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행복유형과 학과만족도

        권혁미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행복 유형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행복유형에 따른 학과만족도와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된 탐색적 기술 연구이다. 간호대학생의 행복 주관성에 대한 Q 모집단은 행복에 관한 심층면담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심층면담에서 놓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문헌을 고찰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행복을 대표한다고 생각되는 진술문을 추출한 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34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다. P 표본은 일 지역 간호학과 3학년 학생 6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주관적으로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9점 척도 상에서 Q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QUANL PC progra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학과만족도 설문지는 김계현과 하혜숙(200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행복유형에 따른 일반적 특성은 x²-test로 분석하였으며, 행복유형에 따른 학과만족도의 차이는 ANOVA로 분석하였다. 사후 다중비교는 Scheffe를 이용하였고, 학과만족도의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α로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행복인식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인 진취적 자기 실현형은 최선을 다하는 자신의 모습에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는 유형으로 진취적 자세와 더불어 스스로 주위에 인정받고 있음을 자각하고 행복을 추구해 나가는 유형이다. 제2유형인 도피적 몰입형은 자기 부정적 요인을 내재하고 있음으로 현실부정의 성향이 강하여 타인의 자극에 현실 부정이나 새로운 것에 지속적으로 몰입하게 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인 낙관적 친화형은 자신을 스스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더불어 타인과의 관계를 포용적이고 원만하게 유지하면서 일상을 즐기는 유형이다. 제4유형인 자기중심적 관계 추구형은 주변을 의식하고 항상 비교하면서 자신을 가꾸어가면서도 행복교감에 소극적이고 비개방적 유형이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행복 유형은 제3유형 낙관적 친화형으로 22명(34.4%)이었다. 제1유형 진취적 자기 실현형이 21명(32.8%), 제2유형 도피적 몰입형이 11명(17.2%), 제4유형 자기중심적 관계 추구형이 10명(15.6%)이었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행복 유형과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용돈만족(x²=17.20,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x²=18.32, p=.017), 친구관계(x²=15.74, p=.008), 성격(x²=15.16, p=.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제2유형 도피적 몰입형이 다른 유형들에 비해 자신의 용돈에 대해 불만족(81.8%)하게 느끼고,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지하고 있으며(45.5%), 친구와의 관계를 보통이거나 나쁘다고 생각하는 편이며(63.6%), 성격은 내성적이라고 인식하는 것(54.5%)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행복 유형별 학과만족도는 점수 가능 범위 5점 만점에 제1유형 진취적 자기 실현형이 4.06±0.48점으로 가장 높고 제2유형 도피적 몰입형이 3.44점±0.33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 유형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4.53, p=.006).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제2유형 도피적 몰입형의 간호대학생으로 하여금 긍정적으로 학교와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키워 학과만족도를 고취시키고 나아가 전인간호의 실천 핵심인 간호전문직관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소통하는 지지적이고 관계적인 학습환경 속에서 학과에 흥미를 갖도록 개인이 지니고 있는 잠재가능성을 인식·탐색하고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간호대학생, 행복, 학과만족도, Q 방법론

      •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덕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ABSTRACT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Department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 Kim, Duck Ji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Jeong Seop, RN. Ph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analysi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department satisfaction. It will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nursing programs that will improve nursing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275 nursing student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3 to December 20,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enter metho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or Window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for ego-resilience,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3.38(±0.52), 3.33(±0.50) and 3.64(±0.56)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between ego-resili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2) The ego-resilience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age(F=5.49, p<.001), school system(t=-5.57, p<.001), choice motivation(F=2.71, p=.031)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t=-3.05, p=.003). The self-efficacy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age(F=4.51, p=.002), school system(t=-4.49, p<.001), academic performance(F=4.95, p=.002) an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t=-3.14, p=.002).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age(F=3.24, p=.013), school system(t=4.22, p<.001) and choice motivation(F=4.74, p=.001),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sex, religion, academic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3) The factors which affected department satisfaction are,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as follows. Optimistic attitude among the ego-resilience (β=.56, p<.001), associate course(β=.38, p<.001), suitability for personality among the choice motivations(β=.17, p<.001), social self-efficacy(β=.14, p=.039), high employment guarantee among the choice motivations(β=.12, p=.033). All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explained 36% of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By the results and the discussions, this study’s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study with an expanded number and scope of subjects in order to increase nursing students' interest i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o generalize the results.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department satisfaction, which are suitab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3) A follow-up study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verify the effects of variables other than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which affect nursing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4)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nursing students' optimistic attitude and ego-resilience, which will result in their higher department satisfaction. Key words : Nursing, Students, Resilience, Self Efficacy, Personal Satisfaction 국문요약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상관관계분석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3년제와 4년제 각 1개 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7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12년 12월 3일부터 12월 20일에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차이검증, 상관분석 및 진입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평균 3.38점(±0.52), 자기효능감은 평균 3.33점(±0.50) 그리고 학과만족도는 평균 3.64점(±0.56)이었고, 이들 변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연령(F=5.49, p<.001), 학제(t=-5.57, p<.001), 선택동기(F=2.71, p=.031), 교우관계(t=-3.05,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연령(F=4.51, p=.002), 학제(t=-4.49, p<.001), 학업성적(F=4.95, p=.002), 교우관계(t=-3.1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연령(F=3.24, p=.013), 학제(t=4.22, p<.001), 선택동기(F=4.7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 종교, 학업성적, 교우관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 중 낙관적 태도(β=.56, p<.001), 3년제(β=.38, p<.001), 선택동기 중 적성과 취미가 맞아서(β=.17, p<.001), 사회적 자기효능감(β=.14, p=.039), 선택동기 중 졸업 후 취업률이 높아서(β=.12, p=.033)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고, 이들 변수로 구성된 모델의 설명력은 36%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대상자의 수와 범위를 확대하여 반복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현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학과만족도 측정도구가 없는 실정이므로 추후 우리나라 간호대학생의 실정에 맞는 학과만족도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외에 다른 변수들을 찾아내어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낙관적 태도와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과과정에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주요개념어 : 간호대학생,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지각된 서비스 요구

        김숙희 우석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99

        Abstract Knowledge, Attitude, and Recognized Service Requirements for Dementia concerning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Sookhee Kim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Okhee Ahn, Ph. D., RN This study polled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to serve demented patients that are social issues in an aging society. Also, it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a production course and a program by identifying knowledge, attitude, and recognized service requirements for dementia concerning the students. Study subjects were 451 current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in four-year university at J-do. As for study tools, dementia management center located in Seoul (2010) has been used for dementia knowledge, while a tool developed by Hyunoh Cho (1999) has been used for dementia attitude. In addition, a tool developed by Jin Ha (2003) and Maengje Cho (2008) has been used for demand for dementia service after screening duplicated parts. Datum have been collected from October 1st to 20th in 2012, and analyzed by using SPSS/WIN 20.0 program after being collecte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s subjects had 94.1% and 74.6% of women ratio in the department of both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and the average ages of both group were 20.43±1.69, 22.34±6.77. As for the religion, two groups had 54.7% and 61.3% of people believing in Christianity. As for characteristics of dementia, a case of responding 'I know' on a degree of dementia knowledge was 82.4% and 69.2% on both groups, and a case of responding 'I have been educated' on an experience of education was 57.0% and 27.7% on both groups. In a question of asking whether they know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Act or not, a case of responding 'I do not know' was turned out to be 54.7% and 36.4% on both groups, and a case of responding 'family members or relatives' on a question of asking the relationship of supporter and care attendants was 42.0% and 43.4%. In addition, a place where they prefer to take their family members with dementia to the most was turned out to be 'general convalescent hospital for the aged' in 32.9% and 30.9% on both groups. 2. A degree of knowledge of study's subjects in dement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an social welfare (p<.001), and knowledge in each grade from both group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was not significantly high. 3. The attitude of study's subjects on the dementia was positive. In case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freshmen had the most positive attitud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sparity on each grade. As for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niors had the most positive attitud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n each grade (p<.05). 4. As for recognized service requirements of dementia from test subjects,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showed the highest demand among seniors without significant disparity on each grade. In case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niors also had the highest demand with significant disparity on each grade (p<.01). 5.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f dementia from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wa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r=-.260, p<.01), (r=-.344, p<.01), and the attitude of dementia seemed to be more positive as a degree of knowledge in dementia was higher.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r=-.366, p<.01), (r=-.404, p<.01) between attitude in dementia and entire service requirement, and a degree of service requirement seemed to be higher as they had more positive attitude in dementia. In conclusion, it showed that the attitude in dementia was more positive as a degree of knowledge in dementia was higher, and recognized service requirement for dementia was higher as the attitude in dementia was more positive. Since the attitude in dotards is more positive as a degree of knowledge in dementia is higher, it is an important issue to develop curriculum and courses of the education. Therefore, it requires to develop education contents and programs for students to build a positive attitude in dotards by strengthening the education in the fields of psychology, sociology, policy, and the system as well as phys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that can improve a degree of knowledge in preparation for curriculum and courses of education for dementia. In addition, a higher degree of demand on the service for dementia implies the necessity of diverse policies for health-care service is also high.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various health-care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for dotards. 국문초록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지각된 서비스 요구 본 연구는 고령화 추세와 더불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치매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돌보게 될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지각된 서비스 요구를 파악하여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도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 4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 치매 지식은 서울시 치매관리센터(2010), 치매 태도는 조현오(1999)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치매 서비스 요구는 하진(2003)과 조맹제 등(2008)의 도구 중 중복된 문항을 제외하고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모두 여자가 94.1%, 74.6%로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20.43±1.69, 22.34±6.77세 이었으며 종교는 두 학과 모두 기독교가 54.7%, 61.3%로 가장 많았다. 치매관련 특성으로 치매 지식수준은 ‘안다’로 응답한 경우가 82.4%, 69.2% 이었으며, 치매에 대한 교육경험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자가 57.0%, 27.7%로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하여 묻는 문항에서 ‘잘 모른다’가 54.7%, 36.4%로 나타났으며, 치매노인의 부양‧ 치료책임자로 ‘가족‧친지’라고 대답한 경우가 42.0%, 43.4%로 가장 높 았으며 가족이 치매에 걸릴 경우 모시고 싶은 장소는 ‘노인전문요양병 원’이 32.9%, 30.9%로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치매에 대한 지식은 간호학과가 사회복지학과 보다 유 의하게 높았으며(p<.001),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모두 학년별 지식 수준은 유의하지 않았다. 3. 연구 대상자의 치매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간호학과의 경우 1학년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고, 사회복지학과는 4학년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학 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4. 연구 대상자의 치매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 요구는 간호학과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사회 복지학과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내었다(p<.01). 5.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의 치매 지식과 태도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r=-.260, p<.01), (r=-.344, p<.01), 치매 지식이 높을수록 치매 태도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치매 태도와 총 서비스 요구 간에도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r=-.366, p<.01), (r=-.404, p<.01), 치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치매에 대한 서비스 요구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치매 지식이 높을수록 치매 태도가 긍정적이고, 치매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치매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치매 지식이 높을수록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므로 교육과정과 교과목 개발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치매관련 교육과정과 교과목을 계획함에 있어, 교육내용에 지식수준을 높일 수 있는 신체적‧ 생리적 측면은 물론 심리적, 사회적, 정책‧제도적 영역의 교육을 강화하여 치매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내용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치매에 대한 서비스 요구가 높다는 것은 다양한 보건복지 서비스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치매 노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보건복지 서비스의 개발과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간호대학생의 진로장벽 영향 요인

        원종임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83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유형과 감성지능, 사회적지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진로장벽의 관계를 규명하고 간호 대학생의 진로장벽에 대한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충청과 호남지역의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4일부터 10월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평균 연령은 22.3세였고, 여자가 83.9%였다. 건강상태는 ‘좋다’가 72.8%였고, 학과 선택의 이유가 신념이나 흥미가 있는 내적 동기에 의한 경우는 18%였다. 학과 만족도는 ‘만족’이 49.8%로 5점 만점에 평균 2.56점 이었다. 취업 희망 분야는 병원 간호사 80.2%(174명), 기타가 19.8%(43명)으로 대부분 임상 간호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취업을 선택한 이유는 경제력 확보, 최소한의 임상 경험의 필요성, 전문직이어서, 직업의 안정성 순 이었다 임상 이외의 기타 분야의 취업을 희망하는 이유는 교대 근무를 원치 않음, 병원의 과중한 업무, 부정적인 임상실습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2. 사회적 의사소통 유형, 감성지능, 사회적지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진로 장벽 의 수준 사회적 의사소통은 주장성과 반응성의 합한 점수를 31점을 절단 값으로 하여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타협형 54.8%, 통합형 38.7%, 회피형 3.7%, 지배형 2.8%로 주장성과 반응성이 모두 발달한 통합형과 반응성이 발달한 타협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감성지능의 평균은 7점 만점에 5.03점, 사회적 지지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12점,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03점 이었다. 진로장벽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15점으로 하위영역은 우유부단한 성격, 자기 명확성 부족, 직업 정보 부족,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외적 장애, 사회적 인식 부족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 사회적 의사소통 유형, 감성지능, 사회적지지, 임상실습 스트레 스와 진로장벽과의 관계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변수는 건강 상태, 간호학과 선택 이유, 학과 만족도, 그리고 취업 희망 분야였다. 건강 상태가 나쁜 경우가 좋은 경우보다 진로 장벽이 높았으며(F =12.63, p <.001), 간호학과 선택 이유가 외적 요인에 의한 경우가 내적 요인에 의한 경우보다 진로 장벽이 높았다(F =10.54, p <.014). 학과 만족도가 낮으면(F =29.45, p <.001) 진로장벽이 높았다. 병원 취업을 희망하는 그룹의 진로장벽이 낮았다(t =-2.26, p =.025). 상관분석결과 감성지능이 낮을수록(r =-.37, p <.001),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r =-.35, p <.001),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r =.390, p <.001) 진로장벽이 높았다. 4. 간호대학생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요인 단변량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된 변수들을 투입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F =15.58, p <.001), 설명력은 35%였다. 학과 만족도가 낮은 경우(β =.29, p <.001),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을수록(β =.21, p <.001), 감성지능이 낮을수록(β =-.17, p =.016) 진로장벽이 높았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장벽을 낮추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의 적응을 돕고 전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우관계나 학교생활에 대한 상담 프로그램, 간호전문직에 대한 자부심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돕는 전략과 다양한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학과 입학 선발 과정에서 내적동기가 높은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실습교육 개선을 위해 학교와 실습기관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과밀한 실습환경과 직접간호의 기회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의미 있는 실습과제와 시뮬레이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실습교육전략과 같은 교육과정의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communicative styl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areer barrier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barriers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4, 2018 from 217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tending four-year nursing colleges in Chungcheong and Honam reg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mean age was 22.3 years, and 83.9% were female. Their health status was “good” (72.8%), and the reason for their choice of department was internal motivation with belief or interest in 18%.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was 49.8% (average 2.56). Of the respondents, 80.2% (174) wanted to work in a hospital, and 19.8% (43) did not. The reasons for choosing hospital employment were economic security, the need for minimum clinical experience, professionalism, and job stability. The reasons the others did not want to work in a hospital were shift work, work burden, and negative clinical experience. 2.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bles In the social communication type, the sum of assertiveness and responsiveness scores was calculated and divided into four types when the sum was 31 points. The amiables accounted for 54.8%, the expressives 38.7%, the analyticals 3.7%, and the drivers 2.8%. Most were amiables and expressives. The mean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5.03, the mean of social support was 4.12, and the averag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3.03. Career barriers averaged 2.15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indecisive personality, lack of self-clarity, lack of job information, lack of awareness of necessity, external impairment, and lack of social awareness. 3. Relationship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socio-communicative styl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areer barriers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career barrie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s participants revealed the following as significant variables: health status, reason for the choice of department,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reas of employ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barriers according to health status (F = 12.63, p < .001), and career barriers were higher in those with external reasons for the choice of department than in those with internal factors (F = 10.54, p < .014). When satisfaction with major was lower (F = 29.45, p < .001), career barriers were higher. The career barriers of the group seeking employment at a hospital were low (t = -2.261, p = 0.025). The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reveal that those with lower emotional intelligence (r = -. 368, p < .001), lower social support (r = -. 352, p < .001), and higher stress of clinical practice (r = .390, p < .001) have higher career barriers. 4. Factors affecting career barriers of nursing stud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levant variables ident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 = 15.577, p < .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5%. When there was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β = .29, p < .001), higher stress of clinical practice (β = .21, p < .001), and lower emotional intelligence (β = .17, p = 0.016), career barriers were high. To lower the career barrie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to lower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provide strategies for improving satisfaction in the department in university life.

      •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

        손현정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5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성을 알아보며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9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강원도 G시에 소재한 일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성격유형 척도로 Myers와 Briggs(1980)가 제작한 성격유형 검사를 심혜숙과 김정택(1990)이 번역하여 표준화시킨 MBTI GS형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측정은 Folkman &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The way of Stress Coping Checklist)를 김정희와 이장호(1985)가 요인분석을 통해 선택 개발한 62문항 중에서 박주영(1995)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업탄력성의 측정은 김누리(2008)가 개발한 학업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사후 검정을 위한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MBTI 선호지표 중 외향형(E)이 117명(62.2%)으로 내향형(I) 71명(37.8%)보다 많았고, 감각형(S)이 146명(77.7%)으로 직관형(N) 42명(22.3%)보다 많았고, 사고형(T)이 110명(58.5%)으로 감정형(F) 78명(41.5%)보다 많았고, 인식형(P)이 106명(56.4%)으로 판단형(J) 82명(43.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MBTI 16개 성격유형 중 분포가 많은 순서는 ESTP 유형 32명(17.0%), ESTJ 30명(16.0%), ISTJ 20명(10.6%)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대학생의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4점 만점에 2.51±.44점이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소망적 사고’로 2.80±.52점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적지지 추구 2.53±.62, 문제중심적 대처 2.46±.60, 정서적 대처 2.26±.55 순이었다. 3. 연구대상자들의 학업탄력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66±.56점이었고 자기통제가 3.89±.5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친구지지가 3.84±.75점, 긍정적 태도(3.66±.78)와 부모지지(3.66±.81), 과제책임감(3.62±.74), 학습조절(3.50±.8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년(F=3.888, p=.010), 성적(F=4.091, p=.003), 이성 친구 교제경험(t=2.554, p=.011), 간호학과 입학동기(F=2.559, p=.02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적(F=4.007, p=.004), 간호학과 입학동기(F=2.761, p=.020), 간호학 전공만족도(F=10.279,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7. 대상자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식(t=-3.516, p=.001)과 사회적지지 추구(t=-3.595, p<.001), 소망적사고(t=-2.223, p=.027), 정서적 대처(t=-2.984, p=.003)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대상자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학업탄력성의 차이에서는 에너지의 방향을 나타내는 E-I 지표와 삶의 방식을 의미하는 J-P형 선호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t=-2.902, p=.004),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t=-3.113, p=.002) 학업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9. 연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과는 유의한 순상관관계(r=.377, p<.001)를 나타내었다. 10.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의 설명요인으로는 간호학과 전공만족도와 성적, MBTI 선호지표 중 판단형 선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있었으며 45.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자신의 감정과 보완점을 이해하고,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여 대학생활에 높은 동기와 흥미를 줄 수 있는 학업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간호대학생의 대처방식 선택 시 성격이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 성격유형을 고려한 적절한 대처방식을 사용하여 학업탄력성을 고양시키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간호·보건 계열 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

        徐恩姬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51

        본 연구는 간호·보건 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향후 실무에서 함께 일할 보건 관련 인력이 간호사를 어떤 이미지로 지각하는지 파악하여, 간호사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간호사 이미지를 새롭게 하고, 긍정적 태도를 유발하며 간호교육과 사회적 인식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생산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설계는 간호·보건 계열 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4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광역시에 소재한 1개 대학과 중소도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보건 계열 3학년에 재학 중인 6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대학의 전체 재학생 1,036명 중 간호과 263명, 물리치료과 122명, 방사선과 126명, 응급구조과 41명, 임상병리과 127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이향련 등(1992)이 개발하고, 장숙현(1998)이 수정·보완한 간호사 이미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집단 자가 보고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12.0 PC^(+) Win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지역별·학과별 간호사 이미지의 차이는 t-test와 ANOVA, Tukey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 이미지 총점은 145점 만점에 90.8점이고, 평점은 5점 만점에 3.1점이었다. 2) 지역별 간호사 이미지 총 평점은 중소도시에 위치한 간호 ·보건 계열 대학생(91.5점)이 광역시에 위치한 간호·보건 계열 대학생(90.0점) 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학과별 간호사 이미지는 간호과(102.7점), 물리치료과(87.4점), 방사선과(86.3점), 응급구조과 (80.0점), 임상병리과(77.4점)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 83.923, p < .001). 3) 지역별 간호사 이미지의 하위 4개 영역(자질, 역할, 사회참여, 대인관계) 차이는 자질 영역이 유의한 차이(t = -2.449, p = .015)를 보였지만, 역할 영역, 사회참여 영역,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과별로는 자질 영역, 역할 영역, 대인관계 영역에서 간호과, 물리치료과와 방사선과, 응급구조과와 임상병리과 3군의 순으로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 63.153, p < .001; F = 89.239, p < .001; F = 46.754, p < .001). 사회참여 영역은 간호과, 물리치료과와 방사선과, 응급구조과, 임상병리과 4군의 순으로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 66.947, p < .001). 4) 지역별 간호사 이미지 형성 요인은 ‘입원 또는 병원 방문 시 간호사 모습’이 광역시 대학생 42.6%, 중소도시 대학생 42.0%로 가장 높았고, 다음 요인은 ‘임상실습 중에 만난 간호사 모습’이 광역시 25.8%, 중소도시 27.6%로 나타났다. 학과별 간호사 이미지 형성 요인은 ‘입원 또는 병원 방문 시 간호사 모습’은 임상병리과 63.6%, 물리치료과 54.4%, 방사선과 43.5%, 응급구조과 35.7%, 간호과 27.8% 순으로 나타났고, ‘임상실습 중에 만난 간호사 모습’이 응급구조과 42.9%, 간호과 40.6%, 방사선과 20.6%, ‘TV 드라마 속의 간호사 모습’은 방사선과 22.1%, 물리치료과 17.6%, 응급구조과 14.3%, 임상병리과 13.6%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보건 계열 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는 높지 않았고, 중소도시 소재 대학생과 광역시 소재 대학생의 이미지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과별로 보면 간호과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물리치료과와 방사선과였으며, 응급구조과와 임상병리과가 가장 낮았다. 또한 간호사 이미지 형성은 간호과, 응급구조과가 간호사와 직접적인 교류, 간호활동 모습을 통해 형성하였고, 물리치료과, 방사선과, 임상병리과는 간호활동 모습과 TV 드라마의 간호사 모습을 통해 형성하였다. 따라서 간호·보건 계열 대학생들이 일방적인 대중매체의 영향보다는 간호사와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이미지가 가장 많이 형성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사료되며, 긍정적인 간호사 이미지 형성을 위해서는, 입원 환경은 물론 학생들을 만나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간호사 스스로가 간호직에 대한 긍지와 책임을 지니고 임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간호·보건 계열 대학생들이 재학 중에,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간호과 학생들과 교수진이 대학축제나 동아리 활동을 통해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대중매체를 모니터하여 긍정적인 간호사 이미지를 강화하고 부정적인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design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nurses' image perceived by nursing and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5th to November 15th, 2004. Subjects were composed of 679 students in three-year Junior College; the department of nursing were 263, physical treatment were 122, radiology were 126, clinical pathology were 127, and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were 41. Nurses' image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 developed by Hyang-Yeon Lee et al (1992) and revised by Sook-hoen Jang(1998).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C^(+) W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s. The point difference of nurse' image between departments and locations were analyzed by t-test, F-test(ANOVA), and Tukey test. The nurses' image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nurses' image is 90.8 point of the total 145 point in 29 items. The image of nurse is on the average level, scoring average scale 3.1 point of the total 5 point. 2. Nurses' image is showen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he department of nursing (102.7) score higher than the average, but physical therapy (87.4), radiology (86.3), emergency medical technology(80.0), clinical pathology (77.4) score lower than the average (F = 83.923, p < .001). 3. The image for the nurses' was analyzed to 4 subarea. Among the 4 subarea, the highest score was 'the qualification of nurse', and the lowest score was 'the role of nurse'. Nurses' image was significant differed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 qualification of nurse' (t = 2.449, p = .015). Nurses' image was significant differed among the 4 subarea according to 5 departments; 'the qualification of nurse' (F = 63.153, p < .001), 'the role of nurse' (F = 89.239, p < .00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e' (F = 46.754, p < .001), 'the social participation of nurse' (F = 46.754, p < .001). 4. Nurses' image formed through directly contacting with nurses' and seeing nurses' action(69.1%), and watching nurse in TV drama(15.9%). In conclusions, nurses' image perceived by nursing and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were not high, and it was not significant in location. Analyzed into the department, the highest score is the department of nursing, and the next score is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radiology, and the lowest score is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nursing and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nurses' image formed through directly contacting with nurses' and seeing nurses' action, and watching nurse in TV drama. Efforts should be made through mass media so that public perception on nursing and nurses is rectified correctly. It is considered that nursing and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were affected by an inter-communication with nurses' more than by mass media.

      • 타 지역 거주 간호학과 신입생의 인성, 자아탄력성, 진로선택몰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황보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51

        본 연구는 타 지역에 거주하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확인하고 인성, 자아탄력성, 진로선택몰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타 지역에 거주하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 7개 대학의 타 지역 거주 간호학과 신입생 175명이었다. 자료는 2022년 6월 20일부터 2022년 7월 1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타 지역 거주 간호학과 신입생의 인성은 5점 만점에 평균 4.10±0.41점, 자아탄력성은 평균 3.55±0.62점, 진로선택몰입은 평균 3.36±0.59점,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 3.63±0.58점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β=.39 p=.000), 인성(β=.27, p=.000), 간호학 만족도(β=.27, p=.000), 진로선택몰입(β=.17, p=.003)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64.8%였다. 이상의 결과로, 타 지역 거주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의 향상을 위해 자아탄력성의 증진, 올바른 인성 함양, 간호학 만족도 상승 및 높은 진로선택몰입 수준의 증진을 위한 교육과 훈련 및 교과 활동의 개발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level of adaptation of nursing freshmen living in other regions by checking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dentifying the effect of personality, self-elasticity, and career choi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5 freshmen from nursing departments living in other regions at 7 universities in D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June 20, 2022 to July 1,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WIN 28.0,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personality of nursing freshmen living in other regions averaged 4.10±0.41 points out of 5, self-elasticity averaged 3.55±0.62 points, career choice commitment averaged 3.36±0.59 point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veraged 3.63±0.58 points. The influencing factor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s self-elasticity (β=.39 p=.000), personality (β=.27, p=.000), Nursing Satisfaction (β=.27, p=.000), career choice commitment (β=.17, p=.003),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64.8%. So Efforts are required to develop education, training, and curriculum activities to improve self-elasticity, develop proper personality, increase nursing satisfaction, and improve the level of career choice commitment for nursing freshmen living in other regions.

      • 간호사인력의 지역불균형 수준과 관련요인

        박은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51

        간호사인력의 지역불균형은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해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간호학과 입학정원 증원정책이 지방의 간호사인력 공급에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간호관리료 차등제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가 지역 간 간호사 격차를 심화시킨다는 논란이 지속되면서 간호사 지역불균형 문제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 지역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간호사인력의 지역별 분포 변화를 파악하고, 집중지수와 정비지수를 이용해 간호사인력의 지역불균형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지역수준에서 간호사 지역불균형의 관련요인을 규명하고, 간호사 지역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가통계자료를 수집하여 2011년에서 2020년까지 전체 임상간호사의 지역별 분포 변화를 확인하였다. 2011년보다 2020년에 수도권과 광역시의 간호사 집중현상이 더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임상간호사의 지역 간 격차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군구 지역 간 인구 1천명당 임상간호사의 격차가 2011년 87배에서 2020년 183배로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집중지수를 이용해 2011년에서 2020년까지 우리나라 전체 지역 간의 임상간호사 불균형수준을 측정한 결과, 2011년과 2020년 사이 인구대비, 병상대비, 조정입원환자대비 임상간호사의 지역 간 불균형이 모두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비지수를 이용해 의료요구에 대한 각 지역의 임상간호사 불균형수준을 측정한 결과, 호남권과 강원권은 임상간호사가 부족한 지역의 비율이 높고, 경상권은 임상간호사가 과잉인 지역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별 임상간호사 분포의 관련요인과 임상간호사가 불균형한 지역의 관련요인을 각각 분석한 결과, 외래내원일수, 입원일수, 공공보건의료기관수, 상급종합병원수, 종합병원수, 간호1·2등급 병원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상수가 지역수준에서 간호사 지역불균형의 관련요인으로 밝혀졌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민간의료기관수와 간호학과 졸업생 수도 간호사인력 분포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간호관리료 차등제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가 간호사 지역불균형과 상관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비수도권 지역 중심의 간호학과 입학정원 증원정책이 지방의 간호사인력 공급과 간호사 지역불균형의 해소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간호사 지역불균형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정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 관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간호사 지역불균형을 분석하고, 간호사 지역불균형에 관한 기초자료를 지속적으로 축적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호사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 간호계의 긴밀한 협력과 과감한 재정지원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nurses are a significant issue that needs to be addressed to enhance health equity. The policy of increasing nursing school enrollment has been considered ineffective in addressing the shortage of nurses in rural areas. Furthermore, Differentiated Inpatient Nursing Fees by nurse staffing grades and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s, which were introduc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have been controversial for exacerbating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nurs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olicies to solve geographic inequality in the distribution of nurses, the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i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nurses from 2011 to 2020 and measure the extent of inequalities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 and excess supply index. In addition,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nurses at the regional level and propose policy directions to mitigate the issue. First, national statistic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all practicing nurses from 2011 to 2020. The study found a more evident concentration of practicing nurses in capital regions and metropolitan cities in 2020 compared to 2011, and regional disparities in the distribution of practicing nurses were greater during the period. Particularly, the disparity in practicing nurses per 1,000 population among regions sharply increased from 87 times in 2011 to 183 times in 2020. Next, the concentration index was utilized to measure the extent of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practicing nurses among all regions in South Korea from 2011 to 2020. The results showed deteriorating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practicing nurses based on population, beds, and adjusted inpatients between 2011 and 2020. Moreover, the excess supply index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practicing nurses based on healthcare needs within each region. It identified that the Honam and Gangwon regions had a high proportion of regions with a shortage of practicing nurses, while the Gyeongsang region had a high proportion of regions with a surplus of practicing nurses. Regression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practicing nurses by regions and the factors related to regions with an inappropriate number of practicing nurses. The study revealed that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inpatient days, public health care institutions, tertiar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hospitals with nurse staffing grade 1·2, and Integrated Nursing and Care Service beds were related to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practicing nurses at the regional level. In non-capital regions, the number of private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nursing graduates were also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racticing nurses. Therefore, the study concluded that Differentiated Inpatient Nursing Fees and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s are associated with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nurses. Furthermore,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olicy of increasing nursing school enrollment in non-capital regions could contribute to addressing the nurse shortage in rural areas and alleviating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nurses. It is suggested to analyze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nurs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methods and accumulate evidence continuously to develop more effective policies addressing the issue. Additionally, close cooperation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healthcare organizations, and nurses, as well as substantial financial support, is demanded to resolve the problem of geographic inequalities in the distribution of nurses.

      •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오윤희 남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51

        국문초록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오윤희 지도교수 : 박명숙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시와 J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중 간호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각각 2개 대학 총 4개 대학을 임의로 선정하고 신입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6월 11일부터 6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에서 대인관계능력 측정도구는 Schlein, Guerney와 Stover(1971)가 개발한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문선모와 이형득(1980)이 번안한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활 적응 측정도구는 Baker와 Siryk(1984)이 개발하였으며 이윤정(200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공감능력 측정도구는 Davis(1980)가 개발한 대인간 반응성 지수(Inpersonal reactivity index; IRI)를 강일 등(2009)이 번역하여 개발한 한국어판 IR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효과에 대한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평균 20.94±3.52이며, 여성이 139명(77.7%)이었고, 종교는 없는 자가 103명(57.5%)이었다. 경제상태는 ‘중’이라고 응답한 자가 104명(58.1%)으로 많았고, 거주형태는 기숙사 거주자가 77명(43.0%)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고 응답한 자가 89명(49.7%)으로 가장 많았고, 학과 지원동기는 ‘자발적 지원’이 74명(41.3%)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89명(49.7%), ‘만족’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87명(48.6%)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대학만족도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04명(58.1%)로 가장 많았다. 공감교육을 받지 않은 자가 118명(65.9%), 동아리 가입 수가 ‘1개’라고 응답한 자가 80명(44.7)으로 많았다. 리더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자가 95명(53.1%)으로 많았고, 친구 수는 ‘3-5명’이라고 응답한 자가 84명(46.9%)으로 많게 나타났다. 2.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62±0.54점이었고, 공감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46±0.35점이었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5점 만점에 평균 3.36±0.53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은 경제상태(F=7.12, p<.001), 건강상태(F=8.76, p<.001), 전공만족도(F=13.62, p<.001), 대학만족도(F=8.98, p<.001), 동아리 가입 수(F=5.91, p=.003), 리더경험(t=3.57, p<.001), 친구 수(F=11.86,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공감능력은 건강상태(F=3.15, p=.045), 전공만족도(F=5.12, p=.007), 대학만족도(F=6.61, p=.002), 동아리 가입 수(F=8.28, p<.001), 리더경험(t=3.13,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은 성별(t=-2.02, p=.045), 경제상태(F=3.08, p=.048), 건강상태(F=17.17, p<.001), 학과 지원동기(F=32.53, p=.042), 전공만족도(F=29.18, p<.001), 대학만족도(F=33.93, p<.001), 친구 수(F=13.0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 적응(r=.49, p<.001), 공감능력(r=.4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능력은 대학생활 적응(r=.3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대인관계능력이 매개변수인 공감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β=.44,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대인관계능력이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β=.49, p<.001), 3단계에서는 대인관계능력과 공감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의 설명력은 27.1%이었다. 이때 독립변수인 대인관계능력은 3단계 β값이 .41(p<.001)로 2단계의 β값 .49(p<.001)보다 작아 공감능력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공감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시행한 결과 Z값은 2.43이였으며,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p=.015).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강할수록, 전공만족도와 대학만족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과 공감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활의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 건강관리를 잘 할 수 있도록 생활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대인관계능력과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 참여를 도모할 전략이 요구된다. 주요용어 : 간호대학생, 대인관계, 공감능력, 대학생활 적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