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혹받은 예언자 발람 연구 : 민수기 22-24장의 목회 신학적 연구

        김미옥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327

        국문초록 유혹받은 예언자 발람 연구: 민수기 22-24장의 목회 신학적 연구 기독교 신학과 김미옥 指 導 敎 授 김회권 본 논문의 목적은 민수기 22-24장의 유혹받은 발람 본문을 주석적으로 연구하여 목회 - 신학적 연구 함의를 찾는 데 있다. 본 논문은 민수기 22-24장에 대한 주석적 연구를 통해 발람이 발락왕의 유혹에 미묘하게 넘어가는 과정에서도 그가 어떻게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강권적 구원 사역에 참여하게 되는지를 자세히 추적한다. 이 논문은 광야에서 38년간의 고난을 극복하고 약속의 땅으로 행진하는 이스라엘 백성과 그들의 전진 앞에 함락되어 가는 적대국 지도자의 정신적 고뇌,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금전적으로 예언자를 유혹하며 신탁을 통한 승리를 갈망코자 하는 이방왕의 모습,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람을 통하여 이스라엘에 대한 계약적 사랑을 네 차례나 확증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민수기 22-24장의 주석은 아브라함에게 맺은 언약을 끝까지 지키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이를 의도적으로 저지코자하는 모압 왕 사이의 갈등과 영적 싸움을 주목한다. 이 점이야말로 발람 본문의 신학적, 목회적 함의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눈에 보이는 금전의 유혹에 눈이 멀어져 가는 발람은 야웨의 구원사역인 출애굽을 인정하지 않았다. 야웨는 이스라엘 백성을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기 위한 의도와 목적으로 이스라엘을 종되었던 이집트 집에서 구출했는데, 발락과 발람은 이것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그들은 만민을 위한 복의 근원으로 부름 받은 이스라엘 백성을 저주하려 했다. 발람은 목적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으며, 급기야는 발락의 돈과 부귀영화의 유혹에 넘어가 ‘보지 못하는 자,’ 눈을 감은 자가 되어 버렸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전달하는 통로로서 선지자가 되었지만 올바로 직시하는 선견자의 눈은 없었다. 그는 신실한 당나귀보다도 더 못한 피조물이었다. 이런 파멸의 길 가운데서도 야웨는 그에게 점진적 영적 개안을 허락하신다. 그 과정에서 발람은 본인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축복하지 않을 수 없는 이스라엘, 하나님과 함께하는 이스라엘, 복스럽고 장엄한 이스라엘, 그리고 온 세계를 구원하실 하나님의 축복의 통로인 성민 이스라엘의 진면목과 정체를 발견하게 된다. 결국 이스라엘을 저주코자 하는 발람의 의도는 무산된다. 그는 하나님이 예정하신 구원사의 길에서 이스라엘이 가는 길을 막으려 했지만, 결국 그의 방해는 치욕스러운 실패로 끝나고 끝내는 그에게 죽음의 길이 되고 만다. 이런 점에서 발람은 현대의 금전만능 세상에서 사역하는 목회자에게 반면교사가 된다. 발람처럼 돈에 눈이 어두워 영적 총명과 통찰을 상실하게 되면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목회자는 탐욕의 노예가 되고 만다. 축복해야 할 영혼을 저주하게 되고, 배척하고 물리쳐야 할 이교도를 위해 축복하려는 일탈에 빠진다. 탐심은 사역자들에게 패망의 지름길이다. 어떤 사역자는 이런 불의의 과정 속에서 이룬 성취로 교만하기까지 하다. 이는 ‘고난의 종’ 그리스도의 길과 정반대이다. 이처럼 발람의 교훈을 통해 깨닫는 목회적 함의는 실로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람의 사역들이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가 무슨 의도를 가지고 있든 하나님은 그분의 의도하심을 기필코 성취하신다. 그런 과정에서 비록 돈에 유혹받은 예언자라도 하나님의 교통하심을 통한 성령의 임재, 환상, 종말론적 예언, 그리고 하나님의 구원사를 본다. 결국 우리는 발람을 통하여 부패와 타락, 그리고 목회사역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 등을 더욱 진지하게 성찰하게 된다. ABSTRACT A Study of Balaam, A Tempted Prophet: A Pastoral Theological Study of the Numbers Chapters 22-24 KIM, MI-OK Department of Theolog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theological and pastoral meaning of the Baalam Oracles in Numbers 22-24 through an exegetical inquiry into Numbers Chapters 22-24.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make an exegetical inquiry into Numbers chapters 22-24, and through this study, the present author shows how impalpably Balaam was tempted into false prophecy by the Moabite king, Balak, and how God's persistent salvation work for Israel had been done through even such a meandering process. In other words, here we can take a look at the Israelites who had overcome their hard times over 38 years in the wilderness and had marched up into the promised land. And we encounter an anguished leader of the hostile country which will be conquered by the Israelites, and his attitude of luring a prophet with money and longing for victory over Israel. Finally, we face God proclaiming His covenantal love for Israel four times through Balaam's prophecy. First of all, this exegetical inquiry focuses on the conflict and spiritual war between God's everlasting and faithful attitude toward His own people and their enemy's hostile attitude toward them. Theologically, we can see the disavowal of Exodus, God's salvation work by Balaam who was blinded by money. God consistently intended to lead the Israelites into the promised land, but Balaam and Balak did not like to acknowledge God's commitment to lead Israel into the land of Canaan. They tried to curse the people of Israel who were called to be the source of blessing for all the nations on the earth(Gen 12:2). Balaam became a 'blind person' who used any means to fulfill his goal. He was used only as a channel of God's word inasmuch as he was able to listen to it, but did not have a seer's eyes which could distinguish the right way from the wrong way. He was just a creature inferior to his faithful donkey. But on Balaam's way to ruination, Yahweh accomplished His work progressively which made Balaam open his spiritual eyes. As a result Balaam had no choice but to bless the people of Israel contrary to his intention. Balaam's intention to curse Israel was abandoned. He tried to block the way God planned for the people of Israel through whom to redeem the entire world. His resistance against God's plan resulted in the worst humilation and death to Balaam. It teaches something to present-day pastors, who work in an age of materialism and thus are likely to be overruled by money and prosperity ideology. Any pastor can become a victim of greed when he or she, like Balaam, is overruled by money and begin to look away form God. Greed is a shortcut of spiritual decay to pastors. Through Balaam's lessons, we can draw a clear pastoral implication: Warning against Money. Nevertheless, Balaam's story is not necessarily to be read in a negative light. No matter what his intention was, God have accomplished his purpose for the people of Israel. The Balaam story highlights God's unfailing love and power to fulfill His purpose for His own people. It also brings our attention to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with his prophetic servant, visions, eschatalogical prophecy, and God's salvation work through communication with God. We thus don't have to take a negative look at Balaam just because he was tempted by money. We can introspect our own inclination to corruption, depravity, and some problems pertaining to pastoral work through and in the paradoxical story of Balaam.

      •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에 대한 연구 : 「생수의 강」을 중심으로

        김태오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327

        This treatise is studying the spirituality 「Streams of Living Water」in center of the Richard Foster. Today, the spirituality of the Richard Foster which is a master of the spirituality theology is actively developing his theology 'Renovare' in center. Especially, the feature of his spirituality appeared well in his book. The spiritual theology of the Richard Foster which appears in the 「Streams of Living Water」is classified with six kinds. These six kinds of the spirituality was rooted in spirituality of Jesus and was streamed. The Richard Foster classified these six kinds of spirituality into the tradition of the contemplation, the holiness, the charisma, the social justice, the evangelism and the spirituality of the incarnation. He suggests these six kinds of tradition with God love vertically and neighborhood love horizontally. He classified and balanced the God love and the neighborhood love which were the most basic frame of the Christian spirituality. I researched in six kinds of spirituality appeared in the 「Streams of Living Water」of the Richard foster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 I saw the vertical dimension which was the love of God as the tradition of the contemplation, the holiness, the charisma. And I researched in dividing by the tradition of the social justice, the evangelism, the spirituality of the incarnation in the horizontal dimension. Finally, these six kinds of the spirituality which the Richard foster mentions streamed from the spirituality of Jesus and was a various tradition. We know that the current of the spirituality which is divided by this is integrated and is balanced in Jesus Christ. The spirituality of the Richard Foster was accomplished in the frame of the Words of God. The background of these 6 kinds of spirituality is based on the spirituality of the Jesus, the quaike religion, the religious reform. Finally, the spirituality of the Richard foster is based on these 3 kinds of the spirituality. His spirituality considers seriously contemplation by being influenced the quaike religion which listens to the voice of God through silence. But his spirituality is based on the Word of God. The frame of his spirituality is rooted in the reformators in whom the Words of God is in center. The spirituality which appears in 「Streams of Living Water」of the Richard Foster says that it must be united and integrated in the spirituality of Jesus. Today, the spirituality training and the religious activity which is developed in the each religious community are taking a unique flowing of spirituality of themselves. Sometimes, the spiritual activity which is leaned at one side must be harmonized and balanced in the frame of the spirituality of Jesus. Especially, with standardizing of Words of God, the various spirituality activity is harmonizing and balancing and must be builded with the religious community . When the spirituality of the Christ is recovered from the vertical relationship which is love of God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which is neighborhood love, it will be builded in the balanced believer. 이 논문은 「생수의 강」을 중심으로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현대 영성신학의 대가인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은 그의 신학사상 '레노바레'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그의 영성의 특징은 그의 저서 「생수의 강」에 잘 나타나 있다. 「생수의 강」에 나타난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신학 사상은 6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6가지 영성은 예수님의 영성에서 뿌리를 두고 흘러내려왔다. 리처드 포스터는 이 6가지 영성을 묵상의 전통, 성결의 전통, 카리스마의 전통, 사회정의 전통, 복음전도의 영성, 성육신의 전통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6가지 전통을 수직적으로 하나님 사랑과 수평적으로 이웃 사랑으로 구별하여 열거하였다. 기독교 영성의 가장 기본적인 틀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 안에서 분류하여 균형을 이루고자 하였다. 리처드포스터의 「생수의 강」에 나타난 6가지 영성을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하나님의 사랑인 수직적 차원에서는 묵상의 전통, 성결의 전통, 카리스마의 전통으로 보았다. 그리고 수평적 차원에서는 사회정의의 전통, 복음전도의 전통, 성육신의 전통으로 나누어서 연구하였다. 결국 리처드 포스터가 말하는 이 6가지 영성은 예수님이 가진 영성이 흘러 나와 다양한 전통을 이루었다. 이렇게 나뉘어진 영성의 흐름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통합되며 균형을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의 틀 안에서 이루어졌다. 이 6가지 영성의 배경은 예수님의 영성과 퀘이커교의 영성, 종교개혁주의 영성에 기초한 것이다. 결국 리처드 포스트의 영성은 이러한 3가지 영성을 근거로 하고 있다. 그의 영성은 침묵을 통해서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던 퀘이커교의 영향을 받아 묵상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영성은 하나님 말씀을 기초한 것이다. 그의 영성의 틀은 하나님의 말씀이 중심인 종교개혁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리처드 포스터의 「생수의 강」에 나타난 영성은 예수님의 영성에서 서로 연합되고 통합되어야 함을 가르치고 있다. 현재 각 신앙 공동체 안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영성훈련과 신앙활동은 각기 자신들이 가진 독특한 형태의 영성의 흐름을 취하고 있다. 때로는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영성운동이 예수님의 영성의 틀 안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특히 하나님의 말씀이 기준이 되어 다양한 영성운동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건강하며 능력 있는 신앙 공동체로 세워져야 한다. 그리스도인의 영성이 하나님 사랑인 수직적 관계와 이웃사랑인 수평적 관계에서 회복될 때 균형적인 신앙인으로 세워질 수 있다.

      • 마틴 로이드 존스의 성령이해

        정정인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327

        Given that the age of primitive churches was that of Christological debates, the age of church fathers, of Theological ones, the age of Reformation, of the debates on the salvation, and today can be said to be that of the debates on the Holy Spirit since there have been various controversies from active discussions on the Holy Spirit both in Korea and in other countries. As a typical example, reformed church argues that the event of the Holy Spirit descended in the Pentecostal was one-time and that we are living in the guide of the Holy Spirit who was descended. In order words, when we first believed in Jesus, we already were baptized by the Holy Spirit. While reformists argue for the one-timeness of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in the Pentecost, the Pentecostal keeps insisting on the continuity of the Holy Spirit's descendence in the Pentecost. As reading the books of Martin Lloyd-Jones, you might come to think that he has a Pentecostal doctrine of the Holy Spirit, however, if you study that more fully, you would know that he certainly stands on reformed position and argues that the Pentecost is a baptism of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was poured for churches by God. Lloyd-Jones revealed in detail that it cannot be accepted that any gifts from the Holy Spirit has disappeared permanently, that Acts 2 and 1 Corinthians 1 are amazing experiences but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at fanaticism is always in a sense self-centered. In fact, since there have been a lot of confusion and controversies regarding the issue of the Holy Spirit's baptism, Lloyd-Jones's clear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seems to become more urgently necessary. He appealed for the Biblical equilibrium and by arguing that the insistence in which all gifts was over after the age of Apostles is nonsensical, he addresses that even i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Pentacostal was a one-time event historically, unlike the time when the Holy Spirit worked by enabling speaking in foreign tongues, the Holy Spirit is still working powerfully and effectively in many other ways until now. Lloyd-Jones explain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dividing it into basic baptism and power baptism. He says that the rebirth and the basic baptism of the Holy Spirit are the same event, only viewed from different levels. Lloyd-Jones interprets what traditional reformed churches say about a person who was born again as being baptized by the Holy Spirit, as he or she was given the basic baptism from the Holy Spirit. In addition, he said that believer after the rebirth has the Holy Spirit in the center of his or her heart and is continuously guided and supported by the Holy Spirit is life full of the Holy Spirit. What Lloyd-Jones focuses on is the power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is mean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at pours power on believers to let the special tasks done by them when they live life full of the Holy Spirit. He insists that the power baptism has been poured by the Lord who ascended to heaven throughout church history as well as the Pentecost and by continuing to be poured, each believer and church will revive. And, he stated that as a result of the Holy Spirit's power baptism, the state with the full presence of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s the power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is thesis, I try to sum up the tru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that the Bible teaches based on Dr. Lloyd-Jones'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and to discuss that while Lloyd-Jones certainly stands on the reformed position, he has developed a true Biblical theory of the Holy Spirit understanding, digesting and absorbing correctly the doctrine of the Pentecostal of the Holy Spirit. Hopefully, the studies on Martin Lloyd-Jones'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will be more actively done and sound doctrine of the Holy Spirit will be formed in this world. 초대 교회가 기독론 논쟁의 시대라면, 교부시대는 삼위일체 등의 신론 논쟁 시대라고 볼 수 있고, 종교개혁 시대에는 구원론 논쟁 시대이고, 현대는 성령론 논쟁시대라고 할 만큼 성령론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분분하게 주장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개혁주의에서는 오순절 성령강림의 단회성을 주장하며 오순절에 오신 성령의 인도 속에 사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예수를 믿을 때 이미 성령의 세례를 받았다는 것이다. 개혁파에서는 오순절 성령임재의 단회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오순절파는 오순절 성령강림의 계속성을 주장하고 있다. 마틴 로이드 존스의 책을 보다보면 그가 오순절파 성령론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이 들 수도 있겠으나 좀 더 소상하게 연구를 해 보면 그는 개혁주의 입장에 분명히 서있으면서 오순절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성령의 능력을 부어주신 성령의 능력세례임을 주장한다. 로이드 존스는 어떤 성령의 은사도 영구히 없어졌다는 것은 긍정할 수 없다는 사실, 사도행전 2장과 고린도전서 1장의 비록 놀라운 체험이기는 하지만 서로 다르다는 것, 광신주의는 언제나 어떤 점에서는 자아 중심적이라는 사실 등을 소상하게 밝혀 주었다. 사실 성령세례의 문제에 대해 많은 혼돈과 쟁론이 있었기에 로이드 존스의 명료한 성령이해가 더 절실히 요청되는 것 같다. 그는 성경적 균형에 호소하였고 모든 은사가 사도 시대에 끝나버렸다는 주장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함으로 오순절 성령역사가 역사적으로는 단회적이지만, 성령이 외국어를 말하게 함으로 역사했던 당시와는 달리 성령이 지금도 다른 유형으로 권능있고도 효과적으로 역사하고 계시다는 사실을 설파하고 있다. 로이드 존스는 성령의 세례를 기본세례와 능력세례로 구분을 지어서 설명을 한다. 중생과 성령의 기본세례는 동일한 사건으로 각각 다른 차원에서 보는 것이라고 말한다. 전통적 개혁교회에서 중생한 자가 성령의 세례를 받았다고 말하는 것을 로이드 존스는 성령의 기본세례를 받은 것이라고 해석한다. 또 그는 신자가 거듭난 이후 성령을 마음 중심에 모시고 성령의 인도와 주장을 지속적으로 받는 것을 성령의 생활 충만이라고 했다. 로이드 존스가 주안점을 두는 것은 성령의 능력세례이다. 이것은 신자가 성령의 생활 충만 가운데 살 때 그들에게 특별한 사역을 수행시키기 위해 능력을 부어주시는 성령의 사역을 말한다. 능력세례는 승천하신 주님께서 친히 부어주시며 오순절 뿐만 아니라 교회사를 통하여 계속 부어져 왔으며, 또 계속 부어짐으로 각 신자와 교회가 부흥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성령의 능력세례의 결과로 성령의 능력이 충만히 임재한 상태를 성령의 능력충만이라고 논했다. 본 논문을 통해 로이드 존스 박사의 성령이해를 토대로 하여 성경이 가르치는 참된 성령의 교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 로이드 존스가 개혁주의 입장에 분명히 서 있으면서도 오순절파의 성령론을 바로 이해하고 소화하고 흡수하여 바르고 참된 성경적 성령론을 전개했다는 것을 논하고자 한다. 바라기는 마틴 로이든 존스의 성령이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이 땅에 건강한 성령론이 형성되기를 바란다.

      • 괴테의 『파우스트』에 나타난 구원관 : 개혁신학적 성찰

        박현덕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327

        본 논문의 목적은 괴테의 『파우스트』가 지향하는 인간구원의 문제를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파우스트』에 등장하는 주요 세계관들을 개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마치 오늘날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상황처럼 서로 유사하거나 대립되는 다양한 세계관들이 혼재해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즉 여기에는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이 함께 기술되어 있으며,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낙관론과 비관론 그리고 물질주의와 이상주의 등이 함께 혼합되어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파우스트』에는 아우구스티누스적 은총론과 펠라기우스적인 자유의지론이 서로 대립과 통합의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그 속에서 파우스트의 구원을 위해 고뇌하고 방황하는 괴테의 실존적 갈등을 만날 수 있는데, 바로 이 점이야 말로 이 작품의 구원론을 이해하는데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구원론은 인간에 대한 낙관적, 혹은 비관적 태도여하에 따라서 결론이 달라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파우스트』에는 괴테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는 파우스트의 실존적 고뇌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예를 들어 그는 범지학적 자연주의자로서 자연을 찬미하고 이를 궁극적인 지식의 원천으로 삼으며, 치유의 장소로까지 그 역할을 상승시킨다. 하지만 그는 어느 순간 자연을 파괴하는 주범으로 등장한다. 로고스를 말씀(Wort)이 아니라, 행위(Tat)로 번역하고 전통적인 교리신학을 부정하는 가운데 질풍노도적인 긍정의 삶을 통한 낭만주의적 자아실현을 꿈꾸어 보지만, 결국 이 같은 유토피아적 이상은 허무로 끝을 맺고야 마는 것이다. 결국 괴테는 이처럼 『파우스트』가 극단적인 허무주의의 늪으로 빠져 드는 것을 막기 위해서 신의 은총에 입각한 구원론의 형식의 틀을 빌려올 수밖에 없었으며, 필자는 이 점이야 말로 우리가 이 작품의 전체 맥락을 올바로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관점이라 여겨진다. 이것은 『파우스트』를 무신론적인 작품으로만 바라보려는 무신론적 인본주의자들의 주장에 대한 반론의 성격을 갖는 것이다. 즉 제 1부에 등장하는 그레트헨의 구원은 그 논리적 구조상 당연히 은총에 입각한 개혁신학적 관점의 모범적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파우스트의 구원조차도 그의 질풍노도적인 행위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신의 은총과의 통합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괴테가 『파우스트』를 통해 이루어보고자 했던 범지학적 야망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괴테가 『파우스트』에서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정당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이 작품에는 다분히 비신학적인 면이 등장하고 있다. 범지학적 자연주의 세계관, 회개가 없는 죄의 용서, 범신론과 여기서 도출되는 하나님의 초월성의 약화 및 부정, 윤회론적 세계관, 인간 행위의 긍정 등은 분명 개혁신학적 입장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하지만 이 때문에 『파우스트』를 반기독교적인 작품으로만 보거나 괴테를 무신론자로 취급하려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오히려 우리는 괴테가 이 작품을 통해서 보여주고자 했던 제도적 교회의 부정과 부패, 그리고 교리신학이 안고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요구되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rough reformed theological reflection, the concept of human salvation as pursued in the play Faust by Goethe. Firstly,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main outlooks on world views as shown in the play. From this study, we can see a variety of mixed dimensional world views. Some of these views are mutually reinforcing, and some are mutually contradictory. As such, they tend to resemble today's post - modernist way of thinking. In other words, God’s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re integrated into one unity and mixed with Classicism and Romanticism, Optimism and Pessimism, Materialism and Idealism, and so on. Above all, in Faust, we can see both the opposing and integrative aspects between Augustine's view of the Doctine of Grace, and Pelagius" view of Free Will. At the same time, we must face the existential complications of Goethe's suffering and wandering in pursuit of the salvation of Faust, and this is the main poin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dea of salvation in Faust. Eventually, the idea of salvation will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consequences depending upon whether the person addressing the play is of an optimistic or pessimistic nature. In fact, Faust's existential suffering is an identical representation of the suffering of Goethe himself, and this theme saturates the play. For instance, he glorifies nature as would a Pansophic naturalist, taking it as the source of ultimate knowledge, and elevating it to the role as a place of healing. However, having done this, he suddenly appears as a principal offender in the destruction of nature. He translates the word "Logos" into "Tat", not "Wort", and dreams of Romantic self-actualization through a "Storm and Stress" positive life while he rails against traditional dogmas. However, this kind of idealistic utopian view, in the end, leads to no purpose. Finally, Goethe had to take the idea of salvation based on God’s grace in order to avoid Faust indulging in extreme Nihilism. I conceive that this is the essential point to a sound understand the whole context of Faust. It brings forth a transparent counter-argument to those atheistic humanists who consider Faust to be an atheistic literary work. That is, Gretchen’s Salvation in Part One of the play represents a typical example of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as based on logical structure. Moreover, even Faust’s Salvation is ultimately brought about by God’s grace and integration, as well as Faust's "Storm and Stress" attitude. This is the Pansophic goal that Goethe wanted to achieve through Faust.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Goethe has described the Christian world view fairly in Faust. For the most part, the play also has a de-Christianized aspect. It basically differentiates between a reformed theological standpoint and an Pansophic naturalistic world view - for example: in the confession of a crime without repentance; in pantheism with its deduction of enfeeblement and denial of God’s transcendence; in the idea of the transmigration of souls; in the affirmation of human behavior; and so on. However, it is also undesirable to see Faust as de-Christianizing work, and to treat Goethe as atheist. Rather, we are asked to earnestly reflect upon the institutionalized church’s injustice and corruption. Goethe tried to show this through his work, and to show the problem of dogmatic belief.

      • The Relationships between Ultimate Reality, Human Being and Nature in Korea

        김석호 University of Edinburgh 2005 해외박사

        RANK : 247327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mos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devastated by indiscriminate bombing, and those who survived the war suffered poverty and famine in the 1950s. In the 1960s and 70s, industry and the economy became the top priority in the setting of national policies. As a result, water and air was intolerably polluted by industrial and domestic waste and by the smoke emissions of vehicles and factories, and environmental concern consequently became an urgent priority in the 1980s-90s. Although there were some voices of protest from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gainst this indiscriminate industrialisation, their campaigns could not prevent the onslaught. The old Korean proverb "body and land are not two but one (身土不二)", reflects the belief of most Korean people that they cannot live apart from the land of Korea. The contemporary ecological crisis reminds us of a serious question: Can people and nature continue to co-exist in the future? The environmental movement, apart from aiming at protecting the natural world from human beings' exploitation, should seriously find a way to change a world view or one's sense of values which continuously influence people's lifestyle. 'Ecological worldview' in this thesis denotes a religious or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way that humanity and all other organisms can co-exist, critically reviewing the failings of the existing world views, which led to the present ecological crisis, and suggesting a relationship model between humanity and other organisms. Shamanism, Taoism, Confucianism, Donghak, Christianity, etc were introduced, accumulated, and shaped the Korean mentality during the course of history and contributed to a unique Korean culture in which various religions co-exist. Presently, Buddhism and Christianity are statistically the major religions of Korea. Shamanism, Taoism, Confucianism, etc have widely influenced the customs of Korean society. In this understanding of the multi-religious context, this thesis examines Korean ecological theology through three thinkers who have their backgrounds in Donghak, Buddhism and Christianity, respectively. Chiha Kim, a poet, writer, and civil activist, Pomnyun, a Buddhist monk and campaigner for South and North Korea unification, and Hyunju Lee, a Methodist minister and writer of children's stories, are all well-known representatives of ecological theology at present. They all argue tha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ltimate reality, humanity, and the natural world can overcome ecological crisis, although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is artificial classification of ultimate relality, humanity, and nature. The basis for the relationship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backgrounds as 'life', 'dependent origination', and 'incarnation', but they commonly describe it in terms of 'indivisibility', 'interconnectedness', or 'oneness'. 'Life' is described as 'an endless dynamic generation' within all existences (Chiha Kim). 'Dependent origination' is the principle that states that all realities have been endlessly interconnected (Pomnyun). Hyunju Lee argues that all existences are an expression of divine incarnation, and all beings having spirituality cannot exist independent from each other but are one. Korean ecological theology in the multi-religious context point to 'Cheon-ji-in Habil Sasang (天地人合一思想, the Idea of the Unity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That is, although all realities have their own independent natures and unique forms, they all have 'a triune nature' as their fundamental common nature which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oncepts of 'holistic dynamism', 'organic interconnectedness', and 'spirituality or sociality'. In this understanding, Korean ecological theology rejects any centrism, which may lead to hierarchy because ultimate reality, humanity, and the natural world exist in 'one inseparable community'.

      • 민수기에 나타난 모세의 지도력 연구

        김일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327

        교회는 언제나 세상의 등불이어야 한다. 세상이 교회를 통해 자신들을 돌아보고 갱신할 수 있도록 교회는 도움을 주어야 한다. 그러나 최근에 교회가 세상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였다. 지도력의 부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세속적 성공이라는 가치가 목회 지도력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고, 성경적 지도력을 갖추어야 할 목회자들이 성공 지향적 사고에 물들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모세가 광야 생활에서 이스라엘 회중들을 이끌면서 경험한 지도력의 다양한 면모들을 연구함으로써 그것으로부터 목회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목회적 지도력을 유추해 보고자 한다. 성서에 나타나는 모세의 지도력은 정치, 군사, 영적인 부분을 통합하는 총체적인 지도력이었다. 실제로 모세가 지도력을 행사하는 현장에는 반역자들의 치리에 직접 개입하여 그들을 처단하는 일이 있었고, 여호와의 특별한 개입으로 반역의 현장에 이적과 기사, 권능이 나타나 모세의 지도력이 옹호되기도 하였고, 여호와께서 직접 말씀하셔서 모세를 지지해 주기도 하는 일들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목회 현장에 신적 개입을 통한 이적이나 목회자들의 권위 옹호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목회자가 직접 반란의 무리들을 처단할 수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모세의 지도력은 목회현장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고 유추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이런 모세의 통합적 지도력을 목회 영역에 유추하여 적용하면, 모세의 목회적 지도력은 다음의 여섯 가지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모세의 지도력은 지도력을 분산하고 위임하는 지도력이다. 출애굽기 18장에서 모세는 이드로의 따뜻한 충고를 받아들여 독단적으로 행하였던 지도력을 다양한 수준의 중간지도자들에게 분산시키고, 권한을 위임하였다. 두 번째 치리하는 지도력이다. 모세는 히브리 노예들을 이끌어가는 동안 진의 내부에서 생기는 반란과 불평을 치리하는 지도자였다. 그리고 그의 치리는 여호와의 불에 맡기는 것과 그 치리에 적극 개입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온유한 지도력이다. 모세는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여호와의 목적에 반하는 환(環) 애굽 운동을 일으킬 때에 모든 것을 여호와께 맡기고 여호와의 도우심을 구하는 지도자였다. 자신의 힘과 권력으로 백성들을 제압하는 지도자가 아니라 그것을 안고 가는 지도자였다. 네 번째는 중보하는 지도자였다. 백성들의 죄악으로 인해 여호와의 진노가 진중에 임할 때에 모세는 하나님께 그 거룩한 진노를 거두어 주시고, 지도력에 반기를 드는 백성들까지도 용서해 달라고 기도하는 지도력을 보였다. 다섯 번째는 다음 세대를 세우고 자신은 물러서는 지도력이다. 아직 일할 충분한 기력과 영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호와께서 자신에게 지도력을 거두어 가실 때 기쁨으로 그것을 내려놓았을 뿐 아니라, 다음 지도자가 충분히 일할 수 있는 제반 여건들을 만들어 놓은 지도자였다. 여섯 번째는 백성들의 운명에 연대하는 지도력이다. 모세는 지도자로서 백성들의 운명에 책임지는 지도자로 나타난다. 여호와께 원망하고 반역하는 백성들이 그 죄로 인해 광야에서 죽어갈 때, 모세 역시 공동체의 운명을 안고 광야에서 가나안 땅을 바라보며 광야에서 죽어갔다. 이런 모세의 지도력의 근저를 이루는 몇 가지 특징들이 있다. 사람에 대해 온유함과 여호와께는 순종함, 그리고 연약함을 인정하는 겸손함과 무엇보다 성령님을 의지하는 지도자였다. 목회 지도력이 땅에 떨어지고, 타락하는 이 시대에 모세의 지도력을 연구하여 적용하는 일은 참으로 가치 있는 일이다. The church must be the light of the world all the time. The church should help the world to critically reflect on and renew itself through contact with the church's illuminating ministry. However, the church in turn has been influenced by the world lately and its leadership has also been secularized. The value of earthly success starts to overshadow pastoral leadership and many pastors started to be imbued with success-oriented thinking. In this thesis I will investigate Moses’ leadership that he showed when he led the people of Israel in the wilderness and make an inquiry into his pastoral leadership that may be inferred from it. Moses’ leadership in the Bible, especially in the Book of Numbers, represents a unity of political, military and spiritual leadership. Actually, the Lord directly punished those traitors who rebelled against his leadership when Moses performed his leadership properly, and sometimes by His special intervention the Lord publicly supported Moses’ leadership by performing signs, wonders and powers. Somtimes the Lord came out for him in order to speak to him face to face. But God’s direct intervention involving signs that happened to Moses is hardly expected to happen in current pastoral field. Still less, ministers are not supposed to punish or discipline their rebellious church members directly. Therefore, one should not apply Moses’ leadership to modern pastoral context but can only use it analogically. Moses’ holistic leadership can be categorized into six subcategories if it is to be applicable to pastoral ministry. First, as in Exodus 18 Moses accepted a kind advice of Jethro his father-in-law and shared his leadership with his subordinates and junior co-worker which he had exercised exclusively and lonely. Second, he also demonstrated a disciplinary leadership. Having faced rebellions and complaints of the people of Israel, Moses managed to discipline and punish those people who were involved properly and effectively. He sometimes delivered those rebels and traitors into the hand of the Lord or aggressively judged them himself. Third, he was a meek leader. When the people rebelled against him and tried to return to Egypt, he kneeled down before God and asked for God’s help. He was not a leader who overpowered the people by abusing power and authority but a leader who embraced troubles and tribulations into his bosom. He carried out his task of leading the people of Israel into the land of Canaan without compromising so that naturally there arose many levels of rebels and traitors against him and his mission. Despite these adverse circumstances, Moses demonstrated his leadership by praying and waiting for the Lord’s intervention. Fourth, he is a leader of intercession who interceded for the people by risking his life. When the wrath of the Lord came to the tents of the people against their rebellious sins, Moses supplicated to Him that the Lord should stop pouring His wrath and forgive them their rebellious sins. Fifth, he was a future-oriented leader who raised up a leadership for the next generation and retired from his leading position in order for his successor to perform leadership properly. Although he had enough energy and spiritual power be the time he died, he was willing to withdraw from the leader’s position by obeying God’s command. Also he set up all the circumstances for the next leader to work effectively. He was a leader who shared in the people’s pains and griefs and prayed to the Lord to solve those pains and griefs. Sixth, he took on his own shoulder the fate of his people. He went on to shoulder the fate of his own people. When those rebellious people were doomed to perish and thus died a shameful death, Moses also died in the desert sharing the fate of his community being allowed to only see the land of Canaan afar. These are six characteristics of Moses’ leadership that can be applied to pastoral ministry. Moses was a gentle and meak leader who was gentle to the people, obeyed to the Lord, recognized his weakness, and depended upon the Holy Spirit. It is extremely valuable to study Moses’ leadership and apply it to today’s pastoral context in which pastoral leadership is falling apart from its model, biblically ideal leadership.

      • 마틴 루터의 노동의 영성에 대한 연구

        임성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27

        A Study of Martin Luther’s Labor Spirituality The subject of this graduation thesis is “A Study of Martin Luther’s Labor Spirituality”. On October 31, 1517 Luther started the Reformation by presenting 95 theses in order to protest against the sales of Vatican’s indulgence at Wittenberg. He found that his religious faith was not focused on the Bible through his repentance and lecture on the Romans and the Psalms. His repentance of faith made him consider the Bible as the highest authority and also made him reinterpret the traditional theology, traditions, and customs of the medieval church. Luther’s Slogan: “Sola Scriptura”, became an important challenge of the medieval church’s theology and tradition as well as the catalyst of Reformation movement. Also, he formed his unique “labor spirituality” by applying the believer’s actual life, labor. Luther’s labor spirituality was considered fruit of “justification by faith”. The success of the reformation movement or revolution is not dependent on one person’s vision and leadership. In order for the movement to succeed it requires general ideas which can be supported by the public. Luther's Reformation was successful by obtaining the public's support. To heighten the authority of the Bible rather than the Council’s decisions or the Pope’s decrees, he not only showed he aroused the medieval church’s erroneous theology and soteriology, but also gave the public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status system and an improvement of economic conditions. Because of these reasons, Luther’s labor spirituality ha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Reformation, and also became a basis to maintain the ideal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viewpoint of labor in Luther's biblical interpretation based on his belief of Reformation, “Sola Scriptura”, and is also about his theological argument of the “mask of God” and “priesthood of all believers”. This research makes clear that labor is not a secular affair, but the cultural mandate of God and the confession of faith in life, according to Luther’s labor spirituality. Besides, it focused on how Luther’s labor spirituality became the theology that challenged the traditional theology of the medieval church and how this challenge became the motive of change in that era.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oints out today’s labor recognition as a means to make money from the viewpoint of the Bible and expects to recover the biblical labor spirituality to establish God's Kingdom in this world without pursuing money and individual satisfaction. 국문초록 마틴 루터의 노동 영성에 대한 연구 본 논문의 연구 주제는 “마틴 루터의 노동 영성”이다. 루터는 1517년 10월 31일에 로마 교황청의 면죄부 판매 등에 대한 항의로 비텐베르크(Wittenberg)에서 95개조 논제를 발표함으로서 종교개혁의 불을 밝혔다. 루터는 자신의 회심 체험과 로마서와 시편 강의 등을 통해서 이제까지 자신의 신앙이 성경으로부터 벗어나 있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루터의 회심은 그로 하여금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여기게 하였고, 성경을 근거로 해서 중세교회의 신학과 전통 그리고 관습을 재해석하게 만들었다. 여기서 루터의 “오직 성서”(Sola Scriptura)이라는 구호가 나왔다. 이 구호는 중세 로마가톨릭교회의 전통과 신학사상에 중대한 도전이 되면서 역사적인 종교개혁 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이러한 루터의 복음 재발견은 교회 전통과 신학의 개혁에만 머물지 않고, 신앙인의 실제적인 삶, 즉 노동(직업)에 대하여도 적용됨으로 루터의 독특한 “노동 영성”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루터의 “노동 영성”은 종교개혁의 핵심으로 인정하는 “이신칭의”(以信稱義; Justification by faith)의 열매로 나타난다. 어떤 개혁 운동이나 혁명의 성패는 지도자 한 사람의 사상과 지도력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의 대다수 사람들의 동의와 감동을 일으키는 총론적 사상이 요구된다. 루터의 종교개혁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교회공의회 결정들이나 교황칙령들 위에 하나님 말씀인 성서의 권위를 높임으로 중세교회의 잘못된 신학과 구원론에 대한 올바른 자각을 일깨울 뿐만 아니라 이 신학과 사상이 일반시민들이 운명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신분과 계급 그리고 경제적인 삶에 있어서 실제적인 변혁과 희망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면에서 루터의 “노동 영성”은 종교개혁 운동에서 나타난 열매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동시에 이 운동을 지속시키는 기반이 된다. 본 연구는 먼저 루터의 “오직 성서”이라는 종교개혁의 신념에 따라 루터의 성경 주해에 나타난 노동관을 연구했다. 또한 이것을 토대로 한 그의 신학적 주장인 “하나님의 가면”과 “모든 신자 제사장설”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서 루터의 “노동 영성”은 노동이란 세속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문화명령이며, 삶의 신앙고백임을 밝혔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루터의 “노동 영성”이 어떻게 중세 로마가톨릭교회의 신학과 전통을 개혁하는 신학이 되었으며, 또한 이 개혁사상이 세속적인 노동관과 “노동 영성”을 변화시킴으로서 단순한 종교적 개혁을 넘어 시대를 변화시킨 원동력이 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루터의 “노동 영성”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토대로 하여 오늘날 돈벌이의 수단으로만 인식되고 있는 현대의 노동관과 직업에 대한 기독교적 반성과 함께 이 땅에 하나님나라를 건설하는 성경적 “노동 영성”을 회복하고자 한다.

      • 조나단 에드워즈의 경건과 교회부흥 : 한국 교회에 있어서 조나단 에드워즈 신앙 부흥운동의 가치

        홍순식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327

        국문초록 조나단 에드워즈의 경건과 교회부흥 - 한국 교회에 있어서 조나단 에드워즈 신앙 부흥운동의 가치- 基督敎神學科 홍순식 指導敎授 김영한 한국교회는 그동안 세계 유례없는 급성장을 이루어 왔다.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대형교회들이 많은 나라이기도 하다. 하지만 부흥이란 일관된 목적만을 가지고 교회의 본질은 잃어버린 체 맘모스화 되어가는 한국교회는 전도를 부흥의 수단으로 삼지 말고 소명으로 삼아야 한다. 그리고 선교에 대한 열정마저 식게 만드는 부흥의 도구로써 선교관은 지향되고 참된 부흥이 무엇인지 제시하여야 한다. 또 한국 기독교는 지성과 감정의 양극화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나님의 말씀을 바른 교리로써, 참된 신앙의 기초로써 중요성을 간과하는 소위 신학 없는 극단적 감정열광주의가 나타나고, 하나님의 말씀의 조명을 무시하고 감정만을 고조시켜 맹목적 신앙을 불러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신앙적 감정을 표출하는 행동을 불경건한 것으로 치부한 나머지 이성제일주의로서 지나치게 지적인 면만을 강조하여 삭막하고 건조한 생명력이 없는 종교 활동을 강요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지성과 정서의 극단적 양극화 현상은 영혼을 참된 신앙으로 인도할 수 없으며, 구원에 이르게 하는 믿음을 가지게 할 수도 없고, 결국 영혼을 파멸에 이르게 한다. 그리고 지성이 결여된 정서는 인간의 죄악 된 본성에서 나오는 감정에 치우쳐 그 감정에 이끌리는 삶을 살아갈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에드워즈가 주장하는 ‘참된 부흥’을 바탕으로 하며, 곧 구원으로 부르시는 하나님 앞에 한 사람의 인격이 변화되고, 끊임없이 거룩에 대한 갈망으로 ‘삶의 열매’를 맺음으로 가능하리라고 본다. 에드워즈에 의하면 진정한 정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릇된 정서에 빠지면, 자신도 속고, 타인도 속이는 형태가 되어, 역동적인 성령의 사역을 방해하고, 결국 교회는 힘을 잃고 제 역할을 감당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분명하다. 하나님의 말씀과 함께 역사하는 성령의 내주로 인하여 진리로 조명된 은혜로운 거룩한 부흥을 통해 거짓된 정서를 배격하고, 진정 이 시대를 향한 하나님의 요구인 올바른 영성을 회복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균형 잡힌’ 부흥이 무엇인지를 알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국교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에 있다. 왜냐하면 18세기 대 각성운동을 일으켰던 조나단 에드워즈가 주장한 ‘균형 잡힌 부흥론’은 한국교회가 회복해야 되는 부흥이 무엇인가를 잘 제시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조나단 에드워즈의 ‘균형 잡힌 부흥론’을 분석해 본 결과 첫째, ‘균형 잡힌 부흥’은 ‘삶속에서 나타나는 영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조나단 에드워즈의 생활 속에서 거룩한 생활이 나타나면 개인과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둘째, ‘균형 잡힌 부흥’은 순수한 복음의 진정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기독교가 가르치고 주창해 온 “믿으면 복을 받는다”는 것과 “믿기만 하면 구원을 얻는다”라는 단순한 구호만 외쳐대면서 정작 기독교인의 본질이 변화되지 않으면, 세상 속에서 세상을 향해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 ‘균형 잡힌 부흥’은 세상을 바꾸어 나아가며 일치하는 하나의 목표점을 향해 나가며 예수 그리스도를 주도 고백도 하나이듯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균형 잡힌 부흥’은 내적인 변화와 교회의 변화이다. 에드워즈의 부흥은 자신의 삶의 체질 개선과 세상의 변화이다. 끝으로 에드워즈에 의하면 기독교가 해결해야할 급선무는 “신자다운 신자”를 만들어 내고, “교회다운 교회”로 만들어 가기 위한 방향을 잡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조나단 에드워즈가 주장한 “진정한 부흥은 아버지의 마음을 가지고 세상에 나아가 외치며 변화 시키는데 동감한다”. 에드워즈는 18세기 당시에 부흥운동을 통하여 영성을 깨웠고, 본인의 탁월한 경건훈련과 그리스도를 향한 불타는 열정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했으며 복된 소망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세대를 살아가는 부름 받은 증인으로서, 영적 토양을 개혁하고 거짓된 부흥에 물들어 있는 사회와 교회를 개혁 시켜 부흥으로 나아가야 한다. The Piety of Jonathan Edwards and Revival Studying on the Worth of Jonathan Edwards' Revival Movement in Korean Church- Hong Soon Sik Department of Theological Work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Korean churches have showed unparallelled development in history and now have many world-famous mega-churches. However Korean churches tend to lose the essence of church while accomplishing spiritual revival. Now is the time for Korean churches desiring for mega-churches, to make evangelism their call rather than their means of revival. Furthermore, it should be rejected the missionary perspective to view mission as the means of revival, which deprives them of its passion, and be suggested the meaning of true revival. Korean church often reflects the polariz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emotion in faith. Some are so called emotional fanatic, ignoring the significance of theology, who do not take the word of God serious as the sound doctrine and foundation of faith but pursue passion. They rather neglect the divine illumination through the word of God and search for emotional excitement. Others emphasize the intellectual part of faith and urge dreary religious activity without vitality, for they regard any emotional expressions of faith as ungodly. This extreme polariz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emotion in faith cannot lead people to the true Christian belief nor faith to save them, but to destroy their souls. Emotions lacking intelligence contains potential danger to lead people to depend on the emotion originated from sinful human na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Korean church, the true revival should be required; it can bring changes to each person's character in the image of God to call them to salvation and can bring constant desires for holiness resulting in fruitful life. According to Edwads, if we do not understand genuine emotions but are involved in false emotions, we can be deceived and deceive others so that it will prevent them from the dynamic work of the Spirit and make church powerless and irresponsible for its work.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1) to explore what is 'balanced revival' of Jonathan Edwads, which rejects false emotions through the holy revival by the illumination of the Holy spirit via the word of God, and to restore the genuine spirituality, the divine call to this generation; 2) to investigate th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risis of Korean church on the basis of that. Because 'balanced revival' tells us the true revival that Korean churches should bring, which was raised by Jonathan Edwads to bring the Great Awakening in 18th century I summarize 'the balanced revival' of Jonathan Edwads as follows; Firstly, it is to restore 'practical spirituality in life', for godly life is the evidence to have a great impact on individuals and their society. Secondly, it is to restore the authenticity of the pure gospel. Christianity tends to assert that faith alone will bring blessing and salvation and to put less emphasis on the essential change of Christian life, which cannot lead to the change of this world. Thirdly, it is to require efforts to form one community to pursue one agreed aim to change the world, as there is one agreed confession saying Jesus is the Christ. Fourthly, it is involved in inner change and then change of church. In other words, it is the improvement of personal life and change of the world. Lastly, Edwads says the urgent mission of Christianity is to make 'authentic believers' and to direct to 'authentic churches'. Finally, I agree to Edwads' argument that the true revival is engaged in going out to the world, witnessing Christ and bringing changes with the heart of God. He awakened the spirituality of 18C through the revival movement, pursued the glory of God through his hard training of godless and burning enthusiasm for Christ, and specified the Christian hope. Therefore we as witnesses of Christ to be called in our generation, should re-cultivate the spiritual land and bring revival to this generation by reforming the society and church which are influenced by false rev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