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류기업의 물류정보시스템 도입 특성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 : 경영전략과 IPS 적합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효섭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75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물류기업의 경영전략과 정보화 전략계획(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ISP)의 적합성이 물류정보시스템 성과에 미치는 조절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할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등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물류업체 및 물류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조사 방법으로 분석할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모형에서 물류기업 특성, 물류관리 조직 특성, 물류정보기술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물류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물류기업의 경영전략과 정보화 전략계획의 적합성이 물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영전략과 ISP의 적합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물류기업 특성요인에서 산업 내 정보화 밀도, 기업규모를 하위변수로 설정하였고, 물류관리 조직특성요인에서는 조직의 공식화, 조직의 분권화, 최고경영자의 지원, 인지된 이익을 하위변수로 설정하였다. 물류정보기술 특성요인에서는 정보시스템 성숙도, 정보기술 인프라, 물류기계화를 하위변수로 설정하였고, 물류성과는 물류비 절감, 서비스 향상 등을 하위 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류기업 특성요인 중 산업 내 정보화 밀도는 물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업의 규모는 물류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이미 물류산업 내에서는 이미 상당 수준의 정보화가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업의 규모와는 관계없이 물류정보시스템의 운영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물류관리 조직특성 요인 중 최고경영자의 지원과 인지된 이익은 물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조직의 공식화, 조직의 분권화는 물류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물류산업에 있어서의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도입은 최고경영자의 지원이 매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새로운 물류정보시스템의 도입은 얻을 수 있는 이점이 많기 때문에 물류정보시스템의 도입 및 운영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물류정보기술 특성 요인으로 설정한 정보시스템 성숙도, 정보기술 인프라, 물류기계화 요인은 물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물류정보시스템의 도입 및 운영은 기업 내에서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에 대한 이용수준이나 교육, 정보기술 전문가, 정보기술 인프라의 보유 수준과 정도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물류 제품의 포장수준이나 물류 장비들에 대한 기계화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경영전략과 ISP 적합성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산업 내 정보화 밀도, 최고경영자의 지원, 인지된 이익, 정보시스템 성숙도, 정보기술 인프라, 물류기계화 요인들과 물류 성과 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수들은 단독으로 물류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면서 경영전략과 ISP 적합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변수로 판단된다. 그러나 기업의 규모나 조직의 공식화 및 의사결정의 분권화 요인은 물류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병원정보 시스템을 활용한 병원 경영 혁신 핵심 성과 지표 및 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안용완 中央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논문은 병원의료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병원경영혁신 핵심성과지표 및 혁신방안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설문대상은 병원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정보시스템실을 운영하고 있는 전산책임자 또는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전국 39개병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경영혁신 핵심성과지표 및 혁신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병원경영혁신 표준화 모델을 제시하여 이에 대한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병원경영혁신에서 정보화 마인드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경영혁신에서 가장 필요한 실무자적관점, 경영자적관점, 정보시스템기능상관점, 경영혁신관점을 정보화 마인드에 대하여 효율적인 정보시스템 활성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각 관점들이 병원경영혁신 핵심성과지표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유형에 따른 병원정보화 마인드는 어떠한가에 대하여 전문종합병원이 전산팀의 R&D수준에 대한 정보화 마인드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전문종합병원이 전산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보화시스템 만족도 검증에서는 종합병원이 전문종합병원보다 업무가 더 분업화되어 있으며 현재 운영하고 있는 전산시스템의 규모가 적정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전문종합병원은 사용자의 규모가 큰 만큼 정보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종합병원보다는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산팀의 능력 및 서비스수준에 대한 만족도 검증에서는 종합병원 전산팀의 규모가 일반적으로 3~4명으로 구성된 팀 조직이므로 전문종합병원 전산팀의 분업화된 규모에 비하여 다양한 업무범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의사결정이 쉽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병원규모에 따른 병원정보화 마인드는 어떠한가에 대하여 병원의 규모가 클수록 전산팀의 IT에 대한 기술습득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00~200병상 규모의 중소병원에서는 전산팀의 운영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이 더 시급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병원의 규모가 클수록 전산업무의 세분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관련분야의 세부업무에 대하여 고급화된 IT기술을 습득하여 프로그램밍 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원들의 IT기술에 대한 관심도 및 습득 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병원정보시스템 투자정도에 따른 병원 정보화 마인드는 어떠한가에 대하여 병원의 규모가 클 수록 정보시스템에 대한 투자가 더 들어 갔으며, 이에 따른 전산팀의 인력이 비례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병원의 시스템 규모와 맞게 정보화 마인드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른 교육에 대한 마인드도 병원의 규모가 클수록 정보 시스템 투자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정보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는 종합병원의 투자규모에서 만족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적절한 투자 규모의 종합병원의 전산팀의 능력 및 서비스수준이 전문종합병원보다 소수 정예로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모델에서 제시한 네가지 관점에 대하여 정보화마인드에 대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각 관점별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나고 있으며, 각 관점별로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실무자적관점에서는 신속성과 파트너쉽이 경영자적관점에서는 성장가능성과 신속성이 정보시스템기능상관점에서는 안정성과 역량이 경영혁신적관점에서는 의사결정이 가장 두드러진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에 실무자적관점에서 생산성, 경영자적관점에서 서비스, 정보시스템기능상관점에서 인터페이스와 표준화, 경영혁신적관점에서는 표준화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실무자적 관점, 경영자적 관점, 정보시스템기능상 관점, 경영혁신 관점에서의 만족도가 병원경영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실무자적 관점의 만족은 병원경영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경영자적 관점의 만족은 병원경영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정보시스템기능상 관점의 만족은 병원경영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경영혁신 관점의 만족은 병원경영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란 네가지 가설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가지 지표 즉 기본지표, 성공지표, 혁신지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경영혁신관점의 만족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병원경영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에서 실무자적관점의 만족도, 경영자적 관점의 만족도, 정보시스템기능상 관점의 만족도는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실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 할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샘플 수가 39개로 매우 적은 샘플을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했기 때문에 나타난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모델은 일반 산업분야의 KPI에 기준을 두었으며, 조사 대상의 병원 관계자들이 경영혁신지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하지만 대다수의 조사자들이 새로운 사회변화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경영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위 연구 결과에서 말해 주듯이 병원은 새로운 지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병원이 경영혁신을 하기 위해서는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 모델이 필요하며 본 연구의 가치는 병원경영혁신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표준화 모델을 이용하여 HKPI의 연구 발전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설문대상병원의 병원경영혁신수준과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혁신준비사항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표준화 모델이 병원경영혁신지표를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됨을 도출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변수의 구성 및 통계적 분석의 다양성을 추구하여 HKPI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을 이끌도록 하였기에 병원경영혁신을 꽤 하고자 하는 병원 및 경영자들에게 새로운 혁신 방향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經營情報시스템의 構築方法에 관한 硏究

        엄경식 明知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s to build up a method of MIS to be fit under the Korean circumstances and hereto is to reveal the conditions for the successful adoption and operation of the established system to the management organiza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method to buildup MIS and to the extraction of the conditions to be successfully adopted to the internal enterprise in the 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 development of MIS is composed of 6 steps such as ① problem-definition-step, ② feasibility-study-step, ③ system-analysis-step, ④ system-engineering-step, ⑤ system-erection-step, ⑥ system-conversion-step. Second, the condition to acheiv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MIS in the company is based on the followings : ① the eligible manpower deployment in every fields of MIS, ② the creative idea of staff in the system, ③ the motivation of employees, ④ the central control of executives in the MIS, ⑤ the full support of top executives, ⑥ the user-oriented MIS, ⑦ the effective education of system users, and ⑧ the standardization of the Data, etc.

      •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보기술 활용도를 매개와 조절효과 중심으로

        공석진 호서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75

        최근 들어 기업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기업 간의 경쟁이 가속화됨에 따라 경영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영전략은 기업에게 경쟁우위를 제공ㆍ유지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의사결정의 지침임과 동시에 조직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조직내부의 모든 기능과 활동을 통합하는 종합적인 계획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은 정보기술의 발달로 급변하는 경쟁 환경 속에서 기업의 내.외부 환경에 정보기술을 전략적 차원에서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조직원의 정보기술 활용정도와 기업의 정보기술지원정도가 기업의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적응전략’과 ‘본원적 경쟁전략’을 기존의 기업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경영전략 유형을 비교하여 경영성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로는 경영전략의 전형으로 간주되고 있는 ‘적응전략’중 방어형전략, 공격형전략, 분석형전략과 ‘본원적 경쟁전략’중 윈가우위전략, 차별화전략, 집중화전략을 추출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경영성과 그리고, 조절 및 매개변수로는 정보기술(IT) 활용도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정보기술 활용정도와 정보기술 지원정도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 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에 앞서 연구 개념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그리고 평균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전략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하여 ‘적응전략’중 공격형전략과 방어형전략은 경영성과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영전략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하여 ‘본원적 경쟁전략’중 원가우위전략과 차별화전략은 경영성과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경영전략은 정보기술 지원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경영전락과 재무성과는 정보기술 지원정도를 매개로하여 재무성과에 부분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략유형을 결정한 것으로 가장 대표적인 분류체계는 ‘적응전략’과 ‘본원적 경쟁전략’있다. 이 두 전략의 유사점은 양자 모두 환경에 따른 전략의 유형을 구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섯째, 정보기술 활용도 군집은, 전체 306명 중 낮은 그룹 176명(57.5%), 높은 그룹 130명(42.5%)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조직원은 직무에 정보기술을 자주사용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기업은 정보기술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원활한 지원과 협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따라서,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조직의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정보기술 도입 후 활용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의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 競爭力優位確保를 위한 經營情報시스템 構築에 關한 硏究

        성정엽 明知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9775

        경영정보시스템이란 '조직의 계획, 통제 및 운영을 위한 정보를 수집, 저장, 검색, 처리하여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성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조직의목표를 보다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화된 인간-기계 시스템'을 말한다. 크고 작은 기업들이 극심한 경쟁속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경영정보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경영정보시스템의 도입 및 실행의 성과를 보면 많은 기업들이 투자에 상응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반면, 그렇지 못한 기업이나 조직들도 상당수 있는 실정이다. 기업내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효율적인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은 절대적이며 효과적인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은 경영정보시스템에 대한 적극적 관심을 기울이고, 경영정보시스템 구축과정에 계속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경영정보시스템은 단기간에 구축되지 않고, 그 효과도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꾸준한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내 정보 축적 및 활용을 위한 조직원의 인식을 조성해야 한다. 기업은 이를 위해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지속적인 정보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강력한 경영정보시스템 추진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은 비능률적인 업무개선과 자원의 재분배 등 기존조직의 변화를 수반하게 되므로 이런 제반사항을 무리없이 추진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추진조직이 필요하다. 넷째, 경영정보시스템의 총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경영정보시스템의 목표 수립, 기술발전 예측, 예산안 수립 등에 대한 전체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경영정보시스템 추진 조직의 방향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개발운영되고 있는 경영정보시스템에 대한 계속적인 평가를 해야 한다. 기업에 있어서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은 필수적인 경영수단이다. 그러므로 기업의 효율적인 경영정보시스템 정착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의 경영정보시스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그에 따른 의지 그리고 사용자의 컴퓨터마인드 형성이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 공급 및 외부기관의 위탁교육등을 통해 전문인력 확보등의 제반여건이 성숙되면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은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성공적인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다

      • 스타트업 경영자의 정보활용역량이 해외진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신뢰도의 매개효과

        신일우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오늘날의 스타트업이 해외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보가 성공의 열쇠임을 확인하고, CEO의 정보활용 역량이 해외진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습니다. 연구목적으로 해외진출 비중이 높은 IT관련 창업근로자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각 가설을 검증하였습니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정보활용역량이 해외진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선, 정보활용역량, 정보이전역량이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정보획득 역량은 고객 성과에 정(+)의 영향을, 정보획득, 정보이용, 정보활용 역량은 내부 프로세스에 정(+)의 영향을, 정보획득, 정보이용 역량은 학습과 성장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습니다. 둘째, 정보활용역량이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선, 정보획득을 제외한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 역량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습니다. 셋째, 브랜드 신뢰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선, 브랜드 신뢰도는 재무적,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브랜드 신뢰도의 매개효과에선,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과 재무적 성과 경로에서 유의했고,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이 고객성과에의 경로에서 유의했으며,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과 내부 프로세스 경로 간 유의했고,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과 학습과 성장 성과 간 경로에 유의함을 확인했습니다. As today's startups are to be successful in overseas market, It is confirmed that information is the key to succes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CEO’s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e on overseas expansi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 of brand trus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IT-related startup workers with a high proportion of overseas expansion, and ea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first, information utiliz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competencies are related to financial performance, information acquisition competencies to customer performance,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use and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ies to internal processe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use competencies to learning and growth as a positive (+) effect, Information use, information utiliz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competences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trust, and brand trust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of financial, customer, internal process, learning and growth. On the other hand, In the path between information use, information utilization, information transfer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path between information use, utilization, transfer and customer performance, in the path between information use, information utilization, information transfer and internal processes, and in the path between information use, information utilization, information transfer, and learning and growth, brand trust acted 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startups to increase management performance in overseas expansion through brand trust,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enhancing the value of existing information and improving its efficiency rather than discovering new information.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more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are expected if this study is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startups.

      • 組織에서 最高經營者의 리더십이 經營情報시스템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홍문택 明知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775

        오늘날 기업 및 공공기관 경영의 모든 페러다임이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고 새로운 무엇인가를 찾아다니면서 21C를 준비하는 가운데 외부의 정보화에 조금이라도 비탄력적으로 대응한다면 기업의 성패는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따라서 여기에 적합한 방법으로 가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의 구축과 실용화는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일수 밖에 없을 것이다.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과 실용화를 위한 최고경영자의 역할은 실용화 단계에서는 중간관리층이나 일반관리층과 비해서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나 도입단계에서는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기존 논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경영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과 실용화를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리더십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리더십이란 모든 상황에 적합한 유형을 찾는다는 것은 쉽지가 않으나 리더십의 특징, 유형, 기능, 기반, 원천 등을 경영정보시스템에 도입하여 모형화 시킨다면 기존의 최고경영자의 직감이나 경험에 의존하는 누를 범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리더십의 일반원칙들을 경영정보시스템에 도입하여 최고경영자가 취해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