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rn3a/Pou4f1 functions as a tumor suppressor by targeting c-MET/STAT3 signaling in thyroid cancer

        이건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33263

        갑상선암에서 c-MET/STAT3 신호를 표적으로 하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서 Brn3a/Pou4f1 의 역할에 대한 연구 이 건 호 충남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이비인후과학 전공 (지도교수 구 본 석) POU 유전자 패밀리의 일원인 Brn3a/Pou4f1은 신경세포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다양한 암 조직에서 Brn3a의 과발현이 확인되었고, 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갑상선암에서 Brn3a의 역할과 작용 기전에 관해서는 보고된 적이 없다. 저자는 공격적인 성향의 갑상선암에서 Brn3a 프로모터의 과메틸화를 발견하였고, 알려진 다른 암에서와 다르게 갑상선암 환자 조직에서 Brn3a의 발현이 감소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CGA 데이터베이스에서 Brn3a의 발현이 낮은 갑상선암 환자 그룹이 높은 그룹에 비해 진행된 병기와 갑상선외 침범 등의 공격적인 임상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음을 확인하였다. Brn3a의 과발현은 유두상 (BCPAP, TPC-1) 및 역형성 (8505C) 갑상선암 세포주에서 EMT관련 단백질 조절을 통해 세포 이동 및 침입을 억제하였다. 또한, Brn3a의 과발현은 c-MET의 억제를 통해 STAT3 신호를 감소시켜서 암세포 전이를 억제시킴을 검증하였다. 반대로, siRNA에 의한 Brn3a의 녹다운은 c-MET/STAT3 신호의 상향조절을 통해 세포이동과 침윤의 유의한 증가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rn3a가 유두상 및 역형성 갑상선암 세포주에서 종양 억제 유전자로 작용하여 c-MET/STAT3 억제와 EMT 방지를 통해 종양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비용 조직에서 Hypoxia-inducible factor 1α와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1의 발현 및 스테로이드 또는 선택적 Cyclooxygenase-2 억제제의 효과

        정천규 仁濟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33263

        연구배경 및 목적 : 비용은 성장하는 조직으로 비과학 영역의 흔한 질환이나 그 원인과 병인은 아직 많은 부분이 밝혀져 있지 않다. 종양의 급속한 성장은 존재하는 혈관이 공급할 수 있는 산소와 영양소의 양에 따라 제한 받는다. 그러므로 저산소증 상태가 병적 맥관형성에 의해 감소되거나 제거 될 때까지 종양의 크기는 직경당 몇 밀리미터 이상을 초과 할 수 없다. 저산소성 적응을 위한 대사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산소 감지 시스템은 특이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서 세포 기능을 조절하며 activation protein 1,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 1(EGR-1), nuclear factor kappa B, 및 hypoxia-inducible factors(HIFs) 같은 몇몇 전사인자들은 저산소증에 의해 유발된 유전자 발현을 조율하는데 관련되고 있다. 저산소성 환경에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의 발현은 HIF-1과 EGR-1의 전사적 활성에 의해 좌우되며 VEGF는 비점막보다 비용에서 많이 발현되며 비용의 성장에 관여한다. 스테로이드는 비용의 증상과 증후 경감에 유용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정한 cyclooxygenase(COX-2) 억제제는 몇몇 동물과 인체 모델에서 항염증, 해열과 진통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에 연구자는 비용조직에서 HIF-lα 와 EGR-1의 발현을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비용의 성장에 관여하는 맥관형성인자인 VEGF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비용치료에 있어 스테로이드와 선택적 COX-2 억제제가 이들 전사인자들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수술시 채취한 비용조직 33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전 한달간 항생제외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환자의 비용조직을 group 1, 선택적 COX-2 억제제를 하루 200mg씩 1주간 투여한 환자의 비용조직을 group 2, 수술전 경구 스테로이드제인 prednisolone을 하루 20mg씩 1주간 투여한 환자의 비용조직을 group 3으로 하였다. 각 조직을 정량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였으며 각각의 시료에서 target 유전자의 발현정도는 target 유전자로부터 증폭된 band의 양을 18S rRNA band의 양으로 나눈 수치로 나타내어 시료 간에 비교하였다. 각 단백질의 발현은, 발현의 분포(전체 세포 중 특정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를 0, 1(<25%), 2(25-50%), 3(>50%)으로 판정하고, 발현의 강도를 1(정상상피세포와 비교하여 발현 강도가 유사하거나 낮은 경우), 2(약간 높은 경우), 3(매우 높은 경우)으로 판정한 후, 분포와 강도를 곱한 값(9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HIF-1α, EGR-1과 VEGF mRNA 및 단백질이 모든 비용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HIF-1α mRNA 와 VEGF mRNA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ositive 상관관계를 보였고 (r = 0.49, p<0.05) EGR-1 mRNA와 VEGf mRNA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r = 0.24, p>0.05). HIF-1α의 경우 group 1이 group 3 보다 낮게 발현되었고, Egr-1의 경우 group 2와 group 3이 group 1 보다 높게 발현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상 모든 비용조직에서 HIF-1α은 대부분 혈관 내피세포, 염증세포, 선 및 점막, 상피세포, 섬유모세포 등의 핵에서 발현되었으나 가끔씩 세포질에서도 발현되었다. EGR-1은 혈관 내피세포, 염증세포, 점막 상피세포, 선 세포 순으로 발현 되었으며 VEGF는 혈관 내피세포, 염증세포, 선 세포, 섬유 모세포의 세포질에서 발현되었다. HIF-1α와 VEGF 단백질 발현의 상관관계는 r = 0.76, EGR-1과 VEGF 단백질 발현의 상관 관계는 r = 0.59로 유의하게 positive 상관관계를 보였다. HIF-1α와 EGR-1 모두 group 2 와 group 3의 발현이 group 1보다 높게 발현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 비용에서 비용의 성장에 관여하는 VEGF를 전사인자인 HIF-1α와 EGR-1이 유도하며 저산소증은 비용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스테로이드 또는 선택적 COX-2 억제제가 비용에서 발현된 HIF-lα와 EGR-1에 영향을 미치진 않았으나 비용의 치료에 스테로이드 또는 선택적 COX-2 억제제의 효과를 알기위해 생체외 실험 등을 포함한 여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Nasal polyp is the most common mass lesion in nose and growing tissue. Several mechanisms have been proposed for the formation and growth of nasal polyp, but the pathogenesis remains unclear. Tumor size cannot exceed a few millimeters in diameter until the hypoxic state is reduced or eliminated by pathological angiogenesis. Several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activation protein 1,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 1 (EGR-1), nuclear factor kappa B, and hypoxia-inducible factors (HIFs) appear to be involved in orchestrating this repertoire of gene expression induced by hypoxi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mRNA has been shown to be up-regulated by hypoxia in a variety of cell types and the increase of VEGF is thought to be a major mechanism for the hypoxia-induced angiogenesis. Upregulation of VECF in response to hypoxia is governed by transcriptional activity of HIF-1 and EGR-1. However, the hypoxia-triggered pathway involving EGR-1 is independent. Glucocorticoid treatment has been widely used in relieving symptoms and signs of nasal polyps and intranasal treatment with nonspecific cyclooxygenase (COX) inhibitor has been reported to reduce nasal polyp recurrence in both aspirin sensitive asthma (ASA)-tolerant and ASA-intolerant patient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and localize HIF-1α, EGR-1 and VEGF expression, and correlation between HIF-1α and VEGF, EGR-1 and VEGF in nasal polyps from nonallergic patients. Another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teroid or selective COX-2 inhibitor on the expression of HIF-1α, ECR-1 in nasal polyp tissues. Methods : The author examined the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HIF-1α, EGR-1 and VEGF in human nasal airway specimens from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nasal polypectomy (n=33). Among 33 cases of nasal polyp, 7 cases were treated with oral selective COX-2 inhibitor (Celebrex^(�) 200mg per day for 7 days) and 9 cases were treated with oral steroid (prednisolone 20mg per day for 7 days). The mRNA expressions of HIF-1α, EGR-1 and VEGF were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these factors were exa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The expression of HIF-1α, EGR-1 and VEGF mRNA, and protein were detected in nasal polyps. RT-PCR demonstrated that the level of mRNA expression of HIF-1α, EGR-1 and VEGF were 1.12 ± 0.33, 1.12 ± 0.43 and 1.11 ± 0.42, respective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IF-1α mRNA and VEGF mRNA (correlation coefficient [r] = 0.49, p<0.05). A positive correlation was not observed between EGR-1 and VEGF mRNA (r=0.24, p>0.05). Unexpectably, the mRNA expression of HF-1α and EGR-1 were not decreased in steroid or selective COX-2 inhibitor-untreated nasal polyps compared with selective COX-2 inhibitor or steroid-treated nasal polyps. The immunohistochem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immunoreactivity to HIF-1α was mainly localized in the nucleus of the endothelial cell, fibroblas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inflammatory cell, lymphocytes, and glandular and surface epithelial cell. Occasionally, perinuclear expression was observed. EGR-1 staining in nasal polyps was localized in the cytoplasm of the endothelial cells, inflammatory cells, glandular cells, fibroblast cells and epithelial cells. VECF staining in nasal polyps was localized in the cytoplasm of the endothelial cells, inflammatory cells, glandular cells, fibroblast cells and epithelial cells. Expression of VEGF was dominantly expressed in endothelial and inflammatory cell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IF-1α protein and VEGF protein (r = 0.76, p<0.05),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GR-1 protein and VEGF protein (r = 0.59, p<0.05). The expression of HIF-1 α protein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lective COX-2 inhibitor-treated nasal polyps and the expression of EGR-1 protein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eroid-treated or selective COX-2 inhibitor-treated nasal polyps compared to steroid or selective COX-2 inhibitor-untreated nasal polyps. Conclusion : Results demonstrated that HIF-1α and EGR-1 mRNA and protein were expressed in the nasal polyps. Based on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 that HIF-1α and EGR-1 have a role in inducing VEGF in nasal polyps and hypoxia is a important factor for growing of nasal polyps. Unexpectably, steroid or selective COX-2 inhibitor could not decrease expression of HIF-1α and EGR-1 in nasal polyps. Further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teroid or selective COX-2 inhibitor in nasal polyps, such as in vitro study.

      • PI3K regulatory p85 phosphorylation contributes to a novel mechanism of resistance to PI3K inhibitors in head and neck cancer with radioresistance

        류인선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3263

        Activation of the PI3K pathway is commonly observed and is correlated with tumor development, progression, poor prognosis, and resistance to cancer therapies, such as radiotherapy, in most cancers. As a central node of this pathway, PI3K is an attractive target for PI3K-addicted cancer therapy and PI3K inhibitors may thus restore sensitivity to other treatments when administered as part of combination regimens. Here, we found that phospho-PI3K p85 was expressed predominantly in the radioresistant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 (HN31 cell line). And then, we investigated whether PI3K modulation was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for radioresistant cancer cell line. Interestingly, we found that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s with PI3K p85 phosphorylation showed the resistance to PI3K inhibitors. Resistance to PI3K inhibitor is associated with the Src activation which is a member of a superfamily of membrane-associated non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s. Src inhibitor improves the efficacy of PI3K inhibitor treatment through suppression of Src and PI3K p85 activation in HN31 cell line. Collectively, our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PI3K p85 in the resistance for PI3K inhibition and the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 of combination regimens of Src and PI3K inhibitors in head and neck cancers. This is the first investigation to demonstrate that PI3K p85 phosphorylation is associated with one of the mechanisms that enable to develop the resistance to the PI3K inhibition in head and neck cancer with redioresistance.

      • 어지럼증으로 대학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에서 영상학적인 검사가 필요한가?

        임수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263

        배경 및 목적 : 어지럼증은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이다. 그리고 그 원인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영상의학적 검사를 많이 시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어지럼증 환자에서 영상학적인 검사의 필요한 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361명의 어지럼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진단명, 임상양상, 이학적 검사 결과, 현병력, 과거력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6.7세이었고 60대에서 21.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였다. 최종진단은 말초성 어지럼이 156례(43.2%), 중추성 어지럼이 42례(11.6%), 기타 원인이 87례(24.1%)이었다. 내원한 환자 중 방사선학적 검사는 총 113례에서 시행하였고 이 중에서 실제로 중추성 질환으로 진단된 경우는 42례에 불과하였다. 결론 : 어지럼증 환자에 대해서는 여러 과에서 협진이 이루어져야 정확하고 효과적인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중추성 어지럼이 의심되는 환자들 중 실제로 중추성 어지럼증 진단을 받은 환자의 수는 적으므로 자세한 병력청취와 이학적 검사를 한다면 불필요한 영상의학적 검사를 줄일 수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Dizziness is a common chief complaint in patients presenting at emergency departments and many radiologic tests are performed to find out causes of dizziness.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necessity of radiologic tests in patients with dizziness who visited tertiary emergency center. Subjects and Method:Author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of 361 patients of dizziness who visited emergency room at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3 to August 2014 and accumulated th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final diagnosis, clinical feature, physical examination, present illness and past history etc. Results:Average age of patients was 56.5 and the it had most patients as 21.3% in 60 decades. The peripheral origins were 156 cases(43.2%), central origins were 42 cases(11.6%), others origins were 87 cases (24.1%). The radiologic tests were performed at 113 cases among 361 cases, the final diagnosis as the central origins was 42 cases. Conclusion:Various specialized departments should be involved in effective and exact diagnosis of dizziness. But the number of the patients who were really diagnosed as central origins among the suspicious patients with central origins was very few. So we think that we can reduce the unnecessary radiologic tests if detailed 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