face performance was held,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quarantine rules enforced by the government, such as socially distanced seating plan, prohibition of eating and drinking in the waiting room, and confirming ‘negative’ Covid-19 test results. It could be seen that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difficulties while preparing dance performances in the time of Covid-19 such as threat of infection, performing in a mask, practising in fragmented groups when a large number of dancers were featured, and uncertainties regarding sudden cancellation or postponement of the performance.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dancers to have a live feel and for an audience to feel immersed during an online dance performance. Although online performances cannot replace face-to-face perform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former may be developed to an alternative that can activate the latter m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provided an opportunity of the rapid advancement in online media such as online education or online performances. Although the Covid-19 pandemic ends, it is hoped that dance, one of the performing arts, will develop an additional form of performances further, along with face-to-face performances,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no one knows when and what will happen again.

      •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

        진승화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4319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무용수들이 무대 위에서 무용을 수행할 때 느끼는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인 성취목표성향과 무용수 개인의 선천적인 공연불안 성향인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가 있는가? 둘째,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하위요인 간에는 관계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공연불안 이론의 보다 구체적인 지지근거를 마련함은 물론, 무용공연불안해소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조사 전에 실시한 예비조사를 통해 기존의 성취목표성향검사와 무용공연불안검사의 신뢰도와 내용타당도를 검토하고, 전문가 회의를 거쳐 검사지를 제작한 후,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수 52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결과, 각 요인별 문항 신뢰도가 .723 이상으로 조사도구의 신뢰도가 확보되었으며, 본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활동 중인 무용수를 선정하였으며, 예술 고등학교 재학생 108명, 대학교 재학생 132명, 전문 단체 소속 무용수 90명으로 총 330명이 구성되었다. 조사도구는 무용 상황에 적합하도록 보완한 Duda(1992)의 스포츠 목표성향 질문지과 문영, 김기웅(2006)의 무용공연특성불안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하위요인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과제지향적 목표성향이 무용공연특성불안의 인지적 불안, 신체적 증상, 불안 행동요인에 비해 자신감 요인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무용공연 시 과제지향적 목표성향을 지닌 무용수들이 자아지향적 목표성향의 무용수들 보다 더 낮은 불안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는 성취목표성향의 각각의 하위요인에 따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과제지향적 목표성향은 자신감 요인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자아지향적 목표성향은 인지적 불안 및 불안 행동 요인과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공연 상황에서 발생한 자신의 성공과 실패를 개인적인 숙련과 자기발전의 범주에서 판단하는 과제지향적 목표성향의 무용수들이 타인과의 비교를 통하여 자신의 우월성을 입증하는 자아지향적 목표성향의 무용수들 보다 심리적 요인에 의한 방해와 압박을 덜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는 결과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공연수행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요인 중 하나인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공연불안 이론의 지지근거를 마련하는 이론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실제 무용현장에서 교사가 무용수의 불안수준을 절감시킬 수 있는 심리적, 신체적 훈련기법 및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응용적 가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which are the two efficient psychological factors of dancers when they perform on stage. The first subject for this study is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The second subject is figuring out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fro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vide a fundamental resource for developing dance programs to resolve performance anxiety of dancers. A preliminary survey from university students of fifty two was implemented which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tests, a open session with experts, and making the survey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method was secured by testing each questionnaire and by gaining .723. Also the result was defined through assessing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in quantitative way. Total 330 people were studied who perform currently in Seoul and Gyunggi-do which consisted of 108 art high school students, 132 university students, 90 dance specialist group.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TEOSQ) by Duda(1992)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Test(DPAT)` by Moon, Young and Kim, Gi-Woong(2006) were used as references and all the survey was tested for reliability through feasibility study. Correlation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se the study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ly, there is a relevance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Dancers who have the task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hich is one of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ve less anxiety than the dancers who have the eg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ecause the task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higher effects on confidence factors than dance performance anxiety does on recognition anxiety, physical symptom, and performance anxiety. Secondly,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fro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of dancers ha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ow cause of the orientations. As it mentioned from the first study result, task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on confidence causes and eg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on recognition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This exposes the task oriented dancers who define the successful performance as a self-development feel less pressure and interfere from the anxiety causes than the ego oriented dancers who focus on proving their abilities are higher than other dancers.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since it testifies th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which causes variable performance result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support previous studies on performance anxiety, will be another resource for in-depth study theoretically, as well as for creat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s that instructors are able to use them to reduce the anxiety of dancers practically.

      •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기법을 활용한 무용창작 : 창작 작품 『Good-Bye』를 중심으로

        나형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19

        The social distancing movement caused by the spread of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has spread Untact culture. As Untact culture approaches daily life, various parts of education, jobs, culture, industry, and art, etc. are changing differently than before the COVID-19. Performing art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 of Untact education and jobs using video platforms, and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using Virtual Reality(VR). Such activities have not existed before. The technologies and methods that enable Untact activities have already been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and used in performing place such as concert hall and theatre, and education as technology has develop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VID-19 brought the technologies that had been used little by little to approach much faster. The investigation into how dance performances are progressing under rapid changes and how the audience accepts the methods is an important part to find out the directionality such as orientation of dance performances. Accordingl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method of Untact dance performances and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s on the stage of the theater were being conducted on a new stage called online, such as dance film, live performance, and screening of recorded performance, etc. While investigating the data analyzing the audience's opinions on the performance on video platform which is in progres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audience who watched the performance as live video mentioned the shooting technique the most in the survey on 'improvements for live dance performance'. If the performance is held face-to-face in the theater, the audience can look at the dancer with their own eyes. However, in case of performances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video, the audience can only see the performance through the frame of the camera.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apply imaging techniques to dance performances in order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differences seen in face-to-face situations where continuous image information needs to be viewed.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ntage techniques' used as video shooting and editing technique in movies and to apply them to the creation of dance performance.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montage technique used in the films and the theories of various directors and scholars through development process of montage technique. Among them, this study was to select Eizenshtein's montage technique, as a factor in creating and delivering new images to audiences, as the main theme of this research on creation. In Eizenshtein's book, he described the methodology of montage as intellectual montage, metric montage, tonal montage, rhythmic montage, and overtonal montag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izenshtein's montage techniqu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five montage techniques used in his film『Battleship Potemkin』. In addition, to investigate how montage techniques are being used in recent film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ntage techniques shown in the 2019 film 『Parasit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ly. Second, he began his dance cre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analyzed through the films 『Battleship Potemkin』 and 『Parasite』. This study was to compose the entire performance by applying the storyboard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to the structural type of the choreography. In order to use the scene classification in the video for dance creation, the performance contents were divided into three chapters, which is the same as the Scene of the video, and the movement was viewed and directed as a Scene-making Shot, so that it could be used in both the theater stage and the video stage. Thir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montage techniques, this study was to utilize the theater lights, stage structure, dancer's movement, Objet, and movements to be used in the dance performance. In order to utilize the intellectual montage techniques of metaphorical expression, it was intended to metaphorically express the message 'repetition of parting' by expressing the parting and meeting of dancers to set the direction of the dancer's movement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compose the entire performance by using the configuration method of overtonal montage technique that three montage techniques that were used in combination while using the composition of movement, Objet, lights and music with the tonal montage technique which created an atmosphere by using the rhythmic montage, light and shade or music which conveyed messages by contrast of metric montage and movement to help develop the performance with the length of Shot.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izenshtein's montage technique, this researcher applied the imaging technique used in cinematic art to the process of dance creation by creating and analyzing the work 『Good-bye』. This study, which conducted creative activity using imaging technique, was to present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dance video performance. Even after the end of COVID-19, dance performances using online platform will not disappear, and will be reviewed and developed as a new stage structure. In the process,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media and research on the utilization method will continue to be conducted to develop dance video performance. 코로나 19 바이러스 이후 발생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은 비대면 문화를 확산시켰다. 비대면 문화가 일상으로 다가오면서 교육, 일자리, 문화, 산업, 예술 등의 다양한 부분들이 코로나 19가 발생하기 이전과 다르게 바뀌어가고 있다. 공연예술은 비대면 확산에 맞추어 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과 작업,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연과 전시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무용공연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그리고 관객이 온라인 플랫폼에서 진행되는 무용공연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는 앞으로의 무용공연의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비대면 무용공연의 방법을 조사하여 현장에서 대면으로 진행되었던 공연들이 온라인이라는 새로운 무대에서 댄스필름, 생중계 공연, 녹화공연 상영 등의 방법으로 진행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상 플랫폼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의견을 분석한 자료를 조사하던 중 생중계 영상으로 진행되는 공연에서 촬영기법의 문제점을 가장 많이 언급한 것을 확인하였다. 극장에서 대면으로 진행되는 공연은 관객이 무용수를 자신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지만 영상으로 공연이 송출되는 경우 관객은 카메라의 프레임을 통해서만 공연을 볼 수 있다. 연속적으로 나오는 영상정보를 그대로 바라보아야 하는 상황과 대면에서 관람하는 차이를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 영상을 구성하는 기법을 무용공연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영화에서 영상촬영 및 편집기법으로 활용되는 ‘몽타주 기법’의 특성을 분석하여 무용공연 창작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영화에서 활용되는 몽타주 기법에 대한 개념과 여러 감독, 학자들의 이론을 조사하였고, 그 중 몽타주를 장면과 장면의 충돌 혹은 대립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요소로 바라본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기법을 본 창작연구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에이젠슈테인의 영화「전함 포템킨」에서 활용한 다섯 가지 몽타주 기법(지적 몽타주, 율동적 몽타주, 운율의 몽타주, 음조적 몽타주, 배음적 몽타주)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 최근 영화에서는 몽타주 기법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위해 2019년에 개봉한 영화「기생충」에 나타난 몽타주 기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영화「전함 포템킨」과「기생충」을 통해 분석한 특성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을 진행하였다. 영상에서의 씬(Scene)구분을 무용창작에 활용하기 위해 작품내용을 3장으로 나누어 영상의 씬과 같은 구성을 하고 움직임을 씬을 구성하는 쇼트(Shot)로 바라보고 연출하여 극장무대와 영상무대에서 모두 활용 될 수 있게 작품을 연출하였다. 세 번째로, 몽타주 기법의 특성에 맞추어 무용작품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극장조명, 무대구조, 무용수의 동선, 오브제, 움직임들을 활용하였다. 은유적인 표현의 지적 몽타주 기법의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서 작품의 시작과 끝에 무용수의 동선을 시작과 같게 하여 ‘이별의 반복’이라는 메시지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 쇼트의 길이를 활용하여 작품의 전개를 도우는 운율의 몽타주와 움직임의 대비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율동적 몽타주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명암이나 음악을 활용해 분위기를 조성하는 음조적 몽타주 기법을 움직임의 구성, 오브제, 조명과 음악을 활용하여 복합적으로 활용하면서 위의 운율의 몽타주, 율동적 몽타주, 음조적 몽타주 기법이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배음적 몽타주 기법의 구성방법으로 작품 전체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기법의 특성을 활용하여 작품 「Good-Bye」를 창작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영화예술에 활용되는 영상기법을 무용창작과정에 적용하였다. 영상기법을 활용하여 창작활동을 진행한 본 연구는 무용영상 공연에서의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코로나 19가 종식된 이후에도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무용공연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새로운 무대구조로 재조명되고 발전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영상매체에 대한 이해와 그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무용영상 공연이 발전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