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 및 태도 연구
초 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인식과 수용적 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기초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위험부담 놀이를 바람직한 지원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관심정도와 가치 인식은 어떠한가? 1-2 위험부담 놀이의 실태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3 위험부담 놀이를 실시하는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수용적 태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서울, 경기도, 부산,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과 중국 북경(北京), 제남(济南), 림이(临沂), 심양(沈阳), 장춘(长春) 5개 도시에 있는 한국 유아교사(216명), 중국 유아교사(201명)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각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도 실시하였다.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이윤희(2009)과 마혜린(2013)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기초로 수정·보완하여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교사 인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수용적 태도는 Little. H가 고안한 수용적 태도 척도(The Tolerance to Risk in Play Scale, TRiPS)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역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인식과 수용적 태도에 대하여는 심층면담질문지의 구조화된 문항을 통해 인터뷰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지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본 통계량으로 한다. 또한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각 척도의 신뢰계수인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연구문제별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과 χ²검증(Chi-square)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은 심층면접을 통한 참여자별 면담 녹취자료를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위험부담 놀이에 대하여 유아교사의 관심정도는 중국 교사가 더 높았으며, 한국교사가 중국교사보다 위험부담 놀이가 유아의 발달에 더 필요하고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위험부담 놀이의 실태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은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었다. 즉, 위험부담 놀이를 하는 빈도, 이루어지는 장소와 시간, 교사의 역할에서는 차이가 있는 반면, 교사의 허용정도와 제한 방식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위험부담 놀이를 실시하는 장애요인은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모두 자녀의 안전에 대한 부모의 민감성과 기관장의 안전사고 예방 요구라고 생각하였으나, 한국교사는 위험부담 놀이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중국교사는 부모의 학습위주의 교육적 요구와 구체적인 지도방법의 어려움과 인식부족 때문에 위험부담 놀이를 실시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위험부담 놀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변화시키며 유아교육기관과 부모가 협력하여 위험부담 놀이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넷째,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수용적 태도는 한국교사가 중국교사 보다 수용성이 높았으며, 한국교사는 유아들에게 더욱 많은 위험부담 놀이를 권장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태도 차이는 한국과 중국의 국가제도, 유아교육의 생태적 흐름,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가정에서 부모의 자녀양육태도 등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교사의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태도는 미시체계부터 거시체계까지 여러 측면의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위험부담 놀이에 대해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과 수용적 태도를 비교하여 위험부담 놀이를 실시하는 장애요인을 밝히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으나 유아와 부모, 기관장의 인식 등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Research of Korean and Chinese Kindergarten Educators’ Perceptions and Attitude on Risk-taking Play YUAN YUE Dept. of Early Childre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amhyook University Supervisor: Sin Ji Yeon.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risk-taking play by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is, it i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f desirable support plan for play at ris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risk-taking play? 1-1. What are the interests and value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isk-taking play? 1-2. What are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risk-taking play? 1-3.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obstacles and ways of activating risk-taking play? 2. What is the attitude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toward risk-taking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21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Seoul, Gyeonggi Province, Busan, Jeollanamdo,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and 20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Beijing, Jinan, Linyi, Shenyang, Changchun). We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Korean and there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 of risk-taking play, we used "Teacher awareness questionnaire about risk-bearing play",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Lee Yoon-hee(2009) and Ma Hye-lin(2013). The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ward risk-taking play has been modified to translate the Tolerance to Risk in Play Scale (TRiPS) to the Korean context. Finally, in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s,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risky play. The SPSS 20.0 program was used for the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For each data,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are used as the basic statistics. In addition, Cronbach’s α, which is the confidence coefficient of each scale,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In order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we conducted t-test and Chi-square test.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data is interview data of each participant. At the same time as the collection, the researcher went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ing it into a computer file and the analysis process through iterative rea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risk-taking play. Teachers' perception of risk-taking play was higher in Chinese teachers, and 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risk-taking play was more necessary and 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an Chinese teachers. Second,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reality of risk-taking play In other word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risky play, the place and time, and the role of teache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 's permission level and limit. Third, the obstacles in performing risky play were both parents' sensitivity to the safety of their children and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by the chief engineer. However, Korean teachers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risky play, I think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risky play because of the difficulty and lack of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parents and the specific guidance method.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activate risk-taking playing.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identifying the obstacles to perform risk-taking playing and comparing the perception and acceptance attitude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isk-taking play.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risk-taking play of infants, but suggests that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perception of infants.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문초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조직원들의 업무행동 간에 관한 연구는 이미 많 이 나와있지만, 둘 사이의 매개변수 및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 한 실태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를 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설정하여, 내부인 지위 인식을 매개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및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중국의 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총 41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401건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했다. 본 논문에서는 SPSS 23.0과 AMOS 22.0를 통해 빈도 분석, 요인 분석, 타 당도 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구조 방정식, 회귀 분석 등을 실시 했다. 연구결과,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은 업무행동, 즉 조직시민행동과 업무열 의가 감독자의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철회 행위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가 업 무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내부인 지위 인식이 매개 역할을 하여 리더의 멘 토링은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 행위를 조절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키워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 멘토링, 업무행동
Investigation of high energy phenomena of rotation-powered pulsars and their wind nebula
Before the launch of Fermi γ-ray space telescope, there are only 7 γ-ray pulsars. After then, the number of γ-ray pulsar i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particular criteria, they are classified into radio-loud and radio-quiet γ-ray pulsar. By comparing the properties,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for between two populations. For Geminga, most famous radio-quiet γ-ray pulsar, we investigated the extended structure nearby Geminga based on observation data by Chandra X-ray space telescope. Also the number of millisecond pulsar i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an classify into the difference populations. We did not clearly understand for each millisecond pulsar’s population. Thus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various properties between millisecond pulsar’s populations. Comparing the γ-ray pulsar’s populations, we found the positive difference for spectral curvature parameter and γ-ray to X-ray flux ratio. While we did not find any difference for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t stellar surface, we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magnetic field strength at light cylinder was appeared. Also we confirmed that the extended structure nearby Geminga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epoch 7. As a results of investigation of millisecond pulsar’s population, the positive difference between black widow and redback was appeared. Author discuss for these study in this thesis.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이 발사되지 이전에는 단지 7개에 불과했던 감마선 펄사의 숫자는 페르미의 발사 이후에는 상당히 많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특정한 조건을 따라서 Radio-loud와 Radio-quiet의 두 종류로 분류가 되었다. 우리는 두 종족의 성질을 비교함으로써 이 두 종족의 차이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Radio-quiet 감마선 펄사인 Geminga에 대해서 엑스선 영역에서 찬드라 망원경에 의해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Geminga 주변의 확장된 구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펄사의 다른 그룹인 밀리세컨드 펄사들의 숫자도 많이 증가되었고 다른 종족들로 분류하기 시작하였다. 밀리세컨드 펄사의 각 종족에 대해서 명확하게 우리는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밀리세컨드 펄사의 각 종족간의 다양한 성질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였다. 감마선 펄사의 종족을 비교하면서 우리는 두 종족의 스펙트럼과 관련된 파라미터에서 차이와 감마선 플럭스와 엑스선 플럭스의 비율에서 차이를 발견하였다. 자기장의 세기에 대해서 우리는 펄사의 표면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다르다는 것을 찾기 못한 반면에, 펄사의 Light cylinder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다름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Geminga 주변의 확장된 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구조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밀리세컨드 펄사 종족들 사이에 대한 차이 조사의 결과는 블랙위도우와 레드백에서 중점적인 차이를 보였다. 저자는 이 논문에서 이전에 언급한 진행된 연구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중화권 영화 포스터에 나타난 서예의 시지각적 표현 연구
Yue, Wenjing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박사
영화 포스터는 영화 홍보의 핵심 시각 매개체로서 관객의 주목을 끌고 영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디지털 시각 기술의 급속 한 발전과 영화산업의 세계화 확장으로 인해 영화 포스터는 점차 관객의 영화 관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포 스터는 영화 본체의 파생물로서 현대 대중의 미학적 의식에 따라 예술, 문 화, 심리를 융합한 복합적 창작 과정으로 발전해 왔다. 중화권 영화 포스터에서 서예는 필수적인 시각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 다. 그 형태와 구조는 포스터의 미학적 깊이를 더하며, 작품의 예술적 완성 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서예는 단순히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넘 어서, 형태와 구조의 변화를 통해 독특한 미학적 특성을 발현한다. 또한, 서 예의 활용은 영화 포스터에 예술적 감수성을 부여하고, 시각적 인지와 심리 적 공감 사이에 효과적인 연결고리를 형성한다. 서예가 내포한 심미적 의식과 문화적 상징은 관객의 관람 경험을 무형 의 심화시키며, 관객의 정서적 체험과 문화 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 이러한 시각적 지각의 상호작용 효과는 관객의 영화에 대한 소속감을 강화하며, 영화의 서사와 주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의 시지각 이론을 바탕 으로 서예 미학의 음양 변증법적 관점을 융합하여 특성을 재구성하고, 이 를 통해 중화권 영화 포스터에 나타난 서예의 시지각 표현을 분석한다. 연구의 이론적 틀은 게슈탈트(gestalt), 이질감(dissimilarity)과 동일성(homogeneity), 시각적 역동성(visual dynamics)이라는 세 가지 이론적 차원 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틀은 서예가 시각적인 요소의 통합, 시각적 유 도, 이질적 연상을 통해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이미지 모드를 어떻게 구축 하는지를 분석한다. 게슈탈트 전체성을 강조하며, 서예가 포스터 구성에서 시각적 조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시각 요소의 통일성을 형성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이질감 과 동일성은 형태와 문화적 메타포의 관점에서 서예가 영화의 주제와 감정 을 전달하는 구체적 방식을 분석한다. 시각적 역동성은 필획의 장력과 시각 적 흐름 방향을 분석하여, 정적인 공간 속에서 서예가 동적인 시각적 유도 경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서예는 구체적 형태와 추상적 인식의 통 합을 통해 관객이 시각적 및 심리적 차원에서 영화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 록 한다. 연구목적은 중화권 영화 포스터에서 서예의 시지각 표현 방식을 도출하고, 대중에게 주목받는 영화 포스터가 시각적 의미를 표현하는 데 있 어 공통된 이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논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예술, 심리 및 영화 분야를 아우르며 서예가 중화권 영화 포 스터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포괄적으로 해석하고 다원적 문화 관계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예의 합리적 활용은 중화권 영화 포스터의 시지각 매력과 영화 서사의 기능을 강화하여 관객의 영화 수용도 를 심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관객이 영화 개념을 이해하고 정서 적 체험을 강화하며 기억을 심화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서예는 시 각적 인지, 문화적 표현, 심리적 경험의 구축을 통해 중화권 영화 포스터에 풍부한 표현력과 전달력을 더한다. 본 연구는 전통 예술의 현대 매개체 활 용 경계를 확장하며, 시각 예술과 문화 콘텐츠 교류에 관한 새로운 가능성 을 열어준다. 주요어 : 중화권 영화 포스터, 서예, 시각적 인식, 게슈탈트, 음양 변증, 상호작용 메커니즘.
본고는 주로 한 · 중 양국어의 二字 구성 한자복합어 체계 내에 존재하고 있는 字順倒置 漢字語(同素逆順詞)의 구조 ․ 의미에 대해 파악하고 둘의 비교를 통하여 자순도치 한자어의 특징과 유형을 더 명확하게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의 논의의 구성은 크게 5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범위를 밝히고 선행 연구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제2장에서는 한 ․ 중 양국 자순도치 한자어의 개념과 형성 원인을 밝혀, 양국 자순도치 한자어의 양상을 구조와 의미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자순도치 한자어란 주로 동일한 구성 형태소를 가진 한 쌍의 二字 한자 복합어가 그 구성 형태소 A와 B의 위치를 앞뒤로 바꾸어 형성된 것을 가리킨다. 제3장에서는 한 ․ 중 양국 자순도치 한자어의 공통적 특징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한 ․ 중 자순도치 한자어의 구조적 변화와 의미적 변화는 다양하고 풍부하다. 형태소의 품사 변화에 의한 자순도치 한자어의 구조 변화, 한자 형태소의 다의성에 의한 자순도치 한자어의 의미 변화가 일어나는 특징을 공통적으로 찾아보았다. 한 ․ 중 자순도치 한자어의 구조 유형은 거의 비슷한데 다만 한국어의 통사적 규칙에 따라 형성된 독특한 유형인 술목구조↔목술구조는 중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유형이다. 또한 보충식↔주종식과 술부구조↔부술구조는 양국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뿐 결과적으로 같은 유형으로 밝혀졌다. 한 ․ 중 자순도치 한자어의 의미적 차이는 한자어가 한 ․ 중 언어에서 오랫동안 사용된 결과로 의미의 확대 혹은 축소가 이루어진 것이다. 제4장에서는 한 ․ 중 자순도치 한자어는 서로의 언어 규칙, 어휘 제약, 언어 사용 관습의 차이 때문에 현재 도치어의 사용 양상이 다소 다르다. 중국어에서 고정되지 않았던 합성어가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어느 하나의 자순으로 고정되었거나 혹은 한국어에 차용된 한자어가 개화기에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아 한국어 자체 내에서 변화를 일으키며 중간에 일본 한자어의 개입으로 변화가 생겼을 것이라 판단하고, 상대국 언어를 배울 때 실수를 피할 수 있도록 구조와 의미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고는 현대 한 ․ 중 자순도치 한자어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그들 간의 대응 관계를 찾아내어 양국 사람들이 상대국의 언어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本文主要是通過考察複合漢字語的構造,特徵,來揭示韓中字順倒置漢字語的樣相,其中包括現代中國同素逆順詞和韓國字順倒置漢字語,特別以兩國通用的漢字詞為對象,首先考察其構造和意義,找出這類漢字詞的共同點,差異,以及現在使用情況的差別。本文從整體上看,可分為五個部分。 第一章的內容主要是研究目的,研究方法和範圍。 第二章分別從韓中兩國字順倒置漢字語的概念和它的形成原因入手,並對其構造和意義進行歸類。字順倒置漢字語是指擁有相同形態素的一對二字漢字複合語,當它形態素的前後位置發生變化時,從他的結構和意義的角度上看,都能成立。 第三章主要討論了韓中兩國字順倒置漢字語的共同點及差異。 韓中字順倒置漢字語從結構上看非常多樣,豐富。共同點包括因為品詞的變化而引起的結構變化,由於漢字的多義性而引起的意義變化。差異處有在字順倒置漢字語中,述目構造—目述構造僅在韓國存在,中國沒有。還有補充式—主從式和述副構造—副述結構其實屬於一種結構,只是兩國在使用用語上有所不同。 韓中字順倒置漢字語的意義差別主要是在語言長期的使用過程中,由於意義擴大和縮小而引起的。 第四章韓中兩國相互間由於語言的規則,辭彙的制約,語言使用習慣的差異而造成的現代倒置詞使用上的差別。 這類詞產生的原因主要有:長期以來在中國沒有固定的合成詞在被韓國借用後,其中一個辭彙慢慢固定下來;韓國借用的漢字語在開化期時受到西洋文化的影響或中途由於日本漢字語的介入而引起的變化等。兩國人民在學習相互國家語言時,不避產生一些錯誤,本文將這類辭彙從構造和意義上進行分類,力求失誤的最小化。 第五章結論部分是將本文每個章節的中心內容簡單的作了一個總結。 本文通過這種研究,希望能給兩國學者在研究領域中給予一些幫助。
Taxonomic Studies on the Lichen Genera Anzia, Lichenomphalia and Polychidium from China
Yue-Qin Xiao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07 국내석사
Anzia, as one of the most peculiar genera among the macrolichens, has been reported frequently all over the word. It’s characterized by having a so-called spongiostratum cover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numerous spores per ascus. This unique vegetative characteristic and the production in most of the species of many ascospores set Anzia sharply apart from all other genera of the Parmeliaceae. Although some taxonomic work has been done on this group, it’s still insufficiently known, especially from China. Careful examination of the specimens deposited in the Lichen Section of the Cryptogamic Herbarium, Kunming Institute of Botany, Academia Sinica (KUN-L) and Lichen Section of the Mycological Herbarium, Institute of Microbiology, Academia Sinica (HMAS-L) resulted in recognition of 9 species in China. Among these species, six species, Anzia colpota, A. formosana, A. hypoleucoides, A. japonica, A. opuntiella and A. ornata have been confirmed to be occurred; 1 species, A. physoidea was proved to be misidentification of A. yunnaniana; two new species, A. yunnaniana and A. pseudocolpota were described as new to science, and one species, A. ornatoides wa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Specimens deposited in 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 (KOLRI), Shunchon National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and Institute of Japan, and Tunghai University were also examined for comparison purpose. External morphology, anatomy, chemistry and habitat data of every species were presented, as well as the distribution in China. Differences among these species were discussed and a diagnostic key was provided. The genus Lichenomphalia is characterized by its small, pale buff, yellow, or orange fruitbodies with waxy gills and smooth stems, without a veil or basal cup; lichenized thallus of a mass of green granules, round or lobed squamules, around the base of the fungus. Eight species of Lichenomphalia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but only occasionally from East Asia. Although the sterile thalli of L. hudsoniana have been reported from Tibet and Yunnan, the fertile fruitbodies, however, are still unknown from China. According to the rechecking of the omphalinoid fungal specimens deposited in the Lichen and Fungi section of Cryptogamic Herbarium, Kunming Institute of Botany, Academia Sinica (KUN), and Lichen section of Mycological Herbarium, Institute of Microbiology, Academia Sinica (HMAS-L). Two species L. hudsoniana and L. umbellifera were recognized. The L. umbellifera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in China, as well as the fertile fruitbodies of L. hudsoniana. A squamulose vegetative thallus (Coriscium-type) is present in L. hudsoniana, while L. umbellifera form a thallus of hyphal globules (Botrydina-type). L. hudsoniana resembles L. umbellifera in its fruitbodies appearance and anatomical features, but differs in lacking of tomenta over the entire stipe and having decurrent lamellae. Polychidium is a fruticose cyanolichen which has slender and dichotomously branched filaments forming tiny cushions. This group has been little studied around the world, because of the small size of apothecia, and the tiny and inconspicuous filaments. Although one species, P. stipitatum, has been reported from Taiwan, so far none have been recorded from mainland China. However,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Yunnan and Sichuan Provinces, Southwest China, one species, P. dendriscum, has been revealed to occur. A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this species was presented, based upon these herbarium and fresh materials. A taxonomic discussion, mainly related to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differences of P. dendriscum with the other Polychidium species, and Dendriscocaulon intricatulum was also provided.
The dried roots of Reynoutria japonica (Poligonaceae) have been used in Korean, China and Japan as a folk remedy for menoxenia, skin burn, gallstone, hepatitis, inflammation, and osteomyelitis. In our ongoing search for bioactive compounds originating from the endemic species in Korea, we found that citreorosein (CT), a naturally occurring anthraquinone derivatives from this plant showed cyclooxygenase-2 (COX-2) and 5-lipoxygenase (5-LOX) dual inhibitory activity by assessing their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PGD2 (IC50; 6.87 M) and LTC4 (IC50; 0.48 M) in c-kit ligand (KL)-mediated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MMC). CT also inhibited -hexosaminidase (β-HEX) release (IC50; 1.9 M), a marker of mast cell degranulation in BMMC. With regard to its molecular action mechanism,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T on intracellular signaling and mast cell activation employing BMMC. Binding of KL to its receptor c-Kit on mast cells membrane induces increases in intrinsic tyrosine kinase activity and activation of other downstream events. Biochemical analyses of the KL-mediated signaling pathway demonstrated that CT suppressed the transloca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both AP-1 and NF-kB into nuclear membrane and the phosphorylation of Akt, PLC and c-Raf. In addition, it suppressed phosphorylation of MAP kinases such as ERK1/2, p38, and JNK, which are critical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inflammatory mediators in mast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hibition of eicosanoids generation by CT through the suppression of the KL-mediated multiple steps of signaling pathways and would be beneficial for the prevention of allergic inflammation. 호장근의 건조된 뿌리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생리불순, 화상, 담 결석, 간염, 염증, 골수염 등과 같은 질병치료를 위한 전통적인 약물치료제로 사용 되어져 왔다. 생물 활성이 있는 한국의 풍토약물의 연구에서 우리는 citreorosein (CT)을 뱔견하였다 .이는 호장근의 건조된 뿌리에서 추출된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cyclooxygenase-2 (COX-2) 와 5-lipoxygenase (5-LOX)를 억제함으로써 c-kit ligand (KL)-mediated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MMC)에서 이들의 최종산물인 PGD2 (IC50; 6.87 M) 와 LTC4 (IC50; 0.48 M) 도 억제하고 β-hexosaminidase (β-HEX) release (IC50; 1.9 M)도 억제할수 있다. 또한 citreorosein (CT)가 세포의 신호전달에서 작용을 연구하였다. C-Kit receptor인 KL과 binding하여 tyrosine kinase와 다른 downstream events들의 활성을 유도한다. KL-mediated signaling pathway에서 citreorosein (CT)는 transcription factors NF-b를 억제하였고 phosphorylation of Akt, PLCγ and c-Raf도 억제하였다. 또한 citreorosein (CT)는 phosphorylation of MAP kinases ERK1/2, p38, and JNK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citreorosein (CT)는 KL-mediated multiple steps of signaling pathways를 억제함으로써 eicosanoids generation을 억제하였고 이는 알레르기 염증의 예방에 유리할것이다.
(An) empirical study on quantitative strategy of machine learning in China A-share market
Du, Yu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본 논문은 중국 A 주식 시장에서 머신 러닝을 적용하여 주식 가치 투자 전략의 성 과를 분석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머신 러닝 알고리즘과 주식 수익률의 다요 인 모형을 결합한 정량 전략이 이미 투자 활동 및 연구에 광범위하게 응용되었음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머신 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네 가지 투자 전략을 설치하여 머신 러닝 모델 성능을 백 테스트한다. 본 논문은 중국 A 주 시장 2005 년 1 월부터 2019 년 12 월까지 월간 데이터를 사 용하였으므로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 (SVC), 서포트 벡터 머신 회귀 (SVR), 랜덤 포 레스트 분류 (RFC), 랜덤 포레스트 회귀 (RFR) 등 4 개 모델을 고려했다. 백 테스트 결과를 보면 모든 머신 러닝 모델은 다 적극적인 초과 수익을 나타냈고 시장 수익률 도 초과했다. 랜덤 포리스트 모델은 서포트 벡터 머신 모델보다 더 유망한다는 결과 를 도출하며 특히 매달 예상 초과 수익률 상위 10%를 차지한 주식 포트폴리오 선택 하는 전략을 적용한 랜덤 포레스트 회귀 (RFR) 모형이 머신 러닝 분류 모형 보다 더 우월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각 모델에 대응한 정책은 백 테스트에서 상대적으 로 좋은 결과를 얻었지만 이러한 기술은 새로운 데이터에 민감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Given that quantitative strategies combining machine-learning algorithms with multi-factor models have become popular in quantitative investment and research, I adopt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s of quantitative strategies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use the four different strategies to backtest the model performance. Using the monthly data of China A-Share Market from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9. I consider the models of Support Vector Classification (SVC),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Random Forest for Regression (RFR) and Random Forest for Classification (RFC). Then I find that machine learning models combined with quantitative strategies have shown promising results, exhibiting positive excess returns that outperformed the market index during the backtesting period. I also find that random forest models outperform SVM models, and especially Random Forest for Regression (RFR) model with strategy of trading monthly with portfolio whose expected excess return in the top 10% outperformed that of classification model. Meanwhile, in my experiment, machine learning models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future market changes. Although the strategies corresponding to each model gain relatively good returns compared to that of market index during backtesting, it seems that these techniques need to be used with caution because their performance can be sensitive to new data.