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글로벌무역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윤창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83

        급속히 변화하는 세계경제 속에서 우리나라의 교역량은 날로 증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환경 아래 우리나라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역량 있는 무역전문인력 양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무역전문인력 양성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 기존 무역교육의 획기적인 변화라 할 것이다.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 무역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외국어 구사능력이 요구되는바 외국어교육은 무역교육과 함께 학습해야 하는 필수조건 중의 하나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은 외국어교육에 대한 교과과정을 재편성하고, 기업은 외국어교육에 있어 재교육 시간과 비용에 대한 낭비요인을 제거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무역학과 졸업생의 취업 및 무역실무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수급을 위하여 글로벌무역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 대학에서의 외국어교육 강화 및 중요성에 중점을 둠으로써 무역교육이 획기적으로 변화해야만 하는 시대적 당위성에 입각하여 논술하였다. 본 연구의 실질적인 목적은 기존 무역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통하여 FTA 시대를 맞이하는 무역교육의 틀을 바꾸는데 있다. 또한 무역교육에 있어서 외국어교육 중요성을 인식하여 대학과 기업에서 효율적으로 외국어교육을 시행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역량 있는 무역전문인력 양성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당면과제를 도출하여 보면, 실무중심의 무역교과과정이 편성되어야 하고, 실용회화 중심의 외국어교육이 확충되어야 하며, 현장실습 교육 및 취업 프로그램이 확대 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역학과에 원어민 교수의 확충이 시급하고, 산학협동사업의 정부지원 확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외국어회화의 실용성을 높이고 수준 높은 콘텐츠 개발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아울러 외국어의 문화이해 학습방법 개발 및 제2외국어 수업 신설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무역학과의 학과명칭 통일이 필요하다. 이렇게 도출된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어교육 프로그램의 혁신적 개발이 필요하다. 특정 학년에 편중된 외국어교육을 전 학년으로 확대시켜야 하고, 수요자 맞춤형 외국어 콘텐츠 제작 및 비즈니스 E-mail & Writing 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원어민 교수를 확충해야 하고, 외국어교육에 있어 문화이해 학습방법 개발과 제2외국어 수업을 확대하며, 외국어 능력 자격취득을 졸업과 연계된 프로그램으로 마련해야 한다. 또한 대학의 무역학과 교과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한다. 대학의 무역학과의 교과과정 개편을 위해서는 수업이 실무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실무경험이 있는 교수를 확충해야 하고, 실무위주의 교재 사용을 확대하며, 무역학과의 학과 명칭을 통일해야 한다. 그리고 취업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중심교육을 확대해야 하며, 대학이나 기업 그리고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학생들 모두가 산학협동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의 통합시스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무역특성화 대학의 정부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FTA 확산에 따른 글로벌 무역전문가의 수요증대에 따라 해외대학과 연계하여 교과과정을 세분화 시키고, 전공별 취득학점 및 외국어 능력 우수인력에 대하여 조기졸업제를 시행하는 등 현실성 있는 정부의 지원이 요구 된다. The volume of Korean international trade has increased by the day i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economy. It has been urgently required to train competent global n necessarily be accompanied in training global trade experts. However, not etrade experts for developing Korean global trade more consistently than one developed with its competitor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foreign language fluency canough attention has been pai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amongst experts in academic fields. Having this critical awareness, the curr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iciency level of global trade educ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make recommend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global trade education in Korea. Foreign language fluency at a high level in global trade has been one of the requirements considered to be learned in global trade education. The University should reorganize programs of the department relate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us it could remove factors that misuse time and cost needed for reeduca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more personnel needed in the business field. In addition, these are the main factors needed to foster talents competent at the working-level were drawn as well as the excellence of a workforce who have graduated from the competitiv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skills needed to train global trade experts is to be stressed by placing emphasis on the strengthening and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e following imperative tasks were drawn from results of the survey. First, the need for organization of a program of trade education based on business practice.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practical conversation. Furthermore, an on-the-job training and job qualification program requiring expansion. Also, there is a need for the urgency of increasing the number of native-speaking instructors. Also, the expansion of government support for industry and education cooperation needed to be certain. Importance needed to be placed on increase of practicality in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and development of high-quality contents. Lastly, it wa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of learning cultural understanding of a foreign language and to newly establish classes for a second foreign language, and to standardize many different department names that refer to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The improvements needed to solve the imperative tasks are as follow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innovative program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expanding ‘biased subject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an entire garde level. Moreover, it is essential to produce foreign language contents and to develop business E-mail and writing subjects that is customized for the ‘demander’. Also, it is evident that the number of native-speaking instructors have to be expand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of learning cultural understanding and class expansion for a second foreign language with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inally. it was essential to prepare programs that qualification of foreign language skills was connected with graduation. It was also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at the college in full measure. That is, the necessity to proceed a class on the basis of business practice, to expand instructors with business practice based experience and to us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business practice. There is a need for establishing a unity of department names that refer to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in order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at the University. Also, there is a need to expand on-the-job training to strengthen job competency.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have a program integrated system that will strengthen industry and school cooperation for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college or filed placement.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have government support for University specialized in trade. As the given factors which have specialized in global trade increased in accordance to the expansion of FTA, it was necessary to connect courses of foreign University to subdivide and to implement the early graduation system in relation to acquired credits by major and a workforce that is highly competent at foreign language skills. Overall, realistic government support is required.

      • 한·중 무역학 교과과정의 비교연구

        한설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51

        In 2001, a new demand put forward to international trade human resources after China's accession to WTO. In a competitive era, Korea industrial structure and electronic commerce has changed a lot. Under WTO, there is a global shift from the industrial sector into a full liberalization and include universities’ change. In order to meet these requirements and changes, universities should be analysis of trade school education, to identify problems and to improve. The Universities’ education is mainly focus on theory instruction not for practical training, it result that students are weak in practice. The author is in order to cultivate men of talent in the completion of the business of international trade on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The ultimate purpose of universities’ education is implementing the policies to train out more and more personnels. Therefore, in order to train high-quality trade professionals, universities should strengthen trade education. The method of strengthening and developing university trade education is to constitute appropriate trade education courses and operate effectively;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trengthe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ternational Trade needs to practice and also closely relate with law. Thus, we should enrich students’ knowledge and enhance their abilities. The International Trade curriculum exists following questions. In China, students spend more time in specialty courses but neglecte the basic courses. The proportion of required course is higher than optional course .Students attach importance to Theory ,but pass over practice. The curriculum content is out of date and does not have enough case analysis. After learning the theory , they do not have enough opportunity and time to carry out what they have learned. Korean International trade major combines with economics. If they combine with other subjects, it reduces a substantial part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combined form, they delete from the original content. According to the above problems, we would like to take some improvement. 1. Need to add new policies and regulations to teaching 2. Use two languages to teach students 3. Teaching case study 4. Change test method International Trade curriculum should include a wide range of content. International trade curriculum does not teach all of the involved issues. First of all, teaching basic course, then more difficult content is based on features or close to the relevant content. Enhance to students’ professional competence and comprehensive ability. Promoting rationalization of the curriculum name.

      • 한국의 무역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연구

        이경원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는 무역환경 변화에 따른 무역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방안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성장경로를 분석하여 무역환경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무역전문인력 양성의 바람직한 교육훈련 방안을 강조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무역전문인력 양성의 범위와 그 성장경로를 분석함으로써 무역인력의 수급실태, 무역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재에 대해 확인 하였다. 그러나 업계가 필요로 하는 무역전문인력의 수요과 대학 및 기관이 배출하는 인력의 공급간 양적 수급차이로 인력부족 현상이 나타났으며, 대학 및 민간교육기관의 교육체계상의 문제가 도출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전문화된 무역전문인력의 배출로 청년실업난뿐 아니라 무역업계의 마케팅능력 강화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기업들은 업무에 관하여 전문성 및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더불어 리더십, 열정 그리고 창의력 등의 다양한 인성을 겸비하고 있는 인재들을 배양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리더십 역량과 인성을 보다 더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교과개편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의 교과 커리큘럼이 현장이 요구하고 있는 방향으로 교육시스템이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무역학 전공은 현장을 이해하고 있는 실무형 교수진의 강의를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교육생들이 졸업을 함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원활하게 각종 실무를 처리해낼 수 있는 무역전문인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의 환경으로 대폭 개선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학계의 다양한 변화와 함께 민간분야, 정부차원에서의 무역전문인력 교육시스템에도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무역학 또는 무역관련학과의 교과과정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한국무역협회가 무역인력양성을 위하여 좀더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계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무역업계에 종사하는 무역전문인력과 연계하여야 한다. 넷째, 무역전문대학원의 신설이 효과적인 교육훈련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역인력의 양성에는 다양한 영역의 사람들과의 업무관계를 진행하면서 복잡한 환경변화에 주동적으로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판단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들에게 리더십, 역량, 인성 및 창의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찬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같은 국가에 있어서 무역전문인력을 배양한다는 것은 단순히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 한다는 것을 넘어 해당 국가의 경쟁력을 보다 더 강화시킬 수 있게 하는 가장 효율적인 투자라고도 할 수 있다. 주제어 : 무역전문인력, 무역전문인력 양성의 범위와 성장연구, 무역인력의 수급실태, 무역인력양성의 효과적 교육훈련방안 This study emphasized a desirable method of training the professional trade workforce qualified to meet the changing trade environments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rade workforce training and its grow path. And, by also analyzing the scope of trade workforce training and workforce supply and demand situation of the trade,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recruitment and the type of workforce pursued by the filed of trading. The analysis found out the gap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workforce and the problems facing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 in universit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addition, this empirical analysis conducted a survey towards more than 120 traders. And the results are synthesized to propose a specific training plan that can be adopted to the university, private sector, and government. In order to cultivate desirable trade professionals, First, global companies need to nurture workforces with expertise, communication skills, and necessary character features, such as enthusiasm, creativity, and leadership. Thus, their training curriculum need to be reformed towards strengthening character features and leadership. Second, universities need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to meet the needs of industry. Third, undergraduate program on trading need to improve education environment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rofessors-in-field,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seamlessly transfer their learnings to handling tasks at work. In addition to the change suggested for the academy as above, changes are also required in education programme of private sector and government. This study proposed as below: First, they should provide internship program.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to come up with diverse methods for training trade professionals. Third, the academy program should involve trade professionals in field in order to assure quality faculty. Fourth, the establish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trade should contribute to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Finally, since trade professionals need to have a comprehensive and creative thinking skill that can actively mee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a variety of business contexts, they have to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ir personality, creativity, and leadership. Cultivating trading professionals in countries like Korea whose competency highly rely on trading can be taken as the most effective investment to further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universities, businesses and government should collectively make efforts to improve and develop the capacity towards cultivating trading professionals who can meet the changing needs of trading environments and companies.

      • 한 중 비교분석을 통한 중국 전자무역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리우위 청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21세기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세계경제는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경쟁시대로 이행중이다. 특히 인터넷 사용의 확산은 가업활동의 글로벌화를 가속화하고 기업의 경영전략과 경쟁방식, 그리고 국제간의 거래관행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는 전자무역 원칙을 내건 WTO 체제하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라는 명제와 결부되어 더욱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따라 본 논문은 중국과 한국 전자무역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중국 전자무역 전자인프라, e-마켓플레이스, 입법 현황 등 측면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여 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對中國 貿易마아케팅 戰略에 關한 考察

        조용준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8719

        Thanks to continus efforts on the part of government, Korean exporting has been increased. But the exporting is facing many obstacles now, worldwide recession and natural resources price like make the exporting even more labor disputes. Therefore it have to efforts for international competive power, for this, it have to try to trade except of Japan and America. For this, the enterprises of Korea have to increase the trade between China's and Ko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onditions of trade between the enterprises of China and that of Korea, and to suggest the way of foreign trade marketing to China for effectiveness.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ted, so we called, importing and exporting, the materials for this study is published in 1988, 1989.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 The first chapter composed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cope, the research method and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n the second chapter is referred the background of the economy of China. The third chapter composed of the trade structure of China and the trade condition of China and Korea. In the fourth chapter, analyzing the problems of trade marketing to China, and suggesting to the solving method to the problems for increasing the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The conclution is suggested in the fifth chapter. It is that some items need for this conclusion. They are as followed. First, the strategy of foreign trade marketing must devise a plan in the viewpoint of long term, so it is requested that lots of marketing lead time for invasion of market in China. Second, marketing research is preceded for establishing the strategy of foreign trade marketing to China, it needs market segmentation, for this. Third, it needs that the complete surveying to the authority of China for the problems of bureaucratism of China. It will be turning point that the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by the efforts of two nations. Maybe, according to international environments, Korea will enter into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 中共의 對外開放政策에 따른 對中共 貿易擴大方案

        유연웅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8719

        Judging from her large population and abundant natural resources,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one of the countries which have sufficient possibilities to leap into a great economic nation. Especially after pragmatist Deng Xiaoping gained power, PRC has been rigourously pushing economic innovation and foreign trade cooperation by adapting the plan of the four modernization". Though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as historically and geopolitically very close, the alienated relationship has been continued because of ideological barrier since PRC was founded in 1949. Although some products have been trade between two countries indirectly, direct trade is still impossible because of PRC's political, economic policies and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rade expansion with PRC by analyzing the trade policy, the trade structure? promising good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PRC. This study is done mainly by literature review and particularly comparative study utilizing secondary data between two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oreign trade quantity during 8 years from 1979 has been rapidly increased with average rate of 14% annually since PRC adapted opendoor policy to foreign countries. Whole trade quantity as well as trade income and outgo was a little decreased in 1984 because of the excessive investment to consumer goods As a result of reforming trade structure? the relative importance for industrial products is increasing more and more. But the main export items are textile goods and raw mineral resources including petroleum. The import of machinery and raw material for industrial production has been increased �or her economic modernization. PRC imported over 30% of total import from Japan, which means that PRC was heavily depended upon Japan in trade. Considering these several points, the prospects of our trade with PRC are bright with the change of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as well as geopoli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kind of product, I found that Korea could export iron and steel, machinery and electronic machines necessary for PRC's modernization to PRC through other countries such as Hong Kong, Japan, America and Singapore. In conclusion, with indirect trade above mentioned, to expand trade with PRC, our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s should establish direct export strategies by joint investment with developed countries.

      • 우리나라 기업의 무역전시회 참가결정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민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rate of dependence on International trade in Korea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Especially, participating companies make effort to activate not only domestic demand but also expor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steadily participating on the Trade show as a measure of overseas market expansion. As the whole world is becoming globalizati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trade show as one of the struggle for existence. For last 10 years, domestic exhibition has increased in quality and quantitative aspects. Various aspects such as exhibition area, number of participants and buyers have been developing. Also, each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are carrying out active support policy. Followed by such situation, the trade show became one of significant measures for result creation of each enterprise. Participating enterprises participate in a trade show considering various decision elements. Characteristic aspect, exhibit quality aspect, and government support could be elements of participation. Also, indicating result is shown in sales aspect and non-sales aspec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competitiveness of trade show and government support policy based on participation decision element of enterprises and its influence on shown participation result. As an analysis method of actual proof, validity was qualified through element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18.0. The analysis subject was 2 domestic export shows and 2 overseas exhibitions; also, total 124 shows were used for research samples. As a result of research analysis, approximately 80% of participating enterprises are in manufacturing industry, distribution industry, and trading business. Approximately 95% of enterprises have sales below 50 billion won. Also, 90% of enterprises have 100 employees or less. 84% enterprises believe that they can create the participation result within 2 years. Most companies collects exhibition information from organizations and website. Also, Most participating enterpris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xhibition. Approximately 78% of participants are representatives, employees and deputy. As a result of element analysis in this study, a participation determinants were classified into inside decision element, external decision element and government political element. A participation result element was classified into sales result element and non-sales result element. Each element was divided properly after removing a part of variables. Also, depending on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2 variables of each sales result and non-sales result. Each element is indicating 0.6 and above of Cronbach’s Alpha value; which was analyzed as proper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corelation analysis on each variable, the inside decision element has relatively high corelation with non-sales element. The external decision element has relatively high corelation with government political element and non-sales element. Also, sales element and non-sale element have high corelation.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the inside decision element does not influence on sales result but influences on non-sales element. The external decision element and government policy element influence on both sales result and non-sales result. Through the such result, three result creation plan of export show could be suggested. First, a sponsor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enterprise and to create a result, organizers of exhibition need to make an effort to increase quality of exhibition. The organizers need to perform various market policies for development of domestic trade show; also, qualitative improvement is required to attract overseas buyers and more participants. Therefore, a great deal of effort will be required for quality improvement of domestic trade show through organic consultation between each organizers. Second, most participating enterprises ar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y are selecting the trade show as a means of overseas expansio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lacking in structured system and budget for exhibition. The government, each local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will need to have more structured support system and budget support for overseas expans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ird, each participating enterprise will need to establish structured system in advance such as prior/ site/ post marketing plan after understanding that such various elements can create the result. Such structured system could reduce probability of failure and an appropriate measure to improve the result in various aspects. Proper harmony of policies and efforts of government, a sponsor, organization and participating enterprises will create faster result; also, many enterprises would grow for global enterprises instead depending domestic demand. 한국의 대외 무역의존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참가기업들은 내수 뿐만 아니라 수출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들은 해외시장진출을 위한 방안으로 무역전시회를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전 세계가 글로벌화 되면서 중소기업은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생존경쟁의 하나의 수단으로서 무역전시회를 참가하고 있다. 지난 10년동안 국내 전시회는 질과 양적인 측면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시면적과 참관객, 바이어의 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장하고 있다. 또한 각 정부, 지자체, 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참가기업들에게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무역전시회는 각 기업들의 성과창출을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참가기업은 다양한 결정요인들을 고려하여 무역전시회에 참가한다. 무역전시회를 참가하는 요소로는 참가기업의 특징적인 측면, 전시회 품질의 측면, 정부의 지원 측면 등이 존재한다. 또한 나타나는 성과 또한 판매적인 측면과 비 판매적인 측면 등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역전시회를 참가하는 기업들의 참가결정요인과 그러한 측면에 따라 나타나는 참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무역전시회의 경쟁력과 정부의 지원정책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실증분석의 방법으로는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고, SPSS 18.0을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국내 무역전시회 2곳과 해외전시회 2곳에 참가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24부를 연구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제조업ㆍ유통업ㆍ무역업에 종사하는 기업이 약 80%에 달했으며, 500억 이하의 매출액인 기업이 약 95%를 차지하였고 100명 이하의 종업원을 가진 기업이 90%를 상회할 정도로 대부분의 참가 기업이 중소기업이었다. 전시회 참가성과는 2년 내외로 창출할 수 있다는 기업이 약 84%를 차지하였다. 기업은 기관과 웹사이트를 통해서 전시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으며, 참가기업들은 대부분 전시회에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참가 직원은 대표 또는 사원, 대리가 약 78%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요인분석 결과, 무역전시회의 참가결정요인으로는 내부결정요인, 외부결정요인, 정부의 정책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참가성과요인으로는 판매성과요인과, 비 판매성과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각 요인들은 일부 변수제거 후 적절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신뢰도 분석 결과에 따라 판매성과 및 비 판매성과 변수를 각각 2개를 제거하였고 각 요인들은 0.6이상의 Cronbach's Alpha값으로 나타나 적절한 신뢰도를 가지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각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에 따라서 내부결정요인은 비 판매성과요인과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외부결정요인은 정부의 정책적 요인과 비 판매성과요인과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정부의 정책적요인은 판매 및 비 판매성과 모두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판매성과와 비 판매성과 또한 높은 수준에서 상관관계를 가졌다. 가설 검증 결과 내부결정요인은 판매성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비 판매성과에는 가장 높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결정요인과 정부의 정책적요인은 모두 판매성과 및 비 판매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서 무역전시회의 성과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 세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참가기업의 참가를 독려하고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전시 주최 담당자들간의 전시회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무역전시회 발전을 위해서 담당자들은 다양한 마케팅 정책을 수행해야 하며, 국내 참관객 뿐만 아니라 해외 바이어 및 참관객들을 늘리기 위한 무역전시회의 품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담당자간의 유기적인 협의를 통해서 국내 전시회의 품질향상을 위한 각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대부분의 참가기업이 중소기업으로 나타나고 있어 중소기업이 해외진출을 위한 수단으로 무역전시회를 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기업은 전시회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부족하고, 예산도 부족하다. 정부 및 각 지자체, 기관들은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제도를 더욱 더 체계적으로 갖출 필요가 있으며,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예산도 좀 더 확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참가기업은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전ㆍ현장ㆍ사후 마케팅 방안 등 체계적인 시스템을 미리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시스템은 무역전시회 참가를 통한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성과를 늘릴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무역전시회 참가기업들과 전시 주최 담당자, 정부 및 기관들의 정책 및 노력 등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현재 장기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성과가 더 빠르게 창출할 수 있을 것이며, 많은 중소기업들이 내수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韓國綜合貿易商社의 經營多角化와 輸出寄與度間의 關係分析

        김결호 檀國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8719

        In Korean economic, export has played a role as a vanguard of Growth of Economy. Because of economic environment, Korea government has took a export driven policy, since 1960's. Since 1975 when General Trading Company system was established, Korea has took a phenomenal leap in export. To which General Trading Companies has contributed very much and it indicates of contribution to growth of economy. Korean General Trading Company system was modelled after SOGO SHOSHA(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y). This thesis premised that contribution of General Trading Companies to export was significant, and analyzed that How much and How the managerial diversification which has been excuted by General Trading Companies has influenced to the export in General Trading Companies. By this study, more effective managerial diversification can be established. Concept of General Trading Company can be defined as a commercial conglomerate with internationalization, complexity, big scale, and its functions are consist of (1) Trade Networks (2) Development of Market (3) intelligence collecting (4) organization function (5) financial function. Status of managerial diversification in General Trading Companies is classified with Export area diversification which analyzes the numbers of countries and amount of export by each area, Export production diversification which analyzes the numbers of nomenclatures and amount of export by each item, Function diversification which analyzes the intelligence function, transaction function and others. In empirical analysis, data of managerial diversification was converted to variables for a empirical model. Multi-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excuted by OLS (Ordinary Least Squares).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shown that General Trading Companies must strengthen the diversification activities in export area, heavy industrial products, numbers of products, overseas offices. General Trading Companies can't be supported by government any more, then General Trading Companies must establish the diversification policy in sense of managerial strategics to increase export to grow up international enterprises.

      • 中東地域의 貿易代金決濟 實行에 관한 考察 : 信用狀方式을 中心으로

        이경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스라엘을 제외한 중동지역 21개국은 서구사회와는 달리 이슬람이란 종교가 이들 의식구조의 중핵을 이루고 있으며 상관행이나 관습도 종교교리에 따르는 이질문화권이다.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원유수입의 대부분을 이 지역에 의존하고 있으며, 건설부문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는 지역이다. 또한 상품교역도 IMF 이전 36억달러에 그쳤으나 1998년도에는 65억 8,600만 달러로 크게 신장되었으며 종교나 안보상 문제가 없는 상품은 어느 것이나 수출할 수 있는 지역적 특성을 갖고 있다. 1500억 내지 2000억 달러의 시장인 대중동 수출이 아직도 부진한 데에는 이들의 무역관행에 대한 인식부족과 대금결제상의 사고빈도가 높아 동지역 수출을 기피하고 있는데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의 무역관행을 숙지하고 중동신용장의 특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통해 대 중동교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무역클레임 및 대금미회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국내 외의 연구문헌과 최근 동 지역으로부터 내도된 200여건의 신용장을 수집분석하고 중동지역과 거래하는 상사들의 체험 및 부도사례도 수집 검토하여 부도예방에 관한 대책도 제시하고져 한다. 꾸란 및 예언자의 언행록인 하디스 해설서에서 상관행에 관한 내용을 발췌 및 검토를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이들 특유의 상관행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硏究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제 1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정하였다. 제 2 장에서는 貿易代金의 決濟方法을 국제관습에 따라 설명하고 貿易代金 결제시 신용장방식의 거래가 他決濟方式보다 유리한 점을 밝히고, 대중동 수출입현황도 국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제 3 장에서는 中東地域의 商慣習의 生成背景, 國際協商과 中東協商을 비교분석하고 이들의 商慣行을 설명하였다. 제 4 장에서는 一般地域에서 내도되는 信用狀과 中東地域에서 내도된 信用狀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特殊條件에 대한 제조건을 심층분석하였다. 제 5 장에서는 中東지역의 信用狀去來 慣習과 不渡豫防을 언급하였으며, 제 6 장에서는 논술한 내용을 요약하고 中東地域 特殊性에 대한 인식제고를 강조하는 것을 결론으로 삼았다. 국제간 무역대금결제는 송금방식과 추심결제방식 및 신용장방식으로 구분된다. 중동지역과는 대부분 신용장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소액거래시 송금방식으로도 이루어진다. 신용장방식의 대금결제는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제반 서류가 엄밀일치를 요구하고 있다. 통상 일반지역에서 요구하는 서류는 상업송장, 선화증권, 보험증권, 포장명세서 및 원산지증명서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비해 동지역 신용장은 많은 잡다한 서류를 요구하며 애매모호한 표현이 많아 이를 수출상이 숙지하지 못함으로써 부도를 받게 된다. 실예로 상업송장에는 필히 제조업체의 상호와 주소를 기재토록 하며 제조된 제품은 한국산이란 점도 명기토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선화증권 상에는 도착지 에이젼트의 상호와 주소를 명기토록 하고 내용물부지약관 또는 하주에 의한 내용표시(shipper's load and counter)는 어느 선박회사이든 B/L상에 인쇄되어 사용되나 이 지역에서 내도되는 신용장은 이를 하자사항으로 보고 있다. 보험도 CIF의 경우 매도인이 부보하나 中東신용장의 경우 자국내 보험회사에 부보토록 요구하고 있으며 과다한 보험료를 송금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EDI로 발행된 서류도 거절하며 특히 특수조건상에는 많은 잡다한 서류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이들 특유의 상관행이나 의식구조 및 가치관을 숙지하지 못한데에서 비롯됨으로 우선 이들의 상관행을 언급하고 상거래의 특성을 언급하였으며, 무역은 협상의 단계를 거치므로 일반적인 국제협상과 중동인의 협상상의 차이점을 밝히고 계약체결시 유의점도 언급하였다. 또한 중동신용장의 특성을 언급하고 요구되는 서류의 기재시 유의점도 밝혔다. 특히, 특수조건상에서 요구되는 각종 기재사항도 언급하고 계약관습, 운송, 보험, 금융 및 요구서류 등의 관습과 연계하여 비교검토 하였다. 끝으로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요약하고 동지역과 거래시 업계나 관련기관이 공동으로 유의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동지역과 거래시 이들의 종교인 이슬람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거래선과 친밀성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중동아랍인들의 독특한 협상관행에 대한 인식을 바르게 하고 이들의 일방적 협상관행에 인내하며 신용을 쌓도록 한다. 셋째, 계약시 앞에서 언급한 대로 신용장상에 국제관습에 어긋나는 문언은 삭제토록 사전에 합의하고 견품도 선적품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품질클레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각종 서류작성시 신용장의 내용을 숙독하고 이해할 수 없는 조항은 전문가의 자문을 받도록 한다. 다섯째, 의심이 많은 중동인들은 처음에는 중개인을 통한 거래를 한다. 그러나 일단 믿음이 있으면 직접거래를 하고, 믿는 사람과의 거래시 다소 손실이 있어도 이를 감수하는 면이 있으므로 신용을 쌓도록 한다. 아직도 우리나라에는 중동지역 무역관행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이 지역은 단일문화권의 시장으로써는 큰 시장이므로 이들의 무역관습에 대한 학계, 무역관련 단체 및 기업 등의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Islam in the twenty-one countries of the Middle East excluding Israel dominates the whole their lives in the Middle East. The Muslim adhere to the Sharia(Islamic Law) which totally rule the religious obligations in the society. Despite the market can cover the imports ranging from US$150 billion to US$200 billion, the exports from Korea to the Middle East market still show dullness. Owing to poor recognition of the market and frequent non-payment of amount, many traders hesitate to export goods to the Middle Eas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our export, and to suggest the possible institutional devices to prevent trade claims and non-payment.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ives, I analyzed about 200 kinds of L/C's from the Middle East, books and case studies. Also Islamic trade customs were analyzed and excerpted from Quran and the prophet's memoir - Hadith. This study also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refers the objectives, scope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refers to the customs and priactice of trade payment according to the int'l customs, and more favorable L/C basis than other settlements in paying for the goods. Chapter 3 refers to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rade customs in the Middle East and their comparative analysis. Chapter 4 refers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C's between the Middle East and other areas, and also all conditions of special clauses. Chapter 5 refers to trade customs in L/C basis and prevention for non-payment, and Chapter 6 refers to summary of the study. Int'l settlements of goods in trade mainly consist of remittance basis, collective basis and L/C basis. But most of settlement with the Middle East is being made under the L/C basis, and remittance basis for a little amount of trade. Islamic traders require the exporters to observe strict compliance with L/C conditions and also require more documents, besides commercial invoice, bill of lading, insurance policy, packing list, and certificate of origin. Their L/C's contain too ambiguous conditions for the exporters to memorize them, and make them frequently go bankrupt. For example the traders necessarily request maker's firm name and address and clear writing of ‘Korean origin’ on the commercial invoice, and agent's firm name and address at destination on the bill of lading. Usually ‘shipper's load and count’ is printed on the B/L by the shipping company, but the L/C's from the Middle East declare them ‘defective remarks’. The seller usually effects insurance under CIF basis, but L/C's from the Middle East require the underwriters in their region to effect insurance, and also require the exporters to remit too much premium. They also reject the electronic messages based upon EDI, and require miscellaneous documents in the special clauses of L/C. Under such situations, I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Islamic trade customs and business negotiation. In this study, I tried to take such measures as jointly necessary toperform successful business as follows: First, in dealing with the traders in the Middle East, we must highly recognize the Islam and reinforce familiarity with business connections. The Middle Easterners endow high value on private relationship. Second, we must understand the peculiar trade customs in business negotiation, be patient with their unilateral attitude of negotiation, and try to be constantly trusted by them. Third, before contracting, we shall agree with them in advance to delete the clause on the L/C which is contrary to int'l customs, then will be able to prevent the possible claims for quality. Fourth, in preparing for all kinds of documents, we must ful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L/C, and any clause beyond understand needs consulting from experts. Fifth, the traders in the middle East, who are so questionable, at first do business through the broker. But after finding counterpart's confidence they select direct dealing, and are willingly to suffer from somewhat loss with the reliable counterpart. The exporters out of the Middle East must highly recognize the customs and practice of trade payment mechanism in the Middle East countries. If they ignore the customs and practice, they shall get unpaid by the issuing banks in the Middle East owing to lack of recognition of what the buyers voluntarily require.

      • K-SURE 무역보험 이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혜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무역보험은 수출입기업의 리스크 회피와 자금 유동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해외시장에 대한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킨다. 무역보험의 활성화는 GATT, IMF의 출범 이후 수출보조금(Export Subsidy) 정책의 금지와 세계무역구조 변모로 인한 수출대금 미회수 위험의 상승으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본격적으로 수출보험제도를 개선 및 확충하여 간접수출지원정책의 대표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무역보험의 경우 1969년 대한재보험공사가 설립돼 수출업무 시작과 수출기금 조성함으로써 시작되었고 현재는 2010년에 출범한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우리나라의 무역보험 대부분을 전담하여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수출보험을 매개로 한 기업성과나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에서야 중소기업의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무역보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정작 무역보험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의 만족도에 대해선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무역보험공사는 다양한 보험종목과 서비스를 운영 중이지만 고객의 이용은 소수의 서비스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험서비스활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보험서비스에 대한 기업들의 만족도와 중요도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들과 차이점이 있다. 연구분석과 수행을 위해 무역보험 서비스 활용에 대한 주요 변수를 선행연구와 두 차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대표변수를 결제리스크회피, 보험서비스활용, 수출지원 컨설팅, 보험계약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으로는 우선 변수들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IPA 분석을 사용하여 K-SURE 보험 서비스에 대한 기업의 만족도와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기업성과에 대한 무역보험의 영향력과 현행되고 있는 무역보험의 품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현재 세계 무역시장은 전자화와 COVID-19으로 인하여 그 구조가 급속도로 바뀌고 있다. 한국무역보험공사 또한 이에 발 맞춰 서비스 보험 종목을 개시하고 온라인 보험을 운영하는 등 급변하는 시대에 다각도로 수출입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기업을 지원하는 무역보험 서비스의 품질을 확인함으로써 집중과 선택을 통해 수출입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다각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Trade insurance improves the risk aversion and liquidity of money, ultimately enhancing their competitiveness in overseas markets. The revitalization of trade insurance began with the prohibition of export subsidy policies and an increase in the risk of non-recovery of export payments due to changes in the global trade structure since the launch of GATT and IMF. Therefore,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improved and expanded their export insurance system and used it as a representative means of indirect export support policies. In the case of Korea's trade insurance, the Korea Reinsurance Corporation was established in 1969 to start export operations and raise export funds. Currently, the Korea Trade Insurance Corporation, launched in 2010, is in charge of most of Korea's trade insurance.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mainly on the impact of export insurance on business performance or export competitiveness. Only recently, research on trade insurance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the revitaliz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t research is insufficient on the satisfaction of companies that use trade insurance services. Currently, the Korea Trade Insurance Corporation operates a variety of insurance products and services, but customer use i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analyzes the impact of the use of insurance services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evaluates th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companies with insurance services. For research analysis, major variables for the use of trade insurance services were identifi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wo in-depth interviews, and representative variables were set as avoding payment risk, insurance service provision, export support consulting, and insurance contract conditions. First of all, I empirically analyed the impact of variables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n, use IPA analysis to confirm the firm's satisfaction and importance for K-SURE insurance services. This gave implications for the impact of trade insurance on enterprise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existing trade insurance. Currently, the global trade market is changing rapidly due to electronicity and COVID-19. In line with this, the Korea Trade Insurance Corporation is also supporting import and export companies in rapidly changing times, including opening service insurance and operating online insurance. Therefore, as stated in this study, a diversified review is required to improve export and import competitiveness through concentration and selection by identifying the quality of trade insurance services that support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