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환경디자인과 안전디자인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 안전마을 CPTED의 기능과 공익성을 중심으로

        황준명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815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 1916~2006)는 도시는 움직이고 지속가능하며 생태적인 관점에서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발상의 전환을 유도했다. 여기서 지속가능한 도시 공공 환경 공간 생태계를 이루는 가장 중요하면서 필요한 요소가 바로‘안전’이다. 안전은 단순히 통제와 규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상황’에 대한 개념을 넘어선다. 이는 사람, 활동, 삶, 기능, 행위, 형태 등 도시공공환경공간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이 조화롭게 이루어 어떠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 최적의 이상적 상황을 이루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공공 환경적 차원에서 범죄예방, 안전디자인은 바로 이러한 개념으로 인식하여 새로운 방법과 전략, 체계 등을 갖추고 실현되어야 한다. 즉 공공환경적인 측면의 도시를 규제하기보다 오히려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범죄예방, 안전디자인의 핵심전략을 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금의 일시적 현상과 문제를 즉각적으로 해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삶의 무대인 도시를 위해 꾸준히 실천해야 할 대상으로 접근해야 한다.‘안전’은 삶의 기본 욕구이자 사회적 존재로서 보장받아야 할 필수적인 가치이다. 때문에 생활 속 안전에 대한 의식이 특별히 외면된 적은 없었다. 그러나 최근 국내의 인식은 새로운 도시공간가치의 패러다임으로 대두되었던 친환경성, 쾌적성, 지속가능성 등의 키워드와 같이‘안전성’또한 주거의 질을 결정하는 1순위의 중요한 가치로 주목하는 듯하다. 도시 기반시설이 대형화, 과밀화되어 갈수록 사고 시 인명과 재산 피해의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비단 대형 사고뿐 아니라 속도와 효율 중심의 도시화 과정은 차량 중심의 도로화 구조를 이루어 소수 보행자의 느린 이동을 방해함으로써 일상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범죄사고의 경우, 지역사회의 여건에 따라 발생 빈도율에 차이를 보임으로써 안전에 대한 선행적 예방차원의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증명하고 있다. 최근 범죄예방 CPTED 등 안전디자인에 국가적 차원에서 안전대책을 제1순위로 행정 및 실행적 방안으로 추진되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지역사회의 안전 및 범죄에 대한 선행적 예방차원의 관리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공공환경디자인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필수 항목인 안전사고, 범죄예방의 대비를 위한 연구에 목적이 있다. 이에 안전디자인은 공공환경디자인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필수 항목으로 도시 안전사고 대비를 위한 법률 제정과 각종 안전 제품과 매뉴얼이 개발되어 실행력 활용 및 아이디어를 축출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국가적 실천 과제라 할 수 있다.

      •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위한 숨김의 모듈 연구

        홍하림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99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시각적인 혼란을 해결하기 위하여 ‘숨김의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정립하였다. 연구자가 선정한 숨김의 디자인이란 시각적인 노출을 줄여 도시환경을 쾌적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이며, 한정된 도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이다. 숨김이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직접 표현하지 않고 대상의 본질을 외부 관찰자로부터 지키는 것이다. 또한, 대상에 대한 실체를 알지 못하게 하는 은폐의 경향도 포함된다. 이러한 의미가 도심에 필요한 까닭은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늘어나는 시설물의 배치, 위치, 우선순위, 상호연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디자인적 방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그 해결의 하나로써 ‘숨김의 모듈’을 활용한다면 공공시설물을 디자인할 때 유용한 접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이다. 일상에서 나타나는 숨김의 디자인적 속성은 모두 세 가지인데,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외적 속성으로 지각해야 하는 경우를 1차적 성질로 정의하고, 이를 ‘시각적 성질’이라고 명명하였다. 둘째, 상호 연관적인 속성을 지각해야 하는 경우를 2차적 성질로 정의하고, 이를 ‘관계적 성질’로 명명하였다. 셋째, 내적 속성으로 지각해야 하는 경우를 3차적 성질로 정의하고, 이를 ‘의미적 성질’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은 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숨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문헌 및 관찰을 통해 정리하였다. 사례 분석으로 얻은 결과는 공공시설물에 적용할 수 있는 '숨김의 모듈'로 구성하였으며, '숨김의 효과’를 추출하여 공공시설물에 적용해 보았다. 이로써 공공시설물을 도심에 배치하거나 재구성할 때 필요한 숨김의 법칙을 디자인 요소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숨김의 법칙을 활용한 디자인 요소는 대상 및 환경을 지각하여 관찰자가 숨김의 외면적 상황을 인식하는 것, 대상 및 환경이 주변과 관계를 맺는 것, 대상 및 환경이 내포적 의미를 상징하는 것 등으로 집약할 수 있다. 숨김의 모듈은 이용자의 지각적 관점에서 도시환경의 문제를 디자인적으로 해결하고자 한 시도였다. 숨김의 방법에서 나타나는 능동적이고 기능적이며 유희적인 표현은 이용자가 대상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이 연구가 쾌적하고 유쾌한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디자인 방법의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research establishes the concept of ‘Design of Hiding’in order to ameliorate the problems of visual confusion of an urban city. ‘Design of Hiding’ as established by the researcher is a method to lessen visual exposure in order to create a more pleasant urban environment, and is a system to effectively utilize limited urban space. ‘Hiding’, in essence, is protecting the nature of the subject from external observers and thus preventing a direct expression of the intended information. Additionally, it includes the tendency of the characteristic of ‘stealth’, which aims to prevent direct realization of a subject’s nature. The significance of establishing such a concept is evident when considering an urban city’s necessity of a design method to solve the interconnected problems of the placement, location, and priorities of increasing facilities due to urbanization. In attempting to solve these problems, the ‘Module of Hiding’ will provide a valuable nexus in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There are, in total, three properties of ‘Design of Hiding’ detected in daily life and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ses that need to be perceived as ‘external property’ is defined as of a primary nature, and thus named as a ‘visual attribute’. Second, cases that need to be perceived in the sense of interconnectivity is of a secondary nature, and thus named as a ‘relative attribute’ Third, cases that need to be perceived as internal properties is of ‘tertiary nature’, and thus named as a ‘value attribute’. In order to identify such attributes, the research analyzes detailed case studies of ‘Hiding’ through documents and observations. Results obtained from the case analysis is translated into a ‘Module of Hiding’ to be applicable to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nd the ‘Effects of Hiding’ is extracted and applied to public facilities. In this way, this study presents the ‘Rules of Hiding’ as a design factor necessary in order to place or rearrange public facilities in the heart of the city. In summary, design factors utilizing the ‘Rule of Hiding’ can be summarized as the perceiving of external environment by an outside observer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the environment,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and the environment and its surroundings, and the symbolic presentation of the subject and the environment’s internal properties. The ‘Module of Hiding’ is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s of urban environment through design by analyzing the perceptual viewpoint of its users. The proactive, functional, and pleasant expressions identified in utilizing the process of the “Rule of Hiding’ will assist the users to realize a new perception on the subject. Accordingly,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reference of a design method in building a pleasant and enjoyable urban environment.

      • 시민주도형 소셜 캠페인에 관한 디자인 방법론 연구

        온나영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83

        In the midst of high economic growth and a rapid wave of industrialization, early industrial society faced a number of social problems. By 1900, a period of rapid change within industrial society, other fields, including design, also radically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extension of the development of machine civilization. However, behind all this commercial and economic growth, soci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roblems and human alienation have arisen and added to the seriousness of the issue. As a result, reflective movements that strongly acknowledge social responsibilities inevitably appeared at all levels. At the same tim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design also emerged. Social design is not only focused on solving social problems, but also emerged as a pattern of behavior in practical design that positively affects society. Early social design focused on global social issue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human rights issues, and produced results centered on physical product design. On the other hand, people started to mainly deal with soci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life, especially those that respect and consider the daily lives of individuals. Design outcomes are not only visible, but are also expressed as invisible communication and experience. Well-known examples include community design, service design for social innovation,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This thesis attempts to develop a discussion by hypothesizing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social design from a traditional point of view and social design from a modern point of view, assuming that the concept and form of design have changed a great deal in the course of a century, since the emergence of social design. It also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anew perspective and concept for social design. This makes this thesis meaningful in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dvanced social design in modern society. A clear example that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is the civil society movement in which design is applied in the public environment. I refer to this social phenomenon as a “citizen-led social campaign design.” In addition, “social campaign design methodology”—which can be utilized by citizens who want to have a social voice—was established to provide a new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social design. Specific directions for future use were also sugg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 new phenomenon, so it is necessary to closely and qualitatively examine the parts that are not exposed on the surface. Thu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 main research tools were literature-based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case studies. The research process and derived content were as follows. First, four key words of social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in modern society were derived by conducting a literature-based research method. Based on existing theories for interpretation,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the paradigm of design and communication, while also looking closely at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social design according to each particular era.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design that evolved in the present day were largely separated into four categories: the invisible form, which is based on communication; everyday social themes close to life; two-way communication that leads to the interaction of message provider and recipient; and design by the changed subject, which means design by non-professional designers(citizens). Second, as a typical phenomenon of social design today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looked at citizen-led social campaign design, which often occurs in the public sphere, on top of established concepts, characteristics, the background of its emergence, and communication components. As this is a discourse that needs to be conceptualized (as opposed to being an established concept), I gave shape to evidence for the discussion while conducting theoretical reviews,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5 social campaign activists. In the past, civil society movements showed a some what one-sided, linear communication and left a negative impression on people.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recent civil society movements on the streets have actively utilized design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 and improve the visual appeal of the movements in order to persuade people through the messages of the movements. Third, this study conducted a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research on 12 cases of citizen-led social campaign designs in the domestic public environment within the last two years.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social campaign communication, the analysis method was to derive design elements by combining various aspects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nd visual perspectives in multiple ways. This study developed a social communication type matrix based on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aspects. Finally, it presented four stereotypes: the voice type, the display type, the peer-to-peer type, and the participation-induction type. The concept, desig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direction of each type were also established. Fourth, social campaign design methodology with citizens as the audience was suggested in order to provide a practical support plan. Specifically, the issue was explained with terms such as the five steps of the “social campaign design process,” “checklist,” “ethical awareness for production and execution,” and “essential requirements of social campaigns.”Furthermore, this study efficiently supported the suggested methodology by devising a “plan for simulation application.” Fifth, I suggested the social campaign design guidelines in the form of open-source toolkit which would make it easy to use and highly accessible when uti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and then, I summarized the principles of production establishment. Social campaign desig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xisting commercial design and social design, so it needs a proper approach to social campaign design. As a core issue, people who are non-professional designers are considered readers and emphasis should be put on easy understanding and convenient use. It is also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ethical behavior patterns are required because it is a non-profit social activity. The six principles in establishing social campaign design guidelines suggested here are easy level, simplicity, reality, interactive communication, motivation and environment-friendly. This study judged that the evolved social design of modern society is citizen-led design in the form of invisible communication. Citizen-led social campaign design was suggested as atypical model here in my study, social campaign design methodology was established as a concrete application method. It is meaningful to make practical use of design for people who make social remarks based on non-profit purpose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it. In addition, the subject of the use of design extends from the area of ​​experts to people who are non-professionals, thus revealing the possibility of a democratic role for design. I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environment design has stayed in the physical point of view so far, this study has differentiated itself by suggesting a new and non-physical point of view: communication design of the public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use of design will be practically expanded through the creative approach of social design, one suitable for modern society. 고도의 경제성장과 산업화의 급격한 물결 속에서 초기 산업 사회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과 당면하게 되었다. 산업사회로 급변하는 과도기였던 1900년경에는 기계 문명 발달의 연장선상으로 디자인을 포함한 여타 분야들 또한 급진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상업적·경제적 성장의 이면에는 환경 문제, 인간 소외 문제 등과 같은 사회 문제를 야기하며 심각성을 더해갔다. 이에 따라 각계각층에서는 사회적 책임을 통감하는 반성적 움직임이 필연적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또한 대두되었다. 사회적 디자인은 일차적으로 사회 문제 해결에 중심을 두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현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실천적 디자인 행동 양식으로 등장하였다. 초기의 사회적 디자인은 전 지구적 사회 이슈인 환경과 인권 문제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물리적인 프러덕트 디자인 중심의 결과물을 생산하였다. 반면, 현재에는 개개인의 일상을 존중하고 고려하는 생활 밀착형의 사회이슈를 주요적으로 다루게 되었다. 디자인 결과물은 가시적인 것뿐만 아니라 비가시적인 커뮤니케이션, 체험 등으로 발현되고 있다. 이를테면 커뮤니티 디자인, 범죄 예방 디자인 등이 대표적이다. 본고는 사회적 디자인이 등장한 이래로 한 세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디자인의 개념과 형태 등은 수없이 변화했다는 전제하에, 전통적인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디자인과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디자인에는 명백한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세움으로써 논의를 전개해나가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과 개념 정립의 필요성 또한 느끼는 바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진화된 사회적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을 정립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문에서 주목하고 있는 대표적 사례는 공공 환경에서 일어나고 있는 디자인이 적용된 시민 사회 운동이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사회 현상을 시민주도형 소셜 캠페인 디자인(Citizen-led Social Campaign Design)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사회적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시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소셜 캠페인 디자인 방법론을 구축하여 사회적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구체적인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현상을 밝히는 데 있으므로,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부분까지 면밀히 정성적으로 살펴보아야 함이다. 이에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주요 조사 도구는 문헌 조사, 심층 인터뷰 조사, 사례 관찰 조사이다. 연구 과정과 도출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문헌연구방법을 시행하여 현대사회의 사회적 디자인 발전 방향 키워드 4가지를 도출하였다. 해석을 위한 기존 이론을 축으로 삼아 디자인과 소통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시대적 흐름에 따른 사회적 디자인의 특성과 변화를 고찰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진화된 사회적 디자인의 특성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반의 비가시적인 형태, 생활밀착형의 일상적 사회 주제, 메시지 공급자와 수용자의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비전문 디자이너인 시민 주체 디자인을 의미하는 주체전환으로서의 디자인 등 크게 4가지로 범주화하였다. 둘째, 앞서 밝힌 오늘날 사회적 디자인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공공 환경에서 일어나는 시민주도형 소셜 캠페인 디자인을 제시하여 개념과 특성, 등장 배경,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소를 정립하였다. 정립된 개념이 아닌 새롭게 개념화 해야 하는 담론이기 때문에 이론적 고찰, 사례 조사 연구, 소셜 캠페인 활동가 15인과의 심층 인터뷰 조사 연구를 시행하며 논의에 대한 근거를 구체화하였다. 과거의 시민 사회 운동은 다소 일방향적이고 직선적 소통 형태를 보이며 시민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심어주었다. 그러나 최근 거리에서 일어나는 시민 사회 운동은 공중의 관심을 유도하고 운동이 지니는 메시지를 피력 및 설득하기 위하여 시각적 호감도를 높이는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최근 2년 이내에 국내 공공 환경에서 나타난 시민 주도형 소셜 캠페인 디자인 사례 12건을 대상으로 비참여 관찰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소셜 캠페인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건을 바탕으로 환경적·소통적·시각적 관점을 다각적으로 접목시켜 디자인 성분을 도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커뮤니케이션과 표현 양상을 기준 축으로 한 소셜 캠페인 커뮤니케이션 유형 매트릭스를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보이스형(Voice type), 전시형(Disply type), 대면접촉형(Peer to peer type), 참여 유도형(Participation-induction type) 등 4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각 유형의 개념과 디자인 특성, 적용 방향성을 성립하였다. 넷째, 실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민을 독자층으로 설정한 소셜 캠페인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소셜 캠페인 디자인 프로세스 5단계와 점검 체크리스트, 제작과 실행을 위한 윤리 의식, 소셜 캠페인 필수 요건으로 용어 정리를 하여 사안을 설명하였다. 나아가 시뮬레이션 적용안을 고안해냄으로써 앞서 제시한 방법론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 결과의 추후 활용 방향으로 용이하고 접근성이 높은 오픈 소스 툴킷 형태의 소셜 캠페인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작을 제안하였으며, 제작 수립 원칙을 정리하였다. 소셜 캠페인 디자인은 기존의 상업적 디자인, 사회적 디자인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셜 캠페인 디자인에 적합한 접근이 필요하다. 핵심적 사항으로 비전문 디자이너인 ‘시민’을 독자층으로 정하여 쉬운 이해와 편리한 이용을 중점으로 고려해야 한다. 더불어 비영리적 사회 활동이기 때문에 윤리적 행동 양식을 요구하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여기서 제시한 소셜 캠페인 디자인 가이드 수립 원칙 6가지는 쉬운 난이도(Easy Level), 단순함(Simple), 실현 가능성(Reality), 상호 커뮤니케이션(Interactive Communication), 내부 동기부여(Motivation), 친환경성(Environment-friendly)이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진화된 사회적 디자인을 비가시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시민 주체 디자인이라고 판단하였다. 대표적인 모델로 시민주도형 소셜 캠페인 디자인을 제시하였으며, 구체적 적용 방안으로 소셜 캠페인 디자인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이는 비영리적 목적을 근간으로 삼아 사회적 발언을 하는 시민을 위한 디자인의 실천적 쓰임과 그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디자인의 활용 주체가 전문가의 영역에서 비전문가인 시민으로 확장되어 디자인의 민주적 역할의 가능성을 밝히는 바이다. 그동안 공공환경 디자인의 발전 방향이 물리적인 관점에 머물렀다면 본 연구를 통해 공공 환경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라는 비물리적인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변별점을 가진다. 나아가 현대사회에 적합한 사회적 디자인의 창의적 접근 방법을 통해 디자인의 사회적 쓰임이 실천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한다.

      • 소외현상 극복을 위한 공공영역 분석기법 연구

        전진하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소외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다. 그중에서도 개발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는 지역 내부의 시공간에 얽힌 수많은 관계를 단절시키거나 변화시켜 소외 현상을 가속화 하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소외현상'은 바로 이러한, 지역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장소의 다양성이 획일화됨에 따라 활동, 인적관계, 물리적 환경의 축소 또는 상실로 드러나는 심리적 거리감을 뜻한다. 이러한 3가지 요소의 상실은‘자신으로부터의 소외’,‘타자로부터의 소외’,‘세계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질 수 있다. 3가지 요소가 소외현상으로 나타난다면, 3가지 요소가 균형 있게 확대될 때, 인간과 환경의 심리적 거리감을 차츰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다. 3가지 요소는 영역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영역성은 장소의 애정, 귀속감, 친숙함, 안정감의 중심으로 작용한다. 특히, 공공영역은 지역주민이라면 누구나 접근 가능하므로 동질성을 확인하는 장소이자, 지역의 정서를 나누는 상호교류의 장으로 지역의 특성과 유대감 형성에 기여한다. 따라서 지역에 산재한 공공영역의 활동, 인적관계, 물리적 환경의 관계를 밝혀 지역의 상황을 진단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한다면, 소외현상 극복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소외되는 현상을 지역의 활동, 인적관계, 물리적 환경 3요소의 축소 또는 상실로 보고, 지역 분석기법을 통해 공공영역의 기능을 확대하는 데 있다. 소외현상 극복을 위해 설정한 공공영역 분석기법의 형성방법은 다음 여덟 단계의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인간이 구축한 환경에 거주민이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소외현상의 요인으로는 경제성장에 따른 일방적인 전면개발과 거주민의 상대적 박탈감이 주원인이다. 둘째, 거주민이 아닌 개발자 중심의 전면개발에 의한 장소상실은 활동, 인적관계, 물리적 환경의 심리적 거리감으로 드러나며, 이는 자신으로부터의 소외, 타자로부터의 소외, 세계로부터의 소외현상으로 이어진다. 셋째, 활동, 인적관계, 물리적 환경은 영역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소상실에 따른 소외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영역의 활동, 인적관계, 물리적 환경의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공영역의 활동은 필수적 활동, 선택적 활동, 관계적 활동으로, 공공영역의 인적관계는 개인관계, 애정기초단체, 이해기초단체로, 공공영역의 물리적 환경은 외부 공공공간, 내부 공공공간, 준공공공간으로 분류했다. 다섯 번째, 분류된 9가지 요소의 상관관계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 한쪽에서만 영향을 주는 관계,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의 3가지 위계로 분류하였다. 여섯 번째, 공공영역 9가지 요소는 설문조사, 관찰, 면담 등을 통해 성격을 부여했고, 이렇게 정리된 공공영역은 지역의 고유번호로 표기하였다. 표기된 공공영역은 3차원 지표를 통해서 구현하였다. 3차원 지표는 각 공공영역이 갖는 특징과 지역의 전반적인 발전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구현된 3차원 지표는‘지역큐브’라 명명했고, 주민의 체재율 조사를 통해서 지역큐브에 삽입하는 과정을 거쳤다. 일곱 번째, 주민 체재율이 삽입된 지역큐브는 공공영역의 활동, 인적관계, 물리적 환경의 특성을 나타내게 되며, 이렇게 찾은 지역 특성은 3단계로 구성한 상관망을 검토하여, 함께 개선해야 할 요소를 찾게 된다. 찾아낸 요소는 요소별 5가지 대응방식 (확대, 결합, 첨가, 개선, 추가)을 활용하여 지역의 공공영역 확대를 위한 개선방향을 설정하였다. 여덟 번째, 구성한 공공영역 분석기법을 통해 실제 서울의 노후한 주거지 한 곳을 선별하여 모의 분석한 결과, 마을 중앙 보행로의 필수적 활동과 선택적 활동인 텃밭을 가꾸는 활동, 주민과의 질적 관계, 지역 내에 위치한 경로당이 활성화된, 특징적 요소 나타났으며, 상관망 검토와 요소별 변수의 5가지 대응방식을 통해 지역에 산재한 9개의 공공영역에 대한 활용 방안을 찾았다. There are many reasons for humans why they are unable to adapt to the environments and are eliminated by others. Among these reasons, physical environment change caused by development can be a cause for accelerating alienation phenomenon that changes or cuts out many relationships intertwined in time and space inside the area. "Alienation effect" covered in this study, as the local environment and the diversity of places created by the humans interactions tend to be standardized, it means psychological distance that are exposed by activities, personal relationships, reduction or loss of physical environment. The loss of these three elements can lead to 'alienation from their own', 'alienation from the Other', 'alienation from the world. However, such an eliminating phenomenon, human and environment's psychological distance will gradually reduce when three elements are increased in balance. The three compon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an area, territoriality applies as a center in affection of the place, sense of belonging, familiarity and stability. Especially, the public sphere is open to any locals where they determine their identity and it contributes to local residents as a space they share affection and form bondages by interactions. Therefore, if the region's status is diagnosed and applied to the design by revealing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the public sphere, human relationships, and physical environment, we will be able to derive ways to get over with the alienation phenomen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public sphere's capabilities to overcome the alienation phenomenon through a local analysis technique, seeing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and failure of adaption as the reduction or loss of three elements; local activities, human relationships and physical environment. A method of forming a public sphere analysis techniques set to overcome alienation phenomenon has undergone next eight steps. First, the main reason of alienation phenomenon that occurs by residents who fail to adapt in the human-built environments is the relative deprivation of residents to other areas caused by unilateral full scale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growth. Second, loss of place by developer, not resident-centered full scale development can cause psychological distance in activities, human relationships and physical environment, which lead in to alienation phenomenon including alienation from oneself, alienation from the others and from the world. Third, activity, human relations, physical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zone form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alienation phenomenon caused by loss of place, there is a need for an increase of public sector activities, human relationships and physical environments. Fourth, activities of public sphere based on the region is classified to essential, optional, relation activities, human relationships in the public sphere is divided into personal relationships, affection based organizations and understanding based organizations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public sphere are classified to external, internal and semi-public spaces. Fifth, classified nine elements of correl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hierarchies; mutual influence relationships, one-sided relationships and partial relationships. Sixth, nine elements of public sphere had given characteristics through survey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hich then organized public spheres were marked by region's unique number. Marked the public sphere wa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surface. Three-dimensional indicators is to derive the overall development direction of features with each public sphere. Configured three-dimensional indicators were named as the 'local cube', through the stay rate survey of residents in the area went through the process of inserting a cube. Seventh, local cube with the rate of residential stay exhibits activities of public sector, human relations and physical environment's characteristics, local characteristics found in this way examine three-step correlation network and search the factors that need to be improved. Found elements were used to set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to expand public sphere of the region by utilizing five respond methods (expansion, combination, addition, improvement, supplement) Eighth, through configured public sphere analysis techniques, an aging residential area of Seoul was selected and analyzed, which revealed characteristic element of the area; essential activities of pedestrian walk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optional activities like cultivating a garden, quality relationships with residents, and enabled senior citizen community center, and we found a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9 public spheres located in the region by reviewing the network and through five response methods of component-specific parameters. Public sphere analysis techniques covered in the study wasn't considered on the local micro-environmental improvements because it was limited in the perspective; 'alienation phenomenon of placelessness'. However, this analysis can be used to take advantage of the public sphere, excavation of the area in the design planning stage with local resources. Finally, long-term vision of the region can be set by using local resource characteristics found in this study but many other solu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overcome not only the alienation phenomenon but also the three elements; activities, relations and physical environments.

      •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김효정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최근 도시의 물리적 개발을 뛰어넘어 조형적·문화적·사회적 관점을 통합하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공공디자인의 체계적인 관리와 높은 효율성 확보를 위해 서울시에서는 대표적인 정책으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다. 하지만 현재 일부 모호한 언어의 사용으로 인해 가이드라인의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아 구체적인 규제와 필수사항에 대한 내용이 불분명하여 실질적인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의 대표적 요소인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연구를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과 실질적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가이드라인 제작 방법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가이드라인의 구성요소 중 언어의 표현과 표현방법을 통해 가이드라인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주요 지자체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제가 되는 언어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한 제작방법을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실제 가이드라인 제작 가능여부를 알아보고, 연구의 발전 방향과 한계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로는 첫째,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크게 이미지와 언어로 구성되며, 이미지는 사례 예시나 권장 이미지 등의 부수적인 요소로 대부분은 언어로 구성된다. 둘째, 공공시설물은 관리주최에 따른 분류로 인해 주변시설물과의 연계성이 떨어지며, 가이드라인은 설계목적을 갖고 정부에서 작성한 문서로서 의사전달에 어려움이 없어야 하지만 현재 모호한 언어의 사용으로 구체적인 적용과 규제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셋째, 공공시설물의 통합적 디자인을 위한 시설물의 분류를 진행하고, 모호한 언어는 품사의 종류에 따라 동사와 형용사로 나뉘며, 이러한 언어의 구체적인 기준, 범위 설정, 실행방법에 따른 위계 설정으로 언어를 보강하여 제작한다면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넷째, 구체적인 개선 방안으로 형용사는 해당 언어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고, 시각적인 범위를 제시한다. 동사는 강도에 대한 위계단계를 설정하고, 이를 디자인 진행 프로세스에 대입하여, 가이드라인 세부지침사항에 대한 의사 결정과 권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주요 지자체 디자인 가이드라인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법을 제시하여, 가이드라인 재제작 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가이드라인의 이해를 높이고, 지침사항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공공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과 규제가 가능해 지고, 이를 통해 도시디자인을 효율적으로 관리 해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needs of public design which integrates not only city's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formative, cultural, social view keeps growing, Seoul has established design guideline as the representative policy for highly effect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public designs. However the partial use of equivocal language makes the meaning of the guideline unclear which makes the concrete regulation and essential points vague so it is not easy to actually use the guideline. This study focuses on establishment method of the public infrastructure design guidelin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actual usage through the research on the guideline itself which is the crucial factor for public designs. Among the component of the guideline the expression of language is studied to suggest a guideline analysis method. With this conclusions the design guideline of public infrastructures of main local government i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e problematic language is deducted and the resolution is given. Lastly, through the establishment method give a simulation is carried to see whether the actual guideline establishment is possible and draw the future research guidelines and its lim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design guideline mainly consists of image and language. The main component is language and image is subordinate which is used only for examples or recommended image guidelines. Second, the public infrastructures has low connectivity with the surrounding facilities due to the categorizing pursuant to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as the guideline is written by the government it should not have any communication mistakes but at the moment the vague language is making the concrete proposal and regulation difficult. Third, if the classification for integrative design of public infrastructure is carried and the language is constructed among concrete standard, range specification, and procedure considering the word class(verb or adjective) of the vague language,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is possible. Fourth, for concrete improvement, adjective establishes the standard of the language and suggests visual range. Verb sets hierarchical stage for strength and substitutes it to design process, so suggests standard for decision making and authority for guideline's detailed guidanc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examine problems by case analysis on main regional governments' design guideline, suggest concrete improvements for those problems and utilize them for manufacturing guideline. It will improve understanding of guideline, deliver guidances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make concrete application and regulation of public design possible and manage urban design effectively.

      • 공공디자인 관련한 홍보프로세스 비교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본청과 25개 구 지자체를 중심으로

        김다빈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Seoul is considered both symbolically and practically as the center of Korean design, and the municipal government has especially been focusing on a variety of policy and projects in terms of public designs. However, in the past five years, a majority of the projects that had been implemented with much importance have now lost the momentum due to many external factors. Henc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can Seoul city’s public design policy and its projects be sustainable and be acknowledged by the civilian society.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s possible improvements on the public design marketing proces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on the case analysis, which are Seoul’s public design projects, namely the‘Design Seoul’, the‘Design Seoul Guidelines’, and the‘Seoul Color.’Through the three aforementioned cases, this study examines what has incurred the presumable decline of Seoul’s public design policy. Furthermore,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lack of Seoul municipal government’s lack of marketing on newly launched public design projects, which led to the lack of public recognition, and also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on the problematic situation. The research method incorporate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oul city itself and its twenty-five districts’ municipal governments in order to identify profound correlation between their public design marketing processes. A remarkable aspect is that most of the citizens were unaware of public design projects due to lack of knowledge.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easons behind this problematic circumstance. The results proved that both Seoul city and its districts’ municipal governments have shown, on their part, efforts to promote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n public designs. However, the marketing processes between the two layer of municipal bodies were separated, and mostly inconsistent. Citizens found it hard to get enough information on the projects, and it can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Seoul city government and the district government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firstly that Seoul and its districts form a consistent system based on communication. Information on public design marketings have to be shared on a regular basis, and the system itself has to be improved. The ultimate goal of these improvement has to be public awareness on the public design projects. The aforementioned changes require more than currently existing guidelines. Henc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a ground-breaking environment upon which the city and district governments can share the information on public design policies and projects. The usage of smart phones can be considered, since it is the most efficient, real-time based communication measure. Mobile environment will foster an organized system of public design management, and will result in the elevation of public awareness. 서울시는 우리나라 디자인의 중심이라 볼 수 있으며, 공공디자인 측면에서 디자인 도시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그에 따른 세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5년간 비중 있게 진행되었던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의 상당수는 여러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힘을 잃게 되었으며 현재는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시민들에게 공공디자인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정책의 어떠한 부분을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주도했던 공공디자인 정책 과정 중 ‘디자인 서울’과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서울색’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이 현재까지 지속되지 못하고 유명무실해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새로이 진행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정책에 대한 서울시의 홍보 부족과 각 자치구의 무관심한 응대로 인해 시민들이 최근 추진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정책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러한 악순환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좀 더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와 25개 구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의 홍보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진행 방식과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원활하지 않은 정보의 전달로 인해 시민들이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 어려워졌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 근본적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종합한 결과,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가 각자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시민들에게 공공디자인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프로세스에 일관성이 없고, 구체적인 전달 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아 시민들이 정책과 관련된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가 어려우며, 정책의 진행 상황에 대해서도 체감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주된 원인으로는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의 소통 부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원활히 소통해야 하며,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에 대한 정보도 서로 공유해야 한다. 또한, 정책에 관한 전체적인 체계도 개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는 시민들에게 공공디자인 관련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현 매뉴얼이 가진 권장 사항만으로는 문제 해결을 위한 틀을 갖출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디자인 정책 시행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해결 방안으로 스마트폰 활용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은 정보의 교류와 공유부분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며, 무엇보다도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하여 물리적으로 수반되는 시간과 불필요한 인력의 소모를 줄이는 데에 최적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을 바탕으로 공공디자인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고 공유한다면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의 상호 관리 체계 구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지속적인 교류와 소통도 가능하게 되어 시민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장 또한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장대도로터널 이용자의 심리적 문제를 고려한 공공디자인의 필요성 연구

        이채영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51

        The growing number and length of road tunnels in South Korea have been exposing tunnel users to greater levels of danger and psychological anxiety. Since accidents in tunnels are caused mainly by human factors, various measures are now being implemented, including the installation of special lighting, application of patterns to existing facilities to reduce the drowsiness and fatigue experienced by tunnel users, and use of large pictograms to improve visibility. However, such design interventions are limited in terms of scope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as they are used solely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leep-deprived driving and therefore do not fundamentally improve the tunnel environment. A poor tunnel environment causes psychological discomfort for users and exposes them to greater risk. It is thus necessary to implement design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unnel us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safety and driving experience. Currently, the “Manual for Expressway Public Design (Bridges and Tunnels)” published by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contains the tunnel design guidelines that are currently in use in Korea and was announc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unnels on expressways. Unfortunately, a closer look at the content of the manual shows that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ad tunnel users has been largely inadequat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ssues that cause psychological discomfort for drivers in long road tunnels in Korea and propose a direction for design interventions that enhance the safety of tunnel users. In terms of the subjects and scope of this research, more than 20 long road tunnels with a length of over one kilometer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with the tunnel space divided into the entry point, shaft (entrance), base, and exit. For detailed research on road tunnels in other countries, a list of viabl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research materials released by the PIARC (World Road Association),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and other reputable organizations, and additional materials were collected.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road tunnels in Korea and recognizing current issues and circumstances through a theoretical, evidence-based survey and observational research. Moreover, theoretical evidence and case studies of overseas road tunnels were examined to derive the issues surrounding Korea’s long road tunnels and present implica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vulnerable and monotonous environment of long road tunnels in Korea is the result of a system structure that is based on technologycentered quantitative design standards and the approach to tunnel construction, which is based solely on the perspective of the management authority. The tunnel designs’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sers created problems and endangered users’ safety. Therefore, improving long road tunnels in Korea requires vigorous and proactive design interventions that take tunnel us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ong road tunnels in other countries initially had the same problems as those in Korea, but that the relevant countries resolved these problems through active interventions and the application of public facility designs. In addition, they used various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bring about changes that meet even the visual and perceptual needs of users. The visual environment-related issues of long road tunnels in Korea are related to issues associated with the engineering design-centered system, management structure of the tunnels, and design approach. However, under the current installation guidelines and regulations, the scope and method of design interventions are limited. Close collaboration between engineering design and legal basis is necessary to implement design interventions that resolve the psychological problems experienced by tunnel users. Therefore, tunnel desig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nnel users are necessary, and the need to adopt such designs in Korea is urgent, as they will improve users’ safety and driving experience in tunnels. 국내 도로터널의 증가와 장대화로 터널 이용자의 위험과 심리적 불편함이 커지고 있다. 터 널에서의 사고는 주로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터널 이용자의 졸음과 피로 감이 증가되는 문제를 줄이기 위해 특수 조명의 설치, 내장설비에 패턴 도입, 시인성 향상을 위 한 대형 픽토그램 적용 등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자인의 개입은 졸음 운전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표현의 범위와 방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근본적인 터널 환경을 개 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열악한 터널의 환경은 이용자에게 심리적 불편함을 야기하며 이용자 의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터널 내 주행의 안전성과 이용자의 터널 경험 개선을 위해 이용자의 심리적 측면을 고려한 디자인 개입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터널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교량, 터널)』이 있으며 고속도로 터널의 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메뉴얼의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면 터널 이용자의 심리적 측면을 고려한 연구가 미흡하 게 드러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대도로터널에서 심리적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터널 이용자의 안전함을 높이는 디자인 개입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범위는 국내의 연장길이 1km 이상의 장대도로터널로 20여 곳의 터널을 무작 위로 선정하여 조사하였고, 터널 공간을 진입부, 갱구부, 기본부, 출구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해외 도로터널의 조사 대상은 세계도로협회(PIARC)와 호주 NSW Goverment 등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발표한 연구자료에서 리스트를 발췌하고 추가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는 이론적 근거 조사와 관찰 조사를 통해 국내 도로터널 배경에 대해 이해하고 현황 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였다. 그리고 해외의 이론적 근거와 선진 사례 조사를 통해 국내 장대도 로터널 환경이 지닌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단계로 전개되었다. 연구 결과, 국내 장대도로터널의 열악하고 단조로운 환경은 관리주체의 일방향적인 관점에 서의 접근과 기술 중심의 정량적인 설계 기준에 의해 만들어지는 시스템 구조에서 비롯된 것 으로 파악되었다. 이용자 측면에 대한 배려 부족이 터널 이용자의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고 이 용자의 안전이 위협받게 되었다. 따라서 국내 장대도로터널의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해 서는 터널 이용자에 대한 심리적 문제를 고려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디자인 개입이 필요하 다. 조사 결과, 해외의 장대도로터널들도 초기에는 국내와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드러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방법 론적 접근으로 시지각적 요구까지 충족시켜주는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통해 국내 장대도로터널의 시각적 환경 문제는 공학적인 설계 중심의 시스템, 터널 의 관리 구조, 디자인의 접근 방법과 모두 관련되어 있고, 현재 적용되고 있는 설치 지침과 법 규 아래에서는 디자인의 개입 범위와 방법이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었다. 터 널 이용자에게 유발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디자인 개입을 위해서는 공학적 설계 와 법적 근거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용자의 심리적 측면을 고려한 디자 인은 장대도로터널에서 이용자의 안전함을 높이고 터널 경험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에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 보행자우선도로 노면환경 특성에 따른 보행안전감 연구 : 보행자의 주관적 인지 과정을 중심으로

        윤민영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51

        Until now,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inducing vehicle drivers to slow down in the case of the creation of pedestrian priority streets. This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realistic aspect, and it is a highly valid approach. However, on the other hand, pedestrian eyes will also be important if it is a pedestrian priority road created to improve behavior tilted by vehicle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how pedestrians accept the perceived safety for the street environment of pedestrian priority streets and what streets surface environment factors affect pedestrian safety.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study, the concept of perceived safety was understoo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it was defined as two types according to the hierarchy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addition, through literature surveys and field studies, 87 types of pedestrian priority road designs created in Seoul from 2013 to 2019 were classified, and research elem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streets surface environment. Based on this, three target sit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sign type of pedestrian priority streets, an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site survey of a total of 254 users.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structure based on the S-O-R mode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six model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six mode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there were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depending on the design typ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ajor issues were also found, and the street surface environment of pedestrian priority streets had a relatively weak impact on perceived passive safety related to fear, defense, and protection, but had a stronger impact on perceived active safety such as social activities. This can be seen that the creation of pedestrian priority streets serves as a medium for pedestrians to create a desire to change street use behavior. In addition, the score of perceived passive safe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ctive safety in all target sites, and the results of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s is a point where pedestrians can be explained to be more sensitive to perceived passive safety such as anxiety and fear from accidents. This is a point where pedestrians can be explained to be more sensitive to perceived passive safety such as anxiety and fear from accidents. As a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the need for a supplementary strategy for perceived safety was proposed when creating a pedestrian priority streets. Detailed design strategies for improving perceived pedestrian safety are as follows. First, maintain existing design strategies and strengthen minimum walking area settings. Second, the introduction of design diversific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arget area hierarchy. Third, develop an integrated maintenance strategy.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ducted field studies on pedestrians with a focus on pedestrian perspective. As a result, in addition to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centered on transportation planning, the detailed design strategy proposal derived from the pedestrian perspective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a balanced reflection of the perspective of all pedestrians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 remains that due to the nature of field studies that are difficult to external validity, the inability to conduct ANOVA tests between target sites, the inability to confirm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focusing on the streets environment, and the inability to present detailed design pla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will be able to present more specific design methodologies for pedestrian priority streets by preparing supplementary research measures sequentially. 지금까지 보차공존으로 대표되는 보행자우선도로 조성의 경우 차량운전자의 감속 유도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이는 보차혼용 상황에서 보행자가 절대적인 약자라는 현실적인 측면이 반영된 결과이고, 타당성 높은 접근 방식이다. 하지만 한편 보차행태의 개선을 위해 조성된 보행자우선도로라면 이용의 또 다른 주체인 보행자의 시선 역시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행자우선도로의 노면 가로환경에 대해 보행자들이 안전감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그리고 어떠한 노면환경 요소들이 보행안전감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 문헌조사를 통해 보행안전감의 개념을 이해하고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위계에 따라 수동적·능동적 안전감 두 가지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문헌조사와 현장연구를 통해 2013~2019까지 서울시에 조성된 87개의 보행자우선도로 디자인 유형을 분류하고, 노면환경을 분석하여 연구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보행자우선도로 디자인 유형에 따라 세 개의 대상지를 선정하고, 이용자들 총 254명을 대상으로 현장설문을 진행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환경심리학의 S-O-R 모델에 근거한 연구 구조에 따라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6개의 모형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6개 모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대상지의 디자인 유형, 행태 특성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는 변수들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요한 이슈들도 발견하였다. 보행자우선도로의 노면환경은 두려움, 방어, 보호 등과 관련된 수동적 안전감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영향을 미쳤고, 여가보행, 사회적 활동 등과 같은 능동적 안전감에는 수동적 안전감에 비해 노면환경이 더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보행자우선도로 조성이 보행자들에게 도로이용행태 변화의 욕구를 만들어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는 점이다. 또한 모든 대상지에서 능동적 안전감에 비해 수동적 안전감의 점수가 현저히 낮게 나왔는데, 대응표본 t-검정의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보행자들이 사고로부터의 걱정, 두려움 등 수동적 안전감에 대해 더 예민하게 반응한다고 해설할 수 있는 지점이다. 해석의 결과로서 보행자우선도로 조성 시 보행자 안전감의 보완전략 필요성을 제시했고, 첫째 기존의 디자인 전략 유지와 최소보행영역 설정을 강화, 둘째 대상지 성격에 따른 디자인 변주 전략의 도입, 셋째 보행자우선도로 조성과 연계한 통합적 유지관리 전략 마련이라는 세부 디자인 전략 제언으로 연구를 마쳤다. 본 연구는 보행자 관점에 초점을 맞춰 보행자를 대상으로 현장연구를 진행했다는 데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과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그 결과로서 교통계획 중심의 선행연구들의 성과에 더해 본 연구의 보행자 관점으로 도출된 세부적인 디자인 전략 제안은 향후 보행자우선도로 조성에 있어 보차 모두의 시각이 균형 있게 반영되는 결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한편 외적타당성이 어려운 현장연구의 특성상 대상지 간 ANOVA 테스트를 진행하지 못한 점, 연구가 노면환경에 초점을 맞춰 다른 요소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지 못한 점, 세부 디자인 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후속 연구로 남겨둔 점이 한계로 남는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순차별로 연구 보완 방안들을 마련하여 구체적인 보행자우선도로의 디자인 방법론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이벤트 보행교량의 지속적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프로세스 연구 : 교량경관설계를 중심으로

        이은정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51

        보행교량은 도로나 강 등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하기 위한 입체횡단시설이라는 이용적 가치와 함께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랜드마크 시설이라는 경관적 가치, 그리고 연속된 도시의 길로서의 가치를 함께 지닌 공공시설이다. 지방자치시대에 접어들면서 특히 지역의 경관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랜드마크 시설로서 개성 있는 형태, 다양한 기능을 접목한 보행교량의 설치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보행교량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하지 않으며, 보행교량의 설치에 대한 기준은 대개 공공분야의 디자인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계획단계에서 구상했던 결과와 다르게 비활성화되는 사례를 종종 발견하게 되는 것이 현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교량의 ‘보행자를 위한 환경으로서의 공간 역할’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개념정립의 단계로서, 보행환경 측면에서 ‘매력 있고 걷고 싶은’ 공간이 되도록 계획하는 디자인 요소를 선행연구와 공공기관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국내외 보행교량 사례를 통해 추출하였다. 매력 있고 걷고 싶은 보행교량의 주요소로서 ‘이벤트 보행교량’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교량활성화를 위해 이용자의 이벤트 밀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공간의 주도성, 보행속도에 맞는 보행공간의 구성,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이라는 기준을 수립하였다. 두 번째, 이벤트 밀도 개념을 도입한 보행교량 디자인의 요소 및 프로세스 확립의 단계로서, 보행교량의 디자인 요소들을 종합하여, 이용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지표를 계획하였다. 보행교량의 디자인 요소를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설계, 시공, 디자인의 관련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과정을 거쳐 이벤트 보행교량 설계에 필수적인 활성화 디자인 지표를 선정하였다. 활성화 디자인 지표의 선정에서는 보행자 이용자들의 요구를 고려한 이벤트 밀도와 관련 요소를 작성하여 기능 및 디자인적 측면뿐만 아닌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활성화 디자인 지표를 활용하는 이벤트 보행교량 디자인 프로세스를 확립하여, 디자인 프로세스 주요 단계에서 활성화 디자인 지표를 통해 교량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 실제 적용 단계로서 가상의 디자인이 아닌 현재 존재하는 보행교량에 이벤트보행교량의 개념을 적용하고 활성화 디자인 지표를 통한 교량설계 및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쳐 디자인(안)을 재구성 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교량을 이용하는 지역 주민을 통한 활성화 디자인 지표 체크리스트를 설문내용으로 작성하여, 디자인(안)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부터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연계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종안을 작성하고, 현재의 보행교량과 비교한 선호도 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이벤트교량 활성화 디자인 지표가 적용된 보행교량이 실질적 이용객의 이벤트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보행교량의 디자인 및 조성에 있어서 주요 주체는 실제 그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보행교량 디자인에 있어서는 설치주체(공공분야)와 디자인주체(전문가)가 디자인 과정을 주도하였으며, 실질적인 이용주체인 이용자는 다수 대중으로서 요구반영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고 이용자 요구가 반영된 체계적인 보행교량 디자인의 첫걸음으로서 이벤트 보행교량의 활성화 디자인 지표와 디자인 프로세스를 계획하였다. 연구결과를 적용한 실험적인 이벤트 보행교량의 디자인에서는 지역민의 요구를 반영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물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환경으로서 ‘매력 있고 걷고 싶은’ 공간이 되도록 계획하는 디자인 요소를 이벤트교량 활성화 디자인 지표로 활용하고, 이를 접목한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가 계속 제기되고 연구된다면, 이용자 요구가 반영된 이벤트 보행교량은 조성 이후 비활성화사례로 전락하지 않고 이용객에게 긍정적 평가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